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3715B1 - Toothbrush sterilizer having ability to hold the cup upside down - Google Patents

Toothbrush sterilizer having ability to hold the cup upside dow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3715B1
KR101993715B1 KR1020170121889A KR20170121889A KR101993715B1 KR 101993715 B1 KR101993715 B1 KR 101993715B1 KR 1020170121889 A KR1020170121889 A KR 1020170121889A KR 20170121889 A KR20170121889 A KR 20170121889A KR 101993715 B1 KR101993715 B1 KR 101993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toothpaste
toothbrush
toothbrush sterilizer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8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33289A (en
Inventor
이형영
Original Assignee
이형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영 filed Critical 이형영
Priority to KR1020170121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715B1/en
Publication of KR20190033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2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7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 A46B17/065Sterilising brushes; products integral with the brush for sterilising, e.g. tablets, rinse, disinfecta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8Accessories for toilet tables, e.g. glass plates, supports therefor
    • A47K1/09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 brushes, hair bru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컵을 뒤집어서 보관하도록 된 칫솔 살균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컵을 뒤집어서 보관하도록 된 칫솔 살균기는, 내부에 칫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칫솔 수용부에 수용되는 칫솔을 건조시키고 살균 소독하도록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건조 살균 수단이 내장되며,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를 구비하여 벽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칫솔 살균기에 있어서, 상향으로 개구된 치약 안착부를 구비한 치약 보관부재 또는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어 음이온을 발생하도록 된 음이온 발생부재 또는 튜브형태의 치약이 장착되는 치약짜개로 이루어져 상기 칫솔 살균기의 측면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보조체; 사용자가 양치할 때 사용하도록 된 컵; 및 사용이 완료된 상기 컵이 뒤집어진 상태에서 바닥이 상기 보조체의 저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컵의 바닥과 상기 보조체의 저면에 구비되는 컵 탈부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칫솔 살균기의 측면에 치약 보관부재를 구비시킴으로써 치약의 보관 및 사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치약 보관부재 대신에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시킴으로써 칫솔 살균기가 구비된 공간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으며, 치약 보관부재, 음이온 발생기 또는 치약짜개와 같은 보조체의 저면에 양치에 사용한 컵을 거꾸로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음으로써 양치에 사용한 컵의 물기제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유입되어 쌓이는 현상을ㅂ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컵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Disclosed is a toothbrush sterilizer adapted to store a cup turned upside down. Th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othbrush receiving portion formed therein and having a drying and sterilizing means that is operated by a power source applied to dry and sterilize the toothbrush received in the toothbrush receiving portion, A toothbrush sterilizer provided with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a front surface of a toothbrush sterilizer, the toothbrush sterilizer comprising: a toothpaste storing member having a toothpaste seating portion opened upward; and an anion generating member or tube An auxiliary body formed of a toothpaste to which a toothpaste of the toothpaste is attached and used by being attached to a sid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A cup intended for use by the user; And a cup removing and attaching mean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up and the bottom of the auxiliary body so that the bottom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body in a state where the used cup is turned upside down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othpaste can be easily stored and used by providing a toothpaste storing member on the side surfac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In addition, since an anion generator is provided instead of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the air in the space provided with the toothbrush sterilizer can be purified ,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the negative ion generator, or the toothpaste can b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auxiliary body such that the cup used for brushing can be stored upside down, thereby efficiently removing water from the cup used for brush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and to provide an effect of preventing loss of the cup.

Figure R1020170121889
Figure R1020170121889

Description

컵을 뒤집어서 보관하도록 된 칫솔 살균기{TOOTHBRUSH STERILIZER HAVING ABILITY TO HOLD THE CUP UPSIDE DOW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sterilizer,

본 발명은 컵을 뒤집어서 보관하도록 된 칫솔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에 걸어 사용되는 칫솔 살균기의 치약 보관장치에 양치할 때 사용하는 컵을 뒤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컵에서 물기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고, 이물질이 유입되어 쌓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컵을 항상 정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고, 컵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컵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컵을 뒤집어서 보관하도록 된 칫솔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sterilizer adapted to store a cup inverted and stor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othbrush sterilizer for hanging on a wal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from being accumulated and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from being accumulated. By positioning the cup at the right pos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to prevent loss of the cup, and to use the cup in a sanitary mann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sterilizer adapted to store a cup having an inverted shape.

일반적으로 칫솔 살균기는, 칫솔을 사용한 후에 물로 세척한 상태에서 칫솔 모에 있는 세균을 살균시킴으로 항상 청결한 상태로 칫솔을 유지시키는 것이다. Generally, a toothbrush sterilizer keeps the toothbrush clean in a clean state by sterilizing the bacteria in the toothbrush when the toothbrush is used and then washed with water.

이러한 칫솔 살균기는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Such toothbrush sterilizers have been developed variously.

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96994호에는 내부에 발열판을 가지는 칫솔 살균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칫솔 살균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의 전면에 도어(3)가 구비되고 몸체(2)의 내부에는 격벽(4)이 구비되며 상기 격벽(4)의 전방에 칫솔(10)을 정렬하는 정렬부(5)가 구비되며 상기 정렬부(5)에 칫솔(10)이 정렬된 상태에서 칫솔 모(11)를 살균하는 자외선램프(6)가 구비되고 상기 격벽(4)의 후방에는 자외선램프(6)에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부(7)가 구비된 칫솔살균기(1)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7)에 구비된 발열저항을 회로부(7)의 회로기판에서 분리한 상태로 연결한 후 격벽(4)에 발열저항을 부착하여 발열저항의 일면이 격벽(4)의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노출된 상태의 발열저항에 금속판(9)을 부착한 것이다. As a conventional techniqu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96994 discloses a toothbrush sterilizer having a heating plate inside. 1, a door 3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2, a partition 4 is provided in the body 2, a toothbrush 4 is provided in front of the partition 4, And an ultraviolet lamp 6 for sterilizing the toothbrush 11 in a state in which the toothbrush 10 is aligned with the aligning part 5 is provided on the partition wall 4 (1) comprising a circuit part (7) for supplying power to an ultraviolet lamp (6) at the rear of the circuit part (7),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provided in the circuit part (7) And a heating resistor is attached to the partition wall 4 so that one side of the heating resistor is exposed to the front of the partition wall 4 and the metal plate 9 is attached to the heating resistor in the exposed state.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5254호에는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칫솔 살균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칫솔 살균기는, 다수개의 칫솔을 정렬하기 위한 정렬부(7)와, 정렬된 칫솔의 세균을 살균하는 자외선 램프(12)가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2)의 전면에는 내부에 정렬된 칫솔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투시창(3d)이 구비된 도어(3)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공지의 칫솔살균기(1)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7)의 후단부에는 건조부(11)가 형성되고, 수납실(2c)의 측벽과 도어(3)의 측벽에는 몸체(2) 내부의 공기정화를 위한 광촉매액(T)이 코팅되어 이루어진다. As another prior art,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15254 discloses a toothbrush sterilizer having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Such a toothbrush sterilizer comprises a body having an alignment section (7) for aligning a plurality of toothbrushes, an ultraviolet lamp (12) for sterilizing the bacteria of the aligned toothbrush, and a body A known toothbrush sterilizer (1) having a door (3) integrally formed with a sight window (3d) so that the toothbrush can be visually recognized is provided with a drying part (11) at the rear end of the alignment part (7) And a photocatalyst liquid T for purifying air inside the body 2 is coated on the side wall of the storage chamber 2c and the side wall of the door 3. [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칫솔 살균기들은 벽에 설치된 상태에서 칫솔을 걸어 보관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음이온 등을 방출하여 칫솔을 건조 살균하고 공기를 정화하도록 구성된다. Such prior art toothbrush sterilizers are configured not only to store and hold a toothbrush in a state of being installed on a wall, but also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or to discharge negative ions to dry and sanitize the toothbrush, and purify the air.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에 의한 칫솔 살균기는 사용자가 사용한 칫솔을 보관하는 기능, 건조 살균하는 기능 이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사용자에게 불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does not have a function other than the function of storing the toothbrush used by the user and the function of drying and sterilizing, thereby providing inconvenience to the user.

즉, 종래기술에 의한 칫솔 살균기는 칫솔의 보관과 소독, 살균, 건조의 기능 이외에, 컵을 보관하는 기능 등이 구비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는 양치를 한 후에 별도의 장소에 보관된 컵을 이용한 후, 사용한 컵은 다른 장소에 보관하고 칫솔은 칫솔 살균기에 수납하여 보관하는 불편한 행위를 할 수밖에 없었다. That is, the prior art toothbrush sterilizer does not have a function of storing cups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storing, disinfecting, disinfecting, and drying the toothbrush,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cup stored in a separate place after brushing , The cup used was kept in a different place, and the toothbrush had to be housed in a toothbrush sterilizer to perform an uncomfortable act.

.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96994호.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96994 .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5254호.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15254

본 발명의 목적은, 칫솔 살균기의 측면에 치약짜개, 치약을 보관하도록 된 치약 보관부재 또는 음이온을 방출하도록 된 음이온 발생부재로 이루어진 보조체를 구비시켜 치약을 보관하거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양치할 때 사용하는 컵을 뒤집어서 거꾸로 보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xiliary body made of a toothpaste, a toothpaste storing member for storing toothpaste, or an anion generating member for discharging anion on the sid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And a means for reversing the cup used for brushing and inverting the cup.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t least partially solve the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arts. It can be understoo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칫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칫솔 수용부에 수용되는 칫솔을 건조시키고 살균 소독하도록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건조 살균 수단이 내장되며,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를 구비하여 벽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칫솔 살균기에 있어서, 상향으로 개구된 치약 안착부를 구비한 치약 보관부재 또는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어 음이온을 발생하도록 된 음이온 발생부재 또는 튜브형태의 치약이 장착되는 치약짜개로 이루어져 상기 칫솔 살균기의 측면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보조체; 사용자가 양치할 때 사용하도록 된 컵; 및 사용이 완료된 상기 컵이 뒤집어진 상태에서 바닥이 상기 보조체의 저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컵의 바닥과 상기 보조체의 저면에 구비되는 컵 탈부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을 뒤집어서 보관하도록 된 칫솔 살균기에 의해 달성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othbrush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toothbrush receiving portion, wherein the toothbrush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drying sterilizing means that is operated by a power source applied to dry and sterilize and disinfect the toothbrush received in the toothbrush receiving portion, A toothbrush sterilizer installed on a wall with a cover, comprising: a toothpaste storing member having a toothpaste seating portion opened upward; or an anion generating member or tube-shaped toothpaste operated by a supplied power source to generate anion A toothbrush sterilizer, and a toothbrush sterilizer; A cup intended for use by the user; And a cup attaching / detaching mean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up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body so that the bottom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body in a state where the used cup is turned upside down. And a toothbrush sterilizer adapted to store the cup inverted.

상기 컵 탈부착수단은, 상기 보조체의 저면에 구비되는 자석 및 상기 컵의 바닥에 구비되는 자석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결합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보조체의 저면에 마련되는 끼움돌부 및 상기 끼움돌부가 슬라이딩되어 끼움 결합되도록 컵의 바닥에 형성되는 끼움홈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보조체의 저면에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들과, 상기 걸림돌기들이 각각 삽입되어 걸리도록 상기 컵의 바닥에 경사면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삽입홈 및 걸림홈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보조체의 저면과 상기 컵의 바닥에 각각 결합되는 후크와 루프로 구성된 벨크로테이프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up attaching / detaching means may be composed of a magnet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body and a coupling body made of a magnet or a metal material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up, or a fitting projection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body and the fitting projection And an engaging project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body so as to protrude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and an inclined surface on the bottom of the cup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s are inserted and engaged, respectively And a hook and a loop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auxiliary body and the bottom of the cup, respectively.

상기 컵 탈부착수단은, 상기 보조체의 저면에 구비되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컵은 상기 자석에 부착되도록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up attaching / detaching means may comprise a magnet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body, and the cup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o as to be attached to the magnet.

상기 보조체의 저면에는, 상기 자석, 끼움돌부, 걸림돌기 또는 벨크로테이프가 설치되거나 형성되기 위한 저면 설치부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컵의 바닥에는, 상기 결합체, 끼움홈, 삽입홈 및 걸림홈 또는 벨크로 테이프가 설치되거나 형성되기 위한 바닥 설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 설치부는, 상기 컵의 바닥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바닥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body is provided with a downwardly protruding lower surface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or forming the magnet, the fitting protrusion, the locking protrusion or the Velcro tape, and the bottom of the cup is provided with the coupling body, Or a floor mounting part for forming or forming a Velcro tape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up, and the floor mounting part may be form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bottom surface so as not to protrude furt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cup.

상기 보조체가 치약 보관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치약 보관부재는, 저면에 상기 저면 설치부가 형성된 하부판; 일측면에 상기 칫솔 살균기의 측면에 끼움결합 또는 자력에 의해 결합되기 위한 결합수단이 마련되고, 상면에는 치약의 뚜껑이 삽입되기 위한 뚜껑 삽입홈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에 치약 안착부를 형성하도록 양단이 상기 몸체의 내측벽에 끼움 결합되는 치약 지지부재; 및 상기 치약 지지부재의 양단이 삽입된 상기 내측벽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치약 지지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내측벽의 상단을 커버하기 위한 캡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auxiliary body is made of a toothpaste storing member,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includes a bottom plate having the bottom surface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A body having a lid inserting groove for inserting a lid of the toothpaste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A toothpaste supporting member whose both ends are fitted to the inner side wall of the body so as to form a toothpaste receiving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a cap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inner wall to which the opposite ends of the toothpaste support member are inserted to prevent the toothpaste support member from coming off and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inner wall.

상기 칫솔 살균기의 측면 양쪽에는 한 쌍의 끼움돌기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하부로부터 상향으로 끼워지기 위한 한 쌍의 몸체 결합홈이 하향 및 측면 방향으로만 개구되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칫솔 살균기의 측면에는 한 쌍의 측면 결합홈이 상향 및 측면 방향으로만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측면 결합홈에 상부에서 하향으로 끼워지기 위한 한 쌍의 몸체 끼움돌기가 각각 형성되거나, 상기 칫솔 살균기의 측면과,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는 자석들이 각각 설치되거나 자석과 금속체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A pair of fitt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air of body fitting grooves for fitting the fitting protrusions upward from the bottom are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body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lateral direction A pair of side coupl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to be open only upward and in a lateral direction, and one side of the body is provided with a pair of side coupling grooves And a magnet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and a side surface of the body, or a magnet and a metal body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칫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칫솔 수용부에 수용되는 칫솔을 건조시키고 살균 소독하도록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건조 살균 수단이 내장되며,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를 구비하여 벽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칫솔 살균기에 있어서, 상기 칫솔 살균기의 저면과 컵의 바닥에는, 상기 컵을 거꾸로 뒤집어 상기 저면에 부착하여 보관하도록 하기 위한 컵 부착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컵 부착수단은, 상기 칫솔 살균기의 저면에 구비되는 자석 및 상기 컵의 바닥에 구비되는 자석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결합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칫솔 살균기의 저면에 마련되는 끼움돌부 및 상기 끼움돌부가 슬라이딩되어 끼움 결합되도록 컵의 바닥에 형성되는 끼움홈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칫솔 살균기의 저면에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들과, 상기 걸림돌기들이 각각 삽입되어 걸리도록 상기 컵의 바닥에 경사면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삽입홈 및 걸림홈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칫솔 살균기의 저면과 상기 컵의 바닥에 각각 결합되는 후크와 루프로 구성된 벨크로테이프들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칫솔 살균기의 저면에 구비되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컵은 상기 자석에 부착되도록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을 뒤집어서 보관하도록 된 칫솔 살균기에 의해 달성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othbrush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toothbrush receiving portion, wherein the toothbrush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drying sterilizing means that is operated by a power source applied to dry and sterilize and disinfect the toothbrush received in the toothbrush receiving portion, A toothbrush sterilizer installed on a wall provided with a cover, wherein a bottom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and a bottom of the cup are provided with cup attaching means for inverting the cup so as to be attached to the bottom and storing the cup, The means comprises a magnet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and a magnet or metallic material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up or a fitting protrusion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and a fitting protrusion And a fitting groov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up, or a bottom surfac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And an engaging groov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up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s are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trusions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s are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trusions, Wherein the cup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o as to be attached to the magnet, and the cup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o as to be attached to the magnet. Is accomplished by a toothbrush sterilizer.

본 발명에 의하면, 칫솔 살균기의 측면에 치약 보관부재를 구비시킴으로써 치약의 보관 및 사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치약 보관부재 대신에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시킴으로써 칫솔 살균기가 구비된 공간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othpaste can be easily stored and used by providing a toothpaste storing member on the side surfac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and an anion generator can be provided instead of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to clean the air in the space provided with the toothbrush sterilizer Effect can be provided.

또한, 치약 보관부재, 음이온 발생기 또는 치약짜개와 같은 보조체의 저면에 양치에 사용한 컵을 거꾸로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음으로써 양치에 사용한 컵의 물기제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유입되어 쌓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컵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up used for brushing can be stored by being attached upside dow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body such as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the negative ion generator, or the toothpaste, water can be efficiently removed from the cup used for brush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accumulation,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and to provide an effect of preventing loss of the cup.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칫솔 살균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컵을 뒤집어서 보관하도록 된 칫솔 살균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컵을 뒤집어서 보관하도록 된 칫솔 살균기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컵을 뒤집어서 보관하도록 된 칫솔 살균기를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컵을 뒤집어서 보관하도록 된 칫솔 살균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컵을 뒤집어서 보관하도록 된 칫솔 살균기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컵을 뒤집어서 보관하도록 된 칫솔 살균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컵을 뒤집어서 보관하도록 된 칫솔 살균기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칫솔 살균기와 보조체의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보조체가 음이온 발생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칫솔 살균기의 저면에 컵을 뒤집어 보관하도록 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1 and 2 are diagrams showing a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othbrush sterilizer adapted to store a cu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ed stat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adapted to store the cup shown in FIG. 3 upside down.
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oothbrush sterilizer adapted to store the cup shown in Figs. 3 and 4;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oothbrush sterilizer adapted to store a cu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oothbrush sterilizer adapted to store a cu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a toothbrush sterilizer adapted to store a cup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artially enlarged sectional view showing a toothbrush sterilizer adapted to store a cup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and the auxiliary body shown in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auxiliary body shown in Fig. 3 is made of an anion generating member.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p is turned upside down and stor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컵을 뒤집어서 보관하도록 된 칫솔 살균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컵을 뒤집어서 보관하도록 된 칫솔 살균기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컵을 뒤집어서 보관하도록 된 칫솔 살균기를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othbrush sterilizer adapted to store a cu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shown in FIG. And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toothbrush sterilizer adapted to store the cup shown in Figs. 3 and 4 in an inverted state.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을 뒤집어서 보관하도록 된 칫솔 살균기(30)는, 내부에 칫솔 수용부(32)가 형성되고, 칫솔 수용부(32)에 수용되는 칫솔을 건조시키고 살균 소독하도록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건조 살균 수단이 내장되며,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34)를 구비하여 벽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상향으로 개구된 치약 안착부(42E)를 구비한 치약 보관부재(42)로 이루어져 칫솔 살균기(30)의 측면(31)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보조체(40)와, 사용자가 양치할 때 사용하도록 된 컵(50)과, 사용이 완료된 컵(50)을 보조체(40)의 저면에 분리 분리 가능하게 거꾸로 결합시키도록 보조체(40)의 저면과 컵(50)의 바닥 사이에 구비되는 컵 탈부착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3 to 5, the toothbrush sterilizer 30, which is housed with the cup turned upside down, has a toothbrush receiving portion 32 formed therein. The toothbrush accommodated in the toothbrush receiving portion 32 is dried and sterilized And a cover 34 for opening / closing the front surface. The toothbrush receiving portion 42E has an upwardly opened toothpaste seating portion 42E. An auxiliary body 40 which is composed of a storage member 42 and is coupled to the side surface 31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30, a cup 50 to be used when the user brushes the toothbrush, And a cup attaching / detaching means (60) provided between the bottom of the auxiliary body (40) and the bottom of the cup (50) so as to detachably and inversely engage the bottom of the auxiliary body (40).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is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칫솔 살균기(30)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살균램프 및 발열판 등으로 이루어진 건조 살균 수단이 내장된다. 그리고 커버(34)를 개방하여 칫솔 수용부(32)에 칫솔을 거치하여 보관하거나, 커버(34)를 폐쇄하여 보관된 칫솔이 오염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살균램프의 빛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The toothbrush sterilizer (30) incorporates a drying and sterilizing means such as a sterilizing lamp and a heating plate which are illuminated by an applied power source. Then, the cover 34 is opened to store the toothbrush in the toothbrush receiving portion 32, or the cover 34 is closed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stored toothbrush, and light from the sterilizing lamp is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

이와 같은 구조의 칫솔 살균기(30)의 측면(31) 양쪽에는, 한 쌍의 끼움돌기(31A)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 끼움돌기(31A)들은 보조체(40), 즉 치약 보관부재(42)의 몸체(42A) 일측면(42B)에 하향 및 측면 방향으로만 개구되어 형성된 한 쌍의 몸체 결합홈(42C)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몸체(42A)가 측면(31)에 결합되도록 한다. On both sides of the side surface 31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30 having such a structure, a pair of fitting protrusions 31A ar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tting protrusions 31A are inserted into a pair of body coupling grooves 42C formed in the auxiliary body 40, i.e., one side 42B of the body 42A of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42, So that the body 42A is engaged with the side surface 31 by engaging.

한편, 이러한 결합구조와는 반대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 살균기(30)의 측면(31)에는 한 쌍의 측면 결합홈(31B)이 상향 및 측면 방향으로만 개구되어 형성되고, 몸체(42A)의 일측면(42B)에는 측면 결합홈(31B)에 상부에서 하향으로 끼워지기 위한 한 쌍의 몸체 끼움돌기(42D)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12, a pair of side coupling grooves 31B are formed in the side surface 31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30 so as to be open only upward and in the lateral direction, A pair of body fitting protrusions 42D for fitting downwardly from the upper portion into the side fitting groove 31B may be formed on one side 42B of the body 42A.

이와 같이, 몸체(42A)는 끼움돌기(31A)와 몸체 결합홈(42C)의 결합수단 또는 측면 결합홈(31B)과 몸체 끼움돌기(42D)의 결합수단에 의해 칫솔 살균기(30)의 측면(31)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body 42A is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30 by the engaging means of the engaging projection 31A and the body engaging groove 42C or the engaging means of the side engaging recess 31B and the body fitting projection 42D 31, respectively.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칫솔 살균기(30)의 측면(31)과, 몸체(42A)의 일측면(42B)에는 자석들이 각각 설치되거나 자석과 금속체가 각각 설치되어 몸체(42A)가 자력에 의해 칫솔 살균기(30)의 측면(31)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magnets are mounted on the side surface 31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30 and a side surface 42B of the body 42A, respectively, or a magnet and a metal body are respectively installed, To the side surface 31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30. As shown in Fig.

칫솔 살균기(30)의 측면(31)에 탈부착 되는 보조체(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치약 보관부재(42)로 이루어진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The auxiliary body 40 detachably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31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30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42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치약 보관부재(42)로 이루어진 보조체(40)는, 저면에 저면 설치부(43A)가 형성된 하부판(43)과, 일측면(42B)에 칫솔 살균기(30)의 측면(31)에 끼움결합 또는 자력에 의해 결합되기 위한 결합수단이 마련되고, 상면에는 치약의 뚜껑이 삽입되기 위한 뚜껑 삽입홈(42D)과 치약 안착부(42E)가 형성된 몸체(42A)와, 몸체(42A)의 상면에 치약 안착부(42E)를 형성하도록 양단이 몸체(42A)의 내측벽에 형성되는 홈(42G)에 상부에서 하향으로 끼움 결합되는 링 형상의 치약 지지부재(45)와, 치약 지지부재(45)의 양단이 삽입된 내측벽의 상단에 결합되어 치약 지지부재(45)의 이탈을 방지하고 내측벽의 상단을 커버하기 위한 캡(4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uxiliary body 40 composed of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42 has a bottom plate 43 having a bottom surface mounting portion 43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and a side plate 42B fitted on the side surface 31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30 A body 42A having a lid insertion groove 42D and a toothpaste receiving portion 42E for inserting a lid of toothpaste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42A; A ring-shaped toothpaste support member 45 whose both ends are fitted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into a groove 42G formed at the inner wall of the body 42A so as to form a toothpaste seating portion 42E, And a cap 47 for preventing the toothpaste supporting member 45 from coming off and covering the upper end of the inner wall.

이때, 몸체(42A)의 내측면에는 상부에서 하향으로 한 쌍의 홈(42G)이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홈(42G)에는 개구된 링 형상으로 된 치약 지지부재(45)의 양단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At this time, a pair of grooves 42G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body 42A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and both ends of the ring-shaped toothpaste supporting member 45 opened into each groove 42G are inserted .

그리고, 뚜껑 삽입홈(42D)에는 치약에 묻은 물기를 배출하기 위한 물 배수공(42F)이 천공된다. The lid inserting groove 42D is formed with a water drain hole 42F for discharging the dirt from the tooth paste.

한편, 저면 설치부(43A)는 하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하부판(43)의 저면보다 더 하향으로 돌출되어 저면 설치부(43A)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저면 설치부(43A)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은 컵(50)의 바닥에 형성되는 바닥 설치부(51A)가 바닥면(51)보다 더 낮은 높이로 형성되기 때문에, 탈부착수단(60)을 구성하는 부품이 결합되는 저면 설치부(43A)가 바닥 설치부(51A) 쪽으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컵(50)의 바닥 설치부(51A)가 바닥면(51)보다 더 돌출될 경우에 컵(50)을 바닥에 놓았을 때 컵(50)의 안착상태가 불안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컵(50)의 바닥면(51) 가장자리보다 바닥 설치부(51A)가 더 함몰되어 형성됨으로써, 컵(50)을 바닥에 놓았을 때, 바닥 설치부(51A)에 구비되는 컵 탈부착수단(60)의 부품이 바닥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이에 부합되도록 전술한 저면 설치부(43A)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컵(50)을 보조체(40)의 저면에 부착했을 때 컵(50)의 바닥면(51) 가장자리는 보조체(40)의 저면에 밀착되고, 저면 설치부(43A)에 구비된 컵 탈부착수단(60)의 부품은 바닥 설치부(51A)에 구비된 컵 탈부착수단(60)의 부품과 결합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bottom surface mounting portion 43A is formed protruding downward. That is, the bottom surface 43A is formed so as to project further downward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43. [ The bottom mounting part 43A is protruded downward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bottom mounting part 51A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up 50 is form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bottom face 51, So that the bottom surface mounting portion 43A to which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bottom surface mounting portion 51A are coupled is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mounting portion 51A side. This is for preventing the seating state of the cup 50 from becoming unstable when the cup 50 is placed on the floor when the floor mounting portion 51A of the cup 50 protrudes more than the floor surface 51 . The bottom attachment portion 51A is further recessed than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51 of the cup 50 so that when the cup 50 is placed on the floor, When the cup 50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body 40 so as to prevent the parts of the cup 50 from interfering with the bottom, The part of the cup attaching / detaching means 60 provided on the bottom setting portion 43A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body 40 and the cup attaching / detaching means 60 provided on the bottom setting portion 51A, (60).

컵(50)은, 사용자가 양치시 사용한 후 보조체(40)의 저면에 거꾸로 부착하여 보관하도록 된 것으로, 바닥면(51)의 중앙에는 바닥면(51)보다 낮은 높이의 바닥 설치부(51A)가 형성된다. 이 바닥 설치부(51A)에는 컵 탈부착수단(60)의 부품이 결합된다. The cup 50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body 40 after being used for brushing by the user and is stor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51. The bottom surface 51A Is formed. A part of the cup attaching / detaching means (60) is coupled to the floor mounting portion (51A).

컵 탈부착수단(60)은, 사용이 완료된 컵(50)이 뒤집어진 상태에서 바닥이 하부를 향하도록 치약 보관부재(42)의 저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컵(50)의 바닥과 치약 보관부재(42)의 저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보조체(40), 즉 치약 보관부재(42)의 하부를 이루는 하부판(43)의 저면에 형성된 저면 설치부(43A)에 구비되는 자석(62A)과, 컵(50)의 바닥에 형성되는 바닥 설치부(51A)에 구비되는 자석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결합체(62B)로 이루어진다. 만약, 바닥 설치부(51A)에 설치되는 결합체(62B)가 자석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저면 설치부(43A)에 설치되는 자석(62A)과 결합체(62B)의 자석의 극성은 서로 달라야 함은 당연하고, 자석(62A)과 결합체(62B)의 위치가 바뀌어 설치될 수도 있다. The cup attaching / detaching means 6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42 so that the bottom faces down when the used cup 50 is turned upside down, The magnet 62A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mounting portion 43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43 forming the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body 40, that is,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42, And a coupling body 62B made of a magnet or a metal material provided on a floor installation part 51A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up 50. [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polarities of the magnets of the magnets 62A and 62B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mounting portion 43A should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the coupling body 62B provided on the floor installation portion 51A is made of a magnet And the position of the magnet 62A and the coupling member 62B may be changed.

그리고, 자석(62A)는 하부판(43)을 성형할 때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하부판(43)과 일체화될 수 있고, 나사나 접착제 등에 의해 하부판(43)의 저면 설치부(43A)에 결합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물론, 결합체(62B)도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컵(50)의 바닥 설치부(51A)와 일체화되거나 나사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자석(62A)과 결합체(62B)는 끼움 구조나 삽입구조에 의해 하부판(43) 및 컵(50)과 일체화될 수 있다. The magnet 62A can be integrated with the lower plate 43 by insert injection molding when the lower plate 43 is molded and can be integrated with the bottom mounting portion 43A of the lower plate 43 by screws or an adhesive . Of course, the assembly 62B may also be integrated with the bottom mounting portion 51A of the cup 50 by insert injection molding, or may be integrated by screws or an adhesive or the like. Further, the magnet 62A and the coupling body 62B can be integrated with the lower plate 43 and the cup 50 by a fitting structure or an insertion structure.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62A)가 하부판(43)의 내측에 인서트 사출로 일체화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와 같이 자석(62A)가 하부판(43)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미관이 향상됨은 물론, 부식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결합체(62B)도 컵(50)의 바닥 설치부(51A)에 인서트 사출로 일체화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magnet 62A is integrated with the lower plate 43 by insert injection. Since the magnet 62A is positioned inside the lower plate 43, the magnet 62A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and corrosion as well as preventing damage. In this case, the coupling body 62B can also be integrated with the bottom mounting portion 51A of the cup 50 by insert injec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컵을 뒤집어서 보관하도록 된 칫솔 살균기(30)의 작용을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30 adapted to store th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us constructed will be described.

칫솔 살균기(30)의 측면(31)에 치약 보관부재(42)의 몸체(42A)를 끼움 결합하여 장착한다. The body 42A of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42 is fitted and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31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3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끼움돌기(31A)의 상단부를 몸체 결합홈(42C)의 하단 입구에 위치시킨 후에 몸체(42A)를 하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각 끼움돌기(31A)가 몸체(42A)의 몸체 결합홈(42C)에 삽입되어 걸리게 되므로 치약 보관부재(42)는 칫솔 살균기(30)의 측면(3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치약 보관부재(42)의 몸체(42A)를 상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끼움돌기(31A)들이 몸체 결합홈(42C)에 이탈되므로 치약 보관부재(42)는 칫솔 살균기(30)에서 분리될 수 있다.Specifically, after the upper end of each fitting protrusion 31A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pening of the body fitting groove 42C, the body 42A is moved downward so that the fitting protrusions 31A are fitted to the body 42A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42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ide surface 31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30 because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42 is inserted and engaged in the body connecting groove 42C. The tooth protrusions 31A are separated from the body coupling groove 42C by the operation of moving the body 42A of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42 upward so that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42 can be separated from the toothbrush sterilizer 30 have.

이와 같이, 치약 보관부재(42)가 끼움 결합 및 분리 구조를 갖음으로써 치약 보관부재(42)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칫솔 살균기(30)에 장착하여 일체화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42 has a fitting and separating structure, so that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42 can be quickly and easily attached to the toothbrush sterilizer 30 to be integrated or separated.

전술한 과정으로 치약 보관부재(42)가 칫솔 살균기(30)의 측면(31)에 장착됨으로써, 사용자는 치약을 치약 안착부(42E)에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치약은 뚜껑이 아래를 향하도록 하여 치약을 치약 안착부(42E)로 삽입했을 때 치약의 뚜껑은 뚜껑 삽입홈(42D)에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42 is mounted on the side surface 31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30, so that the user can insert and store the toothpaste in the toothpaste receiving portion 42E. At this time, when the toothpaste is inserted into the toothpaste receiving portion 42E with the lid facing downward, the lid of the toothpaste is stably inserted into the lid inserting groove 42D and remains standing.

따라서, 뚜껑 삽입홈(42D)에 삽입된 치약에 묻은 물은 물 배수공(42F)을 통하여 배출되고, 치약은 세워진 상태로 보관된다. 이때, 치약의 중간부는 치약 지지부재(45)에 지지되므로 넘어지지 않고 안정된 세워짐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ater adhering to the tooth paste inserted into the lid inserting groove 42D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drain hole 42F, and the toothpaste is stored in a standing state. At this time, since the middle part of the toothpaste is supported by the toothpaste supporting member 45, the toothpaste can be held in a stable state without falling down.

한편, 사용자가 양치시 컵(50)을 사용한 후 컵(50)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컵(50)의 바닥면(51)이 위를 향하도록 하여 컵 탈부착수단(60)의 결합체(62B)가 상부로 노출되록 한다. 이어서 컵(50)의 바닥면(51)을 치약 보관부재(42)의 저면에 밀착시킴에 따라 결합체(62B)가 자석(62A)에 부착된다. 따라서 컵(50)은 치약 보관부재(42)의 저면에 부착되어 결합된다. 즉, 컵(50)의 바닥을 치약 보관부재(42)의 저면에 근접시키면, 하부판(43)의 저면에 구비된 컵 탈부착수단(60)의 자석(62A)에 컵(50)의 바닥 설치부(51A)에 구비된 컵 탈부착수단(60)의 결합체(62B)가 자력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컵(50)은 거꾸로 치약 보관부재(42)의 저면에 부착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for the user to store the cup 50 after using the toothbrush cup 50, the bottom surface 51 of the cup 50 faces upward and the joining body 62B of the cup attaching / And exposed to the top. The engaging member 62B is attached to the magnet 62A by bringing the bottom surface 51 of the cup 5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42. [ Thus, the cup 50 is attached and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42. That is, when the bottom of the cup 50 is brought clos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42,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43 of the cup 50 is attached to the magnet 62A of the cup attaching / detaching means 60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43 The coupling body 62B of the cup attaching / detaching means 60 provided on the toothbrush holder 51A is attached by the magnetic force so that the cup 50 is adher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42 upside down.

이와 같이 컵(50)이 치약 보관부재(42)의 저면에 거꾸로 부착됨으로써, 컵(50)에 묻은 물기의 제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물질이 컵(5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이 완료된 컵(50)의 보관이 용이하고, 컵(50)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재 사용시 굳이 컵(50)을 찾을 필요없이 신속하게 취부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up 50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42 in an inverted manner, it is possible to quickly remove the moisture from the cup 50 and prevent the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cup 50 Since the cup 50 that has been used is easily stored and the position of the cup 50 is set, the user can quickly use the cup 50 without having to look for the cup 50 when reusing it.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컵을 뒤집어서 보관하도록 된 칫솔 살균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othbrush sterilizer adapted to store a cu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컵을 뒤집어서 보관하도록 된 칫솔 살균기(30)는, 컵(50)을 보조체(40)의 저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컵 탈부착수단(60)이 후크와 루프로 이루어진 벨크로테이프(64A,64B)들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6, the toothbrush sterilizer 30 adapted to store the cup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verted is provided with cup detachment means 60 (see Fig. 6) for detachably coupling the cup 50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body 40 ) Is made up of the hook-and-loop velcro tapes 64A and 64B.

즉, 보조체(40)를 이루는 치약 보관부재(42)의 저면(저면 설치부)에 후크형 벨크로테이프(64A)가 나사 또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고, 컵(50)의 바닥 설치부(51A)에 루프형 벨크로테이프(64B)가 나사 또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컵(50)을 거꾸로 뒤집은 후 루프형 벨크로테이프(64B)를 치약 보관부재(42)의 저면 설치부(43A)에 결합된 후크형 벨크로테이프(64A)에 접촉시킴으로써 양쪽의 벨크로테이프(64A,64B)가 서로 결합되므로 컵(50)은 치약 보관부재(42)의 저면에 거꾸로 보관된 수 있다. That is, the hook-type velcro tape 64A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bottom surface mounting portion) of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42 constituting the auxiliary body 40 by a screw or an adhesive, and the bottom mounting portion 51A of the cup 50, The loop type Velcro tape 64B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mounting portion 43A of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42 after the cup 50 is inverted upside down by the screw or the adhesive, The pair of Velcro tapes 64A and 64B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being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Velcro tape 64A so that the cup 50 can be stored upside dow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42. [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컵을 뒤집어서 보관하도록 된 칫솔 살균기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7 and 8 are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oothbrush sterilizer adapted to store a cu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컵을 뒤집어서 보관하도록 된 칫솔 살균기(30)는, 보조체(40)의 저면에 마련되는 끼움돌부(66A) 및 끼움돌부(66A)가 슬라이딩되어 끼움 결합되도록 컵(50)의 바닥에 형성되는 끼움홈(66B)으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7 and 8, the toothbrush sterilizer 30 adapted to store the cup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 an inverted manner has a fitting protrusion 66A and a fitting protrusion 66A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body 40, And a fitting groove 66B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up 50 so as to be slidably engaged with each other.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약 보관부재(42)의 하부를 이루는 하부체(43)의 저면 설치부(43A)에는 끼움돌부(66A)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컵(50)의 바닥 설치부(51A)에는 끼움돌부(66A)가 슬라이딩되어 끼워지기 위한 끼움홈(66B)가 형성된 것이다. 이때, 바닥 설치부(51A)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66B)가 형성된 부재가 별도로 결합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컵(50)의 바닥 설치부(51A)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7 and 8, the bottom surface mounting portion 43A of the lower body 43 forming the lower portion of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42 has a fitting protrusion 66A formed to be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ottom mounting portion 51A of the housing 50 is provided with a fitting groove 66B for fitting the fitting projection 66A. In this case, a member having the fitting groove 66B as shown in FIG. 8 may be separately attached to the floor mounting portion 51A, and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floor mounting portion 51A of the cup 50 .

이러한 구조에 의해, 컵(50)의 바닥 설치부(51A)에 형성된 끼움홈(66B)의 후방측 입구에 끼움돌부(66A)의 전방측 단부를 위치시킨 후 컵(5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끼움돌부(66A)가 끼움홈(66B)으로 삽입되면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자성체가 없는 상태에서도 컵(50)을 치약 보관부재(42)의 저면에 거꾸로 결합시켜 보관할 수 있게 된다.With this structure, when the front side end portion of the fitting projection 66A is positioned at the rear side inlet of the fitting groove 66B formed in the bottom fitting portion 51A of the cup 50 and then the cup 50 is moved backward The fitting projection 66A can be inserted and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66B. Therefore, even when the magnetic body is absent, the cup 50 can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42 in an inverted manner.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컵을 뒤집어서 보관하도록 된 칫솔 살균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개략적 단면도이다. 9 and 10 are exploded perspective and schematic sectional views showing a toothbrush sterilizer adapted to store a cup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컵을 뒤집어서 보관하도록 된 칫솔 살균기(30)는, 컵 탈부착수단(60)이 보조체(40)로서 치약 보관부재(42)의 저면에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68A)들과, 걸림돌기(68A)들이 각각 삽입되어 걸리도록 컵(50)의 바닥, 즉 바닥 설치부(51A)에 경사면(67A,67B)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삽입홈(68B) 및 걸림홈(68C)으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9 and 10, the toothbrush sterilizer 30 adapted to store the cup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up attaching / detaching means 60 is attached to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42 as the auxiliary body 40 67A and 67B a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up 50, that is, the floor mounting portion 51A,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s 68A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in the opposite directions and the engaging protrusions 68A are inserted, And an insertion groove 68B and an engaging groove 68C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 embodiment.

이러한 컵 탈부착수단(60)은, 걸림돌기(68A)들이 각 삽입홈(68B)의 입구에 위치한 상태에서, 컵(50)을 상향으로 이동시켜 걸림돌기(68A)가 삽입홈(68B)에 삽입되도록 하고, 이어서 컵(5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삽입홈(68B)에 삽입된 걸림돌기(68A)가 걸림홈(68C)으로 삽입되어 걸리도록 함으로써, 컵(50)이 치약 보관부재(42)의 저면에 거꾸로 보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컵(50)을 탈착시킬 경우에는 전술한 장착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한다. The cup attaching / detaching means 60 moves the cup 50 upward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 68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68B while the engaging protrusions 68A are positioned at the entrance of each insertion groove 68B The cup 5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 68A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68B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68C so as to be caught by the cup 50, So that it can be stored upside down. When the cup 50 is detached, the process proceeds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mounting process.

한편, 삽입홈(68B)의 입구에 형성되는 경사면(67A)은 걸림돌기(68A)가 간섭없이 삽입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고, 걸림홈(68C)에 형성되는 경사면(67B)은 걸림돌기(68A)가 용이하게 삽입되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이탈될 때에는 큰 힘이 불필요한 상태로 빠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inclined surface 67A formed at the entrance of the insertion groove 68B is for guiding the engaging projection 68A to be inserted without interference and the inclined surface 67B formed in the engaging groove 68C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68A. So that a strong coupling state can be maintained and a large force can be released to an unnecessary state.

특히,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68C)의 입구에 경사면(67B)이 형성됨으로써, 걸림돌기(68A)가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걸림돌기(68A)를 삽입하는 힘에 의해 걸림돌기(68A)가 경사면(67B)에 더욱 밀착되므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경사면(67B)과 대응되는 걸림돌기(68A)에도 경사면(68D)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articularly, since the inclined surface 67B is formed at the entrance of the engaging groove 68C as shown in Fig. 10, not only the engaging protrusion 68A can be easily inserted inward, but also the engaging protrusion 68A is inserted The engaging protrusion 68A is further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67B by the force, so that a firmly engaged state can be maintain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ed surface 68D is also formed on the engaging protrusion 68A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67B.

이와 같이 컵(50)의 바닥 설치부(51A)에 걸림돌기(68A)의 진입을 유도하여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67A,67B)을 구비한 삽입홈(68B) 및 걸림홈(68C)이 형성됨으로써, 컵(50)을 치약 보관부재(42)의 저면에 안정된 상태로 거꾸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The insertion groove 68B and the engagement groove 68C provided with the inclined surfaces 67A and 67B for guiding the entry of the engagement protrusion 68A into the floor installation portion 51A of the cup 50 are easily inserted, The cup 50 can be stored in a stable stat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42 upside down.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컵을 뒤집어서 보관하도록 된 칫솔 살균기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11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oothbrush sterilizer adapted to store a cup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른 컵을 뒤집어서 보관하도록 된 칫솔 살균기(30)는, 컵 탈부착수단(60)은, 보조체(40)의 저면에 구비되는 자석(69)으로 이루어지고, 컵(50)은 자석(69)에 부착되도록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이와 같이 보조체(40)의 저면, 즉 치약 보관부재(42)의 하부판(43) 저면에 형성된 저면 설치부(43A)에 자석(69)이 결합되고, 컵(50)이 저면 설치부(43A)의 자석(69)에 부착되는 금속재로 구성됨으로써, 컵(50)을 거꾸로 뒤집은 상태에서 치약 보관부재(42)의 저면에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컵(50)의 바닥 설치부(51A)에 자석이나 금속재로 이루어진 결합체(62B)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11, the toothbrush sterilizer 30 adapted to store the cup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up attaching / detaching means 60 is composed of a magnet 69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body 40 And the cup 50 is made of a metallic material so as to be attached to the magnet 69. [ The magnet 69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mounting portion 43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late 43 of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42 and the cup 50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mounting portion 43A So that the cup 50 can be stor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42 in a state where the cup 50 is turned upside down. Particularly,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coupling member 62B made of a magnet or a metal material on the floor mounting portion 51A of the cup 50. [

첨부된 도면 주에서,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보조체가 음이온 발생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auxiliary body shown in FIG. 3 is made of an anion generating member.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을 뒤집어서 보관하도록 된 칫솔 살균기(30)의 보조체(40)는 음이온 발생부재(49)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즉, 보조체(40)로서 음이온 발생부재(49)의 저면에 컵 탈부착수단(60)을 구비시킴으로써, 음이온 발생부재(49)의 저면에 컵(50)을 거꾸로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13, the auxiliary body 40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30 adapted to store the cup upside down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except that it is made of the negative ion generating member 49. That is, by providing the cup attaching / detaching means 6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negative ion generating member 49 as the auxiliary body 40, the cup 50 can b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negative ion generating member 49 in an inverted manner.

물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치약짜개와 같은 보조체(40)의 저면에도 컵 탈부착수단(60)을 구비시켜 컵(50)을 거꾸로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된다.Of cour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cup-attaching / detaching means 60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body 40 such as a toothpaste to hold the cup 50 upside down.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4 및 도 15는 는 칫솔 살균기의 저면에 컵을 뒤집어 보관하도록 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14 and 15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p is turned upside dow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50)은 보조체(40) 뿐만 아니라, 칫솔 살균기(30)의 저면에도 거꾸로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칫솔 살균기(30)의 본체 저면에 컵 탈부차수단(60)을 구비시킨다. As shown in FIGS. 14 and 15, the cup 50 can be stored upside dow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30 as well as the auxiliary body 40. To this end, the cup releasing means 6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30.

이와 같이 칫솔 살균기(30)의 저면에 컵(50)을 직접 거꾸로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음으로써, 별도의 보조체(40)가 불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컵(50)을 위생적으로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cup 50 can be direct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30 by reversing it, the separate auxiliary body 40 is not required and the cup 50 can be easily and hygienically stored do.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칫솔 살균기(30)의 저면이나 측면(31)에 결합되는 보조체(40)의 저면에 컵(50)을 거꾸로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음으로써, 컵(50)을 사용하는 이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컵(50)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up 50 can b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body 40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r the side surface 31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30 in an inverted manner, So that the cup 50 can be stored in a sanitary manner.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30 : 칫솔 살균기 40 : 보조체
42 : 치약 보관부재 43A : 저면 설치부
49 : 음이온 발생부재
50 : 컵 51 : 바닥면
51A: 바닥 설치부 60 : 컵 탈부착수단
30: Toothbrush sterilizer 40: Auxiliary body
42: toothpaste storing member 43A: bottom surface mounting portion
49: Negative ion generating member
50: cup 51: bottom surface
51A: floor mounting portion 60: cup detachment means

Claims (7)

삭제delete 내부에 칫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칫솔 수용부에 수용되는 칫솔을 건조시키고 살균 소독하도록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건조 살균 수단이 내장되며,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를 구비하여 벽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칫솔 살균기에 있어서,
상향으로 개구된 치약 안착부를 구비한 치약 보관부재 또는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어 음이온을 발생하도록 된 음이온 발생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칫솔 살균기의 측면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보조체; 사용자가 양치할 때 사용하도록 된 컵; 및 사용이 완료된 상기 컵이 뒤집어진 상태에서 바닥이 상기 보조체의 저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컵의 바닥과 상기 보조체의 저면에 구비되는 컵 탈부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컵 탈부착수단은,
상기 보조체의 저면에 마련되는 끼움돌부 및 상기 끼움돌부가 슬라이딩되어 끼움 결합되도록 컵의 바닥에 형성되는 끼움홈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보조체의 저면에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들과 상기 걸림돌기들이 각각 삽입되어 걸리도록 상기 컵의 바닥에 경사면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삽입홈 및 걸림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체가 치약 보관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치약 보관부재는,
저면에 저면 설치부가 형성된 하부판; 일측면에 상기 칫솔 살균기의 측면에 끼움결합 또는 자력에 의해 결합되기 위한 결합수단이 마련되고, 상면에는 치약의 뚜껑이 삽입되기 위한 뚜껑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뚜껑 삽입홈에는 치약에 묻은 물기를 배출하기 위한 물 배수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에 치약 안착부를 형성하도록 한쪽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몸체의 내측벽에 형성된 한 쌍의 홈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치약 지지부재; 및 상기 치약 지지부재의 양단이 삽입된 상기 내측벽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치약 지지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내측벽의 상단을 커버하기 위한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치약 보관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컵 탈부착수단의 상기 끼움돌부 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기 위한 저면 설치부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컵의 바닥에는, 끼움홈, 삽입홈 또는 걸림홈이 형성되기 위한 바닥 설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 설치부는, 상기 컵의 바닥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바닥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칫솔 살균기의 측면 양쪽에는, 한 쌍의 끼움돌기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하부로부터 상향으로 끼워지기 위한 한 쌍의 몸체 결합홈이 하향 및 측면 방향으로만 개구되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칫솔 살균기의 측면에는 한 쌍의 측면 결합홈이 상향 및 측면 방향으로만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측면 결합홈에 상부에서 하향으로 끼워지기 위한 한 쌍의 몸체 끼움돌기가 각각 형성되거나,
상기 칫솔 살균기의 측면과,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는 자석들이 각각 설치되거나 자석과 금속체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을 뒤집어서 보관하도록 된 칫솔 살균기.









And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toothbrush receiving portion and having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toothbrush receiving portion is installed on the wall for use in disinfecting and drying the toothbrush received in the toothbrush receiving portion, A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claim 1,
A toothpaste storing member having a toothpaste mounting portion opened upward or an auxiliary member which is connected to a side surfac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and is used by an anion generating member operated by a supplied power source to generate anion; A cup intended for use by the user; And a cup detachment mean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up an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body so that the bottom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body in a state where the used cup is turned upside down,
The cup-attaching /
A fitting protrusion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body and a fitting groove formed on a bottom of the cup so that the fitting protrusion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fitting protrusion or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body in opposite directions, And an engaging groov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up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s are inserted and hooked, respectively,
In the case where the auxiliary body is made of a toothpaste storing member,
A bottom plate having a bottom surface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A lid inserting groove for inserting a lid of the toothpast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and a lid inserting groove is formed in the lid inserting groove, A body having a water drain for discharging; A toothpaste supporting member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one opening to form a toothpaste receiving portion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being inserted into a pair of grooves formed at inner ends of the body, And a cap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inner wall to which the opposite ends of the toothpaste support member are inserted to prevent the toothpaste support memb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oothpaste and to cover an upper end of the inner wall,
The bottom of the toothpaste storing member is formed with a bottom surface mounting portion for downwardly protruding downward to form the fitting protrusion or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up detachment and attachment means and the bottom of the cup has a bottom Wherein the bottom portion is form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bottom surface so as not to protrude furt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cup,
A pair of fitt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id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and a pair of body coupling grooves for fitting the fitting protrusions upward from the bottom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Or alternatively,
Wherein a pair of side fitt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and open only upward and in a lateral direction, and a pair of body fitting protrusions for fitting downwardly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fitting groove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Formed,
Wherein a magnet is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and one side of the body, or a magnet and a metal body are installed, respectively.
A toothbrush sterilizer that is housed over the cup.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21889A 2017-09-21 2017-09-21 Toothbrush sterilizer having ability to hold the cup upside down KR1019937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889A KR101993715B1 (en) 2017-09-21 2017-09-21 Toothbrush sterilizer having ability to hold the cup upside dow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889A KR101993715B1 (en) 2017-09-21 2017-09-21 Toothbrush sterilizer having ability to hold the cup upside dow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289A KR20190033289A (en) 2019-03-29
KR101993715B1 true KR101993715B1 (en) 2019-06-27

Family

ID=65899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889A KR101993715B1 (en) 2017-09-21 2017-09-21 Toothbrush sterilizer having ability to hold the cup upside dow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71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896A (en) * 2022-01-26 2023-08-02 박준성 sanitary toothbrushing cup holder set having antimicrobi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915B1 (en) * 2019-09-30 2022-04-25 김정훈 Ultraviolet sterilizer with toothbrush and cup
CN111973029A (en) * 2020-08-13 2020-11-24 安徽信息工程学院 Toothbrush tooth mug placement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6981B2 (en) * 1992-04-27 2001-06-18 株式会社エヌエイチケイアイテック Measuring method of transmitting antenna radiation characteristics using GP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994Y1 (en) 2002-08-28 2002-11-30 김홍붕 a toothbrush
KR200315254Y1 (en) 2003-03-11 2003-06-02 김대환 Toothbrush sterilizer that have air specie function
KR20070030877A (en) * 2007-02-26 2007-03-16 박영자 a multipurpose toothbrush sterilizer
KR20110065640A (en) * 2009-12-10 2011-06-16 (주)교원클럽 Case for washing tool
TWM427106U (en) * 2011-09-19 2012-04-21 New Vision Integrated Marketing Comm Co Ltd Gargle mug and mug holder structure
KR20140006042U (en) * 2013-05-23 2014-12-03 황길하 A toothbrush steriliz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6981B2 (en) * 1992-04-27 2001-06-18 株式会社エヌエイチケイアイテック Measuring method of transmitting antenna radiation characteristics using GP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76981 U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896A (en) * 2022-01-26 2023-08-02 박준성 sanitary toothbrushing cup holder set having antimicrobial
KR102592371B1 (en) * 2022-01-26 2023-10-25 박준성 sanitary toothbrushing cup holder set having antimicrob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289A (en) 2019-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3715B1 (en) Toothbrush sterilizer having ability to hold the cup upside down
JP3127817U (en) Toothbrush storage case with sterilization function
KR102060284B1 (en) Sterilization type tooth brushing basin and tooth brush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944168B1 (en) Cup rack with ultraviolet sterilization lamp
KR101108371B1 (en) Nail cutter Sterilization case
KR200437195Y1 (en) Toothbrush combined use tongue cleaner sterilizer
CN206138434U (en) Toothbrush disinfector
CN210643822U (en) Ultraviolet disinfection toothbrush holder
KR102390915B1 (en) Ultraviolet sterilizer with toothbrush and cup
KR200393002Y1 (en) Tooth brush sterilizer having drying function
CN217185183U (en) Disinfection box and cleaning assembly
KR102411084B1 (en) Toothbrush sterilizer having small article storage structure
KR102411083B1 (en) Multifunctional toothbrush sterilizer
CN215303721U (en) Multifunctional sterilizing toothbrush box
KR200429115Y1 (en) A toothbrush and chopsticks combination carrying sterilization flag
CN211658812U (en) Wall-mounted toothbrush sterilizer device with sterilization function
KR200376605Y1 (en) Toothbrush Sterilization machine
CN219556617U (en) Toothbrush disinfection box
CN217185184U (en) Disinfection box and cleaning assembly
CN215227051U (en) Toothbrush disinfection frame
CN211050334U (en) Dry bacteria removing device of domestic toothbrush
JPH11299543A (en) Tooth brush housing tool
KR960006170Y1 (en) Washing material box with air filtering device
CN220124583U (en) Ultraviolet disinfection toothbrush holder
CN219047808U (en) Cup towel cabinet for child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