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266B1 - 패킷 처리 기능 선택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패킷 처리 기능 선택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266B1
KR101985266B1 KR1020170135219A KR20170135219A KR101985266B1 KR 101985266 B1 KR101985266 B1 KR 101985266B1 KR 1020170135219 A KR1020170135219 A KR 1020170135219A KR 20170135219 A KR20170135219 A KR 20170135219A KR 101985266 B1 KR101985266 B1 KR 101985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processing
communication interface
st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3315A (ko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5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266B1/ko
Priority to US16/652,881 priority patent/US11310677B2/en
Priority to PCT/KR2018/011946 priority patent/WO2019078539A1/ko
Priority to CN201880066881.3A priority patent/CN111213399B/zh
Publication of KR20190043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2Collecting or measuring resource availabi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0Traffic poli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measured or perceived resources with higher communication quality

Abstract

본 실시예는 패킷 처리장치와 제어 평면장치 사이에 형성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데이터 전송 효율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 최적의 패킷 처리장치를 선정함으로써 상시 높은 품질의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패킷 처리 기능 선택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패킷 처리 기능 선택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Packet Handler Function}
본 실시예는 패킷 처리 기능 선택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전송 효율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 최적의 패킷 처리장치를 선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5G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는 3GPP(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2020년 5G 상용화를 목표로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 시스템 및 모바일 액세스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SA2 WG(System Architecture 2 Working Group)에서는 NextGen이라는 이름으로 5G 코어 네트워크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도 1은 5G 코어 네트워크의 기본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5G 코어 네트워크에서는 UPF(User Plane Function)을 포함하는 데이터 평면(Data Plane)과 제어 평면(Control Plane)이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5G 코어 네트워크는 NFV/SDN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Software Defined Networking)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환경을 마련하고 있으며, UPF의 물리적인 위치의 종속성을 없앰으로써 네트워크 설계 및 운영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UPF에 대하여 사용자 및 서비스 특성에 따른 다양한 성능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5G 코어 네트워크 상에도 서로 차별화된 패킷 처리 기능을 지원하는 복수 개의 UPF가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5G 코어 네트워크에서 정의된 UPF(User Plane Function)는 초고속, 초저지연적으로 패킷을 처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의 경우 지역 정보, 정책 정보 및 UPF의 부하 정보를 고려하여 적절한 UPF를 선정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UPF 선정 방법에 의하는 경우 사실 상 UPF와 제어 평면 간의 시그널링 절차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성능 지연 및 이로 인한 데이터 전송 효율 감소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되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UPF와 제어 평면 사이에는 서로 간의 연동을 위한 고유의 통신 인터페이스가 형성된다. 즉, 이러한, 통신 인터페이스의 상태는 UPF와 제어 평면 간의 시그널링 절차에 대한 성능 더 나아가 5G 코어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전송 효율을 결정짓는 중요 요인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UPF와 제어 평면 사이에 형성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UPF 선정을 위한 지표로서 추가 활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품질의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실시예는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가 패킷 처리장치와 제어 평면장치 사이에 형성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데이터 전송 효율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 최적의 패킷 처리장치를 선정함으로써 상시 높은 품질의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 적어도 하나의 패킷 처리장치별로 제어 평면장치(Control Plane)와의 사이에 형성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패킷 처리장치 각각에 대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신호 품질을 책정하고, 책정결과에 따라 상기 패킷 처리장치 중 최적의 패킷 처리장치를 선정하는 선정부; 및 상기 최적의 패킷 처리장치에 대한 선정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의 패킷 처리 기능 선택방법에 있어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 적어도 하나의 패킷 처리장치별로 제어 평면장치와의 사이에 형성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패킷 처리장치 각각에 대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신호 품질을 책정하고, 책정결과에 따라 상기 패킷 처리장치 중 최적의 패킷 처리장치를 선정하는 과정; 및 상기 최적의 패킷 처리장치에 대한 선정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처리 기능 선택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가 패킷 처리장치와 제어 평면장치 사이에 형성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데이터 전송 효율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 최적의 패킷 처리장치를 선정함으로써 상시 높은 품질의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5G 코어 네트워크의 기본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처리 기능 선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의 패킷 처리 기능 선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처리 기능 선택방법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복수 개의 패킷 처리장치(100), 측정장치(110),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 및 제어 평면장치(13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2의 경우는 네트워크 시스템 내 포함되는 다양한 구성요소 중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처리 기능 선택방법의 수행과 관련한 주요 구성요소만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러한, 네트워크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된 5G 코어 네트워크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을 가짐을 인식하여야 한다.
패킷 처리장치(100)는 패킷 처리와 관련한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패킷 처리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5G 코어 네트워크의 구성요소 중 UPF(User Plane Function)일 수 있다.
패킷 처리장치(100)는 Intra/Inter-RAT 이동성을 위한 앵커 포인트(Anchor point),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상호연결의 외부 PDU 세션 포인트, 패킷 라우팅 및 포워딩, 패킷 검사 및 정책 규칙 적용의 사용자 평면 부분, 트래픽 사용량 보고, 데이터 네트워크로 트래픽 흐름 라우팅을 지원하는 상향링크 분류, 상향링크 트래픽 검증, 하향링크 패킷 버퍼링 및 하향링크 데이터 알림 트리거링(Notification Triggering) 등의 기능을 지원한다.
패킷 처리장치(100)는 가상화된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에 위의 기능들에 대한 소프트웨어가 탑재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물리적 노드가 아닌 가상 노드로 구현될 수 있다.
패킷 처리장치(100)는 네트워크 상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이 서로 차별화된 패킷 처리 기능을 지원 가능토록 구현될 수 있다.
패킷 처리장치(100)는 제어 평면장치(130) 예컨대,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의 제어에 따라 그 설정 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적합한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동작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패킷 처리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지역 정보, 정책 정보 및 부하 정보 등에 기반하여 그 선정 여부가 결정될 수도 있지만, 이와, 차별화된 새로운 방식에 따라 그 선정 여부가 결정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처리장치(100)는 해당 패킷 처리장치(100)와 제어 평면장치(130) 사이에 형성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에 따라 그 선정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측정장치(110)는 패킷 처리장치(100)와 제어 평면장치(130) 사이에 형성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측정장치(110)는 바람직하게는 패킷 처리장치(100)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패킷 처리장치(100)별로 고유의 측정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측정장치(110)는 패킷 처리장치(100)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의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를 측정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측정장치(110)는 외부 관리 영역(Management Plane)과의 연동을 통해 상기의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를 측정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측정장치(110)가 상기의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특정 방법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측정장치(110)는 패킷 처리장치(100)별로 제어 평면장치(130)와의 사이에 형성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유형, 전송 속도(ex: 10Mb/s, 1Gb/s 등), 지연 속도(ex: one-way/two-way), 식별정보, 대역폭, 현재 처리 중인 트래픽의 개수 및 부하(Load) 상태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인터페이스의 유형은 물리적 종류(ex: 유선 → 광케이블, 동케이블 등, 무선 → WiFi), 물리적 모듈(ex: 광 트랜시버, RJ45 트랜시버), 물리적 포트 위치(ex: 포트 1, 포트 2), 물리적 조합정보(ex: 10GbE 랜선 4개의 조합, 2-2 이중화 구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통신 인터페이스의 부하 상태는 트래픽 데이터의 사이즈(ex: 64, 512, 1500 바이트) 및 트래픽 데이터 에러 개수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측정장치(110)는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의 구성요소로서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측정장치(110)는 네트워크 상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제어 평면장치(130)와 다른 제어 평면장치(130) 사이에 형성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토록 구현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적합한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패킷 처리 기능을 선택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즉,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는 복수 개의 패킷 처리장치(100) 중 어느 하나의 패킷 처리장치(100)를 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제어 평면장치(130)의 구성요소로서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는 패킷 처리장치(100)의 선정을 위한 지표로서, 패킷 처리장치(100)와 제어 평면장치(130) 사이에 형성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활용한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는 측정장치(110)와 연동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는 측정장치(110)로부터 수신한 패킷 처리장치(100)별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 평면장치(130)와의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최적의 패킷 처리장치를 선정한다.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는 기 정의된 서비스 정책 및 사용자 요구사항에 기반하여 패킷 처리장치(100)에 대한 필터링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는 측정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제어 평면장치(130)별 다른 제어 평면장치(130) 사이에 형성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패킷 처리 기능에 대한 선택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가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패킷 처리장치를 선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도 3에서 후술토록 한다.
제어 평면장치(130)는 네트워크 및 사용자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어 평면장치(130)는 도 1에 도시된 5G 코어 네트워크 내 제어 평면 영역 상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제어 평면장치(130)는 이동성 관리 기능을 담당하는 AMF(Access and Mobility Function), 세션 관리 기능을 담당하는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및 외부 관리 영역과 네트워크망과 관련한 정보를 서로 공유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NRF(Network Repository Function)/NEF(Network Exposure Function) 중 어느 하나의 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 평면장치(130)가 세션 관리 기능을 담당하는 SMF로 구현된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 경우, 제어 평면장치(130)와 패킷 처리장치(100)를 연결하는 참고점은 N4 I/F로 정의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는 해당 통신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기반으로 패킷 처리장치(100)를 선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평면장치(130)는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로부터 최적의 패킷 처리장치(100)에 대한 선정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당 패킷 처리장치(100)를 활용한 네트워크 서비스가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 평면장치(130)는 상기의 선정정보에 대응되는 패킷 처리장치(100)로 세션 연결과 관련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는 수집부(300), 선정부(310) 및 출력부(320)를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는 도 2에 도시된 측정장치(110)를 구성요소로서 추가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수집부(300)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 적어도 하나의 패킷 처리장치(100)별로 제어 평면장치(130)와의 사이에 형성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
수집부(300)는 패킷 처리장치(100)별로 구비된 고유의 측정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각각의 측정장치(110)로부터 대응되는 패킷 처리장치(100)에 대하여 측정된 상기의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집부(300)는 패킷 처리장치(100)별로 제어 평면장치(130)와의 사이에 형성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유형, 전송 속도, 지연 속도, 식별정보, 대역폭, 현재 처리 중인 트래픽의 개수 및 부하 상태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부(300)는 외부 관리 영역으로부터 상기의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 측정이 요청된 경우 측정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의 통신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수집부(300)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 기지국으로의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이 인지된 경우에 측정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의 통신 인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집부(300)가 측정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의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조건에 대해서 특정 조건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선정부(310)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적합한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패킷 처리 기능을 선택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정부(310)는 측정장치(110)로부터 수신한 패킷 처리장치(100)별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패킷 처리장치(100) 각각에 대하여 통신 인터페이스의 신호 품질을 책정한다.
선정부(310)는 패킷 처리장치(100)별 통신 인터페이스의 신호 품질 책정결과에 따라 복수 개의 패킷 처리장치(100) 중 어느 하나의 패킷 처리장치를 최적의 패킷 처리장치로 선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정부(310)는 상기의 신호 품질 책정결과에 따라 제어 평면장치(130)와의 사이에 데이터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패킷 처리장치를 최적의 패킷 처리장치로 선정할 수 있다. 예컨대, 선정부(310)는 상태 정보에 포함된 각 파라미터 중 일부 또는 전부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만족하는 패킷 처리장치를 최적의 패킷 처리장치로 선정할 수 있다.
한편, 선정부(310)는 기 정의된 서비스 정책 및 사용자 요구사항에 기반하여 패킷 처리장치(100)에 대한 필터링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선정부(310)는 기 설정된 임계치를 만족하는 후보 패킷 처리장치 중 특정 서비스에 최적화되거나, 일정 속도 이상의 전송 속도를 갖는 패킷 처리장치를 최종 선정할 수 있다.
출력부(320)는 선정부(310)에 의해 선정된 최적의 패킷 처리장치에 대한 선정정보를 제어 평면장치(130) 예컨대, 세션 관리 기능을 담당하는 SMF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출력부(320)는 기 설정되어 있는 패킷 처리장치의 상태정보와 선정부(310)를 통해 선정된 최적의 패킷 처리장치의 상태정보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의 선정정보의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처리 기능 선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한편, 도 4에서는 패킷 처리장치(100) 및 제어 평면장치(130) 각각 UPF 및 SMF로 구현된 것으로 예시하였다.
도 4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처리 기능 선택방법은 ① 내지 ⑨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①, ②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는 외부 관리 영역으로부터 NEF/NRF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통신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통신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 측정신호를 측정장치(110)로 전송한다. 단계 ①에서 외부 관리 영역은 주기적으로 상기의 통신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 요청신호를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외부 관리 영역은 패킷 처리장치(100)의 상태에 대한 업데이트가 확인된 경우 상기의 통신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 요청신호를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③, ④ 측정장치(110)는 패킷 처리장치(100)와 제어 평면장치(130) 사이에 형성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로 전송한다.
⑤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는 단계 ④에서 수신한 패킷 처리장치(100)별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패킷 처리장치(100) 각각에 대하여 통신 인터페이스의 신호 품질을 책정한다.
⑥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는 기 정의된 서비스 정책 및 사용자 요구사항을 NEF/NRF를 통해 수신한다.
⑦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는 단계 ⑤의 분석결과 및 단계 ⑥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 개의 패킷 처리장치(100) 중 어느 하나의 패킷 처리장치를 최적의 패킷 처리장치로 선정하고, 이에 대한 선정정보를 제어 평면장치(130)로 출력한다. 단계 ⑦에서 제어 평면장치(130)는 수신한 선정정보를 기반으로 대응되는 패킷 처리장치(100)로 세션 연결과 관련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제어 평면장치(130)는 기 설정되어 있는 패킷 처리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패킷 처리장치로 세션 해제와 관련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⑧ 제어 평면장치(130)는 단계 ⑦에서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와의 세션 연결 또는 세션 해제 절차를 수행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의 패킷 처리 기능 선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 적어도 하나의 패킷 처리장치(100)별로 제어 평면장치(130)와의 사이에 형성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S502).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는 단계 S502에서 수집한 패킷 처리장치(100)별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패킷 처리장치(100) 각각에 대하여 통신 인터페이스의 신호 품질을 책정한다(S504).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는 단계 S504의 책정결과에 따라 패킷 처리장치(100) 각각에 대하여 통신 인터페이스의 상태에 대한 양호 여부를 확인한다(S506, S508).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는 단계 S506에서 확인결과에 따라 선별된 패킷 처리장치에 대한 필터링 절차를 수행한다(S510). 단계 S510에서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는 기 정의된 서비스 정책 및 사용자 요구사항에 기반하여 패킷 처리장치(100)에 대한 필터링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는 단계 S506 내지 S510의 수행 결과에 따라 제어 평면장치(130)와의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최적의 패킷 처리장치를 선정한다(S512).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는 단계 S512에서 선정된 최적의 패킷 처리장치에 대한 선정정보를 출력한다(S514). 단계 S514에서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는 상기의 선정정보를 제어 평면장치(130) 예컨대, 세션 관리 기능을 담당하는 SMF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 S502 내지 S512는 앞서 설명된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12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응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5에 기재된 과정을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에 기재된 패킷 처리 기능 선택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D-ROM, RAM, ROM,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처리 기능 선택방법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한편, 도 6의 (a)는 종래의 패킷 처리장치 선정 방법을 예시하였으며, 도 6의 (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처리장치 선정 방법을 예시하였다.
종래의 패킷 처리장치 선정 방법의 경우, 지역 정보, 정책 정보 및 패킷 처리장치의 부하 정보를 고려하여 적절한 패킷 처리장치를 선정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패킷 처리장치 선정 방법에 의하는 경우 사실 상 패킷 처리장치와 제어 평면 간의 시그널링 절차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성능 지연 및 이로 인한 데이터 전송 효율 감소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처리장치 선정 방법에 의하는 경우 패킷 처리장치(100)와 제어 평면장치(130) 사이에 형성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패킷 처리장치(100)의 선정을 위한 지표로서 활용함에 따라 Signaling Path와 Data Path를 동시에 고려하여 패킷 처리장치(100)를 선정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사용자들에 대한 QoS 분배 및 자원 효율화를 극대화 가능토록하는 동시에, 매우 빠른 패킷 처리장치(100)의 선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손쉽게 높은 품질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패킷 처리장치 110: 측정장치
120: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 130: 제어 평면장치
300: 수집부 310: 선정부
320: 출력부

Claims (11)

  1.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 적어도 하나의 패킷 처리장치별로 제어 평면장치(Control Plane)와의 사이에 형성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패킷 처리장치 각각에 대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신호 품질을 책정하고, 책정결과에 따라 상기 패킷 처리장치 중 상기 제어 평면장치와의 사이에 데이터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최적의 패킷 처리장치를 선정하는 선정부; 및
    상기 최적의 패킷 처리장치에 대한 선정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패킷 처리장치별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의 유형, 전송 속도, 지연 속도(Latency), 식별정보, 대역폭, 현재 처리 중인 트래픽의 개수 및 부하(Load) 상태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상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외부 관리 영역(Management Plane)으로부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 측정이 요청된 경우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 기지국으로의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이 인지된 경우에 상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부는,
    기 정의된 서비스 정책 및 사용자 요구사항에 기반하여 상기 패킷 처리장치에 대한 필터링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기 설정된 패킷 처리장치의 상태 정보와 상기 최적의 패킷 처리장치의 상태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선정정보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처리장치별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
  8. 네트워크 엔티티 장치의 패킷 처리 기능 선택방법에 있어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 적어도 하나의 패킷 처리장치별로 제어 평면장치와의 사이에 형성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패킷 처리장치 각각에 대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신호 품질을 책정하고, 책정결과에 따라 상기 패킷 처리장치 중 상기 제어 평면장치와의 사이에 데이터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최적의 패킷 처리장치를 선정하는 과정; 및
    상기 최적의 패킷 처리장치에 대한 선정정보를 출력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처리 기능 선택방법.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하는 과정은,
    기 정의된 서비스 정책 및 사용자 요구사항에 기반하여 상기 패킷 처리장치에 대한 필터링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처리 기능 선택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처리장치별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처리 기능 선택방법.
KR1020170135219A 2017-10-18 2017-10-18 패킷 처리 기능 선택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1985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219A KR101985266B1 (ko) 2017-10-18 2017-10-18 패킷 처리 기능 선택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US16/652,881 US11310677B2 (en) 2017-10-18 2018-10-11 Method for selecting packet processing function and device therefor
PCT/KR2018/011946 WO2019078539A1 (ko) 2017-10-18 2018-10-11 패킷 처리 기능 선택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N201880066881.3A CN111213399B (zh) 2017-10-18 2018-10-11 用于选择分组处理功能的方法及其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219A KR101985266B1 (ko) 2017-10-18 2017-10-18 패킷 처리 기능 선택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315A KR20190043315A (ko) 2019-04-26
KR101985266B1 true KR101985266B1 (ko) 2019-06-03

Family

ID=66174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219A KR101985266B1 (ko) 2017-10-18 2017-10-18 패킷 처리 기능 선택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10677B2 (ko)
KR (1) KR101985266B1 (ko)
CN (1) CN111213399B (ko)
WO (1) WO20190785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348B1 (ko) * 2019-06-19 2020-11-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에서 수행되는 엣지서비스 검색 방법
US11729690B2 (en) * 2019-11-07 2023-08-15 Intel Corporation Performance measurements for management of NF service, PFD and QoS flow releases
JP7469216B2 (ja) * 2020-11-30 2024-04-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信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88972A1 (en) * 2016-03-31 2017-10-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ervice and session continuity in software defined topology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2747B2 (ja) * 2002-12-12 2007-02-21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及びその動作制御方法
US8000702B2 (en) * 2006-05-16 2011-08-16 Andrew, Llc Optimizing location services performance by combining user plane and control plane architectures
KR20090088754A (ko) * 2008-02-15 2009-08-20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국 운용 방법 및 그 방법이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US20150124622A1 (en) * 2013-11-01 2015-05-07 Movik Networks, Inc. Multi-Interface, Multi-Layer State-full Load Balancer For RAN-Analytics Deployments In Multi-Chassis, Cloud And Virtual Server Environments
US9788211B2 (en) * 2014-03-05 2017-10-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 customized fifth generation (5G) network
KR102401792B1 (ko) * 2016-04-01 2022-05-26 아이디에이씨 홀딩스, 인크. 서비스 슬라이스 선택 및 분리를 위한 방법
US20190104045A1 (en) * 2017-09-29 2019-04-04 Netscout Systems, Inc Selective user plane monitoring using a single network monitoring prob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88972A1 (en) * 2016-03-31 2017-10-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ervice and session continuity in software defined topology management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 23.501 V1.4.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52810A1 (en) 2020-08-06
CN111213399B (zh) 2023-09-19
US11310677B2 (en) 2022-04-19
KR20190043315A (ko) 2019-04-26
WO2019078539A1 (ko) 2019-04-25
CN111213399A (zh)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2764B2 (ja) 通信端末及び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6926208B2 (ja) 情報送信方法および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
EP401693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sa-upf re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U2750984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е услуг минимизации тестирования в движении
KR101985266B1 (ko) 패킷 처리 기능 선택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EP2266340A1 (en) Optimizing the usage of radio resources by cross-layer reading of information from higher level control plane protocol layer
JP5439486B2 (ja) 無線基地局及び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
JP2022501929A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
CN111434186B (zh) 基于前传网络的无线网络控制方法和装置
KR20140117517A (ko) 연결 및/또는 세션 설정 결정들에 관한 방법들 및 장치
US20150230165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distribution server
CN107371179B (zh) 测量结果上报方法、测量结果接收方法、相关设备和系统
KR10244780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자동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203221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ffic steer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22521088A (ja) ポリシー管理方法及び装置
EP4052431A1 (en) Nodes and methods for enabling user plane traffic classification in a communications system
JP6423954B2 (ja) 通信制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Latkoski et al. SDL+ QualNet: A novel simulation environment for wireless heterogeneous networks
JP5797137B2 (ja) トラフィック制御装置、トラフィック制御システム及びトラフィック制御方法
JP2023506100A (ja) サービス品質パラメーターを決定する方法、コンピューター可読ストレージ媒体、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及び通信デバイス
JP2017163495A (ja) 通信装置
CN108293024B (zh) 业务数据的传输方法和装置
KR102021769B1 (ko) 패킷 플로우 처리방법 및 장치
WO2023011006A1 (zh) 一种通信方法、装置及设备
KR20140024645A (ko) 과부하 정보를 이용한 적응적 비실시간 트래픽 제어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정책 제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