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948B1 -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948B1
KR101979948B1 KR1020160106892A KR20160106892A KR101979948B1 KR 101979948 B1 KR101979948 B1 KR 101979948B1 KR 1020160106892 A KR1020160106892 A KR 1020160106892A KR 20160106892 A KR20160106892 A KR 20160106892A KR 101979948 B1 KR101979948 B1 KR 101979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unit
transformer
high voltage
switc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8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22064A (en
Inventor
문무현
김형섭
신남규
이건왕
김정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6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948B1/en
Publication of KR20180022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0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9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발생기 및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발생기에는,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직류전압부; 설정된 듀티비를 기초로 온 또는 오프 스위칭되는 스위칭신호를 생성하는 신호발생부; 상기 스위칭신호를 기초로 전류를 스위칭하여 상기 직류전압을 펄스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스위치부; 상기 펄스전압을 승압시키기 위하여, 상기 설정된 듀티비를 조절하는 시점을 설정하는 타이머; 상기 입력되는 펄스전압을 권선비에 따라 승압시키는 변압기; 상기 타이머에 의하여 설정된 시점에 도달하면, 상기 듀티비를 조절하는 제어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승압시간동안 상기 듀티비를 증가시켜, 상기 변압기에 의하여 출력된 전압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voltage generator and an air conditioner.
The high voltag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C voltage unit for outputting a DC voltage;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switching signal to be switched on or off based on the duty ratio set; A switch unit for switching the current based on the switching signal to convert the DC voltage into a pulse voltage; A timer for setting a time point for adjusting the duty ratio to increase the pulse voltage; A transformer for boosting the input pulse voltage according to a winding ratio;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duty ratio when the time point reached by the timer is reached, and the control unit increases the duty ratio for a predetermined boosting time to increase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output by the transformer.

Description

고전압발생기 및 공기조화기{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Air Conditione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voltage generator and 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고전압발생기 및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voltage generator and an air conditioner.

공기조화기는 소정공간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되며,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어, 상기 소정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is a device for keeping the air in a predetermined space in a most suitable condi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nd purpose. Generally,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device, and an evaporator, and a refrigeration cycle for compressing, condensing, expanding, and evaporating the refrigerant is driven to cool or heat the predetermined space have.

상기 소정공간은 공기조화기가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제안될 수 있다. 일례로, 공기조화기가 가정이나 사무실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은 집 또는 건물의 실내공간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space may be variously suggested depending on the place where the air conditioner is used. For example, when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n a home or an office, the predetermined space may be a house or an indoor space of a building.

공기조화기가 냉방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실외기에 구비되는 실외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수행하며, 실내기에 구비되는 실내 열교환기는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에,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실내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When the air conditioner performs the cooling operation, the outdoor heat exchanger provided in the outdoor unit performs a condenser function,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provided in the indoor unit performs an evaporator func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conditioner performs the heating operation, the indoor heat exchanger performs a condenser function,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performs an evaporator function.

공기조화기는 설치위치에 따라, 직립형, 벽걸이형, 또는 천장형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직립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에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조화기이며, 상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는 벽면에 부착되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조화기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형 타입의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조화기로 이해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be classified into an upright type, a wall-mounted type, or a ceiling type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 upright type air conditioner is an air conditioner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and the wall-mounted type air conditioner can be understood as an air conditioner installed to be attached to a wall surface.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an be understood as an air conditioner of a ceiling type.

공기조화기에는, 공기 중의 먼지나, 담배 연기 등의 미립자를 제거하는 장치로서, 정전 분리작용을 이용한 전기집진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기집진장치는 상용전원의 전압을 승압하여 얻어진 고전압을 이용하여 코로나 방전을 일으켜 공기조화기 내부로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나, 담배 연기 등의 미립자를 제거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with an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for removing particulates such as dust in the air or smoke such as cigarette smoke using electrostatic separation. The electric dust collector generates a corona discharge by using a high voltage obtained by boosting the voltage of a commercial power source to remove particulates such as dust and cigarette smoke in the air sucked into the air conditioner.

1. 공개번호 (공개일): 10-2016-0006062 (2016년 1월 18일)1. Public number (public date): 10-2016-0006062 (January 18, 2016)

2. 발명의 명칭: 전기집진장치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2.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air conditioner having same

상기 선행기술에 개시되는 전기집진장치에는,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키는 대전부와, 이격된 복수개의 방전전극판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방전전극판 사이에 대전부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가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된 제 1 필터부와, 공기 유동 방향으로 복수개 방전 전극판의 후류에 위치하고, 접지와 연결되어 방전 전극판과 코로나 방전을 형성하여 대전된 입자가 포집되는 제 2 필터부를 포함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서, 상기 대전부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가 제 1 필터부의 통로를 통과하여 제 2 필터부에 집진되고, 제 1 필터부와 제 2 필터부 사이에서 대전된 먼지입자는 제 2 필터부에 집진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부는 집진부라 이름할 수 있다.The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disclosed in the prior art includes a charging section for charging dust in the air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electrode pla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ath through which the dust particles charged by the charging section are passed between the plurality of discharge electrode plates And a second filter unit located downstream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electrode plates in the air flow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ground to form a corona discharge with the discharge electrode plate to collect the charged particles. With this arrangement, the dust particles charged by the charging section pass through the passage of the first filter section and are collected in the second filter section, and the dust particles charged between the first filter section and the second filter section are collected by the second filter It can be collected in the department. The second filter portion may be referred to as a dust collecting portion.

이러한 선행기술에 의하면, 상기 전기집진장치의 대전부에는 상용전원의 전압을 승압시킨 고전압이 일시에 인가됨으로써 전하가 충전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전압에 의해서, 상기 대전부 측 공기의 절연이 파괴되면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prior art, a charge can be charged by applying a high voltage to the charging section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t a time when the voltage of the commercial power source is boosted. At this time, due to the high voltage, insulation of the air on the charging unit side may be destroyed and noise may be generated.

상기 소음은 사용자에게 스트레스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소음에 의한 스트레스는 일례로 사용자에게 수면장애를 발생시키거나, 업무 중에 집중을 방해하는 요인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There is a problem that the noise may cause stress to the user. The stress caused by the noise may cause a sleeping disorder to the user or may act as a factor to prevent concentration during work.

따라서, 소음을 저감하기 위하여는, 대전부에 인가되는 전압의 레벨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인가하도록 제어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어되는 경우, 전기집진장치가 사용자가 기대하는 집진 효율을 낼 수 있는 전압레벨에 도달하는 시간이 지연되기 때문에 이물 여과성능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noise, it is necessary to control so that the level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charging portion is gradually increased.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time required for the electric dust collector to reach the voltage level at which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expected by the user is reached is delayed, the foreign matter filtering performance is reduced.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는 전기집진장치의 대전부에서 전하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대전부에 인가되기 위한 고전압에 도달하는 전압의 승압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고전압발생기 및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embodiment is directed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voltage rising time of a voltage reaching a high voltage to be applied to a charging unit in order to reduce noise generated in a charging unit of a charging unit of an electric dust collector, A high voltage generator and an air conditioner.

또한, 본 발명은 충전과정에서 대전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면서도 전기집진장치의 이물 여과성능이 감소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승압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스위칭신호의 듀티비을 이용하는 고전압발생기 및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igh voltage generator and an air conditioner using a duty ratio of a switching signal to determine a boosting time for minimizing a reduction in foreign matter filtering performance of an electric dust collector while reducing noise generated in a charging part during charging .

또한, 본 발명에는 상용전원을 승압하기 위해 배치되는 변압기의 전체 외형크기를 줄이고, 동작이 안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체배기(Voltage Multipliers)를 이용하는 고전압발생기 및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gh voltage generator and an air conditioner using voltage multipliers to reduce the overall external size of a transformer disposed for boosting a commercial power supply and stabilize operation.

본 실시예에 전기집진장치에는, 설정된 듀티비를 기초로 온 또는 오프 스위칭되는 스위칭신호를 생성하는 신호발생부와, 상기 스위칭신호를 기초로 전류를 스위칭하여 상기 직류전압을 펄스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스위치부와, 상기 펄스전압을 승압시키기 위하여, 상기 설정된 듀티비를 조절하는 시점을 설정하는 타이머와, 상기 펄스전압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펄스전압을 권선비에 따라 승압시키는 변압기와, 상기 타이머에 의하여 설정된 시점에 도달하면, 상기 듀티비를 조절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The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switching signal to be switched on or off based on a set duty ratio and a switch for switching the current based on the switching signal to convert the direct current voltage to a pulse voltage A timer for setting a time point at which the duty ratio is adjusted to increase the pulse voltage; a transformer for receiving the pulse voltage and increasing the pulse voltage according to the winding ratio; When the time point is reached,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duty ratio is included.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승압시간동안 상기 듀티비를 증가시켜, 상기 변압기에 의하여 출력된 전압의 크기를 증가시킨다.The control unit increases the duty ratio for a set boost time to increase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output by the transformer.

상기 스위칭신호는 제 1 PWM신호 및 제 2 PWM신호를 포함한다.The switching signal includes a first PWM signal and a second PWM signal.

상기 제 1 PWM신호가 온되는 구간에는 상기 제 2 PWM신호가 온 또는 오프 구간이 반복된다.The second PWM signal is repeatedly turned on or off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first PWM signal is turned on.

상기 신호발생부의 출력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PWM신호의 듀티비에 따라 충전 또는 방전시간이 결정되는 승압커패시터가 더 포함된다.And a boosting capacitor disposed at an output side of the signal generator and having a charge or discharge time determined according to a duty ratio of the second PWM signal.

상기 승압커패시터는 상기 제 2 PWM신호의 오프되는 구간에서 유입되는 전하의 충전을 수행한다.The step-up capacitor charges the charge flowing in the period in which the second PWM signal is turned off.

상기 승압커패시터는 상기 2 PWM신호가 온되는 구간에서 방전을 수행한다.The step-up capacitor performs discharging in a period in which the two PWM signals are on.

상기 승압커패시터의 충전시간이 방전시간보다 길 경우, 상기 승압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는 상기 변압기에 전달되고, 상기 변압기는 전달받은 전하의 전압을 승압시킨다.When the charge time of the step-up capacitor is longer than the discharge time, the charge charged in the step-up capacitor is transmitted to the transformer, and the transformer boosts the voltage of the received charge.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신호발생부로부터 스위칭신호를 기초로 스위칭동작하는 제 1 스위치부를 포함한다.The switch unit includes a first switch unit that performs a switching operation based on the switching signal from the signal generating unit.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 1 스위치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스위칭동작하는 제 2 스위치부를 더 포함한다.The switch unit further includes a second switch unit that performs a switching operation based on a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witch unit.

상기 제 1 스위치부 및 상기 제 2 스위치부는 교번하여 온 또는 오프됨으로써, 상기 직류전압부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는 펄스전압으로 변환된다.The first switch unit and the second switch unit are alternately turned on or off so that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DC voltage unit is converted into a pulse voltage.

상기 제 1 스위치부는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를 포함한다..The first switch unit includes a BJT (Bipolar Junction Transistor).

상기 제 2 스위치부는 MOSFET(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를 포함한다.The second switch unit includes a MOSFET (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상기 제 1 스위치부를 스위칭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한 제 1 전압분배부가 더 포함된다.And a first voltage distribution unit for operating the first switch unit in a switching mode.

상기 제 1 전압분배부는, 상기 직류전압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직류전압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제 1 스위치부에 입력한다.The first voltage divider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DC voltage unit and inputs a DC voltage output from the DC voltage unit to the first switch unit.

상기 제 2 스위부를 스위칭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한 제 2 전압분배부가 더 포함된다.And a second voltage distributor for operating the second switch in a switching mode.

상기 제 2 전압분배부는, 상기 직류전압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직류전압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제 2 스위칭부에 입력한다.The second voltage divider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DC voltage unit and inputs a DC voltage output from the DC voltage unit to the second switching unit.

상기 변압기의 출력측에 배치되며, 설정된 배수만큼 상기 변압기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체배시키는 체배기(Voltage multipliers)가 더 포함된다.And a voltage multiplier disposed at an output side of the transformer for multiplying a voltage output from the transformer by a predetermined multiple.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과전압으로부터 회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변압기의 입력측에 배치되는 안전회로부가 더 포함된다.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circuit from transient overvoltage, a safety circuit part disposed on the input side of the transformer is further included.

상기 안전회로부는 캐소드측이 상기 변압기의 입력측에 배치되고, 캐소드측이 접지되는 보호다이오드를 포함한다.The safety circuit includes a protection diode whose cathode side is disposed on the input side of the transformer and the cathode side is grounded.

상기 보호다이오드는 TVS다이오드(Transient Voltage Suppression Diode)를 포함한다.The protection diode includes a TVS diode (Transient Voltage Suppression Diode).

보호저항은 상기 변압기의 입력단 및 상기 보호다이오드의 캐소드측에 배치되어, 상기 보호다이오드에 입력되는 과전압의 크기를 줄인다.A protection resistor is disposed on the input side of the transformer and on the cathode side of the protection diode to reduce the magnitude of the overvoltage input to the protection diode.

서지전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변압기의 출력측에 배치되는 서지보호부가 더 포함된다.And a surge protection unit disposed on an output side of the transformer to prevent a surge voltage.

상기 서지보호부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을 포함한다.The surge protector includes at least one resistor.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에는 흡입부 및 토출부를 가지며, 송풍팬이 설치되는 케이싱과, 상기 흡입부에 배치되며, 정전분리작용을 이용하여 공기 중의 이물을 여과시키는 전기집진장치를 포함한다.The air conditioner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casing having a suction portion and a discharge portion, a casing provided with a blowing fan, and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disposed in the suction portion, for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in the air using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action.

상기 전기집진장치에는, 상기 케이싱에서 입력되는 전압을 승압하여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발생기; 및 상기 고전압발생기로부터 발생된 고전압을 인가받아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키는 대전부 및 접지에 연결되어 상기 대전된 먼지를 집진시키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필터부재가 포함된다.The electric dust collector includes a high voltage generator for boosting a voltage input from the casing to generate a high voltage; And a filter member including a charging unit that charges the dust in the air by receiving a high voltage generated from the high voltage generator, and a dust collecting unit connected to the ground and collecting the charged dust.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이 상기 고전압에 도달하기 위한 승압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전기집진장치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상기 송풍팬의 소음보다 낮게 형성된다.And the noise generated in the electric dust collector is formed to be lower than the noise of the blowing fan by adjusting a boosting time for the voltage input from the casing to reach the high voltage.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발생기,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대전부에 인가되기 위한 고전압에 도달하기 위한 전압의 승압시간이 지연됨으로써, 공기절연파괴 현상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소음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따라, 고객 만족도가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the air conditioner, and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voltage rising time of the voltage for reaching the high voltage to be applied to the charging part is delayed, thereby reducing the air insulation breakdown phenomenon. Thus, the noise can be reduced and thus the customer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또한, 스위칭신호의 듀티비을 조절함으로써,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 또는 승압시간을 최적으로 결정하여, 소음을 감소시키면서도 신속하게 사용자가 기대하는 집진 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 by adjusting the duty ratio of the switching signal,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voltage or the boosting time to achieve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expected by the user while reducing the noise.

또한, 변압기의 출력측에 체배기가 배치됨으로써, 변압기의 승압 비율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변압기의 전체외형 크기가 줄어들수 있고, 안정성이 향상됨으로써 안정된 고전압이 출력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multiplier is disposed at the output side of the transformer, the step-up ratio of the transformer can be lowered. Therefore, the overall external size of the transformer can be reduced, and the stable high voltage can be output by improving the st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V-V`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입력전원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설정된 승압시간에 대한 출력전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승압시간의 설정에 따라 발생된 소음의 크기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실시예와 종래기술의 승압시간 동안 발생된 소음의 크기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of FIG.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circuit diagram of an input power sour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graph showing the output voltage versus the set boost ti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9 is a graph comparing magnitudes of noises generated according to different boosting time setting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0 is a graph comparing the magnitude of noise generated during the boosting time of the embodiment and the prior ar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pirit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upon reading and understanding the spirit of the invention, may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concep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에는, 천장에 고정되며,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케이싱(20)이 포함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20 fixed to a ceiling and sucking outside air and discharging heat-exchanged air.

상기 케이싱(20)에는, 천장에 상기 케이싱(20)이 고정되기 위한 천장고정부재(20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20)이 상기 천장의 상측에 밀착되기 위하여, 상기 천장고정부재(201)는 일례로, 볼트(미도시)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천장에 고정될 수 있다. The casing (20) may include a ceiling fixing member (201) for fixing the casing (20) to the ceiling. In order for the casing 2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ceiling, the ceiling fixing member 201 may be fixed to the ceiling by means of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not shown).

상기 케이싱(20)의 내부공간에는 다수의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 시키는 열교환기(미도시) 및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 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송풍팬(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parts can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ing 20. [ The plurality of components may include a heat exchanger (not shown) for exchanging heat with the air sucked from the outside, and a blower fan (not shown) for discharging the heat-exchanged air to the outside.

상기 공기조화기(1)에는, 상기 케이싱(2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는 전면패널(1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20)이 일례로 석고보드 등의 천장매립부재에 의해 천장에 매립되는 경우, 상기 전면패널(10)은 대략 천장의 높이에 위치되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는 상기 케이싱(20)과, 상기 전면패널(10)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1) may further include a front panel (10) which can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casing (20). When the casing 20 is embedded in a ceiling by a ceiling embedding member such as a gypsum board, the front panel 10 may be positioned at a substantially ceiling height and exposed to the outside.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air conditioner (1) can be formed by the casing (20) and the front panel (10).

상기 전면패널(10)에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103) 및 상기 공기조화기(1)에서 열 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부(101)가 포함될 수 있다. The front panel 10 may include a suction unit 103 for sucking room air and a discharge unit 101 for discharging the air heat exchanged in the air conditioner 1 to the room.

또한, 상기 전면패널(10)에는, 상기 흡입부(103)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흡입그릴(104)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104)은 상기 흡입부(103)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front panel 10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grill 104 for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103 from being introduced. The suction grill 104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uction unit 103.

상기 흡입부(103)는 상기 전면패널(10)의 전방부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토출부(101)는 상기 전면패널(10)의 후방부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suction unit 103 may be formed to be long in the front portion of the front panel 10 and the discharge unit 101 may be formed to be long in the rear portion of the front panel 10 in the lateral direction.

상기 전면패널(10)에는, 상기 토출부(101)의 일측에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되는 토출베인(10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토출베인(102)은 상기 토출부(101)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양 또는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토출베인(102)은, 상기 토출베인(102)의 양단에 구비되는 힌지축(미도시)을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front panel 10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vane 102 provided movably on one side of the discharge unit 101. The discharge vane 102 can control the amount or direction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101. For example, the discharge vane 102 may be rotatable about the hinge axis (not shown)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discharge vane 102.

정리하면, 상기 공기조화기(1)에서, 상기 송풍팬이 구동되면, 실내공간의 공기는 흡입부(103)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2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2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 교환 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기 전면패널(10)의 토출부(101)를 통하여 실내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In summary, in the air conditioner 1, when the blowing fan is driven, the air in the indoor space can be sucked into the casing 20 through the suction portion 103. The air sucked into the casing 20 can be heat-exchanged in the heat exchanger. The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can be discharged 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101 of the front panel 10 by the blowing fan.

한편, 상기 케이싱(20)에는, 상기 전면패널(10)의 전면에 형성된 흡입부(103)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흡입공(203)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1)에는, 상기 흡입공(203)에 배치되는 전기집진장치(3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기집진장치(30)는 상기 공기조화기(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대전시키고, 대전된 이물들을 집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기집진장치(30)는 실내기에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들을 여과할 수 있다.The casing 20 may include a suction hole 203 formed to communicate with a suction portion 103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anel 10. 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n electric dust collector (30) disposed in the suction hole (203). The electric dust collector 30 can charge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conditioner 1 and collect the charged foreign objects. Accordingly, the electric dust collector 30 can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sucked into the indoor unit.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전기집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V-V`에 대한 단면도이다.FIG.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of FIG.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기집진장치(30)에는, 상기 케이싱(20)에 설치되는 필터하우징(500), 상기 필터하우징(5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먼지를 집진시킬 수 있는 필터어셈블리(300) 및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고전압발생기(700)가 포함될 수 있다.2 to 5, the electric dust collector 30 includes a filter housing 500 installed in the casing 20, a filter housing 500 detachably coupled to the filter housing 500, A filter assembly 300 and a high voltage generator 700 that supplies power to the filter assembly 300.

먼저,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에는, 상방을 바라보는 상방프레임(310a), 상기 상방프레임(310a)의 양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상방프레임(310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방프레임(310b), 상기 한 쌍의 측방프레임(310b)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방프레임(310c)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방프레임(310a), 한 쌍의 측방프레임(310b), 및 하방프레임(310c)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의 필터 테두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테두리부는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lter assembly 300 includes an upper frame 310a facing upward and a pair of side frames 310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frame 310a on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310a. 310b and a lower frame 310c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pair of side frames 310b. The filter frame 300 of the filter assembly 300 may be formed by coupling the upper frame 310a, the pair of side frames 310b, and the lower frame 310c. The filter rim may form an outer appearance of the filter assembly 300.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에는, 상기 필터하우징(500)에 결합되기 위한 상측걸림돌기(3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측걸림돌기(320)는 상기 상방프레임(310a)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걸림돌기(320)는 상기 상방프레임(310a)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filter assembly 300 may include an upper locking protrusion 320 to be coupled to the filter housing 500. The upper locking protrusion 32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frame 310a. In addition, the upper latch protrusion 320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frame 310a.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에는, 상기 필터하우징(500)에 결합되기 위한 상측걸림돌기(33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측걸림돌기(330)는 상기 하방프레임(310c)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걸림돌기(330)는 상기 하방프레임(310c)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filter assembly 300 may include an upper locking protrusion 330 to be coupled to the filter housing 500. The upper locking protrusion 33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frame 310c. In addition, the upper locking protrusion 330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frame 310c.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에는, 상기 필터하우징(500)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되기 위한 가이드홈(3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350)은 상기 하방프레임(310c)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350)은 상기 하방프레임(310c)에서 상기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일 수 있다.The filter assembly 300 may further include a guide groove 350 to be slidably coupled to the filter housing 500. The guide groove 350 may be disposed in the lower frame 310c. In addition, the guide groove 350 may be a recess formed upward in the lower frame 310c.

한편, 상기 가이드홈(350)에는 일례로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hole (not shown) for inserting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may be formed in the guide groove 350.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에는, 상기 고전압발생기(700)에 연결되는 제 1 전극(591) 및 접지에 연결되는 제 2 전극(59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591)은 상기 한 쌍의 측방프레임(310b) 중 하나에 가깝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전극(592)은 상기 한 상의 측방프레임(310b) 중 다른 하나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lter assembly 3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electrode 591 connected to the high voltage generator 700 and a second electrode 592 connected to the ground. The first electrode 591 may be disposed close to one of the pair of side frames 310b. 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 592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other one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310b.

상세히, 상기 제 1 전극(591)은 상기 필터어셈블리(300)가 상기 필터하우징(50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고전압발생기(70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전극(591)에는 상기 고전압발생기(700)로부터 고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고전압은 일례로 -7.5[kV]일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300)가 상기 필터하우징(50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 2 전극(592)은 접지측에 연결될 수 있다. In detail, the first electrode 591 may be connected to the high voltage generator 700 when the filter assembly 300 is mounted on the filter housing 500. Therefore, a high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591 from the high voltage generator 700. The high voltage may be, for example, -7.5 [kV]. When the filter assembly 300 is mounted on the filter housing 500, the second electrode 592 may be connected to the ground.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에는, 상기 실내기(1)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를 여과하는 필터부재(38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380)에는 공기 중의 이물들을 대전시키는 대전부(380a) 및 대전된 이물들을 집진시키는 집진부(380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대전부(380a) 및 상기 집진부(380b)는 각각 다수 개씩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대전부(380a) 및 상기 다수 개의 집진부(380b)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며,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대전부(380a)는 제 1 전극(59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진부(380b)는 제 2 전극(59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대전부(380a)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대전부(380a) 및 상기 집진부(380b) 사이에는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전부(380a) 및 상기 집진부(380b) 사이에는 코로나 방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는 상기 집진부(380b)에 집진될 수 있다.The filter assembly 300 may include a filter member 380 for filtering dust in the air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 The filter member 380 may include a charging portion 380a for charging foreign matters in the air and a dust collecting portion 380b for collecting charged foreign matters. The plurality of charging units 380a and the plurality of collecting units 380b may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charging units 380a and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units 380b may b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charging unit 380a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591. [ The dust collecting part 380b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592. When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charging unit 380a, an electric field may be formed between the charging unit 380a and the dust collecting unit 380b. A corona discharge may be formed between the charging part 380a and the dust collecting part 380b. The dust particles charged by the corona discharge can be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section 380b.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에는, 상기 필터하우징(500)에서 상기 필터어셈블리(300)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3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360)는 상기 필터 테두리부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360)는 상기 삽입홀(34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파지부(360)는 상기 필터 하방프레임(310c)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기가 천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삽입돌기(570)가 돌출된 방향으로 상기 필터어셈블리(300)를 당기면서 상기 필터하우징(500)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The filter assembly 300 may include a gripping portion 360 that can be gripped to separate the filter assembly 300 from the filter housing 500. The grip portion 360 may protrude in one direction from the filter rim portion. The grip portion 360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insertion hole 3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the grip portion 360 may be disposed close to the filter lower frame 310c. Accordingly, in a state where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on the ceiling,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filter assembly 500 from the filter housing 500 while pulling the filter assembly 30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 570 protrudes.

상기 필터하우징(500)에는, 상방을 바라보는 하우징 상방프레임(510a), 상기 하우징 상방프레임(510a)의 양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상방프레임(510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하우징 측방프레임(510b), 상기 한 쌍의 하우징 측방프레임(510b)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우징 하방프레임(510c)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상방프레임(510a), 상기 한 쌍의 하우징 측방프레임(510b), 상기 하우징 하방프레임(510c)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필터하우징(500)의 하우징 테두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테두리부는 상기 필터하우징(5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lter housing 500 is provided with a housing upper frame 510a that faces upward and a pair of housings that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upper frame 510a and extend downward from the housing upper frame 510a, A frame 510b and a housing lower frame 510c disposed at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the housing lateral frames 510b. Housing edges of the filter housing 500 may be formed by coupling the housing upper frame 510a, the pair of housing lateral frames 510b, and the housing lower frame 510c. The housing rim may form an outer appearance of the filter housing 500.

상기 필터하우징(400)에는, 상기 케이싱(20)에 고정되기 위한 하우징 체결홀(520, 53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체결홀(520, 530)에는 상기 필터하우징(500)의 양 측방에 배치되는 제 1 하우징체결홀(520) 및 상기 필터하우징(400)의 하방에 배치되는 제 2 하우징체결홀(530)이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하우징체결홈(520)은 상기 하우징 측방프레임(510b)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하우징체결홈(530)은 상기 하우징 하방프레임(510c)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20)에는 상기 하우징 체결홀(520, 530)에 대응되는 케이싱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하우징(500)은 일례로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상기 하우징 체결홀(520, 530) 및 케이싱 체결홀에 함께 삽입됨으로써, 상기 케이싱(20)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lter housing 400 may include housing coupling holes 520 and 530 to be fixed to the casing 20. The housing fastening holes 520 and 530 are formed with first housing fastening holes 52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lter housing 500 and second housing fastening holes 530 disposed below the filter housing 400, May be included. In detail, the first housing coupling groove 520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lateral frame 510b. Also, the second housing coupling groove 530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lower frame 510c. Casing fastening holes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housing fastening holes 520 and 530 may be formed in the casing 20. Therefore, the filter housing 500 can be coupled to the casing 20, for example, by fastening members such as bolts inserted into the housing fastening holes 520 and 530 and the casing fastening holes.

상기 필터하우징(500)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의 상측걸림돌기(320)가 결합될 수 있는 상측걸림홀(54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측걸림홀(540)은 상기 필터하우징(500)의 하우징 상방프레임(510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500)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에 결합되기 위한 하측걸림홀(5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측걸림홀(550)은 상기 하우징 하방프레임(510c)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lter housing 500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latching hole 540 to which the upper latching protrusion 320 of the filter assembly 300 can be coupled. The upper latching hole 540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upper frame 510a of the filter housing 500. [ The filter housing 500 may further include a lower latching hole 550 to be coupled to the filter assembly 300. The lower latching hole 550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lower frame 510c.

상기 필터하우징(500)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300)가 상기 필터하우징(500)에 결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5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580)는 상기 하우징 하방프레임(510c)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580)는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의 가이드홈(350)에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홈(350)에 대응되는 크기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filter housing 500 may further include guide protrusions 580 for guiding the filter assembly 300 to be coupled to the filter housing 500. The guide protrusion 580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housing lower frame 510c. The guide protrusion 580 may protrude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guide groove 350 to be coupled to the guide groove 350 of the filter assembly 300.

한편, 상기 가이드돌기(580)의 내측에는 오목한 홈(580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580a)에는 일례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593, 594)가 삽입될 수 있는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593, 594)는 상기 가이드홈(350) 및 가이드돌기(580)에 각각 형성된 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에 상기 필터하우징(500)을 고정시킬 수 있다.Meanwhile, a concave groove 580a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guide protrusion 580. In the groove 580a, holes (not shown) into which fastening members 593 and 594 such as bolts can be inserted can be formed. Therefore, the fastening members 593 and 594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s formed in the guide groove 350 and the guide protrusion 580, respectively, thereby fixing the filter housing 500 to the filter assembly 300.

상기 체결부재(593, 594)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300) 및 필터하우징(500)의 제 1 전극(591)측을 고정시키는 제 1 체결부재(59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부재(593)가 상기 가이드홈(350) 및 상기 가이드돌기(580)에 각각 형성된 홀에 삽입된 경우, 상기 제 1 체결부재(593)의 일단은 제 1 전극(591)에 접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체결부재(593)에는 터미널단자(714)가 결합되고, 상기 터미널단자(714)에는 상기 고전압발생기(700)에서 출력전압이 출력되는 전극에 연결된 케이블(713)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전극(591)에는 상기 고전압발생기(700)에서 출력되는 고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The fastening members 593 and 594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member 593 for fastening the filter assembly 300 and the first electrode 591 of the filter housing 500. One end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593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591 when the first fastening member 593 is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in the guide groove 350 and the guide protrusion 580, . A terminal 714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member 593 and a cable 713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70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terminal 714 have. Accordingly, a high voltage output from the high voltage generator 700 may b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591.

또한, 상기 체결부재(593, 594)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300) 및 필터하우징(500)의 제 2 전극(592)측을 고정시키는 제 2 체결부재(59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체결부재(594)가 상기 가이드홈(350) 및 상기 가이드돌기(580)에 각각 형성된 홀에 삽입된 경우, 상기 제 2 체결부재(594)의 일단은 제 2 전극(592)측에 접촉될 수 있다. The coupling members 593 and 594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upling member 594 for fixing the filter assembly 300 and the second electrode 592 of the filter housing 500. When the second fastening member 594 is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in the guide groove 350 and the guide protrusion 580, one end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594 is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592 side Can be contacted.

상기 제 1, 2 체결부재(593, 594)는 일례로 도체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members 593 and 594 may be formed as a conductor, for example.

상기 필터하우징(500)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의 삽입홀(340)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돌기(5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삽입돌기(570)에 의해 상기 삽입홀(340)이 끼워짐으로써, 사용자는 정확하고 간편하게 상기 필터어셈블리(300)를 상기 필터하우징(500)에 장착할 수 있다.The filter housing 500 may further include an insertion protrusion 57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40 of the filter assembly 300. By inserting the insertion hole 340 by the insertion protrusion 570, the user can accurately and easily mount the filter assembly 300 to the filter housing 500.

한편, 상기 필터하우징(500)에는 고전압발생기(700)가 배치될 수 있는 장착공간(6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The filter housing 500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space 600 through which the high voltage generator 700 may be disposed.

상기 필터하우징(500)에는 상기 고전압발생기(7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610, 6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610, 620)는 상기 필터하우징(500)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The filter housing 500 may include support portions 610 and 620 for supporting the high voltage generator 700. The support portions 610 and 620 may protrude in a direction in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the filter housing 500.

상기 지지부(610, 620)에는 상기 고전압발생기(700)의 양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 1 지지부(610) 및 상기 고전압발생기(7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부(6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610) 및 상기 제 2 지지부(620)에 의해서 상기 장착공간(600)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전압발생기(70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제 1 지지부(610) 사이의 거리는 상기 고전압발생기(700)의 장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부(610) 및 제 2 지지부(620)가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고전압발생기(700)의 단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610)의 일단에는 ㄱ형상의 후크(61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전압발생기(700)의 양 측면에는 양 측면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진 한 쌍의 고정돌기(711)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전압발생기(700)가 상기 장착공간(60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고정돌기(711)는 상기 제 1 지지부(610)를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711)의 일단이 상기 후크(61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전압발생기(700)는 상기 장착공간(60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The supporting portions 610 and 620 include a pair of first supporting portions 610 for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700 and a second supporting portion 620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700 . The mounting space 600 may be formed by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610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620. For example, the high voltage generator 700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first supporting portions 61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700.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61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620 protruded may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700. A hook 611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610. On the other hand, a pair of fixing protrusions 711 protruding on both sides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700. When the high voltage generator 700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600, the fixing protrusion 711 may slide along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610. One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711 may be fixed by the hook 611. [ Therefore, the high voltage generator 700 can be stably installed in the mounting space 600. [

한편, 상기 고전압발생기(700)에는 내부에 부품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710), 상기 본체(710)에 형성된 공간을 개폐가능도록 결합되는 커버(720), 및 상기 본체(710)에 수용되는 입력전원장치(8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입력전원장치(800)는 실내기(1)로부터 상용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전원장치(800)는 상기 상용전원을 승압하여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의 대전부(380a)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고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전압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용전원이 승압되어 상기 설정된 고전압에 도달하는 승압시간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The high voltage generator 700 includes a main body 710 in which a space for accommodating components can be formed therein, a cover 720 coupled to the main body 710 so as to open and close the space, An input power supply 800 may be included. The input power supply 800 may be supplied with commercial power from the indoor unit 1. The input power supply unit 800 may generate a high voltage for applying power to the charging unit 380a of the filter assembly 300 by boosting the commercial power supply. At this time, the high voltage may be determined by the setting of the user. The boosting time at which the commercial power supply is boosted to reach the set high voltage may be determined by a user's setting.

일례로 설정된 고전압이 -7.5[kv]이고, 설정된 승압시간이 100초인 경우, 상기 입력전원장치(800)는 상기 대전부(380a)에 인가되는 전압을 설정된 승압시간인 100초 동안 초기 출력전압인 0[v] 부터 -7.5[kv]까지 순차적으로 증가되도록 구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순차적으로 증가되어 상기 입력전원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은 상기 대전부(380a)에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절연파괴현상이 줄어 들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t high voltage is -7.5 [kv] and the set voltage rising time is 100 seconds, the input power source 800 applies the voltage applied to the charging unit 380a to the initial output voltage Can be sequentially increased from 0 [v] to -7.5 [kv]. The output voltage sequentially increased and output from the input power supply unit may be applied to the charging unit 380a. Therefore, the insulation breakdown phenomenon of the air can be reduced, and the noise generated thereby is advantageously reduced.

이하에서는 고전압발생장치에 구비는 입력전원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input power supply device provided in the high voltage generator will be described.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입력전원장치의 회로도이다.6 is a circuit diagram of an input power sour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상기 입력전원장치(800)에는,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직류전압부(81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직류전압부(810)는 상기 실내기(1)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직류전압으로 정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직류전압부(810)에 상기 실내기(1)로부터 220V의 교류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직류전압부(810)는 상기 입력된 교류전압 220V를 정류하여 직류전압 12V로 출력시킬 수 있다.The input power supply apparatus 800 may include a DC voltage unit 810 that outputs a DC voltage. The DC voltage unit 810 may rectify the commercial power supplied from the indoor unit 1 to a DC voltage. For example, when an AC voltage of 220V is input from the indoor unit 1 to the DC voltage unit 810, the DC voltage unit 810 rectifies the input AC voltage 220V and outputs the AC voltage of 12V at a DC voltage of 12V .

상기 입력전원장치(800)에는, 입력되는 전압을 승압하기 위한 변압기(8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압기(830)에는 직류전압부(810)에 연결되며, 직류전압이 인가되는 제 1 입력단(831) 및 후술되는 스위칭신호발생부(820)에 연결되는 제 2 입력단(83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압기(830)에는, 승압된 전압이 출력되기 위한 제 1 출력단(833) 및 제 2 출력단(834)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신호발생부(820)에 의해서 상기 변압기(830)의 입력단(831, 832)에는 펄스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The input power supply 800 may further include a transformer 830 for boosting an input voltage. The transformer 830 may include a first input terminal 831 to which a DC voltage is applied and a second input terminal 832 to be connected to a switching signal generating unit 820, . The transformer 83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output terminal 833 and a second output terminal 834 for outputting the boosted voltage. A pulse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s 831 and 832 of the transformer 830 by the switching signal generator 820.

상기 변압기(830)는 코일 턴(turn)수 즉, 권선비에 따라 상기 변압기(830)의 1차측에서 입력되는 펄스전압을 상기 변압기(830)의 2 차측으로 승압시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1차측은 상기 변압기(830)의 입력측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2차측은 상기 변압기(830)에 의해 승압된 전압이 출력되는 출력측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권선비가 1:116인 경우, 상기 변압기(830)의 1차측에 입력되는 전압은 116배 승압되어 상기 변압기(830)의 2차측으로 출력될 수 있다.The transformer 830 boosts the pulse voltage input from the primary side of the transformer 830 to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830 according to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that is, the winding ratio. The primary side may refer to the input side of the transformer 830 and the secondary side may refer to the output side where the voltage boosted by the transformer 830 is output. For example, when the winding ratio is 1: 116, the voltage input to the primary side of the transformer 830 may be increased by 116 times and output to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830.

상기 입력전원장치(800)에는, 스위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직류전압부(810)에서 출력된 직류전압을 스위칭하여 펄스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스위칭신호발생부(8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신호발생부(820)에서 생성된 스위칭신호에 의하여 상기 직류전압은 펄스전압으로 변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펄스전압은 상기 변압기(830)의 권선비에 따라서 고전압으로 유기될 수 있다.The input power supply apparatus 800 may further include a switching signal generator 820 for generating a switching signal and switching the DC voltage output from the DC voltage unit 810 to convert the DC voltage into a pulse voltage. The DC voltage may be converted into a pulse voltage by the switching signal generated by the switching signal generator 820. The pulse voltage may be induced to a high voltage according to the winding ratio of the transformer 830.

상기 스위칭신호발생부(820)에는, 스위칭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821a)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신호에는 제 1 PWM신호 및 제 2 PWM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PMW신호는 상기 제 2 PWM신호의 일 주기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PWM신호의 전류가 흐르는 구간에는 상기 제 2 PWM신호가 포함된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 1 PWM신호의 전류가 흐르지 않는 구간에는 신호발생부(821a)의 출력단으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1 PWM신호 및 상기 제 2 PWM신호의 주기 및 듀티비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The switching signal generator 820 may include a signal generator 821a for generating a switching signal. The switching signal may include a first PWM signal and a second PWM signal. The first PMW signal may be greater than one period of the second PWM signal. Also, the second PWM signal may be output in a period in which the current of the first PWM signal flows. Conversely, a signal may not be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of the signal generator 821a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current of the first PWM signal does not flow. The period and the duty ratio of the first PWM signal and the second PWM signal may be set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2 PWM신호의 전류가 흐르는 구간은 온 되는 구간으로, 상기 제 1, 2 PWM신호의 전류가 흐르지 않는 구간은 오프 되는 구간으로 설명한다.In this embodiment, the section in which the current flows in the first and second PWM signals is on, and the section in which the currents of the first and second PWM signals do not flow is turned off.

상기 스위칭신호발생부(820)에는, 상기 스위칭신호의 듀티비가 조절되는 시점을 설정하는 타이머(821b)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펄스전압을 승압시키기 위하여, 상기 타이머(821b)는 상기 설정된 듀티비를 조절하는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821b)는 제 1, 2 PWM신호의 듀티비가 가변되는 시점을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821b)는 일 례로 스위칭신호가 발생되는 시점을 제 1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제 1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지난 시점을 제 2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되는 제어부는 상기 제 1 시점에 제 1 PWM신호의 듀티비를 1%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제 2 시점에 제 1 PWM신호의 듀티비를 2%로 설정할 수 있다.The switching signal generator 820 may further include a timer 821b for setting a time point at which the duty ratio of the switching signal is adjusted. In detail, in order to increase the pulse voltage, the timer 821b may set a time to adjust the duty ratio. The timer 821b can set a time point at which the duty ratios of the first and second PWM signals are varied. For example, the timer 821b may set a time point when a switching signal is generated to a first time point, and may set a time point afte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first time point to a second time point. The controller may set the duty ratio of the first PWM signal to 1% at the first time point and set the duty ratio of the first PWM signal to 2% at the second time point.

상기 스위칭신호발생부(820)에는, 상기 신호발생부(821a) 및 상기 타이머(821b)를 제어하는 제어부(82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22)는 설정된 고전압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신호발생부(821a) 및 상기 타이머(821b)를 제어하여 제 1, 2 PWM신호의 듀티비 및 상기 제 1, 2 PWM신호의 듀티비가 가변되는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822)는 상기 타이머(821b)에 의하여 설정된 시점에 도달하면, 상기 듀티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22)는 설정된 승압시간동안 상기 듀티비를 증가시켜, 상기 변압기에 의하여 출력된 전압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 switching signal generator 820 may include a controller 822 for controlling the signal generator 821a and the timer 821b. The controller 822 controls the signal generator 821a and the timer 821b to generate the set high voltage so that the duty ratio of the first and second PWM signals and the duty ratio of the first and second PWM signals are varied Can be set. In detail, the controller 822 can adjust the duty ratio when a time set by the timer 821b is reached. The controller 822 may increase the duty ratio to increase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output by the transformer during the set voltage rise time.

상기 스위칭신호발생부(820)에는, 상기 신호발생부(821a)에서 출력되는 스위칭신호를 기초로 전류를 스위칭하여 상기 직류전압부(810)에서 출력된 직류전압을 펄스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스위치부(823, 824)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switching signal generating unit 820 includes a switch unit for switching a current based on a switching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generating unit 821a and converting the DC voltage output from the DC voltage unit 810 into a pulse voltage 823, and 824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스위치부(823, 824)에는 상기 신호발생부(821a)에서 입력되는 PWM신호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제 1 스위치부(823) 및 제 2 스위치부(824)가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스위치부(823)에는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 2 스위치부(824)에는 MOSFET(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이 포함될 수 있다.The switch units 823 and 824 may include a first switch unit 823 and a second switch unit 824 which are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PWM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generating unit 821a. For example, the first switch unit 823 may include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and the second switch unit 824 may include a 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MOSFET).

상기 제 1 스위치부(823)의 베이스(B)는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으로써, 상기 신호발생부의 출력측 및 후술되는 제 1 전압분배부(825)의 출력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위치부(823)의 에미터(E)는 접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스위치부(823)의 콜렉터(C)는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단으로써 후술되는 제 2 스위치부(824)의 입력측에 연결될 수 있다. The base B of the first switch unit 823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signal generator and to the output of the first voltage divider 82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emitter E of the first switch portion 823 may be grounded. The collector C of the first switch unit 823 may be connected to the input side of the second switch unit 82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s an output terminal through which signals are output.

상기 제 1 스위치부(823)는 베이스(B)에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되는 신호를 콜렉터(C)로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스위치부(823)는 상기 승압 신호가 온되는 구간에 동작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 1 스위치부(823)는 상기 스위칭신호가 오프되는 구간에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PWM신호가 온되는 구간에서, 온 또는 오프되는 제 2 PWM신호에 의해 상기 제 1 스위치부(823)는 온 또는 오프 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위치부(823)가 온되는 경우, 상기 제 1 스위치부(823)에서 출력된 신호는 상기 제 2 스위치부(824)에 입력될 수 있다. The first switch unit 823 can output an input signal to the collector C when a signal is input to the base B. [ For example, the first switch unit 823 may operate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boost signal is on. Conversely, the first switch unit 823 may not operate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switching signal is off. Specifically, the first switch unit 823 can be turned on or off by a second PWM signal that is turned on or off in a period in which the first PWM signal is turned on. When the first switch unit 823 is turned 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witch unit 823 may be input to the second switch unit 824.

한편, 상기 제 2 스위치부(824)의 게이트(G)는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으로써, 상기 제 1 스위치부(823)의 콜렉터(C) 및 후술되는 제 2 전압분배부(826)의 출력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스위치부(824)의 에미터(E)는 접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스위치부(824)의 드레인(D)은 상기 변압기(830)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스위치부(824)는 게이트(G)에 0[V]가 인가될 때, 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스위치부(823)로부터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스위치부(824)는 온될 수 있다.The gate G of the second switch unit 824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he first switch unit 823 and the output side of the second voltage distributor 826 Can be connected. Further, the emitter E of the second switch portion 824 may be grounded. The drain D of the second switch unit 824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former 830 side. The second switch portion 824 can be turned on when 0 [V] is applied to the gate G. [ That is, when no signal is input from the first switch unit 823, the second switch unit 824 can be turned on.

반대로, 상기 게이트(G) 및 소스(S) 사이의 전압이 0[V]보다 큰 경우 오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스위치부(823)를 통과한 신호가 상기 제 2 스위치부(824)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2 스위치부(824)는 오프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voltage between the gate (G) and the source (S) is larger than 0 [V], it can be turned off. Accordingly, when a signal having passed through the first switch unit 823 is input to the second switch unit 824, the second switch unit 824 can be turned off.

정리하면, 상기 제 1 스위치부(823) 및 상기 제 2 스위치부(824)는 상기 스위칭신호에 의해 번갈아가면서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다. In summary, the first switch unit 823 and the second switch unit 824 can be turned on or off alternately by the switching signal.

한편, 스위칭신호발생부(820)에는 상기 제 1 스위치부(823) 및 상기 제 2 스위치부(824)가 스위칭모드로 동작되기 위해 배치된 전압분배부(825, 82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The switching signal generating unit 820 may further include voltage dividing units 825 and 826 arranged to operate the first switch unit 823 and the second switch unit 824 in a switching mode.

상기 전압분배부(825, 826)에는, 상기 신호발생부(821a)의 출력단, 직류전압부(810)의 출력단 및 제 1 스위치부(823)의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전압분배부(82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압분배부(825)에는 두개 이상의 분배저항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 1 전압분배부(825)에는 제 1 분배저항(825a) 및 제 2 분배저항(825b)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분배저항(825a) 및 제 2 분배저항(825b)에 의해 상기 직류전압부(810)로부터 상기 제 1 전압분배부(825)에 입력되는 직류전압을 분배할 수 있다.The voltage distributor 825 and 826 are connected to a first voltage distributor 825 dispos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signal generator 821a, the output terminal of the direct current voltage generator 810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switch 823, ) May be included. More than two distribution resistors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voltage divider 825. For example, the first voltage divider 825 may include a first distribution resistor 825a and a second distribution resistor 825b. The first distribution resistor 825a and the second distribution resistor 825b can distribute the DC voltage input from the DC voltage unit 810 to the first voltage distribution unit 825. [

따라서, 상기 제 1 전압분배부(825)는 상기 직류전압부(81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분배하여, 상기 제 1 스위치부(823)가 스위칭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voltage distributor 825 can distribute the voltage output from the DC voltage unit 810 and supply the power for operating the first switch unit 823 in the switching mode.

상기 제 1 전압분배부(825)로부터 분배된 전압은 상기 제 1 스위치부(823)의 베이스(B)에 공급될 수 있다.The voltage distributed from the first voltage distributor 825 may be supplied to the base B of the first switch unit 823. [

따라서, 상기 제 1 스위치부(823)는 스위칭신호의 일 주기 중 전류가 흐르는 시간에 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스위치부(823)를 통과한 신호는 제 2 스위치부(824)에 입력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switch unit 823 can be turned on at a time when current flows during one cycle of the switching signal. At this time, the signal passing through the first switch unit 823 may be input to the second switch unit 824.

상기 전압분배부(825, 826)에는, 상기 제 1 스위치부(823)의 출력단, 상기 직류전압부(810)의 출력단 및 상기 제 2 스위치부(824)의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전압분배부(82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압분배부(826)에는 두 개 이상의 분배저항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 2전압분배부(825, 826)에는 제 3 배저항(826a) 및 제 4 분배저항(826b)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배저항(826a) 및 제 4 분배저항(826b)에 의해 상기 직류전압부(810)로부터 상기 제 2 전압분배부(826)에 입력되는 직류전압을 분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전압분배부(826)는 상기 직류전압부(81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분배하여, 상기 제 2 스위치부(824)가 온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압분배부(826)로부터 분배된 전압은 상기 제 2 스위치부(824)의 게이트(G)에 공급될 수 있다. The voltage division parts 825 and 826 ar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switch part 823, the output terminal of the direct current voltage part 810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switch part 824, A distribution portion 826 may be further included. More than two distribution resistors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voltage divider 826. For example, the second voltage divider 825, 826 may include a third multiplier resistor 826a and a fourth divider resistor 826b. The DC voltage input from the DC voltage unit 810 to the second voltage distributor 826 can be distributed by the third bias resistor 826a and the fourth distribution resistor 826b. Accordingly, the second voltage distributor 826 can distribute the voltage output from the DC voltage unit 810 and supply the power for turning on the second switch unit 824. The voltage distributed from the second voltage distributor 826 may be supplied to the gate G of the second switch unit 824.

상기 제 2 전압분배부(826)에는 승압커패시터(82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승압커패시터(827)에는 일정 전압이 충전될 수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치부(824)에 충분한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The second voltage divider 826 may further include a step-up capacitor 827. The boosting capacitor 827 can be charged with a constant voltage, so that a sufficient current can be supplied to the second switch unit 824.

스위칭신호발생부(820)에는. 상기 스위치부(823, 824)의 온 또는 오프됨에 따라 충전 및 방전이 수행되는 승압커패시터(82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승압커패시터(827)는 일 단이 상기 제 2 스위치부(824)의 드레인(D) 및 변압기(830)의 입력측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압커패시터(827)의 타단은 접지될 수 있다. In the switching signal generator 820, The boosting capacitor 827 may be further charged and discharged as the switch units 823 and 824 are turned on or off. The booster capacitor 827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drain D of the second switch unit 824 and the input side of the transformer 830. The other end of the booster capacitor 827 may be grounded.

상기 제 1 스위치부(823)가 상기 스위칭신호에 의해 온(on)되는 경우, 상기 제 2 스위치부(824)는 오프(off)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압커패시터(827)에는 상기 변압기(830)를 통과한 전류가 유입되어, 상기 승압커패시터(827)는 전압이 충전될 수 있다. 반대로, 제 1 스위치부(823)가 상기 스위칭신호에 의해 오프(off)되는 경우, 상기 제 2 스위치부(824)는 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압커패시터(827)는 방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스위치부(824)는 상기 제 1 PWM신호가 온되는 구간에서 온 또는 오프되는 제 2 PWM신호에 의해 상기 승압커패시터(827)를 충전 및 방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압커패시터(827)의 충전되는 시간 및 방전되는 시간은 상기 제 2 PWM신호의 듀티비에 의해 각각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승압커패시터(827)의 충전시간이 방전시간보다 길 경우에, 상기 승압커패시터(827)에 저장된 전압은 상기 변압기(830)에 의해 승압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switch unit 823 is turned on by the switching signal, the second switch unit 824 may be turned off. A current passing through the transformer 830 flows into the step-up capacitor 827, so that the step-up capacitor 827 can be charged with a voltage. Conversely, when the first switch portion 823 is turned off by the switching signal, the second switch portion 824 can be turned on. And the step-up capacitor 827 may be discharged. The second switch unit 824 can charge and discharge the booster capacitor 827 by a second PWM signal that is turned on or off in a period in which the first PWM signal is turned on. The charging time and discharging time of the step-up capacitor 827 may be determined by the duty ratio of the second PWM signal, respectively. When the charging time of the step-up capacitor 827 is longer than the discharging time, the voltage stored in the step-up capacitor 827 can be boosted by the transformer 830.

일례로 상기 제 2 PWM신호의 일 주기가 35[us]이고, 상기 제 2 PMW신호의 듀티비가 74%인 경우, 상기 승압커패시터(827)는 제 2 PWM신호의 일 주기 중 [26]us동안 충전될 수 있고, 9us동안 방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압커패시터(827)의 충전시간이 방전시간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승압커패시터(827)에 충전된 전압은 상기 변압기(830)측으로 전달되어 승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PWM의 일 주기동안 일정전압이 승압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one period of the second PWM signal is 35 [us] and the duty ratio of the second PMW signal is 74%, the boosting capacitor 827 outputs [26] us during one period of the second PWM signal Can be charged, and can be discharged for 9us. Since the charging time of the step-up capacitor 827 is greater than the discharging time, the voltage charged in the step-up capacitor 827 can be transferred to the transformer 830 and boosted. The constant voltage may be boosted during one cycle of the second PWM.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PWM신호의 듀티비에 의해서 상기 제 2 PWM신호가 온되는 구간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PWM이 온되는 구간에서, 상기 제 2 PWM신호의 온 또는 오프 동작에 의해 전압은 승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PWM신호의 온되는 구간은 전압이 승압되는 구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승압되는 구간에 의해 승압되는 전압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변압기(830)의 1차측에는 직류전압이 12V가 인가되고, 제 1 PWM신호의 일 주기가 10[ms]이며 상기 제 1 PWM신호의 듀티비가 13.7%일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예와 같이, 상기 제 2 PWM신호의 일 주기가 35[us]이고, 상기 제 2 PMW신호의 듀티비가 74%일 수 있다. 상기 제 2 PWM신호는 상기 제 1 PWM신호의 온 되는 구간에서, 40개가 배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PWM신호의 듀티비에 의해 승압은 40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 1 PWM신호의 듀티비에 의해, 상기 제 1 PWM신호가 온되는 구간이 1.37[msec]이므로, 상기 1.37[msec]동안 상기 변압기(830)의 1차측 전압은 약 -2.5[kV]로 승압되어 상기 변압기(830)의 2차측으로 출력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interval in which the second PWM signal is turned on can be determined by the duty ratio of the first PWM signal. In the period in which the first PWM is on, the voltage can be boosted by the on or off operation of the second PWM signal. That is, the ON period of the first PWM signal may be a period during which the voltage is stepped up, and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stepped up by the stepped up period may be determined. For example, a DC voltage of 12V is applied to the primary side of the transformer 830, one cycle of the first PWM signal is 10 [ms], and the duty ratio of the first PWM signal is 13.7%. As described above, the period of the second PWM signal may be 35 [mu], and the duty ratio of the second PMW signal may be 74%. The second PWM signal may be arranged in the interval of turning on the first PWM signal. That is, the step-up can be performed 40 times by the duty ratio of the second PWM signal. Since the period during which the first PWM signal is turned on is 1.37 [msec] due to the duty ratio of the first PWM signal, the primary side voltage of the transformer 830 is maintained at about -2.5 [kV] for 1.37 [msec] And can be stepped up and output to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830.

정리하면, 상기 제어부(822)는 상기 신호발생부(821a)에서 생성되는 스위칭신호, 즉, 상기 제 1 PWM신호의 듀티비 및 상기 제 2 PWM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함으로써 승압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822)는 상기 타이머(821b)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 1 PWM신호의 듀티비를 점차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summary, the controller 822 controls the duty ratio of the first PWM signal and the duty ratio of the second PWM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821a, Can be adjusted. Also, the controller 822 may control the duty ratio of the first PWM signal to gradually increase or decrease by using the timer 821b.

상기 제어부(822)가 제 1 PWM신호의 듀티비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는 경우, 상기 제 2 PWM신호의 온 또는 오프 동작에 의해 전압이 승압되는 구간이 줄어들 수 있다. 이때, 상기 변압기(830)에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는 작아 질 수 있어서, 상기 변압기(830)에 의해 승압되는 전압의 크기는 감소할 수 있다. When the control unit 822 gradually decreases the duty ratio of the first PWM signal, the period during which the voltage is stepped up by the ON or OFF operation of the second PWM signal can be reduced. At this time,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input to the transformer 830 can be reduced, so that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boosted by the transformer 830 can be reduced.

반대로, 상기 제어부(822)가 상기 제 1 PMW신호의 듀티비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는 경우, 상기 제 2 PWM신호의 온 또는 오프 동작에 의해 전압이 승압되는 구간이 증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변압기(830)에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가 커질 수 있어서, 상기 변압기(830)에 의해 승압되는 전압의 크기는 증가할 수 있다. In contrast, when the controller 822 gradually increases the duty ratio of the first PMW signal, the period during which the voltage is stepped up by the on or off operation of the second PWM signal may increase. At this time,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input to the transformer 830 can be increased, so that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boosted by the transformer 830 can be increased.

따라서, 상기 제어부(822)가 상기 타이머(821b) 및 상기 신호발생부(821a)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PWM신호의 크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킴으로서, 상기 실내기(1)의 대전부(380a)에 인가되기 위한 고전압에 도달하는 전압의 승압시간을 늦출 수 있다. 상기 고전압에 도달하는 전압의 승압시간이 늦춰짐으로써, 상기 집진부(380b)측에 있는 공기의 절연파괴현상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의 절연파괴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줄어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822 controls the timer 821b and the signal generator 821a to gradually increase the magnitude of the first PWM signal, thereby increasing the magnitude of the first PWM signal to the charging unit 380a of the indoor unit 1 The voltage rising time of the voltage reaching the high voltage to be applied can be delayed. By delaying the voltage rising time of the voltage reaching the high voltage, the dielectric breakdown phenomenon of the air on the dust collecting portion 380b side can be reduc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noise generated by the insulation breakdown phenomenon of the air is reduced.

상기 스위칭신호발생부(820)에는,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과전압으로부터 상기 입력전원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회로부(828)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안전회로부(828)에는 보호다이오드(828a) 및 상기 보호다이오드(828a)에 인가되는 전압을 줄이기위한 보호저항(828b)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호저항(828b)은 상기 보호다이오드(828a)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다이오드(828a)가 한계 전압내에서 동작하게 됨으로써, 상기 보호다이오드(828a)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switching signal generator 820 may further include a safety circuit 828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input power source device from an overvoltage generated temporarily. The safety circuit part 828 may include a protection diode 828a and a protection resistor 828b for reducing a voltage applied to the protection diode 828a. The protection resistor 828b may reduce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protection diode 828a. Accordingly, the protection diode 828a operates within the limit voltage,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protection diode 828a.

상기 보호다이오드(828a)는 일례로 TVS다이오드(Transient Voltage Suppression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전원장치(800)에 과전압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보호다이오드(828a)는 높은 임피던스에서 낮은 임피던스로 전환되어 과전압이 우회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과전압이 우회된 이후에, 상기 보호다이오드(828a)는 자동으로 높은 임피던스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전원장치(800)에 외부의 요인인 일례로 번개, 정전기 등에 의하여 고전압이 일시적으로 흐르는 경우, 상기 안전회로부(828)에 의해 상기 입력전원장치(80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The protection diode 828a may include, for example, a TVS diode (Transient Voltage Suppression Diode). When an overvoltage is generated in the input power supply device 800, the protection diode 828a may be switched from a high impedance to a low impedance so as to bypass the overvoltage. After the overvoltage is bypassed, the protection diode 828a can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a high impedance. Therefore, if the high voltage temporarily flows through the input power supply device 800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lightning or static electricity, the damage to the input power supply device 800 can be prevented by the safety circuit portion 828 .

한편, 상기 입력전원장치(800)에는 변압기(830)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체배시키기 위한 체배기(Voltage Multipliers: 8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체배기(840)는 상기 변압기(830)의 출력측에 배치되어, 상기 변압기(83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설정된 배수만큼 체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변압기(830)의 전체 외형 크기가 줄어들 수 있어서, 고전압발생기(700)를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전압발생기(700)가 작은 크기로 제작가능해짐으로써, 작은 크기의 공기조화기에도 장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input power supply 800 may further include a voltage multiplier 840 for multiplying a voltage output from the transformer 830. The multiplier 840 is disposed on the output side of the transformer 830 and can multiply the voltage output from the transformer 830 by a predetermined multiple. Accordingly, the total external size of the transformer 830 can be reduced, and the high voltage generator 700 can be made compact. That is, since the high voltage generator 700 can be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it can be mounted in a small size air conditioner.

또한, 상기 변압기(830)의 승압비율을 낮출수 있어서, 승압비율에 따른 절연소요가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전압발생기(700)로부터 안정된 고전압이 발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up ratio of the transformer 830 can be lowered, so that the insulation requirement according to the step-up ratio can be reduced. Therefore, a stable high voltage can be generated from the high voltage generator 700.

상기 체배기(840)는 상기 변압기(830)의 제 1 출력단(833) 및 제 2 출력단(834)에 연결될 수 있다. The multiplier 840 may be connected to a first output terminal 833 and a second output terminal 834 of the transformer 830.

상기 체배기(840)에는, 일단이 상기 제 2 출력단(834)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노드(N1)에 연결되는 제 1 체배커패시터(84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압기(830)에서 출력된 전류는 상기 제 1 체배커패시터(841)에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체배커패시터(841)에는 전하가 충전될 수 있다. The multiplier 840 may include a first multiplying capacitor 841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end 834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 The current output from the transformer 830 may be input to the first multiplying capacitor 841. Accordingly, the first multiplying capacitor 841 can be charged with electric charges.

상기 체배기(840)에는, 애노드측이 상기 제 1 노드(N1)에 연결되고, 캐소드측이 제 2 노드(N2)에 연결되는 제 1 체배다이오드(84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노드(N2)는 상기 제 1 출력단(83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체배커패시터(841)에 충전된 전하는 상기 제 1 체배다이오드(842)를 통과할 수 있다. The multiplier 84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multiplication diode 842 having an anode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 and a cathode connected to the second node N2. And the second node N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833. [ The charges charged in the first multiplying capacitor 841 can pass through the first multiplying diode 842.

상기 체배기(840)에는, 일단이 상기 제 2 노드(N2)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3 노드(N3)에 연결되는 제 2 체배커패시터(84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체배다이오드(842)를 통과한 전류는 상기 제 2 체배커패시터(843)에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체배커패시터(843)에는 전하가 충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체배커패시터(843)에는 상기 제 1 체배커패시터(841)에 충전된 전화와 동일한 양의 전하가 충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체배커패시터(841)에는, 상기 변압기(830)로부터 전류가 유입되어, 전하가 충전될 수 있다.The multiplier 84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multiplying capacitor 843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node N2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hird node N3. The current passed through the first multiplication diode 842 may be input to the second multiplication capacitor 843. Accordingly, the second multiplication capacitor 843 can be charged with electric charge. That is, the second multiplication capacitor 843 may be charged with the same amount of charge as that of the first multiplication capacitor 841. On the other hand, a current flows from the transformer 830 to the first multiplying capacitor 841, and the electric charge can be charged.

상기 체배기(840)에는, 애노드측이 상기 제 3 노드(N3)에 연결되고, 캐소드측이 제 4 노드(N4)에 연결되는 제 2 체배다이오드(844) 및 애노트측이 제 5노드(N5)에 연결되며 캐소드측이 제 4 노드에 연결되는 제 3 체배다이오드(84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체배커패시터(843)로부터 출력된 전류는 상기 제 2 체배다이오드(844)를 통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체배커패시터(841)에서도 전류가 출력되며, 상기 출력된 전류는 상기 제 2 체배다이오드(844)를 통과할 수 있다.The multiplier 840 includes a second multiplication diode 844 having an anode side connected to the third node N3 and a cathode side connected to a fourth node N4 and a second multiplication diode 844 connected to the fifth node N5 And a third multiplication diode 846 connected to the fourth node on the cathode side. The current output from the second multiplying capacitor 843 may pass through the second multiplying diode 844. Meanwhile, current is also output from the first multiplying capacitor 841, and the output current can pass through the second multiplying diode 844.

상기 체배기(840)에는, 일단이 상기 제 4 노드(N4)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5 노드(N5)에 연결되는 제 3 체배커패시터(84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체배커패시터(843)에서 방전된 전하는 상기 제 2 체배다이오드(844)를 통과하여 상기 제 3 체배커패시터(845)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체배커패시터(845)에는 상기 제 2 체배커패시터(843)에 충전된 전하와 동일한 양의 전하가 충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체배커패시터(841)에는 상기 변압기(830)로부터 전류가 유입되어 전하가 충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체배커패시터(843)에는 상기 제 1 체배커패시터(841)로부터 이동된 전하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따라서, 체배기(840)의 출력전압은 상기 제 1 체배커패시터(841) 내지 상기 제 3 체배커패시터(845)의 전압의 합으로, 상기 변압기(830)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에 대하여 3체배될 수 있다.The multiplier 84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multiplying capacitor 845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ourth node N4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fth node N5. The charges discharged from the second multiplication capacitor 843 may pass through the second multiplication diode 844 and move to the third multiplication capacitor 845. That is, the third multiplication capacitor 845 may be charged with the same amount of charge as that charged in the second multiplication capacitor 843. A current flows from the transformer 830 to the first multiplying capacitor 841 to charge the first multiplying capacitor 841. And the second multiplication capacitor 843 may be charged by the charge transferred from the first multiplication capacitor 841. [ Therefore, the output voltage of the multiplier 840 is the sum of the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multiplication capacitors 841, 845, and can be multiplied by three with respect to the voltage input from the transformer 830.

상기 입력전원장치(800)에는, 서지 전압을 방지하기 위한 서지보호부(850) 및 상기 서지보호부(850)의 출력측에 배치되어 고전압을 출력하는 출력전극(8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지보호부(850)는 일례로 적어도 하나의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지보호부(850)는 상기 체배기(840)의 출력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지보호부(850)는 상기 변압기(830)의 출력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input power supply 800 may further include a surge protection unit 850 for preventing a surge voltage and an output electrode 860 disposed on an output side of the surge protection unit 850 to output a high voltage. The surge protector 850 may include at least one resistor, for example. The surge protector 850 may be disposed on the output side of the multiplier 840. Alternatively, the surge protection unit 850 may be disposed on the output side of the transformer 830.

한편, 상기 출력전극(860)은 상기 서지보호부(850)의 출력단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서지보호부(850)는 상기 출력전극(860)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출력전극(860)에 접촉되더라도, 상기 서지보호부(850)에 의해 상기 출력전극(860)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제한됨으로써, 감전사를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상기 고전압발생기(700)에 대한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출력전극(860)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의 대전부(380a)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전압발생기(700)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은 상기 대전부(380a)에 인가될 수 있다.The output electrode 860 may be disposed 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surge protection unit 850. That is, the surge protection unit 850 may limit the current output from the output electrode 860. Therefore, even if the user's body touches the output electrode 860, the current output from the output electrode 860 is limited by the surge protection unit 850, thereby preventing the electrostatic discharge.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afety for the high voltage generator 700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he charging unit 380a of the filter assembly 300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electrode 860. [ Therefore, a high voltage output from the high voltage generator 700 may be applied to the charging unit 380a.

이하에서는 공기조화기에서, 고전압발생기로부터 생성된 고전압이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의 대전부(380a)에 인가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applying a high voltage generated from the high voltage generator to the charging unit 380a of the filter assembly 300 in the air conditioner will be described.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고전압발생기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설정된 승압시간에 대하여 고전압발생기에서 출력되는 출력전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high voltage generator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graph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utput voltage output from a high voltage generator with respect to a set voltage rising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실내기(1)가 동작될 수 있다(S1). Referring to FIG. 7, the indoor unit 1 can be operated (S1).

제어부(822)는 필터어셈블리(300)가 필터하우징(500)에 장착되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3).The control unit 822 may receive information that the filter assembly 300 is mounted on the filter housing 500 (S3).

상기 제어부(822)는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의 대전부에 인가되기 위하여 기설정된 고전압의 크기 및 승압시간을 입력받을 수 있다(S5). 일례로 설정된 고전압의 크기가 -7.5[kV]이며, 설정된 승압시간은 100[sec]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822)는 100[sec]동안 고전압발생기(700)에 입력되는 전압을 -7.5[kV]로 승압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822 may receive a preset high voltage level and a boosting time to be applied to the charging unit of the filter assembly 300 (S5). For example, the magnitude of the set high voltage is -7.5 [kV], and the set voltage rising time may be 100 [sec]. Accordingly, the controller 822 can increase the voltage input to the high voltage generator 700 to -7.5 [kV] for 100 [sec].

상기 제어부(822)는 상기 설정된 고전압에 도달하기 위하여 신호발생부(821a)에서 생성되는 제 1 PWM신호 및 제 2 PWM신호의 듀티비를 확인할 수 있다(S7). 일례로 상기 제 2 PWM신호의 듀티비가 74%인 경우, 상기 고전압발생기(700)에 입력되는 전압이 상기 -7.5[kV]로 승압되기 위한 제 1 PWM신호의 듀티비는 12%일 수 있다.The controller 822 can check the duty ratios of the first PWM signal and the second PWM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821a to reach the predetermined high voltage at step S7. For example, when the duty ratio of the second PWM signal is 74%, the duty ratio of the first PWM signal for boosting the voltage input to the high voltage generator 700 to -7.5 [kV] may be 12%.

상기 제어부(822)는 상기 설정된 승압시간동안 상기 제 1 PWM신호의 듀티비를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9). 상기 설정된 승압시간에 대하여, 상기 제어부(822)는 타이머(821b)를 통하여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상기 제 1 PWM신호의 듀티비가 증가되는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도 8을 참조하면, 설정된 고전압에 대한 제 1 PWM신호의 듀티비가 12%이고, 설정된 승압시간이 100[sec]인 경우, 상기 제어부(822)는 1초동안 상기 제 1 PWM신호의 듀티비가 0.12%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PWM신호의 듀티비는 1[sec]에 0.12%, 2[sec]에 0.24%, 3[sec]에 0.36%...,와 같이 순차적으로 증가되면서 100[sec]에 12%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력전극(860)에는 설정된 승압시간에 설정된 고전압이 출력될 수 있다.The controller 822 may control the duty ratio of the first PWM signal to gradually increase during the set boost time (S9). The controller 822 can set a rate at which the duty ratio of the first PWM signal is increas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rough the timer 821b for the set step-up time. 8, when the duty ratio of the first PWM signal to the set high voltage is 12% and the set voltage rising time is 100 [sec], the controller 822 outputs the first PWM signal for 1 second The duty ratio can be controlled to increase by 0.12%. Accordingly, the duty ratio of the first PWM signal is gradually increased from 0.12% to 0.2 [sec] to 0.2 [sec], to 0.36% to 3 [sec] %. ≪ / RTI > Therefore, the high voltage set at the set voltage rising time can be output to the output electrode 860. [

상기 대전부(380a)에 인가되기 위한 고전압에 도달하기 위한 전압의 승압시간이 지연됨으로써, 공기의 절연이 파괴되는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전압이 인가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이 줄어들 수 있다.The voltage rising time of the voltage for reaching the high voltage to be applied to the charging portion 380a is delayed, so that the phenomenon that the insulation of the air is destroyed can be reduced. Therefore, the noise generated when the high voltage is applied can be reduced.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출력전극(860)에 출력되는 전압이 상기 설정된 고전압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어부(822)는 상기 제 1 PWM신호의 듀티비를 유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S11).7, when the voltage output to the output electrode 860 reaches the predetermined high voltage, the controller 822 may control to maintain the duty ratio of the first PWM signal (S11 ).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설정된 승압시간에 대한 출력전압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은 실시예와 종래기술의 승압시간 동안 발생되는 소음의 크기를 비교한 그래프이다.FIG. 9 is a graph showing the output voltage versus the set boost ti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10 is a graph comparing the magnitude of the noise generated during the boosting time of the embodiment and the prior art.

도 9를 참조하면, 고전압발생기의 승압시간은 공기조화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참조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공기조화기를 구동시키는 전원장치(미도시)에서 발생되는 소음, 베인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 등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공기조화기에서 발생되는 소음 중에는, 송풍팬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전압발생기의 승압시간은 송풍팬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boosting time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can be set with reference to the noise generated in the air conditioner. The noise generated in the air conditioner may be caused by various causes such as noise generated in a power source device (not shown) for driving the air conditioner and noise generated by rotation of the vane. However,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air conditioner may occupy the largest part of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blowing fan. Therefore, the boosting time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can be set based on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blowing fan.

즉, 고전압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크기가 송풍팬의 소음보다 작아질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는 상기 고전압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느끼지 않을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사용자가 기대하는 집진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at is, the noise generated by the high voltage generator can be smaller than the noise of the blower fan, so that the user can feel no noise generated by the high voltage generator, and the user can quickly achieve the expected dust collection efficiency There are advantages to be able to.

일례로, 공기조화기의 송풍팬에는 송풍팬의 회전력에 비례하여 미약풍, 약풍, 중풍, 및 최강풍 모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미약풍 모드인 경우에는 약 30[dB], 약풍 모드인 경우에는 약 36[dB], 중풍 모드인 경우에는 약 41[dB], 최강풍 모드인 경우에는 약 61[dB]의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약풍 모드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크기가 사용자가 수면 시, 또는 업무 중에 집중을 방해하지 않는 소리로 판단되는 경우, 고전압발생기의 승압시간은, 도시된 그래프에 따라 100[sec]로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a weak wind, a weak wind, a paralytic wind, and a strong wind mode may be provided in the blower fan of the air conditioner in proportion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lower fan. In the weak wind mode, about 30 [dB], in the case of the weak wind mode, about 36 [dB], in the case of the neutral wind mode, about 41 [dB] . When the magnitude of the noise generated in the weak wind mode is determined to be a sound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concentration at the time of sleep or during work, the boosting time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may be set to 100 [sec] according to the illustrated graph .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고전압발생기의 소음크기와 종래 기술에 의한 고전압발생기의 소음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종래기술의 그래프는 고전압발생기의 승압시간이 0에 가까운, 즉 일시에 고전압을 인가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그래프는, 고전압발생기의 승압시간이 100[sec]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기술의 경우, 가장 크게 발생된 소음의 크기는 약 44[dB]인 데에 반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가장 크게 발생된 소음의 크기는 약 34[dB]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 비교하여 약 10[dB]의 소음이 줄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noise level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compared with the noise level of the conventional high voltage generator. The graph of the prior art shows a case where the boosting time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is close to zero, that is, when a high voltage is applied at a time. The graph of this embodiment shows a case where the boosting time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is 100 [sec].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the largest noise level is about 44 [dB], whereas in this embodiment, the largest noise level is about 34 [dB].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noise of about 10 [dB]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rt.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will be.

1: 실내기 101: 토출부
103: 흡입부 20: 케이싱
30: 전기집진장치 300: 필터어셈블리
380: 필터부재 380a: 대전부
380b: 집진부 591: 제 1 전극
592: 제 2 전극 593: 제 1 체결부재
594: 제 2 체결부재 700: 고전압발생기
710: 본체 720: 커버
800: 입력전원장치 810: 직류전압부
820: 스위칭신호발생부 821a: 신호발생부
821b: 타이머 822: 제어부
823: 제 1 스위치부 824: 제 2 스위치부
825: 제 1 분배전압부 826: 제 2 분배전압부
827: 승압커패시터 828: 안전회로부
830: 변압기 840: 체배기
850: 서지보호부 860: 출력전극
1: indoor unit 101:
103: Suction section 20: Casing
30: electric dust collector 300: filter assembly
380: Filter member 380a:
380b: a dust collecting part 591: a first electrode
592: second electrode 593: first fastening member
594: second fastening member 700: high voltage generator
710: Body 720: Cover
800: input power supply unit 810: DC voltage unit
820: Switching signal generator 821a: Signal generator
821b: timer 822:
823: first switch unit 824: second switch unit
825: first distribution voltage section 826: second distribution voltage section
827: step-up capacitor 828: safety circuit
830: Transformer 840: Multiplier
850: surge protection unit 860: output electrode

Claims (19)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직류전압부;
설정된 듀티비를 기초로 온 또는 오프 스위칭되는 스위칭신호를 생성하는 신호발생부;
상기 스위칭신호를 기초로 전류를 스위칭하여 상기 직류전압을 펄스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스위치부;
상기 펄스전압을 승압시키기 위하여, 상기 설정된 듀티비를 조절하는 시점을 설정하는 타이머;
상기 펄스전압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펄스전압을 권선비에 따라 승압시키는 변압기; 및
상기 타이머에 의하여 설정된 시점에 도달하면, 상기 듀티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승압시간동안 상기 듀티비를 증가시켜, 상기 변압기에 의하여 출력된 전압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고전압발생기.
A DC voltage unit for outputting a DC voltage;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switching signal to be switched on or off based on the duty ratio set;
A switch unit for switching the current based on the switching signal to convert the DC voltage into a pulse voltage;
A timer for setting a time point for adjusting the duty ratio to increase the pulse voltage;
A transformer receiving the pulse voltage and increasing the pulse voltage according to the winding ratio; And
And a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duty ratio when a time point set by the timer is reached,
Wherein,
And increases the duty ratio during the set boost time to increase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output by the transform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신호는 제 1 PWM신호 및 제 2 PWM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PWM신호가 온되는 구간에는 상기 제 2 PWM신호가 온 또는 오프 구간이 반복되는 고전압발생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witching signal comprising a first PWM signal and a second PWM signal;
And the second PWM signal is repeatedly turned on or off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first PWM signal is turned 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부의 출력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PWM신호의 듀티비에 따라 충전 또는 방전시간이 결정되는 승압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고전압발생기.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boosting capacitor disposed at an output side of the signal generator and having a charge or discharge time determined according to a duty ratio of the second PWM sign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커패시터는 상기 제 2 PWM신호의 오프되는 구간에서 유입되는 전하의 충전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PWM신호가 온되는 구간에서 방전을 수행하는 고전압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ep-up capacitor charges the charge flowing in a period in which the second PWM signal is turned off, and discharges in a period in which the second PWM signal is turned 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커패시터의 충전시간이 방전시간보다 길 경우,
상기 승압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는 상기 변압기에 전달되고, 상기 변압기는 전달받은 전하의 전압을 승압시키는 고전압발생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charge time of the booster capacitor is longer than the discharge time,
Wherein the charge charged in the step-up capacitor is transmitted to the transformer, and the transformer boosts the voltage of the received char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신호발생부로부터 스위칭신호를 기초로 스위칭동작하는 제 1 스위치부; 및
상기 제 1 스위치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스위칭동작하는 제 2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위치부 및 상기 제 2 스위치부는 교번하여 온 또는 오프됨으로써, 상기 직류전압부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펄스전압으로 변환시키는 고전압발생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rst switch unit for performing a switching operation based on a switching signal from the signal generating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witch unit for performing a switching operation based on a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witch unit,
Wherein the first switch unit and the second switch unit alternately turn on or off to convert a current flowing from the DC voltage unit into a pulse voltag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부는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를 포함하는 고전압발생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switch unit includes a BJT (Bipolar Junction Transisto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치부는 MOSFET(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를 포함하는 고전압발생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econd switch unit includes a MOSFET (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부를 스위칭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한 제 1 전압분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압분배부는,
상기 직류전압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직류전압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제 1 스위치부에 입력하는 고전압발생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first voltage distributor for operating the first switch unit in a switching mode,
Wherein the first voltage divider comprises:
And a high voltage generator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DC voltage unit, for inputting a DC voltage output from the DC voltage unit to the first switch uni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부를 스위칭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한 제 2 전압분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압분배부는,
상기 직류전압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직류전압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제 2 스위칭부에 입력하는 고전압발생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second voltage distributor for operating the second switch in a switching mode,
Wherein the second voltage divider comprises:
A high voltage generator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direct current voltage unit and for inputting a direct current voltage outputted from the direct current voltage unit to the second switch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의 출력측에 배치되며, 설정된 배수만큼 상기 변압기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체배시키는 체배기(Voltage multipliers)를 더 포함하는 고전압발생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voltage multiplier disposed at an output side of the transformer for multiplying a voltage output from the transformer by a predetermined multiple.
제 1 항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과전압으로부터 회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변압기의 입력측에 배치되는 안전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고전압발생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afety circuit portion disposed on an input side of the transformer to prevent damage to the circuit from transient overvoltag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회로부는 캐소드측이 상기 변압기의 입력측에 배치되고, 애노드측이 접지되는 보호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고전압발생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afety circuit includes a protection diode whose cathode side is disposed on an input side of the transformer and the anode side is grounde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다이오드는 TVS다이오드(Transient Voltage Suppression Diode)를 포함하는 고전압발생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rotection diode comprises a TVS diode (Transient Voltage Suppression Diod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의 입력단 및 상기 보호다이오드의 캐소드측에 배치되며, 상기 보호다이오드에 입력되는 과전압의 크기를 줄이는 보호저항을 더 포함하는 고전압발생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on resistor disposed at an input terminal of the transformer and at a cathode side of the protection diode, the protection resistor reducing the magnitude of the overvoltage input to the protection diode.
제 1 항에 있어서,
서지전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변압기의 출력측에 배치되는 서지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고전압발생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urge protection unit disposed on an output side of the transformer to prevent a surge voltag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지보호부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을 포함하는 고전압발생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urge protector includes at least one resistor.
흡입부 및 토출부를 가지며, 송풍팬이 설치되는 케이싱;
상기 흡입부에 배치되며, 정전분리작용을 이용하여 공기 중의 이물을 여과시키는 전기집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집진장치에는,
상기 케이싱에서 입력되는 전압을 승압하여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청구항 1항에 기재된 고전압발생기; 및
상기 고전압발생기로부터 발생된 고전압을 인가받아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키는 대전부 및 접지에 연결되어 상기 대전된 먼지를 집진시키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A casing having a suction portion and a discharge portion and provided with a blowing fan;
And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disposed in the suction section for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in the air using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action,
In the electric dust collector,
A high voltage generator according to claim 1 for boosting a voltage input from the casing to generate a high voltage; And
And a filter member connected to the ground and a dust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the charged dust, the charging part being charged with the dust in the air by receiving the high voltage generated from the high voltage generator.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이 상기 고전압에 도달하기 위한 승압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전기집진장치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상기 송풍팬의 소음보다 낮게 형성되도록 가이드하는 공기조화기.
19. The method of claim 18,
And adjusts a boosting time for the voltage input from the casing to reach the high voltage so as to guide the noise generated by the electric dust collector to be lower than the noise of the blower fan.
KR1020160106892A 2016-08-23 2016-08-23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Air Conditioner KR1019799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892A KR101979948B1 (en) 2016-08-23 2016-08-23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892A KR101979948B1 (en) 2016-08-23 2016-08-23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064A KR20180022064A (en) 2018-03-06
KR101979948B1 true KR101979948B1 (en) 2019-05-20

Family

ID=61727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892A KR101979948B1 (en) 2016-08-23 2016-08-23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94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8553A (en) 2009-01-30 2010-08-12 Toyota Motor Corp High-voltage pulse generating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0831A (en) * 1979-09-17 1983-06-28 Research-Cottrell, Inc. Electrostatic precipitator control
KR0118096Y1 (en) * 1995-05-12 1998-07-15 김광호 Airconditioner
KR101009333B1 (en) * 2008-11-18 2011-01-19 한국전기연구원 High DC voltage generator and High voltage calibration waveform generator for impulse measurement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8553A (en) 2009-01-30 2010-08-12 Toyota Motor Corp High-voltage pulse generating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064A (en) 201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9392B1 (en) Air conditioner
US20060018076A1 (en) Air conditioner device with removable driver electrodes
CN201408913Y (en) Ion-generating unit and electric device using same
US20060021509A1 (en) Air conditioner device with individually removable driver electrodes
KR20150088518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CA2626087A1 (en) Power supply for 2-line dimmer
EP3830943A1 (en) Load control device for a light-emitting diode light source
CA1204817A (en) Electronic air filtering apparatus
KR101979948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Air Conditioner
US4652988A (en) Plug-in power module for electrostatic air cleaner
US3685258A (en) Electronic air purifier
CN109028378B (en) Air purification device and air conditioner
US6471752B1 (en) Ionizing structure for ambient air treatment
US20060018808A1 (en) Air conditioner device with individually removable driver electrodes
JP4514664B2 (en) Ion generator and air conditioner
CN110768394B (en) Remote controller and vehicle-mounted air conditioner
JP2005102489A (en) Power supply device and air conditioner using same
DE10114473A1 (en) Electric hand dryer has direct current motor commutated by electronic circuit that drives fan at revolution rate greater than 2500 rpm, with electric circuit that limits start-up current to motor
KR101595356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tor and air-conditioner with the apparatus
KR100511949B1 (en) A control box for the air-conditioner
CN108499739B (en) High-voltage power supply circuit, high-voltage power supply board and method for controlling high-voltage output
KR20170020102A (en) Ionizer
KR102266444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CN211233168U (en) Corner air purifier
CN211623767U (en) Fan with purification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