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945B1 - Sleeping Management Device for Baby and Sleeping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leeping Management Device for Baby and Sleeping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945B1
KR101981945B1 KR1020170113087A KR20170113087A KR101981945B1 KR 101981945 B1 KR101981945 B1 KR 101981945B1 KR 1020170113087 A KR1020170113087 A KR 1020170113087A KR 20170113087 A KR20170113087 A KR 20170113087A KR 101981945 B1 KR101981945 B1 KR 101981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sleep
unit
sleep managemen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0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6338A (en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이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호 filed Critical 이재호
Priority to KR1020170113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945B1/en
Publication of KR20190026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3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9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3Local tracking of patients, e.g. in a hospital or private home
    • A61B5/1114Tracking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001Baby-comfor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04Babies, e.g. for SIDS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tactile sense, e.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61Simulated heartbeat pulsed or modul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63Motion, e.g. physical 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40/00Specially adapted for neonatal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syc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영아 수면관리장치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자유낙하하도록 형성되며, 하향 이동 시 영아의 신체에 접촉되어 타격감을 발생시키는 왕복운동유닛 및 자유낙하에 의해 하향된 상기 왕복운동유닛을 상부로 재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The infant sleep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ciprocating unit which is formed to fall freely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which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fant's body at the time of downward movement to generate a feeling of hitting and the reciprocating unit, And a drive unit for re-moving.

Description

영아 수면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아 수면관리방법{Sleeping Management Device for Baby and Sleeping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eep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은 영아 수면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아 수면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아를 토닥이는 과정에서 영아에게 가해지는 압력을 강제적으로 지속시키지 않도록 하여 수면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한 영아 수면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아 수면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ant sleep management apparatus and an infant sleep management method using the infant sleep management apparatu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ant sleep management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 infant sleep management apparatus and an infant sleep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아이를 키워본 부모라면 졸린 아이를 달래서 잠재우는 것이 얼마나 힘든지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영아는 잠을 잘 자지 않고 수시로 깨서 젖을 요구하며, 배가 채워진 후에도 상당 시간 동안 부모가 옆에 있음을 인지시켜주며 토닥이고 사랑을 속삭여 주어야 잠에 될게 된다.If you are a parent who has raised a child, you can know how hard it is to calm down a sleepy child. Generally, an infant does not sleep well and wakes from time to time to ask for milk. Even after the stomach is filled, he or she will notice that the parents are next to him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이는 아이가 엄마의 뱃속에서 낯선 세상으로 나올 경우의 환경 변화에 의한 분리불안에서 비롯된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는데 엄마의 심장박동수와 유사한 박자로 등, 엉덩이 또는 배를 토닥여 주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It is said that this is caused by separation anxiety due to environmental change when a child comes out of the mother's stomach into a strange world. To solve this problem, it is known that it is effective to blunt the back of a mother, a hip or a stomach similar to a mother's heart rate.

이러한 필요로 아이를 달래주는 인조 손 또는 요람에 관한 특허는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수없이 많이 출원되고 있다. 이들 중 일부는 특허등록이 되기도 하나, 결과적으로 시중에 판매 유지되고 있는 제품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특허들을 분석해 보니 몇 가지 공통적인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Patents related to artificial hand or cradle that comforts a child with this need have been filed numerous times not only in domestic but also overseas. Some of them are registered as patents, but as a result, there are no products that are sold on the market. Analysis of these conventional patents reveals some common problems.

상기 특허들의 공통점으로는 전기모터와 감속기를 이용하며 회전운동을 동력전달 메카니즘 또는 제어부를 이용하여 상하 운동으로 만들어 아이를 토닥여 달래주는 시스템이라는 점이다. 이때 각 특허에서는 편심된 축을 사용하거나 랙 앤 피니언 방식의 동력전달 메카니즘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Commonly, the electric motor and the speed reducer are used as the common features of the above-mentioned patents, and the rotational motion is made into a vertical motion by using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or a control unit, and the system is a system for striking a child. At this time, each patent often uses an eccentric shaft or a rack-and-pinion typ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의 동력전달 장치의 문제점은 동력이 상시 체결된 메커니즘에 의해 전달되어 아이의 위치와 자세에 따라 장치 구동의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However, the problem of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having such a structure is that the power is transmitted by the mechanism that is always engaged, and the driving of the device may be disrup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attitude of the child.

예를 들어 아이가 수면중 엉덩이를 치켜든 경우, 시스템의 구조상 엔드 이펙터(모형손 이나 탄성력을 가진 파트)의 탄성력과 구동 토크에 따라 두 가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child lifts his buttocks during sleep, two things can happen depending on the elasticity and drive torque of the end effector (model hand or elastic part) due to the structure of the system.

시스템의 강성 및 구동토크가 충분히 강할 경우에는, 아이에게 계속해서 정해진 구동토크로 힘을 가하게 되어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며, 반대의 경우에는 시스템이 왕복운동하지 못하고 한 지점에 정체해 있게 되어 과전류를 발생시킴에 따라 전기모터를 손상시키거나 감속기에 기계적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If the rigidity of the system and the driving torque are sufficiently strong, the child may continue to apply a force with a predetermined driving torque to cause a safety accident. In the opposite case, the system can not reciprocate and become stagnant at one point, There is a problem of damaging the electric motor or causing mechanical damage to the reducer.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a method for solving such problems is required.

미국등록특허 제6485442호U.S. Patent No. 6485442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상시 체결 조건이 아닌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아이를 안전하고 조용하게 토닥여 주어 수면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has as its object to enable a child to safely and quietly perform sleep management by using a mechanism other than a normal fastening condition.

또한 효과적인 수면관리를 통해 엄마의 뱃속에서 낯선 곳으로 나와 분리불안을 겪으며 잠 못 이루는 아이와, 이를 달래느라 밤잠을 설치며 고생하는 부모들에게 꿈을 꿀 수 있는 여유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In addition, it has the purpose of providing dreams to the parents who are suffering from separation anxiety by sleeping in an unfamiliar place through the effective sleep management, and parents who are suffering from sleeping while sleeping and soaking up.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아 수면관리장치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자유낙하하도록 형성되며, 하향 이동 시 영아의 신체에 접촉되어 타격감을 발생시키는 왕복운동유닛 및 자유낙하에 의해 하향된 상기 왕복운동유닛을 상부로 재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fant sleep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ciprocating unit which is formed to fall freely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which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infant at the time of downward movement to generate a feeling of hitting; And a drive unit for moving the reciprocating unit upwardly.

그리고 상기 왕복운동유닛은, 영아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부재 및 전단부가 상기 접촉부재에 연결되고,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iprocating unit may include a contact member that directly contacts the infant ' s body, and an elongate member that is connected to the contact member and has a long rear end.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일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돌출부가 상기 연장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접촉부재를 상향시키는 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driving motor, a rotating portion rotatably formed by the driving motor, and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rotating portion,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contacts the extending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ortion, And a cam member for upwardly moving the member.

그리고 수면관리 대상 영아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의 감지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result of the motion detection sensor.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아 수면관리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유닛을 기본패턴으로 구동시키는 (a)단계, 상기 동작감지센서를 통해 수면관리 대상 영아의 동작을 감지하는 (b)단계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를 통한 감지 결과 수면관리 대상 영아의 동작이 수면불안반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유닛의 패턴을 기 설정된 복수의 패턴 중 어느 하나의 패턴으로 변화시키는 (c)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ant sleep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driving the driving unit to a basic pattern by the control unit; sensing an operation of an infant undergoing sleep management through the motion detection sensor and b) if the operation of the subject to be sleep manag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is determined to be a sleep anxiety reaction, the controller changes the pattern of the driving unit to any one of a predetermined plurality of patterns (c).

그리고 상기 (c)단계 이후에는, 상기 동작감지센서를 통해 수면관리 대상 영아의 동작을 재감지하는 (d)단계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를 통한 감지 결과 수면관리 대상 영아의 동작이 수면안정반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유닛의 변화된 패턴을 안정상태 전환용 패턴으로서 저장하는 (e)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D) re-sensing the operation of the infant undergoing sleep management through the motion detection sensor after the step (c), and a step (d) of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infant to be sleep manag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And (e) when the determination is made, the control unit stores the changed pattern of the drive unit as a pattern for switching the stable stat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아 수면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아 수면관리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infant sleep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infant sleep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하향 시 자유낙하하는 왕복운동유닛을 통해 영아에게 불필요한 압력을 지속하지 않도록 하여 효과적으로 수면관리를 수행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First, unnecessary pressure is not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infant through the reciprocating unit that drops freely when the downward direction is performed, thereby effectively performing sleep management and preventing safety accidents.

둘째, 효과적인 수면관리를 통해 엄마의 뱃속에서 낯선 곳으로 나와 분리불안을 겪으며 잠 못 이루는 아이와, 이를 달래느라 밤잠을 설치며 고생하는 부모들에게 충분한 휴식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ly, it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enough rest to the parents who are suffering from separation anxiety by going to a strange place in the mother's womb through effective sleep management, and sleeping parents who are suffering from sleep.

셋째, 아이는 기존보다 오래 숙면을 취하게 되며, 이는 성장호르몬 분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신체 발달 및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rd, the child has a longer sleep than before,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growth hormone secretion,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physical development and growth.

넷째, 동작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아이의 미세한 동작까지 감지하고 모니터링이 가능하므로, 수면관리 효과를 극대화함은 물론 영아돌연사를 예방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Fourth, since it is possible to detect and monitor the minute movement of the child by using the motion detection sensor,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leep management effect and to have an excellent effect in preventing sudden infant death.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아 수면관리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아 수면관리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아 수면관리장치의 구동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영아 수면관리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영아 수면관리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영아 수면관리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infant sleep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fant sleep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and FIG. 4 are views showing a driving state of the infant sleep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infant sleep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infant sleep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dministering an infant sleep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아 수면관리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아 수면관리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nfant sleep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fant sleep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아 수면관리장치는 크게 왕복운동유닛(100)과 구동유닛(200)을 포함한다.1 and 2, the infant sleep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iprocating unit 100 and a driving unit 200. [

상기 왕복운동유닛(100)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자유낙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하향 이동 시에는 영아의 신체에 접촉되어 타격감을 발생시키게 된다.The reciprocating unit 100 may be formed so as to fall freely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n particular, when moving downward, the reciprocating unit 1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infant to generate a sense of hitting.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200)은 자유낙하에 의해 하향된 상기 왕복운동유닛(100)에 동력을 이용하여 상부로 재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왕복운동유닛(100)은 반복적으로 영아를 타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200 can be moved back to the upper part by using power to the reciprocating unit 100 which has been lowered by the free fall, so that the reciprocating unit 100 repeatedly blows the infant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왕복운동유닛(100)은, 영아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부재(110)와, 전단부가 상기 접촉부재에 연결되고,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재(120)와, 상기 연장부재(120) 및 상기 접촉부재(11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ciprocating unit 100 includes a contact member 110 directly contacting the infant's body, an extension member 120 having a front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contact member and elongated in the backward direction, And a connection member 130 connecting the extension member 120 and the contact member 110 to each other.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접촉부재(110)는 바가지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접촉부재(110)의 형태는 제한 없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act member 110 is formed in a bent shape, but the shape of the contact member 110 may be variously formed without limitation.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200)은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220)와, 상기 구동모터(2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캠부재(230)를 포함한다.The driving unit 200 includes a driving motor 220 for generat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and a cam member 230 rotatable by the driving motor 220.

이때 상기 캠부재(230)는 상기 구동모터(220)와 회전축(221)에 의해 연결된 회전부(231)와, 상기 회전부(231)의 일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3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캠부재(230)는 상기 회전부(23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돌출부(232)가 상기 연장부재(120)에 접촉되어 상기 접촉부재(110)를 상향시킬 수 있다.The cam member 230 includes a rotation unit 231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220 by a rotation shaft 221 and a protrusion 232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rotation unit 231. The cam member 230 can move the contact member 110 upward by the protrusion 232 contacting the extension member 120 as the rotation unit 231 rotates.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유닛(200)에는 동작감지센서(25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ing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motion detection sensor 2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구동유닛(200)은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우징(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연장부재(120)의 후단부를 고정시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부(211)와, 상기 왕복운동유닛(100)의 하향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240)를 포함한다.The driving unit 200 may include a housing 210 formed to surround the components. The housing 210 includes a fixing portion 211 for fixing and rotating the rear end of the extension member 120 and a stopper portion 240 for limiting a downward extent of the reciprocating unit 100.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부재(23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돌출부(232)가 상기 연장부재(120)의 하부에 도달한 경우, 상기 연장부재(120)를 들어올려 상기 접촉부재(110)가 상향되도록 할 수 있다.3, when the protrusion 232 reaches the lower portion of the extension member 120 as the cam member 230 rotates, the extension member 120 is lifted So that the contact member 110 can be moved upward.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부재(230)의 지속적 회전에 의해 상기 캠부재(230)의 돌출부(232)와 상기 연장부재(120)와 접촉된 상태가 해제될 경우, 상기 왕복운동유닛(100) 전체가 하향된다. 이때 상기 왕복운동유닛(100)은 상기 구동모터(220)와 상시 체결 상태가 아니므로, 중력에 의해 자유낙하할 수 있다.4, when the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 232 of the cam member 230 is in contact with the extension member 120 is released by the continuous rotation of the cam member 230, (100) is lowered. At this time, since the reciprocating unit 100 is not normally engaged with the driving motor 220, it can be freely dropped by gravity.

즉 본 발명의 왕복운동유닛(100)은 하향 시 자유낙하에 의해 영아에게 불필요한 압력을 지속하지 않도록 하여 효과적으로 수면관리를 수행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In other words, the reciprocating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preventing the infant from continuing unnecessary pressure due to the free fall upon downward movement, effectively performing sleep management, and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재(130)와 상기 접촉부재(110)는 서로 소정 각도만큼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자유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접촉부재(110)가 영아를 타격하는 과정에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nection member 130 and the contact member 110 may be formed to have a degree of freedom that allows the contact member 110 to be rotated up and down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is case, The impact can be effectively absorbed during the hitting process.

또한 상기 접촉부재(110)에는 완충성을 가지는 쿠션 등이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contact member 110 may be provided with a shock absorbing cushion or the like.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영아 수면관리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infant sleep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왕복운동유닛(100')의 구동 형태가 제1실시예와 다소 다르게 형성된다.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the driving mode of the reciprocating unit 100 'is formed sligh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캠부재(230)는 상기 연장부재(120)의 회전축(121)보다 후방에 구비되며, 또한 상기 연장부재(120)보다 상부에 구비된다.In this embodiment, the cam member 230 is provided behind the rotation shaft 121 of the extension member 120 and is provided above the extension member 120.

이에 따라 상기 캠부재(230)가 회전할 경우, 상기 돌출부(231)는 상기 연장부재(120)의 회전축(121) 후방을 상부에서 가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접촉부재(110)가 상향될 수 있다.When the cam member 230 rotates, the protrusion 231 presses the rear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121 of the extension member 120 at the upper portion, whereby the contact member 110 can be moved upward have.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와 역시 마찬가지로, 상기 접촉부재(110)가 하향 시 자유낙하하게 되는 것은 동일하다.In this embodiment, similarly to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it is the same that the contact member 110 is allowed to fall freely downward.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영아 수면관리장치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n infant sleep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영아 수면관리장치는 스탠드(3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유닛(200')의 하우징(210)은 체결부(212)에 의해 상기 스탠드(300)에 연결된다.6, the infant sleep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tand 300, and the housing 210 of the drive unit 200 'may be coupled to the stand (not shown) 300.

특히 상기 스탠드(300)는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의 다리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다리의 상단이 서로 이어지게 'ㄷ'형상으로 형성되어, 영아를 상기 한 쌍의 다리 사이에 두고 상기 왕복운동유닛(100')을 이영하여 수면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왕복운동유닛(100')은 상기 구동유닛에서 상기 한 쌍의 다리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체결부(212)는 상기 하우징(210)에 결합된다.
이는 상기 스탠드(300)가 영아의 상부에 왕복운동유닛(100')이 위치되게 하여 안정적으로 영아의 수면을 유도하게 하기 위함이다.
In particular, the stand 300 has a pair of legs spaced left and right, and the upper ends of the legs are formed in a 'C' shape so that the legs are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legs, The user can perform the sleep management by moving the user 100 '.
Here, the reciprocating unit 100 'is disposed in a direction protruding toward one of the pair of legs in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coupling unit 212 is coupled to the housing 210 .
This is to allow the stand 300 to place the reciprocating unit 100 'on the upper part of the infant, thereby inducing stable sleep of the infant.

한편 본 발명의 영아 수면관리장치는, 수면관리 대상 영아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250, 도 2 참조)와, 상기 동작감지센서(250)의 감지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유닛(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fant sleep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on detection sensor 250 (see FIG. 2) for sensing an operation of an infant undergoing a sleep management opera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이들은 영아의 수면 패턴을 분석 및 학습하고, 영아의 동작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200)의 구동 패턴을 변화시켜 수면관리효과를 보다 높이도록 할 수 있다.They can analyze and learn the sleep pattern of the infant and change the driving pattern of the driving unit 2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fant so as to further enhance the sleep management effect.

도 7은 본 발명의 영아 수면관리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dministering an infant sleep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작감지센서(250)는 영아(B)의 동작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게 되며, 그 결과는 제어부(400)에 전송될 수 있다.7, the motion detection sensor 250 continuously monitors the operation of the infant B, and the resul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400. [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전송된 감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시에 미리 입력된 동작 패턴과 실제 영아(B)의 동작을 비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0)는 영아의 수면 단계 및 상태를 판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200)의 제어하여 상기 왕복운동유닛(100)의 타격 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400 stores the transmitted sensed data and compares the operation pattern of the actual infant B with a previously input operation pattern. Therefore, the control unit 400 can determine the sleeping phase and the state of the infant, and accordingly, the driving pattern of the reciprocating unit 100 can be changed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200.

그리고 이와 같은 타격 패턴의 변화에 따라 영아(B)의 상태가 안정되는 것을 확인할 경우, 이를 학습하여 동일한 경우가 발생하였을 때 활용이 가능하다.When the state of the infant (B) is confirmed to be stabl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hitting pattern, it can be used when the same case occurs.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영아 수면관리장치를 통한 영아 수면관리방법은 다음과 같은 알고리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fant sleep management method using the infant sleep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by the following algorithm.

먼저,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구동유닛(200)을 기본패턴으로 구동시키는 (a)단계가 수행된다. 즉 상기 제어부(400)가 미리 설정된 기본패턴으로 상기 구동유닛(200)을 구동하여 상기 왕복운동유닛(100)이 영아(B)를 타격하도록 한다.First, the control unit 400 drives the driving unit 200 in a basic pattern. That is, the control unit 400 drives the driving unit 200 with a predetermined basic pattern so that the reciprocating unit 100 strikes the infant B.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동작감지센서(250)를 통해 수면관리 대상 영아(B)의 동작을 감지하는 (b)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 의해 상기 제어부(400)는 대상 영아(B)의 영아의 수면 단계 및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In this process, step (b) is performed to detect the operation of the infant B to be sleep-managed through the motion sensor 250. In this step, the control unit 400 can determine the sleeping phase and the state of the infant of the target infant.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400)에는 영아의 동작 패턴이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동작감지센서(250)를 통해 감지된 현재 영아(B)의 동작을 미리 저장된 동작 패턴과 비교하여 실시간으로 영아(B)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0 may store an operation pattern of an infant in advance and compare the operation of the current infant B sensed by the operation sensor 250 with a previously stored operation pattern to generate an infant B Can be determined.

그리고 상기 동작감지센서를 통한 감지 결과 영아(B)의 상태가 안정반응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상기 왕복운동유닛(100)의 구동 패턴을 기본패턴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나, 수면관리 대상 영아(B)의 동작이 수면불안반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구동유닛(200)의 구동 패턴을 기 설정된 복수의 패턴 중 어느 하나의 패턴으로 변화시키는 (c)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state of the infant B is determined to be a stable response, the driving pattern of the reciprocating unit 100 can be maintained as it is in the basic patter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is a sleep anxiety reaction, the control unit 400 may change the driving pattern of the driving unit 200 to any one of a predetermined plurality of patterns.

즉 상기 제어부(400)는 현재의 기본패턴이 영아(B)에게 적합하지 않다는 것으로 인지하여, 미리 저장된 다양한 패턴 중 어느 하나로 상기 구동유닛(200)을 구동시키도록 한다.That is, the control unit 400 recognizes that the current basic pattern is not suitable for the infant B, and drives the driving unit 200 in any one of various patterns stored in advance.

이후 상기 동작감지센서(250)를 통해 수면관리 대상 영아(B)의 동작을 재감지하는 (d)단계가 수행되며, 이를 통해 수면관리 대상 영아(B)의 동작이 수면안정반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구동유닛(200)의 변화된 패턴을 안정상태 전환용 패턴으로서 인식하여 저장하는 (e)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Thereafter, the operation of the sleep-monitored infant B is re-sensed through the motion detection sensor 250, and the operation of the sleep-monitored infant B is determined to be a sleep stabilization reaction , The control unit 400 may perform step (e) of recognizing and storing the changed pattern of the drive unit 200 as a pattern for stable state transition.

즉 상기 제어부(400)는 해당 패턴을 사용할 경우 영아(B)를 다시 안정시킬 수 있다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이를 학습하여 차후 동일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활용이 가능하다.That is, the control unit 400 recognizes that the infant B can be stabilized again when the pattern is used, and can be utilized when the same situation occurs in the future.

이는 영아(B)마다 다른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며, 동일한 영아(B)라 하더라도 상황에 따라 반응이 다를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학습 과정을 거쳐 다양한 상황에서 적합한 구동패턴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This may result in different responses for each infant B, and even if the infant B is the same, the reaction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tuation, so that a suitable driving pattern can be derived in various situations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왕복운동유닛
110: 접촉부재
120: 연장부재
130: 연결부재
200: 구동유닛
210: 하우징
220: 구동모터
230: 캠부재
240: 스토퍼부
250: 동작감지센서
300: 스탠드
400: 제어부
100: reciprocating unit
110: contact member
120: extension member
130:
200: drive unit
210: Housing
220: drive motor
230: cam member
240: stopper portion
250: motion detection sensor
300: Stand
400:

Claims (6)

상측에서 하측으로 자유낙하하도록 형성되며, 하향 이동 시 영아의 신체에 접촉되어 타격감을 발생시키는 왕복운동유닛;
하우징을 포함하고, 내부에는 자유낙하에 의해 하향된 상기 왕복운동유닛을 상부로 재이동시키는 구동유닛; 및
영아의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의 다리와, 상기 한 쌍의 다리의 상단이 서로 연결되게 형성되어 상기 구동유닛의 일부가 연결되는 스탠드;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탠드상에서 위치가 조절되어 상기 왕복운동유닛이 영아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 상부에서 상기 스탠드와 연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영아 수면관리장치.
A reciprocating unit which is formed to fall freely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is in contact with the infant's body at the time of downward movement to generate a feeling of hitting;
A drive unit including a housing and moving the reciprocating unit downwardly moved by a free fall back; And
A pair of le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fant, and a stand on which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leg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nnect a part of the driving unit;
Lt; / RTI >
Wherein the housing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stan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so that the position of the housing is adjusted on the stand so that the reciprocating unit is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infa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운동유닛은,
영아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부재; 및
전단부가 상기 접촉부재에 연결되고,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재;
를 포함하는 영아 수면관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iprocating unit includes:
A contact member directly contacting the infant ' s body; And
An elongated member having a front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contact member and elongated rearward;
The infant sleep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일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돌출부가 상기 연장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접촉부재를 상향시키는 캠부재;
를 포함하는 영아 수면관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riving unit includes:
A drive motor; And
A cam member including a rotation part formed to be rotatable by the driving motor and a projection part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rotation part, the projection part contacting the extension part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rotation part to upward the contact member;
The infant sleep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수면관리 대상 영아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의 감지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영아 수면관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opera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operation of an infant to be sleep-manage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driv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result of the motion detection sensor;
Wherein the infant sleep management device further comprises:
제4항의 영아 수면관리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영아 수면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유닛을 기본패턴으로 구동시키는 (a)단계;
상기 동작감지센서를 통해 수면관리 대상 영아의 동작을 감지하는 (b)단계;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를 통한 감지 결과 수면관리 대상 영아의 동작이 수면불안반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유닛의 패턴을 기 설정된 복수의 패턴 중 어느 하나의 패턴으로 변화시키는 (c)단계;
를 포함하는 영아 수면관리방법.
An infant sleep management method performed by the infant sleep management apparatus of claim 4,
(A) driving the driving unit to a basic pattern by the control unit;
(B) detecting an operation of an infant under sleep management through the motion detection sensor; And
(C) changing the pattern of the driving unit to one of a predetermined plurality of pattern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of the infant to be sleep manag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is a sleep anxiety reaction ;
/ RTI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이후에는,
상기 동작감지센서를 통해 수면관리 대상 영아의 동작을 재감지하는 (d)단계;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를 통한 감지 결과 수면관리 대상 영아의 동작이 수면안정반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유닛의 변화된 패턴을 안정상태 전환용 패턴으로서 저장하는 (e)단계;
를 포함하는 영아 수면관리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After the step (c)
(D) re-sensing the operation of the infant under sleep management through the motion detection sensor; And
(E) storing the changed pattern of the driving unit as a stable state switching patter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of the infant to be sleep manag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is a sleep stabilization reaction;
/ RTI >
KR1020170113087A 2017-09-05 2017-09-05 Sleeping Management Device for Baby and Sleeping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KR1019819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087A KR101981945B1 (en) 2017-09-05 2017-09-05 Sleeping Management Device for Baby and Sleeping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087A KR101981945B1 (en) 2017-09-05 2017-09-05 Sleeping Management Device for Baby and Sleeping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338A KR20190026338A (en) 2019-03-13
KR101981945B1 true KR101981945B1 (en) 2019-05-24

Family

ID=65761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087A KR101981945B1 (en) 2017-09-05 2017-09-05 Sleeping Management Device for Baby and Sleeping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94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412B1 (en) * 2009-09-15 2010-07-30 이준 A baby obserbation device and mobile having the same
CN202876021U (en) * 2012-08-15 2013-04-17 沈瞳 Baby sleep assis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5442B2 (en) 2000-12-13 2002-11-26 Antonietta Batula Crib mounted baby soothing device
KR20100024865A (en) * 2008-08-26 2010-03-08 이주희 Cradle usuing artificial hand
KR20110024364A (en) * 2009-09-02 2011-03-09 김원근 Dream pad
KR101767053B1 (en) * 2016-01-21 2017-08-10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Mobile for automatic measuring and monitoring body temperature of babies and the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412B1 (en) * 2009-09-15 2010-07-30 이준 A baby obserbation device and mobile having the same
CN202876021U (en) * 2012-08-15 2013-04-17 沈瞳 Baby sleep assis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338A (en)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4436B2 (en) Balance trai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258844A1 (en) Wearable posture regulation system and method to regulate posture
US4906193A (en) Intrinsic perceptual motor training device
CN109999427A (en) A kind of upper-limbs rehabilitation training robot based on mobile platform
KR950700098A (en) GOLF SWING EXERCISE APPARATUS
KR20140062891A (en) Crad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415094B1 (en) Ultrasonic device and device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
JP3133398B2 (en) Chair type massage machine
TW201032864A (en) Exercising apparatus
WO2013006145A1 (en) System for training rowing technique
KR101981945B1 (en) Sleeping Management Device for Baby and Sleeping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US20200093367A1 (en) Moving image rendering using eye-tracking sensor signal
KR20160073102A (en) Anti-Snoring smart pillow
CN112930162B (en) Rehabilitation support device, method and program
KR101569000B1 (en) Finger rehabilitation training robot comprising chopsticks and simulation system using the same
JP2016073506A (en) Exercise assistance device
CN111929896B (en) VR glasses with adjustable screen
JP2010075622A (en) Passive exercise machine
CN211095739U (en) Massage chair capable of identifying massage state
JP6642770B1 (en) Motor function evaluation device, motor function evaluation system, motor function evaluation program, and motor function evaluation method
JP2013252258A (en) Training apparatus
TWM529486U (en) Cervical stress and fatigue rehabilitation device
WO2016079585A1 (en) Wearable posture regulation system and method to regulate posture
KR20150012366A (en) Robot apparatus for horseback riding exercise working with simulation system thereof
KR200347756Y1 (en) Golf swing corr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