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963B1 - 딥러닝을 이용한 해양 탐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딥러닝을 이용한 해양 탐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963B1
KR101988963B1 KR1020190001021A KR20190001021A KR101988963B1 KR 101988963 B1 KR101988963 B1 KR 101988963B1 KR 1020190001021 A KR1020190001021 A KR 1020190001021A KR 20190001021 A KR20190001021 A KR 20190001021A KR 101988963 B1 KR101988963 B1 KR 101988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formation
detachment
explora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동
이영복
Original Assignee
(주)미래해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해양 filed Critical (주)미래해양
Priority to KR1020190001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48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F16B2001/003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딥러닝을 이용한 해양 탐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해양정보를 수집하는 탐사유닛,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생태정보를 분석하는 처리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탐사유닛이 해양정보 등을 수집함에 있어 딥러닝시스템을 이용함에 따라 인공어초, 해조류, 저서동물 등의 생태정보를 손쉽게 취득하고 데이터화 하여 각 해저 위치에 따른 생태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제공할 수 있는 딥러닝을 이용한 해양 탐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딥러닝을 이용한 해양 탐사 시스템{DISCOVERY SYSTEM USING THE DEEP-LEARNING}
본 발명은 딥러닝을 이용한 해양 탐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해양정보를 수집하는 탐사유닛,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생태정보를 분석하는 처리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탐사유닛이 해양정보 등을 수집함에 있어 딥러닝시스템을 이용함에 따라 인공어초, 해조류, 저서동물 등의 생태정보를 손쉽게 취득하고 데이터화 하여 각 해저 위치에 따른 생태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제공할 수 있는 딥러닝을 이용한 해양 탐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원격제어 무인잠수정(ROV:Remotely Operated Vehicle)은 지상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원격조종 및 제어가 가능하고, 자율 무인잠수정(AUV:Autonomous Underwater Vehicle)은 지상과의 케이블 없이 동력원과 스스로 움직이기 위한 제어장치를 갖추고 수중을 항해하게 된다.
상기 소형 무인잠수정은 심해에서도 작업이 가능하고 비교적 넓은 영역을 탐사할 수 있는데, 심해생물, 해저 메탄 수화물의 탐사작업이나 장시간 동안 해양환경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기 위한 해저관측소의 설치 또는 해저기지 및 해저구조물 건설을 위한 작업 장비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 군사적 활용방법 역시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해양탐사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899293호 "해저 관측지형의 입체이미지 자동 출력방식을 갖춘 해양 전용 지형탐사시스템"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스탠드(146)와, 방수케이스(147)와, GPS(144)와, 자세보정센서(142)와, 음향측심기(143)와, 컨트롤러(145)와, 무선통신모듈(141)로 이루어진 관측유닛(140); 부력체(130); 부유상태 감지유닛(150); 부양체(110); 하우징(121)과, 자성유닛(122)과, 토션스프링(123)과, 롤러(124)와, 도어(125)로 이루어진 링커(120);로 구성된 지형탐사장치(100) 및 해양 관측정보 관리기(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247789호 "해양탐사를 위한 하이브리드형 무인잠수정"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전자 회로부가 형성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를 보호하는 외부 프레임과; 상기 함체의 양측면에 수직으로 2개가 설치되고, 저면에서 4개가 각각 방향성을 갖도록 설치하여 상하, 전후, 병진, 대각, 회전 운동이 가능한 복수의 추진기와; 상기 함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네트워크 카메라와;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의 측면에 설치되는 조명과; 상기 함체의 상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함체의 전자 회로부와 모선에 설치된 컴퓨터와 통신 케이블을 상호 연결시키는 어댑터; 및 모선에 설치된 컴퓨터에 연결되어 전력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추진기를 제어하는 조이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등록특허 제10-0642828호 "무인해양탐사선의 자동탐사시스템 및 탐사방법"은
탐사를 수행하기 위한 운항궤도 및 목적하는 탐사지점의 목표물, 목표지점에 대한 운항좌표를 설정하고, 설정된 좌표에 의해 무인탐사선이 운항 및 탐사구동되기 위한 신호를 송출하여 무인탐사선이 설정된 좌표로 운항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의 입력에 의해 무인탐사선이 설정된 좌표에 의해 해양을 운항하며 탐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무인탐사선이 운항 및 탐사를 수행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탐사선 제어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탐사선 제어부에서는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며,
등록특허 제10-1190590호 "해저탐사시스템"은 무인잠수정; 상기 무인잠수정에 탈착가능한 EM 전자탐사기; 상기 EM 전자탐사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무인잠수정에 상기 제어부를 탑재하는 탑재부; 및 상기 무인잠수정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다.
상기 종래기술들과 같이, 무인으로 해양정보를 탐사하는 기술들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나, 영상을 촬영하여 이를 축적함에 있어, 종래에는 관리자가 일일이 이 정보들은 분류하고, 분류된 정보를 토대로 해양정보를 출력함으로서,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으며, 보다 정확한 정보제공을 위하여 보다 개선되고 정확한 방식의 해저탐사와 관련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탐사유닛을 통하여 해양영상정보 및 생태정보를 촬영 및 수집하되, 딥러닝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양정보를 수집함에 있어, 보다 정확하게 정보를 분류하여 얻을 수 있고, 특히 데이터가 축척될수록 보다 정확하게 데이터가 분류될 수 있는 딥러닝을 이용한 해양 탐사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탐사유닛이 대상해역을 격자형으로 구획화 하여 지그재그로 이동하도록 설정됨에 따라 보다 정확한 해양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출력시스템을 통하여 해양정보에 대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고안된 해양 탐사 시스템을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딥러닝을 이용한 해양 탐사 시스템은
탐사유닛을 이용하여, 해양영상정보 및 생태정보를 촬영 및 수집하는 탐사유닛;
탐사유닛으로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하여 생태정보를 분석하여 맵핑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탐사유닛은
수집되는 정보를 분석 및 분류하는 딥러닝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양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딥러닝을 이용한 해양 탐사 시스템은
탐사유닛, 상기 탐사유닛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탐사유닛이 딥러닝시스템을 이용하여 정보를 분석 및 분류함에 따라 보다 정확한 해양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관리자가 이를 수작업으로 분석할 필요가 없어 시간을 절약하며,
반복된 사용으로 데이터가 축적되는 경우, 보다 더 정확한 분류가 가능함에 따라 시간경과에 따른 해양정보 분류의 정확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설정된 구역을 격자형으로 구획화하고, 이를 지그재그로 탐사하도록 설절됨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해저를 탐사할 수 있으며, 촬영된 영상의 사물을 실시간으로 분석 후, 이 물체의 특성을 분석하여 분포현황을 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탐사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탐사 시스템에 사용되는 탐사유닛의 사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탐사 시스템을 이용하여 탐지하는 구역을 구획화 하는 방법을 나타낸 사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탐사 시스템의 탐사유닛에 구비되는 탈착유닛의 상세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딥러닝을 이용한 해양 탐사 시스템(S)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사유닛(10)을 이용하여, 해양영상정보 및 생태정보를 촬영 및 수집하는 탐사유닛(10)과, 이 탐사유닛(10)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DB)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DB)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하여 생태정보를 분석하여 맵핑하는 처리부(T)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탐사유닛(10)은 수집되는 정보를 분석 및 분류하는 딥러닝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양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탐사유닛(10)은 수중드론으로 전방을 촬영하는 촬영부재(11)와, 구동을 위한 프로펠러로 이루어진 구동유닛(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탐사유닛(10)의 형상은 수중드론으로서,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탐사유닛(10)에는 상기 촬영부재(11)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DB)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데이터베이스부(DB)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하여 생태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 및 맵핑하는 처리부(T)로 이루어진다.
이 때 본 발명은 상기 처리부(T)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함에 있어 딥러닝시스템을 이용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딥러닝 방식이란, 컴퓨터가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마치 사람처럼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프로그램화 된 인공신경망을 기반으로 하는 기계 학습 기술을 말하는 것으로서, 특히, 인간의 시청각 신경을 모델로 짜여있기 때문에 사진, 영상, 음향 데이터 처리에 많이 적용되고 있으며, 본 발명의 탐사유닛(10)은 촬영된 영상의 사물을 실시간 분석 후, 영상에서 발견되는 물체의 특성을 분석하여 분포현황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딥러닝 방식의 특성상, 데이터가 쌓이면 쌓일수록 지정한 사물을 분별하는 정확성이 높아짐에 따라, 본 발명은 해조류와 조식동물의 특장점 분석뿐만 아니라, 수중생태계 전반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탐사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그 분류 및 조사의 정확도가 높아지고 세밀해지는 특징을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탐사유닛(10)이 생태정보를 파악함에 있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해역을 격자별로 구획화하고, 이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탐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대상해역을 격자화하여 지그재그로 탐사하면, 보다 정확하게 탐사가 가능하며, 위치에 따른 해양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생태정부를 출력하는 출력시스템(D)을 더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출력시스템(D)은 상기 처리부(T)에서 전송된 생태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으로서, 앞서 대상해역을 격자형으로 구획화함에 따라, 그 구역에 따른 생태정보를 맵핑하여 출력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생태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지도화면에서 위치를 클릭하여 해저영상정보 및 생태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현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탐사유닛(10)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체와, 상기 본체 전방에 구비되어,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로 이루어지는 촬영부재(11)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구동유닛(13)이 구비되게 된다.
이 때 상기 구동유닛(13)은 본체(14) 후단에 구비되어 전후진 시키도록 하고, 본체(10) 상단에 구비되어 승하강 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상기 탐사유닛(10)은 수중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조명부재(15)가 더 구비되어 어두운 환경에서도 보다 손쉽게 촬영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상기 구동유닛(13)은 해조류 등에 의해 쉽게 파손이 일어날 수 있으며, 해류의 세기, 날씨 등에 따라 구동유닛(13)의 크기를 변경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구동유닛(13)은 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탈착유닛(2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착유닛(20)에 의해 결합되는 구동유닛(13)은 후단에 구비되는 구동유닛(13)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도 4는 상기 탈착유닛(20)에 대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탈착유닛(20)은 본체와 구동유닛(13)의 결합부위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서, 탈착돌기(211)가 구비된 제1 탈착부재(21)와, 상기 탈착돌기(211)가 내삽되는 탈착홈(221)이 구비된 제2 탈착부재(22), 상기 탈착돌기(211)와 탈착홈(221)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탈착부재(22) 외면에 구비되는 고정링(226)과, 상기 탈착홈(221) 양측에서 각각 상기 탈착돌기(211)에 구비되는 결합홀(211a)로 인입되는 제1 고정마그넷(223)과 제2 고정마그넷(224)을 포함하는 고정부재(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링(226)이 상승하면, 상기 제1 고정마그넷(223)과 제2 고정마그넷(224)이 상기 결합홀(211a)에 내삽되어 상기 제1 탈착부재(21)와 제2 탈착부재(22)를 상호간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1 탈착부재(21)에는 탈착돌기(211)가 구비되고, 이 탈착돌기(211)에는 양측에서 상기 제1 고정마그넷(223)과 제2 고정마그넷(224)이 인입될 수 있는 결합홀(211a)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탈착부재(22)의 상면에는 상기 탈착돌기(211)가 안착될 수 있는 탈착홈(221)이 형성되고, 상기 탈착홈(221) 양측에는 각각 상부돌출부(221a)가 형성되며, 이 상부돌출부(221a)에는 상기 제1 고정마그넷(223)과 제2 고정마그넷(224)이 구비되는 제1 홀(221b)과 제2 홀(221c)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 고정마그넷(223)과 제2 고정마그넷(224)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마그넷으로서, 상기 탈착홈(221)에 탈착돌기(211)가 안착되면, 상기 제1 고정마그넷(223)과 제2 고정마그넷(224)의 일부가 상기 결합홀(211a)에 인입되어, 상기 탈착돌기(211)의 이탈을 방지하고, 이 때 상기 제1 고정마그넷(223)과 제2 고정마그넷(224)이 서로 다른 극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자성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마그넷(223)과 제2 고정마그넷(224)을 인입시키기 위하여, 자성과는 별도의 힘이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고정마그넷(223)과 제2 고정마그넷(224) 하부에는 각각 제1 지지돌기(223a)와 제2 지지돌기(224a)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제1 지지돌기(223a)와 제2 지지돌기(224a) 각각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제1 탄성체(223b) 및 제2 탄성체(224b)가 각각 구비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고정마그넷(223)과 제2 고정마그넷(224)이 상기 결합홀(211a)에 손쉽게 인입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 탈착부재(21)를 상기 제2 탈착부재(22)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상기 제1 고정마그넷(223)과 제2 고정마그넷(224)을 각각 제1 홀(221b)과 제2 홀(221c)의 위치로 원위치 시켜야 하는데, 상기 제1 탄성체(223b)와 제2 탄성체(224b)의 탄성력 및 상기 제1 고정마그넷(223)과 제2 고정마그넷(224)의 자성에 의해 임의로 원위치 될 수 없는 바,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링(226)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정링(226)은 상기 제2 탈착부재(22) 외면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링(226)의 내측에는 공간부(226a)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간부(226a)에는 공회전링(227)이 더 구비되어 상기 공회전링(227)이 상기 제1 고정마그넷(223)과 제2 고정마그넷(224)에 각각 제1 라인(223c)과 제2 라인(224c)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공회전링(227)은 상기 고정링(226)이 회전하는 경우, 함께 회전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만 승하강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상기 공회전링(227)의 외면에는 공회전돌기(227a)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링(226)의 내측, 즉 공간부(226a)의 내측면에는 상기 공회전돌기(227a)가 안착되는 공회전홈(226b)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링(226)이 회전하여도, 상기 공회전링(227)은 함께 회전하지 않고 승하강 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돌기(211)를 탈착홈(221)에 안착시키면, 상기 고정링(226)을 회전시켜 상승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고정마그넷(223)과 제2 고정마그넷(224)이 각각 상기 결합홀(211a)에 인입되어 상기 탈착돌기(211)를 고정한다.
반대로, 상기 탈착돌기(211)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링(226)을 회전시켜 하강시키고, 고정링(226)이 하강하면 상기 공회전링(227)이 함께 하강하며, 이 때 제1 라인(223c)과 제2 라인(224c)이 상기 제1 고정마그넷(223)과 제2 고정마그넷(224)을 당겨 자연스럽게 제1 고정마그넷(223)과 제2 고정마그넷(224)을 양측으로 멀어지게 함으로서, 상기 결합홀(211a)로부터 이탈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나아가 상기 공간부(226a)는 상기 제1 라인(223c)과 제2 라인(224c)이 당겨질 때, 이를 고정링(226)이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됨으로서, 제1 라인(223c)과 제2 라인(224c)이 상기 고정링(226)에 의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딥러닝을 이용한 해양 탐사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 탐사시스템 10 : 탐사유닛
11 : 촬영부재 13 : 구동유닛
15 : 조명부재 DB : 데이터베이스부
T : 처리부 D : 출력시스템
20 : 탈착유닛 21 : 제1 탈착부재
22 : 제2 탈착부재 24 : 고정부재

Claims (4)

  1. 해양영상정보 및 생태정보를 촬영 및 수집하는 탐사유닛(10);
    탐사유닛(10)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DB);
    상기 데이터베이스부(DB)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하여 생태정보를 분석하여 맵핑하는 처리부(T);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탐사유닛(10)은
    수집되는 정보를 분석 및 분류하는 딥러닝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양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탐사유닛(10)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전방을 촬영하는 촬영부재(11), 상기 본체에 탈착유닛(20)에 의해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유닛(13)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탈착유닛(20)은
    본체와 구동유닛(13)의 결합부위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서, 탈착돌기(211)가 구비된 제1 탈착부재(21)와, 상기 탈착돌기(211)가 내삽되는 탈착홈(221)이 구비된 제2 탈착부재(22), 상기 탈착돌기(211)와 탈착홈(221)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탈착부재(22) 외면에 구비되는 고정링(226)과, 상기 탈착홈(221) 양측에서 각각 상기 탈착돌기(211)에 구비되는 결합홀(211a)로 인입되는 제1 고정마그넷(223)과 제2 고정마그넷(224)을 포함하는 고정부재(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링(226)이 상승하면, 상기 제1 고정마그넷(223)과 제2 고정마그넷(224)이 상기 결합홀(211a)에 내삽되어 상기 제1 탈착부재(21)와 제2 탈착부재(22)를 상호간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을 이용한 해양 탐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탐사유닛(10)은 대상해역을 격자형으로 구획화 하여 지그재그로 이동하면서 탐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을 이용한 해양 탐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T)에는 전송된 생태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출력시스템(D)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을 이용한 해양 탐사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DB)와 상기 처리부(T)는 모두 상기 탐사유닛(1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을 이용한 해양 탐사 시스템.
KR1020190001021A 2019-01-04 2019-01-04 딥러닝을 이용한 해양 탐사 시스템 KR101988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021A KR101988963B1 (ko) 2019-01-04 2019-01-04 딥러닝을 이용한 해양 탐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021A KR101988963B1 (ko) 2019-01-04 2019-01-04 딥러닝을 이용한 해양 탐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963B1 true KR101988963B1 (ko) 2019-06-13

Family

ID=66847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021A KR101988963B1 (ko) 2019-01-04 2019-01-04 딥러닝을 이용한 해양 탐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9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227B1 (ko) * 2019-07-03 2020-02-2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중의 타겟 물체를 수색하기 위한 자율 무인 잠수정의 운용 시스템 및 방법
KR102318565B1 (ko) 2021-03-30 2021-10-29 주식회사 제이제이앤컴퍼니스 수중 생태 및 환경 감시 시스템
KR20220051529A (ko) 2020-10-19 2022-04-26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수중드론과 소나를 이용한 해양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051533A (ko) * 2020-10-19 2022-04-26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수중드론을 이용한 수중 탐사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1354A (ko) * 2012-08-10 2014-02-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중 로봇의 주변 영상 생성 장치 및 수중 로봇의 주변 영상 생성 방법
KR101635623B1 (ko) * 2015-04-10 2016-07-04 (주)한국연안환경생태연구소 해양 저서생태계 변화 예측 시스템
KR20180065411A (ko) * 2016-12-07 2018-06-1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상객체의 자동추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1354A (ko) * 2012-08-10 2014-02-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중 로봇의 주변 영상 생성 장치 및 수중 로봇의 주변 영상 생성 방법
KR101635623B1 (ko) * 2015-04-10 2016-07-04 (주)한국연안환경생태연구소 해양 저서생태계 변화 예측 시스템
KR20180065411A (ko) * 2016-12-07 2018-06-1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상객체의 자동추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227B1 (ko) * 2019-07-03 2020-02-2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중의 타겟 물체를 수색하기 위한 자율 무인 잠수정의 운용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51529A (ko) 2020-10-19 2022-04-26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수중드론과 소나를 이용한 해양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051533A (ko) * 2020-10-19 2022-04-26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수중드론을 이용한 수중 탐사시스템
KR102431452B1 (ko) * 2020-10-19 2022-08-10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수중드론을 이용한 수중 탐사시스템
KR102318565B1 (ko) 2021-03-30 2021-10-29 주식회사 제이제이앤컴퍼니스 수중 생태 및 환경 감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963B1 (ko) 딥러닝을 이용한 해양 탐사 시스템
Armstrong et al. Underwater robotic technology for imaging mesophotic coral ecosystems
US10649316B2 (en) Aquatic visual data collector
Davis et al. A three‐axis fast‐tow digital Video Plankton Recorder for rapid surveys of plankton taxa and hydrography
Livanos et al. Intelligent navigation and control of a prototype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for automated inspection of aquaculture net pen cages
CA2814843C (en) Sonar data collection system
US20180217256A1 (en) Water temperature overlay systems and methods
KR20210007767A (ko) 딥러닝-영상인식 기반 해상폐기물 제거용 자율운항 선박 시스템
CN105775073A (zh) 一种模块化水下遥控机器人
Giddens et al. Th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deep-sea camera system: A low-cost remote video survey instrument to advance biodiversity observation in the deep ocean
EP2863257B1 (en) Underwater images acquisition and processing system
Marouchos et al. A shallow water AUV for benthic and water column observations
DE102018215096A1 (de) Autonomes Unterwasserfahrzeug zur Unterstützung der Fischerei
Berkenpas et al. A buoyancy-controlled lagrangian camera platform for in situ imaging of marine organisms in midwater scattering layers
CN109202911B (zh) 一种基于全景视觉的集群两栖机器人三维定位方法
WO2022075853A1 (en) Generating three-dimensional skeleton representations of aquatic animals using machine learning
Girdhar et al. CUREE: A curious underwater robot for ecosystem exploration
CN116724964A (zh) 基于灯光诱集的鱼类检测系统及方法
Raber et al. A low-cost small unmanned surface vehicle (sUSV) for very high-resolution mapping and monitoring of shallow marine habitats
Jenkin et al. Progress towards underwater 3D scene recovery
Moustahfid et al. Advances in fisheries science through emerging observing technologies
KR102431452B1 (ko) 수중드론을 이용한 수중 탐사시스템
Kelasidi et al. Cagereporter-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autonomous, bio-interactive and high-quality data acquisition from aquaculture net cages
KR101493956B1 (ko) 다수의 2d 초음파 이미지를 이용한 대상물의 3d 형상모델 추출방법 및 그 추출장치
CN211087281U (zh) 海洋测量机器人和海洋测量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