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483B1 -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483B1
KR101982483B1 KR1020160128834A KR20160128834A KR101982483B1 KR 101982483 B1 KR101982483 B1 KR 101982483B1 KR 1020160128834 A KR1020160128834 A KR 1020160128834A KR 20160128834 A KR20160128834 A KR 20160128834A KR 101982483 B1 KR101982483 B1 KR 101982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s
guide
drone
monitoring syste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8595A (ko
Inventor
방상봉
Original Assignee
방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상봉 filed Critical 방상봉
Priority to KR1020160128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483B1/ko
Publication of KR20180038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12Roto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B64C2201/024
    • B64C2201/042
    • B64C2201/108
    • B64C2201/127
    • B64C2201/14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1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 B64U2201/104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using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e.g. G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시설물의 내부 또는 외부의 촬영 또는 상태 감지를 위한 측정 장비를 구비한 드론; 상기 시설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제공되어 드론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라인; 상기 드론에 제공되고, 상기 드론이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드론을 상기 가이드 라인에 선택적으로 구속하는가이드 유닛; 및 상기 드론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드론의 충전 또는 배터리 교체가 이루어지는 착륙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MORNITORING SYSTEM USING DRONE}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인 로봇인 드론(Drone)은 최초에 군사용으로 개발되었으나,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며 조작이 용이한 이점을 가지고 있어 근래에는 텔레비전 방송 등을 위한 촬영 용도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드론을 이용하여 무인 배달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사람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물건 배송이 가능하며, 송수신자와 드론 간의 상호인증을 통해 안전한 무인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도 등장하였으며, 노지와 온실 등 원예시설의 환경을 감지하거나, 작물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촬영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기술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비닐하우스 등의 시설물은 드론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많기 때문에 드론이 추락할 위험성이 있고, 이에 따라, 추락하는 드론이 내부에서 작업하는 사람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없애기 위하여 드론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나, 유선 드론이 레일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이동하는 방법이므로, 비닐하우스 등의 시설물 복수 개를 감지 및 촬영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시설에 별도로 드론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72519호 (2016.06.23.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하나의 드론으로 여러 장소에서 사용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무선으로 사용되는 드론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시설물의 내부 또는 외부의 촬영 또는 상태 감지를 위한 측정 장비를 구비한 드론; 상기 시설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제공되어 상기 드론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라인; 상기 드론에 제공되고, 상기 드론이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드론을 상기 가이드 라인에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가이드 유닛; 및 상기 드론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드론의 충전 또는 배터리 교체가 이루어지는 착륙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론은 GPS 좌표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 라인보다 낮은 높이에서 이동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라인은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시설물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시설물의 외부에 형성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설물은 상기 드론이 출입하는 출입구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라인은 상기 드론을 상기 출입구로 안내하는 입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부는 상기 시설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부분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가이드 라인과 비접촉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라인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입구부는 상기 출입구에 가까워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태로 형성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설물은 복수 개가 제공되고, 상기 착륙 스테이션은 상기 시설물의 사이의 상기 드론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론은, 상기 시설물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시설물의 외부에서는 GPS 신호를 따라 이동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론은,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날개; 상기 바디부를 지지하는 다리부; 상기 바디부에 제공되는 끼움부; 및 전력을 저장하고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에 상기 가이드 유닛이 결합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바디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가이드 라인을 감싸고, 일부가 개방된 고리부; 상기 고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가이드 라인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고리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드론에 연결되는 2개 이상의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사이에 제공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가이드 라인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가이드 라인과 상기 가이드 유닛의 간격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라인과 상기 가이드 유닛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부는 상기 가이드 라인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공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론에 승강부가 제공되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승강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전력선이 제공되고, 상기 전력선을 통하여 상기 드론과 상기 가이드 유닛이 정보를 주고받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하나 이상의 조인트를 포함하여 연결되거나, 텔레스코프 형태로 제공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륙 스테이션은, 지지부; 상기 드론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 및 상기 드론의 배터리가 충전 및 교체되는 배터리 처리부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륙 스테이션은, 상기 드론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드론을 안내하는 안내 유닛을 더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 유닛은, 상기 지지부와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는 착탈부; 및 상기 착탈부와 연결되고, 상기 드론을 상기 안착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레일을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론은 상기 드론 또는 상기 시설물에 제공된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안착부로 자동 또는 작동 장치의 제어에 따라 비행 가능한 것인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드론의 위치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은 하나의 드론으로 여러 장소에서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무선으로 사용되는 드론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드론의 비행을 단순화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드론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드론의 충전 또는 배터리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드론의 경로를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드론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가이드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륙 스테이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착륙 스테이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태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드론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가이드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1)은 작물 등의 촬영 또는 상태 감지를 하는 드론(10)과, 드론(1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라인(20)과, 가이드 라인(20)에 선택적으로 구속되어, 드론(10)과 가이드 라인(20)을 연결할 수 있는 가이드 유닛(30)과, 가이드 라인(20)이 설치되는 비닐하우스 등의 시설물(40)과, 드론(10)의 충전 또는 배터리 교체가 이루어지는 착륙 스테이션(50)을 포함할 수 있다.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1)은 원예시설, 창고, 공장 등 상태 감지나 촬영 등이 필요한 시설물(40)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써, 작동장치(미도시)를 사용하여 드론(10)을 이동시켜 사용되거나, 드론(10)이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작동장치(미도시)는 앱(app)을 이용한 스마트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등의 다양한 전자기기일 수 있다.
드론(10)은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전파의 유도 또는 자체 프로그램에 의해서 비행하는 비행체로서,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부(110)와, 바디부(11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날개(120)와, 바디부(110)를 지지하는 다리부(130)와, 캠(미도시)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승강부(140)와, 전력을 저장하고 공급하는 배터리부(160)가 포함될 수 있다.
드론(10)은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부(110)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바디부(110)에는 온/습도, 가스의 농도 등을 측정하거나 누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으며, 관찰하고자 하는 대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닐 하우스 등 시설물(40)의 작물 등 대상의 상태를 감지 또는 촬영할 수 있다.
한편, 바디부(110)의 일단에는 드론(10)이 비행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날개(120)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날개(120)는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4개가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
바디부(110)의 하면에는 바디부(110)를 지지하는 다리부(130)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하면은 바디부(110)에서 날개(120)가 제공되는 면의 반대 면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날개(120)와 다리부(130)는 각각 바디부(110)의 다른 면에 제공된다.
다리부(130)는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으며, 드론(10)이 안정적으로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바디부(110)의 중심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ㄷ'자 형태의 다리부(130) 2개가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다리부(130)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각 날개(120)의 반대 면에 동일한 크기의 직선 형태의 다리부(130)가 4개 제공될 수 있다.
드론(10)이 지면 등에 착륙하면 다리부(130)가 가장 먼저 착륙 지점에 도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드론(10)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으며 안정적으로 균형을 잡을 수 있게 된다.
바디부(110)의 상면 중심에는 승강부(140)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면은 날개(120)가 제공되는 면을 의미한다.
승강부(140)는 드론(10)의 내부에 제공되는 모터(미도시)와 캠(미도시)에 의해서 회전 및 상하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미도시)가 구동력을 전달하여 캠(미도시)이 회전하고, 캠(미도시)이 회전함으로써 캠(미도시)과 연결된 승강부(140)가 회전하며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부(140)에는 가이드 유닛(30)에 끼워질 수 있도록 중심에 일정 크기의 홀이 제공될 수 있으며, 승강부(140)와 가이드 유닛(30)의 연결은 후술하겠다.
승강부(140)의 양측에는 끼움부(150)가 제공될 수 있다. 끼움부(150)는 가이드 유닛(30)의 일부가 끼워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승강부(140)와 함께 가이드 유닛(30)과 드론(10)을 결합할 수 있다.
바디부(110)에는 드론(10) 내부에 전력을 저장하고, 모터(미도시)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160)가 제공될 수 있다. 배터리부(160)는 바디부(110)의 하면에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다리부(130)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부(160)는 충전 및 교체가 모두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드론(10)은 통신부(미도시)를 통하여 작동장치(미도시)와 연결되고, 사용자가 작동장치(미도시)를 통해 구동함으로써 날개(120)가 회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작동장치(미도시)가 모터를 구동하여 승강부(140)가 회전 및 상하 이동될 수 있게 하며, 이에 따라, 드론(10)과 가이드 유닛(30)의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또는, 드론(10)은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스스로 이동될 수 있으며, 드론(10)이 이동하기 위한 경로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좌표 경로를 따라 드론(10)은 이동할 수 있으며, 드론(10)이 이동하기 위한 GPS 좌표 경로는 드론(10)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가이드 라인(20)은 원예시설, 창고, 공장 등 시설물(4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드론(10)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시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라인(20)은 레일, 와이어, 로프 등으로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하나의 시설물(40)에 제한되지 않고, 여러 시설물(40)을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라인(20)은 곡선을 포함하도록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라인(20)이 여러 시설물(40)에 설치될 경우에는, 드론(10)이 가이드 라인(20)을 따라 막힘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시설물(40)에 드론(10)의 출입구(41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시설물(40) 각각에 별도의 드론(10)을 설치하지 않고, 하나의 드론(10)이 가이드 라인(20)을 따라 복수의 시설물(40)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드론(10)이 가이드 라인(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드론(10)을 가이드 라인(20)에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가이드 유닛(30)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유닛(30)의 구속은, 접촉식 구속 및 비접촉식 구속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유닛(30)은 드론(10)과 가이드 라인(20)을 연결하는 비접촉식 부재로서, 가이드 라인(20)을 감싸는 고리부(310)와, 고리부(310)를 개폐하는 개폐부(320)와, 가이드 라인(2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330)와, 고리부(310)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340)와, 연장부(340)의 일측에 제공되어 드론(10)에 연결되는 2개 이상의 돌출부(350)와, 돌출부(350)의 사이에 제공되는 연결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고리부(310)는 가이드 라인(20)을 감싸도록 가이드 라인(20)과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 단면을 갖는 가이드 라인(20)과 가이드 라인(20)의 단면보다 큰 원형의 고리부(310)를 예로 도시하였다. 이때, 고리부(310)는 가이드 라인(2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내부가 빈 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고리부(310)는 가이드 라인(20)과 접촉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가이드 라인(20)의 단면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고리부(310)의 일측에는 개폐부(320)가 제공될 수 있다. 개폐부(320)는 고리부(310)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할 수 있는 것으로써, 고리부(310)의 비어있는 관 내부 공간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는 이동부(321)와, 이동부(321)의 이동을 조절하는 회전부(322)와, 회전부(32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이동부(321)의 길이는 고리부(310)의 관 내부 둘레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동부(321)의 길이가 고리부(310)의 관 내부 둘레의 절반에 해당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동부(321)의 바깥쪽 일부가 톱니를 갖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동부(321)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동부(321) 바깥쪽 전체가 톱니를 갖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동부(321)는 회전부(322)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회전부(322)는 톱니 바퀴 형태일 수 있으며, 회전부(322)의 톱니 크기는 이동부(321)의 톱니 크기와 동일하다. 즉, 이동부(321)의 톱니가 회전부(322)의 톱니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회전부(322)의 회전에 따라 이동부(321)가 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회전부(322)는 후술할 연장부(340)의 내부에 위치되어 고리부(310) 내부에 제공되는 이동부(321)와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리부(310)를 폐쇄하기 위해서는, 이동부(321)가 고리부(310)의 비어있는 관 내부에 제공된 상태(개방 상태)로 제공되고, 고리부(310)가 가이드 라인(20)을 감싸도록 위치되면, 후술할 센서부(330)가 가이드 라인(20)과 고리부(310)의 간격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고리부(310)와 가이드 라인(20)의 간격이 미리 저장해둔 간격으로 감지되면,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회전부(322)가 고리부(310)의 개방된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이동부(321)도 회전부(322)와 접촉하여 고리부(310)의 개방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고리부(310)가 폐쇄될 수 있다.
또한, 고리부(310)에서 가이드 라인(20)이 빠질 수 있도록, 개폐부(320)를 조절할 수 있다. 작동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가 드론(10)에 가이드 유닛(30)의 작동을 송신하면, 드론(10)은 전력선(미도시)을 통해 가이드 유닛(30)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고리부(310)의 개방을 수신한 가이드 유닛(30)은 모터(미도시)를 통해 고리부(310) 개방 부분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부(322)를 회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회전부(322)와 접촉한 이동부(321)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이동부(321)가 다시 고리부(31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되면서, 고리부(310)가 개방될 수 있다.
고리부(310)는 가이드 라인(20)이 일정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도록, 가이드 라인(2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330)가 제공될 수 있다. 센서부(330)는 고리부(310)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라인(20)과 가까운 위치인 고리부(310)의 내측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라인(20)이 고리부(310) 내부의 중심에서 벗어나 한쪽으로 쏠리게 되면 센서부(330)가 가이드 라인(20)의 위치를 감지하여, 가이드 유닛(30)이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센서부(330)에서 감지한 값은 가이드 유닛(30)과 드론(10)을 이어주는 전력선(미도시)을 통해 전달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드론(10)이 자동으로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가이드 유닛(30)이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330)를 통해 가이드 라인(20)과 가이드 유닛(30)이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 라인(20)과 가이드 유닛(30)은 비접촉 상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고리부(310)의 일측에는 연장부(340)가 제공될 수 있다. 연장부(340)는 고리부(310)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으며, 이때, 고리부(310)의 하측은 드론(10)을 향한 방향이다.
연장부(340)는 도2의 (a)와 같이 하나의 몸체로 이루일 수 있으며, (b)와 같이 연장부(340)가 2개 이상 제공되어 하나 이상의 조인트로 연결된 형태일 수도 있다. 이때, 연장부(340)에 하나 이상의 조인트가 제공됨으로써, 고리부(310)가 가이드 라인(20)을 따라 이동될 때, 연장부(340)의 하측에 연결되는 드론(10)이 보다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c)와 같이 연장부(340)가 텔레스코프(telescope) 형태로 제공되어, 필요에 따라 수직 방향의 길이가 조절될 수도 있다. 이때, 수직 방향의 길이는 고리부(310)와 드론(20) 사이의 길이이다.
연장부(340)의 일단에는 둘출부(350)가 제공될 수 있다. 돌출부(350)는 고리부(310)가 제공되지 않는 연장부(340)의 일단에 2개 이상 제공될 수 있다. 돌출부(350)는 드론(10)의 바디부(110)의 끼움부(1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연장부(340) 및 돌출부(350)가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돌출부(350)가 바디부(110)의 상면에 제공되는 끼움부(15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350)의 사이에는 드론(10)과의 결합을 확실하게 하기 위한 연결부(360)가 제공될 수 있다. 연결부(360)는 돌출부(350)가 드론(10)의 끼움부(150)에 끼워진 후, 승강부(140)가 상측으로 회전되어 이동함으로써 승강부(140)의 홀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연결부(360)는 승강부(140)의 홀과 같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350)와 연결부(360)가 2중으로 드론(10)에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60)의 내부에는 드론(10)과 연결될 수 있도록 전력선(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부(330)가 가이드 라인(20)의 위치를 감지하여, 드론(10) 및 작동장치(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륙 스테이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착륙 스테이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드론(10)이 안정적으로 착륙할 수 있는 착륙 스테이션(50)이 제공될 수 있다.
착륙 스테이션(50)은 지지부(510)와, 지지부(510)와 분리가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착탈부(520)와, 드론(10)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530)와, 드론(10)의 배터리부(160)의 교체 및 충전이 이루어지는 배터리 처리부(540)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착륙 스테이션(50)은 시설물(4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제한 없이 드론(10)의 이동 경로 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의 시설물(40)에 가이드 라인(20)이 설치된 경우에는 시설물(40)과 시설물(40)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착륙 스테이션(50)은 지지부(510)를 통해 지면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510)는 직사각형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지지부(51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4개의 다리를 갖는 테이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지지부(510)에는 드론(10)의 위치를 감지하여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위치 센서(511)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위치 센서(511)에서 드론(10)의 위치를 감지하여 드론(10)의 통신부(미도시)로 전송하면, 드론(10)은 이러한 센서 값에 따라 자동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위치 센서(511)는 지지부(510)의 상부 바깥쪽에 제공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위치 센서(511)가 각각 지지부(510)의 상면 모서리와 일정한 간격을 갖는 위치에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
지지부(510)의 상부에는 지지부(510)와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는 착탈부(520)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착탈부(520)는 지지부(510)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위치 센서(511) 사이에 착탈부(520)가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
착탈부(520)의 상부에는 안착부(530)가 제공되어, 원예시설, 창고, 공장 등의 감지 및 촬영이 끝난 드론(10)이 이동하여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착륙 스테이션(50)의 주변에 복수의 카메라(미도시)를 설치하여 드론(10)의 GPS에 따른 절대 위치 또는 안착부(530)와의 상대 위치를 감지하여 드론(10)에 전송하고, 해당하는 위치 값과 드론(10)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안착부(530)의 GPS 좌표를 토대로 하여, 드론(10)이 자동으로 안착부(530)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530)에 별도의 충전 단자(미도시)가 제공되어 드론(10)이 안착부(530)에 안착될 경우, 해당 충전 단자(미도시)와 접촉하여 배터리부(160)가 충전될 수 있다. 이때, 안착부(530)에 드론(10)이 안착되면, 사용자가 작동 장치(미도시)를 통해 충전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나, 안착부(530)의 충전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안착부(530)에 드론(10)이 안착되어 충전 단자와 접촉하면 자동으로 충전이 시작될 수 있다.
착탈부(520)의 상부에는 배터리의 교체 및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배터리 처리부(540)가 제공될 수 있다. 배터리 처리부(540)는 안착부(530)에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드론(10)이 안착부(530)에 제공되었을 때, 드론(10)의 배터리부(160)와 같은 선상에 위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배터리 처리부(54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착탈부(520)가 아닌 지지부(510)의 상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탈부(520)가 지지부(510)에서 분리될 경우, 안착부(530)와 배터리 처리부(540)도 분리되어, 배터리 처리부(540)는 지지부(510)에 남아있을 수 있다.
드론(10)이 안착부(530)에 제공되면, 사용자는 작동장치(미도시)를 통해 배터리부(160)의 충전 또는 배터리부(160)의 교환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충전 대신 배터리부(160)의 교환을 선택하면, 배터리 처리부(540)가 모터(미도시)에 의해 작동하여 드론(10)의 배터리부(160)를 밀어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충전을 선택하면 충전 단자(미도시)를 통하여 드론(10)이 충전되고, 교체를 선택하면 배터리 처리부(540)가 작동되어 배터리 처리부(540) 내부에 제공된 충전된 배터리가 드론(1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배터리부(160)가 외부로 밀려나고, 배터리 처리부(540)에 장착된 충전된 배터리가 배터리부(160)의 위치로 이동하여 바디부(110)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처리부(540)의 작동은 액추에이터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배터리 처리부(540)의 작동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배터리부(160)의 충전은 안착부(530)가 아닌 배터리 처리부(54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착부(530)와 배터리 처리부(540)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 배터리부(160) 역시 배터리 처리부(54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착부(530)의 충전 단자(미도시)를 통하지 않고, 배터리 처리부(540)의 충전 단자(미도시)를 통해 배터리부(160)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처리부(540)는 배터리부(160)의 충전 및 교체가 모두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510)의 일측에는 이동 레일(550)이 제공될 수 있다. 이동 레일(550)은 가이드 라인(20)이 설치된 높이까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으며, 착탈부(520)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가이드 유닛(30)을 통해 가이드 라인(20)과 접촉 또는 비접촉식으로 연결된 드론(10)이 안착부(530)에 안착되면, 가이드 유닛(30)과 가이드 라인(20)의 연결이 해제되고, 안착부(530)와 드론(10)이 이동 레일(550)을 따라 배터리 처리부(540)까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드론(10)이 충전된 후, 이동 레일(550)을 따라 가이드 라인(20)까지 이동할 수 있으며, 드론(10)이 안착부(530)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가이드 유닛(30)이 드론(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론(10)과 가이드 유닛(30)이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 레일(550)을 따라 드론(10)이 이동할 수 있고, 가이드 라인(20)이 제공된 위치까지 이동하면 가이드 유닛(30)의 개폐부(320)가 열려 고리부(310)가 가이드 라인(20)을 감싸도록 위치되고, 개폐부(320)가 다시 닫힐 수 있다. 가이드 유닛(30)을 통하여 가이드 라인(20)과 드론(10)이 연결되고 고리부(310)가 폐쇄되면, 드론(10)은 안착부(530)에서 자동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드론(10)이 분리되면 착탈부(520)는 다시 이동 레일(550)을 통해 지지부(510)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동 레일(55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동 레일(550)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드론(10)이 착륙 스테이션(50)이 아닌 다른 위치에 착륙하면, 이동 레일(550)을 통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정확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겠다.
가이드 라인(20)에 연결된 드론(10)은 가이드 라인(20)을 따라 가이드 유닛(30)과 함께 이동하여 센서(미도시)를 통해 시설의 상태를 감지하거나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대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라인(20)은 복수의 시설물(4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나의 드론(10)으로 시설물(4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제한받지 않고, 복수의 시설물(40)에서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 유닛(30)을 통해 드론(10)이 가이드 라인(20)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됨으로써, 무선으로 사용되는 드론(10)의 추락을 방지하고, 별도의 장애물 회피 시설을 포함하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 라인(20)을 따라 드론(10)이 이동됨으로써, 드론(10)의 비행을 단순화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드론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착륙 스테이션(50)에 드론(10)을 안착시키는 것만으로 드론(10)을 충전하거나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드론(10)의 충전 또는 배터리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드론(10)이 가이드 라인(2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가이드 유닛(30)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가이드 라인(20)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자유도가 보장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 라인(20)을 통해 드론(10)의 경로를 자유롭게 구성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는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가이드 라인(20)과 접촉되는 고리부(310')가 제공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일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태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10)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1')은 가이드 라인(20)에 접촉되어 연결되는 고리부(310')가 제공될 수 있다.
고리부(310')는 가이드 라인(2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부가 개방된 형태인 'ㄷ'자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가이드 라인(20)이 고리부(310')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개방된 부분의 끝부분에 돌기부(311')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라인(20)에 고리부(31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리부(310')가 안정적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가이드 라인(20)은 레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드론(10)이 가이드 라인(20)의 GPS 좌표를 토대로 가이드 라인(20) 위치까지 자동으로 이동하면, 사용자가 작동장치(미도시)를 통하여 가이드 유닛(30')의 고리부(310')를 가이드 라인(20)에 끼움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론(10)이 가이드 라인(20)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가이드 유닛(30')의 연장부(340)가 조인트 결합될 경우, 드론(10)이 보다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하여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또 다른 실시예에는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가이드 라인(20")과 가이드 유닛(30")이 결합 없이 별도로 제공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일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10)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1")은 가이드 라인(20")과 가이드 유닛(30")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라인(20")은 일부가 유색으로 테이핑되거나 유색으로 도색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빛의 반사율이 가장 큰 차이를 보이도록 테이핑 또는 도색된 부분은 검은색으로 제공되고, 그 외의 부분은 흰색으로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 유닛(30")은 라인 트레이서(Line Tracer)로써, 가이드 라인(2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와 가이드 라인(20")과 가이드 유닛(30")의 거리 간격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330")와, 드론(10)이 가이드 라인(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즉, 드론(10)이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미리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가이드 라인(20")의 GPS 좌표를 통해 가이드 라인(20")을 인식할 수 있는 장소로 자동으로 이동하면, 드론(10)에 결합된 가이드 유닛(30")이 가이드 라인(20")의 위치 및 간격을 감지하여 전력선(미도시)을 통해 드론(10)으로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드론(10)이 가이드 라인(2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가이드 라인(20")을 따라 자동으로 주행할 수 있다. 이때, 드론(10)은 가이드 라인(20")보다 낮으면서 가이드 라인(20")을 안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높이로 주행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라인(20")에는 소정의 트리거(Trigger, 210")가 제공될 수 있다. 트리거(210")는 식별표시, RFID 태그, NFC 태그, 바코드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가이드 라인(20")의 일측에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론(10)의 출입구(410)와 가까운 위치에 트리거(210")가 제공될 경우, 드론(10)이 트리거(210")를 인식하면 다음 시설물(40)로 이동하거나, 착륙 스테이션(40)으로 이동하여 충전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GPS 위치오차가 5m 이상이면, GPS 좌표만으로는 드론(10)이 가이드 라인(20")을 인식할 수 있는 장소로 이동하기가 힘들어진다. 따라서, 시설물(10)에 가이드 라인(20")이 설치될 때, 가이드 라인(20")이 시작되는 부분, 즉, 드론(10)의 출입구(410) 측에 입구부(220")가 제공될 수 있다.
입구부(220")는 시설물(40)의 외부로 나와있는 끝부분의 넓이가 가장 넓게 형성되고, 넓이가 점차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일부 제공되다가, 시설물(40)의 내부에서는 동일한 넓이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론(10)이 카메라 등의 인식 수단(미도시)으로 입구부(220")를 인지하면, 주변으로 조금씩 이동하면서 입구부(220")가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이드 라인(20")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오차가 큰 GPS 기반으로도 드론(10)이 가이드 라인(20")을 감지할 수 있고, 넓이가 좁아지는 방향을 따라 주행하면서, 점차적으로 위치 오차를 줄여 정밀한 주행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1', 1": 모니터링 시스템 10: 드론
20, 20": 가이드 라인 30, 30', 30": 가이드 유닛
40: 시설물 50: 착륙 스테이션
110: 바디부 120: 날개
130: 다리부 140: 승강부
150: 끼움부 160: 배터리부
210": 트리거 220": 입구부
310, 310': 고리부 320: 개폐부
321: 이동부 322: 회전부
330, 330": 센서부 340: 연장부
350: 돌출부 360: 연결부
410: 출입구 510: 지지부
511: 위치 센서 520: 착탈부
530: 안착부 540: 배터리 처리부
550: 이동 레일

Claims (20)

  1. 하나 이상의 시설물의 내부 또는 외부의 촬영 또는 상태 감지를 위한 측정 장비를 구비한 드론;
    상기 시설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제공되어 상기 드론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라인;
    상기 드론에 제공되고, 상기 드론이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드론을 상기 가이드 라인에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가이드 유닛; 및
    상기 드론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드론의 충전 또는 배터리 교체가 이루어지는 착륙 스테이션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라인은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시설물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시설물의 외부에 형성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GPS 좌표를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 라인보다 낮은 높이에서 이동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은 상기 드론이 출입하는 출입구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라인은 상기 드론을 상기 출입구로 안내하는 입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부는 상기 시설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부분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가이드 라인과 비접촉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라인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입구부는 상기 출입구에 가까워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태로 형성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7. 하나 이상의 시설물의 내부 또는 외부의 촬영 또는 상태 감지를 위한 측정 장비를 구비한 드론;
    상기 시설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제공되어 상기 드론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라인;
    상기 드론에 제공되고, 상기 드론이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드론을 상기 가이드 라인에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가이드 유닛; 및
    상기 드론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드론의 충전 또는 배터리 교체가 이루어지는 착륙 스테이션을 포함하되,
    상기 시설물은 복수 개가 제공되고,
    상기 착륙 스테이션은 상기 시설물의 사이의 상기 드론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상기 시설물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시설물의 외부에서는 GPS 신호를 따라 이동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날개;
    상기 바디부를 지지하는 다리부;
    상기 바디부에 제공되는 끼움부; 및
    전력을 저장하고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에 상기 가이드 유닛이 결합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바디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11. 하나 이상의 시설물의 내부 또는 외부의 촬영 또는 상태 감지를 위한 측정 장비를 구비한 드론;
    상기 시설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제공되어 상기 드론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라인;
    상기 드론에 제공되고, 상기 드론이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드론을 상기 가이드 라인에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가이드 유닛; 및
    상기 드론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드론의 충전 또는 배터리 교체가 이루어지는 착륙 스테이션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가이드 라인을 감싸고, 일부가 개방된 고리부;
    상기 고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가이드 라인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고리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드론에 연결되는 2개 이상의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사이에 제공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12. 하나 이상의 시설물의 내부 또는 외부의 촬영 또는 상태 감지를 위한 측정 장비를 구비한 드론;
    상기 시설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제공되어 상기 드론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라인;
    상기 드론에 제공되고, 상기 드론이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드론을 상기 가이드 라인에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가이드 유닛; 및
    상기 드론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드론의 충전 또는 배터리 교체가 이루어지는 착륙 스테이션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가이드 라인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가이드 라인과 상기 가이드 유닛의 간격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라인과 상기 가이드 유닛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가이드 라인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공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에 승강부가 제공되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승강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전력선이 제공되고,
    상기 전력선을 통하여 상기 드론과 상기 가이드 유닛이 정보를 주고받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하나 이상의 조인트를 포함하여 연결되거나, 텔레스코프 형태로 제공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 스테이션은,
    지지부;
    상기 드론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 및
    상기 드론의 배터리가 충전 및 교체되는 배터리 처리부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 스테이션은,
    상기 드론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드론을 안내하는 안내 유닛을 더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유닛은,
    상기 지지부와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는 착탈부; 및
    상기 착탈부와 연결되고, 상기 드론을 상기 안착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레일을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상기 드론 또는 상기 시설물에 제공된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안착부로 자동 또는 작동 장치의 제어에 따라 비행 가능한 것인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드론의 위치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60128834A 2016-10-06 2016-10-06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82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834A KR101982483B1 (ko) 2016-10-06 2016-10-06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834A KR101982483B1 (ko) 2016-10-06 2016-10-06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595A KR20180038595A (ko) 2018-04-17
KR101982483B1 true KR101982483B1 (ko) 2019-05-28

Family

ID=62083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834A KR101982483B1 (ko) 2016-10-06 2016-10-06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4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4332A (ko) 2019-10-14 2021-04-23 한국전력공사 송배전 설비 감시용 드론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33829B (zh) * 2018-08-09 2024-04-12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无人驾驶航空器以及快递系统
WO2021157167A1 (ja) * 2020-02-07 2021-08-12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無人航空機、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102355769B1 (ko) * 2021-08-11 2022-02-08 에스제이데이타 주식회사 드론을 이용한 3차원 디지털트윈 구축방법
KR102556878B1 (ko) 2022-10-19 2023-07-18 (주)다음기술단 음영지역 자율비행 기반의 드론을 이용하여 상태평가를 수행하는 콘크리트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KR102557054B1 (ko) 2022-10-19 2023-07-19 (주)다음기술단 드론을 이용한 음영지역 자율비행 기반의 콘크리트 시설물 유지관리장치
KR102594016B1 (ko) 2023-02-23 2023-10-26 (주)다음기술단 유인 감시용 시설물 및 무인 감시용 시설물의 실측 상태평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1500A (ko) * 2011-01-11 2012-07-19 유세혁 복수개의 회전익을 가진 비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43718B1 (ko) * 2014-07-16 2016-07-2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지주형 무인비행체 격납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인비행체의 격납 및 충전방법
KR20160072519A (ko) 2014-12-15 2016-06-23 드림스페이스월드주식회사 유선드론을 적용한 작물개체 3차원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4332A (ko) 2019-10-14 2021-04-23 한국전력공사 송배전 설비 감시용 드론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595A (ko) 201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483B1 (ko)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US10007272B2 (en) Midair tethering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a docking station
US10414495B2 (en) Product delivery methods and systems utilizing portable unmanned delivery aircraft
EP3603372B1 (en) Moving robot,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terminal
US1021440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ving pallets via unmanned motorized unit-guided forklifts
US10249200B1 (en) Deployable delivery guidance
KR101981196B1 (ko) 스마트 방제로봇
CN112654470B (zh) 机器人清洁器及其控制方法
US10293938B2 (en) Unmanned aircraft systems with a custom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s of delivery utilizing unmanned aircraft systems
US20200156808A1 (en) Package acceptance, guidance, and refuel system for drone technology
JP6085153B2 (ja) 建屋内調査システム
KR101906140B1 (ko) 조류 퇴치를 위한 드론 운항시스템
US10751876B2 (en) Moving robot, method of controlling moving robot, and control program
US10679445B2 (en) Authentication device for delivery service
KR102358697B1 (ko) 엘리베이터 이용이 가능한 배달 로봇
US20210122495A1 (en) Drone landing ground station
US20180016006A1 (en) Smart unmanned aerial vehicle for home
CN110267720A (zh) 用于由无人驾驶的自主运载工具检测人类的系统和方法
AU2020202481B2 (en) Pest control assembly, system and method
US10543936B2 (en) Window unit for UAV delivery
KR20230016730A (ko) 착륙지점에 드론이 정밀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자동착륙 시스템
JP4934315B2 (ja) 監視システム、同システムを構成する移動ロボットおよび制御装置
KR101880591B1 (ko)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KR102600675B1 (ko) 무선충전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JP2023014747A (ja) 高齢者等サポート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