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902B1 - A triboelectricity based dust capturing device - Google Patents

A triboelectricity based dust captur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902B1
KR101987902B1 KR1020170117126A KR20170117126A KR101987902B1 KR 101987902 B1 KR101987902 B1 KR 101987902B1 KR 1020170117126 A KR1020170117126 A KR 1020170117126A KR 20170117126 A KR20170117126 A KR 20170117126A KR 101987902 B1 KR101987902 B1 KR 101987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positive
whole
present
charg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1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9976A (en
Inventor
김병규
이동규
황보현
정진원
강형석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17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902B1/en
Publication of KR20190029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9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9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부; 지지부와 연결되어, 지지부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양의 대전체부; 및 지지부와 연결되어, 지지부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음의 대전체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음의 대전체부 각각은, 복수의 양의 대전체부 각각의 사이마다 배치되며, 복수의 양의 대전체부와 복수의 음의 대전체부는 서로 마찰되어 마찰 전기를 발생하는 먼지 포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support;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ification parts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s and protruding from the support parts; And a plurality of negative electrifying body portions that are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ortion and protrude from the supporting portion,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negative electrifying body portions is disposed between each of the plurality of positive electrifying body portions, And a plurality of negative and large parts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are frictioned with each other to generate triboelectricity.

Description

마찰 전기 기반의 먼지 포집 장치{A TRIBOELECTRICITY BASED DUST CAPTURING DEVICE}Description A TRIBOELECTRICITY BASED DUST CAPTURING DEVICE

본 발명은 마찰전기를 기반으로 하는 먼지 포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먼지 포집을 위해 나뭇잎의 표면 구조의 모사를 통해 먼지를 효율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ng apparatus based on a triboelectric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capable of efficiently collecting dust by simulating the surface structure of leaves for collecting dust.

공기 등의 기체에 포함된 미세 입자를 포집하기 위한 장치들이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와 같은 여과방식의 필터기술, 산업용 집진설비와 같은 장치는 높은 전력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Devices for trapping fine particles contained in a gas such as air are used in many fields. In general, devices such as filtration-type filter technologies such as air cleaners and industrial dust collectors often use high power.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자성필터를 사용하는 방식이 제안되었지만, 이는 금속성분의 먼지 흡착에 대해서만 고려한 장치로서, 통상적으로 실내용 공기청정기의 흡입구에 제한적으로 부착된다. 또한, 자성필터를 사용한 경우 흡착량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량에 따른 정화력 감소로 인하여 자성필터의 지속적인 교체가 필수적이다. To improve this, a method using a proposed magnetic filter has been proposed, but this is a device considered only for dust adsorption of metallic components, and is usually limitedly attached to the inlet of the indoor air cleaner. Further, since the amount of adsorption is limited when a magnetic filter is used, it is essential to continuously replace the magnetic filter due to the reduction of the purification power depending on the amount of use.

한편, 산업용 집진설비의 경우, 흡입한 먼지를 (-)극성으로 이온화시킨 뒤 양극 또는 음극으로 대전된 판에서 입자를 포집하는 원리가 일반적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industrial dust collector, the principle of collecting particles from a plate charged with an anode or a cathode is common after ionizing the sucked dust with a negative polarity.

따라서, 산업용 집진설비의 경우, 지속적인 전기 공급이 필요하며,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산업용 집진설비 주위에 금속 매질이 있을 경우, 오존 발생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환경적으로도 부수적인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Therefore, in the case of industrial dust collection equipment, it is necessary to supply electricity continuously and it is not easy to install. In addition, if there is a metal medium around the industrial dust collection facility, the possibility of ozone generation can not be ignored,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environmental problems will occur.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기 집진 시스템(1000)은,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유동되는 액체에 하전 장치(1001)를 통해 액체에 포함된 먼지를 대전시키고, 이러한 대전된 먼지를 집진부(1002)에서 포집하게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system 1000 described in the conventional patent document 1 charges the liquid contained in the liquid through the charging device 1001 to the liquid flowing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the collected dust is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ing unit 1002. [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기 집진 시스템(1000)은, 하전 장치(1001)를 구동하기 위해 상당히 높은 전력이 필요하게 되므로, 에너지적인 측면에서 효율성이 높지 않고, 설비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system 1000 described in the patent document 1 requires a considerably high electric power for driving the charging apparatus 1001, so that efficiency is not high in view of energy, .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습식집진장치(2000)는 물이 저수된 케이싱(2001) 내부에 외부의 구동 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디스크(2002)를 설치하여,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상기 디스크(2002)에 형성된 홀을 순차적으로 통과되면서, 디스크(2002) 표면에 먼지가 포집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11, the wet 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2000 described in the conventional patent document 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ks 2002 that rotate by external driving power inside a casing 2001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air containing dust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holes formed in the disk 2002 to collect dust on the disk 2002 surface.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습식집진장치(2000) 역시 디스크(2002)를 구동하기 위한 상당히 높은 전력이 필요하며, 소정량 이상의 먼지가 디스크(2002)에 포집되었을 경우에는, 디스크(2002)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사용 주기에 맞추어 디스크(2002)를 교체해야하는 문제점 있다. However, the wet 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2000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also requires a considerably high electric power for driving the disk 2002, and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of dust is collected on the disk 2002,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disk 2002 in accordance with the use period.

한국특허공보 제10-150233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502333 한국특허공보 제10-156456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564562

따라서, 본 발명은 자연풍에 의한 나뭇잎 구조물 사이의 마찰을 통해 발생된 마찰전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금속뿐만 아니라 비금속 성분의 먼지를 모두 포집이 가능한 먼지 포집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ing apparatus capable of collecting not only metal but also non-metallic dust, because it utilizes the triboelectricity generated through friction between leaf structures by natural wind.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전원이 필요 없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면에서 우수하고, 설치가 용이한 먼지 포집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ing apparatus that is excellent in energy efficiency and easy to install because an external power source is not required.

또한, 본 발명은 나뭇잎 구조물 표면에 나노 구조물을 구성하여 초소수성(Lotus effect)을 띄게 함으로써, 수분에 노출하는 것만으로 마찰 전기를 소멸시켜 자연적으로 세척이 가능하면서도 지속적인 먼지 포집이 가능한 먼지 포집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ly collecting dust while being able to clean naturally by extinguishing triboelectricity only by exposing it to moisture, by forming a nanostructure on the surface of a leaf structure, .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지부; 지지부와 연결되어, 지지부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양의 대전체부; 및 지지부와 연결되어, 지지부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음의 대전체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음의 대전체부 각각은, 복수의 양의 대전체부 각각의 사이마다 배치되며, 복수의 양의 대전체부와 복수의 음의 대전체부는 서로 마찰되어 마찰 전기를 발생하는 먼지 포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object,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ification parts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s and protruding from the support parts; And a plurality of negative electrifying body portions that are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ortion and protrude from the supporting portion,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negative electrifying body portions is disposed between each of the plurality of positive electrifying body portions, The plurality of negative and large parts can be frictioned with each other to generate a triboelectricity.

또한, 본 발명의 복수의 양의 대전체부 각각과 복수의 음의 대전체부 각각은, 골격부 및 골격부에 도포된 대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each of the plurality of positive charging body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the plurality of negative charging body por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keleton portion and a large whole coated on the skeleton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골격부는, 가요성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대전체의 표면에는,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the frame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in the unit of micrometers may b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base.

또한, 본 발명의 돌출부는, 대전체의 표면에 대하여 선형으로 배열될 수 있고, 복수의 돌출부는,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je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rranged linearly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whole of the base, and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can b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또한, 본 발명의 복수의 돌출부 각각의 표면에는 나노미터 크기 단위의 복수의 구조부가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on the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tructural parts in units of nanometer size can be formed.

또한, 본 발명의 양의 대전체부를 이루는 대전체는, 폴리우레탄, 소보텐, 마그네슘플로라이드, 나일론 중에서 선택될 있고, 음의 대전체부를 이루는 대전체는, 테플론, 고무, 바이톤, 네오프렌, 셀룰로우스-니트레이트, 올레핀, 폴리스티렌, 실리콘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The whole of the positive electrified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lected from among polyurethane, soothene, magnesium fluoride and nylon, and the whole of the negative electrified body portion may be selected from Teflon, rubber, Viton, neoprene, Cellulose-nitrate, olefin, polystyrene, and silicone.

또한, 본 발명의 양의 대전체부를 이루는 대전체의 전자 친화도와 음의 대전체부를 이루는 대전체의 전자 친화도 사이의 차이는 100nC/J 이상인 먼지 포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Fur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electron affinity of the whole of the positive electrification body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lectron affinity of the whole of the negative electrification body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100 nC / J or more.

본 발명과 관련하는 대기오염 관련 분야는 기술의 발전이 가져온 부작용 중 하나로 시간이 지날수록 지속적으로 심각해질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먼지 포집 장치는, 마찰전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외부 전원이 필요 없는 친환경 및 고효율의 공기 정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The air pollution related field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of the side effects brought about by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and it is presumed that it will continue to become serious as time goes by. Therefore, since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riboelectricity, an eco-friendly and highly efficient air purification method that does not require external power supply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먼지 포집 장치는, 환경오염 발생요인이 없으며 금속 및 비금속 성분의 모든 먼지를 지속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Further,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inuously collect all the dusts of metal and non-metal components without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또한, 본 발명의 먼지 포집 장치는, 인공 나뭇잎을 시스템화하여 나무와 같은 형태로 제작할 경우, 기존 나무가 가지는 미세먼지 포집 효율보다 향상된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원화가 어려운 도심환경을 개선하며, 심미적인 효과 또한 부여할 수 있는 차세대 공기정화 솔루션이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functional efficiency over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of conventional wood when the artificial leaves are systemized and formed like a tree, improves the urban environment which is difficult to park, It can be a next-generation air purification solution that can also provide aesthetic benefi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먼지 포집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기재된 A 부분의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양의 대전체부와 음의 대전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에 기재된 B 부분의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돌출부와 구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구조부를 통해, 소수성이 구현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a는 소수성이 구현되지 않은 표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라 소수성이 구현되는 표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라, 돌출부가 선형적으로 배열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돌출부를 통해 미세 먼지가 이동하는 궤적을 나타내는 실험 결과이고, 도 7b는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미세 먼지가 이동하는 궤적을 나타내는 실험 결과이며, 도 7c는 단위면적당 대전된 전하의 량인 표면 전하 밀도를 색으로 표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라, 양의 대전체부와 음의 대전체부가 서로 마찰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8에 기재된 양의 대전체부와 음의 대전체부 사이의 마찰을 통해, 양의 대전체부와 음의 대전체부가 대전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전기 집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습식 집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shown in Fig. 1, and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ositive charging body and a negative charg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shown in Fig. 2, schematically showing protrusions and structural part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implementation of hydrophobicity through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schematically shows a surface on which hydrophobicity is not realized, and FIG. 5B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rface on which hydrophobicity is realiz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at protrusions are linearly arran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s an experimental result showing a trajectory of fine dust moving through a protru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B is an experimental result showing a trajectory in which fine dust moves when a protrusion is not formed, FIG. The surface charge density, which is the charge amount per unit area, is expressed in color.
Fig. 8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at a positive charging body portion and a negative large-body portion are rubb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at a positive charging body portion and a negative large charging portion are electrically charged through friction between the positive charging body portion and the positive charging body portion described in Fig. 8;
10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electric dust collection system.
11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wet type dust collector.

이하,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찰 전기를 기반으로 하는 먼지 집진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 형태에서는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Prior to explanation, elem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only other elements will be described in the other embodiments.

본 발명은 나뭇잎의 표면에 자연적으로 먼지가 흡착되는 것에 착안하여, 인공 나뭇잎 표면의 구조를 재현함으로써, 외부전원 없이 설치가 용이하고 환경 친화적인 고효율의 먼지 포집 장치(1)를 제안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ly efficient dust collecting apparatus (1) which is easy to install without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is environmentally friendly, by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dust naturally attracts to the surface of the leaves and reproducing the structure of the artificial leaf surf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먼지 포집 장치(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먼지 포집 장치(1)는 지지부(10)에 복수의 대전체부들(20, 30)이 돌출되어 연결되어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collec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 dust collec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harging members 20 and 30 protruded from a supporting unit 10.

구체적으로, 복수의 양의 대전체부(20)들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전술한 소정의 간격 사이에 복수의 음의 대전체부(30)들이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양의 대전체부(20)들과 복수의 음의 대전체부들(30)들은 전기 등의 별도의 구동 전력등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풍에 따른 복수의 대전체부들(20, 30)의 흔들림에 따라, 인접하는 대전체부(20, 30)와 서로 마찰하여 마찰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마찰 전기 발생의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하겠다. Specifically, a plurality of positive charging body portions 20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negative charging body portions 30 are disposed between the predetermined intervals. The plurality of positive charging portions 20 and the plurality of negative charging portions 30 may be formed by a plurality of charging portions 20 and 30 corresponding to natural winds without using separate driving power such as electricity, It is possible to generate friction electricity by rubbing against the adjacent charging body portions 20 and 30, respectively.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generation of the triboelectricity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는 도 1에 기재된 A 부분의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양의 대전체부(20)와 음의 대전체부(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참고로, 양의 대전체부(20)와 음의 대전체부(30)는 구조적으로 같은 구조를 갖기 때문에, 대전체부(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shown in Fig. 1, and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sitive charging body 20 and a negative charging body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ference, only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charging body 20 will be described because the positive charging body 20 and the negative charging body 30 have the same structur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체부(20)는 골격부(21)에 양 또는 음의 성질을 갖는 대전체(22)를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골격부(21)는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자연풍 등의 외력이 가해질 때 전체 대전체부(20)가 전체적으로 흔들릴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charging body 20 can be formed by applying a large-sized body 22 having positive or negative properties to the skeleton portion 21. As shown in FIG. The skeleton portion 21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when the external force such as natural wind is applied, the entire charging body portion 20 can be totally shaken.

또한, 도포된 양 또는 음의 성질을 갖는 대전체(22)의 표면에는 마이크로미터 크기 단위의 복수의 돌출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돌출부(23)를 통해, 양의 성질을 갖는 대전체(22)가 도포된 양의 대전체부(20)와 음의 성질을 갖는 대전체(22)가 도포된 음의 대전체부(30)가 자연풍을 통해 흔들려 서로 충돌하는 경우, 양의 대전체부(20)와 측면에서 인접하는 음의 대전체부(30)가 서로 마찰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23 of a micrometer-size unit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22 having the applied positive or negative properties. A positive charging body portion 20 coated with a large body 22 having a positive property and a negative charging body portion 30 coated with a large body 22 having a negative characteristic are provided through a plurality of projections 23,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ossibility that the positive charging body 20 and the negative charging body 30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side are rubbed against each other.

구체적으로, 도 8은 양의 대전체부(20)와 측면에서 바로 인접하는 음의 대전체부(30)가 서로 충돌되어 마찰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9는 양의 대전체부(20)와 음의 대전체부(30) 사이의 마찰을 통해, 양의 대전체부(20)와 음의 대전체부(30)가 대전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at the positive charging body portion 20 and the negative charging body portion 30 immediately adjacent to the side face collide with each other and rub against each other. FIG.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positive charging body portion 20 The positive charging body 20 and the negative charging body 30 are charged through the friction between the negative charging body 30 and the negative charging body 30. As shown in FIG.

물체들 사이의 마찰을 통한 전기장의 발생은, 두 물체 사이의 고유의 전자 친화도에 따라 계산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물체들의 전자 친화도는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The generation of an electric field due to friction between objects can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intrinsic electron affinity between two objects, and the electron affinities of general objec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표 1][Table 1]

Figure 112017088933913-pat00001
Figure 112017088933913-pat00001

[표 1]에 도시된 자료에 따라, 예를 들어, +60nC/J의 폴리우레탄과 72nC/J의 실리콘을 마찰하면, 폴리우레탄은 양의 값인 +132nC/J를 갖고, 실리콘은 음의 값인 132nC/J를 갖게 된다. According to the data shown in Table 1, for example, when a polyurethane of +60 nC / J and a silicone of 72 nC / J are rubbed, the polyurethane has a positive value of + 132 nC / J, 132 nC / J.

따라서, 양의 대전체부(20)에 도포되는 대전체(22)는 전자 친화도 값이 양의 값으로 비교적 큰 값을 갖는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위 [표 1]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소보텐, 마그네슘플로라이드, 나일론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Therefore, the large body 22 applied to the positive charging body 20 can be made of materials having a relatively large value of the electron affinity value as a positive value, for example, in Table 1 above, Polyurethane, soothene, magnesium fluoride, and nylon.

또한, 음의 대전체부(30)에 도포되는 대전체(22)는 전자 친화도 값이 음의 값으로 비교적 큰 값을 갖는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위 [표 1]에 있어서, 테플론, 고무, 바이톤, 네오프렌, 셀루로우스-니트레이트, 올레핀, 폴리스티렌, 실리콘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Materials having a relatively large value of the electron affinity value as a negative value may be used as the large body 22 applied to the negative charging body portion 30. For example, in Table 1 above, Teflon, rubber, Viton, neoprene, cellulose-nitrate, olefin, polystyrene, silicone.

또한, 양의 대전체부(20)에 도포되는 대전체(22) 재료의 전자 친화도와 음의 대전체(30)에 도포되는 대전체(22) 재료의 전자 친화도의 차가 클수록 더욱 큰 마찰 전기를 생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그 차이는 100nC/J 이상이면 실용적으로 바람직하다. The larg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electron affinity of the material of the large-sized whole 22 applied to the positive charging body 20 and the electron affinity of the material of the large-sized object 22 applied to the negative large-sized object 30, For example, the difference of 100 nC / J or higher is practically preferable.

한편, 미세먼지를 유인하는 힘은 입자와 대전체 표면의 전하량과, 미세 먼지 입자와 대전체 표면 사이의 거리에 좌우되는데, 대전체의 표면 전하량은 표면 전하 밀도와 대전체 표면적의 곱으로 결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orce that attracts fine dust depends on the charge of the particles and the large surfac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ne dust particles and the large surface. The amount of surface charges on the large surface can be determined by multiplying the surface charge density by the surface area have.

또한, 도 7c은 단위면적당 대전된 전하량인 표면 전하 밀도를 색으로 표시한 것으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백색에 가까울수록 표면 전하 밀도가 높고, 하측의 흑색에 가까울수록 표면 전하 밀도가 낮은 것을 나타낸다. 7C shows the surface charge density as a charge amount per unit area in color. As shown in FIG. 7C, the surface charge density is higher near the upper white color, and the surface charge density closer to the lower black color Is low.

도 7a는 돌출부(23)가 형성된 경우 미세 먼지가 이동하는 궤적을 나타내는 실험 결과이고, 도 7b는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미세 먼지가 이동하는 궤적을 나타내는 실험 결과이다. FIG. 7A is an experimental result showing the trajectory of fine dust moving when the protruding portion 23 is formed, and FIG. 7B is an experimental result showing a trajectory of fine dust moving when the protruding portion is not formed.

구체적으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체(22) 표면에 돌출부(23)가 형성되는 경우, 대전체(22)는 돌출부(23)의 양 측면의 면적(S)에 해당하는 만큼 추가적인 면적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대전체의 표면 전하량은 돌출부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크게 증가될 수 있다. 7A, when the projections 23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arge-size body 22, the large-size whole body 22 is provided with an additiona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rea S on both sides of the projecting portion 23 Since the area can be ensured, the amount of surface charge of the whole of the base can be grea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re is no protrusion.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3)가 형성되지 않더라도 수직 낙하하는 미세 먼지 입자들을 소정의 각도(β)로 유인할 수 있지만,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3)를 통해 대전체(22)의 표면적이 크게 증가한 경우, (β)각도보다 큰 각도(α)로 미세 먼지 입자들을 유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7A, even if the projections 23 are not formed, the fine dust particles falling vertically can be attrac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s shown in Fig. 7B. However, as shown in Fig. 7A, It can be confirmed that when the surface area of the entire body 22 is greatly increased, fine dust particles are attracted at an angle? Larger than the angle?.

또한, 도 7c에 기재된 표면 전하 밀도를 참고하였을 때, 도 7a는 황색에 가까운 전하 밀도를 나타내었고, 도 7b는 적색에 가까운 전하 밀도를 나타내었고, 이는 도 7a에 기재된 구성의 대전된 전하량이 도 7b에 기재된 구성의 대전된 전하량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7A shows a charge density close to yellow, and FIG. 7B shows a charge density close to red, which indicates that the amount of charge in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FIG. 7b. ≪ / RTI >

또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2)들 사이에 미세 먼지 입자들이 안착할 수 있는 공간(C)이 마련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미세 먼지 입자들을 포집할 수 있다. Further, as shown in Fig. 7A, since the space C in which the fine dust particles can settle can be provided between the projections 22,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llect the fine dust particles.

한편, 미세 먼지 입자들이 상당량으로 포집된 이후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먼지 포집 장치(1)의 포집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먼지 포집 장치(1)는 포집된 미세 먼지 입자들을 세척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fine dust particles are collected in a considerable amount,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duced. Therefore,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leaning the collected fine dust particles,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도 3은 도 2에 기재된 B 부분의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돌출부(23)와, 돌출부(23) 표면에 나노미터 크기 단위의 복수의 구조부(24)들이 형성되어 있다.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shown in Fig. 2, in which protrusions 2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lurality of structural parts 24 of nanometer size unit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rotrusions 23.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구조부(24)에 물 입자(W)를 접촉시킨 경우의 모식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입자(W)는 물의 표면 장력으로 인하여 구조부(24) 위에서 물 입자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려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양의 대전체부(20)의 돌출부(23)와 음의 대전체부(30)의 돌출부(23)는 소수성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water particles W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tructure section 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water particles W have a structure The protrusions 23 of the positive charging body 20 and the protrusions 23 of the negative charging body 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hydrophobic .

구체적으로, 도 5a에서 소수성이 구현되지 않은 표면,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구조부(24)가 형성되지 않은 표면은 물 입자(W)의 형상이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미세 먼지 입자(P)들을 포획하지 못하고 거동된다. Specifically, the surface on which the hydrophobic property is not implemented in FIG. 5A, that is, the surface on which the structure 24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formed, is adsorbed on the surface because the shape of the water particles W is not maintained The fine dust particles P can not be trapped.

그러나, 도 5b에서 소수성이 구현된 표면,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구조부(24)가 형성된 표면은 물 입자(W)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회전하여 이동(Roll-off)하기 때문에,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미세 먼지 입자(P)들을 함께 포획하여 거동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surface on which hydrophobicity is implemented in FIG. 5B, that is, the surface on which the structure 24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rolls off while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water particles W, It can be trapped by capturing fine dust particles (P) adsorbed on the surfac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먼지 포집 장치(1)의 양의 대전체부(20)와 음의 대전체(30)는 구조적인 구성으로서 소수성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미 포집된 미세 먼지 입자들을 물로 세척하는 것만으로도 매우 간편하게 미세 먼지 입자들을 대전체부(20, 30)로부터 탈락시킬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positive charging body 20 and the negative large body 30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hydrophobicity as a structural constitution, the fine dust particles The fine dust particles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charging body 20, 30 simply by washing them with water.

또한, 구조부(24)의 형성을 통해, 양의 대전체부(20)에 형성된 돌출부(23)와 음의 대전체부(30)에 형성된 돌출부(23) 사이의 마찰 효율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structure portion 24, the friction efficiency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23 formed in the positive charging body portion 20 and the protruding portion 23 formed in the negative charging body portion 30 can be effectively improved.

전술한 설명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그러므로, 지금까지 전술한 실시 형태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상기 실시 형태들에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균등한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sha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양의 대전체부와 음의 대전체부에 형성된 돌출부를 통해 효과적인 마찰을 유도하여, 자연풍만으로도 미세 먼지 입자들을 포집할 수 있는 먼지 포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전원 공급이 필요하지 않은 친환경의 고효율 미세 먼지 정화 시스템으로 이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dust collecting device capable of inducing effective friction through a protruding portion formed on a positive charging body and a negative charging body to collect fine dust particles by natural wind alone. Therefore, it can be used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high efficiency fine dust cleaning system which does not require a separate power supply.

또한, 이미 포집된 미세 먼지 입자들을 물의 세척만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용이한 미세 먼지 정화 시스템으로 이용될 수 있다. Further, since already collected fine dust particles can be removed only by washing with water, they can be used as an easy-to-use fine dust cleaning system.

1 먼지 포집 장치
10 지지부
20 양의 대전체부
21 골격부
22 대전체
23 돌출부
23a 선형 돌출부
24 구조부
30 음의 대전체부
1 Dust Collector
10 Support
20 positive charging body
21 skeleton
All 22 cars
23 protrusion
23a linear protrusion
24 Structure
30 negative charging body

Claims (10)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양의 대전체부; 및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음의 대전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음의 대전체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양의 대전체부 각각의 사이마다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양의 대전체부와 상기 복수의 음의 대전체부는 서로 마찰되어 마찰 전기를 발생하고,
상기 복수의 양의 대전체부 각각과 상기 복수의 음의 대전체부 각각은, 골격부 및 상기 골격부에 도포된 대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대전체의 표면에는,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복수의 돌출부가 상기 대전체의 표면에 대하여 복수의 돌출부들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선형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포집 장치.
A support;
A plurality of positively charged bodies protruding from the supporter; And
And a plurality of negative charging parts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art and protruding from the supporting part,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negative charging body portions is disposed between each of the plurality of positive charging body portions,
Wherein the plurality of positive electrified body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negative major portion portions are rubbed to generate triboelectricity,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positive charging members and the plurality of negative charging members each include a skeleton and a large whole coated on the skeleton,
Wherein a plurality of protrusions in the micrometer unit are formed linearly on the surface of the base as a whole with a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base as a whol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부는, 가요성의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포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keleton portion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 각각의 표면에는 나노미터 크기 단위의 복수의 구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포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structural parts of nanometer size unit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의 대전체부를 이루는 대전체는, 폴리우레탄, 소보텐, 마그네슘플로라이드, 나일론 중에서 선택되는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포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rge overall body constituting the positive electrified body portion is a material selected from polyurethane, soothene, magnesium fluoride, and nyl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의 대전체부를 이루는 대전체는, 테플론, 고무, 바이톤, 네오프렌, 셀룰로우스-니트레이트, 올레핀, 폴리스티렌, 실리콘 중에서 선택되는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포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rge overall body constituting the negative charging body is a material selected from Teflon, rubber, Viton, neoprene, cellulose-nitrate, olefin, polystyrene and silico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의 대전체부를 이루는 대전체의 전자 친화도와 상기 음의 대전체부를 이루는 대전체의 전자 친화도 차이는 100nC/J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포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ifference between the electron affinity of the whole of the positive electrification body and the electron affinity of the whole of the negative electrification body is 100 nC / J or more.
KR1020170117126A 2017-09-13 2017-09-13 A triboelectricity based dust capturing device KR1019879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126A KR101987902B1 (en) 2017-09-13 2017-09-13 A triboelectricity based dust captur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126A KR101987902B1 (en) 2017-09-13 2017-09-13 A triboelectricity based dust captur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976A KR20190029976A (en) 2019-03-21
KR101987902B1 true KR101987902B1 (en) 2019-06-11

Family

ID=66036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126A KR101987902B1 (en) 2017-09-13 2017-09-13 A triboelectricity based dust captur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902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6574A (en) 2000-10-26 2002-05-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tatic electricity generation type dust collector
KR100889619B1 (en) 2006-07-05 2009-03-2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fabricating superhydrophobic surface and solid having superhydrophobic surface structure by the same method
JP5036675B2 (en) 2008-10-03 2012-09-26 三菱電機株式会社 Filter and air conditioner
KR101325010B1 (en) * 2011-07-29 2013-11-0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Super-hydrophobic transparent thin film with nano-patterned polymer needle arr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5083293A (en) 2013-09-17 2015-04-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Electric dust collection filter unit
JP2016093239A (en) 2014-11-12 2016-05-26 帝人株式会社 Structure having dust collecting function, friction body, and brush-like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442A1 (en) 2012-11-30 2014-06-05 주식회사 지홈 Electric dust collector using electric displacement field
KR101564562B1 (en) 2013-12-23 2015-10-3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Wet type scrubbers
KR101793387B1 (en) * 2016-08-25 2017-11-13 한석진 Ciliary filter and filt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6574A (en) 2000-10-26 2002-05-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tatic electricity generation type dust collector
KR100889619B1 (en) 2006-07-05 2009-03-2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fabricating superhydrophobic surface and solid having superhydrophobic surface structure by the same method
JP5036675B2 (en) 2008-10-03 2012-09-26 三菱電機株式会社 Filter and air conditioner
KR101325010B1 (en) * 2011-07-29 2013-11-0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Super-hydrophobic transparent thin film with nano-patterned polymer needle arr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5083293A (en) 2013-09-17 2015-04-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Electric dust collection filter unit
JP2016093239A (en) 2014-11-12 2016-05-26 帝人株式会社 Structure having dust collecting function, friction body, and brush-like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976A (en) 201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worek et al. Hybrid electrostatic filtration systems for fly ash particles emission control. A review
Han et al. Removal of particulate matter emissions from a vehicle using a self-powered triboelectric filter
CN103418191A (en) Electrically enhanced air filtration with improved efficacy
US9808809B2 (en) Dust collector, electrode selection method for dust collector, and dust collection method
KR20180043561A (en) Static electricity air filter
CN103752123A (en) Self-cleaning stain-resistant oil fume and dust fog air filtering and purifying equipment
CN106563570A (en) Gas dedusting device with stirring parts, dedusting system and dedusting method
CN104368445A (en)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KR101987902B1 (en) A triboelectricity based dust capturing device
CN113037126B (en) Composite water drop solid-liquid friction nano generator and use method thereof
KR102087722B1 (en) Filter module for fine dust removal and air cleaning system for fine dust removal
EP4034282A1 (en) Particulate filter and methods for removing particulates from a particulate filter
KR102156171B1 (en) Dust collector using magnetic particles
KR20040007007A (en) Electronic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urethane filter
CN110103617A (en) A kind of electrostatic dedusting blackboard eraser that can be recovered energy
KR102079297B1 (en) Electric agglomerator and fine particle agglom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Ma et al. Highly efficient long-lasting triboelectric nanogenerator upon impact and its application to daily-life self-cleaning solar panel
KR20200010688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inflow of fine particles by generating static electricity
JP2015024380A (en) Electric dust collector
US20220258087A1 (en) Conductive filter unit, conductive filter module including conductive filter unit, and fine dust removal system including conductive filter module
KR10104843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dust by using high voltage
CN202715480U (en) PM (particulate matter) capturing air purifier
CN207254552U (en) A kind of graphite electrode installs the clean air package of magnetic patch additional
CN205436019U (en) Electrostatic precipitation module
KR100468419B1 (en) One-Stage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 thin film resin board ty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