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335B1 - 발열 스틱 - Google Patents

발열 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335B1
KR101981335B1 KR1020170081864A KR20170081864A KR101981335B1 KR 101981335 B1 KR101981335 B1 KR 101981335B1 KR 1020170081864 A KR1020170081864 A KR 1020170081864A KR 20170081864 A KR20170081864 A KR 20170081864A KR 101981335 B1 KR101981335 B1 KR 101981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emperature
coupled
unit
heat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787A (ko
Inventor
강병철
김종표
권정근
이경현
박주환
장창균
박석현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81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335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021/008Table-ware with means for influencing or monitoring the temperature of the foo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6Temperature
    • A47G2200/163Temperature ind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6Temperature
    • A47G2200/166Temperature sensor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 상부에 굽힘되는 고정부가 결합되어 음료가 담긴 용기에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온도 제어가 가능하며, 손난로로도 이용이 가능한 발열 스틱에 관한 것으로, 막대 형태의 하우징과,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발열하는 발열부와, 발열부과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발열 온도를 선택할 수 있는 컨트롤러가 구성된 온도선택부와,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발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며 벨로우즈에 의해 휘어지게 되어 하우징을 용기의 가장자리에 거치되게 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열 스틱 {Exothermic stick}
본 발명은 음료를 가열하는 발열 스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 상부에 굽힘되는 고정부가 결합되어 음료가 담긴 용기에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온도 제어가 가능하며, 손난로로도 이용이 가능한 발열 스틱에 관한 것이다.
후식 또는 손님 접대 등으로 커피나 차를 마시는 것은 일상적인 모습이다.
따뜻한 차는 음용자의 체온을 상승시켜 주어 겨울에 안락함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차는 가장 깊은 풍미를 느낄 수 있는 일정한 온도를 가지기 때문에 차의 온도를 유지하려는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다.
음료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일 방법으로, 발열 스틱이라는 장치가 제안되었다. 발열 스틱은 자체적으로 발열되어, 용기에 전체 또는 일부를 넣으면 음료를 원하는 온도로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고온의 발열 스틱은 인체에 접촉되면 화상을 유발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78300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 상부에 굽힘되는 고정부가 결합되어 음료가 담긴 용기에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온도 제어가 가능하며, 손난로로도 이용이 가능한 발열 스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발열 스틱은, 막대 형태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발열하는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과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발열 온도를 선택할 수 있는 컨트롤러가 구성된 온도선택부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발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며 벨로우즈에 의해 휘어지게 되어 상기 하우징을 용기의 가장자리에 거치되게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이 담긴 유체 또는 상기 발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온도센서로 검출된 온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부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하부는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로 유체가 주입되면 핫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선택부는 45도, 65도 및 75도의 온도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외부면이 친환경 실리콘 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를 U자형으로 구부리면, 상기 자석과 상기 하우징에 인력이 발생되어 서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발열 스틱에 따르면,
첫째, 길이의 신축 및 굽힘이 가능한 고정부에 의해 미사용 시 본 발명을 콤팩트하게 압축하여 용이한 유대가 가능하고, 사용 시 고정부를 신장시키고 굽힘하여 용기에 거치가 가능하다.
둘째, 고정부의 상단에 결합된 자석으로 본 발명이 용기에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본 발명을 용기에 거치한 상태로 부상의 위험 없이 음용을 즐길 수 있게 된다.
셋째, 다양하게 온도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여러 음료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고, 저온 살균 용도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스틱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스틱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스틱의 고정부가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스틱이 컵에 거치되고, 자석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 스틱의 커버에 유체가 주입되어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발열 스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 스틱은 막대 형태의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발열하는 발열부(120)와, 발열부(120)과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발열 온도를 선택할 수 있는 컨트롤러가 구성된 온도선택부(140)와, 하우징(100) 내에 설치되며 상기 발열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60)와, 하우징(100)의 상단에 결합되며 벨로우즈(172)에 의해 휘어지게 되어 상기 하우징(100)을 용기의 가장자리에 거치되게 하는 고정부(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100)은 용기 내에 음료와 함께 수용되므로 음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면이 고온에서도 유해물질을 분출되지 않고, 음식물 및 인체의 타액과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안전한 소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하우징(100)의 외부면은 친환경 실리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친환경 실리콘 소재는 식기로도 제작되는 실리콘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부(120)는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가 하우징(100)의 하부에 별도로 결합되거나, 하우징(100)의 하부의 내부에 발열체가 설치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발열부(120)는 코일 등 전원이 인가되면 내부 저항에 의해 가열되는 도체가 이용된다.
발열부(120)의 안정적이 구동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발열부(1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10)가 포함된다. 제어부(110)는 발열부(12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온도선택부(140)에서 선택된 온도를 상한으로 발열부(120)가 발열되게 한다.
온도선택부(140)는 발열부(120)가 가열되는 온도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 컨트롤러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를 선택하면 발열부(120)는 대응되는 온도까지 발열된다.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는 온도선택부(140)에서 45도, 65도 및 75도의 온도를 선택할 수 있다. 45도는 유아가 섭취하는 우유 또는 분유에 적합한 온도이고, 65도는 커피에 적합한 온도이다. 또한, 75도는 차 또는 음료의 저온 살균에 적합한 온도이다.
온도선택부(140)는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도시된 이 실시예와 같이 고정부(17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온도선택부(140) 어느 위치에 결합되든, 제어부(110) 및 발열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온도선택부(140)의 컨트롤러는 선택 가능한 온도를 누르는 누름스위치 등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온도선택부(140)의 컨트롤러는 보다 다양한 온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회전 정도에 따라 보다 세부적으로 온도를 선택할 수 있는 로터리 스위치로도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우징(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하우징(100)이 담긴 유체 또는 발명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132)는 제어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우징(100)에서 온도센서(132)가 결합되는 부위는 하우징(100)의 하단이 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하단에 온도센서(132)가 결합되면 발열부(120)가 가열 중인 음료의 양이 적어도 음료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발열부(120)가 음료에 담긴 상태에서 가열되면 발열부(120)의 온도가 음료로 전도되어 발열부(120)의 온도와 음료의 온도가 어느 정도 유사해지므로 온도센서(132)가 가열된 발열부(120)의 온도를 검출하더라도 해당 온도가 음료의 온도인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우징(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온도센서(132)로 검출된 온도를 표시하는 표시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50)는 제어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발열부(120)가 75도 상태인 경우, 사용자가 이를 유념하지 않고 음용하면 화상을 입을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온도를 통해 음료의 온도를 확인하는 것으로 음료나 발열부(120)가 고온일 경우 취급에 주의할 수 있고, 저온일 경우 온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전원부(16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된 제어부(110), 발열부(120), 온도선택부(140), 온도센서(132), 수분센서(134), 커버(190)결합검출센서 및 표시부(150)와 직간접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되는 전원을 제공한다. 전원부(160)는 1차전지 또는 2차전지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부(160)가 충전형으로 구성될 경우, 전원부(160)는 5V의 전압으로 충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 휴대전화와 같은 휴대기기의 보급으로 5V 전압으로 충전되는 기기가 널리 이용됨에 따라, 전원부(160)도 5V 전압으로 충전될 경우 다른 휴대기기의 충전기로도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전원부(16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는 음료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우징(100)의 상부 또는 고정부(170)의 상부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부(170)는 벨로우즈(172)와 같이 주름 구조에 의해 구부릴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또는 하우징(100)을 용기에 거치/고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고정부(170)를 하우징(100)과 동일 축이 되게 펴고, 길이를 짧게 압축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콤팩트(compact)하게 할 수 있다.
특히, 고정부(170)의 상단에는 자석(174)이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단에 자석(174)이 결합된 고정부(170)를 U자형으로 구부리면, 자석(174)이 측면에 나란히 위치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100)과 인접한 자석(174)은 인력에 의해 하우징(100)과 밀착된다. 하우징(100)과 자석(174)에 인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대응하는 부위는 자성을 가지는 금속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0)이 용기에 거치된 상태에서 자석(174)과 하우징(100)이 밀착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174)과 하우징(100) 상이에 용기의 가장자리가 위치하여 하우징(100)이 용기에 고정된다. 하우징(100)이 용기에 단순히 거치된 경우, 사용자가 음용을 위해 용기를 기울이면 하우징(100)이 사용자에게 낙하하여 부상을 입힐 수 있다. 하지만, 자석(174)에 의해 하우징(100)이 용기에 고정되면 사용자가 용기를 기울이더라도 하우징(100)이 낙하할 염려가 해소된다.
또한, 고정부(170)의 상단에 자석(174)이 결합되면, 고정부(170)를 압축했을 때 자석(174)이 하우징(100)의 상부와 인접하게 되어 인력이 발생되므로 고정부(170)의 압축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되는 부가적인 효과를 얻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발열부(120)가 내부에 수용되며, 하우징(10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190)를 더 포함한다. 음료에 담기는 하우징(100) 또는 발열부(120)가 상시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면 쉽게 오염될 수 있다. 커버(190)는 하우징(100) 전체 또는 적어도 발열부(120)가 설치된 부위를 내부에 수용하여 오염을 방지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커버(190)는 하우징(100)과 결합되는 상부(192)와, 유연한 재질인 하부(194)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192)는 하부(194)보다 경도가 높은 소재로 구성되어 하우징(10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190)가 하우징(100)에 결합된 상태로 커버의 하부(194)에 유체가 주입되면 하부(194)가 팽창되어 물주머니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때, 발열부(120)가 발열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핫팩 또는 손난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의 커버(190)를 이용하기 위해, 먼저 커버(190)에 물을 주입한 후, 하우징(100)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 실시예는 발열부(120)가 유체에 담겨있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수분센서(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수분센서(134)는 제어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온도센서(132)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00)의 하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센서(134)로 유체가 검출되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발열부(1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기에 수용된 음료를 모두 섭취할 경우 발열부(120)의 구동이 자동으로 중단되어 불필요한 전원 낭비가 방지된다.
또한, 발열부(120)가 유체가 담기지 않은 상태에서는 발열부(120)의 온도가 신속히 증가되는데, 이 상태에서 사용자와 접촉되면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발열부(120)가 유체에 담겨있지 않을 경우 가열되지 아니하므로 사용자의 부상을 예방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0 : 하우징 110 : 제어부
120 : 발열부 132 : 온도센서
134 : 수분센서 140 : 온도선택부
150 : 표시부 160 : 전원부
170 : 고정부 172 : 벨로우즈
174 : 자석 190 : 커버
192 : 커버 상부 194 : 커버 하부

Claims (6)

  1. 막대 형태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발열하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과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발열 온도를 선택할 수 있는 컨트롤러가 구성된 온도선택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발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며 벨로우즈에 의해 휘어지게 되어 상기 하우징을 용기의 가장자리에 거치되게 하는 고정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이 담긴 유체 또는 상기 발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온도센서로 검출된 온도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자석;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설치되는 수분센서; 및
    상기 발열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하우징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U자형으로 구부리면 상기 자석과 상기 하우징에 인력이 발생되어 서로 밀착되고,
    상기 고정부의 벨로우즈가 압축되면 상기 자석과 하우징 사이에 인력이 발생되어 상기 고정부의 압축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수분센서로 유체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발열부의 구동이 중단되고,
    상기 커버의 하부는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로 유체가 주입되면 핫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스틱.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선택부는 45도, 65도 및 75도의 온도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스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외부면이 친환경 실리콘 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스틱.
  6. 삭제
KR1020170081864A 2017-06-28 2017-06-28 발열 스틱 KR101981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864A KR101981335B1 (ko) 2017-06-28 2017-06-28 발열 스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864A KR101981335B1 (ko) 2017-06-28 2017-06-28 발열 스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787A KR20190001787A (ko) 2019-01-07
KR101981335B1 true KR101981335B1 (ko) 2019-05-22

Family

ID=65016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864A KR101981335B1 (ko) 2017-06-28 2017-06-28 발열 스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33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7059A (ko) * 2011-11-23 2013-05-31 이상원 온도 측정 기능을 갖는 젓가락
KR20140039850A (ko) * 2012-09-25 2014-04-02 코웨이 주식회사 발열스틱
KR20140057751A (ko) * 2012-11-04 2014-05-14 권숙진 빨대 녹차 티백
KR20140078300A (ko) 2012-12-17 2014-06-25 광주광역시 광산구 휴대용 발열 스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787A (ko) 201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187158U (zh) 热皮肤处理设备
US10932616B2 (en) Drinking/feeding container with a thermoelectric device to heat a flow of fluid
US10786110B2 (en) Portable heating rod
US20210235931A1 (en) Portable heating device
KR101930534B1 (ko) 탄소발열체를 적용한 텀블러
KR20180090908A (ko) 휴대용 살균가열 장치
US20140361002A1 (en) Portable Heating Device For Liquid
CN110087515B (zh) 用于对婴儿食品进行调温的设备
KR102017001B1 (ko) 센서 작동 방식의 컵 홀더
KR101981335B1 (ko) 발열 스틱
US20110174798A1 (en) Device for Heating Products Used in Sexual Activities
US20180310758A1 (en) Portable liquid heating apparatus
JP2015500693A (ja) 哺乳瓶加温器
KR20150091570A (ko) 센서 작동 방식의 컵 홀더
KR20150034975A (ko) 전기 가열식 휴대용 텀블러 및 그 제어방법
KR101316037B1 (ko) 외부 용기 또는 외부 용기내의 내용물을 가열 또는 보온할 수 있는 가열 보온 장치
KR101932819B1 (ko) 발열 스틱
KR101857201B1 (ko) 휴대용 용기를 위한 온도조절장치
KR101585104B1 (ko) 냉온 자극기
US8809745B1 (en) Infant bottle and food warmer
KR20160025169A (ko) 가열 및 냉각이 가능한 기능성 텀블러
KR102135940B1 (ko) 휴대용 젖병 가열장치
CN210446748U (zh) 一种便携式电热棒
KR20110137856A (ko) 온도유지컵
KR101976275B1 (ko)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젖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