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055B1 - Cooking equipment move the control panel - Google Patents

Cooking equipment move the control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055B1
KR101987055B1 KR1020170179473A KR20170179473A KR101987055B1 KR 101987055 B1 KR101987055 B1 KR 101987055B1 KR 1020170179473 A KR1020170179473 A KR 1020170179473A KR 20170179473 A KR20170179473 A KR 20170179473A KR 101987055 B1 KR101987055 B1 KR 101987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housing
temperature
rail part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4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현우
김상범
강경식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9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05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0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24C15/103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being movable or rota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24C15/105Constructive details concerning the regulation of the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touch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moving a control panel, which comprises a housing having a burner unit disposed therein and having a partitioned space form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A first rail unit and a second rail unit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rail unit are installed in the partitioned space of the housing, and a control panel having a temperature sensor formed therein is installed on the second rail unit. Accordingly, when the burner unit of the housing is operated, the temperature sensor detects the temperature around the housing, and the second rail unit and the control panel laterally and longitudinally move to be plac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temperature sensor detecting a relatively lower temperature among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Accordingly, the temperature sensors simultaneously detect the temperature around the housing and the control panel is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sensor detecting the relatively lower temperature among the temperature sensors, such that the control panel can be easily operated and anxiety for burning a finger and the like is removed. Moreover, the control panel and second rail which receive a signal from the temperature sensor automatically mov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sensor detecting the lower temperature, thereby making use convenient. Accordingly, provided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product reliability.

Description

조작부 이동이 가능한 조리기기{Cooking equipment move the control panel}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2레일부와 조작부를 전, 후 및 좌, 우로 이동시켜, 온도감지센서에 감지된 하우징 주변 온도 중 상대적으로 그 온도가 낮은 위치로 조작부를 이동시키는 조작부 이동이 가능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apparatus that moves a second rail and an operating unit forward, backward, leftward and rightwar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moving an operating unit to move a cooking utensil.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담겨진 조리용기를 정해진 온도로 가열하여, 이 조리용기 내에 담겨진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로서, 주로, 가스레인지, 전기레인지 및 인덕션레인지 등이 사용된다.BACKGROUND ART Generally, a cooking appliance is a device for cooking food contained in a cooking container by heating the cooking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a gas range, an electric range and an induction range are mainly used.

이때, 이러한 가스레인지, 전기레인지 및 인덕션레인지는 터치방식의 조작부를 구비하고, 이 조작부를 그 상판상으로 표시함으로서, 사용자가 상판에 표시된 조작부를 터치하여 가스레인지, 전기레인지 및 인덕션레인지를 조작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gas range, the electric range and the induction range are provided with a touch-type operation unit, and the operation unit is displayed on the upper plate so that the user can touch the operation unit displayed on the upper plate to operate the gas range, the electric range and the induction range do.

특허문헌 1은 종래의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바닥면 벽면 일측에 전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전장부 테두리 주변에 복수개의 가열부를 형성한 캐비닛을 구비하고, 상기 캐비닛 상부에 상기 가열부에 대응하는 안착부 및 상기 전장부에 대응하는 입력부를 형성한 탑플레이트가 설치된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conventional built-in type cooking apparatus. Referring to this, a cabinet having an open top, a full-length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a bottom wall surface, and a plurality of heating portions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front- And a top plate having a sea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eating portion and an inpu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portion is provided on the cabinet.

여기서, 상기 입력부를 눌러 조작하게 되면, 이 입력부 신호가 상기 전장부로 전달되어 상기 가열부를 작동시킨다.Here, when the input unit is operated to be pressed, the input uni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electric field unit to operate the heating unit.

이때, 상기 가열부는 조리용 가열부와 보온용 가열부로 구성되고, 상기 안착부에 조리용기를 안착시킨 상태로, 상기 조리용 가열부를 작동시키면, 이 조리용 가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안착부 상에 안착된 조리용기가 가열되어, 조리용기 내의 음식물이 조리된다.At this time, the heating unit includes a heating unit for cooking and a heating unit for heating, and when the heating unit for cooking is operated with the cooking unit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And the food in the cooking container is cooked.

그리고, 조리된 음식물이 수용된 조리용기를 보온용 가열부에 대응하는 안착부에 안착시킨 상태로, 상기 보온용 가열부를 작동시키면, 이 보온용 가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조리용기가 데워진다.When the heating unit for heating is operated in a state that the cooking vessel containing the cooked food is seated in the sea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cooking vessel is heated by the heat generated in the heating unit for heating.

여기서, 상기 보온용 가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는 상기 조리용가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generated in the heat-retaining heater is a temperature relatively lower than that generated in the cooking heater.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입력부 주변의 안착부 상으로 열기가 전달되어, 입력부가 급격하게 가열되고, 특히, 입력부에 인접한 연착부의 열기가 입력부로 그대로 전달되어 사용자가 입력부를 조작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입력부의 신호를 전달받는 전장부로 조리용 가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그대로 전달되어 전장부에 오작동이 발생되고, 가열부 조작 오작동으로 조리용기 내의 음식물을 원하는 가열세기로 제어하기 어려우며, 이에따라, 음식물이 조리용기 내에 눌어붙거나 혹은 음식물 조리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아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Patent Document 1, heat is transferred to the seat portion around the input portion, the input portion is suddenly heated, and in particular, the heat of the delayed portion adjacent to the input portion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input portion,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food in the cooking container to a desired heating intensity due to a malfunction of the heating unit, because the heat generated in the cooking heater is transmitted to the electric unit through which the signal of the input unit is transmitte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s deteriorated because the food is stuck in the cooking container or the food is not cooked properly.

KRKR 10-162010010-1620100 B1B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에 버너부와, 구획공간을 형성한 하우징을 구비하고, 하우징의 구획공간에 제1레일부를 설치하며, 이 제1레일부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레일부를 설치하고, 제2레일부 상에 온도감지센서를 형성한 조작부를 설치하여, 하우징의 버너부를 조작하게 되면, 온도감지센서가 하우징의 주변온도를 감지하고, 제2레일부 및 조작부가 전, 후 및 좌, 우로 이동되어 복수개의 온도감지센서 중 상대적으로 그 온도가 낮은 온도감지센서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부 이동이 가능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torcycle having a burner portion and a housing having a partition space formed therein, a first rail portion provided in a partition space of the housing, A second rail portion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ail portion and an operation portion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or on the second rail portion are provided to operate the burner portion of the housing, the temperature sensor senses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housing And the second rail and the operating portion are moved to front, back, left, and right to mov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temperature sensor having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among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 이동이 가능한 조리기기는, 중공형상으로 내측에 버너부를 형성하고, 내측 바닥면에 구획공간을 형성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구획공간 바닥면에 일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 설치된 제1레일부; 상기 제1레일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일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제1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레일부; 상기 제2레일부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면 테두리에 복수개의 온도감지센서를 형성하여, 상기 제2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조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moving an opera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with a burner portion and a partition space form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A first rail part fixed to the floor space of the compartment space of the housing so as to be oriented in one direction; A second rail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rail and slidingly coupled to the first rail and sliding along the first rail; And an operating unit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rail and has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rail and sliding along the second rail.

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 이동이 가능한 조리기기에 있어서, 중공형상으로 내측에 버너부를 형성하고, 내측 바닥면에 구획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구획공간 테두리에 복수개의 온도감지센서를 형성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구획공간 바닥면에 일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 설치된 제1레일부; 상기 제1레일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일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제1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레일부; 상기 제2레일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제2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조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moving an opera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with a burner portion, a partition space form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formed on the partition space edge; A first rail part fixed to the floor space of the compartment space of the housing so as to be oriented in one direction; A second rail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rail and slidingly coupled to the first rail and sliding along the first rail; And an operating portion slidingly coupled to the second rail portion and sliding along the second rail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 이동이 가능한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측 바닥면에 상기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차단벽을 더 형성하여, 상기 구획공간 내로 상기 버너부의 열기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moving the opera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s further provided with a blocking wall which forms the compartment space on the inner bottom surface to block the heat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compartment space. do.

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 이동이 가능한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부는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레일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안내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레일부는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조작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안내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rail part forms a first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rail 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cavity, And a second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portion along the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groove.

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 이동이 가능한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2레일부는,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제1롤러와; 저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1롤러를 회전구동시키는 제1모터;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moving an operating portion, wherein the second rail portion comprises: a first roller rotatably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and moving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And a first motor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and rotatingly driving the first roller.

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 이동이 가능한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면에 복수개로 형성된 조작버튼과;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제2롤러; 저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2롤러를 회전구동시키는 제2모터;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A second roll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and moving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And a second motor fixedly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second roller.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온도감지센서가 하우징의 주변 온도를 동시에 감지하여, 하우징 주변 온도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온도감지센서 중 상대적으로 그 온도가 낮게 측정된 온도감지센서에 대응하는 위치로 조작부가 이동하여, 조작부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손가락등에 화상을 입을 우려가 없으며, 또한, 온도감지센서 신호를 전달받은 조작부 및 제2레일이 낮은 온도를 측정한 온도감지센서에 대응하는 위치로 자동 이동되어 사용이 편리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simultaneously detect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housing, and can check the ambient temperature state of the housing. In addition, the temperature sensor, which is relatively low in temperature among the temperature sensors, The operation portion can be easily operated and the operation portion which receives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signal and the temperature sensor which measures the low temperature can be provided at the same position And is advantageous in that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 이동이 가능한 조리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하우징의 상면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 이동이 가능한 조리기기의 조리부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 이동이 가능한 조리기기의 조리부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 이동이 가능한 조리기기의 평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device capable of moving an operating por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of FIG. 1 is separated. FIG.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oking unit of a cooking device capable of moving an operating unit mov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oking unit of a cooking device capable of moving an operation unit mov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of a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moving an operation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중공형상으로 내측에 버너부(101)를 형성하고, 내측 바닥면에 구획공간(102)을 형성한다.Referring to FIGS. 1 to 5, the housing 100 has a hollow shape, a burner portion 101 is formed on the inner side, and a compartment space 102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상기 버너부(101)는 상기 하우징(100) 내측에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된다.At least two or more burner units 101 ar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0.

상기 하우징(100)은 내측 바닥면에 상기 구획공간(102)을 형성하는 차단벽(102a)을 더 형성하여, 상기 구획공간(102) 내로 상기 버너부(101)의 열기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The housing 100 further includes a blocking wall 102a defining the compartment space 102 on an inner bottom surface thereof to prevent the heat of the burner unit 101 from being transmitted into the compartment space 102 .

상기 차단벽(102a)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저면에 밀착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blocking wall 102a protrudes vertically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0. [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은 그 상면을 통해 상기 조작부(400)를 확인할 수 있는 빛 투과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may be formed of a light-permeable material that can confirm the operation unit 400 through the upper surface thereof.

제1레일부(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구획공간(102) 바닥면에 일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 설치된다.The first rail part 200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mpartment space 102 of the housing 100 so as to face in one direction.

상기 제1레일부(200)는 상기 제2레일부(300)의 이동을 안내한다.The first rail (200) guides the movement of the second rail (300).

상기 제1레일부(200)는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레일부(3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안내홈(201)을 형성한다.The first rail 200 has a first guide groove 201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rail 3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1안내홈(201)은 상기 제2레일부((300))의 제1롤러(302)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The first guide groove 201 guides the first roller 302 of the second rail 300 to move in one direction.

상기 제1레일부(200)는 상기 구획공간(102)의 바닥면에 서로 평행하도록 한 쌍으로 설치되거나 혹은 단일개로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rails 200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mpartment space 102 so as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or may be installed as a single unit.

제2레일부(300)는 상기 제1레일부(20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일부(200)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제1레일부(20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The second rail part 300 is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rail part 200 and slidingly coupled to the first rail part 200 to slide along the first rail part 200.

상기 제2레일부(300)는 그 상면에 결합되는 상기 조작부(400)가 상기 제2레일부(300)의 이동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The second rail part 300 guides the operation part 400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thereof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rail part 300.

상기 제2레일부(300)는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조작부(4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안내홈(301)을 형성한다.The second rail 300 has a second guide groove 301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unit 4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2안내홈(301)은 상기 조작부(400)의 제2롤러(403)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The second guide groove 301 guides the second roller 403 of the operating part 400 to move in one direction.

상기 제2레일부(300)는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안내홈(201)을 따라 이동하는 제1롤러(302)와, 저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1롤러(302)를 회전구동시키는 제1모터(303)를 더 형성한다.The second rail 300 includes a first roller 302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and moving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201, and a second roller 302 rotatably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roller 302 to rotate The first motor 303 is further driven.

상기 제1모터(303)는 상기 조작부(400)의 제어부(미도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1롤러(30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The first motor 303 receives the control signal (not shown) of the operation unit 400 and rotates the first roller 302 in a forward direction or a reverse direction.

상기 제1롤러(302)는 상기 제1레일부(200)의 제1안내홈(201)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제1안내홈(201)을 따라 이동한다.The first roller 302 is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groove 201 of the first rail 200 and moves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201.

상기 제2레일부(300)는 서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설치되거나 혹은 단일개로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rails 300 may be installed in a pair in parallel with each other or may be installed in a single unit.

조작부(400)는 상기 제2레일부(300)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면 테두리에 복수개의 온도감지센서(401)를 형성하여, 상기 제2레일부(30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The operation unit 400 is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rail 300 and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40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400 to slide along the second rail 300.

상기 조작부(400)는 복수개의 상기 온도감지센서(401) 신호를 동시에 전달받아 상기 하우징(100)의 주변 온도를 산출한 후 상기 제1, 제2모터(303, 404)를 구동시킨다.The operation unit 400 receives a plurality of the temperature sensing signals 401 at the same time, calculates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housing 100, and drives the first and second motors 303 and 404.

상기 조작부(400)는 상기 제2레일부(300)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레일부(200)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2레일부(300)에 의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가 검출된 상기 온도감지센서(401)의 좌표값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한다.The operation unit 400 moves along the second rail 300 and moves the second rail 300 along the first rail 200. The operation unit 400 is operated by the second rail 300, And moves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value of the detection sensor 401.

상기 조작부(400)는 그 내부에 상기 온도감지센서(401)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1모터(303) 및 제2모터(404)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The operation unit 400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receiving the signal of the temperature sensor 401 and driving the first motor 303 and the second motor 404.

상기 조작부(400)의 제어부(미도시)는 복수개의 온도감지센서(401) 신호를 전달받아 그 온도 값을 산출하여, 이중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가 측정된 온도감지센서(401)를 식별한다.A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operation unit 400 receives the signals of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401 and calculates a temperature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s 401 to identify the temperature sensor 401 having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상기 조작부(400)는 상면에 복수개로 형성된 조작버튼(402)과,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안내홈(301)을 따라 이동하는 제2롤러(403), 저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2롤러(403)를 회전구동시키는 제2모터(404)를 더 형성한다.The operation unit 400 includes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40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 second roller 403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and moving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301, A second motor 404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second roller 403 is further formed.

상기 조작버튼(402)은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을 통해 IR터치방식으로 조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operation button 402 is operated through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in an IR touch manner.

상기 제2롤러(403)는 상기 제2안내홈(301)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제2안내홈(301)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조작부(400)를 이동시킨다.The second roller 403 is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groove 301 and moves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301 to move the operation unit 400.

상기 제2모터(404)는 상기 조작부(400)의 제어부(미도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2롤러(403)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The second motor 404 receives the control signal (not shown) of the operation unit 400 and rotates the second roller 403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작부 이동이 가능한 조리기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The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moving the opera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above is used as follows.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1레일부(200) 및 제2레일부(300)가 각각 단일개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레일부(200) 및 제2레일부(300) 각각이 평행하게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rail 200 and the second rail 300 are formed as a single rail, but the first rail 200 and the second rail 300 (300) may be installed in pairs in parallel.

먼저,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차단벽(102a)을 설치하여, 상기 하우징(100) 내에 구획공간(102)을 형성하고, 이 구획공간(102)의 바닥면에 일 방향을 향하도록 제1레일부(200)를 설치한다.First, a blocking wall 102a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0 to form a partition space 102 in the housing 100.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02 ar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partition space 102, 1 rail part 200 is installed.

여기서, 상기 제1레일부(200)는 상기 구획공간(102) 내에 X축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그 상태에서 상면에 상기 제2레일부(300)를 슬라이딩 결합한다.Here, the first rail 200 is installed in the partition space 102 so as to face the X 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rail 300 is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ail 200 in this state.

그리고, 상기 제2레일부(300)는 상면에 상기 조작부(400)를 슬라이딩 결합하여, 상기 조작부(400)의 이동을 안내한다.The second rail part 300 slides the operation part 400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part 400.

이때, 상기 제2레일부(300)의 제1롤러(302)는 상기 제1레일부(200)의 제1안내홈(201)에 삽입 결합되고, 또한, 상기 조작부(400)의 제2롤러(403)는 상기 제2레일부(300)의 제2안내홈(301)에 삽입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first roller 302 of the second rail 3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groove 201 of the first rail 200, and the first roller 302 of the second rail 3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groove 201 of the first rail 200, (403) is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groove (301) of the second rail (300).

이후, 상기 하우징(100)의 버너부(101)에 조리용기를 안착시키고, 그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0) 상방으로 투시된 상기 조작부(400)의 조작버튼(402)을 IR터치방식으로 조작하게 되면, 상기 버너부(101)가 작동되어 열을 발생시키고, 이에따라, 이 열이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을 통해 조리용기에 전달되어 조리용기가 가열되면서 음식물이 조리된다.Thereafter, the cooking container is placed on the burner unit 101 of the housing 100, and the operation button 402 of the operating unit 400, which is viewed above the housing 100, is operated by the IR touch method The burner unit 101 is operated to generate heat so that the heat is transferred to the cooking vessel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so that the cooking vessel is heated and the food is cooked.

여기서, 상기 버너부(101)에서 발생되는 열원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 상면 주변부에 열이 전달되고, 이때, 상기 조작부(400)에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온도감지센서(401)가 상기 하우징(100) 상면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조작부(400)의 제어부(미도시)로 이 신호값을 전달한다.The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ing sensors 401 formed on the operation unit 400 may be connected to the housing 100 through the housing 100. In this case, And transmits the signal value to a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operation unit 400. The control unit

그러면, 상기 조작부(400)의 제어부(미도시)에서 상기 온도감지센서(401)에 측정된 신호값을 산출하여, 복수의 상기 온도감지센서(401) 중 상대적으로 그 측정 온도가 낮은 상기 온도감지센서(401) 위치를 식별한다.Then,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control unit 400 calculates the signal valu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01 and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 sensor 401, Thereby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sensor 401.

이후, 상기 제2레일부(300)의 제1모터(303)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켜, 상기 제1롤러(302)가 회전작동되게 함으로서, 상기 제1롤러(302)가 상기 제1레일부(200)의 제1안내홈(201)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조작부(40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reafter, the first motor 303 of the second rail 300 is rotationally driven in the normal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first roller 302 is rotated, whereby the first roller 302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Moves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201 of the rail part 200 to move the operation part 400 in the X axis direction.

그리고, 상기 조작부(400)의 제2모터(404)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켜, 상기 제2롤러(403)가 회전작동되게 함으로서, 상기 제2롤러(403)가 상기 제2레일부(300)의 제2안내홈(301)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조작부(40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 second roller 403 of the operation unit 400 is rotationally driven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roller 403 is rotated so that the second roller 403 is rotated 300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301 to move the operation unit 400 in the Y-axis direction.

즉, 상기 조작부(400)의 온도감지센서(401)는 상기 구획공간(102)의 정해진 위치에 대응하는 각각의 좌표값을 설정하고 있고, 이 중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게 측정된 상기 온도감지센서(401) 위치를 식별하여, 이 온도감지센서(401)에 대응하는 좌표값으로 상기 조작부(400)를 이동시켜, 상기 조작부(400)에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That is, the temperature sensor 401 of the operation unit 400 sets the respective coordinat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ompartment space 102, and the temperature sensor 401 and moves the operation unit 400 to a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401 to prevent heat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unit 400. [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 내에 설치된 차단벽(102a)은 상기 버너부(101)와 상기 조작부(400)가 구획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상기 조작부(400)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된다.The blocking wall 102a provided in the housing 100 divides the burner part 101 and the operating part 400 so that the heat generated in the housing 100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ng part 400 .

이때, 상기 조작부(400)의 조작버튼 주변에는 LED가 실장되어 있고, 이 LED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인하여, 상기 조작부(400)의 이동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At this time, an LED is mounted around the operation button of the operation unit 400, and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operation unit 400 can be identified by check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이하의 설명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중공형상으로 내측에 버너부(101)를 형성하고, 내측 바닥면에 구획공간(102)을 형성하며, 상기 구획공간(102) 테두리에 복수개의 온도감지센서(103)를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6, the housing 100 has a hollow shape with a burner portion 101 formed on its inner side, a divided space 102 form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ing The sensor 103 is formed.

상기 버너부(101)는 상기 하우징(100) 내측에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된다.At least two or more burner units 101 ar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0.

상기 하우징(100)은 내측 바닥면에 상기 구획공간(102)을 형성하는 차단벽(102a)을 더 형성하여, 상기 구획공간(102) 내로 상기 버너부(101)의 열기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The housing 100 further includes a blocking wall 102a defining the compartment space 102 on an inner bottom surface thereof to prevent the heat of the burner unit 101 from being transmitted into the compartment space 102 .

상기 차단벽(102a)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저면에 밀착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blocking wall 102a protrudes vertically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0. [

상기 하우징(100)은 그 상면을 통해 상기 조작부(400)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using 100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glass material so that the operation unit 400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온도감지센서(103)는 상기 하우징(100)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조작부(400)로 신호를 전달한다.The temperature sensor 103 senses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housing 100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operation unit 400.

조작부(400)는 상기 제2레일부(300)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제2레일부(30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The operation unit 400 is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rail 300 and slides along the second rail 300.

상기 조작부(400)는 복수개의 상기 온도감지센서(103) 신호를 동시에 전달받아 상기 하우징(100)의 주변 온도를 산출한 후 상기 제1, 제2모터(303, 403)를 구동시킨다.The operation unit 400 simultaneously receives a plurality of the temperature sensors 103 signals to calculate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housing 100 and then drives the first and second motors 303 and 403.

상기 조작부(400)는 상기 제2레일부(300)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레일부(200)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2레일부(300)에 의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가 검출된 상기 온도감지센서(103)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한다.The operation unit 400 moves along the second rail 300 and moves the second rail 300 along the first rail 200. The operation unit 400 is operated by the second rail 300, And moves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ensor 103.

상기 조작부(400)는 그 내부에 상기 온도감지센서(103)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1모터(303) 및 제2모터(404)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The operation unit 400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receiving the signal of the temperature sensor 103 and driving the first motor 303 and the second motor 404.

상기 조작부(400)의 제어부(미도시)는 복수개의 온도감지센서(103) 신호를 전달받아 산출하되, 이중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가 측정된 온도감지센서(103)를 식별한다.A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operation unit 400 receives and receives signals from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103, and identifies the temperature sensor 103 having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상기 조작부(400)는 상면에 복수개로 형성된 조작버튼(402)과,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안내홈(301)을 따라 이동하는 제2롤러(403), 저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2롤러(403)를 회전구동시키는 제2모터(404)를 더 형성한다.The operation unit 400 includes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40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 second roller 403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and moving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301, A second motor 404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second roller 403 is further formed.

상기 조작버튼(402)은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을 통해 IR터치방식으로 조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operation button 402 is operated through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in an IR touch manner.

상기 제2롤러(403)는 상기 제2안내홈(301)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제2안내홈(301)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조작부(400)를 이동시킨다.The second roller 403 is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groove 301 and moves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301 to move the operation unit 400.

상기 제2모터(404)는 상기 조작부(400)의 제어부(미도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2롤러(403)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The second motor 404 receives the control signal (not shown) of the operation unit 400 and rotates the second roller 403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작부 이동이 가능한 조리기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The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moving the operation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used as follows.

먼저,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차단벽(102a)을 설치하여, 상기 하우징(100) 내에 구획공간(102)을 형성하고, 이 구획공간(102)의 바닥면 테두리에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온도감지센서(103)를 설치한다.First, a blocking wall 102a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0 to form a compartment space 102 in the housing 100. The compartment space 102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103 are installed.

그리고, 상기 구획공간(102)의 바닥면에 일 방향을 향하도록 제1레일부(200)를 설치하여, 상기 제1레일부(200)가 상기 구획공간(102) 내에서 X축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A first rail part 200 i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ompartment space 102 so as to be oriented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first rail part 200 extends in the X- .

이후, 상기 제1레일부(200) 상면에 상기 제2레일부(300)를 슬라이딩 결합하되, 이 제2레일부(300) 상면에 상기 조작부(400)를 슬라이딩 결합하여, 상기 조작부(400)의 이동을 안내한다.The operation part 400 is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ail part 300 by sliding the second rail part 3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ail part 200, .

이때, 상기 제2레일부(300)의 제1롤러(302)는 상기 제1레일부(200)의 제1안내홈(201)에 삽입 결합되고, 또한, 상기 조작부(400)의 제2롤러(403)는 상기 제2레일부(300)의 제2안내홈(301)에 삽입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first roller 302 of the second rail 3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groove 201 of the first rail 200, and the first roller 302 of the second rail 3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groove 201 of the first rail 200, (403) is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groove (301) of the second rail (300).

이후, 상기 하우징(100)의 버너부(101)에 조리용기를 안착시키고, 그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0) 상방으로 투시된 상기 조작부(400)의 조작버튼(402)을 IR터치방식으로 조작하게 되면, 상기 버너부(101)가 작동되어 열을 발생시키고, 이에따라, 이 열이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을 통해 조리용기에 전달되어 조리용기가 가열되면서 음식물이 조리된다.Thereafter, the cooking container is placed on the burner unit 101 of the housing 100, and the operation button 402 of the operating unit 400, which is viewed above the housing 100, is operated by the IR touch method The burner unit 101 is operated to generate heat so that the heat is transferred to the cooking vessel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so that the cooking vessel is heated and the food is cooked.

여기서, 상기 버너부(101)에서 발생되는 열원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 주변부에 열이 전달되고, 이때, 상기 구획공간(102)에 설치된 복수개의 상기 온도감지센서(103)가 상기 하우징(100) 주변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조작부(400)의 제어부(미도시)로 이 신호값을 전달한다.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103 provided in the compartment space 102 are connected to the housing 100 so that heat is generated in the housing 100 And transmits the signal value to a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operation unit 400.

그러면, 상기 조작부(400)의 제어부(미도시)에서 상기 온도감지센서(103)에 측정된 신호값을 산출하여, 복수의 상기 온도감지센서(103) 중 상대적으로 그 측정 온도가 낮은 상기 온도감지센서(103) 위치를 식별한다.Then,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operation unit 400 calculates the signal valu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03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103, Thereby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sensor 103.

이후, 상기 제2레일부(300)의 제1모터(303)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켜, 상기 제1롤러(302)가 회전작동되게 함으로서, 상기 제1롤러(302)가 상기 제1레일부(200)의 제1안내홈(201)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조작부(40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reafter, the first motor 303 of the second rail 300 is rotationally driven in the normal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first roller 302 is rotated, whereby the first roller 302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Moves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201 of the rail part 200 to move the operation part 400 in the X axis direction.

그리고, 상기 조작부(400)의 제2모터(404)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켜, 상기 제2롤러(403)가 회전작동되게 함으로서, 상기 제2롤러(403)가 상기 제2레일부(300)의 제2안내홈(301)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조작부(40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 second roller 403 of the operation unit 400 is rotationally driven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roller 403 is rotated so that the second roller 403 is rotated 300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301 to move the operation unit 400 in the Y-axis direction.

즉, 상기 조작부(400)는 상대적으로 그 온도 값이 낮게 측정된 상기 온도감지센서(103)를 식별한 후, 상기 제1모터(303) 및 제2모터(404)를 구동시켜 상기 제1롤러(302)와 제2롤러(403)가 각각의 상기 제1안내홈(201) 및 제2안내홈(301)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온도감지센서(103) 위치로 이동함으로서, 상기 조작부(400)에 열이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고, 이에따라,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100) 상면으로 투시된 상기 조작부(400)를 터치 조작할 수 있다.That is, the operation unit 400 drives the first motor 303 and the second motor 404 after identifying the temperature sensor 103, which is relatively low in temperature value,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302 and 403 move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201 and the second guide groove 301 to move to the posi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103, The user can touch the operation unit 400 view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to touch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이때, 상기 온도감지센서(103)는 상기 구획공간(102)의 정해진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음으로, 이 위치로 상기 조작부(400)가 이동하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temperature sensor 103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ompartment space 102, the control unit 400 moves to this position.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 내에 설치된 차단벽(102a)은 상기 버너부(101)와 상기 조작부(400)가 구획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상기 조작부(40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된다.The blocking wall 102a provided in the housing 100 divides the burner part 101 and the operating part 400 so that the heat generated in the housing 100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ng part 400 .

이때, 상기 조작부(400)의 조작버튼(402) 주변에는 LED가 실장되어 있고, 이 LED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인하여, 상기 조작부(402)의 이동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At this time, an LED is mounted around the operation button 402 of the operation unit 400, and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operation unit 402 can be identified by check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상기와 같이 조작부의 상면 테두리에 형성된 온도감지센서로 하우징 주변 온도를 감지하되, 제1, 제2레일부로 조작부를 이동시켜, 조작부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가 검출된 온도감지센서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조는, 복수개의 온도감지센서가 하우징의 주변 온도를 동시에 감지하여, 하우징 주변 온도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온도감지센서 중 상대적으로 그 온도가 낮게 측정된 온도감지센서에 대응하는 위치로 조작부가 이동하여, 조작부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손가락등에 화상을 입을 우려가 없으며, 또한, 온도감지센서 신호를 전달받은 조작부 및 제2레일이 낮은 온도를 측정한 온도감지센서에 대응하는 위치로 자동 이동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housing is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and the operation unit is moved to the first and second rail units, and the operation unit is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sensor,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simultaneously detect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housing to confirm the ambient temperature state of the housing and the temperature of the housing can be monitor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sensor, The operation portion can be easily operated and the operation portion which receives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signal and the temperature sensor which measures the low temperature can be provided at the same position It is automatically mov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 이동이 가능한 조리기기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There is a technological spirit to the extent that anyone can make various changes.

100 : 하우징 101 : 버너부
102 : 구획공간 102a : 차단벽
103, 401 : 온도감지센서 200 : 제1레일부
201 : 제1안내홈 300 : 제2레일부
301 : 제2안내홈 302 : 제1롤러
303 : 제1모터 400 : 조작부
402 : 조작버튼 403 : 제2롤러
404 : 제2모터
100: housing 101: burner part
102: compartment space 102a: blocking wall
103, 401: Temperature sensing sensor 200:
201: first guide groove 300: second rail part
301: second guide groove 302: first roller
303: first motor 400:
402: Operation button 403: Second roller
404: second motor

Claims (6)

중공형상으로 그 내부에 버너부(101)를 형성하고, 내측 바닥면에 구획공간(102)을 형성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구획공간(102) 바닥면에 일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 설치된 제1레일부(200);
상기 제1레일부(20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일부(200)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제1레일부(20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레일부(300);
상기 제2레일부(300)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면 테두리에 복수개의 온도감지센서(401)를 형성하여, 상기 제2레일부(30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조작부(400);
로 구성되고,
상기 조작부(400)는 내부에 상기 온도감지센서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상기 온도감지센서(401) 신호를 동시에 전달받아 상기 하우징(100)의 주변 온도를 산출한 후, 상기 제2레일부(300)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레일부(200)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2레일부(300)에 의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가 검출된 상기 온도감지센서(401)의 좌표값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부 이동이 가능한 조리기기.
A housing 100 in which a burner portion 101 is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a partition space 102 is form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A first rail part 200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compartment space 102 of the housing 100 so as to be oriented in one direction;
A second rail part 300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rail part 200 and slidingly coupled to the first rail part 200 to slide along the first rail part 200;
An operation unit 400 slidingly coupled to the second rail 300 and having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401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sliding along the second rail 300;
≪ / RTI >
The control unit 400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temperature sensor signal,
The controller receives the signals of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401 at the same time and calculates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housing 100 and then moves along the second rail 300, ) Moves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oordinate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ing sensor (401) whose relatively low temperature is detected by the second rail (300) moving along the second rail (300).
중공형상으로 내측에 버너부(101)를 형성하고, 내측 바닥면에 구획공간(102)을 형성하며, 상기 구획공간(102) 테두리에 복수개의 온도감지센서(103)를 형성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구획공간(102) 바닥면에 일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 설치된 제1레일부(200);
상기 제1레일부(20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일부(200)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제1레일부(20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레일부(300);
상기 제2레일부(300)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제2레일부(30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조작부(400);
로 구성되고,
상기 조작부(400)는 내부에 상기 온도감지센서(103)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상기 온도감지센서(103) 신호를 동시에 전달받아 상기 하우징(100)의 주변 온도를 산출한 후, 상기 제2레일부(300)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레일부(200)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2레일부(300)에 의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가 검출된 상기 온도감지센서(103)의 좌표값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부 이동이 가능한 조리기기.
A housing 100 in which a burner portion 101 is formed on an inner side in a hollow shape and a partition space 102 is form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and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103 are formed on an edge of the partition space 102, and;
A first rail part 200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compartment space 102 of the housing 100 so as to be oriented in one direction;
A second rail part 300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rail part 200 and slidingly coupled to the first rail part 200 to slide along the first rail part 200;
An operation part 400 slidingly coupled to the second rail part 300 and sliding along the second rail part 300;
≪ / RTI >
The control unit 400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temperature sensor 103 signal,
The controller receives the signals of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103 at the same time to calculate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housing 100 and then moves along the second rail 300 to the first rail 200 ) Moves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oordinate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ing sensor (103) whose relatively low temperature is detected by the second rail (300) moving along the second rail (300).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내측 바닥면에 상기 구획공간(102)을 형성하는 차단벽(102a)을 더 형성하여, 상기 구획공간(102) 내로 상기 버너부(101)의 열기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부 이동이 가능한 조리기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housing (100)
And a blocking wall (102a) for forming the compartment space (102) is further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to block the heat of the burner unit (101) from being transmitted into the compartment space (102) This possible cooking devi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부(200)는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레일부(3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안내홈(201)을 형성하고,
상기 제2레일부(300)는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조작부(4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안내홈(30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부 이동이 가능한 조리기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rst rail part 200 has a first guide groove 201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rail part 3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second rail part (300) is provided with a second guide groove (301) for guiding movement of the operation part (4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일부(300)는,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안내홈(201)을 따라 이동하는 제1롤러(302)와;
저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1롤러(302)를 회전구동시키는 제1모터(303);
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부 이동이 가능한 조리기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rail (300)
A first roller (302)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and moving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201);
A first motor (303)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to rotate and drive the first roller (30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cavit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400)는,
상면에 복수개로 형성된 조작버튼(402)과;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안내홈(301)을 따라 이동하는 제2롤러(403);
저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2롤러(403)를 회전구동시키는 제2모터(404);
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부 이동이 가능한 조리기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operation unit 400 includes: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40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 second roller 403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and moving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301;
A second motor 404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to rotate the second roller 40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cavity.
KR1020170179473A 2017-12-26 2017-12-26 Cooking equipment move the control panel KR1019870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473A KR101987055B1 (en) 2017-12-26 2017-12-26 Cooking equipment move the control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473A KR101987055B1 (en) 2017-12-26 2017-12-26 Cooking equipment move the control pan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055B1 true KR101987055B1 (en) 2019-06-10

Family

ID=66848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473A KR101987055B1 (en) 2017-12-26 2017-12-26 Cooking equipment move the control pa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055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01357A1 (en) 2021-06-08 2022-12-14 LG Electronics Inc. Blender
EP4101356A1 (en) 2021-06-08 2022-12-14 LG Electronics Inc. Blender
EP4101355A1 (en) 2021-06-08 2022-12-14 LG Electronics Inc. Blender
EP4104727A1 (en) 2021-06-18 2022-12-21 LG Electronics Inc. Blend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2623A (en) * 2005-01-21 2006-08-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oker
JP2006230516A (en) * 2005-02-23 2006-09-07 Cleanup Corp Built-in kitchen
JP2009238575A (en) * 2008-03-27 2009-10-15 Mitsubishi Electric Corp Induction heating cooking appliance
EP2363647A1 (en) * 2010-02-25 2011-09-07 Franke Technology and Trademark Ltd Control system of an appliance
KR101620100B1 (en) 2008-12-05 201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A Aook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2623A (en) * 2005-01-21 2006-08-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oker
JP2006230516A (en) * 2005-02-23 2006-09-07 Cleanup Corp Built-in kitchen
JP2009238575A (en) * 2008-03-27 2009-10-15 Mitsubishi Electric Corp Induction heating cooking appliance
KR101620100B1 (en) 2008-12-05 201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A Aooker
EP2363647A1 (en) * 2010-02-25 2011-09-07 Franke Technology and Trademark Ltd Control system of an applianc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01357A1 (en) 2021-06-08 2022-12-14 LG Electronics Inc. Blender
EP4101356A1 (en) 2021-06-08 2022-12-14 LG Electronics Inc. Blender
EP4101355A1 (en) 2021-06-08 2022-12-14 LG Electronics Inc. Blender
KR20220165357A (en) 2021-06-08 2022-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Blender
KR20220165356A (en) 2021-06-08 2022-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Blender
KR20220165358A (en) 2021-06-08 2022-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Blender
EP4104727A1 (en) 2021-06-18 2022-12-21 LG Electronics Inc. Blender
KR20220169219A (en) 2021-06-18 2022-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Blen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055B1 (en) Cooking equipment move the control panel
KR102330350B1 (en) Refrigerator
KR102076190B1 (en) How to open the refrigerator and freezer door
US9709283B2 (en) User interface for white goods and associated multi-channel proximity sensors
US8841957B2 (en)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control panel of the same
KR101844403B1 (en) Cooking apparatus
KR20100134429A (en) Cooker and method for cotrolling the same
EP1783705B1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provided with products selection means from window
JP2012200394A (en) Grill
JPWO2011114682A1 (en) Cooker
US20220236937A1 (en) Appliance handle with automatic shutoff of input interface elements
EP2979036A2 (en) User interface for white goods and associated multi-channel proximity sensors
TWI553281B (en) Refrigerator
KR20190077927A (en) Cooking equipment move the control panel
JP4243207B2 (en) Cooker
CN110597112B (en) Three-dimensional gesture control method of cooking appliance and cooking appliance
KR102344115B1 (en) Apparatus for operating heater for cooking
KR20100122024A (en) Cooking appliance
JP5642010B2 (en) Cooker
JP2006078079A (en) Cooking device and program
WO2012172016A1 (en) A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door
KR100506899B1 (en) Heating cooking apparatus
US11976981B2 (en) Temperature sensing assembly for a cooktop appliance
US20230065308A1 (en) Cooking appliance with automatic timer and reminder
KR20170068150A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