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061B1 - 악취 제거용 천연미생물제제 - Google Patents

악취 제거용 천연미생물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061B1
KR101981061B1 KR1020170093555A KR20170093555A KR101981061B1 KR 101981061 B1 KR101981061 B1 KR 101981061B1 KR 1020170093555 A KR1020170093555 A KR 1020170093555A KR 20170093555 A KR20170093555 A KR 20170093555A KR 101981061 B1 KR101981061 B1 KR 101981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bial agent
natural microbial
ppm
contrast
deodorization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1066A (ko
Inventor
조을연
Original Assignee
하나그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그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나그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3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061B1/ko
Publication of KR20190011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식주 생활에서 발생하는 악취뿐만 아니라 인분, 축분, 음식물을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및 오폐수에서 발생하는 각종 악취로 인한 환경적인 문제점 및 이로 인한 민원 발생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날로 강화되는 대기환경규제 강화에 대처하기 위한 악취 제거용 천연미생물제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로도스피릴럼 센테넘(Rhodospirillum centenum), 로도스피릴럼 풀범(Rhodospirillum fulvum), 로도타라시움 사렉시젠스(Rhodothalassium salexigens), 로도슈도모나스 캄차티카(Rhodopseudomonas camchatica), 로도부럼 설피도피럼(Rhodovulum sulfidophilum), 로도부럼 아드리아티컴(Rhodovulum adriaticum) 중 선택된 1종 이상과 그 배양액을 포함하는 악취 제거용 천연미생물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악취 제거용 천연미생물제제{Natural Microbial agents for Removal of Bad Smell}
본 발명은 악취 제거용 천연미생물제제 및 이를 사용하여 악취의 원인물질인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등 질소화합물, 황화수소 등 황화합물, 포름알데하이드 등 탄소화합물을 제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우리의 의식주 생활과 이에 필요한 식품이나 자재를 생산하기 위한 각종 산업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 인분뇨, 축산분뇨, 음식물쓰레기 등을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과 폐수 등은 악취의 근원물질인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등과 같은 질소화합물, 황화수소 등과 같은 황화합물, 포름알데하이드 등과 같은 탄소화합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악취를 제거하는 종래의 방법으로 활성탄 흡착, 약액세정, 연소, 산화처리(염소, 오존, 과산화수소 등을 이용) 등을 이용한 이화학적 방법과 미생물과 이를 활용한 바이오 필터 등 생물학적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화학적 방법은 설비와 비용이 너무 많이 소요되고, 불완전하게 처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2차오염과 민원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생물학적 방법으로 최근에 브레번디모나스 디미누타균(대한민국등록특허 10-1229281호), 티오바실러스균(대한민국등록특허 10-0290579호), 복합미생물균(대한민국등록특허 10-1296613호), 황산염환원균(대한민국등록특허 제0503491호), 슈도모나스균(미국등록특허 제6344141호), 로도박터균(미국등록특허 제6489156호)을 이용한 방법 등이 공지되어 있으나, 생물학적 방법에 있어서 다양한 악취성분의 처리를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최적의 탈취 미생물을 선정하는 것이 안정되고 우수한 탈취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한 사항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우수한 균주의 개발이 미흡하여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229281호 대한민국등록특허 10-0290579호 대한민국등록특허 10-1296613호 대한민국등록특허 10-0503491호
본 발명은 우리의 의식주 생활에서 발생하는 악취뿐만 아니라 인분, 축분, 음식물을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및 오폐수에서 발생하는 각종 악취로 인한 환경적인 문제점 및 이로 인한 민원 발생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날로 강화되는 대기환경규제 강화에 대처하기 위한 악취제거용 천연미생물제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로도스피릴럼 센테넘(Rhodospirillum centenum), 로도스피릴럼 풀범(Rhodospirillum fulvum), 로도타라시움 사렉시젠스(Rhodothalassium salexigens), 로도슈도모나스 캄차티카(Rhodopseudomonas camchatica), 로도부럼 설피도피럼(Rhodovulum sulfidophilum), 로도부럼 아드리아티컴(Rhodovulum adriaticum) 중 선택된 1종 이상과 그 배양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용 천연미생물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미생물제제는 암모니아(NH3), 트리메틸아민((CH3)3N) 등을 포함하는 질소화합물의 악취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미생물제제는 황화수소(H2S) 등을 포함하는 황화합물의 악취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미생물제제는 포름알데하이드(HCHO) 등을 포함하는 탄소화합물의 악취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천연미생물제제는 악취의 근원물질인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등과 같은 질소화합물, 황화수소 등과 같은 황화합물, 포름알데하이드 등과 같은 탄소화합물 등을 가장 잘 제거하는 천연미생물들의 복합제제이므로 그 효과가 탁월할 뿐 아니라 완전한 생물학적 기술이 적용된 것이므로 친환경적인 악취 제거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천연미생물제제는 악취의 근원물질을 가장 선호하는 영양원, 즉 주식으로 먹고 살아가기 때문에 악취물질을 제거하는데 그 효과가 탁월하다.
본 발명의 천연미생물제제는 완전한 생물학적 기술이 적용된 것이므로 생태계를 교란시키지 아니하는 친환경적인 것일 뿐 아니라 인체, 동물 및 기타 생물에도 무해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천연미생물제제는 친환경 천연미생물제제이고 지속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2차적인 재오염의 우려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천연미생물제제가 악취를 제거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천연미생물제제 Mabcdef의 악취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은 주요 악취인 암모니아(A), 황화수소(B), 트리메틸아민(C), 포름알데하이드(D)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신속히 감소하여 약 120분 후에는 완전히 제거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먼저, 우리나라 전국 각지를 대상으로 하여 하수도 20곳, 분뇨처리장 및 정화조 20곳, 양돈농가 15곳을 선택하였고, 이들 선택된 곳들로부터 특정한 곳에 편중되지 아니하도록 분산시켜 유기성 폐수의 샘플 45개를 취득하고 이들로부터 50여종의 홍색세균 종을 분리 동정하였다.
그리고 이들 50여종을 증식한 후, 악취 제거 효과를 검정해 본 결과 총 50여종 중에서 6종이 나머지 종들에 비하여 탁월한 효과를 갖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탁월한 효과를 갖는 홍색세균(Purple bacteria)은 여러 속 중에서 로도스피릴럼 센테넘 (Rhodospirillum centenum), 로도스피릴럼 풀범 (Rhodospirillum fulvum), 로도타라시움 사렉시젠스 (Rhodothalassium salexigens), 로도슈도모나스 캄차티카 (Rhodopseudomonas camchatica), 로도부럼 설피도피럼 (Rhodovulum sulfidophilum), 로도부럼 아드리아티컴 (Rhodovulum adriaticum) 6종 이었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재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6종의 균주를 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로부터 분양받았는바, 분양받은 6종은 로도스피릴럼 센테넘 (Rhodospirillum centenum, ATCC®43720™), 로도스피릴럼 풀범 (Rhodospirillum fulvum, ATCC®35113™), 로도타라시움 사렉시전스 (Rhodothalassium salexigens, ATCC®35888™), 로도슈도모나스 캄차티카 (Rhodopseudomonas camchatica, ATCC®BAA-1574™), 로도부럼 설피도피럼 (Rhodovulum sulfidophilum, ATCC®35886™), 로도부럼 아드리아티컴 (Rhodovulum adriaticum, ATCC®35885™)이었다.
재현 실험 결과 이들 ATCC로부터 분양받은 6종의 균주 또한 우리나라 전국 각지의 하수도, 분뇨처리장 및 정화조, 양돈농가 등에서 채취된 유기성 폐수의 샘플 45개로부터 분리 동정된 50여종 중에서 악취 제거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선택된 상기 6종과 완전히 동일한 악취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홍색세균 종들을 단일종 6가지, 2개종 15가지, 3개종 20가지, 4개종 15가지, 5개종 6가지, 6개종 1가지, 총 63가지 조합으로 나누고 증식 배양하여 천연미생물제제로 실험하였는바, 이들 모두가 동등한 정도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홍색세균(Purple bacteria)의 여러 속 중에서 로도스피릴럼 센테넘 (Rhodospirillum centenmu, ATCC®43720), 로도스피릴럼 풀범 (Rhodospirillum fulvum, ATCC®35113), 로도타라시움 사렉시전스 (Rhodothalassium salexigens, ATCC®35888), 로도슈도모나스 캄차티카 (Rhodopseudomonas camchatica, ATCC®BAA-1574), 로도부럼 설피도피럼 (Rhodovulum sulfidophilum, ATCC®35886), 로도부럼 아드리아티컴 (Rhodovulum adriaticum, ATCC®35885) 중에서 선택된 1종 내지 6종과 그 배양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용 천연미생물제제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천연미생물제제는 6가지 단일 종으로만 사용될 수도 있으며, 2종 내지 6종이 혼합된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연미생물들은 Norbert Pfennig's Mineral Salts-Succinate Broth & Agar 배지의 변형 배지에서 증식 배양되는바, 상기 배지는 1L당 0.52g KH2PO4, 0.25 g MgSO4·7H2O, 0.42 g NaCl, 1.0 g NH4Cl, 0.06 g CaCl2·2H2O, 0.40g yeast extract, 3.0g organic acids(1.0g each of malate, succinate, and acetate), 5ml ferric citrate (0.1%w/v), 1 ml SL7(증류수 1L 당, 25% (v/v) HCl 1ml, ZnCl2 70mg, MnCl2·4H2O 100mg, H3BO3 50mg, CoCl2·6H2O 300mg, CuCl2·H2O 25mg, NiCl2·6H2O 20mg, NaMoO4·2H2O 50mg을 함유)로 구성되는바, 고압멸균 소독하여 증식용 배지로 사용한다.
배양 환경에 있어서, pH는 6 내지 8에서 배양하는바, 바람직하기는 pH 7.0에서 배양하는 것이다.
배양 온도는 36 내지 40℃에서 배양하는바, 바람직하기는 38℃에서 배양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천연미생물제제는 주위의 광범위한 환경조건 등에 크게 장애를 받지 않고 잘 생장하는 독립영양미생물인 특수한 홍색세균들이며, 특히 악취를 구성하는 근원물질인 질소, 황을 선호하는 먹이로 살아가며, 빛이 부재할 경우 탄수화물 등을 아래의 식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생물학적으로 분해 혹은 합성 과정을 통해 제거한다.
NH4 +→ NO2 → NO3 → N2
H2S → So 혹은 SO4 +
C6H12O6 → CO2 혹은 CH4 + H2O
우리의 주변 대기환경에 있는 대부분의 악취성분은 암모니아(NH3), 트리메틸아민(Trimethylamine) 등과 같은 질소화합물, 황화수소(H2S)와 같은 황화합물, 포름알데하이드(HCHO)와 같은 탄소화합물 등이다. 이들은 본 발명의 천연미생물제제에 함유된 홍색세균(Purple bacteria)에 의해 상기 식과 같은 과정을 거쳐 제거된다.
또한 우리의 주변 환경에는 암모니아와 황화수소뿐만 아니라 메틸아민(Methylamine), 에틸아민(Ethylamine), 디메틸아민(Dimethylamine), 트리메틸아민(Trimethylamine), 이소부틸아민(Isobutylamine), 이소아밀아민(Isoamylamine), 피닐아민(Phenylamine), 푸트레신(Putrescine), 카다베린(Cadaverine) 등과 같은 질소화합물과 메틸메르캅탄(Methyl mercaptan), 에틸메르캅탄(C2H5SH), 황화이메틸((CH3)2S), 황화이에틸((C2H5)2S), 이황화이메틸(CH3S=SCH3) 등과 같은 황화합물이 악취물질로서 많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질소나 황화합물도 상기에 나타난 과정을 거쳐 제거된다.
그밖에 악취를 발생하는 알데하이드 및 케톤류(포르말린, 아세트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아클로레인, 아세톤, 아크릴알데히드 등), 지방족산류(부티르산, 젖산 등), 탄화수소(스티렌, 부틸렌 등), 염화탄화수소(아세트산에스테르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아크릴산에스테르 등) 등과 같은 탄소화합물도 상기 식에 나타난 탄소화합물과 같은 과정을 거쳐 제거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홍색세균들은 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로부터 분양받은 6개의 종인, 로도스피릴럼 센테넘 (Rhodospirillum centenum, ATCC®43720™), 로도스피릴럼 풀범 (Rhodospirillum fulvum, ATCC®35113™), 로도타라시움 사렉시전스 (Rhodothalassium salexigens, ATCC®35888™), 로도슈도모나스 캄차티카 (Rhodopseudomonas camchatica, ATCC®BAA-1574™), 로도부럼 설피도피럼 (Rhodovulum sulfidophilum, ATCC®35886™), 로도부럼 아드리아티컴 (Rhodovulum adriaticum, ATCC®35885™)을 본 실시예에 사용하였다.
이 홍색세균 종들은 단일종 6가지, 2개종 15가지, 3개종 20가지, 4개종 15가지, 5개종 6가지, 6개종 1가지, 총 63가지 조합으로 나누어지는데, 이들 63가지 조합을 증식 배양하여 천연미생물제제로 실험하였는바, 이들 모두가 동등한 정도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실시예는 상기 63가지 조합 중에서,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단일종 6종 각각의 조합 6가지”종 내지 5종이 포함되는 조합 각각 4가지씩 16가지”가지 종이 모두 포함되는 조합 1가지”로 구성된 23조합을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3으로 구성하여, 그 실험 결과를 나타내었다.
아래의 [표 1] 내지 [표 25]에 기재된 미생물 명에는 편의상 기탁번호의 기재를 생략한다.
홍색 6종의 균들 중에 선택된 1종 이상 균들로 구성된 23개 조합
단일종 복수종
2종 3종 4종 5종 6종
Ma, Mb,
Mc, Md,
Me, Mf
Mab
Mbf
Mcf
Mde
Mabc
Mbce
Mcde
Mdef
Mabcd
Mbcef
Mbdef
Mcdef
Mabcde
Mabdef
Macdef
Mbcdef
Mabcdef★★
a=Rhodospirillum centenum , b=Rhodospirillum fulvum, c=Rhodothalassium salexigens, d=Rhodopseudomonas camchatica, e=Rhodovulum sulfidophilum, f=Rhodovulum adriaticum
3종(a, b, c)의 천연미생물들이 각각 1/3 포함된 것으로 예상하는 천연미생물제제.
★★ 6종(a, b, c, d, e, f)의 천연미생물들이 각각 1/6 포함된 것으로 예상하는 천연미생물제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3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3은, 사용된 균주의 조합만 표 1에 개시된 것과 같이 서로 상이할 뿐, 나머지 조건은 동일하게 수행되었다.
가. 배지
본 발명의 실험에 사용된 배지(Norbert Pfennig's Mineral Salts-Succinate Broth & Agar 배지를 약간 변경하여 사용)는 1L당 0.52 g KH2PO4, 0.25 g MgSO4·7H2O, 0.42 g NaCl, 1.0 g NH4Cl, 0.06 g CaCl2·2H2O, 0.40g yeast extract, 3.0g organic acids(1.0g each of malate, succinate, and acetate), 5ml ferric citrate (0.1%w/v), 1 ml SL7(증류수 1L 당, 25% (v/v) HCl 1ml, ZnCl2 70mg, MnCl2·4H2O 100mg, H3BO3 50mg, CoCl2·6H2O 300mg, CuCl2·H2O 25mg, NiCl2·6H2O 20mg, NaMoO4·2H2O 50mg을 함유)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을 pH 7.0로 조정하고 고압멸균 소독하여 증식용 배지로 사용하였다.
나. 배양 방법
본 실시예는 천연미생물 종 23조합에 따른 미생물 1ml를 상기 배지에 넣어 20ml가 되도록 하고 삼파장등(36W) 하에서 온도는 38℃로 맞추어 7일간 1차 증식 배양하여 각각 20ml의 천연미생물 배양물을 생산하였다.
상기 1차 증식 배양된 천연미생물 배양물 20ml를 다시 상기 배지에 넣어 400ml가 되도록 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7일간 2차 증식 배양하여 각각 400ml의 천연미생물 배양물을 생산하였다.
상기 2차 증식 배양된 천연미생물 배양물 400ml를 다시 상기 배지에 넣어 8L가 되도록 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7일간 3차 증식 배양하여 각각 8L로 증식한 후에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다. 악취 제거 실험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3에 따른 악취 제거 실험은, 크기가 5L인 유리용기에 악취가스인 암모니아(NH3), 황화수소(H2S), 트리메틸아민((CH3)3N), 포름알데하이드(HCHO)의 초기농도를 각각 50, 50, 30, 15 μmol/mol씩 주입하고 밀봉하였다. 이 밀봉된 용기에 23조합 천연미생물제제를 각각 20ml(단일종은 1종을 20ml씩, n가지의 복수종은 n가지 종을 각각 20mlx1/n씩 넣어 합이 20ml가 되도록 함)씩 투입하고, 시간이 경과(0분, 30분, 60분, 90분, 120분 후)함에 따른 잔존하는 악취가스의 농도를 환경부에서 고시된 악취공정시험방법(기기분석법, 2007년)에 따라 검지관식 가스측정기(KS I 2218 : 2009)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대조구(비교구)로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빈 유리용기(5L)에 각각의 악취가스인 암모니아(NH3), 황화수소(H2S), 트리메틸아민((CH3)3N), 포름알데하이드(HCHO)를 각각 50, 50, 30, 15 μmol/mol씩 주입하고 시간이 경과(0분, 30분, 60분, 90분, 120분 후)함에 따라 잔존하는 악취가스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중 온도는 상온 25(±1)℃, 습도는 50(±10)% R.H.을 유지하였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화하는 실험가스 농도감소율은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농도감소율(%)=〔 (대조구가스농도 - 잔존가스농도)/대조구가스농도〕X 100
실험은 3회 반복하여 그 평균값을 기록하였다(표 2 내지 표 25).
본 발명의 천연미생물제제는 단일종이든 복합조합이든 모두 악취 제거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 천연미생물제제 Ma의 악취 제거 실험>
시간 경과에 따른 천연미생물제제 Ma의 악취 제거 효과
시험항목 암모니아(ppm) 황화수소(ppm) 트리메틸아민(ppm) 포름알데하이드 (ppm)
경과시간 대조 Ma # 탈취율 (%) 대조 Ma 탈취율 (%) 대조 Ma 탈취율 (%) 대조 Ma 탈취율 (%)
0 50 50 - 50 50 - 30 30 - 15 15 -
30 50 10 80 50 15 70 30 10 67 15 9 40
60 50 9 82 50 6 88 29 5 83 15 3 79
90 49 2 96 49 1 98 29 1 97 14 1 93
120 49 0 100 49 0 100 29 0 100 14 0 100
#Ma=Rhodospirillum centenum
<실시예 2 천연미생물제제 Mb의 악취 제거 실험>
시간 경과에 따른 천연미생물제제 Mb의 악취 제거 효과
시험항목 암모니아(ppm) 황화수소(ppm) 트리메틸아민(ppm) 포름알데하이드 (ppm)
경과시간 대조 Mb # 탈취율 (%) 대조 Mb 탈취율 (%) 대조 Mb 탈취율 (%) 대조 Mb 탈취율 (%)
0 50 50 - 50 50 - 30 30 - 15 15 -
30 50 19 61 50 19 62 30 12 60 15 6 60
60 49 10 80 50 9 82 30 6 79 14 1 93
90 49 4 92 49 4 92 29 2 93 14 0 100
120 49 0 100 49 0 100 29 0 100 14 0 100
#Mb=Rhodospirillum fulvum
<실시예 3 천연미생물제제 Mc의 악취 제거 실험>
시간 경과에 따른 천연미생물제제 Mc의 악취 제거 효과
시험항목 암모니아(ppm) 황화수소(ppm) 트리메틸아민(ppm) 포름알데하이드 (ppm)
경과시간 대조 Mc # 탈취율 (%) 대조 Mc 탈취율 (%) 대조 Mc 탈취율 (%) 대조 Mc 탈취율 (%)
0 50 50 - 50 50 - 30 30 - 15 15 -
30 50 21 58 50 22 56 30 10 66 15 9 40
60 50 10 80 50 11 78 29 2 93 15 5 64
90 49 3 94 50 5 90 29 1 97 14 1 92
120 49 0 100 49 0 100 29 0 100 14 0 100
#Mc=Rhodothalassium salexigens ,
<실시예 4 천연미생물제제 Md의 악취 제거 실험>
시간 경과에 따른 천연미생물제제 Md의 악취 제거 효과
시험항목 암모니아(ppm) 황화수소(ppm) 트리메틸아민(ppm) 포름알데하이드 (ppm)
경과시간 대조 Md # 탈취율 (%) 대조 Md 탈취율 (%) 대조 Md 탈취율 (%) 대조 Md 탈취율 (%)
0 50 50 - 50 50 - 30 30 - 15 15 -
30 50 15 69 50 20 60 30 22 27 14 7 50
60 49 4 90 50 8 84 29 10 67 14 3 79
90 48 0 100 50 2 96 29 5 83 14 0 100
120 48 0 100 49 0 100 29 0 100 14 0 100
#Md=Rhodopseudomonas camchatica
<실시예 5 천연미생물제제 Me의 악취 제거 실험>
시간 경과에 따른 천연미생물제제 Me의 악취 제거 효과
시험항목 암모니아(ppm) 황화수소(ppm) 트리메틸아민(ppm) 포름알데하이드 (ppm)
경과시간 대조 Me # 탈취율 (%) 대조 Me 탈취율 (%) 대조 Me 탈취율 (%) 대조 Me 탈취율 (%)
0 50 50 - 50 50 - 30 30 - 15 15 -
30 50 6 88 50 31 62 30 10 67 15 11 27
60 49 1 98 50 14 72 30 2 93 15 4 73
90 49 0 100 49 5 90 29 0 100 14 1 93
120 48 0 100 49 0 100 28 0 100 13 0 100
#Me=Rhodovulum sulfidophilum
<실시예 6 천연미생물제제 Mf의 악취 제거 실험>
시간 경과에 따른 천연미생물제제 Mf의 악취 제거 효과
시험항목 암모니아(ppm) 황화수소(ppm) 트리메틸아민(ppm) 포름알데하이드 (ppm)
경과시간 대조 Mf # 탈취율 (%) 대조 Mf 탈취율 (%) 대조 Mf 탈취율 (%) 대조 Mf 탈취율 (%)
0 50 50 - 50 50 - 30 30 - 15 15 -
30 49 15 69 50 24 52 30 14 53 15 9 40
60 49 4 90 49 10 80 30 3 90 14 3 79
90 49 1 98 49 4 92 29 1 97 14 0 100
120 49 0 100 49 0 100 29 0 100 14 0 100
#Mf=Rhodovulum adriaticum
<실시예 7 천연미생물제제 Mab의 악취 제거 실험>
시간 경과에 따른 천연미생물제제 Mab의 악취 제거 효과
시험항목 암모니아(ppm) 황화수소(ppm) 트리메틸아민(ppm) 포름알데하이드 (ppm)
경과시간 대조 Mab # 탈취율 (%) 대조 Mab 탈취율 (%) 대조 Mab 탈취율 (%) 대조 Mab 탈취율 (%)
0 50 50 - 50 50 - 30 30 - 15 15 -
30 50 15 70 50 20 60 30 14 53 15 10 33
60 50 3 94 50 9 82 29 5 83 14 4 71
90 49 0 100 49 3 94 29 1 97 14 1 93
120 49 0 100 49 0 100 29 0 100 14 0 100
#Mab=a+b (a=Rhodospirillum centenum , b=Rhodospirillum fulvum)
<실시예 8 천연미생물제제 Mbf의 악취 제거 실험>
시간 경과에 따른 천연미생물제제 Mbf의 악취 제거 효과
시험항목 암모니아(ppm) 황화수소(ppm) 트리메틸아민(ppm) 포름알데하이드 (ppm)
경과시간 대조 Mbf # 탈취율 (%) 대조 Mbf 탈취율 (%) 대조 Mbf 탈취율 (%) 대조 Mbf 탈취율 (%)
0 50 50 - 50 50 - 30 30 - 15 15 -
30 50 10 80 50 25 50 30 13 57 15 7 53
60 49 1 98 50 10 80 30 4 87 15 3 80
90 49 0 100 50 2 96 29 0 100 15 0 100
120 49 0 100 49 0 100 29 0 100 14 0 100
#Mbf=b+f (b=Rhodospirillum fulvum, f=Rhodovulum adriaticum)
<실시예 9 천연미생물제제 Mcf의 악취 제거 실험>
시간 경과에 따른 천연미생물제제 Mcf의 악취 제거 효과
시험항목 암모니아(ppm) 황화수소(ppm) 트리메틸아민(ppm) 포름알데하이드 (ppm)
경과시간 대조 Mcf # 탈취율 (%) 대조 Mcf 탈취율 (%) 대조 Mcf 탈취율 (%) 대조 Mcf 탈취율 (%)
0 50 50 - 50 50 - 30 30 - 15 15 -
30 50 20 40 50 31 38 30 20 33 15 10 33
60 50 9 82 50 13 74 29 6 79 15 5 67
90 50 1 98 50 4 92 29 1 97 14 2 86
120 49 0 100 49 0 100 29 0 100 14 1 93
#Mcf=c+f (c=Rhodothalassium salexigens , f=Rhodovulum adriaticum)
<실시예 10 천연미생물제제 Mde의 악취 제거 실험>
시간 경과에 따른 천연미생물제제 Mde의 악취 제거 효과
시험항목 암모니아(ppm) 황화수소(ppm) 트리메틸아민(ppm) 포름알데하이드(ppm)
경과시간 대조 Mde # 탈취율 (%) 대조 Mde 탈취율 (%) 대조 Mde 탈취율 (%) 대조 Mde 탈취율 (%)
0 50 50 - 50 50 - 30 30 - 15 15 -
30 50 5 90 50 25 50 30 9 70 15 10 67
60 49 1 98 50 14 72 30 3 90 14 4 71
90 49 0 100 49 3 94 29 0 100 14 1 93
120 49 0 100 49 1 98 29 0 100 14 0 100
#Mde=d+e (d=Rhodopseudomonas camchatica, e=Rhodovulum sulfidophilum)
<실시예 11 천연미생물제제 Mabc의 악취 제거 실험>
시간 경과에 따른 천연미생물제제 Mabc의 악취 제거 효과
시험항목 암모니아(ppm) 황화수소(ppm) 트리메틸아민(ppm) 포름알데하이드 (ppm)
경과시간 대조 Mabc # 탈취율 (%) 대조 Mabc 탈취율 (%) 대조 Mabc 탈취율 (%) 대조 Mabc 탈취율 (%)
0 50 50 - 50 50 - 30 30 - 15 15 -
30 50 11 78 50 30 40 30 9 70 15 8 47
60 50 3 94 50 14 72 30 4 87 15 2 87
90 49 0 100 50 6 88 29 1 97 14 1 93
120 49 0 100 49 1 98 28 0 100 14 0 100
#Mabc=a+b+c (a=Rhodospirillum centenum , b=Rhodospirillum fulvum, c=Rhodothalassium salexigens)
<실시예 12 천연미생물제제 Mbce의 악취 제거 실험>
시간 경과에 따른 천연미생물제제 Mbce의 악취 제거 효과
시험항목 암모니아(ppm) 황화수소(ppm) 트리메틸아민(ppm) 포름알데하이드 (ppm)
경과시간 대조 Mbce # 탈취율 (%) 대조 Mbce 탈취율 (%) 대조 Mbce 탈취율 (%) 대조 Mbce 탈취율 (%)
0 50 50 - 50 50 - 30 30 - 15 15 -
30 49 26 47 50 29 42 30 16 47 15 11 27
60 49 9 82 50 14 72 29 10 66 14 7 50
90 49 1 98 49 5 90 29 1 97 14 3 79
120 49 0 100 49 0 100 29 0 100 14 0 100
#Mbce=b+c+e (b=Rhodospirillum fulvum, c=Rhodothalassium salexigens , e=Rhodovulum sulfidophilum)
<실시예 13 천연미생물제제 Mcde의 악취 제거 실험>
시간 경과에 따른 천연미생물제제 Mcde의 악취 제거 효과
시험항목 암모니아(ppm) 황화수소(ppm) 트리메틸아민(ppm) 포름알데하이드 (ppm)
경과시간 대조 Mcde # 탈취율 (%) 대조 Mcde 탈취율 (%) 대조 Mcde 탈취율 (%) 대조 Mcde 탈취율 (%)
0 50 50 - 50 50 - 30 30 - 15 15 -
30 50 40 80 50 29 42 30 14 53 15 9 40
60 49 5 90 50 11 78 30 4 87 15 4 73
90 49 0 100 50 5 90 29 1 97 14 2 86
120 49 0 100 49 0 100 29 0 100 14 1 93
#Mcde=c+d+e (c=Rhodothalassium salexigens , d=Rhodopseudomonas camchatica, e=Rhodovulum sulfidophilum)
<실시예 14 천연미생물제제 Mdef의 악취 제거 실험>
시간 경과에 따른 천연미생물제제 Mdef의 악취 제거 효과
시험항목 암모니아(ppm) 황화수소(ppm) 트리메틸아민(ppm) 포름알데하이드 (ppm)
경과시간 대조 Mdef # 탈취율 (%) 대조 Mdef 탈취율 (%) 대조 Mdef 탈취율 (%) 대조 Mdef 탈취율 (%)
0 50 50 - 50 50 - 30 30 - 15 15 -
30 50 21 58 50 31 38 30 13 57 15 10 33
60 50 8 84 50 19 62 30 3 90 15 6 60
90 50 0 100 50 9 82 30 1 97 15 2 87
120 49 0 100 49 2 96 29 0 100 14 1 93
#Mdef=d+e+f (d=Rhodopseudomonas camchatica, e=Rhodovulum sulfidophilum, f=Rhodovulum adriaticum)
<실시예 15 천연미생물제제 Mabcd의 악취 제거 실험>
시간 경과에 따른 천연미생물제제 Mabcd의 악취 제거 효과
시험항목 암모니아(ppm) 황화수소(ppm) 트리메틸아민(ppm) 포름알데하이드 (ppm)
경과시간 대조 Mabcd # 탈취율 (%) 대조 Mabcd 탈취율 (%) 대조 Mabcd 탈취율 (%) 대조 Mabcd 탈취율 (%)
0 50 50 - 50 50 - 30 30 - 15 15 -
30 50 18 64 50 30 40 30 20 33 15 9 40
60 50 6 88 50 14 72 29 9 69 15 5 67
90 49 1 98 50 3 94 29 2 93 14 2 88
120 49 0 100 49 0 100 29 0 100 14 0 100
#Mabcd=a+b+c+d (a=Rhodospirillum centenum , b=Rhodospirillum fulvum, c=Rhodothalassium salexigens , d=Rhodopseudomonas camchatica)
<실시예 16 천연미생물제제 Mbcef의 악취 제거 실험>
시간 경과에 따른 천연미생물제제 Mbcef의 악취 제거 효과
시험항목 암모니아(ppm) 황화수소(ppm) 트리메틸아민(ppm) 포름알데하이드 (ppm)
경과시간 대조 Mbcef # 탈취율 (%) 대조 Mbcef 탈취율 (%) 대조 Mbcef 탈취율 (%) 대조 Mbcef 탈취율 (%)
0 50 50 - 50 50 - 30 30 - 15 15 -
30 50 33 34 50 29 42 30 17 43 15 11 27
60 49 12 69 50 13 74 30 7 77 14 8 43
90 49 2 96 50 3 94 29 2 93 14 4 71
120 49 0 100 49 1 98 29 0 100 14 1 93
#Mbcef=b+c+e+f (b=Rhodospirillum fulvum, c=Rhodothalassium salexigens , e=Rhodovulum sulfidophilum, f=Rhodovulum adriaticum)
<실시예 17 천연미생물제제 Mbdef의 악취 제거 실험>
시간 경과에 따른 천연미생물제제 Mbdef의 악취 제거 효과
시험항목 암모니아(ppm) 황화수소(ppm) 트리메틸아민(ppm) 포름알데하이드 (ppm)
경과시간 대조 Mbdef # 탈취율 (%) 대조 Mbdef 탈취율 (%) 대조 Mbdef 탈취율 (%) 대조 Mbdef 탈취율 (%)
0 50 50 - 50 50 - 30 30 - 15 15 -
30 50 18 64 50 24 52 30 10 67 15 11 27
60 50 8 84 50 16 68 29 4 86 15 6 60
90 49 1 98 49 8 84 29 1 97 14 2 86
120 49 0 100 49 1 100 29 0 100 14 0 100
#Mbdef=b+d+e+f (b=Rhodospirillum fulvum, d=Rhodopseudomonas camchatica, e=Rhodovulum sulfidophilum, f=Rhodovulum adriaticum)
<실시예 18 천연미생물제제 Mcdef의 악취 제거 실험>
시간 경과에 따른 천연미생물제제 Mcdef의 악취 제거 효과
시험항목 암모니아(ppm) 황화수소(ppm) 트리메틸아민(ppm) 포름알데하이드 (ppm)
경과시간 대조 Mcdef # 탈취율 (%) 대조 Mcdef 탈취율 (%) 대조 Mcdef 탈취율 (%) 대조 Mcdef 탈취율 (%)
0 50 50 - 50 50 - 30 30 - 15 15 -
30 50 18 64 50 15 70 30 12 60 15 8 47
60 49 5 90 50 6 88 30 3 90 14 3 79
90 49 0 100 50 1 98 29 0 100 14 1 93
120 49 0 100 49 0 100 29 0 100 14 0 100
#Mcdef=c+d+e+f (c=Rhodothalassium salexigens , d=Rhodopseudomonas camchatica, e=Rhodovulum sulfidophilum, f=Rhodovulum adriaticum)
<실시예 19 천연미생물제제 Mabcde의 악취 제거 실험>
시간 경과에 따른 천연미생물제제 Mabcde의 악취 제거 효과
시험항목 암모니아(ppm) 황화수소(ppm) 트리메틸아민(ppm) 포름알데하이드 (ppm)
경과시간 대조 Mabcde # 탈취율 (%) 대조 Mabcde 탈취율 (%) 대조 Mabcde 탈취율 (%) 대조 Mabcde 탈취율 (%)
0 50 50 - 50 50 - 30 30 - 15 15 -
30 50 23 54 50 27 46 30 13 57 15 8 47
60 50 8 84 50 13 74 30 4 87 15 3 80
90 49 1 98 50 6 88 29 1 97 14 2 86
120 49 0 100 49 1 98 29 0 100 14 0 100
#Mabcde=a+b+c+d+e (a=Rhodospirillum centenum , b=Rhodospirillum fulvum, c=Rhodothalassium salexigens , d=Rhodopseudomonas camchatica, e=Rhodovulum sulfidophilum)
<실시예 20 천연미생물제제 Mabdef의 악취 제거 실험>
시간 경과에 따른 천연미생물제제 Mabdef의 악취 제거 효과
시험항목 암모니아(ppm) 황화수소(ppm) 트리메틸아민(ppm) 포름알데하이드 (ppm)
경과시간 대조 Mabdef # 탈취율 (%) 대조 Mabdef 탈취율 (%) 대조 Mabdef 탈취율 (%) 대조 Mabdef 탈취율 (%)
0 50 50 - 50 50 - 30 30 - 15 15 -
30 50 19 62 50 26 48 30 14 53 15 11 27
60 49 5 90 50 12 76 29 6 79 14 5 64
90 49 0 100 50 3 94 29 2 93 14 3 79
120 49 0 100 49 0 100 29 0 100 14 1 93
#Mabdef=a+b+d+e+f (a=Rhodospirillum centenum , b=Rhodospirillum fulvum, d=Rhodopseudomonas camchatica, e=Rhodovulum sulfidophilum, f=Rhodovulum adriaticum)
<실시예 21 천연미생물제제 Macdef의 악취 제거 실험>
시간 경과에 따른 천연미생물제제 Macdef의 악취 제거 효과
시험항목 암모니아(ppm) 황화수소(ppm) 트리메틸아민(ppm) 포름알데하이드 (ppm)
경과시간 대조 Macdef # 탈취율 (%) 대조 Macdef 탈취율 (%) 대조 Macdef 탈취율 (%) 대조 Macdef 탈취율 (%)
0 50 50 - 50 50 - 30 30 - 15 15 -
30 50 21 58 50 30 40 30 10 67 15 11 27
60 50 5 90 50 13 74 30 3 90 15 5 67
90 49 0 100 49 3 94 30 0 100 14 2 86
120 48 0 100 49 0 100 29 0 100 14 0 100
#Macdef=a+c+d+e+f (a=Rhodospirillum centenum , c=Rhodothalassium salexigens , d=Rhodopseudomonas camchatica, e=Rhodovulum sulfidophilum, f=Rhodovulum adriaticum)
<실시예 22 천연미생물제제 Mbcdef의 악취 제거 실험>
시간 경과에 따른 천연미생물제제 Mbcdef의 악취 제거 효과
시험항목 암모니아(ppm) 황화수소(ppm) 트리메틸아민(ppm) 포름알데하이드 (ppm)
경과시간 대조 Mbcdef # 탈취율 (%) 대조 Mbcdef 탈취율 (%) 대조 Mbcdef 탈취율 (%) 대조 Mbcdef 탈취율 (%)
0 50 50 - 50 50 - 30 30 - 15 15 -
30 50 24 52 50 23 54 30 15 50 15 9 40
60 49 8 84 49 10 80 30 5 83 14 3 79
90 49 1 98 49 3 94 29 1 97 14 1 93
120 48 0 100 49 0 100 28 0 100 13 0 100
#Mbcdef=b+c+d+e+f (b=Rhodospirillum fulvum, c=Rhodothalassium salexigens , d=Rhodopseudomonas camchatica, e=Rhodovulum sulfidophilum, f=Rhodovulum adriaticum)
<실시예 23 천연미생물제제 Mbcdef의 악취 제거 실험>
시간 경과에 따른 천연미생물제제 Mabcdef의 악취 제거 효과
시험항목 암모니아(ppm) 황화수소(ppm) 트리메틸아민(ppm) 포름알데하이드 (ppm)
경과시간 대조 Mabcdef # 탈취율 (%) 대조 Mabcdef 탈취율 (%) 대조 Mabcdef 탈취율 (%) 대조 Mabcdef 탈취율 (%)
0 50 50 - 50 50 - 30 30 - 15 15 -
30 50 13 74 50 16 68 30 14 53 15 6 60
60 49 1 98 50 3 94 30 3 90 14 3 79
90 49 0 100 49 1 98 29 1 97 14 1 93
120 49 0 100 48 0 100 29 0 100 14 0 100
#Mabcdef=a+b+c+d+e+f (a=Rhodospirillum centenum , b=Rhodospirillum fulvum, c=Rhodothalassium salexigens , d=Rhodopseudomonas camchatica, e=Rhodovulum sulfidophilum, f=Rhodopseudomonas sulfoviridis)
상기의 표 2 내지 24의 표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3은 거의 동등한 악취 제거 효과를 달성한 것을 확인하였다.
즉, 천연미생물제제를 투여하는 것으로 실험이 시작되면, 모든 실시예에서 그 즉시 악취 제거가 시작되고 신속하게 제거되어 30분 경과 후에 탈취율이 약 50% 내지 70%에 달했고, 90분 경과 후에는 탈취율이 약 90% 내지 100%에 달했으며, 120분 경과 후에는 탈취율이 100%에 달하여 완전히 탈취되었으므로, 모든 실시예에서 악취 제거 효과가 매우 탁월한 것임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4 증류수로 희석한 천연미생물제제 Mabcdef의 악취 제거 실험>
본 발명의 천연미생물제제 Mabcdef를 증류수로 100배, 1,000배, 2,000배, 5,000배, 10,000배 희석한 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23까지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증류수로 희석한 천연미생물제제 Mabcdef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악취 제거 효과
희석배수 시험항목 암모니아(ppm) 황화수소(ppm) 트리메틸아민(ppm) 포름알데하이드 (ppm)
경과시간 대조 Mabcdef # 탈취율 (%) 대조 Mabcdef 탈취율 (%) 대조 Mabcdef 탈취율 (%) 대조 Mabcdef 탈취율 (%)




100
0 50 50 - 50 50 - 30 30 - 15 15 -
30 50 30 40 50 31 38 30 22 27 15 11 27
60 50 15 70 50 16 68 30 16 47 15 8 47
90 50 5 96 50 10 80 30 7 77 15 5 67
120 49 0 100 50 1 98 29 1 97 14 1 93
150 49 0 100 49 0 100 29 0 100 14 0 100
180 49 0 100 49 0 100 29 0 100 14 0 100
210 49 0 100 49 0 100 29 0 100 14 0 100
240 48 0 100 49 0 100 29 0 100 14 0 100




1,000
0 50 50 - 50 50 - 30 30 - 15 15 -
30 50 35 30 50 38 24 30 24 20 15 12 20
60 50 24 52 50 22 56 30 14 53 15 8 47
90 50 12 76 50 9 82 30 7 77 15 5 67
120 50 7 86 50 4 92 30 3 90 15 3 80
150 50 4 92 49 2 96 29 2 93 14 2 86
180 49 3 94 49 1 98 29 1 97 14 1 93
210 49 2 96 49 0 100 29 0 100 14 0 100
240 49 0 100 48 0 100 29 0 100 13 0 100




2,000
0 50 50 - 50 50 - 30 30 - 15 15 -
30 50 42 16 50 42 16 30 21 30 15 11 27
60 50 34 32 50 31 38 30 17 43 15 9 40
90 50 22 56 50 24 52 30 15 50 14 8 43
120 49 19 63 49 18 63 29 13 55 14 8 43
150 49 19 63 49 19 61 29 11 62 14 8 43
180 49 15 69 49 16 67 29 10 66 14 7 50
210 49 14 71 49 11 78 29 9 69 14 6 57
240 49 13 73 49 11 78 28 7 72 14 5 64




5,000
0 50 50 - 50 50 - 30 30 - 15 15 -
30 50 45 10 50 46 8 30 21 30 15 12 20
60 50 38 24 50 33 34 30 20 33 15 10 33
90 50 30 40 50 27 46 29 16 45 15 10 33
120 50 25 50 50 26 48 29 15 48 15 9 40
150 50 20 60 49 21 57 29 15 48 14 9 40
180 50 16 68 49 16 67 29 11 62 14 8 43
210 49 14 71 49 15 69 29 10 66 14 7 50
240 49 14 71 49 13 73 29 9 69 14 7 50




10,000
0 50 50 - 50 50 - 30 30 - 15 15 -
30 50 41 18 50 46 10 30 25 17 15 13 13
60 50 38 24 50 39 22 30 21 30 15 11 27
90 50 32 36 50 31 38 30 17 43 15 11 27
120 49 27 45 50 28 44 29 17 41 15 10 33
150 49 23 53 50 25 50 29 15 48 14 9 36
180 49 19 61 49 20 59 29 12 59 14 9 36
210 49 16 67 49 16 67 29 10 66 14 8 43
240 48 16 67 49 16 67 29 9 69 14 8 43
#Mabcdef=a+b+c+d+e+f (a=Rhodospirillum centenum , b=Rhodothalassium salexigens, c=Rhodothalassium salexigens , d=Rhodopseudomonas camchatica, e=Rhodovulum sulfidophilum, f=Rhodovulum adriaticum)
상기 표 25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천연미생물제제 Mabcdef 배양물을 증류수로 100배 희석하여 실험한 결과는 희석하지 않은 천연미생물제제(실시예 1-23)와 거의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어서 악취 제거 효과가 매우 탁월한 것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증류수로 1,000배 희석하여 실험한 결과는 2시간(120분) 경과 후에 암모니아, 황화수소, 트리메틸아민, 포름알데하이드 등의 탈취율이 각각 86%, 92%, 90%, 80%이었고 4시간(240분) 경과 후에는 완전히 탈취되었으므로 악취 제거 효과가 탁월한 것임이 확인되었다.
한편, 2,000배로 희석하여 실험한 결과는 4시간(240분) 경과 후에 암모니아, 황화수소, 트리메틸아민, 포름알데하이드 등의 탈취율이 78% 내지 63%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악취 제거 효과가 다소 저하되는 것이기는 하지만 악취 제거 효과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비하여, 5,000배로 희석하여 실험한 결과는 4시간(240분) 경과 후에 암모니아, 황화수소, 트리메틸아민, 포름알데하이드 등의 탈취율이 73% 내지 50%에 불과하여 악취 제거 효과가 저하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10,000배로 희석하여 실험한 결과는 4시간(240분) 경과 후에 암모니아, 황화수소, 트리메틸아민, 포름알데하이드 등의 탈취율이 67% 내지 43%에 불과하여 악취 제거 효과가 크게 저하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본 발명의 천연미생물제제는 배양물을 5,000배 이상으로 희석하여 사용할 경우 탈취율이 크게 저하되는 것이므로, 2,000배 내지 1,000배로 희석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고, 1,000배미만 내지 100배로 희석시켜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며, 100배미만으로 희석시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Claims (11)

  1. 로도타라시움 사렉시젠스 ATCC®35888™(Rhodothalassium salexigens, ATCC®35888™), 로도부럼 설피도피럼ATCC®35886™(Rhodovulum sulfidophilum, ATCC®35886™), 또는 로도부럼 아드리아티컴 ATCC®35885™(Rhodovulum adriaticum, ATCC®35885™) 중 선택된 1종 내지 3종을 포함하는 악취 제거용 천연미생물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악취 제거용 천연미생물제제는 상기 미생물의 배양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용 천연미생물제제.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악취 제거용 천연미생물제제는 상기 미생물이 pH 6 내지 pH 8에서 배양된 배양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용 천연미생물제제.
  5. 제4항에 있어서,
    악취 제거용 천연미생물제제는 상기 미생물이 36℃ 내지 40℃의 온도에서 배양된 배양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용 천연미생물제제.
  6. 제5항에 있어서,
    천연미생물제제가 암모니아(NH3), 또는 트리메틸아민((CH3)3N)을 포함하는 질소화합물의 악취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용 천연미생물제제.
  7. 제5항에 있어서,
    천연미생물제제가 황화수소(H2S)를 포함하는 황화합물의 악취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용 천연미생물제제.
  8. 제5항에 있어서,
    천연미생물제제가 포름알데하이드(HCHO)를 포함하는 탄소화합물의 악취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용 천연미생물제제.
  9. 제2항에 있어서,
    천연미생물제제는 배양물을 2,000배 내지 1배 초과의 비율로 희석시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용 천연미생물제제.
  10. 제9항에 있어서,
    천연미생물제제는 배양물을 1,000배 내지 1배 초과의 비율로 희석시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용 천연미생물제제.
  11. 제10항에 있어서,
    천연미생물제제는 배양물을 100배 내지 1배 초과의 비율로 희석시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용 천연미생물제제.
KR1020170093555A 2017-07-24 2017-07-24 악취 제거용 천연미생물제제 KR101981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555A KR101981061B1 (ko) 2017-07-24 2017-07-24 악취 제거용 천연미생물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555A KR101981061B1 (ko) 2017-07-24 2017-07-24 악취 제거용 천연미생물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066A KR20190011066A (ko) 2019-02-01
KR101981061B1 true KR101981061B1 (ko) 2019-08-30

Family

ID=65367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555A KR101981061B1 (ko) 2017-07-24 2017-07-24 악취 제거용 천연미생물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06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753B1 (ko) 2020-06-23 2020-11-19 주식회사 상우바이오 효소활성수를 이용한 가축분뇨 소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KR102235351B1 (ko) 2019-11-18 2021-04-01 문은주 신규한 로도블럼 설피도필럼 hmba-1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배양한 악취저감용 조성물
KR20210129896A (ko) * 2020-04-21 2021-10-29 고승규 악취 저감용 액상 필터 및 이를 구비한 미생물 배양기
KR20240017301A (ko) 2022-07-28 2024-02-07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암모니아 제거 효능을 갖는 복합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거품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566B1 (ko) * 2019-10-11 2020-07-07 이종혁 유용 미생물(em)을 이용한 수산 폐기물의 악취 제거 방법
KR102177670B1 (ko) * 2020-07-28 2020-11-11 김주석 악취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579B1 (ko) 1999-02-22 2001-05-15 조경숙 황산화 세균 티오바실러스 티오옥시단스 티에이에스 균주와 이를 이용한 생물학적 악취 제거 방법
KR101229281B1 (ko) 2011-01-18 2013-02-04 이은영 신규한 브레번디모나스 디미누타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축산분뇨의 악취방지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491B1 (ko) 2000-08-26 2005-07-25 주식회사 삼윤이엔씨기술사사무소 황산염환원균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지의 안정화 시스템 및방법
KR100443068B1 (ko) * 2003-09-24 2004-08-05 주식회사 대한화학상사 오·폐수처리용 미생물제재
KR101296613B1 (ko) 2012-10-10 2013-08-14 썬앤문바이오 주식회사 미생물 탈취제
KR20170025210A (ko) * 2015-08-27 2017-03-08 마이크로맥스 영농조합법인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발생된 악취 제거제와 이를 이용한 악취의 제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579B1 (ko) 1999-02-22 2001-05-15 조경숙 황산화 세균 티오바실러스 티오옥시단스 티에이에스 균주와 이를 이용한 생물학적 악취 제거 방법
KR101229281B1 (ko) 2011-01-18 2013-02-04 이은영 신규한 브레번디모나스 디미누타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축산분뇨의 악취방지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351B1 (ko) 2019-11-18 2021-04-01 문은주 신규한 로도블럼 설피도필럼 hmba-1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배양한 악취저감용 조성물
KR20210129896A (ko) * 2020-04-21 2021-10-29 고승규 악취 저감용 액상 필터 및 이를 구비한 미생물 배양기
KR102508430B1 (ko) 2020-04-21 2023-03-08 고승규 악취 저감용 액상 필터 및 이를 구비한 미생물 배양기
KR102180753B1 (ko) 2020-06-23 2020-11-19 주식회사 상우바이오 효소활성수를 이용한 가축분뇨 소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KR20240017301A (ko) 2022-07-28 2024-02-07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암모니아 제거 효능을 갖는 복합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거품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066A (ko) 2019-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1061B1 (ko) 악취 제거용 천연미생물제제
Gutarowska et al. Removal of odorous compounds from poultry manure by microorganisms on perlite–bentonite carrier
WO2008136545A1 (en) Bacillus licheniformis bc4 kccm 10860p reducing nasty odor and heavy metal and clarification methods for resource recovery from food waste or livestock waste water by using it
KR101106032B1 (ko) 악취제거 및 중금속 제거 바실러스 세레우스 b c3 k c c m 10859p 및 이를 이용한 축산폐수 또는 음식물쓰레기의 자원화를 위한 정화방법
US20140308231A1 (en) Autotroph-based deodoriz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4248618A (ja) 有機物処理真菌共生菌群及びその用途
KR101106030B1 (ko) 악취제거 및 중금속 제거 바실러스 메가터리움 bc1-1 kccm 10856p 및 이를 이용한 축산폐수 또는 음식물쓰레기의 자원화를 위한 정화방법
JP5447348B2 (ja) 微生物及びその菌体を含有する脱臭剤
KR20130081538A (ko) 악취제거용 미생물제제
CN114410512B (zh) 一种畜禽粪污除臭微生物菌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106034B1 (ko) 악취제거 및 중금속 제거 바실러스 스파에리쿠스 b c6 k c c m 10862p 및 이를 이용한 축산폐수 또는 음식물쓰레기의 자원화를 위한 정화방법
WO2008146959A1 (en) Bacillus firmus bc9 10865p reducing nasty odor and heavy metal and clarification methods for resource recovery from food waste or livestock waste water by using it
KR101106033B1 (ko) 악취제거 및 중금속 제거 바실러스 클라우시 b c7 k c c m 10863p 및 이를 이용한 축산폐수 또는 음식물쓰레기의 자원화를 위한 정화방법
KR101993762B1 (ko) 친환경 융합 발효 액상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액상 탈취제
KR100958064B1 (ko) 폐수 정화용 미생물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폐수 정화 장치
Hidayat et al. Reduction of hydrogen sulphide in chicken manure by immobilized sulphur oxidising bacteria isolated from hot spring
KR100473027B1 (ko) 악취가스 및 유기물 분해능이 우수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에 적합한 합성 배지
Abraham Measurement and treatment of nuisance odors at wastewater treatment plants
KR101479679B1 (ko) 신규한 에시디티오바실러스 티오옥시단스 sob5vt1 균주, 이를 이용한 악취 제거 장치 및 방법
CN114410506B (zh) 一种粪产碱菌菌株及其应用
KR102529669B1 (ko) 현장 맞춤형 악취제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Yokoyama et al. Effectiveness of ozonation as a manure treatment.
MARTANI Effects of mineral nutrients on the degradation of 2, 4-dichlorophenol at low concentrations by microbial community and bacterial isolates
JP2008199996A (ja) 中度高温性硫黄酸化細菌及び該細菌を用いる硫化水素除去方法
Wheeler et al. Amendments for mitigation of odor emissions from dairy manure: Preliminary scree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