KR101994917B1 - Detector for ingredient of gas and duct unit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etector for ingredient of gas and duct unit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917B1
KR101994917B1 KR1020170136135A KR20170136135A KR101994917B1 KR 101994917 B1 KR101994917 B1 KR 101994917B1 KR 1020170136135 A KR1020170136135 A KR 1020170136135A KR 20170136135 A KR20170136135 A KR 20170136135A KR 101994917 B1 KR101994917 B1 KR 101994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gas
hole
cov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1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43970A (en
Inventor
장율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6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917B1/en
Publication of KR20190043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9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9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체 성분 감지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덕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덕트를 유동하는 기체의 성분을 검출하는 기체 성분 감지기구는, 상기 덕트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덕트 내의 기체 유동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덕트로부터 유입된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유입 유동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 유동공간과 상기 덕트 내부를 연통하는 복수 개의 유입홀을 구비하는 유입부재; 상기 덕트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부재로부터 기체가 유입될 수 있는 커버공간을 구비하는 커버; 상기 커버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 내에 흐르는 기체 성분을 검출하는 센서; 및 상기 덕트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덕트 내의 기체 유동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커버공간으로부터 상기 덕트로 배출되는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배출 유동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 유동공간과 상기 덕트 내부를 연통하는 배출홀을 구비하는 배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s component sensing mechanism and a duct unit including the same. Specific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as component detecting mechanism for detecting a component of a gas flowing in a duct is provided in the duct and extends in a direction deviating from a gas flow direction in the duct, An inflow member having an inflowing flow space therein through which the inflowing gas can flow and having a plurality of inflow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inflowing flow space and the inside of the duct; A cover disposed outside the duct and having a cover space into which gas can flow from the inflow member; A sensor disposed in the cover space and detecting a gas component flowing in the cover; And a discharge flow space provided inside the duct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deviating from a direction of gas flow in the duct, wherein a discharge flow space through which the gas exhausted from the cover space to the duct flows can be formed inside the discharge flow space, And a discharge member having a discharg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duct.

Description

기체 성분 감지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덕트 유닛{DETECTOR FOR INGREDIENT OF GAS AND DUCT UNIT INCLUD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s component sensing device and a duct unit including the gas component sensing device.

본 발명은 덕트를 유동하는 기체의 성분을 검출할 수 있는 기체 성분 감지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덕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s component detection mechanism capable of detecting a component of a gas flowing through a duct and a duct unit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덕트란 일종의 공조시설로서, 공장 등과 같은 생산시설이나 일반건축물, 선박과 같은 구조물의 천정부위 등에 설치되며, 분진을 집진하거나 내부의 기체를 순환시키거나, 내부와 외부간의 기체를 연통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Generally, a duct is a kind of air-conditioning facility, which is installed in a production facility such as a factory, a general building, or a ceiling portion of a structure such as a ship, and collects dust, circulates gas inside, or communicates gas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

한편,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화재로 인한 연기가 덕트를 통해 이동하여 연기가 구조물 내부에서 전체적으로 확산되게 된다. 이에, 덕트에는 화재로 인해 발생하는 연기가 덕트 내부에 연통하는 기체에 포함되었는지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a fire occurs, the smoke due to the fire moves through the duct and the smoke spreads throughout the structure as a whole. Accordingly, the duct is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smoke generated due to a fire is contained in a gas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duct.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러한 센서는 덕트의 내부에 구비되므로, 센서를 설치하거나 정비하기 위해서는 덕트를 분리, 해체하여 한다는 불편함이 수반되었다. However, since such a sensor is generally provided inside the duct, it is inconvenient to separate and disassemble the duct in order to install or repair the sens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체 성분 감지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덕트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s component detection mechanism and a duct unit including the same that can easily perform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덕트를 유동하는 기체의 성분을 검출하는 기체 성분 감지기구로서, 상기 덕트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덕트 내의 기체 유동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덕트로부터 유입된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유입 유동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 유동공간과 상기 덕트 내부를 연통하는 복수 개의 유입홀을 구비하는 유입부재; 상기 덕트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부재로부터 기체가 유입될 수 있는 커버공간을 구비하는 커버; 상기 커버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 내에 흐르는 기체의 성분을 검출하는 센서; 및 상기 덕트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덕트 내의 기체 유동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커버공간으로부터 상기 덕트로 배출되는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배출 유동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 유동공간과 상기 덕트 내부를 연통하는 배출홀을 구비하는 배출부재를 포함하는 기체 성분 감지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as component sensing mechanism for detecting a component of a gas flowing through a duct, the gas component sensing mechanism being provided in the duct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deviating from a gas flow direction in the duct, An inflow member having an inflowing flow space therein formed therein and having a plurality of inflow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inflowing flow space and the inside of the duct; A cover disposed outside the duct and having a cover space into which gas can flow from the inflow member; A sensor disposed in the cover space and detecting a component of gas flowing in the cover; And a discharge flow space provided inside the duct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deviating from a direction of gas flow in the duct, wherein a discharge flow space through which the gas exhausted from the cover space to the duct flows can be formed inside the discharge flow space, And a discharge member having a discharg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duct.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유입홀은, 상기 유입부재가 덕트 내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덕트의 상류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기체 성분 감지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Further, the plurality of inflow holes may be provid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flow member extends in the duct, and a gas component detection mechanism formed to face the upstream of the duct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배출홀은, 상기 덕트의 하류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기체 성분 감지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hole may be provided with a gas component sensing device formed to face the downstream of the duct.

또한, 상기 유입부재는 양 단부가 상기 덕트의 내측 둘레면에 연결되는 기체 성분 감지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Further, the inflow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gas component sensing mechanism in which both end portions are connec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또한, 상기 센서는 상기 덕트의 외측 둘레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입부재는 상기 덕트의 둘레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덕트의 상기 둘레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홀 보다 하류에 구비되는 제2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관통홀, 상기 제2 관통홀 및 상기 센서를 둘러싸며 상기 덕트의 외측 둘레면에 부착될 수 있는 가장자리부; 및 상기 가장자리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버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기체 성분 감지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The sensor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and the inflow member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through a first through hole formed to pass through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duct, And the cover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first through hole,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sensor, and the cover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formed to pass through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irst through hole and downstream of the first through hole. An edge portion that can be attach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And a body portion extending from the edge portion and forming the cover space.

또한, 상기 커버는, 외부에서 상기 커버공간을 투시하기 위한 윈도우를 포함하는 기체 성분 감지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Further, the cover may be provided with a gas component sensing mechanism including a window for projecting the cover space from the outside.

또한, 상기 유입 유동공간은 상기 복수 개의 유입홀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유동로로 구별되며, 상기 유입부재에는 상기 커버공간과 연통되는 복수 개의 유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유동로는 상기 복수 개의 유출홀과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기체 성분 감지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The inflow space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low paths extending from the plurality of inflow holes, and the inflow member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outflow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cover space, A gas component detecting mechanism may be provided which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utlet hole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또한, 덕트; 및 상기 덕트를 유동하는 기체의 성분을 모니터링하는 기체 성분 감지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 성분 감지기구는, 상기 덕트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덕트 내의 기체 유동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덕트로부터 유입된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유입 유동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 유동공간과 상기 덕트 내부를 연통하는 복수 개의 유입홀을 구비하는 유입부재; 상기 덕트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부재로부터 기체가 유입될 수 있는 커버공간을 구비하는 커버; 상기 커버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 내에 흐르는 기체의 성분을 검출하는 센서; 및 상기 덕트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덕트 내의 기체 유동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커버공간으로부터 상기 덕트로 배출되는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배출 유동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 유동공간과 상기 덕트 내부를 연통하는 배출홀을 구비하는 배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에는 상기 덕트의 둘레벽을 관통하도록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홀보다 하류 측에서 상기 둘레벽을 관통하도록 제2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재는 상기 제1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제2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는 덕트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Also, ducts; And a gas component sensing mechanism for monitoring a component of a gas flowing through the duct, wherein the gas component sensing mechanism is provided inside the duct and extends in a direction deviating from a gas flow direction in the duct, An inflow member having an inflowing flow space therein through which the inflowing gas can flow and having a plurality of inflow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inflowing flow space and the inside of the duct; A cover disposed outside the duct and having a cover space into which gas can flow from the inflow member; A sensor disposed in the cover space and detecting a component of gas flowing in the cover; And a discharge flow space provided inside the duct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deviating from a direction of gas flow in the duct, wherein a discharge flow space through which the gas exhausted from the cover space to the duct flows can be formed inside the discharge flow space, And a discharge member having a discharg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duct, wherein the duct is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duct, the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circumferential wall from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discharge member is inserted through the second through-hole. The duct unit may include a first through-hole and a second through-ho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체 성분 감지기구의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 of the gas component detection mechanism can be easi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덕트 유닛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덕트 유닛의 분해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덕트 유닛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체 성분 감지기구에 포함된 유입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체 성분 감지기구에 포함된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덕트 유닛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체 성분 감지기구에 포함된 유입부재의 종단면도이다.
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duct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duct unit of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ct unit of 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inflow member included in the gas component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ver included in the gas component det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duct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inflow member included in the gas component det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전달'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전달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mmunica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elements may also be present in the middle, although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and transmitted to the other elem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constituent elements are not limited by such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체 성분 감지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덕트 유닛을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gas component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uct unit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해상 구조물(1) 등에 구비되는 덕트 유닛(1)은 덕트(10) 및 이러한 덕트(10)에 설치되는 기체 성분 감지기구(20)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10)에는 기체 성분 감지기구(20)의 설치를 위해 덕트(10)의 외측 둘레면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21); 및 제2 관통홀(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관통홀(22)은 제1 관통홀(21)보다 하류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관통홀은 후술할 유입부재(100)의 횡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관통홀은 후술할 배출부재(400)의 횡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1 and 2, the duct unit 1 provided in the marine structure 1 may include a duct 10 and a gas component detection mechanism 20 installed in the duct 10. [ The duct (10) is provided with a first through hole (21) passing throug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uct (10) for installing the gas component sensing device (20); And the second through-hole 22 may be formed at a position downstream of the first through-hole 21. The second through- The first through-hole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urface of the inflow member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second through-hole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urface of the discharge member 400 described later.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덕트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기체나 기타 유체가 흐르는 통로, 파이프, 튜브 및 구조물 모두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덕트'의 개념에 포함된다. Although the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rectangular shap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all passages, pipes, tubes, and structures through which gases or other fluids flow are included in the concept of " ducts " described herein and in the claims.

기체 성분 감지기구(20)는 덕트(10) 내에서 유동하는 기체의 성분을 검출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더 참조하여, 기체 성분 감지기구(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The gas component sensing device 20 can detect the component of the gas flowing in the duct 10. 3 to 5,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gas component detection mechanism 20 will be described.

도 3 내지 도 5를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체 성분 감지기구(20)는 덕트 내에서 유동하는 기체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부재(100), 유입부재(100)에서 배출된 기체를 수용하는 커버(200); 유입된 기체의 성분을 검출하는 센서(300); 및 커버(200) 내의 기체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3 to 5, the gas component sensing device 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low member 100 into which gas flowing in a duct can be introduced, A cover 200 for accommodating the exhausted gas; A sensor 300 for detecting a component of the introduced gas; And a discharge member 400 through which the gas in the cover 200 can be discharged.

유입부재(100)는 덕트(10) 내부의 기체의 유동방향(F)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입부재(100)는 덕트(10)가 연장되는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부재(10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유입부재(100)의 일단부는 덕트(10)의 내측 둘레면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덕트(10)의 내측 둘레면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유입부재(100)는 덕트(10)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된 제1 관통홀(21)에 삽입됨으로써 덕트(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The inflow member 100 may be arranged to extend along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flow direction F of the gas inside the duct 10. In other words, the inflow member 100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that is deviated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duct 10 extends. The inflow member 100 may have the shape of a pi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One end of the inflow member 100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10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10. The inflow member 100 may be installed in the duct 10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21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uct 10.

이러한 유입부재(100)는 내부에 형성된 유입 유동공간(110), 둘레부를 관통하는 유입홀(120), 및 유입 유동공간(110)의 기체가 배출되는 유출홀(130)을 구비할 수 있다. The inflow member 100 may include an inflow flow space 110 formed therein, an inflow hole 120 penetrating the periphery, and an outflow hole 130 through which the inflow fluid space 110 is discharged.

유입 유동공간(110)은 유입부재(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유입된 기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유입 유동공간(110)은 유입부재(100)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유입 유동공간(110)은 유입홀(120) 및 유출홀(130)과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유입홀(120)을 통해 유입 유동공간(110)으로 유입된 덕트(10)내의 기체는 유출홀(130)을 통해 유입부재(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The inlet flow space 110 may be formed within the inlet member 100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inlet gas may flow. The inlet flow space 110 may exten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let member 100 extends. The inlet flow space 110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hole 120 and the outlet hole 130. The gas in the duct 10 flowing into the inflow space 110 through the inflow hole 1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inflow member 100 through the outflow hole 130.

유입홀(120)은 유입부재의 둘레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덕트(10)의 상류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유입홀(120)은 유입 유동공간(110)과 연통되므로, 유입홀(120)을 통해 유입된 덕트(10) 내부의 기체는 유입 유동공간(110)으로 흐른다. 유입홀(120)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 개의 유입홀(120)은 덕트(10)가 연장되는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유입홀(120)은 기체의 유동방향(F)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The inflow hole 120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flow member and may be disposed to face the upstream side of the duct 10. Since the inlet hole 120 communicates with the inlet flow space 110, the gas inside the duct 10 flowing through the inlet hole 120 flows into the inlet flow space 110. The plurality of inflow holes 120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which is deviated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ducts 10 extend, And may be arranged along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flow direction F of the gas.

유출홀(130)은 유입 유동공간(110)과 커버(200) 내부의 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출홀(130)은 유입 유동공간(110) 내의 기체를 커버(200)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구멍을 제공할 수 있고, 유입부재(100)의 제1 관통홀(21) 측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The outflow hole 130 can communicate the space inside the cover 200 with the inflowing flow space 110. The outlet hole 130 may provide a hole for discharging the gas in the inlet flow space 110 to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200 and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inlet member 100 on the side of the first through hole 21 As shown in FIG.

커버(200)는 덕트(10)이 외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유입부재(100)에서 배출된 기체가 유입되는 커버공간(201)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공간(201)으로 유입된 기체는 배출부재(400) 측으로 흐를 수 있다. 이러한 커버공간(201)은 폐쇄 공간, 도어 등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는 반폐쇄 공간 및 내부의 기체의 유동이 영향이 없을 정도로 일부가 개방된 실질적 폐쇄 공간을 모두 아우르는 개념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커버(200)는 작업자가 외부에서 커버공간(201)을 볼 수 있도록 윈도우(2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ver 200 may be formed with a cover space 201 in which the duct 10 is disposed outside and a gas discharged from the inflow member 100 flows into the cover 200. The gas introduced into the cover space 201 can flow toward the discharge member 400 side. The cover space 201 is defined as a closed space, a semi-closed space that can be selectively opened by a door or the like, and a substantially closed space that is partially opened to such an extent that the flow of the gas inside is unaffected. The cover 200 may include a window 230 so that the operator can see the cover space 201 from the outside.

이러한 커버(200)는 덕트(10)의 외측 둘레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커버(200)는 덕트(10)의 외측 둘레면에 부착되는 부분이 개방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덕트(10)의 외측 둘레면과 함께 커버공간(20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200)는 덕트(10)의 외측 둘레면에 부착되기 위한 가장지리부(210); 및 가장자리부(210)로부터 연장되어 커버공간(201)을 형성하는 몸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ver 200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10. Further, the cover 200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ortion of the duct 10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opened, and the cover space 201 may be formed together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10. To this end, the cover 200 includes a plurality of geogrid portions 210 for attach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10; And a body portion 220 extending from the edge portion 210 to form a cover space 201. [

가장자리부(210)는 커버(2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개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가장자리부(210)는 덕트(10)의 외측 둘레면에 부착되었을 때 제1 관통홀(21), 제2 관통홀(22) 및 센서(300)를 둘러쌀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장지리부(210)는 덕트(10)의 외측 둘레면에 대응하도록 굴곡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10)가 원형 형상의 단면을 가질 경우, 상류측, 하류측의 가장자리부(210)가 중심을 향할수록 아래로 굴곡되어,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반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edge portion 210 may provide an opening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over 200. The edge portion 210 may have a size and shape that can surround the first through hole 21, the second through hole 22, and the sensor 300 when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10 have. In addition, the gravel 210 may be bent to correspon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10. For example, when the duct 10 has a circular cross-sectio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side edge portions 210 are bent downward toward the center, so that when viewed from the upstream side or the downstream side, the semi- Lt; / RTI >

몸체부(220)는 가장자리부(210)로부터 연장되어 커버공간(201)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몸체부(220)는 제1 관통홀(21), 제2 관통홀(22) 및 센서(300)가 덕트 외부의 기체에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220 is configured to extend from the edge portion 210 to form the cover space 201. The body 220 may cover the first through-hole 21, the second through-hole 22, and the sensor 300 so as not to be exposed to gas outside the duct.

몸체부(220)는 바닥부(220a) 및 측부(220b), 전방부(220c), 후방부(220d)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220)는 커버(200)가 덕트(10)에 부착되었을 때 바닥부(220a)가 센서(300)와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센서(300)보다 큰 높이(도 3의 세로 방향)를 가지고, 전방부(220c)가 제1 관통홀(21)보다 상류측에 배치되고 후방부(220d)가 제2 관통홀(22)보다 하류측에 배치되도록 제1 관통홀(21)과 제2 관통홀(22) 사이의 거리보다 큰 길이(도 3의 가로 방향)를 가질 수 있으며, 측부(220b)가 센서(300)와 인접하거나 접촉할 정도의 폭(높이와 길이에 수직한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220)는 센서(300)와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커버(200)의 가장자리부(210)는 덕트(10)에 부착되므로, 커버공간(201)은 몸체부(220)와 덕트(10)의 외측 둘레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서술한 윈도우(230)는 이러한 몸체부(220)에 제공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220 may include a bottom portion 220a and a side portion 220b, a front portion 220c, and a rear portion 220d. The body 220 has a height larger than that of the sensor 300 so that the bottom 220a may be separated from the sensor 3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cover 200 is attached to the duct 10, The first through hole 2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1 are formed so that the front portion 220c is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first through hole 21 and the rear portion 220d is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second through hole 22,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eight and the length) so that the side portion 220b abuts or contacts the sensor 300. The width of the side portion 220b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through- Lt; / RTI > For example, the body portion 220 may have the same width as the sensor 300. Since the edge portion 210 of the cover 200 is attached to the duct 10, the cover space 201 can be formed by the body portion 22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uct 10. In addition, the window 230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on the body 220.

센서(300)는 기체의 성분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센서(300)는 화재의 발생으로 인한 연기(smoke)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300)는 빛을 조사하는 광원과 조사된 빛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통해, 화재시 발생하는 스모크 입자를 측정함으로써 화재의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300)는 커버공간(201)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관통홀(21)과 제2 관통홀(2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센서(300)의 전방측과 후방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공간(201)에 유입된 기체는 센서의 전방측의 경사면을 따라 덕트(20)의 외측 둘레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흐르고, 센서(300)와 커버 바닥부(220a)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며, 센서의 후방측의 경사면을 따라 덕트(20)의 외측 둘레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The sensor 300 is configured to sense the components of the gas. In addition, the sensor 300 may be configured to detect smoke caused by a fire. For example, the sensor 300 can detect the occurrence of a fire by measuring a smoke particle generated during a fire through a light source for illuminating the light and a detector for detecting the illuminated light. The sensor 3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over space 201 and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through hole 2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2. [ In addition, an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sensor 300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gas introduced into the cover space 201 flows along the inclined surface on the front side of the sensor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20 and passe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sensor 300 and the cover bottom 220a And can flow along the inclined surface on the rear side of the sensor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20.

또한, 센서(300)는 덕트(10)의 외측 둘레면에 부착될 수 있고, 몸체부(220)의 측부(220b)와 인접 또는 접촉하여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공간(201)에 유입된 기체 센서(300)의 측면과 몸체부의 측부(220b) 사이로 흐르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The sensor 300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10 and may be provided adjacent or in contact with the side portion 220b of the body portion 220. [ Therefore, it can be suppressed from flowing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gas sensor 300 that has flowed into the cover space 201 and the side portion 220b of the body portion.

배출부재(400)는 덕트(10) 내부의 기체의 유동방향(F)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유입부재(100)를 통해 기체 성분 감지기구(20)로 유입된 덕트(10)의 기체는 배출부재(400)를 통해 다시 덕트(10)로 리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배출부재(400)는 덕트(10)가 연장되는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부재(40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배출부재(400)의 일단부는 덕트(10)의 내측 둘레면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덕트(10)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재(400)는 덕트(10)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된 제2 관통홀(21)에 삽입됨으로써 덕트(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The discharge member 400 may be arranged to extend along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flow direction F of the gas inside the duct 10. [ The gas of the duct 10 introduced into the gas component sensing device 20 through the inlet member 100 may be returned to the duct 10 through the exhaust member 400. [ In other words, the discharge member 400 can be disposed in a direction deviating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duct 10 extends. The discharge member 400 may have the shape of a pi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One end of the discharge member 400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10 and the other end may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duct 10. The discharge member 400 may be installed in the duct 10 by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21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10.

이러한 배출부재(400)는 내부에 형성된 배출 유동공간(410), 커버(200) 내의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부(420), 및 배출 유동공간(410)의 기체가 덕트(20)의 내부로 배출되는 배출홀(430)를 구비할 수 있다. 유입부(420)를 통해 커버(200)에서 유입된 배출 유동공간(410)의 기체는 배출홀(430)을 통해 덕트(20) 내부로 배출된다. The discharge member 400 includes a discharge flow space 410 formed therein and an inlet 420 through which the gas flows in the cover 200 and a gas in the discharge flow space 410 discharged into the duct 20 As shown in FIG. The gas in the discharge flow space 410 introduced from the cover 200 through the inlet 420 is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duct 20 through the discharge hole 430.

배출 유동공간(410)은 배출부재(4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유입된 기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 유동공간(410)은 배출부재(400)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420)는 커버(200) 내의 기체를 배출 유동공간(410)으로 유입하기 위한 구멍을 제공할 수 있고, 배출부재(400)의 제2 관통홀(22) 측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The discharge flow space 410 may be formed within the discharge member 400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gas may flow. This discharge flow space 410 may exten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 member 400 extends. The inlet portion 420 may provide a hole for introducing the gas in the cover 200 into the outlet flow space 410 and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outlet member 400 on the second through hole 22 side have.

배출홀(430)은 배출부재(400)의 둘레면을 관통하거나 배출부재(400)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덕트(10)의 하류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배출홀(430)이 1개로 구비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다른 예로 배출홀(430)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discharge hole 430 may extend throug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member 400 or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discharge member 400 and may be disposed to face the downstream of the duct 10. Although one discharge hole 430 is shown in the draw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hat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430 are provided as another example.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기체 성분 감지기구(20) 및 이를 포함하는 덕트 유닛(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functions and effects of the gas component detection mechanism 2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the duct unit 1 including the gas component detection mechanism 20 will be described.

기체 성분 감지기구(20)는 덕트(10)를 분리하지 않고, 덕트(10)의 외부에서 관통홀을 뚫어 유입부재(100) 및 배출부재(400)를 삽입하고, 덕트(10)의 외측 둘레면에 센서(300)와 커버(200)를 부착하는 것만으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기체 성분 감지기구(20)는 매우 간소한 작업과정으로 설치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gas component detection mechanism 2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inlet member 100 and the exhaust member 400 are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from the outside of the duct 10 without detaching the duct 10, Only the sensor 300 and the cover 200 can be attached to the surface. Therefore, the gas component detection mechanism 20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installed in a very simple working process.

또한, 기체 성분 감지기구(20)는 덕트(10)를 분리하지 않고, 커버(200)만을 탈거하는 것으로도 유지 보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유지보수 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Also, the gas component detecting mechanism 20 can perform the maintenance work by removing only the cover 200 without detaching the duct 10. Therefore, the time required for the maintenance work can be remarkably reduced.

또한, 상류를 향해 형성된 복수 개의 유입홀(120)을 통해 기체가 유입되므로, 송풍팬이나 펌프 등의 장치를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도, 기체의 이송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고, 배출홀(430)이 하류를 향해 형성되므로 기체의 배출로 인해 기체의 이송이 방해받지 않는다. In addition, since the gas flows in through the plurality of inlet holes 120 formed upstream, there is an effect that the gas can be transported more smoothly without providing a device such as a blowing fan or a pump, 430) are formed downstream so that the gas is not disturbed by the discharge of the gas.

또한, 유입부재(100)를 통해 기체 성분 감지기구(20)로 유입된 덕트(10)의 기체는 배출부재(400)를 통해 다시 덕트(10)로 리턴되므로, 덕트(10) 내의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Since the gas of the duct 10 introduced into the gas component sensing device 20 through the inlet member 100 is returned to the duct 10 through the exhaust member 400, . ≪ / RTI >

한편, 상기의 제1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유입홀(120)에서 유입되는 기체가 유출홀(130)에서 합류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유입홀(120)로 유입되는 기체가 개별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차이점을 위주로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원용한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gas introduced from the plurality of the inlet holes 120 is merged in the outlet hole 130. Howev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below, Can be configured to flow individually. Hereinafter,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differences as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and the same description and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부재(100)의 내부에는 유입 유동공간(110)을 구분할 수 있는 구획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6 and 7,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 partitioning portion 111 for dividing the inflowing flow space 110 can be formed in the inflow member 100.

구획부(111)는 유입 유동공간(110) 내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유입 유동공간(110)은 복수 개의 유입홀(120a-120e) 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유동로(110a-110e)로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획부(111)에 의해 유출홀(130)이 복수 개로 구획될 수 있다. 유동로(110a-110e)는 기체가 유입되는 측에서 복수 개의 유입홀(120)의 각각에 대응하여 독립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기체가 배출되는 측에서 복수 개의 유출홀(130)의 각각에 대응하여 독립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partitioning part 111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the inflowing flow spaces 110 so that the inflowing flow space 110 has flow paths 110a to 110e extending from the plurality of inflow holes 120a to 120e, ≪ / RTI > In addition, the outflow holes 130 can be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by the partitioning section 111. The flow paths 110a to 110e may be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inlet holes 120 on the gas inlet side and may correspon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utlet holes 130 on the gas outlet side They can be connected independently.

복수 개의 유동로(110a-110e)가 형성된 유입부재(100)는 기체의 유동방향(F)을 따라 자른 단면에서 보았을 때 기체의 유동방향(F)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유동로(110a-110e)는 기체의 유동방향(F)을 따라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부재(100)가 기체의 유동을 방해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inflow member 100 having the plurality of flow paths 110a to 110e may have a cross section that is elongated along the flow direction F of the gas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along the flow direction F of the gas.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low paths 110a-110e may be formed to be arranged along the flow direction F of the ga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flow member 100 from interfering with the flow of gas.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유입홀(120)이 제1 유입홀(120a), 제2 유입홀(120b), 제3 유입홀(120c), 제4 유입홀(120d), 제5 유입홀(120e)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구획부(111)는 각 유입홀(120a, 120b, 120c, 120d, 120e)에 유입되는 기체가 유입부재(100) 내에서 혼합되지 않고 흐르도록 유입 유동공간(110) 및 유출홀(130)를을 구획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구획부(111)로 인해 유입 유동공간(110)은 제1 유입 유동공간(110a), 제2 유입 유동공간(110b), 제3 유입 유동공간(110c), 제4 유입 유동공간(110d), 제5 유입 유동공간(110e)으로 구획될 수 있고, 유출홀(130)는 제1 배출부(130a), 제2 배출부(130b), 제3 배출부(130c), 제4 배출부(130d), 제5 배출부(130e)로 구획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inflow holes 120 may include a first inflow hole 120a, a second inflow hole 120b, a third inflow hole 120c, a fourth inflow hole 120d, a fifth inflow hole 120e ). In this case, the partition 111 is formed in the inlet flow space 110 and the outlet hole 110 so that gas introduced into the inlet holes 120a, 120b, 120c, 120d, and 120e flows in the inlet member 100 without mixing. 130 can be partitioned. In other words, due to the partition 111, the inflowing flow space 110 is divided into the first inflowing flow space 110a, the second inflowing flow space 110b, the third inflowing flow space 110c, And a fifth inlet flow space 110e and the outlet hole 13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outlet 130a, a second outlet 130b, a third outlet 130c, A first discharge port 130d, and a fifth discharge port 130e.

제1 유입 유동공간(110a)은 제1 유입홀(120a) 및 제1 배출부(130a)와 연통하고, 제2 유입 유동공간(110b)은 제2 유입홀(120b) 및 제2 배출부(130b)와 연통하고, 제3 유입 유동공간(110c)은 제3 유입홀(120c) 및 제3 배출부(130c)와 연통하고, 제4 유입 유동공간(110d)은 제4 유입홀(120d) 및 제4 배출부(130d)와 연통하고, 제5 유입 유동공간(110e)은 제5 유입홀(120e) 및 제5 배출부(130e)와 연통할 수 있다. The first inlet flow space 110a communicates with the first inlet 120a and the first outlet 130a and the second inlet flow space 110b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inlet 120b and the second outlet The third inflow space 110c communicates with the third inflow hole 120c and the third discharge unit 130c and the fourth inflow space 110d communicates with the fourth inflow hole 120d. And the fourth inlet portion 130d and the fifth inlet flow space 110e can communicate with the fifth inlet portion 120e and the fifth outlet portion 130e.

복수 개의 유입홀(120a-120e)에서 유입된 기체는 복수 개의 유동공간(110a-110e) 및 복수 개의 배출부(130a-130e)를 통해 개별적, 독립적으로 유동하므로, 복수 개의 유동공간(110a-110e)에 유입된 기체는 서로 혼합되지 않으며, 보다 효과적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gas introduced from the plurality of inflow holes 120a-120e individually and independently flows through the plurality of the flow spaces 110a-110e and the plurality of the discharge portions 130a-130e, the plurality of flow spaces 110a-110e ) Are not mixed with each other, and flow more effectively.

한편,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체 성분 감지기구(20) 및 이를 포함하는 덕트 유닛(1)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broadest range according to the basic idea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Skilled artisans may implement a pattern of features that are not described in a combinatorial and / or permutational manner with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this is not to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readily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덕트 유닛 10: 덕트
20: 기체 성분 감지기구 21: 제1 관통홀
22: 제2 관통홀
100: 유입부재 110: 유입 유동공간
111: 구획부 120, 120a-120e: 유입홀
130, 130a-130e: 배출부
200: 커버 201: 커버공간
210: 가장자리부 220: 몸체부
220a: 바닥부 220b: 측부
220c: 전방부 220d: 후방부
230: 윈도우
300: 센서
400: 배출부재 410: 배출 유동공간
420: 유입부 430: 배출홀
1: duct unit 10: duct
20: gas component detection mechanism 21: first through hole
22: second through hole
100: inlet member 110: inlet flow space
111: partition 120, 120a-120e: inlet hole
130, 130a-130e:
200: cover 201: cover space
210: edge portion 220:
220a: bottom portion 220b: side portion
220c: front portion 220d: rear portion
230: Window
300: sensor
400: exhaust member 410: exhaust flow space
420: inlet portion 430: outlet hole

Claims (8)

덕트를 유동하는 기체의 성분을 검출하는 기체 성분 감지기구로서,
상기 덕트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덕트 내의 기체 유동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덕트로부터 유입된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유입 유동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 유동공간과 상기 덕트 내부를 연통하는 복수 개의 유입홀을 구비하는 유입부재;
상기 덕트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부재로부터 기체가 유입될 수 있는 커버공간을 구비하는 커버;
상기 커버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 내에 흐르는 기체의 성분을 검출하는 센서; 및
상기 덕트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덕트 내의 기체 유동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커버공간으로부터 상기 덕트로 배출되는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배출 유동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 유동공간과 상기 덕트 내부를 연통하는 배출홀을 구비하는 배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덕트의 외측 둘레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입부재와 상기 배출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부재는 상기 덕트의 둘레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덕트의 상기 둘레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홀 보다 하류에 구비되는 제2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관통홀, 상기 제2 관통홀 및 상기 센서가 상기 커버공간을 통하여 서로 연통하도록 상기 제1 관통홀, 상기 제2 관통홀 및 상기 센서를 둘러싸며 상기 덕트의 외측 둘레면에 부착될 수 있는 가장자리부; 및
상기 가장자리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버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기체 성분 감지기구.
A gas component detection mechanism for detecting a component of a gas flowing in a duct,
And an inflowing flow space provided inside the duct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deviating from a direction of gas flow in the duct, wherein an inflowing flow space through which the inflowing gas flows can be formed inside, and the inflowing flow space and the inside of the duct are communicated An inflow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inflow holes;
A cover disposed outside the duct and having a cover space into which gas can flow from the inflow member;
A sensor disposed in the cover space and detecting a component of gas flowing in the cover; And
A discharge flow space provided inside the duct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deviating from a direction of gas flow in the duct, wherein a discharge flow space through which the gas discharged from the cover space to the duct flows can be formed therein; And a discharge member having a discharg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duct,
Wherein the sensor is configured to be attachable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and is disposed between the inlet member and the outlet member,
Wherein the inflow member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through a first through hole formed to penetrate a peripheral wall of the duct,
The discharge member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formed to pass through the peripheral wall of the duct and provided downstream of the first through hole,
The cover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sensor so that the first through hole,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senso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over space, and can be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An edge portion; And
And a body portion extending from the edge portion to form the cover sp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유입홀은,
상기 유입부재가 덕트 내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덕트의 상류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기체 성분 감지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inflow holes
Wherein the inflow member is arranged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inflow member extends in the duct, and is formed so as to face upstream of the du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은, 상기 덕트의 하류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기체 성분 감지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to face downstream of the du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재는
양 단부가 상기 덕트의 내측 둘레면에 연결되는 기체 성분 감지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flow member
Wherein both end portions are connect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외부에서 상기 커버공간을 투시하기 위한 윈도우를 포함하는 기체 성분 감지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And a window for viewing the cover space from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유동공간은 상기 복수 개의 유입홀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유동로로 구별되며,
상기 유입부재에는 상기 커버공간과 연통되는 복수 개의 유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유동로는 상기 복수 개의 유출홀과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기체 성분 감지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lowing flow spac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low paths each extending from the plurality of inflow holes,
Wherein the inflow member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outflow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cover space,
Wherein the plurality of flow paths are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outflow holes.
덕트; 및
상기 덕트를 유동하는 기체의 성분을 모니터링하는 기체 성분 감지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 성분 감지기구는,
상기 덕트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덕트 내의 기체 유동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덕트로부터 유입된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유입 유동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 유동공간과 상기 덕트 내부를 연통하는 복수 개의 유입홀을 구비하는 유입부재;
상기 덕트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부재로부터 기체가 유입될 수 있는 커버공간을 구비하는 커버;
상기 커버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 내에 흐르는 기체의 성분을 검출하는 센서; 및
상기 덕트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덕트 내의 기체 유동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커버공간으로부터 상기 덕트로 배출되는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배출 유동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 유동공간과 상기 덕트 내부를 연통하는 배출홀을 구비하는 배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에는 상기 덕트의 둘레벽을 관통하도록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홀보다 하류 측에서 상기 둘레벽을 관통하도록 제2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재는 상기 제1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제2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덕트의 외측 둘레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입부재와 상기 배출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부재는 상기 덕트의 둘레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덕트의 상기 둘레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홀 보다 하류에 구비되는 제2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관통홀, 상기 제2 관통홀 및 상기 센서가 상기 커버공간을 통하여 서로 연통하도록 상기 제1 관통홀, 상기 제2 관통홀 및 상기 센서를 둘러싸며 상기 덕트의 외측 둘레면에 부착될 수 있는 가장자리부; 및
상기 가장자리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버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덕트 유닛.
duct; And
And a gas component sensing mechanism for monitoring a component of the gas flowing through the duct,
The gas component sensing mechanism includes:
And an inflowing flow space provided inside the duct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deviating from a direction of gas flow in the duct, wherein an inflowing flow space through which the inflowing gas flows can be formed inside, and the inflowing flow space and the inside of the duct are communicated An inflow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inflow holes;
A cover disposed outside the duct and having a cover space into which gas can flow from the inflow member;
A sensor disposed in the cover space and detecting a component of gas flowing in the cover; And
A discharge flow space provided inside the duct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deviating from a direction of gas flow in the duct, wherein a discharge flow space through which the gas discharged from the cover space to the duct flows can be formed therein; And a discharge member having a discharg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duct,
A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duct to penetrate the peripheral wall of the duct and a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duct to pass through the peripheral wall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rst through hole,
Wherein the inflow member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through-hole, the discharge member is inserted through the second through-hole,
Wherein the sensor is configured to be attachable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and is disposed between the inlet member and the outlet member,
Wherein the inflow member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through a first through hole formed to penetrate a peripheral wall of the duct,
The discharge member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formed to pass through the peripheral wall of the duct and provided downstream of the first through hole,
The cover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sensor so that the first through hole,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senso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over space, and can be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An edge portion; And
And a body portion extending from the edge portion to form the cover space.
KR1020170136135A 2017-10-19 2017-10-19 Detector for ingredient of gas and duct unit including the same KR1019949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135A KR101994917B1 (en) 2017-10-19 2017-10-19 Detector for ingredient of gas and duct unit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135A KR101994917B1 (en) 2017-10-19 2017-10-19 Detector for ingredient of gas and duct unit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970A KR20190043970A (en) 2019-04-29
KR101994917B1 true KR101994917B1 (en) 2019-07-01

Family

ID=66282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135A KR101994917B1 (en) 2017-10-19 2017-10-19 Detector for ingredient of gas and duct unit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91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5101A (en) * 2001-06-12 2002-12-18 Osaka Gas Co Ltd Flowmeter
JP2014020808A (en) * 2012-07-12 2014-02-03 Isuzu Motors Ltd Pitot tube type flowmeter and flow rate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same
JP2015064170A (en) * 2013-09-26 2015-04-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Air conditioning member and ventilation devic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5101A (en) * 2001-06-12 2002-12-18 Osaka Gas Co Ltd Flowmeter
JP2014020808A (en) * 2012-07-12 2014-02-03 Isuzu Motors Ltd Pitot tube type flowmeter and flow rate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same
JP2015064170A (en) * 2013-09-26 2015-04-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Air conditioning member and ventilation devic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970A (en) 201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8440B2 (en) Gas detector for use with an air sampling particle detection system
CN101663076B (en) Filter arrangement
US20100176957A1 (en)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AU2006263279B2 (en) Flow rate measurement device
JP4910179B2 (en) Flow sensor
KR20170097391A (en) Sensor device for sensing fine dust
US20200289971A1 (en) Aerosol Distribution In Filter Testing Systems
KR101994917B1 (en) Detector for ingredient of gas and duct unit including the same
WO2008109933A1 (en) Particle detection apparatus
KR20170020361A (en) Probe for gas sensor with gas split sample gas flow
CN107036949B (en) Dust concentration detection device and air purification equipment with same
RU2741477C2 (en) Air-conducting structural element
CN106918428B (en) Test probe for filter
KR102146765B1 (en) Wet scrubber
US6923715B2 (en) Device for regulating the air volume flow for a vent in a laboratory
JP2002511528A (en) Sieve-like structure for fluid flow through structural arrangement
WO2021039996A1 (en) Gas supply and discharge adaptor and gas detection device
KR20190084772A (en) Chamber forfine dust measuring device
KR102437900B1 (en) Sensing module and air purifier comprising the same
US20090217778A1 (en) Sampling and Monitoring of Particulate Suspension Material
CN210464517U (en) Protection device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in damp and hot environment
CN211784608U (en) Angle-adjustable flue gas drainage device
JP2019045006A (en) Indoor equipment of air conditioner
WO2020084911A1 (en) Dust measurement device for vehicle
KR20020039849A (en) Difference pressure tes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