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374B1 -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374B1
KR101980374B1 KR1020170127774A KR20170127774A KR101980374B1 KR 101980374 B1 KR101980374 B1 KR 101980374B1 KR 1020170127774 A KR1020170127774 A KR 1020170127774A KR 20170127774 A KR20170127774 A KR 20170127774A KR 101980374 B1 KR101980374 B1 KR 101980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ower
function
communica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7934A (ko
Inventor
이동석
조승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디
Priority to KR1020170127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374B1/ko
Publication of KR20190037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7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센트 기능 및 제어기능을 포함하는 메인 모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모듈이 조립식으로 체결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기능모듈을 선택적으로 확장하여 사용자 맞춤형의 기능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C/DC 변환부와, 상기 AC/DC 변환부로부터 제공되는 DC 전원을 외부 기기로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센트 단자, 상기 AC/DC 변환부에 연결된 전원라인과 제어부에 연결된 통신라인이 연결되면서 기능모듈과 착탈가능한 체결 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모듈 체결부 및, 상기 통신라인을 통해 기능모듈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기능모듈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콘센트 단자로의 전원공급을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인 모듈과, 상기 메인모듈과 착탈가능하게 조립식으로 체결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제1 체결수단과, 제1 체결수단과 전원라인과 통신라인으로 연결되면서 제1 체결수단에 대응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제2 체결수단, 제1 및 제2 체결수단 사이의 전원라인과 연결되어 동작전원을 공급받고, 통신 라인에 대해서는 고유 기능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고유 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통신라인인 연결된 경우상기 메인모듈 또는 타 기능모듈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능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 모듈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모듈이 순차로 체결되고, 메인모듈의 전원라인과 통신라인은 체결된 모든 기능모듈과 직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Module Type Concent System}
본 발명은 콘센트 기능과 제어기능을 포함하는 메인 모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모듈이 조립식으로 체결가능하고, 메인모듈와 기능모듈은 전원라인과 통신라인이 직렬로 연결되어 메인모듈에서 기능모듈에 대한 동작전원을 제공함과 더불어, 모듈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기능모듈을 선택적으로 확장하여 사용자 맞춤형의 기능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면서 전자기기들도 다양화되고 복잡화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들은 통상 콘센트에 연결되어 일정 레벨의 전력을 공급받음으로써, 고유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바, 전자기기의 이용을 위해서는 전자기기의 전원라인이 필수적으로 콘센트와 연결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주택 등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다수의 전자기기가 존재하고, 이러한 전자기기의 개수에 대응하여 많은 콘센트가 요구되는데, 통상적으로 다수 전자기기의 전원 케이블을 동시에 연결할 수 있는 멀티탭이 주로 이용된다.
그러나, 멀티탭은 그 형상이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크기(길이) 및 체결할 수 있는 콘센트의 수가 제품에 따라 일정하게 정해져 있기 때문에, 콘센트를 설치할 공간의 크기 또는 필요한 콘센트의 수가 달라지면, 그에 맞는 멀티탭을 매번 새로 구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5-0103801호에는 설치공간 및 필요한 콘센트의 수에 따라 사용자가 멀티탭의 형상 및 크기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블록형 멀티탭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200287호에는 일측에 노출부가 형성되고, 중공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노출부를 통해 일면이 노출되어 외부접속단자와 연결되는 다양한 형태로 된 다수개의 연결소켓을 구비하는 멀티탭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의 멀티탭을 이용하더라도 플러그 소켓 또는 USB 단자의 수를 확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원공급이라는 기본 기능만을 제공하는 것에서 벗어나지 못할 뿐 아니라, 다양한 전자제품이 접속되는 경우, 다수의 전원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주변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다기능 관점에서 콘센트에 USB 포트나 조명등이 추가적으로 구비되거나, 대기 전력 차단, 타이머 기능, 음악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지능형 콘센트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5-0142418호에는 USB 단자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충전기능을 제공함과 더불어,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다양한 콘텐츠를 오디오로 변환출력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블루투스 스피커 출력이 가능한 멀티콘센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콘센트 장치는 다양한 기능을 단순히 집합시켜 하나의 장치로 구성한 형태로서, 사용자별로 원하는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모든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최대한 많은 기능을 포함하도록 장치를 구성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 장치의 가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이는 결국 해당 장치를 구입하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지 않는 기능에 대해서도 비용을 지급하게 되는 것으로, 해당 장치의 구매력을 약화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의 조합이 가능한 사용자 맞춤형의 다기능 콘센트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멀티탭 구성과 같이 다양한 기능모듈들을 블럭형태로 체결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각 기능 모듈들은 전원라인이나 통신라인과 같은 선들이 독립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모듈 체결시 모듈간 배선처리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1. 한국공개특허 제2015-0103801호 (명칭 : 블록형 콘센트) 2. 한국등록특허 제10-1200287호 (명칭 : 멀티탭) 3. 한국공개특허 제2015-0142418호 (명칭 : 블루투스 스피커 출력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콘센트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 모듈에 대해 고유 기능을 갖는 기능모듈을 조립식으로 체결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기능모듈을 선택적으로 확장하여 사용자 맞춤형의 기능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된 모듈 간에는 전원라인과 통신라인이 직렬로 연결되어 메인모듈에서 기능모듈에 대한 동작전원을 제공함과 더불어, 모듈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모듈간 배선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함은 물론, 기능 모듈간 유기적 조합 관계를 통해 보다 확장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C/DC 변환부와, 상기 AC/DC 변환부로부터 제공되는 DC 전원을 외부 기기로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센트 단자, 상기 AC/DC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DC 전원을 전송하는 전원라인과 제어부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라인이 각각 연결되면서 기능모듈과 착탈가능한 체결 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모듈 체결부 및, 상기 통신라인을 통해 기능모듈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기능모듈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콘센트 단자로의 전원공급을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인 모듈과, 상기 메인모듈의 기능모듈 체결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식으로 체결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제1 체결수단과, 제1 체결수단과 전원라인과 통신라인으로 연결되면서 제1 체결수단에 대응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제2 체결수단, 제1 및 제2 체결수단 사이의 전원라인과 연결되어 동작전원을 공급받고, 통신 라인에 대해서는 고유 기능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연결됨과 더불어 고유 기능을 수행하되, 통신라인이 연결된 경우 제1 체결수단 및 제2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메인모듈 또는 타 기능모듈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능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 모듈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모듈이 순차로 체결되고, 메인모듈의 전원라인과 통신라인은 각 기능모듈의 제1 및 제2 체결수단을 통해 모든 기능모듈과 직렬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기능모듈은 메인모듈의 전원라인 및 통신라인과 연결되고, 사용자 단말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RF 모듈과,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라인을 통해 메인모듈 또는 통신라인이 연결된 타 기능모듈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MCU를 포함하는 IoT 모듈과, 메인모듈의 전원라인 및 통신라인과 연결되고, 외부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블루투스 모듈, 메인모듈의 전원라인과 연결되고, 외부 기기에 대해 무선 충전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충전 모듈 및, 메인모듈의 전원라인 및 통신라인과 연결되고, 음성 인식 및 무선 인터넷을 통한 사용자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라인을 통해 메인모듈 또는 통신라인이 연결된 타 기능모듈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AI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AI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메인모듈의 통신라인과 연결되는 기능모듈은, 데이터 통신 대상이 메인모듈인 경우에는 메인모듈과 기능모듈이 마스터-슬레이브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 통신 대상이 타 기능모듈인 경우에는 반이중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콘센트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 모듈에 대해 고유 기능을 갖는 기능모듈을 조립식으로 체결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기능모듈을 선택적으로 확장하여 사용자 맞춤형의 기능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된 모듈 간에는 전원라인과 통신라인이 직렬로 연결되어 모듈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모듈간 배선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함은 물론, 모듈간 상호 연동 동작을 통해 기능모듈 조합에 의한 보다 확장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으로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에 도시된 메인모듈(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사용자에 의해 커스터마이징된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
도4는 가구 매립형의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메인모듈(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은 콘센트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모듈(100)과, 상기 메인모듈(100)과 상호 착탈가능하게 조립식으로 체결되면서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모듈(200)로 구성된다.
이때, 메인모듈(100)과 기능모듈(200)들은 체결시 메인모듈(100)의 전원라인(L1)과 통신라인(L2)이 체결된 모든 기능모듈(200)과 직렬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메인모듈(10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부(110)와, 기능모듈 체결부(120), AC/DC 변환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자부(110)는 USB 단자(111)와 외부 기기로 DC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 단자(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콘센트 단자(112)는 두 개의 홀을 포함하는 삽입구 형상으로서,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기능모듈 체결부(120)는 기능모듈(200)과 착탈가능하게 조립식으로 연결되면서, 기능모듈(20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라인(L1)과 기능모듈(200)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라인(L2)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를 위해 전원라인(L1)과 통신라인(L2)이 연결되는 부분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기능모듈 체결부(120)는 기능모듈(200)과의 조립식 체결이 용이하면서 안정적인 체결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홈 구조의 삽입 형상(ex, 요(凹) 형상) 또는 돌기 구조의 체결 형상(ex, 철(凸)형상)으로 구성되는 결합구조이거나, 소켓 결합구조, 후크 결합 구조 등의 다양한 결합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능모듈 체결부(120)는 메인 모듈(100)에 대해 일방향으로 기능모듈(200)이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메인 모듈(100) 몸체(미도시)를 중심으로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여 구성된다.
AC/DC 변환부(130)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AC 전원을 일정 레벨의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콘센트 단자(112) 및 기능모듈 체결부(120)와 연결된 전원라인(L1)을 통해 기능모듈 체결부(120)에 체결된 기능모듈(200)로 전원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DC 파워 서플라이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메인모듈(10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특히 통신라인(L2)을 통해 연결된 기능모듈(200)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콘센트 단자(112)에 대한 전원 공급을 온/오프 제어하는 것이 주된 기능이다.
한편, 도1에서 기능모듈(200)은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처리부(210)와, 내부에 구비되는 전원라인(L1)과 통신 라인(L2)이 고유 기능에 대응하여 기능처리부(210)과 연결되는 라인 연결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능 처리부(210)는 라인 연결부(220)를 통해 전원라인(L1)으로부터 제공되는 DC 전원을 이용하여 해당 기능모듈(200)의 고유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기능 처리부(210)는 라인 연결부(220)의 통신라인(L2)을 통해 메인모듈(100) 또는 타 기능모듈(200)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라인 연결부(220)는 전원라인(L1)과 통신라인(L2)이 기능처리부(210)의 전기기적 연결을 위한 배선으로서, 전원라인(L1)은 기능처리부(210)와 연결되고 통신라인(L2)은 고유 기능의 특징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예컨대, 기능모듈(200)이 블루투스 스피커 모듈이나 무선 충전 모듈인 경우, 해당 기능모듈(200)은 메인모듈(100) 또는 타 기능모듈과의 데이터 통신이 필요없으므로 통신라인(L2)과 기능 처리부(210)간의 연결라인은 개방 상태가 된다.
또한, 기능모듈(200)은 몸체(미도시) 양단에 서로 다른 모듈(예컨대, 메인 모듈 또는 타 기능모듈)을 체결하기 위한 상호 대응되는 형상의 제1 및 제2 체결수단(미도시)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제1 체결수단은 돌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 체결수단은 삽입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원라인(L1)과 통신 라인(L2)은 이러한 제1 및 제2 체결수단과 연결됨으로써, 해당 기능모듈(200)과 체결되는 모듈의 전원라인(L1)과 통신 라인(L2)이 직렬로 연결된다. 이때, 메인모듈(100)의 기능모듈 체결부(120)와 마찬가지로, 기능모듈(200)의 제1 및 제2 체결수단은 전원라인(L1)과 통신라인(L2)이 연결되는 체결 부분이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각 모듈들은 자신과 체결된 모듈과 전원라인(L1)과 통신라인(L2)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도3에는 사용자에 의해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된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이 예시되어 있다.
도3에 의하면,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은 메인모듈(100)과, 이 메인모듈(100)에 대해 다수의 기능모듈(200)이 순차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기능모듈(200)은 IoT모듈과, 블루투스 모듈(무선 스피커 모듈), 충전 모듈, 및 AI 모듈을 포함하여 전원을 통해 구동되는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각종 형태의 모듈들이 될 수 있으며, 메인모듈(100)에 결합되는 기능모듈(200)의 종류 및 결합 순서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1. 메인모듈(100) + IoT 모듈,
2. 메인모듈(100) + 무선 스피커 모듈,
3. 메인모듈(100) + 무선 충전 모듈,
4. 메인모듈(100) + AI 모듈,
5. 메인모듈(100) + IoT 모듈 + 무선 스피커 모듈,
6. 메인모듈(100) + IoT 모듈 + AI 모듈,
7. 메인모듈(100) + IoT 모듈 + 무선 스피커 모듈 + AI 모듈
상기한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에서 메인모듈(100)과 체결된 IoT 모듈과 무선 스피커모듈, 무선충전모듈 및, AI모듈은 상호간 전원라인(L1) 및 통신 라인(L2)으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기능모듈(200)들은 기본적으로 전원라인(L1)이 내부적으로 기능 처리부(210)와 연결되고, 고유 기능에 따라 통신 라인(L2)이 선택적으로 기능 처리부(210)와 연결된다. 즉, IoT 모듈과, AI모듈의 기능 처리부는 통신 라인(L2)이 연결되고, 무선 스피커모듈과 무선충전모듈은 통신 라인(L2)이 연결되지 않는다.
IoT 모듈은 스마트 단말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RF모듈과, 통신 제어를 위한 MCU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타이머 기능을 위한 타이머가 추가 구성될 수 있다. MCU는 통신 라인(L2)을 통해 메인모듈(10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콘센트 단자(112)와 결합된 기기로의 전원 ON/OFF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IoT 모듈은 스마트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요구에 대응하여 콘센트 단자(112)에 결합된 조리 기구의 조리시간 제어, 식탁 조명 제어, 식탁 살균 제어, 타이머 기능, 라디오 온/오프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스피커모듈은 스마트 단말, 예컨대 오디오 기기(미도시)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여 오디오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음악파일을 수신하는 BLE(Bluetooth Low Energy)기능부(BLE)와, BLE 에서 수신된 음악파일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AMP) 및 증폭기(AMP)를 통해 증폭된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무선 스피커모듈은 BLE 에서 주변에 위치하는 보안센서(스마트 단말)에서 제공되는 감지신호를 일정 주기 단위로 수집하고, 이에 대응하여 음성으로 외부인 침입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스피커모듈은 주변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의 한 종류로서, 블루투스 모듈의 BLE 기능처리부는 통신라인(L2)과 연결되어 타 모듈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블루투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블루투스 모듈은 AI 모듈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AI 모듈을 통한 정보 출력 기능을 제공하거나, AI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음성출력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모듈은 메인모듈(100)과 데이터통신을 수행하여 콘센트 단자(112)에 대한 전원 제어를 요구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무선충전모듈은 전원라인(L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무선충전패드(무선충전)에 위치하는 외부 기기(핸드폰)로 제공함으로써, 외부 기기에 대한 충전 기능을 제공한다.
AI 모듈은 음성 인식 기능을 포함하는 각종 인텔리전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AI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AI 프로세서에서 통신 라인(L2)을 통해 메인모듈(10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콘센트 단자(112)와 결합된 기기로의 전원 ON/OFF 제어를 수행함과 더불어, 통신 라인(L2)을 통해 타 기능모듈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보다 다양한 AI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컨대, 사용자 명령을 음성인식하여 콘센트 단자(112)와 결합된 주변 기기에 대한 제어처리를 수행함은 물론, 무선 스피커 모듈(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음악 선곡 및 오디오 기기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을 구성하는 메인모듈과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모듈은 통신 대상이 메인모듈인 경우에는 메인모듈과 기능모듈이 마스터-슬레이브 구조로 통신을 수행하고, 통신 대상이 메인모듈이 아닌 경우에는 전체가 슬레이브로 동작하는 반이중 통신을 수행한다. 도3 구조의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에서 메인모듈(100)과 IoT 모듈간의 통신시에는 메인모듈(100)이 마스터, IoT 모듈이 슬레이브 구조로 통신하게 되고, IoT모듈과 AI 모듈간의 통신시에는 상호 반이중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은 가구상에 매립형으로 배치되어 이용될 수 있다. 도4는 탁상 매립형의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은 탁상이나 식탁 등의 가구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어질 수 있는 바, 매립형 케이스의 상단에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이 배치될 수 있다.
도4에는 메인모듈(100)에 대해 하나 이상의 기능모듈(200)이 푸시풀 형태로 적층결합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모듈(100)의 상단과 하단에 서로 다른 기능모듈이 결합됨으로써 메인모듈(100)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순차 체결된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즉, 메인모듈(100)의 하단에는 블루투스 모듈이 결합되고, 상단에는 무선충전 모듈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메인모듈(100)에는 상단과 하단에 기능모듈(200)과 결합하기 위한 기능모듈 체결부(110)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도4에는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이 메인모듈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조립 확장되는 구조가 예시되어 있으나,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이 배치되는 위치 및 공간을 고려하여 메인모듈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조립 확장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메인모듈, 110 : 단자부,
111 : USB 단자, 112 : 콘센트 단자,
120 : 기능모듈 체결부, 130 : AC/DC 변환부,
140 : 제어부, 200 : 기능모듈,
210 : 기능처리부, 220 : 라인 연결부.

Claims (3)

  1.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C/DC 변환부와, 상기 AC/DC 변환부로부터 제공되는 DC 전원을 외부 기기로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센트 단자, 상기 AC/DC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DC 전원을 전송하는 전원라인과 제어부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라인이 각각 연결되면서 기능모듈과 착탈가능한 체결 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모듈 체결부 및, 상기 통신라인을 통해 기능모듈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기능모듈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콘센트 단자로의 전원공급을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인 모듈과,
    상기 메인모듈의 기능모듈 체결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식으로 체결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제1 체결수단과, 제1 체결수단과 전원라인과 통신라인으로 연결되면서 제1 체결수단에 대응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제2 체결수단, 제1 및 제2 체결수단 사이의 전원라인과 연결되어 동작전원을 공급받고, 통신 라인에 대해서는 고유 기능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연결됨과 더불어 고유 기능을 수행하되, 통신라인이 연결된 경우 제1 체결수단 및 제2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메인모듈 또는 타 기능모듈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능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 모듈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모듈이 순차로 체결되고, 메인모듈의 전원라인과 통신라인은 각 기능모듈의 제1 및 제2 체결수단을 통해 모든 기능모듈과 직렬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모듈은 메인모듈의 전원라인 및 통신라인과 연결되고, 사용자 단말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RF 모듈과,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라인을 통해 메인모듈 또는 통신라인이 연결된 타 기능모듈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MCU를 포함하는 IoT 모듈과,
    메인모듈의 전원라인 및 통신라인과 연결되고, 외부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블루투스 모듈,
    메인모듈의 전원라인과 연결되고, 외부 기기에 대해 무선 충전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충전 모듈 및,
    메인모듈의 전원라인 및 통신라인과 연결되고, 음성 인식 및 무선 인터넷을 통한 사용자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라인을 통해 메인모듈 또는 통신라인이 연결된 타 기능모듈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AI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AI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모듈의 통신라인과 연결되는 기능모듈은,
    데이터 통신 대상이 메인모듈인 경우에는 메인모듈과 기능모듈이 마스터-슬레이브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 통신 대상이 타 기능모듈인 경우에는 반이중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
KR1020170127774A 2017-09-29 2017-09-29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 KR101980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774A KR101980374B1 (ko) 2017-09-29 2017-09-29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774A KR101980374B1 (ko) 2017-09-29 2017-09-29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934A KR20190037934A (ko) 2019-04-08
KR101980374B1 true KR101980374B1 (ko) 2019-05-20

Family

ID=66164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774A KR101980374B1 (ko) 2017-09-29 2017-09-29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3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198B1 (ko) * 2020-01-20 2020-10-13 주식회사 해광 전자기기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시스템
CN112542869A (zh) * 2020-11-27 2021-03-23 江苏御创科技有限公司 一种可互换拼接模块电源
KR102538208B1 (ko) * 2020-12-23 2023-05-31 주식회사 케이아이씨텍 매립형 IoT 기기의 전원 연결 장치
KR200494047Y1 (ko) * 2021-04-22 2021-07-20 김민성 복수의 콘센트와 파워미터를 구비한 전원분배장치
CN114501180B (zh) * 2022-01-19 2024-06-11 青岛乾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模组集中器
CN116315798B (zh) * 2023-03-02 2023-12-19 广州市迪士普音响科技有限公司 一种可插拔式模块化数字信号与模拟信号应用接口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06265A (zh) * 2015-12-04 2016-03-16 罗古 一种多功能模块化插排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287B1 (ko) 2012-03-07 2012-11-12 장근대 멀티탭
US20150103801A1 (en) 2013-09-02 2015-04-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for downlink channel estimation
KR20150142418A (ko) 2014-06-12 2015-12-22 조경제 블루투스 스피커 출력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06265A (zh) * 2015-12-04 2016-03-16 罗古 一种多功能模块化插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934A (ko) 201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0374B1 (ko) 모듈형 콘센트 시스템
US9640962B2 (en) Power control system having modules
US6211581B1 (en) Power bar with remote control
US8106541B1 (en) Outlet power strip with remote control
KR20170083099A (ko) 전자 디바이스들을 충전하기 위한 시스템
CN110741514A (zh) 用于电气装置的模块化智能快速连接设备
KR100657381B1 (ko) 무선 단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한 배터리 모뎀
CN102844954A (zh) 用于调节感应电传输的系统和方法
CA2533086A1 (en) Programmable power converter
WO2005114916A3 (en) Ac powered self organizing wireless node
US10483796B2 (en) Power control system
CN206684817U (zh) 一种实现自动开启音乐的电子门锁系统
KR20150142418A (ko) 블루투스 스피커 출력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US20130106199A1 (en) Master slave radio control system
CN110827812A (zh) 一种智能马桶的语音控制系统
JP2005098560A (ja) 家庭内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アクセスポイント及び冷蔵庫
KR101852371B1 (ko) 콘센트 탈부착이 가능한 모듈형 멀티 플러그
CN105633942B (zh) 一种低压直流家庭智能供电系统
CN207558418U (zh) 语音控制终端
CN106507243B (zh) 一种组合式音源系统
CN105534375A (zh) 一种智能纸巾盒
CN105812967A (zh) 86型蓝牙音响面板
KR20160054917A (ko)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멀티탭
CN204903999U (zh) 智能电饭煲
CN205726208U (zh) 86型蓝牙音响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