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031B1 - 언어 교육 방법 및 언어 교육 시스템 - Google Patents

언어 교육 방법 및 언어 교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031B1
KR101983031B1 KR1020170148830A KR20170148830A KR101983031B1 KR 101983031 B1 KR101983031 B1 KR 101983031B1 KR 1020170148830 A KR1020170148830 A KR 1020170148830A KR 20170148830 A KR20170148830 A KR 20170148830A KR 101983031 B1 KR101983031 B1 KR 101983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tence
scenario
user
education
process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2947A (ko
Inventor
송석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라우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라우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라우봇
Priority to KR1020170148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031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제별로 시나리오DB 및 교육DB가 입력되는 제1단계; 주제가 입력되는 제2단계; 문장이 음성으로 입력되는 제3단계; 입력된 문장이 해당 주제에 해당하는 교육DB에 있는지 검색되는 제4단계; 사용자에게 교육을 실시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5단계; 사용자에게 입력된 문장과 일치하는 예상변형문장에 대한 교육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6단계; 제4단계에서 입력된 문장이 해당 주제에 해당하는 교육DB에 없거나 제5단계에서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입력된 문장이 해당 주제에 해당하는 시나리오DB에 있는지 검색되는 제7단계; 및 입력된 문장이 해당 주제에 해당하는 시나리오DB에 있는 경우 시나리오 상의 다음 문장을 음성으로 출력하고, 입력된 문장이 해당 주제에 해당하는 시나리오DB에 없는 경우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언어 교육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언어 교육 방법 및 언어 교육 시스템{Language teaching method and language teaching system}
본 발명은 언어 교육 방법 및 언어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각 국가 간의 교류는 더욱 활발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외국어 습득에 대한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에게 외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다양한 학습교재 및 교육방법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AI(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의 등장으로 사용자와 단말이 음성으로 상호간 간단한 인사말 정도는 쉽게 주고 받을 수 있는 환경이 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AI는 사용자가 음성으로 입력한 문장의 일부에 문법 또는 발음 등의 오류가 있으면 사용자의 의도를 이해하지 못하고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므로 언어 교육에는 사용될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영어 학습용 문장분석 방법(등록번호 제10-1716654호)"은 오류 문장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본 "영어 학습용 문장분석 방법" 특허에 의해서도 사용자가 중의적인 표현을 사용하면 상황에 맞는 바른 해석이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문법적 오류는 없으나 예를 들어 예의에 어긋나는 표현 등에 대하여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특허문헌 1) KR10-1716654 B1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음성으로 입력한 문장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여 답변을 하거나 오류가 있는 부분에 대하여 교육을 수행하는 언어 교육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언어 교육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언어 교육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언어 교육 방법은 복수의 시나리오가 주제별로 시나리오DB에 입력되고, 상기 시나리오에 대한 예상변형문장과 상기 예상변형문장에 대한 교육이 주제별로 교육DB에 입력되는 제1단계; 사용자로부터 단말에 주제가 입력되는 제2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단말에 문장이 음성으로 입력되는 제3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제에 해당하는 교육DB에 있는지 검색되는 제4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제에 해당하는 교육DB에 있는 경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교육을 실시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교육을 실시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과 일치하는 예상변형문장에 대한 교육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6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제에 해당하는 교육DB에 없거나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제에 해당하는 시나리오DB에 있는지 검색되는 제7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제에 해당하는 시나리오DB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사용자에게 시나리오 상의 다음 문장을 음성으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제에 해당하는 시나리오DB에 없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사용자에게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7단계는 상기 제4단계 이후에 실행되고, 상기 시나리오DB에 입력된 시나리오는 같은 주제의 교육DB에 입력된 예상변형문장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예상변형문장은 레벨이 설정되어 상기 교육DB에 입력되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단말에 레벨이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5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과 일치하는 예상변형문장의 레벨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교육을 실시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언어 교육 방법은 상기 제8단계에서 상기 에러 메시지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상기 단말에 기설정된 빈도수 이상으로 입력되는지 판단되는 제9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상기 단말에 기설정된 빈도수 이상으로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교육DB에 추가될 수 있도록 상기 교육DB의 운영자에게 알람이 출력되는 제10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6단계는 상기 예상변형문장에 대한 교육으로 상기 단말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의 올바른 문장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상변형문장은 상기 시나리오의 문장에 대해 문법 오류 및 발음 오류가 발생하여 상기 시나리오의 문장과 다른 의미가 되는 제1변형문장과, 상기 시나리오의 문장과 비교해서 예의에 어긋나거나 연음법칙에 어긋나는 오류가 발생하여 상기 시나리오의 문장과 같은 의미가 전달되는 제2변형문장을 포함하고, 상기 제1변형문장은 제1레벨로 설정되고 상기 제2변형문장은 제2레벨로 설정되고,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단말에 제1레벨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1변형문장에 대한 교육은 실시하고 상기 제2변형문장에 대한 교육은 실시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시나리오DB에 입력된 시나리오는 상기 제2변형문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언어 교육 방법은 복수의 시나리오가 주제별로 시나리오DB에 입력되고, 상기 시나리오에 대한 예상변형문장과 상기 예상변형문장에 대한 교육이 주제별로 교육DB에 입력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단말에 주제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단말에 문장이 음성으로 입력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제에 해당하는 교육DB에 있는지 검색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제에 해당하는 교육DB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과 일치하는 예상변형문장에 대한 교육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제에 해당하는 교육DB에 없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제에 해당하는 시나리오DB에 있는지 검색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제에 해당하는 시나리오DB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사용자에게 시나리오 상의 다음 문장을 음성으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제에 해당하는 시나리오DB에 없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사용자에게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언어 교육 방법은 복수의 시나리오가 주제별로 시나리오DB에 입력되고, 상기 시나리오에 대한 예상변형문장과 상기 예상변형문장에 대한 교육이 주제별로 교육DB에 입력되는 제1단계; 사용자로부터 단말에 문장이 음성으로 입력되는 제2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가 의도한 주제가 인식되는 제3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상기 제3단계에서 인식된 주제에 해당하는 교육DB에 있는지 검색되는 제4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제에 해당하는 교육DB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과 일치하는 예상변형문장에 대한 교육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5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제에 해당하는 교육DB에 없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제에 해당하는 시나리오DB에 있는지 검색되는 제6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제에 해당하는 시나리오DB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사용자에게 시나리오 상의 다음 문장을 음성으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제에 해당하는 시나리오DB에 없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사용자에게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7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언어 교육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운영자 단말; 및 상기 운영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시나리오가 주제별로 입력된 시나리오DB와, 상기 운영자 단말로부터 상기 시나리오에 대한 예상변형문장과 상기 예상변형문장에 대한 교육이 주제별 및 레벨별로 입력된 교육DB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주제를 인식하고 상기 시나리오DB 및 상기 교육DB의 주제와 비교하는 주제처리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레벨을 인식하고 상기 예상변형문장의 레벨과 비교하는 레벨처리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성으로 입력되는 문장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모듈과, 상기 음성인식모듈로부터 인식된 문장을 처리가능한 문자로 변형하는 문자변형모듈과, 상기 문자로 변형된 문장을 상기 교육DB에서 검색하고 상기 레벨처리모듈의 비교 결과를 통해 교육을 실시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교육을 실시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문자로 변형된 문장에 대한 교육을 출력하는 교육처리모듈과, 상기 문자로 변형된 문장을 상기 시나리오DB에서 검색하고 검색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문자로 변형된 문장에 대한 상기 시나리오 상의 다음 문장을 출력하는 시나리오처리모듈과, 상기 교육처리모듈에서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시나리오처리모듈에서 상기 시나리오DB에 상기 문자로 변형된 문장이 검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에러처리모듈과, 상기 에러처리모듈에서 상기 에러 메시지를 유발한 문장의 입력 빈도수를 판단하는 빈도수처리모듈과, 상기 빈도수처리모듈에서 상기 에러 메시지를 유발한 문장의 입력 빈도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운영자 단말을 통해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처리모듈을 포함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교육처리모듈은 상기 시나리오처리모듈이 상기 시나리오DB를 검색하는 것 보다 선행하여 상기 문자로 변형된 문장에 대해 교육을 실시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시나리오DB에 입력된 시나리오는 같은 주제의 교육DB에 입력된 예상변형문장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인공지능(AI) 음성인식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가 음성으로 입력한 문장의 의미가 명확히 파악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절한 답변이 출력되거나 적절한 언어 교육이 실시될 수 있다.
나아가, 예의에 어긋나는 표현이나 연음법칙에 어긋나는 발음 등 문법적인 오류가 없고 문맥 상의 문제도 없는 경우에도 필요한 교육이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언어 교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메인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시나리오DB와 교육DB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언어 교육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언어 교육 시스템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언어 교육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메인서버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시나리오DB와 교육DB에 대한 개념도이다.
언어 교육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인공지능(AI) 음성인식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휴대용 스마트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스피커와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스피커를 통해 소리를 출력하고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망(300)을 통해 메인서버(400)에 접속할 수 있다.
언어 교육 시스템은 운영자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자 단말(200)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휴대용 스마트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자 단말(200)은 운영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운영자 단말(200)은 통신망(300)을 통해 메인서버(400)에 접속할 수 있다. 운영자는 운영자 단말(200)을 통해 시나리오DB(431) 및 교육DB(432)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저장할 수 있다. 운영자 단말(200)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경우에 운영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언어 교육 시스템은 통신망(30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300)은 인터넷(internet)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300)은 3G, LTE, WIFI 및 블루투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언어 교육 시스템은 메인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서버(400)는 통신망(300)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 및 운영자 단말(200)과 연결될 수 있다. 메인서버(400)는 운영자에 의해 관리되고 운영될 수 있다.
메인서버(400)는 중앙 제어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410)는 주제처리모듈(421), 레벨처리모듈(422), 음성인식모듈(423), 문자변형모듈(424), 교육처리모듈(425), 시나리오처리모듈(426), 에러처리모듈(427), 빈도수처리모듈(428), 알람처리모듈(429) 및 주제별DB(430a, 430b)를 연결할 수 있다.
메인서버(400)는 데이터베이스(DB, Data Base)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DB)는 주제별로 구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DB)는 제1주제DB(430a), 제2주제DB(430b) 및 제3주제DB 등 복수의 주제별DB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주제별DB(430a, 430b)는 시나리오DB(431)와 교육DB(43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서버(400)는 시나리오DB(431)를 포함할 수 있다. 시나리오DB(431)에는 운영자 단말(200)로부터 복수의 시나리오가 주제별로 입력될 수 있다. 시나리오DB(431)에는 운영자 단말(200)로부터 복수의 시나리오가 테마(Thema)별로 입력될 수 있다. 시나리오DB(431)에는 시나리오를 구성하는 복수의 문장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연음법칙 등을 포함하는 문장의 발음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제1주제DB(430a)의 시나리오DB(431)와 제2주제DB(430b)의 시나리오DB(431)에 동일한 문장이 저장될 수 있다. 다만, 동일한 문장에 대한 답변은 제1주제DB(430a)와 제2주제DB(430b)에서 상이할 수 있다.
메인서버(400)는 교육DB(432)를 포함할 수 있다. 교육DB(432)에는 운영자 단말(200)로부터 시나리오에 대한 예상변형문장과 예상변형문장에 대한 교육이 주제별 및 레벨별로 입력될 수 있다. 교육DB(432)에는 예상변형문장이 테마별로 입력될 수 있다. 교육DB(432)에는 시나리오를 구성하는 복수의 문장 각각에 대한 예상변형문장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예상변형문장이 입력되는 경우 해당 예상변형문장을 입력한 사용자에게 필요한 교육 내용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필요한 교육 내용에는 예상변형문장의 올바른 문장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예상변형문장과 교육은 레벨별로 입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상변형문장과 교육이 레벨별로 입력되기 때문에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인지 발달 단계에 알맞은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는 인지 발달 단계가 낮은 사용자에게는 문법 오류와 알파벳 발음 오류 등 문장의 의미가 달라지는 오류에 대해서만 교육을 실시하고 연음법칙 오류 등 문장의 의미가 달라지지 않는 오류에 대해서는 교육을 실시하지 않을 수 있다. 예상변형문장과 해당 예상변형문장에 대한 교육 내용도 발음과 함께 교육DB(432)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주제별DB(430a, 430b)는 시나리오DB(431)에만 해당되는 부분(A), 시나리오DB(431)와 교육DB(432)의 교집합 부분(B), 교육DB(432)에만 해당되는 부분(C)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시나리오DB(431)에만 해당되는 부분(A)에는 시나리오 상의 올바른 문장이 저장될 수 있다. 시나리오DB(431)와 교육DB(432)의 교집합 부분(B)에는 예의에 어긋난 문장, 연음법칙 오류 문장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교육DB(432)에만 해당되는 부분(C)에는 문법 오류 문장, 발음 오류 문장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나리오DB(431)와 교육DB(432) 사이에 교집합이 존재하기 때문에 교육이 필요하지만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도 교육하지 않은 불만족스러운 문장(예를 들어 예의에 어긋난 문장)에 대해 시나리오를 이어 나갈 수 있다.
주제처리모듈(421)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되는 주제를 인식하고 시나리오DB(431) 및 교육DB(432)의 주제와 비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나리오의 문장, 예상변형문장 및 해당 교육 모두 주제별로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한 문장의 주제만 파악된다면 중의적인 표현에 대해서도 보다 정확한 해석이 제공될 수 있다.
레벨처리모듈(422)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되는 레벨을 인식하고 예상변형문장의 레벨과 비교할 수 있다. 레벨처리모듈(422)은 사용자에게 교육을 실시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벨처리모듈(422)이 레벨을 비교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변형례로 레벨처리모듈(422)이 레벨이 아닌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교육의 실시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음성인식모듈(423)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음성으로 입력되는 문장을 인식할 수 있다. 음성인식모듈(423)은 사용자 단말(100)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음성인식모듈(423)은 주변의 소음과 사용자의 음성을 구분할 수 있다. 음성인식모듈(423)은 사용자가 음성을 입력하기 전에 이미 발생하고 있는 주변 소음에 대해서는 기본값으로 두고 기본값으로부터 변화된 소리에 대해서만 사용자의 음성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성인식모듈(423)의 언급한 특징을 통해 소음이 심한 장소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는 다수의 학생이 수업을 듣는 학원, 다수의 수강생이 토론 형식의 수업을 진행하는 어학원 등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문자변형모듈(424)은 음성인식모듈(423)로부터 인식된 문장을 처리가능한 문자로 변형할 수 있다. 문자변형모듈(424)은 음성인식모듈(423)이 인식한 문장을 컴퓨터가 인식가능한 문자로 변형할 수 있다. 또한, 문자변형모듈(424)은 문자를 음성으로 변형할 수도 있다.
교육처리모듈(425)은 문자로 변형된 문장을 교육DB(432)에서 검색하고 레벨처리모듈(422)의 비교 결과를 통해 교육을 실시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교육을 실시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문자로 변형된 문장에 대한 교육을 출력할 수 있다. 교육처리모듈(425)은 교육DB(432)에서 문장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교육처리모듈(425)은 레벨처리모듈(422)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교육 여부를 판단하고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교육처리모듈(425)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과 동일한 예상변형문장에 해당하는 교육 내용을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시나리오처리모듈(426)은 문자로 변형된 문장을 시나리오DB(431)에서 검색하고 검색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문자로 변형된 문장에 대한 시나리오 상의 다음 문장을 출력할 수 있다. 시나리오처리모듈(426)은 시나리오DB(431)에서 문장을 검색할 수 있다. 시나리오처리모듈(426)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의 시나리오 상의 다음 문장을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시나리오처리모듈(426)은 교육처리모듈(425)의 연산 후에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교육처리모듈(425)은 시나리오처리모듈(426)이 시나리오DB(431)를 검색하는 것 보다 선행하여 문자로 변형된 문장에 대해 교육을 실시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시나리오DB(431)에 입력된 시나리오는 같은 주제의 교육DB(432)에 입력된 예상변형문장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에러처리모듈(427)은 교육처리모듈(425)에서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고 시나리오처리모듈(426)에서 시나리오DB(431)에 문자로 변형된 문장이 검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에러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에러처리모듈(427)은 교육DB(432) 및 시나리오DB(431)에 없는 문장이 입력되면 에러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에러처리모듈(427)은 교육DB(432)에 있지만 교육을 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고 시나리오DB(431)에는 없는 경우에도 에러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빈도수처리모듈(428)은 에러처리모듈(427)에서 에러 메시지를 유발한 문장의 입력 빈도수를 판단할 수 있다. 빈도수처리모듈(428)은 에러 메시지를 유발한 문장의 입력 빈도수가 기설정된 빈도수를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알람처리모듈(429)은 빈도수처리모듈(428)에서 에러 메시지를 유발한 문장의 입력 빈도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운영자 단말(200)을 통해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알람처리모듈(429)은 운영자 단말(200)을 통해 알람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알람음과 함께 팝업으로 해당 문장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언어 교육 방법의 내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언어 교육 방법의 순서도이다.
언어 교육 방법은 복수의 시나리오가 주제별로 시나리오DB(431)에 입력되고, 시나리오에 대한 예상변형문장과 예상변형문장에 대한 교육이 주제별로 교육DB(432)에 입력되는 제1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단계(S110)에서는 운영자가 메인서버(400)에 주제별로 시나리오DB(431) 및 교육DB(432)를 생성할 수 있다. 시나리오DB(431)에는 시나리오가 저장되고, 교육DB(432)에는 예상변형문장과 교육이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시나리오, 예상변형문장 및 교육이 주제별로 저장되는 이유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장을 해당 주제에서 검색하여 중의적인 의미를 갖는 문장에 대해서도 보다 정확한 해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된 인공지능(AI)은 주제를 기초로 문장의 의미를 해석하기 때문에 중의적인 뜻을 갖는 단어를 포함하는 문장에 대해서도 보다 정확한 해석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He is running again."이라는 문장이 입력되는 경우, 주제가 "선거"와 관련되면 "그는 다시 출마하다."라는 해석을 제공하고 주제가 "운동"과 관련되면 "그는 다시 달리기를 하고 있다."라는 해석을 제공할 수 있다.
언어 교육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에 주제가 입력되는 제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언어 교육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에 문장이 음성으로 입력되는 제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단계 및 제3단계를 포함하는 단계(S120)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에 주제를 입력하고, 문장을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다.
언어 교육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제에 해당하는 교육DB(432)에 있는지 검색되는 제4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4단계(S130)에서는 입력된 문장이 입력된 주제의 교육DB(432)에 있는지 판단될 수 있다.
언어 교육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제에 해당하는 교육DB(432)에 있는 경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교육을 실시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5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5단계(S140)에서는 교육이 실시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1단계(S110)에서 예상변형문장은 레벨이 설정되어 교육DB(431)에 입력될 수 있다. 제2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에 레벨이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5단계(S14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과 일치하는 예상변형문장의 레벨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레벨을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교육을 실시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5단계(S140)의 기설정된 조건은 예상변형문장의 레벨과 사용자의 레벨의 일치 여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레벨로 설정된 예상변형문장에 대한 교육은 사용자의 레벨이 제1레벨인 경우 실시될 수 있다. 다만, 변형례로 사용자의 레벨이 예상변형문장의 레벨 보다 높은 경우에도 교육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레벨로 설정된 예상변형문장에 대한 교육이 사용자의 레벨이 제2레벨인 경우에도 실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레벨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변형례로 사용자의 레벨은 사용자의 연령과 언어 수준을 고려해 산정되는 인지 발달 단계를 기초로 메인서버(400)에서 결정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예상변형문장은 시나리오의 문장에 대해 문법 오류 및 발음 오류가 발생하여 시나리오의 문장과 다른 의미가 되는 제1변형문장과, 시나리오의 문장과 비교해서 예의에 어긋나거나 연음법칙에 어긋나는 오류가 발생하여 시나리오의 문장과 같은 의미가 전달되는 제2변형문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문법 오류는 해당 언어의 문법에 어긋나는 경우를 말한다. 발음 오류는 잘못 발음하는 경우를 뜻하는 것으로 영어를 예로 들면 알파벳 f를 p로 발음하거나 알파벳 r을 l로 발음하는 등의 오류를 말한다. 연음법칙은 자음으로 끝나는 음절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형식형태소가 이어질 때 앞 음절의 끝소리가 뒷 음절의 첫소리가 되는 음운 현상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변형문장은 제1레벨로 설정되고 제2변형문장은 제2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에 제1레벨로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에게 제1변형문장에 대한 교육은 실시하고 제2변형문장에 대한 교육은 실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시나리오DB에 입력된 시나리오는 제2변형문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시나리오DB와 교육DB는 교집합(도 3의 B 참조)을 포함하는데 본 교집합에 제2변형문장이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시나리오 상의 "How are you?"에 대한 답변으로 "I'm fine. Thank you."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답변은 문법과 발음, 예의와 연음법칙 모두 올바른 답변으로 시나리오DB(431)에 저장될 수 있다. 다만, 발음과 연음법칙을 판단하기 위해 "I'm fine. Thank you."의 발음 기호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How are you?"에 대한 답변으로 "I fine"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답변은 문법에 어긋난 답변으로 교육DB(432)에 저장될 수 있다. 즉, 본 답변은 제1변형문장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How are you?"에 대한 답변으로 "I'm pine."이 교육DB(432)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답변은 발음에 오류가 있는 문장으로 저장될 수 있다. 즉, 본 답변도 제1변형문장으로 저장될 수 있다. 한편, "How are you?"에 대한 답변으로 "Good."이 교육DB(432)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답변은 문법과 발음, 연음법칙은 맞지만 예의에 어긋난 답변으로 저장될 수 있다. 즉, 본 답변은 제2변형문장으로 저장될 수 있다. "Good."은 시나리오DB(431)에도 저장될 수 있다. 나아가, 제1변형문장도 시나리오DB(431)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How are you?"에 대한 답변으로 "Yes. I'm hungry."는 시나리오DB(431) 및 교육DB(432) 모두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해 "Yes. I'm hungry."가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에러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예상변형문장은 문법, 억양, 악센트, 음의 길이, 알파벳 발음 착오, 예의, 연음 및 묵음에 관한 오류 문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교육DB(432)에는 "I'm planning to go to the USA."에 대한 예상변형문장으로 "I'm playing to go to the USA."가 입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의미에서 연관관계가 없는 문장일지라도 사용자에 의해 빈번하게 입력되는 오류문장이 교육DB(432)에 저장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해당 오류문장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앞선 예에서 사용자가 "I'm playing to go to the USA."라고 음성으로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playing이 아닌 planning임을 상기시키는 교육을 수행할 수 있다.
언어 교육 방법은 제5단계에서 사용자에게 교육을 실시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자에게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과 일치하는 예상변형문장에 대한 교육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6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6단계(S150)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에게 교육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6단계(S150)는 예상변형문장에 대한 교육으로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자에게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자에게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의 올바른 문장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예상변형문장에 대한 교육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을 다시 말해주는 것과 예상변형문장의 올바른 문장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음성으로 입력한 문장의 오류를 정확히 파악하고 올바른 문장을 숙지할 수 있게 된다.
언어 교육 방법은 제4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제에 해당하는 교육DB(432)에 없거나 제5단계에서 사용자에게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제에 해당하는 시나리오DB(431)에 있는지 검색되는 제7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7단계(S160)에서는 입력된 문장이 입력된 주제의 시나리오DB(431)에 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7단계(S160)는 제4단계(S130) 이후에 실행되고, 시나리오DB(431)에 입력된 시나리오는 같은 주제의 교육DB(432)에 입력된 예상변형문장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언어 교육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제에 해당하는 시나리오DB(431)에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자에게 시나리오 상의 다음 문장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S170)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제에 해당하는 시나리오DB에 없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자에게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S180)를 포함하는 제8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S170 단계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시나리오 상의 다음 문장이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 S180 단계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에러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언어 교육 방법은 제8단계에서 에러 메시지가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사용자 단말(100)에 기설정된 빈도수 이상으로 입력되는지 판단되는 제9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언어 교육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사용자 단말(100)에 기설정된 빈도수 이상으로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교육DB(432)에 추가될 수 있도록 교육DB(432)의 운영자에게 알람이 출력되는 제10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9단계 및 제10단계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잦은 빈도수로 입력되지만 시나리오DB(431)와 교육DB(432) 모두에 저장되지 않은 문장이 교육DB(432)에 저장되도록 피드백(feedback)될 수 있다. 제10단계에서 운영자 단말(200)이 알람을 출력하면 운영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을 파악하고 해당 문장에 필요한 교육과 함께 교육DB(432)에 해당 문장을 저장할 수 있다. 제10단계에서는 운영자의 편의를 위해 운영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팝업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대한 변형례로, 언어 교육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단말에 주제가 입력되는 단계를 대신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주제가 인식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변형례에서 언어 교육 방법은 사용자가 입력한 문장에서 주제를 파악하고 해당 주제의 교육DB 및 시나리오DB에서 해당 문장을 검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보다 정확하고 상황에 맞는 문장의 해석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200: 운영자 단말
300: 통신망 400: 메인서버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사용자 단말;
    운영자 단말; 및
    상기 운영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시나리오를 주제별로 수신하고 저장하는 시나리오 DB;
    상기 운영자 단말로부터 상기 시나리오에 대한 예상변형문장과 상기 예상변형문장에 대한 교육 정보를 주제별 및 레벨별로 수신하고 저장하는 교육DB;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주제와 상기 시나리오DB 및 상기 교육DB에 존재하는 주제와 비교하는 주제처리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레벨과 상기 예상변형문장의 레벨을 비교하는 레벨처리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성으로 입력된 문장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모듈;
    상기 음성인식모듈로부터 인식된 문장을 문자로 변형하는 문자변형모듈;
    상기 문자로 변형된 문장이 상기 교육DB에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상기 레벨처리모듈의 비교 결과를 통해 교육을 실시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교육을 실시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문자로 변형된 문장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는 교육처리모듈;
    상기 문자로 변형된 문장이 상기 시나리오DB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문자로 변형된 문장에 대한 상기 시나리오 상의 다음 문장을 출력하는 시나리오처리모듈;
    상기 교육처리모듈에서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시나리오처리모듈에서 상기 시나리오DB에 상기 문자로 변형된 문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에러처리모듈;
    상기 에러 메시지를 유발한 문장의 입력 빈도수를 판단하는 빈도수처리모듈; 및
    상기 에러 메시지를 유발한 문장의 입력 빈도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운영자 단말을 통해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처리모듈;을 포함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교육처리모듈은 상기 시나리오처리모듈의 상기 시나리오DB 검색보다 선행하여 상기 문자로 변형된 문장에 대해 교육을 실시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시나리오DB에 입력된 시나리오는 같은 주제의 교육DB에 입력된 예상변형문장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예상변형문장은 상기 시나리오의 문장에 대해 문법 오류 및 발음 오류가 발생하여 상기 시나리오의 문장과 다른 의미가 될 수 있는 제1변형문장과, 상기 시나리오의 문장과 비교해서 예의에 어긋나거나 연음법칙에 어긋나는 오류가 발생하여 상기 시나리오의 문장과 같은 의미가 전달될 수 있는 제2변형문장을 포함하는 언어 교육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인공지능(AI) 음성인식 스피커를 포함하는 언어 교육 시스템.
KR1020170148830A 2017-11-09 2017-11-09 언어 교육 방법 및 언어 교육 시스템 KR101983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830A KR101983031B1 (ko) 2017-11-09 2017-11-09 언어 교육 방법 및 언어 교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830A KR101983031B1 (ko) 2017-11-09 2017-11-09 언어 교육 방법 및 언어 교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947A KR20190052947A (ko) 2019-05-17
KR101983031B1 true KR101983031B1 (ko) 2019-05-29

Family

ID=66672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830A KR101983031B1 (ko) 2017-11-09 2017-11-09 언어 교육 방법 및 언어 교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0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12461A (ja) * 2009-12-16 2013-04-11 浦項工科大學校 産學協力團 外国語学習装置及び対話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974B1 (ko) * 2003-06-26 2010-04-15 주식회사 케이티 미등록어 처리를 지원하는 음성 인식 시스템과 방법 및이를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20090058320A (ko) * 2007-12-04 2009-06-09 주식회사 케이티 외국어 회화 교육을 위한 예제기반 대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79546A (ko) * 2012-12-14 2014-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화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12461A (ja) * 2009-12-16 2013-04-11 浦項工科大學校 産學協力團 外国語学習装置及び対話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최승권 외 5명. 챗봇과 대화시스템을 이용한 영어 교육 시스템. 2017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04., 제24권, 제1호, pp.958-92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947A (ko) 201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9250B2 (en) Pronunciation guided by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US10217464B2 (en) Vocabulary generation system
US10431203B2 (en) Machine training for native language and fluency identification
US20180137109A1 (en) Methodology for automatic multilingual speech recognition
KR102191425B1 (ko) 인터랙티브 캐릭터 기반 외국어 학습 장치 및 방법
US7996209B2 (en) Method and system of generating and detecting confusing phones of pronunciation
JP4680714B2 (ja) 音声認識装置および音声認識方法
CN110797010A (zh) 基于人工智能的问答评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1551947A (zh) 辅助口语语言学习的计算机系统
CN111192570B (zh) 语言模型训练方法、系统、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0782880B (zh) 一种韵律生成模型的训练方法及装置
KR20200080914A (ko) 언어학습을 위한 양국어 자유 대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59995A (ko) 학습 기반의 외국어 말하기 평가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041642A (ko) 외국어 발음 학습기
KR101983031B1 (ko) 언어 교육 방법 및 언어 교육 시스템
Mote et al. Tactical language detection and modeling of learner speech errors: The case of Arabic tactical language training for American English speakers
KR100979561B1 (ko) 대화형 언어 학습 장치
JPH03226785A (ja) 音声認識装置付き語学用教育装置
Al-Barhamtoshy et al. Speak correct: phonetic editor approach
KR20150015126A (ko) 외국어 유창성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2361205B1 (ko) 발음 교정 시스템의 구동 방법
CN112346696B (zh) 虚拟助理的语音比较
JP703963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405547B1 (ko) 딥러닝 기반의 발음 평가 시스템
KR101949880B1 (ko) 작문 오류 식별 및 평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