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719B1 -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동적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동적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719B1
KR101978719B1 KR1020170039465A KR20170039465A KR101978719B1 KR 101978719 B1 KR101978719 B1 KR 101978719B1 KR 1020170039465 A KR1020170039465 A KR 1020170039465A KR 20170039465 A KR20170039465 A KR 20170039465A KR 101978719 B1 KR101978719 B1 KR 101978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duration
power
subscriber line
allo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9568A (ko
Inventor
이경주
박노욱
윤광열
김종학
박형진
정인택
하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70039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719B1/ko
Publication of KR20180109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04J3/1694Allocation of channels in TDM/TDMA networks, e.g. distributed multiplex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10Arrangements for reducing cross-talk between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14Monitor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동적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관리 장치와 복수의 고객 댁내 장치가 복수의 가입자 회선을 포함하는 번들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액세스 네트워크 구조에서, 전송 제어 장치가 고객 댁내 장치의 가입자 회선에 대한 동적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따르면, 먼저 가입자 회선별로 트래픽을 측정하고, 그 후 상기 가입자 회선별로 데이터를 전송할 타임 슬롯의 전체 듀레이션 중 상기 가입자 회선별로 측정되는 트래픽의 사용량에 대응하는 일부 듀레이션에 대해 전력을 할당하는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한다. 상기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후에, 상기 가입자 회선별로 트래픽을 측정하고, 상기 가입자 회선별 트래픽의 측정에 의해 이전의 트래픽의 변화 여부를 판단하여, 트래픽의 변화가 판단되는 경우, 변화된 트래픽에 대응되는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동적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DYNAMICALLY FOR CONTROLLING TRANSMITTING FOR MITIGATING INTERFERENCE IN ACCESS NETWORK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동적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가 인터넷(Giga internet)이 상용화되어 확대됨에 따라 기존의 100Mbps급의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기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치로 변경하고 있다. 100Mbps 이상의 기가(Giga)급 인터넷이 본격적으로 상용화되고 고객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광케이블이나 UTP(unshielded twisted pair cable) 4pair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1Gbps급 인터넷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그러나 UTP 2pair 케이블 혹은 전화선을 이용하는 방식은 1Gbps급 인터넷 제공에 어려움이 있다.
광케이블과 달리 동선 번들(bundle) 케이블 환경에서는 동일 장비 내 또는 장비 상호간의 간섭 영향(crosstalk)으로 인해 성능 저하가 발생한다.
번들 케이블을 복수의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 장비가 공유하는 경우, 간섭에 대한 영향이 증가하며 성능 저하 폭이 증가한다.
특히, 시간 분할(Time Division Duplex, TDD) 동기 시스템의 경우, 트래픽을 전송하지 않는 단말까지 모두 동기화 되어 있고, 항상 일정 수준 이상의 신호를 모든 엔티티(entity), 예를 들어 집선 장비(G.hn Access Multiplexer, GAM) 포트, 단말(G.hn Network Terminal, GNT))에서 전송하는데 이는 다른 단말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TDD 동기 시스템을 유지하면서도 시스템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동적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동적 전송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관리 장치와 복수의 고객 댁내 장치가 복수의 가입자 회선을 포함하는 번들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액세스 네트워크 구조에서, 전송 제어 장치가 고객 댁내 장치의 가입자 회선에 대한 동적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가입자 회선별로 트래픽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입자 회선별로 데이터를 전송할 타임 슬롯의 전체 듀레이션 중 상기 가입자 회선별로 측정되는 트래픽의 사용량에 대응하는 일부 듀레이션에 대해 전력을 할당하는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후에, 상기 가입자 회선별로 트래픽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회선별 트래픽의 측정에 의해 이전의 트래픽의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트래픽의 변화가 판단되는 경우, 변화된 트래픽에 대응되는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력 듀레이션은, 측정된 트래픽의 사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적은 경우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타임 슬롯의 전체 듀레이션 중 전력이 할당되는 듀레이션을 미리 설정된 듀레이션 보다 낮게 설정하거나, 또는 측정된 트래픽의 사용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타임 슬롯의 전체 듀레이션 중 전력이 할당되는 듀레이션을 상기 미리 설정된 듀레이션 보다 높게 설정한다.
또한, 상기 전력 듀레이션은, 기준 사이클에 해당되는 전체 타임 슬롯에 대해 트래픽 사용량에 따라 전력을 할당하는 타임 슬롯의 개수를 조정하는 방식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트래픽 사용량의 크기에 비례하는 개수로 상기 타임 슬롯의 개수가 조정된다.
또한, 상기 전력 듀레이션은, 기준 사이클에 해당하는 전체 타임 슬롯 각각의 듀레이션에 대해 트래픽 사용량에 대응되는 듀레이션에 전력을 할당하는 방식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전체 타임 슬롯 각각의 듀레이션 중 상기 트래픽 사용량에 대응되는 듀레이션의 폭이 상기 트래픽 사용량의 크기에 비례하여 설정된다.
또한, 상기 변화된 트래픽에 대응되는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트래픽의 변화가 트래픽의 사용량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증가한 트래픽의 사용량에 대응되는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트래픽의 변화가 트래픽의 사용량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감소된 트래픽의 사용량에 대응되는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동적 전송 제어 장치는,
고객 댁내 장치의 가입자 회선에 대한 트래픽 전송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로서, 가입자 회선별로 트래픽을 측정하고, 상기 가입자 회선별로 데이터를 전송할 타임 슬롯의 전체 듀레이션 중 상기 가입자 회선별로 측정되는 트래픽의 사용량에 대응하는 일부 듀레이션에 대해 전력을 할당하는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수행된 전력 듀레이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고객 댁내 장치와 연결된 가입자 회선의 신호 전송을 제어하는 전송 신호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입자 회선별 트래픽 상태를 측정하는 트래픽 측정부; 상기 트래픽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가입자 회선별 트래픽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가입자 회선별 트래픽 사용량을 판단하는 트래픽 사용량 판단부; 및 상기 트래픽 사용량 판단부에 의해 판단되는 상기 가입자 회선별 트래픽 사용량에 기초하여 각 가입자 회선별로 할당되는 타임 슬롯에 대해 상기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는 전력 듀레이션 수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력 듀레이션 수행부는, 상기 트래픽 사용량 판단부에 의해 판단되는 트래픽 사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적은 경우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타임 슬롯의 전체 듀레이션 중 전력이 할당되는 듀레이션을 미리 설정된 듀레이션 보다 낮게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트래픽 사용량 판단부에 의해 판단되는 트래픽 사용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타임 슬롯의 전체 듀레이션 중 전력이 할당되는 듀레이션을 상기 미리 설정된 듀레이션 보다 높게 설정한다.
또한, 상기 전력 듀레이션 수행부는, 기준 사이클에 해당되는 전체 타임 슬롯에 대해 상기 트래픽 사용량 판단부에 의해 판단되는 트래픽 사용량에 따라 전력을 할당하는 타임 슬롯의 개수를 조정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트래픽 사용량의 크기에 비례하는 개수로 상기 타임 슬롯의 개수를 조정한다.
또한, 상기 전력 듀레이션 수행부는, 기준 사이클에 해당하는 전체 타임 슬롯 각각의 듀레이션에 대해 상기 트래픽 사용량 판단부에 의해 판단되는 트래픽 사용량에 대응되는 듀레이션에 전력을 할당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며, 상기 전체 타임 슬롯 각각의 듀레이션 중 상기 트래픽 사용량에 대응되는 듀레이션의 폭을 상기 트래픽 사용량의 크기에 비례하여 설정한다.
또한, 상기 전송 신호 제어부는, 가입자 회선별로 시분할 방식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기화 작업을 수행하는 동기화부; 외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전력 듀레이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가입자 회선별로 타임 슬롯을 할당하는 타임 슬롯 할당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전력 듀레이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타임 슬롯에 대한 전력 할당을 수행하는 전력 할당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입자 회선별 트래픽 사용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되는 트래픽 사용량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변화된 트래픽에 대응되는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전송 신호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수행된 상기 변화된 트래픽에 대응되는 전력 듀레이션에 따라 상기 가입자 회선에 대한 신호 전송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동적 전송 제어 장치는,
고객 댁내 장치의 가입자 회선에 대한 트래픽 전송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로서, 통신부,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서버 및 상기 고객 댁내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통신부가 신호를 송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램 및 상기 장치가 상기 고객 댁내 장치의 가입자 회선에 대한 트래픽 전송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고객 댁내 장치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가입자 회선의 트래픽을 측정하고, 상기 가입자 회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타임 슬롯의 전체 듀레이션 중 상기 가입자 회선에 대해 측정되는 트래픽의 사용량에 대응하는 일부 듀레이션에 대해 전력을 할당하는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입자 회선의 트래픽 사용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되는 트래픽 사용량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변화된 트래픽에 대응되는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전력 듀레이션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고객 댁내 장치와 연결된 가입자 회선의 신호 전송을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래픽 사용량과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의 비교를 통해 상기 트래픽 사용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적은 경우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타임 슬롯의 전체 듀레이션 중 전력이 할당되는 듀레이션을 미리 설정된 듀레이션 보다 낮게 설정하고, 상기 트래픽 사용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타임 슬롯의 전체 듀레이션 중 전력이 할당되는 듀레이션을 상기 미리 설정된 듀레이션 보다 높게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기준 사이클에 해당되는 전체 타임 슬롯에 대해 상기 트래픽 사용량 판단부에 의해 판단되는 트래픽 사용량에 따라 전력을 할당하는 타임 슬롯의 개수를 조정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트래픽 사용량의 크기에 비례하는 개수로 상기 타임 슬롯의 개수를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기준 사이클에 해당하는 전체 타임 슬롯 각각의 듀레이션에 대해 상기 트래픽 사용량 판단부에 의해 판단되는 트래픽 사용량에 대응되는 듀레이션에 전력을 할당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며, 상기 전체 타임 슬롯 각각의 듀레이션 중 상기 트래픽 사용량에 대응되는 듀레이션의 폭을 상기 트래픽 사용량의 크기에 비례하여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트래픽 전송량에 따라 상향/하향 타임 슬롯에 할당되는 전력 듀레이션을 조정함으로써 번들케이블 내의 FEXT 간섭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TDD 동기 시스템을 유지하면서도 시스템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전송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종래 전송 제어 방식에 따른 전력 할당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전송 제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전송 제어 방법에 따른 전력 할당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전송 제어 방법에서 제1 방식에 따른 전력 듀레이션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전송 제어 방법에서 제2 방식에 따른 전력 듀레이션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전송 신호 제어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전송 제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 전송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가입자에게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nternet service provider)가 설치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전송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여기서, 액세스 네트워크의 구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명을 위해 필요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할 뿐 이러한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집선 장비(GAM)에 대응될 수 있는 네트워크 관리 장치(20)의 업링크 측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10)에 결합되어 있고 네트워크 관리 장치(20)의 다운링크 측은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 회선을 통하여 단말(GNT)에 대응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객 댁내 장치(30)에 결합되어 있다.
서버(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자와 연결되고, 네트워크 관리 장치(20)와 연결되어 인터넷 가입자의 댁내에 설치된 여러 고객 댁내 장치(30)의 인터넷 서비스 정책 및 네트워크 관리를 수행한다.
네트워크는 FTTH(Fiber To The Home)를 포함하는 FTTx(Fiber To The x)와 같은 광대역 네트워크로서, 종단에 OLT(Optical Line Terminal)와 같은 광선로 종단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운링크 측의 케이블은 UTP, 전화선(phone line), 전력선(power line), 그리고 동선 케이블(Coaxial cabl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번들 케이블 일 수 있다.
네트워크 관리 장치(20)는 동선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모뎀을 연결하여 기가(GiGa) 인터넷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네트워크 관리 장치(20)는 건물의 통신실 또는 동 단자함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관리 장치(20)와 고객 댁내 장치(30)는 일정 시간 단위로 TDD 동기화되어 있으며 동일한 출력으로 신호를 전송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관리 장치(20)의 두 개의 포트(포트1, 포트2) 중 포트1은 기준값보다 트래픽이 적고, 포트2는 기준값보다 트래픽이 많더라도 포트1과 포트2를 통한 고객 댁내 장치(30) 사이에는 일정 시간 단위로 TDD 동기화 되어 있어서 동일한 출력으로 신호를 보내고 있다(Power on). 즉, 전송할 트래픽이 없어도 동일한 출력 신호를 전송하고 있으므로, 이로 인해 다른 포트의 회선에 간섭을 주어 신호 전송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하,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동적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전송 제어 장치(1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전송 제어 장치(100)는 전송 매체 정합부(110), 제어부(120), 스위칭부(130) 및 전송 신호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전송 제어 장치(100)는 네트워크 관리 장치(20) 내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이거나, 또는 네트워크 관리 장치(20)에 연동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전송 매체 정합부(110)는 고객 댁내 장치(30)와 가입자 회선을 통해 연결된다. 전송 매체 정합부(110)는 기본적으로 1 페어(pair, 2가닥)의 전송 선로를 통하여 고객 댁내 장치(30)와 연결되어 단일-입력 단일-출력(SISO) 전송 모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1 pair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전송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2 pair(4가닥) 또는 4 pari(8가닥)의 전송 선로를 통하여 고객 댁내 장치(30)에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모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중 pair의 전송 선로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다중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모드에서 전송 성능이 높지만 전송 주파수 대역, 전송 거리, 선로의 단선 등의 선로 상태, 그리고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인하여 단일-입력 단일-출력(SISO) 모드에서 전송 성능이 높을 수 있다.
제어부(120)는 가입자 회선별로 트래픽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이러한 트래픽 상태는 주기적으로 수행되거나 또는 트래픽 환경 변화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20)는 가입자 회선별로 트래픽 사용량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20)가 가입자 회선별로 트래픽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여러 가지 방식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어부(120)는 가입자 회선별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타임 슬롯(time slot)을 할당한다. 기본적으로, 1 MAC(Media Access Control) 사이클은 40ms로, 총 16개의 타임 슬롯으로 구성되며, 16개의 타임 슬롯이 동적 전송 제어 장치(100)와 고객 댁내 장치(30)에게 교대로 할당되므로, 결과적으로 8개의 타임 슬롯이 동적 전송 제어 장치(100)의 데이터 전송에 할당되고, 나머지 8개의 타임 슬롯이 고객 댁내 장치(30)의 데이터 전송에 할당된다.
제어부(120)는 가입자 회선별로 감지되는 트래픽 사용량에 따라 각 엔티티에게 할당된 타임 슬롯의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제어부(120)는 트래픽 사용량이 기준값보다 적은 경우에는 타임 슬롯의 전력 듀레이션(power duration)을 낮게 설정하고,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타임 슬롯의 전력 듀레이션을 높게 설정한다.
선택적으로, 제어부(120)는 복수의 기준값을 미리 설정하고, 복수의 기준값에 기초하여 엔티티의 트래픽 사용량을 세부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그 판단 결과에 따라 타임 슬롯의 전력 듀레이션을 세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관리 장치(20)의 두 개의 포트(포트1, 포트2) 중 포트1은 기준값보다 트래픽 사용량이 적고, 포트2는 기준값보다 트래픽 사용량이 많은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포트1에 해당하는 타임 슬롯에 대해서는 적은 듀레이션(A, B)에 대해서만 전력을 할당하고(Power on), 나머지 듀레이션(C, D)에 대해서는 전력을 할당하지 않는(Power off), 타임 슬롯에 대한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한다.
그러나, 포트2에 해당하는 타임 슬롯에 대해서는 포트1에 비해 많은 듀레이션(E, F)에 대해 전력을 할당하고(Power on), 나머지 듀레이션(G, H)에 대해서는 전력을 할당하지 않는(Power off), 타임 슬롯에 대한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에서 일부 타임 슬롯의 영역에 대해 전력을 할당하지 않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엔티티 통신에 간섭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정도의 낮은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low power).
이와 같이, 제어부(120)는 가입자 회선별 트래픽 사용량에 따라 각 회선별로 할당되는 타임 슬롯의 전력 듀레이션을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즉, 가입자 회선별 트래픽 사용량에 따라 타임 슬롯의 전력 듀레이션을 적용한 후, 그 후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트래픽 측정에 의한 트래픽 사용량이 변화되는 경우 변화된 후의 트래픽 사용량에 따라 타임 슬롯의 전력 듀레이션을 동적으로 조정한다.
스위칭부(130)는 외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되어 각각의 고객 댁내 장치(30)에 전달할 데이터를 스위칭하여 전송 신호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전송 신호 제어부(140)는 제어부(120)에 의해 가입자 회선별로 할당되는 타임 슬롯 정보와 전력 듀레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 스위칭부(130)로부터 전달 받은 데이터를 해당 타임 슬롯과 전력 듀레이션에 기초하여 전송하기 위해 전송 매체 정합부(110)를 통한 고객 댁내 장치(30)와 연결된 가입자 회선의 신호 전송을 제어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제어부(120)가 가입자 회선별 트래픽 사용량에 기초하여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듀레이션 수행 방식은 두 가지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첫 번째 방식으로는, 1 MAC의 타임 슬롯의 전력 듀레이션을 조정하는 방식이다.
첫 번째 방식에 대해, 도 5를 참조하면, 1 MAC 사이클의 16개 타임 슬롯 전체에 대해 트래픽 사용량에 따라 전력을 할당하는 타임 슬롯의 개수를 조정함으로써 1 MAC 사이클의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이 때, 일 측, 예를 들어 동적 전송 제어 장치(100)측에서의 전력 듀레이션을 설명하기 때문에 타임 슬롯은 전체 16개 중에서 8개의 타임 슬롯이 해당될 것이다.
예를 들어, 트래픽 사용량이 100%인 경우에는, 전체 16개의 타임 슬롯 중 동적 전송 제어 장치(100)의 전송에 할당되는 8개의 타임 슬롯 모두에 전력을 할당하는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한다.
만약 트래픽 사용량이 70%인 경우에는, 전체 8개의 타임 슬롯 중 70%에 해당하는 대략 5개의 타임 슬롯에 전력을 할당하는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는 전력이 할당되지 않는 타임 슬롯이 존재하게 된다. 이 때, 70%의 트래픽 사용량에 대해 5개의 타임 슬롯을 할당할 것인지, 아니면 6개의 타임 슬롯을 할당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동적 전송 제어 장치(100)의 데이터 전송 정책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만약 트래픽 사용량이 0%인 경우에는, 전체 8개의 타임 슬롯 중 하나 또는 두 개의 타임 슬롯에 전력을 할당하는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한다. 여기서, MAP 송수신을 위해 첫 번째 타임 슬롯은 필수적으로 송수신해야 하므로, 적어도 한 개의 타임 슬롯에 대해서는 전력을 할당하는 전력 듀레이션이 수행되어야 한다.
다음, 두 번째 방식으로는, 1 타임 슬롯의 전력 듀레이션을 조정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 방식에 대해, 도 6을 참조하면, 1 MAC 사이클의 16개 타임 슬롯 각각에 대해 트래픽 사용량에 따라 할당되는 전력의 듀레이션을 조정함으로써 1 타임 슬롯의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이 때도, 일 측, 예를 들어 동적 전송 제어 장치(100)측에서의 전력 듀레이션을 설명하기 때문에 타임 슬롯은 전체 16개 중에서 8개의 타임 슬롯이 해당될 것이다.
예를 들어, 트래픽 사용량이 100%인 경우에는, 전체 16개의 타임 슬롯 중 동적 전송 제어 장치(100)의 전송에 할당되는 8개의 타임 슬롯 각각에 대해 70%의 전력이 할당되도록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1개의 타임 슬롯의 전체 듀레이션이 4ms인 경우 2.8ms 듀레이션에 대해서만 전력을 할당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8개의 타임 슬롯 각각에 대해 70%의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결과적으로 8개의 타임 슬롯 전체적으로도 70%의 전력 듀레이션이 수행되는 것이다.
트래픽 사용량이 100%인 경우에는, 전체 16개의 타임 슬롯 중 동적 전송 제어 장치(100)의 전송에 할당되는 8개의 타임 슬롯 각각에 대해 100%의 듀레이션에 대해 전력을 할당하는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한다. 이때의 전력 듀레이션은 첫 번째 방식에서의 전력 듀레이션과 동일한 결과가 될 것이다.
만약 트래픽 사용량이 70%인 경우에는, 전체 8개의 타임 슬롯 각각에 대해 70%의 전력이 할당되도록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1개의 타임 슬롯의 전체 듀레이션이 4ms인 경우 2.8ms 듀레이션에 대해서만 전력을 할당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8개의 타임 슬롯 각각에 대해 70%의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결과적으로 8개의 타임 슬롯 전체적으로도 70%의 전력 듀레이션이 수행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8개의 타임 슬롯 중에서 전력이 할당되지 않는 타임 슬롯이 존재하지 않는다.
만약 트래픽 사용량이 0%인 경우에는, 전체 8개의 타임 슬롯 중 한 개의 타임 슬롯의 듀레이션 중에서 일부 듀레이션에 대해서만 전력을 할당하는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한다. 이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MAP 송수신을 위해 첫 번째 타임 슬롯은 필수적으로 송수신해야 하므로, 적어도 한 개의 타임 슬롯에 대해서는 전력을 할당해야 하므로 최소한의 전력을 할당하는 전력 듀레이션이 수행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전력이 할당되지 않는 타임 슬롯이 존재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동적 전송 제어 장치(100)측에서의 전력 듀레이션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가입자 회선 또는 동적 전송 제어 장치(100)측에서 측정되는 트래픽 사용량은 고객 댁내 장치(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고객 댁내 장치(30)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타임 슬롯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2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트래픽 측정부(121), 사용량 판단부(123) 및 전력 듀레이션 수행부(125)를 포함한다.
트래픽 측정부(121)는 가입자 회선별로 트래픽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트래픽 사용량을 측정한다. 트래픽 측정부(121)가 가입자 회선별로 트래픽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트래픽 사용량을 측정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량 판단부(123)는 트래픽 측정부(121)에 의해 측정되는 트래픽 사용량을 가입자 회선별 전체 트래픽을 기준값으로 하여 트래픽 사용량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특정 가입자 회선에 대해 트래픽 사용량이 100%, 70%, 또는 0%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력 듀레이션 수행부(125)는 사용량 판단부(123)에 의해 판단되는 트래픽 사용량에 기초하여 각 가입자 회선별로 할당되는 타임 슬롯에 대해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력 듀레이션 방식은 전술한 두 가지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가입자 회선별로 두 가지 방식 중에서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력 듀레이션 수행부(125)는 가입자 회선별로 최초로 판단되는 트래픽 사용량에 기초하여 타임 슬롯에 대한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한 후, 그 후 주기적으로 판단되는 트래픽 사용량의 변화가 있는 경우 판단되는 트래픽 사용량에 따른 타임 슬롯에 대한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최초 트래픽 사용량이 100%여서 이에 따른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한 후, 그 후 트래픽 사용량이 70%로 감소하는 경우 70%로 감소된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한다.
전력 듀레이션 수행부(125)는 트래픽 사용량에 따른 타임 슬롯 정보와 전력 듀레이션 정보를 전송 신호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전송 신호 제어부(14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신호 제어부(140)는 동기화부(141), 타임 슬롯 할당부(143) 및 전력 할당부(145)를 포함한다.
동기화부(141)는 가입자 회선별로 TDD 방식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기화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동기화 작업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타임 슬롯 할당부(143)는 스위칭부(13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에 대해 제어부(120)로부터 전달되는 가입자 회선별 타임 슬롯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할당한다.
전력 할당부(145)는 제어부(120)로부터 전달되는 가입자 회선별 전력 듀레이션 정보에 따라 가입자 회선별 타임 슬롯에 대한 전력 할당을 수행한다. 이러한 타임 슬롯에 대한 전력 할당은 전술한 두 가지 방식의 전력 듀레이션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전술한 내용을 참조한다.
한편, 타임 슬롯 할당부(143)에서의 타임 슬롯에 대한 데이터 할당은 전력 할당부(145)에서의 전력 할당과 동기되어 수행될 수 있다. 즉, 타임 슬롯 중에서 전력이 할당되는 타임 슬롯 또는 타임 슬롯 중에서 전력이 할당되는 듀레이션을 통해서만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데이터 할당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동적 전송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전송 제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포트별 또는 가입자 회선별로 트래픽을 측정한다(S100).
그 후, 제어부(120)는 측정된 트래픽의 사용량에 따라 두 가지 방식 중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른 타임 슬롯에 대한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한다(S110).
따라서, 전송 신호 제어부(140)는 상기 단계(S110)에서 수행된 전력 듀레이션에 대응하여 실질적인 타임 슬롯에 대한 전력을 할당하고 또한 데이터를 할당하며, 전송 매체 정합부(110)가 그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S120).
다음, 제어부(120)는 주기적으로 트래픽을 측정하고(S130), 측정되는 트래픽의 사용량에 변화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140).
만약 측정되는 트래픽의 사용량에 변화가 없는 경우 계속 주기적인 트래픽 측정을 수행하지만, 그렇지 않고 트래픽의 사용량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변화된 트래픽 사용량에 대응되는 타임 슬롯에 대한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한다(S150). 물론 이러한 전력 듀레이션은 상기 단계(S110)에서 수행된 방식과 동일한 전력 듀레이션 방식이어야 한다.
그 후, 전송 신호 제어부(140)는 상기 단계(S150)에서 변화된 트래픽 사용량에 대응되는 전력 듀레이션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할 타임 슬롯에 대한 전력 할당을 수행하고, 전송 매체 정합부(110)가 그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S16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동적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트래픽 전송량에 따라 상향/하향 타임 슬롯에 할당되는 전력 듀레이션을 조정함으로써 번들케이블 내의 FEXT(Far End CrossTalk) 간섭을 완화시킬 수 있어서, TDD 동기 시스템을 유지하면서도 시스템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동적 전송 제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 전송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전송 제어 장치(200)는 통신부(210), 메모리(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상위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와 통신하고, 가입자 회선을 통해 고객 댁내 장치(30)와 통신을 수행한다.
메모리(220)는 통신부(210) 및 프로세서(220)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전송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메모리(220)는 통신부(210)가 서버(10) 또는 고객 댁내 장치(30) 사이에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220)는 통신부(210)와 고객 댁내 장치(30) 사이의 가입자 회선별로 트래픽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램, 측정된 트래픽의 사용량에 따라 타임 슬롯에 대한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램, 전력 듀레이션에 따른 전력 할당을 수행하여 타임 슬롯을 통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램, 측정된 트래픽의 사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변화된 트래픽의 사용량에 따른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프로세서(23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도 4 내지 도 6 및 조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안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고객 댁내 장치(30) 사이에 수행되는 가입자 회선별 트래픽의 사용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트래픽의 사용량에 대응되는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한 후 통신부(210)를 통해 서버(1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고객 댁내 장치(30)에게 전송하고, 주기적인 트래픽의 측정에 의해 트래픽의 사용량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변화된 트래픽의 사용량에 대응되는 타임 슬롯에 대한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여 변화된 전력 듀레이션에 따른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도록 하는 작업을 실행한다.
이러한 프로세서(230)는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8)

  1.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관리 장치와 복수의 고객 댁내 장치가 복수의 가입자 회선을 포함하는 번들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액세스 네트워크 구조에서, 전송 제어 장치가 고객 댁내 장치의 가입자 회선에 대한 동적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가입자 회선별로 트래픽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입자 회선별로 데이터를 전송할 타임 슬롯의 전체 듀레이션 중 상기 가입자 회선별로 측정되는 트래픽의 사용량에 대응하는 일부 듀레이션에 대해 전력을 할당하는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 듀레이션은,
    기준 사이클에 해당하는 모든 타임 슬롯을 사용하되, 각 타임 슬롯별로 상기 트래픽 사용량에 대응되는 듀레이션에만 전력을 할당하는 방식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타임 슬롯 각각의 듀레이션 중 상기 트래픽 사용량에 대응되는 듀레이션의 폭이 상기 트래픽 사용량의 크기에 비례하여 설정되는
    동적 전송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후에,
    상기 가입자 회선별로 트래픽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회선별 트래픽의 측정에 의해 이전의 트래픽의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트래픽의 변화가 판단되는 경우, 변화된 트래픽에 대응되는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동적 전송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듀레이션은,
    측정된 트래픽의 사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적은 경우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타임 슬롯의 전체 듀레이션 중 전력이 할당되는 듀레이션을 미리 설정된 듀레이션 보다 낮게 설정하거나, 또는
    측정된 트래픽의 사용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타임 슬롯의 전체 듀레이션 중 전력이 할당되는 듀레이션을 상기 미리 설정된 듀레이션 보다 높게 설정하는,
    동적 전송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듀레이션은,
    기준 사이클에 해당되는 전체 타임 슬롯에 대해 트래픽 사용량에 따라 전력을 할당하는 타임 슬롯의 개수를 조정하는 방식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트래픽 사용량의 크기에 비례하는 개수로 상기 타임 슬롯의 개수가 조정되는,
    동적 전송 제어 방법.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된 트래픽에 대응되는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트래픽의 변화가 트래픽의 사용량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증가한 트래픽의 사용량에 대응되는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트래픽의 변화가 트래픽의 사용량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감소된 트래픽의 사용량에 대응되는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는,
    동적 전송 제어 방법.
  7. 고객 댁내 장치의 가입자 회선에 대한 트래픽 전송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로서,
    가입자 회선별로 트래픽을 측정하고, 상기 가입자 회선별로 데이터를 전송할 타임 슬롯의 전체 듀레이션 중 상기 가입자 회선별로 측정되는 트래픽의 사용량에 대응하는 일부 듀레이션에 대해 전력을 할당하는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수행된 전력 듀레이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고객 댁내 장치와 연결된 가입자 회선의 신호 전송을 제어하는 전송 신호 제어부
    를 포함하며,
    기준 사이클에 해당하는 모든 타임 슬롯을 사용하되, 각 타임 슬롯별로 상기 트래픽 사용량에 대응되는 듀레이션에만 전력을 할당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타임 슬롯 각각의 듀레이션 중 상기 트래픽 사용량에 대응되는 듀레이션의 폭이 상기 트래픽 사용량의 크기에 비례하여 설정되는
    동적 전송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입자 회선별 트래픽 상태를 측정하는 트래픽 측정부;
    상기 트래픽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가입자 회선별 트래픽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가입자 회선별 트래픽 사용량을 판단하는 트래픽 사용량 판단부; 및
    상기 트래픽 사용량 판단부에 의해 판단되는 상기 가입자 회선별 트래픽 사용량에 기초하여 각 가입자 회선별로 할당되는 타임 슬롯에 대해 상기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는 전력 듀레이션 수행부
    를 포함하는, 동적 전송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듀레이션 수행부는,
    상기 트래픽 사용량 판단부에 의해 판단되는 트래픽 사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적은 경우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타임 슬롯의 전체 듀레이션 중 전력이 할당되는 듀레이션을 미리 설정된 듀레이션 보다 낮게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트래픽 사용량 판단부에 의해 판단되는 트래픽 사용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타임 슬롯의 전체 듀레이션 중 전력이 할당되는 듀레이션을 상기 미리 설정된 듀레이션 보다 높게 설정하는,
    동적 전송 제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듀레이션 수행부는,
    기준 사이클에 해당되는 전체 타임 슬롯에 대해 상기 트래픽 사용량 판단부에 의해 판단되는 트래픽 사용량에 따라 전력을 할당하는 타임 슬롯의 개수를 조정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트래픽 사용량의 크기에 비례하는 개수로 상기 타임 슬롯의 개수를 조정하는,
    동적 전송 제어 장치.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입자 회선별 트래픽 사용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되는 트래픽 사용량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변화된 트래픽에 대응되는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전송 신호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수행된 상기 변화된 트래픽에 대응되는 전력 듀레이션에 따라 상기 가입자 회선에 대한 신호 전송을 제어하는,
    동적 전송 제어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신호 제어부는,
    가입자 회선별로 시분할 방식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기화 작업을 수행하는 동기화부;
    외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전력 듀레이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가입자 회선별로 타임 슬롯을 할당하는 타임 슬롯 할당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전력 듀레이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타임 슬롯에 대한 전력 할당을 수행하는 전력 할당부
    를 포함하는, 동적 전송 제어 장치.
  14. 고객 댁내 장치의 가입자 회선에 대한 트래픽 전송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로서,
    통신부,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서버 및 상기 고객 댁내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통신부가 신호를 송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램 및 상기 장치가 상기 고객 댁내 장치의 가입자 회선에 대한 트래픽 전송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고객 댁내 장치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가입자 회선의 트래픽을 측정하고, 상기 가입자 회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타임 슬롯의 전체 듀레이션 중 상기 가입자 회선에 대해 측정되는 트래픽의 사용량에 대응하는 일부 듀레이션에 대해 전력을 할당하는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준 사이클에 해당하는 모든 타임 슬롯을 사용하되, 각 타임 슬롯별로 상기 트래픽 사용량에 대응되는 듀레이션에만 전력을 할당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며, 상기 타임 슬롯 각각의 듀레이션 중 상기 트래픽 사용량에 대응되는 듀레이션의 폭을 상기 트래픽 사용량의 크기에 비례하여 설정하도록 구성된,
    동적 전송 제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입자 회선의 트래픽 사용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되는 트래픽 사용량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변화된 트래픽에 대응되는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전력 듀레이션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고객 댁내 장치와 연결된 가입자 회선의 신호 전송을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동적 전송 제어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래픽 사용량과 미리 설정된 기준값의 비교를 통해 상기 트래픽 사용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적은 경우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타임 슬롯의 전체 듀레이션 중 전력이 할당되는 듀레이션을 미리 설정된 듀레이션 보다 낮게 설정하고, 상기 트래픽 사용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타임 슬롯의 전체 듀레이션 중 전력이 할당되는 듀레이션을 상기 미리 설정된 듀레이션 보다 높게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동적 전송 제어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준 사이클에 해당되는 전체 타임 슬롯에 대해 상기 트래픽 사용량에 따라 전력을 할당하는 타임 슬롯의 개수를 조정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 전력 듀레이션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트래픽 사용량의 크기에 비례하는 개수로 상기 타임 슬롯의 개수를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동적 전송 제어 장치.
  18. 삭제
KR1020170039465A 2017-03-28 2017-03-28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동적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978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465A KR101978719B1 (ko) 2017-03-28 2017-03-28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동적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465A KR101978719B1 (ko) 2017-03-28 2017-03-28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동적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568A KR20180109568A (ko) 2018-10-08
KR101978719B1 true KR101978719B1 (ko) 2019-05-15

Family

ID=6386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465A KR101978719B1 (ko) 2017-03-28 2017-03-28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동적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7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5962A (ja) * 2010-07-05 2012-01-19 Hitachi Ltd Mwpon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onu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3985B2 (en) * 2012-03-29 2016-11-22 Sckipio Technologies S.I Ltd Transmission scheme for communication syste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5962A (ja) * 2010-07-05 2012-01-19 Hitachi Ltd Mwpon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onu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568A (ko) 201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888B1 (ko) 통신 시스템을 위한 송신 방법
US10264136B2 (en) Resource allocation in a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US9148243B2 (en) Allocating upstream bandwidth in an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US9866271B2 (en) Interference mitigation apparatus and interference mitigation method for home network transmission line,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same
KR101531040B1 (ko) 엑세스 네트워크에서 인터넷을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관리 방법
EP309167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network
KR101978719B1 (ko)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동적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474520B1 (ko) 홈 네트워크 전송 선로의 간섭 완화 장치, 간섭 완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EP312870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line in access network having g.hn technology applied thereto, and access network line concentration instrument, access network terminal and access network system using same
KR102006332B1 (ko) 전송 대역폭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910161B1 (ko)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088794B2 (en) Dynamic time assignmen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101968306B1 (ko) 하나의 동선선로를 이용하여 다수의 가입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35960A (ko) G.hn 기술이 적용된 액세스 네트워크의 라인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집선장비, 액세스 네트워크 단말, 및 액세스 네트워크 시스템
KR101531039B1 (ko) 엑세스 네트워크에서 인터넷을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관리 방법
KR101825727B1 (ko) 동선 기반 네트워크에서의 전송 모드 설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송 모드 설정 방법
US20220376739A1 (en) Time-division multiplexing to reduce alien crosstalk in cables
EP3487079B1 (en)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net service in access network
KR20180091360A (ko)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114111A (ko) 수동형 광 가입자 망의 광 선로 종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향 대역 제어 방법
WO2015152570A1 (ko) G.hn 기술이 적용된 액세스 네트워크의 라인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집선장비, 액세스 네트워크 단말, 및 액세스 네트워크 시스템
KR20190027224A (ko) 단일 가입자 회선 포트형 네트워크 장치 및 동기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