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266B1 - Assesment apparatus of tinnitus treatment result for using brain response - Google Patents

Assesment apparatus of tinnitus treatment result for using brain respon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266B1
KR101992266B1 KR1020180012081A KR20180012081A KR101992266B1 KR 101992266 B1 KR101992266 B1 KR 101992266B1 KR 1020180012081 A KR1020180012081 A KR 1020180012081A KR 20180012081 A KR20180012081 A KR 20180012081A KR 101992266 B1 KR101992266 B1 KR 101992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innitus
tinnitus treatment
eeg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0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희찬
경정숙
서명환
노태수
김도윤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2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26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2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48Monitoring or testing the effects of treatment, e.g. of medication
    • A61B5/04012
    • A61B5/047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8Audiometering evaluating tinni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1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ssment apparatus of a tinnitus treatment result using a brain response capable of selecting a tinnitus treatment method suitable for user characteristics through an assessment result. The assessment apparatus of a tinnitus treatment result using a brain response comprises: a brainwave measurement unit measuring a brainwave generated from a user who responses a bi-stimulus sound including a first stimulus sound and a second stimulus sound; a response ratio calculation unit receiving a first amplitude value of the brainwave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stimulus sound and a second amplitude value of the brainwave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stimulus sound, and calculating a response ratio showing the ratio the second amplitude value to the first amplitude value; and an assessment unit comparing the response ratio and a standard response ratio provided through the user before tinnitus treatment and quantifying a tinnitus treatment result of the user by using a comparison result.

Description

뇌반응을 이용한 이명치료 결과 평가 장치{Assesment apparatus of tinnitus treatment result for using brain respons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nnitus treatment result using brain reaction,

본 발명은 이명치료 결과 평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뇌반응을 이용한 이명치료 결과 평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nnitus treatment result evalua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innitus treatment result evaluating apparatus using a brain response.

최근에는 국내 인구 500만이 이명의 고통을 겪고 있으나, 모든 환자에게 실효되는 치료법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명은 주의력 감소, 정서 불안정 등을 유발하고 업무능력 저하를 가져오며 삶의 질을 현저히 떨어뜨릴 뿐 아니라, 치매, 알츠하이머, 낙상 등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질환으로 조기대응 및 치료가 요구된다.Recently, the population of 5 million people suffering from tinnitus has been reported to have no cure for all patients. Tinnitus causes attention loss, emotional instability, deterioration of work capacity, and not only significantly decreases quality of life, but also high correlation with dementia, Alzheimer 's disease, and falls.

그러나 이명은 신경학적 기전이 복합적이고 환자마다 개인차가 많은 질환 중의 하나로서, 단일 치료기법으로는 5년간의 환자진료와 연구에서 보이는 결과를 토대로 이명 환자들의 예후 성적을 향상시키기 어렵다. However,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prognosis of tinnitus patients based on the results of five years of patient care and research in the single treatment technique.

따라서 치료 전에 환자의 기능적 뇌상태에 대한 패턴 분석이 필요하고, 이를 토대로 이명의 진단과 치료계획 단계에서 환자의 특성에 맞는 개인화된 치료법을 선정하는 방안이 요구된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pattern of the functional brain state of the patient prior to the treatment, and it is necessary to select a personalized treatment method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in the diagnosis of the tinnitus and the treatment planning stage.

즉 이명의 진단과 치료계획 단계에서 환자의 특성에 맞는 개인화된 치료법을 선정하기 위하여 치료 전에 환자의 기능적 뇌상태에 대한 패턴 분석이 요구되며 각 환자의 특성에 맞는 치료법 (경두개 자극술, 동일주파수훈련법 등)을 선정하는 근거 수립이 시급하다. In other words, in order to select a personalized therapy that mee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stage of the tinnitu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pattern of the functional brain state of the patient before treatment.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a basis for selecting

상기한 치료법 중 경두개 자극술은, 전기장치를 이용하여 자기장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이 에너지를 이용하여 대뇌피질을 반복적으로 자극하는 치료방법으로서, 뇌기능과 자율신경계 불균형을 호전시키고, 수술이나 마취 없이 비침습적으로 뇌의 신경세포를 자극시키는 치료방법이다. 또한 동일주파수훈련법은 이명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 신호를 반복적으로 들려주어 이명을 완화시키는 훈련 방식이다.Among the treatments described above, cortical stimulation is a method of generating magnetic field energy by using an electric device and repeatedly stimulating the cerebral cortex using this energy, which improves brain function and autonomic imbalance, It is a non-invasive treatment method that stimulates brain nerve cells. In addition, the same frequency training method is a training method that alleviates tinnitus by repeatedly reproducing the same frequency signal as the tinnitus frequency.

본 발명은 종래의 전방위적(omni-directional) 치료선정방식의 취약점을 극복하면서 비침습적(non-invasive)으로 뇌신호를 획득하여 환자의 특성을 판별하고 적합한 치료방법을 선정하며 특히 경두개 자극술 치료에 적합한 환자를 선별하고, 사용자 대뇌영역 사이의 연결성정보를 통해 치료후 효과를 객관적/정량적 방법으로 제시하는 치료효과 평가장치(toolkit) 구축을 목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the weak points of the conventional omni-directional treatment selection method and acquires the brain signal non-invasively to discrimin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and selects a proper treatment method. In particular, , And to construct a toolkit for evaluating the effect of the treatment through objective / quantitative methods through the connectivity information between the user's cerebral region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8680호Korean Patent No. 10-1428680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주관적 판단이 아닌 사용자의 뇌반응에 따른 객관적 지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를 평가함으로써, 사용자가 제공받은 이명치료법의 효능을 객관적으로 평가 가능하고, 평가결과를 통해 사용자 특성에 맞는 이명치료법을 선정 가능한 뇌반응을 이용한 이명치료 결과 평가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the tinnitus treatment result of a user by using an objective index according to a user's brain reaction, And to provide a tinnitus treatment result evaluating device using a brain response capable of selecting a tinnitus treatment method suited to a user's characteristic through evaluation resul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뇌반응을 이용한 이명치료 결과 평가 장치는 제1자극음과 제2자극음을 포함하는 쌍자극음에 반응한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부; 상기 제1자극음에 따른 뇌파의 제1진폭값과, 상기 제2자극음에 따른 뇌파의 제2진폭값을 전달받고, 상기 제1진폭값에 대한 상기 제2진폭값의 비율을 나타내는 반응비율을 산출하는 반응비율 산출부; 및 상기 반응비율과 이명치료전 상기 사용자를 통해 마련된 기준반응비율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를 정량화하는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evaluating the result of a tinnitus treatment using a brain respon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EG that measures an EEG generated from a user who responds to a pair of stimuli including a first stimulus sound and a second stimulus sound Measuring unit; A first amplitude value of an EEG according to the first stimulus sound and a second amplitude value of an EEG according to the second stimulus sound and receives a second amplitude value of the EEG according to a reaction rate A reaction rate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reaction rate; And an evaluator for comparing the response rate with a reference response rate established through the user before treatment for tinnitus, and quantifying the tinnitus treatment result of the user using the comparison result.

상기 쌍자극음을 생성하는 쌍자극음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자극음과 상기 제2자극음은 일정시간 간격을 가질 수 있다.And a pair of stimulating sound generators for generating the pair of stimulating sounds, wherein the first stimulating sound and the second stimulating sound may have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상기 제1자극음과 상기 제2자극음은, 펄스 신호로 구성되고, 서로 동일한 펄스 진폭과 펄스 폭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stimulus note and the second stimulus note may consist of pulse signals and may have the same pulse amplitude and pulse width.

미리 마련된 알고리즘과 상기 제2자극음에 따른 상기 뇌파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대뇌영역 사이의 연결성정보를 산출하는 연결성정보 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가부는 상기 연결성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를 정량화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connectivity information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connectivity information between the cerebral regions of the user by using a pre-prepared algorithm and the brain waves according to the second stimulus sound, and the evaluator calculates the tinnitus treatment The results can be quantified.

상기 연결성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대뇌영역 사이의 정보 전달 방향 및 연결성 강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vity information may include an information transmission direction and a connectivity strength between the cerebral regions of the user.

상기 평가부는, 상기 반응비율이 상기 기준반응비율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를 하이레벨로 정량화하고, 상기 반응비율이 상기 기준반응비율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를 로우레벨로 정량화할 수 있다.Wherein the evaluating unit quantifies the tinnitus treatment result of the user at a high level when the response rat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response rate and if the response rat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response rate, . ≪ / RTI >

상기 평가부는, 상기 반응비율이 상기 기준반응비율보다 크고, 상기 연결성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대뇌영역의 전두엽에서 쐐기소엽으로 정보 전달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를 하이레벨로 정량화할 수 있다.Wherein the evalu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tinnitus treatment result of the user is at a high level when the response rate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response rate and it is determined through the connectivity information that information transmission to the wedge lobes is activated at the frontal lobe of the cerebral region of the user Can be quantified.

상기 평가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이명치료전과 대비하여 이명치료후에 대한 이명 강도를 입력받고, 그 입력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를 정량화할 수 있다.The evaluator receives the tinnitus intensity from the user before and after the tinnitus treatment, and quantifies the tinnitus treatment result of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input results.

상기 뇌파측정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뇌파를 검출하고 상기 뇌파를 전처리하는 전처리부, 상기 전처리된 상기 뇌파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제거부와, 상기 잡음이 제거된 상기 뇌파에서 상기 제1진폭값과 상기 제2진폭값을 추출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EEG measuring unit may include a preprocessor for detecting EEG from the user and pre-processing the EEG, a noise eliminator for removing noise from the pre-processed EEG,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extracting the second amplitude valu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뇌반응을 이용한 이명치료 결과 평가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주관적 판단이 아닌 사용자의 뇌반응에 따른 객관적 지표인 반응비율 또는 연결성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를 단계별로 정량화하여 평가함으로써, 사용자가 제공받은 이명치료법의 효능을 객관적으로 평가 가능하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tinnitus treatment result evaluating apparatus using the brain respon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nnitus treatment result of the user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response rate or connectivity information, which is an objective indicator according to the user's brain reaction, And evaluating the efficacy of the tinnitus treatment method provided by the user objectively.

또한 평가결과를 통해 사용자 특성에 맞는 이명치료법을 선정 가능하다.Tinnitus treatment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characteristics through the evaluation resul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뇌반응을 이용한 이명치료 결과 평가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쌍자극음에 반응한 사용자의 뇌파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2의(a)는 이명치료 효과가 있는 사용자의 뇌파 그래프이고, 도 2의(b)는 이명치료 효과가 없는 사용자의 뇌파 그래프이다.
도 3은 이명치료 효과가 있는 사용자의 연결성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의(a)는 이명치료전 사용자의 연결성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의(b)는 이명치료후 사용자의 연결성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이명치료 효과가 없는 사용자의 연결성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의(a)는 이명치료전 사용자의 연결성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의(b)는 이명치료후 사용자의 연결성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자극음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뇌영역의 신호원을 설명하기 위한 제1도면이고, 도 5의(a)는 이명치료전 사용자(위치료자)의 뇌영상이고, 도 5의(b)는 가짜치료법에 의한 이명치료후 사용자(위치료자)의 뇌영상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자극음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뇌영역의 신호원을 설명하기 위한 제2도면이고, 도 6의(b)는 이명치료전 사용자의 뇌영상이고, 도 6의(b)는 국소자극법에 의한 이명치료후 치료효과가 있는 사용자의 뇌영상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자극음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뇌영역의 신호원을 설명하기 위한 제3도면이고, 도 7의(a)는 이명치료전 사용자의 뇌영상이고, 도 7의(b)는 국소자극법에 의한 이명치료후 치료효과가 없는 사용자의 뇌영상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tinnitus treatment result evaluation apparatus using a brain respon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graph showing a user's brain wave in response to a pair of stimulus to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It is a graph of EEG of a user who has no therapeutic effect.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connectivity information of a user who has a tinnitus treatment effect, FIG. 3 (a) showing connectivity information of a user before tinnitus treatment, and FIG. 3 (b) FIG.
4 (a) and 4 (b) illustrate connection information of a user who has no tinnitus treatment effect, FIG. 4 (a) FIG.
FIG. 5 is a first diagram for explaining a signal source of a user's brain region responsive to a second stimulus s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a) FIG. 5 (b) is a brain image of the user (the therapist) after the tinnitus treatment by the false treatment method.
FIG. 6 is a second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source of a user's brain region responsive to a second stimulus s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 brain image of a user before tinnitus treatment, 6 (b) is a brain image of a user who has a therapeutic effect after tinnitus treatment by local stimulation.
FIG. 7 is a third diagram for explaining a signal source of a user's brain region responsive to a second stimulus s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a) is a brain image of a user before tinnitus treatment, 7 (b) is a brain image of a user who has no therapeutic effect after tinnitus treatment by local stimula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뇌반응을 이용한 이명치료 결과 평가 장치(100)는, 경두개 자극술 및 동일주파수 훈련법 등의 이명치료법 중에서 선택된 이명치료법을 제공받은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에 대한 평가를 위한 것으로서, 쌍자극음 생성부(110), 뇌파측정부(120), 반응비율 산출부(130), 연결성정보 산출부(140), 및 평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pparatus 100 for evaluating the result of tinnitus treatment using a brain respon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who receives tinnitus treatment selected from tinnitus treatment methods such as tinnitus stimulation and the same frequency training method, And may include a pair of stimulus sound generating unit 110, an EEG measuring unit 120, a reaction ratio calculating unit 130, a connectivity information calculating unit 140, and an evaluating unit 150 .

쌍자극음 생성부(110)는, 제1자극음(N1)과 제2자극음(N2)을 포함하는 쌍자극음을 생성한다. 뇌파측정부(120)는, 쌍자극음에 반응한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뇌파를 측정한다. 반응비율 산출부(130)는, 제1자극음(N1)에 따른 뇌파의 제1진폭값과, 제2자극음(N2)에 따른 뇌파의 제2진폭값을 전달받고, 제1진폭값에 대한 제2진폭값의 비율을 나타내는 반응비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성정보 산출부(140)는, 제2자극음(N2)에 따른 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대뇌영역 사이의 연결성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평가부(150)는, 반응비율과 이명치료전 사용자를 통해 마련된 기준반응비율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를 정량화한다. 또한 평가부(150)는 연결성정보를 더욱 고려하여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를 정량화한다.The dual stimulus sound generator 110 generates a dual stimulus sound including the first stimulus sound N1 and the second stimulus sound N2. The EEG measuring unit 120 measures the EEG generated by the user in response to the bi-polarized sound. The response rate calculation unit 130 receives the first amplitude value of the EEG according to the first stimulus sound N1 and the second amplitude value of the EEG according to the second stimulus sound N2, And a ratio of the second amplitude value to the second amplitude value. The connectivity information calculating unit 140 calculates connectivity information between the cerebral regions of the user by using brain waves according to the second stimulus note N2. The evaluating unit 150 compares the response rate with the reference response rate prepared through the user before the treatment of tinnitus, and quantifies the user's tinnitus treatment result using the comparison result. Also, the evaluating unit 150 quantifies the tinnitus treatment result of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connectivity information.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뇌반응을 이용한 이명치료 결과 평가 장치(100)는, 사용자의 주관적 판단이 아닌 객관적 지표인 반응비율 또는 연결성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를 단계별로 정량화하여 평가함으로써, 사용자가 제공받은 이명치료법의 효능을 객관적으로 평가 가능하고, 평가결과를 통해 사용자 특성에 맞는 이명치료법을 선정 가능하다.The tinnitus treatment result evalu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brain reaction described above quantifies the tinnitus treatment result of the user step by step using the reaction rate or connectivity information which is an objective indicator rather than the subjective judgment of the user, The effectiveness of the tinnitus treatment provided can be objectively evaluated, and the tinnitus treatment method suitable for the user characteristics can be selected through the evaluation resul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뇌반응을 이용한 이명치료 결과 평가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상세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tinnitus treatment result evalu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brain respon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쌍자극음 생성부(110)는 사용자의 뇌반응을 일으키는 쌍자극음을 생성한다. 여기서, 쌍자극음은 제1자극음(N1)과 제2자극음(N2)을 포함한다. 제1자극음(N1)과 제2자극음(N2)은 일정시간 간격을 가진다. 일정시간은 20ms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반복 실험을 통해 산출된 결과이다. 제1자극음(N1)과 제2자극음(N2)은 펄스 신호로 구성된다. 제1자극음(N1)과 제2자극음(N2)은 서로 동일한 펄스 진폭과 펄스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자극음(N1)과 제2자극음(N2)은 대략 1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대략 65dB의 소리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반복 실험을 통해 산출된 결과이다. The pair of stimulus sounds generator 110 generates a pair of stimulus sounds that cause a user's brain reaction. Here, the bi-polarized sound includes the first stimulus sound N1 and the second stimulus sound N2. The first stimulus sound N1 and the second stimulus sound N2 have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 predetermined time is preferably 20 ms. This is the result of repeated experiment. The first stimulus sound N1 and the second stimulus sound N2 are composed of pulse signals.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timulus sound N1 and the second stimulus sound N2 have the same pulse amplitude and pulse width. The first stimulus note N1 and the second stimulus note N2 preferably have a sound level of about 65 dB in a frequency band of about 1 KHz. This is the result of repeated experiment.

쌍자극음 생성부(110)는 생성된 쌍자극음을 자극음 출력 장치(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자극음 출력 장치(200)는, 고밀도 주파수특성이 반영된 헤드폰 또는 이어폰일 수 있다. 쌍자극음 생성부(110)는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자극음 출력 장치(200)를 통해 쌍자극음을 출력한다. 쌍자극음 생성부(110)는 충분한 양의 뇌파 측정을 위해 대략 4분 내지 5분 동안 쌍자극음이 출력되도록 자극음 출력 장치(200)를 제어한다. 여기서, 쌍자극음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출력되는 시간 간격이 적절히 설정되고,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반복하여 출력된다. 이때 자극음 출력 장치(200)를 통해 출력된 쌍자극음에 반응한 사용자로부터 뇌파가 발생한다.The pair of stimulus sound generator 110 transmits the generated pair of stimulus sounds to the stimulus sound output device 200. Here, the stimulus sound output apparatus 200 may be a headphone or an earphone that reflects the high-density frequency characteristic. The dual stimulus sound generator 110 outputs a dual stimulus sound through the stimulus sound output device 200 so that the user can listen to the sound. The dual stimulus sound generator 110 controls the stimulus sound output apparatus 200 to output a double stimulus sound for approximately 4 minutes to 5 minutes for a sufficient amount of EEG measurement. Here, the time interval of the output of the bi-polarized sound is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user's need, and is repeatedly output according to the set time interval. At this time, brain waves are generated from the user responding to the bi-polar sounds outputted through the stimulus sound output device 200.

뇌파측정부(120)는 쌍자극음에 반응한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뇌파를 측정한다. 뇌파측정부(120)는 사용자 머리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을 통해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전극은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쐐기소엽), 및 후두엽을 포함하는 대뇌영역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The EEG measuring unit 120 measures the EEG generated by the user in response to the bi-stimulus sound. The EEG measuring unit 120 may measure EEG through a plurality of electrodes disposed on the user's head. Here,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re arrang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erebral regions including the frontal lobe, temporal lobe, parietal lobe (wedge lobe), and occipital lobe.

뇌파측정부(120)는 측정한 뇌파를 가공하여 이명치료 결과 평가에 이용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뇌파측정부(120)는 전처리부, 잡음제거부, 및 신호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처리부는 전극을 통해 검출된 뇌파를 전처리할 수 있다. 전처리부는 뇌파의 불필요한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전처리부는 저역통과필터, 고역통과필터, 및 대역통과필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잡음제거부는 뇌파에 혼입되는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잡음은 사용자의 목, 얼굴, 및 눈동자 등의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된 것으로 제거가 필요하다. 신호처리부는 잡음이 제거된 뇌파로부터 제1진폭값과 제2진폭값을 추출한다. 여기서, 제1진폭값은 제1자극음(N1)에 따른 뇌파의 진폭값이고, 제2진폭값은 제2자극음(N2)에 따른 뇌파의 진폭값이다.The EEG measuring unit 120 processes the measured EEG to make it available for evaluation of the results of the tinnitus treatment. For this, the EEG measurement unit 120 may include a preprocessing unit, a noise removing unit,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The preprocessor can pre-process the EEG detected through the electrodes. The preprocessing unit performs a process of filtering an unnecessary frequency band of the EEG. To this end, the pre-process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ow-pass filter, a high-pass filter, and a band-pass filter. The noise eliminator can remove the noise mixed into the EEG. Here, noise is generated due to movement of the user's neck, face, eyes, and the like and needs to be removed. The signal processor extracts the first amplitude value and the second amplitude value from the noise-canceled EEG. Here, the first amplitude value is the amplitude value of the EEG according to the first stimulus sound N1, and the second amplitude value is the amplitude value of the EEG according to the second stimulus sound N2.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뇌파측정부(120)는 뇌파의 제1진폭값과 제2진폭값을 반응비율 산출부(130)에 전송한다. 또한 뇌파측정부(120)는 제2자극음(N2)에 따라 발생되고 잡음이 제거된 뇌파의 주파수 및 진폭 정보를 연결성정보 산출부(140)에 전송한다. The EEG measuring unit 12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ransmits the first amplitude value and the second amplitude value of the EEG to the response ratio calculating unit 130. [ The EEG measuring unit 120 also transmits the frequency and amplitude information of the EEG generated according to the second stimulus N2 to the connectivity information calculating unit 140.

반응비율 산출부(130)는 뇌파측정부(120)로부터 제1진폭값과 제2진폭값을 전달받고, 제1진폭값에 대비하여 제2진폭값이 얼만큼 감소하였는지를 나타내는 반응비율을 산출한다. 반응비율 산출은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The reaction rate calculating unit 130 receives the first amplitude value and the second amplitude value from the EEG measuring unit 120 and calculates a reaction rate indicating how much the second amplitude value is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first amplitude value . The reaction rate calcul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쌍자극음에 반응한 사용자의 뇌파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2의(a)는 이명치료 효과가 있는 사용자(Responder)의 뇌파 그래프이고, 도 2의(b)는 이명치료 효과가 없는 사용자(Non-responder)의 뇌파 그래프이다. 여기서, 이명치료는 경두개 자극술 또는 동일주파수훈련법 중 선택되는 치료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경두개 자극술은 자기장을 대뇌영역에 제공하여 뇌세포를 자극하는 방식이고, 동일주파수훈련법은 이명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 신호를 통해 훈련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치료방법에 대해서는 이미 알려져 있는 바,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FIG. 2 is a graph showing a user's brain wave in response to a pair of stimulus to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is a graph of a brain wave of a user having a tinnitus treatment effect, ) Is a non-responder EEG graph with no tinnitus treatment effect. Here, the treatment for tinnitus may be performed by a treatment method selected from a mild cranial stimulation or the same frequency training method. Cervical stimulation stimulates brain cells by providing a magnetic field to the cerebral region, and the same frequency training method trains through the same frequency signal as the tinnitus frequency. Such a treatment method is already know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의(a)에서, 이명치료 효과가 있는 사용자(Responder)의 이명치료전 뇌파와 이명치료후 뇌파를 확인 가능하다. 이명치료전 뇌파는 기준반응비율 산출에 이용되고, 이명치료후 뇌파는 반응비율 산출에 이용된다. 기준반응비율과 반응비율은 후술할 평가부(150)에 의해 이명치료 결과를 정량화하는데 이용된다.In FIG. 2 (a), it is possible to identify an electroencephalogram before a tinnitus treatment and an electroencephalogram after a tinnitus treatment of a responder having an effect of treating a tinnitus. Tinnitus prefrontal cortex is used to calculate the reference response rate, and after tinnitus treatment, EEG is used to calculate response rate. The reference response rate and the response rate are used to quantify the tinnitus treatment result by the evaluation unit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먼저 반응비율 산출부(130)는 이명치료전 뇌파의 제1진폭값(BA1)과 제2진폭값(BA2)을 이용하여 기준반응비율을 산출한다. 여기서, 제1진폭값(BA1)은 대략 2μV이고, 제2진폭값(BA2)은 대략 1μV이며, 이를 통해 기준반응비율은 대략 50%로 산출된다. First, the response rate calculating unit 130 calculates the reference response rate using the first amplitude value BA1 and the second amplitude value BA2 of the brain waves before the tinnitus treatment. Here, the first amplitude value BA1 is approximately 2 [mu] V and the second amplitude value BA2 is approximately 1 [mu] V, whereby the reference response rate is calculated to be approximately 50%.

반응비율 산출부(130)는 이명치료후 뇌파의 제1진폭값(AA1)과 제2진폭값(AA2)을 이용하여 반응비율을 산출한다. 여기서, 제1진폭값(AA1)은 대략 5μV이고, 제2진폭값(AA2)은 대략 1μV이며, 이를 통해 반응비율은 대략 80%로 산출된다.The reaction rate calculating unit 130 calculates the reaction rate using the first amplitude value AA1 and the second amplitude value AA2 of the brain waves after the tinnitus treatment. Here, the first amplitude value AA1 is approximately 5 [mu] V and the second amplitude value AA2 is approximately 1 [mu] V, whereby the reaction rate is calculated to be approximately 80%.

도 2의(a)에서, 기준반응비율을 반응비율로 감산한 값인 -30%는 이명치료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고, 후술할 평가부(150)에 의해 이명치료 결과 정량화에 이용된다.In FIG. 2A, -30%, which is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reference response rate by the response rate, indicates that the treatment for tinnitus is effective, and is used for quantification of the results of tinnitus treatment by the evaluation unit 150 described later.

도 2의(b)에서 이명치료 효과가 없는 사용자(Non-Responder)의 이명치료전 뇌파와 이명치료후 뇌파를 확인 가능하다.In FIG. 2 (b), it is possible to identify non-responder users who have no tinnitus treatment effect before the tinnitus treatment and brain waves after the tinnitus treatment.

반응비율 산출부(130)는 도 2의(a)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기준반응비율과 반응비율을 산출한다. 여기서, 이명치료전 뇌파의 제1진폭값(BA1)은 대략 3μV이고, 이명치료전 뇌파의 제2진폭값(BA2)은 1.5μV이며, 이를 통해 기준반응비율은 대략 50%로 산출된다. 또한 이명치료후 뇌파의 제1진폭값(AA1)은 대략 4.5μV이고, 이명치료후 뇌파의 제2진폭값(AA2)은 대략 3μV이며, 이를 통해 반응비율은 대략 33.3%로 산출된다.The reaction ratio calculating unit 130 calculates the reference reaction ratio and the reaction ratio in the manner described in FIG. 2 (a). Here, the first amplitude value (BA1) of the brain waves before tinnitus treatment is approximately 3 μV, and the second amplitude value (BA2) of the brain waves before the tinnitus treatment is 1.5 μV, whereby the reference response rate is calculated to be approximately 50%. In addition, the first amplitude value (AA1) of the brain waves after tinnitus treatment is approximately 4.5 .mu.V, and the second amplitude value (AA2) of the brain waves after the tinnitus treatment is approximately 3 .mu.V.

도 2의(b)에서, 기준반응비율을 반응비율로 감산한 값인 16.7%는 이명치료 효과가 없음을 나타내고, 후술할 평가부(150)에 의해 이명치료 결과 정량화에 이용된다.In FIG. 2 (b), 16.7%, which is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reference response rate by the response rate, indicates that there is no tinnitus treatment effect, and is used by the evaluating unit 150 to be described later to quantify the treatment result.

반응비율 산출부(130)는 산출한 기준반응비율과 반응비율을 평가부(150)에 전송한다. 평가부(150)는 기준반응비율과 반응비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를 정량화한다. 또한 평가부(150)는 연결성정보를 더욱 고려하여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를 정량화한다. 이러한 평가부(150)의 정량화 방법은 연결성정보 산출 과정을 설명한 이후에 설명한다.The reaction rate calculating unit 130 transmits the calculated reference reaction rate and the calculated reaction rate to the evaluating unit 150. The evaluating unit 150 quantifies the user's tinnitus treatment result using the reference response ratio and the response ratio. Also, the evaluating unit 150 quantifies the tinnitus treatment result of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connectivity information. The quantification method of the evaluation unit 150 will be described after the connection information calculation process is described.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연결성정보 산출부(140)는 뇌파측정부(120)로부터 제2자극음(N2)에 따른 뇌파를 전달받고, 뇌파의 주파수 특성을 이용하여 연결성정보를 산출한다. 여기서, 연결성정보는 사용자 대뇌영역 사이의 정보 전달 방향과 연결성 강도를 포함한다. 연결성정보는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connectivity information calculating unit 140 receives brain waves according to the second stimulus sound N2 from the brain wave measuring unit 120 and calculates connectivity information us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brain waves. Here, the connectivity information includes the direction of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user's cerebral regions and the connectivity strength. Connectivity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도 3은 이명치료 효과가 있는 사용자의 연결성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의(a)는 이명치료전 사용자의 연결성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의(b)는 이명치료후 이명치료 효과가 있는 사용자의 연결성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connectivity information of a user having an effect of treating a tinnitus, FIG. 3 (a) is a diagram showing connectivity information of a user before a treatment for tinnitus, FIG. 3 And showing connectivity information of a user having an effect.

도 3의(a)와 (b)에서, 연결성정보는 9 x 9 행렬로 도시된다. 이러한 연결성정보는 하기 수학식1에 의해 산출된다.In Figures 3 (a) and 3 (b), connectivity information is shown as a 9 x 9 matrix. This connectivity information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수학식1>&Quot; (1) &quot;

Figure 112018011059751-pat00001
Figure 112018011059751-pat00001

수학식1에서, PDC(partial directed coherence)는 연결성정보를 나타내고, P는 M x M 행렬을 나타내고, f는 제2자극음에 따른 뇌파의 주파수를 나타내고, i 와 j는 뇌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며. ij는 j번째 뇌영역과 i번째 뇌영역의 연결을 나타낸다.In Equation (1), PDC (partial directed coherence) denotes connectivity information, P denotes an M x M matrix, f denotes a frequency of an EEG according to a second stimulus, i and j denote positions of a brain region . ij represents the connection between the jth brain region and the i th brain region.

도 3의(a)에서, 확대된 그래프는 사용자의 대뇌영역의 전두엽과 쐐기소엽의 연결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대뇌영역은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후두엽을 포함하고, 쐐기소엽은 두정엽에 속한다. 이때 사용자의 전두엽은 6번째 열로 정의되고, 쐐기소엽은 3번째 행으로 정의된다. 즉 확대된 그래프는 전두엽(6번째 열)으로부터 쐐기소엽(3번째 행)으로 정보전달이 얼만큼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연결성 강도는 연결력이 없는 0부터 최대 연결력을 나타내는 1 사이로 표현된다. 도 3의(a)에서 확대된 그래프는 1~50Hz 주파수 대역에서 5000개의 랜덤데이터와 비교했을 때 연결성 차이의 유의성(0.01확률)이 확보되지 않은 것으로, 전두엽(6번째 열)으로부터 쐐기소엽(3번째 행)으로 정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이명치료전 사용자의 전두엽과 쐐기소엽 영역으로부터 제2자극음에 대해 뇌반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In FIG. 3 (a), the enlarged graph shows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frontal lobe of the cerebral region and the wedge lobes of the user. Here, the cerebral region generally includes the frontal lobe, temporal lobe, parietal lobe, and occipital lobe, and the wedge lobule belongs to the parietal lobe. At this time, the frontal lobe of the user is defined as the sixth row, and the wedge lobes are defined as the third row. That is, the enlarged graph shows how much information is transferred from the frontal lobe (sixth column) to the wedge lobes (third row). The connection strength is expressed as 0, which is no connection force, to 1, which represents the maximum connection force. The graph enlarged in (a) of FIG. 3 shows that the connectivity difference (0.01 probability) is not secured when compared with 5000 random data in the frequency band of 1 to 50 Hz, and the wedge lobes 3 The second row). This indicates that the brain response to the second stimulus from the frontal lobe and the wedge lobe region of the user before the treatment of the tinnitus does not occur.

도 3의(b)에서, 이명치료후 이명치료 효과가 있는 사용자의 연결성정보를 확인 가능하다. 도 3(b)에서, 확대된 그래프는 1~50Hz 주파수 대역에서 5000개의 랜덤데이터와 비교했을 때 연결성 차이의 유의성(0.01확률)이 확보되는 것으로, 전두엽(6번째 열)으로부터 쐐기소엽(3번째 행)으로 정보전달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이명치료후 사용자의 전두엽과 쐐기소엽 영역으로부터 제2자극음에 대해 뇌반응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사용자에 대한 이명치료법이 치료효과가 있는 것임을 보여준다.In FIG. 3 (b), it is possible to check the connectivity information of the user who has the effect of treating the tinnitus after the treatment of the tinnitus. In FIG. 3 (b), the enlarged graph shows that the connectivity difference (0.01 probability) is secured in comparison with 5000 random data in the frequency band of 1 to 50 Hz. The wedge lobes Line) is being carried out. This indicates that a brain response is being made to the second stimulus from the frontal lobe of the user and the wedge lobe region after the treatment of the tinnitus, and that the tinnitus treatment for the user has therapeutic effect.

도 4는 이명치료 효과가 없는 사용자의 연결성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의(a)는 이명치료전 사용자의 연결성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의(b)는 이명치료후 사용자의 연결성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a) and 4 (b) illustrate connection information of a user who has no tinnitus treatment effect, FIG. 4 (a) FIG.

도 4의(a)에서, 확대된 그래프는 1~50Hz 주파수 대역에서 5000개의 랜덤데이터와 비교했을 때 연결성 차이의 유의성(0.01확률)이 확보되지 않은 것으로, 전두엽(6번째 열)으로부터 쐐기소엽(3번째 행)으로 정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이명치료전 사용자의 전두엽과 쐐기소엽 영역으로부터 제2자극음에 대해 뇌반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In FIG. 4 (a), the enlarged graph shows that the significance (0.01 probability) of the difference in connectivity is not secured when compared with 5000 random data in the frequency band of 1 to 50 Hz, and the wedge leaflets The third line) shows that information is not transmitted. This indicates that the brain response to the second stimulus from the frontal lobe and the wedge lobe region of the user before the treatment of the tinnitus does not occur.

도 4의(b)에서, 이명치료후 이명치료 효과가 없는 사용자의 연결성정보를 확인 가능하다. 도 4(b)에서, 확대된 그래프는 1~50 Hz주파수대역에서 5000개의 랜덤데이터와 비교했을 때 연결성 차이의 유의성(0.01확률)이 확보되지 않은 것으로, 전두엽(6번째 열)으로부터 쐐기소엽(3번째 행)으로 정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보여준다. 이는 이명치료후 사용자의 전두엽과 쐐기소엽 영역으로부터 제2자극음에 대해 뇌반응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나타내고, 사용자에 대한 이명치료법이 치료효과가 없는 것임을 보여준다.In (b) of FIG. 4, it is possible to check the connectivity information of the user who does not have the effect of treating the tinnitus after the treatment of the tinnitus. In Fig. 4 (b), the enlarged graph shows that the significance (0.01 probability) of the difference in connectivity is not obtained when compared with 5000 random data in the frequency band of 1 to 50 Hz, and the wedge leaflets 3) shows that no information has been transmitted. This indicates that the brain response is not made to the second stimulus sound from the frontal lobe of the user and the wedge lobule region after the treatment of the tinnitus, and that the tinnitus treatment for the user has no therapeutic effect.

연결성정보 산출부(140)는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대한 이명치료법의 치료효과가 있는지를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연결성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연결성정보 산출부(140)는 미리 마련된 알고리즘과 제2자극음(N2)에 따른 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대뇌영역 사이의 연결성정보를 산출한다. 여기서, 미리 마련된 알고리즘은 상기한 바 있는 수학식1을 통해 구성된다. 연결성정보 산출부(140)는 산출한 연결성정보를 평가부(150)에 전송한다.3 and 4, the connectivity information calculating unit 140 may calculate connectivity information that objectively shows whether the treatment effect of the tinnitus treatment method for the user exists. That is, the connectivity information calculating unit 140 calculates connectivity information between the cerebral regions of the user by using a pre-prepared algorithm and an EEG based on the second stimulus note N2. Here, the algorithm prepared in advance is constituted by Equation (1). The connectivity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140 transmits the calculated connectivity information to the evaluation unit 150. [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평가부(150)는 반응비율 산출부(130)로부터 전달받은 반응비율과 기준반응비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를 정량화한다. 또한 평가부(150)는 연결성정보 산출부(140)로부터 전달받은 연결성정보를 더욱 고려하여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를 정량화한다.Referring again to FIG. 1, the evaluating unit 150 quantifies the user's tinnitus treatment result using the response rate received from the response ratio calculating unit 130 and the reference response ratio. In addition, the evaluator 150 further quantifies the tinnitus treatment result of the user by further considering the connectiv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nectivity information calculator 140.

평가부(150)는 반응비율이 기준반응비율보다 큰 경우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를 하이레벨로 정량화한다. 또한 평가부(150)는 반응비율이 기준반응비율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를 로우레벨로 정량화한다. 여기서, 하이레벨은 이명치료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고, 로우레벨은 이명치료 효과가 없음을 나타낸다. 또한 정량화는 상기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더욱 많은 단계로 세분화될 수 있다.The evaluating unit 150 quantifies the user's tinnitus treatment result to a high level when the response rate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response rate. Also, the evaluating unit 150 quantifies the user's tinnitus treatment result to a low level when the response rate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response rate. Here, the high level indicates the effect of the tinnitus treatment, and the low level indicates the effect of the tinnitus treatment. The quant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can be further subdivided into more steps.

예컨대, 평가부(150)는 기준반응비율을 반응비율로 감산하고 그 결과가 -5%~ -60% 이내이면, 사용자에 대한 이명치료법의 이명치료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하이레벨로 평가한다. 평가부(150)는 기준반응비율을 반응비율로 감산하고, 그 결과가 -3% ~ 3% 이내이면, 사용자에 대한 이명치료법의 이명치료 효과를 알수없음을 나타내는 미들레벨로 평가한다. 평가부(150)는 기준반응비율을 반응비율로 감산하고 그 결과가 5% ~ 60% 이내이면, 사용자에 대한 이명치료법의 이명치료 효과가 없음을 나타내는 로우레벨로 평가한다.For example, if the reference response rate is subtracted from the reference response rate and the result is within -5% to -60%, the evaluation unit 150 evaluates the user to a high level indicating that the tinnitus treatment effect on the user is effective. The evaluating unit 150 evaluates the reference response rate as a middle level indicating that the tinnitus treatment effect of the tinnitus treatment method for the user can not be known if the result is within -3% to 3%. The evaluating unit 150 evaluates the reference response rate as a low level indicating that there is no tinnitus treatment effect of the tinnitus treatment method for the user when the reference response rate is subtracted as the response rate and the result is within 5% to 60%.

한편, 평가부(150)는 반응비율만으로 이명치료법에 대해 평가할 수도 있다. 예컨대, 평가부(150)는 반응비율이 81.50% 이상이면 이명치료법을 추천 대상으로 선정하고, 반응비율이 78.00%~81.30% 이내이면 이명치료법을 50% 효과 기대 대상으로 선정하고, 75% 이하이면 이명치료법을 비추천 대상으로 선정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valuation unit 150 may evaluate the tinnitus treatment method only by the reaction ratio. For example, when the response rate is 81.50% or more, the evaluating unit 150 selects the tinnitus treatment method as a recommendation target. If the response rate is within 78.00% to 81.30%, the tinnitus treatment method is selected as the 50% Tinnitus treatment can be chosen as a non-subject.

또한 평가부(150)는 연결성정보를 더욱 고려하여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를 정량화한다. 예컨대, 평가부(150)는 반응비율이 기준반응비율보다 크고, 사용자의 전두엽에서 쐐기소엽으로 정보 전달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를 하이레벨로 정량화한다. 반면에 평가부(150)는 반응비율이 기준반응비율보다 크더라도, 사용자의 전두엽에서 쐐기소엽으로 정보 전달이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를 미들레벨로 정량화할 수 있다.Also, the evaluating unit 150 quantifies the tinnitus treatment result of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connectivity information. For example, if the response rate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response rate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is activated to the wedge lobes in the frontal lobe of the user, the evaluating unit 150 quantifies the user's tinnitus treatment result to a high level. On the other hand, if the response rate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response rate, the evaluating unit 150 can quantify the user's tinnitus treatment result as a middle leve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from the frontal lobe of the user is not activated to the wedge lobes.

또한 평가부(150)는 반응비율이 기준반응비율보다 작거나 같고, 사용자의 전두엽에서 쐐기소엽으로 정보 전달이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를 로우레벨로 정량화한다. 반면에 평가부(150)는 반응비율이 기준반응비율보다 작거나 같더라도, 사용자의 전두엽에서 쐐기소엽으로 정보 전달이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를 미들레벨로 정량화할 수 있다. Also, the evaluating unit 150 quantifies the user's tinnitus treatment result to a low leve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action rat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response rate, and that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is not activated to the wedge lobes in the user's frontal lobe. On the other hand, if the response rat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response rate, the evaluator 150 can quantify the user's tinnitus treatment result as a middle leve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formation transfer from the frontal lobe of the user to the wedge lobes is not activated .

또한 평가부(150)는 주관적 판단과 관련한 사용자의 입력을 더욱 고려하여 이명치료 결과를 정량화할 수 있다. 평가부(150)는 사용자가 입력부(300)에 이명치료전과 대비하여 이명치료후에 대한 이명 강도를 입력하면, 그 입력결과를 입력부(30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서, 입력결과는 치료효과 있음을 나타내는 2, 알수없음을 나타내는 1과 치료효과 없음을 나타내는 0으로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가부(150)는 입력결과에 따라 이명치료 결과를 재정량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평가부(150)는 주관적 지표와 객관적 지표 모두를 사용하여 이명치료 결과를 평가할 수 있다.Also, the evaluating unit 150 may quantify the result of the tinnitus treatment by further considering the user's input related to the subjective judgment. The evaluation unit 150 can receive the input result from the input unit 300 when the user inputs the tinnitus intensity for the tinnitus treatment before the tinnitus treatment in the input unit 300. [ Here, the input result may be represented by 2 indicating that the treatment effect is effective, 1 indicating the unknown value, and 0 indicating no treatment effec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evaluation unit 150 can re-quantify the tinnitus treatment result according to the input result. Through this, the evaluator 150 can evaluate the tinnitus treatment result using both the subjective index and the objective index.

평가부(150)는 이명치료 결과에 대한 평가결과를 출력부(400)를 통해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400)는 평가결과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모니터와, 평과결과를 청각적으로 들려주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평가부(150)는 사용자가 자신의 이명치료 결과를 즉시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The evaluation unit 150 may output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tinnitus treatment result to the user through the output unit 400. Here, the output unit 400 may include a monitor for visually displaying the evaluation result and a speaker for audibly listening to the evaluation result. Accordingly, the evaluating unit 150 allows the user to immediately check his / her tinnitus treatment result.

한편,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이명치료의 평가지표로서 연결성정보를 이용하게 된 경위를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s. 5 to 7,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how the connectivity information is used as an evaluation index of tinnitus treatment.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자극음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대뇌영역의 신호원을 설명하기 위한 제1도면이고, 도 5의(a)는 이명치료전 사용자(위치료자)의 뇌영상이고, 도 5의(b)는 가짜치료법에 의한 이명치료후 사용자(위치료자)의 뇌영상이다. 여기서, 뇌영상은 MRI 등의 촬영기기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고, 뇌영상의 색상은 사용자로부터 측정한 뇌파와 역추적기법을 통해 나타낸 것이다.FIG. 5 is a first diagram for explaining a signal source of a cerebral region of a user responsive to a second stimulus s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a) FIG. 5 (b) is a brain image of the user (the therapist) after the tinnitus treatment by the false treatment method. Here, the brain image is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an imaging device such as an MRI, and the color of a brain image is represented by an EEG measured by a user and a backward tracking technique.

도 5의(a)와 (b)에서, 뇌영상은 좌에서 우로 갈수록 사용자 좌뇌의 좌측 영상, 사용자 좌뇌의 우측 영상, 사용자 우뇌의 우측 영상, 사용자 우뇌의 좌측 영상, 및 사용자의 좌뇌와 우뇌의 평면 영상을 나타낸다. 이하 뇌영상의 배치순서는 도 6 및 도 7에서도 동일하다.In FIGS. 5A and 5B, the left and right brain images of the left brain, the right brain of the user, the right image of the user right brain, the left image of the user right brain, Plane image.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brain images is also the same in Figs. 6 and 7.

도 5의(a)에서, 이명치료전 사용자의 뇌는 제2자극음(N2)에 반응하여 후두엽 영역이 활성화된다. 도 5의(b)에서 가짜치료법에 의한 이명치료후 사용자(위치료자)의 뇌는 이명치료전과 큰 차이가 없다. 이는 사용자의 뇌가 가짜치료법에 의해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여기서, 가짜치료법은 경두개 자극술과 동일주파수훈련법을 제외하고 검증되지 않은 이명치료법 중 선택된 것이다.In FIG. 5 (a), the brain of the user before the treatment of tinnitus reacts with the second stimulus sound N2 to activate the occipital region. In (b) of FIG. 5, the brain of the user (the therapist) after the tinnitus treatment by the false therapy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before the treatment of the tinnitus. This shows that the user's brain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spurious treatment. Here, fake therapy is selected from untried tinnitus therapy except cortical stimulation and the same frequency training metho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자극음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뇌영역의 신호원을 설명하기 위한 제2도면이고, 도 6의(b)는 이명치료전 사용자의 뇌영상이고, 도 6의(b)는 국소자극법에 의한 이명치료후 치료효과가 있는 사용자의 뇌영상이다.FIG. 6 is a second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source of a user's brain region responsive to a second stimulus s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 brain image of a user before tinnitus treatment, 6 (b) is a brain image of a user who has a therapeutic effect after tinnitus treatment by local stimulation.

도 6의(a)에서, 이명치료전 사용자의 뇌는 제2자극음(N2)에 반응하여 두정엽 영역이 활성화된다. 도 6의(b)에서 국소자극법(경두개 자극술)에 의한 이명치료후 사용자의 뇌는 제2자극음(N2)에 반응하여 전두엽과 두정엽(쐐기소엽) 영역이 활성화된다. 이는 국소자극법에 의한 이명치료후 사용자의 뇌가 국소자극법에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준다. 즉, 이명치료 효과가 있는 사용자의 뇌는 제2자극음(N2)에 대하여 반응하여 전두엽과 쐐기소엽 영역이 활성화된다. 이와 같이 전두엽과 쐐기소엽의 연결을 나타내는 연결성정보는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 평가에 활용될 수 있다.In FIG. 6 (a), the brain of the user before the treatment for tinnitus reacts with the second stimulus sound N2 to activate the pore area. In (b) of FIG. 6, after the tinnitus treatment by the local stimulation method (light cranial stimulation), the user's brain activates the frontal lobe and parietal lobe in response to the second stimulus N2. This indicates that the user's brain was affected by local stimulation after the tinnitus treatment by local stimulation. That is, the brain of the user who has the effect of treating the tinnitus reacts to the second stimulus sound (N2) to activate the frontal lobe and the wedge lobe region. Thus, the connectivity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rontal lobe and the wedge lobe can be used to evaluate the user's tinnitus treatment outcom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자극음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뇌영역의 신호원을 설명하기 위한 제3도면이고, 도 7의(a)는 이명치료전 사용자의 뇌영상이고, 도 7의(b)는 국소자극법에 의한 이명치료후 치료효과가 없는 사용자의 뇌영상이다.FIG. 7 is a third diagram for explaining a signal source of a user's brain region responsive to a second stimulus s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a) is a brain image of a user before tinnitus treatment, 7 (b) is a brain image of a user who has no therapeutic effect after tinnitus treatment by local stimulation.

도 7의(a)에서, 이명치료전 사용자의 뇌는 제2자극음(N2)에 반응하여 두정엽 영역이 활성화된다. 도 7의(b)에서 국소자극법(경두개 자극술)에 의한 이명치료후 사용자의 뇌는 제2자극음(N2)에 반응하여 전두엽, 두정엽(쐐기소엽), 측두엽 영역이 활성화된다. 즉, 이명치료 효과가 없는 사용자의 뇌는 제2자극음(N2)에 대하여 반응하여 전두엽과 두정엽, 및 측두엽 영역이 활성화된다. 이이와 같이 전두엽과 측두엽의 연결을 나타내는 연결성정보는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 평가에 활용될 수 없다.In FIG. 7 (a), the brain of the user before the treatment of the tinnitus reacts with the second stimulus sound N2 to activate the parietal region. In (b) of FIG. 7, after the tinnitus treatment by the local stimulation method (cingular cortex), the user's brain reacts to the second stimulus (N2) to activate the frontal lobe, the parietal lobe (wedge lobule), and the temporal lobe region. In other words, the brain of the user who has no effect on the treatment of tinnitus reacts to the second stimulus (N2), activating the frontal, parietal, and temporal areas. As such, connectivity information indicating the link between the frontal and temporal lobes can not be used to assess the user's tinnitus outcome.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via the Internet).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뇌반응을 이용한 이명치료 결과 평가 장치
110: 쌍자극음 생성부
120: 뇌파측정부
130: 반응비율 산출부
140: 연결성정보 산출부
150: 평가부
200: 자극음 출력 장치
300: 입력부
400: 출력부
100: Tinnitus treatment result evaluation device using brain response
110: a pair of stimulation sound generating units
120: EEG measuring unit
130: reaction ratio calculating unit
140: Connectivity information calculating section
150:
200: Stimulus sound output device
300:
400: Output section

Claims (9)

제1자극음과 제2자극음을 포함하는 쌍자극음에 반응한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부;
상기 제1자극음에 따른 뇌파의 제1진폭값과, 상기 제2자극음에 따른 뇌파의 제2진폭값을 전달받고, 상기 제1진폭값에 대한 상기 제2진폭값의 비율을 나타내는 반응비율을 산출하는 반응비율 산출부;
미리 마련된 알고리즘과 상기 제2자극음에 따른 상기 뇌파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대뇌영역 사이의 연결성정보를 산출하는 연결성정보 산출부; 및
상기 반응비율과 이명치료전 상기 사용자를 통해 마련된 기준반응비율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를 정량화하는 평가부;
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부는 상기 연결성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를 정량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반응을 이용한 이명치료 결과 평가 장치.
An EEG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n EEG generated by a user in response to a pair of stimuli including a first stimulus sound and a second stimulus sound;
A first amplitude value of an EEG according to the first stimulus sound and a second amplitude value of an EEG according to the second stimulus sound and receives a second amplitude value of the EEG according to a reaction rate A reaction rate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reaction rate;
A connectivity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connectivity information between the cerebral regions of the user using the algorithm and the EEG according to the second stimulus sound; And
An evaluator for comparing the response rate with a reference response rate established through the user before treatment for tinnitus and quantifying the result of the tinnitus treatment of the user using the comparison result;
Lt; / RTI &gt;
Wherein the evaluation unit quantifies the tinnitus treatment result of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connectivity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쌍자극음을 생성하는 쌍자극음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자극음과 상기 제2자극음은 일정시간 간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반응을 이용한 이명치료 결과 평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air of magnetic pole sound generators for generating the pair of magnetic pole sounds,
Wherein the first stimulus sound and the second stimulus sound have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극음과 상기 제2자극음은, 펄스 신호로 구성되고, 서로 동일한 펄스 진폭과 펄스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반응을 이용한 이명치료 결과 평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stimulus sound and the second stimulus sound are constituted by pulse signals and have the same pulse amplitude and pulse width as each oth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성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대뇌영역 사이의 정보 전달 방향 및 연결성 강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반응을 이용한 이명치료 결과 평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vity information includes an information transmission direction and a connection strength between the cerebral regions of the u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부는,
상기 반응비율이 상기 기준반응비율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를 하이레벨로 정량화하고, 상기 반응비율이 상기 기준반응비율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를 로우레벨로 정량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반응을 이용한 이명치료 결과 평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valuating unit,
Quantifying the tinnitus treatment result of the user to a high level when the response rate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response rate and quantifying the tinnitus treatment result of the user as a low level when the response rate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response rate Evaluation of Tinnitus Therapy Using Brain Respons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부는,
상기 반응비율이 상기 기준반응비율보다 크고, 상기 연결성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대뇌영역의 전두엽에서 쐐기소엽으로 정보 전달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를 하이레벨로 정량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반응을 이용한 이명치료 결과 평가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evaluating unit,
The result of the tinnitus treatment of the user is quantified to a high leve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sponse rate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response rate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is activated from the frontal lobe of the cerebral region of the user to the wedge lobes through the connectivity information For the evaluation of tinnitus result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이명치료전과 대비하여 이명치료후에 대한 이명 강도를 입력받고, 그 입력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명치료 결과를 정량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반응을 이용한 이명치료 결과 평가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evaluating unit,
Wherein the tinnitus intensity is input from the user after the tinnitus treatment in comparison with before the tinnitus treatment, and the tinnitus treatment result of the user is quantified in consideration of the input resul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측정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뇌파를 검출하고 상기 뇌파를 전처리하는 전처리부, 상기 전처리된 상기 뇌파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제거부와, 상기 잡음이 제거된 상기 뇌파에서 상기 제1진폭값과 상기 제2진폭값을 추출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반응을 이용한 이명치료 결과 평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EG-
A pre-processing unit for detecting an EEG from the user and pre-processing the EEG; a noise removing unit for removing noise from the pre-processed EEG; and a controller for detecting the first amplitude value and the second amplitude value from the noise-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extracting the brain from the brain.
KR1020180012081A 2018-01-31 2018-01-31 Assesment apparatus of tinnitus treatment result for using brain response KR1019922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081A KR101992266B1 (en) 2018-01-31 2018-01-31 Assesment apparatus of tinnitus treatment result for using brain respon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081A KR101992266B1 (en) 2018-01-31 2018-01-31 Assesment apparatus of tinnitus treatment result for using brain respon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2266B1 true KR101992266B1 (en) 2019-06-25

Family

ID=67065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081A KR101992266B1 (en) 2018-01-31 2018-01-31 Assesment apparatus of tinnitus treatment result for using brain respon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26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8635A (en) * 2021-06-07 2021-10-29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协和医院 Evaluation method for neural deaf patient brain function network evolution
KR20220039433A (en) * 2020-09-22 2022-03-2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NeuromodulatinG for improving tinnitus and related cognitive impairment
KR20240028625A (en) 2022-08-25 2024-03-05 유원 Tinnitus treatment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0920A1 (en) * 2006-05-16 2007-11-22 Board Of Trustees Of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Tinnitus testing device and method
KR20120100597A (en) * 2011-03-04 2012-09-12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n objective tinnitus testing device using evoked response potential and the method to detect tinnitus objectively using this device
KR101428680B1 (en) 2012-09-27 2014-08-11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for treatment of vestibular symptoms by using electrical stimulation of cerebral cortex
US8934967B2 (en) * 2008-07-02 2015-01-13 The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tinnitus
JP2017018420A (en) * 2015-07-13 2017-01-26 株式会社電通サイエンスジャム Tinnitus patient discrimination systems, tinnitus patient discrimination method, and tinnitus patient discrimination program
KR101796743B1 (en) * 2016-07-21 2017-11-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Language comprehension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brain respons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0920A1 (en) * 2006-05-16 2007-11-22 Board Of Trustees Of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Tinnitus testing device and method
US8934967B2 (en) * 2008-07-02 2015-01-13 The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tinnitus
KR20120100597A (en) * 2011-03-04 2012-09-12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n objective tinnitus testing device using evoked response potential and the method to detect tinnitus objectively using this device
KR101428680B1 (en) 2012-09-27 2014-08-11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for treatment of vestibular symptoms by using electrical stimulation of cerebral cortex
JP2017018420A (en) * 2015-07-13 2017-01-26 株式会社電通サイエンスジャム Tinnitus patient discrimination systems, tinnitus patient discrimination method, and tinnitus patient discrimination program
KR101796743B1 (en) * 2016-07-21 2017-11-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Language comprehension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brain respons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9433A (en) * 2020-09-22 2022-03-2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NeuromodulatinG for improving tinnitus and related cognitive impairment
KR102403540B1 (en) 2020-09-22 2022-05-31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neuromodulation for tinnitus remedy and improvement of tinnitus-related cognitive impairment
CN113558635A (en) * 2021-06-07 2021-10-29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协和医院 Evaluation method for neural deaf patient brain function network evolution
CN113558635B (en) * 2021-06-07 2023-09-19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协和医院 Evaluation method for brain function network evolution of nerve deafness patient
KR20240028625A (en) 2022-08-25 2024-03-05 유원 Tinnitus treatmen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mitrijevic et al. Cortical alpha oscillations predict speech intelligibility
Blumenthal et al. Committee report: Guidelines for human startle eyeblink electromyographic studies
JP2023521187A (en) Acoustic electrical stimulation neuromodulation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measurement, analysis and control of brain waves
Lindsay et al. Evoked potentials in severe head injury--analysis and relation to outcome.
Bramhall et al. Speech perception ability in noise is correlated with auditory brainstem response wave I amplitude
RU2481789C2 (en) Method and device for objective detection of hearing impairment
Monaghan et al. Hidden hearing loss impacts the neural representation of speech in background noise
KR101992266B1 (en) Assesment apparatus of tinnitus treatment result for using brain response
Shepherd et al. Electrophysiological approaches to noise sensitivity
WO2002062264A2 (en) Eeg feedback controlled sound therapy for tinnitus
Boucher et al. Hyperacusis following unilateral damage to the insular cortex: a three-case report
US11857312B2 (en) Hearing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Dommes et al. Auditory cortex stimulation by low-frequency tones—An fMRI study
Asadpour et al. Cognitive memory comparison between tinnitus and normal cases using event-related potentials
Ashiri et al. Differences between physical vs. virtual evoked vestibular responses
Tourtillott et al. Age-related changes in 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s using a modified blood pressure manometer feedback method
Chen et al. Temporal envelope coding of the human auditory nerve inferred from electrocochleography: Comparison with envelope following responses
Justen et al. Snap your fingers! An ERP/sLORETA study investigating implicit processing of self-vs. other-related movement sounds using the passive oddball paradigm
Bamiou et al. Central auditory processing disorder as the presenting manifestation of subtle brain pathology: Problemas de procesamiento auditivo central como manifestación inicial de patología cerebral ligera
Okamoto et al. N1m recovery from decline after exposure to noise with strong spectral contrasts
De Sanctis et al. Right hemispheric contributions to fine auditory temporal discriminations: high-density electrical mapping of the duration mismatch negativity (MMN)
Zhou et al. A multi-subject temporal-spatial hyper-alignment method for eeg-based neural entrainment to speech
Obeidat et al. Objective methods to measure 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 response saccular tuning curves
Attina et al. A new method to test the efficiency of cochlear implant artifacts removal from auditory evoked potentials
Wiener-Vacher et al. Cervical 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s in healthy children: Normative values for bone and air con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