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542B1 - Pedestrian Movement Tracking Web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 Google Patents

Pedestrian Movement Tracking Web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542B1
KR101994542B1 KR1020170158387A KR20170158387A KR101994542B1 KR 101994542 B1 KR101994542 B1 KR 101994542B1 KR 1020170158387 A KR1020170158387 A KR 1020170158387A KR 20170158387 A KR20170158387 A KR 20170158387A KR 101994542 B1 KR101994542 B1 KR 101994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copper
destination
guide node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3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60311A (en
Inventor
조동섭
도혜원
최영림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58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542B1/en
Publication of KR20190060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3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5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3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direction in which child or item is loc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길 찾기 능력 및 정보 활용 능력과 상관없이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보행자 동선 추적 관리 웹 시스템,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행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는 단말기; 보행자의 신발 바닥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식별정보를 저장해 두는 보행자식별 태그; 길을 따라 바닥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보행자식별 태그의 태깅이 감지될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보행자식별 태그로부터 단말기식별정보를 수신받으며, 점등제어신호에 따라 보행자의 목적지 방향으로 점등하는 다수 개의 동선 가이드 노드;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목적지를 수신받아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판독하며,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단말기식별정보에 따라 보행자를 확인한 후 보행자의 목적지 방향으로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가 점등할 수 있도록 점등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로 전송하는 동선추적서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rian movement tracking web system, a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the pedestrian movement tracking management web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guidance service irrespective of a user's navigational ability and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A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mounted on a shoe floor of a pedestrian and stor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is mounted on a floor along a road and receive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hen tagging of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is detected, and a plurality of A copper guide node;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a destination from the terminal and reading a route to a destination, checking a pedestrian accor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pper guide node, and controlling the copper guide node so that the copper guide node can be turned on toward the destination of the pedestrian And a tracing server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tracing guide to the tracing guide node.

Description

보행자 동선 추적 관리 웹 시스템,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Pedestrian Movement Tracking Web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of}{Pedestrian Movement Tracking Web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보행자 동선 추적 관리 웹 시스템,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길 찾기 능력 및 정보 활용 능력과 상관없이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보행자 동선 추적 관리 웹 시스템,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b system for tracking a pedestrian movement, and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rian movement tracking management web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guidance service regardless of a user's route-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same.

기술의 발전으로 길안내를 돕기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들이 시장에 출시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스마트폰에 장착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지자기 센서를 통해 알게 된 현재위치와 방향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까지 찾아가야 하는 것은 사용자의 몫이다.Smartphone applications have been launched on the market to help guide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However, it is still up to the user to navigate to the destination using the current loca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geomagnetic sensor installed on the smartphone.

이에 첫째, 스마트폰에 미숙한 사용자뿐만 아니라 직관적이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활용할 줄 모르는 현대 길치족들은 기존의 길 안내 시스템 사용의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 기존의 길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잘 사용하는 사람의 경우 목적지까지 지속적으로 화면을 보며 길을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는 보행 중의 스마트폰의 시각적 사용이 사용자의 주의분산을 높여 주변 교통상황 인지를 방해하며, 돌발 상황에 대한 반응시간을 지연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장착된 센서는 실내공간에서의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으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설치 및 업데이트를 필요로 한다. Firstly, the Hyundai Asuki people who are not able to utilize the information of non-intuitive applications as well as the us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smartphone have difficulty in using the existing navigation system. Second, those who use the existing navigation application have inconvenience to find a way to the destination continuously. The visual use of the smartphone during walking interfered with the traffic situation by increasing the dispersion of the user 's attention and the reaction time to the unexpected situation was delayed. Also, the mounted sensor does not support the service in the indoor space, and requires installation and update through the mobile application.

한국등록특허 제10-1454644호Korean Patent No. 10-1454644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0408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04084

본 발명의 일측면은 지하철 내의 출구 안내판이 가진 정보의 한계와 GPS의 제한으로 지하철 내에서 길을 잃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여, 기존의 경로안내 서비스가 가진 문제점인 UI와 Usability의 복잡성, 보행 중 시야를 뺏는 위험성을 해결하기 위해 지하철 내부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센서와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이용한 IoT 서비스를 제작하여 기존 경로안내 서비스의 사각지대를 극복할 수 있는 보행자 동선 추적 관리 웹 시스템,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 user who is lost in the subway due to limitations of the information of the exit signboard in the subway and limitation of the GPS, A method and a record including the pedestrian movement tracking web management system which can overcome the blind spot of the existing route guidance service by producing the IoT service using the sensor and the hardware device interacting with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subway in order to solve the danger of taking away Media.

NFC Tag가 내장된 신발과 Wi-Fi를 이용한 길안내 시스템을 기반으로, 기존의 길안내 서비스가 가진 문제점을 분석하여, 지하철 내부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센서와 디바이스를 적용한 IoT 서비스 제작을 통해 기존 길안내 서비스의 사각지대를 보완할 수 있는 보행자 동선 추적 관리 웹 시스템,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Based on the NFC Tag built-in footwear and Wi-Fi navigation system, we analyzed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road guidance service and created the IoT service using sensors and devices that interact with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subway. Provided is a pedestrian track line management web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complement a blind spot of a guide servic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동선 추적 관리 웹 시스템은, 보행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는 단말기; 보행자의 신발 바닥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식별정보를 저장해 두는 보행자식별 태그; 길을 따라 바닥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보행자식별 태그의 태깅이 감지될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보행자식별 태그로부터 단말기식별정보를 수신받으며, 점등제어신호에 따라 보행자의 목적지 방향으로 점등하는 다수 개의 동선 가이드 노드;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목적지를 수신받아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판독하며,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단말기식별정보에 따라 보행자를 확인한 후 보행자의 목적지 방향으로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가 점등할 수 있도록 점등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로 전송하는 동선추적서버를 포함한다.A pedestrian movement tracking web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for receiving a destination from a pedestrian; A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mounted on a shoe floor of a pedestrian and stor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is mounted on a floor along a road and receive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hen tagging of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is detected, and a plurality of A copper guide node;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a destination from the terminal and reading a route to a destination, checking a pedestrian accor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pper guide node, and controlling the copper guide node so that the copper guide node can be turned on toward the destination of the pedestrian And a tracing server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tracing guide to the tracing guide no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는, 길을 따라 바닥에 장착 설치되는 노드 본체부; 상기 노드 본체부의 상부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보행자식별 태그의 태깅을 감지한 후 상기 보행자식별 태그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식별정보를 수신받는 태깅감지부; 상기 태깅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단말기식별정보를 상기 동선추적서버로 전송한 후 상기 동선추적서버로부터 점등제어신호를 수신받는 통신부; 및 상기 노드 본체부가 장착 설치된 곳의 갈림길 방향을 각각 지시하며, 점등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보행자의 목적지 방향으로 형성되는 갈림길을 지시하며 점등할 수 있도록 상기 노드 본체부의 상부에 각각 장착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점등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pper guide node includes: a node body portion mounted on a floor along a road; A tagging sensing unit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node body for sensing tagging of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and receiv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through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agging sensing unit to the copper tracking server and receiving a lighting control signal from the copper tracking server; And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node body unit so as to indicate a turning point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destination of the pedestrian in response to the lighting control signal, Sec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는, 상기 노드 본체부의 상부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동선추적서버로부터 위치확인 요청신호가 수신될 경우, 자신이 장착 설치된 위치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측 방향으로 발광하여 건물의 천장에 미리 설정된 정보를 표시하는 위치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pper guide node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node main body, and when receiving a positioning request signal from the copper line tracking server, the copper guide node emits light upward in order to guide it to a mounted position And a location notification unit for display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on the ceiling of the build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는, 보행자가 목적지를 찾아가는 도중 상기 가이드 노드의 위치를 찾을 수 없는 경우, 보행자로부터 찾고자 하는 상기 가이드 노드 위치 확인의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pedestrian can not find the position of the guide node while the pedestrian is searching for the destination, the terminal may receive a request for the position of the guide node to be searched from the pedestria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선추적서버는,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로부터 동일한 상기 보행자식별 태그로부터 미리 설정된 패턴의 태깅이 입력되어 생성된 복귀요청신호가 수신될 경우, 처음 출발하였던 출발지 방향으로 점등할 수 있도록 점등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return request signal generated by inputting the tagging of the predetermined pattern from the sam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is received from the copper guide node, the copper trace server may illuminate the departure direction A light emission control signal can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copper guide no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행자식별 태그는, 각각의 태그 별로 특정 목적지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두며,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에 의해 태깅될 경우 설정해 두었던 목적지로의 경로를 요청하기 위한 경로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전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stores a predetermined destination in advance for each tag, generates a route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a route to a destination set when tagged by the copper guide node .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선추적서버는, 보행자가 동선을 벗어나 목적지까지의 경로 이외의 장소에 장착 설치된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에 태깅되었음이 확인된 경우, 현재 위치의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로부터 입력받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재판독한 후 이에 대응하는 점등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pedestrian has been tagged to the copper guide node mounted at a place other than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after the pedestrian leaves the copper line, A light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ath can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copper guide nod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동선 추적 관리 방법은, 단말기에서 목적지를 입력받아 동선추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동선추적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목적지를 수신받아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판독하는 단계; 길을 따라 바닥에 장착 설치된 동선 가이드 노드에서 보행자의 신발의 바닥에 장착 설치된 보행자식별 태그의 태깅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에서 감지된 상기 보행자식별 태그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식별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동선추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동선추적서버에서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단말기식별정보에 따라 보행자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동선추적서버에서 보행자의 목적지 방향으로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가 점등할 수 있도록 점등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에서 상기 동선추적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점등제어신호에 따라 목적지 방향으로 점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cking a trajectory of a pedestrian, comprising: receiving a destination from a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destination to a tracing server; Receiving a destination from the terminal in the copper wire tracking server and reading a path to a destination; Sensing tagging of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mounted on the floor of the pedestrian's shoe at a copper guide node mounted on the floor along the road; Receiv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detected by the copper guide node, and transmitt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copper line tracking server; Confirming a pedestrian according to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pper guide node at the copper line tracking server; Generating a lighting control signal so that the copper guide node can be turned on in the direction of the destination of the pedestrian from the copper line tracking server to transmit to the copper guide node; And lighting in a destination direction according to a lighting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pper line tracking server at the copper line guide no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목적지를 입력받아 동선추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동선추적서버에서 상기 보행자식별 태그 별로 해당 태그의 목적지 및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step of previously setting and storing a path from the moving track server to the destination and the destination of the corresponding tag in accordance with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before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destination to the moving track server .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보행자 동선 추적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a pedestrian track trace management method is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Wi-Fi 통신으로 실내 길 안내 가능하게 하고, NFC 태깅(Tagging)을 통해 별도의 페어링을 요구하지 않는 간편한 접촉을 지향하며, LED 모듈을 통한 방향 제시로 사용자의 가시성을 촉진함으로써 사용자는 길 찾기 능력에 상관없는 길안내 서비스를 누릴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uide a room through a Wi-Fi communication, aim at easy contact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pairing through NFC tagging, The user can enjoy the navigation service regardless of the navigation ability.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기존의 길안내 애플리케이션의 틀에서 벗어난 웹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함으로써, 디바이스의 OS별 호환을 용이하게 하고 컨텐츠 접근 가능성을 높임으로써, 사용자는 다양한 플랫폼에서 본 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 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esigning a web application that is out of the conventional guiding application framework, by facilitating the compatibility of each device OS and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accessing contents,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동선 추적 관리 웹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단말기의 표시수단 상에서 구현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보행자식별 태그의 장착예를 설명하는 그림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에 있는 동선 가이드 노드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10은 동선 가이드 노드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는 그림이다.
도 11은 도 1에 있는 동선 가이드 노드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동선 추적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web tracking system for tracking a pedestria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ures 2 and 3 illustrate examples of web applications implemented on display means of a terminal.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mounting a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Figs.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pper guide node in Fig. 1. Fig.
Figs. 7 to 10 illustrate how the copper guide node operates. Fig.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pper guide node in 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tracking a pedestrian's moving tr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동선 추적 관리 웹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web tracking system for tracking a pedestria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동선 추적 관리 웹 시스템은, 단말기(100), 보행자식별 태그(200), 동선 가이드 노드(300) 및 동선추적서버(40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pedestrian movement tracking web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100, a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200, a motion guide node 300, and a motion tracking server 400.

단말기(100)는, 보행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아 네트워크(500)를 통해 동선추적서버(400)로 전송한다.The terminal 100 receives the destination from the pedestrian and transmits it to the tracing server 400 through the network 500.

도 2 및 도 3은 단말기(100)의 표시수단 상에서 구현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웹 애플리케이션은, 지하철역을 프로토타입(Prototype)으로 설정하여 설계 구현되었으며, 회원가입을 통해 NFC 태그인 보행자식별 태그(200)와 단말기(100)의 단말기식별정보를 매칭시킨다. 사용자가 회원가입 후에 로그인을 완료하면 사용자는 목적지 검색을 통해 목적지에 따른 출구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목적지와 가까운 출구에 도달하기까지의 행렬 기반의 방향 설정 알고리즘을 실행시켜 경로 그래프를 생성한 후, 해당 경로를 웹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는 이 기능을 통해 미리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Figures 2 and 3 illustrate examples of web applications implemented on the display means of the terminal 100. [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web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and implemented by setting a subway station as a prototype. The web application is composed of a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200, which is an NFC tag, Mat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user completes the login after joining the membership, the user can obtain the exi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stination through the destination search. In addition, the user can provide a function of generating a path graph by executing a matrix-based direction setting algorithm until the user reaches an exit near the destination, and then outputting the path to the main screen of the web application. The path can be grasped in advance.

네트워크(500)는,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며, 동선추적서버(400)와 단말기(100) 사이, 동선추적서버(400)와 동선 가이드 노드(300) 사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며, 서로 간의 데이터 송수신하도록 한다.The network 500 includes a wire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nects between the copper wire tracking server 400 and the terminal 100 or between the copper wire tracking server 400 and the copper guide node 300 by wire or wireless communication , A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is performed between them.

보행자식별 태그(200)는, 무선태그 기술인 NFC를 통해 근거리무선통신을 수행하며, 보행자의 신발 바닥에 장착 설치되며, 단말기(100)의 단말기식별정보를 저장해 두며, 동선 가이드 노드(300)에 태깅될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식별정보를 동선 가이드 노드(300)로 전송한다.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200 carries out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NFC which is a wireless tag technology and is mounted on the floor of a shoe of a pedestrian and store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0, And transmit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copper guide node 300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도 4는 보행자식별 태그(200)의 장착예를 설명하는 그림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행자식별 태그(200)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신발의 바닥면에 일정한 홈을 형성한 후 삽입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후 걸어가면서 자연스럽게 신발의 바닥에 장착 설치된 보행자식별 태그(200)가 동선 가이드 노드(300)에 태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mounting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200. Fig. Referring to FIG. 4,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200 is formed by forming a predetermined groove on a bottom surface of a shoe worn by the user, and then inserting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200, which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hoe, (200) to be tagged to the copper guide node (300).

보행자식별 태그(200)로 사용될 수 있는 NFC는 무선태그(RFID)기술 중 하나로,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다양한 무선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 기술이다. 사용자는 개인에게 지급된 NFC Tag에 해당하는 보행자식별 태그(200)를 활용하여 동선 가이드 노드(300)에 태깅(tagging)함으로써 사용자의 ID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The NFC that can be used as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200 is one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echnologies, and is a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exchanging various wireless data within a distance of 10 cm or less. The user can tag the moving guide node 300 using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200 corresponding to the NFC tag paid to the individual so that the user's I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 있어서 보행자식별 태그(200)로서 NFC를 이용하는 이유는, 짧은 인식거리를 통해 상대적으로 인식거리가 긴 RFID 사용 시에 사용자가 원치 않는 시스템을 인식할 가능성을 차단하며, 블루투스 사용 시에 요구하는 기기 간의 페어링(pairing)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NFC is used as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20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lock the possibility of recognizing an unwanted system by the user when the RFID is used with a relatively long recognition distance through a short recognition distance, This is because it has the advantage of not requiring pairing between devices.

동선 가이드 노드(300)는, 길을 따라 바닥에 장착 설치되며, 보행자식별 태그(200)의 태깅이 감지될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보행자식별 태그(200)로부터 단말기식별정보를 수신받으며, 네트워크(500)를 통해 동선추적서버(400)로부터 수신되는 점등제어신호에 따라 보행자의 목적지 방향으로 점등한다.When the tagging of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200 is sensed, the copper guide node 300 receive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200 through th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500 in the direction of the destination of the pedestrian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pper line tracking server 400. [

일 실시예에서, 동선 가이드 노드(300)는, Wi-Fi 기술을 통해 동선추적서버(4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Wi-Fi(IEEE 802.11b High Rate)라 함은, Hi-Fi(High Fidelity)에 무선기술을 접목한 것으로, 고성능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랜 기술이다. 동선 가이드 노드(300)를 구성하는 Wi-Fi Module과 동선추적서버(400)는 AP(Access Point)로부터 각각 IP를 부여받아 전체 서비스가 같은 Wi-Fi 망에서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GPS와 지자기 센서로 실내 안내를 지원하지 않은 기존의 길 안내 서비스를 보완하여 Wi-Fi 통신을 통해 실내 길 안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copper guide node 30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copper wire tracking server 400 via Wi-Fi technology. At this time, Wi-Fi (IEEE 802.11b High Rate) is a wireless LAN technology that combines wireless technology with Hi-Fi (High Fidelity) and enables high-performance wireless communication. The Wi-Fi Module and the copper wire tracking server 400 constituting the copper wire guide node 300 are respectively given IPs from APs (Access Points) so that all services can be performed in the same Wi-Fi network. This will complement existing navigation services that do not support indoor guidance with GPS and geomagnetic sensors to enable indoor navigation through Wi-Fi communications.

동선추적서버(400)는, 단말기(100)로부터 네트워크(500)를 통해 목적지를 수신받아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판독하며, 네트워크(500)를 통해 동선 가이드 노드(300)로부터 수신되는 단말기식별정보에 따라 보행자를 확인한 후 보행자의 목적지 방향으로 동선 가이드 노드(300)가 점등할 수 있도록 점등제어신호를 생성시켜 네트워크(500)를 통해 동선 가이드 노드(300)로 전송한다.The copper wire tracking server 400 receives a destination through the network 500 from the terminal 100 and reads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and transmit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pper wire guide node 300 through the network 500 After the pedestrian is confirmed, a lighting control signal is generated so that the copper guide node 300 can be turned on in the direction of the destination of the pedestrian and transmitted to the copper guide node 300 through the network 500.

일 실시예에서, 동선추적서버(400)는, 동선 가이드 노드(300)로부터 동일한 보행자식별 태그(200)로부터 미리 설정된 패턴의 태깅이 입력되어 생성된 복귀요청신호가 수신될 경우, 처음 출발하였던 출발지 방향으로 점등할 수 있도록 점등제어신호를 생성시켜 동선 가이드 노드(300)로 전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a return request signal generated by inputting tagging of a predetermined pattern from the sam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200 is received from the copper guide node 300,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lighting control signal so that the lighting control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copper guide node 300.

일 실시예에서, 보행자식별 태그(200)는, 각각의 태그 별로 특정 목적지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두며, 동선 가이드 노드(300)에 의해 태깅될 경우 설정해 두었던 목적지로의 경로를 요청하기 위한 경로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전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200 pre-sets and stores a specific destination for each tag, and when the tag is tagged by the copper guide node 300, a route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a route to a destination Can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일 실시예에서, 동선추적서버(400)는, 보행자가 동선을 벗어나 목적지까지의 경로 이외의 장소에 장착 설치된 동선 가이드 노드(300)에 태깅되었음이 확인된 경우, 현재 위치의 동선 가이드 노드(300)로부터 입력받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재판독한 후 이에 대응하는 점등제어신호를 생성시켜 동선 가이드 노드(300)로 전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it is ascertained that the pedestrian has been tagged to the copper guide node 300 installed outside the copper line and installed at a place other than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the copper trace server 400 determines that the copper guide node 300 To generate a light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ath, and to transmit the light control signal to the copper guide node 30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보행자 동선 추적 관리 웹 시스템의 통합 하드웨어 디바이스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Apache, MySQL, PHP를 사용하여 웹 서버인 동선추적서버(400)를 구현하였고, 또한 동선추적서버(400)의 내부 디스플레이 종류에 따라 화면의 크기가 최적화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은 HTML, JavaScript, PHP로 구현될 수 있다.In order to implement the integrated hardware device system of the web tracking system of the pedestria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moving track server 400, which is a web server, is implemented using Apache, MySQL and PHP, Web applications whose screen size is optimized according to the internal display type can be implemented in HTML, JavaScript, and PHP.

본 발명은, 동선 가이드 노드(300)에 보행자식별 태그(200)가 내장된 신발이 접촉되면, 보행자식별 태그(200)의 정보를 통해 동선추적서버(400)가 단말기식별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단말기식별정보와 동시에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 정보와 가까운 출구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판독할 수 있다. 출구번호를 행렬 기반의 방향 설정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다음에 가야 하는 방향을 동선 가이드 노드(300)를 통해 아려준다.When the shoe having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2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pper guide node 300, the tracing server 400 can grasp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information of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200, Simultaneously with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exit information close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can be read from the database. A direction based on a matrix-based direction setting algorithm is applied to the exit number so that the direction through which the user should go next is retrieved through the copper guide node 30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보행자 동선 추적 관리 웹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위해 다음과 같은 3가지 통신이 사용될 수 있다.The following three types of communication can be used for a service provided by the web tracking system for walking the pedestria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먼저, HTTP 통신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웹 브라우저와 Wi-Fi 모듈이 웹 서버인 동선추적서버(400)에게 자료를 전송하고 곧바로 연결을 끊는 방식이다. 동선추적서버(400)에 여러 가지 일이 요청되더라도 동선추적서버(400)가 접속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구현했다. 웹 애플리케이션 내부에서 사용자의 액션에 따라 다음에 이동할 웹 브라우저의 태그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HTTP 통신이 이루어진다. 보행자식별 태그(200)가 동선 가이드 노드(300)에 접촉 시, 이 정보를 Wi-Fi 모듈을 통해 동선추적서버(400)로 전송하고 곧바로 연결을 끊는 방식으로 HTTP 통신을 사용될 수 있다.First, HTTP communication can be used. This is a method in which the web browser and the Wi-Fi module send data to the web tracking server 400, which is a web server, and disconnect immediately. Even if various kinds of work are requested to the copper wire trace server 400, the copper wire trace server 400 can smoothly process the connection. HTTP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transmitting the tag information of the web browser to be moved next according to the action of the user in the web application. When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200 touches the copper guide node 300, it can use the HTTP communication by transmitting this information to the copper tracking server 400 via the Wi-Fi module and disconnecting immediately.

다음으로, 소켓 통신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주요 통신으로 접속을 유지하여 시스템의 상태를 지속시킨다. 동선추적서버(400)가 방향 정보를 HTTP 형태로 REST 웹 서버에게 보내지만 LED가 켜져 있는 상태를 연결이 끊기기 전까지 지속시켜야 하는 특징으로 인해 소켓 통신에 해당한다. AP가 Wi-Fi 모듈, 웹 서버에 IP 주소를 부여하여 지속적으로 시스템을 구동시키는 것 또한 소켓 통신을 이용한 경우이다.Next, a socket communication may be used, which maintains the connection to the main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continuing the state of the system. The mobile tracking server 400 sends direction information to the REST web server in the form of HTTP, but it is socket communication because of the feature that the LED is on until the connection is disconnected. It is the case that the AP continuously uses Wi-Fi module, web server, and IP address to operate the system.

마지막으로 Wi-Fi통신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용이한 장치 호환성과 빠른 통신 환경으로 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AP는 앞서 소켓 통신에서 말했듯이 Wi-Fi 모듈과 동선추적서버(400)에 IP를 각각 부여하여 전체 서비스가 같은 Wi-Fi 망에서 일어날 수 있도록 하였다Finally, Wi-Fi communication can be used. This is used to facilitate service compatibility with the easy device compatibility and fast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mentioned earlier in the Socket communication, the AP assigns the IP to the Wi-Fi module and the copper tracking server 400 so that the entire service can occur in the same Wi-Fi network

도 5 및 도 6은 도 1에 있는 동선 가이드 노드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s.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pper guide node in Fig. 1. Fi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동선 가이드 노드(300)는, 노드 본체부(310), 태깅감지부(320), 통신부(330) 및 점등부(340-1, 340-2, 340-3, 340-4)를 포함한다.5 and 6, the copper wire guide node 300 includes a node body 310, a tagging sensing unit 320, a communication unit 330, and lighting units 340-1, 340-2, and 340-3 , 340-4).

노드 본체부(310)는, 길을 따라 바닥에 장착 설치되며, 상부에 태깅감지부(320) 및 점등부(340)가 장착 설치된다.The node body 310 is mounted on a floor along a road, and a tagging sensing unit 320 and a lighting unit 340 ar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일 실시예에서, 노드 본체부(3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타일 형태로 납작하게 형성되어, 본체가 바닥에 삽입된 후 상부면만 외부에 노출되는 형식으로 장착 설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ode body portion 310 may be flat mounted in the form of a tile as shown in FIG. 2, and may be installed in such a manner that only the upper surface is exposed to the outside after the body is inserted into the floor.

태깅감지부(320)는, 노드 본체부(310)의 상부에 장착 설치되며, 보행자식별 태그(200)의 태깅을 감지한 후 보행자식별 태그(200)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식별정보를 수신받아 통신부(330)로 전달한다.The tagging detection unit 32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node body unit 310 and detects tagging of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200 and receive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200 through short- And transmits it to the communication unit 330.

통신부(330)는, 태깅감지부(320)로부터 전달되는 단말기식별정보를 동선추적서버(400)로 전송한 후 동선추적서버(400)로부터 점등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점등부(340)로 전달한다.The communication unit 330 transmit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agging sensing unit 320 to the tracing server 400 and receives the lighting control signal from the tracing server 400 and transmits the lighting control signal to the lighting unit 340 .

점등부(340)는, 노드 본체부(310)가 장착 설치된 곳의 갈림길 방향을 각각 지시하며, 점등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보행자의 목적지 방향으로 형성되는 갈림길을 지시하며 통신부(330)로부터 전달되는 점등할 수 있도록 노드 본체부(310)의 상부에 각각 장착 설치된다.The lighting unit 340 indicates a turning direction of a place where the node body unit 310 is mounted and instructs a turning point formed in the destination direction of the pedestrian in response to the lighting control signal, Respective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node body portion 310. As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점등부(3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갈래의 갈림길로 길이 형성된 경우, 각각의 갈림길을 가리키는 형태로 4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보행자가 가야할 갈림길을 가리키는 점등부(340)가 점등함으로써 보행자로 하여금 직관적으로 자신이 가야할 방향을 손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점등부(340)는, LED모듈로 형성됨으로써 점등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저전력으로 발광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2, in the case where the lighting unit 340 is formed as a four-branched road as shown in FIG. 2, four lighting units 340 may be formed to indicate the respective roads. The unit 340 is turned on so that the pedestrian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direction in which he should go.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ing unit 340 is formed of an LED module so that the lighting unit 340 emits light at a low power corresponding to the lighting control signal.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동선 가이드 노드(300)를 이용하여 도 7과 같이 5개의 동선 가이드 노드(300)(node-0 내지 node-4)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용예를 설명하기로 한다.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osed of five copper guide nodes 300 (node-0 to node-4) as shown in FIG. 7 will be described using a copper guide node 3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

동선추적서버(400)는, 동선 가이드 노드(300) 간의 이동을 위한 경로 정보를 연동된 지도 서비스 등을 통해 판독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두며, 사용자가 목적지를 입력 시, 목적지와 가까운 출구에 장착 설치된 동선 가이드 노드(300)를 지정할 수 있다.The line tracking server 400 reads route information for movement between the copper guide nodes 300 through a linked map service or the like and stores the route information in a database. When the user inputs a destination, It is possible to designate the copper guide node 300.

본 적용예에서는 도 8의 node 3을 목적지와 가까운 출구에 장착 설치된 동선 가이드 노드(300)로 설정하기로 한다.In this application example, the node 3 in FIG. 8 is set as the copper guide node 300 installed at the exit near the destina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node 0에 위치한 사용자가 해당 위치의 동선 가이드 노드(300)에 신발을 접촉 시, 그림 9와 같이 경로 배열에 의한 4번 LED(즉, 점등부(340-1))가 점등할 것이다. 9, when the user located at the node 0 touches the footwear guide node 300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e LED 4 (i.e., the lighting unit 340-1) according to the path arrangement as shown in FIG. 9, Will light up.

도 10은 본 발명의 동선 가이드 노드(300)의 프로토타입 설계에 의한 결과물이며, 해당 위치의 4번 LED(즉, 점등부(340-1))가 다음 경로의 방향을 안내하게 된다.10 is a result of the prototype design of the copper guide nod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ED 4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at is, the lighting section 340-1) guides the direction of the next path.

도 11은 도 1에 있는 동선 가이드 노드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pper guide node in Fig.

도 11을 참조하면, 동선 가이드 노드(300)는, 노드 본체부(310), 태깅감지부(320), 통신부(330), 점등부(340) 및 위치 알림부(3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노드 본체부(310), 태깅감지부(320), 통신부(330) 및 점등부(340)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11, the copper guide node 300 includes a node body 310, a tagging sensing unit 320, a communication unit 330, a lighting unit 340, and a position notification unit 350. Here, the node body unit 310, the tagging sensing unit 320, the communication unit 330, and the lighting unit 340 are the same as those in FIG. 2,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위치 알림부(350)는, 노드 본체부(310)의 상부에 장착 설치되며, 동선추적서버(400)로부터 위치확인 요청신호가 수신될 경우, 자신이 장착 설치된 위치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측 방향으로 발광하여 건물의 천장에 미리 설정된 정보(예를 들어, "이쪽으로 오세요" 등)를 표시한다.The position notification unit 35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node body unit 310 and when the position check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pper tracking server 400, (For example, "come here") on the ceiling of the building.

일 실시예에서, 위치 알림부(350)는,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소형 빔 프로젝터(빛을 이용하여 슬라이드나 동영상 이미지 등을 스크린에 비추는 장치)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건물의 천장에 보행자를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cation notification unit 350 may be formed of a small-sized beam projector (a device that illuminates a slide or a moving image on a screen using light) or the like, which is widely used, Can be guided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located.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100)는, 보행자가 목적지를 찾아가는 도중 가이드 노드의 위치를 찾을 수 없는 경우, 보행자로부터 찾고자 하는 가이드 노드 위치 확인의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pedestrian can not find the position of the guide node while the pedestrian is searching for the destination, the terminal 100 may receive a request for the position of the guide node to be searched from the pedestrian.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동선 가이드 노드(300)는, 보행자가 박람회 등과 같이 사람이 붐비는 장소에서 동선 가이드 노드(300)의 발광신호에 따라 길을 가는 도중에 다음 동선 가이드 노드(300)를 찾지 못하거나 길을 잃어버린 경우, 자신이 가야할 위치에 있는 동선 가이드 노드(300)의 위치를 용이하게 찾아가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The copper guide node 3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finds the next copper guide node 300 while the pedestrian goes down the road in accordance with the light emission signal of the copper guide node 300 in a crowded place such as an exposition The user can easily find the position of the copper guide node 300 at a position where the user should go.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동선 추적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tracking a pedestrian's moving tr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며, 보행자 동선 추적 관리 방법은, 우선 단말기(100)에서 목적지를 입력받아 동선추적서버(400)로 전송한다(S1210).Referring to FIG. 12, in the pedestrian track tracking management method, a destination is first received from a terminal 100 and transmitted to a tracing server 400 (S1210).

상술한 단계 S1210에서 목적지를 입력받은 후, 동선추적서버(400)에서 단말기(100)로부터 목적지를 수신받아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판독한다(S1220).After receiving the destination in step S1210, the copper line tracking server 400 receives the destination from the terminal 100 and reads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S1220).

상술한 단계 S1220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판독한 후, 길을 따라 바닥에 장착 설치된 동선 가이드 노드(300)에서 보행자의 신발의 바닥에 장착 설치된 보행자식별 태그(200)의 태깅을 감지한다(S1230).After the path from the step S1220 to the destination is read, a tagging of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200 mounted on the floor of the pedestrian's shoes is sensed at a copper guide node 300 mounted on the floor along the path (S1230) .

상술한 단계 S1230에서 태깅을 감지한 후, 동선 가이드 노드(300)에서 감지된 보행자식별 태그(200)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100)의 단말기식별정보를 수신받아 동선추적서버(400)로 전송한다(S1240).After detecting the tagging in step S1230,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0 is received from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200 detected by the copper guide node 300 through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nd is transmitted to the copper line tracking server 400 (S1240).

상술한 단계 S1240에서 단말기식별정보를 전송한 후, 동선추적서버(400)에서 동선 가이드 노드(300)로부터 수신되는 단말기식별정보에 따라 보행자를 확인한다(S1250).After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in step S1240, the tracing server 400 confirms the pedestrian accor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pper guide node 300 in operation S1250.

상술한 단계 S1250에서 보행자가 확인되면, 동선추적서버(400)에서 보행자의 목적지 방향으로 동선 가이드 노드(300)가 점등할 수 있도록 점등제어신호를 생성시켜 동선 가이드 노드(300)로 전송한다(S1260).If the pedestrian is confirmed in step S1250, a light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copper guide node 300 so that the copper guide node 300 can be turned on in the direction of the pedestrian's destination from the copper line tracking server 400 (S1260 ).

상술한 단계 S1260에서 점등제어신호가 전송되며, 동선 가이드 노드(300)에서 동선추적서버(400)로부터 수신되는 점등제어신호에 따라 목적지 방향으로 점등하여 보행자의 길을 인도한다(S1270).In step S1260, the lighting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In step S1270, the road guide node 300 illuminates the direction of the destination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pper tracking server 400 to guide the pedestrian path.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보행자 동선 추적 관리 방법은, 목적지를 입력받아 동선추적서버(400)로 전송하는 단계(S1210) 이전에, 동선추적서버(400)에서 보행자식별 태그(200) 별로 해당 태그의 목적지 및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edestrian track tracking management method having the steps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before the step S1210 of receiving the destination and transmitting the destination to the moving track server 400, And storing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and the destination of the destination in advance.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보행자 동선 추적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단말기(100)에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접속 후, 홈 화면에서 목적지를 입력하면 동선추적서버(400)에서는 입력된 목적지와 가까운 노드를 DB에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는 사용자 근처의 동선 가이드 노드(300)에 착용한 신발을 접촉하면, 동선추적서버(400)에서는 입력된 현재 동선 가이드 노드(300)로부터 목적 동선 가이드 노드(300)까지의 경로를 생성한다. 이와 동시에 현재 동선 가이드 노드(300)에게 다음 동선 가이드 노드(300)로 가는 LED 방향을 전송한다. 현재 동선 가이드 노드(300)는 LED 방향을 출력하고 사용자는 이를 통해 다음 동선 가이드 노드(300)로 이동 가능해진다. 목적 동선 가이드 노드(300)에 도달할 때까지 사용자가 동선 가이드 노드(300)에 신발을 태깅하고 다음 동선 가이드 노드(300)로 이동하는 과정은 반복된다. When the user inputs a destination on the home screen after connecting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100, the moving track server 400 searches for a node closest to the inputted destination to the DB . When the user touches the shoes worn by the copper wire guide node 300 near the user, the copper wire tracking server 400 creates a path from the current copper wire guide node 300 to the destination copper wire guide node 300 . At the same time, the current direction guide node 300 transmits the LED direction to the next copper guide node 300. The current copper guide node 300 outputs the LED direction and the user can move to the next copper guide node 300 through this. The process of tagging the shoes to the copper wire guide node 300 and moving to the next copper wire guide node 300 is repeated until reaching the destination copper wire guide node 300. [

이와 같은, 보행자 동선 추적 관리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Such a pedestrian track trace management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an application or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ones that ar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GPS와 지자기 센서를 이용한 길안내 서비스와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fferentiated service from the conventional navigation service using the GPS and the geomagnetic sensor.

기존 서비스에서 해소되지 않는 길 찾기 서비스의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은 Wi-Fi 모듈, NFC 쉴드, LED 모듈을 통합한 통합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해결책으로 사용했다. 이는 Wi-Fi 통신으로 실내 길 안내 가능하게 하고 NFC 태깅(Tagging)을 통해 별도의 페어링을 요구하지 않는 간편한 접촉을 지향하며, LED 모듈을 통한 방향 제시로 사용자의 가시성을 촉진한다. 이에 사용자는 길 찾기 능력에 상관없는 길안내 서비스를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navigation service which is not solved in the existing service,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integrated hardware device incorporating Wi-Fi module, NFC shield and LED module as a solu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navigate the room through Wi-Fi communication, facilitates easy contact without NFC tagging, and facilitates user's visibility by presenting directions through LED module. Users expect to be able to enjoy route guidance services regardless of their ability to navigate.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길안내 애플리케이션의 틀에서 벗어난 웹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였다. 이는 디바이스의 OS별 호환을 용이하게 하고 컨텐츠 접근 가능성을 높였다. 이에 사용자는 다양한 플랫폼에서 본 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 받을 것이라고 기대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designed a web application that is outside the framework of an existing navigation application. This facilitates device-to-OS compatibility and increased content accessibility. Therefore, we expect users to be able to use this service conveniently on various platforms.

100: 단말기
200: 보행자식별 태그
300: 동선 가이드 노드
310: 노드 본체부
320: 태깅감지부
330: 통신부
340: 점등부
350: 위치 알림부
400: 동선추적서버
500: 네트워크
100: terminal
200: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300: copper guide node
310:
320: tagging detection unit
330:
340:
350: Position notification section
400: Copper tracking server
500: Network

Claims (10)

보행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는 단말기;
보행자의 신발 바닥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식별정보를 저장해 두는 보행자식별 태그;
길을 따라 바닥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보행자식별 태그의 태깅이 감지될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보행자식별 태그로부터 단말기식별정보를 수신받으며, 점등제어신호에 따라 보행자의 목적지 방향으로 점등하는 다수 개의 동선 가이드 노드;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목적지를 수신받아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판독하며,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단말기식별정보에 따라 보행자를 확인한 후 보행자의 목적지 방향으로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가 점등할 수 있도록 점등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로 전송하는 동선추적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는,
길을 따라 바닥에 장착 설치되는 노드 본체부;
상기 노드 본체부의 상부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보행자식별 태그의 태깅을 감지한 후 상기 보행자식별 태그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식별정보를 수신받는 태깅감지부;
상기 태깅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단말기식별정보를 상기 동선추적서버로 전송한 후 상기 동선추적서버로부터 점등제어신호를 수신받는 통신부; 및
상기 노드 본체부가 장착 설치된 곳의 갈림길 방향을 각각 지시하며, 점등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보행자의 목적지 방향으로 형성되는 갈림길을 지시하며 점등할 수 있도록 상기 노드 본체부의 상부에 각각 장착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점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동선 추적 관리 웹 시스템.
A terminal for receiving a destination from a pedestrian;
A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mounted on a shoe floor of a pedestrian and stor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is mounted on a floor along a road and receive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hen tagging of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is detected, and a plurality of A copper guide node; And
A route to the destination is received, a pedestrian is confirmed accor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pper guide node, and a lighting control signal is generated so that the copper guide node can be turned on toward the destination of the pedestrian To the copper wire guide node,
Wherein the copper guide node comprises:
A node main body mounted on a floor along a road;
A tagging sensing unit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node body for sensing tagging of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and receiv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through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agging sensing unit to the copper tracking server and receiving a lighting control signal from the copper tracking server; And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node body unit so as to indicate a turning path formed in the destination direction of the pedestrian in response to the lighting control signal, Wherein the web tracking system compris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는,
상기 노드 본체부의 상부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동선추적서버로부터 위치확인 요청신호가 수신될 경우, 자신이 장착 설치된 위치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측 방향으로 발광하여 건물의 천장에 미리 설정된 정보를 표시하는 위치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동선 추적 관리 웹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reset information on the ceiling of the building when the positioning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pper line tracking server, Further comprising a notification unit operable to notify the wristwatch tracking management web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보행자가 목적지를 찾아가는 도중 상기 가이드 노드의 위치를 찾을 수 없는 경우, 보행자로부터 찾고자 하는 상기 가이드 노드 위치 확인의 요청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동선 추적 관리 웹 시스템.
4. Th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when the pedestrian is unable to find the position of the guide node while the pedestrian is searching for the destination, the pedestrian receives a request for the position determination of the guide node to be searched from the pedestria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선추적서버는,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로부터 동일한 상기 보행자식별 태그로부터 미리 설정된 패턴의 태깅이 입력되어 생성된 복귀요청신호가 수신될 경우, 처음 출발하였던 출발지 방향으로 점등할 수 있도록 점등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동선 추적 관리 웹 시스템.
The mobile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n a return request signal generated by inputting tagging of a predetermined pattern from the sam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is received from the copper guide node, a lighting control signal is generated so as to be illuminated in the departure direction from which the vehicle was first started, Wherein the web tracking system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식별 태그는,
각각의 태그 별로 특정 목적지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두며,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에 의해 태깅될 경우 설정해 두었던 목적지로의 경로를 요청하기 위한 경로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동선 추적 관리 웹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comprises:
And a route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a route to a destination that has been set when tagged by the copper guide node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선추적서버는,
보행자가 동선을 벗어나 목적지까지의 경로 이외의 장소에 장착 설치된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에 태깅되었음이 확인된 경우, 현재 위치의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로부터 입력받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재판독한 후 이에 대응하는 점등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동선 추적 관리 웹 시스템.
The mobile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pedestrian is confirmed to be tagged to the copper guide node mounted at a place other than the copper route to the destination, the route from the copper guide node at the current position to the destination received is rea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ignal to the copper guide node.
단말기에서 목적지를 입력받아 동선추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동선추적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목적지를 수신받아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판독하는 단계;
길을 따라 바닥에 장착 설치된 동선 가이드 노드에서 보행자의 신발의 바닥에 장착 설치된 보행자식별 태그의 태깅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에서 감지된 상기 보행자식별 태그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식별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동선추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동선추적서버에서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단말기식별정보에 따라 보행자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동선추적서버에서 보행자의 목적지 방향으로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가 점등할 수 있도록 점등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에서 상기 동선추적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점등제어신호에 따라 목적지 방향으로 점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점등제어신호는,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가 장착 설치된 곳의 갈림길 방향을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가 점등하도록 지시하고, 보행자의 목적지 방향으로 형성되는 갈림길을 상기 동선 가이드 노드가 점등하도록 지시하는 것인 보행자 동선 추적 관리 방법.
Receiving a destination from a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destination to a copper line tracking server;
Receiving a destination from the terminal in the copper wire tracking server and reading a path to a destination;
Sensing tagging of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mounted on the floor of the pedestrian's shoe at a copper guide node mounted on the floor along the road;
Receiv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pedestrian identification tag detected by the copper guide node, and transmitt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copper line tracking server;
Confirming a pedestrian according to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pper guide node at the copper line tracking server;
Generating a lighting control signal so that the copper guide node can be turned on in the direction of the destination of the pedestrian from the copper line tracking server to transmit to the copper guide node; And
And lighting in a destination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a lighting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pper wire tracking server at the copper wire guide node,
The on-
And instructs the copper wire guide node to turn on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place where the copper wire guide node is installed and instructs the copper wire guide node to turn on the turning mark formed in the destination direction of the pedestria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를 입력받아 동선추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동선추적서버에서 상기 보행자식별 태그 별로 해당 태그의 목적지 및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동선 추적 관리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eliminarily storing a path from the trail tracking server to a destination and a destination of the corresponding tag by the pedestrian ID tag before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destination to the trail tracking server after receiving the destination, How to track copper wire.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보행자 동선 추적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for carrying out a method for tracking a pedestrian movement li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and 9.
KR1020170158387A 2017-11-24 2017-11-24 Pedestrian Movement Tracking Web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9945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387A KR101994542B1 (en) 2017-11-24 2017-11-24 Pedestrian Movement Tracking Web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387A KR101994542B1 (en) 2017-11-24 2017-11-24 Pedestrian Movement Tracking Web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311A KR20190060311A (en) 2019-06-03
KR101994542B1 true KR101994542B1 (en) 2019-06-28

Family

ID=66849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387A KR101994542B1 (en) 2017-11-24 2017-11-24 Pedestrian Movement Tracking Web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54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464B1 (en) * 2019-12-16 2021-09-06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based road guidan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0533A (en) * 2008-03-31 2009-10-22 Railway Technical Res Inst Functional evaluation device for braille block position inform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KR100961811B1 (en) * 2007-11-29 2010-06-08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system for route guide service using mobile rfi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644B1 (en) 2013-04-30 2014-10-2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Loitering Detection Using a Pedestrian Tracker
KR20160004084A (en) 2014-07-02 2016-01-12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edestrian Tracking apparatus and method at indoors
KR20170033583A (en) * 2015-09-17 2017-03-27 (주)포스트미디어 Directional Sign System Using Smart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811B1 (en) * 2007-11-29 2010-06-08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system for route guide service using mobile rfid
JP2009240533A (en) * 2008-03-31 2009-10-22 Railway Technical Res Inst Functional evaluation device for braille block position inform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311A (en) 201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4873B1 (en) Enhanced guidance for electronic devices using objects within in a particular area
JP6279125B2 (en) A method for requesting an autonomous vehicle to the current location of a mobile device and a product to request an autonomous vehicle to the current location of a computer device
KR10085909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avigating using rfid
US10012508B2 (en) Providing directions to a location in a facility
KR101642879B1 (en) Method for securely delivering indoor positioning data and applications
KR101970920B1 (en) Method for estimating indoor posi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parking path using the same
KR20170130234A (en) Electronic Apparatus providing indoor navigation and method thereof
KR1014659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 detecting and communication of device
CN103328930A (en) Non-map-based mobile interface
KR10167657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KR20180040933A (en) Smart parking lot service system and method
KR20160142216A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parking position of vehicle using user mobile terminal
JP6624406B2 (en) Position search system, position search method, transmitting device, position detection device, and equipment
US20210090441A1 (en)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
KR101994542B1 (en) Pedestrian Movement Tracking Web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160086717A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y bending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KR101451765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2016009019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indoor position using wireless signal
CN113156951A (en) Task transmiss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1677637B1 (en) Method for providing route guide using image projection and mobile terminal using this method
KR102073551B1 (e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a point,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KR20130020060A (e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KR102145160B1 (en) System for providing target service using beacon apparatu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arget service in the system and storage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f
US20140336843A1 (en) Navigation environment establishing method for an intelligent moving-assistance apparatus
KR20140089105A (e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route of pedestri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