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368B1 - Connecting member between timbering for the mine - Google Patents

Connecting member between timbering for the m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368B1
KR101979368B1 KR1020180112915A KR20180112915A KR101979368B1 KR 101979368 B1 KR101979368 B1 KR 101979368B1 KR 1020180112915 A KR1020180112915 A KR 1020180112915A KR 20180112915 A KR20180112915 A KR 20180112915A KR 101979368 B1 KR101979368 B1 KR 101979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bar
bar
tunnel
rail body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9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경인
유용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프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프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프퀸
Priority to KR1020180112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36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3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5/00Props; Chocks, e.g. made of flexible containers filled with backfilling material
    • E21D15/5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prop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5/00Props; Chocks, e.g. made of flexible containers filled with backfilling material
    • E21D15/002Auxiliary devices in which the prop type is not essent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A connecting member between supports for a mine is disclosed. The connecting member between supports for a mine connects a plurality of supports for a mine, arranged in order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ine, and comprises: a first connecting bar including a first protruding portion bent at one end to be fixed to any one of the supports for a mine; a second connecting bar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bar and including a second protruding portion bent at one end to be fixed to a mine support adjacent to the mine support to which the first connecting bar is fixed; and at least one fixing member fixing the first connecting bar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Description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 {CONNECTING MEMBER BETWEEN TIMBERING FOR THE MIN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ng member for a tunnel,

본 발명은 갱도를 지지하는 갱도용 지주를 안정적이고도 용이하게 연결하는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nnel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a tunnel support for supporting a tunnel in a stable and easy manner.

일반적으로 석탄 등과 같은 광물의 채굴을 위한 광산에서는 갱도를 뚫어 광상(ore deposit)이 위치하는 곳까지의 진입로를 확보한다.In general, mines for the mining of minerals such as coal, etc., have access to the place where the ore deposits are located.

이러한 갱도는 주변의 압력에 의하여 변형되거나, 압력이 심한 경우 붕괴될 위험이 존재하며, 특히, 석탄을 채굴하는 석탄 광산의 경우 지반이 연약한 퇴적층에서 채굴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 갱도의 붕괴 위험이 더 높다.There is a risk that these tunnels will be deformed by the surrounding pressure or collapse if the pressure is high. Especially, coal mines that are coal mining often carry out mining work in soft ground sediments. Higher.

이러한 갱도의 변형 및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갱도에는 갱도의 내벽을 지지하는 지주(지보)가 설치된다.In order to prevent such deformation and collapse of the tunnel, a support (support) supporting the inner wall of the tunnel is installed in the tunnel.

갱도에는 다수의 지주가 갱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됨으로써 갱도의 내벽을 지지한다.In the tunnel, a plurality of struts are arranged sequentially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nnel, thereby supporting the inner wall of the tunnel.

갱도용 지주는 강성이 높은 철재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갱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아치형 또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tunnel pillar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eel having high rigidity, and is generally formed in an arcuate or quadr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unnel.

다만, 갱도의 내벽을 지지하는 갱도용 지주 역시 갱도의 변형 또는 갱도로부터 받는 압력으로 인해 변형되거나 넘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에는 다수의 갱도용 지주를 각목 또는 철사 등과 같은 자재를 통해 상호 연결해 줌으로써, 다수의 갱도용 지주가 서로 지지되도록 하여 갱도용 지주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수의 갱도용 지주가 갱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넘어지거나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였다.However, since the tunnel supports supporting the inner wall of the tunnel may also be deformed or fall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tunnel or the pressure exerted by the tunnel, conventionally, a plurality of tunnel suppor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A plurality of tunnel supports are supported to each other to secur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tunnel supports, thereby preventing a plurality of tunnel supports from falling or collaps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nnel.

하지만, 종래의 각목이나 철사 등을 이용하여 다수의 갱도용 지주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는 그 구조적 안정성이 낮았으며, 작업자의 재량에 따라 갱도용 지주 간 연결구조가 상이하여 지지구조의 취약점이 발생된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However, th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unnel struts are mutually connected by using a conventional scantlings or wires has a low structural stability,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tunnel struts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operator's discretion, Disadvantages existed.

아울러, 종래의 각목이나 철사 등을 이용하여 다수의 갱도용 지주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는 작업자가 일일이 각목 및 철사 등을 자르고, 이를 엮거나 용접함으로써 갱도용 지주를 상호 연결하였다는 점에서, 작업의 속도나 능률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In addition, th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unnel suppor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using conventional scaffolds, wires, or the like, is constructed in such a manner that a worker individually cuts the scaffolds and wires,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speed and efficiency are lower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1437호 (2015.01.06.)Korean Patent No. 10-1481437 (2015.01.06.)

본 발명의 목적은, 갱도를 지지하는 다수의 갱도용 지주를 상호 안정적으로 연결 및 고정함으로써 갱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unnel-to-column connecting member that stably supports a tunnel by mutually stably connecting and fixing a plurality of tunnel supports that support the tunne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갱도용 지주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갱도용 지주를 상호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unnel connecting member capable of firmly connecting tunnel pillars to each other in correspondence to a gap between a plurality of tunnel pillar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갱도용 지주를 연결하는 작업의 용이성과 효율성이 개선된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strand connecting member having improved ease and efficiency of connecting workings of a plurality of tunnel suppor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갱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갱도용 지주를 연결하는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갱도용 지주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도록 일단에 절곡 형성된 제1 걸림부를 포함하는 제1 연결 바; 상기 제1 연결 바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연결 바가 고정된 갱도용 지주와 인접한 갱도용 지주에 고정되도록 일단에 절곡 형성된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제2 연결 바; 및 상기 제1 연결 바와 상기 제2 연결 바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unnel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tunnel posts sequentially dispos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tunnel, the tunnel connecting member including: A first connecting bar including a first engaging portion bent at a first end; A second coupling bar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bar and including a second coupling part bent at one end so as to be fixed to a tunnel support adjacent to the tuning support pin to which the first coupling bar is fixed; And at least one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first connection bar and the second connection bar.

상기 제1 연결 바는 상기 제1 연결 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체결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바는 상기 제2 연결 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 형상의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는 각각, 상기 다수의 체결구멍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연결 바와 상기 제2 연결 바를 고정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connection bar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bar and the second connection bar includes a slot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bar, Each of the at least one fixing member may fix the first connecting bar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through one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nd the slot.

상기 제1 연결 바와 상기 제2 연결 바는 상호 슬라이딩 가능한 레일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 바는, 상기 제1 연결 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1 레일 본체 및 상기 제1 레일 본체의 양측에 절곡 형성된 제1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바는, 상기 제2 연결 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레일 본체와 접하는 제2 레일 본체 및 상기 제2 레일 본체의 양측에 절곡 형성된 제2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connection bar and the second connection bar are formed in a slidable rail structure, the first connection bar includes a first rail body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bar, Wherein the second connecting bar includes a second rail body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rail body and a second rail body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second rail body, And a second flange that is bent at the second flange.

상기 제1 레일 본체와 상기 제2 레일 본체는, 서로 마주하는 접촉면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 돌기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rail body and the second rail body may each include a non-slip protrusion formed on an opposing contact surface.

상기 다수의 체결구멍은, 상기 제1 레일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 바의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슬롯은 상기 제2 레일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 바의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Wherein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first rail body and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ar, the slots being formed in the second rail body, Lt; RTI ID = 0.0 > and / or < / RTI >

상기 제2 연결 바는 상기 제1 연결 바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제1 연결 바는 상기 제2 연결 바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bar may be slidably disposed inside the first connection bar, or the first connection bar may be slidably disposed inside the second connection bar.

상기 고정부재는 한 쌍의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고, 상기 볼트는 머리부, 상기 머리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축부 및 상기 축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부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구멍은 상기 체결구멍에 삽입된 상기 축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축부의 다각형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Wherein the fixing member is composed of a pair of bolts and a nut, and the bolt includes a head portion, a shaf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head portion, and a screw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haft portion, wherein the shaft portion has a polygonal shape, The hole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olygon of the shaft portion so as to fix the shaft portion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가 적용된 갱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tunnel to which a tunnel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shown i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strut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of the inter-strut connection member shown in Fig. 3; Fig.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strut connection member shown in Fig. 3; Fig.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strand inter-strand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 5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Fig.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unnel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strut connection member shown in Fig. 7 viewed from the other direction. Fig.
FIG. 9 is a side view of a tunnel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strut connection member shown in Fig. 9; Fig.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the disclosure of the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nlarg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proportions of the components can be exaggerated or reduced.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있다거나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상에" 있다거나 "직접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or "tangent" to another ele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other elements may directly contact or be connected to the image, something to do.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scribed that an element is " directly on " or " directly adjacent " to another element,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element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for example, " between " and " directly between "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onl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he word " comprising " or " having ", when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strued as common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가 적용된 갱도(M)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 tunnel M to which a tunnel connecting memb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광산의 갱도(M)는 갱내(MS)를 유지하고 갱도(M)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갱도용 지주(T)가 갱도(M)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갱도(M)를 지지한다.Referring to FIG. 1, the mines M of the mines are arranged in seque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ines M for holding the mines MS and supporting the mines M And supports the tunnel (M).

갱도(M)의 갱내(MS)의 형상은 갱도(M)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아치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갱도(M)를 지지하는 다수의 갱도용 지주(T) 역시 갱도(M)의 형상과 대응하는 아치형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pe of the mine MS of the mine M is preferably arcuate so that the mine M can be stably maintained and a plurality of mine supports T supporting the mine M are also formed in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갱도용 지주(T)는 갱도(M)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철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갱도용 지주(T)는 철재의 I빔 또는 H빔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tunnel pillars T are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iron so as to stably support the tunnel M. The tunnel pillars T are generally made of an I beam or H beam of iron.

다만, 갱도(M)의 형상은 아치형 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수의 갱도용 지주(T) 역시 갱도(M)의 형상과 대응되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However, the shape of the tunnel M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other than the arcuate shape, and accordingly, a plurality of the tunnel pillars 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unnel M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갱도(M)를 지지하는 다수의 갱도용 지주(T)는 다수의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tunnel posts T supporting the tunnel M are mutually connected through a plurality of inter-tunnel linkage members 1.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다수의 갱도용 지주(T)들 중 서로 인접한 갱도용 지주(T)는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한 갱도용 지주(T)는 복수의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에 의해 상호 연결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다.Specifically, among the plurality of tunnel supports (T) adjacent to each other, the tunnel supports (T) can be interconnected by the inter-strand connection members (1), and adjacent tunnel supports (T) And can be stably built up by being interconnected by the inter-post-joining connecting members 1. [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는 서로 인접한 갱도용 지주(T)를 안정적으로 연결 및 지지할 수 있도록 갱도용 지주(T)의 양측 기둥 부분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는 갱도용 지주(T)의 보다 안정적인 연결을 위해 갱도용 지주(T)의 상측 아치부분에도 결합될 수 있다.The inter-strand connecting member 1 is preferably joined to the column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tunnel support T so as to stably connect and support the adjacent tunnel supports T, The member 1 may also be joined to the upper arch portion of the tunnel support T for more stable connection of the tunnel support T. [

이처럼,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는 인접한 갱도용 지주(T)를 상호 연결해 줄 수 있으며, 다수의 갱도용 지주간 연결부재(1)를 통해 다수의 갱도용 지주(T)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ter-strand connecting member 1 can interconnect the adjacent tunnel supports T, and a plurality of tunnel supports T can be interconnected through the plurality of inter- .

다수의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를 통해 다수의 갱도용 지주(T)는 갱내(MS)에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으며, 특히, 갱도(M)의 길이방향을 따라 넘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tunnel supports T can be stably erected in the mine MS via the multiple inter-strand connection members 1 and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nnel M have.

이처럼, 다수의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는 다수의 갱도용 지주(T)를 안정적으로 연결 및 지지해 줌으로써, 갱도(M)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inter-strand inter-link connecting members 1 can more stably support the tunnel M by stably connecting and supporting a plurality of tunnel supports T.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Fig. 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show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strut connection memb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strand inter-strand connecting member 1 shown in FIG. 3, and FIG. 6 is a side view of the inter-strand inter-strand connecting member 1 shown in FIG. As viewed from the other direction.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상술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the concrete structure of the inter-strut inter-link connecting memb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는 갱도(M)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인접한 갱도용 지주(T1, T2)를 상호 연결한다.1 and 2, the inter-strand connecting memb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adjacent tunnel pillars T1 , T2).

구체적으로,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는 제1 연결 바(10), 제1 연결 바(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결 바(20) 및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3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inter-strand connecting member 1 includes a first connecting bar 10, a second connecting bar 20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bar 10, a first connecting bar 10, And at least one fixing member (30) for fixing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제1 연결 바(10) 및 제2 연결 바(20)는 서로 인접한 복수의 갱도용 지주(T1, T2)를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플레이트일 수 있으며, 복수의 갱도용 지주(T1, T2)를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철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may be plates formed to be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interconnect a plurality of adjacent tunnel supports T1 and T2, , T2) can be stably fixed and supported by a metal such as iron.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는 길이가 상이할 수 있다. 다만, 제1 연결 바(10) 및 제2 연결 바(20)의 길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의 길이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on bar 20 may have different lengths. The lengths of the first connecting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may be variously changed and the lengths of the first connecting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may be the same. have.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연결 바(10)는 복수의 갱도용 지주(T1, T2) 중 어느 하나(T1)에 고정되도록 일단에 절곡 형성된 제1 걸림부(11)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necting bar 10 includes a first fastening portion 11 formed at one end thereof so as to be fix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tunnel supports T1 and T2.

제1 연결 바(10)는 제1 걸림부(11)를 통해 갱도용 지주(T1)에 걸림으로써 갱도용 지주(T1)에 일단이 고정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1 연결 바(10)의 제1 걸림부(11)는 I빔 또는 H빔으로 이루어진 갱도용 지주(T1)의 플랜지부(TF)에 걸림으로써 제1 연결 바(10)를 갱도용 지주(T1)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bar 10 can be fixed to the tunnel support T1 by being hooked to the tunnel support T1 through the first coupling part 11. Specifically, The first hooking portion 11 of the first connecting bar 10 can be fixed to the tunnel support T1 by engaging the flange portion TF of the tunnel support T1 made of the I beam or the H beam .

제2 연결 바(20)는 제1 연결 바(10)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연결 바(10)가 고정되 갱도용 지주(T1)와 인접한 갱도용 지주(T2)에 고정되도록 일단에 절곡 형성된 제2 걸림부(21)를 포함한다.The second connecting bar 20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first connecting bar 1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bar 10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bar 10 is fixed to the tunnel supporting column T1 adjacent to the tunnel supporting column T2, And a second latching portion 21 formed on the first latching portion 21.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연결 바(10)는 제1 걸림부(11)를 통해 갱도용 지주(T1)의 플랜지부(TF)에 걸림으로써 갱도용 지주(T1)에 고정되며, 제2 연결 바(20) 역시 제2 걸림부(21)를 통해 인접한 갱도용 지주(T2)의 플랜지부에 걸림으로써 인접한 갱도용 지주(T2)에 고정된다.The first connection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on bar 20 are slidably coupled and the first connection bar 10 is connected to the flange portion TF of the tunnel support T1 via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 [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is also fixed to the flange portion of the adjacent tunnel support T2 via the second hooking portion 21 so that the adjacent tunnel support T2 .

인접한 복수의 갱도용 지주(T1, T2)에 각각 고정된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30)를 통해 상호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는 인접한 복수의 갱도용 지주(T1, T2)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fixed to the adjacent plurality of tunnel supports T1 and T2 can be mutually fixed via at least one fixing member 30, The inter-strand connecting memb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irmly connect a plurality of adjacent tunnel pillars T1, T2.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바(10)는 제1 연결 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체결구멍(10H)을 포함하고, 제2 연결 바(20)는 제2 연결 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 형상의 슬롯(20H)을 포함한다.3 to 6, the first connecting bar 10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0H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ng bar 10, Shaped slot 20H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30)는 각각, 다수의 체결 구멍(10H) 중 어느 하나와 슬롯(20H)을 관통하여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를 고정한다.The at least one fixing member 30 for fixing the first connecting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0H through the slot 20H, The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are fixed.

고정부재(30)는 한 쌍의 볼트(31)와 너트(32)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수 또는 다수의 고정부재(30)가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를 고정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30 may be composed of a pair of bolts 31 and a nut 32. The fixing member 30 may be composed of a first connecting bar 10 and a second connecting bar 20 Can be fixed.

고정부재(3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fixing member 30 will be described later.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는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는 상호 슬라이딩 가능한 레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may b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connecting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may be formed of a rail structure have.

구체적으로, 제1 연결 바(10)는 제1 연결 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레일 본체(101) 및 제1 레일 본체(101)의 양측에 절곡 형성된 제1 플랜지(102)를 포함한다.The first connecting bar 10 includes a first rail body 101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ng bar 10 and a first flange 102 bent on both sides of the first rail body 101, .

아울러, 제2 연결 바(20)는 제2 연결 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제1 레일 본체(101)와 접하는 제2 레일 본체(201) 및 제2 레일 본체(201)의 양측에 절곡 형성된 제2 플랜지(202)를 포함한다.The second connecting bar 20 includes a second rail main body 201 and a second rail main body 201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and contacting the first rail main body 101, And a second flange 202 bent on both sides.

이를 통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 바(20)는 제1 연결 바(10)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레일 본체(101)와 제2 레일 본체(201)가 접촉된 상태에서 제2 연결 바(20)는 제1 플랜지(102)에 의해 제1 레일 본체(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이드될 수 있다.1 to 6,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can be slidably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connecting bar 10, and the first and second rail main bodies 101 and 2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can be gu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rail body 101 by the first flange 102 while the rail body 201 is in contact.

또한,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는 레일 본체(101, 201) 및 플랜지(102, 202)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의 자체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are constructed of the rail bodies 101 and 201 and the flanges 102 and 202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 Can be increased.

아울러, 제2 연결 바(20)는 제1 연결 바(10)의 내측에서 제1 플랜지(102)에 의해 슬라이딩이 안정적으로 가이드 될 뿐만 아니라, 제1 연결 바(10)와 결합된 상태에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liding is stably guided by the first flange 102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connecting bar 10, And can be stably fixed.

아울러, 제1 연결 바(10) 역시 제2 플랜지(202)에 의해 슬라이딩이 가이드될 수 있으며, 제2 연결 바(20)와 결합된 상태에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ng bar 10 can be guided by the second flange 202, and can be stably fixed without being shaken in a state of being coupled with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또한, 제2 연결 바(20)가 제1 연결 바(10)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조 외에도, 제1 연결 바(10)가 제2 연결 바(20)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조도 가능하다(도 9 및 도 10 참조).In addition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is slidably disposed inside the first connecting bar 10, the first connecting bar 10 is slidably disposed inside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See Figs. 9 and 10).

이처럼,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가 슬라이딩 가능한 레일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의 슬라이딩 결합을 통한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게 가능하다.Since the first connecting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are formed in a slidable rail structure, the first connecting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can be slidably engaged with each other,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member 1 can be easily adjusted.

이를 통해,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의 슬라이딩에 따라 제1 걸림부(11)와 제2 걸림부(21)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ngaging part 11 and the second engaging part 21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liding of the first connecting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구체적으로, 복수의 갱도용 지주(T)는 기설정된 간격(약 75㎝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를 통해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인접한 갱도용 지주(T1, T2)가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암석으로 이루어진 갱도(M)의 특성 상 갱도(M) 내부 및 내벽의 표면은 울퉁불퉁하게 굴곡진 형상인 것이 일반적이므로 인접한 갱도용 지주(T1, T2) 사이의 간격이 기설정된 간격에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아울러 갱도(M)의 지반이 약한 부분에는 기설정된 간격 이하로 갱도용 지주(T)를 배치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tunnel supports (T) can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bout 75 cm apart), and adjacent tunnel supports (1)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rough the inter- T1, T2 can be connected. However, since the inside of the tunnel M and the surface of the inner wall are generally curved in shap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unnel M made of rock, the spacing between the adjacent tunnel supports T1 and T2 has an erro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tunnel support T can be disposed at a portion where the ground of the tunnel M is weak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r l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는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인접한 갱도용 지주(T1, T2) 사이의 간격에 맞추어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의 슬라이딩을 조정함으로써, 갱도용 지주(T1, T2)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는 갱도용 지주(T1, T2) 사이의 간격에 구애됨이 없이 인접한 갱도용 지주(T1, T2)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The inter-strand connecting memb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bars 10 and 20 ar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The sliding connection of the first connecting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rval between the adjacent tunnel connecting members 1 and 2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between the tunnel supports T1 and T2 So that the inter-strand connecting member 1 can firmly connect the adjacent tunnel supports T1 and T2 without depending on the spacing between the tunnel supports T1 and T2 .

또한, 제1 레일 본체(101)와 제2 레일 본체(201)는 서로 마주하는 접촉면(101S, 202S)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 돌기부(1011, 2011)를 포함한다.The first rail body 101 and the second rail body 201 include non-slip projections 1011 and 2011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s 101S and 202S facing each other.

미끄럼 방지 돌기부(1011, 2011)는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가 결합됨으로써 서로 접촉하는 제1 레일 본체(101)와 제2 레일 본체(201)의 접촉면(101S, 201S) 상에 형성됨으로써 상호 접촉 및 마찰될 수 있는바,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가 상호 미끄러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lip prevention protrusions 1011 and 2011 are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s 101S and 101R of the first rail body 101 and the second rail body 201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first connection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on bar 20 being engaged, The first connecting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nnecting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mutual slippage or separation of the two.

아울러, 미끄럼 방지 돌기부(1011, 2011)를 통해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의 슬라이딩 속도가 제어될 수 있는바, 작업자는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의 결합 과정에서 슬라이딩의 미세 조절을 통해,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의 결합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ing speed of the first connecting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non-slip protrusions 1011 and 2011, and the operator can control the sliding speed of the first connecting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first connection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on bar 20 can be finely adjusted through fine adjustment of the sliding in the coupling process of the bar 20.

전술한 다수의 체결구멍(10H)은 제1 레일 본체(101)에 형성되고, 제1 연결 바(10)의 제1 걸림부(11)가 형성된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에 근접하게 배치된다.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0H described above are formed in the first rail body 101 and are arranged close to the other end opposite to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ar 10 where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 is formed.

아울러, 슬롯(20H)은 제2 레일 본체(201)에 형성되고 제2 연결 바(20)의 제2 걸림부(21)가 형성된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에 근접하게 배치된다.The slot 20H is formed in the second rail body 201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where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1 is formed.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체결구멍(10H)은 제1 레일 본체(101)의 미끄럼 방지 돌기(1011)가 형성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슬롯(20H)은 제2 레일 본체(201)의 미끄럼 방지 돌기(2011)가 형성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4 to 6,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0H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first rail body 101 where the non-slip protrusions 1011 are formed, and the slots 20H may be formed on the second rail Preventing projection 2011 of the main body 201 is formed.

전술한 제1 연결 바(10) 및 제2 연결 바(20)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금속재 플레이트에 대한 가공으로 제조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on bar 20 may be manufactured by machining a long metal plate.

구체적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금속재 플레이트에 프레스 가공을 통해 레일 본체(101, 201)와 플랜지(102, 202)를 형성할 수 있고, 일단을 절곡시킴으로써 걸림부(11, 21)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에 근접하게 미끄럼 방지 돌기(1011, 2011)를 형성하고, 다수의 체결구멍(10H) 및 슬롯(20H)을 타공을 통해 형성함으로써 제1 및 제2 연결 바(10, 20)를 제조할 수 있다.Concretely, the rail main bodies 101 and 201 and the flanges 102 and 202 can be formed by press-working a metal material plat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engaging portions 11 and 21 can be formed by bending one end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bars 10 and 11 are formed by forming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0H and the slots 20H through the punches by forming the slip prevention protrusions 1011 and 2011 close to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one end, 20) can be produced.

이처럼, 간단한 공정을 통해 슬라이딩을 통한 길이 조절이 용이하고, 인접한 갱도용 지주(T1, T2)를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연결바(10, 20)를 제조할 수 있다.Thus,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bars 10, 20 which can easily adjust the length through sliding through the simple process and stably connect the adjacent tunnel pillars T1, T2.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30)는 한 쌍의 볼트(31)와 너트(32)로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member 30 may be composed of a pair of bolts 31 and a nut 32. [

볼트(31)는 제2 연결 바(20)의 슬롯(20H)과 제1 연결 바(10)의 체결구멍(10H)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32)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를 견고하게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The bolt 31 can be coupled with the nut 32 in a state where the bolt 31 passes through the slot 20H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and the fastening hole 10H of the first connecting bar 10 sequentially, The first connecting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can be firmly engaged and fixed.

제1 연결 바(10)는 다수의 체결구멍(10H)을 포함하고, 제2 연결 바(20)는 장공 형상의 슬롯(20H)을 포함함으로써,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가 길이조절을 위해 슬라이딩을 마친 상태에서 볼트(31)는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의 고정을 위해 슬롯(20H) 및 체결구멍(10H)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bar 10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0H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includes a slot 20H having an elongated hole shape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The bolt 31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lot 20H and the fastening hole 10H for fixing the first connecting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in a state in which the bolt 31 has been slid to adjust the length Can be inserted.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0)는 3개의 고정부재(30)로 구성될 수 있으며, 3쌍의 볼트(31)와 너트(32)가 슬롯(20H) 및 3개의 체결구멍(10H)을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1 to 6, the fixing member 30 may be composed of three fixing members 30, and three pairs of bolts 31 and nuts 32 are provided in the slots 20H and three The first connection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on bar 20 can be firmly fixed by being coupl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10H.

아울러,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31)는 머리부(311), 머리부(311)로부터 돌출 형성된 축부(312) 및 축부(312)로부터 돌출 형성된 나사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4 to 6, the bolt 31 includes a head portion 311, a shaft portion 312 protruding from the head portion 311, and a threaded portion 313 protruding from the shaft portion 312 can do.

축부(312)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haft portion 312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for example, a rectangular shape.

머리부(311) 및 나사부(313)는 일반적인 볼트의 구조와 동일 및 유사하다.The head portion 311 and the screw portion 313 are similar to or similar to the structure of a general bolt.

또한, 체결구멍(10H)은 체결구멍(10H)에 삽입된 축부(312)를 고정하도록 축부(312)의 다각형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hole 10H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olygon of the shaft portion 312 so as to fix the shaft portion 312 inserted in the fastening hole 10H.

구체적으로, 축부(312)가 사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됨에 따라, 다수의 체결구멍(10H)은 축부(312)의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since the shaft portion 312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0H can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haft portion 312.

따라서, 볼트(31)는 체결구멍(10H)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Therefore, the bolt 31 can be fixed in a state in which it is prevented from being rota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0H.

이를 통해, 작업자는 볼트(31)가 제1 및 제2 연결 바(10, 20)를 관통하도록 슬롯(20H) 및 체결구멍(10H)에 볼트(31)를 삽입한 상태에서, 볼트(31)에 대한 별도의 파지(또는 고정) 없이 너트(32)를 나사부(313)를 따라 회전시킴으로써 너트(32)를 볼트(31)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The worker can insert the bolts 31 into the slots 20H and the fastening holes 10H so that the bolts 31 penetrat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bars 10 and 20, The nut 32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bolt 31 by rotating the nut 32 along the threaded portion 313 without a separate gripping (or fixing) for the bolt 31.

따라서, 작업자는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의 고정을 위해 볼트(31)와 너트(32)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갱도(M)의 내부가 어둡더라도 용이하게 볼트(31)와 너트(32)를 손의 감각만으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볼트(31)와 너트(32)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inside of the tunnel M is dark in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bolts 31 and the nuts 32 for fixing the first connecting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The bolt 31 and the nut 32 can be easily fastened to each other only by the sense of the hand and the bolt 31 and the nut 32 can be easily fastened even when the glove is worn.

이처럼,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재질의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를 통해 갱도용 지주(T1, T2)를 견고하게 연결 및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는 슬라이딩을 통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의 결합을 통해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인접한 갱도용 지주(T1, T2) 사이의 간격에 맞춰 인접한 갱도용 지주(T1, T2)를 타이트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연결 바(10, 20)의 레일 구조를 통해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연결 바(10, 20)의 강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연결 바(10, 20)의 레일 구조를 통해 작업자는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다각형 형상의 축부(312) 및 이와 대응되는 형상의 체결구멍(10H)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제1 연결 바(10)와 제2 연결 바(20)를 고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unnel pillars T1 and T2 can be firmly connected and supported through the metal interlocking link member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length of the inter-strand connecting member 1 is adjusted through the coupling of the first connecting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which can vary in length through sliding, The adjacent tunnel pillars T1 and T2 can be tightly fix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bars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s 10 and 20 through the rail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bars 10 and 20. [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can be firmly fixed and the rigidity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bars 10 and 20 can be further increased. Also, through the rail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bars 10 and 20, the operator can easily adjust the length of the inter-strand connecting member 1, and the polygonal shaft portion 312 and the corresponding The first connecting bar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20 can be more easily fixed through the fastening holes 10H.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strand connecting member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strand inter-strand connecting member 2 shown in FIG. 7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2)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inter-strand connection member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2)는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와 그 구성이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7 and 8, the inter-strand inter-strand connecting member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inter-strand connecting links 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Since the structure of the member 1 is similar to that of the member 1, the overlapp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 from the inter-strand connection memb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2)는 제1 연결 바(40), 제2 연결 바(50) 및 복수의 고정부재(30)를 포함한다.7 and 8, the inter-strand connecting member 2 includes a first connecting bar 40, a second connecting bar 50, and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30. As shown in Fig.

제1 및 제2 연결 바(40, 50)는 일단에 형성된 제1 및 제2 걸림부(41, 51)를 각각 포함하며, 제1 및 제2 레일 본체(401, 501)와 제1 및 제2 플랜지(402, 502)를 각각 포함한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bars 40 and 50 includes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41 and 51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rail bodies 401 and 501, 2 flanges 402, 502, respectively.

아울러, 제1 및 제2 연결 바(40, 50)는 제1 및 제2 레일 본체(401, 501)의 접촉면(401S, 501S)에 각각 형성된 미끄럼 방지 돌기(4011, 5011)를 포함한다.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bars 40 and 50 include non-slip protrusions 4011 and 5011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s 401S and 501S of the first and second rail bodies 401 and 501, respectively.

다만, 제1 연결 바(40)는 제1 연결 바(40)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장공 형상의 슬롯(40H)을 포함하고, 제2 연결 바(50)는 제2 연결 바(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체결구멍(50H)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와 차이가 있다.The first connecting bar 40 includes an elongated slot 40H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ng bar 40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50 includes a slot Is different from the inter-strand connection member 1 shown in Figs. 1 to 6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50H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31)는 제2 연결 바(50)의 체결구멍(50H)과 제1 연결 바(40)의 슬롯(40H)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32)와 결합된다.7 and 8, the bolt 31 is in a state of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50H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50 and the slot 40H of the first connecting bar 40 (32).

제2 연결 바(50)의 체결구멍(50H)은 볼트(31)의 사각형 형상의 축부(312)의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형의 형상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체결구멍(50H)에 삽입된 축부(312)에 의해 볼트(31)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The fastening hole 50H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5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ectangular shaped shaft portion 312 of the bolt 31, The bolt 31 can be fixed without rotating by the bolt 312.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3)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3)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9 is a side view of the inter-strand connecting member 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strand inter-strand connecting member 3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3)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inter-strand connection member 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FIG.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3)는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와 그 구성이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9 and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strand connecting member 3 is provided between the tunnels Since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ng member 1 is similar to that of the connecting member 1, the overlapp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 from the inter-strand connecting memb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3)는 제1 연결 바(60), 제2 연결 바(70) 및 복수의 고정부재(30)를 포함한다.9 and 10, the inter-strand connection member 3 includes a first connection bar 60, a second connection bar 70, and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30. As shown in Figs.

제1 및 제2 연결 바(60, 70)는 일단에 형성된 제1 및 제2 걸림부(61, 71)를 각각 포함하며, 제1 및 제2 레일 본체(601, 701)와 제1 및 제2 플랜지(602, 702)를 각각 포함한다.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bars 60 and 70 includ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61 and 71 respectively formed at one end there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bars 60 and 70 include first and second rail bodies 601 and 701, 2 flanges 602 and 702, respectively.

아울러, 제1 및 제2 연결 바(60, 70)는 제1 및 제2 레일 본체(601, 701)의 접촉면(601S, 701S)에 각각 형성된 미끄럼 방지 돌기(6011, 7011)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bars 60 and 70 include non-slip projections 6011 and 7011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s 601S and 701S of the first and second rail bodies 601 and 701, respectively.

다만, 제1 연결 바(60)는 제2 연결 바(70)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1)와 차이가 있다.However, the first connecting bar 60 differs from the inter-strand connecting member 1 shown in Figs. 1 to 6 in that the first connecting bar 60 is slidably disposed inside the second connecting bar 70.

구체적으로, 제1 연결 바(60)는 제2 연결 바(70)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레일 본체(701)와 제1 레일 본체(601)가 접촉된 상태에서 제1 연결 바(60)는 제2 플랜지(702)에 의해 제2 레일 본체(7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이드 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bar 60 may be slidably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70 and the first connecting bar 60 may be slidably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70 while the second rail body 701 and the first rail body 60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connecting bar 60 can be gu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rail body 701 by the second flange 702.

아울러, 제2 연결 바(70) 역시 제1 플랜지(602)에 의해 슬라이딩이 가이드 될 수 있으며, 제1 연결 바(60)와 결합된 상태에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ng bar 70 can be guided by the first flange 602, and can be stably fixed without being shaken in a state of being coupled with the first connecting bar 60. [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31)는 제1 연결 바(60)의 체결구멍(60H)과 제2 연결 바(70)의 슬롯(70H)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32)와 결합됨으로써 제1 연결 바(60)와 제2 연결 바(70)를 고정할 수 있다.9 and 10, the bolt 31 is in a state of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60H of the first connecting bar 60 and the slot 70H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70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bar 60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70 can be fixed.

제1 연결 바(60)의 체결구멍(60H)은 볼트(31)의 사각형 형상의 축부(312)의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형의 형상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체결구멍(60H)에 삽입된 축부(312)에 의해 볼트(31)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The fastening hole 60H of the first connecting bar 6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ectangular shaft portion 312 of the bolt 31, The bolt 31 can be fixed without rotating by the bolt 312.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상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
10; 제1 연결 바
10H; 체결구멍
11; 제1 걸림부
101; 제1 레일 본체
102; 제1 플랜지
1011; 미끄럼 방지 돌기
20; 제2 연결 바
20H; 슬롯
21; 제2 걸림부
201; 제2 레일 본체
202; 제2 플랜지
2011; 미끄럼 방지 돌기
30; 고정부재
31; 볼트
32; 너트
One; Connecting members between tunnel columns
10; The first connecting bar
10H; Fastening hole
11; The first engaging portion
101; The first rail body
102; The first flange
1011; Slippery projection
20; The second connecting bar
20H; slot
21;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01; The second rail body
202; The second flange
2011; Slippery projection
30; Fixed member
31; volt
32; nut

Claims (7)

I빔 또는 H빔으로 이루어져 갱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갱도용 지주를 연결하는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판재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갱도용 지주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도록 일단에 절곡 형성된 제1 걸림부를 포함하는 제1 연결 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판재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연결 바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연결 바가 고정된 갱도용 지주와 인접한 갱도용 지주에 고정되도록 일단에 절곡 형성된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제2 연결 바; 및
상기 제1 연결 바와 상기 제2 연결 바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바는 상기 제1 연결 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체결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바는 상기 제2 연결 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 형상의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는 각각, 상기 다수의 체결구멍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연결 바와 상기 제2 연결 바를 고정하고,
상기 제1 연결 바와 상기 제2 연결 바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슬라이딩 가능한 레일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 바는, 상기 제1 연결 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1 레일 본체 및 상기 제1 레일 본체의 양측에 절곡 형성된 제1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바는, 상기 제2 연결 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레일 본체와 접하는 제2 레일 본체 및 상기 제2 레일 본체의 양측에 절곡 형성된 제2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레일 본체와 상기 제2 레일 본체는, 서로 마주하는 접촉면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 돌기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멍은 상기 고정부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다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걸림부는, 서로 인접한 복수의 갱도용 지주의 각 플랜지부에 각각 걸림으로써 상기 서로 인접한 복수의 갱도용 지주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레일 본체로부터 예각을 이루도록 각각 절곡되는, 갱도용 지주간 연결부재.
An interwoven strut connecting member composed of an I beam or an H beam and connecting a plurality of tunnel posts arranged sequenti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nnel,
A first connecting bar comprising a plate memb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ing a first engaging portion bent at one end to be fix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unnel supports;
A first connecting bar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bar and configured to be bent at one end so as to be fixed to the tuning pillar adjacent to the tuning pillar fixed to the first connecting bar; 2 connecting bars; And
And at least one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first connection bar and the second connection bar,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bar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bar,
Wherein the second connection bar includes a slot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bar,
Wherein each of the at least one holding member is fixed to the first connecting bar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through one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nd the slot,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bar and the second connection bar are formed in a rail structure slid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bar includes a first rail body extending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ng bar and a first flange bent at both sides of the first rail body,
Wherein the second connecting bar includes a second rail body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rail body and a second flange bent at both sides of the second rail body,
Wherein the first rail body and the second rail body each include a non-slip protrusion formed on an opposing contact surface,
Wherein the fastening hole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so as to fix the fastening member,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are respectively engaged with flanges of a plurality of tunnel posts adjacent to each other so as to connect the plurality of adjacent tunnel posts to each other at an acute angle from the first and second rail bodies Bending, tunnel pivot connection me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체결구멍은, 상기 제1 레일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 바의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슬롯은 상기 제2 레일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 바의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갱도용 지주간 연결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first rail body and are disposed close to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ar,
Wherein the slot is formed in the second rail body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other end opposite to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바는 상기 제1 연결 바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제1 연결 바는 상기 제2 연결 바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갱도용 지주간 연결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nnecting bar is slidably disposed inside the first connecting bar or the first connecting bar is slidably disposed inside the second connecting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한 쌍의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고,
상기 볼트는 머리부, 상기 머리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축부 및 상기 축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부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구멍은 상기 체결구멍에 삽입된 상기 축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축부의 다각형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갱도용 지주간 연결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member is composed of a pair of bolts and a nut,
Wherein the bolt includes a head portion, a shaf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head portion, and a screw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haft portion,
Wherein the shaft portion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Wherein the fastening hole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olygon of the shaft portion so as to fix the shaft portion inserted in the fastening hole.
KR1020180112915A 2018-09-20 2018-09-20 Connecting member between timbering for the mine KR1019793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915A KR101979368B1 (en) 2018-09-20 2018-09-20 Connecting member between timbering for the m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915A KR101979368B1 (en) 2018-09-20 2018-09-20 Connecting member between timbering for the m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368B1 true KR101979368B1 (en) 2019-05-17

Family

ID=66678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915A KR101979368B1 (en) 2018-09-20 2018-09-20 Connecting member between timbering for the m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36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90070A (en) * 2021-08-12 2021-12-14 新汶矿业集团有限责任公司 Variable-rigidity yielding steel shed support for rock burst mine and implementation method
CN114017076A (en) * 2021-10-11 2022-02-08 煤炭科学研究总院 Supporting shed frame with self-locking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716B1 (en) * 2006-11-13 2008-01-21 조백순 Fiber-metal composite pannel, cut and cover tunnel structure and tunne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JP2009263938A (en) * 2008-04-23 2009-11-12 Shimizu Corp Gallery timbering method
KR101481437B1 (en) 2014-05-07 2015-01-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Timbering for tunnel in the mine
JP2016156261A (en) * 2015-02-23 2016-09-01 大成建設株式会社 Joint material for tunnel suppor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716B1 (en) * 2006-11-13 2008-01-21 조백순 Fiber-metal composite pannel, cut and cover tunnel structure and tunne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JP2009263938A (en) * 2008-04-23 2009-11-12 Shimizu Corp Gallery timbering method
KR101481437B1 (en) 2014-05-07 2015-01-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Timbering for tunnel in the mine
JP2016156261A (en) * 2015-02-23 2016-09-01 大成建設株式会社 Joint material for tunnel suppor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90070A (en) * 2021-08-12 2021-12-14 新汶矿业集团有限责任公司 Variable-rigidity yielding steel shed support for rock burst mine and implementation method
CN113790070B (en) * 2021-08-12 2023-11-24 新汶矿业集团有限责任公司 Variable-rigidity yielding steel shed support for rock burst mine and implementation method
CN114017076A (en) * 2021-10-11 2022-02-08 煤炭科学研究总院 Supporting shed frame with self-locking structure
CN114017076B (en) * 2021-10-11 2022-11-08 煤炭科学研究总院有限公司 Supporting shed frame with self-locking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368B1 (en) Connecting member between timbering for the mine
US3301514A (en) Clips for conduits or pipes
EP3725976B1 (en) Device for dismountably connecting two intersecting formwork beams
US4475648A (en) Belt conveyor
US4077730A (en) Coupling for tubular scaffolding
KR102166828B1 (en) Bracket for foot board
US530205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mine roof
US4479575A (en) Retaining device
US7261494B2 (en) Truss shoe
KR101599672B1 (en) Coupling device for supporting beam of earth retaining wall
US2787931A (en) Mine roof bolts with multiple piece shell having u-shaped spring holding means
US8197160B2 (en) Mine roof and rib support with reinforced channel
KR101783387B1 (en) Production method of safety pipe support and the safety pipe support
US11242750B2 (en) Adjustable lattice girder
KR101895306B1 (en) Band steel locking device
KR100466493B1 (en) Rock bolt linking reinforcement equipment
US4050212A (en) Profile steel
KR101621070B1 (en) Stone Mounting Bracket Assembly on Building Wall
US6045114A (en) Elongated, curved framework with a variable degree of curvature
US4444304A (en) Scraper chain conveyor channel section
US20110250024A1 (en) Mine Roof and Rib Support with Vertical Bolt
US3062573A (en) Clamping assembly
US20150056023A1 (en) Mine roof and rib support
KR101927760B1 (en) Band steel locking device
GB2288831A (en) Support assembly for brick clad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