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605B1 - A composition for diagnosing Alzheimer's disease - Google Patents

A composition for diagnosing Alzheimer's dise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605B1
KR101994605B1 KR1020190038018A KR20190038018A KR101994605B1 KR 101994605 B1 KR101994605 B1 KR 101994605B1 KR 1020190038018 A KR1020190038018 A KR 1020190038018A KR 20190038018 A KR20190038018 A KR 20190038018A KR 101994605 B1 KR101994605 B1 KR 101994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zheimer
disease
analysis
reactivity
fragranc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0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38784A (en
Inventor
유승준
문제일
손고운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038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605B1/en
Publication of KR20190038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7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6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sensory system
    • A61B5/4011Evaluating olfaction, i.e. sense of sme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by organolep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3Composite materials
    • G01N2033/0003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츠하이머 질환 발병 개체의 후각적 인지수준이 저하되는 향기물질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 질환 진단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 질환 진단용 키트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알츠하이머 질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알츠하이머 질환 진단용 조성물을 이용하면, 종래의 알츠하이머 질환 후각 진단에 사용되는 향기물질의 종류를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인 알츠하이머 질환의 진단 및 치료방법의 개발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diagnosing Alzheimer's disease including a fragrance material in which the olfactory cognitive level of a subject suffering from Alzheimer's disease is reduced, a kit for diagnosing Alzheimer's disease comprising the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using the composition . The use of the composition for diagnosing Alzheimer's diseas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roaden the kinds of fragrance substances used in the conventional olfactory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and thus can be widely used for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diagnosis and treatment methods of Alzheimer's disease.

Description

알츠하이머 질환 진단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diagnosing Alzheimer's diseas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diagnosing Alzheimer's disease,

본 발명은 알츠하이머 질환 진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알츠하이머 질환 발병 개체의 후각적 인지수준이 저하되는 향기물질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 질환 진단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 질환 진단용 키트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알츠하이머 질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diagnosing Alzheimer's disease, which comprises a fragrance material in which the olfactory cognitive level of a subject suffering from Alzheimer's disease is lowered, a kit for diagnosing Alzheimer's disease comprising the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using the composition.

전 세계적으로 평균수명이 늘어나고 노인 인구가 증가하는 고령화 사회로 되면서 알츠하이머 질환으로 대표되는 노인성 치매, 뇌졸중 또는 파킨슨병과 같은 뇌신경 질환의 발병률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보건사회연구원 조사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노인 인구는 2000년에 7%를 넘어 고령사회에 진입한 이래 2003년 397만 명으로 노인 인구의 비율이 8.3%에 이르렀고 2019년에는 14.4%에 이르러 완전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As the age of the world increases and the elderly population increases, the incidence of cranial diseases such as senile dementia, stroke or Parkinson's disease, which is represented by Alzheimer's disease, is greatly increasing. According to statistics of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elderly population of Korea has exceeded 7% in 2000 and entered the aging society in 2003.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reached 3.97% in 2003, reaching 8.3% in 2003. In 2019, 14.4% Of the total population.

상기 뇌신경 질환들은 특정 뇌세포의 사멸 또는 퇴화가 일시적 또는 오랜 기간에 걸쳐 진행하는 것이 특징인데, 한번 죽은 뇌세포는 재생이 되지 않기 때문에 결국 치명적인 뇌기능의 손실로 이어진다. 특히, 인지기능, 감각기능, 운동기능, 전신기능의 진행성 저하를 수반하는 뇌기능 부전은 결국 성격과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고, 환자들이 스스로 자신을 돌볼 수 없는 지경에 이르게 한다. The neurological disease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ath or degeneration of a specific brain cell progresses temporarily or for a long period of time. Once dead brain cells are not regenerated, they eventually lead to a loss of fatal brain function. In particular, brain dysfunction accompanied by cognitive function, sensory function, motor function, and progressive decline of systemic function eventually leads to changes in personality and behavior, leading to a situation where patients can not take care of themselves.

특히, 뇌신경 질환 중 하나인 알츠하이머 질환은 신경세포의 퇴화 및 이로 인한 인지, 기억능력의 상실을 가져오는 대표적인 퇴행성 뇌질환으로, 오래 지속될 경우 여타 합병증으로 사망에 이르게 된다. In particular, Alzheimer's disease, a neurodegenerative disease, is a typical degenerative brain disease that causes loss of neuronal cell degeneration and cognitive memory, resulting in death due to other complications.

최근 알츠하이머 질환이 급속하게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조기진단, 예방 및 치료에 대한 필요성이 시급한 실정이나, 현재까지 알츠하이머 질환의 진단은 신경심리학적인 검사(예를 들어, Short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또는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나 기능성 MRI 촬영과 같은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되는 방법들만이 가능하였다.Recently, the need for early diagnosis, prevention and treatment is urgent in the recent trend of rapid increase of Alzheimer's disease. However, to date,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has been made by neuropsychological tests (for example, Short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 Or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or functional MRI scans.

예를 들어, 기존의 알츠하이머 질환 진단 방법으로, 고해상도 뇌영상 촬영장치를 이용한 뇌영상 촬영 기법이 있다. 뇌영상 촬영기법을 통하여 알츠하이머 질환의 조기 진단방법은 알츠하이머 질환 의심환자를 대상으로 뇌 촬영을 통해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이상축적 정도를 측정하고 환자들의 사후 뇌조직 검시 결과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수행하고 있으나, 이러한 영상기반 진단방법은 환자에게 고비용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이미 뇌수축 또는 손상이 진행된 상태에서 판별이 이루어지므로 병의 탐지가 늦게 된다. For example, there is a brain imaging method using a high-resolution brain imaging apparatus as a conventional diagnosis method of Alzheimer's disease. The method of early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by means of brain imaging is performed by comparing brain amputation results of patients with suspected Alzheimer's disease by measuring the degree of accumulation of beta amyloid protein in brain imaging , This image-based diagnostic method not only requires a high cost to the patient, but also the detection of the disease is delayed because the discrimination is made in the state where the brain contraction or damage has already proceeded.

또 다른 대표적 진단 방법으로는 척수액을 진단하는 것으로서 뇌척수 내의 알츠하이머 질환의 주요 유발물질로 알려진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양의 변화를 측정한다. 하지만 뇌척수 검사방법 자체가 환자에게는 너무나 고통스러운 방법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검사시 위험성이 동반된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Another representative diagnostic method is to diagnose spinal fluid and measure the amount of beta amyloid protein, which is known to be a major contributor to Alzheimer's disease in cerebrospinal fluid. However, the CSF method itself is known to be too painful for the patient, and it is pointed out as a disadvantage that the risk is accompanied by the examination.

그 외 알츠하이머 질환의 진단을 위한 다른 방법으로, 인산화된 tau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 신경아교원섬유 산성 단백질(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항체를 검출하는 방법 등의 생화학적 방법들이 제안되었으나, 진단의 간편성과 정확도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4,666,829호; 국제공개특허 제89/06242호; 미국등록특허 제 5,231,000호 등). As other methods for diagnosing Alzheimer's disease, biochemical methods such as a method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hosphorylated tau protein and a method of detecting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bodies have been proposed (US Patent No. 4,666,829;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No. 89/06242; US Patent No. 5,231,000), and the like.

더불어, 이와 같은 알츠하이머 질환과 같은 퇴행성 뇌 질환에서 감각기의 기능이 떨어진다는 연구가 대두되고 있으며, 알츠하이머 환자의 후각계에서 해당 질환임을 나타내는 병변이 관찰되었다. 또한 후각기능의 이상이 환자의 질환 진행단계 중 비교적 이른 시기에 발생되며 이 시기는 뇌신경 손실과 기능 이상이 발생하기 이전인 단계를 뜻한다. 상기 결과를 통해 후각계가 퇴행성 뇌 질환으로부터 취약하며 중추신경계 내 증상을 미리 예측, 진단하기에 용이한 것으로 제안되었다.In addition,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deterioration of sensory function in degenerative brain diseases such as Alzheimer's disease, and lesions showing the disease have been observed in the posterior circulation of Alzheimer's patients. In addition, the olfactory function abnormality occurs in a relatively early stage of the disease progression of the patient, which means a stage before the loss of cranial nerve and dysfun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osterior system is vulnerable to degenerative brain disease and is easy to predict and diagnose the symptom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퇴행성 뇌 질환 환자를 위한 후각 진단 테스트는 이미 상당수 제작 및 사용 중이며 그 방법은 대개 냄새에 대한 감지, 구별, 인지 및 기억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지는지를 통해 평가된다. 그 중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의 UPSIT(University of Pennsylvania Smell Idendification Test)은 50만 이상의 환자에게 적용되고 있다. 흥미로운 사실은 땅콩버터가 알츠하이머 환자들이 공통적으로 냄새 인식에 어려움을 표한다는 점이 보고됨에 따라, 알츠하이머 질환을 진단하기 위하여 땅콩버터 시험방법이 환자의 후각 능력 측정에 사용된다는 점이다(The test was originally reported in Oct, 2013 by researchers from the University of Florida’s Mcknight Brain Insititute). 그러나, 어떠한 이유로 땅콩버터에 대한 냄새 인식 능력이 환자 군에서 정상인과 다른 패턴을 보이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고, 땅콩에 대한 알러지 반응을 나타내는 환자에게는 상기 시험방법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심화연구를 위하여, 알츠하이머 환자 특이적으로 냄새에 대한 후각적 감지를 할 수 없는 향기물질에 대한 추가적 발굴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Many olfactory diagnostic tests for degenerative brain disease patients are already in production and use, and the method is usually assessed through detection of odor, discrimination, recognition and memory.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Smell Idendification Test (UPSIT) at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in the United States has been applied to more than 500,000 patients. Interestingly, as peanut butter has been reported to be a common problem in Alzheimer's patients, the peanut butter test is used to assess the patient's olfactory ability to diagnose Alzheimer's disease (The test was originally reported in Oct, 2013 by researchers from the University of Florida's Mcknight Brain Insititute). However, it is not known whether or not the ability of the peanut butter to recognize the smell of peanut butter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normal person in the patient group, and since the above test method can not be used for the patient exhibiting an allergic reaction to peanuts, , There is a desperate need to find additional fragrance materials that can not sense the odor of the odor of Alzheimer patients.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알츠하이머 환자가 후각적으로 인지할 수 없는 향기물질을 발굴하고자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헵타날, 헵타노익산 및 알릴 페닐아세테이트에 대한 후각적 인지수준이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에서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the olfactory cognitive level for heptanal, heptanoic acid, and allylphenylacetate i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Alzheimer's animal model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알츠하이머 질환 발병 개체의 후각적 인지수준이 저하되는 향기물질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 질환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diagnosing Alzheimer's disease that contains a fragrance material in which the olfactory cognitive level of a subject suffering from Alzheimer's disease is lower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 질환 진단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it for diagnosing Alzheimer's disease comprising the above composi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알츠하이머 질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using the composition.

본 발명자들은 알츠하이머 환자가 후각적으로 인지할 수 없는 향기물질을 발굴하고자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마우스가 후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다양한 향기물질 중에서, 상기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가 후각적으로 인지하지 못하거나 또는 인지하는 수준이 저하되는 향기 물질을 발굴하고자, 연구를 수행한 결과, 헵타날, 헵타노익산 및 알릴 페닐아세테이트에 대한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의 후각적 인지수준이 현저히 저하됨을 확인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used Alzheimer's animal model mice to find fragrance substances that Alzheimer's patients could not perceive smell. In general, among the various fragrance substances that can be perceived by the mouse, the Alzheimer's animal model mouse has been studied to find a fragrance material which is not perceived or perceived to be olfactory. As a resul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olfactory cognitive level of Alzheimer's animal model mice against tamal, heptanoic acid, and allylphenylacetate is significantly reduced.

따라서, 상기 헵타날, 헵타노익산 및 알릴 페닐아세테이트는 알츠하이머 질환의 발병여부 진단은 물론 알츠하이머 질환의 발병원인 연구에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헵타날, 헵타노익산 및 알릴 페닐아세테이트가 알츠하이머 질환의 발병여부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은 지금까지 전혀 알려져 있지 않고, 본 발명자에 의하여 최초로 규명되었다.Therefor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heptanal, heptanoic acid, and allylphenylacetate can be used not only for diagnosing the onset of Alzheimer's disease but also for studying the cause of Alzheimer's disease. The fact that heptanal, heptanoic acid, and allylphenylacetate can be used for the onset of Alzheimer's disease has not been known at all and has been identified for the first time by the present inventor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양태로서, 본 발명은 헵타날(heptanal, heptanaldehyde), 알릴 페닐아세테이트(allyl phenylacetate), 헵타노익산(heptanoic acid)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향기물질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 질환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rfum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eptanal, heptanaldehyde, allyl phenylacetate, heptanoic acid, and combinations thereof. A composition for diagnosing Alzheimer's disease.

본 발명의 용어 "헵타날(heptanal, heptanaldehyde)이란, CH3(CH2)5CHO의 구조식으로 표시되고, 114.19의 분자량을 갖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The term "heptanal, heptanaldehyde "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structural formula of CH 3 (CH 2 ) 5 CHO and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114.19,

Figure 112019033415853-pat00001
Figure 112019033415853-pat00001

본 발명의 용어 "알릴 페닐아세테이트(allyl phenylacetate)란, C6H5CH2CO2CH2CH=CH2의 구조식으로 표시되고, 176.21의 분자량을 갖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Is represented by the term "allyl phenylacetate (allyl phenylacetate) is, the structural formula of C 6 H 5 CH 2 CO 2 CH 2 CH = CH 2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olecular weight of 176.21 means that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2).

Figure 112019033415853-pat00002
Figure 112019033415853-pat00002

본 발명의 용어 "헵타노익산(heptanoic acid)"이란, CH3(CH2)5COOH의 구조식으로 표시되고, 130.19의 분자량을 갖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The term "heptanoic acid"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structural formula of CH 3 (CH 2 ) 5 COOH and having the molecular weight of 130.19,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3).

Figure 112019033415853-pat00003
Figure 112019033415853-pat00003

본 발명의 용어 "알츠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이란, 독일의 알츠하이머 박사에 의하여 최초로 보고된, 치매를 유발하는 가장 일반적인 퇴행성 뇌질환을 의미한다. 상기 알츠하이머 질환이 진행됨에 따라 기억력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인지기능이 점진적으로 약화된다고 알려져 있다.The term "Alzheimer's disease "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most common degenerative brain disease caused by dementia, which was first reported by Dr. Alzheimer's in Germany. As the Alzheimer's disease progresses, it is known that the overall cognitive function including memory is progressively weake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상 마우스,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 및 V자 형태의 시험미로를 사용하여 다양한 향기물질에 대한,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의 후각적 인지수준을 측정한 결과,라이랄과 옥타놀은 정상 마우스에 비하여,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의 접촉시간이 감소되기는 하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고, 헵타날, 헵타노익산 및 알릴 페닐아세테이트는 정상 마우스에 비하여,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의 접촉시간이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하였다(도 3a 내지 3e).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lfactory cognitive level of Alzheimer's animal model mouse for various fragrance materials was measured using a normal mouse, an Alzheimer's animal model mouse and a V-shaped test labyrinth, Although the contact time of the Alzheimer's animal model mouse was reduced compared to that of the normal mouse,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the contact time of the Alzheimer's animal model mous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mice (Figs. 3A to 3E).

다른 실시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 질환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it for diagnosing Alzheimer's disease comprising the composition.

본 발명의 키트는 알츠하이머 질환의 발병이 의심되는 개체를 대상으로 향기물질에 대한 후각적 인지수준을 측정함으로써, 알츠하이머 질환의 발병여부를 진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데,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후각적 인지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향기물질 뿐만 아니라 분석 방법에 적합한 한 종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 성분 조성물, 용액 또는 장치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향기물질로 표지된 매체, 대조군으로 사용될 향기물질로 표지된 매체, 후각적 인지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인덱스, 향기물질에 대한 인지수준을 초기화 할 수 있는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diagnose the onset of Alzheimer's disease by measuring the olfactory cognitive level of a fragrance substance in a subject suspected of developing Alzheimer's disease, One or more other component compositions, solutions or devices suitable for the analytical method may be included as well as fragrance materials for measuring the level. As an example, a medium labeled with a perfume material, a medium labeled with a perfume material to be used as a control, an index capable of evaluating the olfactory cognitive level, means of initializing the cognitive level of the perfume material, and the like.

일 예로서, 본 발명의 키트는 여과지에 각 향기물질을 흡수시킨 형태의 시험용지를 포함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키트는 동일한 향기물질을 서로 다른 농도로 흡수시킨 각각의 여과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여과지를 사용하여 각 향기물질을 후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지의 여부 뿐만 아니라 상기 향기물질의 후각적 인지수준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키트는 외부 환경으로의 확산을 통해, 각 여과지에 흡수시킨 향기물질이 손실됨으로써, 각 향기물질의 후각적 인지수준의 측정에 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 시험용지를 비닐 등의 밀폐용지로 포장하여 외기와의 접촉을 차단시키고, 사용직전에 상기 밀폐용지를 개봉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a form including a test paper in the form of absorbing each fragrance material in a filter paper. At this time, the kit includes respective filter paper that absorbs the same fragrance material at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each fragrance material can be perceived by using the respective filter paper,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it so as to be able to measure the level.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errors in the measurement of the olfactory recognition level of each fragrance material due to the loss of the fragrance substances absorbed by the respective filter paper through diffusion into the external environment, Or the like so as to block the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and the sealed paper can be opened and used immediately before use.

한편, 상기 키트에 포함된 시험용지에 흡수시킨 향기물질의 농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서, 향기물질의 원액을 약 1,000배 부피 내지 1,000,000배 부피로 희석시킨 농도가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centration of the perfume material absorbed on the test paper included in the k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a concentration of the perfume material diluted to about 1,000 times to 1,000,000 times the volume.

또 다른 실시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알츠하이머 질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using the composition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알츠하이머 질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헵타날(heptanal, heptanaldehyde), 알릴 페닐아세테이트(allyl phenylacetate), 헵타노익산(Heptanoic acid)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향기물질에 대한, 알츠하이머 질환 발병이 의심되는 개체의 반응성을 검출 또는 정량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diagnosing Alzheimer's dise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eptanal, heptanaldehyde, allyl phenylacetate, heptanoic acid,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detecting or quantitatively analyzing the reactivity of the fragrant material to the subject suspected of developing Alzheimer's disease.

본 발명의 용어 "개체의 반응성"이란, 향기물질을 개체가 후각적으로 인지하는지의 여부 또는 상기 향기물질에 대한 개체의 인지수준을 의미한다. The term "reactivity of an individual "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whether or not the individual perceives the fragrance substance in a smell or the perceived level of the individual to the fragrance substance.

상기 방법은 상기 반응성을 검출 또는 정량분석하여 수득한 결과를 상기 알츠하이머 질환 진단과 연관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correlating the result obtained by detecting or quantitatively analyzing the reactivity with the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일 예로서, 상기 반응성 결과를 알츠하이머 질환 진단과 연관시키는 단계는 상기 향기물질을 후각적으로 인지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향기물질을 후각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알츠하이머 질환이 발병된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tep of correlating the reactive results with the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may be performed by ascertaining whether or not the fragrance material is olfactory. That is, when the fragrance material is not perceived smell, it can be diagnosed that the Alzheimer's disease has developed.

다른 예로서, 상기 반응성 결과를 알츠하이머 질환 진단과 연관시키는 단계는 정상 개체와 알츠하이머 질환 발병이 의심되는 개체의 반응성을 비교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정상 개체가 나타내는 반응성에 비하여, 알츠하이머 질환 발병이 의심되는 개체의 반응성이 낮은 수준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알츠하이머 질환 발병이 의심되는 개체에서 알츠하이머 질환이 발병된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tep of associating the reactive result with the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can be performed by comparing the reactivity of a normal individual with a suspected Alzheimer's disease susceptible individual. That is, when the reactivity of a subject suspected of developing Alzheimer's disease is low compared with the reactivity represented by a normal subject, it can be diagnosed that Alzheimer's disease is developed in a subject suspected of developing the Alzheimer's disease.

이때, 정상 개체의 반응성 대비 알츠하이머 질환이 발병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는 반응성의 수준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서, 80% 이하가 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77% 이하가 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서, 27 내지 77%가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vel of reactivity that can be determined to be the onset of Alzheimer's disease as compared with the reactivity of normal individual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80% or less, for example, 77% or less , And as another example, 27 to 77%.

또 다른 예로서, 상기 반응성 결과를 알츠하이머 질환 진단과 연관시키는 단계는 상기 향기물질의 후각적인 인지수준을 정량분석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향기물질을 후각적으로 인지하지만, 그의 인지수준이 정상 개체와 구별되는지의 판정이 어려운 경우에는, 상기 3가지 향기물질에 대한 각각의 후각적 인지수준에 대한 정량분석을 수행한 후, 이로부터 얻어진 결과를 조합하여 분석함으로써, 알츠하이머 질환의 발병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tep of correlating the reactive results with the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can be performed by quantitatively analyzing the olfactory cognitive level of the fragrance material. That is, if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he perfume material is olfactory, and whether its cognitive level is distinguishable from a normal individual, quantitative analysis of each olfactory cognitive level of the three perfume materials is performed, By analyzing the results obtained by combining the results, it is possible to diagnose the onset of Alzheimer's disease.

상기 정량분석 방법으로는 당업계에 알려진 모든 분석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향기 시험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As the above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all analytical methods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As a representative method, a perfume test method can be used.

대략적으로, 상기 향기 시험방법은 정상개체와 알츠하이머 질환의 발병이 의심되는 개체를 대상으로, 상기 향기물질에 대한 후각적 인지시간을 비교하는 방법으로서, 정상개체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후각적 인지시간이 확인될 경우, 알츠하이머 질환이 발병된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정상 마우스와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를 V자 형태의 시험미로에 넣고, 상기 향기물질에 후각적으로 접촉한 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In general, the above-mentioned perfume test method is a method of comparing the olfactory recognition time of the fragrant substance to the normal individuals and the individuals susceptible to the onset of Alzheimer's disease, wherein the olfactory If the time of onset is confirmed, it can be diagnosed that Alzheimer's disease has developed. For examp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rmal mouse and an animal model mouse of Alzheimer's disease were placed in a V-shaped test labyrinth, and the time of the olfactory contact with the perfume was measured and compared.

또한, 상기 3가지 향기물질에 대한 각각의 정량분석 결과를 조합하여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통상적인 통계분석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될 수 있는 통계분석방법은 향기물질에 대한 후각적 인지수준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서, 선형 또는 비선형 회귀 분석방법; 선행 또는 비선형 classification 분석방법; ANOVA; 신경망 분석방법; 유전적 분석방법; 서포트 벡터 머신 분석방법; 계층 분석 또는 클러스터링 분석방법; 결정 트리를 이용한 계층 알고리즘, 또는 Kernel principal components 분석방법; Markov Blanket 분석방법; recursive feature elimination 또는 엔트로피-기본 recursive feature elimination 분석방법; 전방 floating search 또는 후방 floating search 분석방법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As a method of analyzing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of each of the above three fragrance materials, a conventional statistical analysis method can be used.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that can be used at this tim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change of the olfactory cognitive level to the fragrance material can be confirmed. For example, a linear or nonlinear regression method; Pre - or non - linear classification methods; ANOVA; Neural network analysis method; Genetic analysis method; Support vector machine analysis method; Hierarchical analysis or clustering analysis methods; A hierarchical algorithm using a decision tree, or a kernel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method; Markov Blanket analysis method; recursive feature elimination or entropy - basic recursive feature elimination analysis method; A forward floating search or a back floating search analysis method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또한, 상기 정량분석 결과의 조합은 상기 통계방법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 may be performed using a computer algorithm capable of automatically performing the statistical method.

본 발명의 알츠하이머 질환 진단용 조성물을 이용하면, 종래의 알츠하이머 질환 후각 진단에 사용되는 향기물질의 종류를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인 알츠하이머 질환의 진단 및 치료방법의 개발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use of the composition for diagnosing Alzheimer's diseas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roaden the kinds of fragrance substances used in the conventional olfactory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and thus can be widely used for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diagnosis and treatment methods of Alzheimer's disease.

도 1은 6월령의 정상 마우스(WT)와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Tg)의 후각상피조직에 포함된 Aβ 올리고머의 수준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향기 시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작된 시험미로의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a는 라이랄로 표지된 여과지에 접촉한 정상 마우스 또는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의 접촉시간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b는 옥타놀로 표지된 여과지에 접촉한 정상 마우스 또는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의 접촉시간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c는 헵타날로 표지된 여과지에 접촉한 정상 마우스 또는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의 접촉시간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d는 헵타노익산으로 표지된 여과지에 접촉한 정상 마우스 또는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의 접촉시간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e는 알릴 페닐아세테이트로 표지된 여과지에 접촉한 정상 마우스 또는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의 접촉시간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FIG. 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levels of Aβ oligomers contained in the olfactory epithelium of a normal mouse (WT) at 6 months of age and an Alzheimer's animal model mouse (Tg).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hape of a test labyrinth fabricated to perform the perfume test. Fig.
FIG. 3A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son of contact times of normal mouse or Alzheimer's animal model mouse in contact with filter paper labeled with lauryl.
FIG. 3B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contact times of normal mouse or Alzheimer's animal model mouse in contact with octanol-labeled filter paper. FIG.
3C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contact times of normal mouse or Alzheimer's animal model mice in contact with heptanal-labeled filter paper.
FIG. 3D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son of contact times of normal mouse or Alzheimer's animal model mouse in contact with a filter paper labeled with heptanoic acid.
FIG. 3E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contact times of normal mouse or Alzheimer's animal model mice in contact with filter paper labeled with allylphenylacetate. FIG.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Example 1: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에서의 베타 아밀로이드 올리고머의 증가 확인 1: Identification of increased beta amyloid oligomer in Alzheimer's animal model

월령 6개월인 정상 마우스 및 한배에서 얻어진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 각각에 대하여, 베타 아밀로이드 올리고머의 발현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후각 상피에서의 베타 아밀로이드(Aβ) 올리고머에 대한 면역분석화학(immunochemistry)을 수행하였다. 수컷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정상 및 알츠하이머 질환 마우스 모델 각각 7마리씩 사용하였다.Immunoassay for beta amyloid (A [beta]) oligomers in the olfactory epithelium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level of expression of beta amyloid oligomers in each of 6 month-old normal mice and Alzheimer's animal model mice obtained in one time. Male mice were used, and seven mice each of normal and Alzheimer's disease mouse models were used.

면역분석화학(immunochemistry) 수행을 위하여, 상기 각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후각 상피 조직을 파라핀을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 얇게 절편으로 자르고 파라핀 제거 및 재수화반응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편에 자일렌(xylene)을 3분씩 2번 가한 후, 자일렌과 100% 에탄올이 1:1로 혼합된 용액을 3분 동안 가하였다. 이후 100%, 95%, 70% 및 50% 에탄올을 순차적으로 각각 3분씩 절편에 가한 후 차가운 물로 헹구었다.In order to perform immunochemistry, olfactory epithelium isolated from each mouse was fixed with paraffin, cut into thin sections, and paraffin removal and rehydration were performed. Specifically, xylene was added to the section twice for 3 minutes, and then a solution in which xylene and 100% ethanol were mixed at a ratio of 1: 1 was added for 3 minutes. Then, 100%, 95%, 70% and 50% ethanol were sequentially added to the sections for 3 minutes each, and then rinsed with cold water.

이후, 시트르산나트륨 용액(10mM Sodium Citrate, 0.05% Tween 20, pH 6.0)에서 5분간 끓이고, TBS 로 절편을 5분씩 3번 세척하였다. 이후 3% 당나귀 혈청(donkey serum)이 포함된 TBS로 상온에서 1시간 동안 blocking 시킨 후, 절편을 닦아냈다. 이후 3% BSA가 포함된 TBS에서 1차 항체인 항-Aβ 올리고머를 1:500으로 4℃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이후, TBS 용액으로 5분씩 3번 세척하고, 0.3% H2O2 가 포함된 TBS와 15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horseradish peroxidase (HRP)가 연결된 2차 항체를 1:500으로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키고, 현미경으로 관찰한 후 통계화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다(도 1).Then, it was boiled in a sodium citrate solution (10 mM Sodium Citrate, 0.05% Tween 20, pH 6.0) for 5 minutes, and the sections were washed three times for 5 minutes with TBS. After blocking with TBS containing 3% donkey serum for 1 hour at room temperature, the sections were wiped off. Then, the primary antibody, anti-Aβ oligomer, was reacted at 1: 500 overnight at 4 ° C in TBS containing 3% BSA. Then, it was washed with TBS solution three times for 5 minutes, and reacted with TBS containing 0.3% H 2 O 2 for 15 minutes. After that, secondary antibody with horseradish peroxidase (HRP) was reacted at 1: 500 for 1 hour at room temperature, observed with a microscope, and then statistically plotted (FIG. 1).

도 1은 6월령의 정상 마우스(WT)와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Tg)의 후각상피조직에 포함된 Aβ 올리고머의 수준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에서 보듯이, 모든 경우에 정상 마우스보다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의 후각상피조직에서 Aβ 올리고머의 수준이 증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FIG. 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levels of Aβ oligomers contained in the olfactory epithelium of a normal mouse (WT) at 6 months of age and an Alzheimer's animal model mouse (Tg). As shown in Fig. 1, in all cases,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A [beta] oligomer was increased in the olfactory epithelium of Alzheimer's animal model mouse than that of normal mice.

실시예Example 2: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을 이용한 알츠하이머 질환 특이적 향기 시험 2: Alzheimer's disease-specific aroma test using Alzheimer's animal model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하게 Aβ를 과발현 시키거나 또는 그의 발현의 정도가 더 이른 시기에서 이루어지는 월령 2개월 알츠하이머 동물 수컷 모델 4-7마리를 사용하여, 향기 시험을 수행하였다. 향기 시험은 한배에서 얻어진 정상 마우스와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를 사용한 시험을 이전에 공지된 방법을 일부 변형시켜서 수행하였다(Kobayakawa, 2007, nature).A perfume test was conducted using 4-7 mice of two month old Alzheimer male males, which were overexpressed Aβ as in Example 1, or at the earlier stage of expression thereof. The perfume test was carried out by using a normal mouse obtained in one round and an animal model mouse of Alzheimer's with some modification of the previously known method (Kobayakawa, 2007, nature).

먼저, 전체적으로 V자 형태의 시험미로를 제작하고, 한쪽 끝에는 대조군의 물질(미네랄 오일)로 표지된 여과지를 위치시키고, 나머지 한쪽 끝에는 다양한 시험 향기물질로 표지된 여과지를 위치시켰다(도 2). 이때, 사용된 시험 향기물질로는 라이랄(lyral, hydroxymethylpentylcyclohexenecarboxaldehyde), 옥타놀(octanol), 헵타날(heptanal, heptanaldehyde), 알릴 페닐아세테이트(allyl phenylacetate) 또는 헵타노익산(Heptanoic acid)을 사용하였고, 상기 여과지(2×2cm)는 36홀의 구멍이 형성된 챔버에 넣은 후, 시험미로의 한쪽 끝에 위치시켰다.First, a V-shaped test labyrinth was formed as a whole, and a filter paper marked with a substance (mineral oil) of the control group was placed at one end and a filter paper labeled with various test fragrance materials was placed at the other end (FIG. At this time, lyal (hydroxymethylpentylcyclohexenecarboxaldehyde), octanol, heptanal, heptanaldehyde, allyl phenylacetate or heptanoic acid was used as the test perfume material, The filter paper (2 x 2 cm) was placed in a chamber having 36 holes, and then placed at one end of the test labyrinth.

다음으로,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를 향기물질을 위치시키지 않은 시험미로에 옮겨서 5분동안 방치함으로써, 실험환경에 적응시켰다.Next, the Alzheimer's animal model mouse was transferred to a test labyrinth where the perfume material was not placed, and allowed to stand for 5 minutes to adapt to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이어, 상기 시험미로에 각각의 향기물질로 표지된 여과지를 위치시킨 후, 상기 시험미로의 중간에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를 넣고 3분 내에, 상기 마우스가 향기물질로 표지된 여과지에 접촉한 시간을 각 향기물질별로 측정한 후, 통계처리하였다(도 3a 내지 3e). 이때. 대조군으로서 정상 마우스를 사용하였다.After placing the filter paper marked with each fragrance material in the test labyrinth, an Alzheimer's animal model mouse was placed in the middle of the test labyrinth and the contact time of the mouse with the filter paper labeled with the perfume substance was measured within 3 minutes, The fractions were measured for each substance and statistically processed (Figs. 3A to 3E). At this time. As a control, normal mice were used.

도 3a는 라이랄로 표지된 여과지에 접촉한 정상 마우스 또는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의 접촉시간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b는 옥타놀로 표지된 여과지에 접촉한 정상 마우스 또는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의 접촉시간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3c는 헵타날로 표지된 여과지에 접촉한 정상 마우스 또는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의 접촉시간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d는 헵타노익산으로 표지된 여과지에 접촉한 정상 마우스 또는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의 접촉시간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3e는 알릴 페닐아세테이트로 표지된 여과지에 접촉한 정상 마우스 또는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의 접촉시간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 3A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son of contact times of normal mice or Alzheimer's animal model mice in contact with filter paper labeled with lauryl; FIG. 3B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contact times of normal mouse or Alzheimer's animal model mice in contact with octanol-labeled filter paper; FIG. 3C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contact times of normal mouse or Alzheimer's animal model mice in contact with heptanal-labeled filter paper; FIG. 3D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contact times of normal mouse or Alzheimer's animal model mice in contact with filter paper labeled with heptanoic acid; FIG. FIG. 3E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contact times of normal mouse or Alzheimer's animal model mice in contact with filter paper labeled with allylphenylacetate. FIG.

도 3a 및 3b에서 보듯이, 라이랄과 옥타놀은 정상 마우스에 비하여,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의 접촉시간이 감소되기는 하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contact time of Lilal and Octanol was lower in Alzheimer's animal model mice than in normal mic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이에 반하여, 도 3c 내지 3e에서 보듯이, 헵타날, 헵타노익산 및 알릴 페닐아세테이트는 정상 마우스에 비하여,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의 접촉시간이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하였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3C to 3E, heptanal, heptanoic acid, and allylphenylacetate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contact time of Alzheimer's animal model mice compared to normal mice.

도 3a 내지 3e의 결과에서 보듯이, 정상 마우스는 대체로 180초(3분) 중에서 약 40초 또는 그 이상의 시간 동안 상기 5가지 향기물질에 접촉하여, 전체시간 중의 약 22% 이상을 접촉하였는 바, 상기 각 향기물질은 이에 대한 정상 마우스의 접촉을 유도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As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of Figs. 3A to 3E, the normal mice contacted the above five fragrance materials for about 40 seconds or more in about 180 seconds (3 minutes) and contacted about 22% or more of the total time, It was found that each of the fragrance materials induces the contact of normal mice with the fragrance materials.

그러나,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는 상기 5가지 향기물질 중에서 3가지 향기물질(헵타날, 헵타노익산 및 알릴 페닐아세테이트)에 대한 접촉시간이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하였다.However, Alzheimer's animal model mice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reduced contact times for the three flavorants (heptanal, heptanoic acid and allylphenylacetate) among the five flavorants.

구체적으로, 헵타날에 대하여는 대체로 180초(3분) 중에서 약 20초 동안 접촉하여 약 11%의 접촉시간을 나타내었고(도 3c), 헵타노익산에 대하여는 대체로 180초(3분) 중에서 약 10초 동안 접촉하여 약 6%의 접촉시간을 나타내었으며(도 3d), 알릴 페닐아세테이트에 대하여는 대체로 180초(3분) 중에서 약 30초 동안 접촉하여 약 17%의 접촉시간을 나타내었다(도 3e). Specifically, heptanal was contacted in about 180 seconds (3 minutes) for about 20 seconds to show about 11% contact time (FIG. 3c), heptanoic acid for about 180 seconds (Fig. 3D) and contact with allylphenylacetate for approximately 30 seconds in approximately 180 seconds (3 minutes) resulting in approximately 17% contact time (Fig. 3E) .

따라서,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는 상기 3가지 향기물질(헵타날, 헵타노익산 및 알릴 페닐아세테이트)에 대한 접촉시간이, 정상 마우스의 접촉시간의 약 27 내지 77%에 불과함을 알 수 있었다.Thus, the Alzheimer's animal model mouse was found to have a contact time to the three flavorants (heptanal, heptanoic acid and allylphenylacetate) of only about 27 to 77% of the contact time of the normal mice.

상기 결과에서 보듯이, 3가지 향기물질(헵타날, 헵타노익산 및 알릴 페닐아세테이트)에 대한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의 접촉시간이 감소된 이유는,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 마우스에서는 상기 3가지 향기물질에 대한 후각수용능력이 저하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As shown in the above results, the contact time of the Alzheimer's animal model mouse with respect to three fragrance materials (heptanal, heptanoic acid, and allylphenylacetate) was reduced because, in Alzheimer's animal model mice, And the storage capacity was decreased.

이처럼, 알츠하이머 질환이 발병된 마우스에서는 헵타날, 헵타노익산 및 알릴 페닐아세테이트에 대한 후각수용능력이 저하됨을 확인하였으므로, 이로부터 상기 헵타날, 헵타노익산 및 알릴 페닐아세테이트는 알츠하이머 질환의 발병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향기마커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t was confirmed that the olfactory receptive capacity of heptanal, heptanoic acid, and allylphenylacetate in the mice suffering from Alzheimer's disease was lowered. From the results, the heptanal, heptanoic acid and allylphenylacetate showed the onset of Alzheimer's disease It can be used as a fragrance marker which can be diagnosed.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From the above descrip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n this regar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9)

알릴 페닐아세테이트(allyl phenylacetate), 헵타노익산(Heptanoic acid)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향기물질에 대한, 알츠하이머 질환 발병이 의심되는 개체의 반응성을 검출 또는 정량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 질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향기물질에 대한 반응성의 검출은 상기 개체가 향기물질을 후각적으로 인지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수행하는 것이고,
상기 향기물질에 대한 반응성의 정량분석은 상기 개체가 향기물질에 후각적으로 접촉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수행하는 것인, 방법.
A method for detecting or quantitating the reactivity of a subject suspected of developing Alzheimer's disease, to a perfum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lyl phenylacetate, heptanoic acid, and combinations thereof.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Wherein the detection of reactivity to the fragrance material is performed by verifying whether or not the object perceives the fragrance material in a smoky manner,
Wherei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reactivity to the fragrance material is performed by measuring the time for which the object is in olfactory contact with the fragrance materi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츠하이머 질환 발병이 의심되는 개체의 반응성과 정상 개체의 반응성을 비교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comparing the reactivity of the subject suspected of having Alzheimer's disease with the reactivity of the normal subjec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개체의 반응성 대비 알츠하이머 질환 발병이 의심되는 개체의 반응성이 80% 이하인 경우, 상기 알츠하이머 질환 발병이 의심되는 개체에서 알츠하이머가 발병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인,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usceptibility to Alzheimer's disease is less than 80%, the Alzheimer's disease susceptibility is determined to be an Alzheimer's dise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물질에 대한 반응성의 정량분석 결과를 조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combining the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reactivity with the fragrance materi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분석 결과의 조합은 선형 또는 비선형 회귀 분석방법; 선행 또는 비선형 classification 분석방법; ANOVA; 신경망 분석방법; 유전적 분석방법; 서포트 벡터 머신 분석방법; 계층 분석 또는 클러스터링 분석방법; 결정 트리를 이용한 계층 알고리즘, 또는 Kernel principal components 분석방법; Markov Blanket 분석방법; recursive feature elimination 또는 엔트로피-기본 recursive feature elimination 분석방법; 전방 floating search 또는 후방 floating search 분석방법;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인,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mbination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 may be a linear or nonlinear regression method; Pre - or non - linear classification methods; ANOVA; Neural network analysis method; Genetic analysis method; Support vector machine analysis method; Hierarchical analysis or clustering analysis methods; A hierarchical algorithm using a decision tree, or a kernel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method; Markov Blanket analysis method; recursive feature elimination or entropy - basic recursive feature elimination analysis method; Forward floating search or back floating search analysis method; ≪ / RTI > and a combination thereof.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분석 결과의 조합은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인,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mbination of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 is performed using a computer algorithm.
KR1020190038018A 2019-04-01 2019-04-01 A composition for diagnosing Alzheimer's disease KR1019946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018A KR101994605B1 (en) 2019-04-01 2019-04-01 A composition for diagnosing Alzheimer's dise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018A KR101994605B1 (en) 2019-04-01 2019-04-01 A composition for diagnosing Alzheimer's diseas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304A Division KR101973839B1 (en) 2016-12-28 2016-12-28 A composition for diagnosing Alzheimer's disea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784A KR20190038784A (en) 2019-04-09
KR101994605B1 true KR101994605B1 (en) 2019-06-28

Family

ID=66167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018A KR101994605B1 (en) 2019-04-01 2019-04-01 A composition for diagnosing Alzheimer's dise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60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828B1 (en) * 2019-09-27 2021-09-30 주식회사 엔서 Apparatus and System for Diagnosing Dementia
KR102492364B1 (en) * 2021-08-10 2023-01-27 주식회사 엔서 Dementia Examination Apparatus Installed for Classifying Dementia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Dementia Using Machine Learning Model Based on Examination Resul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5358A (en) 1998-06-26 2000-01-11 Susumu Nasu Golf club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5358A (en) 1998-06-26 2000-01-11 Susumu Nasu Golf club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XU, W. 외 7명, PLOS ONE, 2014, Vol. 9, no. 9, pp. 1-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784A (en) 201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7332B2 (en) Prescription for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González-Martínez et al. Plasma β-amyloid peptides in canine aging and cognitive dysfunction as a model of Alzheimer's disease
EP3147668B1 (en) Surrogate biomarker for evaluating intracerebral amyloid beta peptide accumulation and method for analysis thereof
KR101994605B1 (en) A composition for diagnosing Alzheimer's disease
Collins et al. Creutzfeldt-Jakob disease: diagnostic utility of 14–3–3 protein immunodetection in cerebrospinal fluid
JP2016514266A (en) Methods for analyzing blood to detect diseases associated with abnormal protein aggregation
KR101804624B1 (en) Composition for diagnosing neurological disease using nasal mucus
KR101973839B1 (en) A composition for diagnosing Alzheimer's disease
Ter Telgte et al. Histopathology of diffusion-weighted imaging-positive lesions in cerebral amyloid angiopathy
Lowe et al. Establishing a pathological diagnosis in degenerative dementias
US10989720B2 (en) Method for clinically and pathologically monitoring Alzheimer's disease through concentration of amyloidbeta in plasma
Monastero et al. Prevalence and profile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Parkinson’s disease
CA2571692A1 (en) Biomarkers of alzheimer's disease
McKeel Jr et al. Interlaboratory histopathologic assessment of Alzheimer neuropathology: different methodologies yield comparable diagnostic results
Xu et al. An impedimetric assay of α-synuclein autoantibodies in early stage Parkinson's disease
US20060205024A1 (en) Method to diagnose and evaluate progression of Alzheimer's disease
US10809272B2 (en) Biomarkers, kits, and method for diagnosing, monitoring, and/or staging Alzheimer's disease
WO2015060317A1 (en) Neurodegenerative disease testing method
Hinds et al. Relationship between serum α1-antichymotrypsin and Alzheimer's disease
Ravaglia et al. Cerebrospinal fluid levels of tau phosphorylated at threonine 181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vascular dementia
Winck et al. Antigen characterization of major cork moulds in Suberosis (cork worker's pneumonitis) by immunoblotting
Burton et al. Quantitative neurodegenerative pathology does not explain the degree of hippocampal atrophy on MRI in degenerative dementia
EP1241478B1 (en) Method for detecting the pathogenesis and/or diagnosing transmissible spongiform encephalopathies
JP2013253781A (en) Inspection method and determination ki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
Bridel et al. Serum neurofilament light levels do not reflect disability progression in natalizumab-treated relapsing remitting multiple sclerosis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