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007B1 - Push-Pull Door Lock for Indoor Door - Google Patents

Push-Pull Door Lock for Indoor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007B1
KR101982007B1 KR1020180097159A KR20180097159A KR101982007B1 KR 101982007 B1 KR101982007 B1 KR 101982007B1 KR 1020180097159 A KR1020180097159 A KR 1020180097159A KR 20180097159 A KR20180097159 A KR 20180097159A KR 101982007 B1 KR101982007 B1 KR 101982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door
latch bolt
pull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1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병화
Original Assignee
전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화 filed Critical 전병화
Priority to KR1020180097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00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0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41Damp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45Silencing devices; Noise reduc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sh-pull door lock mounted and used for various indoor doors, and more specifically, to a push-pull door lock for an indoor door having a latch unit, which includes: a pair of indoor push-pull door lock having a push-pull lever mounted on a body and having a rotary operator, interlocked with the push-pull lever, a flow rod, and a rotary pulley provided in the body; and a latch unit having a rotary shaft coupled to the rotary pulley. A latch bolt of the latch unit is suitable for the push-pull door lock used in the indoor by being formed to rotate and appear and disappear in a state of being depressed in a predetermined section while the push-pull lever is pushed or pulled. The latch bolt of the latch unit is inserted while being rotated in the state of being depressed in the predetermined section at the pull or push of the push-pull lever of the push-pull door lock. Thus, an interference section between the latch bolt and a metal member of a door frame can be reduced, and a mutual interference impact can be lessened, thereby opening the door more quickly. Noise and abrasion due to the mutual interference can also be reduced, thereby enabling the use of the push-pull door lock in a very silent state and increasing the life thereof. Th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by pushing or pulling the push-pull lever only with a very little force,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Description

개선된 구조의 래치유닛을 갖는 실내 도어용 푸쉬풀 도어락 {Push-Pull Door Lock for Indoor Doo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sh-pull door lock for an indoor door,

본 발명은 각종 실내용 도어에 장착 사용되는 푸쉬풀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래치유닛의 몸체 내부로부터 슬라이딩 출몰되는 래치볼트 및 상기 래치볼트를 유동시키는 작동구 간의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푸쉬풀레버의 소폭 작동시에도 도어의 부드러운 열림이 가능한 것은 물론 회동 구조의 래치볼트로 인해 더욱 부드럽고 안정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회전작동구의 작동과 동시에 래치볼트의 함몰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더욱 정숙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실내 도어용 푸쉬풀 도어락에 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sh-pull door lock for use in various indoor door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sh-pull type door lock apparatus which improves the structure between a latch bolt slidingly protruding from and retracted from the inside of a latch unit, The door can be opened smoothly even when the lever is operated slightly, and the latch bolt of the rotating structure can smoothly and stably operate due to the rotation of the latch bolt. Door door lock for an indoor door.

일반적으로 도어락은 실내,외를 구분 및 개폐하기 위한 도어 혹은 실내 공간 내에서의 구획공간을 구분 및 개폐하기 위한 도어 등에 장착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방화문과 같은 출입문에는 모티스와 키패드 장치에 의한 디지털 도어락이 주로 사용되고 있고, 실내의 도어에는 래치유닛과 핸들유닛으로 된 핸들형 도어락이 주로 장착되는 것이다.Generally, a door lock is mounted on a door for separating and opening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a door for separating and opening the compartment space in the interior space, and the like. In general, a door handle such as a fire door is provided with a digital door lock And a handle-type door lock including a latch unit and a handle unit is mainly mounted on a door of a room.

또한,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물론 핸들형 도어락에 대하여 기존과 같이 핸들을 회전시켜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정되도록 하는 도어락에서 탈피하여 도어의 양측에 마련된 푸쉬풀 레버를 밀거나 당겨 도어락이 해정되도록 하는 푸쉬풀 방식의 도어락이 사용되는 추세이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digital door lock incorpor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lock is released from the door lock which unlocks the door by rotating the handle as usual with respect to the handle type door lock so that the door lock can be released by pushing or pulling the push pull leve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oor. A push-pull type door lock is used.

여기서, 상기의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 래치볼트와 데드볼트를 갖는 모티스가 도어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의 데드볼트는 내장된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출몰되는 것이고, 상기의 래치볼트는 도어와 도어프레임 간의 개폐 작용에 따라 모티스 몸체로부터 출몰하면서 도어 프레임과 도어의 잠금 또는 개방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In the case of the digital door lock, the mortis having the latch bolt and the dead bolt is mounted on the door. The dead bolt is projected and retracted by the operation of the built-in driving motor, and the latch bolt is interposed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The door frame and the door can be locked or opened while being viewed from the body of the Mortise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action.

반면, 실내용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락의 경우 통상적으로 도어의 측단을 통해 내측으로 함몰 장착되는 래치유닛과 상기 래치유닛에 결합되는 동시에 도어의 전,후면에 장착 고정되는 핸들유닛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상기의 핸들유닛의 회전에 따라 상기 래치유닛 내의 래치볼트가 함몰 또는 자동으로 돌출되면서 도어의 개방 혹은 도어의 잠금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door lock mounted on an indoor door, the door unit is typically composed of a latch unit which is recessed inward through a side end of a door, and a handle unit which is coupled to the latch unit and is fixedly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door. The latch bolt in the latch unit is depressed or automatically protrud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andle unit of the latch unit so that the door is opened or the door is locked.

또한, 상기의 푸시풀 도어락의 경우 외부로 돌출된 푸쉬풀레버를 당기거나 밀어 내부의 회전체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하면 상기 회전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 및 직선운동하는 매체로부터 래치유닛과 연결된 회전가이더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래치유닛 내 래치볼트가 출몰되도록 하여 도어를 개방시키거나 도어락이 해정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ush-pull door lock, the push-pull lever protruding outwardly is pushed or pushed to rotate the internal rotating body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rotary motion of the rotating body is converted into a rectilinear motion, The rotary guider connected to the unit is rotated to cause the latch bolt in the latch unit to come and go so that the door is opened or the door lock is released.

즉, 기존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록 장치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39251호와 같이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간단한 동작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어린 아이 또는 물건을 손에 잡고 있는 사용자가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게 되며, 더불어 단순화된 도어록 구조에 의하여, 제작공정이 간단해지고 부품수가 감소됨으로써 도어록 제작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푸쉬풀 타입의 도어록 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That is, the conventional push-pull type door lock device can open the door by a simple operation of pushing or pulling the handl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opened as in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39251, The door lock can be easily opened by the user who holds the door, and the simplified door lock structure simplifies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reduces the number of parts,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door lock production cost. It has been registered.

또한, 등록특허 제10-1534685호와 같이 레버의 돌출부와 구동부 사이에 링크부재가 마련된 것인바, 링크부재에 의해 레버의 회전축 중심으로부터 레버의 돌출부 선단 사이에 이르는 거리를 줄일 수 있게 되어 레버의 돌출부 회동범위가 축소될 수 있게 되므로 레버의 돌출부 회동범위가 축소되는 만큼 하우징의 두께 및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제품의 소형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푸쉬풀형 도어 잠금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Further, since the link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lever and the driving portion as in the Japanese Patent No. 10-1534685,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rotation axis of the lever to the tip of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lever can be reduced by the link member, A push-pull type door lock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thickness and length of the housing as the pivotal range of the protrusion of the lever is reduced as the pivot range can be reduced.

또한, 등록특허 제10-1732674호와 같이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푸쉬풀 동작을 위해 파지되고, 일측 단부에 구동돌기가 형성된 손잡이와, 구동돌기가 관통연결되고 내부에 수용된 구동핀을 회동 중심으로 하는 구동몸체와, 구동돌기에 연결되어 구동돌기의 회동운동에 따라 직선운동을 하는 이동판과, 이동판과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기어군 및 기어군의 회전운동에 따라 도어를 개방하는 개방수단을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In addition, in a door lock apparatus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10-1732674, a door is formed by a handle which is gripped for push-pull operation and has a drive projection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drive projection which is inserted and connected, An opening means for opening the doo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gear group and the gear group connected to the moving plate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plate and performing linear motion in response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driving protrusion; The door lock device including the door lock is registered and registered.

이어, 공개특허 제10-2017-0066195호의 경우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도어를 해정할 수 있어 양손을 사용하지 못하더라도 용이하게 도어를 여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구조가 견고하여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푸쉬풀 도어락이 안출된 바 있는 것이다.
In the case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7-0066195, the door can be unlocked only by pushing or pulling the handle, so that the door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even if both hands are not used. And a push-type door lock which can be used stably because the structure is robust and is not easily broken even if it is used for a long time has been found.

그러나, 기존의 푸쉬풀 도어락은 푸쉬풀레버에 대한 누름 해정과 당김 해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만들어져 있거나, 푸쉬 혹은 풀 상태에서만 해정이 이루어지도록 구분 제작되므로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매우 큰 것은 물론 도어 개폐 방향에 따라 도어락을 전환 설치하여야 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push-pull door lock is constructed so that the push-pull lever and the pull-pull lever can be simultaneously operated on the push-pull lever, or the push-pull lever can be pivoted only in the push or pull state, The door locks have to be installed and installed.

즉, 기존의 푸쉬 해정 혹은 풀 해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푸쉬풀 도어락은 사용자가 푸쉬풀레버를 누르거나 당김 동작에 의해 모두 도어락이 해정되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인데, 이와 같은 경우 실내측에서 도어를 밀어 개방시키는 경우 푸쉬풀레버를 밀어 해정상태가 이루어지면서 도어의 개방이 가능할 것이다.In other words, the push-pull door lock which is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conventional push-pull or pull-free operation is designed so that the user can push the push-pull lever or release the door lock by pulling the push-pull lever. In this case, If the push-pull lever is pushed in, the door can be opened.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내 측에서 실외 측으로 빠져나간 후 다시 푸쉬풀레버를 눌러 도어를 닫게 되면 푸쉬풀레버의 눌림상태로 인해 도어락의 잠금상태가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도어락의 해정상태가 지속되면서 도어가 밀폐되지 못하여 부득이 실외측에서 도어를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푸쉬풀레버가 아닌 도어 자체를 밀어 닫아야 하므로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매우 큰 것은 물론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사용자의 경우 도어가 열린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도 발생하여 도난 등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을 갖고 있는 것이다.If the user closes the door by pressing the push-pull lever again after the user exits from the indoor side to the outdoor side in this state, the door lock can not be locked due to the pressed state of the push pull lever, When the door is closed unexpectedly, it is necessary to push the door itself rather than the push-pull lever to close the door. Therefore, it is very troublesome to use the door, and if the door is opened And the risk of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such as theft occurs.

또한, 푸쉬 혹은 풀 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해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푸쉬풀 도어락의 경우 도어의 개폐방향에 따라 설치 방향을 전환해주어야 하는 것으로, 예컨데 도어가 실내측으로 개방되는 경우에는 실외측에는 누름 동작에 의해 해정이 이루어져야 하고 실내측에서는 당김 동작에 의해 해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반면 상기의 도어가 실외측으로 개방되는 경우에는 실외측에서는 당김 동작에 의해 해정이 이루어져야 하고 실내측에서는 누름 동작에 의해 해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도어의 개폐방향에 따라 푸쉬풀 도어락의 작동 방향을 일치시켜 주어야 하는 필요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push-pull door lock which is selectively released by a push or pull operation, the installation direction must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oor opening / closing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door is opened to the inside, In the case where the door is open to the outdoor side, the door must be opened by the pulling operation on the outdoor side and the door should be opened by the pressing operation on the indoor side.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match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the opening / closing direction of the push-pull door lock.

그러므로, 기존의 푸쉬풀 도어락은 도어의 개폐방향에 따라 2종류의 푸쉬풀 도어락으로 구분 제작하여 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실내측 도어락과 실외측 도어락을 동일한 디자인으로 제작하여 현장에서 도어의 개폐방향에 따라 전환 설치하는 방법을 택하는 등 경제적으로 지극히 불합리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existing push-pull door locks can be divided into two kinds of push-pull door locks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the door, and selectively used. Alternatively, indoor door locks and outdoor door locks can be made in the same design, It is economically extremely unreasonable to choose a method of switching and installing according to the direction.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1868469호와 같이, 본체로부터 힌지 회전되게 한 푸쉬풀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 내에는 상기 푸쉬풀레버와 연결된 회전작동구 및 회전작동구와 연결된 유동로드가 구비되며, 상기 유동로드에는 래치유닛 또는 모티스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회전풀리가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본체 내에는 상기 회전작동구의 회전 방향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전환플레이트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상기 푸쉬풀 도어락을 설치하기 전 상기 전환플레이트를 유동시켜 도어락이 푸쉬 방식 혹은 풀 방식으로 해정될 수 있도록 하여 도어의 개폐 방향에 따라 푸쉬풀 도어락의 작동 방향을 빠르고 손쉽게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한 방향 전환이 용이한 푸쉬풀 도어락을 안출 및 등록한 바 있다.
Accordingl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a push-pull lever which is hingedly rotated from the main body, and a rotary rod connected to the rotary actuator and the rotary actuator connected to the push-pull lever is provided in the body, as in Patent No. 10-1868469 And a rotation pulley connected to a rotary shaft of a latch unit or a motis is connected to the flow rod, and a switching plate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so as to suppress a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ry actuating member, The door can be unlocked in a pushing or pulling manner by flowing the switching plate before the door lock is installed,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push-pull door lock can be switched quickly and easily according to the opening / closing direction of the door. We have opened and registered full door locks.

그러나, 상기의 푸쉬풀 도어락에 이용되는 기존의 래치유닛은 래치볼트가 모두 횡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출몰 작동만 이루어지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고, 래치유닛의 슬라이딩 작용으로 인해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도어의 개방시 상기 래치볼트가 반드시 도어프레임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어야만 도어가 개방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latch unit used in the above-described push-pull door lock, all of the latch bolts are made so as to perform only the sliding operation of sli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by the sliding action of the latch unit The door is opened only when the latch bolt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door frame when the door is opened.

즉, 슬라이딩 유동하는 래치볼트는 도어의 잠금 상태에서는 도어 프레임 내 금속부재 내에 돌출 삽입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 푸쉬풀레버를 밀거나 당겨 도어잠금수단의 회전축 운동이 래치볼트의 직선운동으로 전환되면서 상기 래치볼트가 래치유닛 내부로 함몰 삽입되는 것으로, 함몰 삽입되는 래치볼트가 도어프레임의 금속부재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순간 상기의 도어가 개방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latch bolt slidingly flows is inserted into the metal member in the door frame in a locked state of the door, and the push-pull lever is pushed or pulled to open the door so that the rotation axis movement of the door locking means causes the linear motion of the latch bolt The latch bolt is recessed into the latch unit so that the door is opened at the moment when the latch bolt to be inserted and removed is completely removed from the metal member of the door frame.

이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가 도어프레임의 금속부재로부터 완전히 이탈될 정도의 함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푸쉬풀레버가 래치유닛의 회전축을 충분한 각도로 회전시켜 주어야 할 것이므로 이러한 푸쉬풀레버의 과도한 작동량에 의한 도어의 개방시 상당한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 도어프레임의 금속부재와 래치볼트 간의 간섭 저항 및 마찰 저항으로 인해 상기 래치볼트가 함몰 작동되지 못하면서 도어의 열림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Accordingly, in order to maintain the depressed state such that the latch bolt completely disengages from the metal member of the door frame, the push-pull lever must rotate the rotation axis of the latch unit at a sufficient angle. The latch bolt can not be depressed due to interference resistance and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metal member of the door frame and the latch bolt, and the door can not be opened. .

특히, 상기의 래치볼트는 도어의 열림 혹은 닫힘 과정에서 상기 금속부재와 충돌하면서 함몰되거나 돌출하므로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당한 소음이 발생하므로 조용한 실내에서 사용하는데에는 상당한 방해가 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Particularly, since the latch bolt is recessed or protruded while colliding with the metal member in the process of opening or closing the door, considerable noise is generated in the process, which is a considerable obstacle to use in a quiet room.

또한,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 푸쉬풀레버를 과도하게 밀거나 당겨 사용하여야 하므로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매우 큰 것이고, 상기 각 결합부에서 발생하는 공차 및 유격이 누적되는 경우 상기 푸쉬풀레버를 충분히 밀거나 당겨 작동시키더라도 래치볼트가 완전히 후퇴하지 못하게 되면서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도어락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사용 수명이 매우 짧은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hild or an elderly person, the push-pull lever must be excessively pushed or pulled to use, which is very troublesome to use. When the tolerances and clearances generated in the respective engaging portions accumulate, The latch bolt can not be completely retracted even if the latch bolt is pulled and the door can not be opened. Therefore, in such a case, the entire door lock must be replaced.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39251호 (2001.07.09. 등록)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39251 (Registered on July 7, 200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34685호 (2015.07.01.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34685 (Registered on July 1, 2015)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32674호 (2017.04.26.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732674 (Registered on April 26, 2017)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7-0066195호 (2017.06.14.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66195 (published on June 14, 2017)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본체에 푸쉬풀레버가 장착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푸쉬풀레버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작동구 및 유동로드와 회전풀리가 구비된 한 쌍의 실내용 푸쉬풀 도어락과, 상기 회전풀리에 결합되는 회전축을 갖는 래치유닛으로 구성된 실내 도어용 푸쉬풀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래치유닛의 래치볼트는 푸쉬풀레버의 누름 혹은 당김과 동시에 일정 구간 함몰 상태에서 회전 및 출몰 작동되도록 구성함에 따라,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neumatic pressure regulato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push pull lever mounted therein, A push-pull door lock for an indoor door, comprising: a push-pull door lock; and a latch unit having a rotary shaft coupled to the rotary pulley, wherein the latch bolt of the latch unit is rotated and pivoted By configuring it to work pop-up,

푸쉬풀레버의 누름 혹은 당김에 의한 도어의 개폐 작용과 동시에 상기 래치볼트가 자연스럽게 함몰 회전 또는 돌출 회전 작동을 하며 더욱 부드럽고 안정적인 작용을 수행하는 것은 물론 일정 구간 함몰 상태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도어프레임측 금속부재와의 간섭이나 충돌을 최소화시켜 상호 간의 간섭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으므로 매우 정숙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특징을 갖는 개선된 구조의 래치유닛을 갖는 실내 도어용 푸쉬풀 도어락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The latch bolt naturally performs depression or protrusion rotation operation simultaneously with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due to pushing or pulling of the push-pull lever, so that the latch bolt performs a more smooth and stable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ush-pull door lock for an indoor doo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of a latch unit, which can minimize interference and collision with a side metal member and greatly reduce mutual interference noise, There is a purpose of.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에 푸쉬풀레버가 장착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푸쉬풀레버와 함께 연동하는 회전작동구 및 유동로드와 회전풀리가 구비된 한 쌍의 푸쉬풀 도어락과; 일측에 도어장착판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장착판으로부터 내부공간을 갖는 유닛몸체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유닛몸체에는 커버체가 결합되고 상기 유닛몸체 내에는 래치볼트 및 분할회전판이 내장된 래치유닛;으로 각기 구성되어, 상기 분할회전판 및 회전풀리를 연결하는 회전축이 푸쉬풀레버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래치볼트가 도어장착판으로부터 출몰되도록 구성한 실내용 푸쉬풀 도어락에 있어서,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body, a push-pull lever mounted on the body, and a rotating operation member interlocked with the push- A door lock; And a latch unit having a unit body having an inner space formed integrally with the door mounting plate at one side thereof, a cover body coupled to the unit body, and a latch bolt and a split rotary plate installed in the unit body; Wherein the rotary shaft connecting the split rotary plate and the rotary pulley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push-pull lever so that the latch bolt is projected and withdrawn from the door mounting plate,

상기 래치유닛은, 래치볼트의 일측에 가이드블럭과 단속편이 밀착 형성되고, 상기 단속편은 가이드블럭을 관통하여 래치볼트와 계지 결합되게 하며, 상기 유닛몸체로부터 복귀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된 단속편의 일측과 상기 유닛몸체로부터 개별 회전되는 분할회전판의 일측에는 별도 구비의 유동브라켓이 각기 계지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푸쉬풀레버의 푸쉬풀 작동에 의한 상기 래치볼트의 강제 후퇴 작동 후, 도어프레임과 래치볼트 간의 상호 간섭에 의한 래치볼트의 회전 및 후퇴 작용을 통해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되는 것이다.
Wherein the latch unit is formed with a guide block and an intermittent piece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latch bolt, the intermittent piece is engaged with the latch bolt through the guide block, and the one end of the intermittent piec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return spring And a separate rotating bracket is fixed to one side of the split rotary plate separately rotated from the unit body. After the forced retraction of the latch bolt by push-pull operation of the push pull lever, And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through rotation and retraction of the latch bolt due to mutual interference.

본 발명은, 실내에서 사용되는 푸쉬풀 도어락에 적합한 것으로 푸쉬풀 도어락의 푸쉬풀레버에 대한 당김 혹은 누름시 래치유닛 내의 래치볼트가 일정 구간 함몰된 상태에서 회전과 동시에 삽입되므로 도어프레임측 금속부재와의 간섭 구간의 감소 및 상호 간섭 충격을 줄여줄 수 있어 더욱 신속한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상호 간섭에 의한 소음 및 마모를 줄일 수 있어 매우 정숙한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사용수명 역시 매우 길어질 수 있는 것이며, 매우 가벼운 힘만으로도 푸쉬풀레버를 누르거나 당겨 도어의 개방 및 닫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a push-pull door lock which is used in a room. When the push-pull door is pulled or pushed against a push-pull lever of a push-pull door lock, the latch bolt in the latch unit is inserted at the same time as the door is clos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terference interval and reduce the mutual interference impact, thereby enabling the door to be opened more quickly, as well as to reduce the noise and wear due to mutual interference, so that it can be used in a very quiet manner, And th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by pushing or pulling the push-pull lever with a very light force, which is very convenient in u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사용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래치유닛에 대한 전체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래치유닛에 대한 요부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래치유닛에 대한 또 다른 요부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래치유닛 중 래치볼트에 대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래치유닛에 대한 정단면 전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래치유닛에 대한 측단면 전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용 래치유닛의 연속 작동 과정도
도 10은 도 9의 과정으로부터 연속된 작동 과정도
1 is an exemplary use of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atch unit of the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tch unit of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latch unit of the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latch bolt of a latch unit of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latch unit of the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latch unit of the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lowchart of a continuous operation of the latch unit for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inuous operation process from the process of Fig. 9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and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사용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전체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래치유닛에 대한 전체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래치유닛에 대한 요부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래치유닛에 대한 또 다른 요부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래치유닛 중 래치볼트에 대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래치유닛에 대한 정단면 전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래치유닛에 대한 측단면 전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ssential part of the latch unit of the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overall sectional front view of a latch unit of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ide view of the latch unit of the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도어용 푸쉬풀 도어락은, 도어(300)의 양측면에 각기 장착되는 한 쌍의 푸쉬풀 도어락(200)(200')과 상기 도어(300)의 측단면에 함몰 장착되는 래치유닛(10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푸쉬풀 도어락(200)(200')은 상기 래치유닛(100) 내의 래치볼트(120)를 작동시켜 도어프레임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래치볼트(120)가 도어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함에 따라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First, a push-pull door lock for an indoor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push-pull door locks 200 and 200 'mounted on both sides of a door 300, And the latch unit 100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latch bolt 120 in the latch unit 100 so that the latch bolt 120 protruding inward from the door frame Is released from the door frame, thereby opening the door.

이때, 상기의 푸쉬풀 도어락(200)(200')은 도어(300)의 전면 혹은 배면에 장착 고정되는 본체(201)와 상기 본체(201)에 결합되는 푸쉬풀레버(202)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201)의 내측에는 상기 푸쉬풀레버(202)와 함께 회전되도록 한 회전작동구(203)가 내장되며, 상기 회전작동구(203)에는 유동로드(204)가 결합되어 있어 상기 회전작동구(203)의 회전운동이 유동로드(204)를 통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는 것이다.The push-pull door lock 200 and the push-pull door lock 200 'may include a main body 201 fixed to the front or back of the door 300 and a push-pull lever 202 coupled to the main body 201, A rotary actuator 203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201 to rotate together with the push-pull lever 202. The rotary actuator 203 is coupled with a flow rod 204,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spherical member 203 is converted into a linear motion through the fluid rod 204.

이어, 상기 유동로드(204)에는 본체(201)의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풀리(205)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유동로드(204)의 직선운동은 다시 회전풀리(205)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되는 것이다.A rotating pulley 205 located inside the body 201 is coupled to the flow rod 204. The linear motion of the flow rod 204 is converted into a rotating motion of the rotating pulley 205 .

또한, 도어(300)의 전,후면에 상기의 푸쉬풀 도어락(200)(2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의 회전풀리(205)는 각각의 본체(201) 내에서 서로 대향될 것이고, 이들 상호 대향의 회전풀리(205)는 기다란 막대기 형태의 회전축(191)을 통해 연결되어 서로 동시에 회전을 하게 된다.In the state where the push-pull door locks 200 and 200 'are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door 300, the rotary pulleys 205 will be opposed to each other in the respective main bodies 201, The mutually opposing rotating pulleys 20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rotation shaft 191 in the form of an elongated stick and rotate simultaneously with each other.

이어, 상기의 회전축(191)에는 래치유닛(100)이 관통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의 회전축(191)에 래치유닛(100) 내부의 분할회전판(130)(130')이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의 분할회전판(130)(130')은 래치유닛(10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래치볼트(120)와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결국 상기의 푸쉬풀레버(202)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을 통해 상기 래치볼트(120)가 함몰되거나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latch unit 100 is inserted into the rotary shaft 191 and the split rotary plates 130 and 130 'within the latch unit 100 are coupled to the rotary shaft 191, The split rotatable plates 130 and 130 'are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latch bolt 120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latch unit 100 so that the push and pull lever 202 is pressed or pulled So that the latch bolt 120 can be recessed or rotated.

이에 따라 상기의 푸쉬풀 도어락은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나, 본원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안출 및 등록된 등록특허 제10-1868469호의 구조가 가장 이상적일 것이고, 본원발명에서의 전체 구성 및 래치유닛(100) 역시 상기의 등록특허를 기반으로 하여 더욱 개량 및 보완된 특허에 해당될 것이다.Accordingly, various structures may be applied to the push-pull door lock. However, the structure of Patent No. 10-1868469, which is envisioned and register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would be ideal, 100) will be further improv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 registered patent.

이어 상기의 래치유닛(100)은, 상기 푸쉬풀 도어락(200)(200')의 푸쉬풀레버(202)가 당김 혹은 누름 방향으로 작동하여 내장된 회전축(191)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축(191)의 회전운동은 래치유닛(100)의 내부 구성물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전환되면서 래치유닛(100)의 도어장착판(11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래치볼트(120)의 강제 돌출 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When the push-pull lever 202 of the push-pull door lock 200 or 200 'is operated in the pulling or pushing direction to rotate the built-in rotary shaft 191, the latch unit 100 of the above- Is released from the forced protruding state of the latch bolt 120 projecting from the door mounting plate 111 of the latch unit 100 while being converted into rectilinear motion by the internal constituent of the latch unit 100. [

또한, 상기 래치볼트(120)는 기존과 같이 단순 슬라이딩 출몰 작용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강제 돌출 상태의 해제 및 유닛몸체(110)의 내부에서 회전 운동을 하며 기존과는 다른 회동 운동을 통해 더욱 부드럽고 안정적인 잠금 혹은 해정 상태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래치볼트(120)에 대한 구속 혹은 분리 작용을 수행하는 단속편(150)은 최소의 거리만을 슬라이딩하며 작동하므로 푸쉬풀레버(202)의 회전각이 최소화되므로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In addition, the latch bolt 120 does not perform a simple sliding protruding operation as in the conventional case, but rather releases the forced protruding state and rotates inside the unit body 110, thereby making the latch bolt 120 more smooth and stable And the interlock piece 150 that performs the restraining or separating action with respect to the latch bolt 120 slides and operates with a minimum distance, so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push pull lever 202 is minimized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more easily and quickly.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래치유닛(100)은 도시와 같이, 일측 끝단에 도어장착판(111)이 형성되어 있는 유닛몸체(110)와 상기 유닛몸체(110)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커버체(112)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유닛몸체(110)의 내부에는 래치볼트(120)와 분할회전판(130)(130') 및 가이드블럭(140)과 단속편(150) 그리고 복귀스프링(160)(160')과 유동브라켓(170), 돌출스프링(180)이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이들 각 구성품의 유기적인 작동을 통해 상기 래치볼트(120)의 강제 돌출 상태 혹은 회동 상태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latch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nit body 110 having a door mounting plate 111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cover body 112 for seal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unit body 110, The unit body 110 includes a latch bolt 120, a split rotary plate 130 and 130 ', a guide block 140 and an intermittent piece 150, and return springs 160 and 160' A floating bracket 170, and a protruding spring 180 are inserted. By the organic operation of each component, the latch bolt 120 is switched to the forced protruding state or the rotating state.

즉, 상기의 유닛몸체(110)는 상기 도어장착판(111)을 관통하는 삽입공(113)이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으로부터 상기 삽입공(113)으로 끼워지는 래치볼트(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래치볼트(120)의 일측에는 가이드블럭(140)이 밀착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블럭(140)을 관통하여 상기 래치볼트(120)에 끝단이 삽입되어 있는 단속편(15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That is, the unit body 110 is formed with the insertion hole 113 passing through the door mounting plate 111, and the latch bolt 12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3 from the internal space is formed A guide block 140 is close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latch bolt 120 and an interlock piece 150 having an end inserted into the latch bolt 120 through the guide block 140 .

또한, 상기의 단속편(150)은 복귀스프링(160)(160')에 의해 유닛몸체(110)로부터 탄지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단속편(150)에 일측단이 계지되어 있는 별도 구비의 유동브라켓(170)은 타측 끝단이 상기의 분할회전판(130)(130')에 계지 결합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유닛몸체(110) 내부와 가이드블럭(140) 간에는 별도의 돌출스프링(180)이 압축 상태로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이들 각 구성물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유닛몸체(110)에 대하여 커버체(112)를 결합 고정함에 따라 본 발명의 래치유닛(100)이 완성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intermittent piece 150 is resiliently biased by the return spring 160 (160 ') from the unit body 110, and a separate flow bracket 150, A separate protrusion spring 180 is compressed between the inside of the unit body 110 and the guide block 140 so that the protrusion spring 170 is compressed The latch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pleted by coupling and fixing the cover body 112 to the unit body 110 in a state where these components are combined.

여기서, 상기의 유닛몸체(110)는 금속재를 이용하여 다이캐스팅 성형되는 것으로 일측으로는 상기 유닛몸체(110)를 포함한 래치유닛 전체를 도어의 측단부에 체결하기 위한 도어장착판(1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도어장착판(111)의 중앙에는 래치볼트(120)가 출몰되기 위한 삽입공(1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113)의 양측으로는 나사못 혹은 볼트 등을 이용하여 도어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The unit body 110 is formed by die casting using a metal material. On one side of the unit body 110, a door mounting plate 111 for fastening the entire latch unit including the unit body 110 to the side end portion of the door is formed The door mounting plate 111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113 for allowing the latch bolt 120 to protrude and retract and is mounted on the door using screws or bolts on both sides of the insertion hole 113 (Not shown in the figure)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또한, 상기 유닛몸체(110)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삽입공(113)과 이격된 격판 형태로 된 스프링지지부(1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지지부(114)와 이격되어 또 다른 격판 형태로 된 스프링수용부(115)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A spring support portion 114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unit body 110 in the form of a diaphragm spaced apart from the insertion hole 113. The spring support portion 114 is spaced apart from the spring support portion 114,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115 is formed to protrude.

이어, 상기 유닛몸체(110)의 내부 중 삽입공(113)과 스프링지지부(114)의 사이에 삽입되는 래치볼트(120)는 내측단에 곡면부(1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곡면부(121)에는 구속홈(12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의 곡면부(121)는 래치볼트(120)가 원활하게 회전되기 위한 회전 접촉면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구속홈(122)은 단속편(150)의 끝단이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래치볼트(120)의 회전이 억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latch bolt 120 inserted between the insertion hole 113 and the spring support portion 114 of the unit body 110 has a curved surface portion 121 formed at an inner end thereof and the curved surface portion 121 The curved surface portion 121 serves as a rotation contact surface for smoothly rotating the latch bolt 120 and the restricting groove 122 is formed in the interlocking piece 150 Is inserted to the inside so that rotation of the latch bolt 120 is suppressed.

또한, 상기 유닛몸체(110)에 내장되는 동시에 푸쉬풀레버(202)의 작동에 따라 동시에 회전되는 회전축(191)과 결합되는 분할회전판(130)(130')은, 상기 유닛몸체(110)에 내장된 상태로 실내측 또는 실외측 푸쉬풀 도어락(200)(200')의 작동에 따라 각기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분할 중첩되어 있는 것이고, 이들 분할회전판(130)(130')의 일측에는 걸림확장부(131)(131')가 돌출되어 있는 것이다.The split rotary plates 130 and 130 'which are built in the unit body 110 and coupled to the rotary shaft 191 which is simultaneously rot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ush pull lever 202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unit body 110 Are integrally rotated so as to be individually rotatabl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indoor or outdoor push-pull door locks (200) and (200 ') in a state of being built therein, and one side of the split rotary plates (130) The extension portions 131 and 131 'are protruded.

이어, 상기 래치볼트(120)의 일측에 밀착되는 가이드블럭(140)은 상기 래치볼트(120)의 곡면부(121)와 면접되는 안내곡면부(141)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타측으로는 스프링삽입홈(1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삽입홈(142)의 중앙부에는 상기 가이드블럭(140)을 관통하는 끼움공(143)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끼움공(143)으로는 단속편(150)이 삽입 및 안내되어 전기한 래치볼트(120)의 구속홈(122)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A guide block 140 close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latch bolt 120 is formed at one side with a guide curved surface portion 14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urved surface portion 121 of the latch bolt 120, And the insertion hole 14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pring insertion groove 142. The insertion hole 143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pring insertion groove 142 and penetrates through the guide block 140, (150) is inserted and guided and inserted into the restraining groove (122) of the latch bolt (120).

이어, 상기 단속편(150)은 금속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일측 끝단에는 슬릿공(153)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타측 끝단에는 확장 돌출의 걸림턱(151)(15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걸림턱(151)(151')의 일측 끝단에는 돌출의 스프링끼움턱(152)(15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턱(151)(151')에 의해서는 유동브라켓(170)의 일측과 계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스프링끼움턱(152)(152')에 의해서는 상기 단속편(150)을 전진 돌출시키는 복귀스프링(160)(160')의 일단이 계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intermittent piece 150 is obtained by press-working a metal plate. At one end thereof, a slit hole 153 is formed to penetr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other end thereof, an extension protrusion 151 (151 The protruding spring fitting protrusions 152 and 152 'are formed at one ends of the protrusions 151 and 151' so that the protrusions 151 and 151 ' One end of the return spring 160 or 160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one side of the flow bracket 170 and the spring 150 jaws 152' So that the lock is fixed.

여기서, 상기의 복귀스프링(160)(60')은 일단이 상기 스프링끼움턱(152)(152')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전기한 유닛몸체(110)의 스프링수용부(115)에 밀착 계지되어 있어 이들 복귀스프링(160)(160')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단속편(150)은 항상 래치볼트(120)를 향하여 전진하려는 힘을 받고 있는 상태가 된다.Here, the return springs 160 and 60 'have one end coupled to the spring-receiving jaw 152'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115 of the unit body 110, So that the intermittent piece 150 always receives a force to advance toward the latch bolt 12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s 160 and 160 '.

또한, 상기의 단속편(150)은 일측 끝단이 상기 가이드블럭(140)의 끼움공(143)으로 삽입되어 상기 래치볼트(120)의 구속홈(122)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블럭(140)의 저면으로부터 별도의 구속핀(154)을 삽입하되 상기의 구속핀(154)은 상기 단속편(150)의 슬릿공(153)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끼움공(143)을 관통하도록 고정 형성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블럭(140)과 단속편(150)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단속편(150)은 슬릿공(153)의 폭 만큼 가이드블럭(140)으로부터 유동될 수 있는 결합 구조를 갖게 된다.One end of the intermittent piece 150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143 of the guide block 140 and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22 of the latch bolt 120, The restricting pin 154 is inserted into the slit hole 153 of the intermittent piece 150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fitting hole 143 so as to pass through the fitting hole 143, The guide block 140 and the intermittent piece 150 are kept coupled to each other while the intermittent piece 150 is allowed to flow from the guide block 140 by a width of the slit hole 153, .

이에, 상기 단속편(150)의 전진에 따라 슬릿공(153)의 일측 끝단에 구속핀(154)이 위치하게 되면 단속편(150)의 끝단이 가이드블럭(140)의 끼움공(143)을 통해 돌출되어 래치볼트(120)의 구속홈(122)으로 삽입됨에 따라 가이드블럭(140)에 대한 래치볼트(120)의 회전이 억제되게 하고, 상기 단속편(150)의 후진에 따라 슬릿공(153)의 타측 끝단에 구속핀(154)이 위치하게 되면 단속편(140)의 끝단이 가이드블럭(140)의 끼움공(143)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래치볼트(120)가 가이드블럭(140)으로부터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When the restraint pin 154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slit hole 153 as the intermittent piece 150 advances, the end of the interrupted piece 150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143 of the guide block 140 The rotation of the latch bolt 120 with respect to the guide block 140 is suppressed as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restricting groove 122 of the latch bolt 120, When the restricting pin 154 is positioned at the other end of the guide block 140, the end of the interlock piece 140 is positioned inside the fitting hole 143 of the guide block 140 so that the latch bolt 120 is inserted into the guide block 140, So that rotation can be performed.

또한, 상기의 단속편(150)의 후진시 단속편(150)의 끝단은 상기 래치볼트(120)의 구속홈(122)으로부터 이탈되며 상기 래치볼트(12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계속하여 단속편(150)이 후진하게 되면 상기 구속핀(143)과 슬릿공(153)의 간섭으로 인해 상기 가이드블럭(140) 및 가이드블럭(140)과 이탈방지핀(123)에 의해 축결합된 래치볼트(120)가 모두 동시에 후퇴하게 된다.The end of the intermittent piece 150 is released from the restricting groove 122 of the latch bolt 120 and the latch bolt 120 is rotated, When the intermittent piece 150 is retracted, the latch block 140 and the slip hole 153 may interfere with each other by the engagement of the guide block 140 and the latch block 140, The bolts 120 are simultaneously retracted at the same time.

따라서, 상기 단속편(150)의 후진시 일차적으로 래치볼트(120)의 회전 억제력이 상실되는 것이고 이어 상기 가이드블럭(140)과 래치볼트(120)를 동시에 후퇴시키는 결합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engagement restricting force of the latch bolt 120 is lost primarily when the intermittent piece 150 is retracted, and the joint block structure retracts the guide block 140 and the latch bolt 120 at the same time.

여기서, 상기 래치볼트(120)와 가이드블럭(140)은 상기와 같이 이탈방지핀(123)에 의해 서로 핀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래치볼트(120)의 곡면부(121)와 가이드블럭(140)의 안내곡면부(141)가 서로 면접촉된 상태에서 이탈방지핀(123)에 의해 상호 축결합되게 함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120)는 가이드블럭(140)으로부터 이탈방지핀(123)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를 갖게 된다.The latch bolt 120 and the guide block 14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release prevention pin 123 as described above and the curved surface portion 121 of the latch bolt 120 and the guide block 140 So that the latch bolt 120 can move from the guide block 140 to the anti-tip pin 123 in the axial direction, So that it can be rotated.

특히, 상기 래치볼트(120)에는 양측면에 삼각요홈 형태로 된 계지홈부(124)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블럭(140)의 일측 상,하단에는 삼각돌기 형태로 된 계지돌부(144)를 대응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블럭(140)의 계지돌부(144)가 래치볼트(120)의 계지홈부(124)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들이 상기 이탈방지핀(123)에 의해 축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Particularly, the latch bolt 120 is formed with an engaging groove portion 124 in the form of a triangular groove on both sides thereof, and a locking projection 144 shaped like a triangular projec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block 140, So that the locking projections 144 of the guide block 140 ar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s 124 of the latch bolts 120 so that they are axially coupled by the separation preventing pins 123. [

여기서, 상기 가이드블럭(140)의 계지돌부(144) 측면은 삼각을 형성하기 위한 경사접면(145)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래치볼트(120)의 계지홈부(124) 역시 상기 경사접면(145)과 대응하는 형태의 대응접면(125)이 형성되어 있어 상호 삼각돌기의 형태와 삼각홈부의 형태가 계지되는 결합 구조를 갖게 될 것인데,The latching protrusion 144 of the guide block 140 is formed of an inclined contact surface 145 for forming a triangle and the latching groove portion 124 of the latch bolt 120 is also connected to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145 And the corresponding contact surface 125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riangular protrusion and the shape of the triangular protrusion are engaged,

상기 대응접면(125)의 내각은 경사접면(145)의 내각보다 크게 구성함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120)는 대응접면(125)과 경사접면(145)의 상호 간섭 각도 범위 내에서 가이드블럭(140)으로부터 회전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고, 이와 같은 상호 간섭 각도로 인해 상기 래치볼트(120)가 가이드블럭(140)으로부터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internal angle of the corresponding contact surface 125 is larger than the internal angle of the tilted contact surface 145 so that the latch bolt 120 is guided by the guide block 140 So that the latch bolt 120 is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rotated from the guide block 140 due to the mutual interference angle.

따라서, 상기 이탈방지핀(123)은 가이드블럭(140)의 계지돌부(144)를 관통하여 상기 래치볼트(120)로 끼워 결합되게 하고, 이탈방지핀(123)의 양측 끝단은 가이드블럭(140)의 양측부로 각기 돌출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유닛몸체(110)의 도어장착판(111)에 형성된 삽입공(113)을 통해 출몰되는 래치볼트(120)가 유닛몸체(10)로부터 외측으로 분리되지 않기 위한 스토퍼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The detent pin 123 passes through the detent projection 144 of the guide block 140 and is engaged with the latch bolt 120. Both ends of the detent pin 123 are engaged with the guide block 140 The latch bolt 120 protruding and retrac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113 formed in the door mounting plate 111 of the unit body 110 is separated from the unit body 10 outwardly I will act as a stopper to avoid.

또한, 상기의 유동브라켓(170)은 금속판재의 양측 끝단을 절곡 형성한 걸림부(171)(171')를 형성하여 일측 걸림부(171)는 전기한 단속편(150)의 걸림턱(151)(151')에 계지되도록 하고, 타측 걸림부(171')는 전기한 분할회전판(130)(130')의 걸림확장부(131)(131')에 계지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분할회전판(130)(130')이 회전하여 걸림확장부(131)(131')가 함께 회전되면 그로 인해 상기 유동브라켓(170)을 후퇴시키게 될 것이고, 상기 유동브라켓(170)이 후퇴하면 단속편(150)을 후퇴시켜 상기 래치볼트(120)의 구속홈(122)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래치볼트(120)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상태를 연출하게 된다.The flow brackets 170 are formed with bent portions 171 and 171 'formed by bending both ends of the metal plate so that the one side engaging portions 171 are engaged with the engaging shoulders 151 And the other engagement portion 171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extension portions 131 and 131' of the divided split rotary plates 130 and 130 ' 130 'rotate to retract the flow bracket 170 when the engagement expansion portions 131 and 131' are rotated together. When the flow bracket 170 is retracted, the interlocking pieces 150 So that the latch bolt 120 can be freely rotated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restricting groove 122 of the latch bolt 120. [

여기서, 상기 가이드블럭(140)의 스프링삽입홈(142)으로는 별도 구비의 돌출스프링(180) 일단이 삽입 계지되고 상기 돌출스프링(180)의 타단은 유닛몸체(110)의 스프링지지부(114)에 압축 상태로 계지되어 있어 상기 돌출스프링(180)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블럭(140)은 항상 전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고, 상기 가이드블럭(140)의 전진력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120) 역시 전진 돌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One end of a protruding spring 180 is inserted and retained in the spring insertion groove 142 of the guide block 140 and the other end of the protruding spring 180 is inserted into the spring support portion 114 of the unit body 110, The guide block 140 is always kept in the advanced stat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rotruding spring 180. When the latch bolt 120 is rotated by the advancing force of the guide block 140, It also maintains a forward projecting stat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유닛몸체(110)의 개방측에 별도 구비의 커버체(112)를 밀착시켜 상호 핀 구조에 의한 억지 끼움 혹은 볼트 조립 등을 방법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시킴에 따라 본 발명의 래치유닛이 완성되는 것이다.
In this state, the cover body 112, which is provided separately,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pen side of the unit body 110 to firmly fix the cover body 112 through the pin structure or the bolt assembly by the method, The unit is completed.

이에, 상기의 래치유닛이 도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래치유닛의 작동 관계를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atch unit in a state where the latch unit is mounted on the doo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래치유닛은 도 9 내지 도 10의 도시와 같이 도어가 닫힘 상태인 경우 래치볼트(120)의 직선부가 도어프레임의 잠금홈 내에 돌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되므로 상기의 도어(300)는 스스로 개방되지 않는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9 to 10, when the door is closed, the latch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straight portion of the latch bolt 120 is protrudingly inserted into the lock groove of the door frame, 300 are not opened by themselves.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300)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푸쉬풀 도어락(200)(200')의 푸쉬풀레버(202)를 당기거나 누르는 동작에 의해 내장된 회전축(191)이 회전될 것이고, 상기 회전축(191)의 회전작용으로 인해 래치유닛(100) 내의 분할회전판(130)(130')이 회전을 하게 될 것이며, 분할회전판(130)(130')의 걸림확장부(131)(131')가 회전을 하게 되면서 유동브라켓(170) 및 단속편(150)을 후퇴 작동시키게 된다.In this state, the built-in rotary shaft 191 will be rotated by the operation of pulling or pushing the push-pull lever 202 of the push-pull door lock 200 or 200 'by the user to open the door 300,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191 causes the split rotary plates 130 and 130 'in the latch unit 100 to rotate and the engagement expansion portions 131 and 131' of the split rotary plates 130 and 130 ' 'Rotate to cause the flow bracket 170 and the intermittent piece 150 to retract.

이때, 상기 푸쉬풀레버(202)의 당김 혹은 누름 동작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단속편(150)의 끝단이 래치볼트(120)의 구속홈(122)을 이탈하여 상기 래치볼트(120)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이루어질 것이고, 푸쉬풀레버(202)의 지속적인 당김 혹은 누름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래치볼트(120)는 단속편(150)과 구속핀(154) 및 가이드블럭(140)과 이탈방지핀(123)의 결합 구조로 인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계속하여 유닛몸체(110)의 내부로 후퇴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pulling or pushing operation of the push pull lever 202 starts to occur, the end of the interrupted piece 150 moves away from the restricting groove 122 of the latch bolt 120 and the latch bolt 120 is rotated When the push-pull lever 202 is continuously pulled or pushed, the latch bolt 12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by the interlocking piece 150, the restricting pin 154, the guide block 140, 123) to the inside of the unit body (110) in a rotatable state.

따라서, 상기와 같이 단속편(50)이 래치볼트(20)로부터 분리되는 순간 도어(100)는 사용자가 밀거나 당기는 힘에 의해 개방이 시작될 수 있을 것이나, 푸쉬풀레버(202)에 작용하는 일정 수준의 지속적인 당김력 혹은 누름력에 의해 래치볼트(120)가 일정 부분 래치유닛(110)의 내부로 함몰된 상태에서, 도어프레임과 간섭되고 있는 래치볼트(120)는 곡면부(121) 및 가이드블럭(140)의 안내곡면부(141)에 의해 회전을 시작하며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door 100 can be opened by the pushing or pulling force of the user as soon as the intermittent piece 50 is separated from the latch bolt 20, The latch bolt 120 interfering with the door frame in a state in which the latch bolt 120 is recessed into the inside of the latch unit 110 due to the constant pulling force or pressing force of the level surface 121 and the guide The rotation of the door is started by the guide curved surface portion 141 of the block 140 and the door is opened.

이어, 상기 래치볼트(12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도면상 래치볼트(120)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던 직선부는 경사부로 전환될 것이고, 회전 전의 경사부는 직선부로 전환되면서 상기 경사부가 도어프레임과 간섭을 일으키면서 상기 래치볼트(120)는 내부의 돌출스프링(180)을 압축시키며 가이드블럭(140)과 함께 유닛몸체(110)의 내측으로 함몰 삽입되는 것이다.As the latch bolt 120 is rotated, the straight portion formed below the latch bolt 120 is converted into an inclined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before the rotation is converted into a straight portion, so that the inclined portion can interfere with the door frame The latch bolt 120 compresses the protruding spring 180 and is inserted into the unit body 110 with the guide block 140 inserted into the unit body 110.

이에, 상기 래치볼트(120)의 회전 및 함몰 삽입에 의한 회동 작용으로 인해 상기 도어(300)는 간편하게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개방 상태의 도어(300)를 다시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래치볼트(12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 및 내측으로 함몰 삽입되면서 역시 간편하게 도어의 닫힘 상태가 연출되는 것이다.The door 300 can be easily opened due to rotation and depression of the latch bolt 120. When the door 300 is to be closed again, the latch bolt 120 120 are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inserted into the inside, so that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is also easily produced.

즉, 전기한 바와 같이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래치볼트(120)가 회전된 상태이므로 상기 단속편(150)의 끝단은 래치볼트(120)의 구속홈(122)으로부터 이탈되어 래치볼트(120)의 곡면부(121)에 맞닿아 있게 된다.That is, since the latch bolt 120 is rotated when the door is opened, the end of the intermittent piece 150 is separated from the restricting groove 122 of the latch bolt 120, And is in contact with the curved surface portion 121.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를 닫는 경우 돌출되어 있던 래치볼트(120)는 도어프레임과 간섭을 일으키며 단속편(150)과 무관하게 회전을 하게 될 것이고, 상기 래치볼트(120)의 회전과정에서 래치볼트(120)의 직선부가 경사부로 전환 및 경사부가 직선부로 전환되면서 경사부와 도어프레임 간의 간섭으로 인해 상기 래치볼트(120)는 다시 유닛몸체(110)로 함몰 삽입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도어(30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래치볼트(120)가 도어프레임 내부의 잠금홈 내에 돌출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의 도어(300)에 대한 안정적인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door is closed in this state, the protruding latch bolt 120 will interfere with the door frame and rotate irrespective of the intermittent piece 150. In the course of the rotation of the latch bolt 120, The straight portion of the bolt 120 is changed to the inclined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is changed to the rectilinear portion so that the latch bolt 120 is inserted into the unit body 110 again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inclined portion and the door frame, When the door 300 is completely closed, the latch bolt 120 can maintain a stable closed state with respect to the door 300 while maintaining the protruded state in the locking groove in the door frame.

이에 따라, 실내측 혹은 실외측의 푸쉬풀레버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단속편(150)이 래치볼트(120)와 분리되는 동시에 상기 래치볼트(120)를 일정 구간 후퇴시키므로, 상기 래치볼트(120)의 회전 및 사용자에 의한 도어의 미는 힘 또는 도어의 닫는 힘으로 인해 상기 래치볼트(120)가 유닛몸체(110)의 내측으로 연속하여 함몰 삽입되면서 상기의 도어(300)는 가볍고 신속하게 닫힘 혹은 열림 상태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by simply rotating the push-pull lever on the indoor side or the outdoor side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intermittent piece 150 is separated from the latch bolt 120 and the latch bolt 120 is retracted for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latch bolt 120 is continuously inserted and inserted into the unit body 110 due to the rotation of the latch bolt 120 and the pushing force of the door or the closing force of the door by the user so that the door 300 is light So that a quick closing or opening state is produced.

특히, 도어를 개방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상기의 래치볼트(120)는 일정 부분 유닛몸체(110)의 내측으로 강제 함몰된 상태에서 회전 작용이 이루어질 것이므로 상기 도어프레임과의 간섭에 의해 회전하는 래치볼트(120)는 상호 간의 간섭 저항력이 약화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어 더욱 정숙하고 부드러운 회전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래치볼트(120)와 도어프레임 간의 부딪힘에 의한 소음 역시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는 것이다.Particularly,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door, since the latch bolt 120 is rotated in a state where the latch bolt 120 is forcedly recessed inside the unit body 110, the latch bolt 120 rotated by the interference with the door frame 120 can be rotated in a state in which mutual interference resistance is weakened, so that a more quiet and smooth opening can be achieved, and the noise caused by the collision between the latch bolt 120 and the door frame can be remarkably reduced.

또한, 도어와 도어프레임 간의 간격이 매우 좁은 경우에는 상기 래치볼트(120)의 회전 함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도어의 개방이 원활하지 못할 것이나 본 발명의 래치볼트(120)는 일정 부분 함몰된 상태에서 회전되므로 도어 및 도어프레임 간의 간격과 관계없이 부드럽고 원활한 도어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f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is very narrow, the latch bolt 120 can not be smoothly rotated and the opening of the door may not be smooth. However, the latch bol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smooth and smooth door opening can be achieved regardless of the distance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따라서, 본 발명의 래치유닛은 기존의 래치볼트의 단순 슬라이딩 작동과는 무관하게 함몰 회전 및 슬라이딩에 의한 회동 작용을 수행하면서 도어의 개방 혹은 닫힘 상태가 연출되게 하므로 실내 측 혹은 실외 측에 노출되어 있는 푸쉬풀 레버를 가볍게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도 도어락이 부드럽게 해정되면서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뛰어난 것이고, 도어의 개폐 방향에 따라 래치유닛만을 간단하게 전,후로 바꾸어 장착하기만 하면 되므로 시공 편리성이 매우 우수한 것이다.
Therefore, the latch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osed to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door, because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while the latch unit rotates and slides by rotation regardless of the simple sliding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latch bolt The door can be opened easily by only pushing or pulling the push-pull lever lightly,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Thus, the latch unit can be easily and simply replaced with the latch unit according to the opening / closing direction of the door, The convenience is very good.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Examples should be understood.

100 : 래치유닛
110 : 유닛몸체 111 : 도어장착판
112 : 커버체 113 : 삽입공
114 : 스프링지지부 115 : 스프링수용부
120 : 래치볼트 121 : 곡면부
122 : 구속홈 123 : 이탈방지핀
124 : 계지홈부 125 : 대응접면
130,130' : 분할회전판 131,131' : 걸림확장부
140 : 가이드블럭 141 : 안내곡면부
142 : 스프링삽입홈 143 : 끼움공
144 : 계지돌부 145 : 경사접면
150 : 단속편 151,151' : 걸림턱
152,152' : 스프링끼움턱 153 : 슬릿공
154 : 구속핀
160,160' : 복귀스프링
170 : 유동브라켓 171,171' : 걸림부
180 : 돌출스프링
191 : 회전축
200,200' : 푸쉬풀 도어락 201 : 본체
202 : 푸쉬풀레버 203 : 회전작동구
204 : 유동로드 205 : 회전풀리
300 : 도어
100: latch unit
110: unit body 111: door mounting plate
112: cover body 113: insertion hole
114: spring supporting portion 115: spring receiving portion
120: latch bolt 121:
122: restraint groove 123:
124: engaging groove portion 125:
130, 130 ': split rotation plate 131, 131'
140: guide block 141: guide curved portion
142: spring insertion groove 143:
144: engaging projection 145: inclined face
150: Interrupted portion 151, 151 ': Jaw
152, 152 ': spring-loaded chin 153: slit ball
154:
160,160 ': return spring
170: flow bracket 171, 171 ': engaging portion
180: projecting spring
191:
200, 200 ': Push-pull door lock 201:
202: Push-pull lever 203:
204: Flow rod 205: Rotary pulley
300: Door

Claims (8)

본체(201)에 푸쉬풀레버(202)가 장착되고 상기 본체(201) 내부에는 상기 푸쉬풀레버(202)와 함께 연동하는 회전작동구(203) 및 유동로드(204)와 회전풀리(205)가 구비된 한 쌍의 푸쉬풀 도어락(200)(200')과; 일측에 도어장착판(111)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장착판(111)으로부터 내부공간을 갖는 유닛몸체(11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유닛몸체(110)에는 커버체(112)가 결합되고 상기 유닛몸체(110) 내에는 래치볼트(120) 및 분할회전판(130)(130')이 내장된 래치유닛(100);으로 각기 구성되어, 상기 분할회전판(130)(130') 및 회전풀리(205)를 연결하는 회전축(191)이 푸쉬풀레버(202)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래치볼트(120)가 도어장착판(111)으로부터 출몰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래치유닛(100)은 래치볼트(120)의 일측에 가이드블럭(140)과 단속편(150)이 밀착 형성되고, 상기 단속편(150)은 가이드블럭(140)을 관통하여 래치볼트(120)와 계지 결합되게 하며, 상기 유닛몸체(110)로부터 복귀스프링(160)(160')에 의해 탄력 지지된 단속편(150)의 일측과 상기 유닛몸체(110)로부터 개별 회전되는 분할회전판(130)(130')의 일측에는 별도 구비의 유동브라켓(170)이 각기 계지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푸쉬풀레버(202)의 푸쉬풀 작동에 의한 상기 래치볼트(120)의 강제 후퇴 작동 후, 도어프레임과 래치볼트(120) 간의 상호 간섭에 의한 래치볼트(120)의 회전 및 후퇴 작용을 통해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래치볼트(120)는 유닛몸체(110)의 내부를 향하는 일측에 곡면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블럭(140)은 사각블럭 형태로 가이드블럭(140)의 일측에는 상기 곡면부(121)와 대응하는 안내곡면부(141)를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블럭(140)의 안내곡면부(141)를 따라 상기 래치볼트(120)가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래치볼트(120)의 곡면부(121)에는 상기의 단속편(150)이 삽입되는 구속홈(122)이 형성되어, 상기 구속홈(122)으로 단속편(150)의 끝단이 삽입됨에 따라 래치볼트(120)의 회전이 억제되도록 구성하여 된 푸쉬풀 도어락에 있어서,
가이드블럭(140)에는 단속편(150)이 관통 삽입되게 한 끼움공(143)을 형성하고, 단속편(150)의 끝단에는 슬릿공(153)을 형성하며, 가이드블럭(140)에는 별도 구비의 구속핀(154)이 상기 단속편(150)의 슬릿공(153) 및 끼움공(143)을 관통하도록 삽입하여 상기 단속편(150)이 슬릿공(153)의 폭 범위 내에서 가이드블럭(140)으로부터 유동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단속편(150)의 전진에 따라 슬릿공(153)의 일측 끝단에 구속핀(154)이 위치하게 되면 단속편(150)의 끝단이 가이드블럭(140)의 끼움공(143)을 통해 돌출되어 래치볼트(120)의 구속홈(122)으로 삽입됨에 따라 가이드블럭(140)에 대한 래치볼트(120)의 회전이 억제되게 하고, 상기 단속편(150)의 후진에 따라 슬릿공(153)의 타측 끝단에 구속핀(154)이 위치하게 되면 단속편(140)의 끝단이 가이드블럭(140)의 끼움공(143)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래치볼트(120)가 가이드블럭(140)으로부터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의 래치유닛을 갖는 실내 도어용 푸쉬풀 도어락.
A push-pull lever 202 is mounted on the body 201 and a rotary actuator 203 and a rotary rod 204 and a rotary pulley 205 interlocked with the push- A pair of push-pull door locks 200 and 200 '; And a unit body 110 having an inner space from the door mounting plate 111 is integrally formed and a cover body 112 is coupled to the unit body 110, And a latch unit 100 in which a latch bolt 120 and split rotary plates 130 and 130 'are built in the body 110. The split rotary plates 130 and 130' The latch bolt 120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push pull lever 202 so that the latch bolt 120 protrudes from the door mounting plate 111,
The latch unit 100 includes a guide block 140 and an intermittent piece 150 which are close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latch bolt 120. The intermittent piece 150 passes through the guide block 140, And one end of the intermittent piece 150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return springs 160 and 160 'from the unit body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split rotation plate 130 The movable brackets 170 are respectively engaged with the movable brackets 170 at one side of the door frame 130. After the forced retraction of the latch bolts 120 by the push-pull operation of the push pull lever 202, Closing and closing of the door is performed through rotation and retraction of the latch bolt 120 due to mutual interference between the latch bolt 120 and the latch bolt 120,
The latch bolt 120 is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portion 121 at one side facing the inside of the unit body 110. The guide block 140 is formed in a rectangular block shape and the curved surface portion And the guide bolt 120 is rotated along the guide curved surface portion 141 of the guide block 140 so that the curved surface portion 141 of the latch bolt 120 is rotated, The restricting groove 122 in which the intermittent piece 15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recess 121 and the rotation of the latch bolt 120 is suppressed as the end of the intermittent piece 150 is inserted into the restricting groove 122. [ In the push-pull door lock configured to be configured,
The guide block 140 is formed with a fitting hole 143 through which the intermittent piece 150 is inserted so that the slit hole 153 is formed at an end of the intermittent piece 150, The locking piece 150 is inserted into the slit hole 153 and the fitting hole 143 of the intermittent piece 150 so that the intermittent piece 150 is inserted into the guide block 153 140,
When the restraint pin 154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slit hole 153 as the intermittent piece 150 advances, the end of the interrupted piece 150 protrudes through the fitting hole 143 of the guide block 140 The rotation of the latch bolt 120 with respect to the guide block 140 is suppressed and the slit hole 153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intermittent piece 150. [ The end of the intermittent piece 140 is positioned inside the fitting hole 143 of the guide block 140 and the latch bolt 120 is rotated from the guide block 140 Wherein the latch unit is configured to allow the door to be opened and clos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97159A 2018-08-21 2018-08-21 Push-Pull Door Lock for Indoor Door KR1019820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159A KR101982007B1 (en) 2018-08-21 2018-08-21 Push-Pull Door Lock for Indoor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159A KR101982007B1 (en) 2018-08-21 2018-08-21 Push-Pull Door Lock for Indoor Do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007B1 true KR101982007B1 (en) 2019-05-24

Family

ID=66680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159A KR101982007B1 (en) 2018-08-21 2018-08-21 Push-Pull Door Lock for Indoor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00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710B1 (en) 2020-05-26 2020-08-21 이현진 Door Locking device for Push-Pull Door Lock
KR20210120693A (en) * 2020-03-27 2021-10-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Door latch-bolt assembly
WO2023113415A1 (en) * 2021-12-15 2023-06-22 (주)애니락 Push-pull door lock having latch uni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6562B1 (en) * 1999-06-04 2001-02-13 Fu Hsing Industrial Co., Ltd Latch bolt assembly of a lock
KR200239251Y1 (en) 2001-04-20 2001-10-12 주진 Push Pull Type Door Lock Device
JP2014077233A (en) * 2012-10-09 2014-05-01 Yoyo Co Ltd Latch lock
KR101534685B1 (en) 2013-11-22 2015-07-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ush pull type door lock
DE102015109005A1 (en) * 2015-06-08 2016-12-08 MSL Schloss- und Beschlägefabrik AG Lock with noise insulation
KR101732674B1 (en) 2015-10-19 2017-05-04 (주)메타네트웍스 Door Lock Device with push-pull motion
KR20170066195A (en) 2015-12-03 2017-06-14 주식회사 에프원테크 push-pull doorlock
KR101765329B1 (en) * 2016-10-13 2017-08-04 전병화 Digital door rock
KR101868469B1 (en) * 2017-08-02 2018-06-18 전병화 Push-Pull Door Locks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6562B1 (en) * 1999-06-04 2001-02-13 Fu Hsing Industrial Co., Ltd Latch bolt assembly of a lock
KR200239251Y1 (en) 2001-04-20 2001-10-12 주진 Push Pull Type Door Lock Device
JP2014077233A (en) * 2012-10-09 2014-05-01 Yoyo Co Ltd Latch lock
KR101534685B1 (en) 2013-11-22 2015-07-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ush pull type door lock
DE102015109005A1 (en) * 2015-06-08 2016-12-08 MSL Schloss- und Beschlägefabrik AG Lock with noise insulation
KR101732674B1 (en) 2015-10-19 2017-05-04 (주)메타네트웍스 Door Lock Device with push-pull motion
KR20170066195A (en) 2015-12-03 2017-06-14 주식회사 에프원테크 push-pull doorlock
KR101765329B1 (en) * 2016-10-13 2017-08-04 전병화 Digital door rock
KR101868469B1 (en) * 2017-08-02 2018-06-18 전병화 Push-Pull Door Lock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693A (en) * 2020-03-27 2021-10-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Door latch-bolt assembly
KR102640772B1 (en) * 2020-03-27 2024-02-27 주식회사 직방 Door latch-bolt assembly
KR102146710B1 (en) 2020-05-26 2020-08-21 이현진 Door Locking device for Push-Pull Door Lock
WO2023113415A1 (en) * 2021-12-15 2023-06-22 (주)애니락 Push-pull door lock having latch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007B1 (en) Push-Pull Door Lock for Indoor Door
KR101868469B1 (en) Push-Pull Door Locks
US7832239B2 (en) Lock apparatus for a glove box of a vehicle
US5820175A (en) Self-closing latch
CN108699864B (en) Latch device with handle
US3680901A (en) Bolt assembly
US11959307B2 (en) Lever action automatic shootbolt operator with magnetically-triggered locking mechanism
JP5109406B2 (en) Brake device for sliding door
US10550614B2 (en) Dual latch assembly for openable structures
EP3336285B1 (en) Closure latch assemblies
CN113040544A (en) Drawer slide closing and rebounding device
KR20160042348A (en) Apparatus for locking windows and doors
KR101843047B1 (en) Push-Pull Door Lock with Sliding Lock
US3357734A (en) Door lock
US7273239B1 (en) Latch for sliding closures
KR100686609B1 (en) Apparatus for locking door
EP0509063B1 (en) Device for restricting the movements of doors
US6422614B1 (en) Electronic lock
KR101666764B1 (en) Push-pull type door lock
GB2056540A (en) Fastening for sliding doors and windows
CN220909450U (en) Buffer mechanism and device comprising same
JP3919870B2 (en) Electric lock for sliding door
US20220162882A1 (en) Lever action automatic shootbolt operator with magnetically-triggered lock mechanism
JP2013060717A (en) Fixture latch lock
GB2063981A (en) A Double-lock Assembly for a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