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203B1 - 소방용 호스 결합구조체 - Google Patents

소방용 호스 결합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203B1
KR101986203B1 KR1020180076452A KR20180076452A KR101986203B1 KR 101986203 B1 KR101986203 B1 KR 101986203B1 KR 1020180076452 A KR1020180076452 A KR 1020180076452A KR 20180076452 A KR20180076452 A KR 20180076452A KR 101986203 B1 KR101986203 B1 KR 101986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le
fastening
coupled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천화
Original Assignee
(주)지여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여이앤씨 filed Critical (주)지여이앤씨
Priority to KR1020180076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4Supports or clamps for fire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parts screwed directly on or into the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분사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의 분사 압력을 높이고, 소방호스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소방용 호스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소방용 호스의 결합구조체에 있어서, 일측에 유입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과 인접한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물분사관; 상기 유입공과 대응되는 관통공이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과 대응되는 결합나사산이 유입공과 인접한 외측 테두리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나사산과 대향되는 외측 테두리의 길이 방향으로는 체결나사산이 형성되어 물분사관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관; 상기 체결관의 내측으로 관통 결합되어 상기 관통공으로 유입되는 물을 물분사관의 방향으로 분기하며 안내하는 압력전달부재; 및 상기 체결나사산과 대응되는 연결나사산이 일단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관의 타측 테두리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타단 내측으로는 소방호스가 결합되는 호스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소방용 호스 결합구조체{Fire Hose connec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소방용 호스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분사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의 분사 압력을 높일 수 있으며, 소방호스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소방용 호스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소방호스란, 소방차로부터 전달되는 물을 물분사관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송하기 위하여 물분사관으로 물을 이송하는 호스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소방호스는 물분사관에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물분사관과 호스를 연결할 수 있는 별도의 기구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이 보통으로, 대개, 물분사관과 소방호스를 연결할 수 있는 체결관을 통하여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은 소방호스는 소방차로부터 전달되는 물을 물분사관의 방향으로 더욱 용이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견고하면서도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며, 소방호스와 연결되는 체결관은 소방호스와 물분사관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종래의 소방용 호스의 결합구조는 문헌(1)에서와 같이,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된 소방호스를 문헌(2)에서와 같은 호스 연결구를 통하여 물분사관에 결합할 수 있도록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소방용 호스 결합구조들은 소방차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물분사관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는 있으나, 물분사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의 압력을 증가시키며 배출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화재가 발생된 지점에 따라 소방용 호스의 길이를 연장 시키며 사용하기는 힘든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796007(2017.11.03) (2) 대한민국 공개실용 공개번호 제20-2010-0010887(2010.11.0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용 호스를 통하여 분사되는 물의 분사압력을 높여 물분사관을 통한 물 분사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물분사관의 내부구조를 불필요하게 변경하지 않고도 물분사관과 소방용 호스를 연결하는 체결관과 이에 결합되는 압력전달부재의 구성을 통하여 물의 분사압력을 용이하게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물분사관, 체결관, 압력전달부재, 호스연결관의 구성을 통하여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분리 또는 결합하며 작업여건에 따른 용이한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물분사관, 체결관, 압력전달부재, 호스연결관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물을 분사하고자 하는 화재 현장의 상황에 따라 소방호스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연장하며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여섯째, 화재가 발생 된 화재 현장의 상황이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장소의 여건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물의 분사를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지점의 화재진압을 신속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방용 호스의 결합구조체에 있어서, 일측에 유입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과 인접한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물분사관; 상기 유입공과 대응되는 관통공이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과 대응되는 결합나사산이 유입공과 인접한 외측 테두리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나사산과 대향되는 외측 테두리의 길이 방향으로는 체결나사산이 형성되어 물분사관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관; 상기 체결관의 내측으로 관통 결합되어 상기 관통공으로 유입되는 물을 물분사관의 방향으로 분기하며 안내하는 압력전달부재; 및 상기 체결나사산과 대응되는 연결나사산이 일단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관의 타측 테두리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타단 내측으로는 소방호스가 결합되는 호스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관은 상기 체결나사산과 인접한 관통공의 내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체결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전달부재는 상기 체결단부에 일단이 걸려 고정되는 원판형의 형상으로 외측 테두리와 인접한 위치에는 복수개의 분기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관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는 분사공이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에는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안내공이 형성된 분기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방호스는 상기 호스연결관에 일단이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주름부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확장부와, 상기 고정부와 확장부의 밀착 부위를 지지하도록 확장부의 외측 테두리에 결합되는 고정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의 외측 테두리에는 일단이 고정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링에 개재되게 관통 결합되어 확장부와 고정링의 결합을 선택적으로 분리시키는 분리와이어가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의 내경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유로홈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소방용 호스를 통하여 분사되는 물의 분사압력을 높여 물분사관을 통한 물 분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둘째, 물분사관의 내부구조를 불필요하게 변경하지 않고도 물분사관과 소방용 호스를 연결하는 체결관과 이에 결합되는 압력전달부재의 구성을 통하여 물의 분사압력을 용이하게 높일 수 있다.
셋째,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물분사관, 체결관, 압력전달부재, 호스연결관의 구성을 통하여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분리 또는 결합하며 작업여건에 따른 용이한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넷째, 물분사관, 체결관, 압력전달부재, 호스연결관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다섯째, 물을 분사하고자 하는 화재 현장의 상황에 따라 소방호스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연장하며 사용을 이룰 수 있다.
여섯째, 화재가 발생 된 화재 현장의 상황이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장소의 여건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물의 분사를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지점의 화재진압을 신속하게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호스 결합구조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호스 결합구조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호스 결합구조체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호스 결합구조체의 작용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소방용 호스 결합구조체의 소방호스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소방용 호스 결합구조체의 소방호스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소방용 호스 결합구조체의 소방호스 사용상태를 도시한 다른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시한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소방용 호스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일측에 유입공(11)이 형성되고, 타측에 배출공(12)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11)과 인접한 내경에는 나사산(13)이 형성된 물분사관(10); 상기 유입공(11)과 대응되는 관통공(21)이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13)과 대응되는 결합나사산(22)이 유입공(11)과 인접한 외측 테두리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나사산(22)과 대향되는 외측 테두리의 길이 방향으로는 체결나사산(23)이 형성되어 물분사관(1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관(20); 상기 체결관(20)의 내측으로 관통 결합되어 상기 관통공(21)으로 유입되는 물을 물분사관(10)의 방향으로 분기하며 안내하는 압력전달부재(30); 및 상기 물분사관(10)과 결합되는 체결관(20)의 타측 테두리를 감싸도록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 내측으로는 소방호스(2)가 결합되는 호스연결관(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물분사관(10)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소방호스(2)로부터 전달되는 물을 화재가 발생 된 지점으로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하여 관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물의 분사 압력에도 손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황동과 같은 금속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물분사관(10)은 도 2에서와 같이, 소방호스(2)로부터 전달되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11)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11)과 대향되는 타측 단부에는 유입공(11)을 통하여 안내되는 물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공(1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입공(11)과 인접한 내경에는 나사산(13)을 형성함으로써, 후술할 체결관(20)의 단부가 상기 나사산(13)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체결관(20)의 결합나사산(22)이 물분사관(10)의 나사산(13)과 결합되어 도시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물분사관(10)의 유입공(11) 내측으로 체결관(20)의 단부가 밀착되는 고정을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관(20)은 도시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유입공(11)과 대응되는 관통공(21)을 내측에 형성하여 상기 유입공(11)의 방향으로 소방호스(2)로부터 이송되는 물이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나사산과(22)과 대향되는 체결관(20)의 단부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체결나사산(2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체결나사산(23)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체결관(20)의 일측으로 호스연결관(40)을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체결나사산(23)에 호스연결관(40)의 연결나사산(41)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압력전달부재(30)는 도시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체결관(20)의 내측에 위치되게 결합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나사산(23)과 인접한 관통공(21)의 내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체결단부(24)로 압력전달부재(30)의 일단이 걸려 고정되게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압력전달부재(30)는 상기 체결단부(24)에 일단이 걸려 고정되는 원판형의 형상으로 외측 테두리와 인접한 위치에는 복수개의 분기공(31a)이 형성된 고정판(31)과, 상기 고정판(31)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관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고정판(31)을 관통하는 분사공(32a)이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에는 상기 고정판(31)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안내공(32b)이 형성된 분기돌기(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즉, 상기 체결관(20)의 체결단부(24)에 압력전달부재(30)의 고정판(31)이 밀착되는 결합을 이루어 도시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고정판(31)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분기돌기(32)가 체결관(20)의 관통공(2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판(31)에 형성된 분기공(31a)과, 상기 분기돌기(32)에 형성된 분사공(32a) 및 안내공(32b)은 소방호스(2)로부터 전달되는 물이 물분사관(10)의 방향으로 이송을 이루는 경우, 상기 분기공(31a), 분사공(32a), 안내공(32b)을 통하여 이송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소방호스(2)를 통하여 체결관(20)의 방향으로 전달되는 물이, 체결관(20)에 결합된 압력전달부재(30)의 구성을 통하여 높은 압력을 형성하며 물분사관(10)의 배출공(11) 방향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에 따라, 소방호스(2)를 통하여 물분사관(10)의 방향으로 전달되는 물의 압력을 용이하게 높일 수 있어 동일한 물의 양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화재가 발생 된 지점으로 물의 분사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체결관(20)의 내측으로 압력전달부재(30)가 결합되는 구성이, 상기 체결관(20)의 체결단부(24)에 압력전달부재(30)의 고정판(31)이 밀착되는 구조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체결관(20)의 내측으로 압력전달부재(3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상기 체결관(20)과 압력전달부재(30)의 결합되는 구성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하여, 상기 호스연결관(40)은 도시한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체결관(20)의 단부를 일단이 감싸도록 결합되고, 타단 내측에는 소방호스(2)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호스연결관(40)과 소방호스(2)가 결합되는 구성은 종래의 호스연결관과 소방호스가 결합되는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도시한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호스연결관(40)의 측단면이 'I'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체결관(20)의 단부와 소방호스(2)의 단부가 호스연결관(40)의 내측에서 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호스연결관(40)의 구성을 통하여 체결관(20)과 소방호스(2)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소방호스(2)와 체결관(20)의 연결 부위에 발생하는 물의 압력으로 인하여 호스연결관(40)에 결합된 체결관(20)과 소방호스(2)가 손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소방호스(2)에서 체결관(20)의 방향으로 이송되는 물이 도시한 도 4에서와 같이, 체결관(20)에 결합된 압력전달부재(30)의 구성을 통하여 높은 압력을 형성하며 물분사관(10)의 방향으로 이송되고, 이와 동시에 압력전달부재(30)의 분기돌기(32)를 중심으로 와류 현상을 일으키며 물분사공(11)의 방향으로 이송됨으로써, 물분사관(10)의 배출공(11)으로 높은 분사압력을 형성하며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소방호스(2)는 도시한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호스연결관(40)에 일단이 결합되는 고정부(2a)와, 상기 고정부(2a)와 주름부(2b)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2a)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확장부(2c)와, 상기 고정부(2a)와 확장부(2c)의 밀착 부위를 지지하도록 확장부(2c)의 외측 테두리에 결합되는 고정링(2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2a)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호스연결관(40)에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주름부(2b)는 본 발명에서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일단이 고정부(2a)에 결합되고, 타단이 확장부(2c)에 결합되어 상기 주름부(2b)를 중심으로 고정부(2a)와 연결된 확장부(2c)가 고정부(2a)의 방향으로 접힐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즉, 상기 고정부(2a)가 호스연결관(40)의 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부(2a)와 연결된 주름부(2b)를 중심으로 상기 확장부(2c)를 고정부(2a)의 방향으로 접어 고정부(2a)의 외측부와 확장부(2c)의 외측부가 밀착되는 결합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링(2d)은 상기 고정부(2a)와 확장부(2c)가 주름부(2b)를 중심으로 도시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확장부(2c)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2a)와 확장부(2c)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링(2d)은 상기 확장부(2c)의 외측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접착제 등을 통하여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소방호스(2)를 이루는 고정부(2a), 주름부(2b), 확장부(2c)의 내측으로 물이 이동을 이루는 경우에는 이송되는 물의 압력으로 인하여 고정부(2a)와 확장부(2c)가 팽창을 이루게 되면, 자연스럽게 고정부(2c)와 확장부(2c)의 팽창된 밀착부위를 감싸며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구성된다.
또한,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부(2a)의 외측 테두리에는 일단이 고정부(2a)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링(2d)에 개재되게 관통 결합되어 확장부(2c)와 고정링(2d)의 결합을 선택적으로 분리시키는 분리와이어(3)가 더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분리와이어(3)는 상기 고정부(2a)의 외측 테두리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접착제, 고정링 등을 통하여 일단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며 타단은 상기 고정링(2d)을 관통하며 확장부(2c)의 일측에 위치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분리와이어(3)의 단부를 파지하여 고정부(2a)의 방향으로 당기는 경우에는, 상기 확장부(2c)에 결합된 고정링(2d)이 고정부(2a)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확장부(2c)와 분리되게 되고, 이에 따라, 도시한 도 6에서와 같이, 고정부(2a)이 외측부와 밀착되게 접혀진 확장부(2c)를 펼쳐 소방호스(2)의 전체적인 길이를 연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2a)와 확장부(2c)를 접어 고정링(2d)으로 그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고정부(2a)에 결합된 분리와이어(3)를 조절함으로써, 고정부(2a)와 확장부(2c)의 접혀져 있는 상태를 분리하여 소방호스(2)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소방호스(2)의 길이 방향으로 사용자가 선택하여 복수개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소방호스(2)를 용이하게 접어 길이를 단축하며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화재현장의 변화에 따라 소방호스(2)의 길이를 연장하며 안정적인 물의 분사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2a)의 내경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유로홈(2a-1)을 형성함으로써, 소방호스(2)를 통하여 이송되는 물이 상기 유로홈(2a-1)을 따라 이동되며 소방호스(2)의 내측에서 와류 현상을 일으킴으로써, 소방호스(2)를 통하여 압력전달부재(30)의 방향으로 전달되는 물의 압력을 더욱 높이고, 이를 통하여 물분사관(10)의 배출공(12)으로 배출되는 물의 분사 압력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2: 소방호스 2a: 고정부
2a-1: 유로홈 2b: 주름부
2c: 확장부 2d: 고정링
3: 분리와이어 10: 물분사관
11: 유입공 12: 배출공
13: 나사산 20: 체결관
21: 관통공 22: 결합나사산
23: 체결나사산 24: 체결단부
30: 압력전달부재 31: 고정판
31a: 분기공 32: 분기돌기
32a: 분사공 32b: 안내공
41: 연결나사산 40: 호스연결관
W: 물

Claims (5)

  1. 일측에 유입공(11)이 형성되고, 타측에 배출공(12)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11)과 인접한 내경에는 나사산(13)이 형성된 물분사관(10);
    상기 유입공(11)과 대응되는 관통공(21)이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13)과 대응되는 결합나사산(22)이 유입공(11)과 인접한 외측 테두리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나사산(22)과 대향되는 외측 테두리의 길이 방향으로는 체결나사산(23)이 형성되어 물분사관(1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관(20);
    상기 체결관(20)의 내측으로 관통 결합되어 상기 관통공(21)으로 유입되는 물을 물분사관(10)의 방향으로 분기하며 안내하는 압력전달부재(30); 및
    상기 체결나사산(23)과 대응되는 연결나사산(41)이 일단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관(20)의 타측 테두리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타단 내측으로는 소방호스(2)가 결합되는 호스연결관(40);을 포함하는 소방용 호스의 결합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체결관(20)은
    상기 체결나사산(23)과 인접한 관통공(21)의 내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체결단부(24)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전달부재(30)는
    상기 체결단부(24)에 일단이 걸려 고정되는 원판형의 형상으로 외측 테두리와 인접한 위치에는 복수개의 분기공(31a)이 형성된 고정판(31)과,
    상기 고정판(31)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관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고정판(31)을 관통하는 분사공(32a)이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에는 상기 고정판(31)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안내공(32b)이 형성된 분기돌기(32)를 포함하고,
    상기 소방호스(2)는
    상기 호스연결관(40)에 일단이 결합되는 고정부(2a)와,
    상기 고정부(2a)와 주름부(2b)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2a)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확장부(2c)와,
    상기 고정부(2a)와 확장부(2c)의 밀착 부위를 지지하도록 확장부(2c)의 외측 테두리에 결합되는 고정링(2d)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2a)의 외측 테두리에는 일단이 고정부(2a)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링(2d)에 개재되게 관통 결합되어 확장부(2c)와 고정링(2d)의 결합을 선택적으로 분리시키는 분리와이어(3)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호스 결합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a)의 내경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유로홈(2a-1)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호스 결합구조체.
KR1020180076452A 2018-07-02 2018-07-02 소방용 호스 결합구조체 KR101986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452A KR101986203B1 (ko) 2018-07-02 2018-07-02 소방용 호스 결합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452A KR101986203B1 (ko) 2018-07-02 2018-07-02 소방용 호스 결합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203B1 true KR101986203B1 (ko) 2019-06-05

Family

ID=66844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452A KR101986203B1 (ko) 2018-07-02 2018-07-02 소방용 호스 결합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20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658U (ja) * 1984-06-15 1986-01-11 利昭 内藤 消火器の伸縮自在パイプ
KR20100010887U (ko) 2009-04-28 2010-11-05 김병동 호스 연결구조
KR101737005B1 (ko) * 2015-09-24 2017-05-29 중경기술주식회사 연기확산 방지 소방용 분사 노즐
KR101771035B1 (ko) * 2015-05-22 2017-08-25 신라파이어 주식회사 소방용 관창
KR101796007B1 (ko) 2015-09-25 2017-11-1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의자 일체형 책상
KR101869853B1 (ko) * 2018-03-16 2018-06-21 (주)지여이앤씨 소방용 관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658U (ja) * 1984-06-15 1986-01-11 利昭 内藤 消火器の伸縮自在パイプ
KR20100010887U (ko) 2009-04-28 2010-11-05 김병동 호스 연결구조
KR101771035B1 (ko) * 2015-05-22 2017-08-25 신라파이어 주식회사 소방용 관창
KR101737005B1 (ko) * 2015-09-24 2017-05-29 중경기술주식회사 연기확산 방지 소방용 분사 노즐
KR101796007B1 (ko) 2015-09-25 2017-11-1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의자 일체형 책상
KR101869853B1 (ko) * 2018-03-16 2018-06-21 (주)지여이앤씨 소방용 관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9853B1 (ko) 소방용 관창
DK181348B1 (en) A tube coupling component, and a tube coupling system and an irrigation system comprising the tube coupling component
TWI517822B (zh) 淋浴裝置
ITTO20000031A1 (it) Anello di ritenzione per la giunzione in modo amovibile di due elementi.
US20190226615A1 (en) Joint Assembly
KR101986203B1 (ko) 소방용 호스 결합구조체
KR101869319B1 (ko) 파이프 커버 기능을 갖는 배관 커플러
KR20170047015A (ko) 신축 이음관
US20130106098A1 (en) Connector apparatus for bidet wand
CA3013108C (en) Tap connector with flow stabilization
KR102300900B1 (ko) 소방용 소방호스 결합구조
TWI766578B (zh) 具有水流穩定性的水龍頭接頭
US7614664B1 (en) Fast-connecting joint for corrugated pipes
EP3425249A3 (en) Press-connect fitting with membrane seal
KR200484563Y1 (ko)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
ATE300698T1 (de) Lösbare kupplung zur verbindung zweier schlauchenden einer aus wenigstens zwei schläuchen zusammengesetzten, flüssigkeitsführenden schlauchleitung
US9664323B2 (en) Coupler
CN212319111U (zh) 三通接头组件
CN214579476U (zh) 转接装置
KR20180113052A (ko) 관 연결용 조인트
CN212877028U (zh) 迷宫式滴灌带三通连接管
AU2017100941A4 (en) Hose connector assembly
CN113653874A (zh) 三通接头组件
GB1172660A (en) Improvements in Branch Pipes.
US20060054853A1 (en) Inline connector for a plumbing cond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