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092B1 - Method for Isolation of high purity papillary dermal fibroblasts from fibroblasts - Google Patents

Method for Isolation of high purity papillary dermal fibroblasts from fibroblas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092B1
KR101986092B1 KR1020170114607A KR20170114607A KR101986092B1 KR 101986092 B1 KR101986092 B1 KR 101986092B1 KR 1020170114607 A KR1020170114607 A KR 1020170114607A KR 20170114607 A KR20170114607 A KR 20170114607A KR 101986092 B1 KR101986092 B1 KR 101986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roblasts
transwell
cells
papillar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6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29894A (en
Inventor
이영섭
이원석
이기남
서기문
이지은
이준구
최혜령
Original Assignee
대한뉴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뉴팜(주) filed Critical 대한뉴팜(주)
Publication of KR20180029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8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0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56Adult fibrobl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3Fibrobl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9/00Methods for the dissociation of cells, e.g. specific use of enzy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Immu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Rheumat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두진피 섬유아세포의 분리방법 및 고순도 유두진피 섬유아세포 집단의 수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두진피 섬유아세포의 분리방법 및 고순도 유두진피 섬유아세포의 집단 수득방법은 섬유아세포 중 피부재생 효과가 우수한 유두진피 섬유아세포 부분을 순도 높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분리된 유두진피 섬유아세포 및 이의 집단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기존의 섬유아세포 치료제에 비하여 피부재생 효과가 우수하여 의약품으로 이용가능 할 뿐만 아니라, 의약외품, 화장품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eparating papillary dermis fibroblasts and a method for obtaining a high purity papillary dermis fibroblast population. The method for separating papillary dermis fibroblas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for collecting high purity papillary dermis fibroblasts can highly isolate the papillary dermis fibroblast part having excellent skin regeneration effect from the fibroblasts. In addition,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papillary dermis fibroblast and the population thereof separated by the above method is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fibroblast treatment agent and has excellent skin regeneration effect, so that it can be used not only as a medicine but also as a quasi-drug or a cosmetic .

Description

유두진피 섬유아세포의 고순도 분리 방법 {Method for Isolation of high purity papillary dermal fibroblasts from fibroblasts}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purity papillary dermal fibroblast from fibroblasts,

본 발명은 유두진피 섬유아세포의 분리방법 및 고순도 유두진피 섬유아세포 집단의 수득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eparating papillary dermis fibroblasts and a method for obtaining a high purity papillary dermis fibroblast population.

의약품시장은 화학합성 의약품에서 바이오 의약품으로 발전해가고 있다. 바이오 의약품은 사람이나 다른 생물체에서 유래된 단백질, 유전자 및 세포 등을 원료 또는 재료로 하여 만들어진 의약품으로 항체의약품, 세포치료제, 바이오 시밀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The pharmaceutical market is developing from chemical synthetic drugs to biopharmaceuticals. Biopharmaceuticals are drugs made from raw materials or materials such as proteins, genes and cells derived from human or other organisms. They can be divided into antibody drugs, cell therapy drugs, and biosimilars.

세포치료제는 단백질의약품과는 다르게 질병의 근본적인 원인을 치료한다는 원리에서 출발하는 새로운 기술이다. 최근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흉터 치료제, 피부 각질세포를 이용한 피부화상 치료제, 줄기세포를 이용한 관절염 치료제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제품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 판매중인 자가 섬유아세포 치료제는 환자의 귀 뒤 진피 조직에서 섬유아세포를 1차적으로 분리한 후 증식 및 배양하여 환자 피부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여드름에 의한 피부 함몰, 주름, 난치성 피부염 등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섬유아세포 치료제의 피부 함몰 등에 대한 피부재생 능력은 기존의 치료법 및 미용 필러와 비교하여 활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보고되고 있다. 이 기능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자가 섬유아세포 외에 히알루론산 등의 첨가물 또는 고분자 혹은 저분자 복합물 지지체를 추가하여 활용하고 있지만 기능적으로 월등한 향상을 가져오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Unlike protein drugs, cell therapy is a new technology starting from the principle of treating the root cause of a disease. Recently, studies on scar treatment using fibroblasts, skin burn treatment using dermal keratinocyte, and arthritis treating agent using stem cells have been conducted, and product development using such agents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The existing autologous fibroblast treatment agent is being used as a method for firstly separating fibroblasts from the dermal tissue of the patient's ear and then proliferating and culturing it to apply to the patient's skin. It is used for skin depression, wrinkles and intractable dermatitis . ≪ / RTI > However,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skin regenerating ability of the fibroblast treatment agent for skin depression is inferior in activity to the conventional therapeutic method and beauty filler. In order to overcome this difference in function, an additive such as hyaluronic acid or a polymer or a low molecular weight compound scaffold is added in addition to the autologous fibroblast, but the functional improvement is not achieved.

한편, 최근 연구에 의하면 섬유아세포는 위치에 따라 유두진피 섬유아세포 및 망상진피 섬유아세포로 나뉘며 기능 및 활성에서 차이가 발생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판매되고 연구개발 중인 자가 섬유아세포 치료제는 여러 세포가 혼재되어 있는 형태의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것이 대부분이며, 이의 효능 또는 효과는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recent studies, fibroblasts are classified into papillary dermis fibroblasts and reticular dermis fibroblasts according to their locations, and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function and activity. Nevertheless, most of the autologous fibroblast treatments currently on sale and research are using fibroblasts in which various cells are mixed, and its efficacy or efficacy is insufficient.

본 발명자는 섬유아세포 치료제의 효능 또는 효과 부족에는 원재료가 되는 섬유아세포의 혼재성(heterogeneity)에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는, 섬유아세포로부터 피부 재생 효과가 우수한 유두진피 섬유아세포를 순도 높게 분리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트랜스웰 배양방법을 이용하면 쉽고 빠르게 유두진피 섬유아세포를 고순도로 분리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The present inventors have judged that the lack of efficacy or effectiveness of the fibroblast treatment agent is due to the heterogeneity of fibroblasts as raw material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intensive efforts to separate papillary dermis fibroblasts having excellent skin regeneration effect from fibroblasts with high purity, and as a resul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papillary dermis fibroblasts can be easily and rapidly separated using the transwell culture method Thus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랜스웰에서 혼재된 섬유아세포를 배양하고, 상부 챔버 상단에 존재하는 세포를 수득하여 유두진피 섬유아세포를 분리하는 분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paration method for culturing fibroblasts mixed in a transwell and obtaining cells present at the upper part of the upper chamber to separate the papillary dermis fibroblast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랜스웰에서 혼재된 섬유아세포를 배양하고, 상부 챔버 상단에 존재하는 세포를 수득하여 고순도의 유두진피 섬유아세포 집단을 수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culturing mixed fibroblasts in transwells and obtaining cells present at the top of the upper chamber to obtain a population of highly purified papillary dermal fibroblast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수득된 유두진피 섬유아세포 집단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약학적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a quasi-drug composition, and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group of mammary gland fibroblasts obtained by the above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피부 조직으로부터 섬유아세포를 수득하는 단계; (2) 수득된 세포를 트랜스웰에 접종하는 단계; (3) 접종된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4) 트랜스웰 상부 챔버 상단에 존재하는 세포를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두진피 섬유아세포의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fibroblasts, comprising: (1) obtaining fibroblasts from skin tissue; (2) inoculating the transwell with the obtained cells; (3) culturing the inoculated cells; And (4) obtaining cells present on top of the transwell upper chamber;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separating papillary dermal fibroblasts.

또한, 본 발명은 (1) 피부 조직으로부터 섬유아세포를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섬유아세포를 트랜스웰에 접종하는 단계; (3) 접종된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4) 트랜스웰 상부 챔버 상단에 존재하는 세포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순도 유두진피 섬유아세포 집단의 수득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fibroblasts, comprising: (1) obtaining fibroblasts from skin tissue; (2) inoculating the fibroblasts into transwells; (3) culturing the inoculated cells; And (4) separating cells present on top of the transwell upper chamber; Papillary dermal fibroblast < / RTI > popula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수득된 유두진피 섬유아세포 집단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comprising the group of mammary gland fibroblasts obtained by the above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수득된 유두진피 섬유아세포 집단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quasi-drug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comprising the group of mammary gland fibroblasts obtained by the above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수득된 유두진피 섬유아세포 집단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comprising the group of mammary gland fibroblasts obtained by the above method.

본 발명에 따른 유두진피 섬유아세포의 분리방법 및 고순도 유두진피 섬유아세포의 집단 수득방법은 섬유아세포 중 피부재생 효과가 우수한 유두진피 섬유아세포 부분을 순도 높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분리된 유두진피 섬유아세포 및 이의 집단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기존의 섬유아세포 치료제에 비하여 피부재생 효과가 우수하여 의약품으로 이용가능 할 뿐만 아니라, 의약외품, 화장품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The method for separating papillary dermis fibroblas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for collecting high purity papillary dermis fibroblasts can highly isolate the papillary dermis fibroblast part having excellent skin regeneration effect from the fibroblasts. In addition,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papillary dermis fibroblast and the population thereof separated by the above method is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fibroblast treatment agent and has excellent skin regeneration effect, so that it can be used not only as a medicine but also as a quasi-drug or a cosmetic .

도 1은 섬유아세포의 접종 세포 수 및 트랜스웰 상부 챔버 상단 (top) 및 하단 (bottom) 위치에 따른 유두진피 섬유아세포 마커 NTN1, 망상진피 섬유아세포 마커 MGP 의 발현량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두진피 섬유아세포의 분리방법의 모식도이다.
도 3은 트랜스웰 상부 챔버 상단 (top) 및 하단 (bottom) 위치에 따른 세포의 증식능력을 배양 0 내지 9일 동안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트랜스웰 분리 횟수에 따른 유두진피 섬유아세포 마커 NTN1, 망상진피 섬유아세포 마커 MGP 의 발현량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1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expression amounts of papillary dermal fibroblast marker NTN1 and reticulated dermal fibroblast marker MGP according to the number of cells inoculated with fibroblasts and the top and bottom positions of the upper chamber of the transwell .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ethod for separating papillary dermal fibroblas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cell proliferation capacity according to the top and bottom positions of the transwell upper chamber during 0 to 9 days of culturing. FIG.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expression levels of nasopharyngeal fibroblast marker NTN1 and reticuloendothelial fibroblast marker MGP according to the number of transwell isolation times.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트랜스웰 배양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두진피 섬유아세포의 분리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eparating papillary dermis fibroblasts, which comprises a transwell culturing step.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유두진피 섬유아세포의 분리방법은 (1) 피부 조직으로부터 섬유아세포를 수득하는 단계; (2) 수득된 세포를 트랜스웰에 접종하는 단계; (3) 접종된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4) 트랜스웰 상부 챔버 상단에 존재하는 세포를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두진피 섬유아세포의 분리방법을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method for separating the papillary dermal fibroblas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1) obtaining fibroblasts from skin tissue; (2) inoculating the transwell with the obtained cells; (3) culturing the inoculated cells; And (4) obtaining cells present on top of the transwell upper chamber; And a method for separating papillary dermal fibroblasts.

본 발명의 분리방법에 따르면 유두진피 섬유아세포만을 선택적으로 고순도로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수득된 유두진피 섬유아세포만을 대량으로 배양할 수 있게 하고, 고순도의 유두진피 섬유아세포만을 이용하여 피부 재생 효과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pa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papillary dermis fibroblast can be selectively isolated with high purity, and only the obtained papillary dermis fibroblast can be cultured in a large amount, and only the papillary dermis fibroblast is highly purified, Can be further increased.

본 발명의 (1) 단계는 피부 조직으로부터 섬유아세포를 수득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섬유아세포를 수득하는 단계는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피부 조직을 세척한 후 피부의 진피층을 분리하고 배양 플레이트에 진피층을 고정시키고 세포를 해리시켜 섬유아세포 집단을 수득할 수 있다. 이때 피부 조직은 신체의 다양한 부위로부터 제한 없이 얻을 수 있으며, 피부조직 수득을 위한 개체는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obtaining fibroblasts from skin tissue. The step of obtaining such a fibroblast can be carried out by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after washing the skin tissue, the dermal layer of the skin is separated, the dermal layer is fixed on the culture plate, and the cells are dissociated to obtain a fibroblast population. At this time, the skin tissue can be obtained without restriction from various parts of the body, and the individual for obtaining the skin tissue is preferably a mammal including human.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섬유아세포(fibroblast)'란 섬유성 결합조직의 중요한 성분을 이루는 세포로서, 섬유세포라고도 한다. 조직절편으로 관찰하면 편평하고 길쭉한 외형을 가지며 흔히 불규칙한 돌기를 보이며, 세포질은 미토콘드리아, 골지체, 중심체, 소지방체 등을 포함하고 그 밖에 특수한 분화는 나타내지 않는다. 핵은 염색성이 약하고 타원형이며 인을 함유한다. 교원섬유에 밀접해 있는 경우가 많고, 그 형성에 관계가 있다고 생각되므로 상기와 같은 명칭이 붙었다. As used herein, the term " fibroblast " is a cell that forms an important component of fibrous connective tissue, and is also referred to as a fibroblast. Observed with tissue section, it has a flat and elongated appearance, often irregular protrusion, cytoplasm contains mitochondria, Golgi body, central body, small lipid body, and other special differentiation is not shown. The nucleus is weakly dyed, oval, and contains phosphorus. In many cases,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collagen fibers,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with the formation, so that the above-mentioned name is attached.

본 발명의 (1) 단계에서 수득되는 섬유아세포는 유두진피 섬유아세포(Papillary dermal fibroblast) 및 망상진피 섬유아세포(Reticular dermal fibroblast) 를 모두 포함하는 혼재된 상태일 수 있다. The fibroblasts obtained in step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a mixed state including both papillary dermal fibroblast and reticular dermal fibroblast.

섬유아세포는 크게 진피 조직의 상부와 하부의 위치에 따라 유두진피 섬유아세포(Papillary dermal fibroblast) 및 망상진피 섬유아세포(Reticular dermal fibroblast) 로 나뉘어 진다. 여기에서 유두 진피는 표피 바로 밑의 얇은 부위이고, 유두 진피에서 피하 지방층 표면까지의 두터운 부위가 망상 진피로 분류될 수 있다. 유두진피와 망상 진피는 크기와 형태가 서로 상이하고 각각 다른 기능적인 특성을 가지며, 예컨대 유두 진피의 교원질은 가는 섬유로 엮어진 망으로 존재하는 반면, 망상 진피의 교원질은 두터운 다발을 형성하며 피부 표면에 평행하게 나열될 수 있다. The fibroblast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dermis tissue: Papillary dermal fibroblast and Reticular dermal fibroblast. Here, the papillary dermis is a thin area beneath the epidermis, and the thick part from the papillary dermis to the subcutaneous fat layer surface can be classified as reticular dermis. The papillary dermis and the reticular dermis are different in size and shape, and have different functional characteristics. For example, the collagen of the papillary dermis is present as a net composed of a thin fiber, while the collagen of the reticular dermis forms a thick bundle,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2) 단계는 수득된 세포를 트랜스웰에 접종하는 단계이다.Step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inoculating the transwell with the obtained cells.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트랜스웰' 또는 '트랜스웰 플레이트'는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트랜스웰 플레이트에 대한 정보 및 사용법은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의 기술 수준의 범위 내에 있다. 트랜스웰 플레이트는 하단부가 미세다공성 막으로 이루어진 상부 챔버(Top Chamber)와 배지를 함유하는 하부 챔버(Bottom Chamber)로 구성되며, 상부 챔버는 하부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고, 두 챔버는 배양배지를 공유한다. 트랜스웰 배양 시, 추가적으로 다른 성분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추가적인 기질(substrate)을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각질세포 분비 인자(keratinocyte secretion factor) 또는 상피세포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transwell" or "transwell plate" is widely used in the art, and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can be used. Information on the transwell plate and how to use it can be obtain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t is within the skill level. The transwell plate is composed of a top chamber having a bottom portion made of a microporous membrane and a bottom chamber containing a medium, the top chamber being located inside the bottom chamber, and the two chambers sharing a culture medium . During transwell incubation, additional components may be included and may include additional substrate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keratinocyte secretion factor or epidermal growth factor growth factor, EGF), and the like.

여기서 미세다공성 막은 세포분비물질과 같은 세포성 물질, 배양배지, 줄기세포가 투과할 수 있는 지지체로써, 미세다공성 막의 구멍의 크기는 당업자가 적절히 채택할 수 있다. 상기 미세다공성 막의 공극 크기는 상부 챔버에 위치되는 혼재된 피부 섬유아세포가 하부 챔버로 모두 투과되지 않을 정도의 공극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미세다공성 막의 공극 크기는 1 ㎛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 ㎛,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5㎛일 수 있다. Here, the microporous membrane is a support through which a cellular material such as a cell secretory material, a culture medium, and a stem cell can permeate, and the size of the hole of the microporous membrane can be appropriately adop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ore size of the microporous membrane is preferably such that the mixed dermal fibroblasts located in the upper chamber do not permeate all the way into the lower chamber. For example, the pore size of the microporous membrane is 1 to 10 mu m, May be 5.0 to 10 mu m, more preferably 7.0 to 8.5 mu m.

트랜스웰 상부 챔버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미세다공성 막은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로 이루어진 막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콜라겐-코팅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이 미세다공성 막으로 이용될 수 있다. As the microporous membrane constitu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well upper chamber, a membrane made of a material commonly used in the art can be used. For example, polycarbonate, polyester, collagen-coated polytetrafluoroethylene, Can be used as a porous membrane.

본 발명의 분리방법 (1) 단계를 통해 수득된 섬유아세포를 트랜스웰에 접종하는 경우, 접종 세포 수는 배양에 적절하도록 조절될 수 있고, 세포는 1x104 내지 1×106cell, 바람직하게는 1x104 내지 2×105cell, 더욱 바람직하게는 0.2×105 내지 2×105cell 로 접종될 수 이다. When the fibroblasts obtained in the separation method (1)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oculated into the transwell, the number of inoculated cells can be adjusted so as to be suitable for culturing, and the cells can be adjusted to a concentration of 1 x 10 4 to 1 x 10 6 cells, Preferably 1 x 10 4 to 2 x 10 5 cells, more preferably 0.2 x 10 5 to 2 x 10 5 cells.

본 발명의 (3) 단계는 접종된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이며, (4) 단계는 트랜스웰 상부 챔버 상단에 존재하는 세포를 수득하는 단계이다. The step (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culturing the inoculated cells, and the step (4) is a step of obtaining cells existing on the upper side of the transwell upper chamber.

섬유아세포의 배양은 통상의 섬유아세포 배양 조건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후 37℃ 5% CO2 조건의 세포 배양기에서 1 내지 5일,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일, 더욱 바람직하게는 3일 동안 배양될 수 있다. The culture of the fibroblasts can be carried out according to conventional fibroblast culture conditions and is cultured for 1 to 5 days, preferably 2 to 5 days, more preferably for 3 days in a cell incubator under the condition of 37 ° C and 5% CO 2 Lt; / RTI >

이러한 배양 단계 중 혼재되어 있는 피부 섬유아세포는 상부 챔버의 미세다공성 막을 통해 이동하게 되며, 그 결과 상부 챔버의 상단에는 유두진피 섬유아세포가 모이게 되고, 상부 챔버의 하단에는 망상진피 섬유아세포가 모이게 된다. The skin fibroblasts mixed in the culture step are moved through the microporous membrane of the upper chamber, resulting in the accumulation of papillary dermis fibroblasts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chamber and the reticular dermis fibroblasts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chamber.

이렇게 이동된 세포 집단은 각각의 위치에서 발현되는 유듀진피 섬유아세포의 마커 또는 망상진피 섬유아세포의 마커 발현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This migrated cell population can be identified by marker expression of Eudypidia fibroblasts or markers of reticulated dermal fibroblasts expressed at each location.

상기 마커는 리포터 유전자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유두진피 섬유아세포의 마커로서, NTN1(Netrin-1), 망상진피 섬유아세포의 마커로서 MGP(Matrix gla protein)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marker may be a reporter gen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TN1 (Netrin-1) is used as a marker of papillary dermal fibroblasts, and MGP (Matrix gla protein) is used as a marker of reticuloendothelial fibroblasts. But is not limited to.

본 발명의 세포 수득 단계는 트랜스웰 상부 챔버 상단에 존재하는 세포를 수집하는 것을 의미한다. The cell obtaining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collecting cells present on the top of the transwell upper chamber.

본 발명에 있어 트랜스웰 “상부 챔버 상단”이란, 상부 챔버의 세포 배양 공간에 면해있는 상부 챔버의 바닥부의 표면부를 의미한다. 반면 트랜스웰 “상부 챔버 하단”이란,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가 이루는 공간 쪽에 면해있는 상부 챔버 바닥부의 표면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well " upper chamber top " means the surface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upper chamber facing the cell culture space of the upper chamber. Transwell " upper chamber bottom " as used herein means the surface of the upper chamber bottom facing the space defined by the upper chamber and the lower chamber.

본 발명에서 수득 대상으로 하는 유두진피 섬유아세포는 트랜스웰 배양을 통해 트랜스웰 상부 챔버의 상단에 모이게 되며, 목적하는 세포의 수득을 위해 트랜스웰 상부 챔버 상단에 위치하는 세포만을 선별하여 수득할 수 있고, 수득된 세포만을 배양하여 유두진피 섬유아세포만을 대량으로 수득할 수 있다. The papillary dermis fibroblasts obta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collected at the upper end of the transwell upper chamber through transwell culture and can be obtained by selecting only the cell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transwell upper chamber for obtaining the desired cells , And only the obtained cells can be cultured to obtain a large amount of papillary dermal fibroblasts.

또한 더욱 높은 순도로 유두진피 섬유아세포만을 선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2) 내지 (4) 단계를 1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회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를 반복 수행하는 경우, (4) 단계 트랜스웰 상부 챔버 상단에 존재하는 세포를 수득한 후, 다시 이를 (2) 단계에 적용하여 트랜스웰에 접종하고, 접종된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p (2) to (4)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peated 1 to 10 times, preferably 1 to 5 times, in order to select only the papillary dermis fibroblasts at a higher purity. In the case of repeatedly performing this step, the cells present at the top of the transwell upper chamber of step (4) are obtained, and then this is applied to step (2) to inoculate the transwell and the inoculated cells are cultured repeatedly can do.

상기와 같은 방법에 따르면 혼재된 피부 섬유아세포로부터 목적하는 유두진피 섬유아세포만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only the desired papillary dermal fibroblas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mixed dermal fibroblas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분리방법을 통해 달성할 수 있는 고순도 유두진피 섬유아세포 집단의 수득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1) 피부 조직으로부터 섬유아세포를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섬유아세포를 트랜스웰에 접종하는 단계; (3) 접종된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4) 트랜스웰 상부 챔버 상단에 존재하는 세포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순도 유두진피 섬유아세포 집단의 수득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obtaining a population of high purity papillary dermal fibroblasts that can be achieved through the above separation metho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fibroblasts, comprising: (1) obtaining fibroblasts from skin tissue; (2) inoculating the fibroblasts into transwells; (3) culturing the inoculated cells; And (4) separating cells present on top of the transwell upper chamber; Papillary dermal fibroblast < / RTI > population.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혼재되어 있는 피부유래 섬유아세포 집단에서 망상진피 섬유아세포는 제거된 고순도의 유두진피 섬유아세포 집단을 효과적으로 수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수득된 세포 집단에서는 유두진피 섬유아세포의 비율이 트랜스웰 배양 전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증가되고 망상진피 섬유아세포의 비율은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ticulated dermal fibroblasts can effectively be obtained from a group of mixed dermal fibroblasts in which a highly pure papillary dermal fibroblast group is removed. Thus, in the cell population obta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portion of papillary dermal fibroblasts is markedly in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reticulated dermal fibroblasts is markedly reduced compared to that before transwell culture.

본 발명에 있어 고순도란, 세포 집단 내에 다른 세포, 예컨대 망상진피 세포의 존재가 감소하고 높은 비율로 유두진피 섬유아세포만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며, 감소 및 증가의 기준은 트랜스웰 배양 전 피부 조직으로부터 수득된 섬유아세포 집단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high purity means that the presence of other cells such as reticulate dermal cells in the cell population is reduced and only the papillary dermal fibroblasts are present at a high rate. The criteria for reduction and increase are obtained from the skin tissue before transwell culture Lt; / RTI > fibroblast popula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수득된 유두진피 섬유아세포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두진피 섬유아세포는 피부재생을 촉진하는 유효성분이며, 이의 배양액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comprising the hair follicular dermal fibroblast obtained by the above method. The papillary dermis fibrobla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ffective ingredient for promoting skin regeneration, and includes a culture solution thereof and the like.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피부재생'이란 피부의 탄력성 증대, 주름 개선, 노화 진행 저해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면 유두진피 섬유아세포에 의해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개시하고 기존 세포의 사멸을 감소시켜서 피부의 탄력성을 증가시키고 주름의 생성을 지연 및 방지하여 노화를 지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 skin regeneration " refers to an increase in the elasticity of the skin, an improvement in wrinkles, an inhibition of progress of aging, etc. Whe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skin, proliferation of fibroblasts is initiated by papillary dermal fibroblasts And reduces the death of existing cells, thereby increasing the elasticity of the skin and delaying and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wrinkles, thereby delaying aging.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nventional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Examples of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can be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예컨대 모발 또는 두피에 직접 도포 또는 산포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투여할 수 있는 제형, 예를 들어, 크림, 로션, 연고, 에어로졸, 겔, 또는 팩의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각각의 제형에 적합한 배합성분이나 제제를 위한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당업자들은 이들 제제를 제조할 때, 통상의 외용제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각종 배합 성분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ions that can be administered by a method such as direct application or dispensing to the skin, e.g., the hair or scalp, such as a formulation of a cream, lotion, ointment, aerosol, gel, have. Methods for formulation ingredients and formulations suitable for each formulation are well known in the ar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ropriately select and use various formulation ingredients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se external preparations when manufacturing these preparations.

그러한 성분으로는 연고제ㆍ크림제ㆍ겔제ㆍ로션제의 경우에 있어서는, 백색 바셀린, 황색 바셀린, 라놀린, 표백 밀랍,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르산, 경화유, 겔화 탄화수소,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등의 기제; 올레산,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트리이소옥탄산글리세린, 크로타미톤, 세바크산디에틸,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 라우르산헥실,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족 알코올, 식물유 등의 용제 및 용해 보조제; 토코페롤 유도체, L-아스코르브산,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등의 산화 방지제; 파라하이드록시벤조산에스테르 등의 방부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히알루론산나트륨 등의 보습제; 폴리옥시에틸렌유도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레시틴 등의 계면 활성제;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잔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염류,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증점제 등이 있다.Such components include, for example, ointments such as white petrolatum, yellow petrolatum, lanolin, bleached beeswax, cetanol, stearyl alcohol, stearic acid, hardened oil, gelled hydrocarbon, polyethylene glycol, liquid paraffin, Bases such as squalane; Solvents and dissolution aids such as oleic acid, myristic acid isopropyl, triisooctanoic acid glycerin, crotamiton, diethyl sebacate, diisopropyl adipate, hexyl laurate, fatty acid, fatty acid ester, aliphatic alcohol and vegetable oil; Antioxidants such as tocopherol derivatives, L-ascorbic acid, dibutylhydroxytoluene, and butylhydroxyanisole; Preservatives such as parahydroxybenzoic acid ester; Humectants such as glycerin, propylene glycol and sodium hyaluronate; Surfactants such as polyoxyethylene derivatives, glycerin fatty acid esters, sucrose fatty acid esters, sorbitan fatty acid esters, propylene glycol fatty acid esters, and lecithin; Carboxyvinyl polymer, xanthan gum, carboxymethylcellulose,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salt, hydroxypropylcellulose,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and the like.

에어로졸제의 경우에 있어서는, 연고제, 크림제, 겔제, 현탁제, 유제, 액제 및 로션제 등의 조제에 사용되는 백색 바셀린, 황색 바셀린, 라놀린, 표백 밀랍,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르산, 경화유, 겔화 탄화수소,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등의 기제; 올레산,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 세바크산이소프로필, 트리이소옥탄산글리세린, 크로타미톤, 세바크산디에틸, 라우르산헥실,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족 알코올, 식물유 등의 용제 및 용해 보조제; 토코페롤 유도체, L-아스코르브산,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등의 산화 방지제; 파라하이드록시벤조산에스테르 등의 방부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히알루론산나트륨 등의 보습제;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레시틴 등의 계면 활성제;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잔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염류,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증점제; 추가로 각종 안정제, 완충제, 교미제, 현탁화제, 유화제,방향제, 보존제, 용해 보조제, 그 밖의 적당한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aerosol preparation, the white petrolatum, the yellow petrolatum, the lanolin, the bleached wax, the cetanol, the stearyl alcohol, the stearic acid, the stearic acid, Base oils such as hydrogenated oils, gelled hydrocarbons, polyethylene glycols, liquid paraffin, squalane and the like; Oleic acid, myristic acid isopropyl, diisopropyl adipate, isobutyl sebacate, glycerin triisooctanoate, crotamiton, diethyl sebacate, hexyl laurate, fatty acid esters, aliphatic alcohols and vegetable oils Solvents and dissolution aids; Antioxidants such as tocopherol derivatives, L-ascorbic acid, dibutylhydroxytoluene, and butylhydroxyanisole; Preservatives such as parahydroxybenzoic acid ester; Humectants such as glycerin, propylene glycol and sodium hyaluronate; Surfactants such as polyoxyethylene derivatives, glycerin fatty acid esters, sucrose fatty acid esters, sorbitan fatty acid esters, propylene glycol fatty acid esters, and lecithin; Thickening agents such as carboxyvinyl polymer, xanthan gum, carboxymethyl cellulose, carboxymethyl cellulose sodium salts, hydroxypropyl cellulose,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and the like; In addition, various stabilizers, buffers, mating agents, suspending agents, emulsifiers, fragrances, preservatives, solubilizers, and other suitable additives may be added.

또한, 필요에 따라 안정제, 보존제, 흡수 촉진제, pH 조정제, 그 밖의 적당한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a stabilizer, a preservative, an absorption promoter, a pH adjuster, and other suitable additives may be added as necessary.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질병의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며, 적합한 총 1일 사용량은 올바른 의학적 판단범위 내에서 처치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1.0X103 내지 1.0X1010 Cell/ml 의 양, 바람직하게는 1.0X105내지 1.0X107 Cell/ml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며, 이는 환자의 상태 및 처치의의 판단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The term "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as used herein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at a reasonable benefit / 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and an effective dose level will vary depending on the species and severity, age, sex, The type of drug, the activity of the drug, the sensitivity to the drug, the time of administration, th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he rate of release, the duration of the treatment, factors including co-administered drugs,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arts.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an individual therapeutic agent or in combination with another therapeutic agent, and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a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 And can be administered singly or multiply. It is important to take into account all of the above factors and to administer the amount in which the maximum effect can be obtained in a minimal amount without adverse effect, and can be easily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ferred dosage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depend on the condition and the weight of the patient, the degree of disease, the type of drug, th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he period of time, and the appropriate total daily dose may be determined by treatment, in general, to 1.0X10 3 1.0X10 10 Cell / positive ml, preferably from 1.0X10 5 1.0X10 7 to be administered by dividing the amount of Cell / ml can to 1 per day circuit, and which the patient's condition and treatment As shown in FIG.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방법은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경피투여 방식으로 피부 부위에 도포하는 형태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세포 주사제의 형태로 직접 주입하는 것도 가능하며, 투여방법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method of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preferably, it can be administered in the form of being applied to the skin region by the transdermal administration method. Preferably,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method of administration.

또한 상기 조성물로부터 선택되는 투여 수준은 유효성분의 활성, 투여 경로, 치료되는 피부의 병태 및 이전 병력에 따를 것이다. 그러나 원하는 치료 효과의 달성을 위해 요구되는 것보다 낮은 수준의 유효성분의 용량에서 시작하여, 원하는 효과가 달성될 때까지 투여량을 서서히 증가시키는 것은 당업계의 지식 내에 있으며, 바람직한 투여량은 나이, 성별, 체형, 체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Also, the dosage level selected from the composition will depend on the activity of the active ingredient, the route of administration, the condition of the skin to be treated and the prior history. It is, however, within the knowledge of the art to gradually increase the dose until the desired effect is achieved, starting with a dose of the active ingredient at a level lower than that required to achieve the desired therapeutic effect, Sex, body shape, and body weigh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분리된 유두진피 섬유아세포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quasi-drug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comprising papillary dermis fibroblasts isolated by the above method.

본 발명에서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치료, 경감, 처치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섬유, 고무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인체에 대한 작용이 약하거나 인체에 직접 작용하지 않으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감염 예방을 위하여 살균, 살충 및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제 중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으로서,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및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을 제외한 물품을 의미하며, 피부 외용제 및 개인위생용품도 포함한다.The term " quasi-drug product "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fiber, a rubber product or the like used for treating, alleviating, treating or preventing a disease of a human or an animal, a weak action on the human body, Or products similar to those which are not machinery, preparations used for sterilization, insecticides and similar uses for the prevention of infections, for the purpose of diagnosis, treatment, alleviation, treatment or prevention of diseases of human beings or animals Machinery, or apparatus, and that is not an apparatus, machine, or apparatus of an article used for the purpose of giving pharmacological effects to the structure or function of a person or animal, It also includes supplies.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재생을 목적으로 의약외품에 포함시킬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포함하여 사용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ained in quasi-drugs for the purpose of regenerating skin, the composition may be used as it is or may be used together with other quasi-drugs, and may be suitab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The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to be mixed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상기 피부외용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연고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치제, 크림제, 산제, 현탁제 또는 젤제의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may be prepared and used in the form of, for example, an ointment, a lotion, a spray, a patch, a cream, a powder, a suspension or an ointmen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분리된 유두진피 섬유아세포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두진피 섬유아세포는 피부재생을 촉진하는 유효성분이며, 이의 배양액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comprising papillary dermis fibroblasts isolated by the above method. The papillary dermis fibrobla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ffective ingredient for promoting skin regeneration, and includes a culture solution thereof and the like.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제형으로서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화장용 조성물의 제형(예를 들면 화장수, 로션, 크림, 젤 등)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목적한 제형에 따라 이용할 수 있는 담체의 종류와 농도는 다양하지만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into a general cosmetic composition (for example, lotion, lotion, cream, gel, etc.) using a technique known in the art as a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The type and concentration of the carrier that can be used depend on the desired formulation, but can be readily determine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상기 '화장용으로 허용된 담체(cosmetically acceptable carrier)'는 정제수, 오일, 왁스, 지방산, 지방산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흡습제(humectant), 증점제(thickening agent), 항산화제, 점도 안정화제(viscosity stabilizer), 킬레이팅제, 완충제, 방부제, 저급 알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미백제, 보습제, 항염증제, 항박테리아제, 항진균제, 비타민, 자외선 차단제, 항생제, 여드름 방지제, 향수, 염료가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들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조성물 총 중량 당 0.01 내지 20 중량%가 적합하다.The 'cosmetically acceptable carri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urified water, oils, waxes, fatty acids, fatty alcohols, fatty acid esters, surfactants, humectants, thickening agents, antioxidants, viscosity stabilizers, chelating agents, buffers, preservatives, lower alcohols, and the like.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whitening agent, a moisturizing agent, an anti-inflammatory agent, an antibacterial agent, an antifungal agent, a vitamin, an ultraviolet screening agent, an antibiotic, an anti- . 0.01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s suitable.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로서 수소화 식물성유, 파마자유, 면실유, 올리브유, 야자인유, 호호바유, 아보카도유가 이용될 수 있으며 왁스로는 밀랍, 경랍, 카르나우바, 칸델릴라, 몬탄, 세레신, 액체 파라핀, 라놀린이 이용될 수 있다. 지방산으로는 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올레산이 이용될 수 있고 지방산 알콜로는 세틸 알콜, 옥틸 도데칸올, 올레일 알콜, 판텐올, 라놀린 알콜, 스테아릴 알콜, 헥사데칸올이 이용될 수 있으며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가 이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Specific examples of the wax include waxes such as beeswax, wax, carnauba, candelilla, montan, ceresin, liquid paraffin, lanolin, Can be used. Examples of the fatty acid include stear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and oleic acid. Fatty acid alcohols include cetyl alcohol, octyldodecanol, oleyl alcohol, panthenol, lanolin alcohol, stearyl alcohol and hexadecanol, As the ester, isopropyl myristate, isopropyl palmitate, and butyl stearate may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계면 활성제의 예에는 소듐 스테아레이트, 소듐 세틸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포스페이트, 소듐 N-아실 글루타메이트와 같은 음이온 계면활성제; 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와 같은 양이온 계면활성제; 알킬아미노에틸글리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레시틴과 같은 양성 계면활성제;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코코넛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르니드(monoethanolarnide),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캐스터유, 폴리옥시에틸렌 라놀린과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이 포함된다.Examples of the surfactant include anionic surfactants such as sodium stearate, sodium cetyl sulfate, poly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sodium N-acyl glutamate; Cationic surfactants such as stearyldimethylbenzylammonium chloride and stearyltrimethylammonium chloride; Amphoteric surfactants such as alkylaminoethylglycine hydrochloride and lecithin; Glycerin monostearate, sorbitan monostearate, sucrose fatty acid ester, propylene glycol monostearate, polyoxyethylene oleyl ether, polyethylene glycol monostearate,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polyoxyethylene coconut fatty acid monoethanol Nonionic surfactants such as monoethanolarnide, polyoxypropylene glycol, polyoxyethylene castor oil, polyoxyethylene lanolin, and the like.

흡습제에는 글리세린, 1,3-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이 이용될 수 있으며 저급 알콜로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이 이용 가능하다. 증점제의 예에는 알긴산 나트륨, 카제인산 나트륨, 젤라틴 한천, 크산탄 고무, 전분, 셀룰로오스 에테르(예,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As the moisture absorbent, glycerin, 1,3-butylene glycol and propylene glycol may be used, and as the lower alcohol, ethanol and isopropanol may be used. Examples of thickeners include sodium alginate, sodium caseinate, gelatin agar, xanthan gum, starch, cellulose ethers (e.g., hydroxyethylcellulose, methylcellulose, carboxymethylcellulose,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Polyvinyl alcohol, polyethylene glycol,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항산화제로는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아니솔, 프로필 갈레이트, 시트르산, 에톡시퀸(ethoxyquin)이 이용 가능하고, 킬레이팅제로는 디소듐 에데테이트, 에탄하이드록시 디포스페이트가 이용 가능하며, 완충제로는 시트르산, 소듐 시트레이트, 붕산, 보랙스(borax), 디소듐 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가 이용 가능하고 방부제로는 메틸 파라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에틸 파라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디하이드로아세트산, 살리실산, 벤조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As the antioxidant, butylated hydroxytoluene, butylated hydroxyanisole, propyl gallate, citric acid, and ethoxyquin are usable. As the chelating agent, disodium edetate, ethanhydroxy diphosphate And buffering agents such as citric acid, sodium citrate, boric acid, borax, and disodium hydrogen phosphate are available, and preservatives include methyl parahydroxybenzoate, ethyl parahydroxybenzoate, dihydroacetic acid , Salicylic acid, benzoic acid,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의 피부재생용 조성물은 그 제형을 달리하여 애완동물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완동물용 샴푸 및 애완동물용 린스 등과 같이 용액, 솔젤, 에멀젼, 오일, 왁스, 에어졸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애완동물의 피부에 자극이 적고 보습력이 탁월한 중성의 세제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pet animals in different dosage forms. For example, a neutral detergent which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solution shampoo for pet and a rinse for pet such as solution, sol gel, emulsion, oil, wax, and aerosol, and is less irritating to pet skin and excellent in moisture And the like.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때,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에 있어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를 지닌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details given herein, and that,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ave a general meaning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실시예Example 1. One. 섬유아세포의 수득Obtaining fibroblasts

인간의 포피 또는 눈꺼풀 조직을 DPBS(Dulbecco's Phosphate-Buffered Saline)로 세척한 후, 가위와 면도칼을 이용하여 피부 조직 안쪽의 지방을 제거하여 피부의 진피층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조직을 잘게 자르고 진피층을 100mm 배양 플레이트 바닥에 부착시키기 위해 5~15분 동안 고정하였다. 고정된 조직에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과 1% 페니실린 항생제가 포함된 DMEM(Dulbecco Modified Eagle Medium)을 조직이 충분히 잠길 만큼 (약 10ml) 공급(feeding) 하였다. 그 후, 2~4주의 기간 동안 조직에서 세포가 해리되어 플레이트에 부착 및 증식하는 것을 확인한 후, 충분한 양의 세포가 해리되면 조직을 플레이트에서 제거하고, 0.25% 트립신 EDTA(ethylenediaminetetra acetic acid)를 사용하여 혼재된 섬유아세포를 수득하였다.After washing the human foreskin or lid tissue with DPBS (Dulbecco's Phosphate-Buffered Saline), the dermis of the skin was separated by removing the fat inside the skin tissue with scissors and a razor blade. The isolated tissue was chopped and fixed for 5 to 15 minutes to attach the dermis to the bottom of the 100 mm culture plate. Fixed tissues were fed with DMEM (Dulbecco Modified Eagle Medium)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and 1% penicillin antibiotics in sufficient tissue lock (approximately 10 ml). Thereafter, after confirming that the cells disassociated from the tissue and adhered to and proliferated on the plate for a period of 2 to 4 weeks, when a sufficient amount of cells dissociated, the tissue was removed from the plate, and 0.25% trypsin EDTA (ethylenediaminetetra acetic acid) To obtain mixed fibroblasts.

실시예Example 2. 2. 트랜스웰을Transwell 이용한  Used 유두진피Papilla dermis 섬유아세포의 분리 Isolation of fibroblasts

2.1 2.1 트랜스웰을Transwell 이용한 세포의 분리 Isolation of cells used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혼재된 섬유아세포 집단으로부터 유두진피 섬유아세포와 망상진피 섬유아세포를 분리하기 위하여, 트랜스웰에 혼재된 섬유아세포 집단을 위치시키고 분리 효과를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혼재된 섬유아세포 집단을 6웰 플레이트를 갖는 트랜스웰 (falcon, 353093, 8.0 μm pore size (1 x 105 pores/cm2)) 에 각각 접종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배지로는 WELGENE 사의 DMEM high glucose에 10% 소태아 혈청 1%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이 보충된 배지를 사용하였다. 대조군으로 일반적 6well 배양 범위인 1×105 cell 을 접종하였고, 시험군으로 0.2, 0.4, 1, 2×105cell을 트랜스웰 상부 챔버에 접종하였다. 접종 후 37℃ 5% CO2 조건의 세포 배양기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이후, 0.25% 트립신 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를 사용하여 대조군 및 트랜스웰 시험군의 상부 챔버의 상단 (Top layer) 및 하단 (bottom layer)을 각각 수득하였다. In order to separate the papillary dermis fibroblast and the reticulated dermis fibroblast from the mixed fibroblast group obtained in Example 1, a group of fibroblasts mixed in the transwell was placed and the effect of the separation was observed. Specifically, the mixed fibroblast populations were inoculated into transwells (falcon, 353093, 8.0 μm pore size (1 × 10 5 pores / cm 2 )) having 6 well plates and cultured. As the culture medium, medium supplemented with 10% fetal bovine serum 1% penicillin streptomycin in WELGENE's DMEM high glucose was used. As a control group, 1 × 10 5 cells were inoculated in a general 6-well culture range, and 0.2, 0.4, 1, 2 × 10 5 cells were inoculated into the upper chamber of the transwell as test groups. After inoculation, the cells were cultured in a cell incubator at 37 ° C and 5% CO 2 for 3 days. The top and bottom layers of the upper chamber of the control and transwell test groups were then obtained using 0.25% trypsin 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2.2 2.2 트랜스웰을Transwell 이용한 세포 분리 효과 확인  Confirmation of cell separation effect

수득된 각 부위의 세포들이 유두진피 섬유아세포와 망상진피 섬유아세포로 효과적으로 분리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각각의 부위로부터 수득한 세포에서 마커 발현을 분석하였다. 먼저 High pure RNA isolation kit (Roche, 11828665001)를 사용하여 각 부위에서 수득한 세포로부터 RNA를 분리하였다. 그 후 Transcriptor first strand cDNA synthesis kit(Roche, 4897030001)를 사용하여 분리한 RNA로부터 cDNA 합성하였다. 분리 및 합성된 cDNA에 대하여 RT-PCR을 수행하였으며, 유두진피 섬유아세포의 마커인 NTN1(Netrin-1) 와 망상진피 섬유아세포의 마커인 MGP(Matrix gla protein)의 발현을 EI24 유전자로 정량화한 뒤 상대 정량하여 분석하였다. RT-PCR 에 사용된 프라이머 서열은 다음과 같으며, 마커 발현을 비교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obtained cells of each site were effectively separated from the papillary dermis fibroblasts and reticulated dermis fibroblasts, marker expression was analyzed in cells obtained from each site. RNA was first isolated from cells obtained at each site using the High pure RNA isolation kit (Roche, 11828665001). CDNA was then synthesized from the RNAs isolated using the Transcriptor first strand cDNA synthesis kit (Roche, 4897030001). RT-PCR was performed on the isolated and synthesized cDNA, and the expression of NTN1 (Netrin-1), a marker of papillary dermis fibroblast, and MGP (Matrix gla protein), a marker of reticulated dermal fibroblast were quantified as EI24 gene And analyzed by relative quantification. The primer sequences used for RT-PCR are as follows, and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marker expression are shown in Fig.

Figure 112017087105104-pat00001
Figure 112017087105104-pat00001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석 결과 트랜스웰 상부 챔버 상단에서 분리된 세포에서는 유두진피 섬유아세포)의 마커인 NTN1의 증가 및 망상진피 섬유아세포의 마커인 MGP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이와 반대로 트랜스웰의 상부 챔버 하단에서 분리된 세포에서는 NTN1의 감소와 MGP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트랜스웰 배양에 의하여 혼재된 섬유아세포를 유두진피 섬유아세포와 망상진피 섬유아세포로 분리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웰을 이용한 피부 섬유아세포 분리법의 모식도를 도 2에 나타내었다. As shown in FIG. 1, an increase in NTN1, a marker of papillary dermis fibroblasts, and a decrease in MGP, a marker of reticular dermis fibroblasts, were observed in cells isolat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transwell upper chamber. In contrast, cells isolated from the lower chamber of the transwell showed decreased NTN1 and increased MG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ixed fibroblasts can be separated into papillary dermal fibroblasts and reticulated dermal fibroblasts by transwell culturing.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ethod for separating dermal fibroblasts using the transw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Example 3. 분리된  3. Isolated 유두진피Papilla dermis 섬유아세포의 증식력 평가 Estimation of proliferation of fibroblasts

실시예 2의 방법으로 분리된 세포의 증식력 차이를 평가하였다. 상부 챔버 상단과 하단의 세포를 각각 수득한 뒤 트랜스웰로 배양하지 않은 혼재된 상태의 피부 섬유아세포 (none), 상단 세포(top), 하단 세포(bottom) 를 각각 계대 배양하였다. 배양 배지로는 WELGENE 사의 DMEM high glucose에 10% 소태아 혈청, 1%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이 보충된 배지를 이용하였다. 60mm dish 에 5x103 cells를 접종하였으며, 37℃, CO2 5% 의 항온 및 항습 세포 배양기에서 배양을 수행하였다. 배양배지는 2~3일 간격으로 교체하고, 세포 접종일로부터 3, 6, 9일간격으로 Trypsin EDTA 0.25% 를 사용하여 부유시켰다. 수득된 세포를 계수하여 세포 수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세포의 증식능력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The proliferative potential difference of the cells isolated by the method of Example 2 was evaluated. Cells at the upper and lower chambers of the upper chamber were obtained, respectively, and mixed fibroblast (none), upper cell (top), and lower cell (bottom), which were not cultured in the transwells, were subcultured. As the culture medium, medium supplemented with 10% fetal bovine serum and 1% penicillin streptomycin in DMEM high glucose of WELGENE was used. 5 × 10 3 cells were inoculated in a 60 mm dish and cultured at 37 ° C. in a CO 2 incubator at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of 5%. The culture medium was replaced at intervals of 2 to 3 days, and suspended with trypsin EDTA 0.25% at 3, 6, and 9 days from the day of cell inoculation. The obtained cells were counted to measure the number of cells, and the proliferation ability of the cells was evalu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챔버 상단에서 분리된 세포의 증식률은 트랜스웰을 이용하지 않은 대조군의 세포보다 뛰어났으며, 하단에서 분리된 세포들보다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하단에서 분리된 세포들의 증식률은 대조군 세포보다도 감소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트랜스웰을 이용한 배양법을 통해 분리되는 상부 챔버 상단의 분리된 유두진피 섬유아세포가 혼재된 상태 및 하단의 망상진피 섬유아세포와 비교하여 증식력이 우수한 세포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즉, 트랜스웰 배양법을 이용하면 혼재된 피부 섬유아세포로부터 증식력이 우수한 유두진피 섬유아세포만을 효과적으로 분리, 선별할 수 있으며, 분리된 유두진피 섬유아세포를 이용하면 혼재된 상태의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피부 재생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proliferation rate of the cells isolated from the upper chamber top was superior to the cells in the control without transwell, and superior to the cells isolated from the bottom. On the other hand, the proliferation rate of the cells isolated from the lower end was found to be smaller than that of the control cell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cells are superior to the dermal dermal fibroblasts in the mixed state of the separated papillary dermal fibroblasts at the top of the upper chamber separated by the culture method using the transwell and the dermal dermal fibroblasts at the lower stage. That is, by using the transwell culture metho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eparate and select only the papillary dermis fibroblasts having excellent proliferation power from the mixed dermis fibroblasts, and when using the separated papillary dermis fibroblasts, compared to using the mixed dermis fibroblasts Thereby further promoting skin regeneration.

실시예Example 4.  4. 트랜스웰을Transwell 이용한 세포분리 반복 시험 Repeated cell separation

트랜스웰 배양에 의하여, 유두진피 섬유아세포와 망상진피 섬유아세포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므로, 트랜스웰 분리 횟수에 따라 분리 수율이 변화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최적의 분리 조건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트랜스웰을 이용한 분리 회수를 0, 1, 2회로 변경하며 피부 섬유아세포를 배양하였고, 분리 횟수에 해당하는 세포 집단에서 마커 NTN1 및 MGP 의 발현량을 확인하고 비교하였다. 발현 량의 확인을 위한 RT-PCR은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Si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papillary dermis fibroblast and the reticulated dermis fibroblast can be effectively separated by the transwell culture, optimal separation conditions were confirmed by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separation yield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transwell isolation. For this purpose, the number of separation using transwell was changed to 0, 1, 2, and skin fibroblasts were cultured. The expression levels of markers NTN1 and MGP in the cell populatio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eparation were confirmed and compared. RT-PCR for confirmation of the expression level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method of Example 2,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랜스웰 분리 횟수를 증가시킬수록 분리 수율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트랜스웰 배양을 통해 혼재된 상태의 피부 섬유아세포를 유두진피 섬유아세포와 망상진피 섬유아세포로 분리할 수 있음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As shown in Fig. 4, the separation yield increased as the number of times of transwell isolation was increased. These results support the possibility that the dermal fibroblasts can be separated into papillary dermal fibroblasts and reticulated dermal fibroblasts by transwell culture.

Claims (10)

(1) 피부 조직으로부터 섬유아세포를 수득하는 단계;
(2) 수득된 세포를 5.0 내지 10.0 μm의 공극사이즈를 갖는 트랜스웰에 접종하는 단계;
(3) 접종된 세포를 소태아혈청을 함유한 DMEM 고글루코오스 (high glucose)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4) 트랜스웰 상부 챔버 상단에 존재하는 세포를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두진피 섬유아세포의 분리방법.
(1) obtaining fibroblasts from skin tissue;
(2) inoculating the obtained cells into a transwell having a pore size of 5.0 to 10.0 占 퐉;
(3) culturing the inoculated cells in DMEM high glucose medium containing fetal bovine serum; And
(4) obtaining cells present on top of the transwell upper chamber; Wherein the papillary dermal fibroblasts are separated from the papillary dermal fibroblas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의 섬유아세포는 유두진피 섬유아세포 및 망상진피 섬유아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유두진피 섬유아세포의 분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broblasts in step (1) comprise papillary dermis fibroblasts and reticulated dermis fibroblast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의 세포는 1x104 내지 2×106cell 로 접종되는 것인, 유두진피 섬유아세포의 분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lls of step (2) are inoculated at 1 × 10 4 to 2 × 10 6 cel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의 배양은 1 내지 5일간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두진피 섬유아세포의 분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for separating papillary dermal fibroblasts according to (3), wherein the culturing is performed for 1 to 5 day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 내지 (4) 단계를 1회 내지 5회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두진피 섬유아세포의 분리방법.
The method for separating papillary dermal fibroblast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s (2) to (4) are repeated one to five times.
(1) 피부 조직으로부터 섬유아세포를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섬유아세포를 5.0 내지 10.0 μm의 공극사이즈를 갖는 트랜스웰에 접종하는 단계;
(3) 접종된 세포를 소태아혈청을 함유한 DMEM 고글루코오스 (high glucose)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4) 트랜스웰 상부 챔버 상단에 존재하는 세포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순도 유두진피 섬유아세포 집단의 수득 방법.
(1) obtaining fibroblasts from skin tissue;
(2) inoculating the fibroblasts into a transwell having a pore size of 5.0 to 10.0 占 퐉;
(3) culturing the inoculated cells in DMEM high glucose medium containing fetal bovine serum; And
(4) separating cells present at the top of the transwell upper chamber; Lt; RTI ID = 0.0 > papillary < / RTI > dermal fibroblast population.
(1) 피부 조직으로부터 섬유아세포를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섬유아세포를 5.0 내지 10.0 μm의 공극사이즈를 갖는 트랜스웰에 접종하는 단계;
(3) 접종된 세포를 소태아혈청을 함유한 DMEM 고글루코오스 (high glucose)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4) 트랜스웰 상부 챔버 상단에 존재하는 유두진피 섬유아세포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 탄력성 증대 또는 주름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1) obtaining fibroblasts from skin tissue;
(2) inoculating the fibroblasts into a transwell having a pore size of 5.0 to 10.0 占 퐉;
(3) culturing the inoculated cells in DMEM high glucose medium containing fetal bovine serum; And
(4) separating teat dermis fibroblasts existing on top of the transwell upper chamber; Wherein the skin elasticity is increased or wrinkle is improved.
(1) 피부 조직으로부터 섬유아세포를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섬유아세포를 5.0 내지 10.0 μm의 공극사이즈를 갖는 트랜스웰에 접종하는 단계;
(3) 접종된 세포를 소태아혈청을 함유한 DMEM 고글루코오스 (high glucose)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4) 트랜스웰 상부 챔버 상단에 존재하는 유두진피 섬유아세포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의약외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1) obtaining fibroblasts from skin tissue;
(2) inoculating the fibroblasts into a transwell having a pore size of 5.0 to 10.0 占 퐉;
(3) culturing the inoculated cells in DMEM high glucose medium containing fetal bovine serum; And
(4) separating teat dermis fibroblasts existing on top of the transwell upper chamber; Wherein the composition is a mixture of at least two kinds of quasi-drugs.
(1) 피부 조직으로부터 섬유아세포를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섬유아세포를 5.0 내지 10.0 μm의 공극사이즈를 갖는 트랜스웰에 접종하는 단계;
(3) 접종된 세포를 소태아혈청을 함유한 DMEM 고글루코오스 (high glucose)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4) 트랜스웰 상부 챔버 상단에 존재하는 유두진피 섬유아세포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 obtaining fibroblasts from skin tissue;
(2) inoculating the fibroblasts into a transwell having a pore size of 5.0 to 10.0 占 퐉;
(3) culturing the inoculated cells in DMEM high glucose medium containing fetal bovine serum; And
(4) separating teat dermis fibroblasts existing on top of the transwell upper chamber;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KR1020170114607A 2016-09-13 2017-09-07 Method for Isolation of high purity papillary dermal fibroblasts from fibroblasts KR10198609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228 2016-09-13
KR20160118228 2016-09-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894A KR20180029894A (en) 2018-03-21
KR101986092B1 true KR101986092B1 (en) 2019-06-05

Family

ID=61900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607A KR101986092B1 (en) 2016-09-13 2017-09-07 Method for Isolation of high purity papillary dermal fibroblasts from fibroblas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09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8922A (en) 1996-04-26 2000-07-18 ケース ウエスターン リザーブ ユニバーシティ Skin regeneration using mesenchymal stem cells
US20070178076A1 (en) 2005-12-21 2007-08-02 Drake Donald Iii Porous membrane device that promotes the differentiation of monocytes into dendritic cells
WO2010021245A1 (en) 2008-08-22 2010-02-25 学校法人慶應義塾 Method for culture of hair dermal papilla cell
US20150104432A1 (en) 2013-10-11 2015-04-16 MWV Cell, LLC Complete human skin organ generated from culture-expanded cel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8922A (en) 1996-04-26 2000-07-18 ケース ウエスターン リザーブ ユニバーシティ Skin regeneration using mesenchymal stem cells
US20070178076A1 (en) 2005-12-21 2007-08-02 Drake Donald Iii Porous membrane device that promotes the differentiation of monocytes into dendritic cells
WO2010021245A1 (en) 2008-08-22 2010-02-25 学校法人慶應義塾 Method for culture of hair dermal papilla cell
US20150104432A1 (en) 2013-10-11 2015-04-16 MWV Cell, LLC Complete human skin organ generated from culture-expanded cell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uropean J. Cell Biology,제94권,483-512면(2015)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894A (en)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8677A (en) Stem cell-derived exosomes containing a high amount of growth factors
US9545370B2 (en) Bioactiv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
US20190111108A1 (en) Composition Including GDF11 and Use Thereof
CN111432799A (en) Use of a composition comprising a stem cell-derived exosome as an active ingredient for enhancing the skin barrier and improving its function
JP2024040280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containing clonal stem cells
JP7092886B2 (en) Embryonic lobe pluripotent stem cells, neural stem cells, embryonic fibroblasts, which are cells isolated from avian eggs. Medium composition for cell proliferation, skin regeneration, and wrinkle improvement using a conditioned medium as an active ingredient.
KR101986092B1 (en) Method for Isolation of high purity papillary dermal fibroblasts from fibroblasts
KR20090111269A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KR100925341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KR101943203B1 (en) Process for differentiation into dermal papilla cells from adipose-derived stem cells and uses thereof
KR101893339B1 (en) Composition comprising GDF11 and uses thereof
RU2679741C2 (en) Means for maintaining non-differentiable state and stimulation of stem cell proliferation
KR101885591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wound healing containing Humanin or analogue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KR20150011454A (en) An anti-ag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human bone marrow stem cell conditioned media in bmsome as active ingredient
JP2015020997A (en) Stem cell-derived growth factor production promoter
WO2021039833A1 (en) Method for producing cultured tissue, and prepara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KR20180028293A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fibrosis comprising 3,4-dihydroxybenzoic acid methyl ester
JP2023045939A (en) Enhancers for dermal stem cell proliferation and for skin regeneration
KR20120058829A (en) Cosmetic composition for promoting the stemness of adipose-derived stem cell and proliferating skin cell containing sequoia callus cell extracts
JP2023054511A (en) Skin stem cell proliferation promoter and skin regeneration promoter
JP2024061100A (en) Skin stem cell proliferation promoter
KR101819368B1 (en) Therapeutic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and wound healing using recombinant Transgelin protein
KR20170014679A (en) Composition comprising Substance P for recovery of distrupted skin or improvement of skin barrier
JP2024038890A (en) Exosome function enhancer
KR20180109285A (en) Composition for Wound Healing Comprising CRIF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