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100B1 - 차량용 램프 및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100B1
KR101989100B1 KR1020170072745A KR20170072745A KR101989100B1 KR 101989100 B1 KR101989100 B1 KR 101989100B1 KR 1020170072745 A KR1020170072745 A KR 1020170072745A KR 20170072745 A KR20170072745 A KR 20170072745A KR 101989100 B1 KR101989100 B1 KR 101989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light
distribution pattern
vehicl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4682A (ko
Inventor
박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2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100B1/ko
Priority to US15/856,688 priority patent/US10501006B2/en
Priority to CN201810166308.1A priority patent/CN109027942B/zh
Priority to EP18176430.9A priority patent/EP3412962A1/en
Publication of KR20180134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51Light emitting diodes [LED] arranged in one or more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51Light emitting diodes [LED] arranged in one or more lines
    • F21S41/153Light emitting diodes [LED] arranged in one or more lines arranged in a matri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7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electrical means including means to transmit the movements, e.g. shafts or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switch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3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마이크로 LED(micro light emitting diode) 소자가 배치되는 어레이(array) 모듈을 포함하고, 제1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광생성부; 및 상기 광생성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광 패턴은, 상기 광생성부에서 제1 거리만큼 떨어진 스크린 상에서, 광도가, 중심 지점에서 주변 지점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및 차량{Lamp for vehicle and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및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차량에는 각종 램프가 구비된다. 예를 들면, 차량에는 헤드 램프(head lamp),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rear combiantion lamp) 및 포그 램프(fog lamp)가 구비된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탑승자의 가시성 확보를 위한 램프(예를 들면, 헤드 램프, 포그 램프) 및 간단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램프(예를 들면,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로 구분될 수 있다.
차량에 구비되는 각종 램프의 광원으로, 다양한 소자가 활용될 수 있다.
최근에는, 차량용 램프의 광원으로 복수의 마이크로 LED소자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수백개에서 수만개 마이크로 LED소자를 차량용 램프의 광원으로 이용한 차량용 램프가 효율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의 마이크로 LED소자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기능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차량용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micro light emitting diode) 소자가 배치되는 어레이(array)를 포함하고, 제1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광생성부; 및 상기 광생성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광 패턴은, 상기 광생성부에서 제1 거리만큼 떨어진 스크린 상에서, 광도가, 중심 지점에서 주변 지점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진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복수의 마이크로 LED 소자를 활용하여, 차량용 램프로 기능하기 위한 충분한 광량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차량용 램프의 기능에 부합하는 배광 범위를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제1 배광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후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느끼는 눈의 피로도를 최소화하고, 신호 전달에 대한 집중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블럭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배광 패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마이크로 LED 소자가 배치되는 어레이 모듈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LED 소자가 배치되는 어레이 모듈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모듈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모듈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모듈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모듈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모듈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모듈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모듈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0)은, 차량용 램프(1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램프(100)는, 헤드 램프(100a),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100b), 포그 램프(100c)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램프(100)는, 룸 램프(room lamp), 턴시그널 램프(turn signal lamp), 데이타임 런닝 램프(daytime running lamp), 백 램프(bak lamp), 포지셔닝 램프(positioning lamp)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용 램프(100)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100b)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광생성부(도 2의 160)는, 프로세서(도 2의 170)의 제어에 따라,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100b) 구현을 위한 광을 생성할 수 있다.
광생성부(도 2의 160)는, 프로세서(도 2의 170)의 제어에 따라,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100b) 구현을 위한 광을 생성할 수 있다.
차량용 램프(100)는,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전장(overall length)은 차량(10)의 앞부분에서 뒷부분까지의 길이, 전폭(width)은 차량(10)의 너비, 전고(height)는 바퀴 하부에서 루프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장 방향(L)은 차량(10)의 전장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폭 방향(W)은 차량(10)의 전폭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고 방향(H)은 차량(10)의 전고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램프(100)는, 광생성부(160), 프로세서(17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램프(100)는, 입력부(110), 센싱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및 자세 조정부(165)를 각각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차량용 램프(100)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10)는, 터치 입력 장치, 기계식 입력 장치, 제스쳐 입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광생성부(16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10)는, 광생성부(160)의 턴 온(turn on) 또는 턴 오프(turn off)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싱부(120)는, 온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광생성부(160)의 온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10) 외부의 조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10)에 구비된 다른 장치와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10)에 구비된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를 프로세서(170)에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프로세서(170)에서 생성된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차량(10)에 구비된 다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주행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주행 상황 정보는, 차량 외부의 오브젝트 정보, 내비게이션 정보 및 차량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외부의 오브젝트 정보는, 오브젝트의 존재 유무에 대한 정보,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 차량(10)과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차량(10)과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정보, 오브젝트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정보는, 차량(10)에 구비된 오브젝트 검출 장치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는, 카메라, 레이다, 라이다,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생성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오브젝트는, 차선, 타 차량, 보행자, 이륜차, 교통 신호, 빛, 도로, 구조물, 과속 방지턱, 지형물, 동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정보는, 맵(map) 정보,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 설정 따른 경로 정보, 경로 상의 다양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차선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정보는, 차량(10)에 구비된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차량 상태 정보는, 차량의 자세 정보, 차량의 속도 정보, 차량의 기울기 정보, 차량의 중량 정보, 차량의 방향 정보, 차량의 배터리 정보, 차량의 연료 정보, 차량의 타이어 공기압 정보, 차량의 스티어링 정보, 차량 실내 온도 정보, 차량 실내 습도 정보, 페달 포지션 정보 및 차량 엔진 온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상태 정보는, 차량(10)에 구비된 다양한 센서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차량용 램프(100) 각 유닛에 대한 기본 데이터, 각 유닛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 차량용 램프(100)에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헤드 램프(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의 하위 구성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광생성부(16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전기 에너지를 광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다.
광생성부(160)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micro light emitting diode) 소자가 배치되는 어레이(array)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LED 소자는, 칩 크기가 수 마이크로 미터(um)에 해당하는 초소형 발광다이오드이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LED 소자의 크기는, 5-15um일 수 있다.
어레이 모듈(200)은, 기판 및 복수의 마이크로 LED 소자가 배치되는 서브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어레이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서브 어레이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 어레이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도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 어레이는, 원, 다각형, 부채꼴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판은, 유연 전도 기판(FCCL : Flexible Copper Clad Laminated)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마이크로 LED 소자가 배치되는 어레이 모듈(200)은, 도 6 이하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광생성부(160)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소자에서 생성되는 광으로, 제1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배광 패턴은, 광생성부(160)에서 생성된 광이, 스크린에 조사될 때, 스크린에 형성되는 패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스크린은, 광생성부(160)에서 제1 거리만큼 떨어진 상태일 수 있다.
스크린은, 가상의 스크린일 수 있다.
스크린은, 배광 스크린으로 명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거리는, 2m 이상이고, 4m 이하일 수 있다. 제1 거리는, 3m가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광원에서 2-4m 거리만큼 이격된 스크린에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배광 패턴을 확인하기가 용이하다.
2m 보다 작은 거리에서는, 충분한 배광 면적을 확보할 수 없고, 4m보다 큰 거리에서는, 광이 분산되어 광도를 측정하기가 어렵다.
제1 배광 패턴은, 광생성부(160)에서 제1 거리만큼 떨어진 스크린 상에서, 광도가, 중심 지점에서 주변 지점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중심 지점은, 스크린 상에서, 광생성부(160)에서 생성되는 광에 의한 광도가 가장 높은 지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중심 지점은, 광생성부(160)의 중심에서 스크린까지의 최단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배광 패턴은, 스크린 상의 복수의 지점과 중심 지점과의 광도의 비율로 정의될 수 있다.
자세 조정부(165)는, 광생성부(160)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자세 조정부(165)는, 광생성부(160)이 틸팅(tilting)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광생성부(160)의 틸팅 제어에 따라, 출력되는 광은 상하 방향(예를 들면, 전고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자세 조정부(165)는, 광생성부(160)이 패닝(panning)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광생성부(160)의 패닝 제어에 따라, 출력되는 광은 좌우 방향(예를 들면, 전폭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자세 조정부(165)는, 광생성부(160) 자세 조정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력 생성부(예를 들면, 모터, 액추에이터, 솔레노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 조정부(165)는, 광생성부(160)가 로우 빔을 생성하는 경우, 하이빔을 생성하는 경우보다 아래쪽을 향해 광이 출력되도록 광생성부(160)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자세 조정부(165)는, 광생성부(160)가 하이 빔을 생성하는 경우, 로우빔을 생성하는 경우보다 위쪽을 향해 광이 출력되도록 광생성부(160)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차량용 램프(100)의 각 구성 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차량용 램프(100)의 각 구성 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광생성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1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광생성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광생성부(160)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의 양을 조정함으로써, 광생성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어레이 모듈(200) 영역별로 서로 다른 양의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어레이 모듈의 중심 영역에서 주변 영역으로 갈수록, 점차 낮은 양의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주행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오브젝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 정보는, 외부광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을 처리하여 획득된 외부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센싱부(120)에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외부광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외부광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배광 패턴이 형성되도록, 광생성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광생성부(160)에서 생성되는 광과 외부광이 합쳐져서, 제1 배광 패턴이 형성되도록, 광생성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차량(10) 외부 영역별로, 외부광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차량(10) 외부 영역별로, 어느 정도의 광이 출력되어야, 제1 배광 패턴이 형성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1 배광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영역별로 요구되는 광이 출력되도록 광생성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차량 외부의 제1 영역으로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그룹(예를 들면, 제1 서브 어레이)와 제2 영역으로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그룹(예를 들면, 제2 서브 어레이)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외부광은, 가로등 또는 타 차량 램프에 의해 생성되는 광일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배광 패턴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내비게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배광 패턴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차량(10)이 주행하는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배광 패턴을 조정할 수 있다.
가령, 차량(10)이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출력되는 광폭이 좁고 길어지도록 제1 배광 패턴을 조정할 수 있다.
가령, 차량(10)이 도심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출력되는 광폭이 넓고 짧아지도록 제1 배광 패턴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오브젝트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배광 패턴을 조정할 수 있다.
가령, 차량(10)의 주행 차로의 옆 차로에 위치하는 타 차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차량(10)의 주행 차로 내에서 광이 출력되도록 광생성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의해, 헤드 램프(100) 각 유닛의 동작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10)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배광 패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스크린(300)은, 격자 모양으로 설명될 수 있다.
제1 배광 패턴은, 중심 지점과 스크린(300)의 격자 모양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교차점(복수의 지점) 각각의 광도의 비율로 설명될 수 있다.
스크린(30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511)(이하, 세로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왼쪽과 오른쪽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왼쪽과 오른쪽은, 차량(10)에서 스크린(300)을 바라볼때를 기준으로 한다.
세로 방향의 중심선(511)은, 중심 지점(500)에서 상하 방향으로, 가로 방향의 중심선(512)에 수직되게 연장된 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스크린(300)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512)(이하, 가로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위쪽과 아래쪽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가로 방향의 중심선(512)은, 중심 지점(500)에서 좌우 방향으로, 세로 방향의 중심선(511)에 수직되게 연장된 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세로 방향의 중심선(511)과 가로 방향의 중심선(512)이 교차되는 지점이 중심 지점(500)이 된다.
제1 배광 패턴은, 스크린(300) 상에서, 세로 방향의 중심선(511)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될 수 있다.
제1 배광 패턴은, 스크린(300) 상에서의 광도가, 중심 지점(500)에서 제1 내지 제2 지점(501, 502)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점(501)은, 가로 방향의 중심선(512) 상에 형성된 지점이다.
가상의 기준선(301)은, 광생성부(160)과 중심 지점(500)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다.
제1 지점(501)은, 광생성부(160)를 기준으로, 가상의 기준선(301)과 광생성부(160)와 제1 지점(501)을 연결하는 제1 가상의 선이 이루는 각도가 5도인 지점이다.
즉, 제1 지점(501)은, 광생성부(160)를 축으로, 가상의 기준선(301)을 좌측 방향(321) 또는 우측 방향(322)으로, 5도 회전시킬 때, 가로 방향의 중심선(512)에 위치하는 지점이다.
제1 배광 패턴은, 제1 지점(501)에서, 중심 지점(500)의 광도의 90퍼센트의 광도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점(502)은, 가로 방향의 중심선(512) 상에 형성된 지점이다.
제2 지점(502)은, 광생성부(160)를 기준으로, 기준선(301)과, 광생성부(160)와 제2 지점(502)을 연결하는 제2 가상의 선이 이루는 각도가 10도인 지점이다.
즉, 제2 지점(502)은, 광생성부(160)를 축으로, 가상의 기준선(301)을 좌측 방향(321) 또는 우측 방향(322)으로 10도 회전시킬 때, 가로 방향의 중심선(512)에 위치하는 지점이다.
제1 배광 패턴은, 제2 지점(502)에서, 중심 지점(500)의 광도의 35퍼센트의 광도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광 패턴은, 스크린(300) 상에서, 제3 지점(503)의 광도가 제1 지점(501)의 광도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점(501)과 제3 지점(503)은, 세로 방향의 동일선 상에 형성된 지점이다.
제3 지점(503)은, 광생성부(160)를 기준으로, 기준선(301)과 제3 지점(503)을 연결하는 제3 가상의 선이 가로 방향으로 이루는 각도가 5도인 지점이다.
제3 지점(503)은, 광생성부(160)를 기준으로, 기준선(301)과 제3 가상의 선이 세로 방향으로 이루는 각도가 10도인 지점이다.
즉, 제3 지점(501)은, 광생성부(160)를 축으로, 가상의 기준선(301)을 좌측 방향(321) 또는 우측 방향(322)으로, 5도 회전시키고, 아래 방향(331) 또는 윗 방향(332)로 10도 회전시킬때 위치하는 지점이다.
제1 배광 배턴은, 제3 지점(503)에서, 중심 지점(500)의 광도의 20퍼센트의 광도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광 패턴은, 스크린(300) 상에서, 가로 방향의 중심선(512)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광 패턴은, 스크린(300) 상에서, 제4 지점(504)의 광도가 중심 지점(500)의 광도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4 지점(504)은, 세로 방향의 중심선(511) 상에 형성된 지점이다.
제4 지점(504)은, 광생성부(160)를 기준으로, 기준선(301)과 광생성부(160)와 제4 지점(504)을 연결하는 제4 가상의 선이 이루는 각도가 5도인 지점이다.
즉, 제4 지점(504)은, 광생성부(160)를 축으로, 가상의 기준선(301)을 아래 방향(331) 또는 윗 방향(332)으로 5도 회전시킬때 위치하는 지점이다.
제1 배광 패턴은, 제4 지점(504)에서, 중심 지점(500)의 광도의 70퍼센트의 광도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광 패턴은, 스크린(300) 상에서의 광도가, 제4 지점(504)에서 제5 내지 제6 지점(505, 506)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4 내지 제6 지점(504, 505, 506)은, 가로 방향의 동일선 상에 형성된 지점이다.
제5 지점(505)은, 광생성부(160)를 기준으로, 기준선(301)과 광생성부(160)와 제5 지점(505)을 연결하는 제5 가상의 선이 가로 방향으로 이루는 각도가 10도인 지점이다.
제5 지점(505)은, 광생성부(160)를 기준으로, 기준선(301)과 제5 가상의 선이 세로 방향으로 이루는 각도가 5도인 지점이다.
즉, 제5 지점(505)은, 광생성부(160)를 축으로, 가상의 기준선(301)을 좌측 방향(321) 또는 우측 방향(322)으로 10도 회전시키고, 아래 방향(331) 또는 윗 방향(332)로 5도 회전시킬때 위치하는 지점이다.
제1 배광 패턴은, 제5 지점(505)에서, 중심 지점(500)의 광도의 20퍼센트의 광도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6 지점(506)은, 광생성부(160)를 기준으로, 기준선(301)과, 광생성부(160)와 제6 지점(506)을 연결하는 제6 가상의 선이 가로 방향으로 이루는 각도가 20도인 지점이다.
제6 지점(506)은, 광생성부(160)를 기준으로, 기준선(301)과 제6 가상의 선이 세로 방향으로 이루는 각도가 5도인 지점이다.
즉, 제6 지점(506)은, 광생성부(506)를 축으로, 가상의 기준선(301)을 좌측 방향(321) 또는 우측 방향(322)으로 20도 회전시키고, 아래 방향(331) 또는 윗 방향(332)로 5도 회전시킬 때 위치하는 지점이다.
제1 배광 패턴은, 제6 지점(506)에서, 중심 지점(500)의 광도의 10퍼센트의 광도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마이크로 LED 소자가 배치되는 어레이 모듈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어레이 모듈(200)은 복수의 마이크로 LED 소자(920)가 배치될 수 있다.
어레이 모듈(200)에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소자(920)가 전사될 수 있다.
어레이 모듈(200)은, 전사 간격에 따라, 마이크로 LED 소자(920)가 배치되는 간격, 밀도(단위 영역 당 마이크로 LED 소자의 개수) 등이 결정될 수 있다.
어레이 모듈(200)은, 베이스(210) 및 하나 이상의 서브 어레이(22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10)는, 폴리이미드(PI : polyimde)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210)는,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610)는, 후술하는, 유연 전도 기판(도 7의 920)일 수 있다.
서브 어레이(220)는, 베이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 어레이(220)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소자(920)가 배치될 수 있다.
유연 전도 기판 상에, 복수의 마이크로 LED 소자(920)가 배치되어, 메인 어레이를 형성한 상태에서, 어레이가 절단되어 서브 어레이(220)를 생성할 수 있다.
이경우, 절단되는 모양에 따라 서브 어레이(220)의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 어레이(220)는, 2차원 도형의 형상(예를 들면, 원, 다각형, 부채꼴)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LED 소자가 배치되는 어레이 모듈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마이크로 LED 어레이 모듈(200)은, 유연 전도 기판(920), 반사층(913), 층간 절연막(914), 복수의 마이크로 LED 소자(920), 제2 전극(915), 광 스페이서(916), 형광 필름(917), 컬러 필터 필름(918) 및 커버 필름(919)을 포함할 수 있다.
유연 전도 기판(FCCL : Flexible Copper Clad Laminated)(920)는, 폴리이미드 필름(PI : polyimide)(911) 및 제1 전극(9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912) 및 제2 전극(915)은 구리(Cu)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92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전극(912) 및 제2 전극(915)는 투광성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912) 및 제2 전극(915)은, 금속 재질, 예를 들어, 니켈(Ni), 백금(Pt), 루테늄(Ru), 이리듐(Ir), 로듐(Rh), 탄탈(Ta), 몰리브덴(Mo), 티탄(Ti), 은(Ag), 텅스텐(W), 구리(Cu), 크롬(Cr), 팔라듐(Pd), 바나듐(V), 코발트(Co), 니오브(Nb), 지르코늄(Zr), 산화인듐주석(ITO, Indium Tin Oxide), 알루미늄산화아연(AZO, aluminum zinc oxide), 인듐 아연 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912)은, 폴리이미드 필름(911) 및 반사층(91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915)은, 층간 절연막(914)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반사층(913)은, 유연 전도 기판(92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반사층(913)은, 복수의 마이크로 LED 소자(920)에서 생성되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층(913)은, 은(Ag)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층간 절연막(inter-layer dielectric)(914)은, 반사층(91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 LED 소자(920)는, 유연 전도 기판(92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 LED 소자(920) 각각은, 솔더(solder) 또는 도전볼(ACF : 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통해 반사층(913) 또는 유연 전도 기판(930)에 접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 LED 소자(920)는, 칩의 사이즈가 10-100㎛인 LED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광 스페이서(916)는, 층간 절연막(914)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광 스페이스(916)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소자(920)와 형광 필름(917)과 이격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절연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형광 필름(917)은, 광 스페이서(916)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형광 필름(917)은, 형광체가 골고루 분산된 레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형광체에는 마이크로 LED(920)에서 방출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청색 발광 형광체, 청록색 발광 형광체, 녹색 발광 형광체, 황녹색 발광 형광체, 황색 발광 형광체, 황적색 발광 형광체, 오렌지색 발광 형광체, 및 적색 발광 형광체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즉, 형광체는 마이크로 LED 소자(920)에서 방출되는 제1 빛을 가지는 광에 의해 여기 되어 제2 빛을 생성할 수 있다.
컬러 필터 필름(918)은, 형광 필름(917)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컬러 필터 필름(918)은, 형광 필름(917)을 거친 광에 소정의 색을 구현할 수 있다. 컬러 필터 필름(918)은,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색을 구현할 수 있다.
커버 필름(919)은, 컬러 필터 필름(918)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필름(919)은, 마이크로 LED 어레이를 보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모듈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어레이 모듈(200)은, 베이스 및 복수의 서브 어레이(801, 802L, 802R, 803L, 803R, 804L, 804R, 805, 806, 807)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10)는, 복수의 서브 어레이(801, 802L, 802R, 803L, 803R, 804L, 804R, 805, 806, 807)를 배치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어레이(801, 802L, 802R, 803L, 803R, 804L, 804R, 805, 806, 807)는, 베이스(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어레이(801, 802L, 802R, 803L, 803R, 804L, 804R, 805, 806, 807)각각에는, 같은 밀도로 복수의 마이크로 LED 소자(920)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어레이(801, 802L, 802R, 803L, 803R, 804L, 804R, 805, 806, 807)는, 제1 배광 패턴을 형성시키기 위해, 베이스(210)에 배치되는 영역(또는 위치)별로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어레이(801, 802L, 802R, 803L, 803R, 804L, 804R, 805, 806, 807) 중, 베이스(210)의 중심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어레이(801)는, 베이스(210)의 주변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어레이(804L, 804R, 806, 807)보다 클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어레이(801, 802L, 802R, 803L, 803R, 804L, 804R, 805, 806, 807)는, 베이스(210) 상의 배치 영역에 기초하여, 각각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베이스(210)의 중심에서 주변으로 갈수록, 베이스(210)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어레이(801, 802L, 802R, 803L, 803R, 804L, 804R, 805, 806, 807)의 크기는 점점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어레이(802L, 802R, 803L, 803R, 804L, 804R)는, 베이스(210)의 중심에 배치되는 제1 서브 어레이(801)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어레이(801, 802L, 802R, 803L, 803R, 804L, 804R)는, 베이스(210)의 중심에 배치되는 제1 서브 어레이(801)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배치 간격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210)의 중심에 배치되는 제1 서브 어레이(801)를 기준으로, 좌우 동일한 개수의 복수의 서브 어레이(801, 802L, 802R, 803L, 803R, 804L, 804R)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어레이(805, 806, 807)는, 베이스(210)의 중심에 배치되는 제1 서브 어레이(801)를 기준으로, 상하 비대칭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어레이(805, 806, 807) 중, 제1 서브 어레이(801)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서브 어레이(806, 807)는, 제1 서브 어레이(801)의 위쪽에 배치되는 서브 어레이(807)보다 더 클 수 있다.
베이스(210)의 중심에 배치되는 제1 서브 어레이(801)를 기준으로, 아래쪽에 배치되는 서브 어레이(806, 807)의 개수가 위쪽에 배치되는 서브 어레이(807)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모듈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베이스(210) 상에 복수의 마이크로 LED 소자(920)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베이스(210)는, 기판일 수 있다.
어레이 모듈(200)은, 제1 배광 패턴을 형성시키기 위해, 영역별로 서로 다른 밀도의 마이크로 LED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210) 상에는, 영역별로 서로 다른 밀도의 마이크로 LED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밀도는, 단위 면적당 배치되는 마이크로 LED 소자의 개수로 정의될 수 있다.
어레이 모듈(200)은, 중심 영역에서, 주변 영역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낮은 밀도로 마이크로 LED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210)의 중심 영역에서, 주변 영역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낮은 밀도로 마이크로 LED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210)의 중심 영역(941)에서의 복수의 마이크로 LED 소자의 밀도는, 주변 영역(942)에서의 복수의 마이크로 LED 소자의 밀도보다 크다.
베이스(210)의 중심에서 주변으로 갈수록 어레이 모듈(200)의 밀도는 점점 작아질 수 있다.
어레이 모듈(200)의 밀도는, 베이스(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어레이 모듈(200)의 밀도는, 베이스(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비대칭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어레이 모듈(200)의 밀도는, 베이스(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아래쪽 영역이 위쪽 영역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모듈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b를 참조하면, 베이스(210)는, 복수의 서브 어레이(951 내지 965)를 배치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어레이(951 내지 965)는, 베이스(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어레이(951 내지 965)는, 크기가 서로 같을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어레이(951 내지 965)는, 일정한 간격으로 베이스(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서브 어레이(951 내지 965)는, 일정하지 않은 간격으로 베이스(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광 패턴을 형성시키기 위해, 복수의 서브 어레이(951 내지 965) 중, 베이스(210)의 중심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어레이(951)의 밀도는, 베이스(210)의 주변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어레이(952)의 밀도보다 클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어레이(951 내지 965)는, 베이스(210)의 중심에 배치되는 제1 서브 어레이(951)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어레이(951 내지 965)는, 베이스(210)의 중심에 배치되는 제1 서브 어레이(951)를 기준으로, 상하 비대칭되는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어레이(951 내지 965) 중, 제1 서브 어레이(951) 아래쪽에 배치되는 서브 어레이(963)의 밀도는, 제1 서브 어레이(951)의 위쪽에 배치되는 서브 어레이(954)의 밀도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모듈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베이스(210) 상에 복수의 마이크로 LED 소자(920)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베이스(210)는, 기판일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1 배광 패턴을 형성시키기 위해, 어레이 모듈(200)의 영역별로 서로 다른 양의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어레이 모듈(200)의 중심 영역에서 주변 영역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은 양의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중심 영역(1041)에 배치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소자에 공급되는 전류량이 주변 영역(1042)에 배치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소자에 공급되는 전류량 보다 크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베이스(210)의 중심에서 주변으로 갈수록 복수의 마이크로 LED 소자에 공급되는 전류량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베이스(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공급되는 전류량의 크기가 좌우 대칭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베이스(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공급되는 전류량의 크기가 상하 비대칭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베이스(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공급되는 전류량의 크기가 아래쪽 영역이 위쪽 영역보다 크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모듈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베이스(210)는, 복수의 서브 어레이(1001 내지 1015)를 배치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어레이(1001 내지 1015)는, 베이스(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어레이(1001 내지 1015)는, 크기가 서로 같을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어레이(1001 내지 1015) 각각의 밀도는 서로 같을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1 배광 패턴을 형성시키기 위해, 복수의 서브 어레이(1001 내지 1015) 별로 서로 다른 양의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베이스(210)의 중심 영역에서 주변 영역으로 갈수록, 배치되는 서브 어레이에, 점차적으로 작은 양의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베이스(210)의 중심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어레이(1001)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의 양이 베이스(210)의 주변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어레이(1002)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의 양보다 크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베이스(210)의 중심 영역에서 주변 영역으로 갈수록, 배치되는 서브 어레이에 공급되는 전류량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베이스(210)의 중심에 배치되는 제1 서브 어레이(1001)를 기준으로, 공급되는 전류량의 크기가 좌우 대칭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베이스(210)의 중심에 배치되는 제1 서브 어레이(1001)를 기준으로, 공급되는 전류량의 크기가 상하 비대칭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베이스(210)의 중심에 배치되는 제1 서브 어레이(100)1를 기준으로, 아래쪽에 배치되는 서브 어레이(1013)에 공급되는 전류량이 위쪽에 배치되는 서브 어레이(1004)에 공급되는 전류량보다 크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모듈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베이스(210)는, 복수의 서브 어레이(1101, 1102L, 1102R, 1103L, 1103R, 1104, 1105)를 배치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어레이(1101, 1102L, 1102R, 1103L, 1103R, 1104, 1105)는, 베이스(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광 패턴을 형성시키기 위해, 복수의 서브 어레이(1101, 1102L, 1102R, 1103L, 1103R, 1104, 1105)는, 베이스(210)에 배치되는 위치별로, 서로 다른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서브 어레이의 모양에 따라, 출력되는 광량은 달라진다.
출력되는 광량에 기초하여, 베이스(210)에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어레이(1101, 1102L, 1102R, 1103L, 1103R, 1104, 1105)의 모양이 결정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모듈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b는, 서브 어레이의 크기와 모양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광 패턴의 실험 결과를 예시한다.
도 12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10) 중심 영역에는, 제1 서브 어레이(1201)가 배치되고, 베이스(210)의 주변 영역에는, 4개의 제2 서브 어레이(120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브 어레이(1201)는, 제1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서브 어레이(1201)는, 제1 형태의 마름모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제2 서브 어레이(1202)는, 제2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서브 어레이(1202)는, 이등변 삼각형이자 직각 삼각형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이경우, 출력되는 광 패턴은, 지시 부호 1251의 형태를 가진다.
도 1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10) 중심 영역에는, 제1 서브 어레이(1211)가 배치되고, 베이스(210)의 주변 영역에는, 4개의 제2 서브 어레이(121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브 어레이(1201)는, 제3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서브 어레이(1201)는, 제2 형태의 마름모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제2 서브 어레이(1202)는, 제4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서브 어레이(1202)는, 직사각형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이경우, 출력되는 광 패턴은, 지시 부호 1252의 형태를 가진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 차량
100 : 차량용 램프

Claims (19)

  1. 복수의 마이크로 LED(micro light emitting diode) 소자가 배치되는 어레이(array) 모듈을 포함하고, 제1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광생성부; 및
    상기 광생성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광 패턴은,
    상기 광생성부에서 제1 거리만큼 떨어진 스크린 상에서,
    광도가, 상기 스크린 상에서, 상기 광생성부에서 생성되는 광에 의한 광도가 가장 높은 지점으로 정의되는 중심 지점에서 주변 지점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되,
    상기 제1 배광 패턴은,
    상기 스크린 상에서의 광도가,
    상기 중심 지점에서 제1 내지 제2 지점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2 지점은, 상기 중심 지점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방향의 중심선 상에 형성된 지점이고,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광생성부를 기준으로, 상기 광생성부와 상기 중심 지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기준선과, 상기 광생성부와 상기 제1 지점을 연결하는 제1 가상의 선이 이루는 각도가 5도인 지점이고,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광생성부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선과, 상기 광생성부와 상기 제2 지점을 연결하는 제2 가상의 선이 이루는 각도가 10도인 지점인, 차량용 램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광 패턴은,
    상기 스크린에서, 상기 중심 지점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차량용 램프.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광 패턴은,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중심 지점의 광도의 90퍼센트의 광도를 가지고,
    상기 제2 지점에서 상기 중심 지점의 광도의 35퍼센트의 광도를 가지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광 패턴은,
    상기 스크린 상에서,
    제3 지점의 광도가 상기 제1 지점의 광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3 지점은, 세로 방향의 동일선 상에 형성된 지점이고,
    상기 제3 지점은,
    상기 광생성부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선과, 상기 제3 지점을 연결하는 제3 가상의 선이 가로 방향으로 이루는 각도가 5도이고,
    상기 광생성부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선과, 상기 제3 가상의 선이 세로 방향으로 이루는 각도가 10도인 지점이고,
    상기 제1 배광 패턴은,
    상기 제3 지점에서, 상기 중심 지점의 20퍼센트의 광도를 가지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광 패턴은,
    상기 스크린 상에서, 상기 가로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광 패턴은,
    상기 스크린 상에서,
    제4 지점의 광도가 상기 중심 지점의 광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4 지점은, 상기 세로 방향의 중심선 상에 형성된 지점이고,
    상기 제4 지점은,
    상기 광생성부를 기준으로, 상기 광생성부와 상기 중심 지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기준선과, 상기 광생성부와 상기 제4 지점을 연결하는 제4 가상의 선이 이루는 각도가 5도인 지점이고,
    상기 제1 배광 패턴은,
    상기 제4 지점에서, 상기 중심 지점의 광도의 70퍼센트의 광도를 가지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광 패턴은,
    상기 스크린 상에서의 광도가,
    상기 제4 지점에서 제5 내지 제6 지점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4 내지 상기 제6 지점은, 가로 방향의 동일선 상에 형성된 지점이고,
    상기 제5 지점은,
    상기 광생성부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선과, 상기 광생성부와 상기 제5 지점을 연결하는 제5 가상의 선이 가로 방향으로 이루는 각도가 10도이고,
    상기 기준선과, 상기 제5 가상의 선이 세로 방향으로 이루는 각도가 5도인 지점이고,
    상기 제6 지점은,
    상기 광생성부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선과, 상기 광생성부와 상기 제5 지점을 연결하는 제6 가상의 선이 가로 방향으로 이루는 각도가 20도이고,
    상기 기준선과, 상기 제6 가상의 선이 세로 방향으로 이루는 각도가 5도인 지점인, 차량용 램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광 패턴은,
    상기 제5 지점에서, 상기 중심 지점의 광도의 20퍼센트의 광도를 가지고,
    상기 제6 지점에서, 상기 중심 지점의 광도의 10퍼센트의 광도를 가지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는,
    2미터 이상이고 4미터 이하인, 차량용 램프.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모듈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어레이는,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영역별로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차량용 램프.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어레이 중,
    상기 베이스의 중심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어레이는, 상기 베이스의 주변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어레이보다 큰 차량용 램프.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모듈은,
    영역별로 서로 다른 밀도로 마이크로 LED 소자가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모듈은,
    중심 영역에서 주변 영역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낮은 밀도로 마이크로 LED 소자가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레이 모듈의 영역별로 서로 다른 양의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차량용 램프.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레이 모듈의 중심 영역에서 주변 영역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낮은 양의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차량용 램프.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모듈은,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어레이는,
    베이스에 배치되는 위치별로 서로 다른 모양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
  19. 제 1항, 제 3항, 제 5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차량용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170072745A 2017-06-09 2017-06-09 차량용 램프 및 차량 KR101989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745A KR101989100B1 (ko) 2017-06-09 2017-06-09 차량용 램프 및 차량
US15/856,688 US10501006B2 (en) 2017-06-09 2017-12-28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CN201810166308.1A CN109027942B (zh) 2017-06-09 2018-02-28 车辆用灯及车辆
EP18176430.9A EP3412962A1 (en) 2017-06-09 2018-06-07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745A KR101989100B1 (ko) 2017-06-09 2017-06-09 차량용 램프 및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682A KR20180134682A (ko) 2018-12-19
KR101989100B1 true KR101989100B1 (ko) 2019-09-24

Family

ID=62563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745A KR101989100B1 (ko) 2017-06-09 2017-06-09 차량용 램프 및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01006B2 (ko)
EP (1) EP3412962A1 (ko)
KR (1) KR101989100B1 (ko)
CN (1) CN1090279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1875B2 (en) 2017-12-20 2024-04-16 Lumileds Llc Monolithic segmented LED array architecture with islanded epitaxial growth
US10879431B2 (en) 2017-12-22 2020-12-29 Lumileds Llc Wavelength converting layer patterning for LED arrays
US10923628B2 (en) 2018-09-27 2021-02-16 Lumileds Llc Micrometer scale light emitting diode displays on patterned templates and substrates
US11271033B2 (en) 2018-09-27 2022-03-08 Lumileds Llc Micro light emitting devices
US10811460B2 (en) 2018-09-27 2020-10-20 Lumileds Holding B.V. Micrometer scale light emitting diode displays on patterned templates and substrates
US10964845B2 (en) 2018-09-27 2021-03-30 Lumileds Llc Micro light emitting devices
EP3702663B1 (en) * 2019-02-27 2023-11-29 Valeo Vision Method for correcting a light pattern and automotive lighting device
US11404473B2 (en) 2019-12-23 2022-08-02 Lumileds Llc III-nitride multi-wavelength LED arrays
US11923398B2 (en) 2019-12-23 2024-03-05 Lumileds Llc III-nitride multi-wavelength LED arrays
US11569415B2 (en) 2020-03-11 2023-01-31 Lumileds Llc Light emitting diode devices with defined hard mask opening
US11942507B2 (en) 2020-03-11 2024-03-26 Lumileds Llc Light emitting diode devices
US11848402B2 (en) 2020-03-11 2023-12-19 Lumileds Llc Light emitting diode devices with multilayer composite film including current spreading layer
US11735695B2 (en) 2020-03-11 2023-08-22 Lumileds Llc Light emitting diode devices with current spreading layer
US11901491B2 (en) 2020-10-29 2024-02-13 Lumileds Llc Light emitting diode devices
US11626538B2 (en) 2020-10-29 2023-04-11 Lumileds Ll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with tunable emission
US11631786B2 (en) 2020-11-12 2023-04-18 Lumileds Llc III-nitride multi-wavelength LED arrays with etch stop layer
US11705534B2 (en) 2020-12-01 2023-07-18 Lumileds Llc Methods of making flip chip micro light emitting diodes
US11955583B2 (en) 2020-12-01 2024-04-09 Lumileds Llc Flip chip micro light emitting diodes
CN112622745A (zh) * 2020-12-10 2021-04-09 大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灯智能控制系统及控制方法
US11600656B2 (en) 2020-12-14 2023-03-07 Lumileds Ll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US11935987B2 (en) 2021-11-03 2024-03-19 Lumileds Llc Light emitting diode arrays with a light-emitting pixel are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4956A (ja) * 2011-09-05 2013-03-21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装置
JP2015500562A (ja) * 2011-11-18 2015-01-05 ルクスビュー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イション マイクロ発光ダイオード
JP2017011259A (ja) * 2015-06-18 2017-01-12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3967A (ja) 2004-09-21 2008-05-01 マグナ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散在したledアレイヘッドライト
DE102005041065A1 (de) 2005-02-16 2006-08-24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Beleuchtungseinrichtung
DE102008054218A1 (de) * 2008-10-31 2010-05-06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Lumineszenzdiodenchip
AT511499A1 (de) 2011-05-30 2012-12-15 Zizala Lichtsysteme Gmbh Fahrzeugscheinwerfer mit led-lichtmodulen zur erzeugung einer hauptlichtverteilung und einer zusatzlichtverteilung
WO2013031210A1 (ja) * 2011-09-01 2013-03-0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装置
US9076950B2 (en) 2012-09-14 2015-07-07 Tsmc Solid State Lighting Ltd. High voltage LED with improved heat dissipation and light extraction
KR102003001B1 (ko) * 2013-03-13 2019-07-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모듈
KR101606772B1 (ko) * 2013-11-22 2016-03-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어레이 엘이디 칩 및 이를 구비하는 헤드램프
CN106662308B (zh) * 2014-07-10 2020-05-26 株式会社小糸制作所 转向信号灯
US9999999B2 (en) 2014-12-10 2018-06-19 Inglass S.P.A. Injector for plastic material injection molding apparatus
DE102014226650B4 (de) 2014-12-19 2023-05-25 Osram Gmbh Leuchte
CN107406029B (zh) * 2015-03-26 2021-03-09 株式会社小糸制作所 车辆用灯具和灯具系统
JP6350402B2 (ja) * 2015-06-15 2018-07-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前照灯制御装置
US9761773B2 (en) * 2015-06-18 2017-09-12 Nichia Corporation Light emitting device
EP3127747A1 (fr) 2015-08-07 2017-02-08 Valeo Vision Dispositif d'éclairage et/ou de signalisation pour véhicule automobile
FR3039880B1 (fr) 2015-08-07 2019-10-11 Valeo Vision Dispositif d’eclairage et/ou de signalisation pour vehicule automobile
KR101989101B1 (ko) * 2017-05-29 2019-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및 차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4956A (ja) * 2011-09-05 2013-03-21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装置
JP2015500562A (ja) * 2011-11-18 2015-01-05 ルクスビュー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イション マイクロ発光ダイオード
JP2017011259A (ja) * 2015-06-18 2017-01-12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01006B2 (en) 2019-12-10
EP3412962A1 (en) 2018-12-12
US20180354406A1 (en) 2018-12-13
CN109027942A (zh) 2018-12-18
CN109027942B (zh) 2021-09-10
KR20180134682A (ko) 2018-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100B1 (ko) 차량용 램프 및 차량
CN108930936B (zh) 车辆用灯及车辆
KR101989101B1 (ko) 차량용 램프 및 차량
US20180363872A1 (en)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EP3421874B1 (en)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KR102043063B1 (ko) 차량용 램프 및 차량
US10253937B2 (en)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US10731815B2 (en)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EP3511609B1 (en)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KR102056169B1 (ko) 차량용 램프 및 차량
US10731813B2 (en)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KR102043062B1 (ko) 차량용 램프 및 차량
US10598337B2 (en) Lamp for vehicle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US20190139944A1 (en)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