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856B1 -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856B1
KR101992856B1 KR1020170133159A KR20170133159A KR101992856B1 KR 101992856 B1 KR101992856 B1 KR 101992856B1 KR 1020170133159 A KR1020170133159 A KR 1020170133159A KR 20170133159 A KR20170133159 A KR 20170133159A KR 101992856 B1 KR101992856 B1 KR 101992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pair
rotation
footres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1663A (ko
Inventor
강신기
Original Assignee
강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기 filed Critical 강신기
Priority to KR1020170133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856B1/ko
Publication of KR20190041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판에 올라서거나 앉은 자세로 좌우 왕복운동 또는 몸통 비틀림 운동을 할 수 있고, 특히, 바퀴를 좌우로 굴리면서 운동할 때, 바퀴의 회전량을 제어함으로써 탄력있는 좌우운동이 가능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운동기구는 발판; 상기 발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바퀴; 상기 바퀴의 회전량을 제어하는 회전제어수단; 및 상기 발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회전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운동기구{SPOTING DEVICE}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판에 올라서거나 앉은 자세로 좌우 왕복운동 또는 몸통 비틀림 운동을 할 수 있고, 특히, 바퀴를 좌우로 굴리면서 운동할 때, 바퀴의 회전량을 제어함으로써 탄력있는 좌우운동이 가능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력이나 관절 등이 약한 노약자에게는 등산이나 달리기 등의 실외운동이나 러닝머신과 같은 각종 헬스용 운동기구들을 이용한 운동이 오히려 몸에 무리를 주는 경우가 많으므로, 땀을 흘려 지방을 분해시키는 격한 운동보다는 관절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가볍게 몸을 움직이므로써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거나 장운동이 되게 하여 소화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걷기, 줄넘기, 제자리 뜀뛰기 등의 운동이 권장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진 여러 가지 운동기구들이 개시되었는데, 최근 들어서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관절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몸의 상하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발판이 수직 중심축을 중심으로 좌우 교번으로 회전됨으로써 트위스트 운동까지 함께 병행할 수 있는 운동기구들이 제안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트위스트 운동기구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운동기구는 베이스판(110)과, 발판(130)과, 상기 베이스판(10)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1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받침대(12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판(110)은 길이방향으로 4개의 안내홈(111)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안내홈(111)의 양측 단부는 라운드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안내홈(111)이 형성된 것은 상기 발판(130)을 상기 베이스판(110) 위에서 좌우로 움직이면서 발판(130)의 하부에 구비된 바퀴(미도시)가 안내홈(111)의 끝단에 도달하면 방향을 전환하여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발판(130)과 베이스판(110)을 별도로 구비하기 때문에 제작이 어렵고, 보관도 어렵다. 또한 베이스판(110)이 바퀴의 굴림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도 있다.
공개특허 10-2013-0054685 공개특허 10-2011-0103112 공개특허 10-2013-012259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판에 올라서거나 앉은 자세로 좌우 왕복운동 또는 몸통 비틀림 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퀴를 좌우로 굴리면서 운동할 때, 바퀴의 회전량을 제어함으로써 탄력있는 좌우운동이 가능한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운동기구는 발판; 상기 발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바퀴; 상기 바퀴의 회전량을 제어하는 회전제어수단; 및 상기 발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회전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퀴는 상기 발판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제어수단은 상기 한 쌍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탄성재질의 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제어수단은 상기 발판의 하부에 돌출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와 회전축을 연결하는 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바가 판스프링이거나 또는 상기 밴드가 탄성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판에 올라서거나 앉은 자세로 좌우 왕복운동 또는 몸통 비틀림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바퀴를 좌우로 굴리면서 운동할 때, 바퀴의 회전량을 제어함으로써 탄력있는 좌우운동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운동기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1)는 발판(10)과, 상기 발판(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바퀴와 제2바퀴와, 회전판(60)을 포함한다.
상기 발판(10)은 원형 또는 타원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발판(10)의 상부에는 회전판(60)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발판(10) 위에서 회전할 수가 있어 몸을 비트는 트위스트 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발판(10)에는 앞뒤(좌우)로 손잡이(70)가 형성되어 있어 안정적으로 운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손잡이(70)는 신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팔의 근력운동도 할 수 있다.
상기 발판(10)의 하부에는 각각 전방과 후방에 제1바퀴와 제2바퀴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바퀴와 제2바퀴는 상기 발판(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21)과, 상기 회전축(21)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롤러(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1)에는 상기 바퀴의 회전량을 제어하는 회전제어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제어수단은 상기 바퀴가 회전하여 발판이 어느 정도 이동하게 되면, 더 이상 바퀴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제어수단은 상기 회전축(21,31)을 서로 연결하는 밴드(B)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밴드(B)는 신축 가능한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도면 2에서 상기 바퀴가 회전하여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밴드(B)는 늘어나면서 상기 제1바퀴의 회전축(21)에 감기게 된다. 상기 밴드(B)가 늘어날 수 있는 범위가 되면 더 이상 바퀴들은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다시 반대방향으로 발판(10)을 움직인다. 상기 밴드(B)가 탄성재질이기 때문에 제1바퀴의 회전축(921)에 감겨있다가 풀리면서 튕기듯이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사용자에게 좌우방향 전환의 속도감과 스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밴드(B)는 탄성재질이 아닐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밴드(B)가 어느 하나의 회전축(21,31)에 감기기도 하고, 다시 풀리기도 할 수 있도록 상기 밴드(B)의 길이는 상기 한 쌍의 회전축(21,31) 사이의 축간 거리보다 더 커야 한다. 즉, 상기 밴드(Bb)가 신축성이 없는 재질일 경우에는 회전축(21,31) 사이의 축간 거리보다 더 길게 밴드(B)를 장착해야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위와 같이 발판(10)을 좌우로 움직이면서 운동할 수도 있고, 동시에 몸을 비트는 트위스트 운동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발판(10)의 상부에는 회전판(60)을 구비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발판(10)의 상부에는 고정판(4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40)에는 강화유리판(50)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판(60)은 상기 강화유리판(50) 위에 적층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60)은 상기 강화유리판(50) 위에서 미끄러지면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강화유리판(50)은 원판일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반원모양으로 분리형성된다. 또한 상기 반원모양의 한 쌍의 강화유리판(50) 사이 중심에는 축(11)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60)은 상기 축(11)을 중심으로 강화유리판(50) 위에서 회전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도 발판(10)과 한 쌍의 바퀴와, 회전판(60)을 구비한다.
다만, 상기 발판(10)의 하부 중심에는 지지바(80)가 돌출형성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상기 지지바(80)와 상기 제1바퀴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제1밴드와(B1), 상기 지지바(80)와 상기 제2바퀴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제2밴드(B2)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지지바(80)가 좌우로 휘어지는 판스프링과 같은 플렉서블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밴드(B1)와 제2밴드(B2)도 신축성 있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발판(10)을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밴드(B1)가 제1바퀴의 회전축에 감기게 되고, 이와 함께 상기 지지바(80)가 도면상 좌측으로 휘어지게 된다. 또한 제2밴드(B2)는 늘어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이 지속되다가 제1밴드(B1)와 제2밴드(B2)가 더 이상 늘어나지 않는 한계점에 다다르면 발판(10)을 더 이상 좌측으로 이동할 수가 없고, 사용자는 반대방향(도면상 우측)으로 발판을 이동시킨다. 이 때 판스프링의 탄성력, 제1밴드(B1)와 제2밴드(B2)의 탄성력에 의해 튕기듯이 발판의 이동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으로 상기 지지바(80)는 도면상 우측으로 휘어지게 되고, 제2밴드(B2)는 제2바퀴의 회전축에 감기고 제1밴드(B1)는 늘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좌우로 반복하면서 사용자는 운동과 함께 스릴 있는 동작을 연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실시예와 달리 강화유리판을 하나의 원판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다른 형태로 회전판의 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1: 실시예
10: 발판
11: 고정축
20: 제1롤러
21: 회전축
30: 제2롤러
31: 회전축
40: 고정판
50: 강화유리판
60: 회전판
70: 손잡이
80: 지지바

Claims (4)

  1. 발판;
    상기 발판의 하부에서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발판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는 한 쌍의 바퀴;
    상기 한 쌍의 바퀴 사이에 상기 발판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바;
    상기 발판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한 쌍의 회전축과 지지바를 각각 연결하는 신축성 있는 재질의 밴드; 및
    상기 발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회전판;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발판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회전축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밴드가 신장되어 어느 하나의 상기 회전축에 권취되고, 상기 밴드가 신장될 수 있는 한계점에 이르게 되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상기 한 쌍의 바퀴가 있는 방향으로 휘어짐이 가능한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KR1020170133159A 2017-10-13 2017-10-13 운동기구 KR101992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159A KR101992856B1 (ko) 2017-10-13 2017-10-13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159A KR101992856B1 (ko) 2017-10-13 2017-10-13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663A KR20190041663A (ko) 2019-04-23
KR101992856B1 true KR101992856B1 (ko) 2019-06-25

Family

ID=66285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159A KR101992856B1 (ko) 2017-10-13 2017-10-13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8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7250A1 (en) * 2005-03-10 2006-09-28 Pearson Mike S Board sport simulator and train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2176A (en) * 1993-09-24 1994-10-04 Huang Ming Chih Mutipurpose, spring-supported exercising machine
KR20100097267A (ko) * 2009-02-26 2010-09-03 전봉환 보드식 다기능 운동기구
KR101177798B1 (ko) 2010-03-12 2012-08-30 강신기 운동기구
KR101190778B1 (ko) * 2010-03-17 2012-10-12 강신기 운동기구
KR101313316B1 (ko) 2011-11-17 2013-09-30 강신기 트위스트 운동기구
KR101438553B1 (ko) 2013-08-26 2014-09-17 강신기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7250A1 (en) * 2005-03-10 2006-09-28 Pearson Mike S Board sport simulator and trai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663A (ko) 201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5213B2 (en) End of travel stop for an exercise device
US10661115B2 (en) Stationary manual exercise sled
JP5319110B2 (ja) 運動装置の動作に抵抗するための補助的な抵抗アセンブリ
EP0163505B1 (en) Exercise device
US7780577B2 (en) Pendulous exercise device
US9744402B2 (en) Balance training system
US7374522B2 (en) Exercise device having a movable platform
US7201707B1 (en) Elliptical exercise machine with adjustable stride length
US6068579A (en) Treadmill with a Y-shaped yoke
WO2009084577A1 (ja) 立位式他動運動機器
CN101161222A (zh) 运动装置
KR20120005874A (ko) 쳇바퀴형 런닝머신
US20100093497A1 (en) Athletic apparatus with non-linear sliding track
KR101992856B1 (ko) 운동기구
US20100160120A1 (en) Programmable universal exercise device
KR101602603B1 (ko) 목 운동기구
CN107638663B (zh) 一种运动强度可调式腹肌轮
KR101837100B1 (ko)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
US20200360762A1 (en) Biokinetic ellipsoid for dinamic workout in a complex of the spine in horizontal position and entire musculoskeletal system
KR20100075808A (ko) 스텝퍼의 트위스터 손잡이
KR101688578B1 (ko)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
KR101610369B1 (ko) 전신운동 실내스키
CN218280465U (zh) 一种冠状轴、垂直轴旋转平衡训练测试装置
CN2544755Y (zh) 运动装置
JP4460464B2 (ja) 全身筋肉のトレー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1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7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1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9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02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1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9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6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