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3605B1 - 액션웹툰의 아카이브 저장방법 - Google Patents

액션웹툰의 아카이브 저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3605B1
KR101993605B1 KR1020170175025A KR20170175025A KR101993605B1 KR 101993605 B1 KR101993605 B1 KR 101993605B1 KR 1020170175025 A KR1020170175025 A KR 1020170175025A KR 20170175025 A KR20170175025 A KR 20170175025A KR 101993605 B1 KR101993605 B1 KR 101993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on
file
webtoon
effect
webto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홍
Original Assignee
하트미디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트미디어(주) filed Critical 하트미디어(주)
Priority to KR1020170175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6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션웹툰의 아카이브 저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지와 함께 음악이나 움직임 등을 함께 동적으로 표현하는 액션웹툰을 인터넷을 통해 수집하고, 별도의 코딩 과정없이 HTML 형식의 표준기술을 적용하여 그림과 효과를 통일성 있는 이름으로 같은 장소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액션웹툰의 아카이브 저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션웹툰을 별도의 폴더 및 코딩파일없이 저장 파일만으로 아카이브에 저장할 수 있어서 액션웹툰의 내용이나 저장파일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다양한 웹 환경에서 표준적이고 통일된 액션웹툰 저장체계를 구현할 수 있어서 추가적인 수익모델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션웹툰의 아카이브 저장방법{METHOD OF SAVING AN ARCHIVE OF ACTION WEBTOON}
본 발명은 액션웹툰의 아카이브 저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지와 함께 음악이나 움직임 등을 함께 동적으로 표현하는 액션웹툰을 인터넷을 통해 수집하고, 별도의 코딩 과정없이 HTML 형식의 표준기술을 적용하여 그림과 효과를 통일성 있는 이름으로 같은 장소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액션웹툰의 아카이브 저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웹툰은 이미지만을 전달하는 일반웹툰과, 애니메이션효과나 사운드 효과, 음악 등의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효과를 함께 전달하는 액션웹툰으로 나눌 수 있다. 액션웹툰의 경우 상하 스크롤 방식, 좌우 스크롤 방식, 또는 페이지 방식으로 구현되며, 일정 지점에서 독자에게 임팩트를 주고 흥미를 끌기 위한 효과로 애니메이션, 소리, 동영상 삽입 등의 멀티미디어 융합된 효과를 장치하고 표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액션웹툰은 기본이 되는 웹툰파일(그림파일)과 더불어 특정 지점에서 동작되도록 설계된 효과파일(gif, swf, wav, mp4 등)로 나뉘어 구성되며, 웹에 게시될 경우에도 이런 효과를 감안하여 코딩되고 게시된다. 따라서 일반웹툰보다 액션웹툰은 별도의 효과파일을 포함한 폴더와 효과를 작동시키는 코딩으로 구성되므로, 웹툰을 게시하기 위해 별도의 프로그래밍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일반웹툰과 액션웹툰을 비교하는 도면이며, 도 2는 액션웹툰에서 효과를 실행하는 기준을 설정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적절한 크기의 프레임(화면)으로 구성되는 일반웹툰(10)은 위에서 아래로 전개되는 종스크롤 방식으로 연출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옆으로 전개되는 횡스크롤 방식도 적용된다. 사용자는 방향키나 마우스, 터치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프레임을 이동시키면서 일반웹툰(10)의 내용을 볼 수 있다. 일반웹툰(10)에는 이미지를 제외한 다른 효과가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단순히 원본 이미지에 대한 출력만 이루어진다.
그러나 액션웹툰(20)에 포함된 동적인 효과 또는 음향효과는 스크롤 되는 지점을 지정하고 움직임을 주거나 효과음을 삽입하며, 중간에 동영상이 링크되어 삽입되는 등 기타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효과를 설정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위치(픽셀 4000)에서는 첫 번째 효과1(주인공의 움직임 1회)이 실행되고, 두 번째 위치(픽셀 4500)에서는 두 번째 효과2(탁자를 내리치는 소리 반복 재생)가 실행되도록 데이터가 구성된다. 따라서 크게 보면 위와 같이 연출되는 전개 방향에 따라 효과가 구현되는 지점(픽셀)과 더불어 연출되는 효과, 효과의 실행 횟수가 가장 큰 동적 연출의 요소이다.
웹툰은 인터넷 포털사이트나 블로그 등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데, 웹툰 서비스가 서비스 제공사의 사정에 의해 폐지된다거나, 데이터가 유실되는 경우 작가나 구독자들은 자신이 재미있게 보았던 웹툰의 자료를 잃어버리는 경험을 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웹툰 서비스 사업자나 기타 웹툰 및 문화 관련 단체들은 웹툰의 문화적, 사료적 가치를 고려하여 게시된 웹툰 데이터를 백업하여 보관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기존 만화 또는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일반웹툰(10)의 경우 만화 관련단체나 기록물 저장 등을 목적으로 기록관 또는 아카이브(Archive)에 저장되고 있으며, 주로 스캔을 통해 그림 파일로 저장되고 있다. 하지만 애니메이션 및 멀티미디어 효과를 적용한 액션웹툰(20)을 아카이브에 저장할 때에는 그 효과를 고려하여 그림과 효과파일, 그리고 코딩파일을 포함한 폴더 단위로 저장하고 있어 직관적이지 못하며, 게시되었던 시대의 버전에 맞는 브라우저가 있어야 액션웹툰(20)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종래방식에 따라 저장된 액션웹툰의 파일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하나의 액션웹툰(20)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각 장면별로 그림과 효과에 대한 파일을 각각의 폴더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각각의 폴더에는 그림과 효과에 대한 코딩이 저장되며, 저장된 폴더의 장면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폴더에 저장된 코딩을 실행시켜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식을 적용한 경우, 기술 및 디바이스의 변화에 따라 오랜 기간이 지난 이후 변화된 기술에 맞춰 대응하기가 어렵고, 폴더 및 코딩 전체를 저장하는 것은 공간의 낭비뿐만 아니라 직관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액션웹툰(20)의 실행 이전에는 개략적인 내용을 파악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994-0000987 A KR 10-2012-0017092 A KR 10-2016-0069282 A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애니메이션 및 소리 등의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효과가 적용된 액션웹툰의 아카이브 저장시 소스코드와 폴더 전체를 저장하지 않고도 파일코드만을 적용하여 액션웹툰과 지정된 범위에 적용된 효과(음성, 애니메이션 등)까지 모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액션웹툰의 아카이브 저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단순한 고정형 웹툰이 아닌 동적인 움직임을 갖는 액션웹툰의 코딩이 필요없는 표준화된 저장과 체계적인 관리를 목적으로 하며, 코딩없이 액션웹툰을 구분코드만으로 웹페이지와 동일하게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액션웹툰의 아카이브 저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웹페이지를 크롤링하여 액션웹툰을 손쉽게 프로그램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며, 저장된 액션웹툰 데이터를 HTML 형식으로 내보낼 수 있는 기능(코드 값에 따른 코딩 자동 생성)을 구현하는 액션웹툰의 아카이브 저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이미지와 함께 지정된 효과가 표현되는 액션웹툰(20)을 인터넷(400)을 통해 수집하여 저장하는 웹툰저장시스템(100)의 아카이브 저장방법으로서, 상기 웹툰저장시스템(100)에 포함된 수집부(104)가 상기 액션웹툰(20)을 제공하는 웹툰 서비스 플랫폼(200)에 접속하여 저장대상이 되는 액션웹툰(20)을 선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수집부(104)가 상기 웹툰 서비스 플랫폼(200)으로부터 저장대상으로 선정된 액션웹툰(20)의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는 제2단계와; 상기 웹툰저장시스템(100)에 포함된 저장부(108)가 상기 액션웹툰(20)의 데이터 파일을 웹툰DB(112)에 저장하는 제3단계와; 상기 웹툰저장시스템(100)에 포함된 변환부(106)가 상기 액션웹툰(20)의 데이터 파일의 내용을 분석하여 이미지와 효과를 확인하는 제4단계와; 상기 변환부(106)가 상기 액션웹툰(20)의 이미지 파일과 효과 파일을 연계하여 저장하기 위한 구분코드를 설정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저장부(108)가 상기 구분코드가 설정된 상기 이미지 파일과 상기 효과 파일을 연계하여 상기 웹툰DB(112)에 저장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분코드는 "A_B_C_D_E_F_G"라는 형식으로 설정되며, 상기 'A'는 '작품명'으로서 상기 액션웹툰(20)의 명칭을 의미하며, 상기 'B'는 '회차번호'로서 상기 액션웹툰(20)에서 몇 회째 게시된 내용인지를 숫자로 표시하는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C'는 '장면번호'로서 상기 액션웹툰(20)의 해당 회차에서 몇 번째 장면인지를 숫자로 표시하는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D'는 '표시위치'로서 상기 이미지 파일의 픽셀정보를 바탕으로 어느 위치에서 상기 효과 파일이 실행되는지를 픽셀위치로 표시하는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E'는 '이벤트 발생조건'으로서 어떤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상기 효과 파일이 실행되어야 하는지를 표시하는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F'는 '동작내용'으로서 어떤 효과가 실행되는지에 대한 설명을 의미하며, 상기 'G'는 '파일확장자'로서 상기 이미지 파일과 연계되는 상기 효과 파일의 기본 파일 형식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집부(104)는 주기적으로 상기 웹툰 서비스 플랫폼(200)에 접속하여 저장대상이 되는 액션웹툰(20)을 자동으로 선택하거나, 관리자가 지정한 액션웹툰(20)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션웹툰을 별도의 폴더 및 코딩파일없이 저장 파일만으로 아카이브에 저장할 수 있어서 액션웹툰의 내용이나 저장파일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다양한 웹 환경에서 표준적이고 통일된 액션웹툰 저장체계를 구현할 수 있어서 추가적인 수익모델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IT 기술의 발전에 따라 미래기술에서 저장된 웹툰을 확인하고자 할 때에도 게시된 시대의 브라우저 유무와 관계없이 본 발명을 통해 구분코드 값만으로 미래의 표준기술 기반으로 웹툰을 확인하고 또한 쉽게 게시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일반웹툰과 액션웹툰을 비교하는 도면.
도 2는 액션웹툰에서 효과를 실행하는 기준을 설정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방식에 따라 저장된 액션웹툰의 파일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웹툰저장시스템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웹툰저장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6은 액션웹툰을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액션웹툰의 효과 파일의 구분코드를 구성하는 요소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구분코드가 적용된 효과 파일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액션웹툰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액션웹툰에 동적인 효과를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액션웹툰의 동적인 효과를 미리보기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액션웹툰에 음원 효과를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션웹툰의 아카이브 저장방법"(이하, '웹툰저장방법'이라 함)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웹툰저장시스템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5는 웹툰저장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웹툰저장방법은 인터넷(400)을 통해 연결된 웹툰저장시스템(100)을 통해 실행된다.
일반웹툰(10)이나 액션웹툰(20)은 통상적으로 웹툰 서비스 플랫폼(200)과 사용자단말기(300)가 인터넷(40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웹툰 서비스 플랫폼(200)은 웹툰을 직접 제작하거나, 웹툰 작가들에게 웹툰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작가들이 직접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곳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네이버 웹툰과 같이 포털사이트가 웹툰 제공 주체로서 많은 부분을 담당하고 있으며, 웹툰 전문 제작 및 서비스 업체에 의해서도 활발하게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웹툰 서비스 플랫폼(200)은 포괄적인 의미로서, 포털사이트나 웹툰 전문 업체뿐만 아니라 직접 웹툰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웹툰 작가가 사용하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사용자단말기(300)의 경우에는 PC나 노트북, 스마트폰 등을 모두 포함하는데, 모바일 환경이 활성화되면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을 이용한 웹툰 사용빈도가 더 커지고 있다.
웹툰저장시스템(100)은 포털사이트나 전문업체, 개인 블로그나 인터넷 카페, 기타 다양한 방식의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웹툰을 검색하고, 일반웹툰과 액션웹툰을 모두 아카이브에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웹툰저장시스템(100)은 인터넷(400)을 통해 각종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웹서버(102)를 포함한다. 웹서버(102)는 유무선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브라우저를 구비한다.
수집부(104)는 인터넷(400)을 통해 접속한 웹페이지로부터 웹툰 데이터가 포함된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수집한다. 수집부(104)가 수집할 웹툰 데이터는 관리자가 직접 지정하거나, 별도의 방식으로 설정된 조건에 따라 수집부(104)가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변환부(106)는 웹툰을 식별하기 위한 구분코드와 실행위치, 효과정보, 기타 코드값 등을 생성하거나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액션웹툰(20)의 효과를 위해 이미지 파일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효과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 파일명을 생성할 때, 구분코드를 생성하여 사용함으로써 직관적으로 효과 파일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저장부(108)는 이미지 파일과 효과 파일이 결합된 액션웹툰(20) 파일을 웹툰DB(112)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파일을 검색 또는 호출, 삭제하는 등의 파일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웹툰저장시스템(100)을 이용한 본 발명의 웹툰저장방법의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은 액션웹툰을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웹툰저장시스템(100)이 액션웹툰 저장을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액션웹툰 저장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S102)
수집부(104)는 인터넷(400)을 통해 다양한 웹툰 서비스 플랫폼(200)에 접속하여 액션웹툰을 검색하고, 저장대상이 되는 액션웹툰을 선정한다.(S104)
웹툰저장시스템(100)은 만화 관련단체나 문화예술분야 공공기관, 웹툰제공업체 등이 사료적 보존을 위해 웹툰을 영구적으로 또는 장기간 보관할 목적으로 사용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기관은 주기적으로 웹툰 출간내역을 검색하여 새로운 웹툰이나 조회수가 높은 웹툰을 선택하고, 보존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웹툰에 대해서 저장을 결정한다. 웹툰이 공표되는 웹사이트 등에서 새로운 웹툰이 공개되는 시점에서 자동으로 저장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저장대상을 결정한 후에는 수집부(104)는 저장대상으로 선정된 액션웹툰을 제공하는 웹툰 서비스 플랫폼(200)에 접속하여 선정된 액션웹툰의 데이터 파일을 수신한다.(S106) 수집된 액션웹툰의 원본 데이터 파일은 웹툰DB(112)에 저장된다.
액션웹툰(20)의 데이터 파일을 저장할 때, 이미지 파일 외에도 함께 실행되어야 할 특수 효과에 대한 데이터 파일(효과 파일)이 함께 저장된다. 효과 파일에 대해서는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기존에 부여되었던 파일명을 변경하여 저장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변환부(106)는 액션웹툰(20)의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명칭으로 변경하여 저장한다.
이를 위해 먼저 변환부(106)는 저장대상이 되는 액션웹툰(20)의 데이터 파일의 내용을 분석한다.(S108) 변환부(106)는 데이터 파일에 어떤 이미지가 들어있는지, 어떤 특수한 효과가 들어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파일의 명칭이나 확장자, 코드 내용 등을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변환부(106)는 액션웹툰(20)에 포함된 이미지와, 이미지에 연계된 개별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S110)
액션웹툰(20)의 내용을 확인한 후에 변환부(106)는 이미지 파일과 효과 파일을 함께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구분코드를 설정한다.(S112) 구분코드는 효과 파일의 명칭을 대체하는 역할을 하는데, 구분코드는 효과 파일의 이름이나 동작내용 등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정해진 규칙에 맞게 결정된다.
도 7은 액션웹툰의 효과 파일의 구분코드를 구성하는 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구분코드가 적용된 효과 파일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변환부(106)는 수집된 액션웹툰(20)의 원래 이름에 효과의 내용을 기재하여 구분코드를 결정하는데, 도 7에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결정된 예로서 "A_B_C_D_E_F_G"라는 구분코드가 예시된다.
구분코드에 포함된 'A'는 '작품명'으로서, 액션웹툰(20)에 붙어있던 고유한 명칭을 의미한다.
'B'는 '회차번호'로서 해당 액션웹툰(20)에서 몇 회째 게시된 내용인지를 숫자로 표시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C'는 '장면번호'로서, 액션웹툰(20)의 해당 회차에서 몇 번째 장면인지를 숫자로 표시하는 정보를 의미하며, 다수의 파트(PART)로 나뉘어진 액션웹툰(20)에서는 각 파트의 이름일 수도 있다.
'D'는 '표시위치'로서, 이미지 파일의 픽셀정보를 바탕으로 어느 위치에서 실행되는 효과인지를 픽셀위치로 표시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D가 '4000'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이미지 파일을 실행할 때 표시되는 이미지의 4000픽셀에 해당하는 위치가 디스플레이 되는 순간에 효과 파일이 함께 실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종으로 스크롤되는 액션웹툰(20)에서는 최상단에서 시작하여 특정 픽셀의 위치를 의미하며, 횡으로 스크롤되는 액션웹툰(20)에서는 좌측끝에서 시작하는 픽셀의 수를 의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E'는 '이벤트 발생조건'으로서, 어떤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해당 효과 파일이 실행되어야 하는지를 표시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E가 '마우스 클릭'이라고 되어 있다면, 사용자가 마우스를 조작하여 클릭했을 때 효과 파일이 실행되면서 정해진 효과가 구현되도록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벤트 발생조건'은 마우스의 클릭이나 키보드 입력, 단축키 입력 등 다양한 내용으로 설정할 수 있다.
'F'는 '동작내용'으로서, 어떤 효과가 실행되는지에 대한 간략한 설명으로 구성된다. 동작내용으로는 '진동, 화면 움직임, 확대 또는 축소, 색깔 변화, 음향 출력 등' 다양한 내용일 설정될 수 있다. 'F'는 이러한 효과를 표현하는 간략한 단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animation_once'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한 번 실행'한다는 내용을 표시한 것이며, 'sound_twice'는 '특정 음향을 두 번 출력'한다는 내용을 표시한 것이다. 또한 동영상 등이 링크로 삽입되었을 경우에는 마우스 클릭 등의 이벤트를 통해 액션웹툰(20) 내에서 동영상을 실행시켜 조회할 수 있다. 이외에도 화면의 전환이나 움직임, 음향이나 음성의 출력, 다른 이미지의 중첩 등 다양한 방식의 효과가 적용될 수 있다.
'G'는 '파일확장자'로서, 이미지 파일과 연계되어 함께 저장되는 효과 파일의 기본 파일 형식을 표시한다. 'swf'는 플래시 기반의 이미지 효과를 실행하는 데이터를 의미하며, 'wav'와 'mp4' 등은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파일확장자'를 통한 효과 파일의 특성 표시는 관련업계에서 특정 파일의 속성을 표시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정보와 동일한 내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효과 파일과 함께 연계되어 저장되는 이미지 파일의 경우에는 작품명이나 회차번호, 장면번호 등만 지정하면 효과 파일과 직관적으로 연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효과 파일에서와 같은 세부적인 명칭을 부여하지 않아도 된다. 이미지 파일의 경우에는 'A'(작품명), 'B'(회차번호), 'C'(표시위치)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순서대로 결합하여 구분코드로 사용한다.
효과 파일의 구분코드의 경우에는 이미지 파일의 구분코드와 동일한 형태로 시작하도록 하고, 효과의 내용에 대한 정보를 덧붙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효과 파일의 구분코드를 설정할 때에는 결합대상이 되는 이미지 파일의 구분코드를 그대로 이용하고, 여기에 효과의 내용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구분코드의 구성요소를 추가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환부(106)는 이와 같은 규칙에 맞게 액션웹툰(20)의 효과 파일의 명칭을 이미지 파일과의 통일성을 유지하면서 새롭게 대체할 수 있는 구분코드를 생성한다.
저장부(108)는 구분코드로 변환된 이름을 갖는 이미지 파일과 효과 파일을 연계하여 웹툰DB(112)에 저장한다.(S114)
저장된 이미지 파일과 효과 파일의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일한 작품명을 갖는 파일끼리 서로 연계해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쉽게 특정 이미지 파일과 결합되어 있는 효과 파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리자 또는 다른 사용자는 웹툰저장시스템(100)에 저장된 액션웹툰(20)을 조회하거나 실행시킬 수 있는데, 사용자단말기(300)를 사용하여 웹툰저장시스템(100)에 접속한 후 액션웹툰 파일을 요청하게 된다. 웹서버(102)는 사용자가 요청한 액션웹툰 파일을 검색하여 사용자단말기(300)로 전송함으로써 내용을 볼 수 있도록 해준다.
사용자단말기(300)는 이미지 파일과 함께 실행될 효과 파일의 재생옵션을 확인하고, 효과 파일의 재생을 위해서 필요한 컴포넌트 및 모듈 등을 불러와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웹툰저장시스템(100)은 전용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액션웹툰(20) 파일을 내보내거나 다른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내보내기 기능의 경우에는 전용프로그램에서 실행 가능한 전용 형식이거나 압축파일, 코딩을 포함한 HTML 파일 등의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HTML 파일로 저장하는 경우에는 웹에서 용이하게 게시할 수 있도록 기존 저장방식과 유사하게 코딩과 폴더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는 액션웹툰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10은 액션웹툰에 동적인 효과를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액션웹툰의 동적인 효과를 미리보기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액션웹툰에 음원 효과를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웹툰저장시스템(100)은 액션웹툰 저장프로그램 외에도 액션웹툰 생성프로그램을 액션웹툰(20) 작가들에게 제공한다. 웹툰저장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액션웹툰 생성프로그램은 웹 편집 기술이나 코딩을 전혀 모르는 웹툰 작가 또는 서비스 사업자도 액션웹툰(20)의 이미지 파일과 효과 파일의 명칭 변경과 결합을 통해 쉽고 직관적으로 웹 게시물로 변환(코드 생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9 내지 12를 참조하여 액션웹툰 생성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액션웹툰(20)을 쉽게 제작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웹툰 작가 등의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단말기(300)에 액션웹툰 생성프로그램을 설치한 후 실행한다.(S202) 액션웹툰 생성프로그램은 생성부(110)에 의해 전송되고 관리되는 전용프로그램으로서, 이미지 파일의 선택과 효과 파일의 결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단말기(300)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액션웹툰(20)의 제작에 사용될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여 액션웹툰 생성프로그램에 업로드한다.(S204) 업로드된 이미지 파일의 이름은 작품명과 회차번호, 장면번호 등으로 된 구분코드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는 이미지 파일에 결합하여 효과를 내는 효과 파일을 업로드한다.(S206) 하나의 이미지 파일에는 여러 개의 효과 파일이 결합될 수 있으며, 하나의 효과 파일이 여러 개의 이미지 파일에 각각 결합되어 동일한 효과가 여러 곳에서 실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액션웹툰 생성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이미지 파일에 결합될 효과 파일의 내용과 위치, 실행 조건 등을 설정할 수 있다.(S208)
도 10에는 이미지 파일에 결합되는 효과 파일의 내용을 설정하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웹 디자인이나 액션웹툰 코딩에 지식이 많지 않은 사용자도 이미지 파일을 실행시킨 상태에서 효과 파일을 로딩하고, 효과 파일이 실행될 위치를 그래픽 인터페이스 위에서 지정함으로써 액션웹툰(20)을 쉽게 생성할 수 있다.
액션웹툰 생성프로그램은 이미지 파일을 실행한 상태에서 여기에 결합될 효과 파일을 로딩하면, 결합될 효과 파일의 구분코드를 새로 생성한다. 이때 결합대상이 되는 이미지 파일의 구분코드를 그대로 인용하고, 여기에 효과 파일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는 정보를 추가하여 효과 파일의 구분코드를 설정하도록 한다.
도 11에는 동영상 효과를 구현하는 효과 파일이 결합된 이미지 파일을 미리보기 방식으로 실행하여 액션웹툰(20)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는 음향효과를 내는 효과 파일을 결합하여 정해진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는 액션웹툰(20) 설정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사용자는 이미지 파일에 자신이 원하는 효과 파일을 결합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영상 및 음향 효과를 내는 액션웹툰(20)을 생성할 수 있다.
액션웹툰 생성프로그램은 설명한 방법으로 구분코드를 설정하여 이미지 파일과 효과 파일의 이름으로 대체한다.(S210)
생성된 액션웹툰(20)은 웹툰DB(112)에 저장되며, 별도의 웹툰 서비스 플랫폼(200)으로 전송되어 인터넷(400)을 통해 게시된다.(S212)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일반웹툰 20 : 액션웹툰
100 : 웹툰저장시스템 102 : 웹서버
104 : 수집부 106 : 변환부
108 : 저장부 110 : 생성부
112 : 웹툰DB 200 : 웹툰 서비스 플랫폼
300 : 사용자단말기 400 : 인터넷

Claims (3)

  1. 이미지와 함께 지정된 효과가 표현되는 액션웹툰(20)을 인터넷(400)을 통해 수집하여 저장하는 웹툰저장시스템(100)의 아카이브 저장방법으로서,
    상기 웹툰저장시스템(100)에 포함된 수집부(104)가 상기 액션웹툰(20)을 제공하는 웹툰 서비스 플랫폼(200)에 접속하여 저장대상이 되는 액션웹툰(20)을 선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수집부(104)가 상기 웹툰 서비스 플랫폼(200)으로부터 저장대상으로 선정된 액션웹툰(20)의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는 제2단계와;
    상기 웹툰저장시스템(100)에 포함된 저장부(108)가 상기 액션웹툰(20)의 데이터 파일을 웹툰DB(112)에 저장하는 제3단계와;
    상기 웹툰저장시스템(100)에 포함된 변환부(106)가 상기 액션웹툰(20)의 데이터 파일의 내용을 분석하여 이미지와 효과를 확인하는 제4단계와;
    상기 변환부(106)가 상기 액션웹툰(20)의 이미지 파일과 효과 파일을 연계하여 저장하기 위한 구분코드를 설정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저장부(108)가 상기 구분코드가 설정된 상기 이미지 파일과 상기 효과 파일을 연계하여 상기 웹툰DB(112)에 저장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액션웹툰의 아카이브 저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코드는
    "A_B_C_D_E_F_G"라는 형식으로 설정되며,
    상기 'A'는 '작품명'으로서 상기 액션웹툰(20)의 명칭을 의미하며,
    상기 'B'는 '회차번호'로서 상기 액션웹툰(20)에서 몇 회째 게시된 내용인지를 숫자로 표시하는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C'는 '장면번호'로서 상기 액션웹툰(20)의 해당 회차에서 몇 번째 장면인지를 숫자로 표시하는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D'는 '표시위치'로서 상기 이미지 파일의 픽셀정보를 바탕으로 어느 위치에서 상기 효과 파일이 실행되는지를 픽셀위치로 표시하는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E'는 '이벤트 발생조건'으로서 어떤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상기 효과 파일이 실행되어야 하는지를 표시하는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F'는 '동작내용'으로서 어떤 효과가 실행되는지에 대한 설명을 의미하며,
    상기 'G'는 '파일확장자'로서 상기 이미지 파일과 연계되는 상기 효과 파일의 기본 파일 형식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션웹툰의 아카이브 저장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104)는
    주기적으로 상기 웹툰 서비스 플랫폼(200)에 접속하여 저장대상이 되는 액션웹툰(20)을 자동으로 선택하거나, 관리자가 지정한 액션웹툰(20)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션웹툰의 아카이브 저장방법.
KR1020170175025A 2017-12-19 2017-12-19 액션웹툰의 아카이브 저장방법 KR101993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025A KR101993605B1 (ko) 2017-12-19 2017-12-19 액션웹툰의 아카이브 저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025A KR101993605B1 (ko) 2017-12-19 2017-12-19 액션웹툰의 아카이브 저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3605B1 true KR101993605B1 (ko) 2019-06-27

Family

ID=67056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025A KR101993605B1 (ko) 2017-12-19 2017-12-19 액션웹툰의 아카이브 저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6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987B1 (ko) 1990-12-22 1994-02-07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소이구조의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20120017092A (ko) 2010-08-17 2012-02-28 주식회사 저스트아이디어 액션 웹툰 제작 방법 및 장치
KR20160014072A (ko) * 2016-01-12 2016-03-09 정승묵 영화와 드라마 등의 컨텐츠를 이용한 웹툰 만화 제작기법
KR20160069282A (ko) 2014-12-08 2016-06-16 주식회사 탑코믹스 웹툰의 서비스 속도 향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987B1 (ko) 1990-12-22 1994-02-07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소이구조의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20120017092A (ko) 2010-08-17 2012-02-28 주식회사 저스트아이디어 액션 웹툰 제작 방법 및 장치
KR20160069282A (ko) 2014-12-08 2016-06-16 주식회사 탑코믹스 웹툰의 서비스 속도 향상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4072A (ko) * 2016-01-12 2016-03-09 정승묵 영화와 드라마 등의 컨텐츠를 이용한 웹툰 만화 제작기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80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ming mobile devices
US7181468B2 (en) Content management for rich media publishing system
US201003325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manipulating thumbnail walls
US20080086703A1 (en) Preview expansion of list items
KR20170091142A (ko) 웹 콘텐츠 태깅 및 필터링
US200903076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sharing a presentation
KR20070006905A (ko) 미디어 패키지 및 미디어 패키지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및 그 방법
US1159958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information in social network system
CN103124968B (zh) 用于后仰式娱乐的内容转换
CN103500186A (zh) 一种在浏览器中进行图片加载的方法、装置和浏览器
CN103500187A (zh) 一种在浏览器中进行图片处理的方法、装置和浏览器
US20190310976A1 (en) Search Results Modulator
WO20100630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data on a mobile terminal
US9721321B1 (en) Automated interactive dynamic audio/visual performance with integrated data assembly system and methods
JP5552987B2 (ja) 検索結果出力装置、検索結果出力方法及び検索結果出力プログラム
JP4586652B2 (ja) Rss文書の閲覧方法及び装置及び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WO2010150104A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manipulating thumbnail walls
US201401649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and cross-referencing data to enable dynamic display and real-time editing of data in a flexible user interface
KR101993605B1 (ko) 액션웹툰의 아카이브 저장방법
US20160027082A1 (en) Virtual shop for electronic greeting cards
JP2006059171A (ja) 文字列関連情報表示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003323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user interest in an advertisement generated as part of a thumbnail wall
KR20010111867A (ko) 웹 앨범 제작기 및 방법
KR20190043853A (ko) 엘리먼트 엑스엠엘 저장 메모리와 웹페이지 관리 플랫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