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776B1 - Moving carrier for pet - Google Patents

Moving carrier for p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776B1
KR101989776B1 KR1020170178205A KR20170178205A KR101989776B1 KR 101989776 B1 KR101989776 B1 KR 101989776B1 KR 1020170178205 A KR1020170178205 A KR 1020170178205A KR 20170178205 A KR20170178205 A KR 20170178205A KR 101989776 B1 KR101989776 B1 KR 101989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oupling
housing
carrier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2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화용
Original Assignee
신화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화용 filed Critical 신화용
Priority to KR1020170178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77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7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36Transport 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for animals; Fittings therefor
    • A01K1/029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especially adapted for carrying the animal on the body of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36Transport 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for animals; Fitting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oving carrier for pets.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detachably couple an enclosure in which pets are accommodated to a carrier which is capable of being folded in a form of a stroller. Accordingly, during long-distance movement in outdoors or indoors, the enclosure is combined with the carrier to move with pets, and during indoor stationary state or moving by means of transport, the carrier and the enclosure are separated so that the carrier is stored in a folded state and the enclosure accommodating pets can be placed on the ground or a storage device. Therefore, the moving carrier protects pets from injury or damage during long and short distance movement and is capable of comfortable and ergonomically correct pet transportation during long and short distance movement.

Description

애완동물용 이동 캐리어{Moving carrier for pet}{Moving carrier for pet}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이동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아지나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함체를 유모차 형태의 캐리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용 이동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ing carrier for a p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ving carrier for a pet which can detachably attach a housing, in which a pet such as a dog or a cat is housed, .

일반적으로, 고령화와 저출산, 독신 가구 증가 등의 다양한 사회적 변화와 더불어 애완동물을 키우는 가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In general, households that raise pets are increasing, along with various social changes such as aging, low fertility, and increasing single households.

애완동물은 그것을 기르는 주인에게 정서적인 위안과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등 상호 교감의 동반자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스트레스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순기능의 역할을 해주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최근에는 애완동물(pet)이라는 용어를 넘어서 반려동물(companion animal)이라는 용어가 자연스러워지고 있을 정도이며, 애완동물도 하나의 가족 구성원으로까지 인식되는 등 점차 그 중요성과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The pet has a partnership relationship with the owner who gives it emotional comfort and psychological stability, and it plays a role of innocence to the stressed modern people. In recent years, the term "companion animal" has become more natural than the term "pet," and the importance and status of pets are becoming increasingly recognized as a family member. .

애완동물이 가족 구성원으로서 자리잡게 되면서 애완동물을 건강하게 키우기 위한 요구에 부응하여 이들을 보호하고 이들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애완동물용 하우스, 가방, 쿠션, 매트 등 다양한 보조기구들이 출시되고 있고, 애완동물과 함께 나들이를 나가는 경우가 빈번해짐에 따라 애완동물용 캐리어들도 점차 휴대가 편리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As pets become family members, various aids such as pet houses, bags, cushions, and mats have been released to meet and protect the needs of their pets in a healthy way, As frequent outlets go out with animals, carriers for pets are being developed in a form that is more convenient to carry.

그러나, 종래에 제공되는 애완동물용 가방은 애완동물을 수용하고 운반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를 사용자가 장시간 들고 이동하기는 상당히 어렵다.However, the conventional pet bag has a simple structure for accommodating and transporting pets, and it is extremely difficult for the user to carry it for a long time.

한편, 종래에는 애완동물용 캐리어가 별도로 제공되고 있지만, 이러한 캐리어는 실외에서의 이동 편리성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는 반면, 실내에서의 사용은 극히 제한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ly, a pet carrier is separately provided. However, such a carrier has an advantage of providing the convenience of moving outdoors, while the indoor use is extremely limited.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3800호(공개일 2016.11.02)Publish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6-0003800 (Publication date 2016.11.02)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1906호(공개일 2016.09.27)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6-0111906 (Publication date 2016.09.27)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1506호(공개일 2017.10.12)Publish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2017-0111506 (Publication date October 10, 2017)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5885호(등록일 2004.03.12)Registration Practical Utility Model No. 20-0345885 (Registered on March 12, 200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함체를 유모차 형태로서 절첩이 가능한 캐리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구성함으로써, 실외 또는 실내에서의 장거리 이동시에는 함체를 캐리어에 결합시켜 애완동물과 함께 이동하고, 실내에서의 정지 상태나 운송수단에 의한 이동시에는 캐리어와 함체를 분리시켜 캐리어는 절첩 보관하고, 애완동물이 수용된 함체를 지면이나 수납장치에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용 이동 캐리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t least partially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 or disadvantages and to provide at least the advantages described below. And the carrier is separated from the carrier when the vehicle is stopped in the indoor state or when the vehicle is moved by the means of transportation so that the carrier is folded and stored so that the enclosure containing the pet can be placed on the ground or the storage devic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arrier for a pet.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가방이 결합되는 이동형 캐리어는, 절첩 보관이 가능하고 바퀴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유모차 형상의 구조물로서, 전,후단에 제 1,2 결합봉이 각각 형성되는 이동형 캐리어; 상기 제 1,2 결합봉에 끼움 결합되는 캐리어 결합부와 후술하는 함체와의 결합을 위한 함체 결합부가 저면측 전,후단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부재에 부착시 잠금부에 잠금 결합되며,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상부 개방형의 함체;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A portable carrier to which the bag for a pet is coup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troller-like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and stored by a wheel,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engaging rods carrier; A fixing member having a carrier engaging portion fit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rods and an engaging portion engaged with a housing body to be described later, respectively; And an upper openable hous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ed member, the upper openable housing being locked to the locking portion when attached to the fixed member, the pet being accommodated in the housing; .

또한, 상기 캐리어 결합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저면 전단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형 캐리어의 전단에 형성되는 제 1 결합봉에 끼움 결합되는 제 1 결합편; 및, 상기 고정부재의 저면 후단에서 양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형 캐리어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 2 결합봉에 걸침되는 제 2 결합편;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The carrier coupling part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art protruding from a front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fitted into a first coupling rod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movable carrier; And a second engaging piece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the second engaging piece being engaged with a second engaging rod formed at a rear end of the movable carrier;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제 1 결합편은 서로 마주하는 ㄱ자형을 이루는 한 쌍의 구조물인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engagement piece is a pair of a pair of structures facing each other.

또한, 상기 제 1 결합편은 ㄱ자형을 이루는 단수의 구조물인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engagement piece is a single structure having a L-shaped configuration.

또한, 상기 제 2 결합편은 좌우측 양단에 돌출 형성되는 리브 구조물로서, 상기 리브 구조물의 끝단에는 C자형을 이루는 걸침홈이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engagement piece is a rib structure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left and right sides, and a C-shaped hook groove is formed at an end of the rib structure.

또한, 상기 함체 결합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평면 전단에 돌출되고, 상기 함체와의 결합시 상기 함체의 저면에서 평면 방향으로 인출되는 한 쌍의 결합봉; 및, 상기 고정부재의 평면 후단에 형성되는 걸림홀;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The coupling unit may include a pair of coupling rods protruding from a plane front end of the fixing member and drawn out in a plane direction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casing when the casing is coupled with the casing; And a locking hole formed at a plane rear end of the fixing member;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결합봉의 끝단에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이다.Further, a separation preventing edg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rod.

또한, 상기 함체의 저면 각 모서리부위에는 다리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함체의 전단에는 상기 결합봉에 대응하는 한 쌍의 결합홀을 형성하며, 상기 함체의 저면 후단에는 상기 걸림홀에 걸림되는 걸림편을 형성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함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회전형 레버부; 및, 상기 함체의 평면상에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홀을 관통한 상기 결합봉을 가압하여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함체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레버부 회전시에는 상기 결합봉으로부터 접촉이 해제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함체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작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A pair of coupling holes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bars ar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and a pair of coupling holes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bars are formed at a rear end of the bottom of the housing. Wherein the lock portion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coupling member which is formed on a plane of the housing and presses the coupling rod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hole to prevent the fixing member and the housing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n operating portion enabling separation of the member and the housing; .

또한, 상기 레버부에는 한 쌍의 작동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pair of operating protrusions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ever portion.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레버부와 축부 및 제 1 고정돌기로 결합되는 회전몸체; 상기 회전몸체에 올려져 상기 레버부의 작동돌기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결합봉에 접촉되어 상기 결합봉을 항상 가압하되, 상기 레버부의 회전시 상기 작동돌기에 의해 상기 결합봉으로부터 접촉에 따른 가압이 해제되도록 직선이동하는 작동로드; 및, 상기 작동로드와 상기 함체의 평면상에 양단이 고정되고, 상기 작동로드가 항상 상기 결합봉을 가압하도록 상기 작동로드를 잡아당기는 가압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Further, the actuating part may include: a rotating body coupled to the lever part, the shaft part, and the first fixing protrusion; The lever is supported by the operating protrusion of the lever portio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engaging rod to press the engaging rod at all times so that the pressing by the engaging rod from the engaging rod is released by the actuating projection when the lever portion is rotated A linearly moving working rod; And a pressure spring fixed at both ends on the operating rod and the plane of the housing and pulling the operating rod so that the operating rod always presses the connecting rod;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작동로드는, 상기 작동돌기에 의해 직선이동하며, 상기 가압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 2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제 1 로드; 상기 제 1 로드의 양단에 형성되고, 끝단에는 상기 결합봉을 가압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제 2 로드;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 2 로드는 상기 함체의 평면상에 체결부재로 체결되기 위한 홀을 형성하되, 상기 홀은 상기 체결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 2 로드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장홀로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operation rod may include a first rod, which is linearly moved by the actuating projection, and in which a second fixing protrusion for fixing one end of the pressing spring protrudes; A second rod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rod and having a groove formed at an end thereof for pressing the rod; And the second rod includes a hole for fastening with a fastening member on a plane of the housing, the hole being a long hole for guidi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second rod about the fastening member .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함체의 내측 평면상에서 커버부에 의해 덮혀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2 로드에는 상기 커버부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operating portion is configured to be covered by the cover por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second rod is formed with a guide projection protruding to guide the engagement of the cover por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함체를 유모차 형태로서 절첩이 가능한 캐리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실외 또는 실내에서의 장거리 이동시에는 함체를 캐리어에 결합시켜 애완동물과 함께 이동하고, 실내에서의 정지 상태나 운송수단에 의한 이동시에는 캐리어와 함체를 분리시켜 캐리어는 절첩 보관하고, 애완동물이 수용된 함체를 지면이나 수납장치에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하는 등 장,단거리 이동시 상해 또는 손상으로부터 애완동물을 보호하고, 장,단거리 이동시 향상된 편안함과 인체공학적으로 올바른 애완동물 운반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housing in which a pet is housed is detachably coupled to a foldable carrier as a stroller. When the housing is moved over a long distance from the room or outdoors, the housing is moved to the carrier and moved together with the pet , The carrier and the housing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vehicle is stopped in the room or when the vehicle is moved by means of transportation, and the carrier is folded and stored so that the housing containing the pet can be placed on the ground or the storage device. You can expect to protect your pets, improve comfort during short and long travel, and deliver ergonomically correct pet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애완동물용 이동 캐리어에 대한 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애완동물용 이동 캐리어에 대한 구조를 보인 측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동형 캐리어에 고정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고정부재와 함체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고정부재와 함체의 결합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잠금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잠금부의 잠금 및 해제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a moving carrier for a p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ving carrier for a p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fixing member is coupled to a movable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member and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y of a fixing member and an enclo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lock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the locked and unlocked states of the lock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 and the like, specify that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 / or plan views, which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necessary forms. For example, the area shown at right angles may be rounded or may have a shape with a certain curvature. Thus,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have schematic attributes, and the shapes of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specific forms of regions of the apparatu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ccordingly, althoug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not mentioned or described in the drawings, they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Further, even if the reference numerals are not shown, they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애완동물용 이동 캐리어에 대한 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애완동물용 이동 캐리어에 대한 구조를 보인 측면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동형 캐리어에 고정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확대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a moving carrier for a p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for a moving carrier for a p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xing member is engaged with a movable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고정부재와 함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고정부재와 함체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잠금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잠금부의 잠금 및 해제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member and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member and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n unlocked state and an unlocked state of the lock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이동 캐리어는, 이동형 캐리어(10), 고정부재(20),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상단 개구형의 함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1 to 7, a moving carrier for a p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able carrier 10, a fixing member 20, an upper opening-shaped housing 30 in which a pet is housed, .

상기 이동형 캐리어(10)는 절첩 보관이 가능하고 바퀴(11)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유모차 형상의 구조물로서, 전,후단에는 각각 제 1,2 결합봉(12a)(12b)을 형성하여둔 것이지만, 상기 결합봉은 추가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The movable carrier 10 is a stroller-like structure capable of being folded and stored by the wheel 11,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12a and 12b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ends, respectively. The connecting rod can be further configured.

상기 고정부재(20)는 상기 이동형 캐리어(10)와의 결합을 위한 캐리어 결합부(21), 그리고 상기 함체(30)와의 결합을 위한 함체 결합부(22)가 형성되는 플레이트형 구조물인 것이다.The fixing member 20 is a plate type structure in which a carrier coupling portion 21 for coupling with the movable carrier 10 and a coupling coupling portion 22 for coupling with the casing 30 are formed.

이때, 상기 캐리어 결합부(21)는 제 1,2 결합편(211,211')(212)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결합편(211,211')은 상기 고정부재(20)의 저면 전단에 돌출 형성되는 서로 마주하는 ㄱ자형을 이루는 한 쌍의 구조물 또는 단수의 구조물로서, 상기 이동형 캐리어(10)의 전단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결합봉(12a)에 끼움 결합되는 것이다.The carrier coupling portion 21 includes first and second coupling pieces 211 and 211 'and a first coupling piece 211 and 211' protruding from a front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20 A pair of structures or a plurality of structures constituting a pair of facing each other and being fitted to the first coupling rods 12a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mobile carrier 10. [

상기 제 2 결합편(212)은 상기 고정부재(20)의 저면 후단에서 양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리브형 구조물로서 상기 이동형 캐리어(10)의 후단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결합봉(12b)에 걸침 결합이 이루어지며, 그 끝단에는 C자형을 이루는 걸침홈(212a)을 형성하여둔 것이다.The second coupling piece 212 is a rib-like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20 at both sides thereof. The second coupling piece 212 is engaged with the second coupling rod 12b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movable carrier 10, And a C-shaped groove 212a is formed at an end thereof.

상기 함체 결합부(22)는 결합봉(221)과 걸림홀(222)이 포함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봉(221)은 상기 고정부재(20)의 평면 전단에 돌출되고 상기 함체(30)와의 결합시 상기 함체(30)의 저면에서 평면 방향으로 인출되는 한 쌍의 구조물로서, 상기 결합봉(221)의 끝단에는 이탈방지턱(221a)을 형성하여둔 것이다.The coupling joint 22 includes a coupling rod 221 and a coupling hole 222. The coupling rod 221 protrudes from the plane front end of the coupling member 20 and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member 30 A pair of structures that are drawn out in a planar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30, and a release preventing tuck 221a is formed at an end of the connecting rod 221. [

상기 걸림홀(222)은 상기 고정부재(20)의 평면 후단에 형성하여둔 것이다.The locking hole 222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ixing member 20.

상기 함체(30)는 상기 고정부재(20)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부재(20)에 부착시 잠금부(31)에 잠금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housing 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20 and is configured to lock the locking portion 31 when the housing 30 is attached to the fixing member 20.

여기서, 상기 함체(30)의 저면 각 모서리부위에는 다리(32)가 돌출 형성됨은 물론, 전단에는 상기 결합봉(221)에 대응하는 한 쌍의 결합홀(33)이 형성되고, 저면 후단에는 상기 걸림홀(222)에 걸림되는 걸림편(34)을 형성하여둔 것이다.A pair of coupling holes 33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bars 221 are formed at the front ends of the legs 32 at the corner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30, And a retaining piece 34 that is retained in the retaining hole 222 is formed.

이때, 상기 잠금부(31)는 회전형의 레버부(311)와 작동부(312)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레버부(311)는 상기 함체(30)의 저면에 형성하면서 한 쌍의 작동돌기(311a)를 돌출 형성하여둔 것이다.The locking portion 31 includes a rotatable lever portion 311 and an actuating portion 312. The lever portion 311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30, (311a).

상기 작동부(312)는 상기 함체(30)의 평면상에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홀(33)을 관통한 상기 결합봉(221)을 가압하여 상기 고정부재(20)와 상기 함체(3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레버부(311) 회전시에는 상기 결합봉(221)으로부터 접촉이 해제되어 상기 고정부재(20)와 상기 함체(30)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The operation unit 312 is formed on the plane of the housing 30 and presses the coupling rod 221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hole 33 to separate the fixing member 20 and the housing 30 from each other And when the lever portion 311 is rotated, the contact is released from the coupling rod 221 to enable separation between the fixing member 20 and the housing 30.

이때, 상기 작동부(312)는 상기 함체(30)의 내측 평면상에서 커버부(313)에 의해 덮혀지도록 구성하여둔 것으로, 회전몸체(3121), 작동로드(3122), 가압스프링(3123)을 포함하여 구성하게 되는데, 상기 회전몸체(3121)는 상기 레버부(311)와 축부(3121a) 및 제 1 고정돌기(3121b)로 결합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actuating part 312 is configured to be covered by the cover part 313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ousing 30 and includes a rotating body 3121, an operating rod 3122, a pressing spring 3123, The rotary body 3121 is formed by combining the lever portion 311 with the shaft portion 3121a and the first fixing protrusion 3121b.

즉, 상기 회전몸체(3121)는 상기 레버부(311)와 함께 회전 가능한 결합 구조를 이룬 것이다.That is, the rotary body 3121 has a coupling structure rotatable together with the lever portion 311.

상기 작동로드(3122)는 상기 회전몸체(3121)에 올려져 상기 레버부(311)의 작동돌기(311a)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결합봉(221)에 접촉되어 상기 결합봉(221)을 항상 가압하는 것이지만, 상기 레버부(311)의 회전시에는 상기 작동돌기(311a)에 의해 상기 결합봉(221)으로부터 접촉에 따른 가압이 해제되도록 직선이동하는 것으로, 제 1,2 로드(L1)(L2)로 이루어진 것이다.The operation rod 3122 is supported by the operation protrusion 311a of the lever portion 311 an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upling rod 221 so that the coupling rod 221 is always pressed When the lever portion 311 is rotated, the operating rod 311a linearly moves so as to release the pressing due to the contact from the coupling rod 221. The first and second rods L1 and L2 ).

상기 제 1 로드(L1)는 상기 가압스프링(3123)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 2 고정돌기(3122a)를 돌출 형성하여둔 것으로, 상기 작동돌기(311a)에 의해 직선이동이 가능한 것이다.The first rod L1 is formed by projecting a second fixing protrusion 3122a to which one end of the pressing spring 3123 is fixed. The first rod L1 is linearly movable by the actuating protrusion 311a.

상기 제 2 로드(L2)는 상기 제 1 로드(L1)의 양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끝단에는 상기 결합봉(221)을 가압하기 위한 홈(3122b)을 형성하여둔 것이며, 상기 함체(30)의 평면상에 체결부재(100)로 체결되기 위한 홀(3122c)이 형성되지만, 상기 홀(3122c)은 상기 체결부재(100)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 2 로드(L2)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장홀로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second rod L2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rod L1 and a groove 3122b for pressing the rod 221 is formed at an end of the rod L2. The hole 3122c is formed on the plane to guide the linear movement of the second rod L2 about the fastening member 100 It is composed of a hole.

여기서, 상기 제 2 로드(L2)에는 상기 커버부(313)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3122d)를 돌출 형성하여둔 것이다.Here, the second rod L2 is formed with a guide protrusion 3122d for guiding the engagement of the cover part 313.

상기 가압스프링(3123)은 상기 제 1 로드(L1)의 제 2 고정돌기(3122a)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함체(30)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작동로드(3122)가 항상 상기 결합봉(221)을 가압하도록 상기 작동로드(3122)에 포함되는 상기 제 1 로드(L1)를 잡아당기는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다.The pressing spring 3123 is fixed at one end to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3122a of the first rod L1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housing 30, And has an elastic force to pull the first rod (L1) included in the operating rod (3122) so as to press the first rod (221).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이동형 캐리어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우선 조립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movable carrier for a p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절첩 보관이 가능한 이동형 캐리어(10)의 전단측에 형성되는 제 1 결합봉(12a)에 고정부재(20)의 캐리어 결합부(21)에 포함되는 전단측 제 1 결합편(211 및/또는 211')을 끼움 결합시키는 한편, 상기 이동형 캐리어(10)의 후단측에 형성되는 제 2 결합봉(12b)에 고정부재(20)의 캐리어 결합부(21)에 포함되는 후단측 제 2 결합편(212)을 결합시킨다.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irst engaging rod 12a form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foldable mobile carrier 10, the front end side first engaging portion 12a, which is included in the carrier engaging portion 21 of the fixing member 20, (21) of the fixing member (20) to the second engaging rod (12b) form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movable carrier (10) And the rear-end second coupling piece 212 is engaged.

그러면, 상기 제 1 결합봉(12a)은 한 쌍의 구조물을 이루는 상기 제 1 결합편(21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제 2 결합봉(12b)에는 상기 제 2 결합편(212)에 형성되는 걸침홈(212a)이 걸쳐지면서 그 분리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The first joining rods 12a may be maintained in a rigid state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joining pieces 211 constituting a pair of structures, The hooking groove 212a formed on the flap 21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and separated.

즉, 상기 걸침홈(212a)은 C자형의 구조물로서, 상기 제 2 결합봉(12b)을 반 이상 감싸면서 상기 제 2 결합봉(12b)에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That is, the latching groove 212a is a C-shaped structure, and the latching groove 212a is engaged and fixed to the second coupling rod 12b while covering the second coupling rod 12b.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재(20)의 상면에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함체(30)를 올려놓으면서, 상기 고정부재(20)의 함체 결합부(22)에 포함되는 결합봉(221)이 상기 함체(30)의 결합홀(33)을 관통하도록 한다.Next, a coupling rod 221 included in the coupling coupling portion 22 of the fixing member 2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body 22 while the coupling body 30 containing the pet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20 30 through the coupling holes 33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32, 33.

이후, 상기 함체(30)의 저면 후단측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편(34)을 상기 고정부재(20)의 후단측에 형성되는 걸림홀(222)에 걸림되도록 결합시키면, 상기 고정부재(20)와 상기 함체(30)의 1차적인 결합이 완료된다.When the engaging piece 34 protru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30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hole 222 form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fixing member 20, And the housing 30 is completed.

이때, 상기 함체(30)에 형성되는 잠금부(31)의 작동부(312)에 포함되는 작동로드(3122)는 가압스프링(3123)의 가압력에 의해 당김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결합봉(221)에 접촉하여 상기 결합봉(221)을 가압하는 잠금이 이루어진다.The operating rod 3122 included in the operating portion 312 of the locking portion 31 formed on the housing 30 is pulled by the urging force of the pressure spring 3123, Thereby locking the coupling rod 221.

즉, 상기 작동부(312)에 포함되는 작동로드(3122)의 제 1 로드(L1)에는 상기 가압스프링(3123)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가압스프링(3123)의 타단은 상기 함체(3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압스프링(3123)의 압축에 따른 가압력에 따라 상기 제 1 로드(L1)는 상기 잠금부(31)에 포함되는 레버부(311)의 작동돌기(311a)를 밀면서 상기 함체(30)의 후단 방향으로 당겨지는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rod L1 of the actuating rod 3122 included in the actuating part 312 is fixed to one end of the pressure spring 3123, and the other end of the pressure spring 3123 is fixed to the end of the armature 30, The first rod L1 pushes the operating protrusion 311a of the lever portion 311 included in the lock portion 31 in accordance with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spring 3123, A linear movement is performed in which it is pulled in the rearward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30.

여기서, 상기 제 1 로드(L1)의 양단에 형성되는 제 2 로드(L2)는 상기 제 1 로드(L1)의 직선이동시 연동하는 것이며, 이는 장홀인 홀(3122c)에 체결되는 체결부재(100)를 기준으로 상기 함체(30)의 후단측 방향으로 직선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e second rod L2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rod L1 interlocks with the first rod L1 when the first rod L1 moves linearly. The second rod L2 is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100 fastened to the long hole 3122c. The linear movement can be per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end side of the housing 30. [

그러면, 상기 제 2 로드(L2)의 끝단에 형성되는 홈(3122b)이 상기 결합봉(221)에 접촉하면서, 상기 결합봉(221)을 가압함은 물론, 상기 결합봉(221)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턱(221a)에 의해 상기 제 2 로드(L2)의 분리 이탈이 방지되므로, 상기 결합봉(221)은 상기 함체(30)의 저면에서 분리 이탈되지 않고 견고한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이에따라 상기 함체(30)는 상기 고정부재(20)에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 groove 3122b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rod L2 contacts the coupling rod 221 and presses the coupling rod 221 as well as the coupling rod 221 The second rod L2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and separated from the second rod L2 by the release restricting tails 221a so that the coupling rod 221 is not detach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30 and is maintained in a firmly locked state, (30) can maintain a firm engagement with the fixing member (20).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동형 캐리어(10)에 고정부재(20)를 결합시키고, 상기 고정부재(20)에 함체(30)를 결합시키면, 사용자는 상기 함체(30)에 애완동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이동형 캐리어(10)를 통해 산책 등을 편안하게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holding member 20 is coupled to the movable carrier 10 and the housing 30 is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20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walk through the mobile carrier 10.

여기서, 상기 함체(30)는 상부가 개방된 바구니 형태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상부 개방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미도시)를 더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Here, the enclosure 30 is described as a basket having an open top,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lid (not shown) to cover the upper opening.

한편, 상기와 같은 결합 구조를 이루는 이동형 캐리어(10)에서 함체(30)와 고정부재(20)에 대한 분리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우선 사용자가 함체(30)의 저면에 형성되는 잠금부(31)의 레버부(31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The locking member 3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3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housing 30 and the fixing member 20 in the movable carrier 10 having the above- Thereby rotating the lever portion 311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그러면, 상기 레버부(311)와 함께 작동부(312)에 포함되는 회전몸체(3121)의 회전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레버부(311)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구조물인 작동돌기(311a)가 상기 제 1 로드(L1)를 상기 가압스프링(3123)의 반대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게 된다.The rotary body 3121 included in the actuating part 312 is simultaneously rotated together with the lever part 311. At this time, the actuating protrusion 311a, which is a pair of structures protruding from the lever part 311, Thereby linearly moving the first rod L1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pressing spring 3123. [

이때, 상기 제 1 로드(L1)의 양단에 형성되는 제 2 로드(L2) 또한 상기 제 1 로드(L1)와 함께 직선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 2 로드(L2)의 끝단에 형성되는 홈(3122b)은 상기 결합봉(221)으로부터 접촉이 해제되며, 이에따라 상기 함체(30)의 전단측에서 상기 결합봉(221)은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rod (L2)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rod (L1) is also linearly moved together with the first rod (L1), and the groove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rod 3122b are disengaged from the coupling rod 221, so that the coupling rod 221 can be separated from the front end side of the housing 30.

이후, 상기 함체(30)의 저면 후단측에 형성되는 걸림편(34)을 상기 고정부재(20)의 후단측에 형성되는 걸림홀(222)로부터 분리시키면, 상기 함체(30)는 상기 고정부재(20)로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engaging piece 34 formed at the rear end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30 is separated from the engaging hole 222 formed at the rear end side of the fixing member 20, (20).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재(20)의 캐리어 결합부(21)와 함체 결합부(22)를 이동형 캐리어(10)의 제 1,2 결합봉(12a)(12b)로부터 분리시키면, 상기 이동형 캐리어(10)는 절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Next, when the carrier coupling portion 21 and the coupling coupling portion 22 of the fixing member 20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rods 12a and 12b of the movable carrier 10, 10) can be folded.

한편, 상기와 같이 이동형 캐리어(10)로부터 상기 고정부재(20)는 물론, 상기 함체(30)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함체(30)의 저면에 형성되는 다리(32)를 통해 상기 함체(30)를 지면에 올려 놓거나, 또는 상기 함체(30)의 저면에 상기 고정부재(20)를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20)가 지면에 올려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카페와 같은 실내장소 또는 운송수단(예; 지하철 등)에서 상기 함체(30)에 애완동물을 이동없이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in which the housing 30 is detached from the movable carrier 10 as well as the fixing member 20, the housing 30 (see FIG. 1) 30 can be placed on the ground or the fixing member 20 can be raised on the ground in a state where the fixing member 20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30 as described above, (Such as a subway or the like) to be able to stably receive the pet without moving on the enclosure 30.

즉, 상기 이동형 캐리어(10)에 고정부재(20)와 함체(3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카페와 같은 실내 장소 또는 운송수단(예; 지하철 등)에 상기 이동형 캐리어(10)가 진입하면, 상기 이동형 캐리어(10)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질 수 밖에 없는 관계로, 상기 이동형 캐리어(10)로부터 상기 고정부재(20)와 상기 함체(30)를 분리시킨 후, 상기 이동형 캐리어(10)는 절첩시켜 보관하는 한편, 상기 함체(30)만을 사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That is, when the movable carrier 10 enters the indoor space such as a cafe or a transportation means (e.g., a subway or the like) while the fixed member 20 and the housing 30 are coupled to the movable carrier 10, Since the space occupied by the movable carrier 10 must be increased, the movable carrier 10 is folded after separating the holding member 20 and the housing 30 from the movable carrier 10 So that only the enclosure 30 can be us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이동 캐리어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이동형 캐리어 11; 바퀴
12a; 제 1 결합봉 12b; 제 2 결합봉
20; 고정부재 21; 캐리어 결합부
211,211'; 제 1 결합편 212; 제 2 결합편
212a; 걸침홈 22; 함체 결합부
221; 결합봉 221a; 이탈방지턱
222; 걸림홀 30; 함체
31; 잠금부 311; 레버부
311a; 작동돌기 312; 작동부
3121; 회전몸체 3121a; 축부
3121b; 제 1 고정돌기 3122; 작동로드
L1; 제 1 로드 L2; 제 2 로드
3122a; 제 2 고정돌기 3122b; 홈
3122c; 홀 3122d; 가이드돌기
3123; 가압스프링 313; 커버부
32; 다리 33; 결합홀
34; 걸림편 100; 체결부재
10; A movable carrier 11; wheel
12a; A first connecting rod 12b; The second coupling rod
20; A fixing member 21; The carrier-
211, 211 '; A first coupling piece 212; The second engagement piece
212a; A hooking groove 22; The housing coupling portion
221; A coupling rod 221a; Release bump
222; A latching hole 30; Enclosure
31; A locking portion 311; Lever portion
311a; Operating protrusion 312; Operating part
3121; A rotating body 3121a; Shaft
3121b; A first fixing protrusion 3122; Operating load
L1; A first load L2; The second load
3122a; A second fixing protrusion 3122b; home
3122c; Holes 3122d; Guide projection
3123; A pressing spring 313; The cover portion
32; Leg 33; Coupling hole
34; A locking piece 100; The fastening member

Claims (12)

절첩 보관이 가능하고 바퀴에 의해 이동 가능한 유모차 형상의 구조물로서, 전,후단에 제 1,2 결합봉이 각각 형성되는 이동형 캐리어; 상기 제 1,2 결합봉에 끼움 결합되는 캐리어 결합부와 후술하는 함체와의 결합을 위해 한 쌍의 결합봉과 걸림홀이 포함되는 함체 결합부가 저면측 전,후단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부재에 부착시 잠금부에 잠금 결합되며,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상부 개방형의 함체; 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결합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저면 전단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형 캐리어의 전단에 형성되는 제 1 결합봉에 끼움 결합되는 제 1 결합편; 및, 상기 고정부재의 저면 후단에서 양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형 캐리어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 2 결합봉에 걸침되는 제 2 결합편; 을 포함하며,
상기 함체의 저면 각 모서리부위에는 다리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함체의 전단에는 상기 결합봉에 대응하는 한 쌍의 결합홀을 형성하며, 상기 함체의 저면 후단에는 상기 걸림홀에 걸림되는 걸림편을 형성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함체 저면에 형성되는 회전형 레버부; 및, 상기 함체의 평면상에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홀을 관통한 결합봉을 가압하여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함체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레버부 회전시에는 상기 결합봉으로부터 접촉이 해제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함체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작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가방이 결합되는 이동형 캐리어.
1. A stroller-like structure capable of being folded and stored by a wheel, comprising: a movable carrier having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respectively formed at front and rear ends thereof; A fixing member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ttom surface, respectively,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includes a pair of coupling rods and a coupling hole for coupling the carrier coupling portion to be f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rods and a housing body to be described later; And an upper openable hous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ed member, the upper openable housing being locked to the locking portion when attached to the fixed member, the pet being accommodated in the housing; Lt; / RTI >
Wherein the carrier coupling portion is protruded from a front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is fitted to the first coupling rod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movable carrier; And a second engaging piece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the second engaging piece being engaged with a second engaging rod formed at a rear end of the movable carrier; / RTI >
A leg is protruded at each corn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 pair of coupling holes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rod ar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and a locking piece is formed at a rear end of the bottom of the housing to engage with the locking hole and,
Wherein the locking portion comprises: a rotatable lever portion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coupling member formed on the plane of the housing to press the coupling rod penetrating the coupling hole so that the fixing member and the housing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when the lever portion is rotated, the contact is released from the coupling rod, And an operation portion enabling separation of the enclosure; Wherein the bag is attached to the bag.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편은 서로 마주하는 ㄱ자형을 이루는 한 쌍의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가방이 결합되는 이동형 캐리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ngaging piece is a pair of a pair of a pair of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ieces facing each oth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편은 좌우측 양단에 돌출 형성되는 리브 구조물로서, 상기 리브 구조물의 끝단에는 C자형을 이루는 걸침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가방이 결합되는 이동형 캐리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engagement piece is formed as a rib structure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left and right sides, and a C-shaped hook groove is formed at an end of the rib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에는 한 쌍의 작동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가방이 결합되는 이동형 캐리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air of operating protrusions are protruded from the lever por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레버부와 축부 및 제 1 고정돌기로 결합되는 회전몸체;
상기 회전몸체에 올려져 상기 레버부의 작동돌기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결합봉에 접촉되어 상기 결합봉을 항상 가압하되, 상기 레버부의 회전시 상기 작동돌기에 의해 상기 결합봉으로부터 접촉에 따른 가압이 해제되도록 직선이동하는 작동로드; 및,
상기 작동로드와 상기 함체의 평면상에 양단이 고정되고, 상기 작동로드가 항상 상기 결합봉을 가압하도록 상기 작동로드를 잡아당기는 가압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가방이 결합되는 이동형 캐리어.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 rotating body coupled to the lever portion, the shaft portion, and the first fixing protrusion;
The lever is supported by the operating protrusion of the lever portio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engaging rod to press the engaging rod at all times so that the pressing by the engaging rod from the engaging rod is released by the actuating projection when the lever portion is rotated A linearly moving working rod; And
A pressing spring fixed at both ends on the operating rod and the plane of the housing and pulling the operating rod so that the operating rod always presses the connecting rod; Wherein the bag is attached to the bag.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는,
상기 작동돌기에 의해 직선이동하며, 상기 가압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 2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제 1 로드;
상기 제 1 로드의 양단에 형성되고, 끝단에는 상기 결합봉을 가압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제 2 로드;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 2 로드는 상기 함체의 평면상에 체결부재로 체결되기 위한 홀을 형성하되, 상기 홀은 상기 체결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 2 로드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장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가방이 결합되는 이동형 캐리어.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operating rod
A first rod linearly moved by the actuating projection and having a second fixing protrusion protruded to fix one end of the pressure spring;
A second rod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rod and having a groove formed at an end thereof for pressing the rod; And,
Wherein the second rod is formed with a hole for fastening with a fastening member on a plane of the housing and the hole is formed as a long hole for guidi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second rod about the fastening member Portable carrier with pet bag combine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함체의 내측 평면상에서 커버부에 의해 덮혀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2 로드에는 상기 커버부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가방이 결합되는 이동형 캐리어.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actuating part is configured to be covered by the cover part on the inner plane of the housing, and a guide protrusion for guiding the engagement of the cover part is protruded from the second rod.
KR1020170178205A 2017-12-22 2017-12-22 Moving carrier for pet KR1019897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205A KR101989776B1 (en) 2017-12-22 2017-12-22 Moving carrier for p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205A KR101989776B1 (en) 2017-12-22 2017-12-22 Moving carrier for p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776B1 true KR101989776B1 (en) 2019-06-17

Family

ID=67064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205A KR101989776B1 (en) 2017-12-22 2017-12-22 Moving carrier for p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77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091B1 (en) 2020-06-10 2021-09-02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Pet stroller with improved ease of use
KR20220151923A (en) * 2021-05-07 2022-11-15 신화용 Car Seat for Pet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885Y1 (en) 2003-12-31 2004-03-25 이종수 A pet carriage
KR101091428B1 (en) * 2010-08-24 2011-12-07 이정우 Multi-function stroller
US20130277931A1 (en) * 2012-04-20 2013-10-24 Zheng-Wen Guo Stroller
KR20160111906A (en) 2014-01-23 2016-09-27 톰 스티븐슨 Pet Carrier With Geometric-Shaped Porthole Window
KR20160003800U (en) 2015-04-24 2016-11-02 엄윤선 Carrying bag for pet
KR20170111506A (en) 2016-03-28 2017-10-12 (주)다솜코퍼레이션 Bag for transporting pet do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885Y1 (en) 2003-12-31 2004-03-25 이종수 A pet carriage
KR101091428B1 (en) * 2010-08-24 2011-12-07 이정우 Multi-function stroller
US20130277931A1 (en) * 2012-04-20 2013-10-24 Zheng-Wen Guo Stroller
KR20160111906A (en) 2014-01-23 2016-09-27 톰 스티븐슨 Pet Carrier With Geometric-Shaped Porthole Window
KR20160003800U (en) 2015-04-24 2016-11-02 엄윤선 Carrying bag for pet
KR20170111506A (en) 2016-03-28 2017-10-12 (주)다솜코퍼레이션 Bag for transporting pet do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091B1 (en) 2020-06-10 2021-09-02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Pet stroller with improved ease of use
KR20220151923A (en) * 2021-05-07 2022-11-15 신화용 Car Seat for Pets
KR102613384B1 (en) * 2021-05-07 2023-12-13 신화용 Car Seat for Pe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912B1 (en) Magnetic buckling assembly
KR101989776B1 (en) Moving carrier for pet
EP2813412B1 (en) Connection mechanism and infant care equipment having the connection mechanism
US8141186B2 (en) Mesh arrangement for bassinet assembly
KR100640369B1 (en) Internal battery pack case lock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US8122536B2 (en) Bed with collapsible frame
US20050225933A1 (en)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9487329B2 (en) Sleeve pack assembly with latching mechanism
US20120223508A1 (en) Foldable Stroller
US20080318646A1 (en) Mobile phones
KR20200020663A (en) Magnetic hook
EP0958739A2 (en) Container for carrying pets
US6443762B1 (en) Power tool cord retainer
CN110098545A (en) A kind of converter
US20230278615A1 (en) Child stroller apparatus
US8407832B2 (en) Infant support structure with a collapsible frame
KR101547616B1 (en) Portable seat
CN113038829A (en) Necklace with integrated device accessories
CN211379922U (en) Luggage case device
KR102096412B1 (en) Carrier device for Baby chair
US20020129842A1 (en) Automatic multiple folded umbrella
JP2005179791A (en) Length adjuster for hip girth
CN208559467U (en) A kind of pedestal Suo Sha mechanism
KR20000029209A (en) Buckle latch mechanism for infant car seat
CN220459033U (en) Game bed assembly and top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