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270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270B1
KR101984270B1 KR1020120139842A KR20120139842A KR101984270B1 KR 101984270 B1 KR101984270 B1 KR 101984270B1 KR 1020120139842 A KR1020120139842 A KR 1020120139842A KR 20120139842 A KR20120139842 A KR 20120139842A KR 101984270 B1 KR101984270 B1 KR 101984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display panel
fixing member
surf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1819A (ko
Inventor
신승환
남철
김홍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9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270B1/ko
Publication of KR20140071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8Segmented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02F2201/465Snap -f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컬러필터 기판을 포함하고,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액정표시패널;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공급하고,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액정표시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의 측면을 감싸는 케이스;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부착되어 상기 케이스를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액정표시패널과 동일한 곡률을 가진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실시 예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되고 있다. 종래의 음극선관 표시장치(CRT)에 비해 박형, 경량화된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표시장치(PDP) 또는 유기전계발광소자(OLED)를 포함하는 평판표시장치가 활발하게 연구 및 제품화되고 있다. 이 중에서 액정표시장치는 소형화, 경량화, 박형화 및 저전력 구동의 장점이 있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기술적인 면의 연구개발과 더불어 수요자들에 보다 어필할 수 있는 제품의 디자인적인 면에서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특히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최소화(슬림화)하는 노력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고, 수요자의 미적 감각에 호소하여 구매를 자극할 수 있는 미감이 증진된 디자인에 대한 요구가 점차로 증진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림화 또는 미감 증진을 위한 디자인 개발은 종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그대로 채용하면서 그 구성요소의 구조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왔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림화나 새로운 디자인을 개발함에 있어서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슬림화 또는 대면적화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에 단차가 없는 보더리스 형태나, 또는, 평면에 노출되는 상부 케이스 또는 전면 세트 커버의 폭을 아주 좁게 형성시킨 네로우 베젤(NarrowBezel)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보더리스 형태의 액정표시장치를 구현함에 있어서, 액정표시패널을 곡면으로 구현하는 경우 기구물이 액정표시패널을 압박하는 형태가 되어 빛샘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 예는 곡면을 가지는 액정표시패널에서 빛 샘을 방지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컬러필터 기판을 포함하고,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액정표시패널;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공급하고,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액정표시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의 측면을 감싸는 케이스;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부착되어 상기 케이스를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액정표시패널과 동일한 곡률을 가진다.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의 하부에 부착되는 고정 부재를 액정표시패널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케이스와의 접촉에 의한 빛 샘을 방지한다.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고정 부재를 액정표시패널을 구성하는 유리섬유를 포함하도록 형성하여 온도변화가 있더라도 액정표시장치의 국부적인 변형을 방지하여 빛 샘을 방지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를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고정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고정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고정 부재 부착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고정 부재의 부착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컬러필터 기판을 포함하고,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액정표시패널;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공급하고,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액정표시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의 측면을 감싸는 케이스;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부착되어 상기 케이스를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액정표시패널과 동일한 곡률을 가진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고정 부재에 수납되는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돌출부를 수납하기 위해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일정한 곡률을 가지며 평행하는 상면부와 하면부; 및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부는, 상기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고정부재를 부착시키는 접착 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의 양측면에서 상기 액정표시패널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부와 제2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는, 중앙영역에서 상기 평면부 방향으로 함몰된 제1 홈부 및 제2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면부는 상기 하면부의 하면에서 상기 상면부 방향으로 함몰된 제3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의 하부에 형성되고 광학 시트를 지지하는 가이드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 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에는 상기 돌출부를 수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형성하는 기판과 동일한 열팽창 계수를 가지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형성하는 기판을 구성하는 유리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유리섬유를 5% 내지 100%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중앙영역에 위치한 고정부재들 간의 간격은 상기 중앙영역 외의 영역에 위치한 고정부재들 간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중앙영역에 위치한 고정부재는 상기 중앙영역 외의 영역에 위치한 고정부재보다 폭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는 곡선형의 액정표시패널(10)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은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을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곡선형으로 형성하여, 주 시청 영역에서 액정표시장치(1)의 중앙영역까지의 거리와 양측 영역까지의 거리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어 거리감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고, 휘도 향상의 효과도 있다.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의 측면에는 케이스(70)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7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하여, 보더리스 형태의 액정표시장치(1)를 구현하여 베젤을 생략할 수 있어 화상을 대면적화 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를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를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10)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10)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20)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은 서로 대향하며 균일한 셀 갭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 컬러필터 기판(13) 및 상기 두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 상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의 교차로 화소 영역이 정의된다. 상기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은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화소 영역의 화소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컬러필터 기판(13)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의 화소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적(R), 녹(G), 청(B)의 컬러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컬러필터의 경계부 및 상기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박막 트랜지스터에 대응되는 영역에 빛샘을 방지할 수 있는 블랙 매트릭스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컬러필터 기판(13) 상의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이 대면되는 면에 공통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전극 및 공통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차에 의해 전계가 발생하고 상기 액정층(미도시)은 상기 전계에 의해 변위하여 광투과율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은 광원(30), 가이드 패널(40) 및 광학 시트(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30)은 발광 다이오드(31), 광원 기판(33) 및 도광판(3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31)는 상기 광원 기판(33)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31)는 상기 광원 기판(33)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도광판(37)으로 광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37)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31)로부터의 광을 면광으로 변환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10)로 제공한다. 상기 도광판(37)은 균일한 면광을 공급하기 위해 특정모양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37)은 PMMA(Poly methylmethacrylate), PC(polycarbonate), 아크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37) 하부에 반사 시트(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 시트(미도시)는 상기 광원(30)으로부터의 광을 반사시켜 상기 액정표시패널(10)로 전달한다.
실시 예에서의 상기 광원(30)은 발광 다이오드(31)가 측면에 있는 형태로 구성하였으나, 상기 발광 다이오드(31)를 램프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램프는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또는 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30)은 발광 다이오드(31)가 측면에 위치한 에지형이 아닌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의 배면 전체에서 광을 공급하는 직하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 패널(40)은 상기 도광판(37) 상에 위치하여 상기 광학 시트(5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광학 시트(50)는 상기 가이드 패널(4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광학 시트(50)는 다수의 프리즘 시트 및 확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시트(60)는 상기 도광판(37)으로부터의 광을 확산 및 집광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패널(10) 및 백라이트 유닛(20)은 바텀 커버(60) 및 케이스(70)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60)는 상면이 개구된 사각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은 상기 바텀 커버(60)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60)는 상기 가이드 패널(4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70)는 사각 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7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0) 및 백라이트 유닛(2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70)는 상기 바텀 커버(60)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70)는 상기 바텀 커버(60)의 측면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70)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상기 바텀 커버(6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70)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돌출부(7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출부(71)는 상기 케이스(7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패널(10), 도광판(37), 가이드 패널(50), 바텀 커버(60) 및 케이스(70)는 동일한 곡률을 가지며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패널(10)과 상기 가이드 패널(40) 사이에는 다수의 고정 부재(90)가 위치한다. 상기 다수의 고정 부재(90)는 상기 돌출부(71)와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90)는 상기 돌출부(71)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73)을 가지고,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고정 부재(9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 부재(90)는 서로 평행한 상면부(91), 하면부(92) 및 상기 상면부(91)와 하면부(92)를 연결하는 연결부(9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93)는 상기 상면부(91) 및 하면부(92)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90)는 상기 연결부(93)와 수직하는 상면부(91) 및 하면부(92)를 포함함으로써 수납홈(73)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납홈(73)은 상기 케이스(70)의 돌출부(71)를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상면부(91) 및 상기 하면부(92)는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부(91)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0)과 접촉하며, 상기 하면부(92)는 상기 가이드 패널(40)과 접촉하므로, 상기 액정표시패널(10) 및 가이드 패널(40)이 가지는 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상면부(91) 및 하면부(92)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0)과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면부(91) 및 하면부(92)가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홈(73) 또한 일정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납홈(73)이 일정한 곡률을 가짐으로써 상기 돌출부(71)가 상기 고정 부재(90)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70)로부터의 충격이 상기 액정표시패널(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빛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상면부(91)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0)과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상면부(91)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0) 하부에 위치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하면부(92)는 상기 가이드 패널(4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상면부(91)는 제1 돌기부(94), 제2 돌기부(95) 및 평면부(9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면부(96)는 상기 상면부(91)의 상면의 평탄부이며,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94, 95)는 상기 평면부(96)의 양측에서 상기 액정표시패널(10) 방향으로 연장된 영역이다.
상기 고정 부재(90)를 상기 액정표시패널(10)에 부착할 때, 상기 평면부(96)에 접착 부재(83)를 도포한다. 상기 접착 부재(83)는 상기 고정부재(90)와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을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 부재(83)는 UV접착제 일 수 있다.
상기 평면부(96)에 도포된 접착 부재(83)는 UV에 의해 고형화되는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94, 95)는 상기 접착 부재(83)가 상기 평면부(96)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수납홈(73)에는 충격흡수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부재(미도시)는 상기 돌출부(71)와 대향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부재(미도시)는 상기 상면부(91)의 하면 및 상기 하면부(92)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재(미도시)는 상기 상면부(91) 및 하면부(92)가 연장되는 연결부(93)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부재(미도시)는 외부충격에 의해 상기 돌출부(71)가 유동하더라도 상기 고정 부재(90)와 상기 돌출부(71)의 접촉을 방지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의 빛 샘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9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을 형성하는 기판과 유사한 열팽창 계수를 가지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9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을 형성하는 기판을 구성하는 유리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정 부재(9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을 형성하는 기판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5% 내지 100%의 유리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90)를 구성하는 물질의 열 팽창 계수를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을 구성하는 기판과 유사하도록 설정하여 외부 온도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국부적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설명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10) 하부에는 완충 부재(8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80)는 도 4와 같이 상기 케이스(70)와 인접하는 영역에 상기 액정표시패널(10)과 상기 가이드 패널(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8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71)가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완충 부재(80)는 도 3과 같이 상기 돌출부(71)와 상기 액정표시패널(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80)는 스펀지 등의 압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80)는 상기 돌출부(71)가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돌출부(71)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에 비해 압축되어 상기 돌출부(71)와 상기 액정표시패널(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완충 부재(80)는 상기 돌출부(71)와 대응되는 영역에 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80)는 상기 홈을 통해 상기 돌출부(71)를 수납할 수도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고정 부재(9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따른 고정 부재(90)는 도 5와 비교하여 홈부를 가지는 것 이외에는 동일하다. 따라서, 도 6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5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 부재(90)는 서로 평행한 상면부(91), 하면부(92) 및 상기 상면부(91)와 하면부(92)를 연결하는 연결부(9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부(91)는 제1 돌기부(94), 제2 돌기부(95) 및 평면부(9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기부(94)의 중앙 영역에는 제1 홈부(9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돌기부(95)의 중앙 영역에는 제2 홈부(9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부(97)는 상기 제1 돌기부(94)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홈부(98)는 상기 제2 돌기부(95)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부(97) 및 제2 홈부(98)는 상기 평면부(96)보다 높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부(97) 및 제2 홈부(98)를 상기 평면부(96)보다 높이 형성하여, 상기 접착 부재(83)가 상기 평면부(96)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면부(92)의 중앙 영역에는 상기 하면부(92)의 하면으로부터 함몰된 제3 홈부(9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90)의 상면부(91)와 하면부(92)는 곡률을 가지며 형성되므로 주름이나 쪼개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 홈부(97), 제2 홈부(98) 및 제3 홈부(99)는 상기 상면부(91) 및 하면부(92)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어 상기 고정 부재(90)의 주름이나 쪼개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고정 부재 부착위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고정 부재의 부착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다수의 고정 부재(9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의 하부에 부착된다. 상기 다수의 고정 부재(9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0) 중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의 하부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고정 부재(90)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고정 부재(90)는 도 8a와 같이 서로 다른 간격을 가지며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수의 고정 부재(9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의 외곽영역에서의 고정 부재(90)간 간격(d1)보다 중앙 영역에서의 고정 부재(90)간 간격(d2)이 작도록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이 일정한 곡률을 가지며 형성될 때,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의 중앙영역에 하중이 집중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고정 부재(90)간 간격(d2)을 상기 외곽 영역에서의 고정 부재(90)간 간격(d1)보다 좁게 형성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의 중앙 영역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빛 샘 등의 화상품질 저하를 방지하고, 외부 충격에 의한 내부 구성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다수의 고정 부재(90)는 도 8b와 같이 다른 폭을 가지며 상기 액정표시패널(1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수의 고정 부재(90) 중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의 외곽 영역에 부착되는 고정 부재(90)의 폭(d1)보다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의 중앙 영역에 부착되는 고정 부재(90)의 폭(d2)을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고정 부재(90)의 폭(d2)을 상기 외곽 영역에서의 고정 부재(90)의 폭(d1)보다 넓게 형성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의 중앙 영역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빛 샘 등의 화상 품질 저하를 방지하고, 외부 충격에 의한 내부 구성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액정표시장치 10: 액정표시패널
11: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13: 컬러필터 기판
20: 백라이트 유닛 30: 광원
31: 발광 다이오드 33: 광원기판
37: 도광판 40: 가이드 패널
50: 광학 시트 60: 바텀 커버
70: 케이스 71: 돌출부
80: 완충 부재 83: 접착부재
90: 고정 부재 91: 상면부
92: 하면부 93: 연결부
94: 제1 돌기부 95: 제2 돌기부
96: 평면부 97: 제1 홈부
98: 제2 홈부 99: 제3 홈부

Claims (14)

  1.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컬러필터 기판을 포함하고, 장축 방향에서 일정한 곡률로 휘어진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액정표시패널;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공급하고,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액정표시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의 측면을 감싸고,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부착되고 상기 다수의 돌출부를 수납하여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 고정 부재는 상면부와 하면부, 및 상기 상면부의 일측과 상기 하면부의 일측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 중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상기 장축 방향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 각각의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는 상기 액정표시패널과 동일한 방향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액정표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대향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의 양측면에서 상기 액정표시패널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부와 제2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고정부재를 부착시키는 접착 부재는 상기 평면부와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에 의한 공간에 수납되는 액정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는,
    중앙영역에서 상기 평면부 방향으로 함몰된 제1 홈부 및 제2 홈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는 상기 하면부의 하면에서 상기 상면부 방향으로 함몰된 제3 홈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의 하부에 형성되고 광학 시트를 지지하는 가이드 패널을 더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 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에는 상기 돌출부를 수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액정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형성하는 기판과 동일한 열팽창 계수를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는 액정표시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형성하는 기판을 구성하는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중앙영역에 위치한 상기 고정부재들 간의 간격은 상기 중앙영역 외의 영역에 위치한 상기 고정부재들 간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는 액정표시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중앙영역에 위치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중앙영역 외의 영역에 위치한 상기 고정부재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120139842A 2012-12-04 2012-12-04 액정표시장치 KR101984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842A KR101984270B1 (ko) 2012-12-04 2012-12-04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842A KR101984270B1 (ko) 2012-12-04 2012-12-04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819A KR20140071819A (ko) 2014-06-12
KR101984270B1 true KR101984270B1 (ko) 2019-05-30

Family

ID=51126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842A KR101984270B1 (ko) 2012-12-04 2012-12-04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2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75276B (zh) * 2014-07-03 2017-03-0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曲率可调节的背板及具有该背板的液晶显示装置
KR101970334B1 (ko) * 2018-04-10 2019-08-13 이피네트시스템즈 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KR101970331B1 (ko) * 2018-04-10 2019-08-20 이피네트시스템즈 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KR101970330B1 (ko) * 2018-04-10 2019-08-13 이피네트시스템즈 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3000A (ja) * 2007-10-10 2009-04-30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4952B2 (ja) * 1998-03-30 2006-01-1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1926430B1 (ko) * 2011-04-18 2018-1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3000A (ja) * 2007-10-10 2009-04-30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819A (ko)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0534B2 (en) Borderless display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
KR101966739B1 (ko)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US9603266B2 (en) Display device
KR101420521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291934B1 (ko)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모듈
US2011022199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a plurality of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KR101937912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
US8955997B2 (en) Display device, illuminating device and housing
KR20020015238A (ko) 액정표시장치
US20140204275A1 (en)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ption device
KR10194298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984270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10030226A (ko) 액정표시장치
KR20150050612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90053681A (ko) 액정표시장치
KR101201303B1 (ko) 에지형 백 라이트 유닛
KR20060013258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803910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20057388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868866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00053369A (ko) 액정표시장치
KR101951258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690324B1 (ko) 액정표시장치
CN111025764B (zh) 显示装置
KR101753910B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