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848B1 - 스크리닝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리닝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848B1
KR101990848B1 KR1020120121105A KR20120121105A KR101990848B1 KR 101990848 B1 KR101990848 B1 KR 101990848B1 KR 1020120121105 A KR1020120121105 A KR 1020120121105A KR 20120121105 A KR20120121105 A KR 20120121105A KR 101990848 B1 KR101990848 B1 KR 101990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ing
terminal device
information
storage unit
r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4964A (ko
Inventor
김경희
이은복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1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848B1/ko
Publication of KR20140054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5Detecting local intrusion or implementing counter-measures
    • G06F21/552Detecting local intrusion or implementing counter-measures involving long-term monitoring or repor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76Screening of IP real time communications, e.g. spam over Internet telephony [SP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리닝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말 장치에 스크리닝 모드를 제공하여 이 모드가 활성화되면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 내역 정보와 단말 내에 저장된 개인 정보에 접근할 시 그 화면을 캡쳐한 캡쳐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여 단말 장치의 어떤 기능이 사용되는지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 장치를 유출하였을 시 그 단말 장치를 획득한 제3자에게 유출된 단말 장치의 정보들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른 단말 장치 사용자의 피해를 차단하거나 최소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크리닝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STREAMING SERVICE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REMING SERVISE IN THE SYSTEM}
본 발명은 스크리닝(screening)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 장치에 스크리닝 모드를 제공하고, 단말 장치에서 스크리닝 모드 진입 상태이면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 내역 정보와 단말 내에 저장된 개인 정보 접근 정보를 저장하고, 필요 시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여 단말 장치의 어떤 기능이 사용되는지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용 단말 장치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많은 기능과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고, 개인정보 관리 기능을 갖춘 휴대용 컴퓨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 장치가 사용자들에 의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 장치의 사용자는 각종 중요한 어플리케이션이나 개인 정보들을 저장하고, 필요할 때 마다 언제든지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단말 장치에는 개인 또는 업무용으로 사용되는 고급 정보들이 대량으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유출에 많은 신경을 써야 한다. 특히, 고급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는 단말 장치를 분실한 경우, 습득자에 의해 저장되어 있는 고급 정보들이 파기되거나, 유출되는 경우에는 금전적 손실 이상의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급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는 스마트폰이 분실된 경우, 상기 고급 정보들의 유출에 따른 막대한 피해를 차단하거나 최소화 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2-0069130, 2012년 06월 28일 (명칭: 로그 데이터에 기초한 실시간 감시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제3자에게 유출된 단말 장치의 정보들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이에 따른 사용자의 피해를 차단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스크리닝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리닝 서비스 시스템은, 설정에 따라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 설정 및 스크리닝 설정 규칙 정보를 저장하고, 스크리닝 모드 진입 상태이면 스크리닝 설정 규칙에 따라 스크리닝 내역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스크리닝 내역 정보를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제공하는 단말 장치와, 설정에 따라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 설정 및 스크리닝 설정 규칙 정보를 저장하고, 스크리닝 내역 정보 확인 요청이 있으면 권한이 있는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인지 여부에 따라 단말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스크리닝 내역 정보를 출력하는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하고, 스크리닝 규칙은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추적 여부와 개인 정보 및 특정 어플리케이션 접근 시 스크린 캡쳐 수행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규칙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리닝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는,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스크리닝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소정 단말 장치로부터 스크리닝 내역 정보가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저장부에 저장하고, 설정에 따라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 설정 및 스크리닝 설정 규칙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 설정 및 스크리닝 설정 규칙 정보를 단말 장치와 동기화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는 스크리닝 내역 정보 확인을 위해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를 저장하고, 제어부는 단말 장치에 대한 스크리닝 내역 정보 확인 요청이 있으면 패스워드 입력을 요구하고, 입력된 패스워드가 저장부에 저장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면 저장부에 저장된 스크리닝 내역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리닝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단말 장치는,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스크리닝 어플리케이션 및 스크리닝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발생하는 데이터 저장하는 저장부와,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를 위한 설정 요구에 따라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스크리닝 모드 규칙 설정 요구에 따라 요구된 스크리닝 모드 규칙을 저장부에 저장하고, 스크리닝 모드 진입 상태이면 설정된 스크리닝 모드 규칙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스크리닝 내역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스크리닝 내역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사용 내역과 개인 정보 접근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리닝 모드 규칙은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저장하는 규칙과 개인 정보 및 특정 어플리케이션 접근 시 스크린 캡쳐를 수행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규칙 중 적어도 하나의 규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스크린 캡쳐된 캡쳐 이미지는 미리 설정된 스케일링으로 다운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스크리닝 모드 규칙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스크리닝 내역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는 스크리닝 내역 정보 확인을 위해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를 저장하고, 제어부는 스크리닝 내역 정보 확인 요청이 있으면 패스워드 입력을 요구하고, 입력된 패스워드가 저장부에 저장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면 저장부에 저장된 스크리닝 내역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리닝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방법은,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 설정 요구에 따라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스크리닝 모드 규칙 설정 요구에 따라 요구된 스크리닝 모드 규칙을 저장하는 과정과, 스크리닝 모드 진입 상태이면 설정된 스크리닝 모드 규칙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스크리닝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스크리닝 내역 정보 제공 요청이나 미리 설정된 내역 정보 업데이트 시점이 있으면 스크리닝 내역 정보를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리닝 내역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사용 내역과 개인 정보 접근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방법은,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 설정 정보와 스크리닝 모드 규칙을 미리 설정된 동기화 시점에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와 동기화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리닝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스크리닝 내역 정보를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제공하는 과정은 백그라운드로 실행되어 실행사항이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방법은, 스크리닝 내역 정보 확인을 위해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를 저장하는 과정과, 스크리닝 내역 정보 확인 요청이 있으면 패스워드 입력을 요구하는 과정과, 입력된 패스워드가 저장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면 저장된 스크리닝 내역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내역과 개인 정보 접근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스크리닝 모드를 제공하여 단말 장치의 사용 내역과 개인 정보 접근 시 단말 화면에 대한 캡쳐 정보를 제공하여 제 3 사용자에게 유출된 단말 정보가 무엇인지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 장치를 유출하였을 시 그 단말 장치를 획득한 제3자에게 유출된 단말 장치의 정보들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른 단말 장치 사용자의 피해를 차단하거나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리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크리닝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크리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크리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크리닝 서비스 시스템에서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와 단말 장치 간의 데이터 흐름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스크리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 설정 및 규칙을 설정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 스크리닝 모드 진입에 따라 스크리닝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면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리닝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리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크리닝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크리닝 서비스 시스템은 단말 장치(100)와 통신망(110)을 통해 연결되는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12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TV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120)와 통신하기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즉, 단말 장치(100)는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120)와 통신이 가능하고, 스크리닝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며,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의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스크리닝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스크리닝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스크리닝 모드 실행 시 필요한 스크리닝 모드 규칙 설정 정보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저장한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스크리닝 모드 진입 즉, 스크리닝 모드가 활성화되면 설정된 스크리닝 모드 규칙에 따라 스크리닝을 수행한다. 이때, 스크리닝 모드 규칙은 개인 정보 및 특정 어플리케이션 접근 시 스크린 캡쳐를 수행하여 캡쳐된 이미지를 저장하거나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를 스크리닝 내역 정보로 저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스크리닝한 내역 정보 확인 요청이 있으면, 미리 저장된 패스워드와 일치한 패스워드가 입력될 시에만 스크리닝 한 내역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120)와 스크리닝 모드 설정 여부와 설정 규칙 정보 동기화를 수행하고, 저장된 스크리닝 내역 정보를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 제공한다. 이때, 동기화 시점은 주기적으로 동기화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설정 정보에 변경이 있을 시마다 즉시 동기화 시키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스크리닝 내역 정보를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 제공하는 시점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제공할 수도 있고, 내역 정보가 업데이트될 시마다 즉시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동기화 시점 및 정보 제공 시점은 설정에 따라 이루어질 것이다.
통신망(110)은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이러한, 통신망(110)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스크리닝 모드 실행 시 필요한 스크리닝 모드 규칙 설정 정보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저장한다. 또한,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단말 장치(100)와 스크리닝 모드 설정 여부와 설정 규칙 정보 동기화를 수행하고, 단말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스크리닝 내역 정보를 저장하고, 스크리닝한 내역 정보 확인 요청이 있으면, 미리 저장된 패스워드와 일치한 패스워드가 입력될 시에만 스크리닝한 내역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도 1과 같이 구성된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단말 장치(100)과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120)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도 2 및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크리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크리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제어부(200), 통신부(210), 저장부(22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200)는 소정 단말 장치로부터 스크리닝 내역 정보가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면 저장부(220)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소정 단말 장치에 대한 스크리닝 모드 규칙 설정을 위한 입력이 있으면 입력된 스크리닝 모드 규칙을 저장부(220)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 설정을 위한 입력이 있으면 입력된 설정 정보를 저장부(22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미리 설정된 동기화 시점에 통신부(210)를 통해 단말 장치(100)와 스크리닝 모드 설정 여부와 설정 규칙 정보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스크리닝한 내역 정보 확인 요청이 있으면, 미리 저장된 패스워드와 일치한 패스워드가 입력될 시에만 저장된 스크리닝한 내역 정보를 출력한다.
통신부(210)는 통신망(110)을 통해 단말 장치(100)와 스크리닝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통신부(21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21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21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12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리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단말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스크리닝 내역/규칙(222)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22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제 도 3을 참조하여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는 제어부(300), 통신부(310), 저장부(320), 출력부(330) 및 입력부(3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입력부(34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를 위한 설정 입력에 따라 입력된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 정보를 저장부(320)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입력부(340)를 통해 스크리닝 모드 규칙 설정 입력에 따라 입력된 스크리닝 모드 규칙을 저장부(320)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스크리닝 모드 진입 상태이면 설정된 스크리닝 모드 규칙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스크리닝 내역 정보를 저장부(32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스크리닝 내역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사용 내역과 개인 정보 접근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다. 또한, 스크리닝 모드 규칙은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저장하는 규칙과 개인 정보 및 특정 어플리케이션 접근 시 스크린 캡쳐를 수행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규칙 중 적어도 하나의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설정에 따라 저장부(320)에 스크린 캡쳐된 캡쳐 이미지를 저장할 시 저장공간의 효율성을 위해 미리 설정된 스케일링으로 다운하여 저장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저장된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 정보와 스크리닝 모드 규칙을 통신부(310)를 통해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120)와 동기화 시키고, 스크리닝 모드 규칙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스크리닝 내역 정보도 통신부(310)를 통해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동기화 시점과 내역 정보 제공 시점은 상기의 도 1의 설명에서 기재하였다. 또한, 제어부(300)는 입력부(340)를 통해 스크리닝 내역 정보 확인 요청이 있으면 출력부(330)로 패스워드 입력을 요구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300)는 입력부(340)를 통해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저장부(320)에 미리 저장된 패드워드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일치하면 저장부(320)에 저장된 스크리닝 내역 정보를 출력한다.
통신부(310)는 통신망(110)을 통해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120)와 스크리닝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통신부(31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31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31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2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리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스크리닝 규칙(324)과 스크리닝 내역(322)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22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출력부(33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 결과나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나, 가청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이나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입력부(340)는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향후 상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일반적인 입력 장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특정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크리닝 서비스 시스템에서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120)와 단말 장치(100) 간의 데이터 흐름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와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120) 간에는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 설정 및 규칙 정보를 동기화시키기 위한 데이터가 송수신된다(S400).
또한, 단말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시점에 단말 장치(100)에 저장된 스크리닝 내역 정보를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 제공한다.
그러면, 이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120)와 단말 장치(100)에서 스크리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120)에서 스크리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다가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 설정을 위한 요구가 있는지를 검사한다(S500, S502).
만약,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 설정을 위한 요구가 있으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 설정 정보를 저장부(220)에 저장한다(S504).
제어부(200)는 스크리닝 모드 규칙 설정을 위한 요구가 있는지를 검사한다(S506).
만약, 스크리닝 모드 규칙 설정을 위한 요구가 있으면 입력되는 스크리닝 모드 규칙을 저장부(220)에 저장한다(S508).
이후, 제어부(200)는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 정보와 규칙에 대하여 단말 장치(100)와 동기화시켜야 할 시점 즉, 미리 설정된 동기화 시점인지를 검사한다(S510).
만약, 동기화 시점이면,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 정보와 규칙에 대하여 통신망(110)을 통해 단말 장치(100)와 동기화시키도록 제어한다(S512).
이후, 제어부(200)는 스크리닝 내역 정보가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S514). 만약, 스크리닝 내역 정보가 수신되면 저장부(220)에 이를 저장한다(S516).
이후, 제어부(200)는 스크리닝 내역 확인을 위한 요청이 있는지를 검사한다(S518).
만약, 스크리닝 내역 확인 요청이 있으면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출력하고, 입력되는 패스워드와 미리 저장된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를 검사한다(S520 ~ S522).
검사 결과 패스워드가 일치하면 저장된 스크리닝 내역 정보를 출력하고,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권한 없음을 알린다(S524, S526).
그러면 이제, 도 6을 참조하여 단말 장치(100)에서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 설정 및 규칙을 설정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다가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 설정을 위한 요구가 있는지를 검사한다(S600, S602).
만약,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 설정을 위한 요구가 있으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 설정 정보를 저장부(320)에 저장한다(S604).
이후, 제어부(300)는 스크리닝 모드 규칙 설정을 위한 요구가 있는지를 검사한다(S606).
만약, 스크리닝 모드 규칙 설정을 위한 요구가 있으면 입력되는 스크리닝 모드 규칙을 저장부(320)에 저장한다(S608).
그러면 이제, 도 7을 참조하여 단말 장치(100)에서 스크리닝 모드 진입에 따라 스크리닝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300)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다가 스크리닝 진입 설정되는지를 검사한다(S700, S702).
만약, 스크리닝 진입 설정에 따라 현재 상태가 스크리닝 진입 상태이면, 미리 설정된 스크리닝 모드 규칙에 따라 어플리케이션들의 활성화 정보와 개인 정보 및 특정 어플리케이션 접근 시점의 스크린을 캡쳐한 캡쳐 이미지를 저장부(320)에 저장한다(S704). 이때, 어플리케이션들의 활성화 정보와 캡쳐 이미지를 스크린 내역 정보라 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300)는 스크리닝 내역 정보를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 업데이트 할 시점인지를 검사한다(S706).
만약, 업데이트 할 시점이면 제어부(300)는 저장부(320)에 저장된 스크리닝 내역 정보를 통신부(310)를 통해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 전송한다(S708).
제어부(300)는 스크리닝 내역 정보 제공 요청이 있는지를 검사한다(S710). 만약, 스크리닝 내역 정보 제공 요청이 있으면, 패스워드 일치 여부에 따라 저장된 스크리닝 내역 정보를 제공한다(S712). 즉, 스크리닝 내역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패스워드 입력을 요구하고, 입력되는 패스워드가 미리 저장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면 내역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후, 제어부(300)는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 정보와 규칙에 대하여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120)와 동기화시켜야 할 시점 즉, 미리 설정된 동기화 시점인지를 검사한다(S714).
만약, 동기화 시점이면,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 정보와 규칙에 대하여 통신망(110)을 통해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120)와 동기화시키도록 제어한다(S716).
이후, 제어부(300)는 스크리닝 모드 해제를 위한 요청이 있는지 검사하고, 만약 스크리닝 모드 해제를 위한 요청이 있으면 단말 장치(100)의 스크리닝 모드 상태를 스크리닝 모드 해제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S704 단계로 진행하여 계속하여 스크리닝 모드 진입에 따른 스크리닝 모드를 수행하도록 한다(S718, S720).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리닝 서비스 이용을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바일 인터넷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스크리닝(screening)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 장치에 스크리닝 모드를 제공하여 이 모드가 활성화되면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 내역 정보와 단말 내에 저장된 개인 정보에 접근할 시 그 화면을 캡쳐한 캡쳐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여 단말 장치의 어떤 기능이 사용되는지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 장치를 유출하였을 시 그 단말 장치를 획득한 제3자에게 유출된 단말 장치의 정보들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른 단말 장치 사용자의 피해를 차단하거나 최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스크리닝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100: 단말 장치 110: 통신망
120: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
200: 제어부 210: 통신부 220: 저장부
222: 스크리닝 내역/규칙 300: 제어부 310: 통신부
320: 저장부 322: 스크리닝 내역
324: 스크리닝 규칙 330: 출력부 340: 입력부

Claims (14)

  1. 삭제
  2.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스크리닝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소정 단말 장치의 스크리닝 모드 설정과 관련하여 개인 정보 또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접근 요청이 발생하면 스크린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스크린 캡쳐 이미지를 지정된 조건에 따라 제공하는 스크리닝 규칙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단말 장치의 상기 스크리닝 모드 진입, 해제 설정,및 상기 스크리닝 규칙 정보를 단말 장치와 동기화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스크린 캡쳐 이미지 확인을 위해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스크린 캡쳐 이미지 확인 요청이 있으면 패스워드 입력을 요구하고, 입력된 패스워드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스크린 캡쳐 이미지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장치.
  4.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스크리닝 어플리케이션 및 스크리닝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발생하는 데이터 저장하는 저장부;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를 위한 설정 요구에 따라 스크리닝 모드 진입 및 해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스크리닝 모드 규칙 설정 요구에 따라 요구된 스크리닝 모드 규칙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스크리닝 모드 진입 상태이면 상기 설정된 스크리닝 모드 규칙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스크리닝 내역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리닝 내역 정보는 개인 정보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접근 시 획득한 스크린 캡쳐 이미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리닝 모드 규칙은 개인 정보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접근 시 스크린 캡쳐를 수행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규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20121105A 2012-10-30 2012-10-30 스크리닝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90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105A KR101990848B1 (ko) 2012-10-30 2012-10-30 스크리닝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105A KR101990848B1 (ko) 2012-10-30 2012-10-30 스크리닝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964A KR20140054964A (ko) 2014-05-09
KR101990848B1 true KR101990848B1 (ko) 2019-09-30

Family

ID=50886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105A KR101990848B1 (ko) 2012-10-30 2012-10-30 스크리닝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8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8135A1 (ko) * 2020-11-20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접근 이벤트 시청각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9130A (ko) 2010-12-20 2012-06-28 (주)유비엔 로그 데이터에 기초한 실시간 감시 방법
KR20120071175A (ko) * 2010-12-22 2012-07-02 주식회사 케이티 웹 플랫폼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로그 정보 제공 방법 및 웹 플랫폼에 대한 검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검증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8135A1 (ko) * 2020-11-20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접근 이벤트 시청각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964A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347191B2 (en) Managing private transactions on blockchain networks based on workflow
KR101971911B1 (ko)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A2794781C (en) One step security system in a network storage system
EP3276910B1 (en) Bluetooth-based identity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CN103974025A (zh) 在机密数据输入期间中止屏幕共享的方法和设备
JP6327491B2 (ja) アプリテストシステム及びアプリテスト方法
EP3226432A1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media data between terminals
JP2021135991A (ja) 端末機及びそれの動作方法(mobi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202029B1 (ko)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영상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5397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KR20150032152A (ko) 전자 장치 간의 편집 동작을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60344663A1 (en)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tents in messenger
KR20120051285A (ko)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배경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US20220263836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security access permissions between in-camera users
KR101990848B1 (ko) 스크리닝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스크리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05338B1 (ko)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 및 방법
CN113221195A (zh) 一种保存业务数据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5376399A (zh) 用于控制智能设备的方法及装置
KR101846163B1 (ko) 공유 정보를 보호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5320892B (zh) 社交通信应用的通信记录存储方法及相关系统
JP2021006995A (ja) 端末機、サーバ及びその動作方法(mobile,serv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760770B1 (ko) 네트워크 디바이스 간 정보 공유 방법
US201500065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s
CN111414639A (zh) 文件加密和解密方法、装置及设备
US20170171633A1 (e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arranging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