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190B1 - 쌀 세척기 - Google Patents

쌀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190B1
KR101981190B1 KR1020180023998A KR20180023998A KR101981190B1 KR 101981190 B1 KR101981190 B1 KR 101981190B1 KR 1020180023998 A KR1020180023998 A KR 1020180023998A KR 20180023998 A KR20180023998 A KR 20180023998A KR 101981190 B1 KR101981190 B1 KR 101981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ush rod
cleaning vessel
ric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빈
정민승
Original Assignee
김수빈
정민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빈, 정민승 filed Critical 김수빈
Priority to KR1020180023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01F7/1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개구가 형성되고 세척수와 쌀이 수용되기 위한 세척용기; 상기 세척용기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날개부; 상기 개구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 날개부에 결합되는 누름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 작동부의 상하 왕복 이동에 의해 상기 회전 날개부가 수평 왕복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손으로 누름 작동부의 상단을 누르거나 뽑으면 상기 누름 작동부에 결합된 회전 날개부가 수평으로 왕복 회전하면서 상기 세척용기 내에 수용된 쌀과 세척수를 교반하는 것에 의해 손목이나 팔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무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쌀 세척기{RICE 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쌀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 왕복식으로 작동시켜서 사용이 편리한 쌀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밥을 짓기 위해 쌀을 세척할 경우, 쌀 세척용 바가지에 쌀과 세척수를 넣은 상태에서 손으로 세척수와 쌀을 교반하고, 바가지를 기울여서 쌀 씻은 물을 버리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손으로 세척수와 물을 교반하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 바가지를 잡아서 고정하고 다른 손을 이용하여 세척수와 물을 교반하게 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쌀 세척 방법에 따르면, 세척 후 물을 버리는 과정에서 쌀이 일부 배출되어 버려지게 되는 단점도 있었다.
또한, 손으로 직접 세척하게 되므로 세척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과 함께, 겨울철에 차가운 물이 닿는 경우 세척하기 곤란하다는 단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에는 바가지의 상단에 뚜껑을 고정시키고, 내부에 빗살 형태의 세척빗살을 배치시킨 상태에서, 뚜껑에 설치된 손잡이를 이용하여 세척빗살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쌀을 세척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에 따르면,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힘에 의해 바가지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 손으로 견고하게 고정시켜야 하므로, 고정시킨 손이나 팔에 무리가 있을 수 있고 손목 상태가 좋지 않은 사용자가 손잡이를 회전시킬 경우 손목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문헌 1 :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2167호(2006.11.23)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 왕복식으로 작동시켜서 사용이 편리하고 손목이나 팔에 무리가 적은 쌀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 왕복식으로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수평 회전 교반이 가능하므로 쌀 세척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쌀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이 편리한 쌀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쌀 세척기는,
상부에 개구가 형성되고 세척수와 쌀이 수용되기 위한 세척용기;
상기 세척용기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날개부;
상기 개구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 날개부에 결합되는 누름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 작동부의 상하 왕복 이동에 의해 상기 회전 날개부가 수평 왕복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름 작동부와 회전 날개부는 자립조건을 만족하지 않도록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름 작동부는,
상기 커버를 관통하는 누름봉;
상기 누름봉의 하부 둘레에 형성되는 제1 나선; 및,
상기 누름봉의 상단에 형성되는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날개부는,
내부에 상기 제1 나선과 나사 결합하는 제2 나선이 형성되는 회전 결합봉; 및,
상기 회전 결합봉의 둘레에 배치되는 회전 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의 상단에는 가이드 캡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캡의 내부에는 상기 누름봉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용기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 날개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하부가 관통 형성되는 여과 메시가 설치되며, 상기 세척용기의 하부 둘레에는 상기 여과 메시에 의해 덮여지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에는 마감 캡이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의 상단에는 급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공에는 급수 캡이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용기의 내부 바닥에는 회전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 결합봉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 돌기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의 바닥에는 상기 회전 결합봉의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손으로 누름 작동부의 상단을 누르거나 뽑으면 상기 누름 작동부에 결합된 회전 날개부가 수평으로 왕복 회전하면서 상기 세척용기 내에 수용된 쌀과 세척수를 교반하므로 손목이나 팔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무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의 상단에는 가이드 캡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캡의 내부에는 누름봉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이 수용되어, 누름부를 강제로 뽑지 않고 단순히 누르는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누름 작동부를 승강시켜서 회전 날개부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한층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용기의 내부에는 회전 날개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하부가 관통 형성되는 여과 메시가 설치되며, 상기 세척용기의 하부 둘레에는 상기 여과 메시에 의해 덮여지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에는 마감 캡이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세척용기의 내부에 다수 회 새로운 물을 공급하여 세척작업을 할 필요가 있을 때, 1회의 세척작업이 완료될 때마다 상기 마감 캡을 분리시켜서 상기 배출공을 통해 쌀 씻은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배출공을 덮은 상태로 상기 여과 메시가 세척용기 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쌀이 함께 배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의 상단에는 급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공에는 급수 캡이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어, 호스 등을 통해 수도물 등의 세척수를 직접 세척용기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세척중에 커버를 분리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없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쌀 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쌀 세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쌀 세척기의 종단면도로서 누름봉이 상사점에 있을 경우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쌀 세척기의 종단면도로서 누름봉이 하사점에 있을 경우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쌀 세척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쌀 세척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쌀 세척기의 종단면도로서 누름봉이 상사점에 있을 경우의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쌀 세척기의 종단면도로서 누름봉이 하사점에 있을 경우의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쌀 세척기(1000)는, 상부에 개구(110)가 형성되고 세척수와 쌀이 수용되기 위한 세척용기(100), 상기 세척용기(100)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날개부(200), 상기 개구(110)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300) 및, 상기 커버(300)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 날개부(200)에 결합되는 누름 작동부(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누름 작동부(400)의 상하 왕복 이동에 의해 상기 회전 날개부(200)가 수평 왕복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세척용기(100)와 커버(300)에 대하여 손으로 상기 누름 작동부(400)의 상단을 누르거나 뽑으면 상기 누름 작동부(400)에 결합된 회전 날개부(200)가 수평으로 왕복 회전하면서 상기 세척용기(100) 내에 수용된 쌀과 세척수를 교반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누름 작동부(400)와 회전 날개부(200)는 자립조건을 만족하지 않도록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누름 작동부(400)와 회전 날개부(200)가 서로 나사 결합되되 상기 나사는 리드각이 마찰각보다 크도록 구성하여 누름 작동부(400)의 축방향 하중에 의해 회전 날개부(200)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 작동부(400)는, 상기 커버(300)를 관통하는 누름봉(410), 상기 누름봉(410)의 하부 둘레에 형성되는 제1 나선(420) 및, 상기 누름봉(410)의 상단에 형성되는 누름부(43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날개부(200)는, 내부에 상기 제1 나선(420)과 나사 결합하는 제2 나선(211)이 형성되는 회전 결합봉(210) 및, 상기 회전 결합봉(210)의 둘레에 배치되는 회전 날개(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누름부(420)를 손가락이나 손바닥으로 위에서 아래로 누르거나 뽑으면, 상기 누름봉(410)이 상기 커버(300)를 관통하여 상하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누름봉(410)의 하부 둘레에 형성되는 제1 나선(420)에 의해 상기 회전 날개부(200)의 제2 나선(211)이 연동되어 수평으로 왕복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 결합봉(210)이 상기 세척용기(100) 내에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세척용기(100)의 내부 바닥에는 회전 돌기(14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 결합봉(210)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 돌기(140)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300)의 바닥(천정)에는 상기 회전 결합봉(210)의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안내홈(340)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커버(300)의 상단에는 가이드 캡(500)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캡(500)의 내부에는 상기 누름봉(41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510)이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단순히 누름부(420)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상승 이동이 가능하므로 한층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상기 누름봉(410)에는 상기 스프링(510)을 지지하는 지지판(412)이 설치되어 스프링(510)을 용이하게 누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름부(420)가 상하 이동할 때 누름봉(410)이 상기 커버(300)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누름봉(410)과 상기 가이드 캡(500)의 안내구멍(570) 사이에는 상보적인 형상의 돌기(411)와 홈(57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용기(100)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 날개부(20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하부가 관통 형성되는 여과 메시(600)가 설치되며, 상기 세척용기(100)의 하부 둘레에는 상기 여과 메시(600)에 의해 덮여지는 배출공(120)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120)에는 마감 캡(130)이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마감 캡(130)을 간단히 개방하여 쌀을 씻은 물이 배출공(12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세척용기(100)의 내부에 다수 회 새로운 물을 공급하여 세척작업을 할 필요가 있을 때, 1회의 세척작업이 완료될 때마다 상기 마감 캡(130)을 분리시켜서 상기 배출공(120)을 통해 쌀 씻은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배출공(120)을 덮은 상태로 상기 여과 메시(600)가 세척용기(100) 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쌀이 함께 배출되지 않게 된다.
더욱이, 상기 커버(300)의 상단에는 급수공(320)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공(320)에는 급수 캡(330)이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어, 호스(미도시) 등을 통해 수도물 등의 세척수를 직접 세척용기(100)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가능하므로 세척중에 커버(300)를 분리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면에서, 상기 세척용기(100)는 속이 빈 원통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세척용기(100)는 외부에서 세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용기(100)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세척용기(100)와 커버(300)를 나선 결합할 수 있으며 서로 용이하게 착탈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세척용기(100)로부터 커버(300)를 수평 회전시켜서 상호 분리할 수 있으며, 분리한 상태에서 세척수나 쌀을 세척용기(100)에 넣을 수 있다.
상기 커버(300)가 세척용기(100)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누름봉(410)에 대하여 커버(300)로부터 회전 날개부(200)를 회전시켜서 상호 분리할 수 있고, 나사 등 체결부(580)를 풀어서 가이드 캡(500)을 커버(300)로부터 분리하면서 누름봉(410)을 커버(300)에 대하여 분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성요소들의 조립과 분해가 편리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세척용기
200... 회전 날개부
300... 커버
400... 누름 작동부
500... 가이드 캡
600... 여과 메시
1000... 쌀 세척기

Claims (7)

  1. 상부에 개구가 형성되고 세척수와 쌀이 수용되기 위한 세척용기;
    상기 세척용기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날개부;
    상기 개구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 날개부에 결합되는 누름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 작동부의 상하 왕복 이동에 의해 상기 회전 날개부가 수평 왕복 회전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누름 작동부는,
    상기 커버를 관통하는 누름봉;
    상기 누름봉의 하부 둘레에 형성되는 제1 나선; 및,
    상기 누름봉의 상단에 형성되는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날개부는,
    내부에 상기 제1 나선과 나사 결합하는 제2 나선이 형성되는 회전 결합봉; 및,
    상기 회전 결합봉의 둘레에 배치되는 회전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상단에는 가이드 캡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캡의 내부에는 상기 누름봉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이 수용되며,
    상기 누름봉의 하단에는 상기 스프링의 상단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가 상하 이동할 때 누름봉이 상기 커버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누름봉과 상기 가이드 캡의 안내구멍 사이에는 상보적인 형상의 돌기와 홈이 형성되며,
    상기 세척용기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 날개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하부가 관통 형성되는 여과 메시가 설치되며, 상기 세척용기의 하부 둘레에는 상기 여과 메시에 의해 덮여지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에는 마감 캡이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커버의 상단에는 급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공에는 급수 캡이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세척용기의 내부 바닥에는 회전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 결합봉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 돌기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바닥에는 상기 회전 결합봉의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23998A 2018-02-27 2018-02-27 쌀 세척기 KR101981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998A KR101981190B1 (ko) 2018-02-27 2018-02-27 쌀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998A KR101981190B1 (ko) 2018-02-27 2018-02-27 쌀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1190B1 true KR101981190B1 (ko) 2019-05-22

Family

ID=66679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998A KR101981190B1 (ko) 2018-02-27 2018-02-27 쌀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1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0634A (zh) * 2020-07-17 2020-10-13 刘柏林 一种磁性材料搅拌砂磨循环系统
CN112401263A (zh) * 2020-12-15 2021-02-26 合肥亭瑞电气有限公司 用于食品加工的果蔬快速清洗设备及其清洗方法
KR102267830B1 (ko) * 2020-11-05 2021-06-22 이혁수 음식물 간이 회전 커터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583Y1 (ko) * 2000-07-11 2000-12-01 박종록 곡물세척기
US6473988B1 (en) * 2001-08-17 2002-11-05 Wki Holding Company, Inc. Auxiliary container for salad spinner
US6622618B1 (en) * 2002-06-14 2003-09-23 Bojour, Inc. Salad spinner
KR200432167Y1 (ko) 2006-07-04 2006-11-29 김기욱 바가지용 쌀세척보조기
KR100861242B1 (ko) * 2008-02-13 2008-10-02 문제구 반복누름에도 유격없이 정확하게 회전되는 야채탈수기
US20140230663A1 (en) * 2011-07-13 2014-08-21 Seb S.A. Kitchenware Item with a Handle Which Works Electrically with a Removable Accessory
US20150374174A1 (en) * 2010-04-02 2015-12-31 Dexas International, Ltd. Salad spinner brake mechanism
KR20160133985A (ko) * 2015-05-14 2016-11-23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초콜릿 액상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583Y1 (ko) * 2000-07-11 2000-12-01 박종록 곡물세척기
US6473988B1 (en) * 2001-08-17 2002-11-05 Wki Holding Company, Inc. Auxiliary container for salad spinner
US6622618B1 (en) * 2002-06-14 2003-09-23 Bojour, Inc. Salad spinner
KR200432167Y1 (ko) 2006-07-04 2006-11-29 김기욱 바가지용 쌀세척보조기
KR100861242B1 (ko) * 2008-02-13 2008-10-02 문제구 반복누름에도 유격없이 정확하게 회전되는 야채탈수기
US20150374174A1 (en) * 2010-04-02 2015-12-31 Dexas International, Ltd. Salad spinner brake mechanism
US20140230663A1 (en) * 2011-07-13 2014-08-21 Seb S.A. Kitchenware Item with a Handle Which Works Electrically with a Removable Accessory
KR20160133985A (ko) * 2015-05-14 2016-11-23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초콜릿 액상 가공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0634A (zh) * 2020-07-17 2020-10-13 刘柏林 一种磁性材料搅拌砂磨循环系统
CN111760634B (zh) * 2020-07-17 2021-09-21 苏州贝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磁性材料搅拌砂磨循环系统
KR102267830B1 (ko) * 2020-11-05 2021-06-22 이혁수 음식물 간이 회전 커터기
CN112401263A (zh) * 2020-12-15 2021-02-26 合肥亭瑞电气有限公司 用于食品加工的果蔬快速清洗设备及其清洗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1190B1 (ko) 쌀 세척기
JP3167763U (ja) 回転式モップ組
KR101449698B1 (ko) 가정용 수동식 쌀 세척장치
KR102261147B1 (ko) 착즙망 세척용 브러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주서기
WO2019127998A1 (zh) 一种家用清洗机
CN210700116U (zh) 一种便于清洗的反应釜
CN206632044U (zh) 水洗机
CN201299475Y (zh) 洗米器
CN109173872B (zh) 一种便于清洗的搅拌机
CN209156655U (zh) 一种锥形瓶自动清洗装置
CN107595147A (zh) 一种用于煮面用的面篓
CN209089979U (zh) 一种蔬菜用清洗装置
CN207444789U (zh) 带有手动搅拌装置的蒸汽加热夹层锅
KR200493601Y1 (ko) 수란제조기
US2881533A (en) Paint roller spinning and cleaning device
CN205729182U (zh) 手持式搅拌机及其绞肉杯
CN203866568U (zh) 一种洗袜子机
CN109124403B (zh) 一种卫生型打蛋器
JP2020534889A (ja) モップ洗浄システム
CN113455915A (zh) 一种自动炒菜锅
CN105266658B (zh) 一种全自动洗米机
CN207343316U (zh) 分散机搅拌系统清洗箱
KR20140056726A (ko) 쌀 세척기
CN205548388U (zh) 一种料理机专用清洁刷
KR101753577B1 (ko) 용기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