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294B1 - Benerage container carrier - Google Patents

Benerage container carr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294B1
KR101992294B1 KR1020170133161A KR20170133161A KR101992294B1 KR 101992294 B1 KR101992294 B1 KR 101992294B1 KR 1020170133161 A KR1020170133161 A KR 1020170133161A KR 20170133161 A KR20170133161 A KR 20170133161A KR 101992294 B1 KR101992294 B1 KR 101992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plate
beverage container
engag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1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41664A (en
Inventor
윤영
최공희
Original Assignee
윤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 filed Critical 윤영
Priority to KR1020170133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294B1/en
Publication of KR20190041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6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2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003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4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joined together by interconnecting formatio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dove-tail, snap connections, hook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용기 캐리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음료 용기 캐리어는 사각형의 바닥판, 바닥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순차로 연결되는 제 1 측판, 제 2 측판, 제 3 측판 및 제 4 측판을 포함하는 측판, 제 1 측판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일측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1 쌍의 제 1 걸림턱을 가지는 결합돌기, 제 1 측판의 타측에 형성되고, 타측 말단에 형성되는 1 쌍의 제 2 걸림턱을 포함하는 결합홀, 및 측판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결합돌기의 변형에 의해 복수개가 상호 결합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ctangular bottom plate, a side plate extending upward from an edge of the bottom plate and including a first side plate, a second side plate, a third side plate and a fourth side plate sequenti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and including a pair of second locking protrusions formed at the other end, a coupling protrusion extending from one side and having a pair of first locking protrusions formed adjacent to the one side, And a grip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side plate, wherein a plurality of the grip portions are mutually coupled by the deformation of the engaging projections.

Description

음료 용기 캐리어{BENERAGE CONTAINER CARRIER}{BENERAGE CONTAINER CARRIER}

본 발명은 다수개의 음료 용기를 수납하여 운반할 수 있는 음료 용기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capable of accommodating and transporting a plurality of beverage containers.

음료 용기 캐리어는 다수개의 음료 용기를 수납하여 간편히 운반할 수 있는 것을 말하고, 커피숍, 패스트푸드점 등에서 여러 개의 음료를 테이크 아웃하는 경우에 운반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커피 캐리어라고 불리기도 한다.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is a container for storing a plurality of beverage containers and can be easily transported. When a beverage is taken out at a coffee shop, a fast food store, or the like,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is used for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do.

이러한 음료 용기 캐리어는 지류로 형성되고, 일반적으로 한 개의 음료 용기 캐리어에 두 개의 음료 용기가 수납 가능한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두 개를 초과하는 음료 용기를 수납하여 운반하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음료 용기 캐리어가 필요하게 된다. Such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is formed as a branch flow, and generally has a form in which two beverage containers can be housed in one beverage container carrier. Therefore, a plurality of beverage container carriers are required to accommodate and carry more than two beverage containers.

복수개의 음료 용기 캐리어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양손을 이용하여 각각 한 개의 음료 용기 캐리어를 파지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한 손만을 사용할 수 있거나 사용자가 세 개 이상의 음료 용기 캐리어를 파지하여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끼게 되었다.In the case of using a plurality of beverage container carriers, the user may grip one beverage container carrier with both hands, but if the user can use only one hand or if the user has to grip three or more beverage container carriers, I felt uncomfortable.

이에, 다수개가 서로 결합되는 음료 용기 캐리어가 고안되었다. 이러한 결합을 위해 서로 결합되는 두 개의 음료 용기 캐리어 각각에는 판상의 갈고리와 위의 갈고리가 삽입되어 걸리는 일자 형상의 구멍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합구조는 상기 판상의 갈고리를 상기 일자 형상 구멍에 맞추어 삽입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특히 상기 판상의 갈고리는 음료 용기 캐리어와 동일한 소재인 지류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판상의 갈고리가 휘어져 상기 일자 형상의 구멍으로 쉽게 삽입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Thus,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in which a plurality of the beverage contain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has been devised. For this purpose, two beverage container carriers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are provided with a plate-shaped hook and a slot-like hole into which the upper hook is inserted and hooked. However, in such a coupling structure, it is inconvenient to insert the plate-shaped hooks into the elongated hole, and in particular, the plate-shaped hooks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lot-like hole.

또한, 상기 판상의 갈고리가 상기 일자 형상의 구멍으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결합된 음료 용기 캐리어가 음료 운반 중에 분리되어 음료가 쏟아져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로 인해 사용자는 두 개만의 음료 용기 캐리어를 결합한 후 상기 두 개의 음료 용기 캐리어의 손잡이를 모두 파지하고 음료를 운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late-like claws are easily detached from the slot-like holes, so that the combined beverage container carrier is separated during beverage transportation and the beverage is poured. In addition, it has been common for the user to combine only two beverage container carriers and then to grip both handles of the two beverage container carriers and carry the beverag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으로부터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그 결합이 빠르고 간편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음료 용기 캐리어를 결합하여 사용하여도 그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음료 용기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in which a plurality of beverage container carriers are combined and used,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캐리어는, 사각형의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순차로 연결되는 제 1 측판, 제 2 측판, 제 3 측판 및 제 4 측판을 포함하는 측판; 상기 제 1 측판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일측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1 쌍의 제 1 걸림턱을 가지는 결합돌기; 상기 제 1 측판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타측 말단에 형성되는 1 쌍의 제 2 걸림턱을 포함하는 결합홀; 및 상기 측판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의 변형에 의해 복수개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tangular bottom plate; A side plate extending upward from an edge of the bottom plate and including a first side plate, a second side plate, a third side plate and a fourth side plate sequentially connected; A coupling protrus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and having a pair of first latching jaws formed adjacent to the one side; A coupling hol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and including a pair of second latching jaws formed at the other end; And a handle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side plate, wherein a plurality of the engagement protrusions are mutually coupled by the deformation of the engagement protrusions.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 2 측판의 절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engaging projection may be formed by cutting the second side plate.

상기 음료 용기 캐리어는 상기 결합홀의 형상에 대응하고, 상기 결합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결합홀 내에 형성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lat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hole an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coupling hole and formed in the coupling hole.

상기 결합홀 및 상기 고정판은 상기 제 1 측판의 절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hole and the fixing plate may be formed by cutting the first side plate.

상기 결합돌기 및 상기 고정판의 말단에는 상호 대응하는 걸림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Interlocking mea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may be formed at the ends of the engaging projection and the fixing plate.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 캐리어에 의하면, 그 결합이 빠르고 간편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음료 용기 캐리어를 결합하여 사용하여도 그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음료 용기 캐리어를 제공할 수 있다.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which is fast and simple to be coupled and which is firmly held even when a plurality of beverage container carriers are used in combin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캐리어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는 제 1 측판과 제 2 측판이 접착 연결되는 경우에 결합돌기의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캐리어 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캐리어 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ormation of a coupling protrusion when the first side plate and the second side plate are adhesively connected.
3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nnection between beverage container carri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and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between beverage container carri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캐리어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제 1 측판과 제 2 측판이 접착 연결되는 경우에 결합돌기의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formation of a coupling protrusion when the first side plate and the second side plate are adhesively connec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캐리어는 용기부(100) 및 손잡이부(200)를 포함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지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두께는 음료가 채워진 음료 용기를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두께일 수 있다.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portion 100 and a handle portion 200, and may be made of a tributary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predetermined thickness may be a thickness sufficient to support the beverage container filled with the beverage.

용기부(100)는 바닥판(110) 측판(120)을 포함한다. 바닥판(110)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판(120)은 바닥판(11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측판(121), 제 2 측판(123), 제 3 측판(125) 및 제 4 측판(127)을 포함한다. The container portion 100 includes a bottom plate 110 side plate 120. The bottom plate 11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side plates 120 extend upward from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110 and are connected to the first side plate 121, the second side plate 123, the third side plate 125 and the fourth side plate 127 sequentially .

바닥판(110) 및 측판(120)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는 음료 용기가 수납될 수 있다. An inner space having an open top is formed by the bottom plate 110 and the side plate 120, and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제 1 측판(121) 일측에는 결합돌기(130)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30)는 제 1 측판(12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다. 결합돌기(130)는 제 1 측판(12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착제 등에 의해 사후적으로 접착되지 않고, 한 장의 지류로 형성될 수 있다. A coupling protrusion 13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121. The engaging projection 130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121. The engaging projection 1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side plate 121. That is, they can be formed as one tributary stream without being adhesively bonded by an adhesive or the like.

결합돌기(130)는 1 쌍의 제 1 걸림턱(1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걸림턱(131)은 제 1 측판(121)의 일측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도 1 을 참조하면, 1 쌍의 걸림턱(131)은 결합돌기(130)의 상하에 하나씩 상호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31)에 의해 제 1 측면(121)과 걸림턱(131) 사이에는 1 쌍의 홈(133)이 형성될 수 있다.The engaging projection 130 may include a pair of first engaging protrusions 131. The first latching jaw 131 is form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121. Referring to FIG. 1, the pair of latching protrusions 131 may be formed symmetrically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upling protrusion 130, respectively. A pair of grooves 133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side surface 121 and the engaging jaw 131 by the engaging jaw 131. [

결합돌기(130)는 제 1 측판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 2 측판(123)의 절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측판(123)이 절취되어 결합돌기(130)가 형성되면, 제 2 측판(123)에는 결합돌기(130)의 형상에 대응하는 구멍이 남을 수 있다. The engaging projection 130 may be formed by cutting the second side plate 123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When the second side plate 123 is cut to form the coupling protrusion 130, a hol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30 may be left on the second side plate 123.

한편, 도 2 를 참조하면, 제 1 측판(121)과 제 2 측판(123)이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어 용기부(100)가 형성되는 경우 결합돌기(130)는 제 1 측판(121) 자체의 연장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측판(123)의 말단에는 접착판(124)이 형성될 수 있고, 접착판(124)의 외면이 제 1 측판(121)의 내면과 접착되어, 제 1 측판(121)과 제 2 측판(123)이 접착 연결될 수 있다.2, when the first side plate 121 and the second side plate 123 are adhered to each other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to form the container unit 100, the coupling protrusions 130 are formed on the first side plate 121 itself May be formed by extension. In this case, an adhesive plate 124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side plate 123,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adhesive plate 124 is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121, The second side plate 123 can be adhesively connected.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돌기(130)가 제 2 측판(123)의 절취에 의해 형성되거나, 제 1 측판(121) 자체의 연장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결합돌기(130)가 별도로 접착제 등에 의해 제 1 측판(121)에 접착될 필요 등이 없어, 구조가 단순하고 제 1 측판과 일체로 견고하게 형성되는 결합돌기(130)가 제공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engaging projection 130 is formed by cutting the second side plate 123 or by the extension of the first side plate 121 itself, the engaging projection 130 is separately made of an adhesive or the like It is not necessary to adhere to the first side plate 121, and a coupling protrusion 130 which is simple in structure and is formed integrally and firmly with the first side plate can be provided.

제 1 측판(121)의 타측에는 구멍 형상의 결합홀(140)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140)은 결합돌기(130)와 대체로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고, 제 1 측판(121)의 타측 말단에 맞닿아 형성될 수 있다. A hole-shaped coupling hole 14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121. The coupling hole 140 may be formed at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coupling protrusion 130 and may be formed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first side plate 121.

결합홀(140)은 1 쌍의 제 2 걸림턱(141)을 포함할 수 있다. 1 쌍의 제 2 걸림턱(141)은 결합홀(140)의 상하에 하나씩 상호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제 1 측판(121)의 타측 말단과 맞닿아 형성될 수 있다.The engaging hole 140 may include a pair of second engaging jaws 141. The pair of second latching jaws 141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upling hole 140 and may be formed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first side plate 121.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캐리어는 고정판(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150)은 결합홀(140)의 일측(도 1 에서 우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결합홀(140) 내에 형성된다. 고정판(150)은 결합홀(14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고정판(150)은 결합홀(140)의 내측 형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외측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late 150. The fixing plate 150 extends from one side (right side in FIG. 1) of the coupling hole 140 and is formed in the coupling hole 140. The fixing plate 15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hole 140. That is, the fixing plate 150 may have the same or similar outer shape as the inner shape of the coupling hole 140.

고정판(150)은 결합홀(140)의 형성을 위한 제 1 측판(121)의 절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plate 150 may be formed by cutting the first side plate 121 for forming the engaging hole 140.

손잡이부(200)는 1 쌍의 지지판(210, 220) 및 손잡이판(230)을 포함한다. 1 쌍의 지지판(210, 220)은 제 1 지지판(210) 및 제 2 지지판(2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andle 200 includes a pair of support plates 210 and 220 and a handle plate 230. The pair of support plates 210 and 220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late 210 and a second support plate 220.

1 쌍의 지지판(210, 220)은 측판(120)으로부터 상측으로 수직 연장된다. 상기 측판(120)은 서로 마주보는 제 2 측판(123) 및 제 4 측판(127)일 수 있다. 즉, 제 1 지지판(210)은 제 2 측판(123)으로부터 연장되고, 제 2 지지판(220)은 제 4 측판(127)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The pair of support plates 210 and 220 extend vertically upward from the side plate 120. The side plate 120 may be a second side plate 123 and a fourth side plate 127 facing each other. That is, the first support plate 210 may extend from the second side plate 123,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220 may extend from the fourth side plate 127.

한편, 바닥판(110)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 1 측판(121) 및 제 3 측판(125)은 좁은 폭을 가지고, 제 2 측판(123) 및 제 4 측판(127)은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1 쌍의 지지판(210, 220)은 넓은 폭을 가지는 제 2 측판(123) 및 제 4 측판(127)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When the bottom plate 1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first side plate 121 and the third side plate 125 have a narrow width and the second side plate 123 and the fourth side plate 127 have a wide width Lt; / RTI >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support plates 210 and 220 extend from the second side plate 123 and the fourth side plate 127 having a wide width.

손잡이판(230)은 1 쌍의 지지판(210)과 연결되어 그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손잡이판(230)은 사용자의 음료 용기 캐리어 파지를 위한 손잡이홀(231)이 형성될 수 잇다.The handle plate 230 is connected to a pair of the support plates 210 and is positioned therebetween. The handle plate 230 may be formed with a handle hole 231 for gripping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of the user.

손잡이판(230)은 제 1 지지판(210)으로부터 절곡 연장되는 제 1 손잡이판(231)과 제 2 지지판(220)으로부터 절곡 연장되는 제 2 손잡이판(233)이 서로 교차 및 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handle plate 230 may be formed by crossing and bonding the first handle plate 231 bent and extended from the first support plate 210 and the second handle plate 233 bent and extended from the second support plate 220 have.

한편, 제 1 지지판(210)과 제 1 손잡이판(231) 교선에는 제 1 지지판(210)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교차돌기(2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교차돌기(211)와 맞닿는 제 1 손잡이판(230)의 일 부분에는 제 1 교차홀(213)이 형성될 수 있다. A first intersection protrusion 211 extending from the first support plate 210 may be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support plate 210 and the first handle plate 231. A first intersecting hole 213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first handle plate 230 that contacts the first intersecting projection 211.

또한. 제 2 지지판(220)과 제 2 손잡이판(233)의 교선에는 제 2 지지판(220)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교차돌기(22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교차돌기(221)와 맞닿는 제 2 손잡이판(233)의 일부분에는 제 2 교차홀(223)이 형성될 수 있다.Also. A second intersection protrusion 221 extending from the second support plate 220 may be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second support plate 220 and the second handle plate 233. A second intersecting hole 223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second handle plate 233 which abuts the second intersecting projection 221.

제 1 교차돌기(211) 및 제 1 교차홀(213)은 제 1 손잡이판(230)의 절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교차돌기(221) 및 제 2 교차홀(223)은 제 2 손잡이판의 절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intersecting protrusion 211 and the first intersecting hole 213 may be formed by cutting the first handle plate 230. The second intersecting protrusion 221 and the second intersecting hole 223 may be formed by cutting the second handle plate.

한편,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캐리어가 직사각형을 이루는 경우, 손잡이판(230)의 양측에 각 1 개씩의 음료 용기가 수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one beverage container may be stored on both sides of the handle plate 230.

도 3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캐리어 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between beverage container carri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을 참조하면, 2 개의 음료 용기 캐리어가 결합되기 위해, 우선 일측 음료 용기 캐리어의 제 2 교차돌기(1221)가 타측 음료 용기 캐리어의 제 1 교차홀(2213)에 삽입된다. 이러한 경우, 타측 음료 용기 캐리어의 제 1 교차돌기(2211)도 일측 음료 용기 캐리어의 제 2 교차홀(1223)에 삽입되게 된다.Referring to FIG. 3, in order to couple two beverage container carriers, a second intersection protrusion 1221 of the one beverage container carrier is first inserted into the first intersection hole 2213 of the other beverage container. In this case, the first intersecting protrusion 2211 of the other beverage container carrier is also inserted into the second intersection hole 1223 of the one beverage container carrier.

상기 삽입에 의해 상기 삽입 방향의 반대로 힘을 가하는 경우 외에는 일측 및 타측 음료 용기 캐리어의 손잡이부(1200, 2200)가 상호 고정되게 된다.The handle portions 1200 and 2200 of the one and the other beverage container carriers are fixed to each other except for the case of applying a force opposite to the inserting direction by the insertion.

도 4 를 참조하면, 일측 음료 용기 캐리어의 결합홀(1140) 측으로 타측 음료 용기 캐리어의 결합돌기(2130)에 힘을 가하면, 결합돌기(2130)가 변형되면서, 고정판(1150)이 결합홀(1140) 내측으로 밀려들어감과 동시에, 결합돌기(2130)가 결합홀(1140) 내로 삽입된다. 이 때, 결합돌기(2130)의 1 쌍의 제 1 걸림턱(2131)은 결합홀(1140)의 1 쌍의 제 2 걸림턱(1141)의 저항을 받으며 외측으로 휘어지게 된다.4,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2130 of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of the other beverage container carrier toward the coupling hole 1140 of the one beverage container carrier, the coupling protrusion 2130 is deformed and the fixing plate 115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140 And at the same time, the engaging projection 2130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1140. At this time, the pair of first hooking jaws 2131 of the coupling protrusions 2130 are bent outward under the resistance of the pair of second hooking jaws 1141 of the coupling hole 1140.

도 5 를 참조하면, 상기 힘에 의해 결합돌기(2130)가 결합홀(1140) 내로 보다 더 삽입되면, 1 쌍의 제 1 걸림턱(2131)과 1 쌍의 제 2 걸림턱(1141)이 상호 걸리게 된다. 즉, 결합돌기(2130)의 1 쌍의 홈(2133)에 1 쌍의 제 2 걸림턱(1141)이 위치하게 된다. 5, when the engaging protrusion 2130 is further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1140 by the force, a pair of the first engaging jaws 2131 and the pair of the second engaging jaws 1141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t gets caught. That is, a pair of second latching jaws 1141 are positioned in the pair of grooves 2133 of the coupling protrusion 2130.

이러한 경우, 별도의 힘을 가지지 않으면 결합돌기(2130)는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일측 음료 용기 캐리어의 제 1 측판(1121)과 상기 타측 음료 용기 캐리어의 제 1 측판(2121)이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upling protrusion 2130 remains in that state unless it has a separate force. Thus, the first side plate 1121 of the one beverage container carrier and the first side plate 2121 of the second beverage container carrier can be engaged.

도 6 을 참조하면, 상기 일측 음료 용기 캐리어의 고정판(1150)은 결합홀(1140)과 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 때, 결합돌기(2130)는 고정판(1150)에 가려 음료 용기 캐리어 외측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경우, 고정판(1150)에 의해 결합돌기(2130)가 결합홀(11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6, the fixing plate 1150 of the one-side beverage container carrier may be de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engaging hole 1140. At this time, the engaging projections 2130 are covered by the fixing plate 1150 so that they are not visible outside the beverage container. In this case, detachment of the engaging projection 2130 from the engaging hole 1140 by the fixing plate 1150 can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한편, 상기 일측 음료 용기 캐리어와 상기 타측 음료 용기 캐리어의 제 3 측판에도 상기와 같은 결합돌기, 결합홀 및 고정판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의 결합홀에의 삽입, 고정판의 변형에 의해 제 상기 일측 음료 용기 캐리어와 상기 타측 음료 용기 캐리어의 제 3 측판이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coupling protrusion, the coupling hole, and the fixing plate may be formed on the third side plate of the one beverage container carrier and the other beverage container carrier. Further, the insertion of the engaging projection into the engaging hole and the deformation of the fixing plate can be combined with the one side beverage container carrier and the third side plate of the other beverage container carrier.

상기 제 1 측판 간의 결합 및 제 3 측판 간의 결합에 의해 일측 음료 용기 캐리어의 용기부(1100)와 상기 타측 음료 용기 캐리어의 용기부(210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부(1100, 2100) 간의 결합과 더불어, 상기 손잡이부(1200, 2200) 간의 고정에 의해, 일측 및 타측 음료 용기 캐리어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The container portion 1100 of one beverage container carrier and the container portion 2100 of the other beverage container carrier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side plates and the third side plates. In addition to the engagement between the container portions 1100 and 2100, the one and the other beverage container carriers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fixing between the grip portions 1200 and 2200.

한편, 음료 용기 캐리어의 한 쪽 측면에는 디저트 박스(1000)가 상기 일측 및 타측 음료 용기 캐리어의 결합과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디저트 박스(1000)에는 샌드위치, 케이크 등의 디저트가 수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essert box 1000 can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in the same manner as the combination of the one and the other beverage container carriers. The dessert box 1000 may contain desserts such as sandwiches and cakes.

도 7 및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캐리어 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s. 7 and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between beverage container carri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 을 참조하면, 결합돌기(2130)와 고정판(1150)의 말단에는 상호 대응하는 걸림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수단은 결합돌기(213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2135)와 고정판(1150)에 형성되는 걸림홈(1151)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르게 결합돌기(2130)에 걸림홈이, 고정판(1150)에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7, mutually corresponding engaging means may be formed at the ends of the engaging projections 2130 and the fixing plate 1150. The engaging means may include a locking protrusion 2135 formed on the engaging protrusion 2130 and a locking recess 1151 formed on the fixing plate 1150. Alternatively, the engag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engaging projection 2130 and the engag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holding plate 1150.

도 8 을 참조하면, 결합돌기(2130)가 고정판(1150)을 밀며 결합홀(1140) 내로 삽입되면, 결합홀(1140) 내측에서 결합돌기(2130)의 걸림돌기(2135)는 고정판(1150)의 걸림홈(1151)에 걸리게 된다. 이에 의해 결합돌기(2130)는 결합홀(1140)의 내측에 고정되게 된다. 즉, 고정판(1150)이 결합홀(1140) 내측으로 보다 더 밀려 걸림돌기(2135)와 걸림홈(1151)의 걸림이 해제되지 않는 이상, 걸림돌기(2135)는 상기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8, when the engaging projection 2130 pushes the holding plate 1150 and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1140, the engaging projection 2135 of the engaging projection 2130 inside the engaging hole 1140 is engaged with the holding plate 1150,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engaging projection 213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engaging hole 1140. That is, as long as the fixing plate 1150 is pushed further into the engaging hole 1140 and the engagement of the engagement protrusion 2135 and the engagement recess 1151 is not released, the engagement protrusion 2135 maintains the fixed state.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판(1150)이 결합홀(1140)과 접하게 변형(도 6 참조)되지 않더라도, 결합돌기(2130)가 결합홀(11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결합돌기(2130)를 결합홀(1140) 내로 삽입하는 하나의 동작에 의해, 결합돌기(2130)의 제 1 걸림턱과 결합홀(1140)의 제 2 걸림턱이 서로 걸릴 뿐 아니라, 걸림돌기(2135)가 걸림홈(1151)에 걸리게 되어 보다 쉽게 결합돌기(2130)가 결합홀(1140) 내에 고정될 수 있다.Therefore, the coupling protrusion 21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oupling hole 1140 even if the fixing plate 1150 is not deformed to contact the coupling hole 1140 (see FIG. 6)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first engaging jaw of the engaging projection 2130 and the second engaging jaw of the engaging hole 114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by one operation of inserting the engaging projection 2130 into the engaging hole 1140,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 2130 can be fixed in the engaging hole 1140 more easily.

100: 용기부 130: 결합돌기 131: 제 1 걸림턱
140: 결합홀 141: 제 2 걸림턱 150: 고정판
200: 손잡이부 1151: 걸림홈 2135: 걸림돌기
100: container portion 130: engaging projection 131: first engaging jaw
140: coupling hole 141: second engaging jaw 150: fixed plate
200: handle portion 1151: latching groove 2135:

Claims (5)

사각형의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순차로 연결되는 제 1 측판, 제 2 측판, 제 3 측판 및 제 4 측판을 포함하는 측판;
상기 제 1 측판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일측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1 쌍의 제 1 걸림턱을 가지는 결합돌기;
상기 제 1 측판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타측 말단에 형성되는 1 쌍의 제 2 걸림턱을 포함하는 결합홀;
상기 측판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손잡이부;
상기 결합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결합홀 내에 형성되는 고정판; 및
상호 대응하도록 상기 결합돌기 및 상기 고정판 각각의 말단에 형성되는 걸림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의 변형에 의해 복수개가 상호 결합되는 음료 용기 캐리어.
A rectangular bottom plate;
A side plate extending upward from an edge of the bottom plate and including a first side plate, a second side plate, a third side plate and a fourth side plate sequentially connected;
A coupling protrus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and having a pair of first latching jaws formed adjacent to the one side;
A coupling hol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and including a pair of second latching jaws formed at the other end;
A handle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side plate;
A fixing plate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coupling hole and formed in the coupling hole; And
An engaging means formed at the distal end of each of the engaging projection and the fixing plate to correspond to each other;
/ RTI >
Wherein a plurality of the beverage containers are mutually coupled by deformation of the engaging projec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 2 측판의 절취에 의해 형성되는 음료 용기 캐리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by cutting off the second side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결합홀의 형상에 대응하는 음료 용기 캐리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plate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engagement ho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 및 상기 고정판은 상기 제 1 측판의 절취에 의해 형성되는 음료 용기 캐리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ngaging hole and the fixing plate are formed by cutting of the first side plate.
삭제delete
KR1020170133161A 2017-10-13 2017-10-13 Benerage container carrier KR1019922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161A KR101992294B1 (en) 2017-10-13 2017-10-13 Benerage container carr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161A KR101992294B1 (en) 2017-10-13 2017-10-13 Benerage container carr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664A KR20190041664A (en) 2019-04-23
KR101992294B1 true KR101992294B1 (en) 2019-06-24

Family

ID=66285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161A KR101992294B1 (en) 2017-10-13 2017-10-13 Benerage container carr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29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929B1 (en) 2021-03-09 2021-08-23 우인선 Foldable cup carrier
KR20210137658A (en) 2020-05-11 2021-11-18 윤열훈 Beverage Container Carrier
KR102640888B1 (en) 2023-12-08 2024-02-23 이수영 Paper carrier for beverage containers with non-adhesive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44655S1 (en) 2019-11-29 2022-03-01 Jirasak Rattanapaibooncharoen Double cup carri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733B1 (en) * 2016-06-21 2016-09-13 (주)현민피앤디 Coffee carri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9335A (en) * 1990-07-23 1991-12-03 International Paper Company Modular article carrier
US5221001A (en) * 1992-09-02 1993-06-22 Dopaco, Inc. Modular carrier with handle interlo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733B1 (en) * 2016-06-21 2016-09-13 (주)현민피앤디 Coffee carri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7658A (en) 2020-05-11 2021-11-18 윤열훈 Beverage Container Carrier
KR102291929B1 (en) 2021-03-09 2021-08-23 우인선 Foldable cup carrier
KR20220126616A (en) 2021-03-09 2022-09-16 우인선 3-prong cup carrier with improved portability
KR102640888B1 (en) 2023-12-08 2024-02-23 이수영 Paper carrier for beverage containers with non-adhesiv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664A (en) 201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294B1 (en) Benerage container carrier
EP2766274B1 (en) Container lid having independently pivoting flip top and handle
KR101656733B1 (en) Coffee carrier
KR200472711Y1 (en) The handle for packing box
JP3199697U (en) Variable capacity container
US20160150916A1 (en) Cutting Board
WO2007122934A1 (en) Hook for container for receiving thin plate, and container for receiving thin plate
KR102099383B1 (en) Tray combination cup holder
JP2000118508A (en) Carrier for holding a plurality of container and package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tainers
KR200390252Y1 (en) Packing container
JP2004538217A (en) Bottle carrier
JP2008056328A (en) Blister container
KR20110130879A (en) Stacking type packing box
JP4876486B2 (en) Box container
KR102175815B1 (en) cup holder having function of carrier
KR100715037B1 (en) Packing container
JP3220339U (en) hook
JP2006516233A (en) Bottle handle
CA2828351A1 (en) Container lid having independently pivoting flip top and handle
TWI683770B (en) The container hanger
KR200484686Y1 (en) Container buggy whip tongs
JP3130317U (en) Jigsaw puzzle storage
JP3124745U (en) Fresh flower container
JP2006206113A (en) Container for storing and carrying
JPH0995326A (en) Tray-shaped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