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878B1 - 광학식 터치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식 터치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878B1
KR101992878B1 KR1020100127933A KR20100127933A KR101992878B1 KR 101992878 B1 KR101992878 B1 KR 101992878B1 KR 1020100127933 A KR1020100127933 A KR 1020100127933A KR 20100127933 A KR20100127933 A KR 20100127933A KR 101992878 B1 KR101992878 B1 KR 101992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light receiving
elements
mirror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6547A (ko
Inventor
박주혜
이영준
김재호
최석원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7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878B1/ko
Publication of KR20120066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06F3/042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using sweeping light beams, e.g. using rotating or vibrating mirr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의 광각(optical angle)이 제한적일 때 거울 반사판을 더 구비함에 의해 발광 및 수광 효율을 향상시킨 광학식 터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광학식 터치 입력 장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의 각 변에 서로 이격하여 교번하여 배열된 복수개의 수광 소자 및 발광 소자; 및 상기 수광 소자와 발광 소자들 사이에 배치된 거울 반사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학식 터치 입력 장치 {Optical touch Input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의 광각(optical angle)이 제한적일 때 거울 반사판을 더 구비함에 의해 발광 및 수광 효율을 향상시킨 광학식 터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은 각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정보통신기기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여러 방식 중의 하나로서, 사용자가 손이나 펜으로 화면을 직접 접촉함으로써 기기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는 입력장치이다.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버튼을 손가락으로 접촉하는 것만으로 대화적, 직감적으로 조작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입력장치이기 때문에, 현재 은행이나 관공서의 발급 장치, 각종 의료장비, 관광 및 주요 기관의 안내, 교통안내 등 많은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인식하는 방법에 따라,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 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초음파 방식(Ultrasonics Type), 적외선 방식 (Infrared Type) 등이 있다.
상술한 각 방식의 이점은 각기 상이하지만, 근래에는 터치 스크린이 받는 압력의 최소화와 배치의 편리성으로 적외선 방식이 주목되고 있다.
적외선 방식으로 터치 스크린을 구현하는 방법은 수광부와 발광부의 배치에 따라서도 여러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 중 표시 패널의 각 변에 복수개의 수광 소자와 발광 소자를 배치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 경우, 발광 소자가 발산할 수 있는 광각과 수광 소자가 감지할 수 있는 광각이 180°를 넘지 못하기 때문에,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와의 광각이 교차되지 못하는 영역에 터치 감지 불능 영역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의 광각(optical angle)이 제한적일 때 거울 반사판을 더 구비함에 의해 발광 및 수광 효율을 향상시킨 광학식 터치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학식 터치 입력 장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의 각 변에 서로 이격하여 교번하여 배열된 복수개의 수광 소자 및 발광 소자; 및 상기 수광 소자와 발광 소자들 사이에 배치된 거울 반사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수광 소자 및 발광 소자들은 각각 적외선 수광 및 적외선 발광을 한다.
상기 복수개의 수광 소자 및 발광 소자들과 상기 거울 반사판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수광 소자 및 발광 소자들과, 상기 거울 반사판은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놓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개의 수광 소자 및 발광 소자들은, 상기 표시 패널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하는 동일한 보드 상에 집적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거울 반사판은 상기 동일한 보드 상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울 반사판의 가로 길이는 상기 수광 소자와 발광 소자 사이의 이격 거리이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수광 소자와 발광 소자와, 상기 거울 반사판은 케이스 탑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 소자들을 순차적으로 점등되고 상기 수광 소자들은 동시에 수광량을 수집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광학식 터치 입력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거울 반사판을 수광 소자와 발광 소자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발광이 이루어지는 발광 소자에 인접한 수광 소자에서도 거울 반사판에 의한 반사광의 센싱이 가능하다. 따라서, 표시 패널에 배치된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의 광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고, 이에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가 갖는 광각의 제한에 관계없이 터치 감지 불능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는 터치 물체의 최소 인식 크기를 줄일 수 있음과 터치 중심좌표 인식 에러를 감소시킴을 의미한다.
또한, 거울 반사판에 의해 광 효율 증가에 의해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의 수를 줄일 경우, 상기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 및 전력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도 1은 광학식 터치 입력 장치에 있어서, 일 발광 소자에서 발광시 센싱 가능한 수광 소자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광학식 터치 입력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표시 패널의 일변에 상당하여 발광 소자, 수광 소자 및 거울 반사판이 배치된 보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
도 4는 도 2의 발광 경로 및 센싱 경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각각 90개로 하고 거울 반사판 미적용시 적용 가능 펜 사이즈와 중심좌표 인식 에러 평균을 나타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각각 64개로 하고 거울 반사판 미적용시 적용 가능 펜 사이즈와 중심좌표 인식 에러 평균을 나타낸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각각 64개로 하고 거울 반사판 적용시 적용 가능 펜 사이즈와 중심좌표 인식 에러 평균을 나타낸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각각 48개로 하고 거울 반사판 적용시 적용 가능 펜 사이즈와 중심좌표 인식 에러 평균을 나타낸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각각 32개로 하고 거울 반사판 적용시 적용 가능 펜 사이즈와 중심좌표 인식 에러 평균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거울 반사판 미적용시와 적용시 수광소자-발광소자 쌍의 배치수에 따른 센싱 감지 사이즈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광학식 터치 입력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광학식 터치 입력 장치에 있어서, 일 발광 소자에서 발광시 센싱 가능한 수광 소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같이, 광학식 터치 입력 장치는, 표시 패널(5)의 각 변에 대응되어 서로 교번하여 복수개의 발광 소자(10)와 수광 소자(20)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좌상측 코너에 위치한 발광 소자(10)가 점등되었을 때, 상기 발광 소자(10)에서 발산되는 광은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표시 패널의 우측변과 하측변에 해당하는 위치의 수광 소자(20a)측에만 센싱될 수 있고, 나머지 영역의 수광 소자(20b)에서는 광각(optical angle)의 제한으로 발산된 광이 전달될 수 없다. 이는 상측변과 좌측변에 위치한 수광 소자(20b)들 역시 광각이 180°를 넘지 못하기 때문이다.
대략 수광 소자와 발광 소자의 광각은 약 140~160°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를 감안하면 발광 소자의 발광시 그에 인접한 변에 수광 소자측에서는 발산광(divergence beam)의 센싱이 어려움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광각의 제한으로 광각이 커버하지 못하는 영역이 발생하게 되고, 물체 투명 정보 수집시, 발광 소자에 인접한 수광 소자들은 정보 수집에 활용되지 못하며, 유효 정보 수집에 불필요한 구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도 1의 20b 참조).
도 2는 본 발명의 광학식 입력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식 입력 장치는 표시 패널(100)과, 상기 표시 패널(100)의 각 변에 서로 이격하여 교번하여 배열된 복수개의 수광 소자(110) 및 발광 소자(120) 및 상기 수광 소자(110)와 발광 소자(120)들 사이에 배치된 거울 반사판(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광학식 입력 장치에서는 표시 패널(100)의 각 변에 수광 소자(110), 거울 반사판(130), 발광 소자(120)이 차례로 반복하여 배치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수광 소자(110) 및 발광 소자(120)들은 각각 적외선 수광 및 적외선 발광 기능을 갖는 것으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적외선 발광과 수광(센싱)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광 소자(110) 및 발광 소자(120)들은 표시 패널(100) 상에 놓여질 수도 있다. 표시 패널(100) 상에 놓여질 경우,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거울 반사판(130) 역시 수광 소자(110) 및 발광 소자(120)들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시켰을 때, 적외선의 수발광과 동일 평면 상에서 대향하여 반사가 이루어져 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광 소자(110) 및 발광 소자(120)와 거울 반사판(130)은 표시 패널(100) 위에 위치하여 서로 평행하게 광의 발광, 수광, 반사가 이루어지는데 광의 파장대가 적외선으로 하부의 표시 패널(100)에서 출사되는 가시광의 표시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적외선 광의 블록킹 여부로 터치가 감지되는 것으로 터치의 감지와 영상의 표시가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울 반사판(130)의 가로 길이(w)는 상기 수광 소자(110)와 발광 소자(120) 사이의 이격 거리이거나 그 보다 작을 수도 있다. 이 중 광효율 향상의 관점에서는 상기 거울 반사판(130)의 가로 길이(w)가 수광 소자(110)와 발광 소자(120) 사이의 거리일 경우 가장 유리하다. 여기서, 상기 거울 반사판(130)의 세로 길이(s)는 상기 수광 소자(110) 또는 발광 소자(120)의 높이를 넘지 않게 설계한다. 가급적 보드(150)의 세로 길이와 같거나 작게 거울 반사판(130)의 높이를 설계한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수광 소자(110)와 발광 소자(120)와, 상기 거울 반사판(130)은, 표시 패널(100)의 상부 가장자리 및 측부를 감싸는 케이스 탑(미도시)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광 소자(110) 및 발광 소자(120)의 형태는 도시된 삼각형상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표시 패널(100) 상에 위치하였을 때, 장애물이 없을 때 최대한 광의 수광 및 발산이 가능할 정도로 광의 수광면 및 발산면이 장애물없는 평탄면을 갖는다. 그리고, 그 배면측은 보드(도 3의 150 참조)에 집적되어 터치 컨트롤러(미도시)의 제어를 받도록 전기적 배선(미도시)과 연결을 갖는다.
도 3은 도 2의 표시 패널의 일변에 상당하여 발광 소자, 수광 소자 및 거울 반사판이 배치된 보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3과 같이, 상기 복수개의 수광 소자(110) 및 발광 소자(120)들은, 상기 표시 패널(100)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하는 보드(150) 상에 집적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거울 반사판(130)은 상기 보드(150) 상에 접착층(140)을 개재하여 부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거울 반사판(130)은 반드시 보드(150) 상에 부착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수광 소자(110)와 발광 소자(120) 사이에 놓여질 수 있는 여느 배치로도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 탑과 표시 패널(100)의 표면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이 있으므로, 이 부위에 상기 보드(150)가 위치하여, 상기 보드(150) 상에 배치되는 수광 소자(110), 발광 소자(120) 및 거울 반사판(130)을 가릴 수 있다.
상술한 광학식 터치 입력 장치의 구동 방식은 다음과 같다.
상기 발광 소자(120)는 하나씩 점등하는 식으로 순차 구동하고, 상기 수광 소자(110)는 동시에 발광 소자(120)으로부터 발산된 광 및 거울 반사판(130)에 의해 반사된 광의 수광을 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 이 때, 만일 표시 패널(100) 상에 터치가 있을 때, 해당 부위에서 광의 경로에 블록킹(blocking)이 있게 되고 이를 감지하여 터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드(15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터치 컨트롤러(미도시)와 연결되고, 상기 터치 컨트롤러에서는 상기 발광 소자(120)의 점등을 제어하고, 수광 소자(110)로부터 수집된 광량에 따라 광의 블록킹 정도를 판단하고 이를 통해 터치 여부와 터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컨트롤러는 상기 표시 패널(100)을 제어하는 패널 제어부(미도시)와 함께 또는 분리되어 위치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발광 경로 및 센싱 경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와 같이, 거울 반사판(130)이 수광 소자(110)와 발광 소자(120) 사이에 배치될 경우, 각각 수광 소자(110)와 발광 소자(120)가 갖는 광각에 의해 센싱 및 발광 경로가 흑색 선상으로 도시되고 있으며, 발광 소자(120)로부터 나오는 광이 거울 반사판(130)로 들어가 재반사되어 대향되는 수광 소자(110)측으로 들어가는 반사 경로가 적색 선상으로 도시되고 있다.
즉, 거울 반사판의 구비에 의해, 도 1의 구조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적색 선상의 경로가 더 발생되어 센싱할 수 있는 영역이 그만큼 더 확보됨을 알 수 있다. 이는 발광 소자(120)가 순차 점등시, 점등하는 발광 소자(120)에 인접한 변에 위치한 수광 소자들이 대향되는 변상에 위치한 거울 반사판(130)으로부터 들어오는 반사광을 수광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광경로 증가는 결국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 수를 더 배열한 효과를 나타내게 되므로, 소자의 추가와 소비 전력의 추가 없이, 더 많은 터치 물체 검출 정보를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보다 적은 수의 소자 사용만으로 터치 인식 최소 크기가 줄어들 수 있음과 터치 중심좌표의 에러를 줄일 수 있는 광학식 터치 입력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거울 반사판의 미적용시를 비교예로, 적용시를 실시예로 하여 실험한 예를 살펴본다.
각각 비교예는 발광 소자/수광 소자의 개수를 90개와 64개로 한 경우의 두가지 예를 실험하였고, 실시예는 발광 소자/수광 소자의 개수를 64개, 48개, 32개로 한 경우의 세가지 예를 실험하였다.
이하에서 실험한 예는, 표시 패널의 사이즈는 23인치를 기준으로 한 것이며,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는 동일한 성능을 가진 것으로 각 비교예 및 실시예들에서, 배치 수만 달리하는 것이다.
그리고, 중심 좌표 인식 에러 평균은 표시 패널의 5포인트를 펜으로 터치한 후 센싱하였을 때, 각 포인트의 중심에서 "실제 터치 중심 좌표와 터치로 인식되는 중심좌표간의 거리차"를 평균값으로 나타낸 것이다. 중심 좌표 인식 에러 평균이 낮을수록 영역별로 터치 감지 영역의 센싱 영역의 차가 없음을 의미한다.
또한, 적용 가능한 펜 사이즈는 펜으로 터치하여 드로잉시 센싱 가능한 최소한의 길이를 의미한다.
도 5a 및 도 5b는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각각 90개로 하고 거울 반사판 미적용시 적용 가능 펜 사이즈와 중심좌표 인식 에러 평균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a 및 도 6b는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각각 64개로 하고 거울 반사판 미적용시 적용 가능 펜 사이즈와 중심좌표 인식 에러 평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와 같이, 비교예 1에서는,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90개씩 배치한 경우, 매우 촘촘히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가 배치되어 있고, 터치 감지 가능한 펜 사이즈는 2mm이고, 이 때의 중심 좌표 인식 에러 평균은 약 1.14mm이다. 이 때,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 배치 수가 늘게 되면 터치 감지 가능한 펜 사이즈는 작게 되어, 미세한 영역에서 터치가 있을 때도 감지가 가능함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도 6a 및 도 6b와 같이, 비교예 2에서,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64개씩 배치한 경우, 터치 감지 가능한 펜 사이즈는, 소자의 개수가 줄어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90개씩 배치한 경우에 비해, 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는 8mm 미만의 길이로 펜으로 드로잉시 이를 센싱할 수 없음을 의미하며, 그만큼 센싱 정확도가 떨어짐을 나타낸다. 또한, 중심 좌표 인식 에러 평균 역시 1.87mm로 늘게 되어, 90개 배치시보다 상대적으로 터치로 인식하는 센싱 부위의 정확도가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각각 64개로 하고 거울 반사판 적용시 적용 가능 펜 사이즈와 중심좌표 인식 에러 평균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a 및 도 8b는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각각 48개로 하고 거울 반사판 적용시 적용 가능 펜 사이즈와 중심좌표 인식 에러 평균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a 및 도 9b는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각각 32개로 하고 거울 반사판 적용시 적용 가능 펜 사이즈와 중심좌표 인식 에러 평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실시예 1을 나타낸 것으로, 거울 반사판을 적용하고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64개씩 배치한 경우에 터치 감지 가능한 펜 사이즈가 0.4mm이다. 이 경우, 도 7b와 같이, 중심 좌표 인식 에러 평균 값이 1.03mm 로, 오히려 거울 반사판을 미적용하고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90개로 늘려 배치한 경우보다 터치 감지 가능한 펜 사이즈와 중심 좌표 인식 에러 평균이 줄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는 거울 반사판을 미적용시보다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적게 배치한 경우에도 센싱 정확도가 늘게 됨을 알 수 있으며, 최소 터치 가능한 물체 인식 크기가 감소하여, 펜으로 드로잉시 시인 불가한 영역이 줄게 됨을 의미한다.
실시예 2를 나타낸 도 8a는, 거울 반사판을 적용하고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48개씩 배치한 경우에 터치 감지 가능한 펜 사이즈가 2.8mm임을 나타낸다. 이 때, 도 8b와 같이, 중심 좌표 인식 에러 평균 값이 1.53mm 임을 나타낸다. 상대적으로 비교예 2에서보다, 최소 적용 가능한 펜 사이즈와 중심 좌표 인식 에러 평균이 모두 줄게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을 나타낸 도 9a는, 거울 반사판을 적용하고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32개씩 배치한 경우에 터치 감지 가능한 펜 사이즈가 10.4mm이며, 도 9b와 같이, 중심 좌표 인식 에러 평균 값이 1.61mm 임을 나타낸다. 상대적으로 비교예 2에서보다, 최소 적용 가능한 펜 사이즈는 크지만, 중심 좌표 인식 에러 평균이 작음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 2와 비교시 거울반사판을 적용한 경우,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반으로 배치한 경우에도 유사한 정도의 터치 센싱 정도를 가짐을 예측할 수 있다.
발광소자개수 수광소자개수 거울반사판적용 여부 최소적용가능 펜 사이즈 중심좌표인식 에러 평균
비교예1 90개 90개 X 2mm 1.14mm
비교예2 64개 64개 X 8mm 1.87mm
실시예1 64개 64개 O 0.4mm 1.03mm
실시예2 48개 48개 O 2.8mm 1.53mm
실시예3 32개 32개 O 10.4mm 1.61mm
표 1 및 상술한 도면을 참조하여, 거울 반사판을 미적용시와 적용시에 센싱 감도를 살펴본다.
비교예 2와 실시예 1을 참조하여, 동일한 개수로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배치시키고, 거울 반사판을 미적용시와 적용시로 구분하여 본다. 여기서, 거울 반사판을 적용시 최소 적용 가능 펜 사이즈가 8mm에서 0.4mm로 현저히 줄음을 알 수 있고, 중심 좌표 인식 에러의 평균값 역시 1.87mm에서 1.03mm로 줄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오히려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많이 배치하는 비교예 1에 비해서도 실시예 1에서 최소 적용 가능 펜 사이즈와 중심 좌표 인식 에러 평균이 모두 줄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10은 거울 반사판 미적용시와 적용시 수광소자-발광소자 쌍의 배치수에 따른 센싱 감지 사이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과 같이, 23인치의 표시 패널로 실험시 거울 반사판 미적용시는
Y = 465.8e (-x/15.4) 의 좌표로 센싱 가능한 펜 사이즈가 그려지고, 거울 반사판 적용시는 Y = 195.6e (-x/11.1) 의 좌표로 센싱 가능한 펜 사이즈가 그려짐을 알 수 있다. 즉, 거울 반사판 적용시 그래프의 기울기가 낮아져 동일 소자 쌍(수광소자-발광소자) 개수에 비해 센싱 가능한 펜 사이즈가 작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센싱 감도가 거울 반사판 적용시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의 배치를 줄이더라도 거울 반사판 적용시 일정 이상의 센싱 감도가 확보됨을 알 수 있다.
또한, 거울 반사판에 의해 광 효율 증가에 의해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의 수를 줄일 경우, 상기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 및 전력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상술한 광학식 터치 입력 장치는 복수개의 수광 소자 및 발광 소자의 배치와 이들 소자들에서 광 블락킹 여부로 터치 감지되는 것으로 멀티 터치 검출이 가능하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표시 패널 110: 수광 소자
120: 발광 소자 130: 거울 반사판
140: 접착층 150: 보드

Claims (9)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각 변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 패널의 표면 상에 수직하여 배치된 보드;
    상기 표시 패널의 각 변에 위치한 보드 각각에 집적되며, 서로 이격하며 교번하여 배열된 복수개의 수광 소자 및 발광 소자; 및
    상기 보드 각각의 수광 소자와 발광 소자들 사이에마다 부착된 거울 반사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거울 반사판의 가로 길이는 상기 수광 소자와 발광 소자 사이의 이격 거리와 같거나 작으며,
    상기 발광 소자들은 순차적으로 점등되고 상기 수광 소자들은 점등된 발광 소자의 발산광 및 상기 거울 반사판으로부터 반사광을 동시에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터치 입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광 소자 및 발광 소자들은 각각 적외선 수광 및 적외선 발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터치 입력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광 소자와 발광 소자와, 상기 거울 반사판은 케이스 탑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터치 입력 장치.
  9. 삭제
KR1020100127933A 2010-12-14 2010-12-14 광학식 터치 입력 장치 KR101992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933A KR101992878B1 (ko) 2010-12-14 2010-12-14 광학식 터치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933A KR101992878B1 (ko) 2010-12-14 2010-12-14 광학식 터치 입력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750A Division KR101888450B1 (ko) 2017-07-31 2017-07-31 광학식 터치 입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547A KR20120066547A (ko) 2012-06-22
KR101992878B1 true KR101992878B1 (ko) 2019-06-25

Family

ID=46685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933A KR101992878B1 (ko) 2010-12-14 2010-12-14 광학식 터치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8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614B1 (ko) * 2012-06-08 2013-03-15 최대규 광학적 터치스크린 장치
KR101715773B1 (ko) * 2016-05-26 2017-03-14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를 이용한 터치 감지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6541A (ja) * 2001-02-09 2002-08-23 Ricoh Co Ltd 位置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と携帯機器と形状検出装置
US20040140960A1 (en) * 2003-01-17 2004-07-22 Eastman Kodak Company OLED display and touch scre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6541A (ja) * 2001-02-09 2002-08-23 Ricoh Co Ltd 位置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と携帯機器と形状検出装置
US20040140960A1 (en) * 2003-01-17 2004-07-22 Eastman Kodak Company OLED display and touch 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547A (ko) 201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9578B2 (en) Optical sensing unit,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352117B1 (ko) 터치 패널을 갖는 표시 장치 및 이의 터치 감지 방법
US8884900B2 (en) Touch-sensing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therewith
US8659561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optical sensing frame and method of sensing touch
KR101407300B1 (ko) 멀티 터치 평판 표시모듈
US8803846B2 (en) Method for detecting touch and optical touch sensing system
KR101019835B1 (ko) 조명 장치 및 전기 광학 장치
US8803845B2 (en) Optical touch input system and method of establishing reference in the same
JP2006155616A (ja) 導光体を使ったタッチ入力システム
US9310918B2 (en) Touch display having a reflective type display screen
TWI410685B (zh) 波導模組、光學觸控模組以及提高光學觸控模組之訊雜比之方法
KR20090092878A (ko) 적외선 터치스크린
TWI484387B (zh) 光學感測單元、顯示模組及其顯示裝置
CN201421600Y (zh) 光学触控模块
CN102722295A (zh) 一种触摸屏
CN109508119A (zh) 悬浮触控显示装置及悬浮触控方法
KR20080100008A (ko) 멀티 터치 장치
KR101992878B1 (ko) 광학식 터치 입력 장치
KR101888450B1 (ko) 광학식 터치 입력 장치
US20130162597A1 (en) Optical touch control module
KR101351420B1 (ko) 광학 센싱 프레임을 갖는 표시 장치
TWM436872U (en) Improved optical touch panel including optic fiber for transmission
KR101735393B1 (ko) 광학 센싱 프레임을 갖는 표시 장치 및 이의 멀티 터치 감지 방법
KR101901241B1 (ko) 터치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US20130161491A1 (en) Optical touch control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366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731

Effective date: 201905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