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088B1 - 사회적 상황인지 기반의 알림을 위한 단말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사회적 상황인지 기반의 알림을 위한 단말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088B1
KR101982088B1 KR1020170110214A KR20170110214A KR101982088B1 KR 101982088 B1 KR101982088 B1 KR 101982088B1 KR 1020170110214 A KR1020170110214 A KR 1020170110214A KR 20170110214 A KR20170110214 A KR 20170110214A KR 101982088 B1 KR101982088 B1 KR 101982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terminal device
user
no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3861A (ko
Inventor
이성주
박천종
임준성
김주호
이동만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10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088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04M1/72566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사회적 상황인지 기반의 알림을 위한 단말장치 및 애플리케이션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개인의 의식적인 노력을 요하거나 단말장치의 사용을 제한하지 않고도 사회적 상호작용의 방해가 최소화되도록 알림을 관리할 수 있는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사회적 상황인지 기반의 알림을 위한 단말장치 및 애플리케이션{User Terminal Device And Application For Managing Notification Based On Social Context Awareness}
본 실시예는 단말장치에 대하여 발생한 알림의 출력을 관리하는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항시 연결되어 있는 모바일 장치와 정보 과부하의 세상에서 사용자들은 하루에도 평균 수십에서 수백 번씩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장치의 알림(notification)을 수신하는 경험을 한다. 단말장치의 알림은 즉각적인 정보 전달 측면에서 유용한 면이 있으나, 무분별하게 어느 때에나 울리는 알림은 사용자의 주의를 분산시키고 성가시게 하는 주요 원인으로 간주된다. 특히, 사용자가 사회적 상호작용(예: 타인과 식사, 대화 등)을 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알림은 사용자의 주의분산뿐만 아니라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방해한다는 점에서 부적절하다.
단말장치의 알림으로 인해 사회적 상호작용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 스스로 알림을 끄거나 무음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등의 노력을 할 수는 있으나, 이는 전적으로 개인의 자기조절능력에 달린 것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는 없다. 한편, 사용자의 단말장치 사용을 단순히 제한하는 방식(예: 스마트폰 잠금)은 단말장치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까지 제한을 두므로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연구로서 알림이 발생하더라도 사용자의 작업에 대한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적절한 순간을 감지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사용자 개인의 행동에 근거하여 적절한 순간으로 알림을 다시 스케줄링한다는 것으로서, 사회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그룹 전체를 고려하지는 않기 때문에 개인의 작업에 대한 방해를 최소화하도록 스케줄링할 수는 있어도 상호작용의 방해를 최소화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개인의 의식적인 노력을 요하거나 단말장치의 사용을 제한하지 않고도 사회적 상호작용의 방해가 최소화되도록 알림을 관리할 수 있는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알림(notification)을 관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에 내장된 하나 이상의 센서 및 타 단말장치로부터 획득한 비콘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Social Interaction) 상태를 나타내는 사회적 상황(Social Context) 정보를 감지하는 과정; 상기 사회적 상황정보로부터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하나 이상의 특징점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자의 상호작용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면 상기 단말장치에 대해 발생한 알림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호작용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의 상호작용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할 때까지 상기 알림을 지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알림(notification)을 관리하기 위한 단말장치에 있어서, 내장된 하나 이상의 센서 및 타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비콘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Social Interaction) 상태를 나타내는 사회적 상황(Social Context) 정보를 감지하는 사회적 상황 감지부; 상기 사회적 상황정보로부터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하나 이상의 특징점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알림출력시기 판단부; 및 상기 사용자의 상호작용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면 상기 단말장치에 대해 발생한 알림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호작용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의 상호작용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할 때까지 상기 알림을 지연시키는 알림관리부를 포함하는 단말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가 속한 사회적 상호작용 그룹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 단말장치에 대해 발생한 알림의 전달을 적절한 순간이 올 때까지 지연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노력하거나 불필요하게 단말장치의 사용을 제한할 필요 없이 사회적 상호작용의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개인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속한 사회적 상호작용 그룹 내 멤버들의 상태를 모두 고려하여 알림의 출력이 적절한 시기를 감지하기 때문에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상황 감지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관리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알림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단말장치가 동작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100)는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단말장치(100)는 메모리, 메모리 제어기, 프로세서, 주변 인터페이스, 통신 회로, 오디오 회로, 스피커, 마이크로폰, 카메라 모듈, 센서모듈, 입출력(I/O) 서브시스템, 터치 스크린, 기타 입력 또는 제어 장치 및 외부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장치(100)는 알림(notification)을 관리하기 위해 사회적 상황 감지부(110), 알림출력시기 판단부(120) 및 알림관리부(1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의 탑재 형태는 임베디드(Embedded) 형태는 물론,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단말장치(100) 내의 운영체제(OS)에 인스톨되는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도 1의 각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단말장치(100)는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사회적 상황정보(Social Context)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현재 사회적 상호작용(Social Interaction) 상태가 알림을 출력하기에 적절한 시기인지 판단하여 알림의 출력여부를 결정한다.
이하, 도 1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회적 상황 감지부(110)는 단말장치(100)에 내장된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 및 타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무선신호(바람직하게는, 비콘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회적 상황정보를 감지한다. 여기서,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는 사용자가 타인과 식사나 대화를 하는 등 타인과 대면하여 교류를 하고 있는 상황에 대한 상태를 의미한다.
사회적 상황정보는 현재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를 설명하는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회적 상황정보는 단말장치(100)의 이동상태에 대한 정보, 단말장치(100)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 타 단말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 사용자의 대화상태에 대한 정보, 타 사용자의 대화상태에 대한 정보 및 타 사용자의 총 인원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타 사용자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와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그룹(이하, '사회적 상호작용 그룹'이라 지칭함)의 멤버를 의미하고, 타 단말장치는 타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장치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알림출력시기 판단부(120)는 사회적 상황정보로부터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하나 이상의 특징점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알림출력시기 판단부(120)는 사회적 상황정보로부터 추출된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학습데이터로 하여 학습된 분류기(classifier)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알림출력시기의 판단은 2-클래스 분류이고, 사회적 상황정보들은 서로 비선형적으로 관련되어 있고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분류기로 결정트리(decision tree)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는 i) 사용자가 속한 사회적 상호작용 그룹 내에서 일정시간 이상 대화가 없는 상태, ii) 그룹의 멤버 중 어느 한 사람이 자리에서 떠난 상태, iii) 사용자가 혼자 남겨진 상태, 및 iv) 타 사용자가 타 단말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출력시기 판단부(120)는 사회적 상호작용 그룹 내에서 5초 이상 대화가 없을 때, 그룹 내 타 사용자가 화장실에 가기 위해 자리를 떠날 때, 사용자가 혼자 남겨져 타 사용자들을 기다릴 때, 또는 그룹 내 타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장치를 사용하고 있을 때 현재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알림관리부(130)는 단말장치(100)에 대해 알림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면, 해당 알림을 출력한다. 그러나,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지 않으면, 알림관리부(130)는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할 때까지 해당 알림의 출력을 지연시킨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상황 감지부(11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상황 감지부(110)의 구성도이다.
사회적 상황 감지부(110)는 단말장치 사용상태 감지부(112), 대화상태 감지부(114), 사회적 상호작용 그룹 감지부(116) 및 활동 감지부(11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각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장치 사용상태 감지부(112)는 단말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 및 타 단말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를 감지한다. 단말장치 사용상태 감지부(112)는 사용자와 단말장치(100) 간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 사용상태 감지부(112)는 단말장치(100)의 화면 또는 터치센서가 온(on) 상태인지를 확인하여 단말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 사용상태 감지부(112)는 타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무선신호(바람직하게는, 비콘신호)로부터 타 단말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즉, 타 단말장치는 자신의 화면 또는 터치센서를 확인하여 감지한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하여,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타 단말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도록 한다.
대화상태 감지부(114)는 사용자의 대화상태에 대한 정보 및 타 사용자의 대화상태에 대한 정보를 감지한다. 대화상태 감지부(114)는 단말장치(100)에 내장된 마이크로부터 음성신호를 획득하고, 음성신호의 주파수가 사람음성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 및 음성신호의 음압 레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대화상태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대화상태 감지부(114)는 단말장치(100)의 마이크에서 획득한 음성신호에 대역통과필터를 적용하여 주변소음 및 비음성신호를 제거하고 사람음성 주파수범위(60 Hz ~ 270 Hz)의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대화상태 감지부(114)는 필터링된 음성신호에 YIN pitch detection algorithm을 적용하여 사람음성을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검출된 사람음성의 음압 레벨은 해당 음성이 단말장치의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것임을 보장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임계값(예: 55 dB) 이상이어야 한다.
사회적 상호작용 그룹 내의 대화상태를 정확히 감지하기 위해서는 타 사용자의 대화상태에 대한 정보도 필요하므로, 대화상태 감지부(114)는 타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무선신호(바람직하게는, 비콘신호)로부터 타 단말장치의 대화상태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사회적 상호작용 그룹 감지부(116)는 타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무선신호(바람직하게는, 비콘신호)로부터 타 사용자의 연락처에 대한 해시(hash)값을 획득하고, 획득한 해시값을 단말장치(100)에 기 저장되어있는 연락처 리스트(또는 외부서버로부터 획득한 연락처 리스트)에 대한 해시값들과 비교하여 타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즉, 사회적 상호작용 그룹 감지부(116)는 타 사용자의 연락처에 대한 해시값이 연락처 리스트에 있는 각 연락처에 대한 해시값들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면, 사회적 상호작용 그룹의 멤버로서 타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타 사용자의 식별과정을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 그룹 감지부(116)는 타 사용자의 총 인원수(또는 사회적 상호작용 그룹 멤버의 총 인원수)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상호작용 그룹 감지부(116)는 사용자 자신의 연락처에 대한 해시값을 비콘신호의 페이로드에 포함시켜 타 단말장치로 전송함으로써 타 단말장치로 하여금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활동 감지부(118)는 단말장치(100)의 이동상태에 대한 정보(예: 걷기 및 정지상태)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테이블로부터 걸어 나오거나 테이블을 향해 걸어가는 경우는 자리에서 떠난 상태로 추측될 수 있고, 그 밖의 경우는 자리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상태로 추측될 수 있다. 활동 감지부(118)는 활동인지 API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0)의 활동변화로부터 이동상태를 식별할 수 있고, 대안적으로는 단말장치(100)에 내장된 센서모듈(예: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스텝 센서 등)을 이용하여 센서값의 변동으로부터 이동상태를 식별할 수도 있다.
도 3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관리부(130)의 구성도이다.
알림관리부(130)는 벨소리모드 관리부(132) 및 알림 큐(notification queue, 134)를 포함한다.
벨소리모드 관리부(132)는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지 않으면, 단말장치(100)에 대해 발생한 알림을 인터셉트(intercept)하여 알림 큐(134)에 저장한다. 이후, 벨소리모드 관리부(132)는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는 것이 감지되면, 알림 큐(134)에 저장되어 있던 모든 알림을 출력한다. 벨소리모드 관리부(132)는 단말장치(100)의 본래 벨소리모드(즉, 알람, 진동 또는 무음)를 이용하여 알림 큐(134)에 저장된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알림의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지연된 알림은 알림출력시기에 도 4와 같이 단말장치(100)의 화면의 일부(400)에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알림관리부(130)는 지연된 알림이 있음을 알리면서 몇 개의 알림 지연되었는지 표시할 수 있다(410). 또한, 알림관리부(130)는 지연된 알림의 세부정보 즉, 각 알림이 실제 발생한 시간, 알림의 내용 등을 더 표시할 수 있다(42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단말장치(100)가 동작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말장치(100)는 내장된 하나 이상의 센서 및 타 단말장치로부터 획득한 무선신호(바람직하게는, 비콘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회적 상황정보를 감지한다(S510). 여기서,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타인과 식사나 대화를 하는 등 타인과 대면하여 교류를 하고 있는 상황에 대한 상태를 의미한다.
단계 S510에서 단말장치(100)는 현재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를 설명하는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사회적 상황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장치(100)는 사회적 상황정보는 단말장치(100)의 이동상태에 대한 정보, 단말장치(100)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 타 단말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 사용자의 대화상태에 대한 정보, 타 사용자의 대화상태에 대한 정보 및 타 사용자의 총 인원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의 이동상태에 대한 정보는 활동인지 API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0)의 활동변화로부터 감지될 수 있고, 대안적으로는 단말장치(100)에 내장된 센서모듈(예: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스텝 센서 등)을 이용하여 센서값의 변동으로부터 감지될 수도 있다.
단말장치(100)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는, 단말장치의 화면 또는 터치센서가 온(on) 상태인지를 확인함으로써 감지되고, 타 단말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는, 타 단말장치로부터 타 단말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무선신호(바람직하게는, 비콘신호)를 획득함으로써 감지될 수 있다.
사용자의 대화상태에 대한 정보는, 단말장치에 내장된 마이크에서 획득된 음성신호로부터 사람음성 주파수 범위(60 Hz ~ 270 Hz)에 속하는 주파수 및 기 설정된 임계값(예: 55 dB) 이상의 음압 레벨을 갖는 음성신호가 추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감지될 수 있다. 타 사용자의 대화상태에 대한 정보는, 타 단말장치로부터 타 단말장치의 대화상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무선신호(바람직하게는, 비콘신호)를 획득함으로써 감지될 수 있다.
타 사용자의 총 인원수에 대한 정보는, 타 단말장치로부터 획득한 무선신호(바람직하게는, 비콘신호)에 포함된 타 사용자의 연락처에 대한 해시(hash)값과 단말장치에 기 저장되거나 외부서버로부터 획득한 연락처 리스트에 대한 해시값들을 비교하여 타 사용자를 식별함으로써 감지될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단계 S510에서 감지된 사회적 상황정보로부터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추출하고(S520), 추출된 하나 이상의 특징점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S530). 단계 S530에서 단말장치(100)는 사회적 상황정보로부터 추출된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학습데이터로 하여 학습된 분류기(classifier)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알림출력시기의 판단은 2-클래스 분류이고, 사회적 상황정보들은 서로 비선형적으로 관련되어 있고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분류기로 결정트리(decision tree)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는 i) 사용자가 속한 사회적 상호작용 그룹 내에서 일정시간 이상 대화가 없는 상태, ii) 그룹의 멤버 중 어느 한 사람이 자리에서 떠난 상태, iii) 사용자가 혼자 남겨진 상태, 및 iv) 타 사용자가 타 단말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회적 상호작용 그룹 내에서 5초 이상 대화가 없을 때, 그룹 내 타 사용자가 화장실에 가기 위해 자리를 떠날 때, 사용자가 혼자 남겨져 타 사용자들을 기다릴 때, 또는 그룹 내 타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장치를 사용하고 있을 때 현재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면, 발생한 알림을 출력한다(S540). 그러나,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지 않으면, 단말장치(100)는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할 때까지 해당 알림의 출력을 지연시킨다(S550).
단말장치(100)는 단계 S550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중에 발생한 알림을 인터셉트(intercept)하여 알림 큐(134)에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는 것이 감지되면, 알림 큐(134)에 저장되어 있던 모든 알림을 출력한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본래 벨소리모드(즉, 알람, 진동 또는 무음)를 이용하여 알림 큐(134)에 저장된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알림 출력의 일례는 전술한 도 4와 같다.
도 5에서는 각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5에 기재된 과정을 변경 또는 생략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5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알림 관리방법은 애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장치(또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알림 관리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단말장치(또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팅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단말장치 110: 서비스 상황 감지부
112: 단말장치 사용상태 감지부 114: 대화상태 감지부
116: 사회적 상호작용 그룹 감지부 118: 활동 감지부
120: 알림출력시기 판단부 130: 알림관리부
132: 벨소리모드 관리부 134: 알림 큐

Claims (16)

  1.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알림(notification)을 관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에 내장된 하나 이상의 센서 및 타 단말장치로부터 획득한 비콘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Social Interaction) 상태를 나타내는 사회적 상황(Social Context) 정보를 감지하는 과정;
    상기 사회적 상황정보로부터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하나 이상의 특징점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면 상기 단말장치에 대해 발생한 알림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할 때까지 상기 알림의 출력을 지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사회적 상황정보를 감지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장치의 이동상태에 대한 정보,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 타 단말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 상기 단말장치에 내장된 마이크에서 획득된 음성신호로부터 사람음성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주파수와 기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의 음압 레벨을 갖는 음성신호가 추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감지되는 상기 사용자의 대화상태에 대한 정보, 상기 타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타 단말장치의 대화상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비콘신호를 획득함으로써 감지되는 타 사용자의 대화상태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타 사용자의 총 인원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는,
    상기 사용자가 속한 사회적 상호작용 그룹 내에서 일정시간 이상 대화가 없는 상태, 상기 그룹의 멤버 중 어느 한 사람이 자리에서 떠난 상태, 상기 사용자가 혼자 남겨진 상태, 및 상기 그룹의 멤버인 타 사용자가 상기 타 단말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단말장치의 화면 또는 터치센서가 온(on) 상태인지를 확인함으로써 감지되고,
    상기 타 단말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타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타 단말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비콘신호를 획득함으로써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 사용자의 총 인원수에 대한 정보는,
    상기 타 단말장치로부터 획득한 비콘신호에 포함된 상기 타 사용자의 연락처에 대한 해시(hash)값과 상기 단말장치에 기 저장되거나 외부서버로부터 획득한 연락처 리스트에 대한 해시값들을 비교하여 상기 타 사용자를 식별함으로써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사회적 상황정보로부터 추출된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학습데이터로 하여 학습된 결정트리(decision tre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현재 상기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상기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을 지연시키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장치에 대해 발생한 알림을 인터셉트하여 알림 큐(queue)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을 상기 알림 큐에 저장한 이후 상기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알림 큐에 저장된 모든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9. 알림(notification)을 관리하기 위한 단말장치에 있어서,
    내장된 하나 이상의 센서 및 타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비콘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Social Interaction) 상태를 나타내는 사회적 상황(Social Context) 정보를 감지하는 사회적 상황 감지부;
    상기 사회적 상황정보로부터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하나 이상의 특징점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알림출력시기 판단부; 및
    상기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면 상기 단말장치에 대해 발생한 알림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할 때까지 상기 알림의 출력을 지연시키는 알림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회적 상황 감지부는,
    상기 단말장치의 이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활동 감지부;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 및 타 단말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단말장치 사용상태 감지부;
    상기 단말장치에 내장된 마이크로부터 획득된 음성신호의 주파수가 사람음성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와 상기 음성신호의 음압 레벨이 기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의 대화상태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타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비콘신호로부터 타 사용자의 대화상태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대화상태 감지부; 및
    상기 타 사용자의 총 인원수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그룹 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는,
    상기 사용자가 속한 사회적 상호작용 그룹 내에서 일정시간 이상 대화가 없는 상태, 상기 그룹의 멤버 중 어느 한 사람이 자리에서 떠난 상태, 상기 사용자가 혼자 남겨진 상태, 및 상기 그룹의 멤버인 타 사용자가 상기 타 단말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 사용상태 감지부는,
    상기 단말장치의 화면 또는 터치센서가 온(on) 상태인지를 확인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타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비콘신호로부터 상기 타 단말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회적 상호작용 그룹 감지부는,
    상기 타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비콘신호로부터 상기 타 사용자의 연락처에 대한 해시(hash)값을 획득하고, 기 저장되거나 외부서버로부터 획득한 연락처 리스트에 대한 해시값들과 상기 타 사용자의 연락처에 대한 해시값을 비교하여 상기 타 사용자를 식별함으로써 상기 타 사용자의 총 인원수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출력시기 판단부는,
    상기 사회적 상황정보로부터 추출된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학습데이터로 하여 학습된 결정트리(decision tre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현재 상기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상기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5. 삭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장치에 대해 발생한 알림을 인터셉트하여 알림 큐(queue)에 저장하고, 이후 상기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알림출력시기에 해당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알림 큐에 저장된 모든 알림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KR1020170110214A 2017-08-30 2017-08-30 사회적 상황인지 기반의 알림을 위한 단말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KR101982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214A KR101982088B1 (ko) 2017-08-30 2017-08-30 사회적 상황인지 기반의 알림을 위한 단말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214A KR101982088B1 (ko) 2017-08-30 2017-08-30 사회적 상황인지 기반의 알림을 위한 단말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861A KR20190023861A (ko) 2019-03-08
KR101982088B1 true KR101982088B1 (ko) 2019-05-24

Family

ID=65800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214A KR101982088B1 (ko) 2017-08-30 2017-08-30 사회적 상황인지 기반의 알림을 위한 단말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0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345B1 (ko) * 2013-10-17 2014-08-01 중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파이 비콘 프레임을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전자 출결 시스템의 인증 방법
JP2014197853A (ja) * 2008-06-09 2014-10-16 イマージョン コーポレーションImmersion Corporation 電子機器のイベントに対する報知フレームワークの開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7853A (ja) * 2008-06-09 2014-10-16 イマージョン コーポレーションImmersion Corporation 電子機器のイベントに対する報知フレームワークの開発
KR101425345B1 (ko) * 2013-10-17 2014-08-01 중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파이 비콘 프레임을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전자 출결 시스템의 인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861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4302B (zh) 用於可變觸覺輸出之處理器實施方法、運算器件實施方法、電腦程式產品及資訊處理裝置
US10276027B2 (en) Mobile device loss prevention
US20170221336A1 (en) Human voice feedback system
US20180103376A1 (en) Device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user of a voice user interface and selectively managing incoming communications
WO2018080023A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CN108174037B (zh) 一种通知消息的提示方法和移动终端
CN107135316B (zh) 一种通话音量的调节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07506646B (zh) 恶意应用的检测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286727B (zh) 一种操作控制方法及终端设备
KR20140141916A (ko) 사용자 기기의 알림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US107213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otifications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user status
CN107729781B (zh) 移动终端防丢失的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008892B (zh) 一种功能启用的方法及终端
CN109522741B (zh) 一种应用程序权限提示方法及其终端设备
CN108597495B (zh) 一种处理语音数据的方法及装置
CN107895108B (zh) 一种操作管理方法和移动终端
CN107295193B (zh) 响铃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EP3934217B1 (en) Reminding task processing method,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1982088B1 (ko) 사회적 상황인지 기반의 알림을 위한 단말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CN108959382B (zh) 一种音视频检测方法及移动终端
CN109711198B (zh) 应用程序管理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9660657B (zh) 一种应用程序控制方法及装置
CN111427745A (zh) 一种终端的使用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08170360B (zh) 一种手势功能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10276209B (zh) 一种告警方法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