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079B1 - 웰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웰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웰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웰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079B1
KR101984079B1 KR1020170121982A KR20170121982A KR101984079B1 KR 101984079 B1 KR101984079 B1 KR 101984079B1 KR 1020170121982 A KR1020170121982 A KR 1020170121982A KR 20170121982 A KR20170121982 A KR 20170121982A KR 101984079 B1 KR101984079 B1 KR 101984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l
longitudinal
wells
unit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331A (ko
Inventor
김근영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주)오상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상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오상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170121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079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for multiple samples, e.g. microtitration plates
    • B01L3/5085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for multiple samples, e.g. microtitration plates using modular assemblies of strips or of individual w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52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flat sample carriers, e.g. for plates, slides, chips
    • B01L9/523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flat sample carriers, e.g. for plates, slides, chips for multisample carriers, e.g. used for microtitration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5Align devices or objects to ensure defined positions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8Modula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29Multi-well plates; Microtitration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48Specific forms of parts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93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having a very large number of wells, microfabricated w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개시되는 발명은 복수 개의 웰이 종횡으로 각각 열과 행을 이루는 웰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면을 이루는 사각형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사방을 둘러싸 그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벽체를 포함하는 베이스 트레이;와, 복수 개의 웰이 등간격을 이루는 행이 적어도 하나 이상 종 방향으로 열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그 길이는 상기 수용공간 횡 너비의 절반에 대응하며, 상기 베이스 트레이의 수용공간 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종 웰 유닛; 및 상기 제1종 웰 유닛에 구비된 웰 개수의 두 배 개수의 웰이 등간격을 이루는 행이 적어도 하나 이상 종 방향으로 열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그 길이는 상기 수용공간 횡 너비에 대응하며, 상기 베이스 트레이의 수용공간 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종 웰 유닛; 중의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종 웰 유닛과 제2종 웰 유닛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웰 유닛이 상기 베이스 트레이에 대해 횡 너비 방향으로는 하나씩 결합할 수 있되 종 너비 방향으로는 복수 개가 연이어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웰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웰 플레이트{Well plate adjustable for a number of wells}
본 발명은 웰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테스트할 시료의 개수에 대응하여 전체 웰의 개수와 배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웰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혈액, 조직 등의 다양한 생물학적 시료를 대상으로 하여 핵산과 같은 특정 생체성분을 분리하거나 면역 반응을 검사하거나, 또는 세포를 배양하는 등의 다양한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 웰 플레이트가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같은 웰 플레이트(WP)가 사용되는 장치의 일례로서 본 출원인이 출원한 바 있는 핵산 분리 장치(10)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핵산 분리 장치(10)는 핵산이나 생물학적 물질을 자동으로 분리·추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자동화된 핵산 분리 장치(10)는 자성을 이용하여 추출된 핵산을 수집하고, 시료가 담긴 웰 플레이트(WP)에 진동을 가해 세포의 용해를 촉진하며, 순차적으로 핵산을 추출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추출된 핵산의 순도를 높이는 등의 복합적인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웰 플레이트(WP)는 8×12(행×열)의 96개의 웰이 하나의 플레이트에 구비된 96 웰 플레이트(WP)이다. 보통 하나의 시료에 대해 파쇄, 용해, 분리, 정제, 농축하는 등의 일련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샘플당 평균해서 6개 정도의 웰이 필요하다. 따라서, 96 웰 플레이트(WP)의 경우 12개 웰이 일렬을 이루는 각 행을 반으로 나눠, 즉 96 웰 플레이트(WP)를 8×6의 절반씩 두 개로 나눠서 총 16개의 시료를 일괄 처리할 수 있도록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다수의 웰을 구비한 웰 플레이트는 한번에 여러 개의 시료를 처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자동화된 기기에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하지만, 한 번에 처리해야 할 시료의 개수가 많지 않을 때에는 일부 웰만 사용한 후 전체 웰 플레이트를 폐기해야 하기 때문에 낭비가 심하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대기할 시간적 여유가 거의 없거나 시료의 신선도가 중요한 경우와 같이 급박히 처리해야 할 필요가 있는 등 시료의 개수가 몇 개 없더라도 웰 플레이트를 사용해야만 할 상황은 빈번하게 일어난다. 일부라도 한 번 사용한 웰 플레이트는 오염의 위험이 상존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폐기 처분해야 한다.
따라서, 상황에 맞춰 필요한 개수만큼의 웰을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한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새로운 웰 플레이트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67855호(2014.02.18 등록)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웰 플레이트를 사용함에 있어 불필요한 낭비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웰이 종횡으로 각각 열과 행을 이루는 웰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면을 이루는 사각형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사방을 둘러싸 그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벽체를 포함하는 베이스 트레이;와, 복수 개의 웰이 등간격을 이루는 행이 적어도 하나 이상 종 방향으로 열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그 길이는 상기 수용공간 횡 너비의 절반에 대응하며, 상기 베이스 트레이의 수용공간 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종 웰 유닛; 및 상기 제1종 웰 유닛에 구비된 웰 개수의 두 배 개수의 웰이 등간격을 이루는 행이 적어도 하나 이상 종 방향으로 열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그 길이는 상기 수용공간 횡 너비에 대응하며, 상기 베이스 트레이의 수용공간 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종 웰 유닛; 중의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종 웰 유닛과 제2종 웰 유닛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웰 유닛이 상기 베이스 트레이에 대해 횡 너비 방향으로는 하나씩 결합할 수 있되 종 너비 방향으로는 복수 개가 연이어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종 웰 유닛과 제2종 웰 유닛의 종 방향 열의 개수는 상기 웰 플레이트의 전체 열 개수에 대한 약수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종 웰 유닛과 제2종 웰 유닛의 종 방향 열의 개수는 하나 및 상기 웰 플레이트의 전체 열 개수 이하인 소수(素數)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종 웰 유닛과 제2종 웰 유닛의 종 방향 열의 개수는 상기 웰 플레이트의 전체 열 개수 이하인 2의 n제곱(n은 0, 1, 2 ...)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종 웰 유닛 및 제2종 웰 유닛의 종 방향 간격에 맞춰 복수 개의 지지 로드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종 웰 유닛 및 제2종 웰 유닛의 측면을 따라서는 상기 지지 로드가 끼워지는 지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홈은 상기 제1종 웰 유닛 및 제2종 웰 유닛에 각각 구비된 복수 개의 웰 사이의 살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종 웰 유닛 및 제2종 웰 유닛에 각각 구비된 복수 개의 웰은 그 단면 형상이 원형, 타원형의 곡면 형태이거나, 또는 육각형, 팔각형의 다각형으로 구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살 부분의 부피가 상기 지지 홈이 형성되더라도 상기 웰의 강성을 보장할 수 있는 벽 두께를 확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 로드 중 횡 방향을 따르는 어느 일렬의 지지 로드는 서로 밀착되는 제1종 웰 유닛 및 제2종 웰 유닛에 각각 구비된 서로 마주보는 지지 홈에 대해 공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홈은 상기 제1종 웰 유닛 및 제2종 웰 유닛의 저면으로부터 전체 높이보다 작은 일정 높이까지만 형성되고, 상기 지지 로드의 높이는 상기 지지 홈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종 웰 유닛 및 제2종 웰 유닛은 각각 종 방향으로 하나의 열을 구비하면서 웰 유닛의 측면을 따라서는 삽입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종 웰 유닛 및 제2종 웰 유닛의 종 방향 간격에 맞춰 상기 삽입 돌기가 끼워지는 삽입 홈이 형성된 복수 개의 지지 벽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종 웰 유닛 및 제2종 웰 유닛의 양 측면을 따라 삽입 돌기가 형성되되 각 측면에 형성된 삽입 돌기는 종 방향을 따라 서로 겹치지 않도록 어긋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 홈은 상기 지지 벽의 양측으로 배치되는 인접한 웰 유닛의 각 삽입 돌기가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트레이의 벽체에도 상기 삽입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종 웰 유닛 및 제2종 웰 유닛의 일 측면을 따라서는 삽입 돌기가 형성되고, 타 측면을 따라서는 상기 삽입 돌기의 위치 및 형상에 대응하는 지지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베이스 트레이의 벽체에는 상기 삽입 돌기가 끼워지는 삽입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상기 제1종 웰 유닛과 제2종 웰 유닛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웰 유닛은 맨 마지막 하나의 웰이 상기 웰 유닛 본체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탈착 형 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웰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트레이에 결합하는 상기 제1종 웰 유닛 및 제2종 웰 유닛의 각 개수와 위치를 선택 및 조합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웰의 개수와 배치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웰이 등간격을 이루는 행이 적어도 하나 이상 종 방향으로 열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그 길이는 상기 수용공간 횡 너비의 절반에 대응하며, 상기 베이스 트레이의 수용공간 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종 웰 유닛; 및 상기 제1종 웰 유닛에 구비된 웰 개수의 두 배 개수의 웰이 등간격을 이루는 행이 적어도 하나 이상 종 방향으로 열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그 길이는 상기 수용공간 횡 너비에 대응하며, 상기 베이스 트레이의 수용공간 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종 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종 웰 유닛 및 제2종 웰 유닛의 측면을 따라서는 지지 홈 또는 삽입 돌기가 형성된 웰 유닛 세트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웰 플레이트는 소모품으로 구성된 두 종류의 웰 유닛을 조합하여 하나의 웰 플레이트로 대응할 수 있는 최대치 이하의 샘플 개수에 딱 맞는 웰 플레이트를 만들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필요 이상으로 웰 플레이트를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베이스 트레이는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면서 웰 유닛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웰 플레이트 사용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가 다른 두 종류의 웰 유닛을 조합함에 따라 동일 개수의 샘플을 처리하는 서로 다른 배치구조의 웰 플레이트를 자유롭게 만들어낼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황에 맞는 가장 적절한 웰 플레이트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웰 플레이트가 사용되는 기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웰 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베이스 트레이에 웰 유닛이 결합하는 구조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4는 여러 개의 웰 유닛이 연이어 베이스 트레이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웰 유닛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웰의 형상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2종류의 웰 유닛을 조합하여 만들어지는 웰 플레이트의 몇몇 사용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하나의 웰 유닛이 종 방향으로 복수 개의 열을 이루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베이스 트레이에 웰 유닛을 결합하는 다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베이스 트레이에 웰 유닛을 결합하는 또 다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웰 유닛을 구성하는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할 것이며, 도면을 참조할 때에는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이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면서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도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웰 플레이트(10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베이스 트레이(1100)에 웰 유닛(1200, 1300)이 결합하는 구조를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웰 플레이트(10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웰 플레이트(1000)는 기본적으로 종래 이미 사용되고 있는 웰 플레이트, 예컨대 도 1의 핵산 분리 장치(10)에 사용되는 기존의 웰 플레이트(WP)를 대체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런 기존 전제조건을 만족하는 가운데 웰 플레이트(1000)의 불필요한 낭비를 막는다는 목적을 달성해야 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설계는 웰 플레이트(1000) 안쪽의 웰(1400)을 몇 종류의 유닛으로 구성하고, 마련된 웰 유닛(1200, 1300)만 일회용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웰 유닛(1200, 1300)을 두 종류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시 요구되는 모든 웰 조건(배치, 개수 등)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에서 상술할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 2의 웰 플레이트(1000)는 역시 종래의 웰 플레이트(WP)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웰(1400)이 종횡으로 열과 행을 이루고 있다. 이런 웰 플레이트(1000)를 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 트레이(1100)와, 상기 베이스 트레이(1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두 종류의 웰 유닛(1200, 1300)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베이스 트레이(1100)의 장변 방향을 가로(횡), 단변 방향을 세로(종)로 칭하기로 하며(도 4 참조), 횡 방향 일렬을 "행(行)"으로 종 방향 일렬을 "열(列)"로 부르기로 한다.
베이스 트레이(1100)는 웰 플레이트(1000)의 몸체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바닥면을 이루는 사각형의 베이스 플레이트(11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10)의 사방을 둘러싸 그 내부에 수용공간(1130)을 형성하는 벽체(1120)를 포함한다. 베이스 트레이(1100)는 종래의 웰 플레이트(WP)에서 그 내부에 종횡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웰이 없는 나머지 부분에 대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후술할 두 종의 웰 유닛(1200, 1300)이 결합하는 일종의 사각형 용기라고 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웰 플레이트(1000)는 종래의 웰 플레이트(WP)를 완벽히 대체하기 위한 것이므로, 베이스 트레이(1100)는 종래의 웰 플레이트(WP)에 그 외형 및 치수가 대응하여야 한다. 대응한다는 의미는 종래의 웰 플레이트(WP)가 사용되었던 용도에 모두 일치하여 그대로 사용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의 핵산 분리 장치(10)에 사용되는 웰 플레이트(WP)를 대체하도록 본 발명이 설계되었다면, 역시 본 발명의 웰 플레이트(1000)도 웰 플레이트 스테이지(220)의 수용 홈 안에 안착 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기존의 웰 플레이트(WP)와 외형뿐만이 아니라 그 안쪽에 형성된 복수 개 웰(1400)의 간격과 크기, 개수까지 그대로 재현하는 것은 물론 웰 플레이트(1000)를 사용하는 목적과 상황에 맞춰 매우 자유롭게 웰(1400)의 개수와 배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는데, 이는 웰 유닛(1200, 1300)을 2종으로 구성한 것에 의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종 웰 유닛(1200)은 복수 개의 웰(1400)이 등간격으로 일렬 배열되고, 그 길이는 베이스 트레이(1100)의 수용공간(1130) 횡 너비(도 2에서의 장변 길이) 절반에 대응하며, 베이스 트레이(1100)의 수용공간(1130) 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2종 웰 유닛(1300)은, 상기 제1종 웰 유닛(1200)에 구비된 웰(1400) 개수의 두 배 개수의 웰(1400)이 등간격으로 일렬 배열되고, 그 길이는 수용공간(1130) 횡 너비에 대응한다. 제2종 웰 유닛(1300) 역시 제1종 웰 유닛(1200)과 동일한 방식으로 베이스 트레이(1100)의 수용공간(1130) 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다.
뒤에서 상술할 도 6을 참조할 수 있듯이, 제1종 웰 유닛(1200) 및 제2종 웰 유닛(1300)은 각각 베이스 트레이(1100)에 대해 횡 너비 방향으로는 하나씩 결합할 수 있다. 즉, 짧은 제1종 웰 유닛(1200)이든, 긴 제2종 웰 유닛(1300)이든 베이스 트레이(1100)의 횡 너비 방향으로는 하나씩만 결합할 수 있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이해할 수 있는데, 제1종 웰 유닛(1200)의 길이가 베이스 트레이(1100)의 수용공간(1130) 횡 너비 절반에 대응하기 때문에 얼핏 생각하면 두 개의 제1종 웰 유닛(1200)이 횡 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웰 유닛의 좌우 측면 두께(d)가 있기 때문에 두 개가 옆으로 등 간격으로 결합할 수가 없다. 베이스 트레이(1100)의 횡 너비를 이 두께(d)만큼 더 길게 만드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겠지만, 이렇게 되면 베이스 트레이(1100)의 횡 너비가 종래의 웰 플레이트(WP)보다 그만큼 길어지게 되고, 이럴 경우 종래의 웰 플레이트(WP)를 온전히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한 해법이 아니다.
본 발명은 이 때문에 수용공간(1130) 횡 너비에 대응하는 제2종 웰 유닛(130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었으며, 이를 통해 제1종 웰 유닛(1200)과 제2종 웰 유닛(1300)이 하나의 웰 유닛 세트를 이루도록 하였다. 여기서, 하나의 웰 유닛 세트라 함은 제1종 및 제2종 웰 유닛(1200, 1300) 하나씩이 세트를 이룬다는 의미가 아니며, 두 종류의 웰 유닛(1200, 1300)이 조합됨으로써 원하는 웰 플레이트(1000) 구조를 자유자재로 만들어낼 수 있다는 의미에서 세트를 이룬다고 표현한 것이다. 또한, 제1종 및 제2종 웰 유닛(1200, 1300)은 소모품이기 때문에 독립된 거래대상이 된다는 측면을 고려하여, 베이스 트레이(1100)와는 별도로 취급되는 세트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한다.
제1종 및 제2종 웰 유닛(1200, 1300)은 베이스 트레이(1100)에 대해 횡 너비로는 하나씩만 결합하게 되지만, 종 너비 방향으로는 복수 개가 연이어 결합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웰 플레이트(1000)가 8×12의 96개의 웰(1400)이 하나의 플레이트에 구비된 96 웰 플레이트(1000)로 구성된 실시형태를 일례로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96 웰 플레이트(1000)라면 제1종/제2종 웰 유닛(1200, 1300)은 베이스 트레이(1100)의 종 너비 방향으로 최대 8개까지 연이어 결합할 수 있다.
도 6은 베이스 트레이(1100)에 대해 제1종/제2종 웰 유닛(1200, 1300)을 조합하는 4가지 예를 보여준다. 96 웰 플레이트(1000) 구조에 맞춰, 제1종 웰 유닛(1200)에는 일렬로 6개의 웰(1400)이 구비되어 있다. 이 6개의 웰(14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샘플당 평균해서 6개 정도의 웰(1400)이 필요한 점을 감안한 것이다. 즉, 제1종 웰 유닛(1200) 하나가 하나의 샘플을 담당하는 것이다. 물론 제1종 웰 유닛(1200)에 비해 두 배의 길이를 가진 제2종 웰 유닛(1300)은 12개의 웰(1400)을 포함하며, 횡으로 반을 나눈 6개씩의 웰(1400)에 대해 하나씩 총 두 개의 샘플을 취급할 수 있다.
이렇게 6개씩의 웰(1400)이 하나씩 샘플을 처리한다고 보면, 96 웰 플레이트(1000)는 한번에 16개의 샘플을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종/제2종 웰 유닛(1200, 1300)의 각 개수와 조합을 통해 하나부터 열여섯 개까지의 샘플 개수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하나의 베이스 트레이(1100)에 대해 제1종 웰 유닛(1200) 및/또는 제2종 웰 유닛(1300)을 조합하면, 총 16개의 조합을 도출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이러한 16개 조합 중 4개의 조합을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a)는 4개의 제1종 웰 유닛(1200)을 종으로 연이어 배치하여 4개의 샘플을 처리할 수 있도록 조합된 구성을 보여준다. 물론, 4개의 제1종 웰 유닛(1200)을 모두 붙이지 않고 칸을 떨어뜨려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제1종 웰 유닛(1200) 두 개를 횡으로 붙이는 것은 안되기 때문에, 도 6의 (c)와 같이 제1종 웰 유닛(1200)만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샘플의 개수는 8개까지로 제한된다.
도 6의 (b)는 제1종 웰 유닛(1200)과 제2종 웰 유닛(1300)을 각각 두 개씩 조합하여 총 6개의 샘플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8개 이하인 6개의 샘플을 처리할 때에도 제2종 웰 유닛(1300)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동일한 개수의 샘플을 처리하더라도 제1종 웰 유닛(1200)과 제2종 웰 유닛(1300)의 조합을 달리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처리할 샘플 개수가 같더라도 웰(1400)의 배열을 얼마든지 다르게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웰 플레이트(1000)가 제1종/제2종 웰 유닛(1200, 13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에는 단순히 소모품인 웰 유닛(1200, 1300)을 최소로 사용하도록 만든 것에서 더 나아가, 사용자가 상황에 맞게 가장 적절한 웰 배열을 조합할 수 있게 했다는 것에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도 6의 (d)는 완전한 96 웰 플레이트(1000)를 만든 실시형태이며, 이 경우에는 당연히 8개의 제2종 웰 유닛(1300)만 사용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웰 플레이트(1000)의 가장 중요한 기본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실제에 있어서는 베이스 트레이(1100)에 길이가 서로 다른 제1종 웰 유닛(1200)과 제2종 웰 유닛(1300)의 어떤 웰 유닛이라도 정해진 위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기 위한 장착구조가 필요하다. 또한, 이 장착구조는 각 웰 유닛(1200, 1300)이 종 방향으로 연이어 밀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도 2 및 도 3에는 이러한 장착구조의 일 실시형태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10)에는 제1종 웰 유닛(1200) 및 제2종 웰 유닛(1300)의 종 방향 간격에 맞춰 복수 개의 지지 로드(1140)가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으며, 제1종 웰 유닛(1200) 및 제2종 웰 유닛(1300)의 측면을 따라서는 지지 로드(1140)가 끼워지는 지지 홈(1420)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 개의 지지 로드(1140)는 베이스 플레이트(1110)의 횡 방향 전체에 걸쳐 분배되어 길이가 다른 제1종 웰 유닛(1200) 및 제2종 웰 유닛(1300)이 모두 결합할 수 있고, 도면상 좌측이 아닌 우측에도 제1종 웰 유닛(1200)이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로드(1140)의 횡 방향 간격은 길이가 짧은 제1종 웰 유닛(1200)이 베이스 트레이(1100)의 벽체(1120)에 밀착되는 정상 위치로만 결합하도록, 즉 횡 너비 중간의 비정상적인 위치로는 끼워지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 또한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각 웰 유닛(1200, 1300)이 종 방향으로 연이어 밀착할 수 있어야 하므로, 횡 방향을 따르는 어느 일렬의 지지 로드(1140)는 서로 밀착되는 제1종 웰 유닛(1200) 및/또는 제2종 웰 유닛(1300)에 각각 구비된 서로 마주보는 지지 홈(1420)에 대해 공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도 4 참조). 다시 말하면, 한 웰 유닛(1200, 1300)의 지지 홈(1420)에는 지지 로드(1140)의 절반이 끼어질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96 웰 플레이트(1000)는 종 방향으로 최대 8개의 웰 유닛(1200, 1300)이 장착되므로, 베이스 트레이(1100)의 종 방향을 따라 7개의 지지 로드(1140)가 열을 이루고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웰 유닛(1200, 1300)이 끼워진 지지 로드(1140)가 바깥으로는 노출되지 않고 안쪽에 숨겨져 안 보이도록 하는 것이 미관상 좋을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지지 로드(1140)가 밖으로 많이 튀어나와 있게 되면 파손의 위험도 있기 때문에, 충분한 지지력이 보장되는 한도 내에서 지지 로드(1140)를 짧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해, 도 2와 같이, 지지 홈(1420)은 제1종 웰 유닛(1200) 및 제2종 웰 유닛(1300)의 저면으로부터 전체 높이보다 작은 일정 높이까지만 형성하고, 지지 로드(1140)의 높이는 지지 홈(1420)의 높이에 대응하게 짧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지지 홈(1420)은 상기 제1종 웰 유닛(1200) 및 제2종 웰 유닛(1300)에 각각 구비된 복수 개의 웰 사이의 살 부분(1410)에 형성된다. 이는 제1종/제2종 웰 유닛(1200, 1300)의 측면에서 지지 홈(1420)을 형성하기에 가장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기 때문이다.
나아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종 웰 유닛(1200) 및 제2종 웰 유닛(1300)에 각각 구비된 복수 개의 웰(1400)은 그 단면 형상이 원형, 타원형의 곡면 형태이거나, 또는 육각형, 팔각형의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웰 사이의 살 부분(1410)의 부피(두께)를 크게 확보해서, 지지 홈(1420)을 형성하더라도 웰(1400)의 강성을 보장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벽 두께로 만드는 것이 가능한 단면 구조를 얻기 위한 것이다. 물론 원형이나 타원형, 팔각형 등의 다각형은 하나의 바람직한 예로서, 이 밖의 형상이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단면 형상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7은 제1종 및 제2종 웰 유닛(1200, 1300)을 구성하는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보여준다. 전술한 실시형태(도 2 내지 도 6)와 다른 점은 복수 개의 웰(1400)이 등간격을 이루는 행이 적어도 두 개 이상 종 방향으로 열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7의 (a)의 제1종 웰 유닛(1200)은 종 방향으로 일렬의 웰(1400)이 두 줄을 이루고 있다(2×6 행렬). 종 방향 개수를 달리할 수 있다는 점을 빼고, 제1종 웰 유닛(1200)은 수용공간(1130) 횡 너비의 절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제2종 웰 유닛(1300)의 길이는 수용공간(1130) 횡 너비에 대응한다는 점은 공통적이다.
도 7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종 및 제2종 웰 유닛(1200, 1300)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종 방향으로 줄(행)의 개수를 복수 개로 하면 한 줄로 만들어진 제1종 및 제2종 웰 유닛(1200, 1300)을 하나씩 끼우는 것보다 훨씬 간편하게 웰 플레이트(1000)를 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용적인 편리함이 있다.
다만, 다른 측면에서는 제1종 및 제2종 웰 유닛(1200, 1300)의 종류를 합리적으로 제한하는 것이 제조와 관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종 방향 개수를 제한하는 예로서는, 웰 플레이트(1000)의 전체 열 개수에 대한 약수로서 제1종 웰 유닛(1200)과 제2종 웰 유닛(1300)의 종 방향 열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이다. 예컨대, 8×12(행×열)의 96 웰 플레이트(1000)의 종 방향 개수는 8개이므로, 그 약수인 1, 2, 4, 8의 개수로 종 방향 개수를 제한하더라도 조합을 통해 모든 개수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제한의 예로서는, 제1종 웰 유닛(1200)과 제2종 웰 유닛(1300)의 종 방향 열의 개수를 하나 및 웰 플레이트(1000)의 전체 열 개수 이하인 소수(素數)로 제한하는 것이다. 1을 제외한 모든 자연수는 소수와 소수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는 합성수(合成數)로 나뉘기 때문에, 이렇게 제한하더라도 모든 종 방향 개수에 대응할 수 있다. 즉, 8×12의 96 웰 플레이트(1000)의 종 방향 개수는 8개이므로, 1 및 2, 3, 5, 7(8 이하의 소수)로 종 방향 개수를 제한하더라도 마찬가지로 이들의 조합을 통해 모든 개수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제한의 예로는, 제1종 웰 유닛(1200)과 제2종 웰 유닛(1300)의 종 방향 열의 개수를 웰 플레이트(1000)의 전체 열 개수 이하인 2의 n제곱(n은 0, 1, 2 ...)에 해당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이진법상의 자릿수로 개수를 설정하는 것이다. 웰 플레이트(1000)의 종 방향 개수가 8개인 경우에는 약수의 경우와 동일하지만, 만일 종 방향 개수가 10개라고 가정하면, 이 경우 전체 열 개수 10개 이하인 2의 n제곱(n은 0, 1, 2, 3)은 1, 2, 4, 8로서 역시 모든 경우의 수에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과 소수로 제한하거나 이진법상의 자릿수로 제한할 때의 장점은 웰 플레이트(1000)의 종 방향 개수가 크게 바뀌더라도 소수와 이진법상의 자릿수 자체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제1종 웰 유닛(1200)과 제2종 웰 유닛(1300)을 공용화하기에 유리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약수 제한의 경우에는 공용화를 못하는 경우도 생김).
그리고, 도 8은 각 웰 유닛(1200, 1300)을 베이스 트레이(1100)에 지지하는 다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다만, 도면에서는 제1종 웰 유닛(1200)을 기준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동일한 결합 구조가 제2종 웰 유닛(1300)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의 실시형태는 홈과 돌기의 구조를 전술한 지지 로드(1140)의 경우와는 반대로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도 8은 웰 유닛(1200, 1300)의 측면을 따라서는 삽입 돌기(1430)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110)에는 제1종 및 제2종 웰 유닛(1200, 1300)의 종 방향 간격에 맞춰 삽입 돌기(1430)가 끼워지는 삽입 홈(1152)이 형성된 복수 개의 지지 벽(1150)이 돌출 구비되는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다만, 도 8의 실시형태는 여러 개의 삽입 홈(1152)이 형성될 수 있는 두께와 길이로 지지 벽(1150)이 만들어져야 하기 때문에 지지 벽(1150)이 웰 유닛(1200, 1300)의 안쪽으로 매설되기는 곤란한 점이 있다. 따라서, 도 8의 지지 벽(1150) 구조에서는 제1종 웰 유닛(1200) 및 제2종 웰 유닛(1300)은 각각 종 방향으로 하나의 열을 이루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지 벽(1150) 사이사이에 웰 유닛(1200, 1300)이 끼워지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지지 벽(1150)은 상하 두 개의 웰 유닛(1200, 1300)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삽입 돌기(1430) 및 삽입 홈(1152)의 형성 위치를 설정할 때 주의하여야 한다. 즉, 웰 유닛(1200, 1300)의 양 측면을 따라 삽입 돌기(1430)를 형성할 때 각 측면에 형성된 삽입 돌기(1430)가 종 방향을 따라 서로 겹치지 않도록 어긋나게 형성될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해야 지지 벽(1150)의 두께를 두 배로 키우지 않고도 하나의 지지 벽(1150)으로 상하 두 개의 웰 유닛(1200, 1300)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삽입 돌기(1430)의 위치에 대응하여 지지 벽(1150)의 삽입 홈(1152)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삽입 돌기(1430)의 형상은 크게 제한되지는 않으며, 도 8과 같이 단턱(1432)이 있는 "凸" 자 형태로 만듦으로써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웰 유닛(1200, 1300)의 양 측면을 따라 삽입 돌기(143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베이스 트레이(1100)의 맨 외곽, 즉 벽체(1120)에 밀착되는 웰 유닛(1200, 1300)에서 튀어나온 삽입 돌기(1430)를 수용하기 위한 삽입 홈(1152)을 베이스 트레이(1100)의 벽체(1120)에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지지 벽(1150)에 형성되는 삽입 홈(1152)과 동일한 구조를 벽체(1120)에 적용함은 자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처럼 베이스 트레이(1100)의 벽체(1120)에도 삽입 홈(1152)을 형성하면, 벽체(1120)에 밀착되는 웰 유닛(1200, 1300) 사양을 따로 만들 필요 없이 웰 유닛(1200, 1300)의 양 측면에 삽입 돌기(1430)가 구비되는 한 가지 사양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리고, 도 9는 각각의 웰 유닛(1200, 1300)을 베이스 트레이(1100)에 지지하는 또 다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삽입 돌기(1430)와 삽입 홈(1152)의 결합 구조와 거의 유사한데, 차이는 각 웰 유닛(1200, 1300)의 일측에 삽입 돌기(1430)가 형성됨과 함께 타측의 대응하는 위치에 상보 형상의 지지 홈(1420)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도 9의 실시형태상의 특징은 웰 유닛(1200, 1300)에 있어 삽입 돌기(1430)가 형성된 면의 반대 면의 대응 위치에 삽입 돌기(1430)에 상보하는 형상의 지지 홈(1420)이 형성된 것에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지지 벽(1150)의 구조 대신에 인접하는 웰 유닛(1200, 1300)끼리 서로 맞물림으로써 전체 웰 유닛(1200, 1300)이 지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다만, 도 9의 실시형태에서도 벽체(1120)에 밀착되는 웰 유닛(1200, 1300)의 삽입 돌기(1430)가 결합할 수 있도록 벽체(1120)의 대응하는 위치에는 삽입 홈(1152)이 형성되어야 한다.
여기서, 지지 홈(1420)은 웰 유닛(1200, 1300)에 형성되는 홈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지지 로드(1140)에 결합하는 용도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도 9의 실시형태처럼 다른 웰 유닛(1200, 1300)의 삽입 돌기(1430)가 끼워지는 용도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0은 웰 유닛(1200, 1300), 특히 제1종 웰 유닛(1200)에 대한 변형된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96 웰 플레이트(WP)를 8×6의 절반씩 두 개로 나눠서 총 16개의 시료를 일괄 처리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하나의 시료를 처리할 때 보통 6개의 웰(1400)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용례를 바탕으로, 제1종 웰 유닛(1200)의 맨 마지막 웰(1400)을 분리 가능한 탈착 형 웰(1210)로 구성하는 실시형태를 마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형태가 도 10에 도시된 구성이다. 제1종 웰 유닛(1200)의 본체에 대해 탈착 형 웰(1210)은 결합 돌기(1212)와 결합 홈(1214)의 결합 구조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의 (a)∼(c)와 같이, 결합 돌기(1212)와 결합 홈(1214)을 형성하는 상대적인 위치는 제1종 웰 유닛(1200)의 본체와 탈착 형 웰(1210) 어디라도 무관하며,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탈착 형 웰(1210)의 형상도 제1종 웰 유닛(1200)에 대해 연속하는 형상{도 10의 (a)}으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독립된 형태{도 10의 (b), (c)}로 만들어져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제1종 웰 유닛(1200)의 맨 마지막 웰(1400)을 분리 가능한 탈착 형 웰(1210)로 구성하게 되면, 시료 또는 시약이 최종 추출되어 있는 맨 마지막의 탈착 형 웰(1210)만 떼어내서 PCR 증폭을 진행하거나 다른 후속 처리를 하기에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물론 12개의 웰(1400)로 하나의 시료를 처리할 경우라면 제2종 웰 유닛(1300)에 대해서도 맨 마지막 웰(1400)을 탈착 형 웰(1210)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시형태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내용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0: 웰 플레이트 1100: 베이스 트레이
1110: 베이스 플레이트 1120: 벽체
1130: 수용공간 1140: 지지 로드
1150: 지지 벽 1152: 삽입 홈
1200: 제1종 웰 유닛 1210: 탈착 형 웰
1212: 결합 돌기 1214: 결합 홈
1300: 제2종 웰 유닛 1400: 웰
1410: 웰 사이의 살 부분 1420: 지지 홈
1430: 삽입 돌기 1432: 단턱

Claims (24)

  1. 복수 개의 웰이 종횡으로 각각 열과 행을 이루는 웰 플레이트에 있어서,
    바닥면을 이루는 사각형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사방을 둘러싸 그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벽체를 포함하는 베이스 트레이;
    복수 개의 웰이 등간격을 이루는 행이 적어도 하나 이상 종 방향으로 열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그 길이는 상기 수용공간 횡 너비의 절반에 대응하며, 상기 베이스 트레이의 수용공간 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종 웰 유닛; 및 상기 제1종 웰 유닛에 구비된 웰 개수의 두 배 개수의 웰이 등간격을 이루는 행이 적어도 하나 이상 종 방향으로 열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그 길이는 상기 수용공간 횡 너비에 대응하며, 상기 베이스 트레이의 수용공간 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종 웰 유닛; 중의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종 웰 유닛과 제2종 웰 유닛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웰 유닛이 상기 베이스 트레이에 대해 횡 너비 방향으로는 하나씩 결합할 수 있되 종 너비 방향으로는 복수 개가 연이어 결합할 수 있고,
    상기 제2종 웰 유닛만으로 상기 수용공간을 모두 채웠을 때의 웰의 개수를 최대개수로 하여, 상기 제1종 웰 유닛과 제2종 웰 유닛을 조합하여 상기 제1종 웰 유닛의 웰의 개수에 대한 임의의 정수배로서 상기 최대개수까지 웰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 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 웰 유닛과 제2종 웰 유닛의 종 방향 열의 개수는 상기 웰 플레이트의 전체 열 개수에 대한 약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 플레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 웰 유닛과 제2종 웰 유닛의 종 방향 열의 개수는 하나 및 상기 웰 플레이트의 전체 열 개수 이하인 소수(素數)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 플레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 웰 유닛과 제2종 웰 유닛의 종 방향 열의 개수는 상기 웰 플레이트의 전체 열 개수 이하인 2의 n제곱(n은 0, 1, 2 ...)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 플레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종 웰 유닛 및 제2종 웰 유닛의 종 방향 간격에 맞춰 복수 개의 지지 로드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종 웰 유닛 및 제2종 웰 유닛의 측면을 따라서는 상기 지지 로드가 끼워지는 지지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 플레이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홈은 상기 제1종 웰 유닛 및 제2종 웰 유닛에 각각 구비된 복수 개의 웰 사이의 살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 플레이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 웰 유닛 및 제2종 웰 유닛에 각각 구비된 복수 개의 웰은 그 단면 형상이 원형, 타원형의 곡면 형태이거나, 또는 육각형, 팔각형의 다각형으로 구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살 부분의 부피가 상기 지지 홈이 형성되더라도 상기 웰의 강성을 보장할 수 있는 벽 두께를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 플레이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지지 로드 중 횡 방향을 따르는 어느 일렬의 지지 로드는 서로 밀착되는 제1종 웰 유닛 및 제2종 웰 유닛에 각각 구비된 서로 마주보는 지지 홈에 대해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 플레이트.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홈은 상기 제1종 웰 유닛 및 제2종 웰 유닛의 저면으로부터 전체 높이보다 작은 일정 높이까지만 형성되고, 상기 지지 로드의 높이는 상기 지지 홈의 높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 플레이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 웰 유닛 및 제2종 웰 유닛은 각각 종 방향으로 하나의 열을 구비하면서 웰 유닛의 측면을 따라서는 삽입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종 웰 유닛 및 제2종 웰 유닛의 종 방향 간격에 맞춰, 상기 삽입 돌기가 끼워지는 삽입 홈이 형성된 복수 개의 지지 벽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 플레이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 웰 유닛 및 제2종 웰 유닛의 양 측면을 따라 삽입 돌기가 형성되되 각 측면에 형성된 삽입 돌기는 종 방향을 따라 서로 겹치지 않도록 어긋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 홈은 상기 지지 벽의 양측으로 배치되는 인접한 웰 유닛의 각 삽입 돌기가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 플레이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트레이의 벽체에도 상기 삽입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 플레이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 웰 유닛 및 제2종 웰 유닛의 일 측면을 따라서는 삽입 돌기가 형성되고, 타 측면을 따라서는 상기 삽입 돌기의 위치 및 형상에 대응하는 지지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 플레이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트레이의 벽체에는 상기 삽입 돌기가 끼워지는 삽입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 플레이트.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 웰 유닛과 제2종 웰 유닛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웰 유닛은 맨 마지막 하나의 웰이 상기 웰 유닛 본체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탈착 형 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 플레이트.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트레이에 결합하는 상기 제1종 웰 유닛 또는 제2종 웰 유닛, 또는 상기 제1종 및 제2종 웰 유닛의 각 개수와 위치를 선택 및 조합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웰의 개수와 배치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 플레이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트레이의 수용공간 전체에 걸쳐 복수 개의 웰을 배치할 때에는 상기 제2종 웰 유닛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 플레이트.
  18. 복수 개의 웰이 등간격을 이루는 행이 적어도 하나 이상 종 방향으로 열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그 길이는 베이스 트레이의 수용공간 횡 너비의 절반에 대응하며, 상기 수용공간 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종 웰 유닛; 및
    상기 제1종 웰 유닛에 구비된 웰 개수의 두 배 개수의 웰이 등간격을 이루는 행이 적어도 하나 이상 종 방향으로 열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그 길이는 상기 수용공간 횡 너비에 대응하며, 상기 수용공간 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종 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종 웰 유닛 및 제2종 웰 유닛의 측면을 따라서는 지지 홈 또는 삽입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종 웰 유닛만으로 상기 수용공간을 모두 채웠을 때의 웰의 개수를 최대개수로 하여, 상기 제1종 웰 유닛과 제2종 웰 유닛을 조합하여 상기 제1종 웰 유닛의 웰의 개수에 대한 임의의 정수배로서 상기 최대개수까지 웰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 유닛 세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홈은 상기 제1종 웰 유닛 및 제2종 웰 유닛에 각각 구비된 복수 개의 웰 사이의 살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 유닛 세트.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 웰 유닛 및 제2종 웰 유닛에 각각 구비된 복수 개의 웰은 그 단면 형상이 원형, 타원형의 곡면 형태이거나, 또는 육각형, 팔각형의 다각형으로 구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살 부분의 부피가 상기 지지 홈이 형성되더라도 상기 웰의 강성을 보장할 수 있는 벽 두께를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 유닛 세트.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홈은 상기 제1종 웰 유닛 및 제2종 웰 유닛의 저면으로부터 전체 높이보다 작은 일정 높이까지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 유닛 세트.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 웰 유닛 및 제2종 웰 유닛의 양 측면을 따라 삽입 돌기가 형성되고, 각 측면에 형성된 삽입 돌기는 종 방향을 따라 서로 겹치지 않도록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 유닛 세트.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 웰 유닛 및 제2종 웰 유닛의 일 측면을 따라서는 삽입 돌기가 형성되고, 타 측면을 따라서는 상기 삽입 돌기의 위치 및 형상에 대응하는 상기 지지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 유닛 세트.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 웰 유닛과 제2종 웰 유닛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웰 유닛은 하나의 웰이 상기 웰 유닛 본체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탈착 형 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 유닛 세트.
KR1020170121982A 2017-09-21 2017-09-21 웰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웰 플레이트 KR101984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982A KR101984079B1 (ko) 2017-09-21 2017-09-21 웰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웰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982A KR101984079B1 (ko) 2017-09-21 2017-09-21 웰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웰 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331A KR20190033331A (ko) 2019-03-29
KR101984079B1 true KR101984079B1 (ko) 2019-06-04

Family

ID=65899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982A KR101984079B1 (ko) 2017-09-21 2017-09-21 웰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웰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07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722B1 (ko) 2015-11-19 2017-07-04 (주)한울티피씨 수직정렬이 용이한 샘플트레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855B1 (ko) 2011-10-25 2014-02-27 주식회사 마이크로이즈 세포 배양 장치
GB201119521D0 (en) * 2011-11-11 2011-12-21 Axis Shield Asa Assay cartridge
EP2929939A1 (en) * 2014-04-07 2015-10-14 Yantai AusBio Laboratories Co., Ltd. Micropla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722B1 (ko) 2015-11-19 2017-07-04 (주)한울티피씨 수직정렬이 용이한 샘플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331A (ko) 2019-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69525T3 (es) Dispositivo de mantenimiento de espacio multi-pared
US9297728B2 (en) Storage unit and transfer system for biological samples
EP1745850B1 (en) Sample storage system for pharmaceutical development
ES2277573B1 (es) Dispositivo para la carga de tarjetas de reactivos para analizadores clinicos.
US10441957B2 (en) Magnetic particle separating device, and method of separating and purifying nucleic acid or protein using same
ES2666411T3 (es) Sistema de pipeteado multicanal que comprende dos cámaras de succión imbricadas una dentro de la otra
JP2015042261A (ja) 固定クランプ
US20120319550A1 (en) Parts storage drawer system
KR101984079B1 (ko) 웰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웰 플레이트
KR200495278Y1 (ko) 모듈식 시약 플레이트 및 시약 용기 키트
EP2594219A1 (en) Surgical screw rack
JP3208610U (ja) 培養容器
US20140045256A1 (en) Cell chip
EP1852187B1 (en) Samples storage system for pharmaceutical development
ES2536646T3 (es) Un dispositivo para centrar una placa de microvaloración
US7887703B2 (en) Dialysis apparatus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dialysis apparatus
US6776908B1 (en) Micro-equilibrium dialysis vertically-loaded apparatus
KR20100099825A (ko) 실험 용기용 받침대
EP1689649B1 (en) Vessel tray
KR20200084776A (ko) 진단용 트레이 조립체
KR20230007120A (ko) 모듈형 배양 플레이트 조립체 및 모듈형 배양 플레이트
JP4689528B2 (ja) 創薬用試料保管システム
CN201969577U (zh) 组合式试管架
JP2014184963A (ja) 連結容器
JP2008275476A (ja) 試料容器の保管ラック、試料容器、および試料保管用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