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172B1 -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 - Google Patents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172B1
KR101983172B1 KR1020140108568A KR20140108568A KR101983172B1 KR 101983172 B1 KR101983172 B1 KR 101983172B1 KR 1020140108568 A KR1020140108568 A KR 1020140108568A KR 20140108568 A KR20140108568 A KR 20140108568A KR 101983172 B1 KR101983172 B1 KR 101983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ower
power receiving
receiving coil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2690A (ko
Inventor
조상호
조형욱
박성흠
한창목
성재석
한정만
장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츠
Priority to KR1020140108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172B1/ko
Priority to US14/619,048 priority patent/US9634525B2/en
Priority to CN201510091488.8A priority patent/CN105990888B/zh
Publication of KR20160022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둘의 수전 코일에 하나의 정류 회로가 공유되는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가 제공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는 제1 수전 코일과 제2 수전 코일;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전 코일 중 외부의 송전 코일로부터 비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받은 하나의 수전 코일로부터의 전력을 정류하는 선택적 정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NON-CONTACT TYPE POWER RECE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비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수전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장치는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작동한다.
전자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에너지원인 전력의 공급이 필요하며, 전력의 공급은 장치가 스스로 자체 발전하여 조달할 수 있으며 또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을 수도 있다.
전자장치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외부의 전력 공급 설비로부터 전자장치로 전력을 전달해 주기 위한 전력 공급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전력 공급 장치로는 일반적으로 커넥터 등으로 전자 장치에 직접 연결되어 전자 장치에 내장된 배터리(battery)에 전력을 공급하는 접촉 방식의 전력 공급 장치가 주로 사용되거나, 비접촉 방식으로 전자 장치에 내장된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등과 같은 웨어러블 기기는 휴대가 간편한 형태로 구성되어 비접촉 방식으로 내부의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시킬 수 있다.
상술한 웨어러블 기기는 휴대 단말기와 달리 그 형태가 다양하여, 충전을 위해 충전 패드에 위치시키는 경우 다양한 방향으로 전력이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하기의 선행 기술 문헌과 같이 일반적인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는 비접촉 방식으로 배터리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하나의 수전 코일을 사용하고, 더하여 복수의 수전 코일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하나의 수전 코일당 정류 회로 및 레귤레이션 회로가 각각 채용되어야 하여, 제조 비용 및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특허공개공보 제2013-0054897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둘의 수전 코일에 하나의 정류 회로가 공유되는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가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는 제1 수전 코일과 제2 수전 코일;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전 코일 중 외부의 송전 코일로부터 비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받은 하나의 수전 코일로부터의 전력을 정류하는 선택적 정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는 비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수전하는 복수의 수전 유닛; 및 상기 복수의 수전 유닛으로부터 각각 전력을 전달받아 충전하는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전 유닛 각각은 제1 수전 코일과 제2 수전 코일; 상기 제1 및 제2 수전 코일 중 외부의 송전 코일로부터 비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받은 하나의 수전 코일로부터의 전력을 정류하는 선택적 정류부; 및 상기 정류된 전력을 충전 전력으로 변환하여 해당 배터리 셀에 전달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은 서로 직렬 또는 병렬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 비용 및 장치의 부피가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가 충전 패드로부터 전력을 전송받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의 제1 동작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의 제2 동작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가 충전 패드로부터 전력을 전송받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B)는 충전 패드(A)로부터 비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수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접촉 방식은 전원이 송신측에서 수신측으로 전송되는 과정에서 송신측과 수신측의 도전체 간의 직접적인 연결을 통하지 않는 방식을 의미하며 다른 말로 무접점 방식 또는 무선 전송 방식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B)는 예를 들어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보다 상세하게 예를 들면, 스마트 워치(smart watch)일 수 있다.
이러한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달리 그 형태가 다양하고, 충전 패드에 위치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아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 코일부를 복수개 구비하여 충전 패드에 다양한 방향으로 위치하여도 수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전 코일부를 복수개 구비하는 경우 복수개의 수전 코일부 각각에 정류 회로가 연결되어, 복수개의 정류 회로가 필요하게 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B)는 둘의 수전 코일부에 하나의 정류 회로를 공용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하기와 같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B)는 코일부(110), 선택적 정류부(120), 변환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부(110)는 제1 및 제2 수전 코일부(11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전 코일부(111,112)는 외부의 송전 코일로부터 비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받을 수 있으며, 제1 수전 코일부(111)와 제2 수전 코일부(112)는 서로 형성된 위치가 상이하여 제1 및 제2 수전 코일부(111,112) 중 하나의 수전 코일부로 전력이 전송된다.
선택적 정류부(120)는 코일부(110)의 제1 수전 코일부(111) 또는 제2 수전 코일부(112)로부터의 전력을 정류할 수 있다,
변환부(130)는 스위치(Q)를 통해 선택적 정류부(120)로부터 정류된 전력을 스위칭하여 정류된 전력을 충전 전력으로 변환해서 배터리(BC)에 전달할 수 있다.
배터리(BC)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가질 수 있고,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가질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배터리 셀이 구비되는 경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은 서로 직렬 연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서로 직렬 연결된 제1 배터리 셀(BC1) 및 제2 배터리 셀(BC2)이 구비되는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B)는 제1 배터리 셀(BC1)에 충전 전력을 전달하는 제1 수전 유닛(100-1)과, 제2 배터리 셀(BC2)에 충전 전력을 전달하는 제2 수전 유닛(10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전 유닛(100-1)과 제2 수전 유닛(100-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동일한 제1 및 제2 수전 코일부(111,112), 선택적 정류부(120) 및 변환부(130)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및 제2 수전 코일부(111,112), 선택적 정류부(120) 및 변환부(130)의 기능 및 동작은 도 2에 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배터리 셀이 구비되는 경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은 서로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1 및 제1-2 배터리 셀(BC1-1, BC1-2)은 서로 직렬 연결되고, 제2-1 및 제2-2 배터리 셀(BC2-1, BC2-2) 또한 서로 직렬 연결되며, 하나의 배터리 셀 어레이를 구성하는 제1-1 및 제1-2 배터리 셀(BC1-1, BC1-2)과 다른 하나의 배터리 셀 어레이를 구성하는 제2-1 및 제2-2 배터리 셀(BC2-1, BC2-2)는 서로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B)는 복수의 수전 유닛을 구비하여 서로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 각각에 충전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1 수전 유닛(1001-1)은 제1-1 배터리 셀(BC1-1)에 충전 전력을 전달하고, 제1-2 수전 유닛(1001-2)은 제1-2 배터리 셀(BC1-2)에 충전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1 수전 유닛(1002-1)은 제2-1 배터리 셀(BC2-1)에 충전 전력을 전달하고, 제2-2 수전 유닛(1002-2)은 제2-2 배터리 셀(BC2-2)에 충전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1-1 및 제1-2 수전 유닛(1001-1,1001-2)과 제2-1 및 제2-2 수전 유닛(1002-1,1002-2) 각각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제1 및 제2 수전 코일부(111,112), 선택적 정류부(120) 및 변환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전 코일부(111,112), 선택적 정류부(120) 및 변환부(130)의 기능 및 동작은 도 2에 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B)의 코일부(110)는 제1 및 제2 수전 코일부(111,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수전 코일부(111)는 제1 수전 코일(CR1)과 제1 캐패시터(CD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수전 코일부(112)는 제2 수전 코일(CR2)과 제2 캐패시터(C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전 코일(CR1,CR2) 중 하나의 수전 코일은 외부의 충전 패드의 송전 코일로부터 비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받을 수 있고, 제1 및 제2 캐패시터(CD1,CD2) 각각은 제1 및 제2 수전 코일(CR1,CR2)와 선택적 정류부(120) 사이에 연결되어 직류 전력을 블로킹할 수 있고, 선택적 정류부(120)의 정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전압 체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하기의 도 6a 및 도 6b 또는 도 7a 및 도 7b에 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선택적 정류부(120)는 제1 또는 제2 수전 코일(CR1,CR2)에 수전된 전력을 정류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4 스위치(S1,S2,S3,S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S1,S2)는 제1 수전 코일(CR1)로부터의 전력을 정류할 수 있고, 제3 스위치 및 제4 스위치(S3,S4)는 제2 수전 코일(CR2)로부터의 전력을 정류할 수 있다. 물론 전파 전류 동작을 위해, 제1 스위치(S1)가 턴 온되면 제4 스위치(S4)도 턴 온되고, 제2 스위치(S2)가 턴 온되면 제3 스위치(S3)도 턴 온되어 있다. 다만, 해당하는 자속이 쇄교하지 않아 동작하지 않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내지 제4 스위치(S1,S2,S3,S4) 각각은 트랜지스터 또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스위치(S1)는 소스와, 제1 수전 코일(CR1)의 일단에 연결된 드레인을 갖고, 제2 스위치(S2)는 제1 스위치(S1)의 소스에 연결되고 제1 수전 코일(CR1)의 타단에 연결된 드레인과, 제2 수전 코일(CR2)의 타단에 연결되는 소스를 가질 수 있다.
제3 스위치(S3)는 소스와, 제1 스위치(S1)의 드레인과 함께 제1 수전 코일(CR1)의 일단에 연결된 드레인을 갖고, 제4 스위치(S4)는 제3 스위치(S3)의 소스에 연결되고 제2 수전 코일(CR2)의 일단에 연결된 드레인과, 제2 스위치(S2)의 소스와 함께 제2 수전 코일(CR2)의 타단에 연결되는 소스를 가질 수 있다.
두개의 수전 코일에 하나의 전파 정류 회로를 사용하기 위해, 제1 수전 코일(CR1)의 일단은 변환부(130)의 스위치(Q)를 통해 배터리(BC)의 일단(+ 단자)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수저 코일(CR2)의 타단은 배터리(BC)의 타단(-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수전 코일(CR1)에 전력이 전송되는 경우 제1 스위치(S1)는 제2 스위치(S2)과 교번 스위칭하고, 제2 수전 코일(CR2)에 전력이 전송되는 경우 제3 스위치(S3)는 제4 스위치(S4)와 교번 스위칭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의 제1 동작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1 캐패시터(CD1)는 제1 수전 코일(CR1)의 타단과 제1 스위치(S1)의 소스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캐패시터(CD1)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위치(S1)의 도통시 제1 수전 코일(CR1)로부터의 전력의 전하를 충전하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위치(S2)의 도통시 변환부(130)에 정류된 전력을 전달하는 전달 경로를 형성하여 전압 레벨을 체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파 전류 동작을 위해, 제1 스위치(S1)가 턴 온되면 제4 스위치(S4)도 턴 온되고, 제2 스위치(S2)가 턴 온되면 제3 스위치(S3)도 턴 온되어 있다. 다만, 해당하는 자속이 쇄교하지 않아 동작하지 않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이는 하기의 도 7a 및 도 7b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의 제2 동작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2 캐패시터(CD2)는 제2 수전 코일(CR2)의 일단과 제3 스위치(S3)의 소스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캐패시터(CD2)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스위치(S4)의 도통시 제2 수전 코일(CR2)로부터의 전력의 전하를 충전하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스위치(S4)의 도통시 변환부(130)에 정류된 전력을 전달하는 전달 경로를 형성하여 전압 레벨을 체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정류 회로를 둘의 수전 코일에 공용할 수 있어 제조 비용 및 장치의 부피가 저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A: 충전 패드
B: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
100-1: 제1 수전 유닛
100-2: 제2 수전 유닛
1001-1: 제1-1 수전 유닛
1001-2: 제1-2 수전 유닛
1002-1: 제2-1 수전 유닛
102-2: 제2-2 수전 유닛
111: 제1 수전 코일부
112: 제2 수전 코일부
120: 선택적 정류부
130: 변환부

Claims (12)

  1. 제1 수전 코일과 제2 수전 코일;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전 코일 중 외부의 송전 코일로부터 비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받은 하나의 수전 코일로부터의 전력을 정류하는 선택적 정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적 정류부는 제1 수전 코일로부터의 수전된 전력을 정류하는 제1 전달 경로와, 제2 수전 코일로부터의 수전된 전력을 정류하고 상기 제1 전달 경로와 상이한 제2 전달 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정류부는
    제1 수전 코일로부터의 전력을 정류하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와,
    제2 수전 코일로부터의 전력을 정류하는 제3 스위치 및 제4 스위치를 포함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의 도통시 상기 제1 수전 코일로부터의 전력의 전하를 충전하고, 상기 제2 스위치의 도통시 전압 레벨을 체배하는 제1 캐패시터; 및
    상기 제4 스위치의 도통시 상기 제2 수전 코일로부터의 전력의 전하를 충전하고, 상기 제3 스위치의 도통시 전압 레벨을 체배하는 제2 캐패시터
    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소스와, 상기 제1 수전 코일의 일단에 연결된 드레인을 갖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1 스위치의 소스에 연결되는 드레인과, 상기 제2 수전 코일의 타단에 연결되는 소스를 가지며,
    상기 제3 스위치는 소스와, 상기 제1 스위치의 드레인과 함께 상기 제1 수전 코일의 일단에 연결된 드레인을 갖고,
    상기 제4 스위치는 상기 제3 스위치의 소스에 연결되는 드레인과, 상기 제2 스위치의 소스와 함께 상기 제2 수전 코일의 타단에 연결되는 소스를 갖는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패시터는 상기 제1 스위치의 소스와 상기 제1 수전 코일의 타단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캐패시터는 상기 제3 스위치의 소스와 상기 제2 수전 코일의 일단 사이에 연결되는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된 전력을 충전 전력으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전달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
  8. 비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수전하는 복수의 수전 유닛; 및
    상기 복수의 수전 유닛으로부터 각각 전력을 전달받아 충전하는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전 유닛 각각은
    제1 수전 코일과 제2 수전 코일;
    상기 제1 및 제2 수전 코일 중 외부의 송전 코일로부터 비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받은 하나의 수전 코일로부터의 전력을 정류하는 선택적 정류부; 및
    상기 정류된 전력을 충전 전력으로 변환하여 해당 배터리 셀에 전달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은 서로 직렬 또는 병렬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정류부는
    제1 수전 코일로부터의 전력을 정류하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와,
    제2 수전 코일로부터의 전력을 정류하는 제3 스위치 및 제4 스위치를 포함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의 도통시 상기 제1 수전 코일로부터의 전력의 전하를 충전하고, 상기 제2 스위치의 도통시 전압 레벨을 체배하는 제1 캐패시터; 및
    상기 제4 스위치의 도통시 상기 제2 수전 코일로부터의 전력의 전하를 충전하고, 상기 제3 스위치의 도통시 전압 레벨을 체배하는 제2 캐패시터
    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소스와, 상기 제1 수전 코일의 일단에 연결된 드레인을 갖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1 스위치의 소스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제2 수전 코일의 타단에 연결되는 소스를 가지며,
    상기 제3 스위치는 소스와, 상기 제1 스위치의 드레인과 함께 상기 제1 수전 코일의 일단에 연결된 드레인을 갖고,
    상기 제4 스위치는 상기 제3 스위치의 소스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제2 스위치의 소스와 함께 상기 제2 수전 코일의 타단에 연결되는 소스를 갖는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패시터는 상기 제1 스위치의 소스와 상기 제1 수전 코일의 타단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캐패시터는 상기 제3 스위치의 소스와 상기 제2 수전 코일의 일단 사이에 연결되는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
KR1020140108568A 2014-08-20 2014-08-20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 KR101983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568A KR101983172B1 (ko) 2014-08-20 2014-08-20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
US14/619,048 US9634525B2 (en) 2014-08-20 2015-02-10 Non-contact type power receiving apparatus
CN201510091488.8A CN105990888B (zh) 2014-08-20 2015-02-28 非接触式电力接收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568A KR101983172B1 (ko) 2014-08-20 2014-08-20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690A KR20160022690A (ko) 2016-03-02
KR101983172B1 true KR101983172B1 (ko) 2019-08-28

Family

ID=55349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568A KR101983172B1 (ko) 2014-08-20 2014-08-20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34525B2 (ko)
KR (1) KR101983172B1 (ko)
CN (1) CN1059908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3658B2 (en) * 2014-03-06 2017-06-0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Non-contact capacitive coupling type power charging apparatus and non-contact capacitive coupling type battery apparatus
KR102025899B1 (ko) * 2014-09-11 2019-09-26 주식회사 위츠 비접촉 방식 충전 장치 및 비접촉 방식 배터리 장치
CN106571695B (zh) * 2016-10-28 2021-06-0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器、移动终端及无线充电系统
CN109888863A (zh) * 2019-02-22 2019-06-14 苏州加士革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给电池充电的无线功率传输系统
CN110138224B (zh) * 2019-05-13 2021-06-08 上海安费诺永亿通讯电子有限公司 一种支持多线圈切换的无线充电接收端及移动终端
KR20210026910A (ko) * 2019-09-02 2021-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에너지 신호로부터 전력을 생성하는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US20230044989A1 (en) * 2020-01-06 2023-02-09 Aira, Inc. Increased received power throughput in large surface area receive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81961A1 (en) 2009-01-22 2010-07-22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power control for wireless charging
JP2014090528A (ja) 2012-10-29 2014-05-15 Hitachi Ltd 移動体用非接触充電装置および移動体用非接触充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1770B2 (en) * 2011-01-18 2018-11-27 Mojo Mobility, Inc. Powering and/or charging with a plurality of protocols
US10115520B2 (en) * 2011-01-18 2018-10-30 Mojo Mobility, Inc. Systems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fer
KR101779344B1 (ko) * 2011-02-07 2017-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및 수신 제어 방법
KR101586134B1 (ko) * 2011-05-31 2016-01-21 애플 인크. 밀집된 어레이 내의 자기 분리형 다중 공진 코일
US20130127405A1 (en) 2011-11-17 2013-05-23 Helmut Scherer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102218A (ko) * 2012-03-07 2013-09-1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멀티 코일을 구비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방법
KR101349557B1 (ko) * 2012-03-19 2014-0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전력 전달 방법
KR102007226B1 (ko) * 2013-01-08 2019-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3346626B (zh) * 2013-07-31 2015-08-19 哈尔滨工业大学 副端电容选频的多负载无线能量传输装置
KR102212032B1 (ko) * 2014-08-11 2021-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81961A1 (en) 2009-01-22 2010-07-22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power control for wireless charging
JP2014090528A (ja) 2012-10-29 2014-05-15 Hitachi Ltd 移動体用非接触充電装置および移動体用非接触充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56660A1 (en) 2016-02-25
US9634525B2 (en) 2017-04-25
CN105990888A (zh) 2016-10-05
KR20160022690A (ko) 2016-03-02
CN105990888B (zh) 201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172B1 (ko)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
US9570937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1983174B1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502910B2 (en) Power charging apparatus and battery apparatus
KR20160008222A (ko) 비-접촉식 전력 공급 회로
CN203840064U (zh) 无线供电系统
JP2014075963A (ja) 有線−無線電力転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有線−無線電力転送方法
CN104065145B (zh) 无线充电装置及其充电方法
US9876363B2 (en) Non-contact type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non-contact type power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contact/non-contact type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contact/non-contact type power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US9531213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N103326406A (zh) 便携式电子装置
US9673658B2 (en) Non-contact capacitive coupling type power charging apparatus and non-contact capacitive coupling type battery apparatus
CN105119357B (zh) 一种远距离无线充电设备
KR101670128B1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N113228488B (zh) 整流器、逆变器及无线充电设备
CN205725170U (zh) 无线充电开关
CN105990884B (zh) 非接触式电力接收设备
CN202737857U (zh) 一种无线物联网设备
CN112803600A (zh) 无线充电的接收端设备、发射端设备和无线充电系统
CN106357012A (zh) 一种用于手机的无线充电装置及终端
WO2013121535A1 (ja) 非接触給電装置
KR20090046202A (ko) 휴대기기용 전원 공급 시스템
KR20150105172A (ko) 비접촉 방식 충전 장치 및 비접촉 방식 배터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