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378B1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378B1
KR101983378B1 KR1020120123074A KR20120123074A KR101983378B1 KR 101983378 B1 KR101983378 B1 KR 101983378B1 KR 1020120123074 A KR1020120123074 A KR 1020120123074A KR 20120123074 A KR20120123074 A KR 20120123074A KR 101983378 B1 KR101983378 B1 KR 101983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extending
contact
contact portion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0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56850A (en
Inventor
장현대
김예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3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378B1/en
Publication of KR20140056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8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3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며, 흡입구를 가지는 전면 패널; 상기 흡입구를 개폐하는 흡입 그릴;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승강키트; 상기 승강기트에 연결되어 감기거나 풀리는 제1와이어; 상기 흡입 그릴에 양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와이어가 연결되는 제2와이어;상기 흡입 그릴에 구비되는 제1접촉부; 및 상기 제2와이어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1접촉부와 이격되는 제2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접촉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에서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각 접촉부의 제2연장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cabinet; A front panel coupled to the cabinet and having a suction port; A suction grille for opening / closing the suction port; A lifting and lowering kit provided in the cabinet; A first wire connected to the elevator and wound or unwound; A second wire connected to the suction grill at both ends thereof and to which the first wire is connected, a first contact part provided at the suction grill,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wire, wherein each contact portion includes a first extending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extending portion extending in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wire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of each of the contact portions.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와 열교환시킨 후에 실내로 토출하여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Generally, 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that sucks indoor air, exchanges heat with a heat exchanger, and then discharges the indoor air to perform cooling or heating.

공기 조화기 중에서 천형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하측에 구비되는 전면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전면 패널의 중앙부에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흡입구 주변에 다수의 토출구가 형성된다. Among the air conditioners, the air conditioner installed on the ceiling includes a cabinet and a front panel provided on a lower side of the cabinet. A suction port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panel,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re formed around the suction port.

상기 전면 패널의 흡입구에는 흡입 그릴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 그릴의 상측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된다. A suction grille may be coupled to the suction port of the front panel. A filter for filtering intake air is provided on the suction grille.

종래의 흡입 그릴은 승강수단에 의해서 상기 전면 패널에서 분리되어 하강되도록 구성된다. The conventional suction grill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front panel by the lifting means.

상기 승강수단은 양단이 상기 흡입 그릴에 결합되는 제2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에 연결되며, 감기거나 풀리는 동작에 의해서 상기 흡입 그릴을 승하강 시키는 제1와이어를 포함한다. The elevating means includes a second wire connected to the suction grille at both ends thereof and a first wire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and moving up and down the suction grille by a winding or unwinding operation.

그런데, 종래의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상기 제1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는 과정에서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의 상대 위치가 고정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흡입 그릴이 좌우로 흔들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since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re not fixed during the winding or unwinding of the first wire, the suction grille may be shaken to the left and right.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는 과정에서 상기 제2와이어가 늘어나게 되어 상기 흡입 그릴이 흔들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winding or unwinding the first wire, the second wire is stretched to cause the suction grille to shake.

그리고, 상기 흡입 그릴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흔들리는 경우 상기 전면 패널의 정확한 위치에 상기 흡입 그릴이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uction grille is swung in the ascending proces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ction grille can not be coupled to the precise position of the front panel.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 그릴의 승하강 시 상기 흡입 그릴의 흔들림이 방지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suction grille is prevented from shaking when the suction grille moves up and down.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며, 흡입구를 가지는 전면 패널; 상기 흡입구를 개폐하는 흡입 그릴;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승강키트; 상기 승강기트에 연결되어 감기거나 풀리는 제1와이어; 상기 흡입 그릴에 양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와이어가 연결되는 제2와이어;상기 흡입 그릴에 구비되는 제1접촉부; 및 상기 제2와이어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1접촉부와 이격되는 제2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촉부는, 상기 흡입 그릴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에서 제1방향을 향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흡입 그릴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에서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을 향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촉부의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접촉부의 제1연장부는 상기 제2와이어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접촉부의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접촉부의 제2연장부는 상기 제2와이어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일부 또는 전부가 오버랩되며,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각 접촉부의 제2연장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cabinet; A front panel coupled to the cabinet and having a suction port; A suction grille for opening / closing the suction port; A lifting and lowering kit provided in the cabinet; A first wire connected to the elevator and wound or unwound; A second wire connected to the suction grill at both ends thereof and to which the first wire is connected, a first contact part provided at the suction grill,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wire, wherein the first contact portion includes: a first extending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grille; And a second extending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inclined toward the first direction in the first extending portion, wherein the second contac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extending portion project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grille; And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in a direction inclined toward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wherein a first extension of the first contact and a first extension of the second contact are formed on the second wire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of the first contacting portion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of the second contacting portion are partially or entirely overlapped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wire, 2 w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with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of each of the contact portions.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흡입 그릴의 흔들림 없이 흡입 그릴이 승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uction grille can be lifted and lowered without fluctuation of the suction gril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패널이 분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릴승강수단과 흡입 그릴의 결합관계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입 그릴의 부분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front panel is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grill lifting unit and a suction gr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grill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패널이 분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front panel is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이하에서는 "실내기"라 함: 100)는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캐비닛(130)과, 상기 캐비닛(130)의 하측에 결합되는 전면 패널(110)을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an indoor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door unit") 100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30 in which a plurality of components are installed, And a front panel 110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front panel 130.

상기 전면 패널(110)의 중앙부에는 흡입구(112)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12)에는 흡입 그릴(120)이 구비된다. 상기 흡입 그릴(120)에는 공기 유동홀(1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그릴(120) 상측에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124)가 구비된다. A suction port 11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panel 110. The suction port 112 is provided with a suction grill 120. An air flow hole 122 is formed in the suction grill 120. A filter 124 for filtering air is provided on the suction grill 120.

상기 전면 패널(110)의 흡입구(112) 주변에는 다수의 토출구(114)가 형성된다.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114 are formed around the suction port 112 of the front panel 110.

상기 토출구(114)에는 상기 토출구(114)를 통해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는 루버(116)가 장착된다. 상기 루버(116)는 도시되지 않은 루버 모터에 의해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루버(116)는 토출구(114)의 형상 및 크기와 대응되는 사각판 모양을 가지며, 양단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전면 패널(110)에 설치된다.A louver 116 is mounted on the discharge port 114 to control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4 into the room. The louver 116 can be operated by a louver motor (not shown). The louver 116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discharge port 114 and is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110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both ends.

상기 전면 패널(110)의 상면 모서리부에는 모터 커버(118)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 커버(118)는 상기 전면 패널(110)의 상면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상기 루버 모터를 커버한다. A motor cover 118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corner of the front panel 110. The motor cover 118 covers the louver motor installed at an upper corner of the front panel 110.

그리고, 상기 모터 커버(118)로부터 이격된 하측 즉, 상기 전면 패널(110)의 하면 모서리부에는 모터 수리용 커버(119)가 구비된다. A motor repair cover 119 is provided on a lower side of the front panel 110, which is apart from the motor cover 118.

상기 전면 패널(110)의 상측에는 드레인 팬(150)이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팬(150)은 실내 열교환기(160)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저장할 수 있다. A drain pan 150 is provided above the front panel 110. The drain pan 150 may store condensate generat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160.

그리고, 상기 드레인 팬(150)의 상면에는 집수 공간(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집수 공간에는 실내 열교환기(160)의 하단부가 안착됨으로써 실내 열교환기(160) 외면에 형성된 응축수는 하방향으로 흘러내려 상기 집수공간 내부에 수용된다. A drainage space (not show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 pan 150. The lower end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60 is seated in the water collecting space, so that the condensed wat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60 flows downward and is received in the water collecting space.

그리고, 상기 드레인 팬(150)은 필터(124)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가 드레인 팬(150)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The drain pan 150 also guides the air filtered by the filter 124 to flow upward through the drain pan 150.

상기 드레인 팬(150)의 중앙부에는 관통구(154)가 형성된다. 따라서, 실내 공기는 상기 흡입구(112)와 관통구(154)를 지나 상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A through hole 154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rain pan 150. Accordingly, the indoor air can flow upwardly through the inlet 112 and the through-hole 154.

상기 캐비닛(130)의 하단부는 전면 패널(110)의 상면 테두리부에 접촉한 상태로 결합되며, 상단부는 후술할 베이스(140)의 하면과 결합된다. The lower end of the cabinet 13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10 while the upper end of the cabinet 130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40.

상기 캐비닛(130)과 실내 열교환기(160) 사이에는 에어 가이드(142)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 가이드(142)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60)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유동하면서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캐비닛(130)의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An air guide 142 is provided between the cabinet 130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160. The air guide 142 flows outwardly from the in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60 to prevent the air 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30.

그리고, 상기 캐비닛(130) 내부 중앙에는 실내팬(170)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팬(170)은 팬 모터(172)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 An indoor fan (170)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cabinet (130). The indoor fan (170) can be rotated by a fan motor (172).

상기 실내팬(170)의 하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관통구(154) 내부에는 오리피스(180)가 구비된다. 상기 오리피스(180)는 드레인 팬(150) 하측에서 상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실내팬(170)의 중앙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An orifice 18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door fan 170, more specifically, in the through-hole 154. The orifice 180 serves to guide air flowing up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drain pan 150 to the center of the indoor fan 170.

상기 오리피스(180)에는 상기 드레인 팬(150) 하측의 공기가 드레인 팬(150)을 관통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홀(182)이 형성된다The orifice 180 is formed with a hole 182 for guiding the air below the drain pan 150 to pass through the drain pan 150

상기 오리피스(180)의 하면 일측에는 플라즈마 필터(1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필터(190)는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을 대전시켜 흡착하는 것으로, 전/후단부가 상기 오리피스(180)의 하면 일측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A plasma filter 19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orifice 180. The plasma filter 190 generates plasma to attract and adsorb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plasma filter 190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orifice 180 by a fastening member.

상기 오리피스(180)의 하면 타측에는 컨트롤 박스(196)가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 박스(196)는 실내기(1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198)이 내장될 수 있다. A control box 196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orifice 180. The control box 196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100, and a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may be formed therein to house the printed circuit board 198.

한편, 상기 오리피스(180)의 하면 좌우에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그릴승강수단(200)이 구비된다. 상기 그릴승강수단(200)은 상기 흡입 그릴(120)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오리피스(180)와 전면패널(110) 사이에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grill lifting means 200,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rifice 180. The grill lifting means 200 selectively lifts the suction grill 120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orifice 180 and the front panel 11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릴승강수단과 흡입 그릴의 결합관계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입 그릴의 부분 사시도이다.  FIG.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 between a grill lifting unit and a suction gr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gr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그릴승강수단(200)은 오리피스(180)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며, 이를 위해 상기 그릴승강수단(200)의 좌우측면에는 키트 브라켓(210)이 구비된다. 상기 키트 브라켓(210)은 그릴승강수단(200)이 오리피스(18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2 to 4, the grill lifting unit 200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rifice 180, and the kit bracket 210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rill lifting unit 200. The kit bracket 210 serves to support the load so that the grill lifting unit 200 can be mounted on the orifice 180.

즉, 상기 키트브라켓(210)은 사각판재를 직교하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 직교하는 두 면은 아래에서 설명할 승강키트(220)의 외면과 오리피스(180)의 하면 일측에 각각 결합된다. That is, the kit bracket 210 is formed by bending the rectangular plate so as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Two orthogonal surfaces of the kit bracket 210 ar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ift kit 220 and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orifice 180, respectively.

상기 그릴승강수단(200)은 회전동력을 발생하여 상기 흡입그릴(120)의 상하방향 이동을 조절하는 다수개의 승강키트(220)와, 하단부가 상기 흡입그릴(120)에 결합되고, 상단부는 후술할 롤러부(222)에 선택적으로 권취되어 상기 승강키트(220)가 발생한 회전동력을 흡입 그릴(120)로 전달하는 제1와이어(240)를 포함한다. The grill lifting unit 200 includes a plurality of lifting and lowering kits 220 that generate rotational power to adjust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suction grill 120.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and lowering kit 220 is coupled to the suction grill 120, And a first wire 240 that is selectively wound on the roller unit 222 and transmits the rotational power generated by the lifting and lowering kit 220 to the suction grill 120.

따라서, 상기 승강키트(220)가 제1와이어(240)를 감으면, 상기 흡입그릴(120)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흡입구(112)를 차폐하게 되며, 상기 승강키트(220)가 제1와이어(240)를 풀면 상기 흡입구(112)는 개방된다. Accordingly, when the lifting and lowering kit 220 winds the first wire 240, the suction grill 120 moves upward to cover the suction port 112, When the wire 240 is loosened, the suction port 112 is opened.

상기 승강키트(220)는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221)와, 상기 구동부(221)와 연동하여 상기 제1와이어(240)를 선택적으로 권취하는 롤러부(222)와, 상기 구동부(221)와 롤러부(222)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승강키트(220)의 외관을 형성하는 키트박스(22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fting and lowering kit 220 includes a driving unit 221 for generating rotational power, a roller unit 222 for selectively winding the first wire 240 in cooperation with the driving unit 221, And a kit box 224 that houses the roller unit 222 and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lifting and lowering kit 220.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승강키트(220) 중에서 어느 하나에는 상기 승강키트(220) 내부에 각각 구비되는 모든 구동부(22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승강제어부(223)가 구비된다. One of the plurality of lifting and lowering kits 220 is provided with a lifting and lowering control unit 223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ll the driving units 221 provided in the lifting and lowering kit 220.

따라서, 상기 다수개의 구동부(221)는 한 개의 승강제어부(223)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향의 회전 동력을 발생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lurality of driving units 221 are controlled by the one elevation control unit 223 to generate rotational power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or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상기 구동부(221)는 전원을 인가받았을 때 회전 동력을 발생할 수 있는 모터가 적용되며, 상기 롤러부(222)는 구동부(221)가 발생한 회전동력으로 회전하여 외주면에 상기 제1와이어(240)를 감거나 풀게 된다.The roller 221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221 to rotate the first wire 24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er unit 222, It is wound or unwound.

이를 위해 상기 구동부(221)와 롤러부(222)의 일측에는 풀리(미도시)를 형성하고 상기 풀리에 벨트(미도시)를 인장력을 가지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구동부(221)와 롤러부(222) 일측에 각각 기어(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기어가 맞물려 돌아가도록 설치함으로써 상기 구동부(221)와 롤러부(222)가 연동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For this, a pulley (not show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221 and the roller unit 222, and a belt (not shown) may be installed on the pulley so as to have a tensile force. The driving unit 221 and the roller unit 222 may be interlocked by providing gears (not shown) on one side of the unit 222 and providing the pair of gears to rotate.

그리고, 상기 제1와이어(240)의 상단부는 롤러부(222)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이것은 상기 롤러부(222)가 회전하여 제1와이어(240)가 완전히 풀렸을 때 롤러부(222)로부터 제1와이어(24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upper end of the first wire 240 is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portion 222. This is to prevent the first wire 24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oller portion 222 when the first wire 240 is completely unwound by the roller portion 222.

상기 키트박스(224)의 상하면 중앙부에는 상기 제1와이어(240)가 관통되도록 동그랗게 천공된 관통구멍(229)이 형성될 수 있다. The kit box 224 may have a through hole 229 formed at the center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kit box 224 so as to penetrate the first wire 240.

상기 승강제어부(223)는 구동부(221)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키트박스(224)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승강제어부(223)가 상기 키트박스(224) 내벽으로 이격됨에 따라, 전원이 키트박스(224)로 누전되었을 때 발생될 수 있는 감전 및 여타 부품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The lift control unit 223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221 and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kit box 224. That is, as the lifting and lowering control unit 223 is separat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kit box 224, it is possible to prevent electric shock and other parts damage that may occur when the power source is short-circuited to the kit box 224.

그리고, 상기 승강제어부(223)는 유선 또는 무선 리모컨과 연동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리모컨은 그릴승강수단(200)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해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실내기(100) 조작을 위한 리모컨에 그릴승강수단(200)의 조작을 위한 버튼들을 구비하여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elevation control unit 223 is installed to interlock with a wired or wireless remote control. That is, the remote control may be separately provided for operating the operation of the grill elevating means 200, and the remote control for operating the indoor unit 100 may be provided with buttons for operating the grill elevating means 200, .

또한, 상기 승강제어부(223)는 실내기(100)가 작동중일 때에는 상기 리모컨을 조작하게 되더라도 구동부(221)가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팬(170)의 회전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일 때에도 상기 승강제어부(223)는 구동부(221)의 작동을 제한할 수 있다. The elevator controller 223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221 not to operate even if the remote controller is operated while the indoor unit 100 is operating. Further, even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indoor fan 170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the elevation control unit 223 can restrict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221. [

한편, 상기 흡입 그릴(120)에는 제2와이어(250)가 구비된다. 상기 흡입 그릴(120)에는 한 쌍의 와이어 결합부(265)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와이어 결합부(265)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suction grill 120 is provided with a second wire 250. The suction grill 120 is formed with a pair of wire coupling portions 265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t is, the pair of wire coupling portions 265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따라서, 상기 제2와이어(250)의 양단이 각각 상기 각 와이어 결합부(265)에 연결된다. 이 때, 상기 흡입 그릴(120)의 승강 과정에서 제2와이어(250)가 늘어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제2와이어(250)는 일정 크기의 인장력을 갖도록 인장된 상태에서 상기 각 와이어 결합부(265)에 결합될 수 있다. Accordingly, both ends of the second wire 250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wire coupling parts 265, respectively. In order to minimize the stretching of the second wire 250 dur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suction grill 120, the second wire 250 is tensioned to have a predetermined tension, 265 < / RTI >

상기 흡입 그릴(120)에는 상기 제2와이어(250)가 상측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접촉부가 구비된다. 상기 다수의 접촉부(271, 273)는, 제1접촉부(271)와 상기 제1접촉부(271)와 이격되는 제2접촉부(27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ction grill 1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for preventing the second wire 250 from being lifted upward. The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271 and 273 may include a first contact portion 271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273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271.

상기 제1접촉부(271)와 상기 제2접촉부(273)는 상기 제2와이어(250)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The first contact portion 271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27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wire 250.

상기 제1접촉부(271)는 상기 흡입 그릴(12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연장부(271A)와, 상기 제1연장부(271A)에서 제1방향을 향하여 경사지는 방향(일 예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271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abutting portion 271 includes a first extending portion 271A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grill 120 and a second extending portion 271A extending in a direction inclining toward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first extending portion 271A And a second extending portion 271B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2접촉부(273)는 상기 흡입 그릴(12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연장부(273A)와, 상기 제1연장부(273A)에서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을 향하여 경사지는 방향(일 예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273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contact portion 273 includes a first extending portion 273A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grill 120 and a second extending portion 273A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first extending portion 273A And may include a second extension 273B extending in a sloping direction (e.g.

상기 제1접촉부(271)의 제1연장부(271A)와 상기 제2접촉부(273)의 제1연장부(273A)는 상기 제2와이어(25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와이어(250)는 상기 제1접촉부(271)의 제1연장부(271A)와 상기 제2접촉부(273)의 제1연장부(273A) 사이에 위치된다. The first extended portion 271A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271 and the first extended portion 273A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27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second wire 250. The second wire 25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xtended portion 271A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271 and the first extended portion 273A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273.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2와이어(25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의 상기 제2와이어(250)의 이동은 상기 제1접촉부(271)의 제1연장부(271A)와 상기 제2접촉부(273)의 제1연장부(273A) 사이 거리로 제한되므로, 상기 제2와이어(250)의 이동이 최소화될 수 있다. The movement of the second wire 250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second wire 250 is performed by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71A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271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71A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271.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second wire 250 can be minimized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73A of the first wire 273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73A of the second wire 273 is limited.

상기 제2와이어(250)는, 상기 제1접촉부(271)의 제2연장부(271B)와 상기 제2접촉부(273)의 제2연장부(273B)에 동시에 접촉할 수 있다. 즉, 상기 각 제2연장부(271B, 273B)는 상기 제2와이어(25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2와이어(250)가 상측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The second wire 250 may contact the second extended portion 271B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271 and the second extended portion 273B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273 at the same time. That is, each of the second extending portions 271B and 273B is positioned above the second wire 250 to prevent the second wire 250 from being lifted upward.

또한, 상기 제1접촉부(271)의 제2연장부(271B)와 상기 제2접촉부(273)의 제2연장부(273B)는 상기 제2와이어(250)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일부가 오버랩된다. The second extended portion 271B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271 and the second extended portion 273B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273 are partly exposed when se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wire 250 Overlap.

따라서, 상기 제2와이어(250)가 상기 제2연장부(271B, 273B)에 걸린 상태에서 걸림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refore, the engagement of the second wire 25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when the second wire 250 is hooked on the second extension portions 271B and 273B.

그리고, 상기 제1접촉부(271)의 제2연장부(271B)와 상기 제2접촉부(273)의 제2연장부(273B)는 상기 제2와이어(25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1와이어(240)는 상기 제1접촉부(271)의 제2연장부(271B)와 상기 제2접촉부(273)의 제2연장부(273B)의 사이 공간에서 상기 제2와이어(25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와이어(250)는 상기 제1접촉부(271)의 제2연장부(271B)와 상기 제2접촉부(273)의 제1연장부(273B)에 의해서 상기 제2와이어(250)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The second extended portion 271B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271 and the second extended portion 273B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27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wire 250 The first wire 2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250 in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extension 271B of the first contact 271 and the second extension 273B of the second contact 273, . The first wire 250 is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250 by the second extended portion 271B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271 and the first extended portion 273B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273,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흡입 그릴(120)에는 상기 제2와이어(250)의 들림 현상을 방지하는 다수의 걸림부(275, 2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걸림부(275, 276)는 도 3에서 좌측의 와이어 결합부(265)(제1결합부)와 상기 제1접촉부(271) 사이에 배치되는 제1걸림부(275)와, 우측의 와이어 결합부(265)(제2결합부)와 상기 제2접촉부(273) 사이에 배치되는 제2걸림부(27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ction grill 12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hooks 275 and 276 for preventing the second wire 250 from lifting. The plurality of latching portions 275 and 276 include a first latching portion 275 disposed between the wire coupling portion 265 (first coupling portion) on the left side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271 on the left side in FIG. 3, And a second engaging part 276 disposed between the wire engaging part 265 (second engaging part) of the first contact part 273 and the second contact part 273.

상기 각 걸림부(275, 276)는, 상기 흡입 그릴(12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275A)와, 상기 제1연장부(275A)에서 경사진 방향(일 예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275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와이어(250)는 상기 제2연장부(275B)에 접촉할 수 있다. Each of the engaging portions 275 and 276 includes a first extending portion 275A extending upward from the suction grill 120 and a second extending portion 275A extending in a direction inclined from the first extending portion 275A And may include a second extending portion 275B extending therefrom. The second wire 250 may contact the second extension 275B.

본 발명에 의하면, 1차적으로 상기 걸림부(275, 276)에 의해서 상기 제2와이어(250)의 들림 현상이 방지되고, 2차적으로 상기 접촉부(271, 273)에 의해서 상기 제2와이어(250)의 들림 현상이 방지되므로, 상기 흡입 그릴이 흔들림 없이 상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of the second wire (250) is prevented primarily by the engagement portions (275, 276), and the second wire (250 So that the suction grille can move up and down without shaking.

이 때, 상기 각 걸림부(275, 276)의 제2연장부(275B)의 높이는 상기 각 접촉부(271, 273)의 각 연장부(271B, 273B)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낮을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second extended portion 275B of each of the engaging portions 275 and 276 may be equal to or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extended portions 271B and 273B of the respective contact portions 271 and 273.

위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걸림부 및 상기 접촉부가 상기 흡입 그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걸림부 및 상기 접촉부가 형성된 별도의 부재가 상기 흡입 그릴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latching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are formed on the suction grille. Alternatively, however, the latching portion and the separate member having the contact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suction grille.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걸림부 및 상기 접촉부가 상기 흡입 그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별도의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 그릴에 결합되는 것을 통칭하여, 상기 걸림부 및 상기 접촉부가 상기 흡입 그릴에 구비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latching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ction grille, the latching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are formed on a separate member and are coupled to the suction grille. .

또한, 위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가 형태는 동일하고,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제1접촉부 또는 제2접촉부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형태로 두 개의 접촉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have the same shape and are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Alternatively,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either the first contact portion or the second contact portion It is also possible to do.

이 경우에는 상기 제1접촉부의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접촉부의 제2연장부는 상기 제2와이어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일부 또는 전부가 오버랩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extended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extended portion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may partially or wholly overlap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wire.

120: 흡입 그릴 200: 그릴승강수단
271: 제1접촉부 273: 제2접촉부
275: 제1걸림부 276: 제2걸림부
120: suction grill 200: grill elevating means
271: first contact portion 273: second contact portion
275: first engaging portion 276: second engaging portion

Claims (8)

캐비닛(130);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며, 흡입구를 가지는 전면 패널(110);
상기 흡입구를 개폐하는 흡입 그릴(120);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승강키트(220);
상기 승강키트에 연결되어 감기거나 풀리는 제1와이어(240);
상기 흡입 그릴에 양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와이어가 연결되는 제2와이어(250);
상기 흡입 그릴에 구비되는 제1접촉부(271); 및
상기 제2와이어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1접촉부와 이격되는 제2접촉부(273)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촉부(271)는, 상기 흡입 그릴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연장부(271A)와, 상기 제1연장부에서 제1방향을 향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271B)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촉부(273)는, 상기 흡입 그릴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연장부(273A)와, 상기 제1연장부에서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을 향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273B)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촉부의 제1연장부(271A)와 상기 제2접촉부의 제1연장부(273A)는 상기 제2와이어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접촉부의 제2연장부(271B)와 상기 제2접촉부의 제2연장부(273B)는 상기 제2와이어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일부 또는 전부가 오버랩되며,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각 접촉부의 제2연장부(271B,273B)에 접촉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A cabinet 130;
A front panel (110) coupled to the cabinet and having a suction port;
A suction grille 120 for opening / closing the suction port;
A lifting and lowering kit 220 installed in the cabinet;
A first wire (240) connected to the lifting and lowering kit and wound or unwound;
A second wire (250)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suction grille and to which the first wire is connected;
A first contact portion (271) provided on the suction grill; And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273)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wire,
The first contact portion 271 includes a first extending portion 271A project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grill and a second extending portion 271A extending in a direction inclining toward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first extending portion 271B)
The second contact portion 273 includes a first extending portion 273A project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grill and a second extending portion 273A extending in a direction inclining toward the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n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273B extending from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73B,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71A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73A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wire,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71B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73B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partially or entirely overlap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wire,
And the second wire contacts the second extended portions (271B, 273B) of the respective contact por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는 상기 제1접촉부의 제2연장부(271B)와 상기 제2접촉부의 제2연장부(273B)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와이어에 연결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wire is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while being positioned between a second extension (271B) of the first contact and a second extension (273B) of the second contac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와이어의 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걸림부 사이에 상기 제1접촉부(271) 및 제2접촉부(273)가 위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latching portions for preventing lifting of the second wire,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271)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273) are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engagement portion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걸림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장부에 상기 제2와이어가 접촉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8. The method of claim 7,
Each of the engaging portions includes a first extending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in an oblique direction in the first extension,
And the second wire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KR1020120123074A 2012-11-01 2012-11-01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9833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074A KR101983378B1 (en) 2012-11-01 2012-11-01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074A KR101983378B1 (en) 2012-11-01 2012-11-01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850A KR20140056850A (en) 2014-05-12
KR101983378B1 true KR101983378B1 (en) 2019-05-28

Family

ID=50887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074A KR101983378B1 (en) 2012-11-01 2012-11-01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37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3050A (en) 2005-09-27 2007-04-12 Sanyo Electric Co Ltd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KR100787774B1 (en) 2007-03-22 2007-12-24 신정훈 Grill hook for air conditioner
KR101139672B1 (en) 2007-10-30 2012-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1274A (en) * 2003-07-22 2005-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A lead wire protection for air conditioner an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having the protection
KR100912301B1 (en) * 2007-12-21 2009-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A filter guide for the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3050A (en) 2005-09-27 2007-04-12 Sanyo Electric Co Ltd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KR100787774B1 (en) 2007-03-22 2007-12-24 신정훈 Grill hook for air conditioner
KR101139672B1 (en) 2007-10-30 2012-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850A (en)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8032B1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JP5193782B2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KR101476791B1 (en) Lamp fixing device and ceiling-mount apparatus fixing device
KR100946652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80044496A (en)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20100025357A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process of the same
KR101983378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813718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345265B1 (en) air conditioner
KR102664218B1 (en) Air conditioner
KR101139672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0654729B1 (en) Front cover guide panel for preventing flooding a display control box of a package air-conditioner
KR100725816B1 (en) Ceiling-mounted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25767B1 (en) Air conditioner
CN216244604U (en) Purification module and ducted air conditioner
JP4434706B2 (en) Embedded ceiling air conditioner
KR100909243B1 (en) Air conditioner
KR100780339B1 (en) Air conditioner on ceiling
JP7066018B2 (en) Ceiling embedded air conditioner and installation method
JP4271014B2 (en) Embedded ceiling air conditioner
JP2009014277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2005147639A (en)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KR20100086314A (en) Air conditioner
KR101270611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4359127B2 (en) Embedded ceiling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