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837B1 - Method for providing eyesight shielding service based on multi-media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eyesight shielding service based on multi-media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837B1
KR101987837B1 KR1020170106135A KR20170106135A KR101987837B1 KR 101987837 B1 KR101987837 B1 KR 101987837B1 KR 1020170106135 A KR1020170106135 A KR 1020170106135A KR 20170106135 A KR20170106135 A KR 20170106135A KR 101987837 B1 KR101987837 B1 KR 101987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multimedia terminal
terminal
illuminance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1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1051A (en
Inventor
송영우
Original Assignee
송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우 filed Critical 송영우
Priority to KR1020170106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837B1/en
Publication of KR20190021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0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8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얼굴을 촬영하여 촬영 객체를 식별하고, 촬영 객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 구분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와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비교하고, 멀티미디어 단말과 촬영 객체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거리를 기 저장된 단계별 거리와 비교하는 단계, 산출된 거리가 제 1 단계의 거리인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의 조도를 감소시키되 제 1 단계 이하 및 제 2 단계 이상의 거리에서는 조도를 점증적으로 감소시키는 단계, 및 산출된 거리가 제 2 단계 미만의 거리인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의 화면을 산출된 거리가 제 1 단계의 거리에 도달할 때까지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vision protection service based on a multimedia terminal, comprising the steps of: photographing a face to identify a shooting object, storing at least one identifier included in the shooting object separately, and comparing the identified at least one identifier with a predetermined parameter Comparing the calculated distances with pre-stored distances for each step; if the calculated distance is a distance of the first stage, reducing the illuminance of the multimedia terminal, And gradually increasing the illuminance at a distanc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step, and when the calculated distance is less than the second step, the screen of the multimedia terminal is stopped until the calculated distance reaches the distance of the first step .

Description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EYESIGHT SHIELDING SERVICE BASED ON MULTI-MEDIA DEVICE}[0001] METHOD FOR PROVIDING EYESIGHT SHIELDING SERVICE BASED ON MULTI-MEDIA DEVICE [0002]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맹점의 매출에 대응하는 객관적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가맹점을 추천할 때 신뢰도 높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multimedia terminal-based vision protection service, and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reliable information when recommending an affiliate shop by analyzing objective data corresponding to sales of the affiliate shop.

현대 사회는 미디어 단식이라는 단어가 나올 정도로 상당수 사람들이 심각한 미디어 중독에 빠져 있는 실정이다. 특히, 평생 보유할 시력이 형성되기 시작할 영유아 시기부터 시작된 미디어 중독으로 말미암아 어린 아이들의 안경 착용률은 더욱 증대하고 있으며, 이는 스마트 폰, 컴퓨터, TV 등 각 종 전자기기의 과다 노출로 인한 결과이다.In modern society, many people are in serious media addiction enough to get the word "media hunger". Especially, the media addiction started from the early childhood period when the sight to have a lifetime to begin to form is increasing, and the wearing rate of the glasses by young children is increasing more and more. This is a result of overexposure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computers and TVs.

이때, 시력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은, 얼굴 정보를 이용하여 거리를 유지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550493호(2015년09월04일 공고)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580918호(2015년12월30일 공고)에는, 특정인에 대한 촬영 이미지 내의 얼굴에 대한 얼굴정보를 기준 얼굴정보로 설정한 후, 특정인에 대한 식별정보와 더불어 시력 보호 모드 설정 요청을 수신하여, 특정인에 대한 시력 보호 모드를 설정하면, 주기 시간마다 화면 전면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여 촬영한 이미지 내의 얼굴에 대한 얼굴 정보를 파악하고, 얼굴정보를 특정인의 기준 얼굴정보와 비교하며, 얼굴정보가 특정인의 기준 얼굴정보보다 큰 경우에 화면의 밝기를 어둡게 조정하는 시력 보호 기능을 가진 구성이 개시된다.At this time, a method for protecting eyesight is performed by maintaining the distance using face information. In this regard, Korean Patent No. 10-1550493 (issued on Sep. 04, 2015) and Korean Patent No. 10-1580918 (issued on December 30, 2015), which are prior art, The face-to-face information for the specific person is set as the reference face information, and the request for setting the eyesight protection mode is received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specific person. When the eyesight protection mode is set for the specific person, A configuration having a vision protection function for grasping the face information of the face in the captured image, comparing the face information with the reference fa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person, and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to be dark when the face information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fa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person / RTI >

다만, 화면의 밝기를 어둡게 조정하는 경우, 주변의 조도와의 차이가 오히려 커짐으로 인하여 시력보호가 아닌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즉, 시력은 조도가 낮을 경우 조절력이 작아지는데 그 이유는 어두운 조도에서 동공의 크기가 커지는데 동공의 크기가 클수록 조절력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제어 권한을 가진 시청자가 화면 밝기를 높일 수 있으므로, 시청자와 화면 간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무의미한 기능이 컴퓨팅 자원을 소모하여 낭비를 초래할 뿐이다.However, when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is adjusted to be dark, the difference from the surrounding illuminance becomes rather large, which may cause deterioration rather than visual protection. In other words, the visual acuity becomes lower when the illuminance is low because the pupil size increases in the dark illuminance, and the larger the pupil size, the smaller the control power. In addition, since a viewer with control authority can increase the brightness of a screen, a meaningless function for maintaining a distance between a viewer and a screen consumes computing resources, resulting in was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면과 사용자 간의 거리가 제 1 거리가 되면 화면 밝기와 소리를 줄임과 동시에 제 1 거리 이상을 유지하면 다시 복귀시키며, 제 1 거리보다 짧은 제 2 거리가 되면 소리 및 밝기 이외의 다른 방식으로 경고 알림을 출력하고,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의 경고가 출력되면 보호자에게 알림으로써 제어 권한을 핸드 오버하는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스스로 적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공함으로써, 빠르게 적응 및 시력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creen and the user is a first distance, the screen brightness and sound are reduced, and when the distance is longer than the first distance, the sound is returned. When the second distance is shorter than the first distance, A warning notification is output in a manner other than brightness, and when a warning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re is output, a notification is given to the guardian so as to hand over the control authority, thereby providing an intuitive interface Thereby providing a configuration that enables quick adaptation and protection of the eyesight, thereby providing a multimedia terminal-based vision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얼굴을 촬영하여 촬영 객체를 식별하고, 촬영 객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 구분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와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비교하고, 멀티미디어 단말과 촬영 객체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거리를 기 저장된 단계별 거리와 비교하는 단계, 산출된 거리가 제 1 단계의 거리인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의 조도를 감소시키되 제 1 단계 이하 및 제 2 단계 이상의 거리에서는 조도를 점증적으로 감소시키는 단계, 및 산출된 거리가 제 2 단계 미만의 거리인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의 화면을 산출된 거리가 제 1 단계의 거리에 도달할 때까지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identifying a shooting object, the method comprising: identifying a shooting object by photographing a face; sorting and storing at least one identifier included in the shooting object; Comparing the calculated distances with previously stored distances, compa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multimedia terminal and the shooting object, comparing the calculated distances with previously stored distances, Increasing the illuminance gradually at a distanc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step, and when the calculated distance is less than the second step, To reach a distance of < / RTI >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화면과 사용자 간의 거리가 제 1 거리가 되면 화면 밝기와 소리를 줄임과 동시에 제 1 거리 이상을 유지하면 다시 복귀시키며, 제 1 거리보다 짧은 제 2 거리가 되면 소리 및 밝기 이외의 다른 방식으로 경고 알림을 출력하고,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의 경고가 출력되면 보호자에게 알림으로써 제어 권한을 핸드 오버하는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스스로 적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공함으로써, 빠르게 적응 및 시력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고, 적절한 휴식 및 적당한 거리에서의 시청은 원거리 시력과 눈물 안정성에 끼치는 영향을 줄여줄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mean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creen and the user reaches the first distance, the screen brightness and sound are reduced, and when the distance is maintained over the first distance, When the second distance is reached, a warning notification is output in a manner other than sound and brightness, and when a warning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re is output, a control authority is handed over by informing the guardian so that the user can maintain a proper distance By providing a configuration through an intuitive interfa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figuration that allows for quick adaptation and vision protection, and proper resting and viewing at a reasonable distance can reduce the impact on distance vision and tear st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력 보호 서비스가 구현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력 보호 서비스가 거리에 따라 화면을 조정하는 방법으로 구현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ultimedia terminal-based vision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ultimedia terminal shown in FIG. 1. Referring to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vision protection service is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vision protection service is implemented by a method of adjusting a screen according to d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ultimedia-terminal-based vision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of FIG.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multimedia terminal-based vision protec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as other elemen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The terms "about "," substantially ", etc. used to the extent that they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used in their numerical value or in close proximity to their numerical values when the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s are presented, Accurate or absolute numbers are used to help prevent unauthorized exploitation by unauthorized intruders of the referenced disclosure. The word " step (or step) "or" step "does not mean" step for. &Quot;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 part "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by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implement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or two or more units may be implemented by one hardwar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a device, or a device may be performed instead in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in a terminal, device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in the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are used for mapping or matching the unique number of the terminal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which is the identification data of the terminal . ≪ / RTI >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At least one)의 의미는 단수 또는 복수로 해석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를 사용한 경우, 이하에서 중복으로 삭제할 수 있고, 이는 정의된 용어와 동일한 용어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t least one meaning may be interpreted as singular or plural, and when using at least one term, it may be deleted in duplicate below, Can be interpre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멀티미디어 단말(100),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 보호자 단말(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ultimedia terminal-based vision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Referring to FIG. 1, the multimedia terminal-based vision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 may include a multimedia terminal 100, a vision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 guardian terminal 400. However, the multimedia terminal-based multimedia terminal-based vision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 of FIG. 1 is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FIG.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보호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단말(100), 보호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보호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단말(100),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FIG. 1 are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multimedia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vision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In addition, the multimedia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parent terminal 400 through the network 200. The eyesight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the multimedia terminal 100 and the guardian terminal 400 through the network 200. [ The guardian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the multimedia terminal 100 and the vision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200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nodes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An example of such a network 200 is RF,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n LTE (Long Term Evolution) network, a 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 GPP) network,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network, the Internet, a LAN (Local Area Network) But are not limited to, a Wide Area Network (WAN), a Personal Area Network (PAN), a Bluetooth network, an NFC network, a satellite broadcast network, an analog broadcast network, and 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시력 보호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카메라나 조도 센서 등 화면과 시청자(촬영 객체)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시력 보호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고 실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촬영 객체를 구분하기 위하여 각각의 객체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입력받고, 이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입력받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기 설정된 제 1 단계의 거리에 촬영 객체가 위치한 경우, 조도 또는 소리를 제어하고, 제 2 단계의 거리(제 1 단계보다 짧은 거리)에 촬영 객체가 위치한 경우, 조도 또는 소리 이외의 방법으로 가까워짐을 알려주거나 경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경고 콘텐츠가 기 설정된 횟수 출력한 이후에는,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보호자 단말(400)에서 멀티미디어 단말(100)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권한을 넘겨주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기 설정된 촬영 객체가 감지되는 경우, 청색광을 차단 또는 필터링하여 출력하도록 하고, 기 설정된 조도차와 측정된 조도차를 비교하여 조도차가 기준값에 가까워지도록 화면의 조도를 조절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기 설정된 촬영 객체가 감지되는 경우, 시력 보호 안구 운동 콘텐츠를 출력하고, 이를 촬영 객체가 따라하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촬영 객체가 기 설정된 거리를 유지하지 않는 경우, 출력되던 콘텐츠를 일시 정지시키고, 출력되던 콘텐츠에 포함된 캐릭터가 거리를 유지하라는 메세지를 전달하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The multimedia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of a user who uses a vision protection service. At this time, the multimedia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capable of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a screen and a viewer (a shooting object) such as a camera or an illuminance sensor. Also, the multimedia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for outputting multimedia contents. The multimedia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downloads and executes a vision protection service web page, an application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through the vision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e multimedia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receiving an image or a moving image of each object and receiving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object, in order to identify the object. The multimedia terminal 100 controls illumination or sound when the shooting object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stage and when the shooting object is located at a distance of the second stage (shorter distance than the first stage) It may be a terminal that informs the user that it is approaching by a method other than illuminance or sound, or outputs a warning content. After the warning content is output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multimedia terminal 100 hands over control authority to control the multimedia terminal 100 from the guardian terminal 400 through the vision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terminal. In addition, the multimedia terminal 100 may block or filter the blue light when the preset shooting object is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nd compare the predetermined roughness difference with the measured roughness difference so that the roughness difference approaches the reference value And may be a terminal for adjusting the illuminance of the screen. The multimedia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for outputting the sight protecting eye movement contents and allowing the shooting object to follow it when the preset shooting object is detected for a preset time or more. In addition, the multimedia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pauses a content that has been output when the shooting object does not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ransmits a message that a character included in the output content is to maintain distance .

여기서,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IPTV, 셋탑 박스,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ultimedia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connecting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200. [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n IPTV, a set-top box, a notebook equipped with a web browser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multimedia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connecting to a remote server or a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200. The multimedia terminal 100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guaranteed portability and mobility, for example, a navigation system, a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a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a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A handheld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 smartpad, a tablet PC, and the like.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시력 보호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멀티미디어 단말(100)로부터 시력 보호 서비스를 받을 촬영 객체를 구분하기 위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입력받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각도 또는 조도에서의 촬영 객체를 기준 이미지로 저장 및 학습시켜 멀티미디어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멀티미디어 단말(100)로부터 기 설정된 횟수의 경고 메세지가 출력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100)과 연동된 보호자 단말(400)로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제어 권한을 핸드오버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멀티미디어 단말(100)에서 출력되는 콘텐츠와 기 매핑되어 저장된 캐릭터를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경고 콘텐츠를 출력할 때 사용하도록 멀티미디어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촬영 객체의 연령대, 좋아하는 캐릭터 등을 파악하여 매핑하여 레이블화된 테이블로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The vision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 vision protection service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In addition, the sight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receives an image or a moving picture to distinguish a shot object to receive the sight protection service from the multimedia terminal 100. [ In order to increase the recognition rate of the image, it may be a server that stores and learns shooting objects at various angles or roughness as a reference image to the multimedia terminal 100. When the warn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detects that a predetermined number of warning messages have been outputted from the multimedia terminal 100, the vision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ransmits the alert message to the multimedia terminal 100 as a guardian terminal 400 interlocked with the multimedia terminal 100. [ Lt; RTI ID = 0.0 > a < / RTI > In addition, the sight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ransmits the content output from the multimedia terminal 100 to the multimedia terminal 100 for use in outputting the alert content of the multimedia terminal 100 Server. The sight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for identifying the age group of the photographed object, a favorite character, etc., and mapping and storing the photographed image as a labeled table.

이때,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ision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connecting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200.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otebook,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on which a WEB browser is installed.

보호자 단말(400)은,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멀티미디어 단말(100)과 연동되어 저장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보호자 단말(400)은, 멀티미디어 단말(100)에서 경고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초과한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제어 권한을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넘겨 받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보호자 단말(400)은 제어 채널을 통하여 보호자 단말(400)에서 촬영된 화면이 멀티미디어 단말(100)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The guardian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that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multimedia terminal 100 in the vision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e guardian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that receives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multimedia terminal 100 through the vision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when the warning has exceeded the preset number of times in the multimedia terminal 100 . Then, the caregiver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for allowing a screen shot by the guardian terminal 400 to be output from the multimedia terminal 100 through a control channel.

여기서, 보호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호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보호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guardian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connecting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200. [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otebook,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on which a WEB browser is installed. At this time, the guardian terminal 400 can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that can access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200. [ The guardian terminal 400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guaranteed portability and mobility, such as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A handheld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 smartpad, a tablet PC, and the lik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력 보호 서비스가 구현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력 보호 서비스가 거리에 따라 화면을 조정하는 방법으로 구현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multimedia terminal shown in FIG. 1,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vision protection service is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vision protection service is implemented by a method of adjusting a screen according to d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FIG.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저장부(110), 산출부(120), 비교부(130), 감소부(140), 정지부(150), 알람부(160), 시력저하 방지부(170), 차단부(180) 및 조도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2, a multimedia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110, a calculation unit 120, a comparison unit 130, a reduction unit 140, a stop unit 150, An alarm unit 160, a visual deterioration preventing unit 170, a blocking unit 180, and an illumination unit 19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멀티미디어 단말(100), 보호자 단말(400)로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100), 보호자 단말(400)은,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멀티미디어 단말(100), 보호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The visual acuity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nother server (not shown)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visual acuity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transmit multimedia data to the multimedia terminal 100, The multimedia terminal 100 and the guardian terminal 400 may transmit multimedia-terminal-based vision protection service applications, programs, app pages, web pages, etc., Can be installed or opened. In addition, a service program may be executed in the multimedia terminal 100 and the parent terminal 400 using a script executed in a web browser. Here, a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enables a WWW (World Wide Web) service, and is a program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hypertext described in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for example, Netscape (Netscape) An Explorer, chrome, and the like. Further, the application refers to an application on the terminal, for example, an app (app) running on a mobile terminal (smart phone).

이때, 네트워크(200)의 연결은, 멀티미디어 단말(100),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 보호자 단말(400)이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of the network 200 is performed by connecting the multimedia terminal 100, the vision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the protector terminal 400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object for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network 200 . The eyesight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an exchange data with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object.

저장부(110)는, 얼굴을 촬영하여 촬영 객체를 식별하고, 촬영 객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력 보호 서비스를 이용할 사람이 대한(어린이 1), 민국(어린이 2)라고 가정하자. 이때, 대한이와 민국이의 얼굴 크기 등을 기준값으로 저장해놓지 않으면, 어떠한 크기에 어느 정도 다가왔는지를 알 수 없게 된다. 또한, 대한이와 민국이의 얼굴을 각각 구분하지 않으면, 대한이가 사용한 후, 바로 민국이가 사용할 때, 시력 보호 서비스 프로그램이 구동되어 민국이가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람(촬영 객체)을 각각 구분하고, 구분된 사람의 거리별 얼굴 크기 등에 따른 기준값을 미리 저장해둠으로써, 이후 감지 또는 촬영된 얼굴 이미지 등을 이용하여 거리를 파악하고, 시력 보호 서비스 프로그램이 구동되도록 한다.The storage unit 110 may photograph a face to identify a shooting object, and may store and store at least one identifier included in the shooting object. For example, let's assume that people who use vision protection services are children (one child) and one nation (child two). At this time, if the face size of Korean and Korean is not stored as the reference value, it is impossible to know how much the size and the size of the face have reached. In addition, if Korean and Korean do not distinguish each other's face, it may happen that Korea is not able to use the sight protection service program when the Korean government uses it. Accordingly, by dividing each person (shooting object) and storing a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face size of the divided person in advance, the distance can be grasped by using the detected or photographed face image and the like, .

이때, 촬영 객체는 기 저장 및 설정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부터 이미지 분석 및 유사도에 근거하여 식별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는 얼굴에 포함되어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카메라와 얼굴 간의 거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객체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는 기 저장된 식별자 이미지 템플릿과의 이미지 유사도에 근거하여 식별 및 구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ooting object can be identified based on the image analysis and the similarity from the previously stored and set image or moving image, and at least one identifier is included in the face, and an identification for identify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amera and the face of the multimedia terminal 100 Object. Also, the at least one identifier can be identified and distinguished based on the image similarity with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er image template.

산출부(120)는, 구분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와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비교하고, 멀티미디어 단말(100)과 촬영 객체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는, 사용자의 눈동자의 크기일 수도 있고, 얼굴의 크기 또는 코의 크기, 눈의 크기 등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사용자의 화면상 얼굴 크기가 10cm일 때, 25cm의 거리를 유지했을 경우이고, 얼굴 크기가 5cm일때 12cm라고 가정할 때, 촬영 프레임 상 얼굴 크기와, 사용자와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다만, 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계산하기 위하여, 얼굴 크기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The calculating unit 120 may compute the distance between the multimedia terminal 100 and the photographing object by comparing the at least one identifier and the predetermined parameter. At this time, the at least one identifier may be the size of the user's pupil, the size of the face, the size of the nose, the size of the eyes, and the like.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face size of the user A is 10 cm, the distance is 25 cm, and the face size is 5 cm, the face size on the photographing fram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terminal are calculated can do. However, in order to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user, it is obvious that not only the face size but also various methods can be used.

비교부(130)는, 산출된 거리를 기 저장된 단계별 거리와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얼굴과 단말 간의 이상적인 거리가 40cm로 설정되었고, 15cm 미만인 경우, 근시를 유발할 수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얼굴과 단말 간의 거리는 화면의 해상도(크기)와 비례할 수 있다. 즉, 화면이 크면 클수록 더 멀리 가는 거리가 이상적일 수 있고, 화면이 작으면 작을수록 화면이 클 때보다는 줄어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15cm 미만의 거리에서 30분 동안 사용하면 근시가 증가 및 원거리 교정시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15cm를 제 2 단계의 거리로 설정할 수 있고, 40cm 거리에서 30분 동안 사용한 경우 사용자의 굴절 이상과 원거리 교정시력변화에 아무 변화가 없다는 실험에 근거하여 제 1 단계의 거리를 40cm로 설정할 수는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화면의 크기, 조도, 밝기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comparing unit 130 may compare the calculated distance with the stored step-by-step distance. For example, suppose an ideal distance between a face and a terminal is set to 40 cm, and if it is less than 15 cm, it can cause nearsightedness.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face and the terminal may be proportional to the resolution (size) of the screen. In other words, the larger the screen, the more ideal the farther the distance is, and the smaller the screen, the smaller the screen is. In this case, when used at a distance of less than 15 cm for 30 minutes, the myocardial increase and the distance correctional visual acuity decrease, 15 cm can be set as the distance of the second step, and when used at 40 cm distance for 30 minutes, The distance of the first step may be set to 40 cm based on an experiment that there is no change in the corrected visual acuit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creen, illuminance, brightness, and the like.

감소부(140)는, 산출된 거리가 제 1 단계의 거리인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조도를 감소시키되 제 1 단계 이하 및 제 2 단계 이상의 거리에서는 조도를 점증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예를 인용하면, 사용자(촬영 객체)와 단말 간의 거리가 제 1 단계의 거리, 즉 40cm인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조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40cm 미만 15cm 이상인 경우, 거리가 짧아질수록 조도를 점층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40cm에서는 화면 밝기가 100% 중 100%였다면, 30cm인 경우 50%, 15cm인 경우 20%로 줄일 수도 있다. 이때, 조도와 거리는 비례할 수도 있지만, 선형적인 관계가 아닐 수도 있다.The reduction unit 140 may reduce the illuminance of the multimedia terminal 100 when the calculated distance is the distance of the first stage, but gradually decrease the illuminance at the distances of the first stage and the second stage or more. Referring to the above exampl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lluminance of the multimedia terminal 100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photographing object) and the terminal is the distance of the first step, that is, 40 cm. In this case, when the distance is less than 40 cm or more and 15 cm or more, the shorter the distance, the smaller the illuminance can be. For example, if the screen brightness was 100% of 100% at 40 cm, it could be reduced to 50% at 30 cm and 20% at 15 cm. At this time, the illuminance and distance may be proportional, but may not be linear.

이때, 감소부(140)는, 산출된 거리가 제 1 단계의 거리인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조도를 감소시키되 제 1 단계 이하 및 제 2 단계 이상의 거리에서는 조도를 점증적으로 감소시킬 때, 산출된 거리도 제 1 단계의 거리인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100)에서 출력되는 사운드가 존재하는 경우, 사운드를 감소시키되, 제 1 단계 이하 및 제 2 단계 이상의 거리에서는 사운드를 점증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추가할 수 있다. 즉, 감소부(140)는 조도와 소리를 모두 줄임으로써, 일정 거리 이상 유지하지 않으면 보지도 듣지도 못하게 할 수 있다. 반대로, 감소부(140)는 일정 거리 이상을 유지하면, 조도 및 소리를 정상으로 복귀시켜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duction unit 140 reduces the illuminance of the multimedia terminal 100 when the calculated distance is the distance of the first stage, but gradually decreases the illuminance at the distances of the first stage and the second stage or more If the calculated distance is also the distance of the first step, if the sound outputted from the multimedia terminal 100 exists, the sound is decreased, but the sound is gradually reduced at the distances of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step or more Can be added. In other words, the reduction unit 140 can reduce both the illumination and the sound, so that the user can not see or listen to the sound unless it is maintained over a certain distance. Conversely, when the reduction unit 140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it is possible to restore the illumination and sound to the normal state.

또한, 감소부(140)는, 산출된 거리가 제 1 단계의 거리인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조도를 감소시키되 제 1 단계 이하 및 제 2 단계 이상의 거리에서는 조도를 점증적으로 감소시킬 때, 산출된 거리가 제 1 단계의 거리인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조도를 감소시키면서 멀티미디어 단말(100)에서 출력되는 콘텐츠의 배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콘텐츠가 볼 수 없을 정도로 확대되는 경우, 기 설정된 거리를 유지하지 않는 경우, 시청자는 제대로된 콘텐츠를 시청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멀리가면 제대로 된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되, 가까이 오면 확대된 콘텐츠(왜곡된 콘텐츠)를 시청하도록 함으로써, 자동적으로 멀리가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calculated distance is the distance of the first step, the reduction unit 140 reduces the illuminance of the multimedia terminal 100, but gradually decreases the illuminance at the distance from the first step and beyond the second step The magnification of the content output from the multimedia terminal 100 can be increased while reducing the illuminance of the multimedia terminal 100 when the calculated distance is the distance of the first stage. That is, when the content is enlarged to such an extent that it can not be viewed, if the predetermined distance is not maintained, the viewer can not view the proper conten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view the contents properly when they are far away, but can automatically move away by viewing the enlarged contents (distorted contents) when they are close to each other.

정지부(150)는, 산출된 거리가 제 2 단계 미만의 거리인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화면을 산출된 거리가 제 1 단계의 거리에 도달할 때까지 정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를 일정 거리 이상 멀티미디어 단말(100)에서 물러나게 하는 효과적인 방법은, 재생중인 콘텐츠를 재생하는 것일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소리를 갑자기 서지(Surge)시켜 놀라 뒤로 물러나게 할 수도 있고, 반대로 소리를 줄여 일정 거리 이상 물러나지 않을 경우 들리지 않게 할 수도 있으며, 뒤로가지 않으면 볼 수 없도록 화면을 확대시키거나(변형) 또는 왜곡을 주거나 하는 방법 등 다양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stop unit 150 may stop the screen of the multimedia terminal 100 until the calculated distance reaches the distance of the first step when the calculated distance is less than the second step. For example, an effective way to move a child away from the multimedia terminal 100 over a certain distance may be to play the content being played back.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it may surprise the sound suddenly to retreat, or conversely, reduce the sound to make it inaudible if it does not retreat for a certain distance, (Deformation), or a method of imparting distor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알람부(160)는, 정지부(150)에서 산출된 거리가 제 2 단계 미만의 거리인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화면을 산출된 거리가 제 1 단계의 거리에 도달할 때까지 정지시킨 후, 정지된 화면 상에 경고 알림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알람부(160)는, 경고 알림 콘텐츠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출력되는 경우,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멀티미디어 단말(100)과 기 연동된 보호자 단말(400)로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제어 권한을 넘겨줄 수 있다. 이때, 보호자 단말(400)은 제어 권한이 설정된 제어 채널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제어를 시작할 수 있다.The alarm unit 160 stops the screen of the multimedia terminal 100 until the calculated distance reaches the distance of the first step when the distance calculated in the stopping unit 150 is less than the second step And then output the warning notification content on the stopped screen. When the alert notification content is output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re, the alarm unit 160 transmits the warning notification content to the multimedia terminal 100 through the guardian terminal 400 interfaced with the multimedia terminal 100 from the vision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 Can be handed over. At this time, the guardian terminal 400 can start controlling the multimedia terminal 100 through the control channel to which the control authority is set.

이때, 경고 알림 콘텐츠는, 제 1 단계의 거리 이상 유지하지 않으면 화면이 출력되지 않을 것이라는 경고일 수 있고, 경고의 주체는 촬영 객체(시청자)가 선호하는 캐릭터일 수 있다. 이때, 선호하는 캐릭터는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저장될 수도 있고, 멀티미디어 단말(100)에 저장될 수도 있으며, 전자의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100)에서 스트리밍받아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만약, 좋아하는 콘텐츠가 나오지 않는데, 부모님이 화면에 나와서 "XX야, 아빠가 뒤로 가서 보라고 했지!"라고 한다면, "좋아하는 뽀로로가 나오지 않으면 갑자기 아빠가 등장하며 혼낸다"라는 기제가 성립하고, 아이들이 부모님을 싫어하는 이유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좋아하는 캐릭터가 나와서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부모님이 나와서 지침을 내려주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warning notification content may be a warning that the screen will not be output if the distance is not maintained over the distance of the first step, and the subject of the warning may be a character preferred by the shooting object (viewer). At this time, the preferred character may be stored in the sight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stored in the multimedia terminal 100, or may be streamed from the multimedia terminal 100 in the case of the former. If my favorite content does not come out, my parents will come out to the screen and say, "XX, I told my dad to go back and see!", "If my favorite Pororo does not come out, my father suddenly appears, Children can act as a reason to dislike their parents, so they can keep their favorite characters out and stay at a certain distanc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does not exclude that the parents come out and give instructions.

또한, 멀티미디어 단말(100)에서 얼굴을 촬영할 때, 멀티미디어 단말(100)에 포함된 카메라를 구동시키되, 구동되는 카메라의 화면이 멀티미디어 단말(100)에서 출력되지 않도록 백그라운드 모드 및 히든(Hidden Mode)로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청자(촬영 객체)는 카메라가 구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When photographing a face in the multimedia terminal 100, the camera included in the multimedia terminal 100 is driven, and a background mode and a hidden mode are set so that the screen of the camera being driven is not output from the multimedia terminal 100 Can be driven. Accordingly, the viewer (shooting object) can be prevented from recognizing that the camera is running.

또한, 제 1 단계의 거리 및 제 2 단계의 거리는,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해상도 및 크기에 비례하고, 제 2 단계의 거리는 제 1 단계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ance of the first step and the distance of the second step are proportional to the resolution and size of the multimedia terminal 100, and the distance of the second step may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of the first step.

시력저하 방지부(170)는, 정지부(150)에서 산출된 거리가 제 2 단계 미만의 거리인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화면을 산출된 거리가 제 1 단계의 거리에 도달할 때까지 정지시킨 후, 멀티미디어 단말(100)에서 얼굴로 식별한 촬영 객체가 멀티미디어 단말(100)에서 감지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안구 운동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시력저하 방지부(170)는, 출력된 안구 운동 콘텐츠와 멀티미디어 단말(100)에서 촬영된 촬영 객체의 안구 운동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안구 운동 콘텐츠에 포함된 기준 안구 운동 프레임과 촬영된 촬영 객체 프레임의 유사도가 기 설정된 유사도값을 초과하는 경우, 안구 운동 콘텐츠를 종료시킬 수 있다. 이때, 안구 운동 콘텐츠는 기 설정된 주기로 출력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When the distance calculated by the stopper 150 is less than the second step, the visual depression preventing unit 170 displays the screen of the multimedia terminal 100 until the calculated distance reaches the distance of the first step When the time detected by the multimedia terminal 100 is longer than a preset time, the eye movement contents can be outputted. In addition, the visual deterioration preventing unit 170 compares the outputted eye movement contents with the eye movement of the photographing object photographed by the multimedia terminal 100, and compares the eye movement frame with the reference eye movement frame included in the eye movement contents If the similarity of the object frame exceeds the predetermined similarity value, the eye movement content may be terminated. At this time, the eye movement contents can be controlled to be outputted at a predetermined cycle.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15 cm 거리에서 30분 동안 사용한 Group 1(15 cm 주시거리)은 스마트폰 사용 전과 사용 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원거리 교정시력 저하(p=0.030)와 근시의 증가(p=0.001)가 관찰되었고, 이러한 근시의 증가는 스마트폰 사용 후 5분 후 이후 검사에는 더 이상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고 가정한다(p≥0.464, paired-samples t test). 한편, 30분 동안 스마트폰을 40 cm 거리에서 사용한 Group 2(40 cm 주시거리)은 스마트폰 사용 전과 사용 후에서 시력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p=0.163), 굴절력의 변화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고 가정한다(p=0.077, paired-samples t test). For example, Group 1 (15 cm viewing distance) using a smartphone for 15 minutes at a distance of 15 c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distance corrected visual acuity (p = 0.030) and myopia = 0.001), and the increase in myopia was assumed to be no longer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5 minutes after the use of the smartphone (p≥0.464, paired-samples t test). On the other hand, the change in visual acuity before and after using the smartphon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163), and the change in refractive pow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77, paired-samples t test).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굴절이상과 원거리 교정시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려면 사용 거리를 40 cm를 유지 할 것을 권장 하며 만약 스마트 폰을 권장 사용 거리 40 cm 보다 가까이에서 사용 할 경우 굴절이상과 원거리 교정시력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스마트폰을 최소한 30분 사용 후 5분간 휴식을 가질 것을 권장하므로, 40cm를 유지하지 않는 경우, 5분간의 휴식 시간을 가지도록 콘텐츠를 정지시키거나 안구 운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주기가 증감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In such a situation, it is recommended to keep the use distance of 40 cm in order not to affect the refraction abnormality and the distance correction visual acuity when using a smartphone. If you use the smartphone near the recommended use distance of 40 cm, And distance calibration, it is recommended to have at least 30 minutes of rest and 5 minutes of rest after using the smartphone in order not to affect the visual acuity. Therefore, if you do not keep 40cm,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it is obvious that the period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차단부(180)는, 정지부(150)에서 산출된 거리가 제 2 단계 미만의 거리인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화면을 산출된 거리가 제 1 단계의 거리에 도달할 때까지 정지시킨 후, 멀티미디어 단말(100)에서 촬영된 촬영 객체가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촬영되는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100)에서 출력되는 빛 중 기 지정된 파장의 청색광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청색광을 차단하는 것만으로도 눈에 해로운 요소를 없앨 수 있으므로, 청색광을 차단하는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다.The blocking unit 180 stops the screen of the multimedia terminal 100 until the calculated distance reaches the distance of the first step when the distance calculated by the stopping unit 150 is less than the second step When the photographed object photographed by the multimedia terminal 100 is photographed beyond a predetermined time, the blue light of the predetermined wavelength of the light output from the multimedia terminal 100 may be blocked. In other words, sinc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harmful elements to the eye by merely blocking the blue light, a program for blocking blue light can be driven.

조도부(190)는, 정지부(150)에서 산출된 거리가 제 2 단계 미만의 거리인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화면을 산출된 거리가 제 1 단계의 거리에 도달할 때까지 정지시킨 후,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카메라를 통하여 수집된 조도와, 기 설정된 기준 조도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조도부(190)는, 기준 조도보다 수집된 조도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 조도차보다 클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화면의 조도를 기준 조도차를 만족하도록 감소시킬 수 있다.The illuminance unit 190 stops the screen of the multimedia terminal 100 until the calculated distance reaches the distance of the first step when the distance calculated by the stop unit 150 is less than the distance of the second step The illuminance collected through the camera of the multimedia terminal 100 and the predetermined reference illuminance can be compar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illuminance unit 190 may reduce the illuminance of the screen of the multimedia terminal 100 to satisfy the reference illuminance differenc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lluminance values collected from the reference illuminance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illuminance difference.

즉, 낮은 조도에서 시청은 시력과 조절능력에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시력은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게 되며 그 요소로는 자극을 받는 망막부위, 조도, 빛의 스펙트럼, 빛에 노출되는 시간, 물체의 운동, 조명의 분포 등이 있다. 이에 따라, 조도가 낮을 경우 조절력이 작아지는데 그 이유는 어두운 조도에서 동공의 크기가 커지는데 동공의 크기가 클수록 조절력이 작아지기 때문이다.That is, at low illumination, viewing can have a greater impact on visual acuity and control ability. The visual acuity can be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he area of the retina being stimulated, the intensity of light, the spectrum of light, the time of exposure to light, the motion of the object, and the distribution of illumination. Therefore, when the illuminance is low, the control force becomes small because the size of the pupil increases in the dark illuminance, and the larger the pupil size, the smaller the control power becomes.

즉, 스마트폰 사용과 같은 근업을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모양체 근의 긴장상태가 지속되어 원거리 굴절이상 상태가 근시의 증가나 원시의 감소와 같은 굴절이상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낮은 조도에서 1시간 동안 시청하고 원거리 굴절력을 측정하였을 때 -0.17±0.60 D의 변화가 있었다는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p=0.006), 본 발명에서는, 주변 환경의 빛의 밝기와 스마트 폰의 조도의 차이가 없도록 조정함으로써 시력 저하를 방지하도록 한다.In other words, when a worker using a smartphone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state of the ciliary body tends to be maintained, and the distant refractive error state exhibits refractive errors such as an increase in nearsightedness or a decrease in the originality. For example, based on a study (p = 0.006) that there was a change of -0.17 ± 0.60 D when viewing a smartphone for 1 hour at low illumination and measuring distance power, Adjust the brightness so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brightness of the smartphone and the brightness of the smartphone.

덧붙여서, 거리를 측정할 때, 카메라로 이미지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컴퓨팅 자원 소모 또는 콘텐츠 재생의 딜레이나 끊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여 모니터의 ON/OFF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쉽게 절전도 행할 수 있으며 아울러 일정 거리 이내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더 이상 가까이 다가오지 못하도록 경고음을 발생시켜 아이들의 시력 보호등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consumption of computing resources or the delay in content reproduction, which may occur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an image with the camera when the distance is measured, the multimedia terminal 100 may measure the distance An ultrasonic sensor may also be used. For example, an ultrasonic sensor can be used to judge the presence of a person and automatically turn on / off the monitor by turning on / off the monitor. Also, if a person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Thereby protecting the eyes of the children and the like.

이때, 초음파 센서는 레이저 빛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레이저 센서는 빛의 비행시간이나 삼각측량에 의해 거리를 측정하는 대단히 유용한 방법이지만 레이저 빛을 인체에 투사시켜야 한다는 것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보다 안전하게 초음파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레이저 센서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ultrasonic sensor may use laser light. The laser sensor is a very useful method for measuring the distance by the light flight time or the triangulation. However, since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laser light should be projected onto the human body, An ultrasonic sensor can be used safely. However, it does not exclude laser sensors.

이때, 초음파의 발생과 검출을 크게 나누면 전자유도현상, 자왜현상, 압전현상 등이 있으며 이 중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초음파 센서는 동일구조로 초음파의 발생과 감지가 가능하며 이를 합쳐 초음파 센서라 하며,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압의 절대값 보다는 초음파 존재의 유무, 초음파 펄스파면의 상대적 크기를 이용 하는 경우가 많으며 음파의 메아리현상을 이용하게 된다. 다시 말해 그 동작 원리는 음파를 발생시키는 에미터 부분이 있어 음파가 되돌아온 시간차를 측정 및 분석을 행하여 물체의 유무를 감지한다.At this time, the generation and detection of ultrasonic waves are largely divided into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magnetostriction phenomenon, and piezoelectric phenomenon, and it is common to use one of them. Here, the ultrasonic sensors have the same structure and can generate and detect ultrasonic waves, and they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ultrasonic sensors. Ultrasonic sensors often use the existence of ultrasonic waves and relative sizes of ultrasonic pulse waves rather than absolute values of ultrasonic waves. The echo phenomenon of the echo can be used. In other words, the operation principle is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by measuring and analyzing a time difference between sound waves having an emitter portion for generating a sound w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센서는 트랜듀서, 분석기, 출력 회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초음파센서의 거리를 측정하여 전기를 제어하게 만드는 원리를 이용한다. 다시 말해 사람이 40cm안팎일 때는 모니터에서 경고음소리가 발생하도록 하였다. 이는 거리가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전자파 등에 의해 시력 저하 등 각 종 건강에 나쁜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20cm안팎 일 때는 모니터 전원이 자동으로 OFF가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아이들의 경우 컴퓨터를 너무 가까이 사용하거나, 사용하고 나서 사용 완료 후 컴퓨터 전원을 끄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자동으로 전원이 꺼지도록 하여 절전을 행하기 위함이다.The ultrasonic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ransducer, an analyzer, and an output circuit. The ultrasonic sensor may measure the distance of the ultrasonic sensor to control the electricity. In other words, when the person is within 40cm, the monitor will beep. This is because the nearer the distance is, the worse the health of each species, such as the deterioration of visual acuity due to electromagnetic waves, may be affected. In addition, when the power is 20 cm or less, the power of the monitor can be automatically turned off. In the case of children, the computer may be used too close to the computer, or the computer may not be turned off after the computer is used after the computer has been used, so that the computer is automatically turned off to save power.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를 도 3및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ultimedia terminal-based vision protection ser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도 3을 참조하면, (a) ①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등록되고,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문자, 이미지 등이 태그되어 저장될 수 있다. ② 그리고,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시력 보호를 위한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웹 페이지 등을 멀티미디어 단말(100)로 전송하면, ③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프로그램 등을 설치하여 백그라운드 모드로 구동한다.Referring to FIG. 3, (a) (1) (1) The multimedia terminal 100 is registered in the sight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characters, images and the like for identifying the user are tagged and stored. (2) Then, when the vision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ransmits a program, an application, a web page, etc. for sight protection to the multimedia terminal 100, (3) the multimedia terminal 100 installs a program, do.

또한, ④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어린이(촬영 객체, 시청자)를 구분하고, ⑤ 촬영 객체와 멀티미디어 단말(100)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⑥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조도나 소리를 조절하고, ⑦ 더 이상 가까워지면 안되는 거리(제 2 단계의 거리)가 산출되었을 때 경고를 출력한다.(4) The multimedia terminal 100 distinguishes a child (a shooting object, a viewer), (5) calculates a distance between the shooting object and the multimedia terminal 100, (6) adjusts illumination or sound according to a preset algorithm, (Distance of the second step) which is not close enough to be calculated.

그리고 나서, ⑧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기 설정된 경고가 출력되고 난 후에는, 제어 권한을 보호자 단말(400)에서 가지도록 제어 권한을 넘겨주게 되며, ⑨ 보호자 단말(400)은 몇 회 이상의 경고를 자신의 아이들이 받았으며, 현재 어떠한 상태인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⑨, ⑩ 보호자 단말(400)은, 멀티미디어 단말(100)이 구동되지 않도록 꺼버릴 수도 있고, 경고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직접 아이들의 촬영 화면을 보면서 이야기를 할 수도 있다.Then, when the predetermined warning is output, the multimedia terminal 100 hands over the control right so that the control authority is held in the guardian terminal 400. (9) The guardian terminal 400 receives a warning Of their children, and can monitor what they are currently doing. At this time, the guardian terminal (9), (10) may turn off the multimedia terminal 100 so that the multimedia terminal 100 can not be driven, output the warning content, or talk directly while watching the shooting screen of the children.

(b)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촬영 객체(시청자)와 멀티미디어 단말(100) 간의 거리가 제 1 단계의 거리 미만 또는 제 1 단계 내지 제 2 단계의 거리이면, 조도 또는 소리를 줄이고, 제 2 단계 미만이면 경고 콘텐츠를 출력하되, 제 1 단계를 유지하면 다시 원 콘텐츠로 복귀하는 루프를 돌게 된다.(b) For exampl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shooting object (viewer) and the multimedia terminal 100 is less than the distance of the first step or the distance of the first or second step, If it is less than the second step, the warning content is outputted. If the first step is maintained, the loop is returned to the original content again.

도 4를 참조하면, 단계별로 멀티미디어 단말(100)이 제어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25cm - 20cm 사이이면, 조도 및 소리를 낮추고, 20cm-15cm 사이이면, 경고를 출력하며, 15cm-10cm이면 화면을 끄고, 10cm 미만이면 부모에게 이를 알리는 구성일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multimedia terminal 100 is controlled in stag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irst, the multimedia terminal 100 lowers the illuminance and sound when it is between 25 cm and 20 cm, outputs a warning if it is between 20 cm and 15 cm, may turn off the screen when it is 15 cm-10 cm, have.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method for providing the multimedia-terminal-based vision protection service of FIGS. 2 to 4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It is possible to deduce tha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ultimedia-terminal-based vision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of FIG.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 embodiment,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can be changed.

도 5를 참조하면,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멀티미디어 단말(100)로부터 사용자를 등록받고 어린이를 구분하도록 이미지 및 구분자를 입력받고(S5100), 이와 연동될 보호자 단말(400)을 등록한다(S5200).5, the vision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an image and a delimiter to register a user from the multimedia terminal 100 and classify the child (S5100), and registers the guardian terminal 400 to be associated therewith (S5200).

그리고 나서,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애플리케이션 등을 멀티미디어 단말(100)로 전송하고(S5300),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단말과 객체를 등록받고(S5400), 기준값과 거리를 설정하게 된다(S5500).Then, the vision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ransmits the application or the like to the multimedia terminal 100 (S5300), the multimedia terminal 100 registers the terminal and the object (S5400), sets the reference value and the distance (S5500).

또한, 어린이(촬영 객체)가 식별되면(S5600), 얼굴 크기 등으로 단말과 어린이 간의 거리를 계산하고(S5700), 제 1 거리 미만인 경우(S5700), 조도 및 소리를 제어하고(S5810), 제 2 거리 미만인 경우(S5830), 경고를 알리며(S5850), 경고가 기 설정된 횟수(N)를 초과하면(S5870),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보호자 단말(400)로 알리며(S5900), 보호자 단말(400)에서 멀티미디어 단말(100)을 제어하도록 한다(S5910, S5930).If the child (photographing object) is identified (S5600),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hild is calculated by the face size or the like (S5700). If it is less than the first distance (S5700), the illumination and sound are controlled (S5810) (S5850). If the warning exceeds the predetermined number N (S5870), the caregiver terminal 400 is informed via the vision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S5900) , And controls the multimedia terminal 100 in the guardian terminal 400 (S5910, S5930).

상술한 단계들(S5100~S593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93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930 is merely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930 may be mutually varied, and some of the steps may be executed or deleted at the same time.

이와 같은 도 5의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method of providing the multimedia-terminal-based vision protection service of FIG. 5 is not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It is possible to deduce tha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단말은, 얼굴을 촬영하여 촬영 객체를 식별하고, 촬영 객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구분하여 저장한다(S6100).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multimedia terminal-based vision protec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multimedia terminal identifies a shooting object by photographing a face, separates at least one identifier included in the shooting object, and stores the identifier (S6100).

그리고, 멀티미디어 단말은, 구분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와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비교하고, 멀티미디어 단말과 촬영 객체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S6200), 산출된 거리를 기 저장된 단계별 거리와 비교한다(S6300).In step S6300, the multimedia terminal compares the calculated distances with previously stored distances, and compares the distances with at least one identifier and predetermined parameters, and calculates a distance between the multimedia terminal and the shooting object in step S6200.

또한, 멀티미디어 단말은, 산출된 거리가 제 1 단계의 거리인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의 조도를 감소시키되 제 1 단계 이하 및 제 2 단계 이상의 거리에서는 조도를 점증적으로 감소시킨다(S6400).If the calculated distance is the distance of the first stage, the multimedia terminal decreases the illuminance of the multimedia terminal, but gradually reduces the illuminance at the distances of the first stage and the second stage and beyond (S6400).

마지막으로, 멀티미디어 단말은, 산출된 거리가 제 2 단계 미만의 거리인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의 화면을 산출된 거리가 제 1 단계의 거리에 도달할 때까지 정지시킨다(S6500).Finally, if the calculated distance is less than the second step, the multimedia terminal stops the screen of the multimedia terminal until the calculated distance reaches the distance of the first step (S6500).

이와 같은 도 6의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method of providing the multimedia-terminal-based vision protection service of FIG. 6 has not been described. The method of providing the multimedia-terminal-based vision protection service can be easily or simply It is possible to deduce tha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6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The method of providing a multimedia terminal-based vision protec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n application executed by a computer or a program module have.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a multimedia terminal-based vision protec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terminal (which may include a program included in a platform or an operating system basically installed in the terminal) And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that is, a program) directly installed on a master terminal by a user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associated with the service. In this regard, the method of providing a multimedia terminal-based vision protec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or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i.e., a program) directly installed by a user, Lt; / RTI >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10)

멀티미디어 단말에서 실행되는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얼굴을 촬영하여 촬영 객체를 식별하고, 상기 촬영 객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구분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와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비교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과 상기 촬영 객체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거리를 기 저장된 단계별 거리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거리가 제 1 단계의 거리인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의 조도를 감소시키되 상기 제 1 단계 이하 및 제 2 단계 이상의 거리에서는 상기 조도를 점증적으로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거리가 상기 제 2 단계 미만의 거리인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의 화면을 상기 산출된 거리가 상기 제 1 단계의 거리에 도달할 때까지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계의 거리 및 제 2 단계의 거리는,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의 해상도 및 크기에 비례하고,
상기 제 2 단계의 거리는 상기 제 1 단계의 거리보다 짧은 것인,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A method of providing a vision protection service executed in a multimedia terminal,
Identifying a photographed object by photographing a face, and distinguishing and storing at least one identifier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object;
Comparing the identified at least one identifier with a predetermined parameter, and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multimedia terminal and the photographing object;
Comparing the calculated distance with a stored stepwise distance;
Decreasing the illuminance of the multimedia terminal when the calculated distance is the distance of the first stage, gradually increasing the illuminance at distances of the first stage and the second stage or more; And
And stopping the screen of the multimedia terminal until the calculated distance reaches the distance of the first step when the calculated distance is less than the second step,
The distance of the first step and the distance of the second step are proportional to the resolution and size of the multimedia terminal,
Wherein the distance of the second step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of the first ste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거리가 제 1 단계의 거리인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의 조도를 감소시키되 상기 제 1 단계 이하 및 제 2 단계 이상의 거리에서는 상기 조도를 점증적으로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거리도 제 1 단계의 거리인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에서 출력되는 사운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운드를 감소시키되, 상기 제 1 단계 이하 및 제 2 단계 이상의 거리에서는 상기 사운드를 점증적으로 감소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creasing the illuminance of the multimedia terminal when the calculated distance is the distance of the first stage is reduced in the distance of the first stage and the second stage or more,
And if the calculated distance is also the distance of the first step, if the sound outputted from the multimedia terminal exists, the sound is decreased, and the sound is gradually reduced ;
Wherein the multimedia terminal-based vision protection service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거리가 상기 제 2 단계 미만의 거리인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의 화면을 상기 산출된 거리가 상기 제 1 단계의 거리에 도달할 때까지 정지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정지된 화면 상에 경고 알림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고 알림 콘텐츠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출력되는 경우,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과 기 연동된 보호자 단말로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의 제어 권한이 핸드 오버(Hand over)되고,
상기 보호자 단말은 상기 제어 권한이 설정된 제어 채널을 통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의 제어를 시작하는 것인,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step of stopping the screen of the multimedia terminal until the calculated distance reaches the distance of the first step when the calculated distance is less than the second step,
Outputting an alert notification content on the stopped screen;
Further comprising:
When the warning notification content is output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re, the control right of the multimedia terminal is handed over from the sight prot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to the parent terminal connected to the multimedia terminal,
Wherein the guardian terminal starts controlling the multimedia terminal through the control channel to which the control authority is s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거리가 제 1 단계의 거리인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의 조도를 감소시키되 상기 제 1 단계 이하 및 제 2 단계 이상의 거리에서는 상기 조도를 점증적으로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거리가 제 1 단계의 거리인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의 조도를 감소시키면서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에서 출력되는 콘텐츠의 배율을 증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creasing the illuminance of the multimedia terminal when the calculated distance is the distance of the first stage is reduced in the distance of the first stage and the second stage or more,
Increasing the magnification of the content output from the multimedia terminal while reducing the illuminance of the multimedia terminal if the calculated distance is the distance of the first stage;
Wherein the multimedia terminal-based vision protection service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에서 상기 얼굴을 촬영할 때,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를 구동시키되, 상기 구동되는 카메라의 화면이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에서 출력되지 않도록 백그라운드 모드 및 히든(Hidden Mode)로 구동되는 것인,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ultimedia terminal is driven in a background mode and a hidden mode so as to drive a camera included in the multimedia terminal when the face is photographed by the multimedia terminal but the screen of the camera being driven is not output from the multimedia terminal, A method of providing a terminal based vision protection ser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을 촬영하여 촬영 객체를 식별하고, 상기 촬영 객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촬영 객체는 기 저장 및 설정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부터 이미지 분석 및 유사도에 근거하여 식별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는 상기 얼굴에 포함되어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의 카메라와 상기 얼굴 간의 거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객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는 기 저장된 식별자 이미지 템플릿과의 이미지 유사도에 근거하여 식별 및 구분되는 것인,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photographing the face to identify a shooting object; sorting and storing at least one identifier included in the shooting object;
Wherein the shooting object is identified based on image analysis and similarity from previously stored and set images or moving images,
Wherein the at least one identifier is an identification object included in the face for identifying a distance between the camera of the multimedia terminal and the face,
Wherein the at least one identifier is identified and identified based on image similarity with a previously stored identifier image templa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거리가 상기 제 2 단계 미만의 거리인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의 화면을 상기 산출된 거리가 상기 제 1 단계의 거리에 도달할 때까지 정지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에서 얼굴로 식별한 촬영 객체가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에서 감지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안구 운동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안구 운동 콘텐츠와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에서 촬영된 촬영 객체의 안구 운동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안구 운동 콘텐츠에 포함된 기준 안구 운동 프레임과 촬영된 촬영 객체 프레임의 유사도가 기 설정된 유사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안구 운동 콘텐츠를 종료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구 운동 콘텐츠는 기 설정된 주기로 출력되도록 제어되는 것인,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step of stopping the screen of the multimedia terminal until the calculated distance reaches the distance of the first step when the calculated distance is less than the second step,
Outputting an eye movement content when the time detected by the multimedia terminal exceeds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image object identified as a face in the multimedia terminal;
Comparing the outputted eye movement contents with eye movement of a shooting object photographed by the multimedia terminal;
Ending the eye movement content if the similarity degree between the reference eye movement frame included in the eye movement content and the captured image shooting frame exceeds the preset similarity valu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eye movement content is controlled to be output at a predetermined cy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거리가 상기 제 2 단계 미만의 거리인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의 화면을 상기 산출된 거리가 상기 제 1 단계의 거리에 도달할 때까지 정지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에서 촬영된 촬영 객체가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촬영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에서 출력되는 빛 중 기 지정된 파장의 청색광을 차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step of stopping the screen of the multimedia terminal until the calculated distance reaches the distance of the first step when the calculated distance is less than the second step,
Blocking a blue light of a predetermined wavelength from light output from the multimedia terminal when a photographed object photographed by the multimedia terminal is photograph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a multimedia terminal-based vision protection ser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거리가 상기 제 2 단계 미만의 거리인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의 화면을 상기 산출된 거리가 상기 제 1 단계의 거리에 도달할 때까지 정지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의 카메라를 통하여 수집된 조도와, 기 설정된 기준 조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기준 조도보다 상기 수집된 조도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 조도차보다 클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의 화면의 조도를 상기 기준 조도차를 만족하도록 감소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step of stopping the screen of the multimedia terminal until the calculated distance reaches the distance of the first step when the calculated distance is less than the second step,
Comparing the illuminance collected through the camera of the multimedia terminal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illuminance;
Reducing the illuminance of the screen of the multimedia terminal to satisfy the reference illuminance differenc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lluminance values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illuminance difference than the reference illuminance valu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a multimedia terminal-based vision protection service.
KR1020170106135A 2017-08-22 2017-08-22 Method for providing eyesight shielding service based on multi-media device KR1019878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135A KR101987837B1 (en) 2017-08-22 2017-08-22 Method for providing eyesight shielding service based on multi-media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135A KR101987837B1 (en) 2017-08-22 2017-08-22 Method for providing eyesight shielding service based on multi-media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051A KR20190021051A (en) 2019-03-05
KR101987837B1 true KR101987837B1 (en) 2019-06-12

Family

ID=65760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135A KR101987837B1 (en) 2017-08-22 2017-08-22 Method for providing eyesight shielding service based on multi-media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83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164B1 (en) 2017-06-08 2021-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signag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78131B1 (en) * 2019-08-30 2020-04-07 심성호 Electronic device system including portable terminal and server
WO2021070980A1 (en) * 2019-10-08 2021-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248123B1 (en) * 2019-11-13 2021-05-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atigue control glasses
KR102173139B1 (en) * 2020-06-11 2020-11-02 송중식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age analysis based sight conservation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082B1 (en) * 2010-01-20 2017-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adjusting video signal and method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051A (en) 201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837B1 (en) Method for providing eyesight shielding service based on multi-media device
US202002194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images
US11455830B2 (en) Face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13034230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miting the use of an electronic display
US918997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feedback based on the state of an object
JP7295936B2 (en) Motion recogni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4391572B (en) Electronic installation and its control method with eyeball tracking function
CN104137118A (en) Enhanced face recognition in video
US20140285402A1 (en) Social data-aware wearable display system
US20170277258A1 (en) Method for adjusting screen luminance and electronic device
CN107731201B (en) Screen brightness adjusting method and device
CN109145679A (en) A kind of method, apparatus and system issuing warning information
CN112202962B (en) Screen brightness adjusting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178208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US201800271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handset modes
CN116109866A (en) Fine tuning model construction method, image classification process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50045465A (en) Method for provisioning a person with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n event
KR20200070632A (en) Training system for dementia patient
CN111610886A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brightness of touch screen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3824832B (en) Prompting method, prompting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8804901A (en) Terminal device based on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and control method
KR102560638B1 (en) Dementia patien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N113556608A (en) Display device play control method, display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101897782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displayed of user terminal to distance from user
US201403133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improved device user experi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