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500B1 - 확장된 무인 비행체 결합체 - Google Patents

확장된 무인 비행체 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500B1
KR101986500B1 KR1020180162995A KR20180162995A KR101986500B1 KR 101986500 B1 KR101986500 B1 KR 101986500B1 KR 1020180162995 A KR1020180162995 A KR 1020180162995A KR 20180162995 A KR20180162995 A KR 20180162995A KR 101986500 B1 KR101986500 B1 KR 101986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manned aerial
aerial vehicle
fastening
base plat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호
김대영
권철희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2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02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24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using steam or spr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64U50/14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ducted or shrou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B64C2201/024
    • B64C2201/042
    • B64C2201/146
    • B64C2201/16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 F16B2001/003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40Weight red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 Y02T50/6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무인 비행체 결합 구조 및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프로펠러를 포함하며, 무선전파로 조종하는 무인 비행체, 상기 무인 비행체의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커버는 하나 이상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위치하여, 이웃하는 체결 커버와 결합 시 위치를 정렬하는 위치 정렬 수단을 통해 필요에 따라 페이로드의 종류 및 무게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비행 시간도 늘릴 수 있는 다양한 분야에 효율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무인 비행체 결합 구조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확장된 무인 비행체 결합체{Expanded unmanned air vehicle assembly}
본 발명은 결합 운용이 가능한 확장된 무인 비행체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다수의 무인 비행 유닛을 결합하여 하나의 결합체로 운용하기 위한 결합 운용이 가능한 확장된 무인 비행체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인 비행체는 다수의 비행체를 결합하여 운용하는 개념이 없었으며, 다수의 비행체가 운행되는 군집 비행 또한 다수의 비행체가 개별적으로 비행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무인 비행체는 1대의 무인 비행체를 단독으로 운용하는 개념으로 전기 모터를 사용하여 다수의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비행하여, 무인 비행체에 탑재 가능한 배터리 및 전기 모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탑재 중량과 운용 시간에 크게 제약을 받는 문제가 있다.
또한, 탑재 및 운용시간 증가를 위해 엔진을 사용한 무인 비행체도 사용하고 있으나, 소음 및 대기 오염 등의 문제가 있으며, 운용 조건이 까다롭고 고가이며, 특별한 임무에 사용하는 것으로 국한되어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기 때문에 결합 운용이 가능한 무인 비행체가 시급히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인 비행체의 결합 운용에 따라 소음이 적으며 대기 오염이 적은 모터 구동 방식을 적용하여, 필요에 따라 페이로드 중량 및 종류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체공시간도 증가하는 결합 운용이 가능한 무인 비행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인 상태로 공중을 비행하도록 구성된 제1 무인 비행 유닛, 상기 제1 무인 비행 유닛의 일면에 결합하며, 무인 상태로 공중에서 비행하는 제2 무인 비행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비행 유닛은 다수의 프로펠러들을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와 상기 무인 비행체의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체결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 커버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무인 비행 유닛의 제2 체결 커버와 결합 시 위치를 정렬하는 위치 정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무인 비행체 결합체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체결 커버는 상기 제2 무인 비행 유닛의 제2 체결 커버에 의해 상기 제2 무인 비행 유닛과 결합되며, 상기 제1 체결 커버는 상기 제2 무인 비행 유닛의 제2 체결 커버와 다수의 측변에서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정렬 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고, 전자석으로 형성된 체결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돌기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에서 대칭되어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내향 만입되어, 금속재질로 형성된 체결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체결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체결 홈의 전자석은 상기 체결 돌기와 인력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정렬 수단은 외부로부터 상기 제1 체결 커버 및 상기 제2 체결 커버의 결합을 위한 결합 신호를 수신 받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결합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체결 커버의 상기 체결 홈과 상기 제2 체결 커버의 체결 돌기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제1 체결 커버의 상기 체결 홈과 상기 제2 체결 커버의 체결 돌기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한 거리 이하일 때 전류 인가 명령을 체결 홈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무인 비행 유닛은 상기 결합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무인 유닛과의 결합이 공중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무인 비행 유닛은 하부에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전기광학적외선 장비를 장착한 임무장비형 비행 유닛, 하부에 페이로드 무게 증가 및 비행시간 연장을 위해 배터리를 장착한 전원 공급형 비행 유닛, 하부에 짐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물을 장착한 운반형 비행 유닛 또는 운용상 운용거리의 확장을 위한 리피터를 포함하는 통신 중계형 비행 유닛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유닛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확장된 무인 비행체 결합체는 페이로드 장착이 가능한 프레임 구조물을 외형을 감싸도록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구조물은 상기 제1 무인 비행 유닛의 교체를 위한 프레임 구조물 입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장된 무인 비행체는 결합된 다수의 무인 비행 유닛들 중 하나의 무인 비행 유닛만 조종장치에 연동되며, 상기 연동된 무인 비행 유닛은 하나의 무인 비행 유닛을 조종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프로펠러들을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상기 무인 비행체의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커버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부 면에 위치하며, 일정한 방향으로 확장 가능하도록 마련된 위치 정렬 수단을 포함하는 확장 가능한 무인 비행 유닛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 커버는 상기 무인 비행체의 측변을 둘러싸는 형상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사각형 형상으로 외향 돌출된 체결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돌기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에서 대칭되어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체결 돌기의 형상으로 내향 만입된 체결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 홈은 전자석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 돌기는 자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금속재질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인 비행체는 쓰임에 따라 다수의 무인 비행체와 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결합된 무인 비행체는 소음이 적고 대기 오염이 적은 무인 비행체의 제작이 가능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인 비행체는 필요에 따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임무형 무인 비행체, 운반형 무인 비행체 및 통신중계형 무인 비행체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인 비행체는 1대의 단독 운용 및 다수의 무인 비행체가 결합된 무인 비행체 결합 시스템의 운용이 가능하며, 필요한 페이로드 무게 및 운용 시간에 따라 필요한 수량만큼의 무인 비행체를 결합하여 사용이 가능하여 높은 가용도를 가질 수 있으며, 결합된 무인 비행체는 기존 무인 비행체 조종 기술로 작동하여 숙련된 조종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무인 비행체 결합 시스템은 셀 형태로 제작되어, 무인 비행체 결합 시스템에 문제가 생길 때 문제의 무인 비행체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 및 보수가 수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비행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비행 유닛의 체결 커버의 한 면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비행 유닛의 체결 커버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 커버와 이웃하는 체결 커버의 위치 정렬 수단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무장비형 무인 비행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반형 무인 비행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계형 무인 비행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형 무인 비행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9대의 무인 비행 유닛을 대칭적 형태로 결합하는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64대의 무인 비행 유닛을 결합한 확장된 무인 비행체 결합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64대의 무인 비행 유닛을 결합한 무인 비행체 결합체를 감싸는 프레임 구조물의 밑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비행 유닛(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인 비행 유닛(10)은 무인 비행체(100) 및 체결 커버(200)를 포함한다.
무인 비행체(100)는 전기 모터에 의해 추진력을 얻어 다수의 프로펠러를 가동하여 운용될 수 있으며, 무인 비행체(100)가 비행을 할 때 소음이 적으며 대기 오염이 적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인 비행체(100)는 전기모터를 통해 제1 프로펠러(110), 제2 프로펠러(120), 제3 프로펠러(130) 및 제4 프로펠러(140)를 가동하여 운용되며, 무인 비행체(100)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장치 및 배터리는 기존 무선 비행체와 유사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무인 비행체(100)의 형태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음 및 대기 오염이 적은 모터 및 다수의 프로펠러로 구성될 수 있다.
체결 커버(200)는 다수의 베이스 플레이트(210)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수의 베이스 플레이트(210)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일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된 체결 돌기(240)를 포함하고,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일면으로부터 내향 만입된 체결 홈(2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210)는 체결 돌기(240) 및 체결 홈(250)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 커버(200)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202),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4), 제3 베이스 플레이트(206) 및 제4 베이스 플레이트(208)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 커버(200)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202)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4)는 수직인 형태를 포함하고,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4) 및 제3 베이스 플레이트(206)는 수직인 형태를 포함하고, 제3 베이스 플레이트(206) 및 제4 베이스 플레이트(208)는 수직인 형태를 포함하고, 제4 베이스 플레이트(208) 및 제1 베이스 플레이트(202)는 수직인 형태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100)의 측변 주위를 둘러싸는 사각형으로 형성된 형태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베이스 플레이트(202)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4)는 결합 구조에 의해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4) 및 제3 베이스 플레이트(206)는 결합 구조에 의해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3 베이스 플레이트(206) 및 제4 베이스 플레이트(208)는 결합 구조에 의해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4 베이스 플레이트(208) 및 제1 베이스 플레이트(202)는 결합 구조에 의해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체결 커버(200)는 무인 비행체(100) 측변의 형태에 각각의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21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체결 커버(200)는 무인 비행체(100)의 4개의 측변 주위를 제1 베이스 플레이트(202),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4), 제3 베이스 플레이트(206) 및 제4 베이스 플레이트(208)로 감싸고 있는 하나의 체결 커버(200)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인 비행체(100)의 주위를 감싸고 있으며, 이웃하는 무인 비행 유닛(10)과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커버일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비행 유닛(10)의 체결 커버(200)의 한 면의 베이스 플레이트(21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비행 유닛(10)의 체결 커버(200)의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체결 커버(200)의 베이스 플레이트(210)는, 체결 돌기(240) 및 체결 홈(250)를 포함하고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10)는 내부에 체결 돌기(240) 및 체결 홈(25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돌기(240)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일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돌기를 형성하며, 자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금속재질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체결 홈(250)은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일면으로부터 내향 만입되어 홈을 형성하며, 전류가 흐르면 자성을 띄는 전자석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체결 돌기(240)는 체결 홈(250)에 삽입되어 결합하며, 체결 홈(250)의 전자석에 전류가 흘러 자성을 띄면 체결 돌기(240)의 금속재질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체결 돌기(240)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체결 홈(250)은 결합 신호에 의해 전자석에 전류가 흐르면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해제 신호에 의해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5 베이스 플레이트(220)는 제6 베이스 플레이트(23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체결 돌기(222)는 제2 체결 홈(232)과 결합하고, 제1 체결 홈(224)은 제2 체결 돌기(234)와 결합되어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무인 비행 유닛(10)은 이웃하는 무인 비행 유닛(10)과 체결 홈(250)의 전자석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자성의 성질을 포함하는 체결 돌기(240)와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무인 비행 유닛(10)은 비행 운용 중의 진동 및 외부 환경에 의해 분해가 되지 않도록 자성의 힘을 통해 결합을 유질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 커버(200)와 이웃하는 체결 커버의 위치 정렬 수단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치 정렬 수단은 수신부(260), 감지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한다.
위치 정렬 수단은 체결 홈(250) 및 체결 돌기(240)의 결합 시 위치를 정렬하며, 체결 홈(250) 및 체결 돌기(240)의 결합을 도와줄 수 있다.
수신부(260)는 외부로부터 상기 체결 커버 간의 결합을 위한 결합 신호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수신부(260)에 신호를 보내는 장비는 무인 비행 유닛(10)을 조종하는 조종부에서 보낼 수 있으며, 결합 신호를 보내는 외부기기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 신호를 수신부(260)에 보낼 수 있는 장비일 수 있다.
감지부(270)는 수신부(260)에서 결합 신호를 수신하면, 체결 홈(250)과 결합되는 이웃하는 체결 커버(200)의 체결 돌기(24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70)는 내장되어 있는 거리센서에 의해 체결 홈(250)과 체결 돌기(24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거리센서는 체결 홈(250)에 내장되어 있으며, 체결 홈(250)으로 체결 돌기(240)가 가까워 지는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감지부(270)에서 감지한 체결 홈(250)과 체결 돌기(240)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한 거리 이하일 때 전류 인가 명령을 체결 홈(25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체결 홈(250)과 체결 돌기(240) 사이의 거리에 대해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감지부(270)에서 체결 홈(250)과 체결 돌기(240) 사이의 감지된 거리는 체결 홈(250) 및 체결 돌기(240)가 결합할 수 있는 거리이며, 제어부(280)에서 전류 인가 명령을 보낼 수 있는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전류 인가 명령에 의해 체결 홈(250)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체결 홈(250)의 전자석이 자성을 띄고 이웃하는 체결 커버(200)의 체결 돌기(240)와 결합하여 자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무장비형 무인 비행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반형 무인 비행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계형 무인 비행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형 무인 비행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인 비행 유닛(10)은 임무장비형 비행체, 운반형 비행체, 중계형 비행체 및 전원 공급형 비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임무장비형 비행체는 무인 비행 유닛(10)의 하부에 임무장비 장착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임무장비 장착부(312)에 임무장비를 장착하여 임무장비형 비행체를 운용할 수 있다.
무인 비행 유닛(10)는 임무장비 장착부(312)를 추가로 장착함에 따라 필요에 따라 임무장비 장착부(312)에 임무장비(310)를 교체하여 일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임무장비형 비행체는 임무장비로 실 영상 및 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전자광학 적외선 카메라(EO/IR)를 사용할 수 있다. 전자광학 적외선 카메라(EO/IR)는 실시간 또는 준실시간으로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무선 데이터링크를 통해 지상 통제소에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임부장비형 비행체에 장착되는 임무장비(310)는 전자광학 적외선 카메라(EO/IR)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 목적에 따라 장비를 교체해서 사용할 수 있다.
운반형 비행체는 무인 비행 유닛(10)의 하부에 운반물 장착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운반물 장착부(322)에 운반물(320)을 장착하여 운반형 비행체를 운용할 수 있다.
무인 비행 유닛(10)은 운반물 장착부(322)를 추가로 장착함에 따라 무인 비행 유닛(10)를 이용하여 물체를 운반시켜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운반형 비행체는 운반물(320)을 장착하기 위한 운반물 장착부(322)를 운반물(320)에 맞게 제작할 수 있다. 운반물 장착부(322)는 공중에서 비행 중에 운반물(320)이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중계형 비행체는 무인 비행 유닛(10)의 하부에 배터리 장착부(332)를 포함하고, 배터리 장착부(332)에 배터리(330)를 장착하여 고정시키는 전원 공급형 비행체를 제공할 수 있다.
무인 비행 유닛(10)은 배터리를 추가로 장착함에 따라 페이로드 무게 증가 및 비행 시간을 연장시켜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 장착부(332)는 사각 배터리(330)가 배터리 장착부(332)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장착되는 배터리(330)의 종류 및 형상에 따라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전원 공급형 비행체는 운용상의 운용거리 확장을 위해 운용거리 확장을 위한 장비와 연결되어 운용거리가 늘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원 공급형 비행체는 운용상의 운용거리 확장을 위해 리피터(340)와 연결되어 운용될 수 있다. 리피터(340)는 신호를 받아 더 높은 수준에 더 높은 힘으로 방해가 되는 곳의 반대 쪽으로 재전송함으로써 신호가 더 먼 거리에 다다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전자기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피터(340)는 전원 공급형 비행체에 부착되지 않고, 전원 공급형 비행체를 조종할 수 있는 조종기기 근처에 위치하여 운용신호를 증폭시켜줄 수 있으며, 리피터(340)의 위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종기기에서 보내는 운용신호를 증폭시켜줄 수 있는 위치에 리피터(340)는 위치할 수 있다.
무인 비행 유닛(10)의 하부에 부착되어 필요에 따라 필요한 형태의 장착부를 제작할 수 있으며, 다른 외부기기와 연결하여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지는 확장된 무인 비행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제작한 무인 비행 유닛(10)는 임무장비형 비행체, 운반형 비행체, 중계형 비행체 및 전원 공급형 비행체를 포함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인 비행 유닛(10)의 외부에 부착장비 및 연결장비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9대의 무인 비행 유닛(10)을 대칭적 형태로 결합하는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무인 비행 유닛(10)는 대칭적인 구조로 결합되어 운용할 수 있으며, 4대, 9대, 16대, 25대 등으로 가능하나, 필요에 의해 비대칭 형태인 2대 ~ n대까지 무한적으로 결합 운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인 비행 유닛(10) 9대는 대칭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무인 비행 유닛(10)은 체결 커버(200)의 체결 홈(250) 및 체결 돌기(240)에 의해 결합되어 하나의 무인 비행 유닛(10) 결합으로 운용될 수 있다.
무인 비행 유닛(10)의 결합은 지상 및 공중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상에서의 무인 비행 유닛(10)의 결합은 각각의 무인 비행 유닛(10)을 체결 홈(250) 및 체결 돌기(240)에 맞춰 고정될 수 있으며, 자성에 의해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공중에서의 무인 비행 유닛(10)의 결합은 각각의 무인 비행 유닛(10)이 서로 결합을 위해 대칭적인 형상으로 결합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무인 비행 유닛(10)은 이웃하는 무인 비행 유닛(10)과 외부로부터 체결 커버(200)간의 결합을 위한 결합 신호를 받아서 결합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체결 신호를 수신하면, 무인 비행 유닛(10)의 체결 홈(250)과 결합되는 이웃하는 무인 비행 유닛(10)의 체결 커버(200)의 체결 돌기(240) 사이의 거리를 거리센서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거리센서를 통해 감지한 체결 홈(250) 및 체결 돌기(240) 사이의 거리에 따라 일정거리 이하로 가까워 질 때 전류 인가 명령이 전송되어 체결 홈(250)의 전자석에 전류가 흐르게 되며, 체결 홈(250)의 전자석에 의해 자성을 띄는 금속재질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체결 돌기(240)와 결합되어 인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무인 비행 유닛(10)들의 결합은 기본형 무인 비행 유닛(10)이외에 필요에 따라 외부에 부착장비를 추가하거나 연결시켜 결합시킬 수 있다.
무인 비행 유닛(10)은 기본형인 무인 비행 유닛(10)이며, 무인 비행 유닛(10)의 하부에 배터리(330)를 추가로 장착하여 비행 시간을 연장시켜주는 전원 공급형 비행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무인 비행 유닛(10)의 하부에 전자광학 적외선 카메라(EO/IR)인 임무장비(310)를 추가로 장착하여 임무장비형 비행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무인 비행 유닛(10)의 하부에 운반물(320)을 추가로 장착하여 운반형 비행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무인 비행 유닛(10)에 리피터(340)를 연결하여 운용거리를 확장시켜주는 중계형 비행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인 비행 유닛(10)의 결합은 임무장비형 비행체, 전원 공급형 비행체 및 기본 형인 무인 비행 유닛(10)을 결합하여 감시정찰용 무인 비행체로 활용될 수 있다. 다수의 비행체 중 필요에 의해 비행체의 개수를 달리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무인 비행 유닛(10)의 결합에 있어서, 감시정찰용 비행체는 임무장비형 비행체 및 전원 공급형 비행체는 적어도 한 개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무인 비행 유닛(10)의 결합은 운반형 비행체, 전원 공급형 비행체 및 기본형인 무인 비행 유닛(10)을 결합하여 운반용 무인 비행체로 활용될 수 있다. 다수의 비행체 중 필요에 의해 비행체의 개수를 달리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무인 비행 유닛(10)의 결합에 있어서, 운반용 비행체는 운반형 비행체 및 전원 공급형 비행체는 적어도 한 개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무인 비행 유닛(10)의 결합은 통신 중계형 비행체, 전원 공급형 비행체 및 기본형인 무인 비행 유닛(10)을 결합하여 통신 중계용 무인 비행체로 활용될 수 있다. 다수의 비행체 중 필요에 의해 비행체의 개수를 달리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무인 비행 유닛(10)의 결합에 있어서, 통신 중계용 비행체는 통신 중계형 비행체 및 전원 공급형 비행체는 적어도 한 개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무인 비행 유닛(10)의 결합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무인 비행 유닛(10)들은 재구성하여 다른 용도의 비행체로 결합시켜 무인 비행 유닛(10) 결합 시스템을 운용시킬 수 있다.
도 6은 64대의 무인 비행 유닛(10)을 결합한 확장된 무인 비행체 결합체(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고 무인 비행 유닛(10) 64대를 결합한 형태를 나타냈다.
64대의 무인 비행 유닛(10)들은 위치 정렬 수단을 통해 이웃하는 체결 커버(200)의 체결 홈(250)의 전자석 및 자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체결 돌기(240)가 전류가 흐름에 따라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64대의 무인 비행 유닛(10)들은 필요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무인 비행 유닛(10)의 결합은 지상 및 공중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64대의 무인 비행 유닛(10)들은 암무장비형 비행체, 전원 공급형 비행체, 통신 중계형 비행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장비와 결합된 무인 비행 유닛(10)도 포함되어 하나의 용도를 가지는 비행체로 운용될 수 있다.
64대의 무인 비행 유닛(10)의 결합은 많고 다양한 무인 비행 유닛(10)을 결합하여 운용할 수 있으며, 무인 비행 유닛(10)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운반하는 물체의 무게도 늘어날 수 있다.
결합된 64대의 무인 비행 유닛(10)은 비행 중의 진동 및 외부 환경에 의해 분해되지 않도록 자성의 힘으로 결합될 수 있다.
64대의 무인 비행 유닛(10)이 결합된 비행체는 64대의 무인 비행 유닛(10)을 각각 조종하는 것이 아니며, 하나의 무인 비행 유닛(10)을 조종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종할 수 있다.
결합된 무인 비행 유닛(10)은 결합된 무인 비행 유닛(10) 중 일부에 불량 및 고장이 생겼을 경우, 불량 및 고장이 난 일부 무인 비행 유닛(10)만 교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64대의 무인 비행 유닛(10)을 결합한 무인 비행체 결합체를 감싸는 프레임 구조물(30)의 밑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64대의 무인 비행 유닛(10)의 결합은 결합된 무인 비행 유닛(10)의 개수가 많고 페이로드가 무거울 경우에는 지상에서 쉽게 무인 비행 유닛(10)을 결합하고 페이로드를 장착할 수 있도록 결합된 무인 비행 유닛(10) 외부를 프레임 구조물(400)로 덮을 수 있다.
프레임 구조물(400)은 프레임(410), 망(420) 및 하부 중앙에 사각형태의 프레임 구조물 입구(430)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구조물(400)은 결합된 무인 비행 유닛(10) 주위를 프레임(410)으로 둘러싸고, 무인 비행 유닛(10)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프레임(410)을 망으로 덮을 수 있다. 프레임 구조물(400)은 하부 중앙에 사각형의 프레임 구조물 입구(430)를 위치 시킬 수 있다.
프레임 구조물 입구(430)는 페이로드 장착이 가능하며, 임무장비형 비행체, 운반형 비행체, 전원 공급형 비행체 및 통신 중계형 비행체를 중앙에 배치하여 무인 비행체 결합 및 페이로드 장착이 수월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임 구조물(400)의 프레임(410)은 페이로드 장착을 위해 무거운 물체도 견딜 수 있도록 철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레임(410)은 결합된 무인 비행 유닛(10)의 주위를 둘러싸며, 페이로드를 장착하여 운용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임 구조물(400)의 망(420)은 결합된 무인 비행 유닛(10)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철망으로 형성되어있을 수 있다. 프레임 구조물(400)의 망(420)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레임(410)을 둘러싸도록 덮을 수 있으며, 무인 비행 유닛(10)을 육안으로 외부에서 볼 수 있을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프레임 구조물(400)을 통해 결합된 무인 비행 유닛(10)은 안전하게 운용될 수 있으며, 외부환경으로 받은 영향이 줄어들 수 있으며, 무거운 물체를 각각의 무인 비행 유닛(10)에 장착하지 않고 하나의 프레임 구조물(400)에 장착하여 운용할 수 있다.
프레임 구조물(400)은 무인 비행 유닛(10)과 맞닿아있지 않고 일정거리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무인 비행 유닛 100: 무인 비행체
200: 체결 커버 210: 베이스 플레이트
240: 체결 돌기 250: 체결 홈

Claims (12)

  1. 무인 상태로 공중을 비행하도록 구성된 제1 무인 비행 유닛; 및
    상기 제1 무인 비행 유닛의 일면에 결합하며, 무인 상태로 공중에서 비행하는 제2 무인 비행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무인 비행 유닛은 다수의 프로펠러들을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와 상기 무인 비행체의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체결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 커버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무인 비행 유닛의 제2 체결 커버와 결합 시 위치를 정렬하는 위치 정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렬 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고, 전자석으로 형성된 체결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돌기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에서 대칭되어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내향 만입되어, 금속재질로 형성된 체결 홈을 포함하며,
    외부로부터 상기 제1 체결 커버 및 상기 제2 체결 커버의 결합을 위한 결합 신호를 수신 받는 수신부; 상기 결합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체결 커버의 상기 체결 홈과 상기 제2 체결 커버의 상기 체결 돌기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제1 체결 커버의 상기 체결 홈과 상기 제2 체결 커버의 상기 체결 돌기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한 거리 이하일 때 전류 인가 명령을 상기 체결 홈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확장된 무인 비행체 결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 커버는 상기 제2 무인 비행 유닛의 상기 제2 체결 커버에 의해 상기 제2 무인 비행 유닛과 결합되며,
    상기 제1 체결 커버는 상기 제2 무인 비행 유닛의 상기 제2 체결 커버와 다수의 측변에서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무인 비행체 결합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체결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체결 홈의 상기 전자석은 상기 체결 돌기와 인력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무인 비행체 결합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인 비행 유닛은 상기 결합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무인 비행 유닛과의 결합이 공중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무인 비행체 결합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인 비행 유닛은,
    하부에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전기광학적외선 장비를 장착한 임무장비형 비행 유닛;
    하부에 페이로드 무게 증가 및 비행시간 연장을 위해 배터리를 장착한 전원 공급형 비행 유닛;
    하부에 짐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물을 장착한 운반형 비행 유닛; 또는
    운용상 운용거리의 확장을 위한 리피터를 포함하는 통신 중계형 비행 유닛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유닛을 더 포함하는
    확장된 무인 비행체 결합체.
  8. 제1항에 있어서,
    페이로드 장착이 가능하며, 상기 제1 무인 비행 유닛 및 상기 제2 무인 비행 유닛의 결합이 이루어진 확장된 무인 비행체 결합체의 외형을 감싸는 프레임 구조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구조물은 상기 제1 무인 비행 유닛의 교체를 위한 프레임 구조물 입구를 포함하는,
    확장된 무인 비행체 결합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무인 비행체 결합체는 결합된 다수의 무인 비행체들 중 하나의 상기 무인 비행체에 조종장치가 연동되며,
    상기 조종장치는 하나의 상기 무인 비행체를 조종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무인 비행체 결합체.
  10. 다수의 프로펠러들을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상기 무인 비행체의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커버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부 면에 위치하며, 일정한 방향으로 확장 가능하도록 마련된 위치 정렬 수단을 포함하,
    상기 위치 정렬 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고, 전자석으로 형성된 체결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돌기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에서 대칭되어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내향 만입되어, 금속재질로 형성된 체결 홈을 포함하며,
    외부로부터 상기 체결 커버의 결합을 통해 상기 무인 비행체가 확장되기 위한 결합 신호를 수신 받는 수신부; 상기 결합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체결 커버의 상기 체결 홈 또는 상기 체결 돌기와 결합되어 확장되기 위한 상기 체결 커버의 상기 체결 홈과 상기 체결 커버의 상기 체결 돌기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체결 커버의 상기 체결 홈 또는 상기 체결 돌기와의 결합 거리가 기 설정한 거리 이하일 때 전류 인가 명령을 상기 체결 홈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확장 가능한 무인 비행 유닛.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162995A 2018-12-17 2018-12-17 확장된 무인 비행체 결합체 KR101986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995A KR101986500B1 (ko) 2018-12-17 2018-12-17 확장된 무인 비행체 결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995A KR101986500B1 (ko) 2018-12-17 2018-12-17 확장된 무인 비행체 결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500B1 true KR101986500B1 (ko) 2019-06-07

Family

ID=66849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995A KR101986500B1 (ko) 2018-12-17 2018-12-17 확장된 무인 비행체 결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5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219A (ko) * 2020-03-12 2021-09-27 윤태기 배터리 교체형 드론의 공중 배터리 교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3275546A1 (en) * 2021-07-01 2023-01-05 Arrival Jet Ltd Electric propulsion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4587A (ko) * 2013-08-16 2014-11-24 주식회사 두레텍 연결형 회전익 추진체, 이를 이용한 퍼즐조립형 비행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60031602A (ko) * 2014-09-12 2016-03-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합체 분리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비행체
WO2016134193A1 (en) * 2015-02-19 2016-08-25 Amazon Technologies, Inc. Collective unmanned aerial vehicle configurations
US9471059B1 (en) * 2015-02-17 2016-10-18 Amazon Technologies, Inc. Unmanned aerial vehicle assista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4587A (ko) * 2013-08-16 2014-11-24 주식회사 두레텍 연결형 회전익 추진체, 이를 이용한 퍼즐조립형 비행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60031602A (ko) * 2014-09-12 2016-03-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합체 분리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비행체
US9471059B1 (en) * 2015-02-17 2016-10-18 Amazon Technologies, Inc. Unmanned aerial vehicle assistant
WO2016134193A1 (en) * 2015-02-19 2016-08-25 Amazon Technologies, Inc. Collective unmanned aerial vehicle configuration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219A (ko) * 2020-03-12 2021-09-27 윤태기 배터리 교체형 드론의 공중 배터리 교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65931B1 (ko) 2020-03-12 2022-02-21 윤태기 배터리 교체형 드론의 공중 배터리 교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3275546A1 (en) * 2021-07-01 2023-01-05 Arrival Jet Ltd Electric propuls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7960B2 (en) Ground movement system plugin for VTOL UAVs
WO2018026754A1 (en) Multi-craft uav carrier system and airframe
US10723456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having multi-rotor type rotary wing
US9387940B2 (en) Intelligent self-leveling docking system
US9896203B1 (en) Unmanned aerial vehicles, charging systems for the same and methods of charging the same
JP6180765B2 (ja) 輸送手段ベースステーション
EP3285130A2 (en) Tethered unmanned aerial vehicle
US8862288B2 (en) Vehicle base station
EP2151379B1 (en) Modular pods for use with an unmanned aerial vehicle
JP6602336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US20100019098A1 (en) Ducted Fan Core for Use with an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986500B1 (ko) 확장된 무인 비행체 결합체
KR20190125130A (ko) 차량에서 자동으로 이륙과 착륙 및 충전하도록 구성된 드론 도킹 스테이션 차량
KR20170132923A (ko) 드론의 무인 임무 제어 시스템
KR20200013352A (ko) 도킹스테이션 부에서 드론을 원격 조종하여 자동 착륙하는 능동 유도형 도킹스테이션 및 겸용 차량
US201800795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ocking unmanned vehicles
EP2184804A1 (en) Ducted fan unmanned aerial vehicle conformal antenna
KR20210010719A (ko) 드론 이착륙 시스템 및 드론 택배 시스템
KR101867424B1 (ko) 비행 중인 드론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충전장치
US20230023246A1 (en) Integration between unmanned aerial system and unmanned ground robotic vehicle
KR20170140941A (ko) 탑재체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드론
KR101808845B1 (ko) 드론의 분리 비행이 가능한 기낭 구조물
KR101914960B1 (ko) 덕티드 팬 기반의 무인 비행체 시스템
KR102254921B1 (ko) 무인비행기의 무정전배터리 교체장치 및 방법
KR101843147B1 (ko) 드론의 무선 충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