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474B1 -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474B1
KR101988474B1 KR1020120088634A KR20120088634A KR101988474B1 KR 101988474 B1 KR101988474 B1 KR 101988474B1 KR 1020120088634 A KR1020120088634 A KR 1020120088634A KR 20120088634 A KR20120088634 A KR 20120088634A KR 101988474 B1 KR101988474 B1 KR 101988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message
connection
client device
c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2257A (ko
Inventor
허재형
엄봉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8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474B1/ko
Publication of KR20140022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2Managing session states for stateless protocols; Signalling session states; State transitions; Keeping-stat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개시한다.  즉,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푸쉬메시지를 클라이언트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메시지전달세션을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장치로부터 비연결유지 프로토콜 기반의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연결유지 프로토콜 기반의 상기 푸쉬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상기 메시지전달세션을 활성화하여 상기 푸쉬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로서 상기 클라이언트장치에 전달함으로써, 상이한 접속 프로토콜을 하나의 커넥션으로 유지시켜 원활한 인스턴스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ESSAHE SERVICE,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인스턴스 메시지 서비스(Instance Message Service) 환경에서 서비스장치가 지원하는 접속 프로토콜과 클라이언트장치에 적용된 접속 프로토콜이 상이한 경우에 이를 하나의 커넥션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기존 인스턴스 메시지 서비스는 클라이언트장치-서버(Server) 기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소켓 서버(Socket Server)를 이용한 서비스가 일반적이다.
이에, 인스턴스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장치의 경우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연동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소켓 라이브러리를 제공하여 이에 기반한 TCP 기반의 소켓 접속을 지원한다.
한편, 클라이언트장치에서 웹 브라우저를 통한 HTTP 기반의 서비스 접속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 클라이언트장치와 서비스장치 간 접속 프로토콜의 차이로 인해 서비스 이용이 불가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활한 인스턴스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장치에서 지원하는 소켓 접속과 클라이언트장치에서의 HTTP 기반 접속을 하나의 커넥션으로 유지시켜주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인스턴스 메시지 서비스 환경에서 서비스장치가 지원하는 접속 프로토콜과 클라이언트장치에 적용된 접속 프로토콜이 상이한 경우에 이를 하나의 커넥션으로 유지시켜 원활한 인스턴스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은, 비연결유지 프로토콜 기반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생성된 메시지전달세션을 통해 푸쉬메시지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장치; 상기 클라이언트장치를 대상으로 한 연결유지 프로토콜 기반의 상기 푸쉬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장치; 및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푸쉬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상기 메시지전달세션을 생성하며,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상기 푸쉬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상기 메시지전달세션을 활성화하여 상기 푸쉬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로서 상기 클라이언트장치에 전달하는 접속관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접속관리장치는, 비연결유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클라이언트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장치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클라이언트연동부; 연결유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서비스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푸쉬메시지를 수신하는 서비스장치연동부; 및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푸쉬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상기 메시지전달세션을 생성하며,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상기 푸쉬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상기 메시지전달세션을 활성화하여 상기 푸쉬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로서 상기 클라이언트장치에 전달하는 접속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장치로부터의 서비스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장치가 상기 서비스장치에 서비스 접속되도록 하며,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장치의 서비스 접속을 확인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장치에 대한 상기 메시지전달세션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제적으로, 상기 접속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장치로부터 푸쉬메시지 수신을 위한 상기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이벤트정보로서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상기 푸쉬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이벤트정보로서 저장된 응답메시지를 통해 상기 푸쉬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장치에 대한 상기 클라이언트장치의 서비스 접속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상기 푸쉬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클라이언트장치로부터 새로운 푸쉬메시지 수신을 위한 상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방법은, 접속관리장치가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푸쉬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메시지전달세션을 생성하는 세션생성단계; 상기 클라이언트장치가 비연결유지 프로토콜 기반의 서비스 요청을 상기 접속관리장치에 전송하는 수신하는 서비스요청수신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클라이언트장치를 대상으로 한 연결유지 프로토콜 기반의 상기 푸쉬메시지를 상기 접속관리장치에 전송하는 메시지전송단계; 및 상기 접속관리장치가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상기 푸쉬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메시지전달세션을 활성화하여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로서 상기 푸쉬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장치에 전달하는 메시지전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접속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푸쉬메시지를 클라이언트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메시지전달세션을 생성하는 세션생성단계; 클라이언트장치로부터 비연결유지 프로토콜 기반의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서비스요청수신단계; 및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연결유지 프로토콜 기반의 상기 푸쉬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상기 메시지전달세션을 활성화하여 상기 푸쉬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로서 상기 클라이언트장치에 전달하는 메시지전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션생성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장치로부터의 서비스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장치에 상기 클라이언트장치가 서비스 접속되도록 하는 접속유도단계; 및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장치의 서비스 접속을 확인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장치에 대한 상기 메시지전달세션을 생성하는 접속확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시지전달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장치로부터 푸쉬메시지 수신을 위한 상기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이벤트정보로서 저장하는 이벤트정보저장단계; 및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상기 푸쉬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이벤트정보로서 저장된 응답메시지를 통해 상기 푸쉬메시지를 전달하는 응답메시지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벤트정보저장단계는, 상기 서비스장치에 대한 상기 클라이언트장치의 서비스 접속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상기 푸쉬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클라이언트장치로부터 새로운 푸쉬메시지 수신을 위한 상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여 이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상기 이벤트정보로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인스턴스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장치가 지원하는 TCP 소켓 접속과 클라이언트장치에 적용된 HTTP 기반 접속을 하나의 커넥션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원활한 인스턴스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관리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은, 서비스장치(300)로부터 제공되는 인스턴스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클라이언트장치(100), 클라이언트장치(100)와 서비스장치(300)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접속관리장치(200), 및 클라이언트장치(100)를 대상으로 인스턴스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장치(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클라이언트장치(100)는 인스턴스 메시지 서비스 이용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개인용컴퓨터(PC), 노트북, 테블릿 PC, 및 PDA,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비연결유지 프로토콜을 통해 접속관리장치(200)에 접속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비연결유지 프로토콜은 설정된 세션이 유지가 요구되지 않는 프로토콜 다시 말해, 한번의 'Request'에 대한 'Response' 후 송신단과 수신단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프로토콜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가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장치(300)는 클라이언트장치(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인스턴스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프로바이더(Service Provider) 서버를 지칭하는 것으로, 연결유지 프로토콜을 통해 접속관리장치(200)와 연동되게 된다.
여기서, 연결유지 프로토콜은 설정된 세션을 유지하는 프토토콜 다시 말해, 'Request'에 대한 'Response' 후 송신단과 수신단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프로토콜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기반의 소켓 접속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접속관리장치(200)는 서비스장치(300)가 지원하는 연결유지 프로토콜과 클라이언트장치(100)에 적용된 비연결유지 프로토콜을 하나의 커넥션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플랫폼 서버를 지칭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장치(100)는 비연결유지 프로토콜을 통해 접속관리장치(200)에 서비스 요청을 전달하여 서비스장치(300)가 제공하는 인스턴스 메시지 서비스를 수신하며, 서비스장치(300)의 경우 연결유지 프로토콜을 통해 클라이언트장치(100)의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연결유지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서비스장치(300)에 클라이언트장치(100)를 대상으로 하는 푸쉬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장치(100)가 서비스장치(300)에 대한 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푸쉬메시지를 전달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클라이언트장치(100)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비연결유지 프로토콜을 적용함에 따라, 서비스장치(300)와의 지속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없어 푸쉬메시지를 전달할 수 없게 되므로, 정상적인 인스턴스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서비스장치(300)가 지원하는 연결유지 프로토콜 기반의 접속과 클라이언트장치(100)에 적용된 비연결유지 프로토콜 기반 접속을 하나의 커넥션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클라이언트장치(100)는 인스턴스 메시지 서비스 접속을 위해 비연결유지 프로토콜 기반 서비스 요청을 접속관리장치(200)에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장치(100)는 인스턴스 메시지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서비스 접속을 위한 서비스 요청(HTTP Request)을 접속관리장치(200)에 전달하여 서비스장치(300)에 대한 접속을 요청하게 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장치(100)는 'A사' 'B사' 각각에 해당하는 서비스장치(300)에 등록된 자신의 계정으로 로그인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을 전달함으로써, 'A사' 'B사' 각각에 해당하는 서비스장치(300)에 대한 서비스 접속을 요청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접속관리장치(200)는 클라이언트장치(100)가 서비스장치(300)에 서비스 접속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속관리장치(200)는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요청에 포함된 로그인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로그인 정보를 서비스장치(300)에 전달함으로써, 클라이언트장치(100)가 서비스장치(300)에 서비스 접속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접속관리장치(200)는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 'A사' 'B사'의 서비스장치(300)에 등록된 로그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각각의 로그인 정보를 해당 서비스장치(300)에 전달하여 각각의 서비스장치(300)가 제공하는 인스턴스 메시지 서비스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접속관리장치(200)는 클라이언트장치(100)에 대한 메시지전달세션을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속관리장치(200)는 서비스장치(300)로부터 클라이언트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접속이 완료되었음이 통지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장치(100)에 대한 세션식별정보를 발급하여 발급된 세션식별정보에 맵핑된 메시지전달세션을 생성하며, 발급된 세션식별정보를 클라이언트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클라이언트장치(100)는 세션식별정보의 수신에 따라 푸쉬메시지의 수신을 접속관리장치(200)에 요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장치(100)는 세션식별정보의 수신에 따라 접속관리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컴포넌트(Open API 'notification')를 이용하여 접속관리장치(200)에 탑재된 커밋 서블릿(Comet Servlet)을 호출하고, 이를 통해 푸쉬메시지의 수신을 요청하게 된다.
여기서, 커밋 서블릿은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의 명시적인 요청이 없어도 접속관리장치(200)에서 클라이언트장치(100)로 푸쉬메시지를 전달하도록 동작하는 웹 프로그래밍 모델을 지칭한다.
이에, 접속관리장치(200)는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의 푸쉬메시지 수신 요청을 처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속관리장치(200)는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 푸쉬메시지 수신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푸쉬메시지 수신 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HTTP Response)를 저장한다.
나아가, 서비스장치(300)는 클라이언트장치(100)를 대상으로 한 연결유지 프로토콜 기반의 푸쉬메시지를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장치(300)는 서비스 접속 중인 클라이언트장치(100)에 대한 푸쉬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접속관리장치(200)에 전송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서비스장치(300)에 서비스 접속 중인 또 다른 클라이언트장치 '사용자 B'가 서비스 접속중인 클라이언트장치(100) '사용자 A'에 대한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경우, 서비스장치(300)는 해당 메시지를 접속관리장치(200)에 전송하여 클라이언트장치(10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접속관리장치(200)는 상기 서비스장치(300)로부터 수신된 푸쉬메시지를 클라이언트장치(100)에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속관리장치(200)는 서비스장치(300)로부터 푸쉬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클라이언트장치(100)에 대해 생성된 메시지전달세션을 활성화하여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푸쉬메시지 수신 요청에 대응하여 저장된 응답메시지를 통해 푸쉬메시지를 클라이언트장치(100)에 전달한다.
이와 관련하여, 클라이언트장치(100)는 새로운 푸쉬메시지 수신을 접속관리장치(200)에 요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장치(100)는 수신된 푸쉬메시지를 메시지 타입별로 처리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새로운 푸쉬메시지의 수신을 접속관리장치(200)에 요청하게 된다.
이에, 접속관리장치(200)는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의 푸쉬메시지 수신 요청을 처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속관리장치(200)는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 푸쉬메시지 수신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푸쉬메시지 수신 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HTTP Response)를 새롭게 저장함으로써, 이후에 서비스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푸쉬메시지를 새롭게 저장된 응답메시지를 통해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관리장치(2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관리장치(200)는 비연결유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클라이언트장치(100)와 연동하기 위한 클라이언트연동부(210); 연결유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서비스장치(300)와 연동하기 위한 서비스장치연동부(220); 및 서비스장치(300)가 지원하는 연결유지 프로토콜 기반의 접속과 클라이언트장치(100)에 적용된 비연결유지 프로토콜 기반 접속을 하나의 커넥션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접속제어부(2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전술한 클라이언트연동부(210), 서비스장치연동부(220) 및 접속제어부(230)를 포함하는 접속관리장치(200)의 각각의 구성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접속제어부(230)는 클라이언트장치(100)가 서비스장치(300)에 서비스 접속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속제어부(230)는 클라이언트연동부(210)를 통해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 서비스 접속을 위한 서비스 요청(HTTP Request)이 수신되는 경우, 수신되는 서비스 요청에 포함된 로그인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로그인 정보를 서비스장치연동부(220)를 통해 서비스장치(300)에 전달함으로써, 클라이언트장치(100)가 서비스장치(300)에 서비스 접속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접속관리장치(200)는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 'A사' 'B사'의 서비스장치(300)에 등록된 로그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각각의 로그인 정보를 해당 서비스장치(300)에 전달하여 각각의 서비스장치(300)가 제공하는 인스턴스 메시지 서비스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접속제어부(230)는 클라이언트장치(100)에 대한 메시지전달세션을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속제어부(230)는 서비스장치연동부(220)를 통해 서비스장치(300)로부터 클라이언트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접속이 완료되었음이 통지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장치(100)에 대한 세션식별정보를 발급하여 발급된 세션식별정보에 맵핑된 메시지전달세션을 생성하며, 발급된 세션식별정보를 클라이언트연동부(210)를 통해 클라이언트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접속제어부(230)는 발급된 세션식별정보와 이에 맵핑되어 생성된 메시지전달세션을 세션 풀(Pool)에 저장하여 이를 비연결유지 프로토콜과 연결유지 프로토콜을 하나의 커넥션으로 연결하기 위한 정보로서 활용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클라이언트장치(100)는 세션식별정보의 수신에 따라 클라이언트연동부(210)가 제공하는 서비스컴포넌트(Open API 'notification')를 이용하여 커밋 서블릿(Comet Servlet)을 호출하고, 이를 통해 푸쉬메시지의 수신을 요청하게 된다.
이에, 접속제어부(230)는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 푸쉬메시지 수신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푸쉬메시지 수신 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HTTP Response)를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속제어부(230)는 세션식별정보를 수신한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 호출된 커밋 서블릿을 통해 푸쉬메시지 수신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호출된 커밋 서블릿을 통해 수신되는 클라이언트장치(100)의 세션식별정보가 전술한 세션 풀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아울러, 접속제어부(230)는 세션식별정보가 세션 풀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푸쉬메시지 수신 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HTTP Response)를 포함하는 커밋이벤트를 세션 풀에 저장하고,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 호출된 커밋 서블릿을 종료하게 된다.
나아가, 접속제어부(230)는 상기 서비스장치(300)로부터 수신된 푸쉬메시지를 클라이언트장치(100)에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속제어부(230)는 서비스장치연동부(220)를 통해 서비스장치(300)로부터 푸쉬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클라이언트장치(100)에 대한 푸쉬메시지큐(Push Message Queue)에 저장한다.
아울러, 접속제어부(230)는 상기 푸쉬메시지큐 저장된 가장 최신의 메시지를 추출하여 이를 세션 풀에 저장된 클라이언트장치(100)의 커밋이벤트에 포함된 응답메시지(Http Response)로서 클라이언트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클라이언트장치(100)는 수신된 푸쉬메시지를 메시지 타입별로 처리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관리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컴포넌트(Open API 'notification')를 이용하여 접속관리장치(200)에 탑재된 커밋 서블릿(Comet Servlet)을 호출하고, 호출된 커밋 서블릿을 통해 새로운 푸쉬메시지의 수신을 요청하게 된다.
이에, 접속제어부(230)는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의 푸쉬메시지 수신 요청을 처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속제어부(230)는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 호출된 커밋 서블릿을 통해 수신되는 클라이언트장치(100)의 세션식별정보가 전술한 세션 풀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아울러, 접속제어부(230)는 세션식별정보가 세션 풀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푸쉬메시지 수신 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HTTP Response)를 포함하는 커밋이벤트를 세션 풀에 저장하고,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 호출된 커밋 서블릿을 종료하게 된다.
이때, 접속제어부(230)는 상기 푸쉬메시지 수신 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HTTP Response)를 새롭게 저장하여 이후에 서비스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푸쉬메시지를 상기 응답메시지를 통해 전달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동작은 서비스장치(300)에 대한 클라이언트장치(100)의 서비스 접속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반복 수행하게 된다.
한편, 접속제어부(230)는 푸쉬메시지를 기 수신한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 설정시간이 경과하도록 푸쉬메시지 수신이 요청되지 않는 경우, 클라이언트연동부(210)를 통해 클라이언트장치(100)에 접속 확인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고, 전송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 수신되지 않을 경우, 클라이언트장치(100)와의 접속이 해제된 것으로 간주하여 세션 풀에 저장된 클라이언트장치(100)와 관련한 정보를 모두 삭제하여 세션 풀의 성능과 정보관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서비스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푸쉬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메시지전달세션을 생성하고, 이후 서비스장치(300)로부터 푸쉬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생성된 메시지전달세션을 활성화하여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로서 상기 푸쉬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서비스장치(300)가 지원하는 연결유지 프로토콜 기반의 접속과 클라이언트장치(300)에 적용된 비연결유지 프로토콜 기반 접속을 하나의 커넥션으로 유지시킴에 따라 원활한 인스턴스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클라이언트장치(100)가 인스턴스 메시지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서비스 접속을 위한 서비스 요청(HTTP Request)을 접속관리장치(200)에 전달하여 서비스장치(300)에 대한 접속을 요청하게 된다(S110-S120).
이에, 접속관리장치(200)는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요청에 포함된 로그인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로그인 정보를 서비스장치(300)에 전달함으로써, 클라이언트장치(100)가 서비스장치(300)에 서비스 접속되도록 한다(S130).
그리고 나서, 접속관리장치(200)는 서비스장치(300)로부터 클라이언트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접속이 완료되었음이 통지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장치(100)에 대한 세션식별정보를 발급하여 발급된 세션식별정보에 맵핑된 메시지전달세션을 생성하며, 발급된 세션식별정보를 클라이언트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S140-S180).
이에, 클라이언트장치(100)는 세션식별정보의 수신에 따라 접속관리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컴포넌트(Open API 'notification')를 이용하여 접속관리장치(200)에 탑재된 커밋 서블릿(Comet Servlet)을 호출하고, 이를 통해 푸쉬메시지의 수신을 요청하게 된다(S190).
그런 다음, 접속관리장치(200)는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 푸쉬메시지 수신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푸쉬메시지 수신 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HTTP Response)를 저장한다(S200).
나아가, 서비스장치(300)는 서비스 접속 중인 클라이언트장치(100)에 대한 푸쉬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접속관리장치(200)에 전송하게 된다(S210).
이에, 접속관리장치(200)는 서비스장치(300)로부터 푸쉬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클라이언트장치(100)에 대해 생성된 메시지전달세션을 활성화하여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푸쉬메시지 수신 요청에 대응하여 저장된 응답메시지를 통해 푸쉬메시지를 클라이언트장치(100)에 전달한다(S220).
이와 관련하여, 클라이언트장치(100)는 클라이언트장치(100)는 수신된 푸쉬메시지를 메시지 타입별로 처리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새로운 푸쉬메시지의 수신을 접속관리장치(200)에 요청하게 된다(S230).
이후, 접속관리장치(200)는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 푸쉬메시지 수신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요청에 포함된 세션식별정보가 세션 풀에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여 상기 푸쉬메시지 수신 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HTTP Response)를 새롭게 저장하게 된다(S240).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장치(2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접속제어부(230)는 클라이언트연동부(210)를 통해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 서비스 접속을 위한 서비스 요청(HTTP Request)이 수신되는 경우, 수신되는 서비스 요청에 포함된 로그인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로그인 정보를 서비스장치연동부(220)를 통해 서비스장치(300)에 전달함으로써, 클라이언트장치(100)가 서비스장치(300)에 서비스 접속되도록 한다(S310-S320).
그리고 나서, 접속제어부(230)는 서비스장치연동부(220)를 통해 서비스장치(300)로부터 클라이언트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접속이 완료되었음이 통지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장치(100)에 대한 세션식별정보를 발급하여 발급된 세션식별정보에 맵핑된 메시지전달세션을 생성하며, 발급된 세션식별정보를 클라이언트연동부(210)를 통해 클라이언트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S330-S350).
이때, 접속제어부(230)는 발급된 세션식별정보와 이에 맵핑되어 생성된 메시지전달세션을 세션 풀(Pool)에 저장하여 이를 비연결유지 프로토콜과 연결유지 프로토콜을 하나의 커넥션으로 연결하기 위한 정보로서 활용하게 된다.
그런 다음, 접속제어부(230)는 세션식별정보를 수신한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 호출된 커밋 서블릿을 통해 푸쉬메시지 수신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푸쉬메시지 수신 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HTTP Response)를 포함하는 커밋이벤트를 세션 풀에 저장하고,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 호출된 커밋 서블릿을 종료하게 된다(S370).
나아가, 접속제어부(230)는 서비스장치연동부(220)를 통해 서비스장치(300)로부터 푸쉬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클라이언트장치(100)에 대한 푸쉬메시지큐(Push Message Queue)에 저장하고, 상기 푸쉬메시지큐 저장된 가장 최신의 메시지를 추출하여 이를 세션 풀에 저장된 클라이언트장치(100)의 커밋이벤트에 포함된 응답메시지(Http Response)로서 클라이언트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S380-S390).
이와 관련하여, 클라이언트장치(100)는 수신된 푸쉬메시지를 메시지 타입별로 처리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관리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컴포넌트(Open API 'notification')를 이용하여 접속관리장치(200)에 탑재된 커밋 서블릿(Comet Servlet)을 호출하고, 호출된 커밋 서블릿을 통해 새로운 푸쉬메시지의 수신을 요청하게 된다.
이후, 접속제어부(230)는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의 푸쉬메시지 수신 요청이 새롭게 수신되는 경우, 상기 푸쉬메시지 수신 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HTTP Response)를 다시 저장하여 이후에 서비스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푸쉬메시지를 상기 응답메시지를 통해 전달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동작은 서비스장치(300)에 대한 클라이언트장치(100)의 서비스 접속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반복 수행하게 된다(S40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시Q방법에 따르면, 서비스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푸쉬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메시지전달세션을 생성하고, 이후 서비스장치(300)로부터 푸쉬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생성된 메시지전달세션을 활성화하여 클라이언트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로서 상기 푸쉬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서비스장치(300)가 지원하는 연결유지 프로토콜 기반의 접속과 클라이언트장치(300)에 적용된 비연결유지 프로토콜 기반 접속을 하나의 커넥션으로 유지시킴에 따라 원활한 인스턴스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클라이언트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클라이언트장치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인스턴스 메시지 서비스 환경에서 서비스장치가 지원하는 접속 프로토콜과 클라이언트장치에 적용된 접속 프로토콜이 상이한 경우에 이를 하나의 커넥션으로 유지시킨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클라이언트장치
200: 접속관리장치
210: 클라이언트연동부 220: 서비스장치연동부
230: 접속제어부
300: 서비스장치

Claims (10)

  1. 삭제
  2. 비연결유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클라이언트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장치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클라이언트연동부;
    연결유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서비스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푸쉬메시지를 수신하는 서비스장치연동부; 및
    상기 비연결유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클라이언트장치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되면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푸쉬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메시지전달세션을 생성하며,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상기 푸쉬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상기 메시지전달세션을 활성화하여 상기 푸쉬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로서 상기 클라이언트장치에 전달하는 접속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관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장치로부터의 서비스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장치가 상기 서비스장치에 서비스 접속되도록 하며,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장치의 서비스 접속을 확인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장치에 대한 상기 메시지전달세션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관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장치로부터 푸쉬메시지 수신을 위한 상기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이벤트정보로서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상기 푸쉬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이벤트정보로서 저장된 응답메시지를 통해 상기 푸쉬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관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장치에 대한 상기 클라이언트장치의 서비스 접속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상기 푸쉬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클라이언트장치로부터 새로운 푸쉬메시지 수신을 위한 상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관리장치.
  6. 삭제
  7.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푸쉬메시지를 클라이언트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메시지전달세션을 생성하는 세션생성단계;
    클라이언트장치로부터 비연결유지 프로토콜 기반의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서비스요청수신단계; 및
    상기 비연결유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클라이언트장치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되면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푸쉬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메시지전달세션을 생성하며,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상기 푸쉬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상기 메시지전달세션을 활성화하여 상기 푸쉬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로서 상기 클라이언트장치에 전달하는 메시지전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생성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장치로부터의 서비스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장치에 상기 클라이언트장치가 서비스 접속되도록 하는 접속유도단계; 및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장치의 서비스 접속을 확인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장치에 대한 상기 메시지전달세션을 생성하는 접속확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전달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장치로부터 푸쉬메시지 수신을 위한 상기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이벤트정보로서 저장하는 이벤트정보저장단계; 및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상기 푸쉬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이벤트정보로서 저장된 응답메시지를 통해 상기 푸쉬메시지를 전달하는 응답메시지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정보저장단계는,
    상기 서비스장치에 대한 상기 클라이언트장치의 서비스 접속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상기 푸쉬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클라이언트장치로부터 새로운 푸쉬메시지 수신을 위한 상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여 이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상기 이벤트정보로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20088634A 2012-08-13 2012-08-13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988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634A KR101988474B1 (ko) 2012-08-13 2012-08-13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634A KR101988474B1 (ko) 2012-08-13 2012-08-13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257A KR20140022257A (ko) 2014-02-24
KR101988474B1 true KR101988474B1 (ko) 2019-06-12

Family

ID=50268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634A KR101988474B1 (ko) 2012-08-13 2012-08-13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4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544B1 (ko) * 2018-11-19 2020-06-16 주식회사 유비펀스튜디오 푸쉬 기반의 통신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8298A (ja) * 2002-03-27 2003-10-10 Hitachi Ltd プッシュサービス情報中継装置およびプッシュサービス情報中継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728B1 (ko) * 2002-12-10 2006-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종 관리 프로토콜 기반의 웹 기반 통합 관리 시스템
KR100866227B1 (ko) * 2006-03-03 2008-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의 통지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00034225A (ko) * 2008-09-23 2010-04-01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기반 보안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8298A (ja) * 2002-03-27 2003-10-10 Hitachi Ltd プッシュサービス情報中継装置およびプッシュサービス情報中継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257A (ko) 2014-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34356A1 (en) Metho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implementing application based on blockchain network
JP5986654B2 (ja) ウェブソケット通信の分散エミュレーションを通してウェブアプリケーションサポートを提供する企業クライアント/サーバー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488268B1 (ko) 푸시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233263B1 (ko) 피드백 메시지를 이용한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9951488B (zh) 内容分发网络的服务实现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P1921792A1 (en) Communication system, key management/delivery server, terminal apparatus, data communication method used for them, and program thereof
US9124494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performing remote management of a managed machine
KR101602760B1 (ko) p2p 연결을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트래픽의 절감 방법 및 그 장치
KR10173510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6511865A (ja) 広域分散型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情報を伝達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0574518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performing remote management of a managed machine
CN103209392A (zh) 一种跨进程多应用消息推送方法及装置
US20120324022A1 (en) Push gateway systems and methods
CA25335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munication for component applications
KR101973531B1 (ko) 복수의 클라이언트 간의 어플리케이션 자동 공유 방법 및 장치
CN102724050A (zh) 设备管理系统中对网关进行初始化的方法及装置
KR101988474B1 (ko)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8285784B2 (en) Service creation via presence messaging
KR100694871B1 (ko) 무선 개방망에서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게이트웨이 시스템및 그 서비스 방법
CN104683419A (zh) 一种基于android系统和m2m的通信方法和系统
CA2632484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service relationship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mobile data server for connecting to a wireless network
KR20130111716A (ko) 적응형 메시징 방법 및 시스템
KR100587158B1 (ko) 무선 인터넷에서 자동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101747145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모바일 게임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모바일 게임의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1921636B1 (ko) 세션 제어 장치 및 방법과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