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908B1 - toothbrush for Pet - Google Patents

toothbrush for P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908B1
KR101987908B1 KR1020180163694A KR20180163694A KR101987908B1 KR 101987908 B1 KR101987908 B1 KR 101987908B1 KR 1020180163694 A KR1020180163694 A KR 1020180163694A KR 20180163694 A KR20180163694 A KR 20180163694A KR 101987908 B1 KR101987908 B1 KR 101987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toothbrush
bristles
brush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6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세인
오성헌
Original Assignee
남세인
오성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세인, 오성헌 filed Critical 남세인
Priority to KR1020180163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90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908B1/en
Priority to PCT/KR2019/017673 priority patent/WO202013050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5/00Muzz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75Brushes with an additional massag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6Toothbrush for cleaning animal teeth specifical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A toothbrush for a pet is disclosed. The disclosed toothbrush for a pet includes a bit member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of the pet to prevent the pet′s upper and lower teeth from touching each other so as not to bite a toothbrush member; and a toothbrush member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through the bit member, and to brush the upper and lower teeth of the pet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Description

애완동물용 칫솔{toothbrush for Pet}A toothbrush for a pet {toothbrush for Pet}

본 발명은 강아지,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의 치아를 칫솔질 하기 위한 애완동물용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이 칫솔부재를 물지 못하도록해 칫솔부재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게 하여 용이한 칫솔질이 이루어질 수 있는 애완동물용 칫솔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toothbrush for brushing teeth of a pet such as a dog, a cat, and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t toothbrush for preventing a pet from biting the toothbrush member and allowing free movement of the toothbrush memb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toothbrush.

최근, 강아지나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급증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 애완동물의 건강관리에 대한 중요성도 부각되고 있는 상태이다. In recent years, the population of pets such as dogs and cat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and the importance of pets for health care has also been emphasized.

특히, 애완동물이 노령화되면 치아 질환이 많이 생기게 되는데, 양치질을 제대로 해주지 않게 되면 치아 질환이 매우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pet is aged, many tooth diseases occur. If the teeth are not properly cleaned, tooth diseases can become very serious.

따라서, 애완동물에 대해 주기적인 양치질이 필요하나, 애완동물의 경우 칫솔질에 대한 거부감으로 인해, 입을 굳게 다물거나 치솔을 물어서 훈련이 되어 있지 않는 애완동물과 주인이 아니면 양치질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brush the pets, but in the case of pets, because of the resistance against brushing, it is almost impossible to brush the teeth unless the pets and the owner are untrained by closing the mouth or brushing the toothbrush.

시중에 치약을 단순히 발라주거나 음식물에 치석제거용 약품을 첨가하여 양치를 대신하기도 하나 실제 치솔질을 하는 것에 비해 효과가 매우 적다. It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oothpaste by simply applying toothpaste on the market or by adding chemicals for removing dental calculus to food, but it is very ineffective compared to actual brushing.

다른 방법으로는 먹을 수 있는 치약에 애완동물이 좋아하는 향을 첨가해서 애완동물이 치약을 핥아 먹느라 입을 벌릴때 잠깐 치솔질을 하는 방식으로 하는게 최선책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도 치아 안쪽 구석구석을 닦아낼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Another option is to add pet favorite fragrances to the toothpaste that you can eat, and then brush your teeth slightly while your pet is licking the toothpaste, but this is the best way to wipe the inside of the tooth. There was no limit.

등록실용신안 20-0463365호Registered utility model 20-0463365 공개특허 10-2018-0044446호Patent Document 10-2018-0044446

본 발명은 기존 애완동물이 칫솔부재를 물어 칫솔부재가 움직이지 못해 칫솔질을 할 수 없어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애완동물이 칫솔부재를 물지 못하도록 하는 재갈부재를 구비하여, 칫솔부재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애완동물의 치아에 대한 칫솔질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보다 깨끗한 칫솔질을 할 수 있도록 한 애완동물용 칫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rled member for preventing the pet from biting the toothbrush member so a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existing pet can not brush the toothbrush member because the toothbrush member can not move so that the free movement of the toothbrush member is possible So that the toothbrush of the pet can be more easily made and the toothbrush of the pet can be cleaned more cleanl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칫솔은 애완동물의 구강내에 삽입되어 애완동물의 윗치아와 아랫치아가 서로 닿지않도록 하여 칫솔부재를 물지 못하도록 하는 재갈부재; 상기 재갈부재를 관통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애완동물의 윗치와 아랫치아를 치솔질하도록 하는 칫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othbrush for pet, comprising: a curled elastic member inserted into an oral cavity of a pet to prevent the upper tooth and the lower tooth of the pet from touching each other, And a toothbrush member configured to move through the curled elastic member to brush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of the pet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상기 칫솔부재는,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을 관통하며, 후단을 사용자가 파지하여 조작하는 자루부; 상기 자루부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자루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애완동물의 윗치아와 아랫치아를 닦아주는 솔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Wherein the toothbrush member includes: a bag portion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hole and the second through-hole, the bag portion being gripped and operated by a user; And a sole portion formed at a distal end of the bag portion and wiping the upper and lower teeth of the pe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ag portion.

상기 재갈부재의 전후단에는 상기 자루부가 관통되는 전방통공과 후방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curled elastic member may be formed with front and rear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bag is inserted.

상기 후방통공은 상기 전방통공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상기 자루부의 후단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전후 또는 상하로 반복적인 조작을 하게 되면, 상기 자루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솔부가 상기 재갈부재에 대해 회동운동되면서 애완동물의 치아에 대한 칫솔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And the rear through-hole is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e front through-hole. When the bag is repeatedly operated in the forward, backward, or up and down directions while holding the rear end portion of the bag portion, the sole portion is pivotally moved with respect to the baggage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bag portion And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brushing of the pet's teeth.

상기 솔부는 상기 자루부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솔지지체와, 상기 솔지지체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칫솔모로 구성될 수 있다. The brush part may be formed of a bristle member integrally formed at the tip of the bag and brush bristles form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brush support.

상기 칫솔모에는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v형 홈이 형성되어, 상기 솔부가 움직여 애완동물의 치아를 닦아 줄때, 상기 v형 홈을 이루는 칫솔모의 끝단부가 상기 애완동물의 치와 측면과 접촉되어 이물질의 제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bristles are formed with v-shaped grooves in the width direction o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bristles move to wipe the teeth of the pet, the bristles forming the v-shaped grooves contact the tooth and the side surface of the pet, Can be efficiently removed.

상기 솔부는 상기 자루부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원형바형태의 솔지지체와, 상기 솔지지체의 외주면상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칫솔모로 구성될 수 있다. The brush part may be formed of a round bar shaped body integrally formed at the tip of the bag part and a bristle formed radially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rush support part.

상기 칫솔모에는 방사상의 칫솔모의 외주방향을 따라 v형 홈이 형성되어, 상기 솔부가 움직여 애완동물의 치아를 닦아 줄때, 상기 v형 홈을 이루는 칫솔모의 끝단부가 상기 애완동물의 치와 측면과 접촉되어 이물질의 제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bristles are formed with v-shaped groov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ristles. When the bristles move to wipe the teeth of the pet, the bristles forming the v-shaped grooves contact the tooth and the side of the pet So that the foreign matter can be efficiently removed.

상기 솔부는 상기 자루부의 말단에 형성된 제1솔부, 상기 제1솔부와 소정간격 이격배치되도록 상기 자루부의 말단으로부터 후단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제2솔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솔부와 상기 제2솔부는 상기 재갈부재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애완동물의 좌우측 치아를 동시에 닦아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Wherein the brush par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sole part formed at a distal end of the bag part and a second sole part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bag part to a rear en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ole part, And the two sole parts may be configured to wipe the left and right teeth of the pet at the same time so as to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urb member.

상기 재갈부재의 외주면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진 마사지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애완동물의 구강내 잇몸을 마사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massage protrusion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may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rled elastic member to massage gums in the oral cavity of the pet.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애완동물의 칫솔은 재갈부재와 칫솔부재가 조립된 형태로서, 재갈부재를 애완동물의 구강에 넣어 애완동물이 칫솔부재를 물지 못하도록 해 칫솔부재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해줄 수 있어, 칫솔부재로 애완동물의 치아 구석구석을 깨끗하게 용이하게 칫솔질해줄 수 있고, 이에 따라, 애완동물의 치아를 건강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the pet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rm in which the curb member and the toothbrush member are assembled, and the curb member is inserted into the mouth of the pet so that the pet can not bite the toothbrush member to freely move the toothbrush member Therefore, the toothbrush member allows the user to cleanly and easily brush all the teeth of the pet, thereby enabling the pet's teeth to be managed in a healthy manner.

또한, 본 발명의 칫솔부재는 자루부에 솔부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있어, 한꺼번에 양쪽 치아를 동시에 치솔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애완동물의 치아를 칫솔질하는데 걸릴 수 있는 시간을 현저히 줄여 효율적으로 칫솔질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oothbrush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air of sole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brush both teeth at the same time,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time taken for the user to brush teeth of a pet So that brushing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칫솔부재는 솔부의 칫솔모에 v형 홈이 형성되어 있어, v형 홈에 애완동물의 치아가 수용된 상태에서 칫솔질할 경우 칫솔모의 끝단이 치아의 옆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깨끗한 칫솔질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Further, since the toothbrush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shaped groove formed in the bristles of the sole portion, when the tooth is housed in the v-shaped groove, the tip of the bristles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tooth, There is an effect that brushing is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칫솔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칫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칫솔부재에 대한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의 (a)는 도 1의 칫솔부재에 대한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도시된 칫솔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칫솔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칫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칫솔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toothbrush for a p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a toothbrush for a p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toothbrush member of Fig. 1,
4 (a)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toothbrush member of Fig. 1
Fig. 4 (b) is a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toothbrush member shown in Fig. 4 (a)
5 is a view illustrating a toothbrush for a p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toothbrush for a p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views showing a toothbrush for a pe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another element, or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Further,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the components is exaggerated for an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 / or plan views that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the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an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Thus,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s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shapes that are produc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example, the etched area shown at right angles may be rounded or may have a shape with a certain curvature. Thus,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have attributes, and the shapes of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specific forms of regions of the ele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have only been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exemplified herein also include their complementary embodim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details have been set forth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in greater detail and to assist in understanding it. 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such specific details. In some instances, it should be noted that portions of the invention that are not commonly known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vention do not describe confusing reasons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칫솔(1)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pet toothbrush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3. Fig.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칫솔은 재갈부재(10)와 칫솔부재(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pet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curled elastic member (10) and a toothbrush member (20).

재갈부재(10)는 구형상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며 전후단에는 전방통공(12)과 후방통공(14)이 형성되며, 전방통공(12)과 후방통공(14)은 서로 연결되어 칫솔부재(20)가 관통가능하도록 구성된다. The front and rear through holes 12 and 1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toothbrush member 20 and the rear through hole 1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Can be penetrated.

재갈부재(10)의 크기는 애완동물의 구강에 투입되어, 애완동물의 윗치아와 아래치아가 서로 맞닿지 않고, 애완동물이 입을 벌린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The size of the curled elastic member 10 is put into the oral cavity of the pet so that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of the pet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pet keeps the mouth open state.

상기에서 재갈부재(10)는 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재갈부재는 원기둥, 육각면체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애완동물의 구강에 투입되어 애완동물의 윗치아와 아랫치아가 서로 맞닿지 않고 애완동물이 입을 벌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재갈부재(10)에 관통된 칫솔부재(20)를 애완동물이 물지못하도록 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어도 좋다. The curled elastic member 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rical shape or a hexagonal shape. The curled elastic member may be inserted into the mouth of a pet, The teeth may not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pet may keep the mouth open so that the pet can not be bitten by the toothbrush member 20 passed through the curled elastic member 10.

아울러, 재갈부재(10)의 외표면에는 복수의 마사지돌기(16)가 형성되며, 이 복수의 마사지돌기(16)는 실리콘등과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재갈부재(10)가 애완동물의 구강(입속)에 투입되는 경우, 마사지돌기(16)가 애완동물의 구강내 잇몸과 구강내부를 자극하여 마사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massage protrusions 16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rled elastic member 10, and the plurality of massage protrusions 16 may be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silicone. When the curled elastic member 10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mouth) of the pet, the massage protrusions 16 can massage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of the pet and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칫솔부재(20)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자루부(22)와, 이 자루부(22)의 선단에 형성되어, 애완동물의 치아를 닦아줄 수 있는 솔부(2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솔부(24)는 칫솔모(26)를 지지하며 자루부(22)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솔지지체(25)와, 이 솔지지체(25)에 형성되어 애완동물의 치아와 접촉되어 치아의 이물질을 닦아 제거해주는 칫솔모(2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toothbrush member 20 is configured to include a handle portion 22 for holding the user and a sole portion 24 formed at the tip of the handle portion 22 and capable of wiping the pet's teeth. The soled portion 24 includes a soled support member 25 integrally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handle portion 22 to support the bristles 26 and an elastic member 25 formed on the soled support member 25 for contacting the teeth of a pet animal, And bristles 26 for wiping and removing foreign matter.

칫솔부재(20)는 자루부(22)의 후단을 재갈부재(10)의 전방통공(12)을 통해 후방으로 밀어넣어 재갈부재(10)의 후방통공(14)을 빠져나도록 함으로써 재갈부재(10)를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othbrush member 20 pushes the rear end of the bag portion 22 backward through the front through hole 12 of the curling member 10 to allow it to escape from the rear through hole 14 of the curling member 10, As shown in FIG.

아울러, 치솔부재(20)는 재갈부재(10)에 관통된 형태로 조립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루부(22)의 후단을 파지하고, 자루부(22)를 밀거나 당기고, 회전시키거나 소정각도로 경사지도록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user may grasp the rear end of the bag portion 22 and push or pull the bag portion 22 or rotate the bag portion 22 in a state in which the brush member 20 is assembled in a form penetrating the curled elastic member 10. [ And can be configur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상기한 구성으로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재갈부재(10)에 칫솔부재(20)가 관통되도록 조립된 상태에서, 재갈부재(10)를 애완동물의 구강으로 투입시키면, 재갈부재(10)에 의해 애완동물이 칫솔부재(20)를 물지 못하게 되어, 사용자가 자루부(22)를 파지한 상태에서 칫솔부재(20)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솔부(24)를 통해 애완동물(P)의 치아(T)를 신속하고 깨끗하게 치솔질해 줄 수 있게 된다. 2, when the curled elastic member 10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of a pet animal in a state where the toothbrush member 20 is inserted into the curled elastic member 10 to penetrate the curled elastic member 10, The user can freely move the toothbrush member 20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holds the bag portion 22 so that the pet can move freely through the sole portion 24, The teeth T of the toothpaste P can be quickly and cleanly brushed.

한편, 본 발명에서, 칫솔부재(20)의 솔부(24)는 도 1과 같이, 솔지지체(25)의 일면에만 칫솔모(26)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3의 (a)와 같이, 솔지지체(25)의 양면에 각각 칫솔모(26)가 형성됨으로써, 재갈부재(10)에 의해 칫솔부재(20)의 자유로운 조작이 가능한 상태에서, 애완동물의 윗치아와 아랫치아를 동시에 닦아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도 3의 (b)와 같이 솔지지체(25')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원형바형태로 이루어지며, 원형바 형태의 솔지지체(25')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칫솔모(26)들이 형성되어 솔부(24'')이 원형봉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자루부(22)를 잡고 회전조작함에 따라 솔부(24'')가 회전운동하면서 애완동물의 치아에 대한 효과적인 치솔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1, the brush bristles 26 may be formed on only one side of the brush bristles 25, but the brush bristles 26 are not limited thereto, The brush bristles 26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rush support member 25 so that the toothbrush member 20 can be freely operated by the curled elastic member 10 as shown in Fig. And the brush teeth 25 'are not formed in a plate shape as shown in FIG. 3 (b) but are formed in a circular bar shape, and a circular bar shaped brush support member The bristles 26 are radi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22 so that the bristles 24 ''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rod so that the bristles 24 ' So that effective brushing of the pet's teeth can be achieved.

또한, 도 4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칫솔부재(20)의 솔부(24)는 솔지지체(25)의 일면에 칫솔모(26)가 구성되고, 이 칫솔모(26)에는 폭방향을 따라 v형 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c)와 같이, 솔부(24'')의 칫솔모(26)가 원형의 솔지지체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된 원형봉형태로 이루어지고, 이 칫솔모(26)에는 길이방향의 중간위치에 원주상으로 v형 홈(26c)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4 (a), the bristles 26 of the bristles 24 of the toothbrush memb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ristle member 25, To form a v-shaped groove. 4 (c), the bristles 26 of the sole portion 24 " are formed in the form of a circular bar formed radially from the circular soled jig. The bristles 26 are provided with a ring- And a v-shaped groove 26c is formed as a columnar phase.

이와 같이, 칫솔모(26)에 v형 홈(26a,26c)이 형성되는 경우, 도 4의 (b)와 도 4의 (d)와 같이, v형 홈(26a,26c)을 이루는 칫솔모(26)의 끝단부가 애완동물 치아(T)의 측면과 접촉될 수 있어 애완동물 치아에 붙어 있는 이물질의 제거가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v-shaped grooves 26a and 26c are formed in the bristles 26, as shown in Figs. 4 (b) and 4 (d), the bristles 26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pet tooth T, so that removal of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pet tooth can be made very effective.

도 4의 (b)와 같이 v형홈(26a)이 칫솔모(26)의 폭방향을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솔부(24)를 폭방향으로 왕복 또는 회전운동하도록 조작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When the v-shaped groove 26a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ristles 26 as shown in Fig. 4 (b), it may be preferable for the user to manipulate the sole portion 24 to reciprocate or rotate in the width direction.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은 v형 홈(26a)이 칫솔모(26)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솔부(24)가 전후로 반복움직이는 경우, v형 홈을 이루는 칫솔모(26)의 끝단부가 애완동물 치아의 측면과 접촉되어 치아에 붙은 이물질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v-shaped groove 26a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stles 26. In this case, when the sole portion 24 repeatedly moves forward and backward by the user's operation, v The tip of the bristles 26 forming the groove may be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pet tooth to effectively remove the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the teeth.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재갈부재(10)에 형성된 전방통공(12)과 후방통공(14)의 크기가 각각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재갈부재(10)에 형성된 후방통공(14)이 전방통공(12)에 비해 크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자루부(22)를 파지한 상태에서, 자루부(22)의 후단부를 위아래로 움직이게 되면, 솔부(24)가 재갈부재(10)에 대해 상하로 회동운동되면서 애완동물 치아에 대한 효과적인 칫솔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front through-hole 12 and the rear through-hole 14 formed in the curled elastic member 10 may be the same.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ar through-hole 14 formed in the curled elastic member 10, When the rear end portion of the bag portion 22 is moved up and down in a state where the user holds the bag portion 22, the solenoid portion 24 is mov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relative to the cog member 10 So that effective brushing of the pet teeth can be achieved.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칫솔(2)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 예는 제 1 실시 예에 비해, 재갈부재(10')의 형상 및 칫솔부재(20')의 솔부재(24-1,24-2) 갯수에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다. Hereinafter, a pet toothbrush 2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The secon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only in the shape of the curled elastic member 10 'and the number of the bristle members 24-1 and 24-2 of the toothbrush member 20' This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구체적으로, 재갈부재(10')는 원형기둥형태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마사지돌기(16)가 형성되어 있다. Specifically, the curled elastic member 10 'is formed in a circular column shape, and the massage protrusion 16 is formed radially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또한, 칫솔부재(20')는 자루부(22)와 한 쌍의 자루부(22)에 형성된 솔부재(24-1,24-2)가 한쌍으로 구성되어 재갈부재(10')의 전후 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othbrush member 20 'has a pair of bristles 22 and a pair of bristle members 24-1 and 24-2 formed on the pair of bridging parts 22, Respectively.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도 6과 같이, 재갈부재(10')를 애완동물의 구강에 투입하여 애완동물이 칫솔부재(20')를 물지 못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루부(22)의 후단부를 파지하고, 움직이면서 한 쌍의 솔부(24-1,24-2)를 통해 애완동물(P)의 좌우측 치아(T1,T2)를 동시에 닦아줄 수 있다. 이렇게 한 쌍의 솔부(24-1,24-2)가 애완동물의 좌우측 치아를 동시에 닦아주게 되면 사용자가 애완동물의 치아를 칫솔질하는데 걸릴 수 있는 시간을 현저히 줄여 줄 수 있다. 6, the user inserts the curled elastic member 10 'into the mouth of the pet animal so that the pet can not grasp the toothbrush member 20' The left and right teeth T1 and T2 of the pet P can be wiped simultaneously through the pair of sole parts 24-1 and 24-2 while gripping the parts. If the pair of sole parts 24-1 and 24-2 simultaneously wipe the left and right teeth of the pet, the time that the user can take to brush the teeth of the pe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한편, 애완동물의 크기에 따라, 애완동물의 좌우측 치아 사이의 거리가 다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한 쌍의 솔부(24-1,24-2)의 사이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칫솔부재(20')는 제1솔부(24-1)는 자루부(22)의 선단에 일체형태로 고정설치되며, 제1솔부(24-1)의 후방으로 배치되는 제2솔부(24-2)는 자루부(22)를 따라 위치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제1솔부재(24-1)와 제2솔부재(24-2)의 간격을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et,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teeth of the pet may be differen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sole parts 24-1 and 24-2 . That is, as shown in FIG. 7, the toothbrush memb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irst sole portion 24-1 fixedly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bag portion 22 as a single body, The second soled portion 24-2 disposed rearwar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its position along the magazine portion 22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oled members 24-1 and 24-2 Can be used.

이를 위해, 제2솔부(24-2)의 솔지지체(25)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홀(h, 도 8참조)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h)에 자루부(22)가 삽입되어, 제2솔부(24-2)가 자루부(22)를 따라 슬라이딩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자루부(2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위치고정나사홈(28)들이 형성되며, 제2솔부(24-2)의 솔지지체(25)의 배면에는 내측으로 솔지지체(25)를 관통하면서 나사체결되는 고정볼트(B)를 구비하며, 이 고정볼트(B)는 회전방향에 따라 전진하여 고정볼트(B)의 선단이 관통홀(h)의 내측으로 침범해 고정볼트(B)의 선단이 복수의 위치고정나사홈(28)들 중 하나에 끼워짐으로써, 제2솔부(24-2)가 자루부(22)의 길이방향 임의 위치에 위치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a through hole h (see FIG. 8) is formed in the backing support 25 of the second soled portion 24-2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the handle portion 2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h, So that the second sole portion 24-2 can be slidably moved along the bag portion 22. [ A plurality of position fixing screw grooves 28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g portion 22 and a soling jig 25 is provided inwardly on the rear surface of the soled support 25 of the second sole portion 24-2. The fixing bolt B advances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so that the tip end of the fixing bolt B penetrates into the through hole h to form the fixing bolt B, The second soled portion 24-2 may be fixed at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g portion 22 by inserting the leading end of the second solenoid 24-2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fixing screw grooves 28. [

사용자는 고정볼트(B)를 풀어 고정볼트(B)의 선단이 위치고정나사홈(28)에서 이탈되도록 한 후, 제2솔부(24-2)를 자루부(22) 상에서 위치이동시켜 위치조정한 후, 고정볼트(B)를 다시 조여 고정볼트(B)의 선단이 복수의 위치고정나사홈(28) 중 이동된 위치의 위치고정나사홈(28)에 끼워지게 함으로써, 제1솔부(24-1)에 대한 제2솔부(24-2)의 간격을 위치조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The user releases the fixing bolt B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fixing bolt B is released from the position fixing screw groove 28 and then the second soled portion 24-2 is moved on the handle portion 22, The front end of the fixing bolt B is fitted into the position fixing screw groove 28 at the moved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the position fixing screw grooves 28 so that the first solenoid 24 -1) of the second solenoid 24-2 can be adjusted and fixed.

아울러, 본 발명은 세척 등의 이유로 재갈부재(10')와 칫솔부재(20')를 분리해야 하는 경우, 고정볼트(B)를 풀어준 후, 도 8과 같이, 제2솔부재(24-2)를 자루부(22)을 후단으로 통해 빼내어 분리시킨 다음, 자루부(22)의 후단부를 통해 자루부(22)를 재갈부재(10')에서 빼내어 재갈부재(10')와 칫솔부재(20')를 서로 분리할 수 있다. 8, when the curled elastic member 10 'and the toothbrush member 20' are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due to washing or the like, the second bolt member 24- 2 is pulled out through the rear end of the bag portion 22 to be separated and then the bag portion 22 is pulled out of the bag 10 through the rear end portion of the bag portion 22, 20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all such appropriate change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may be resorted to,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재갈부재
12...전방통공
14...후방통공
16...마사지돌기
20...칫솔부재
22...자루부
24...솔부
25...솔지지체
26...칫솔모
10 ... curb member
12 ... front opening
14 ... rear opening
16 ... massage projection
20 ... toothbrush member
22 ... bag
24 ... the sole
25 ... sole support
26 ... bristles

Claims (10)

애완동물의 구강내에 삽입되어 애완동물의 윗치아와 아랫치아가 서로 닿지 않도록 하여 칫솔부재를 물지 못하도록 하며, 전후단에는 전방통공과 후방통공이 각각 형성된 재갈부재; 및,
상기 전방통공과 상기 후방통공를 통과하여 상기 재갈부재에 관통된 형태로 조립된 상태에서, 전후진 움직임과 회전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애완동물의 윗치와 아랫치아를 치솔질하도록 하는 칫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애완동물용 칫솔.
A curling member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of the pet such that the upper tooth and the lower tooth of the pet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event the toothbrush member from being bitten, and the front and rear ends are provided with a forward opening and a rear opening; And
Wherein the first and the second through holes are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crotch member,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and the rotational movements of the crotch member can be performed. Wherein the toothbrush member comprises a toothbrush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부재는,
상기 전방통공과 상기 후방통공을 관통하며, 후단을 사용자가 파지하여 조작하는 자루부;
상기 자루부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자루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애완동물의 윗치아와 아랫치아를 닦아주는 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칫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othbrush member comprises:
And it passes through the front aperture and the rear aperture, the bag unit for operating the rear end by the user and held;
And a sole portion formed at a distal end of the bag portion and wiping the upper and lower teeth of the pe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ag portion.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통공은 상기 전방통공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상기 자루부의 후단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전후 또는 상하로 반복적인 조작을 하게 되면, 상기 자루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솔부가 상기 재갈부재에 대해 회동운동되면서 애완동물의 치아에 대한 칫솔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칫솔.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rear through-hole is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e front through-hole. When the bag is repeatedly operated in the forward, backward, or up and down directions while holding the rear end portion of the bag portion, the sole portion is pivotally moved with respect to the baggage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bag portion Wherein the toothbrush is configured to perform brushing of a pet's teeth.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솔부는 상기 자루부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솔지지체와, 상기 솔지지체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칫솔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칫솔.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rush portion comprises a brush member formed integrally with a front end of the bag portion and brush bristles form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brush support memb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에는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v형 홈이 형성되어, 상기 솔부가 움직여 애완동물의 치아를 닦아 줄때, 상기 v형 홈을 이루는 칫솔모의 끝단부가 상기 애완동물의 치와 측면과 접촉되어 이물질의 제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칫솔.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ristles are formed with v-shaped grooves in the width direction o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bristles move to wipe the teeth of the pet, the bristles forming the v-shaped grooves contact the tooth and the side surface of the pet, Is removed. The toothbrush of claim 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솔부는 상기 자루부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원형바형태의 솔지지체와, 상기 솔지지체의 외주면상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칫솔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칫솔.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rush portion comprises a circular bar shaped brush member integrally formed at the tip of the bag portion and a bristle formed radial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ush support memb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에는 방사상의 칫솔모의 외주방향을 따라 v형 홈이 형성되어, 상기 솔부가 움직여 애완동물의 치아를 닦아 줄때, 상기 v형 홈을 이루는 칫솔모의 끝단부가 상기 애완동물의 치와 측면과 접촉되어 이물질의 제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칫솔.
8. The method of claim 7,
The bristles are formed with v-shaped groov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ristles. When the bristles move to wipe the teeth of the pet, the bristles forming the v-shaped grooves contact the tooth and the side of the pet And the foreign matter is removed efficientl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솔부는 상기 자루부의 말단에 형성된 제1솔부, 상기 제1솔부와 소정간격 이격배치되도록 상기 자루부의 말단으로부터 후단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제2솔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솔부와 상기 제2솔부는 상기 재갈부재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애완동물의 좌우측 치아를 동시에 닦아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칫솔.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rush par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sole part formed at a distal end of the bag part and a second sole part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bag part to a rear en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ole part, And the two sole parts are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wipe the left and right teeth of the pet so as to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urb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갈부재의 외주면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진 마사지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애완동물의 구강내 잇몸을 마사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칫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massage protrusion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rled elastic member so as to massage gums in the oral cavity of the pet.




KR1020180163694A 2018-12-18 2018-12-18 toothbrush for Pet KR1019879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694A KR101987908B1 (en) 2018-12-18 2018-12-18 toothbrush for Pet
PCT/KR2019/017673 WO2020130501A1 (en) 2018-12-18 2019-12-13 Pet toothbru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694A KR101987908B1 (en) 2018-12-18 2018-12-18 toothbrush for P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908B1 true KR101987908B1 (en) 2019-06-11

Family

ID=66846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694A KR101987908B1 (en) 2018-12-18 2018-12-18 toothbrush for Pe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87908B1 (en)
WO (1) WO2020130501A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479B1 (en) * 2007-07-23 2008-12-05 이병택 A toothbrush for a petdog
KR200455594Y1 (en) * 2011-03-28 2011-09-15 장인혜 Toothbrush for gum massage
KR200463365Y1 (en) 2010-04-23 2012-10-31 손현주 Toothbrush for pet with a head of exchanging type
KR101549195B1 (en) * 2014-02-26 2015-09-02 정세환 Byte block is equipped with a toothbrush
KR20180044446A (en) 2016-10-21 2018-05-03 백우인 Brush for pe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01946A1 (en) * 2005-11-08 2007-05-10 Barbara Penny Dog Toy Toothbrush
KR20120035107A (en) * 2010-10-04 2012-04-13 김정모 Bit for oral toothbrush of pet do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479B1 (en) * 2007-07-23 2008-12-05 이병택 A toothbrush for a petdog
KR200463365Y1 (en) 2010-04-23 2012-10-31 손현주 Toothbrush for pet with a head of exchanging type
KR200455594Y1 (en) * 2011-03-28 2011-09-15 장인혜 Toothbrush for gum massage
KR101549195B1 (en) * 2014-02-26 2015-09-02 정세환 Byte block is equipped with a toothbrush
KR20180044446A (en) 2016-10-21 2018-05-03 백우인 Brush for p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30501A1 (en)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7838B2 (en) Pet chew toy for dental self-cleaning by domestic pets
KR200493138Y1 (en) Toothbrush
US4109339A (en) Toothbrush with curved handle
US4738001A (en) Canine and feline toothbrush
US5647302A (en) Animal dental hygiene device
US9173476B2 (en) Chewing-based oral self-cleaning device
US20070101946A1 (en) Dog Toy Toothbrush
US4031587A (en) Toothbrush for canines
US9364305B2 (en) Animal dental cleaning device
US20150223594A1 (en) Toothbrush for human or non-human subjects
US20150114418A1 (en) Bristled toothpick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6700271B2 (en) Comb for animal hair care brush
JP2007530131A (en) toothbrush
US4498209A (en) Twin dental brush
KR101987908B1 (en) toothbrush for Pet
US9795116B1 (en) Pet hair brush
JP2006102519A (en) Animal mouth opener
US20030126705A1 (en) Tooth brush with four bristle groups
JP2610879B2 (en) Interdental rubbing stick
JP2007130117A (en) Chewing toothbrush
JP2012231968A (en) Toothbrush for pet
CA3135037A1 (en) Dental station and system for domestic animal dental care
US20220295973A1 (en) Veterinary toothbrush having dual heads
CN210520012U (en) Animal food for oral cavity cleaning
CN216219483U (en) Pet tooth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