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450B1 - 환경측정기기 국산화율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환경측정기기 국산화율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450B1
KR101987450B1 KR1020180128111A KR20180128111A KR101987450B1 KR 101987450 B1 KR101987450 B1 KR 101987450B1 KR 1020180128111 A KR1020180128111 A KR 1020180128111A KR 20180128111 A KR20180128111 A KR 20180128111A KR 101987450 B1 KR101987450 B1 KR 101987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arts
cost
weight
cost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박승민
김환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시험원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to KR1020180128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복수의 모듈로 구성된 환경측정기기의 국산화율을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주요 부품-상기 모듈을 구성하는 모든 부품 중 기설정된 주요 부품으로서 국산부품과 외산부품이 있음-의 원가총액과 상기 주요 부품 중 상기 국산부품의 원가총액으로부터 각 모듈의 원가율을 산정하는 모듈별 원가율산정단계; 및 산정된 각 모듈의 원가율과 각 모듈에 따른 가중치-상기 모듈에 따라 기설정된 가중치임-를 고려하여 최종 국산화율을 산정하는 가중치고려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측정기기 국산화율 평가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환경측정기기 국산화율 평가방법{EVALUATION METHOD OF THE LOCALIZATION RATE OF ENVIRONMENTAL MEASURING INSTRUMENTS}
본 발명은 환경측정기기의 국산화율을 평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국가수질자동측정망, 수질TMS, 굴뚝TMS 등 환경관리 정책에 따른 다양한 측정장비 및 기계장치기술, 시스템 구축 기술들이 필요하나 이에 대한 국산 환경 자동측정장비의 국산화율은 매우 낮다. 이에 따라 장비 및 고가의 부품 수입으로 외화 유출 문제 및 신속한 A/S 현장대응 부재의 문제 등이 발생하고 있다.
지금까지 국가지원을 통하여 다양한 측정기기 개발이 시도되고 일부 수질 TMS 및 배출가스 원격모니터링 사업에 일부 국산장비들이 도입되고 시장진입에 성공하였으나, 검출부 및 밸브 등과 같은 핵심부품은 여전히 국외에서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환경측정기기의 국산화율이 조사되어 발표되고 있으나, 현재의 조사결과는 환경측정기기의 완제품 생산국이 국내인지 국외인지로 구분하는 단편적인 방법으로서, 국산화율의 검증에 미흡하며, 실제 환경측정기기의 핵심기술이 국산화율 평가에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종래 국산화율을 평가하는 방법의 문제를 해결하고 기술개발을 장려할 수 있는 환경측정기기의 올바른 국산화율 평가방법을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환경측정기기의 국산화율을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핵심기술의 국내 기술개발을 장려하도록 모듈을 구성하는 주요부품의 원가 및 복수의 모듈 중 핵심모듈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국산화율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핵심기술이나 핵심부품이 국산이라면 국산으로 판단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측정기기의 국산화율 평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의 모듈로 구성된 환경측정기기의 국산화율을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주요 부품-상기 모듈을 구성하는 모든 부품 중 기설정된 주요 부품으로서 국산부품과 외산부품이 있음-의 원가총액과 상기 주요 부품 중 상기 국산부품의 원가총액으로부터 각 모듈의 원가율을 산정하는 모듈별 원가율산정단계; 및
산정된 각 모듈의 원가율과 각 모듈에 따른 가중치-상기 모듈에 따라 기설정된 가중치임-를 고려하여 최종 국산화율을 산정하는 가중치고려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측정기기 국산화율 평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모듈별 원가율산정단계는,
각 모듈을 구성하는 상기 국산부품의 원가총액과 상기 외산부품의 원가총액으로부터, 아래 식에 의하여 각 모듈의 원가율을 산정할 수 있다.
-아래 식-
모듈의 원가율=(국산부품의 원가총액/(국산부품의 원가총액+외산부품의 원가총액))*100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중치고려단계는,
중요도에 따라 기설정된 각 모듈의 가중치-모든 가중치의 합은 “1”이 되도록 함-를 산정된 각 모듈의 원가율에 곱하고, 이를 모두 합하여 국산화율을 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모듈은,
시료채취 모듈, 전처리 모듈, 감지모듈, 연산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주요 부품별 중요도에 따라 기설정된 각 부품의 가중치-모든 가중치의 합은 “1”이 되도록 함-를 각 부품의 원가에 곱한 값을 이용하여 각 모듈의 원가율을 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환경측정기기 국산화율 평가방법을 이용하면 모듈별, 부품별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하여 핵심기술, 또는 핵심부품을 기준으로 국산화율을 산정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핵심기술 또는 핵심부품을 기준으로 국산화율 산정방식을 변경함에 따라 환경측정기기의 기술개발을 장려하고 해외수출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측정기기를 구성하는 각 모듈의 원가율을 먼저 구하고, 이후 가중치를 고려하여 최종 국산화율을 평가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형 센서를 구성하는 각 모듈의 원가율을 먼저 구하고, 이후 가중치를 고려하여 최종 국산화율을 평가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종래 단편적으로 완성품이 어디에서 제작되는지에 따라 국산과 외산을 판단하거나 또는 부품별 생산지와 원가만을 고려하여 국산 원가총액 및 외산 원가총액을 이용하여 전체 제품의 국산화율을 산정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환경측정기기 국산화율 평가하는 방법에서 탈피하여, 국산화율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환경측정기기의 연구개발에서 가장 중요한 모듈이나 부품 등을 미리 설정하고, 이를 핵심기술로 간주하면서 이에 대한 국산화율 기여도를 높게 설정함으로써 환경측정기기의 핵심기술에 대한 기술개발을 장려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환경측정기기의 국산화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국산화율 평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측정기기의 국산화율 평가방법은 모듈별 원가율산정단계, 및 가중치고려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국산화율 산정시, 모듈별로 중요도를 고려하거나 나아가 부품별로 중요도를 고려하여 이를 국산화율 선정에 반영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핵심 부품이나 핵심 기술이 국산이라면 이를 국산으로 평가하는 것이 올바른 평가방법이라는 전제하에서 본 발명이 시작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체 부품의 원가총액을 바로 국산화율 평가에 이용하지 않고 각 모듈별로 원가율을 먼저 산정하고, 산정된 원가율에 가중치를 고려하여 최종 국산화율을 산정하는 것이다.
환경측정기기는 환경오염물질에 해당하는 극미량의 오염성분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분석장치로서, 크게 시료채취/도입부, 전처리/반응부, 센싱/검출부, 연산지시부로 나눌 수 있다.
이에 각각의 파트에 대한 모듈은 시료채취 모듈, 전처리 모듈, 감지모듈, 연산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환경측정기기를 구성하는 각각의 모듈을 미리 설정하고 분류하여 놓는다. 그리고 각각의 환경측정기기마다 이를 구성하는 모듈에 대한 중요도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수질오염 측정기술분야에 사용되는 환경측정기기에서는 상술한 4개의 모듈 중 전처리 모듈이 제일 중요하다고 판단되어 설정될 수 있고, 대기환경질 측정기술 분야의 환경측정기기에서는 상술한 4개의 모듈 중 감지모듈이 가장 중요한 모듈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대기 배출원 측정기술 분야에서는 시료채취 모듈이 가장 중요한 모듈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은 환경측정기기를 구성하는 각 모듈의 원가율을 먼저 구하고, 이후 가중치를 고려하여 최종 국산화율을 평가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 대기 환경측 측정기술 분야의 환경측정기기인 경우, 이를 구성하는 각 모듈의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가 달라지므로, 시료채취 모듈의 가중치가 0.25, 전처리 모듈의 가중치가 0.25 감지모듈에 대한 가중치가 0.4, 연산모듈에 대한 가중치가 0.1일 수 있는 것이다. 모든 가중치의 합이 “1”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각 모듈을 구성하는 부품의 원가를 고려하여 먼저 원가율을 산정한 다음, 이후 상술한 가중치를 고려하여 최종국산화율을 평가하게 된다.
이처럼 각 환경측정기기마다 이러한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가 달라지므로, 이를 미리 설정하여 세팅해 놓는 것이다.
한편, 환경측정기기 중 독립형 센서 같은 경우는 시료채취 모듈이나 전처리모듈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감지모듈 및 연산모듈로만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2개의 모듈에 대한 가중치만을 미리 설정하여 놓는 것이다.
도 2는 독립형 센서를 구성하는 각 모듈의 원가율을 먼저 구하고, 이후 가중치를 고려하여 최종 국산화율을 평가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례로 독립형 센서의 경우 감지모듈의 가중치가 0.9이고, 연산모듈의 가중치가 0.1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감지모듈 및 연산모듈을 구성하는 각 부품의 원가를 고려하여 먼저 원가율을 산정한 다음, 이후 상술한 가중치를 고려하여 최종 국산화율을 산정할 수 있다.
이처럼 각각의 기기마다 핵심기술 또는 중요한 모듈이 서로 다를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국산화율을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국산화율 평가시 중요기술, 핵심기술 등에 대한 고려를 반영함으로써, 환경측정기기 분야의 핵심기술 또는 중요기술에 대한 국산화를 더욱 장려하고, 이에 따라 핵심기술 개발에 더욱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별 원가율산정단계는 입력된 주요부품의 원가총액과 주요부품 중 국산부품의 원가총액으로부터 원가율을 산정할 수 있다.
이때 각 모듈을 구성하는 주요 부품 또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환경측정기기를 구성하는 시료채취 모듈, 전처리 모듈, 감지모듈 및 연산모듈에 각각에 대한 주요부품을 미리 설정하여 놓는 것으로서, 예를들어, 광산란방식의 미세먼지측정장치라면 감지모듈로서 센싱부품, 처리부품, 및 통신부품 등이 주요 부품으로 설정될 수 있다.
감지모듈은 위와 같은 주요 부품 이외에도 결합을 위한 볼트나 나사와 같은 마이너(minor)한 부품도 포함하나,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부품에 대한 국산화여부는 고려하지 않는다. 즉, 각 모듈을 구성하는 주요 부품을 미리 선정하고, 이에 대한 국산화여부만 고려하는 것이다.
각 모듈을 구성하는 미리 설정된 주요부품에 대한 원가총액을 국산부품과 외산부품으로 나누어 입력받고, 입력받은 국산부품의 원가총액과 외산부품의 원가총액으로부터 아래의 식에 의하여 각 모듈의 원가율을 산정하게 된다.
-아래 식-
모듈의 원가율=(국산부품의 원가총액/(국산부품의 원가총액+외산부품의 원가총액))*100
한편, 원가율을 산정하는 경우에 주요 부품별 중요도에 따라 미리 각 부품의 가중치를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이때 각 부품에 대한 모든 가중치의 합은 “1”이 되어야 한다. 설정된 각 부품의 가중치에 따라 각 부품의 원가에 이를 곱하여 각 모듈의 원가율을 산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광산란방식의 미세먼지측정장치라면 감지모듈로서 센싱부품, 처리부품, 및 통신부품 등이 주요 부품으로 설정되어 있고, 설정된 센싱부품의 가중치가 0.4, 처리부품의 가중치가 0.2, 통신부품의 가중치가 0.4라면, 이를 각 부품의 원가에 곱하여 원가율을 산정하는 것이다.
만약 처리부품 및 통신부품이 모두 국산이고, 가격이 각각 2만원, 3만원이고, 센싱부품이 외산이며 가격이 5만원이라면, 본 감지모듈에 대한 원가율을 계산하면 아래와 같다.
감지모듈에 대한 원가율=(2만원*0.2+3만원*0.4)/(5만원*0.4+2만원*0.2+3만원*0.4)*100=44.44
미리 컴퓨터에 이러한 각 부품에 대한 가중치를 설정하여 놓고, 각 부품의 원가가 입력되면 원가에 가중치를 곱하여 상술한 모듈의 원가율 구하는 공식에 의하여 각 모듈의 원가율이 자동계산되어 산출될 수 있다.
가중치고려단계는 중요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각 모듈의 가중치를 산정된 각 모듈의 원가율에 곱하고 이를 모두 합함으로써 최종국산화율을 산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환경측정기기의 국산화율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핵심기술이나 핵심부품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원가율 및 이를 바탕으로 한 최종 국산화율을 산정함으로써, 각 장치에서 중요한 부분에 보다 많은 국산화 노력 및 기술개발을 장려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핵심기술의 국산화 장려는 결국 환경측정기기의 국산화를 유도함으로써, 결국 환경측정기기의 국산화에 최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별 원가율산정단계 및 가중치고려단계는 컴퓨터의 연산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각 모듈을 구성하는 주요부품의 원가총액을 국산부품과 외산부품으로 나누어 입력하게 되면 컴퓨터의 연산장치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해당 환경측정장치의 국산화율을 계산하여 도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5)

  1. 컴퓨터가 복수의 모듈로 구성된 환경측정기기의 국산화율을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주요 부품-상기 각 모듈을 구성하는 모든 부품 중 기설정된 주요 부품으로서 국산부품과 외산부품이 있음-의 원가와, 각 주요 부품의 부품가중치-상기 주요 부품의 중요도에 따라 기설정된 가중치이며, 모든 부품가중치의 합은 “1”이 되도록 함-로부터, 각 모듈의 원가율을 산정하는 모듈별 원가율산정단계; 및
    산정된 각 모듈의 원가율과 각 모듈에 대한 모듈가중치-상기 모듈의 중요도에 따라 기설정된 가중치이며, 모든 모듈가중치의 합은 "1"이 되도록 함-를 고려하여 최종 국산화율을 산정하는 가중치고려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별 원가율산정단계에서는, 아래의 식에 따라 각 모듈의 원가율을 산정하고,
    [식]
    모듈의 원가율=(국산부품의 (부품가중치*원가)의 총합/(국산부품의 (부품가중치*원가)의총액 + 외산부품의 (부품가중치*원가)의 총합))*100
    상기 가중치고려단계에서는, 각 모듈의 원가율에 모듈가중치를 곱한 것을 모두 합하여 최종 국산화율을 산정하고,
    상기 환경측정기기는 광산란방식 미세먼지측정기기로서, 시료채취 모듈, 전처리 모듈, 감지모듈 및 연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각 모듈 중에서 상기 감지모듈의 모듈가중치가 가장 높고,
    상기 감지모듈은, 센싱부품, 처리부품 및 통신부품을 포함하는,
    환경측정기기 국산화율 평가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28111A 2018-10-25 2018-10-25 환경측정기기 국산화율 평가방법 KR101987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111A KR101987450B1 (ko) 2018-10-25 2018-10-25 환경측정기기 국산화율 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111A KR101987450B1 (ko) 2018-10-25 2018-10-25 환경측정기기 국산화율 평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450B1 true KR101987450B1 (ko) 2019-06-10

Family

ID=66847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111A KR101987450B1 (ko) 2018-10-25 2018-10-25 환경측정기기 국산화율 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450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산화율 산정방식 개선. 한국방위산업진흥회, 2013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ulet et al. Model falsification diagnosis and sensor placement for leak detection in pressurized pipe networks
Brighenti et al. Two calibration methods for modeling streamflow and suspended sediment with the swat model
CN114168906B (zh) 一种基于云计算的测绘地理信息数据采集系统
CN105740991A (zh) 基于改进bp神经网络拟合多种气候模式的气候变化预测方法及系统
CN102506994A (zh) 一种数字化声学检测系统
CN109975366A (zh) 农村生活污水a2o处理终端出水cod浓度软测量方法及装置
CN114818828B (zh) 雷达干扰感知模型的训练方法及雷达干扰信号识别方法
CN106500753A (zh) 一种测试设备计量特性评定校准数据处理方法
Pendrill Optimised measurement uncertainty and decision-making when sampling by variables or by attribute
CN108304317A (zh) 一种基于路径执行频率的单过程程序静态切片方法及系统
CN105204002A (zh) 一种声源定位方法及系统
KR101987450B1 (ko) 환경측정기기 국산화율 평가방법
CN102207474B (zh) 一种基于xrf光谱仪合金牌号鉴定的智能方法
CN110243464A (zh) 一种适用于变电站现场的高抗噪声声功率级测试修正方法
CN106803192A (zh) 一种房地产的环境和周围配套的影响评估方法
CN110222916A (zh) 农村生活污水a2o处理终端出水总氮浓度软测量方法及装置
CN107561008A (zh) 一种用于真空紫外漫反射板brdf特性测量的装置
CN202330401U (zh) 污水生物处理技术验证评估移动平台数据采集处理系统
CN106706854A (zh) 一种空气检测系统
CN114489760A (zh) 代码质量评价方法和代码质量评价装置
Carratù et al. A Sound Level Meter featured with automatic estimation of the measurement uncertainty
CN111595433B (zh) 航空发动机整机振动传感器的位置确定方法及系统
CN116182967A (zh) 超声波流量计数据修正方法、系统、装置及电子设备
CN208443730U (zh) 一种便携式在线全光谱水质监测仪结构
Shilton et al. Error propagation analysis of XPS 31-133 and CRTN to help develop a noise mapping data stand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