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664B1 -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 - Google Patents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664B1
KR101992664B1 KR1020170139571A KR20170139571A KR101992664B1 KR 101992664 B1 KR101992664 B1 KR 101992664B1 KR 1020170139571 A KR1020170139571 A KR 1020170139571A KR 20170139571 A KR20170139571 A KR 20170139571A KR 101992664 B1 KR101992664 B1 KR 101992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unit
charging
main body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6229A (ko
Inventor
김귀식
홍종표
Original Assignee
샤든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든코리아(주) filed Critical 샤든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70139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664B1/ko
Publication of KR20190046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6Details with automatic reconnec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 G05F1/569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for protec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5/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power reset mechanism
    • H01H75/02Details
    • H01H75/04Reset mechanisms for automatically reclosing a limited number of tim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1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a generator driven by a prime mover other than the motor of a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using capacitors as storage or buff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2003/0273Manually irreversibly actuated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58Containing a batt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2Energy efficient charging or discharging system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는 본체부, 전원부, 제어함부, 조작부, 본체 연결 케이블, 전압 승압부, 제1 충전부, 수동 투입 핸들부, 가속 기어부, 발전기부, 제2 충전부 및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체부는 배전 선로의 전기를 온 또는 오프 시킨다. 전원부는 입력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함부는 전원부로부터 입력 전원을 수신하고, 본체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고장 전류를 검출한다. 조작부는 제어함부 내에 있으며, 투입 스위치 및 개방 스위치를 포함한다. 본체 연결 케이블은 제어함부와 본체부를 연결한다. 전압 승압부는 제어함부로부터 입력 전원을 수신하며, 입력 전원의 전압을 승압하여 승압 전압을 생성한다. 제1 충전부는 전압 승압부에 의해 승압된 승압 전압을 충전한다. 수동 투입 핸들부는 본체부를 수동 투입하기 위한 부분이다. 가속 기어부는 수동 투입 핸들이 회전할 때 동작한다. 발전기부는 가속 기어부의 동작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킨다. 제2 충전부는 본체부의 수동 투입 동작을 위해 발전기부에서 발생된 전기를 충전한다. 구동부는 제1 충전부 및 제2 충전부에 연결되고, 제어함부의 투입 명령 및 수동 투입 핸들부의 투입 명령에 의해 본체부를 동작시킨다.

Description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 {RECLOSER FOR ELECTRIC POWE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에 관한 것으로, 전기 구동에 의한 투입 및 가속 기어를 이용한 수동 투입을 수행할 수 있는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상 배전 선로에는 선로의 일시적인 고장이나 순간적인 고장을 제거하여 고장의 파급을 방지하기 위한 리크로져를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다.
종래의 리크로져는 AC 전원을 이용하여 DC 전원으로 변환 후 솔레노이드(solenoid)를 구동하는 방식과, 스프링(spring)을 충전하고 스프링에 축적된 힘을 이용하여 투입 및 개방을 수행하는 방식이 있다.
또한 영구 자석 액츄에이터(permanent magnetic actuator, PMA)를 이용하는 구동 방식이 있으며, 이는 리크로져가 투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영구 자석의 힘을 이용하여 붙어 있으므로 수동 개방은 가능하지만 수동 투입 기능은 없다.
리크로져의 수동 투입 방식은 많은 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메커니즘을 본체 내부에 취부하여야 할 수 있다.
상기 수동 투입 메커니즘은 크기가 커서 취부가 어려운 문제가 있고, 가장 큰 문제는 활선 상태에서 투입 시 차단 부 Vacuum Interrupter에 필요한 적정한 속도로 주 접점이 이동하여 통전이 이루어야 하나, 상기 수동 투입 메커니즘은 기계적으로 설계되어 전기적인 투입 방식에 맞는 속도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전기 구동에 의한 투입 및 가속 기어를 이용한 수동 투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수동 투입 시에 전기 구동에 의한 투입 속도와 같은 투입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는 본체부, 전원부, 제어함부, 조작부, 본체 연결 케이블, 전압 승압부, 제1 충전부, 수동 투입 핸들부, 가속 기어부, 발전기부, 제2 충전부 및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배전 선로의 전기를 온 또는 오프 시킨다. 상기 전원부는 입력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어함부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입력 전원을 수신하고, 상기 본체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고장 전류를 검출한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어함부 내에 있으며, 투입 스위치 및 개방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연결 케이블은 상기 제어함부와 상기 본체부를 연결한다. 상기 전압 승압부는 상기 제어함부로부터 상기 입력 전원을 수신하며, 상기 입력 전원의 전압을 승압하여 승압 전압을 생성한다. 상기 제1 충전부는 상기 전압 승압부에 의해 승압된 상기 승압 전압을 충전한다. 상기 수동 투입 핸들부는 상기 본체부를 수동 투입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가속 기어부는 수동 투입 핸들부가 회전할 때 동작한다. 상기 발전기부는 상기 가속 기어부의 동작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2 충전부는 상기 본체부의 수동 투입 동작을 위해 상기 발전기부에서 발생된 상기 전기를 충전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충전부 및 상기 제2 충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함부의 투입 명령 및 상기 수동 투입 핸들부의 투입 명령에 의해 상기 본체부를 동작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외부로부터 외부 전원을 공급 받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외부 전원이 있을 때 상기 외부 전원을 상기 입력 전원으로 공급하고, 상기 외부 전원이 없을 때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입력 전원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압 승압부는 제1 전원 인가 노드 및 제2 전원 인가 노드를 통해 입력된 상기 입력 전원에 응답하여, 직류인 상기 입력 전원의 상기 전압을 제1 교류 전압으로 스위칭하는 제1 집적 회로, 상기 제1 교류 전압을 1차 전압으로 입력 받고, 상기 1차 전압에 비례하는 제2 교류 전압을 2차 전압으로 변환하는 트랜스포머, 상기 2차 전압을 제1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는 제1 전압 승압부 다이오드 및 상기 제1 전압 승압부 다이오드와 연결되는 전압 유도부에 의해 유도되는 상기 제1 직류 전압을 조절하는 가변 저항을 포함하는 전압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압 승압부는 상기 전압 조절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2 전압 승압부 다이오드, 상기 제2 전압 승압부 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동작하는 제1 전압 승압부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1 전압 승압부 스위칭 소자의 출력 전압에 의해 동작하는 제2 전압 승압부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압 유도부는 상기 제1 전압 승압부 다이오드의 캐소드 전극에 연결되는 제1 단을 갖는 제1 전압 승압부 저항, 상기 제1 전압 승압부 저항의 제2 단에 연결되는 캐소드 전극 및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 측에 연결되는 애노드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전압 승압부 제너 다이오드 및 상기 제1 전압 승압부 다이오드의 상기 캐소드 전극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상기 가변 저항의 제1 단에 연결되는 제2 단을 갖는 제2 전압 승압부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저항의 상기 제2 단은 상기 제1 전압 승압부 제너 다이오드의 상기 애노드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압 조절부는 상기 제1 전압 승압부 제너 다이오드의 상기 캐소드 전극에 연결되는 제1 단자, 제4 집적 회로에 연결되는 제2 단자, 상기 제2 전원 인가 노드에 연결되는 제3 단자 및 상기 제2 전압 승압부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는 제4 단자를 포함하는 제3 집적 회로 및 상기 가변 저항의 상기 제1 단에 연결되는 제4 집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압 승압부는 상기 제1 충전부의 충전 캐패시터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충전 캐패시터의 충전 전압이 문턱 전압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보호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회로부는 상기 제1 전압 승압부 다이오드의 캐소드 전극에 연결되는 과도 전압 방지 다이오드(transient voltage suppressor, TVS), 상기 전압 조절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3 전압 승압부 다이오드 및 상기 과도 전압 방지 다이오드, 상기 충전 캐패시터 및 상기 제3 전압 승압부 다이오드에 연결되는 제2 집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적 회로는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 측에 연결되는 제1 단자, 상기 제2 전원 인가 노드에 연결되는 제2 단자,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전압 승압부 제너 다이오드 및 제1 전압 승압부 캐패시터를 통해 상기 제2 전원 인가 노드에 연결되는 제3 단자, 병렬로 연결되는 제3 전압 승압부 저항 및 제2 전압 승압부 캐패시터를 통해 상기 제2 전원 인가 노드에 연결되는 제4 단자 및 제3 전압 승압부 캐패시터를 통해 상기 제2 전원 인가 노드에 연결되는 제5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충전부는 상기 발전기부에서 생성된 상기 전기를 충전하기 위한 복수의 제2 충전 캐패시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는 상기 발전기부 및 상기 제2 충전부의 상기 제2 충전 캐패시터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전기부에서 생성된 3상 전압을 직류로 변환하는 복수의 다이오드들 및 상기 리크로져가 잠금 상태가 아닌 경우에 상기 제2 충전 캐패시터들과 상기 다이오드들을 연결하는 잠금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메인 트립 릴레이(main trip relay)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본체부를 개방하고, 메인 클로즈 릴레이(main close relay)에 의해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본체부를 투입하는 마그네틱 액츄에이터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액츄에이터 코일은 제1 구동 전압 노드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제2 구동 전압 노드에 연결되는 제2 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구동 전압 노드 및 제3 구동 전압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상기 메인 클로즈 릴레이의 제1 접점, 상기 제2 구동 전압 노드 및 제4 구동 전압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상기 메인 클로즈 릴레이의 제2 접점, 상기 제1 구동 전압 노드 및 상기 제4 구동 전압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상기 메인 트립 릴레이의 제1 접점 및 상기 제2 구동 전압 노드 및 상기 제3 구동 전압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상기 메인 트립 릴레이의 제2 접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조작부의 상기 개방 스위치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트립 릴레이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트립 릴레이를 동작시키는 접점을 포함하는 트립 릴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조작부의 상기 투입 스위치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클로즈 릴레이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클로즈 릴레이를 동작시키는 접점을 포함하는 제1 클로즈 릴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충전부의 충전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클로즈 릴레이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클로즈 릴레이를 동작시키는 접점을 포함하는 제2 클로즈 릴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는 전기 구동에 의한 투입 및 가속 기어를 이용한 수동 투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원의 유, 무 또는 제어함부의 고장 등 어떠한 경우라도 수동 조작을 통해 현장에서 전기적인 동작과 같은 조건으로 투입 속도를 유지시켜 동작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순서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는 선로의 일시적인 고장이나 순간적인 고장을 제거하여 고장의 파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는 전기 구동에 의한 투입 및 가속 기어를 이용한 수동 투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는 수동 투입 시에 전기 구동에 의한 투입 속도와 같은 투입 속도를 유지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는 본체부(12), 전원부(1), 제어함부(2), 조작부(3), 본체 연결 케이블(4), 전압 승압부(5), 제1 충전부(6), 수동 투입 핸들부(7), 가속 기어부(8), 발전기부(9), 제2 충전부(10) 및 구동부(11)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2)는 배전 선로의 전기를 온 또는 오프 시킨다.
상기 전원부(1)는 입력 전원을 상기 제어함부(2)에 공급한다. 상기 전원부(1)의 입력 전원은 상기 제어함부(2) 및 상기 본체 연결 케이블(4)을 거쳐 상기 전압 승압부(5)로 전달된다. 상기 전원부(1)는 외부로부터 외부 전원을 공급 받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는 상기 외부 전원이 있을 때 상기 외부 전원을 상기 입력 전원으로 공급하고, 상기 외부 전원이 없을 때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입력 전원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함부(2)는 상기 전원부(1)로부터 상기 입력 전원을 수신하고, 상기 본체부(12)의 동작을 제어하며, 고장 전류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리크로져의 본체부(12) 및 상기 제어함부(2)는 전신주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12)와 상기 제어함부(2)는 상기 본체 연결 케이블(4)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2)에서는 배전 선로의 전압 또는 전류를 계측하여 상기 본체 연결 케이블(4)을 통해 상기 제어함부(2)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함부(2)는 상기 계측된 배전 선로의 전압 또는 전류를 감시하여 활선 또는 비활선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함부(2)는 상기 배전 선로의 활선 또는 비활선 정보를 외부의 제어 시스템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크로져의 상기 본체부(12)에 흐르는 전류를 상기 본체 연결 케이블(4)을 통해 상기 제어함부(2)로 전달하면, 상기 제어함부는 이를 계측하고 미리 설정된 전류 이상이 흐르는 경우 이상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본체부(12)에 개방(OPEN)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상기 본체부(12)는 상기 제어함부(2)의 상기 개방 명령에 따라 개방되게 된다.
상기 조작부(3)는 상기 제어함부(2) 내에 배치되며, 투입 스위치 및 개방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승압부(5)는 상기 제어함부(2)로부터 상기 입력 전원을 수신하며, 상기 입력 전원의 전압을 승압하여 승압 전압을 생성한다. 상기 전압 승압부(5)는 상기 승압 전압을 상기 제1 충전부(6)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충전부(6)는 상기 전압 승압부(5)에 의해 승압된 상기 승압 전압을 충전한다. 상기 제1 충전부(6)는 상기 승압 전압을 기초로 상기 구동부(11)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수동 투입 핸들부(7)는 상기 본체부(12)를 수동 투입하기 위한 부분이다. 예를 들어, 상기 수동 투입 핸들부(7)는 상부에서 하부로 내릴 때에만 발전이 가능하고 놓으면 다시 원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상기 가속 기어부(8)는 상기 수동 투입 핸들부(7)에 연결되어, 상기 수동 투입 핸들부(7)가 회전할 때 동작한다.
상기 발전기부(9)는 상기 가속 기어부(8)에 연결되어, 상기 가속 기어부(8)의 동작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2 충전부(10)는 상기 본체부(12)의 수동 투입 동작을 위해 상기 발전기부(9)에서 발생된 상기 전기를 충전한다.
상기 구동부(11)는 상기 제1 충전부(6) 및 상기 제2 충전부(10)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함부(2)의 투입 명령 및 상기 수동 투입 핸들부(7)의 투입 명령에 의해 상기 본체부(12)를 동작시킨다.
상기 전기 구동에 의한 상기 본체부(12)의 투입 동작은 상기 제어함부(2), 상기 본체 연결 케이블(4), 상기 전압 승압부(5), 상기 제1 충전부(6) 및 상기 구동부(11)의 경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2)의 수동 투입 동작은 상기 수동 투입 핸들부(7), 상기 가속 기어부(8), 상기 발전기부(9), 상기 제2 충전부(10) 및 상기 구동부(11)의 경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동 투입 동작은 상기 수동 투입 핸들부(7), 상기 수동 투입 핸들부(7)에 연결되어, 상기 수동 투입 핸들부(7)가 회전할 때 상기 발전기부(9)를 가속시키는 가속 기어부(8), 및 상기 가속 기어부(8)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상기 발전기부(9) 및 상기 발전기부(9)에서 생성된 전기를 충전하는 제2 충전부(10)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동 투입 동작을 단순히 기계적, 수동적으로 수행할 뿐, 투입 속도 등에 대한 제어가 힘든 종래의 시스템과는 달리, 본 실시예의 수동 투입 동작은 상기 구성들에 의해 투입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크로져의 수동 투입을 전기적인 투입과 같은 투입 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압 승압부(5)는 제1 전원 인가 노드(6P-5) 및 제2 전원 인가 노드(6P-3)를 통해 입력된 상기 입력 전원에 응답하여, 직류인 상기 입력 전원의 상기 전압을 제1 교류 전압으로 스위칭하는 제1 집적 회로(IC1), 상기 입력 전원의 직류 전압을 1차 전압으로 입력 받고, 상기 1차 전압에 비례하는 제2 교류 전압을 2차 전압으로 변환하는 트랜스포머(PT1), 상기 2차 전압을 제1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는 제3 다이오드(제1 전압 승압부 다이오드, D3) 및 상기 제3 다이오드와 연결되는 전압 유도부에 의해 유도되는 상기 제1 직류 전압을 조절하는 가변 저항(VR1)을 포함하는 전압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압 유도부는 상기 제3 다이오드의 캐소드 전극에 연결되는 제1 단을 갖는 제4 저항(제1 전압 승압부 저항, R4), 상기 제4 저항의 제2 단에 연결되는 캐소드 전극 및 상기 트랜스포머(PT1)의 2차 측에 연결되는 애노드 전극을 포함하는 제3 제너 다이오드(제1 전압 승압부 제너 다이오드, ZD3) 및 상기 제3 다이오드(D3)의 상기 캐소드 전극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상기 가변 저항(VR1)의 제1 단에 연결되는 제2 단을 갖는 제6 저항(제2 전압 승압부 저항, R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유도부는 상기 제4 저항(R4)과 병렬로 연결되는 제5 저항(R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저항(VR1)의 상기 제2 단은 상기 제3 제너 다이오드(ZD3)의 상기 애노드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압 조절부는 상기 가변 저항(VR1)의 상기 제1 단에 연결되는 제4 집적 회로(IC4) 및 상기 제3 제너 다이오드(ZD3)의 상기 캐소드 전극에 제7 저항(R7)을 통해 연결되는 제1 단자, 상기 제4 집적 회로(IC4)에 연결되는 제2 단자, 상기 제2 전원 인가 노드에 연결되는 제3 단자 및 상기 제2 전압 승압부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는 제4 단자를 포함하는 제3 집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승압부(5)는 상기 전압 조절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5 다이오드(제2 전압 승압부 다이오드, D5), 상기 제5 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동작하는 제2 스위칭 소자(제1 전압 승압부 스위칭 소자, Q2) 및 상기 제2 스위칭 소자(Q2)의 출력 전압에 의해 동작하는 제3 스위칭 소자(Q3, 제2 전압 승압부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 다이오드(D5)의 애노드 전극은 상기 제3 집적회로(IC3)에 연결되고, 상기 제5 다이오드(D5)의 캐소드 전극은 제14 저항(R14)을 통해 제4 제너 다이오드(ZD4)의 캐소드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4 제너 다이오드(ZD4)의 애노드 전극은 상기 제2 스위칭 소자(Q2)의 제어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칭 소자(Q2)의 입력 전극은 상기 구동부(11)의 마그네틱 액츄에이터 코일의 제4 구동 전압 노드(4P-4)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4 구동 전압 노드(4P-4)은 상기 제2 전원 인가 노드(6P-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칭 소자(Q2)의 출력 전극은 제17 저항(R17)을 통해 상기 제3 스위칭 소자(Q3)의 제어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스위칭 소자(Q3)의 상기 입력 전극은 상기 제1 전원 인가 노드(6P-5)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3 스위칭 소자(Q3)의 출력 전극은 제18 저항(R18)을 통해 상기 제1 집적 회로(IC1)의 제3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압 승압부는 상기 제1 충전부(6)의 충전 캐패시터(90EA)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충전 캐패시터(90EA)의 충전 전압이 문턱 전압(예컨대, 240V)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보호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회로부는 상기 제3 다이오드(D3)의 캐소드 전극에 연결되는 과도 전압 방지 다이오드(transient voltage suppressor, TVS1), 상기 제5 다이오드(D5)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는 애노드 전극을 갖는 제13 다이오드(제3 전압 승압부 다이오드, D13) 및 상기 과도 전압 방지 다이오드(TVS1), 상기 충전 캐패시터(90EA) 및 상기 제13 다이오드(D13)에 연결되는 제2 집적 회로(IC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집적 회로(IC2)는 로드 저항(RT)을 통해 상기 과도 전압 방지 다이오드(TVS1)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는 제1 단자, 제4 구동 전압 노드(4P-4)에 연결되는 제2 단자, 제19 캐패시터(C19)의 제1 전극에 연결되는 제3 단자 및 상기 제19 캐패시터(C19)의 제2 전극 및 상기 제13 다이오드(D13)의 캐소드 전극에 연결되는 제4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집적 회로(IC1)는 상기 트랜스포머(PT1)의 1차 측에 연결되는 제1 단자, 상기 제2 전원 인가 노드(6P-3)에 연결되는 제2 단자, 병렬로 연결되는 제1 제너 다이오드(제2 전압 승압부 제너 다이오드, ZD1) 및 제5 캐패시터(제1 전압 승압부 캐패시터, C5)를 통해 상기 제2 전원 인가 노드(6P-3)에 연결되는 제3 단자, 병렬로 연결되는 제1 저항(제3 전압 승압부 저항, R1) 및 제6 캐패시터(제2 전압 승압부 캐패시터, C6)를 통해 상기 제2 전원 인가 노드(6P-3)에 연결되는 제4 단자 및 제7 캐패시터(제3 전압 승압부 캐패시터, C7)를 통해 상기 제2 전원 인가 노드(6P-3)에 연결되는 제5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함부(2)에서 제공된 상기 입력 전압(예컨대, 24VDC)이 상기 본체 연결 케이블(4)을 통해 상기 제1 전원 인가 노드(6P-5) 및 상기 제2 전원 인가 노드(6P-3)로 들어오면 상기 입력 전압(예컨대, 24VDC)인 상기 제1 집적 회로(IC1)를 이용하여 상기 트랜스포머(PT1)의 1차 측을 일정 주파수(예컨대, 67KHz)로 스위칭하여 제1 교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상기 제1 교류 전압을 상기 트랜스포머(PT1)의 1차 측에 인가하면, 상기 트랜스포머(PT1)의 2차 측에 상기 제1 교류 전압에 비례하는 제2 교류 전압이 발생한다. 상기 제2 교류 전압은 상기 제3 다이오드(D3)를 이용하여 직류로 정류할 수 있다. 상기 제4 저항(R4), 상기 제5 저항(R5), 상기 제6 저항(R6) 및 상기 제3 제너 다이오드(ZD3)를 통하여 유도되는 전압을 상기 가변 저항(VR1)을 조정하여 상기 제4 집적 회로(IC4) 및 상기 제3 집적 회로(IC3)를 동작시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변 저항(VR1)은 상기 제5 다이오드(D5) 및 상기 제13 다이오드(D13)의 상기 애노드 전극의 전위가 0V가 되는 시점에서 상기 가변 저항(VR1)의 조정을 멈출 수 있다.
원하는 전압(예컨대 220VDC)이 조정되면 상기 제2 스위칭 소자(Q2)의 동작이 멈추고, 그에 따라, 상기 제2 스위칭 소자(Q2)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3 스위칭 소자(Q3)의 동작이 멈추어 상기 제1 집적 회로(IC1)에 전원 공급이 중단된다.
충전(예컨대, 220VDC)이 멈추고 나서 자연적으로 방전이 일어나면(예컨대 2 내지 3V) 자동적으로 충전이 다시 시작된다. 상기 자동 충전이 시작되는 시간 조건을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제5 다이오드(D5)의 캐소드 전극에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4 구동 전압 노드(4P-4)에 연결되는 제17 캐패시터(C17)의 값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승압부(5)의 동작 과정에서, 상기 제3 다이오드(D3)의 상기 캐소드 전극에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4 구동 전압 노드(4P-4)에 연결되는 제2 전극을 갖는 충전 캐패시터(90EA)에 상기 본체부(12)의 투입 및 개방 시에 상기 마그네틱 액츄에이터 코일을 동작시키기 위한 에너지가 충전된다.
상기 본체부(12)의 수동 투입을 위해서는 상기 수동 투입 핸들부(7)를 회전시켜 상기 가속 기어부(8)를 동작시키고, 상기 가속 기어부(8)의 동작에 의해 상기 발전기부(9)가 생성하는 전기를 상기 제2 충전부(10)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제2 충전부(10)에 상기 본체부(12)의 투입 및 개방 시에 상기 마그네틱 액츄에이터 코일을 동작시키기 위한 에너지가 충전된다.
상기 제2 충전부(10)는 상기 발전기부(9)에서 생성된 상기 전기를 충전하기 위한 복수의 제2 충전 캐패시터들(C9 내지 C11, C14 내지 C16)을 포함한다.
상기 발전기부(9) 및 상기 제2 충전부(10)의 상기 제2 충전 캐패시터들(C9 내지 C11, C14 내지 C16) 사이에는 상기 발전기부(9)에서 생성된 3상 전압을 직류로 변환하는 복수의 다이오드들(D11 내지 D16)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크로져가 잠금 상태가 아닌 경우에 상기 제2 충전 캐패시터들(C9 내지 C11, C14 내지 C16) 과 상기 다이오드들(D11 내지 D16)을 연결하는 잠금 스위치(LOCK S/W)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1)는 메인 트립 릴레이(main trip relay, MTR1, MTR2, MTR3)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본체부(12)를 개방하고, 메인 클로즈 릴레이(main close relay, MCR1, MCR2, MCR3)에 의해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본체부(12)를 투입하는 마그네틱 액츄에이터 코일을 포함한다.
상기 마그네틱 액츄에이터 코일은 제1 구동 전압 노드(4P-1)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제2 구동 전압 노드(4P-2)에 연결되는 제2 단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11)는 상기 제1 구동 전압 노드(4P-1) 및 제3 구동 전압 노드(4P-3) 사이에 연결되는 상기 메인 클로즈 릴레이의 제1 접점(MCR2), 상기 제2 구동 전압 노드(4P-2) 및 상기 제4 구동 전압 노드(4P-4) 사이에 연결되는 상기 메인 클로즈 릴레이의 제2 접점(MCR3), 상기 제1 구동 전압 노드(4P-1) 및 상기 제4 구동 전압 노드(4P-4) 사이에 연결되는 상기 메인 트립 릴레이의 제1 접점(MTR2) 및 상기 제2 구동 전압 노드(4P-2) 및 상기 제3 구동 전압 노드(4P-3) 사이에 연결되는 상기 메인 트립 릴레이의 제2 접점(MTR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1)는 상기 조작부(3)의 상기 개방 스위치(6P-4)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트립 릴레이(MTR1, MTR2, MTR3)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트립 릴레이(MTR1, MTR2, MTR3)를 동작시키는 접점(TR4)을 포함하는 트립 릴레이(TR1, TR2, TR3, TR4, TR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1)는 상기 조작부(3)의 상기 투입 스위치(6P-2)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클로즈 릴레이(MCR1, MCR2, MCR3)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클로즈 릴레이(MCR1, MCR2, MCR3)를 동작시키는 접점(CR4)을 포함하는 제1 클로즈 릴레이(CR1, CR2, CR3, CR4, CR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1)는 상기 제2 충전부(10)의 충전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클로즈 릴레이(MCR1, MCR2, MCR3)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클로즈 릴레이(MCR1, MCR2, MCR3)를 동작시키는 접점(CRA2)을 포함하는 제2 클로즈 릴레이(CRA1, CRA2, CRA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립 릴레이(TR1)의 마이너스 전극과 상기 제4 구동 전압 노드(4P-4) 사이에는 상기 제1 클로즈 릴레이의 제1 접점(CR2)이 배치되며, 개방 명령이 내려졌을 때, 투입 명령이 오더라도 이를 수행하지 못하도록 하는 인터락(interlock) 회로이다.
상기 클로즈 릴레이(CR1)의 마이너스 전극과 상기 제4 구동 전압 노드(4P-4) 사이에는 상기 트립 릴레이의 제1 접점(TR2)이 배치되며, 투입 명령이 내려졌을 때, 개방 명령이 오더라도 이를 수행하지 못하도록 하는 인터락(interlock) 회로이다.
상기 구동부(11)는 상기 제2 충전 캐패시터(C9 내지 C11, C14 내지 C16)의 제1 전극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제8 저항의 제1 단에 연결되는 제2 단을 포함하는 제10 저항(R10), 상기 제10 저항(R10)의 상기 제2 단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상기 제2 충전 캐패시터(C9 내지 C11, C14 내지 C16)의 제2 전극에 연결되는 제2 단을 포함하는 제8 저항(R8), 상기 제8 저항과 병렬로 연결되는 제1 캐패시터(C1), 상기 제10 저항(R10)의 상기 제2 단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제5 집적 회로(IC5)의 programmable unijunction transistor에 연결되는 제2 단을 포함하는 제3 저항(R3), 상기 제10 저항(R10)의 상기 제2 단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상기 programmable unijunction transistor에 연결되는 제2 단을 포함하는 제9 저항(R9), 상기 제10 저항(R10)의 상기 제2 단에 연결되는 상기 제2 클로즈 릴레이(CRA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1)는 상기 programmable unijunction transistor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2 클로즈 릴레이(CRA1)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제8 저항(R8)의 상기 제2 단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갖는 제4 스위칭 소자(Q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1)는 상기 제10 저항(R10)의 상기 제2 단에 연결되는 애노드 전극 및 제6 다이오드(D6)의 캐소드 전극에 연결되는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제7 다이오드(D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1)는 상기 제8 저항(R6)의 상기 제2 단에 연결되는 애노드 전극 및 상기 제9 저항(R9)의 상기 제2 단에 연결되는 캐소드 전극을 갖는 제5 제너 다이오드(ZD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1)는 상기 programmable unijunction transistor에 연결되는 제1 단, 상기 제8 저항(R8)의 상기 제2 단에 연결되는 제2 단을 포함하는 제12 저항(R12), 상기 제12 저항(R12)과 병렬로 연결되는 제18 캐패시터(C18) 및 상기 제12 저항(R12)의 상기 제1 단 및 상기 제4 스위칭 소자(Q4)의 제어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제11 저항(R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1)는 상기 제6 다이오드(D6)의 애노드 전극 및 상기 메인 트립 릴레이(MTR1)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트립 릴레이의 제3 접점(TR4), 상기 제6 다이오드(D6)의 캐소드 전극 및 상기 메인 클로즈 릴레이(MCR1)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2 클로즈 릴레이의 제1 접점(CRA2) 및 상기 제6 다이오드(D6)의 상기 캐소드 전극 및 상기 메인 클로즈 릴레이(MCR1)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1 클로즈 릴레이의 제3 접점(CR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1)는 상기 트립 릴레이의 제3 접점(TR4)과 상기 제4 구동 전압 노드(4P-4)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트립 릴레이의 제4 접점(TR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1)는 상기 제1 클로즈 릴레이의 제3 접점(CR4)과 상기 제4 구동 전압 노드(4P-4)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상기 제1 클로즈 릴레이의 제4 접점(CR5) 및 상기 제2 클로즈 릴레이의 제2 접점(CRA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립 릴레이의 제4 접점(TR5), 상기 제1 클로즈 릴레이의 제4 접점(CR5) 및 상기 제2 클로즈 릴레이의 제2 접점(CRA3)은 노이즈(noise) 또는 서지(surge) 유입 시에도 접지로 자동 방전되어 오동작을 방지하는 회로이다.
상기 전압 승압부(5)는 상기 제18 저항(R18)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상기 제1 클로즈 릴레이의 제2 접점(CR3) 및 상기 트립 릴레이의 제2 접점(TR3)에 연결되는 제2 단을 포함하는 제16 저항(R18)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로즈 릴레이의 제2 접점(CR3) 및 상기 트립 릴레이의 제2 접점(TR3)은 상기 제16 저항(R16) 및 상기 제4 구동 전압 노드(4P-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클로즈 릴레이의 제2 접점(CR3) 및 상기 트립 릴레이의 제2 접점(TR3)은 스위칭 회로에 문제가 발생하여 리크로져의 동작이 멈추는 경우, 상기 개방 명령이나 투입 명령에 의해 스위칭 회로의 동작을 재시작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본체 연결 케이블(4)이 상기 본체부(12)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본체부(12)의 전기적인 투입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수동 투입 핸들부(7)의 핸들을 상부에서 하부로 당기면 가속 기어부(8)로 인하여 회전 속도의 증가로 상기 발전기부(9)의 발전기를 회전시켜 3상 전압(예컨대, 220VAC)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3상 전압을 상기 다이오드들(D11 내지 D16)을 이용하여 직류 전압(예컨대, 최대 310VDC)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압을 리크로져가 잠금 상태가 아닌 정상 상태일 때, 상기 잠금 스위치의 접점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충전부(10)의 상기 제2 충전 캐패시터들(C9 내지 C11, C14 내지 C16)에 충전한다.
전기적인 구동 방식에서, 상기 투입 명령을 수행하는 상기 제1 클로즈 릴레이(CR1, CR2, CR3, CR4, CR5)의 동작과 상기 제1 클로즈 릴레이의 접점에 의해 동작하는 상기 메인 클로즈 릴레이(MCR1, MCR2, MCR3)의 동작으로 상기 마그네틱 액츄에이터 코일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동작하여 상기 본체부(12)의 투입이 이루어진다.
전기적인 구동 방식에서, 상기 개방 명령을 수행하는 상기 트립 릴레이(TR1, TR2, TR3, TR4, TR5)의 동작과 상기 트립 릴레이의 접점에 의해 동작하는 상기 메인 트립 릴레이(MTR1, MTR2, MT3)의 동작으로 상기 마그네틱 액츄에이터 코일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동작하여 상기 본체부(12)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 연결 케이블(4)이 상기 본체부(12)에서 분리되었거나, 상기 본체 연결 케이블(4)이 상기 본체부(12)에 연결되었으나 상기 제어함부(2)의 고장으로 인해 전기적인 투입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제10 저항(R10) 및 상기 제8 저항(R8)의 분압 저항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캐패시터(C1)에 제어 전원을 충전한다. 상기 제5 집적 회로(IC5)의 상기 programmable unijunction transistor의 기준 전압을 이용하여 예컨대 220VDC에서 제5 집적 회로(IC5)가 동작하고, 상기 제4 스위칭 소자(Q4)가 동작하며, 상기 제2 클로즈 릴레이(CRA1, CRA2, CRA3)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2 클로즈 릴레이(CRA1)의 접점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 클로즈 릴레이(MCR1, MCR2, MCR3)를 동작시켜, 상기 마그네틱 액츄에이터 코일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동작하여 상기 본체부(12)의 투입이 이루어진다.
상기 리크로져는 전기 구동 방식에서와 수동 구동 방식일 때, 양쪽의 전원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설계한 브릿지다이오드부(BD1, BD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다이오드부의 제1 브릿지다이오드(BD1)는 상기 제1 충전부(6)의 상기 충전 캐패시터(90EA)의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마그네틱 액츄에이터 코일의 상기 제3 구동 전압 노드(4P-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다이오드부의 제2 브릿지다이오드(BD2)는 상기 제2 충전부(10)의 상기 제2 충전 캐패시터들(C9 내지 C11, C14 내지 C16)의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마그네틱 액츄에이터 코일의 상기 제3 구동 전압 노드(4P-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는 전기 구동에 의한 투입 및 가속 기어를 이용한 수동 투입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원의 유, 무 또는 제어함부의 고장 등 어떠한 경우라도 수동 조작을 통해 현장에서 전기적인 동작과 같은 조건으로 투입 속도를 유지시켜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를 분배하는 배전 선로 기술 전반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 전원부 2: 제어함부
3: 조작부 4: 본체 연결 케이블
5: 전압 승압부 6: 제1 충전부
7: 수동 투입 핸들부 8: 가속 기어부
9: 발전기부 10: 제2 충전부
11: 구동부 12: 본체부

Claims (13)

  1. 배전 선로의 전기를 온 또는 오프 시키는 본체부;
    입력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입력 전원을 수신하고, 상기 본체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고장 전류를 검출하는 제어함부;
    상기 제어함부 내에 있으며, 투입 스위치 및 개방 스위치를 포함하는 조작부;
    상기 제어함부와 상기 본체부를 연결하는 본체 연결 케이블;
    상기 제어함부로부터 상기 입력 전원을 수신하며, 상기 입력 전원의 전압을 승압하여 승압 전압을 생성하는 전압 승압부;
    상기 전압 승압부에 의해 승압된 상기 승압 전압을 충전하는 제1 충전부;
    수동 투입 핸들부;
    상기 수동 투입 핸들부가 회전할 때 동작하는 가속 기어부;
    상기 가속 기어부의 동작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부;
    상기 본체부의 수동 투입 동작을 위해 상기 발전기부에서 발생된 상기 전기를 충전하는 제2 충전부; 및
    상기 제1 충전부 및 상기 제2 충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함부의 투입 명령 및 상기 수동 투입 핸들부의 투입 명령에 의해 상기 본체부를 동작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승압부는
    제1 전원 인가 노드 및 제2 전원 인가 노드를 통해 입력된 상기 입력 전원에 응답하여, 직류인 상기 입력 전원의 상기 전압을 제1 교류 전압으로 스위칭하는 제1 집적 회로;
    상기 제1 교류 전압을 1차 전압으로 입력 받고, 상기 1차 전압에 비례하는 제2 교류 전압을 2차 전압으로 변환하는 트랜스포머;
    상기 2차 전압을 제1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는 제1 전압 승압부 다이오드; 및
    상기 제1 전압 승압부 다이오드와 연결되는 전압 유도부에 의해 유도되는 상기 제1 직류 전압을 조절하는 가변 저항을 포함하는 전압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외부로부터 외부 전원을 공급 받아 배터리를 충전하며,
    상기 외부 전원이 있을 때 상기 외부 전원을 상기 입력 전원으로 공급하고,
    상기 외부 전원이 없을 때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입력 전원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승압부는
    상기 전압 조절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2 전압 승압부 다이오드, 상기 제2 전압 승압부 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동작하는 제1 전압 승압부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1 전압 승압부 스위칭 소자의 출력 전압에 의해 동작하는 제2 전압 승압부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유도부는
    상기 제1 전압 승압부 다이오드의 캐소드 전극에 연결되는 제1 단을 갖는 제1 전압 승압부 저항;
    상기 제1 전압 승압부 저항의 제2 단에 연결되는 캐소드 전극 및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 측에 연결되는 애노드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전압 승압부 제너 다이오드; 및
    상기 제1 전압 승압부 다이오드의 상기 캐소드 전극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상기 가변 저항의 제1 단에 연결되는 제2 단을 갖는 제2 전압 승압부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저항의 상기 제2 단은 상기 제1 전압 승압부 제너 다이오드의 상기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조절부는
    상기 제1 전압 승압부 제너 다이오드의 상기 캐소드 전극에 연결되는 제1 단자, 제4 집적 회로에 연결되는 제2 단자, 상기 제2 전원 인가 노드에 연결되는 제3 단자 및 상기 제2 전압 승압부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는 제4 단자를 포함하는 제3 집적 회로; 및
    상기 가변 저항의 상기 제1 단에 연결되는 제4 직접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승압부는 상기 제1 충전부의 충전 캐패시터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충전 캐패시터의 충전 전압이 문턱 전압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보호 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 회로부는 상기 제1 전압 승압부 다이오드의 캐소드 전극에 연결되는 과도 전압 방지 다이오드(transient voltage suppressor, TVS), 상기 전압 조절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3 전압 승압부 다이오드 및 상기 과도 전압 방지 다이오드, 상기 충전 캐패시터 및 상기 제3 전압 승압부 다이오드에 연결되는 제2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적 회로는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 측에 연결되는 제1 단자;
    상기 제2 전원 인가 노드에 연결되는 제2 단자;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전압 승압부 제너 다이오드 및 제1 전압 승압부 캐패시터를 통해 상기 제2 전원 인가 노드에 연결되는 제3 단자;
    병렬로 연결되는 제3 전압 승압부 저항 및 제2 전압 승압부 캐패시터를 통해 상기 제2 전원 인가 노드에 연결되는 제4 단자; 및
    제3 전압 승압부 캐패시터를 통해 상기 제2 전원 인가 노드에 연결되는 제5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전부는 상기 발전기부에서 생성된 상기 전기를 충전하기 위한 복수의 제2 충전 캐패시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발전기부 및 상기 제2 충전부의 상기 제2 충전 캐패시터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전기부에서 생성된 3상 전압을 직류로 변환하는 복수의 다이오드들; 및
    상기 리크로져가 잠금 상태가 아닌 경우에 상기 제2 충전 캐패시터들과 상기 다이오드들을 연결하는 잠금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메인 트립 릴레이(main trip relay)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본체부를 개방하고, 메인 클로즈 릴레이(main close relay)에 의해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본체부를 투입하는 마그네틱 액츄에이터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틱 액츄에이터 코일은 제1 구동 전압 노드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제2 구동 전압 노드에 연결되는 제2 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구동 전압 노드 및 제3 구동 전압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상기 메인 클로즈 릴레이의 제1 접점, 상기 제2 구동 전압 노드 및 제4 구동 전압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상기 메인 클로즈 릴레이의 제2 접점, 상기 제1 구동 전압 노드 및 상기 제4 구동 전압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상기 메인 트립 릴레이의 제1 접점 및 상기 제2 구동 전압 노드 및 상기 제3 구동 전압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상기 메인 트립 릴레이의 제2 접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조작부의 상기 개방 스위치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트립 릴레이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트립 릴레이를 동작시키는 접점을 포함하는 트립 릴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조작부의 상기 투입 스위치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클로즈 릴레이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클로즈 릴레이를 동작시키는 접점을 포함하는 제1 클로즈 릴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충전부의 충전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클로즈 릴레이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클로즈 릴레이를 동작시키는 접점을 포함하는 제2 클로즈 릴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
KR1020170139571A 2017-10-25 2017-10-25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 KR101992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571A KR101992664B1 (ko) 2017-10-25 2017-10-25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571A KR101992664B1 (ko) 2017-10-25 2017-10-25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229A KR20190046229A (ko) 2019-05-07
KR101992664B1 true KR101992664B1 (ko) 2019-06-25

Family

ID=66656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571A KR101992664B1 (ko) 2017-10-25 2017-10-25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6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6199A (ja) * 2010-01-13 2011-07-28 Toshiba Corp 開閉器用操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748A (ko) * 2002-08-29 2004-03-06 아주콘트롤시스템 주식회사 자동화 개폐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6199A (ja) * 2010-01-13 2011-07-28 Toshiba Corp 開閉器用操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229A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16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oltage SAG compensation
KR930010424B1 (ko) 안정화 전력 공급 시스템
US7372177B2 (en) Control system, method and product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S5771161A (en) Uninterruptable capability for an active power line conditioner
AU2018323422B2 (en) Power supply system
EP2736141B1 (en) System and methods for balancing ups output voltages during transitions between operating modes
US20140361624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 of load power quality in uninterruptible power systems
EP3185393B1 (en) Ups with integrated bypass switch
US20170141692A1 (en) Energy Saving High Frequency Series Buck AC Voltage Regulator System
KR101009483B1 (ko) 순간정전보상장치
CN104303407A (zh) 逆变器装置
CN106464003B (zh) 用于快速功率输送模式改变的系统和方法
US20170288454A1 (en) Redundant residential power sources
JP5971716B2 (ja) 分電盤及び分散電源システム
US20180331569A1 (en) Technique For Lowering Inrush Current To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With A Transformer
CN109119975A (zh) 一种直流系统及其启动过程的断路器的失灵保护方法
KR101417492B1 (ko) 전력계통과 연계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92664B1 (ko) 배전 선로용 리크로져
CN104716652A (zh) 一种磁控型可控并联电抗器
US9883902B2 (en) Surgical device with improved mains module
CN101176244B (zh) 交流发电系统
KR100480478B1 (ko) 전류조정장치 및 전류조정방법
CN110870154B (zh) 电力转换装置、电力系统以及电力系统的无效电力抑制方法
CN212726901U (zh) 核电厂励磁电源系统及其励磁调节器电源输出电路
CN104365005A (zh) 用于逆变器的电压供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