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280B1 -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 - Google Patents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280B1
KR101982280B1 KR1020120121547A KR20120121547A KR101982280B1 KR 101982280 B1 KR101982280 B1 KR 101982280B1 KR 1020120121547 A KR1020120121547 A KR 1020120121547A KR 20120121547 A KR20120121547 A KR 20120121547A KR 101982280 B1 KR101982280 B1 KR 101982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electrode
electrode substrates
fabric
nano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5150A (ko
Inventor
배지현
박종진
전상훈
부락 구첼투르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1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280B1/ko
Publication of KR20140055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H02N2/183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using impacting bodi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5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having a stacked or multilayer structur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704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based on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films or coatings
    • H10N30/706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based on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film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nderlying bases, e.g.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7Macromolecular composi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7Electrodes or interconnections, e.g. leads or terminals
    • H10N30/871Single-layered electrodes of multilayer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e.g. internal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8Mounts; Supports; Enclosures; Casings
    • H10N30/886Additional mechanical prestressing means, e.g. sp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10/00Electrical generator or motor structure
    • Y10S310/80Piezoelectric polymers, e.g. PVD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70Nanostructure
    • Y10S977/832Nanostructure having specified property, e.g. lattice-constant,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 Y10S977/837Piezoelectric property of nano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가 개시된다. 개시된 에너지 제너레이터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유연하고 신축성을 가지는 적어도 3개의 전극 기판과, 상기 전극 기판들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에너지 발생층;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에너지 발생층들 각각은 압전 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나노 와이어 또는 변형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유전성 탄성중합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Textile-based energry generator having stacked structure}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삼성전자가 교육과학기술부의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인 '글로벌 프론티어 연구개발 사업'의 '나노기반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한 결과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고유번호: 2011-0031659
부처명: 교육과학기술부
연구사업명: 글로벌 프론티어 연구개발 사업
연구과제명: 나노기반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연구
주관기관: 삼성전자
연구기간: 2012년 09월 ~ 2013년 08월
최근에는 입을 수 있는(wearable) 컴퓨터 등과 같이 유연하고(flexible) 신축성이 있는(stretchable) 소자 등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바, 이러한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전자 소자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용량의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 제너레이터가 필요하게 된다. 단단한 소재 위에 제작되는 에너지 제너레이터는 유연성 및 신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전자 소자와 함께 사용되기가 어려우며, 또한 소형화 및 경량화가 요구되는 전자기기에도 사용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에너지를 하베스팅(harvesting)하는 기술이 이슈화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를 하베스팅 하는 소자들은 주변 환경에 존재하는 바람이나 진동, 또는 인간의 움직임으로부터 발생되는 기계적 에너지 등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추출할 수 있는 새로운 친환경 에너지 발전소자라 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나노기술의 발달로 인해 주변 환경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하베스팅할 수 있는 나노 시스템을 이용하여 유연하고 신축성있는 에너지 제너레이터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유연하고(flexible) 신축성을 가지는(stretchable) 적어도 3개의 전극 기판; 및
상기 전극 기판들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에너지 발생층;을 구비하고,
상기 에너지 발생층들 각각은 압전 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나노 와이어(nano wire) 또는 변형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유전성 탄성중합체(dielectric elastomer)를 포함하는 에너지 제너레이터가 제공된다.
상기 에너지 발생층들 모두는 상기 나노 와이어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에너지 발생층들 모두는 상기 유전성 탄성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 발생층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나노 와이어들을 포함하고, 다른 상기 에너지 발생층들은 상기 유전성 탄성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기판들 각각은 유연하고 신축성을 가지는 직물(textile)과, 상기 직물 상에 코팅된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극층은 예를 들면, Au, Ag, Cu 및 Ni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기판들은 각각 대략 10% ~ 100%의 신장률(elongation percentage)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나노 와이어들은 예를 들면, ZnO, BaTiO3, NaNbO3, PZT, PVDF 및 PVDF 공중합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전성 탄성중합체는 예를 들면, 천연고무(natural rubber),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 및 공중합체(copolymer)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발생층이 상기 복수의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나노 와이어들의 일단과 쇼트키 컨택(schottky contact)을 형성하는 전극 기판의 표면에는 절연층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층은 예를 들면, 고분자 계열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발생층이 상기 유전성 탄성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에너지 발생층은 유전특성 향상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전특성 향상물질은 단일벽 나노튜브(SWNT), 다중벽 나노튜브(MWNT), 카본 입자(Carbon Particle), 아크릴계 고분자 및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발생층이 상기 유전성 탄성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에너지 발생층은 상기 유전성 탄성중합체 내에 함침된(embedded) 압전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전 물질은 나노 입자(Nano particle), 나노 와이어(Nano wire), 나노 로드(Nano rod), 나노 파이버(Nano fiber) 또는 나노 플라워(Nano flower)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에너지 제너레이터는 직조된 직물(woven fabrics)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기판들은 서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에너지 제너레이터는 압전 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나노 와이어 또는 유전성 탄성중합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에너지 발생층이 적층된 탠덤(tandem) 구조를 가짐으로써 출력 전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는 그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특징에 의하여 입을 수 있는(wearable) 전자소자나 대면적의 건축물 등과 같이 주변 환경을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너지 제너레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따른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 예시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소정의 물질층 기판이나 다른 층 상에 존재한다고 설명될 때, 그 물질층은 기판이나 다른 층에 직접 접하면서 존재할 수도 있고, 그 사이에 다른 제3의 층이 존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아래의 실시예에서 각 층을 이루는 물질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이외에 다른 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100)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너지 제너레이터(100)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100)는 두 개의 단위 에너지 발생소자들(110,120)이 적층된 탠덤(tandem)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너지 제너레이터(10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제2 및 제3 전극 기판(111,121,131)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 기판(111,121) 사이 및 상기 제2 및 제3 전극 기판(121,131) 사이에 각각 마련되는 제1 및 제2 에너지 발생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극 기판(111,121,131)은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직물 기반의 기판들이다. 상기 제1 전극 기판(111)은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제1 직물(112)과, 상기 제1 직물(112) 상에 코팅된 제1 전극층(11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전극 기판(121)은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제2 직물(122)과, 상기 제2 직물(122) 상에 코팅된 제2 전극층(1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전극 기판(131)은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제3 직물(132)과, 상기 제3 직물(132) 상에 코팅된 제3 전극층(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극층(113,123,133)은 예를 들면, Au, Ag, Cu 및 Ni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제2 및 제3 전극 기판(111,121,131)은 유연성 및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극 기판(111,121,131)은 대략 10% ~ 100%의 신장률을 가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 기판(111,121) 사이에는 압전 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제1 나노와이어(115)를 포함하는 제1 에너지 발생층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및 제3 전극 기판(121,131) 사이에는 압전 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제2 나노와이어(125)를 포함하는 제2 에너지 발생층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나노와이어(115,125)는 예를 들면, ZnO, BaTiO3, NaNbO3, PZT, PVDF 및 PVDF 공중합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나노와이어들(115,125)은 각각 제1 및 제2 전극(111,121) 기판 상에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성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나노와이어들(115,125)은 예를 들면,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수열법(Hydrothermal method)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나노와이어들(115,125)은 대략 1:20 ~ 1:100 정도의 종횡비(aspect ratio)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및 제2 나노와이어들(115,125)의 상단들은 각각 제2 및 제3 전극 기판(121,131)의 하면과 접촉하여 쇼트키 컨택(schottky contact)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및 제3 전극 기판(121,131)의 하면에는 각각 전극 기판들(111,121,131) 사이의 절연을 위한 제1 및 제2 절연층(124,13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절연층(124,134)은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고분자 계열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1 나노와이어들(115)이 외부의 힘에 의해 변형됨에 따라 그 양단 간에는 전위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전위차에 따른 출력 전압이 제1 및 제2 전극 기판(111,121) 사이에서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나노와이어들(125)이 외부의 힘에 의해 변형됨에 따라 그 양단 간에는 전위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전위차에 따른 출력 전압이 제2 및 제3 전극 기판(121,131) 사이에서 얻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극 기판들(111,121,131) 사이는 직렬로 연결되거나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에너지 제너레이터(100)는 유연성 및 신축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직조된 직물(woven fabrics)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너지 제너레이터(100)는 직조되지 않은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에너지 제너레이터(100)가 2개의 단위 에너지 발생소자(110,120)가 적층된 탠덤 구조를 가지는 경우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으나, 상기 에너지 제너레이터(100)는 3개 이상의 단위 에너지 발생소자들이 적층된 탠덤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3에는 4개의 단위 에너지 발생소자들(110',120',130',140')이 적층된 탠덤 구조를 가지는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100')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한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100,100')는 압전 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나노 와이어(115,125)를 포함하는 에너지 발생층들이 적층된 탠덤(tandem) 구조를 가짐으로써 출력 전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100,100')는 그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특징에 의하여 입을 수 있는(wearable) 전자소자 등과 같이 주변 환경을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200)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에너지 제너레이터(200)는 두 개의 단위 에너지 발생소자들(210,220)이 적층된 탠덤(tandem)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너지 제너레이터(20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제2 및 제3 전극 기판(211,212,213)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 기판(211,212) 사이와, 상기 제2 및 제3 전극 기판(212,213) 사이에 각각 마련되는 제1 및 제2 에너지 발생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 기판(211)은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제1 직물(212)과, 상기 제1 직물(212) 상에 코팅된 제1 전극층(21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전극 기판(221)은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제2 직물(222)과, 상기 제2 직물(222) 상에 코팅된 제2 전극층(2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전극 기판(231)은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제3 직물(232)과, 상기 제3 직물(232) 상에 코팅된 제3 전극층(2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극층(213,223,233)은 예를 들면, Au, Ag, Cu 및 Ni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극 기판(211,212,213)은 대략 10% ~ 100%의 신장률을 가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 기판(211,221) 사이에는 변형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제1 유전성 탄성중합체(215)를 포함하는 제1 에너지 발생층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및 제3 전극 기판(221,231) 사이에는 변형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제2 유전성 탄성중합체(225)를 포함하는 제2 에너지 발생층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유전성 탄성중합체(215,225)는 신장이나 수축 등과 같은 변형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물질로서, 예를 들면, 천연고무(natural rubber),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 및 공중합체(copolymer)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외에도 상기 제1 및 제2 유전성 탄성중합체(215,225)는 다른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전성 탄성중합체(215)가 외부의 힘에 의해 신장되거나 수축됨에 따라 발생되는 출력 전압이 제1 및 제2 전극 기판(211,212) 사이에서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유전성 탄성중합체(225)이 외부의 힘에 의해 신장되거나 수축됨에 따라 발생되는 출력 전압이 제2 및 제3 전극 기판(212,213) 사이에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전극 기판들(211,221,231) 사이는 직렬로 연결되거나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유전성 탄성중합체(215,225)는 후술하는 유전특성 향상물질(도 1의 315b,325b)을 포함함으로써 전기에너지의 발생을 보다 증대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에너지 제너레이터(200)는 유연성 및 신축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직조된 직물(woven fabrics)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에너지 제너레이터(200)는 직조되지 않은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에너지 제너레이터(200)가 2개의 단위 에너지 발생소자들(210,220)이 적층된 탠덤 구조를 가지는 경우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으나, 상기 에너지 제너레이터(200)는 3개 이상의 단위 에너지 발생소자들이 적층된 탠덤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200)는 변형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유전성 탄성중합체(215,225)를 포함하는 에너지 발생층들이 적층된 탠덤 구조를 가짐으로써 출력 전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200)는 그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특징에 의하여 입을 수 있는 전자소자 등과 같이 주변 환경을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300)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에너지 제너레이터(300)는 두 개의 단위 에너지 발생소자들(310,320)이 적층된 탠덤(tandem)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너지 제너레이터(30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제2 및 제3 전극 기판(311,321,331)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 기판(311,321) 사이와, 상기 제2 및 제3 전극 기판(321,331) 사이에 각각 마련되는 제1 및 제2 에너지 발생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 기판(311)은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제1 직물(312)과, 상기 제1 직물(312) 상에 코팅된 제1 전극층(313)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 기판(321)은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제2 직물(322)과, 상기 제2 직물(322) 상에 코팅된 제2 전극층(323)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전극 기판(331)은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제3 직물(332)과, 상기 제3 직물(332) 상에 코팅된 제3 전극층(3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극층(313,323,333)은 예를 들면, Au, Ag, Cu 및 Ni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극 기판(311,321,331)은 대략 10% ~ 100%의 신장률을 가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 기판(311,321) 사이에 마련되는 제1 에너지 발생층은 제1 유전성 탄성중합체(315)와 제1 압전 물질(315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및 제3 전극 기판(321,331) 사이에 마련되는 제2 에너지 발생층은 제2 유전성 탄성중합체(325)와 제2 압전 물질(325a)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유전 특성, 즉 유전율의 향상을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에너지 발생층은 각각 제1 및 제2 유전특성 향상물질(315b,325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유전성 탄성중합체(315,325)는 신장이나 수축 등과 같은 변형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압전 물질(315a,325a)은 압력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압전 물질(315a,325a)은 각각 제1 및 제2 유전성 탄성중합체(315,325) 내에 함침되어(embedded)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유전성 탄성중합체(315,325))는 예를 들면, 천연고무, 실리콘 고무, 아크릴 고무 및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압전 물질(315a,325a)은 예를 들면, ZnO, BaTiO3, NaNbO3, PZT(lead zirconate titanate), PVDF(polyvinylidene flouride) 및 PVDF 공중합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압전 물질(315a,325a)은 각각 제1 및 제2 유전성 탄성중합체(315,325) 내에서 예를 들면, 나노 입자(Nano particle), 나노 와이어(Nano wire), 나노 로드(Nano rod), 나노 파이버(Nano fiber) 또는 나노 플라워(Nano flower) 등의 형태로 함침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나노 와이어는 예를 들면, 대략 1:20 ~ 1:100 정도의 종횡비(aspect ratio)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노 로드는 상기 나노 와이어보다 낮은 종횡비를 가지며, 상기 나노 파이버는 상기 나노 와이어 보다 큰 종횡비를 가질 수 있다. 도 5에는 상기 제1 및 제2 압전 물질(315a,325a)이 각각 제1 및 제2 유전성 탄성중합체(315,325) 내에 나노 입자의 형태로 마련된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유전특성 향상물질(315b,325b)은 예를 들면, 단일벽 나노튜브(SWNT), 다중벽 나노튜브(MWNT), 카본 입자(Carbon Particle), 아크릴계 고분자 및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기판들(311,321,331) 사이는 직렬로 연결되거나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에너지 제너레이터(300)는 유연성 및 신축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직조된 직물(woven fabrics)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에너지 제너레이터(300)는 직조되지 않은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에너지 제너레이터(300)가 2개의 단위 에너지 발생소자들(310,320)이 적층된 탠덤 구조를 가지는 경우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으나, 상기 에너지 제너레이터(300)는 3개 이상의 단위 에너지 발생소자들이 적층된 탠덤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에너지 발생층들은 유전성 탄성중합체(315,325) 뿐만아니라 압전 물질 또는 압전 물질(315a,325a) 및 유전특성 향상물질(315b,325b)을 더 포함함으로써 보다 많은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에너지 발생층들이 적층되어 탠텀 구조의 에너지 제너레이터(300)를 구현함으로써 출력 전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300)는 그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특징에 의하여 입을 수 있는 전자소자 등과 같이 주변 환경을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400)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에너지 제너레이터(400)는 두 개의 단위 에너지 발생소자들(410,420)이 적층된 탠덤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너지 제너레이터(40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제2 및 제3 전극 기판(411,421,431)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 기판(411,421) 사이 및 상기 제2 및 제3 전극 기판(421,431) 사이에 각각 마련되는 제1 및 제2 에너지 발생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 기판(411)은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제1 직물(412)과, 상기 제1 직물(412) 상에 코팅된 제1 전극층(413)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 기판(421)은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제2 직물(422)과, 상기 제2 직물(422) 상에 코팅된 제2 전극층(423)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전극 기판(431)은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제3 직물(432)과, 상기 제3 직물(432) 상에 코팅된 제3 전극층(4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극층(413,423,433)은 예를 들면, Au, Ag, Cu 및 Ni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극 기판(411,421,431)은 대략 10% ~ 100%의 신장률을 가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및 제2 전극 기판(411,421) 사이에 마련되는 제1 에너지 발생층은 변형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유전성 탄성중합체(4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에너지 발생층은 압전 물질(415a)이나 또는 압전 물질(415a) 및 유전특성 향상물질(415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전성 탄성중합체(415)는 신장이나 수축 등과 같은 변형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전 물질(415a)은 압력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전 물질(415a)은 유전성 탄성중합체(415) 내에 함침되어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유전성 탄성중합체(415)는 예를 들면, 천연고무, 실리콘 고무, 아크릴 고무 및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압전 물질(415a)은 예를 들면, ZnO, BaTiO3, NaNbO3, PZT, PVDF 및 PVDF 공중합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전 물질(415a)은 유전성 탄성중합체(4151) 내에서 예를 들면, 나노 입자, 나노 와이어, 나노 로드, 나노 파이버 또는 나노 플라워 등의 형태로 함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유전특성 향상물질(415b)은 예를 들면, 단일벽 나노튜브(SWNT), 다중벽 나노튜브(MWNT), 카본 입자(Carbon Particle), 아크릴계 고분자 및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전성 탄성중합체(415)가 외부의 힘에 의해 신장되거나 수축됨에 따라 발생되는 출력 전압이 제1 및 제2 전극 기판(411,421) 사이에서 얻어질 수 있다.
제2 및 제3 전극 기판(421,431) 사이에 마련되는 제2 에너지 발생층은 압전 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나노와이어(4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나노와이어(425)는 예를 들면, ZnO, BaTiO3, NaNbO3, PZT, PVDF 및 PVDF 공중합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들(425)은 대략 1:20 ~ 1:100 정도의 종횡비(aspect ratio)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나노와이어들(425)의 상단들은 각각 제3 전극 기판(431)의 하면과 접촉하여 쇼트키 컨택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전극 기판(431)의 하면에는 제2 및 제3 전극 기판(421,431) 사이의 절연을 위한 절연층(43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434)은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고분자 계열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나노와이어들(425)이 외부의 힘에 의해 변형됨에 따라 그 양단 간에는 전위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전위차에 따른 출력 전압이 제2 및 제3 전극 기판(421,431) 사이에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전극 기판들(411,421,431) 사이는 직렬로 연결되거나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에너지 제너레이터(400)는 유연성 및 신축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직조된 직물(woven fabrics)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에너지 제너레이터(400)는 직조되지 않은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에너지 제너레이터(400)가 2개의 단위 에너지 발생소자들(410,420)이 적층된 탠덤 구조를 가지는 경우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으나, 상기 에너지 제너레이터(400)는 3개 이상의 단위 에너지 발생소자들이 적층된 탠덤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단위 에너지 발생소자들을 구성하는 에너지 발생층들 중 적어도 하나는 압전 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나노와이어를 포함하고, 다른 에너지 발생층들은 유전성 탄성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압전 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나노와이어(425)를 포함하는 에너지 발생층과 유전성 탄성중합체(415)를 포함하는 에너지 발생층이 적층되어 탠텀 구조의 에너지 제너레이터(400)를 구현함으로써 출력 전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400)는 그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특징에 의하여 입을 수 있는 전자소자 등과 같이 주변 환경을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100',200,300,400... 에너지 제너레이터
110,120,110',120'130',140'... 에너지 발생유닛
111,211,311,411... 제1 전극 기판 112,212,312,412... 제1 직물
113,213,313,413... 제1 전극층 115,125,425... 나노 와이어
121,221,321,421... 제2 전극 기판 122,222,322,422... 제2 직물
123,223,323,423... 제2 전극층 131,231,331,431... 제3 전극 기판
132,232,332.432... 제3 직물 133,233,333,433... 제3 전극층
124,134,434... 절연층 315,325,415... 유전성 탄성중합체
315a,325a,415a... 압전 물질 315b,325b,415b... 유전특성 향상물질

Claims (17)

  1.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유연하고(flexible) 신축성을 가지는(stretchable) 적어도 3개의 전극 기판; 및
    상기 전극 기판들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에너지 발생층;을 구비하고,
    상기 에너지 발생층들 중 하나는 변형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유전성 탄성중합체(dielectric elastomer) 및 상기 유전성 탄성중합체 내에 함침되는(embedded) 압전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발생층들 중 다른 하나는 압전 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기판들 각각은 유연하고 신축성을 가지는 직물(textile)과, 상기 직물 상에 코팅된 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압전 물질은 ZnO, NaNbO3, PZT, PVDF 및 PVDF 공중합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나노 와이어들의 일단과 쇼트키 컨택(schottky contact)을 형성하는 전극 기판의 표면에는 절연층이 마련되는 에너지 제너레이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은 Au, Ag, Cu 및 Ni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포함하는 에너지 제너레이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기판들은 각각 10% ~ 100%의 신장률(elongation percentage)을 가지는 에너지 제너레이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와이어들은 ZnO, BaTiO3, NaNbO3, PZT, PVDF 및 PVDF 공중합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너지 제너레이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성 탄성중합체는 천연고무(natural rubber),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 및 공중합체(copolymer)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너지 제너레이터.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고분자 계열의 물질을 포함하는 에너지 제너레이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생층들 중 하나는 유전특성 향상물질을 더 포함하는 에너지 제너레이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특성 향상물질은 단일벽 나노튜브(SWNT), 다중벽 나노튜브(MWNT), 카본 입자(Carbon Particle), 아크릴계 고분자 및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너지 제너레이터.
  13. 삭제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물질은 나노 입자(Nano particle), 나노 와이어(Nano wire), 나노 로드(Nano rod), 나노 파이버(Nano fiber) 또는 나노 플라워(Nano flower)의 형태를 가지는 에너지 제너레이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제너레이터는 직조된 직물(woven fabrics) 형태를 포함하는 에너지 제너레이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기판들은 서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에너지 제너레이터.
KR1020120121547A 2012-10-30 2012-10-30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 KR101982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547A KR101982280B1 (ko) 2012-10-30 2012-10-30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547A KR101982280B1 (ko) 2012-10-30 2012-10-30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150A KR20140055150A (ko) 2014-05-09
KR101982280B1 true KR101982280B1 (ko) 2019-05-24

Family

ID=50886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547A KR101982280B1 (ko) 2012-10-30 2012-10-30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2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166B1 (ko) * 2015-03-31 2017-03-28 한국과학기술원 압전 나노 자가발전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280875B1 (ko) * 2019-05-13 2021-07-23 한국세라믹기술원 전극 배열 및 모듈 연결 구조 최적화를 통해 우수한 출력 전압 특성을 갖는 구조진단용 모니터링 센서 및 에너지 하베스터용 플렉서블 멀티 압전체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76691A1 (en) * 2006-04-05 2010-07-15 Arjen Boersma Actuator comprising an electroactive polym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9028B2 (en) * 2007-04-03 2010-11-23 CJP IP Holding, Ltd. Nanoelectromechanical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KR101095024B1 (ko) * 2010-04-27 2011-12-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분자 복합체 액츄에이터
KR101248415B1 (ko) * 2011-04-29 2013-03-2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압전성 나노섬유 웹을 이용한 나노제너레이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76691A1 (en) * 2006-04-05 2010-07-15 Arjen Boersma Actuator comprising an electroactive polymer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lf-powered nanowire devices", Sheng Xu, NATURE NANOTECHNOLOGY, VOL 5,(2010.03.28.)*
'Materials science on the nano-scale for improvements in actuation properties of dielectric elastomer actuators', G. Kofod, Proc. SPIE 7642, Electroactive Polymer Actuators and Devices (2010.04.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150A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ndrasekaran et al. Micro-scale to nano-scale generators for energy harvesting: Self powered piezoelectric, triboelectric and hybrid devices
KR20140050393A (ko) 직물 기반의 신축성있는 에너지 제너레이터
Siddiqui et al. An omnidirectionally stretchable piezoelectric nanogenerator based on hybrid nanofibers and carbon electrodes for multimodal straining and human kinematics energy harvesting
Mahapatra et al. Piezoelectric materials for energy harvesting and sensing applications: Roadmap for future smart materials
Lee et al.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from two-dimensional boron nitride nanoflakes
Garain et al. Design of in situ poled Ce3+-doped electrospun PVDF/graphene composite nanofibers for fabrication of nanopressure sensor and ultrasensitive acoustic nanogenerator
KR102103987B1 (ko)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
Qin et al. Wearable and stretch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based on crumpled nanofibrous membranes
Fan et al. Flexible nanogenerators for energy harvesting and self‐powered electronics
CN102891249B (zh) 电能产生器件及其驱动方法
Hatta et al. A review on applications of graphene in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Lee et al. Pure piezoelectricity generation by a flexible nanogenerator based on lead zirconate titanate nanofibers
US8803406B2 (en) Flexible nanocomposite gen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631960B1 (en) Nano-piezoelectric gen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Gabris et al. Carbon nanomaterial-based nanogenerators for harvesting energy from environment
Van Ngoc et al. Flexible, transparent and exceptionally high power output nanogenerators based on ultrathin ZnO nanoflakes
CN103199737B (zh) 纳米压电发电机及其制造方法
Kim et al. Boron nitride nanotube-based contact electrification-assisted piezoelectric nanogenerator as a kinematic sensor for detecting the flexion–extension motion of a robot finger
KR101208032B1 (ko) 나노 압전 소자 및 그 형성방법
KR101336229B1 (ko) 플렉서블 나노복합 제너레이터 및 그 제조방법
Cao et al. Enhanced output performance of a flexible piezoelectric nanogenerator realized by lithium-doped zinc oxide nanowires decorated on MXene
KR101982280B1 (ko)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
Kaur et al. Synergistic Effect of Polyurethane in Polyurethane–Poly (vinylidene fluoride) Nanofiber-Based Stretchable Piezoelectric Nanogenerators (S-PENGs)
Rashid et al. Flexible piezoelectric coatings on textiles for energy harvesting and autonomous sensing applications: a review
KR101124444B1 (ko) 그라핀을 이용한 압전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