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610B1 - Wiring connector with locking portion - Google Patents

Wiring connector with locking por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610B1
KR101979610B1 KR1020170147318A KR20170147318A KR101979610B1 KR 101979610 B1 KR101979610 B1 KR 101979610B1 KR 1020170147318 A KR1020170147318 A KR 1020170147318A KR 20170147318 A KR20170147318 A KR 20170147318A KR 101979610 B1 KR101979610 B1 KR 101979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terminal
housing
guid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3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51532A (en
Inventor
이한솔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70147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610B1/en
Publication of KR20190051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5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6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이 메일하우징에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로크부가 상하 이동되면서 기판의 결합홀에 걸림 결합되므로, 볼트와 같은 별도의 복잡한 수단 없이, 기판을 메일하우징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ing connector having a locking portion for securely fastening a substrate to a mail hous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substrate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mail housing without any other complicated means such as bolts because the lock portion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hole of the substrate while being moved up and down.

Description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WIRING CONNECTOR WITH LOCKING PORTION}WIRING CONNECTOR WITH LOCKING PORTION "

본 발명은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이 메일하우징에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ing connector having a lock por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ing connector having a lock portion for firmly fastening a substrate to a mail housing.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비롯한 각종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여러 전기장치들은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을 비롯하여 각종 전기, 전자부품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인쇄회로기판과 다른 부품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커넥터의 구성은 접촉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기판에 커넥터를 설치하고, 커넥터에 다른 부품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기판과 다른 부품 사이의 전원과 신호의 연결이 수행된다.BACKGROUND ART [0002] Generally, various electrical apparatuses us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including automobiles are provided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various electric and electronic components therein, and a structure of a connector in which these printed circuit boards and other componen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a very important factor to be considered for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contact. To this end, a connector is provided on the board, and other parts are connected to the connector, so that the connection of the power and the signal between the board and the other part is performed.

도 1은 종래 기판 접속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커넥터(10)는 회로기판(B)의 소정 배선에 접속된 전기단자를 수납한 수용부(12)와, 그 수용부(12)으로부터 연장된 회로기판(B)에 접속된 기부(14)를 포함한다. 그리고 회로기판(B)과 커넥터 본체(10)의 고정은 회로기판(B)과 기부(14)에 나사(16)가 삽입되어, 너트(미도시) 등에 의해서 체결되도록 한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oard connecting connector. 1, the connector 10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12 for receiving an electric terminal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wiring of a circuit board B, and a connecting portion 12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B extending from the receiving portion 12 (14). ≪ / RTI > The fixing of the circuit board B and the connector body 10 is performed by inserting the screws 16 into the circuit board B and the base 14 and fastening them with nuts (not shown).

이처럼 커넥터 본체(10)와 회로기판(B)은 별도의 나사(16)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구조이므로, 체결 및 분리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려,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nector body 10 and the circuit board B are fastened using separate screws 16, the fastening and disassembl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takes a long time and is inefficient.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7982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7982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1785호Korean Patent No. 10-1321785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볼트 등의 복잡한 구성없이 기판이 메일하우징에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ing connector having a lock portion for firmly fastening a substrate to a mail housing without a complicated configuration such as a bol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 일측에 상기 기판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기판삽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하우징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판삽입부와 상기 하우징삽입부 사이에 차단벽이 형성되되, 상기 기판이 상기 기판삽입부를 지나 상기 하우징삽입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차단벽에 기판안내홀이 형성되는 메일하우징; 상기 하우징삽입부에 삽입되되 내부에 복수 개의 터미널삽입부가 병렬로 배열되고, 상기 차단벽과 마주보는 복수 개의 상기 터미널삽입부의 일측에 상기 하우징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기판이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기판안내부가 형성되는 피메일하우징; 및 각각의 상기 터미널삽입부에 삽입되되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기판안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이 상기 기판삽입부를 지나 상기 하우징삽입부로 삽입될 때, 상기 기판삽입부에 위치되는 상기 기판의 양측에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삽입부의 상기 결합홀과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결합홀에 걸림 결합되도록 로크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bstrate inserting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inserting portion so as to insert the substrate and a housing inser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bstrate inserting portion, a blocking wall is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inserting portion and the housing inserting portion, And a substrate guide hole formed in the blocking wall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The plurality of terminal inserting portions are inserted into the housing insert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terminal inserting portions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the substrate inserting portion is recessed to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 inserting portions facing the blocking wall so as to guide the substrate inserted into the housing inserting portion. A mail housing to be formed;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inserted into each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s a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guide portion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wherein when the substrate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insertion portion through the substrate insertion portion, Wherein a locking hol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placed on the substrate insertion portion and a locking portion is protruded and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coupling hole at a position facing the coupling hole of the substrate insertion portion. Ring connector.

또한, 상기 기판삽입부의 상기 결합홀과 대향되는 위치에 걸림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로크부는, 상기 차단벽과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걸림안내홀의 일측에 상기 걸림안내홀을 가로지르도록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상기 결합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이 상기 기판삽입부를 지나 상기 하우징삽입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기판과 부딪히면서 상기 기판의 두께만큼 상기 돌출부를 상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기판이 상기 기판삽입부를 지나 상기 하우징삽입부로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홀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locking guide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oupling hole of the substrate insertion portion, and the locking portion has a cantilevered shape so as to cross the locking guide hole at one side of the locking guide hole located opposite to the blocking wall And a protrusion formed on the end of the protrusion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and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coupling hole so that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insertion portion through the substrate insertion portion, The protrusion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coupling hole when the substrate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insertion portion through the substrate insertion portion, Wherein the engaging jaw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

또한,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가이더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기판삽입부에 삽입되는 상기 가이더의 단부에 상기 결합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guider is protruded along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bstrate, and the coupling hole is formed at an end of the guider inserted into the substrate insertion portion.

또한,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양측에 측벽부가 구비되고,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상측에 상측부가 구비되되, 상기 측벽부의 중앙에서 어느 한쪽으로 편심된 위치 또는 상기 상측부에 역삽입방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삽입부의 상기 역삽입방지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역삽입방지부가 안내되도록 삽입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side wall par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l housing, an upper side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l housing, a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part is protruded from a position eccentric to one of the sides of the side wall part, And the insertion guide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on portion of the housing insertion portion such that the insertion prevention portion is guided.

또한, 상기 역삽입방지부는 상기 피메일하우징이 상기 메일하우징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안내부는 상기 역삽입방지부가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하우징삽입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를 제공한다.Also,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portion is formed in a long shape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emale mail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mail housing, and the insertion guide portion is recessed in the housing insertion portion such that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on portion slides And a locking portion which is provided in the locking portion.

또한,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양측에 측벽부가 구비되고,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상측에 상측부가 구비되되, 상기 차단벽과 마주보는 상기 상측부의 일측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상측부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바를 포함하고, 상기 메일하우징에는 상기 결합바에 형성되는 결합공에 삽입되도록 결합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를 제공한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sidewall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l housing, and an upper portion is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mail housing,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s projecting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ortion in a state of being supported by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Wherein the mating housing has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coupling bar to be inserted into a coupling hole formed in the coupling bar.

또한, 상기 결합바는, 상기 상측부의 일측에 돌출되는 결합돌출부와, 상기 결합돌출부의 상단에서 상기 상측부의 타측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는 결합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연장부에는 상기 결합돌출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돌부안내부와, 상기 결합공이 차례대로 관통 형성되되, 상기 돌부안내부는 상기 결합돌출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피메일하우징이 상기 하우징삽입부로 삽입될 때, 상기 돌부안내부를 따라 안내된 상기 결합돌부는 상기 결합연장부를 상기 상측부와 가까워지도록 탄성 이동시킨 후, 상기 결합공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를 제공한다.The coupling bar may include an engaging project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and an engaging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engaging projection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upper side of the engaging projection,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engaging protrusion, and when the female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inserting portion,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And the coupling protrusion guided by the coupling protrusion is elastically moved so that the coupling extension portion is brought close to the upper portion, and then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또한, 상기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삽입부의 타측에 삽입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측과 하측에서 상기 터미널삽입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기판안내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는 한 쌍의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이 상기 기판안내부로 안내되면, 상기 기판의 단자에 상기 단자부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를 제공한다.The terminal includes a support portion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and a pair of terminal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so as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guide portion located at one side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And the terminal portion is electrically contacted to the terminal of the substrate when the substrate is guided to the substrate guide portion.

또한, 한 쌍의 상기 단자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 1 단자부와, 상기 지지부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는 제 2 단자부로 구분되고, 상기 제 1 단자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서 상기 기판안내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기 터미널삽입부의 상측 내벽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 1 포크부와, 상기 제 1 포크부의 길이방향 상측에 절곡되는 제 1 절곡부와, 상기 기판이 삽입되는 방향과 대향되는 상기 제 1 절곡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 1 절곡부의 타단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1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자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서 상기 기판안내부의 하측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 2 포크부와, 상기 제 2 포크부의 길이방향 하측에 절곡되는 제 2 절곡부와, 상기 기판이 삽입되는 방향과 대향되는 상기 제 2 절곡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 2 절곡부의 타단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안내부에 삽입된 상기 기판은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제 1 단자 또는 상기 제 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를 제공한다.The pair of terminal portions are divided into a first terminal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terminal portion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first terminal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A first fork portion protruding from an upper side inner wall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a first bent portion bent up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ork portion, And a first terminal bent from one end of the bent portion toward the other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the second terminal portion includes a second fork port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along the lower side of the substrate guide portion, A second bending portion bent at a lower side of the second fork portio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second bending portion bent at one end of the second bending por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substrate is inserted, And a second terminal that is bent in the other end direction, wherein the substrate inserted into the substrate guide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while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a connecting por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또한, 상기 차단벽에는 상기 기판삽입부를 지나 상기 하우징삽입부로 삽입된 상기 기판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지지판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기판의 상측에 상기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에 상기 기판과 상기 지지판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기판과 상기 제 1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barrier wall may have a support plate protruding from the substrate insertion portion to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substrate inserted into the housing insertion portion, the terminal is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substrate positioned opposite to the support plate, Wherein the substrate and the first terminal are in electrical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the substrate and the support plate are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또한,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는 각각 상기 기판 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를 제공한다.Further,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each formed in a round shape convex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또한, 상기 메일하우징이 차량에 구비된 브라켓에 결합될 때, 상기 브라켓과 마주보는 상기 메일하우징의 저면에 오목하게 슬라이딩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상기 슬라이딩레일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슬라이딩레일부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슬라이딩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를 제공한다.In addition, when the mail housing is coupled to a bracket provided in a vehicle, a sliding rail portion is concavely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mailsection facing the bracket, and the sliding rail portion is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sliding rail portion of the bracket. And the sliding portion is protruded and formed so as to slide in a state where the sliding portion is engaged with a portion of the locking portion.

또한, 상기 슬라이딩레일부의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딩부가 안내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오목하게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레일부의 양측 사이의 저면에는 볼록하게 걸림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에 상기 걸림볼록부가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되, 상기 안내홈의 단부에 상기 걸림볼록부가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를 제공한다.In addition, guide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liding rail so as to slide in a state that the sliding part is guided, convexly engaging convex part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between the both sides of the sliding rail part,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convex portion to slide is formed, and the engaging convex portion is engaged with the end portion of the guide groove.

본 발명은 로크부가 상하 이동되면서 기판의 결합홀에 걸림 결합되므로, 볼트와 같은 별도의 복잡한 수단 없이, 기판을 메일하우징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substrate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mail housing without any other complicated means such as bolts because the lock portion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hole of the substrate while being moved up and down.

또한, 피메일하우징을 하우징삽입부로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제 1, 2 역삽입방지부가 제 1, 2 삽입안내부로 안내되므로, 피메일하우징은 뒤집어진 상태로 삽입될 수 없게 되어, 역 삽입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female housing to the housing insertion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reverse insertion prevention portions are guided to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uide portions, so that the female housing can not be inserted in an inverted state, .

또한, 터미널의 제 1, 2 단자부는 피메일하우징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위치되며, 이에 따라 진동, 고온 등의 악조건 하에서 터미널이 피메일하우징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터미널의 제 1, 2 단자부와 기판 사이가 안정적으로 접촉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lso,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ortions of the terminal are positioned so as to be firm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female housing, so that the terminal is firmly fixed inside the female housing under the bad conditions such as vibration and high temperature, So that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s improved.

또한, 기판안내부에 삽입된 기판은 지지판에 지지된 상태로 제 1, 2 단자 사이로 삽입되고, 제 1, 2 단자는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므로, 외부 충격, 진동 발생 시에도 기판은 제 1 단자와 안정적으로 접촉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bstrate inserted into the substrate guide portion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and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re configured to have elasticity, There is an effect of stably contacting.

또한, 제 1, 2 단자는 기판 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기판은 제 1, 2 단자와 부드럽게 슬라이딩되어, 기판이 제 1, 2 단자 사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긁히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re formed in a round shape convexly toward the substrate, the substrate smoothly slides with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thereby preventing the substrate from being scratched during the insertion of the substrat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have.

또한, 메일하우징은 별도의 납땜 공정 없이 브라켓에 걸림 결합되므로, 조립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ail housing is engaged with the bracket without a separate soldering process, the assembly is facilitated.

도 1은 종래 기판 접속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의 메일하우징과 브라켓이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의 메일하우징과 기판이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의 메일하우징에 기판이 걸림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의 메일하우징에 피메일하우징과 터미널이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의 메일하우징에 피메일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의 터미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의 하우징에 터미널이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의 하우징에 터미널이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의 메일하우징의 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의 메일하우징이 브라켓에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oard connecting connector.
FIG. 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disassembled state of a mail housing and a bracket of a wiring connector having a lock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ail housing and a board of a wiring connector having a lock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assembled.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FIG. 5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substrate is engaged with a mail housing of a wiring connector having a lock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female housing and a terminal are coupled to a mail housing of a wiring connector having a lock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emale housing is coupled to a mail housing of a wiring connector having a lock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illustrating a terminal of a wiring connector having a lock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terminal is coupled to a housing of a wiring ring connector having a lock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terminal is coupled to a housing of a wiring ring connector having a lock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ottom of a mail housing of a wiring connector having a lock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mail housing of a wiring connector having a lock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bracke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wiring connector having a lock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의 메일하우징과 브라켓이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의 메일하우징과 기판이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disassembled state of a mail housing and a bracket of a wiring connector having a lock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l housing and the board of the wiring connector are disassembled. Fi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는 기판(100), 메일하우징(200), 피메일하우징(300), 터미널(400) 및 브라켓(500)을 포함한다.2 and 3, a wiring connector having a lock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ard 100, a mail housing 200, a mail housing 300, a terminal 400, and a bracket (not shown) 500).

기판(100)은 메일하우징(200)의 기판삽입부(210)에 삽입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또는 유연성을 갖는 FPCB(FLEXIBLE PCB)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100)의 상면에 기판(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단자(102)가 형성되며, 복수 개의 단자(102)는 후술하는 터미널(400)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기판(100)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가이더(103)가 돌출 형성되며, 기판삽입부(210)에 삽입되는 가이더(103)의 단부에 결합홀(103)이 관통 형성된다. 가이더(103)는 기판(100)이 메일하우징(200)의 기판삽입부(210)에 안전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함은 물론, 결합홀(103)이 형성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board 100 is inserted into the board insertion portion 210 of the mail housing 200 and may be a printed circuit board (PCB) or a flexible FPCB (FLEXIBLE PCB) Lt; / RTI > A plurality of terminals 102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bstrate 100 and the plurality of terminals 10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400 described later. A guider 103 is protruded along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bstrate 100 and a coupling hole 103 is formed at an end of the guider 103 inserted into the substrate insertion portion 210. The guider 103 guides the substrate 100 to be securely inserted into the substrate inserting portion 210 of the mail housing 200 and also provides a space for forming the engaging hole 103.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의 메일하우징에 기판이 걸림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3, and FIG. 5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ubstrate is engaged with a mail housing of a wiring connector having a lock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메일하우징(200)은 일측에 기판(100)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기판삽입부(210)가 형성되고, 타측에 피메일하우징(300)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하우징삽입부(220)가 형성된다. 그리고 기판삽입부(210)와 하우징삽입부(220) 사이에 차단벽(230)이 형성되되, 기판(100)이 기판삽입부(210)를 지나 하우징삽입부(220)로 삽입되도록 차단벽(230)에 기판안내홀(232)이 형성된다. 그리고 기판(100)이 기판삽입부(210)와 기판안내홀(232)을 지나 하우징삽입부(220)에 삽입된 상태에서, 메일하우징(200)의 상면에는 기판삽입부(210)의 결합홀(103)과 대향되도록 걸림안내홀(212)이 형성되고, 걸림안내홀(212)에 로크부(214)가 돌출 형성된다. 3 to 5, the mail housing 200 has a substrate insertion portion 210 formed concavely at one side thereof to receive the substrate 100, and a recessed housing (not shown) An insertion portion 220 is formed. A blocking wall 230 is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inserting portion 210 and the housing inserting portion 220 so that the substrate 10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inserting portion 220 through the substrate inserting portion 210, The substrate guide hole 232 is formed. In the state that the substrate 10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insertion part 220 through the substrate insertion part 210 and the substrate guide hole 232, A locking guide hole 212 is formed so as to face the locking hole 103 and a locking portion 214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cking guide hole 212.

로크부(214)는 기판(100)의 결합홀(103)에 걸림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차단벽(230)과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걸림안내홀(212)의 일측에 걸림안내홀(212)을 가로지르도록 걸림안내홀(212)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14a)와, 돌출부(214a)의 단부에 기판(100)의 결합홀(103)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214b)을 포함한다. 그리고 돌출부(214a)는 탄성을 갖는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어, 기판(100)이 기판삽입부(210)와 기판안내홀(232)을 지나 하우징삽입부(22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걸림턱(214b)은 기판(100)과 부딪히면서 돌출부(214a)를 기판(100)의 두께만큼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기판(100)이 기판삽입부(210)와 기판안내홀(232)을 지나 하우징삽입부(220)에 삽입되는 과정이 완료되면, 걸림턱(214b)은 기판(100)의 결합홀(103)에 삽입되고, 돌출부(214a)는 결합홀(103) 방향으로 이동된다.The locking part 214 is for engaging with the coupling hole 103 of the substrate 100 and includes a locking guide hole 212 formed at one side of the locking guide hole 212 positioned opposite to the blocking wall 230, A protrusion 214a protruding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engaging guide hole 212 so as to intersect the protrusion 214a and an engaging protrusion 214b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protrusion 214a in the direction of the coupling hole 103 of the substrate 100, . The protrusion 214a is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having elasticity so that when the substrate 10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insertion portion 220 through the substrate insertion portion 210 and the substrate guide hole 232, 214b bump the substrate 100 and move the protrusion 214a upward by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100. [ Whe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substrate 100 into the housing inserting portion 220 through the substrate inserting portion 210 and the substrate guiding hole 232 is completed, the engaging protrusion 214b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03 of the substrate 100 And the protruding portion 214a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engaging hole 103. As shown in Fig.

이처럼 본 발명은 로크부(214)가 상하 이동되면서 기판(100)의 결합홀(103)에 걸림 결합되므로, 볼트와 같은 별도의 복잡한 수단 없이, 기판(100)을 메일하우징(20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ock portion 214 is vertically moved and engaged with the coupling hole 103 of the substrate 100, the substrate 100 is securely fixed to the mail housing 200 without any other complicated means such as a bol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combined.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의 메일하우징에 피메일하우징(300)과 터미널(400)이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female housing 300 and a terminal 400 are coupled to a mail housing of a wiring connector having a lock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of BB 'of FIG.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피메일하우징(300)은 메일하우징(200)의 하우징삽입부(220)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그 내부에 복수 개의 터미널삽입부(310)가 병렬로 배열된다. 이러한 터미널삽입부(310)는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터미널삽입부(310)에 각각의 터미널(400)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터미널삽입부(310) 및 터미널(400)은 각각 10개로 구성될 수 있다.6 and 7, the female housing 300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insertion portion 220 of the mail housing 200, and a plurality of terminal insertion portions 310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housing . Each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s 310 is formed to be independent from each other, and each terminal 400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s 310. For example, the terminal inserting portion 310 and the terminal 400 may each be composed of ten.

한편, 차단벽(230)과 마주보는 복수 개의 터미널삽입부(310)의 일측에는 하우징삽입부(220)에 삽입된 기판(100)이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기판안내부(320)가 일체로 형성된다. 기판안내부(320)는 복수 개의 터미널삽입부(310)의 일측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기판안내부(320)의 상측과 하측에는 여전히 각각의 터미널삽입부(310)가 구비된다. 그리고 기판안내부(320)의 상측과 하측에 위치되는 터미널삽입부(310)는 기판안내부(320)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기판안내부에 기판이 삽입될 때, 기판안내부로 삽입된 기판(100)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터미널삽입부의 기판(100)의 단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멈춤돌기(310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substrate guide part 320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 inserting parts 310 facing the blocking wall 230 so as to guide the substrate 100 inserted into the housing inserting part 220 . The substrate guide part 320 is recessed in the center of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 inserting parts 310 and the terminal inserting parts 310 are still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ubstrate guiding part 320. The terminal inserting portions 310 positioned above and below the substrate guide portion 320 are formed to be opened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guide portion 320. When the substrate is inserted into the substrate guide portion, a detent projection 310a may protrude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end portion of the substrate 100 of the terminal insert portion so as to fix the position of the substrate 100 inserted into the substrate guide portion. have.

그리고 피메일하우징(300)의 외형을 살펴보면, 피메일하우징(300)의 양측에 한 쌍의 측벽부(302)가 구비되고, 한 쌍의 측벽부(302) 사이의 상측에 상측부(304)가 구비된다. 그리고 측벽부(302)의 길이방향 중앙에서 상부로 편심된 위치 및 하부로 편심된 위치에 각각 제 1 역삽입방지부(302a)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측부(304)의 양측에 제 2 역삽입방지부(304a)가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제 1 역삽입방지부(302a)와 제 2 역삽입방지부(304a)는 피메일하우징(300)이 메일하우징(200)의 하우징삽입부(220)로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삽입부(220)의 제 1, 2 역삽입방지부(302a, 304a)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 1, 2 역삽입방지부(302a, 304a)가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제 1, 2 삽입안내부(222, 224)가 형성된다.The outer shape of the female housing 300 includes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302 on both sides of the female housing 300 and an upper side portion 304 on the upper side between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302. [ . In addition, a first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portion 302a is laterally protruded from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side wall portion 302 at positions eccentric upwardly and eccentrically downward. A second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portion 304a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portion 304 so as to protrude upward. The first reverse insertion prevention portion 302a and the second reverse insertion prevention portion 304a are formed in a long shape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emale housing 30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insertion portion 220 of the mail housing 200 .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preventing portions 302a and 304a are recessed so as to guide the first and second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portions 302a and 304a at positions facing the first and second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portions 302a and 304a of the housing inserting portion 220, Portions 222 and 224 are formed.

그 결과, 피메일하우징(300)이 메일하우징(200)의 하우징삽입부(220)에 삽입될 때, 제 1 역삽입방지부(302a)는 제 1 삽입안내부(22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고, 제 2 역삽입방지부(304a)는 제 2 삽입안내부(224)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만일, 피메일하우징(300)이 뒤집어진 상태로 하우징삽입부(220)에 삽입되려 할 때, 제 1, 2 역삽입방지부(302a, 304a)가 제 1, 2 삽입안내부(222, 224)로 안내될 수 없어, 피메일하우징(300)은 뒤집어진 상태로 하우징삽입부(220)로 삽입될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피메일하우징(300)을 하우징삽입부(220)로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제 1, 2 역삽입방지부(302a, 304a)가 제 1, 2 삽입안내부(222, 224)로 안내되므로, 피메일하우징(300)은 뒤집어진 상태로 삽입될 수 없게 되어, 역 삽입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when the female housing 30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insertion portion 220 of the mail housing 200, the first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portion 302a is slid along the first insertion guide portion 222 , And the second reverse insertion prevention portion 304a is slidably moved along the second insertion guide portion 224. [ The first and second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portions 302a and 304a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uiding portions 222 and 224 when the female housing 300 is to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inserting portion 220 in an inverted state. So that the female housing 300 can not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insertion portion 220 in an inverted state. The first and second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portions 302a and 304a are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uiding portions 222 and 224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female housing 300 to the housing insertion portion 220. [ So that the female housing 300 can not be inserted in an upside-down state, and reverse insertion is prevented.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의 메일하우징에 피메일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emale housing is coupled to a mail housing of a wiring connector having a lock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피메일하우징(300)에는 결합바(330)가 구비되고, 메일하우징(200)에는 결합돌부(226)가 형성되어, 피메일하우징(300)은 메일하우징(20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결합바(330)는 차단벽(230)과 마주보는 상측부(304)의 일측에 지지된 상태로 상측부(304)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결합바(330)의 세부 구조를 보면, 상측부(304)의 일측에 돌출되는 결합돌출부(332)와, 상기 결합돌출부(332)의 상단에서 상기 상측부(304)의 타측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는 결합연장부(334)를 포함한다. 이처럼 결합연장부(334)의 선단부는 그 어디에도 지지되지 않은 외팔보 형태이므로, 결합바(330)는 탄성을 갖게 된다. 그리고 결합연장부(334)에는 결합돌출부(332)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돌부안내부(334a)와 결합공(334b)이 차례대로 관통 형성된다. 이때, 돌부안내부(334a)는 결합돌출부(33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6 to 8, the female housing 30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bar 330 and the male housing 20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226. The female housing 300 is housed in the male housing 200). The coupling bar 330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ortion 304 while being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304 facing the blocking wall 230. The coupling bar 330 has a structure in which a coupling protrusion 332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upper side 304 and a bent state i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ide 304 from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332 As shown in FIG. Since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coupling extension portion 334 is in the form of a cantilever which is not supported anywhere, the coupling bar 330 has elasticity. In the coupling extension part 334, the inside of the projection part 334a and the coupling hole 334b are formed in order along the direction away from the coupling projection 332. At this time, the inside of the projection 334a is form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engaging projection 332. [

결합돌부(226)는 상측부(304)와 마주보는 하우징삽입부(220)의 내벽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결합바(330)의 결합공(334b)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피메일하우징(300)이 하우징삽입부(220)로 삽입될 때, 결합돌부(226)는 돌부안내부(334a)를 따라 안내된 후, 결합연장부(334)를 상측부(304)와 가까워지도록 하부로 탄성 이동시킨 후, 이어서 결합공(334b)에 삽입 결합된다. 이처럼 결합돌부(226)가 결합공(334b)에 삽입되면, 피메일하우징(300)은 메일하우징(20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The coupling protrusion 226 protrudes from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insertion portion 220 facing the upper portion 304 and is protruded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334b of the coupling bar 330. When the female housing 30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inserting portion 220, the engaging protrusion 226 is guided along the inside of the recess portion 334a, and then the engaging protrusion 334 is guided along the upper portion 304 And is then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334b. When the engaging protrusion 226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334b as described above, the female housing 300 is firmly coupled to the male housing 200.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의 터미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view illustrating a terminal of a wiring connector having a lock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의 (a) 및 (b)를 참조하면, 터미널(400)은 피메일하우징(300)의 터미널삽입부(310)에 삽입되는 것으로, 터미널삽입부(3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기판안내부(320)에 위치되는 제 1, 2 단자부(420, 430)와, 터미널삽입부(310)의 타측에 삽입되는 지지부(410)를 포함한다. 제 1, 2 단자부(420, 430)는 지지부(410)의 상측과 하측에서 기판안내부(320)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된다. 그리고 기판(100)이 기판안내부(320)로 안내되면, 기판(100)의 단자(102)에 제 1, 2 단자부(420, 430)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9A and 9B, the terminal 400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310 of the female housing 300, First and second terminal portions 420 and 430 positioned at the terminal portion 320 and a support portion 410 inserted at the other side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310.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ortions 420 and 430 protrude from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410 so as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guide portion 320. When the substrate 100 is guided to the substrate guide part 320,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arts 420 and 430 are electrically contacted with the terminal 102 of the substrate 100.

지지부(410)는 한 쌍의 제 1, 2 단자부(420, 430)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412)와, 연결부(412)에서 제 1, 2 단자부(420, 430)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로드(414)와, 지지로드(414)의 길이방향 양측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리브(416)를 포함한다. 돌출리브(416)는 터미널(400)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외부의 와이어(미도시)를 가압하여, 상기 와이어와 터미널(400)이 전기적으로 접촉 및 결합되도록 한다.The supporting portion 410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412 connecting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terminal portions 420 and 430 and a connecting portion 412 protruding from the connecting portion 412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ortions 420 and 430 And one or more protruding ribs 416 projecting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rod 41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rotruding ribs 416 press an outer wire (not shown) electrically coupled to the terminal 400, such that the wire and the terminal 400 are in electrical contact and engagement.

제 1 단자부(420)는 지지부(410)의 연결부(412)의 상측에서 기판안내부(320)의 상부에 위치되는 터미널삽입부(310)의 상측 내벽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 1 포크부(422)와, 제 1 포크부(422)의 길이방향 상측에 수직으로 절곡되는 제 1 절곡부(424)와, 기판(100)이 삽입되는 방향과 대향되는 제 1 절곡부(424)의 일단부에 제 1 절곡부(424)의 타단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1 단자(426)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포크부(422)에 연결되지 않은 제 1 절곡부(424)의 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후술하는 제 2 절곡부(434) 방향으로 제 1 강도보강리브(428)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절곡부(424)보다 차단벽(23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 1 포크부(422)의 선단부에는 후술하는 제 1 단자가이드돌기(312: 도 10 도시)와 접촉되도록 제 1 지지돌기(429)가 절곡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portion 420 includes a first fork portion 422 protruding from an upper inner wall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310 located above the connection portion 412 of the support portion 410 and positioned above the substrate guide portion 320 A first bent portion 424 bent perpendicularly to the upp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ork portion 422 and a second bent portion 424 bent at one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424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bstrate 100 is inserted And a first terminal 426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424. The first strength reinforcing ribs 428 may be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bending portion 434 along the out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ending portion 424 not connected to the first fork portion 422 . The first fork portion 422 protruding from the first bent portion 424 in the direction of the blocking wall 230 is provided with a first support protrusion (not shown) to be in contact with a first terminal guide protrusion 312 429 may be formed by bending.

제 2 단자부(430)는 제 1 단자부(420)와 대칭되는 것으로, 지지부(410)의 연결부(412)의 하측에서 기판안내부(320)의 하측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 2 포크부(432)와, 제 2 포크부(432)의 길이방향 하측에 수직으로 절곡되는 제 2 절곡부(434)와, 기판(100)이 삽입되는 방향과 대향되는 제 2 절곡부(434)의 일단부에 제 2 절곡부(434)의 타단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2 단자(436)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단자(426) 및 상기 제 2 단자(436)는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2 포크부(432)에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 2 절곡부(434)의 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절곡부(424) 방향으로 제 2 강도보강리브(438)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절곡부(434)보다 차단벽(23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 2 포크부(432)의 선단부에는 후술하는 제 2 단자가이드돌기(314: 도 10 도시)와 접촉되도록 제 2 지지돌기(439)가 절곡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terminal part 430 is symmetrical with the first terminal part 420 and includes a second fork part 432 protru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on part 412 of the support part 410 along the lower side of the substrate guide part 320, A second bent portion 434 bent perpendicularly to a lower side of the second fork portion 43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bent portion 434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bent portion 434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bstrate 100 is inserted And a second terminal 436 bent in the other end direction of the bent portion 434. The first terminal 426 and the second terminal 436 are configured to have an elastic force. A second strength reinforcing rib 438 may be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bending portion 424 along the out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ending portion 434 not connected to the second fork portion 432 . The tip of the second fork portion 432 protruding from the second bent portion 434 in the direction of the blocking wall 230 is provided with a second support protrusion (not shown)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terminal guide protrusion 314 439 may be formed by bending.

이처럼 제 1, 2 포크부(422, 432)에 제 1, 2 절곡부(424, 434)가 절곡되도록 구비되므로, 제 1, 2 포크부(422, 432)는 외부 압력으로 인하여 휘어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2 절곡부(424, 434)에는 제 1, 2 강도보강리브(428, 438)가 연결되므로, 제 1, 2 포크부(422, 432) 및 제 1, 2 절곡부(424, 434)의 강도가 더욱 보강되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first and second bent portions 424 and 434 are bent in the first and second fork portions 422 and 432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fork portions 422 and 432 are firmly .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ribs 428 and 438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bent portions 424 and 434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orks 422 and 432 and the first and second bent portions 424 and 424 And 434 are further reinforced.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의 하우징에 터미널이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의 하우징에 터미널이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terminal is coupled to a housing of a wiring ring connector having a lock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cross-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terminal is coupled to a housing of a wiring connector; FIG.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각각의 터미널(400)은 피메일하우징(300)의 각각의 터미널삽입부(310)에 삽입되며, 이때, 터미널(400)의 제 1 단자부(420)는 기판안내부(320)의 상측과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터미널(400)의 제 2 단자부(430)는 기판안내부(320)의 하측과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피메일하우징(300)으로 삽입된 터미널(400)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터미널삽입부(310)의 일측 상단과 하단에 제 1, 2 단자가이드돌기(312, 314)가 구비되고, 터미널삽입부(310)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스토퍼(318)가 구비된다.10 and 11, each terminal 400 is inserted into a respective terminal insertion portion 310 of the female housing 300, wherein the first terminal portion 420 of the terminal 40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part 430 of the terminal 400 is positioned to face the lower side of the substrate guide part 320. The second terminal part 430 of the terminal 400 is positioned to face the upper side of the guide part 320,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guide protrusions 312 and 314 are provided at on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terminal inserting portion 310 so that the terminal 400 inserted into the female housing 300 is firmly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 stopper 318 is provided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terminal inserting section 310.

제 1 단자가이드돌기(312)는 피메일하우징(300)의 개방된 일측의 상측에 기판안내부(32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 2 단자가이드돌기(314)는 피메일하우징(300)의 개방된 일측의 하측에 기판안내부(32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 결과, 터미널(400)의 제 1, 2 단자부(420, 430)가 피메일하우징(300)의 터미널삽입부(310)로 삽입되면, 제 1, 2 단자부(420, 430)에 구비된 제 1, 2 지지돌기(229, 239)가 피메일하우징(300)에 형성된 제 1, 2 단자가이드돌기(312, 314)에 막히게 되어 더 이상의 전진이 차단된다.The first terminal guide protrusion 312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guide 320 on the upper side of the open side of the female housing 300 and the second terminal guide protrusion 314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guide 320, And is protruded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guide part 320 on the lower side of the opened one side. As a result, wh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ortions 420 and 430 of the terminal 400 are inserted into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310 of the female housing 300,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ortions 420 and 430,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rotrusions 229 and 239 are clogged by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guide protrusions 312 and 314 formed in the female housing 300 to prevent further forward movement.

스토퍼(318)는 제 2 단자부(430)의 제 2 절곡부(434)가 피메일하우징(300)의 터미널삽입부(310)를 지나 기판안내부(320)로 이동되면, 제 2 단자부(430)의 제 2 절곡부(434)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터미널삽입부(310)의 하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스토퍼(318)가 형성되기 위하여 터미널삽입부(310)의 하측에 스토퍼안내홀(316)이 형성되고, 차단벽(230)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스토퍼안내홀(316)의 일측에서 스토퍼안내홀(316)의 타측 방향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길게 스토퍼(318)가 형성된다. 이러한 스토퍼(318)의 일측은 터미널삽입부(310)에 연결되고, 스토퍼(318)의 타측은 제 2 절곡부(434)의 단부와 맞닿도록 연장 형성되되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 결과, 피메일하우징(300)의 터미널삽입부(310)에 삽입된 제 2 절곡부(434)가 기판안내부(320)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스토퍼(318)는 제 2 절곡부(434)의 가압에 의하여 용이하게 하부로 이동되며, 그 후, 제 2 절곡부(434)가 기판안내부(320)의 하측에 위치되면, 스토퍼(318)는 상부로 이동되어 제 2 절곡부(434)의 단부가 스토퍼(318)에 걸리게 된다.When the second bent portion 434 of the second terminal portion 430 is moved to the substrate guide portion 320 through the terminal inserting portion 310 of the female housing 300, the stopper 318 moves the second terminal portion 430 The second bending portion 434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310 is restricted. A stopper guide hole 316 is formed below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310 to form the stopper 318. The stopper guide hole 316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topper guide hole 316, A stopper 318 is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hole 316. One end of the stopper 318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inserting portion 310 and the other end of the stopper 318 is formed to extend to abut the end of the second bent portion 434 and to have elasticity. As a result,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second bent portion 434 inserted into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310 of the female housing 300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substrate guide portion 320, When the second bent portion 434 is positioned below the substrate guide portion 320, the stopper 318 is moved upward so that the second bent portion 434 is moved upward, So that the end of the portion 434 is caught by the stopper 318.

이처럼 기판안내부(320)로 이동된 제 1, 2 단자부(420, 430)는 제 1, 2 단자가이드돌기(312, 314)에 의하여 더 이상의 이동이 불가능하고, 스토퍼(318)에 의하여 더 이상의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터미널(400)의 제 1, 2 단자부(420, 430)는 피메일하우징(300)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위치되며, 이에 따라 진동, 고온 등의 악조건 하에서 터미널(400)이 피메일하우징(300)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터미널(400)의 제 1, 2 단자부(420, 430)와 기판(100) 사이가 안정적으로 접촉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ortions 420 and 430 moved to the substrate guide portion 320 can not be moved any more by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guide protrusions 312 and 314,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ortions 420 and 430 of the terminal 400 are positioned so as to be firm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female housing 300 so that the terminal 400 can be fixed under the bad conditions such as vibratio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ortions 420 and 430 of the terminal 400 and the substrate 100 are stably contacted with each other and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s improved.

한편, 터미널(400)이 피메일하우징(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판안내부(320)에 기판(100)이 삽입되면, 터미널(400)과 기판(100)이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이때, 차단벽(230)에는 기판삽입부(210)를 지나 하우징삽입부(220)로 삽입된 기판(100)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지지판(234)이 돌출 형성되고, 지지판(234)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기판(100)의 상측에 단자(102)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 1 단자(426)와 제 2 단자(436) 사이에 기판(100)과 지지판(234)이 끼워진 상태에서, 기판(100)과 제 1 단자(426)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이처럼 기판안내부(320)에 삽입된 기판(100)은 지지판(234)에 지지된 상태로 제 1, 2 단자(426, 436) 사이로 삽입되고, 제 1, 2 단자(426, 436)는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므로, 외부 충격, 진동 발생 시에도 기판(100)은 제 1 단자(426)와 안정적으로 접촉되는 효과가 있다.The terminal 400 is electrically coupled to the substrate 100 when the substrate 100 is inserted into the substrate guide 320 while the terminal 400 is inserted into the female housing 300. A supporting plate 234 protrudes from the blocking wall 230 to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substrate 100 inserted into the housing inserting portion 220 through the substrate inserting portion 210, A terminal 102 is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substrate 100 which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substrate 100 and the first terminal 426 are electrically coupled with the substrate 100 and the support plate 234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426 and the second terminal 436.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426 and 436 are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426 and 436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234, The substrate 100 can be stab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426 even when an external shock or vibration is generated.

또한, 제 1, 2 단자(426, 436)는 캔틸레버(Cantilever) 즉,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되 각각 기판(100) 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기판(100)은 제 1, 2 단자(426, 436)와 부드럽게 슬라이딩되어, 기판(100)이 제 1, 2 단자(426, 436) 사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긁히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426 and 436 are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or a cantilever shape and are each formed into a round shape convex toward the substrate 100 so that the substrate 100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426 and 436 so as to prevent the substrate 100 from being scratched during the insertion of the substrate 10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426 and 436. [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의 메일하우징의 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의 메일하우징이 브라켓에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1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ottom of a mail housing of a wiring connector having a lock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ide view of a wiring connector having a lock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l housing is coupled to the bracket;

도 2,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브라켓(500)은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대시보드 내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브라켓(500)에 메일하우징(200)이 결합되는데, 이때, 브라켓(500)과 마주보는 메일하우징(200)의 저면부(202)의 일측에 저면부(202)의 중앙 방향으로 오목하게 슬라이딩레일부(240)가 형성되고, 브라켓(500)과 마주보는 슬라이딩레일부(240)의 양측 사이의 저면에는 볼록하게 걸림볼록부(242)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후술하는 슬라이딩부(510)가 안내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슬라이딩레일부(240)의 양측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가이드홈(240a)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S. 2, 12 and 13, the bracket 500 is provided inside the vehicle, and is fixed inside the dashboard, for example. The mail housing 200 is coupled to the bracket 500. 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portion 202 of the mail housing 200 facing the bracket 500 is slidably recessed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202 And a convexly engaging convex portion 242 is protruded from a bottom surface between both sides of the sliding rail portion 240 facing the bracket 500. [ At this time, guide grooves 240a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liding rail part 240 so as to be sli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sliding part 5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guided.

그리고 브라켓(500)의 슬라이딩레일부(240)와 마주보는 위치에 슬라이딩레일부(240)의 가이드홈(240a)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슬라이딩부(510)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슬라이딩부(510)에는 걸림볼록부(242)가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홈(512)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슬라이딩부(510)가 슬라이딩레일부(240)를 따라 슬라이딩 결합되면, 안내홈(512)의 단부에 걸림볼록부(242)가 걸림 위치된다.The sliding portion 510 is protruded to be slidably engaged with the guide groove 240a of the sliding rail part 240 at a position facing the sliding rail part 240 of the bracket 500. [ When the sliding portion 510 is slidably coupled along the sliding rail portion 240, the guide groove 512 is formed in the sliding portion 510 so as to guide the locking convex portion 242 to slide. 512 are engaged with the engaging convex portion 242 at the end portion thereof.

이처럼 메일하우징(200)은 별도의 납땜 공정 없이 브라켓(500)에 걸림 결합되므로, 조립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ail housing 200 is engaged with the bracket 500 without a separate soldering process, the assembly is facilitated.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claims also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기판 102: 단자
103: 가이더 104: 결합홀
200: 메일하우징 202: 저면부
210: 기판삽입부 212: 걸림안내홀
214: 로크부 214a: 돌출부
214b: 걸림턱 220: 하우징삽입부
222: 제 1 삽입안내부 224: 제 2 삽입안내부
226: 결합돌부 230: 차단벽
232: 기판안내홀 234: 지지판
240: 슬라이딩레일부 240a: 가이드홈
242: 걸림볼록부 300: 피메일하우징
302: 측벽부 302a: 제 1 역삽입방지부
304: 상측부 304a: 제 2 역삽입방지부
310: 터미널삽입부 310a: 멈춤돌기
312: 제 1 단자가이드돌기 314: 제 2 단자가이드돌기
314a: 관통홀 316: 스토퍼안내홀
318: 스토퍼 320: 기판안내부
330: 결합바 332: 결합돌출부
334: 결합연장부 334a: 돌부안내부
334b: 결합공 400: 터미널
410: 지지부 412: 연결부
414: 지지로드 416: 돌출리브
420: 제 1 단자부 422: 제 1 포크부
424: 제 1 절곡부 426: 제 1 단자
428: 제 1 강도보강리브 429: 제 1 지지돌기
430: 제 2 단자부 432: 제 2 포크부
434: 제 2 절곡부 436: 제 2 단자
438: 제 2 강도보강리브 439: 제 2 지지돌기
500: 브라켓
510: 슬라이딩부 512: 안내홈
100: substrate 102: terminal
103: guider 104: coupling hole
200: Mail housing 202:
210: substrate inserting portion 212: engaging guide hole
214: Lock portion 214a:
214b: latching jaw 220: housing insertion portion
222: first insertion guide portion 224: second insertion guide portion
226: coupling protrusion 230: blocking wall
232: substrate guide hole 234:
240: sliding rail part 240a: guide groove
242: engaging convex portion 300: female housing
302: side wall portion 302a: first reverse insertion prevention portion
304: upper side 304a: second reverse insertion prevention part
310: terminal inserting portion 310a: detent projection
312: first terminal guide projection 314: second terminal guide projection
314a: Through hole 316: Stopper guide hole
318: stopper 320: substrate guide part
330: coupling bar 332: engaging projection
334: coupling extension part 334a:
334b: Coupling ball 400: Terminal
410: Support part 412:
414: support rod 416: protruding rib
420: first terminal portion 422: first fork portion
424: first bent portion 426: first terminal
428: first strength reinforcing rib 429: first supporting projection
430: second terminal portion 432: second fork portion
434: second bent portion 436: second terminal
438: second strength reinforcing rib 439: second supporting projection
500: Bracket
510: sliding portion 512: guide groove

Claims (13)

일측에 기판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기판삽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하우징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판삽입부와 상기 하우징삽입부 사이에 차단벽이 형성되되, 상기 기판이 상기 기판삽입부를 지나 상기 하우징삽입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차단벽에 기판안내홀이 형성되는 메일하우징;
상기 하우징삽입부에 삽입되되 내부에 복수 개의 터미널삽입부가 병렬로 배열되고, 상기 차단벽과 마주보는 복수 개의 상기 터미널삽입부의 일측에 상기 하우징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기판이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기판안내부가 형성되는 피메일하우징; 및
각각의 상기 터미널삽입부에 삽입되되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기판안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이 상기 기판삽입부를 지나 상기 하우징삽입부로 삽입될 때, 상기 기판삽입부에 위치되는 상기 기판의 양측에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삽입부의 상기 결합홀과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결합홀에 걸림 결합되도록 로크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기판삽입부의 상기 결합홀과 대향되는 위치에 걸림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로크부는, 상기 차단벽과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걸림안내홀의 일측에 상기 걸림안내홀을 가로지르도록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상기 결합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이 상기 기판삽입부를 지나 상기 하우징삽입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기판과 부딪히면서 상기 기판의 두께만큼 상기 돌출부를 상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기판이 상기 기판삽입부를 지나 상기 하우징삽입부로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홀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A substrate inserting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inserting portion and a housing inser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bstrate inserting portion and a blocking wall is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inserting portion and the housing inserting portion, A mail housing having a substrate guide hole formed in the blocking wall to be inserted therein;
The plurality of terminal inserting portions are inserted into the housing insert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terminal inserting portions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the substrate inserting portion is recessed to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 inserting portions facing the blocking wall so as to guide the substrate inserted into the housing inserting portion. A mail housing to be formed; And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inserted into each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s a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guide portion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Wherein when the substrate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inserting portion through the substrate inserting portion, a coupling hol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positioned in the substrate inserting portion, an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oupling hole of the substrate inserting portion, A locking portion is formed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locking portion,
Wherein a locking guide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coupling hole of the substrate insertion portion,
The lock portion may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in a cantilevered manner to cross the engaging guide hole at one side of the engaging guide hole loc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locking wall, And a locking protrusion protruded in the coupling hole direction,
Wherein the engaging jaw is configured to move the protrusion upward by a thickness of the substrate while bumping against the substrate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substrate through the substrate inserting portion into the housing inserting portion,
Wherein when the substrate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insertion portion after passing through the substrate insertion portion, the protrusion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engagement hole, and the engagement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hol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가이더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기판삽입부에 삽입되는 상기 가이더의 단부에 상기 결합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uider is protruded along both sides of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bstrate, and the coupling hole is formed at an end of the guider inserted into the substrate insertion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양측에 측벽부가 구비되고,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상측에 상측부가 구비되되, 상기 측벽부의 중앙에서 어느 한쪽으로 편심된 위치 또는 상기 상측부에 역삽입방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삽입부의 상기 역삽입방지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역삽입방지부가 안내되도록 삽입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ide wall portion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l housing and an upper side portion is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mail housing and a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portion is protruded and formed at a position eccentric to either one 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insertion guide portion is formed to guide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on portion at a position facing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on portion of the housing insertion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역삽입방지부는 상기 피메일하우징이 상기 메일하우징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안내부는 상기 역삽입방지부가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하우징삽입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portion is formed in a long shape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emale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mail housing,
Wherein the insertion guide portion is recessed in the housing insertion portion such that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on portion is slidab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양측에 측벽부가 구비되고,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상측에 상측부가 구비되되, 상기 차단벽과 마주보는 상기 상측부의 일측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상측부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바를 포함하고,
상기 메일하우징에는 상기 결합바에 형성되는 결합공에 삽입되도록 결합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upling bar protruding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ortion while being supported by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facing the blocking wall, where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halves are provided with side walls on both sides of the mail housing, and,
Wherein the mating housing is form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to be inserted into a coupling hole formed in the coupling ba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바는, 상기 상측부의 일측에 돌출되는 결합돌출부와, 상기 결합돌출부의 상단에서 상기 상측부의 타측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는 결합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연장부에는 상기 결합돌출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돌부안내부와, 상기 결합공이 차례대로 관통 형성되되, 상기 돌부안내부는 상기 결합돌출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피메일하우징이 상기 하우징삽입부로 삽입될 때, 상기 돌부안내부를 따라 안내된 상기 결합돌부는 상기 결합연장부를 상기 상측부와 가까워지도록 탄성 이동시킨 후, 상기 결합공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upling bar may include an engag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and an engaging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engaging protrusion in a bent direction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ortion,
Wherein the engag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engaging protrusion so as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engaging protrusion, and the engaging hole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engaging protrusion, the inside of the engaging protrusion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engaging protrusion,
And the engaging protrusion guided along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is elastically moved to be close to the upper side when the female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inserting portion, And a locking portion tha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lock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삽입부의 타측에 삽입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측과 하측에서 상기 터미널삽입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기판안내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는 한 쌍의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이 상기 기판안내부로 안내되면, 상기 기판의 단자에 상기 단자부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includes a support portion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and a pair of terminal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so as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guide portion located at one side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Wherein when the substrate is guided to the substrate guide portion, the terminal portion is electrically contacted to the terminal of the substrate.
제 8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단자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 1 단자부와, 상기 지지부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는 제 2 단자부로 구분되고,
상기 제 1 단자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서 상기 기판안내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기 터미널삽입부의 상측 내벽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 1 포크부와, 상기 제 1 포크부의 길이방향 상측에 절곡되는 제 1 절곡부와, 상기 기판이 삽입되는 방향과 대향되는 상기 제 1 절곡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 1 절곡부의 타단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1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자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서 상기 기판안내부의 하측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 2 포크부와, 상기 제 2 포크부의 길이방향 하측에 절곡되는 제 2 절곡부와, 상기 기판이 삽입되는 방향과 대향되는 상기 제 2 절곡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 2 절곡부의 타단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안내부에 삽입된 상기 기판은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제 1 단자 또는 상기 제 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air of terminal portions are divided into a first terminal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terminal portion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The first terminal portion includes a first fork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along an upper inner wall of the terminal inserting portion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ubstrate guide portion and a second fork portion bent upward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ork portion, And a first terminal bent at one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bstrate is inserted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The second terminal portion includes a second fork port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along the lower side of the substrate guide portion, a second bent portion bent down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fork portion, And a second terminal bent at one end of the second bent portion facing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ent portion,
Wherein the substrate inserted into the substrate guide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while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에는 상기 기판삽입부를 지나 상기 하우징삽입부로 삽입된 상기 기판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지지판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기판의 상측에 상기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에 상기 기판과 상기 지지판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기판과 상기 제 1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10. The method of claim 9,
A support plate protruding from the blocking wall to support a lower side of the substrate inserted into the housing insertion portion through the substrate insertion portion,
The terminal is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a substrate positio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pport plate,
Wherein the substrate and the first terminal are in electrical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the substrate and the support plate are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는 각각 상기 기판 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each formed into a round shape convex toward the substr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하우징이 차량에 구비된 브라켓에 결합될 때, 상기 브라켓과 마주보는 상기 메일하우징의 저면에 오목하게 슬라이딩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상기 슬라이딩레일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슬라이딩레일부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슬라이딩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mail housing is coupled to a bracket provided on the vehicle, a sliding rail portion is concavedly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mast housing facing the bracket, and the sliding rail portion is positioned at a position facing the sliding rail portion of the bracket And the sliding portion is protruded and formed so as to be slid in a state of fitting.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레일부의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딩부가 안내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오목하게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레일부의 양측 사이의 저면에는 볼록하게 걸림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에 상기 걸림볼록부가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되, 상기 안내홈의 단부에 상기 걸림볼록부가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13. The method of claim 12,
Guide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liding rail so as to slide in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part is guided, convexly engaging convex part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between the both sides of the sliding rail part,
Wherein the sliding portion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engaging convex portion to slide, and the engaging convex portion is engaged with the end of the guide groove.
KR1020170147318A 2017-11-07 2017-11-07 Wiring connector with locking portion KR1019796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318A KR101979610B1 (en) 2017-11-07 2017-11-07 Wiring connector with locking por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318A KR101979610B1 (en) 2017-11-07 2017-11-07 Wiring connector with locking por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532A KR20190051532A (en) 2019-05-15
KR101979610B1 true KR101979610B1 (en) 2019-05-17

Family

ID=66579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318A KR101979610B1 (en) 2017-11-07 2017-11-07 Wiring connector with locking por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61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698B1 (en) * 2019-05-31 2021-03-04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Board to wire connector
CN111541070A (en) * 2020-04-27 2020-08-14 安费诺电子装配(厦门)有限公司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arranged on adapter card
KR102566111B1 (en) * 2021-04-15 2023-08-11 (주)우주일렉트로닉스 Connector with terminal anti-bending structure
CN114447668A (en) * 2022-01-10 2022-05-06 东莞市英联电子有限公司 Connector with buck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5928A (en) * 2004-09-14 2006-03-30 Fujikura Ltd Flat flexible circuit board connector
JP2014063629A (en) * 2012-09-21 2014-04-10 Yazaki Corp Connector for flat cab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733U (en) * 2007-08-20 2009-02-25 경신공업 주식회사 Multi-bracket
JP5776029B2 (en) 2011-10-11 2015-09-09 スリオジャパン株式会社 connector
KR101321785B1 (en) 2011-12-21 2013-10-28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Slide type conn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5928A (en) * 2004-09-14 2006-03-30 Fujikura Ltd Flat flexible circuit board connector
JP2014063629A (en) * 2012-09-21 2014-04-10 Yazaki Corp Connector for flat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532A (en)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269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board
KR101979610B1 (en) Wiring connector with locking portion
US10530079B2 (en) Board-to-board connector with metal fittings and guide portions
US9577379B2 (en) Connector
US7867016B2 (en) Electrical press-in contact
US6902411B2 (en) Connector assembly
JP5224179B2 (en) Spring force connection device
US7186126B2 (en) Floating electrical connector
JP5090509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886624B1 (en) Floating connector
US10879633B2 (en) Connector housing and electrical connector
US20240170881A1 (e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s
JP2014010964A (en) Electric connector
KR101989320B1 (en) Connector apparatus for connecting board
KR101780363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board
JP2012049014A (en) Electric connector
GB2329529A (en) Shielded connector
KR20170078199A (en) Front Holder and Terminal Block having the same
KR200466410Y1 (en) Connector
KR200465415Y1 (en) Connector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
KR101182660B1 (en) Female terminal
JP2018129165A (en) connector
KR20100057208A (en) Pcb mounting type connector assembly
EP3316412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a power cable to a board
KR20100002928A (en) Junction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