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890B1 -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 Google Patents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890B1
KR101978890B1 KR1020180063787A KR20180063787A KR101978890B1 KR 101978890 B1 KR101978890 B1 KR 101978890B1 KR 1020180063787 A KR1020180063787 A KR 1020180063787A KR 20180063787 A KR20180063787 A KR 20180063787A KR 101978890 B1 KR101978890 B1 KR 101978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holding
tooth
teeth
holding part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7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성철
Original Assignee
문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성철 filed Critical 문성철
Priority to PCT/KR2018/01542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1234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8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Transparent dental braces are disclosed. The disclosed transparent dental braces comprise: inner holding parts fitted to teeth so as to cover the teeth; and outer correcting parts coupled to the inner holding parts so as to cover the inner holding parts, wherein the inner holding part has higher rigidity and lower elasticity than the outer correcting par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rrecting part is partial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holding part.

Description

투명 치아 교정장치{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0001]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0002]

투명 치아 교정장치가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홀딩부 및 외부 교정부를 포함하는 투명 치아 교정장치가 개시된다.A transparent tooth correcting apparatus is disclosed. More particularly, a transparent tooth correcting device including an inner holding portion and an outer calibrating portion is disclosed.

투명 치아 교정장치는 열가소성이며 판상의 투명한 고분자 복합 수지(이하, 수지)를 열 가압 성형하여 원하는 치아 이동을 달성하는 장치를 지칭한다. The transparent tooth correcting apparatus refers to a device that thermally pressurizes a thermoplastic, plate-shaped transparent polymer composite resin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sin) to achieve a desired tooth movement.

투명 치아 교정장치는 일반 교정장치와 같이 치아에 부착되어 돌출되고, 눈에 띄는 구조물이나 금속제 와이어가 없으며, 색상이 거의 투명하여 일반 교정장치에 비해 심미적인 측면에서 탁월하다. 따라서, 교정치료를 받기를 원하지만 교정장치를 치아에 부착하는 것이 직장생활, 대인관계 및 자신감에 악영향을 줄 것을 염려하여 교정치료를 선택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은데, 투명 치아 교정장치는 이러한 부담감을 피해서 편안하게 교정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is superior to the general orthodontic device in terms of aesthetics, because it is attached to the tooth like a general orthodontic device and protrudes, has no visible structure or metal wire, and is almost transparent in color. Therefore, many people who want to receive orthodontic treatment but are unable to select orthodontic treatment because they are concerned that adhering the orthodontic appliance to teeth may adversely affect work lif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elf-confidence.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avoids this burden Make sure you get comfortable orthodontic treatment.

또한, 장치의 두께가 얇아서 착용이 편안한데다가 식사나 양치질을 위하여 잠시 구강에서 제거할 수도 있어서 일상생활의 불편감도 현저하게 적다. 따라서, 부정교합은 인구에 매우 빈발하므로 투명 치아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정치료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과 수요가 클 수 밖에 없어서, 투명 치아 교정장치 관련 시장규모는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In addi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device is thin, it is easy to wear and can be removed from the mouth for a while in order to eat or gargle, so that the inconvenience of daily life is remarkably small. Therefore, since malocclusion is very common in the population, the public interest and demand for orthodontic treatment using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are inevitably large, and the market size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is continuously expanding.

투명 치아 교정장치, 즉 열 가압 성형된 수지는 통상적으로 얼라이너(aligner)로 불리는데, 치아의 이동을 수지의 탄성한계 내에서 상기 수지에 단계적으로 구현하여 환자의 구강에 착용시킴으로써 계획된 치아의 이동을 연속적으로 달성하게 된다. 이런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얼라이너를 열 가압 성형하기 위해 사용하는 치열의 모형(주형(mold))에 치아의 이동 양상이 단계적으로 재현되어 있어야 한다.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s, that is, thermoformed resins, are commonly referred to as aligners, in which the movement of a tooth is phased into the resin within the resilient limits of the resin and is worn on the patient's mouth, Successively. To achieve this effect, the movement pattern of the teeth should be reproduced in a stepwise manner in the dental model (mold) used for thermo-pressing the aligner.

주형(mold)에 치아의 단계적 이동 양상을 재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아래의 두 가지 방법이 있다.The following two methods are used to reproduce the stepwise movement pattern of a tooth on a mold.

첫째, 수작업 방식이다. 환자 치열의 석고모형을 채득하고, 상기 채득된 석고모형으로부터 각 치아들을 하나씩 실톱으로 분리한 후, 치아의 이동방향과 수지의 탄성한계를 고려하여 분리된 개별 치아들에 적절한 위치 이동을 시킨 후 접착제나 왁스로 상기 채득된 석고모형에 다시 고정시킨다. 결과적인 석고모형을 주형으로 사용하여 열 가압 성형을 실시한다. 이렇게 얻어진 얼라이너를 환자 구강 내에 장착하게 되면, 얼라이너에 구현된 치아의 다음 단계 위치 이동 정보가 수지의 탄성 복원력으로 치아에 전달되어 치아이동이 발생한다. First, it is a manual method. After the gypsum model of the patient's teeth was obtained, each tooth was separated from the obtained gypsum model one by one by a jigsaw and then moved to the individual teeth sepa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ooth and the elastic limit of the resin, And then fixed with the wax to the gypsum model thus obtained. The resultant gypsum model is used as a mold to perform thermal press molding. When the thus obtained aligner is mounted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the positional movement information of the next step of the tooth implemented in the aligner is transmitted to the tooth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resin, and tooth movement occurs.

얼라이너는 이에 구현된 치아의 이동이 실제 치아에 나타날 때까지 충분한 시간 동안 착용해야 한다(일반적으로 하루 16~21시간, 7~14일 이상). 그 후, 다음 단계의 치아이동을 위한 얼라이너를 얻기 위하여, 환자의 구강 인상을 다시 채득하고 그것에 치과용 석고를 부어서 굳힌 환자 치열의 석고모형을 얻은 후에 위 과정을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원하는 치아 배열을 얻는 방식이다.The aligner should be worn for a sufficient period of time (typically 16 to 21 hours per day, 7 to 14 days or more) until the movement of the implemented tooth appears on the actual tooth. Thereafter, in order to obtain an aligner for the next step of tooth movement, the patient's oral impression is again taken, and a dental gypsum is poured into it to obtain a gypsum model of the hardened patient's teeth. Method.

둘째, 3D 스캐닝 및 3D 프린팅 기술에 기반한 방식이다. 환자 치열의 3차원 영상을 스캐너로 얻고, 이 영상을 이용하여 원하는 치아이동 방향과 수지의 탄성을 고려하여 단계적인 치아이동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시뮬레이션 한다. 개별 치아의 이동이 처음 위치부터 마지막 위치까지 단계적으로 구현된다. 그 후, 각 단계별로 하나씩 수지의 열 가압 성형을 위한 주형(mold)을 3차원 프린터로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된 주형에 열 가압 성형을 실시하여 치아이동을 위한 각 단계의 얼라이너를 얻는다. Second, it is based on 3D scanning and 3D printing technology. A three - dimensional image of the patient 's teeth is obtained with a scanner, and the stepwise tooth movement is simulated by a computer program considering the desired tooth movement direction and resin elasticity using the image. The movement of the individual teeth is implemented step by step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last position. Thereafter, a mold for thermo-pressing the resin one by one is output to the three-dimensional printer. The mold thus output is thermo-pressed to obtain an aligner for each step for tooth movement.

수작업 방식 대비 이것의 장점은, 환자를 반복적으로 불러서 인상을 채득할 필요가 없고, 치열의 3차원 영상을 기반으로 컴퓨터 화면에 구현된 치아이동의 단계별 시뮬레이션을 확인하여 사전에 치아 이동이 합리적으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하고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최종적인 치료결과와 치료과정에 대하여 환자와 의사, 또는 의사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와의 의사소통이 가능하여, 행여 발생할 수 있는 에러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 방식의 대표적인 서비스가 Invisalign (Align Technology)이다.The advantage of this compared to the manual method is that it is not necessary to repeatedly call the patient to make an impression and the stepwise simulation of the tooth movement implemented on the computer screen based on the 3D image of the teeth is confirmed, It can be confirmed and adjus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patient, the doctor, or the company providing the service to the final treatment result and the treatment process, so that errors that may occur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 typical service of this method is Invisalign (Align Technology).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투명 치아 교정장치는 장치의 심미성과 사용의 편리성이 탁월하여 일반적인 와이어 교정장치에 비해 교정치료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굉장히 매력적이다. 그러나, 기존의 투명 치아 교정장치는 아래와 같은 단점과 한계를 가지므로 일반적인 와이어 교정장치를 완전히 대체할 수 없고, 간단한 치아이동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is very attractive to those who want orthodontic treatment compared to general wire orthodontic appliances because of their excellent aesthetics and ease of use.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has the following disadvantages and limitations, it can not completely replace the conventional wire straightening device and is mainly used for simple tooth movement.

첫째, 얼라이너로 사용되는 수지의 탄성한계가 작아서 발생하는 “치아 이동 양상의 비효율성”이라는 단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얼라이너를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수지의 탄성한계는 교정용 와이어에 비해 그 범위가 상당히 제한적이다. 와이어는 탄성한계가 커서 복잡한 치아이동도 한 번에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수지의 탄성한계는 와이어에 비하여 매우 작아서, 복잡한 치아이동을 위해서는 전체 단계를 대단히 많이 세분하여야 하므로 많은 수의 얼라이너를 제작해야 한다. 또한, 환자는 각 얼라이너가 탄성력을 발휘하기에 충분한 시간(일반적으로 하루 16~21시간, 7~14일 이상) 동안 장착한 후에야 다음 단계의 얼라이너를 착용할 수 있으므로, 치아 이동 양상이 와이어에 비하여 비효율적이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밖에 없다. 이런 이유로 복잡한 치아이동에는 투명 치아 교정장치가 추천되지 않는다.First, there is a disadvantage of the "inefficiency of the tooth movement pattern" caused by the small elastic limit of the resin used as the aligner. Specifically, the elastic limit of the resin used to make the aligner is significantly limited compared to the orthodontic wire. The wire has a large elastic limit, so complex tooth movements can be realized at the same time. However, since the elastic limit of the resin is very small as compared with the wire, in order to carry out complicated tooth movement, the whole steps must be very much subdivided so that a large number of aligners must be manufactured. In addition, since the patient can wear the next-step aligner after wearing each of them for a sufficient time (generally, 16 to 21 hours per day, 7 to 14 days per day) to exert their elasticity, It is inefficient and time consuming. For this reason, a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is not recommended for complex tooth movement.

둘째, 얼라이너의 탄성력이 치아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힘이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는 “힘 전달과정의 예측 불가능성”이라는 단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얼라이너가 탄성력을 발휘하려면 치아에 장착되면서 변형이 일어나야 한다. 즉, 다음 단계에서 얻고 싶은 치아의 위치가 얼라이너에 구현되어 있으므로, 얼라이너를 환자의 구강 내 치아에 힘을 주어 착용시키면 얼라이너에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변형이 일어나야 탄성이 발휘되어 치아이동을 시킬 수 있지만, 반대로 변형이 일어나므로 얼라이너가 개개 치아에 완전히 적합하지 못하여 힘을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하는 모순된 상황이 발생한다. Second, there is a disadvantage of "unpredictability of the force transfer process" in which the force is not transmitted accurately during the transfer of the elasticity of the aligner to the teeth. Specifically, in order for the aligner to exert its elasticity, it must be deformed while being mounted on the tooth. In other words, since the position of the tooth desired to be obtained in the next step is implemented in the aligner, when the aligner is worn by applying force to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deformation of the aligner occurs. The deformation must occur before the elasticity can be exerted to move the tooth, but the deformation occurs and the contradiction occurs because the aligner is not fully fit to the individual teeth and the force can not be accurately transmitted.

이것은 얼라이너에 발생하는 변형의 양상과 치아의 형태에 따라서 다양하다. 예를 들어, 회전이동의 경우 모서리의 형태가 비교적 또렷한 아래 앞니는 비교적 예측 가능하지만, 둥그런 모양을 하고 있는 작은 어금니는 예측 불가능하거나 회전이동이 불가능하다. 경사이동은 치아의 길이가 긴 앞니나 송곳니는 비교적 예측 가능하지만, 치아의 길이가 짧은 어금니 또는 작은 어금니는 경사 이동 양상이 예측 불가능하다. This varie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deformations that occur in the aligner and the shape of the teeth. For example, in the case of rotational movement, the lower front teeth with comparatively clear corners are relatively predictable, but small molars with round shapes are unpredictable or impossible to translate. The inclined movement is relatively predictable for the long teeth or canines, but the slope of the molar teeth or the small molar teeth with a short tooth length is unpredictable.

"예측 불가능하다"는 의미는 변형된 얼라이너가 치아에 교정적 이동을 일으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힘을 전달하기도 전에, 치아가 얼라이너에 부여된 치아의 음형(negative contour)에서 이탈하거나 부분적으로 벗어나서 원하는 이동이 일어나지 않거나 원하지 않는 다른 형태의 이동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The term " unpredictable " means that the tooth may deviate or partly deviate from the negative contour of the tooth imparted to the aligner before the deformed aligner delivers the force for a sufficient time to cause a corrective movement in the tooth It means that movement does not take place or that other types of movement are not desired.

이것을 막기 위하여 치아의 표면에 특정한 형상을 가진 "돌기"를 달고 얼라이너에 "돌기의 음형(陰形, negative contour)"을 부여하여 이동을 시도하였지만, "돌기의 음형" 자체도 역시 얼라이너의 일부이므로, 변형 양상이나 치아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현상인, "돌기"가 "돌기의 음형"에서 이탈하는 현상을 완전히 막을 수 없어서 예측 불가능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In order to prevent this, a "protrusion" having a specific shape wa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and an attempt was made to move the tooth by giving a "negative contour" to the aligner. However, the "protrusion" itself is also part of the aligner , There is a certain limit to effectively reduce the unpredictability because the phenomenon that the " protrusion ", which is a phenomenon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deformation pattern and the tooth shape, can not be completely prevented from deviating from the " protrusion "

이러한 예측 불가능한 오차들이 누적되면 Invisalign과 같이 전체 치아이동을 시뮬레이션하여 모든 단계의 얼라이너가 사전에 일괄적으로 제작된 경우, 후속 얼라이너들이 점점 맞지 않게 되어 나머지 얼라이너들의 사용이 불가능해지는 현상인, 소위 트랙아웃(track-out)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결국 환자의 현재 치열 형상을 다시 채득하여 후속 얼라이너들을 다시 제작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그렇지만, 후속 제작된 얼라이너들 역시 동일한 상황에 처해 있으므로 상기 오차들이 누적되는 것을 완전히 피할 수는 없다. When these unpredictable errors are accumulated, it is possible to simulate the entire tooth movements such as invisalign, and when all the aligners of all the stages are prepared in advance, it is impossible to use the remaining aligners, A track-out phenomenon occurs.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current dental shape of the patient and reconstruct the subsequent aligners. However, since the subsequent manufactured aligners are also in the same situation, accumulation of the errors can not be completely avoided.

위와 같은 투명 치아 교정장치는 두 가지 단점, 즉 "치아 이동 양상의 비효율성" 및 "힘 전달 과정의 예측불가능성"으로 인하여 의사가 원하는 치료결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도 많고, 환자가 투명 치아 교정장치를 원하지만 치아이동이 복잡한 경우에는 선택이 제한된다. 따라서, 투명 치아 교정장치는 그것이 가진 장점인 탁월한 심미성과 편안함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원함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증례에 적용하는 것이 어려웠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703708호 (2017.02.22.자 공고),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9-201916호 (2009.09.10.자 공개) 및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676584호 (2016.11.15.자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The above-mentioned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has many disadvantages, that is, "inefficiency of tooth movement pattern" and "unpredictability of force transfer process" But the selection is limited if the tooth movement is complex. Therefore,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has been difficult to apply to various cases despite the desire of many people because of its superior aesthetics and comfort.
BACKGROUND ART [0002] Techniques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703708 (published on Feb. 21, 2017),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9-201916 (published on September 10, 2009) -1676584 (published on November 15, 2016).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내부 홀딩부 및 외부 교정부를 포함하는 투명 치아 교정장치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parent tooth correcting device including an inner holding part and an external calibrating part.

본 발명의 일 측면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치아에 끼워져 상기 치아를 덮도록 구성된 내부 홀딩부; 및An inner holding part that is fitted to the teeth and configured to cover the tooth; And

상기 내부 홀딩부를 덮도록 상기 내부 홀딩부에 결합된 외부 교정부를 포함하고,And an external calibration unit coupled to the internal holding unit to cover the internal holding unit,

상기 내부 홀딩부는 상기 외부 교정부 보다 강성은 높고 탄성은 낮으며,Wherein the inner holding portion has higher rigidity and lower elasticity than the outer caliper,

상기 외부 교정부의 내표면은 상기 내부 홀딩부의 외표면과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투명 치아 교정장치를 제공한다.And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gripper is partially engaged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holding portion.

상기 내부 홀딩부에는 치아의 음형이 부여되어 있을 수 있다.The internal holding part may be provided with a tooth shape.

상기 내부 홀딩부는 제1 투명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교정부는 상기 제1 투명 수지보다 강성은 낮고 탄성은 높은 제2 투명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holding part may include a first transparent resin, and the outer calibrator may include a second transparent resin having a lower rigidity and a higher elasticity than the first transparent resin.

상기 제1 투명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투명 수지는 탄성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transparent resin may include a polycarbonate,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a polyurethane, a glycol-modifi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 second transparent resin may include an elastomer.

상기 내부 홀딩부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내부 홀딩부는 각각 1개 이상의 치아를 덮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부 교정부는 상기 복수개의 내부 홀딩부 전체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nner holding part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and the plurality of inner holding parts may be configured to cover one or more teeth, respectively, and the outer calibration part may cover the entire plurality of inner holding parts.

상기 복수개의 내부 홀딩부는 치아별로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inner holding parts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ted by teeth.

상기 복수개의 내부 홀딩부는 2개 이상이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inner holders may be configured so that two or more inner holders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복수개의 내부 홀딩부는 제1 내부 홀딩부 및 제2 내부 홀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부 홀딩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내부 홀딩부에는 상기 제1 내부 홀딩부의 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Wherein the plurality of inner holding parts include a first inner holding part and a second inner holding part, wherein the first inner holding part is formed with a groove, and the second inner holding part is insertable into the groove of the first inner holding part May be formed.

상기 제1 내부 홀딩부의 홈 및 상기 제2 내부 홀딩부의 돌출부는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groove of the first inner holding part and the protruding part of the second inner holding part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in a rail manner.

상기 투명 치아 교정장치는 상기 내부 홀딩부와 상기 외부 교정부의 결합 위치 및 결합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함으로써 치아이동 방향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ransparent tooth correcting device may be configured to adjust a tooth movement direction by adjusting at least one of a coupling position and a coupling shape of the inner holding part and the outer caliper.

상기 투명 치아 교정장치는 보조 교정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parent tooth correc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upplementary calibrating device.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장치는 치아이동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고, 치아 교정시 힘 전달 과정의 예측 불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efficiency of tooth movement and reduces the unpredictability of the force transfer process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장치가 치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일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장치가 치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장치에서 내부 홀딩부와 외부 교정부의 결합 위치 및 결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장치가 치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일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장치가 치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일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장치가 치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일 측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tooth.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transparent tooth correc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tooth.
FIGS.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upling position and an engaging shape of the inner holding part and the outer caliper part in the transparent tooth corr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tooth.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tooth.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tooth.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transparent tooth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강성(rigidity)"이란 물체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발생하는 변형에 대한 저항의 정도, 즉 변형의 정도를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 rigidity " means the degree of resistance to deformation that occur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an object, that is, the degree of deforma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탄성(elasticity)"이란 물체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변형되지만,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는 성질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elasticity" means a property of deforming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an object, but returning to an original shape when an external force is remov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탄성한계(elastic limit)"란 외부의 힘에 의해 변형된 물체가 그 힘을 없애면 본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는 힘의 범위를 말하며 탄성한도라고도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 elastic limit " refers to a range of force that an object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returns to its original form when the force is removed, and is also referred to as an elastic limit.

또한 본 명세서에서, "치아의 음형(negative contour)"이란 치아의 형상과 정반대되는 형상으로 음각된 부분을 의미한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 negative contour " refers to a portion engraved with a shape contrary to the shape of a tooth.

또한 본 명세서에서, "내표면"이란 치아쪽에 위치한 표면을 의미하고, "외표면"이란 치아쪽과 반대쪽에 위치한 표면을 의미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inner surface" refers to a surface located on the tooth side, and "outer surface" refers to a surfac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tooth sid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장치(100)가 치아(T1, T2, T3)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일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장치(100)가 치아(T1, T2, T3)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nsparent tooth corr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teeth T1, T2, T3, FIG. 2 is a cross- And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nsparent tooth corr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teeth T1, T2, and T3.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투명 치아 교정장치(100)는 결국 투명 교정 치료에서 개별 치아(T1, T2, T3) 각각의 상대적인 위치를 교정치료의 목표에 맞도록 이동시키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투명 치아 교정장치(100)는 (1) 개별 치아(T1, T2, T3)에는 탄성한계가 적은 단단한 수지로 형성된 복수개의 내부 홀딩부(110)를 치아별로 분리시켜서 장착시키고, (2) 이와 동시에 개별 치아(T1, T2, T3)에 서로 분리되어 장착되고 단단한 수지로 형성된 복수개의 내부 홀딩부(110)를 덮으면서 복수개의 내부 홀딩부(110)에 결합(접합 또는 융합)된 탄성한계가 넓고 탄성력이 좋은 고무 같은 수지로 형성된 외부 교정부(120)를 이용하여 전체 치열을 덮는 2중 구조의 얼라이너이다. 다시 설명하자면, 투명 치아 교정장치(100)는 치아(T1, T2, T3)에는 단단하고 탄성력이 적은 수지로 형성된 복수개의 내부 홀딩부(110)가 장착되고, 그것에 탄성력이 좋은 고무 같은 수지로 형성된 외부 교정부(120)가 접합되거나 융합되어, 서로 연결됨으로써 전체 치열에서 각 치아(T1, T2, T3)의 상대적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단단하고 탄성력이 적은 수지로 형성된 복수개의 내부 홀딩부(110)는 치아(T1, T2, T3)에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외부 교정부(120)에서 오는 힘을 손실없이 치아(T1, T2, T3)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탄성한계와 범위가 넓은 고무 같은 수지로 형성된 외부 교정부(120)는 치아에 장착되고 단단하고 탄성력이 적은 수지로 형성된 내부 홀딩부(110)에 접합 또는 융합되어 넓은 탄성한계와 범위로 힘을 전달하여 치아(T1, T2, T3)의 상대적인 위치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100 shown in Figs. 1 and 2 is intended to achieve the purpose of mov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individual teeth T1, T2, T3 in accordance with the goal of orthodontic treatment in a transparent orthodontic treatment . The transparent teeth correcting apparatus 100 includes a plurality of internal holding portions 110 formed by a hard resin having a small elastic limit and separately attached to the individual teeth T1, T2, and T3, At the same time, a plurality of inner holding parts 110 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and mounted on the individual teeth T1, T2, and T3 and covered with a plurality of inner holding parts 110 are joined together (joined or fused) Which is formed of a rubber-like resin having a high elasticity and a large elasticity, and covers the entire teeth region. To be more specific,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1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ternal holding parts 110 formed on the teeth T1, T2, and T3, each of which is made of a hard, low-elasticity resin, The external calibration units 120 may be joined or fus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o move the relative position of each tooth T1, T2, T3 in the entire dentition. That is, the plurality of internal holding parts 110 formed of a hard and low-elasticity resin are stably mounted on the teeth T1, T2, and T3 so that the forces from the external caliper 120 are transmitted to the teeth T1, T2, T3. ≪ / RTI > The external caliper 120, which is formed of a rubber-like resin having a wide elastic limit and a wide range, is joined to or fused with an internal holding part 110 formed of a hard, To move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teeth T1, T2, and T3.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1 and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장치(100)는 내부 홀딩부(110) 및 외부 교정부(1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holding part 110 and an external caliper 120.

내부 홀딩부(110)는 치아(T1, T2, T3)에 끼워져 치아(T1, T2, T3)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내부 홀딩부(110)에는 치아의 음형(negative contour)이 부여되어 있을 수 있다.The inner holding portion 110 may be configured to cover the teeth T1, T2, and T3 by being inserted into the teeth T1, T2, and T3. To this end, the inner holding part 110 may be provided with a negative contour of a tooth.

내부 홀딩부(110)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내부 홀딩부(110)는 각각 치아(T1, T2, T3)를 하나씩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내부 홀딩부(110)는 치아별로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nner holding portion 110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teeth, and the plurality of inner holding portions 110 may be configured to cover teeth T1, T2, and T3, respectively. That is, the plurality of inner holding parts 110 may be separated by teeth.

내부 홀딩부(110)는 외부 교정부(120) 보다 강성은 높고 탄성(또는 탄성한계)은 낮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 홀딩부(110)는 외부 교정부(120) 보다 강성이 높고 탄성은 낮기 때문에 종래의 투명 치아 교정장치의 문제점인"힘 전달 과정의 예측불가능성"을 보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 홀딩부(110)는 이에 부여된 치아의 음형(negative contour)이 치아들(T1, T2, T3)에 최대한 밀착되어 치아들(T1, T2, T3)로부터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내부 홀딩부(110)는 외부 교정부(120) 보다 강성은 높고 탄성은 낮기 때문에 투명 치아 교정장치(100)(구체적으로, 내부 홀딩부(110))에 외력이 가해져도 치아의 음형에서 치아(T1, T2, T3)가 이탈하지 않도록 내부 홀딩부(110)의 음형이 치아(T1, T2, T3)를 잘 잡고 있을 수 있다. 즉, 내부 홀딩부(110)는 이에 외력이 가해져도 변형이 적게 일어나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The inner holding part 110 may have a higher rigidity and a lower elasticity (or elastic limit) than the external calibration part 120. Since the inner holding part 110 has higher rigidity and lower elasticity than the external caliper 120,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unpredictability of the force transfer process, which is a problem of the conventional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Specifically, the inner holding portion 110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teeth T1, T2, and T3 because the negative contour of the teeth is closely adhered to the teeth T1, T2, and T3 as much as possible. The internal holding part 110 has a higher rigidity and lower elasticity than the external part 120 so that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100 (specifically, the internal holding part 110) T2, and T3 of the inner holding portion 110 may hold the teeth T1, T2, and T3 well so that the teeth T1, T2, and T3 do not separate. That is, the inner holding part 110 may have a property that less deformation occurs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reto.

내부 홀딩부(110)는 제1 투명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복합물질인 수지는 화학적 조성에 따라 물성이 매우 다양하게 변하므로 수지 중에서 탄성 한계가 좁고 단단한 재료를 상기 제1 투명 수지의 재료로 선택할 수 있다. The inner holding portion 110 may include a first transparent resin. Since the resin as the polymer composite material varies in physical properties according to its chemical composition, a material having a narrow elastic limit and a hard material among the resins can be selected as the material of the first transparent resin.

상기 제1 투명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transparent resin may include a polycarbonate,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a polyurethane, a glycol-modifi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내부 홀딩부(110)는 전치, 견치, 소구치 또는 대구치의 고유의 형상과 각 치아마다 개인적 차이를 고려하여 안정적으로 치아를 잡을 수 있는 형상과 두께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holding part 110 may have a shape and a thickness capable of stably holding the tooth in consideration of the inherent shape of the anterior teeth, the canines, the premolars, or the molars, and the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teeth.

외부 교정부(120)는 내부 홀딩부(110)를 덮도록 내부 홀딩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external calibration unit 120 may be coupled to the internal holding unit 110 to cover the internal holding unit 110.

외부 교정부(120)의 내표면은 내부 홀딩부(110)의 외표면과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교정부(120)의 내표면 전체가 홀딩부(110)의 외표면과 결합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결합부들(b1, b2, b3, b1', b2', b3')과 같이, 외부 교정부(120)의 내표면 중 일부가 홀딩부(110)의 대응 외표면과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external calibration unit 120 may be partial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holding unit 110. Specifically,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external calibration unit 120 is not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ing unit 110, but the coupling units b1, b2, b3, b1 ', b2 ', b3'),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rnal calibration unit 120 may be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external surface of the holding unit 110. [

외부 교정부(120)는 내부 홀딩부(110)보다 강성은 낮고 탄성(또는 탄성한계)은 높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교정부(120)는 내부 홀딩부(110)보다 강성은 낮고 탄성은 높기 때문에 종래의 투명 치아 교정장치의 문제점인"치아 이동 양상의 비효율성"을 보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교정부(120)는 내부 홀딩부(110)보다 탄성한계가 높아서 복잡한 치아이동을 다단계로 계획하는 경우에도 전체 단계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서 치아 교정에 필요한 장치의 총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환자가 각 단계의 장치를 착용하는 시간도 단축하여 치아 교정에 소요되는 총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The external calibration unit 120 may have lower rigidity and higher elasticity (or elastic limit) than the inner holding unit 110. Since the rigidity of the external gripping part 120 is lower than that of the inner holding part 110 and the elasticity thereof is high, the " inefficiency of the tooth movement pattern " which is a problem of the conventional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can be compensated. Specifically, the external calibration unit 120 has a higher elastic limit than the internal holding unit 110, so that even when a complicated tooth movement is planned in multiple stages, the total number of steps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total number of devices required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the time required for the patient to wear the device at each step can be shortened to shorten the total period of time required for the orthodontic treatment.

외부 교정부(120)는 상기 제1 투명 수지보다 강성은 낮고 탄성은 높은 제2 투명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분자 복합물질인 수지는 화학적 조성에 따라 물성이 매우 다양하게 변하므로 수지 중에서 탄성 한계가 넓고 부드러운 재료를 상기 제2 투명 수지의 재료로 선택하거나, 또는 같은 물성을 가진 수지의 탄성한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내구성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얇게 제작된 수지를 상기 제2 투명 수지로 사용할 수 있다.The external calibration unit 120 may include a second transparent resin having lower rigidity and higher elasticity than the first transparent resi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sin as the polymer composite material varies in physical properties according to its chemical composition, a soft material having a wide elastic limit is selected as the material of the second transparent resin, or the elastic limit of the resin having the same physical properties It is possible to use a resin which is made thinner within a range that durability allows, as the second transparent resin.

상기 제2 투명 수지는 탄성중합체(elastomer)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transparent resin may include an elastomer.

상기 탄성중합체는 시스-1,4-폴리이소프렌 천연 고무 및 트랜스-1,4-폴리이소프렌 구타 페르카와 같은 천연 폴리이소프렌, 합성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타디엔, 클로로프렌 고무, 폴리클로로프렌, 네오프렌, 베이프렌, 부틸 고무, 할로겐화 부틸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니트릴 고무, 할로겐화 니트릴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 에피클로로히드린 고무, 폴리아크릴 고무, 실리콘 고무, 플루오로실리콘 고무, 플루오로엘라스토머, 퍼플루오로엘라스토머,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클로로술포네이티드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설파이드 고무, 엘라스트 올레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omer may be selected from natural polyisoprenes such as cis-1,4-polyisoprene natural rubber and trans-1,4-polyisoprene guttafera, synthetic polyisoprene, polybutadiene, chloroprene rubber, polychloroprene, neoprene, Butadiene rubber, nitrile rubber, halogenated nitrile rubber, ethylene propylene rubber, ethylene propylene diene rubber, epichlorohydrin rubber, polyacryl rubber, silicone rubber, fluorosilicone rubber, fluoroelastomer, purple rubber, halogenated butyl rubber, styrene-butadiene rubber, Polyether block amide, chlorosulfonated polyethylene, ethylene-vinyl acetate, thermoplastic elastomer, polysulfide rubber, elasto olefin, or combinations thereof.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장치(100)에서 내부 홀딩부(110)와 외부 교정부(120)의 결합 위치 및 결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upling position and a coupling shape of the inner holding part 110 and the external calibration part 120 in the transparent tooth correc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단한 수지로 형성된 내부 홀딩부(110)에 부드럽고 탄성이 좋은 고무 같은 수지로 형성된 외부 교정부(120)가 결합되는 부위의 위치와 형태는 치아(T2)의 이동양상에 따라서 변할 수 있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치아 교정장치(100)는 내부 홀딩부(110)와 외부 교정부(120)의 결합 위치 및 결합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함으로써 치아이동 방향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portion where the external grip portion 120, which is formed of a soft and elastic rubber-like resin, is coupled to the inner holding portion 110 formed of a hard resin, As shown in FIG. 3 and 4,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100 adjusts the tooth movement direction by adjusting at least one of an engagement position and an engagement shape of the inner holding part 110 and the external orthogonal part 120, .

한편, 치아(T2)의 이동은 특정 이동양상(경사이동, 회전, 정출, 압하)에 부합되게 치아(T2)에 힘의 방향을 부여해야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아(T2)를 이동할 때는 특정 이동방향으로 힘이 더 많이 발생하도록 단단한 수지로 형성된 내부 홀딩부(110)와 부드럽고 탄성이 좋은 고무 같은 수지로 형성된 외부 교정부(120)가 결합되는 위치와 형상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vement of the tooth T2 can be realized by giving a force direction to the tooth T2 in accordance with a specific movement pattern (tilting movement, rotation, squeezing, pressing down). For example, when the tooth T2 is moved, an inner holding portion 110 formed of a hard resin is combined with an external caliper 120 formed of a resin such as a soft elastic rubber to generate more force in a specific moving direction You can make various changes in position and shape.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도 3을 참조하면, 내부 홀딩부(110)와 외부 교정부(120)는 치아(T2)의 측면 노출 부위 중 가운데 부분에 배치된 원형의 결합부(b2)에 의해 결합되거나(도 3의 (a)), 우측으로 비스듬히 눕혀진 타원형의 결합부(b2)에 의해 결합되거나(도 3의 (b)), 수직으로 세워진 타원형의 결합부(b2)에 의해 결합되거나(도 3의 (c)), 또는 치아(T2)의 측면 노출 부위 중 우하측에 배치된 결합부(b2) 및 좌상측에 배치된 결합부(b2')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도 3의 (d)).3, the inner holding part 110 and the external part 120 are coupled by a circular coupling part b2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ide exposed part of the tooth T2 (Fig. 3 (b)), or by a vertically erected elliptical engaging portion b2 (Fig. 3 (c)), or by an elliptical engaging portion b2, (B2 ') arranged on the lower right side and the engaging part (b2') disposed on the upper left side of the side exposed parts of the teeth T2 (Fig. 3 (d)).

도 4를 참조하면, 내부 홀딩부(110)와 외부 교정부(120)가 치아(T2)의 측면 노출 부위 중 우하측에 배치된 결합부(b2) 및 좌상측에 배치된 결합부(b2')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도 4의 (a)), 이 경우 치아(T2)는 화살표 방향(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내부 홀딩부(110)와 외부 교정부(120)가 치아(T2)의 측면 노출 부위 중 가운데 부분에 배치되고 좌측으로 비스듬히 눕혀진 타원형의 결합부(b2)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도 4의 (b)), 이 경우 치아(T2)는 화살표 방향(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내부 홀딩부(110)와 외부 교정부(120)가 치아(T2)의 상면 노출 부위 중 좌하측에 배치된 결합부(b2) 및 우상측에 배치된 결합부(b2')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도 4의 (c)), 이 경우 치아(T2)는 화살표 방향(즉,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내부 홀딩부(110)와 외부 교정부(120)가 치아(T2)의 측면 노출 부위 중 상측에 배치되고 수평으로 눕혀진 타원형의 결합부(b2)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도 4의 (d)), 이 경우 치아(T2)는 화살표 방향(즉, 상방)으로 정출(挺出)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내부 홀딩부(110)와 외부 교정부(120)가 치아(T2)의 측면 노출 부위 중 하측에 배치되고 수평으로 눕혀진 타원형의 결합부(b2)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도 4의 (e)), 이 경우 치아(T2)는 화살표 방향(즉, 하방)으로 압하(壓下)될 수 있다.4, the inner holding portion 110 and the outer caliper 120 include the engaging portion b2 disposed on the lower right side and the engaging portion b2 'disposed on the upper left side among the side exposed portions of the teeth T2, (Fig. 4 (a)). In this case, the tooth T2 can be rotationally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e., counterclockwise). As another example, the inner holding portion 110 and the outer correcting portion 120 may be joined by an elliptical engaging portion b2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ide exposed portion of the teeth T2 and laid obliquely to the left (Fig. 4 (b)). In this case, the tooth T2 can rotate and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e., counterclockwise). As another example, the inner holding portion 110 and the outer caliper 120 may have the engaging portion b2 disposed on the lower left side and the engaging portion b2 'dispos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upper surface exposed portion of the teeth T2, (Fig. 4 (c)). In this case, the tooth T2 can be rotationally moved in the arrow direction (i.e., clockwise). As another example, the inner holding portion 110 and the external caliper 120 can be coupled by the elliptical engaging portion b2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exposed portion of the teeth T2 and laid horizontally (Fig. 4 (d)). In this case, the tooth T2 can be extrac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at is, upward). As another example, the inner holding portion 110 and the outer caliper 120 may be joined by an elliptical engaging portion b2 disposed below the side exposed portion of the tooth T2 and laid horizontally 4 (e)). In this case, the tooth T2 can be pressed dow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e., downward).

도 5는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장치(100)가 치아(T1~T3, T5~T7)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일 측면도이다.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nsparent tooth corr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teeth T1 to T3 and T5 to T7.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한 치아들(T1~T3 또는 T5~T7)을 서로 묶어 두거나 묶음단위로 이동시키려면 단단한 수지로 구성된 개개의 내부 홀딩부(110)가 해당 치아들(T1~T3 또는 T5~T7) 전체를 덮는 하나의 덩어리로 제작되어 장착될 수 있다. 단단한 수지로 형성된 개개의 내부 홀딩부(110)는 여러 개의 전치들(T1~T3)이나 구치들(T5~T7)을 하나로 덮어 연결시킨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내부 홀딩부(110)는 각각 복수개의 치아(T1~T3 또는 T5~T7)를 덮도록 구성되고, 아울러 2개 이상이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외부 교정부(120)는 복수개의 내부 홀딩부(110) 전체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5, in order to bind specific teeth T1 to T3 or T5 to T7 to each other or to move them in a bundle unit, individual internal holders 110 made of a rigid resin are disposed on the corresponding teeth T1 to T3 Or T5 to T7), and can be mounted in a single lump. Each internal holding part 110 formed of a hard resin overlaps and connects a plurality of transpositions T1 to T3 and a pair of the notches T5 to T7. 5, each of the plurality of inner holders 110 is configured to cover a plurality of teeth T1 to T3 or T5 to T7, and two or more teeth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The calibration unit 120 may be configured to cover the entire plurality of the inner holding units 110.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5를 참조하면, 투명 치아 교정장치(100)에서 내부 홀딩부(110)는 전치군(T1~T3)을 묶는 부분과 구치군(T5~T7)을 묶는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고, 하나의 외부 교정부(120)가 상기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 내부 홀딩부(110) 전체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5, in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100, the inner holding part 110 is divided into a part for binding the transitional groups T1 to T3 and a part for binding the group of postures T5 to T7, The calibration unit 120 is configured to cover the entire inner holding unit 110 divided into the two parts.

도 6은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장치(100)가 치아(T1~T3, T5~T7)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일 측면도이다.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nsparent tooth corr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teeth T1 to T3 and T5 to T7.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한 치아들(T1~T3 또는 T5~T7)의 묶음단위들 사이에 이동이 필요한 경우, 묶음단위들 사이에 위치하는 단단한 수지로 형성된 내부 교정부(110)의 부분에 서로 예측 가능하고 이동 가능한 구조를 부여하여 상기 묶음단위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내부 홀딩부(110)는 구치군(T5~T7)을 묶는 제1 내부 홀딩부 및 전치군(T1~T3)을 묶는 제2 내부 홀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부 홀딩부와 상기 제2 내부 홀딩부는 결합부(C)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C)는 상기 제1 내부 홀딩부에 구비된 돌출부(P1) 및 이에 형성된 홈(h)과, 상기 제2 내부 홀딩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내부 홀딩부의 홈(h)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된 돌출부(P2)를 포함할 수 있다. 6, when movement is required between the bundling units of the specific teeth T1 to T3 or T5 to T7, the portion of the internal caliper 110 formed of the rigid resin located between the bundling units To move the bundle units by assigning a predictable and movable structure to each other. 6, the plurality of inner holding parts 110 include a first inner holding part for binding the molar teeth group T5 to T7 and a second inner holding part for binding the transitional groups T1 to T3, The first inner holding part and the second inner holding part may be coupled through a coupling part (C). The engaging portion C includes a protrusion P1 formed in the first inner holding portion and a groove h formed in the protrusion P1. The engaging portion C is inserted into the groove h of the first inner holding portion, (Not shown).

도 6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 내부 홀딩부의 홈(h) 및 상기 제2 홀딩부의 돌출부(P2)는 가이드 레일과 같은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in FIG. 6, the groove h of the first inner holding part and the protruding part P2 of the second holding part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in a rail-like manner to the guide rail.

도 7은 본 발명의 제4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장치(100)가 치아(T1~T3, T5~T7)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일 측면도이다.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nsparent tooth corr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teeth T1 to T3 and T5 to T7.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치아 교정장치(100)는 보조 교정 장치(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100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correction device 130. FIG.

보조 교정 장치(130)는 내부 홀딩부(110)에 추가적인 힘을 전달하여 원하는 치아이동을 도울 수 있다.The supplemental calibrating device 130 may transmit additional forces to the inner holding portion 110 to assist in the desired tooth movement.

보조 교정 장치(130)는 교정용 미니스크류 또는 구외 장치(head gear)일 수 있다.The supplemental calibrating device 130 may be a calibration miniscrew or a head gear.

본 발명은 도면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투명 치아 교정장치 110: 내부 홀딩부
120: 외부 교정부 130: 보조 교정 장치
T1, T2, T3, T5, T6, T7: 치아
b1, b2, b3, b1', b2', b3': 결합부
100: Transparent tooth correcting device 110: Internal holding part
120: external calibration unit 130: auxiliary calibration device
T1, T2, T3, T5, T6, T7: Teeth
b1, b2, b3, b1 ', b2', b3 '

Claims (11)

치아에 끼워져 상기 치아를 덮도록 구성된 내부 홀딩부; 및
상기 내부 홀딩부를 덮도록 상기 내부 홀딩부에 결합된 외부 교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홀딩부는 상기 외부 교정부 보다 강성은 높고 탄성은 낮으며,
상기 외부 교정부의 내표면은 상기 내부 홀딩부의 외표면과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홀딩부와 상기 외부 교정부의 결합 위치 및 결합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함으로써 치아이동 방향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투명 치아 교정장치.
An inner holding part that is fitted to the teeth and configured to cover the tooth; And
And an external calibration unit coupled to the internal holding unit to cover the internal holding unit,
Wherein the inner holding portion has higher rigidity and lower elasticity than the outer caliper,
Wherein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liper is partially engaged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holding part,
And adjusting the tooth movement direction by adjusting at least one of a coupling position and a coupling shape of the inner holding part and the outer cali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홀딩부에는 치아의 음형이 부여되어 있는 투명 치아 교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hold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tooth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홀딩부는 제1 투명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교정부는 상기 제1 투명 수지보다 강성은 낮고 탄성은 높은 제2 투명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 치아 교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holding portion includes a first transparent resin, and the external calibrat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transparent resin having a lower rigidity and a higher elasticity than the first transparent resi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투명 수지는 탄성중합체를 포함하는 투명 치아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transparent resin comprises a polycarbonate,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a polyurethane, a glycol-modifi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 second transparent resin comprises an elastom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홀딩부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내부 홀딩부는 각각 1개 이상의 치아를 덮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부 교정부는 상기 복수개의 내부 홀딩부 전체를 덮도록 구성된 투명 치아 교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holding part is formed in a plurality of inner holding parts, each of the plurality of inner holding parts covers one or more teeth, and the outer calibrating part covers the entire plurality of inner holding part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내부 홀딩부는 치아별로 분리되도록 구성된 투명 치아 교정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lurality of inner holding parts are separated by teeth.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내부 홀딩부는 2개 이상이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투명 치아 교정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lurality of inner holding parts ar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t least two.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내부 홀딩부는 제1 내부 홀딩부 및 제2 내부 홀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부 홀딩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내부 홀딩부에는 상기 제1 내부 홀딩부의 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 치아 교정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lurality of inner holding parts include a first inner holding part and a second inner holding part, wherein the first inner holding part is formed with a groove, and the second inner holding part is insertable into the groove of the first inner holding part And a protruding portion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protruding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홀딩부의 홈 및 상기 제2 내부 홀딩부의 돌출부는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투명 치아 교정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groove of the first inner holding part and the protruding part of the second inner holding part are configured to be coupled in a rail mann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치아 교정장치는 보조 교정 장치를 더 포함하는 투명 치아 교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parent tooth correct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
KR1020180063787A 2017-12-07 2018-06-01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KR1019788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5426 WO2019112341A1 (en) 2017-12-07 2018-12-06 Transparent dental bra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706 2017-12-07
KR20170167706 2017-1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890B1 true KR101978890B1 (en) 2019-05-15

Family

ID=66579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787A KR101978890B1 (en) 2017-12-07 2018-06-01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8890B1 (en)
WO (1) WO2019112341A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310B1 (en) * 2019-11-05 2019-12-24 주식회사 리얼라이너 Clear aligner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lear aligner apparatus
KR102244439B1 (en) * 2020-12-10 2021-04-29 주식회사 그래피 Transparent aligner with increased correction power
KR102250006B1 (en) * 2019-10-31 2021-05-07 안장훈 Apparatus for posterior retraction of anterior teeth
KR102281789B1 (en) * 2020-03-18 2021-07-26 주식회사 그래피 Patient-specific orthodontic device using 3D printing and orthodontic method using the same
KR20220028645A (en) * 2020-08-31 2022-03-08 조한주 Tooth correction device
KR102499868B1 (en) * 2022-02-23 2023-02-13 이선희 System for orthodontic treatment having function of positioning by using selective hybrid type
KR102500642B1 (en) * 2022-07-07 2023-02-17 주식회사 오디에스 Manufacturing method of clear aligner apparatus using 3D printer
WO2023113132A1 (en) * 2021-12-14 2023-06-2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WO2023128535A1 (en) * 2021-12-31 2023-07-06 주식회사 그래피 Re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1916A (en) * 2008-02-29 2009-09-10 Tetsuji Yamanouchi Orthodontic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510857B1 (en) * 2014-02-28 2015-04-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KR101676584B1 (en) * 2015-12-18 2016-11-15 이민정 Clear aligner system
KR101703708B1 (en) * 2015-11-11 2017-02-22 주식회사 에프이에스 Orthodontic device and method using orthodontic
KR20180042587A (en) * 2016-10-18 2018-04-26 장영진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for making orthodontic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34179A1 (en) * 2005-04-15 2006-10-19 Huafeng Wen Dental aligner devices having snap-on connectors
KR101497493B1 (en) * 2013-11-05 2015-03-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Removable Dental Appliance Mounted On Tee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743964B2 (en) * 2015-07-07 2020-08-18 Align Technology, Inc. Dual aligner assemb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1916A (en) * 2008-02-29 2009-09-10 Tetsuji Yamanouchi Orthodontic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510857B1 (en) * 2014-02-28 2015-04-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KR101703708B1 (en) * 2015-11-11 2017-02-22 주식회사 에프이에스 Orthodontic device and method using orthodontic
KR101676584B1 (en) * 2015-12-18 2016-11-15 이민정 Clear aligner system
KR20180042587A (en) * 2016-10-18 2018-04-26 장영진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for making orthodontic appliance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006B1 (en) * 2019-10-31 2021-05-07 안장훈 Apparatus for posterior retraction of anterior teeth
KR102059310B1 (en) * 2019-11-05 2019-12-24 주식회사 리얼라이너 Clear aligner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lear aligner apparatus
KR102281789B1 (en) * 2020-03-18 2021-07-26 주식회사 그래피 Patient-specific orthodontic device using 3D printing and orthodontic method using the same
WO2021187803A1 (en) * 2020-03-18 2021-09-23 주식회사 그래피 Patient-customized orthodontic device using 3d printing, and orthodontic method using same
KR20220028645A (en) * 2020-08-31 2022-03-08 조한주 Tooth correction device
KR102476546B1 (en) * 2020-08-31 2022-12-13 조한주 Tooth correction device
KR102244439B1 (en) * 2020-12-10 2021-04-29 주식회사 그래피 Transparent aligner with increased correction power
WO2022124509A1 (en) * 2020-12-10 2022-06-16 주식회사 그래피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having increased correctability
WO2023113132A1 (en) * 2021-12-14 2023-06-2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WO2023128535A1 (en) * 2021-12-31 2023-07-06 주식회사 그래피 Re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499868B1 (en) * 2022-02-23 2023-02-13 이선희 System for orthodontic treatment having function of positioning by using selective hybrid type
WO2023163250A1 (en) * 2022-02-23 2023-08-31 이선희 Traction and correction system capable of positioning by region using selective hybrid-type
KR102523399B1 (en) * 2022-07-07 2023-04-19 주식회사 오디에스 A Clear aligner apparatus using 3D printer
KR102500642B1 (en) * 2022-07-07 2023-02-17 주식회사 오디에스 Manufacturing method of clear aligner apparatus using 3D printer
WO2024010251A1 (en) * 2022-07-07 2024-01-11 주식회사 오디에스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by using 3d printer
WO2024010252A1 (en) * 2022-07-07 2024-01-11 주식회사 오디에스 Clear aligner apparatus using 3d pri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12341A1 (en)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890B1 (en)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US20230285120A1 (en) Orthodontic aligner with isolated segments
US11826219B2 (en) Dual aligner assembly
EP3383310B1 (en) Dental appliances with repositioning jaw elements
JP6751712B2 (en) Dental appliance with repositioning jaw element
CN112438812B (en) Dental arch adjusting appliance
US8454359B2 (en) Method of forming an orthodontic transfer tray
KR101510857B1 (en)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KR20180119521A (en) Masticatory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060199142A1 (en) Dental aligner for providing accurate dental treatment
CN204581556U (en) A kind of oral appliance
US20060199153A1 (en) Producing wrinkled dental aligner for dental treatment
CN111772834A (en) Segmented orthodontic appliances with elastics
CN116077212A (en) Elastic piece covered orthodontic appliance
CN110584804A (en) Design method of dental correcting system and design system of dental correcting instrument
CN110215299B (en) Dental appliance printing method, dental appliance and 3D printing device
CN112754691B (en) Design method and preparation method of dental instrument
KR20100109898A (en) A dental appliance
KR101436955B1 (en) Bracket positioning jig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6029220B1 (en) Method for providing orthodontic set
US20210244509A1 (en) An assembly for the orthodontic treatment of a patient's teeth and an orthodontic system for such a treatment, a method for the placement of an assembly for the orthodontic treatment of a patient's teeth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n assembly, and a use of such an orthodontic system
CN210330783U (en) Invisible orthodontic occlusion fixing device
WO2017093864A1 (en) Dental appliances with repositioning jaw elements
JP2022169351A (en) Orthodontic aligner
KR20240000849A (en) Orthodontic device which applies complex force to too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