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477B1 - 통화세션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세션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477B1
KR101990477B1 KR1020170107638A KR20170107638A KR101990477B1 KR 101990477 B1 KR101990477 B1 KR 101990477B1 KR 1020170107638 A KR1020170107638 A KR 1020170107638A KR 20170107638 A KR20170107638 A KR 20170107638A KR 101990477 B1 KR101990477 B1 KR 101990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call session
voice call
voip terminal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996A (ko
Inventor
김경우
금동원
이상진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70107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477B1/ko
Publication of KR20190021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86In-session procedures session scope mod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96Supplementary features, e.g. call forwarding or call hol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61Push-to services, e.g. push-to-talk or push-to-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통화세션 처리 방법은, 제 1 단말장치가 제 2 단말장치와의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 2 단말장치와의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제 2 음성통화세션의 연결을 위한 제 1 키를 생성하여 제 2 단말장치에게 송신하는 단계와, 제 2 단말장치로부터 제 2 음성통화세션의 연결을 위한 제 2 키가 수신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선별적으로 제 2 음성통화세션을 개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화세션 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ING CALL SESSION}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장치간의 음성통화세션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네트워크의 기술이 빠른 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들의 요구 또한 다양하고 복합적인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최근 들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는 인터넷, 휴대전화 등 유·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고 있는 IP 주소체계를 이용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는 유·무선 네트워크상에서 IP 주소체계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기술 중의 하나이며,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 의해 제안되었다. SIP는 네트워크상에서 통신을 시도하는 노드들이 서로를 인지하여 위치를 찾고, 노드들 상호간 통신을 위한 멀티미디어 세션을 생성하거나 수정하는 절차, 그리고 멀티미디어 세션을 종료하는 절차를 정의한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SIP는 음성 통화, 영상 송수신, 화상 통화, 인스턴트 메시지 송수신 등 세션 연결을 위주로 하는 응용 계층에서 주로 사용되며, 유선 및 무선 기반 통신 네트워크 인프라에서 폭 넓게 적용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인 상용의 유·무선네트워크에서 SIP에 기반한 VoIP 통신은 음성통화 상태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할 때에 주로 이용된다.
그런데, 전술 네트워크는 음성통화를 위한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현재 연결되어 있는 음성통화세션 이외에 별도의 음성통화세션을 통한 음성 신호의 전송이 요구될 수 있는 특수성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2194호, 공개일자 2016년 8월 29일.
이에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장치간의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새로운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연결할 수 있는 통화세션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장치가 제 2 단말장치와의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단말장치와의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 2 음성통화세션의 연결을 위한 제 1 키를 생성하여 상기 제 2 단말장치에게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 2 음성통화세션의 연결을 위한 제 2 키가 수신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선별적으로 상기 제 2 음성통화세션을 개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장치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 1 단말장치와 제 2 단말장치간의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단말장치와 상기 제 2 단말장치간의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처리하는 과정들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과정들은, 상기 제 2 음성통화세션의 연결을 위한 제 1 키를 생성하여 상기 제 2 단말장치에게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 2 음성통화세션의 연결을 위한 제 2 키가 수신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선별적으로 상기 제 2 음성통화세션을 개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장치와 제 2 단말장치간의 연동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제 1 단말장치와 상기 제 2 단말장치간의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단말장치와 상기 제 2 단말장치간의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 2 음성통화세션의 연결을 위한 제 1 키가 수신되면 상기 제 2 단말장치로부터의 음성 PTT(Push To Talk) 요청을 거절하는 블록킹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키를 상기 제 2 음성통화세션의 연결을 위해 사용하겠다는 메시지가 상기 제 2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를 상기 제 1 단말장치에게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정상 수신하였다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블록킹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장치와 제 2 단말장치간의 연동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제 1 단말장치와 제 2 단말장치간의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단말장치와 상기 제 2 단말장치간의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처리하는 과정들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과정들은, 상기 제 1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 2 음성통화세션의 연결을 위한 제 1 키가 수신되면 상기 제 2 단말장치로부터의 음성 PTT(Push To Talk) 요청을 거절하는 블록킹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키를 상기 제 2 음성통화세션의 연결을 위해 사용하겠다는 메시지가 상기 제 2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를 상기 제 1 단말장치에게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정상 수신하였다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블록킹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장치간의 음성통화를 위한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현재 연결되어 있는 음성통화세션 이외에 별도의 음성통화세션을 개통할 수 있다.
아울러, 현재 연결되어 있는 음성통화세션 이외에 별도의 음성통화세션에 대한 연결을 시도할 때에,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 구간의 음성 최우선 정책으로 인하여 음성 데이터가 세션 설정 메시지보다 먼저 전송되어 발생할 수 있었던 음성 누락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음성통화세션을 처리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음성통화세션을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유선 VoIP 단말장치가 제 2 음성통화세션을 개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유선 VoIP 단말장치가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연결할 때에 제 1 키를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 2 음성통화세션을 개통하는 과정들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음성통화세션을 추가할 필요가 있는 경우라도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연결하지 않고 제 1 음성통화세션을 유지하는 과정들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은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연결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때에 음성 누락이 발생하는 상황의 일 예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9는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 2 음성통화세션을 개통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때에 도 8과 같은 음성 누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과정들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10은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연결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때에 음성 누락이 발생하는 상황의 다른 예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11은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연결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때에 도 10과 같은 음성 누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과정들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실제로 필요한 경우 외에는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음성통화세션을 처리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네트워크(1)는 전이중(full-duplex) 방식의 유선 VoIP 단말장치(11, 12, 13, 14)로 구성된 유선 네트워크(10)와 반이중(half-duplex) 방식의 무선 VoIP 단말장치(21, 22, 23, 24, 25, 26)로 구성된 무선 애드혹(Ad-hoc) 네트워크(20)를 포함한다. 또, 통신 네트워크(1)는 유선 VoIP 단말장치(11, 12, 13, 14)와 무선 VoIP 단말장치(21, 22, 23, 24, 25, 26)간의 VoIP 연동을 지원하는 유무선 인터페이스 장치(3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도 1에 나타낸 유선 VoIP 단말장치(11, 12, 13, 14) 및 무선 VoIP 단말장치(21, 22, 23, 24, 25, 26)의 개수는 예시에 불과하며,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유선 네트워크(10) 환경에서 유선 VoIP 단말장치(11, 12, 13, 14)간의 음성통화를 위한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별도의 음성통화세션을 통한 음성 신호의 전송이 요구될 경우에 유선 VoIP 단말장치(11, 12, 13, 14)들은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연결하기 위한 키 교환 절차를 수행하여 제 2 음성통화세션을 개통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음성통화세션을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와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 사이의 음성통화세션의 처리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통화세션 처리 방법은,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가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와의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별도의 음성통화세션을 통한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와의 음성 신호의 전송이 필요할 경우에 제 2 음성통화세션의 연결을 위한 제 1 키를 생성하여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에게 송신하는 단계(101 내지 105)를 포함한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통화세션 처리 방법은,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가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로부터 제 2 음성통화세션의 연결을 위한 제 2 키가 수신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선별적으로 제 2 음성통화세션을 개통하는 단계(107, 109)를 더 포함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유선 VoIP 단말장치(11, 12, 13, 14)가 제 2 음성통화세션을 개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음성통화세션 개통 과정은,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가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와의 제 2 음성통화세션을 개통할 때에,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로부터 제 2 키를 수신하는 단계(201)를 포함한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음성통화세션 개통 과정은,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가 기 설정된 기준 조건을 기초로 제 1 키와 제 2 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키를 선택하는 단계(203)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음성통화세션 개통 과정은,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가 단계 203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키를 사용하여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와의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연결하는 단계(205)를 더 포함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유선 VoIP 단말장치가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연결할 때에 제 1 키를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연결할 때에 제 1 키를 사용하는 과정은,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가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와의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연결할 때에, 제 2 음성통화세션의 연결을 위해 제 1 키를 사용한다는 메시지를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에게 송신하는 단계(301)를 포함한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연결할 때에 제 1 키를 사용하는 과정은, 제 2 음성통화세션의 연결을 위한 제 1 키의 사용을 허락하는 메시지가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로부터 수신된 경우에 제 1 키를 사용하여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와의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연결하는 단계(303, 305)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와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 사이의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개통하는 과정을 나타내었다. 이처럼, 추가로 음성통화세션이 개통되는 과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 2 음성통화세션을 개통하는 과정들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401)에서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와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는 제 1 음성통화세션을 통해 음성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처럼,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401)에서 현재 연결되어 있는 음성통화세션 이외에 별도의 음성통화세션을 통한 음성 신호의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는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연결할 때에 이용하고자 하는 제 1 키를 생성하며(403),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 또한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연결할 때에 이용하고자 하는 제 2 키를 생성한다(405). 예를 들어, 제 1 키 및 제 2 키는 해당 음성통화세션을 연결할 때에만 이용되고 파기되는 일회성의 특징을 가질 수 있으며, 새로운 음성통화세션을 연결할 때마다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와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 사이의 키 교환이 이루어진다(407). 즉,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의 제 1 키가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에게 전달되고,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의 제 2 키가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에게 전달된다. 예를 들어,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와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는 키 교환을 위하여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의 INFO 메시지 규격을 이용할 수 있다. SIP에서의 INFO 메시지는 세션 완료 후에 추가적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이용되는 메시지이다.
여기서,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는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에게 제 1 키를 송신한 이후에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로부터 제 2 키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이후의 절차, 즉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연결하기 위한 과정들을 수행하며,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로부터 제 2 키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후에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연결하기 위한 과정들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와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에서는 각각 키를 선택하는 절차가 수행된다(409, 411). 여기서,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와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는 키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 조건에 부합하는지를 판정하여 하나의 메시지를 선택하며, 해당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키 정보에 대응하는 키를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연결할 때에 사용한다. 그리고, 제 1 키와 제 2 키 중에서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연결할 때에 사용되지 않는 키는 파기한다. 예를 들어, 키 선택을 위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조건은 전화번호 길이나 IP(Internet Protocol) 주소 길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와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는 단계 409 및 411에 의해 선택된 키 정보를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한다(413). 여기서,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연결할 때에 사용하고자 하는 키로서 제 1 키가 선택된 경우에,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는 음성통화세션의 추가 연결을 위해 제 1 키를 사용한다는 메시지를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에게 송신하고,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로부터 제 1 키를 사용하는 것을 허락하는 메시지가 회신되는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가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에게 제 1 키를 사용한다는 메시지를 송신할 때에는 SIP의 4XX 응답 메시지 규격을 이용할 수 있고,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가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에게 제 1 키를 사용하는 것을 허락하는 메시지를 회신할 때에는 SIP의 200 OK 메시지 규격을 이용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와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는 단계 413에서 상호 확인된 선택 키를 사용하여 새로운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연결(즉,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연결)한다(415).
도 6 및 도 7은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음성통화세션을 추가할 필요가 있는 경우라도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연결하지 않고 제 1 음성통화세션을 유지하는 과정들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501)에서 현재 연결되어 있는 음성통화세션 이외에 별도의 음성통화세션을 통한 음성 신호의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는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와의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개통하는 과정들을 수행한다(503).
이처럼,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개통하는 과정 중에,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는 제 2 음성통화세션의 연결을 위한 제 1 키를 생성한 후에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에게 제 1 키를 송신한다(505). 여기서,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는 제 1 키를 송신한 후에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가 무응답 상태일 경우에는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연결하지 않고 제 1 음성통화세션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507, 509).
아울러,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개통하는 과정 중에,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는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에서 생성될 수 있는 제 2 키의 생성에 관련한 오류 메시지가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로부터 수신된 경우에도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연결하지 않고 제 1 음성통화세션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511, 513). 예를 들어,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는 제 2 키를 생성할 수 없거나 제 2 키의 생성 중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에 제 2 키의 생성에 관련한 오류 메시지를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는 도 3의 단계 203에서 제 1 키가 선택되지 않고 제 2 키가 선택된 경우에만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로부터 제 2 키의 생성에 관련한 오류 메시지가 수신될 때에 제 2 음성통화세션 연결 과정을 종료하고 제 1 음성통화세션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는 제 2 키의 생성에 관련한 오류 메시지를 SIP의 4XX 응답 메시지 규격을 이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는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과의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개통하는 과정 중에,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로부터 제 2 키의 생성에 관련한 오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 곧바로 제 2 음성통화세션 연결 과정을 종료하지 않고 제 1 키를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에게 재송신할 수 있다.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601)에서 현재 연결되어 있는 음성통화세션 이외에 별도의 음성통화세션을 통한 음성 신호의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는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과의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개통하는 과정들을 수행한다(603).
이처럼,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개통하는 과정 중에,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는 제 2 음성통화세션의 연결을 위한 제 1 키를 생성한 후에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에게 제 1 키를 송신한다(605). 여기서,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는 제 1 키를 송신한 후에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가 무응답 상태이거나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로부터 제 2 키의 생성에 관련한 오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 이러한 무응답 및 오류 상태가 발생한 회수를 계수한다(607). 그리고, 계수된 회수가 기 설정된 회수를 초과하지 않으면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에게 제 1 키를 재송신한다(609).
아울러,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는 단계 609에서 계수된 회수가 기 설정된 회수를 초과하면 제 2 음성통화세션 연결 과정을 종료하고 제 1 음성통화세션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611). 여기서, 단계 607에서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는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로부터 제 2 키의 생성에 관련한 오류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고 제 2 유선 VoIP 단말장치(12)가 응답 상태(즉, 제 2 키를 제 1 유선 VoIP 단말장치(11)에게 송신)인 경우라면 도 5의 415처럼 제 2 음성통화세션의 연결을 진행한다(613).
지금까지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유선 VoIP 단말장치들이 음성통화세션을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유선 VoIP 단말장치들 내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이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포함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도 2 내지 도 7의 음성통화세션을 처리하는 과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연결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때에 음성 누락이 발생하는 상황의 일 예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여, 무선 VoIP 단말장치(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간에 제 2 음성통화세션을 개통하는 절차를 예시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무선 VoIP 단말장치(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간의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701)에서 현재 연결되어 있는 음성통화세션 이외에 별도의 음성통화세션을 통한 음성 신호의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 무선 VoIP 단말장치(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는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개통하는 과정들을 수행한다.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개통하는 과정 중에, 무선 VoIP 단말장치(26)는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연결할 때에 이용하고자 하는 제 1 키를 생성하며(703), 유선 VoIP 단말장치(11) 또한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연결할 때에 이용하고자 하는 제 2 키를 생성한다(705). 예를 들어, 제 1 키 및 제 2 키는 해당 음성통화세션을 연결할 때에만 이용되고 파기되는 일회성의 특징을 가질 수 있으며, 새로운 음성통화세션을 연결할 때마다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VoIP 단말장치(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장치(30)의 중계 과정을 통해 키 교환이 이루어진다. 즉, 무선 VoIP 단말장치(26)의 제 1 키가 유선 VoIP 단말장치(11)에게 전달되고(707, 711), 유선 VoIP 단말장치(11)의 제 2 키가 무선 VoIP 단말장치(26)에게 전달된다(709, 713).
다음으로, 무선 VoIP 단말장치(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에서는 각각 키를 선택하는 절차가 수행된다(715, 717).
단계 715 및 717에서 제 1 키가 선택되었다고 가정하면, 무선 VoIP 단말장치(26)는 음성통화세션의 추가 연결을 위해 제 1 키를 사용한다는 메시지를 인터페이스 장치(30)를 통해 유선 VoIP 단말장치(11)에게 송신한다(719, 721).
그리고, 유선 VoIP 단말장치(11)는 음성통화세션의 추가 연결을 위해 제 1 키를 사용하는 것을 허락하는 메시지를 회신하며(723), 인터페이스 장치(30)는 유선 VoIP 단말장치(11)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무선 VoIP 단말장치(26)를 도착지로 설정하여 송신한다(725). 이때, 인터페이스 장치(30)에서 송신된 메시지는 중계 노드의 역할을 하는 무선 VoIP 단말장치들(21, 24, 25)을 거쳐서 도착지인 무선 VoIP 단말장치(26)까지 전달되어야 한다.
그런데,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20)가 음성 최우선 정책으로 운용되는 경우에는 단계 725에서 인터페이스 장치(30)로부터 송신되는 메시지가 무선 VoIP 단말장치(26)를 향해 전송되는 중에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727). 예를 들어, 전술 네트워크는 실시간 음성 보고가 매우 중요하므로 네트워크 상에 유통되는 데이터 중 음성을 최우선 순위로 전달하는 음성 최우선 정책을 적용하여 운용된다.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20)가 전술 네트워크로 사용되는 경우라면 음성 최우선 정책으로 인하여 단계 727의 지연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20) 구간은 인접 주파수간 잡음 및 주변 신호 간섭 등으로 인해 전송 지연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단계 727과 같이 지연이 발생하거나 인터페이스 장치(30)로부터 송신된 메시지가 무선 VoIP 단말장치(26)에 도착하기 전에 손실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계 727의 지연 또는 데이터 손실 상황에서, 유선 VoIP 단말장치(11)는 단계 723에서 음성통화세션의 추가 연결을 위해 제 1 키를 사용하는 것을 허락하는 메시지를 송신한 후에 무선 VoIP 단말장치(26)와의 제 2 음성통화세션에 대한 개통 절차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도착지가 무선 VoIP 단말장치(26)인 음성 데이터를 제 2 음성통화세션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729).
그러면, 인터페이스 장치(30)는 유선 VoIP 단말장치(11)로부터 송신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20)를 이용하여 무선 VoIP 단말장치(26)를 향해 송신한다. 이때, 음성 데이터는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20)의 음성 최우선 정책에 의해 지연 없이 무선 VoIP 단말장치(26)를 향해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단계 725에서 전송되던 메시지와 단계 731에서 전송되던 음성 데이터가 전송 과정 중에 단계 727의 지연에 의해 역전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무선 VoIP 단말장치(26)는 아직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연결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단계 731의 음성 데이터가 무선 VoIP 단말장치(26)에 의해 수신되지 못하는 음성 누락이 발생할 수 있다(733).
도 9는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 2 음성통화세션을 개통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때에 도 8과 같은 음성 누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과정들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여, 무선 VoIP 단말장치(21, 22, 23, 24, 25, 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 12, 13, 14)간의 연동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장치(30)가 무선 VoIP 단말장치(21, 22, 23, 24, 25, 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 12, 13, 14)간의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무선 VoIP 단말장치(21, 22, 23, 24, 25, 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 12, 13, 14)간의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처리할 때에 음성 누락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예를 들어, 무선 VoIP 단말장치(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간에 제 2 음성통화세션을 개통하는 절차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무선 VoIP 단말장치(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간의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801)에서 현재 연결되어 있는 음성통화세션 이외에 별도의 음성통화세션을 통한 음성 신호의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 무선 VoIP 단말장치(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는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개통하는 과정들을 수행한다.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개통하는 과정 중에, 무선 VoIP 단말장치(26)는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연결할 때에 이용하고자 하는 제 1 키를 생성하며(803), 유선 VoIP 단말장치(11) 또한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연결할 때에 이용하고자 하는 제 2 키를 생성한다(805).
그리고, 무선 VoIP 단말장치(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장치(30)의 중계 과정을 통해 키 교환이 이루어진다. 즉, 무선 VoIP 단말장치(26)의 제 1 키가 유선 VoIP 단말장치(11)에게 전달되고(807, 813), 유선 VoIP 단말장치(11)의 제 2 키가 무선 VoIP 단말장치(26)에게 전달된다(811, 815). 이때, 인터페이스 장치(30)는 무선 VoIP 단말장치(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 사이의 키 교환 중에, 무선 VoIP 단말장치(26)로부터 제 2 음성통화세션의 연결을 위한 제 1 키가 수신되면 유선 VoIP 단말장치(11)로부터의 음성 PTT(Push To Talk) 요청을 거절하는 블록킹 모드로 동작한다(809).
다음으로, 무선 VoIP 단말장치(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에서는 각각 키를 선택하는 절차가 수행된다(817, 819). 여기서, 무선 VoIP 단말장치(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는 키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 조건에 부합하는지를 판정하여 하나의 메시지를 선택하며, 해당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키 정보에 대응하는 키를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연결할 때에 사용한다. 그리고, 제 1 키와 제 2 키 중에서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연결할 때에 사용되지 않는 키는 파기한다.
단계 817 및 819에서 제 1 키가 선택되었다고 가정하면, 무선 VoIP 단말장치(26)는 음성통화세션의 추가 연결을 위해 제 1 키를 사용한다는 메시지를 유선 VoIP 단말장치(11)에게 송신한다(821, 823).
그리고, 유선 VoIP 단말장치(11)는 음성통화세션의 추가 연결을 위해 제 1 키를 사용하는 것을 허락하는 메시지를 회신하며(825), 인터페이스 장치(30)는 유선 VoIP 단말장치(11)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무선 VoIP 단말장치(26)를 도착지로 설정하여 송신한다(827). 이때, 인터페이스 장치(30)에서 송신된 메시지는 중계 노드의 역할을 하는 무선 VoIP 단말장치들(21, 24, 25)을 거쳐서 도착지인 무선 VoIP 단말장치(26)까지 전달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단계 825에서 전송되는 메시지는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연결하기 위해 제 1 키를 사용하겠다는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으며 다른 메시지 형태도 이용될 수 있다. 예로서, 단계 819에서 제 1 키를 선택한 후에 무선 VoIP 단말장치(26)에게 제 1 키를 선택하였다는 것을 알려주는 메시지가 이용될 수도 있다.
아울러, 단계 825에서 음성통화세션의 추가 연결을 위해 제 1 키를 사용하는 것을 허락하는 메시지가 송신된 후에 유선 VoIP 단말장치(11)의 사용자는 무선 VoIP 단말장치(26)와의 제 2 음성통화세션의 연결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무선 VoIP 단말장치(26)에게 전송하기 위한 음성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유선 VoIP 단말장치(11)는 인터페이스 장치(30)에게 음성 PTT를 요청한다(831).
여기서, 인터페이스 장치(30)는 단계 809에 의해 음성 PTT 요청을 거절하는 블록킹 모드로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음성 PTT 요청을 거절하는 응답 메시지를 유선 VoIP 단말장치(11)에게 회신한다.
한편, 단계 827에서 인터페이스 장치(30)에 의해 무선 VoIP 단말장치(26)를 향해 송신되는 메시지는 지연이 없이 무선 VoIP 단말장치(26)까지 도달할 수도 있지만,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20)가 음성 최우선 정책으로 운용되는 경우에는 중계 노드의 역할을 하는 무선 VoIP 단말장치들(21, 24, 25)을 거쳐서 도착지인 무선 VoIP 단말장치(26)까지 전달되는 중에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829). 무선 VoIP 단말장치들(21, 24, 25)은 유선 VoIP 단말장치(11)로부터 발송된 메시지만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노드들에서 전송된 메시지나 음성 데이터들을 중계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의 메시지와 음성 데이터들이 사전에 결정되어 있는 우선순위 정책에 따라 처리되며, 우선순위 정책에 포함된 음성 최우선 정책에 따라 단계 827에서 전송되는 메시지의 중계 처리 순서가 음성 데이터보다 후순위로 밀려 역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계 829의 지연 발생 시에, 도 8에서는 음성 누락이 발생할 수 있었으나,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단계 833에서 음성 PTT 요청이 거절되었기에 음성 누락이 발생하지 않는다.
유선 VoIP 단말장치(11)가 단계 825에서 회신한 메시지, 즉 음성통화세션의 추가 연결을 위해 제 1 키를 사용하는 것을 허락하는 메시지는 단계 829의 지연 후에 무선 VoIP 단말장치(26)까지 도달하며, 무선 VoIP 단말장치(26)는 수신 확인 메시지를 인터페이스 장치(30)에게 송신한다(837).
그러면, 인터페이스 장치(30)는 단계 809에 의해 진입하였던 음성 블록킹 모드를 해제하고(839), 단계 837의 수신 확인 메시지를 유선 VoIP 단말장치(11)에게 전달하며(841), 이로써 무선 VoIP 단말장치(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 사이의 제 2 음성통화세션의 연결이 완료된다(843).
도 9를 참조하여 전술한 설명에서는 단계 829에 지연이 발생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20) 구간은 인접 주파수간 잡음 및 주변 신호 간섭 등으로 인해 데이터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인터페이스 장치(30)로부터 송신된 메시지가 무선 VoIP 단말장치(26)에 도착하기 전에 손실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인터페이스 장치(30)는 단계 809의 블록킹 모드를 유지하기 때문에, 도 8과는 달리 유선 VoIP 단말장치(11)에서 전송 요청된 음성의 누락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0은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연결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때에 음성 누락이 발생하는 상황의 다른 예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여, 무선 VoIP 단말장치(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간에 제 2 음성통화세션을 개통하는 절차를 예시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무선 VoIP 단말장치(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간의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901)에서 현재 연결되어 있는 음성통화세션 이외에 별도의 음성통화세션을 통한 음성 신호의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 무선 VoIP 단말장치(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는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개통하는 과정들을 수행한다.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개통하는 과정 중에, 무선 VoIP 단말장치(26)는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연결할 때에 이용하고자 하는 제 1 키를 생성하며(903), 유선 VoIP 단말장치(11) 또한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연결할 때에 이용하고자 하는 제 2 키를 생성한다(905).
그리고, 무선 VoIP 단말장치(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장치(30)의 중계 과정을 통해 키 교환이 이루어진다. 즉, 무선 VoIP 단말장치(26)의 제 1 키가 유선 VoIP 단말장치(11)에게 전달되고(907, 911), 유선 VoIP 단말장치(11)의 제 2 키가 무선 VoIP 단말장치(26)에게 전달된다(909, 913).
다음으로, 무선 VoIP 단말장치(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에서는 각각 키를 선택하는 절차가 수행된다(915, 917).
단계 915 및 917에서 제 2 키가 선택되었다고 가정하면, 유선 VoIP 단말장치(11)는 음성통화세션의 추가 연결을 위해 제 2 키를 사용한다는 메시지를 무선 VoIP 단말장치(26)에게 송신하고(919, 921), 무선 VoIP 단말장치(26)는 음성통화세션의 추가 연결을 위해 제 2 키를 사용하는 것을 허락하는 메시지를 회신한다(923). 여기서, 단계 923의 메시지는 중계 노드의 역할을 하는 무선 VoIP 단말장치들(21, 24, 25)을 거쳐서 도착지인 인터페이스 장치(30)까지 전달되어야 한다.
그런데,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20)가 음성 최우선 정책으로 운용되는 경우에는 단계 923에서 무선 VoIP 단말장치(26)로부터 송신되는 메시지가 인터페이스 장치(30)를 향해 전송되는 중에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925). 예를 들어, 전술 네트워크는 실시간 음성 보고가 매우 중요하므로 네트워크 상에 유통되는 데이터 중 음성을 최우선 순위로 전달하는 음성 최우선 정책을 적용하여 운용된다.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20)가 전술 네트워크로 사용되는 경우라면 음성 최우선 정책으로 인하여 단계 925의 지연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20) 구간은 인접 주파수간 잡음 및 주변 신호 간섭 등으로 인해 전송 지연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단계 925와 같이 지연이 발생하거나 무선 VoIP 단말장치(26)로부터 송신된 메시지가 인터페이스 장치(30)에 도착하기 전에 손실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계 925의 지연 또는 데이터 손실 상황에서, 무선 VoIP 단말장치(26)는 단계 923에서 음성통화세션의 추가 연결을 위해 제 2 키를 사용하는 것을 허락하는 메시지를 송신한 후에 유선 VoIP 단말장치(11)와의 제 2 음성통화세션에 대한 개통 절차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도착지가 유선 VoIP 단말장치(11)인 음성 데이터를 제 2 음성통화세션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927).
이때, 단계 927의 음성 데이터는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20)의 음성 최우선 정책에 의해 지연 없이 인터페이스 장치(30)를 향해 전달될 수 있으며, 단계 923에서 전송되던 메시지와 단계 927에서 전송되던 음성 데이터가 전송 과정 중에 단계 925의 지연에 의해 역전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유선 네트워크(20)에는 아직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연결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인터페이스 장치(30)가 유선 VoIP 단말장치(11)를 향해 음성 데이터를 전달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여 음성 누락이 발생할 수 있었다(929).
도 11은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연결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때에 도 10과 같은 음성 누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과정들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11을 참조하여, 무선 VoIP 단말장치(21, 22, 23, 24, 25, 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 12, 13, 14)간의 연동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장치(30)가 무선 VoIP 단말장치(21, 22, 23, 24, 25, 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 12, 13, 14)간의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무선 VoIP 단말장치(21, 22, 23, 24, 25, 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 12, 13, 14)간의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처리할 때에 음성 누락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예를 들어, 무선 VoIP 단말장치(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간에 제 2 음성통화세션을 개통하는 절차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무선 VoIP 단말장치(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간의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1001)에서 현재 연결되어 있는 음성통화세션 이외에 별도의 음성통화세션을 통한 음성 신호의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 무선 VoIP 단말장치(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는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개통하는 과정들을 수행한다.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개통하는 과정 중에, 무선 VoIP 단말장치(26)는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연결할 때에 이용하고자 하는 제 1 키를 생성하며(1003), 유선 VoIP 단말장치(11) 또한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연결할 때에 이용하고자 하는 제 2 키를 생성한다(1005).
이후, 무선 VoIP 단말장치(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는 상호간에 키 교환을 시도한다. 무선 VoIP 단말장치(26)의 제 1 키를 인터페이스 장치(30)에게 전송하면서 유선 VoIP 단말장치(11)에게 전달하여 줄 것을 요청하며(1007), 유선 VoIP 단말장치(11)는 제 2 키를 인터페이스 장치(30)에게 전송하면서 무선 VoIP 단말장치(26)에게 전달하여 줄 것을 요청한다(1009).
여기서, 인터페이스 장치(30)는 유선 VoIP 단말장치(11)로부터 수신된 제 2 키의 사용을 거부하는 메시지를 유선 VoIP 단말장치(11)에게 회신하며(1011), 단계 1007에서 무선 VoIP 단말장치(26)로부터 전송된 제 1 키를 유선 VoIP 단말장치(11)에게 전달한다(1013).
이후, 유선 VoIP 단말장치(11)가 제 2 음성통화세션의 연결을 위해 제 2 키를 사용하겠다는 메시지를 송신하고(1015), 인터페이스 장치(30)는 단계 1015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무선 VoIP 단말장치(26)에게 전달하며(1017), 무선 VoIP 단말장치(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 사이의 제 2 음성통화세션의 연결이 완료된다(1019).
이처럼, 무선 VoIP 단말장치(26)와 유선 VoIP 단말장치(11) 사이에서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추가로 연결할 때에, 무선 VoIP 단말장치(26)에서 생성된 제 1 키를 이용하여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유선 VoIP 단말장치(11)에서 생성되는 제 2 키를 이용하여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연결할 때에 발생할 수 있었던 음성 누락이 원천적으로 차단된다.
지금까지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여,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무선 VoIP 단말장치와 유선 VoIP 단말장치 사이의 연동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장치가 통화세션을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장치 내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이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포함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도 9 및 도 11의 통화세션을 처리하는 과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장치간의 음성통화를 위한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현재 연결되어 있는 제 1 음성통화세션 이외에 별도의 제 2 음성통화세션을 개통할 수 있다.
아울러, 현재 연결되어 있는 제 1 음성통화세션 이외에 별도의 제 2 음성통화세션에 대한 연결을 시도할 때에,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 구간의 음성 최우선 정책으로 인하여 음성 데이터가 세션 설정 메시지보다 먼저 전송되어 발생할 수 있었던 음성 누락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음성 PPT 요청을 거절하는 블록킹 모드로 동작하는 방안, 유선 VoIP 단말장치에서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위해 생성한 키의 사용을 거부하는 방안 등을 통해 음성 누락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첨부된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각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각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통신 네트워크
10 : 유선 네트워크
11, 12, 13, 14 : 유선 VoIP 단말장치
20 :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
21, 22, 23, 24, 25, 26 : 무선 VoIP 단말장치
30 : 인터페이스 장치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단말장치와 제 2 단말장치간의 연동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제 1 단말장치와 상기 제 2 단말장치간의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단말장치와 상기 제 2 단말장치간의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 2 음성통화세션의 연결을 위한 제 1 키가 수신되면 상기 제 2 단말장치로부터의 음성 PTT(Push To Talk) 요청을 거절하는 블록킹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키를 상기 제 2 음성통화세션의 연결을 위해 사용하겠다는 메시지가 상기 제 2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를 상기 제 1 단말장치에게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정상 수신하였다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블록킹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음성통화세션의 연결을 위해 상기 제 2 단말장치에서 생성될 수 있는 제 2 키가 수신되면 상기 제 2 키의 사용을 거부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단말장치에게 회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 1 단말장치와 제 2 단말장치간의 연동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제 1 단말장치와 제 2 단말장치간의 제 1 음성통화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단말장치와 상기 제 2 단말장치간의 제 2 음성통화세션을 처리하는 과정들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과정들은,
    상기 제 1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 2 음성통화세션의 연결을 위한 제 1 키가 수신되면 상기 제 2 단말장치로부터의 음성 PTT(Push To Talk) 요청을 거절하는 블록킹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키를 상기 제 2 음성통화세션의 연결을 위해 사용하겠다는 메시지가 상기 제 2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를 상기 제 1 단말장치에게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정상 수신하였다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블록킹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들은, 상기 제 2 음성통화세션의 연결을 위해 상기 제 2 단말장치에서 생성될 수 있는 제 2 키가 수신되면 상기 제 2 키의 사용을 거부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단말장치에게 회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70107638A 2017-08-25 2017-08-25 통화세션 처리 방법 KR101990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638A KR101990477B1 (ko) 2017-08-25 2017-08-25 통화세션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638A KR101990477B1 (ko) 2017-08-25 2017-08-25 통화세션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996A KR20190021996A (ko) 2019-03-06
KR101990477B1 true KR101990477B1 (ko) 2019-06-18

Family

ID=65761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638A KR101990477B1 (ko) 2017-08-25 2017-08-25 통화세션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4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959B1 (ko) * 2005-08-03 2007-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피티티 시스템에서의 멀티 세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591B1 (ko) * 2004-12-08 2006-08-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단문메시지 전송확인 기능이 개선된 단문메시지관리시스템과, 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단문메시지 전송확인 방법
JP5289460B2 (ja) * 2007-11-30 2013-09-11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近距離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安全な通信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9935787B2 (en) 2013-12-26 2018-04-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unneling VoIP call control on cellular network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959B1 (ko) * 2005-08-03 2007-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피티티 시스템에서의 멀티 세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996A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5938B2 (ja) マルチメディア用通信セッションの確立方法及び装置
KR100904749B1 (ko) 시간-중요 서비스들에 대한 세션 설정
CN110519775A (zh) 会话管理方法、装置和系统
EP2632103A1 (en) Ims multimedia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terminal and ims core network
AU2004301120A2 (en) Activation of communication sess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EP2232820B1 (en) Location tagging method for packet based signalling
US7650159B2 (en) Communication system
JP2009519629A (ja) マルチメディア通信セッションを確立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070253417A1 (en) Address transl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812898B1 (ko) 통신제어서버, 통신단말 및 통신제어방법
CN103155511B (zh) 用位于nat网关之后的b2bua的连接控制
US9380437B2 (en) Managing a packet service call within mobile communications user equipment
MX2011008124A (es) Cambio de acceso para el re-encaminamiento de una conexion.
KR100928247B1 (ko) 통신 네트워크들 간의 보안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시스템
US20050135374A1 (en) Activation of ser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EP3579520B1 (en) Exchanging service capabilities between two devices supported by a network node
ES2289586T3 (es) Metodo y dispositivo para servicio pulsar para hablar.
KR101990477B1 (ko) 통화세션 처리 방법
KR102003694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세션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100121350A (ko) 복수 pcrf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218786A (ja) 電話システムおよび着信拒否解除方法
EP1766858B1 (en) Token based privacy in a push-to-talk over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JP2007208722A (ja) Dtm通信装置及び方法
US9397843B2 (en) Method for configuring billing processes in network elements
WO2020025113A1 (en) Media handling for interworking of mission critical push to talk and land mobile rad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