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814B1 -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814B1
KR101994814B1 KR1020180173428A KR20180173428A KR101994814B1 KR 101994814 B1 KR101994814 B1 KR 101994814B1 KR 1020180173428 A KR1020180173428 A KR 1020180173428A KR 20180173428 A KR20180173428 A KR 20180173428A KR 101994814 B1 KR101994814 B1 KR 101994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iver
water level
sea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우
Original Assignee
(주)한국융합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융합아이티 filed Critical (주)한국융합아이티
Priority to KR1020180173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E03F7/04Valves for preventing return flow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관과 방류구 사이에 형성되는 월류턱 및 수문을 제어하여 하천 또는 해양이 역류하여 하천수 또는 해수가 오수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Movable backflow prevention system for seawater and river water in the sewer pipe}
본 발명은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관과 방류구 사이에 형성되는 월류턱 및 수문을 제어하여 하천 또는 해양이 역류하여 하천수 또는 해수가 오수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하수시설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하수시설은 고정식 월류턱을 사용하여 하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하수가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하수가 오수관으로 흘러가도록 하여 차집관을 통해 하수 처리장으로 하수를 이송되도록 한다. 하지만 이럴 경우, 하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뿐만 아니라 강우 시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우수 또한 오수관으로 흘러 들어가 차집관을 통해 하수 처리장으로 이송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의 수위가 높아져 고정식 월류턱을 넘어 하천수가 역류할 경우 오수관으로 하천수가 흘러 들어가 차집관을 통해 하수 처리장으로 이송되거나,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와 하천수가 뒤섞여 하천으로 유입되어 하천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1877408, 등록일자 2018년 07월 05일, '하수시설제어시스템 및 하수시설제어방법' 등록특허 10-1666499, 등록일자 2016년 10월 10일, '하수관거의 퇴적물 모니터링 시스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관과 방류구 사이에 형성되는 월류턱 및 수문을 제어하여 하천 또는 해양이 역류하여 하천수 또는 해수가 오수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안 도시 내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은 하수관(600)과 방류구(400) 사이의 벽면 측에 형성되어 하수관(600)으로부터 생활오수나 초기유수가 유입되면 차집관(500)으로 전달하여 하수 처리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오수관(300); 상기 오수관(300)의 입구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오수관(300)을 개폐시키는 수문(700); 하수관(600)의 출구로써 우수를 하천 또는 해양으로 배출하는 방류구(400); 하수관(600)과 방류구(400) 사이의 바닥에 형성되되 상기 오수관(300) 보다는 방류구(400) 측으로 형성되어 하천 또는 해양이 역류하여 하천수 또는 해수가 오수관(3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월류턱(200); 및 상기 오수관(300)으로 하천 또는 해양이 역류하여 하천수 또는 해수가 오수관(3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도록 상기 월류턱(200) 및 수문(700)을 제어하고 동력을 전달하는 제어장치(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월류턱(20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회전축(111)에 제1유압실린더(112)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부(110); 상기 수문(70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회전축(121)에 제2유압실린더(122)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부(120); 하수관(600)으로부터 유입되는 하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1수위센서(130); 방류구(400)로부터 유입되는 하천수 또는 해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2수위센서(140); 및 상기 제1수위센서(130) 및 제2수위센서(140)로부터 측정되는 수위값에 따라서 상기 월류턱(200) 및 수문(700)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50)는, 평상시에는 월류턱(200)을 일정부분만 개문 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문(700)을 개문하도록 제어하여 하수가 하천 또는 해양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상기 제2수위센서(140)로부터 측정되는 수위값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을 경우 상기 월류턱(200)을 제어하여 폐문상태로 만들어 하천 또는 해양이 역류하여 하천수 또는 해수가 오수관(3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50)는, 평상시에는 월류턱(200)을 일정부분만 개문 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문(700)을 개문하도록 제어하여 하수가 하천 또는 해양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강우 정보가 있고, 상기 제1수위센서(130)로부터 측정되는 수위값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을 경우 상기 수문(700)을 폐문하도록 제어하여 다량의 우수를 방수구(400)로 흘려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수위센서(130) 및 제2수위센서(140)로부터 측정되는 수위값을 메모리부(160)에 저장하고 통신부(180)를 통해 통제센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구동부(11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펌프; 월류턱(200)의 일측과 연결되어 수문(200) 개폐의 중심축으로서 동작하는 제1회전축(111); 및 로드를 통해 상기 제1회전축(111)과 연결되며 상기 제1회전축(111)으로 유압펌프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유압실린더(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구동부(12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펌프; 수문(700)의 일측과 연결되어 수문(700) 개폐의 중심축으로서 동작하는 제2회전축(121); 및 로드를 통해 상기 제2회전축(121)과 연결되며 상기 제2회전축(121)으로 유압펌프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유압실린더(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구동부(110) 및 제2구동부(120)의 제1유압실린더(112) 및 제2유압실린더(122)에 부착된 리미트 센서를 통해 피스톤의 동작을 감지하여 월류턱(200) 및 수문(700)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은 하수관과 방류구 사이에 형성되는 월류턱 및 수문을 제어하여 하천 또는 해양이 역류하여 하천수 또는 해수가 오수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하수시설에 관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압 실린더의 실시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월류턱 및 수문의 실시예1을 표현한 정면도와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월류턱 및 수문의 실시예2를 표현한 정면도와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예 따른 월류턱 및 수문의 실시예3을 표현한 정면도와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의 실시예시도1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의 실시예시도2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의 실시예시도3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만이 아니라, 다른 부분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여 어떤 부분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은 하수관(600)과 방류구(400) 사이의 벽면 측에 형성되어 하수관(600)으로부터 생활오수나 초기유수가 유입되면 차집관(500)으로 전달하여 하수 처리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오수관(300)과 상기 오수관(300)의 입구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오수관(300)을 개폐시키는 수문(700)과 하수관(600)의 출구로써 우수를 하천 또는 해양으로 배출하는 방류구(400)와 하수관(600)과 방류구(400) 사이의 바닥에 형성되되 상기 오수관(300) 보다는 방류구(400) 측으로 형성되어 하천 또는 해양이 역류하여 하천수 또는 해수가 오수관(3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월류턱(200) 및 상기 오수관(300)으로 하천 또는 해양이 역류하여 하천수 또는 해수가 오수관(3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도록 상기 월류턱(200) 및 수문(700)을 제어하고 동력을 전달하는 제어장치(10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00)는 일측(100a)에 완만한 경사각들 두어, 제어장치(100)가 하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하수의 흐름을 월류턱(200) 및 수문(700)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월류턱(20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회전축(111)에 제1유압실린더(112)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부(110)와 상기 수문(70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회전축(121)에 제2유압실린더(122)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부(120)와 하수관(600)으로부터 유입되는 하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1수위센서(130)와 방류구(400)로부터 유입되는 하천수 또는 해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2수위센서(140) 및 상기 제1수위센서(130) 및 제2수위센서(140)로부터 측정되는 수위값에 따라서 상기 월류턱(200) 및 수문(700)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또한 메모리부(160), 카메라부(170) 및 통신부(180)를 더 포함하여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수위센서(130) 및 제2수위센서(140)로부터 측정되는 수위값을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하고 상기 통신부(180)를 통해 통제센터로 전송하거나, 상기 카메라부(170)를 제어하여 하수관(600)의 상황을 촬영하여 상기 메모리부(160)에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통신부(18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통제센터로 전송한다.
상기 월류턱(200)은 평상시에는 일정부분만 개문 되어 있는 상태로 하수관(600)을 통해 유입되는 하수를 오수관(300)으로 흘려보낸다. 하지만 상기 월류턱(200)에 연결되는 제1회전축(111)에 유압펌프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어 폐문상태가 되었을 때는 하천 또는 해양이 역류하여 하천수 또는 해수가 오수관(3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수관(300)은 상기 하수관(600)을 통해 유입되는 하수를 차집관(500)으로 흘러가도록 하여 하수 처리장으로 보낸다.
상기 방류구(400)는 하천 또는 해양과 연결되는 관으로서, 정화가 불필요한 다량의 맑은 우수를 하천 또는 해양으로 배출하는 통로이다.
상기 수문(700)은 평상시에는 개문 되어 있는 상태로 하수관(600)을 통해 유입되는 하수를 오수관(300)으로 흘려보낸다. 하지만 강우 시에 상기 수문(700)에 연결되는 제2회전축(121)에 유압펌프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어 폐문상태가 되었을 때는 다량의 우수가 오수관(3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유압실린더 및 제2유압실린더의 실시예시도이다. 상기 제어장치(100)는 제1구동부(110) 및 제2구동부(120)를 포함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부(110) 및 제2구동부(120)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펌프와 상기 월류턱(200) 및 수문(700)의 일측과 연결되어 월류턱(200) 및 수문(700) 개폐의 중심축으로서 동작하는 제1회전축(111)과 제2회전축(121) 및 로드를 통해 상기 제1회전축(111) 및 제2회전축(121)과 연결되며 상기 제1회전축(111) 및 제2회전축(121)으로 유압펌프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유압실린더(112) 및 제2유압실린더(122)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유압실린더(112) 및 제2유압실린더(122)는 제1실린더(112a) 및 제2실린더(122a)와 제1피스톤(112b) 및 제2피스톤(122b)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피스톤(112b) 및 제2피스톤(122b)은 A지점과 B지점에 자석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실린더(112a) 및 제2실린더(122a)는 a지점과 b지점에 리미트 센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통제센터 또는 제어부(150)는 상기 리미트 센서를 통해 상기 제1피스톤(112b) 및 제2피스톤(122b)의 동작을 감지한다. 즉, 상기 제1피스톤(112b) 및 제2피스톤(122b)에 구비된 자석들(A지점과 B지점)을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월류턱(200) 및 수문(700)의 개폐상태를 인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월류턱 및 수문의 실시예1을 표현한 정면도와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월류턱 및 수문의 실시예2를 표현한 정면도와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예 따른 월류턱 및 수문의 실시예3을 표현한 정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의 실시예시도1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의 실시예시도2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의 실시예시도3이다.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류턱(200)을 구동하는 제1구동부(11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펌프와, 상기 월류턱(200)의 일측과 연결되어 수문 개폐의 지지대로서의 역할을 하는 지지부(113)와, 상기 유압펌프의 구동력을 상기 제1회전축(111)에 전달하는 제1유압실린더(112)로 구성되고, 수문(700)을 구동하는 제2구동부(12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펌프와, 상기 수문(700)의 일측과 연결되어 수문 개폐의 지지대로서의 역할을 하는 지지부(123)와, 상기 유압펌프의 구동력을 상기 제2회전축에 전달하는 제2유압실린더(122)로 구성된다. 상기 제1유압실린더(112) 및 제2유압실린더(122)의 동작 메커니즘은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도 5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50)는 평상시에는 상기 월류턱(200)을 일정부분만 개문 되어 있는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수문(700)을 개문하도록 제어하여 하수관(600)을 통해 유입되는 하수를 오수관(300)으로 흘려보낸다.
하지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2수위센서(140)가 측정하는 수위값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을 경우에는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상기 제1유압실린더(112)를 통해서 제1회전축(111)으로 전달하여 상기 제1회전축(111)과 일측이 연결되는 상기 월류턱(200)을 폐문상태가 되도록 제어하여, 하천 또는 해양의 하천수 또는 해수가 역류하여 상기 오수관(3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에 상기 제2수위센서(140)가 측정하는 수위값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낮아질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50)는 다시 상기 월류턱(200)을 평상시 상태처럼 일정부분만 개문 되어 있는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통제센터로부터 강우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제1수위센서(130)가 측정하는 수위값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을 경우에는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상기 제2유압실린더(122)를 통해서 제2회전축(121)으로 전달하여 상기 제2회전축(121)과 일측이 연결되는 상기 수문(700)을 폐문상태가 되도록 제어하여, 강우 시 정화할 필요가 없는 다량의 우수를 상기 방류구(400)를 통해서 하천 또는 해양으로 방류하여, 우수가 상기 오수관(3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에 상기 통제센터로부터 강우가 멈췄다는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제1수위센서(130)가 측정하는 수위값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낮아질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50)는 다시 상기 수문(700)을 평상시 상태처럼 개문 되어 있는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은, 제1수위센서(130) 또는 제2수위센서(140)가 수집하는 수위값에 따라 제어장치(100)의 제어부(150)가 제1구동부(110) 및 제2구동부(120)를 통해 상기 월류턱(200) 및 수문(700)을 제어하여, 하천 또는 해양의 수위가 높아져 하천수 또는 해수가 월류턱(200)을 넘어 역류하여 상기 오수관(3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강우 시에는 정화할 필요가 없는 우수가 상기 오수관(3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 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제어장치
110 : 제1구동부
111 : 제1회전축
112 : 제1유압실린더
120 : 제2구동부
121 : 제2회전축
122 : 제2유압실린더
130 : 제1수위센서
140 : 제2수위센서
150 : 제어부
160 : 메모리부
170 : 카메라부
180 : 통신부
200 : 월류턱
300 : 오수관
400 : 방류구
500 : 차집관
600 : 하수관
700 : 수문

Claims (8)

  1.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하수관(600)과 방류구(400) 사이의 벽면 측에 형성되어 하수관(600)으로부터 생활오수나 초기유수가 유입되면 차집관(500)으로 전달하여 하수 처리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오수관(300);
    상기 오수관(300)의 입구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오수관(300)을 개폐시키는 수문(700);
    하수관(600)의 출구로써 우수를 하천 또는 해양으로 배출하는 방류구(400);
    하수관(600)과 방류구(400) 사이의 바닥에 형성되되 상기 오수관(300) 보다는 방류구(400) 측으로 형성되어 하천 또는 해양이 역류하여 하천수 또는 해수가 오수관(3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월류턱(200); 및
    상기 오수관(300)으로 하천 또는 해양이 역류하여 하천수 또는 해수가 오수관(3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도록 상기 월류턱(200) 및 수문(700)을 제어하고 동력을 전달하는 제어장치(100);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월류턱(20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회전축(111)에 제1유압실린더(112)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부(110);
    상기 수문(70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회전축(121)에 제2유압실린더(122)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부(120);
    하수관(600)으로부터 유입되는 하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1수위센서(130);
    방류구(400)로부터 유입되는 하천수 또는 해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2수위센서(140); 및
    상기 제1수위센서(130) 및 제2수위센서(140)로부터 측정되는 수위값에 따라서 상기 월류턱(200) 및 수문(700)을 제어하는 제어부(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평상시에는 월류턱(200)을 일정부분만 개문 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문(700)을 개문하도록 제어하여 하수가 하천 또는 해양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상기 제2수위센서(140)로부터 측정되는 수위값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을 경우 상기 월류턱(200)을 제어하여 폐문상태로 만들어 하천 또는 해양이 역류하여 하천수 또는 해수가 오수관(3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평상시에는 월류턱(200)을 일정부분만 개문 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문(700)을 개문하도록 제어하여 하수가 하천 또는 해양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강우 정보가 있고, 상기 제1수위센서(130)로부터 측정되는 수위값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을 경우 상기 수문(700)을 폐문하도록 제어하여 다량의 우수를 방수구(400)로 흘려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수위센서(130) 및 제2수위센서(140)로부터 측정되는 수위값을 메모리부(160)에 저장하고 통신부(180)를 통해 통제센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11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펌프;
    월류턱(200)의 일측과 연결되어 수문(200) 개폐의 중심축으로서 동작하는 제1회전축(111); 및
    로드를 통해 상기 제1회전축(111)과 연결되며 상기 제1회전축(111)으로 유압펌프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유압실린더(1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12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펌프;
    수문(700)의 일측과 연결되어 수문(700) 개폐의 중심축으로서 동작하는 제2회전축(121); 및
    로드를 통해 상기 제2회전축(121)과 연결되며 상기 제2회전축(121)으로 유압펌프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유압실린더(1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구동부(110) 및 제2구동부(120)의 제1유압실린더(112) 및 제2유압실린더(122)에 부착된 리미트 센서를 통해 피스톤의 동작을 감지하여 월류턱(200) 및 수문(700)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
KR1020180173428A 2018-12-31 2018-12-31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 KR101994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428A KR101994814B1 (ko) 2018-12-31 2018-12-31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428A KR101994814B1 (ko) 2018-12-31 2018-12-31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814B1 true KR101994814B1 (ko) 2019-07-01

Family

ID=67255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428A KR101994814B1 (ko) 2018-12-31 2018-12-31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8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611B1 (ko) * 2022-12-15 2023-06-13 주식회사 아이티엠건축사사무소 배수관 수위센서 제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707B1 (ko) * 2011-03-23 2011-07-20 (주)한국융합아이티 유압식 수문을 이용한 초기우수 제어 시스템
KR101656666B1 (ko) * 2015-12-18 2016-09-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 및 우수 처리 방법
KR101666499B1 (ko) 2016-06-17 2016-10-14 (주)단엔지니어링 하수관거의 퇴적물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77408B1 (ko) 2017-09-12 2018-07-11 김창영 하수시설제어시스템 및 하수시설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707B1 (ko) * 2011-03-23 2011-07-20 (주)한국융합아이티 유압식 수문을 이용한 초기우수 제어 시스템
KR101656666B1 (ko) * 2015-12-18 2016-09-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 및 우수 처리 방법
KR101666499B1 (ko) 2016-06-17 2016-10-14 (주)단엔지니어링 하수관거의 퇴적물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77408B1 (ko) 2017-09-12 2018-07-11 김창영 하수시설제어시스템 및 하수시설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611B1 (ko) * 2022-12-15 2023-06-13 주식회사 아이티엠건축사사무소 배수관 수위센서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707B1 (ko) 유압식 수문을 이용한 초기우수 제어 시스템
KR101553770B1 (ko) 하수관거 통합 제어시스템
US20090314351A1 (en) Persuasive environmental recovery system
US20050072465A1 (en) Wastewater control system
CN108166602A (zh) 自调节优化安全排放污水雨水系统及其使用方法
KR20070101691A (ko) 우수토실용 맨홀의 우수차단장치
KR101994814B1 (ko) 해안 도시 및 저지대의 하수관거 내 해수 및 하천수의 가동형 역류 방지 시스템
KR100447049B1 (ko) 우수토실 제어 시스템
KR101887530B1 (ko) 우·오수 분리불가 가옥을 위한 우·오수 자동분리장치
US20050072469A1 (en) Wastewater source control system
EP2781666B1 (en) A method for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CN209854868U (zh) 一种包括初雨管的截污调蓄系统
KR100672275B1 (ko) 공동주택 단지내 하수처리용 우수토실
JP4358101B2 (ja) 下水流入水の水質予測方法及び雨水排水支援システム
CN207760985U (zh) 一种带液动下开式堰门和泵排的排水系统
KR102006226B1 (ko) 포털 공공 데이터를 활용한 하수시설 계측제어 시스템
KR20150088962A (ko) 우수토실의 토사유입방지 및 유량조절장치
KR102153821B1 (ko) 웨어식 우수토실장치
KR200427611Y1 (ko) 자동비를 갖는 상하수도용 수문장치
JP4205511B2 (ja) 建物側汚水平準化装置
KR200334419Y1 (ko) 우수토실 제어 시스템
CN213709814U (zh) 污水处理系统的截流井
EP08914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aline infiltration in coastal sewerage systems
CN215906940U (zh) 一种防堵塞的市政排水管道
US3366339A (en) Converted sew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