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419B1 - Functional windows - Google Patents

Functional window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419B1
KR101987419B1 KR1020180087617A KR20180087617A KR101987419B1 KR 101987419 B1 KR101987419 B1 KR 101987419B1 KR 1020180087617 A KR1020180087617 A KR 1020180087617A KR 20180087617 A KR20180087617 A KR 20180087617A KR 101987419 B1 KR101987419 B1 KR 101987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r
fixing
filter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6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지홍
정다호
정다영
Original Assignee
김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영 filed Critical 김진영
Priority to KR1020180087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4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4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nctional window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al window comprises: a frame; a middle bar formed to be moved along a guid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and provided with a first and a second winding unit formed on an upper and a lower side thereof; an insect resistant unit wound on the first winding unit, wherein one side thereof is fixed on an upper side of the frame; a filter unit wound on the second winding unit, wherein one side thereof is fixed on a lower side of the frame; and a fixing module which has a fixing part formed to be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on the guide, and is formed on the middle bar to fix the middle bar at a prescribed height. The fixing module includes: a support unit whic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art to move the fixing part in parallel with the middle bar,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fixing bar; and a push unit to slide and move the support unit.

Description

기능성 창호{FUNCTIONAL WINDOWS}{FUNCTIONAL WINDOWS}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기능성 창호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window installed in an opening of a building.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외부와의 차단 및 개방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창호에는 창짝의 개방시 외부로부터 모기와 같은 해충의 실내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창틀프레임에 방충망이 설치된다. 이러한 방충망은 창호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설치된다. 예컨대, 실외측으로 개방되는 여닫이 창호에는 창틀프레임의 실내측에 방충망이 롤스크린 방식으로 설치되고, 미서기 창호에는 창틀프레임의 실외측에 마련된 별도의 레일에 방충망프레임이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Generally, a window is installed in an opening of a building to perform an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with the outside. In such a window, an insect screen is installed on the window frame frame so as to block the inflow of insects such as mosquitoes from the outside when the window is opened. These insect screens are installed in various structures according to the kinds of windows. For example, in a casement window opened to the outdoor side, an insect control net is provided in a sliding door manner on the inside of the window frame frame, and a door frame is slidably opened and closed on a separate rail provid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window frame frame.

한편, 실내 공간을 창호로 밀폐하여 장시간 생활할 경우, 실내공간에는 각종 먼지, 미생물, 실내 건축재에서 배출되는 각종 오염물질(포름알데히드, 휘발성 유기물, 석면가루, 라돈) 등이 공기중에 부유하게되며, 이들은 호흡기 질병과 각종 알레르기를 유발하고, 두통, 기침, 피부병, 암 등의 질병을 유발시킨다.Meanwhile, when indoor space is sealed with a window, various contaminants (formaldehyde, volatile organic matter, asbestos powder, radon) emitted from various dusts, microorganisms, and interior building materials float in the air, They cause respiratory and allergic diseases, and cause diseases such as headache, cough, skin disease and cancer.

따라서 실내와 외부를 통풍시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이러한 환기과정에서 창호를 열게 되면 외부의 먼지, 날벌레가 침입할 뿐 아니라 공기중의 중금속 등이 실내로 유입되어 오히려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Therefore, it is important to ventilate the indoor air by ventilating the room and the outside. When the window is opened in this ventilation process, not only the outside dust and the airflow enter, but also the heavy metals in the air enter the room, .

이에 최근에는 아파트나 주상복합건물 또는 사무실 등의 창호에, 창호를 열지 않고서도 실내에 대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연환기구가 설치되고 있으며, 그 예로는 특허등록 제1393572호, 등록특허 제 1521415호 등이 있으나,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주로 실내 공기와 실외공기를 순환시키는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공기중의 미세먼지 및 먼지내 중금속 등을 흡착하기 위한 구성이 없어, 미세먼지 및 중금속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Recently, there has been provided a natural ventilation hole in a window of an apartment, a residential complex or an office for ventilation to the interior without opening the window, for example, Patent Registration No. 1393572, Registration No. 1521415 However, these prior arts are mainly aimed at circulating indoor air and outdoor air, and there is no constitution for adsorbing fine dust in the air and heavy metals in the dust, resulting in damage caused by fine dust and heavy metals .

따라서, 환기를 시키면서도 방충 및 미세먼지 유입 방지 기능을 갖는 기능성 창호가 고려될 수 있다.Therefore, a functional window having a function of insect proof and fine dust inflow while ventilating can be considered.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보다 향상된 구조를 갖으며,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기능성 창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nctional window having a more advanced structure and having a complex func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기능성 창호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게 형성되고, 상측과 하측에 각각 제1 및 제2 권취부가 형성된 중간바; 상기 제1 권취부에 권취되고 일측이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고정된 방충부; 상기 제2 권취부에 권취되고 일측이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고정된 필터부; 및 상기 중간바가 일정 높이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가이드에 형성된 홈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되는 고정대를 구비하여 상기 중간바에 형성되는 고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고정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대가 상기 중간바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푸쉬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unctional window comprising: a frame; An intermediate bar formed to move along a guid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and having first and second windings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respectively; An insecticide wound around the first winding part and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frame; A filter portion wound around the second winding portion and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ame; And a fixing module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guide so that the middle bar is fixed at a predetermined height, the fixing module be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ing bar, A support member formed to move in parallel with the intermediate bar, the support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upport member; And a push portion for slidingly moving the support portion.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측과 하측에 각각 제1 및 제2 권취부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게 형성되는 중간바; 상기 제1 권취부에 권취되고 일측이 상기 중간바의 일측에 고정된 방충부; 상기 제2 권취부에 권취되고 일측이 상기 중간바의 타측에 고정된 필터부; 및 상기 중간바가 일정 높이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가이드에 형성된 홈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되는 고정대를 구비하여 상기 중간바에 형성되는 고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고정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대가 상기 중간바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푸쉬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rame having first and second winding portions on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An intermediate bar formed to move along a guid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An insecticide wound around the first winding part and having one side fixed to one side of the middle bar; A filter portion wound around the second winding portion and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intermediate bar; And a fixing module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guide so that the middle bar is fixed at a predetermined height, the fixing module be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ing bar, A support member formed to move in parallel with the intermediate bar, the support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upport member; And a push portion for slidingly moving the support portion.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부는 서로 극성이 다른 제1 도전라인과 제2 도전라인이 필터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도전라인은 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형성될 때 양극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도전라인은 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형성될 때 음극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unit is formed by laminating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having different polarities from each other with a filt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first conductive line is formed by static electricity And the second conductive line is configured to form a cathode when electrostatic is formed by friction.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권취부의 일측에 상기 필터부에 의해 포집된 먼지를 집진하여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집진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바가 상기 프레임의 하측까지 이동하면, 상기 집진부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먼지를 외부로 배출하도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dust collecting part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econd winding part to collect dust discharged by the filter part and discharge the dust. When the middle bar moves to the lower side of the frame, And the dus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창호는 방충망과 미세먼지 방지망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능성 창호를 제공할 수 있다.The window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provide a functional window capable of selectively controlling an insect screen and a fine dust prevention net.

또한, 미세먼지 등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창호에 형성된 창문을 개폐하거나 중간바를 이동시켜 미세먼지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detecting fine dust or the like, a window formed in a window can be automatically opened or closed, or an intermediate bar can be moved to prevent inflow of fine dust.

그리고, 정전기를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미세먼지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by using the static electricit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low of fine dust more effective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기능성 창호의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능성 창호를 라인 A-A' 따라 절단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기능성 창호를 라인 A-A' 따라 절단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고정모듈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고정모듈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필터부의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기능성 창호 시스템의 구성도.
1 is a conceptual view of a functional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unctional window shown in FIG. 1 cut along line AA '; FIG.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unctional window shown in Fig. 1 cut along the line AA ', as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ixed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view of a fix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view of a filter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unctional window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성 창호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Hereinafter, a functional window relat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기능성 창호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능성 창호를 라인 A-A' 따라 절단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기능성 창호를 라인 A-A' 따라 절단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고정모듈의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고정모듈의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필터부의 개념도이다.FIG. 1 is a conceptual view of a functional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functional window shown in FIG. 1 along a line AA '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ix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ectional view of a fixed windo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기능성 창호(100)는 프레임(110), 중간바(120), 방충부(130), 필터부(140) 및 고정모듈을 포함한다.1 to 6, the functional window 100 includes a frame 110, an intermediate bar 120, a defector 130, a filter unit 140, and a fixing module.

프레임(110)은 건물의 개구된 부분의 내주에 결합된다. 프레임(110)은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거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상측, 하측과 양측을 구비하고, 양측에 가이드(114, 115)가 형성된다. 가이드(114, 115)는 중간바(1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홈(113)을 구비한다. 가이드(114, 115)에 슬릿이 형성된다. 슬릿에는 방충부(130)나 필터부(140)의 양측단이 삽입되어 방충부(130)나 필터부(140)의 양측이 슬릿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프레임(110)에는 창문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rame 110 is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open portion of the building. The frame 110 may be formed of a metallic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The frame 110 has upper, lower and both sides, and guides 114 and 115 are formed on both sides. The guides 114 and 115 are provided with grooves 113 so that the intermediate bar 120 can be fixed. Slits are formed in the guides 114 and 115. Both sides of the insectproof portion 130 and the filter portion 140 are inserted into the slit and both sides of the insectproof portion 130 and the filter portion 140 can move along the slit. A window may be formed on the frame 110.

프레임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중간바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에 중간바, 방충부 및 필터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frame may be formed in plural. At this time, an intermediate bar may be formed in any one of the frames.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with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and the intermediate bar, the insectproof portion and the filter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first frame.

중간바(120)는 가이드(114, 115)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중간바(120)는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거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바(120)의 상측과 프레임(110)의 상측까지는 방충부(130)가 형성되고, 중간바(120)의 하측과 프레임(110)의 하측까지는 필터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The intermediate bar 120 is form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guides 114 and 115. The intermediate bar 120 may be formed of a metallic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The upper side of the intermediate bar 120 and the upper side of the frame 110 may be formed with the defective portion 130 and the filter portion 140 may be formed below the middle bar 120 and below the frame 110.

사용자가 중간바(120)를 상하로 이동시키면 방충부(130)나 필터부(140)에 의해 개구부가 덮이는 부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먼지가 많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중간바(120)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필터부(140)를 이용해 환기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미세먼지가 적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중간바(120)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방충부(130)를 이용해 환기시킬 수 있다. When the user moves the intermediate bar 120 up and dow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ortion covered with the opening by the insectproof portion 130 and the filter portion 140. [ For example, when there is a lot of fine dust, the user can move the intermediate bar 120 upward and ventilate using the filter unit 140. Alternatively, when the amount of fine dust is small, the user can move the intermediate bar 120 downward and ventilate using the insect-proof part 130.

방충부(130)나 필터부(140)는 롤 형상으로 권취되어 있다. 그리고, 권취를 위해 중간바(120) 또는 프레임(110)의 상측 및 하측에 권취부(171, 172, 173, 174)가 형성된다. 도 2는 프레임(110)의 상측 및 하측에 권취부(171, 17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고, 도 3은 중간바(120)에 권취부(173, 174)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The insectproof portion 130 and the filter portion 140 are wound in a roll shape. Then, winding portions 171, 172, 173 and 174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intermediate bar 120 or the frame 110 for winding. Fig. 2 shows that the winding sections 171 and 172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frame 110, and Fig. 3 shows the winding bars 173 and 174 formed on the intermediate bar 120. Fig.

권취부들(171, 172, 173, 174)은 각각 보빈, 보빈의 외주에 형성되는 권취드럼 및 보빈과 권취드럭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코일체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탄성코일체의 일측은 보빈에 결합되고, 타측은 권취드럼에 결합된다. 보빈이 고정되고 권취드럼이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탄성코일체는 권취드럼이 회전됨에 따라 탄성적으로 직경이 커지거나 작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탄성코일체가 권취드럼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권취부들(171, 172, 173, 174)의 구성은 공지된 것으로서, 예를 들면 공개특허 제10-2010-0035873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winding portions 171, 172, 173, and 174 may be formed to include a bobbin, a winding drum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bbin, and an elastic coil formed between the bobbin and the winding drum. One side of the elastic coils is coupled to the bobbin,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winding drum. Since the bobbin is fixed and the winding drum is rotatably formed, the elastic coils become resiliently larger or smaller in diameter as the winding drum is rotated. As a result, the elastic coils elastically support the rotation of the winding drum. The configuration of the wind-up portions 171, 172, 173 and 174 is well known and is disclosed in, for example, Japanese Laid-Open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35873.

도 2를 참조하면, 방충부(130)는 제1 권취부(171)에 권취되고 일측이 프레임(110)의 상측에 고정된다. 필터부(140)는 제2 권취부(172)에 권취되고 일측이 프레임(110)의 하측에 고정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insectproof portion 130 is wound around the first winding portion 171 and one side thereof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frame 110. The filter unit 140 is wound around the second winding unit 172 and one side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ame 110.

도 3을 참조하면, 방충부(130)는 제1 권취부(173)에 권취되고 일측이 중간바(120)의 상측에 고정된다. 필터부(140)는 제2 권취부(174)에 권취되고 일측이 중간바(120)의 하측에 고정된다3, the insect control part 130 is wound around the first winding part 173 and one side thereof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termediate bar 120. As shown in FIG. The filter unit 140 is wound on the second winding unit 174 and one side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intermediate bar 120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권취부의 일측에 집진부(150)가 형성된다. 집진부의 일측에 권취부가 위치하고 집진부의 타측에 외부로 개구된 홀이 위치한다. 집진부(150)는 팬을 구비하여 프레임(110) 또는 중간바(120) 내부에 형성되며, 집진부(150)는 공기를 흡입하여 홀을 통해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필터부(140)에 의해 포집된 먼지가 건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권취시 방충부(130)나 필터부(140)가 말리거나(roll up) 펼쳐질 때 프레임(110) 또는 중간바(120) 내부에 먼지가 쌓이게 된다. 특히, 필터부(140)를 구성하는 도전라인은 서로 반대되는 극성으로 도전되어 있는데, 필터부(140)가 말리거나(roll up) 펼쳐질 때 제1 도전라인과 제2 도전라인이 접촉하게 된다.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도전라인으로 인해, 어느 일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필터부에 쌓인 먼지가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결국 프레임(110) 또는 중간바(120) 내부에 먼지가 쌓이게 된다. 이렇게 내부에 포집된 먼지를 집진부(150)는 팬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먼지의 배출을 위해 집진부의 타측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2 and 3, a dust collecting part 15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winding part. A winding part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part and a hole opened to the outside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part. The dust collecting part 150 includes a fan and is formed inside the frame 110 or the intermediate bar 120. The dust collecting part 150 is formed to suck air and discharge the air through the hole. Accordingly, the dust collected by the filter unit 14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Dust accumulates inside the frame 110 or the intermediate bar 120 when the insect repellent part 130 and the filter part 140 are rolled up and unfolded. In particular, the conductive lines constituting the filter unit 14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conductive line. When the filter unit 140 is rolled up and unfolded, the first conductive line and the second conductive line come in contact with each other. Dusts accumulated in the filter portion can be moved in any one direction due to the conductive lines having different polarities, so that the dust is accumulated inside the frame 110 or the middle bar 120. As a result, The dust collect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unit 15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an. 2 and 3, holes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part for dust discharge.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중간바(120)는 일정 높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모듈을 구비한다. 고정모듈은 고정대(122A, 122b), 지지부(123A, 123B) 및 푸쉬부(121)를 포함한다. 고정대(122A, 122b)는 가이드(114, 115)에 형성된 홈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된다. 지지부(123A, 123B)는 고정대(122A, 122b)의 일측에 형성되고, 고정대(122A, 122b)가 중간바(120)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고정대(122A, 122b)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푸쉬부(121)는 지지부(123A, 123B)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다. 도 4와 도 5는 중간바(120)를 프레임(110)에 대해 일정 높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모듈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푸쉬부(121)는 버튼형상 또는 손잡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intermediate bar 120 has a fixing module to be fixed at a predetermined height. The fixing module includes fixing portions 122A and 122B, supports 123A and 123B, and a push portion 121. [ The fixing members 122A and 122B are formed so as to be insertable into the grooves formed in the guides 114 and 115, respectively. The support portions 123A and 123B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ing members 122A and 122B and the fixing members 122A and 122B are formed to move in parallel with the intermediate bar 120. The fixing members 122A and 122B are elastically . The push portion 121 is formed to slide the support portions 123A and 123B. FIGS. 4 and 5 illustrate examples of fixing modules that are formed to be able to be fixed at a constant height with respect to the frame 110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bar 120. FIG. The push portion 121 may have a button shape or a handle shape.

방충부(130)는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망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sect repellent part 13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may have a net shape.

도 6을 참조하면, 필터부(140)는 필터(142), 제1 도전라인(141) 및 제2 도전라인(142)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filter unit 140 includes a filter 142, a first conductive line 141, and a second conductive line 142.

제1 도전라인(141)은 대전 서열 중 양극에 해당하는 염화비닐, 실리콘 또는 테프론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도전라인(142)은 대전 서열 중 음극에 해당하는 면 또는 나일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도전라인(141)은 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형성될 때 양극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 도전라인(142)은 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형성될 때 음극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conductive line 141 may be formed of vinyl chloride, silicon, or Tefl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ve electrode in the charging sequence. The second conductive line 14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cathode of the charging sequence or a material of nylon. Accordingly, the first conductive line 141 can form an anode when static electricity is formed by friction, and the second conductive line 142 can form a cathode when static electricity is formed by friction.

필터(142)는 항균 기능을 갖는 황토, 쑥, 솔잎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성분이 함유된 수용액에 염색되어 유해 바이러스에 대한 항균기능을 갖는 동시에, 용이하게 미세먼지나 분진을 집진할 수 있도록 천 재질로 형성된다.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될 때 필터(142)와 도전라인들이 서로 마찰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1 도전라인(141)과 제2 도전라인(142)이 대전된다. 외부공기에서 양극에 해당하는 입자들은 제1 도전라인(141)의 척력에 의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음극에 해당하는 입자들은 필터(142)에 집진되어 건물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lter 142 is dyed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ny one selected from yellow clay, wormwood and pine leaves having an antibacterial function to have an antibacterial function against noxious viruses, and also to be capable of easily collecting minute dust or dust, . The filter 142 and the conductive lines rub against each other when air flows in or out, whereby the first conductive line 141 and the second conductive line 142 are charged. The particles corresponding to the anode in the outside air ar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due to the repulsive force of the first conductive line 141 and the particles corresponding to the cathode are prevented from being collected into the filter 142 and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have.

방충부(130)와 필터부(140)는 창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insectproof portion 130 and the filter portion 14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window.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기능성 창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of a functional window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기능성 창호 시스템은 기능성 창호(100)와 통합서버(200) 및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창호(100)는 앞서 설명한 구성 이외에도 감지부(162), 동작부(164), 스위치부(165), 제어부(163) 및 통신부(1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는 복수의 센서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미세먼지의 감지, 창호의 개폐, 중간바(120)의 이동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동작부는 모터를 구비할 수 있으며, 모터를 이용하여 중간바(120)를 상하로 이동시키거나 창문을 개폐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스위치부를 이용하여 제어부나 동작부를 조작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감지부나 동작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고 통신부를 통해 통합서버로 전송한다. 제어부는 기설정된 명령에 따라 감지부나 동작부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는 통신망을 통해 통합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다. 통신망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한 네트워크는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컴포넌트(Component), S-비디오(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GB, D-SUB와 같은 유선 연결(wire connection)을 위한 네트워크와 그를 위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과, 블루투스(Bluetooth), WLAN(Wireless LAN)(Wi-Fi), Wi-Fi 다이렉트(direct),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TE-A(Long Term Evolution/LTE-Advanced) 등과 같은 무선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와 그를 위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 functional window system may include a functional window 100, an integration server 200, and a terminal 300. The functional window 100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162, an operation unit 164, a switch unit 165, a control unit 163, and a communication unit 161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s, and may sense minute dust, open / close the window, and move the intermediate bar 120. The operation unit may include a motor, and the motor may be used to move the intermediate bar 120 up and down or to open and close the window. The user can operate the control unit or the operation unit using the switch unit. The control unit analyzes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nsing unit or the operation unit and transmits the analyzed signal to the integration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sensing unit or the operation unit according to a preset command. The communication unit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to and from the integration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implemented by wire or wireless. The network for this purpose may be, for example, a Universal Serial Bus (USB), a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CVBS), a Component, an S-Video (Analog), a Digital Visual Interface (DVI),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A network for wire connection such as D-SUB, a communication standard or protocol therefor, Bluetooth, a wireless LAN (Wi-Fi), a Wi-Fi direct,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Wireless Broadband (WIBRO),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 a Long Term Evolution (LTE-A), or the like, and a communication standard or protocol for the wireless connection.

단말기(30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사상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단말기(300)에는 통합서버를 통해 기능성 창호를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기능성 창호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먼지 여부에 따라 기능성 창호의 중간바(120)를 상하로 이동시키거나, 집진부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시킬 수 있다.The terminal 300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navigation. However,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nd the like. The terminal 300 may be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configured to operate the functional window through the integration server. The user can manipulate the functional window through the application. For example, depending on whether fine dust exists, the middle bar 120 of the functional window may be moved up or down, or power may be supplied or cut off to the dust collection unit.

상기와 같이 설명된 기능성 창호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functional windows can be applied to a configuration and a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a limited manner,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is possible.

Claims (4)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게 형성되고, 상측과 하측에 각각 제1 및 제2 권취부가 형성된 중간바;
상기 제1 권취부에 권취되고 일측이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고정된 방충부;
상기 제2 권취부에 권취되고 일측이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고정된 필터부; 및
상기 중간바가 일정 높이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가이드에 형성된 홈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되는 고정대를 구비하여 상기 중간바에 형성되는 고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고정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대가 상기 중간바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푸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서로 극성이 다른 제1 도전라인과 제2 도전라인이 필터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도전라인은 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형성될 때 양극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도전라인은 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형성될 때 음극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권취부의 일측에 상기 필터부에 의해 포집된 먼지를 집진하여 배출하도록 팬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집진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바가 상기 프레임의 하측까지 이동하면, 상기 집진부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먼지를 상기 집진부의 타측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창호.
frame;
An intermediate bar formed to move along a guid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and having first and second windings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respectively;
An insecticide wound around the first winding part and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frame;
A filter portion wound around the second winding portion and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ame; And
And a fixing module formed on the intermediate bar, the fixing bar being insertable into a groove formed in the guide so that the middle bar is fixed at a predetermined height,
The fixing module includes:
A support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ing table, the fixing table being formed to move in parallel with the middle bar,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xing table; And
And a push portion for slidingly moving the support portion,
Wherein the filter unit is formed by stacking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different in polarity from each other with a filter interposed therebetween, wherein the first conductive line is configured to form an anode when electrostatic is formed by friction, The second conductive line is formed so as to form a negative electrode when static electricity is formed by friction,
And a dust collecting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winding part, the dust collecting part including a fan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the dust collected by the filter part,
Wherein power is supplied to the dust collecting part when the intermediate bar moves to a lower side of the frame, and the dus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hol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part.
상측과 하측에 각각 제1 및 제2 권취부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게 형성되는 중간바;
상기 제1 권취부에 권취되고 일측이 상기 중간바의 일측에 고정된 방충부;
상기 제2 권취부에 권취되고 일측이 상기 중간바의 타측에 고정된 필터부; 및
상기 중간바가 일정 높이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가이드에 형성된 홈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되는 고정대를 구비하여 상기 중간바에 형성되는 고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고정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대가 상기 중간바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푸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서로 극성이 다른 제1 도전라인과 제2 도전라인이 필터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도전라인은 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형성될 때 양극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도전라인은 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형성될 때 음극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권취부의 일측에 상기 필터부에 의해 포집된 먼지를 집진하여 배출하도록 팬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집진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바가 상기 프레임의 하측까지 이동하면, 상기 집진부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먼지를 상기 집진부의 타측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창호.
A frame having first and second winding portions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respectively;
An intermediate bar formed to move along a guid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An insecticide wound around the first winding part and having one side fixed to one side of the middle bar;
A filter portion wound around the second winding portion and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intermediate bar; And
And a fixing module formed on the intermediate bar, the fixing bar being insertable into a groove formed in the guide so that the middle bar is fixed at a predetermined height,
The fixing module includes:
A support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ing table, the fixing table being formed to move in parallel with the middle bar,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xing table; And
And a push portion for slidingly moving the support portion,
Wherein the filter unit is formed by stacking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different in polarity from each other with a filter interposed therebetween, wherein the first conductive line is configured to form an anode when electrostatic is formed by friction, The second conductive line is formed so as to form a negative electrode when static electricity is formed by friction,
And a dust collecting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winding part, the dust collecting part including a fan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the dust collected by the filter part,
Wherein power is supplied to the dust collecting part when the intermediate bar moves to a lower side of the frame, and the dus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hol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par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87617A 2018-07-27 2018-07-27 Functional windows KR1019874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617A KR101987419B1 (en) 2018-07-27 2018-07-27 Functional window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617A KR101987419B1 (en) 2018-07-27 2018-07-27 Functional window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419B1 true KR101987419B1 (en) 2019-06-12

Family

ID=66846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617A KR101987419B1 (en) 2018-07-27 2018-07-27 Functional window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41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5842A (en) * 2019-06-28 2019-10-01 丁向峰 Screen window easy to clean
KR20210076568A (en) * 2019-12-16 2021-06-24 권금주 Window for various selection of blocking by moving roll body with dustproof net and insect ne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9250A (en) * 1994-04-01 1995-10-17 Sanwa Shutter Corp Retractable netted door device
KR200310925Y1 (en) * 2002-10-19 2003-04-18 원순옥 Dust proof net assembly for windows and doors using friction elasticity
KR20170038469A (en) * 2015-09-30 2017-04-07 장순탁 roll screen device
KR20180040751A (en) * 2016-10-12 2018-04-23 대코시스템(주) Dual yellow sand scree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9250A (en) * 1994-04-01 1995-10-17 Sanwa Shutter Corp Retractable netted door device
KR200310925Y1 (en) * 2002-10-19 2003-04-18 원순옥 Dust proof net assembly for windows and doors using friction elasticity
KR20170038469A (en) * 2015-09-30 2017-04-07 장순탁 roll screen device
KR20180040751A (en) * 2016-10-12 2018-04-23 대코시스템(주) Dual yellow sand screen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5842A (en) * 2019-06-28 2019-10-01 丁向峰 Screen window easy to clean
CN110295842B (en) * 2019-06-28 2021-04-06 新昌县钕儒农业科技有限公司 Easily cleaned screen window
KR20210076568A (en) * 2019-12-16 2021-06-24 권금주 Window for various selection of blocking by moving roll body with dustproof net and insect net
KR102426568B1 (en) * 2019-12-16 2022-07-28 권금주 Window for various selection of blocking by moving roll body with dustproof net and insect n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419B1 (en) Functional windows
KR101599005B1 (en) Prevention device of the fine dust of the window
US20200087983A1 (en) Movable Barrier Screen Assembly
KR20190040427A (en) Fitting system a combined use for dust screen and screen
KR20190025270A (en) Window Type Filter Assembly Device of Ventilation
CN108518160B (en) A kind of biparting sliding door not taken up space
KR20190082473A (en) Window having a harmful dust filtering net
CN208106258U (en) Air quantity adjusting window and air quantity adjust door
CN204060334U (en) A kind of window containing interior sash and the door containing interior door leaf
CN104196405A (en) Window provided with inner sash and door provided with inner door leaf
KR102100756B1 (en) Window system with security function of apartment
CN218343233U (en) Skylight opening and closing air interchanger for camping car
CN110017081A (en) A kind of intelligent window and indoor environment Automatic adjustment method
CN203321286U (en) Shutter in hollow glass
KR101968073B1 (en) window control system of operating as a response to air quality of indoor and outdoor
CN212105685U (en) Automatic window screen with wind and rain resistance
CN211064736U (en) Air curtain closed type mosquito isolator
KR102053957B1 (en) Window
KR101563504B1 (en) Window Shade Structure available for folding automatically according to Window's switching
KR102163687B1 (en) Insect net apparatus
CN208424870U (en) venue control system
KR102385662B1 (en) Finedust net apparatus having insect net
CN201778618U (en) Three-leaf sliding door or window
CN217623057U (en) Air interchanger for motor home
CN205860363U (en) Intelligence sunshade and air handl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