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385B1 -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 - Google Patents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385B1
KR101978385B1 KR1020170048316A KR20170048316A KR101978385B1 KR 101978385 B1 KR101978385 B1 KR 101978385B1 KR 1020170048316 A KR1020170048316 A KR 1020170048316A KR 20170048316 A KR20170048316 A KR 20170048316A KR 101978385 B1 KR101978385 B1 KR 101978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d
support
foo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5882A (ko
Inventor
김명자
허경용
김남희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48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385B1/ko
Publication of KR20180115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66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2001/0207Nutating movement of a body part around its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환자의 발의 저면에 접촉되어 발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링크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동작부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다리 근육 위축에 따른 족하수 문제를 예방하고, 욕창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ANKLE-FOOT ORTHOSIS TO PREVENT FOOT DROP AND BEDSORE}
본 발명은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송수신 시스템을 이용한 발목 운동을 자동화로 다리 근육 위축에 따른 족하수 문제를 예방하고, 유체의 유출입을 통해 형상 변형이 가능한 패드를 통해 내피의 형셩의 변형을 유도하여 욕창을 예방하고, 압력유닛을 결합하여 안전성을 증대시키는 단하지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뇌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마비 환자는 신경계의 마비로 인하여 발목관절 주위의 근육활동이 약화된다. 이로 인해, 보행 시 발목의 배굴/저굴 및 내번/외번이 자발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보행 양상을 보인다. 즉, 족저굴근의 경직성 마비로 인해 초기 입각기에 발뒤축이 지면에 닿지 않고 발바닥이나 발끝으로 딛게 되는 족하수(foot drop) 현상을 보이게 된다. 이를 보상하기 위해 마비 환자는 회선보행(circumduction gait)을 하게 되어 보행속도가 느려지고 에너지 소모가 크게 증가되는 등의 비효율적 보행양상을 보이게 된다.
족하수(foot drop)란, 신경계의 마비로 발목주위의 근육활동이 작아지거나 없어짐으로 인해 발을 들어올리지 못하는 증상을 말한다. 족하수가 발생하는 원인은 중추 및 말초신경계의 마비로 인해 발목 주위에 있는 앞정강이근(tibialis anterior)의 활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지지지 않아서 발생되며 특히, 경련성 마비환자들에게 자주 발생된다.
족하수 환자의 보행양상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기능적 전기자극(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과 단하지 보조기(ankle-foot orthosis, AFO)를 착용하는 방법이 있다.
기능적 전기자극은 근육의 수축을 유도하기 위해 짧은 순간의 전기적 펄스를 사용하는 전기 자극법으로, 영구적인 보조기구로 기대되어 왔다. 그러나 전기 자극법은 계속적인 시행착오를 통한 개인맞춤형 장비일 뿐 아니라 보행 시 근육의 피로로 인해 근육의 기능이 변화하기 때문에 장시간 착용할 수 없다. 또한, 기능적 전기 자극법은 환경과 보행속도에 따라 보행주기 및 근육의 기능이 변화하는 보행에서는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많다.
단하지 보조기는 족하수 환자의 보행을 호전시키기 위한 물리적 보조수단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단하지 보조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 1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단하지 보조기에 환자의 다리 및 발이 결합된 착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단하지 보조기는 환자의 다리(1)의 종아리 부근을 지지하는 종아리지지부(10), 환자의 발(2)을 지지하는 발지지부(20), 종아리지지부(10)와 발지지부(20)를 연결하는 관절부(30) 및 환자의 다리(1) 및 발(2)을 단하지 보조기에 고정하기 위한 밴드(40)를 포함한다.
발지지부(20)는 종아리지지부(1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환자의 발목 운동에 도움을 주게 된다. 일 예로, 발지지부(20)는 상, 하 회전 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발지지부(20)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관절부(30)에는 다양한 기계장치들이 결합되고, 일 예로, 토션 스프링이 결합될 수 있다.
종래의 단하지 보조기는 환자가 단하지 보조기를 착용하여 보행 시 이를 보조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큰 사고로 중태(重態)에 빠진 환자의 경우, 의식이 없어 발목운동을 장기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이로 인해 족하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환자가 의식이 없어 보행할 수 없으므로 단하지 보조기의 장착만으로는 족하수를 예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자가 족하수를 방지하기 위해 단하지 보조기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도, 다리 골절 등의 환자는 다리 부분의 움직임이 적게 된다. 이로 인해, 단하지 보조기와 종아리 또는 발의 저면이 맞닿는 부분에 장기간 압력이 가해져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게 되고, 욕창(褥瘡)까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송수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발목 운동을 자동화하고, 유체의 유출입으로 형상이 변형이 가능한 패드를 통해 내피의 유동을 유도하고, 압력의 일정성을 판단하여 압력신호를 수신부에 전달하는 압력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다리 근육 위축에 따른 족하수 문제를 예방하고, 욕창을 예방할 수 있으며,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는 환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환자의 발의 저면에 접촉되어 발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링크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동작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의 동작부는 회전동작부를 포함하고, 회전동작부는, 제2 지지부를 구동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의 수신부에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회전동작부에 동작 신호를 전달하여, 제2 지지부가 제1 지지부를 중심으로 링크부를 통해 회전 운동하고, 수신부에 동작 중지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회전동작부에 동작 중지 신호를 전달하여, 제2 지지부가 회전 운동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의 송신부에 회전동작부의 소정의 작동시간 및 작동주기를 입력하면, 제2 지지부가 작동시간 및 작동주기에 따라 회전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의 제1 지지부 또는 제2 지지부는 각각, 발의 저면 또는 종아리와 맞닿는 내피, 외피 및 내피와 외피 사이에 배치되는 패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의 동작부는 패드동작부를 포함하고, 패드동작부는, 패드에 유체를 유출입시켜 내피의 형상의 변형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의 패드동작부는, 패드와 연결된 유로,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 및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의 수신부에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패드동작부에 동작 신호를 전달하고, 밸브가 개방되고, 펌프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수신부에 동작 중지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패드동작부에 동작 중지 신호를 전달하고, 밸브가 폐쇄되고, 펌프의 구동이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의 송신부에 패드동작부의 소정의 작동시간 및 작동주기를 입력하면, 패드동작부가 작동시간 및 작동주기에 따라 유체를 패드 내부로 유출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의 동작부는 진동동작부를 포함하고, 진동동작부는 내피와 패드 사이에 위치되어 내피에 진동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는 환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환자의 발의 저면에 접촉되어 발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링크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동작부 및 제1 지지부 또는 제2 지지부에 결합된 압력유닛을 포함하고, 압력유닛은 종아리 또는 발의 저면의 압력을 감지하여 수신부에 압력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의 압력유닛은, 종아리 또는 발의 저면에 맞닿는 압력 센싱부, 압력 센싱부와 연결된 압력 감지부, 압력 센싱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일정한 경우, 압력 신호를 생성하는 압력 신호 생성부 및 압력 신호를 수신부에 전달하는 압력 신호 송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의 동작부는, 제2 지지부가 제1 지지부를 중심으로 링크부를 통해 회전 운동하게 하는 회전동작부를 포함하고, 압력 신호에 의해 회전동작부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에 따르면, 송신부에 동작신호를 입력하여 동작부를 작동시킬 수 있어 족하수 및 욕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의 동작부의 회전동작부로 인해 제2 지지부가 상, 하로 회전운동하여 환자의 족하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의 동작부의 패드동작부로 인해 패드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어 내피의 형상 변형을 유도하고, 이로 인해 환자의 욕창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의 동작부의 진동동작부로 인해 진동이 발생되어 환자의 욕창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로 인해, 타인으로 하여금 단하지 보조기의 동작부를 작동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의식이 없는 환자의 경우라도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의 송신부에 동작부의 소정의 작동시간 및 작동주기를 입력할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으로, 환자를 진료하는 사람이 매번 상태를 체크할 필요가 없으며, 특히 환자 또는 환자가 아닌 타인의 수면시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어 환자의 안전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의 자동화 시스템에 따라 동작부가 작동하더라도 동작 중지 신호를 송신부에 입력하면 동작부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으므로, 긴급 상황에 대비할 수 있어 안전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의 펌프에 연결된 정방향 구동부 또는 역방향 구동부에 의해 패드의 형상 변형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의 수신부에 연결된 수동유닛으로, 임의로 동작부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의 압력유닛으로 인해, 단하지 보조기의 오작동 시 이를 스스로 감지하여 동작부를 다시 작동하게 하므로, 피드백 시스템(feedback system)의 장점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의 알람부 구성으로 인해, 환자의 안전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단하지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하지 보조기의 착용 시 측면도 및 제2 지지부의 회전 반경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하지 보조기의 사용예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하지 보조기의 신호 전달 체계를 도시한 모식도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제1 지지부 또는 제2 지지부의 일 지점의 측면도로, 유체의 유출입으로 인해 패드 및 내피의 형상이 변형되는 모습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유닛의 압력 신호 전달 체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의 착용 시의 측면도 및 제2 지지부의 회전 반경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의 구성요소 및 이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하지 보조기는 제1 지지부(100), 제2 지지부(200), 링크부(300), 동작부(400), 제어부(410) 및 수신부(420)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100)는 환자의 다리(1) 후방의 종아리(3)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지지부(100)는 전방,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U자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해당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1 지지부(100)의 일 지점에는 밴드부(500)가 결합되고, 환자는 다리(1)를 제1 지지부(100)와 밴드부(500) 사이에 삽입하여 다리(1)를 제1 지지부(100)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제2 지지부(200)는 환자의 발(2)의 저면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지지부(200)는 상부가 개방되어 환자의 발(2)의 자유도를 높이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지지부(200)의 일 지점에는 제1 지지부(100)와 같이 밴드부(500)가 결합된다. 환자는 발(2)을 제2 지지부(200)와 밴드부(500) 사이에 삽입하여 발(2)을 제2 지지부(200)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지지부(100) 및 제2 지지부(200)에 결합되는 밴드부(500)는 탈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링크부(300)는 제1 지지부(100) 및 제2 지지부(200)를 연결한다. 링크부(300)는 제2 지지부(200)가 고정된 제1 지지부(10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 예로 힌지 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환자의 다리(1) 부분은 제1 지지부(200)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되고, 환자의 발(2) 부분은 제2 지지부(200)에 의해 지지되어 힌지 조인트의 힌지 축을 중심으로 상, 하로 회전 가능하다(도 2에 점선 및 실선으로 회전 반경을 도시).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환자의 발목관절의 저굴과 배굴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만들어 보행 시 근력을 보조하고, 이를 통해 족하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동작부(400)는 회전동작부(401), 패드동작부(402) 및 진동동작부(403)를 포함한다(도 4 참조). 회전동작부(401), 패드동작부(402) 및 진동동작부(403)는 각각 구성요소가 상이하고, 동작 메커니즘이 상이하나, 모두 족하수를 방지하고 욕창을 예방하는 데 그 목적이 동일 시 된다.
회전동작부(401)는 제2 지지부(200)를 구동케 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동작부(401)는 제2 지지부(200)의 회전 운동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단하지 보조기는 보행이 가능한 환자를 위해 설계되었으나, 본 발명의 목적은 자의적으로 발(2)을 움직일 수 없는 환자의 족하수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므로, 제2 지지부(200)를 기계적인 힘에 의해 구동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회전동작부(401)는 제2 지지부 모터부(4011), 제2 지지부 링크부(4012) 및 제2 지지부 구동부(4013)를 포함한다. 제2 지지부 모터부(4011)는 회전하는 힘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동력의 근원이 된다. 이때, 제2 지지부 모터부(4011) 내부에는 모터(미도시) 및 제어부(4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송수신시스템(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러한 모터 및 송수신시스템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추후 서술할 패드동작부(402), 진동동작부(403) 또한 제어부(4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송수신시스템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지지부 모터부(4011)는 제2 지지부 링크부(4012)와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고, 제2 지지부 링크부(4012)는 제2 지지부 구동부(4013)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제2 지지부 링크부(4012) 내에는 볼스크류(ball screw) 및 볼너트(ball nut)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지지부 모터부(4011)의 회전운동이 볼스크류(ball screw)와 볼너트(ball nut)에 의해서 직선 운동으로 바뀌게 되어 제2 지지부 모터부(4011)의 회전량과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거리와 이동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제2 지지부 링크부(4012)는 지지부 구동부(4013)와 연결되고, 지지부 구동부(4013)는 제2 지지부(2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제2 지지부(200)를 상, 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즉, 제2 지지부 모터부(4011)의 구동력이 제2 지지부(200)까지 전달된다.
단, 회전동작부(401)의 일 실시예이므로, 회전동작부(401)의 각 구성요소는 어떠한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2 지지부(200)가 상, 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기능에 부합하면 된다.
회전동작부(401)가 제2 지지부(200)를 구동케 함으로써, 환자는 발목운동을 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족하수를 방지할 수 있게된다. 이때, 회전동작부(401)는 자동화되어 송수신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
패드동작부(402)는 밸브(4021), 펌프(4022) 및 유로(4023)를 포함한다(도 4 참조). 도 5를 참조하여, 패드동작부(402)의 구성요소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제1 지지부 또는 제2 지지부의 상부 측 일 지점의 측면도로, 도 5(a) 및 도 5(b)는 유체의 유입으로 인해 패드 및 내피의 형상이 변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하기와 같이 서술하는 제1 지지부(100)의 단면 구조는 제2 지지부(200)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지지부(100)만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지지부(100)는 내피(110), 외피(120) 및 패드(130)를 포함한다. 내피(110)는 종아리(3)와 맞닿게 된다. 내피(110)는 피부와 직접 맞닿게 되므로, 연한 재질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천 재질의 소재가 복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소재로 인해 내피(110)는 형상 변형이 가능하다. 이때, 제2 지지부(200)를 기준으로 내피(110)는 발(2)의 저면과 맞닿게 된다.
외피(120)는 내피(110)를 중심으로 제1 지지부(100)의 최외곽에 위치하여, 환자의 다리(1) 및 종아리(3)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단단한 재질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외피(120)는 형상 변형이 불가능 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지지부(200)를 기준으로 외피(120)는 보행시 바닥과 맞닿게 된다.
패드(130)는 내피(110) 및 외피(12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패드(130)는 패드(130)의 내부에 유체(F)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설계되고, 유체(F)의 유출입으로 인해 형상이 변형되도록 설계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체(F) 함은 일반적으로 공기를 일컫는다.
이때, 패드(130)의 양측부(도 5 기준 좌, 우측)는 유체(F)가 일부 통과할 수 있도록 미세한 크기의 통공(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할 유로(4023)를 통해 패드(130)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F)가 통공을 통해 통과되고, 유체(F)는 종아리(3) 또는 발(2)의 저면과 맞닿게 된다. 이로 인해 환자는 시원한 느낌을 느끼게 되어 사용 시의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패드(130)의 일단부(도 5 기준 상부)는 패드동작부(402)의 유로(4023)와 연결된다. 유로(4023)의 일단부는 유로결합구(4024)를 통해 패드(130)의 일단부와 결합 및 연결되고, 유로(4023)의 타단부는 펌프(4022, 도 3 참조)와 연결된다. 이때, 패드(130)의 타단부(도 5 기준 하부)는 폐쇄된 것이 바람직하다. 유로(4023)를 통해 유입된 유체(F)가 고립되어야 패드(130)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유로(4023)는 본 발명에 따른 단하지 보조기의 제1 지지부(100) 또는 제2 지지부(200)에서 연장되어 외부로 연결되고, 외부에 있는 펌프(4022)와 결합된다. 도 3에서는 제1 지지부(100)와 연결된 펌프(4022) 만을 편의상 도시하였으나, 제2 지지부(200) 또한 펌프(4022)와 연결된다. 펌프(4022)는 유체(F)를 공급하는 공지의 펌프이므로, 펌프(4022)의 형상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펌프(4022)를 통해 외부 유체(F)가 패드(130) 내부로 유입되면, 유체(F)에 의해 패드(130)는 팽창된다. 패드(130)가 팽창될 때, 외피(120)는 재질로 인해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다. 내피(110)는 연한 재질의 소재이므로 패드(130)의 팽창에 대응하여 형상이 변형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내피(110)와 맞닿는 환자의 종아리(3) 부분에는 유체(F)의 주입 전과는 다른 압력이 가해진다.
욕창의 경우, 일정한 압력이 피부에 가해져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조직이 괴사되는 것이다. 특히 도 3과 같이, 의식 없이 병상 침대에만 누워있는 환자(P1)에게 많이 발생하는 질병이다. 종래의 단하지 보조기의 경우에는 착용 시, 내피의 형상이 변화하지 않으므로, 욕창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욕창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피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변화시켜주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단하지 보조기를 환자가 착용하는 경우, 유체(F)의 유출입으로 패드(130)의 형상 변형을 이루고, 이를 통해 패드(130)와 맞닿는 내피(110)의 형상 변형을 유도하게 된다. 이로 인해, 환자 종아리(3)에 가해지는 압력을 변화시켜 욕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족하수를 예방함과 동시에 욕창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도 3과 같이 자의에 의해 발목 운동이 불가한 의식이 없는 환자(P1)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부(200)에 적용되는 경우, 발(2)의 저면의 압력을 변화시켜 욕창을 예방하게 된다.
이때, 유로(4023)의 일 지점에는 패드동작부(402)의 구성요소인 밸브(4021)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4021)는 펌프(4022)로부터 발생되는 유체(F)의 유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밸브(4021)를 개방할 경우, 펌프(4022)로부터 발생된 유체(F)가 유로(4023)를 통과하여 패드(130)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밸브(4021)를 폐쇄할 경우, 밸브(4021)는 유로를 폐쇄하여 펌프(4022)로부터 발생된 유체(F)는 패드(130) 내부로 유입이 불가하다.
유체(F)가 지속적으로 공급이 되면 패드(130)가 유체(F)를 수용할 수 있는 한계점을 맞이하여 더 이상 팽창할 수 없는 단계에 이른다. 패드(130)가 더 이상 팽창하지 않게 되면, 패드(130)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아 욕창을 예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단하지 보조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패드(130)가 폭발할 우려도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패드동작부(402)의 밸브(4021)로 인해, 패드(130) 내부의 유체(F)의 유입량을 조절하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단하지 보조기의 욕창을 예방하는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폭발에 따른 위험성을 감소시켜 단하지 보조기의 안전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밸브(4021)의 개방 및 폐쇄, 그리고 펌프(4022)의 구동 및 중지는 제어부(410)로부터 발생하는 동작 신호 또는 동작 중지 신호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때, 펌프(4022)에는 정방향 구동부(4022a) 및 역방향 구동부(4022b)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방향 구동부(4022a) 및 역방향 구동부(4022b)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정방향 구동부(4022a)는 펌프(4022)를 조절하여 유체(F)가 패드(130) 내부로 유입되게 하고, 역방향 구동부(4022b)는 유체(F)가 펌프(4022) 방향으로 흘러나가도록 한다. 패드(130)의 특성상 유체(F)가 빠져나갈때도 형상이 변형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정방향 구동부(4022a) 및 역방향 구동부(4022b)의 구성으로 인해, 패드(130)에 유체(F)를 유출입 시킬 수 있고, 패드(130)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를 다양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욕창 예방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진동동작부(403)는 내피(110)와 패드(130) 사이의 위치되어 결합된다. 진동동작부(403)의 일 실시예로, 바이브레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브레이터는 자체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말하며, 어느 하나의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진동동작부(403)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내피(110)에 전달되고, 내피(110)에 전달된 진동은 내피(110)와 맞닿고 있는 환자의 종아리(3) 또는 발(2)의 저면에 전달된다. 이러한 진동은 살 떨림 현상을 제공하고, 살 떨림 현상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변화되어 욕창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동작부(400)의 회전동작부(401)는 족하수를 방지하고, 패드동작부(402) 및 진동동작부(403)는 욕창을 예방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족하수 방지 및 욕창 예방을 동시에 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동작부(400)는 제어부(410) 및 수신부(420)와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410) 및 수신부(420)를 설명하기 위해 도 4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하지 보조기의 신호 전달 체계를 도시한 모식도에 관한 것이다.
제어부(410) 및 수신부(420)의 형상은 어느 하나의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만, 제어부(410) 및 수신부(420)의 위치 관련하여, 제어부(410), 수신부(420) 및 후술할 압력유닛(440)은 제1 지지부(100) 또는 제2 지지부(200)의 일 지점에서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침대에서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410), 수신부(420) 및 후술할 압력유닛(440)은 침대 매트리스와 맞닿게 되므로,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결합되는 경우 매트리스와 닿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단하지 보조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송신부(430)로부터의 신호 수신 강도가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제어부(410)는 수신부(42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변환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동작부(4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410)는 일 예로 증폭부(411), A/D변환기(412), 연산처리부(413) 및 제어 신호 생성부(414)를 포함한다.
증폭부(411)는 수신부(42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증폭한다. 이후, A/D변환기(412)는 증폭된 출력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디지털 신호는 연산처리부(413)를 거쳐 제어 신호 생성부(414)에 전달되고, 제어 신호 생성부(414)는 동작부(4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수신부(420)는 외부의 송신부(430)로부터 무선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수신부(420)는 송신부(43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제어부(410)에 전달한다.
이때, 송신부(430)가 동작 신호를 수신부(420)에 전달하면, 수신부(420)는 수신된 동작 신호를 제어부(410)에 전달한다. 제어부(410)에 전달된 동작 신호는 제어부(410) 내의 증폭부(411) 내지 제어 신호 생성부(414)를 거쳐 동작부(400)에 전달된다.
동작부(400) 내의 회전동작부(401)는 제어 신호 생성부(414)로부터 동작 신호를 수신한다. 미도시하였지만, 회전동작부(401) 내의 송수신시스템이 동작 신호를 수신한다. 전달된 동작 신호를 토대로 회전동작부(401)는 구동되고, 이로 인해 제2 지지부(200)가 제1 지지부(100)를 중심으로 링크부(300)를 통해 상, 하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또한, 동작부(400) 내의 패드동작부(402)는 제어 신호 생성부(414)로부터 동작 신호를 수신한다. 미도시하였지만, 패드동작부(402) 내의 송수신시스템이 동작 신호를 수신하고, 밸브(4021) 및 펌프(4022)를 조절하는 작동시스템에 이를 전달한다. 여기서 밸브(4021)의 개폐쇄와 펌프(4022)의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작동시스템은 공지의 기술인 바 이를 생략한다. 이로 인해 패드동작부(402)는 구동되고, 밸브(4021)가 개방되고 펌프(4022)가 구동되어 유체(F)가 패드(13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동작부(400) 내의 진동동작부(403)는 제어 신호 생성부(414)로부터 동작 신호를 수신한다. 미도시하였지만, 진동동작부(403) 내의 송수신시스템이 동작 신호를 수신하고, 진동동작부(403)의 구동을 조조절하는 작동시스템에 이를 전달한다. 이로 인해, 진동동작부(403)는 동작 신호에 의해 구동되고, 진동동작부(403)가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송신부(430)로부터 송신된 동작 신호만으로 동작부(400)가 작동되어 족하수를 방지하고 욕창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환자의 자의에 의한 움직임 없이 단하지 보조기의 동작부(400)를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의식이 없는 화자의 경우라도 단하지 보조기를 결합하여 타인으로 하여금 송신부(430)에 동작 신호를 입력하여 단하지 보조기를 가동할 수 있는 송수신시스템이 구축된다.
또한, 송신부(430)는 동작 중지 신호를 수신부(420)에 전달할 수 있다. 송신부(430)가 동작 중지 신호를 수신부(420)에 전달하면, 수신부(420)는 수신된 동작 중지 신호를 제어부(410)에 전달한다. 제어부(410)에 전달된 동작 중지 신호는 제어부(410) 내의 증폭부(411) 내지 제어 신호 생성부(414)를 거쳐 동작부(400)에 전달된다.
동작부(400) 내의 회전동작부(401)는 동작 중지 신호에 의해 구동이 중지되고, 제2 지지부(200)는 더 이상 상, 하로 회전운동하지 않게 된다. 이때, 송수신시스템이 동작 중지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동작부(400) 내의 패드동작부(402)는 동작 중지 신호에 의해 구동이 중지되고, 밸브(4021)가 폐쇄되고, 펌프(4022)의 구동이 중지되어 패드(130) 내부로 유체(F)가 더 이상 유입되지 않는다. 이때, 송수신시스템이 동작 중지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동작부(400) 내의 진동동작부(403)는 동작 중지 신호에 의해 구동이 중지되고, 진동동작부(403)가 더 이상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이때, 송수신시스템이 동작 중지 신호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동작 신호와 동작 중지 신호에 따라 동작부(400)의 구동 여부가 결정된다. 따라서, 송신자의 필요에 의해서 동작부(400)의 구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자율성이 증대되며 안전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송신부(430)에 동작부(400)의 소정의 작동시간(S) 및 작동주기(T)를 입력하면, 동작부(400)가 입력된 소정의 작동시간(S) 및 작동주기(T)에 따라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소정의 작동시간(S) 및 작동주기(T)라 함은, 일 예로 10분 이상 15분 이하의 작동시간 및 1시간 이상 1시간 15분 이하의 작동주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15분을 초과하여 동작부(400)가 가동되면 환자에게 피로감이 축적될 수 있으며, 10분 미만으로 동작부(400)가 가동되면 족하수 예방의 효과가 미미하다. 또한, 작동주기가 1시간 15분을 초과하여 동작부(400)가 가동되면 환자의 수면을 방해할 수 있으며, 1시간 미만으로 동작부(400)가 가동되면 전력 소모가 과다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동시간 및 작동주기로 인해 환자에게 최적의 컨디션을 제공하고, 효율적으로 동작부(400)가 구동되도록 한다.
환자가 아닌 타인이 송신부(430)에 동작부(400)의 소정의 작동시간(S) 및 작동주기(T)를 입력하면, 위와 같은 신호를 수신부(420)가 수신하여 제어부(410)에 전달하고, 제어부(410)는 동작부(400)가 입력된 작동시간(S) 및 작동주기(T)에 따라 구동케 하도록 제어한다. 즉, 단하지 보조기를 자동화할 수 있게 된다.
회전동작부(401)의 경우, 송신부(430)에 회전동작부(401)의 소정의 작동시간(S) 및 작동주기(T)를 입력하면, 제2 지지부(200)가 설정된 작동시간(S) 및 작동주기(T)에 따라 상, 하로 회전 운동한다.
또한, 패드동작부(402)의 경우, 송신부(430)에 패드동작부(402)의 소정의 작동시간(S) 및 작동주기(T)를 입력하면, 패드동작부(402)가 설정된 작동시간(S) 및 작동주기(T)에 따라 유체(F)를 패드(130) 내부로 유출입시킨다.
또한, 진동동작부(403)의 경우, 송신부(430)에 진동동작부(403)의 소정의 작동시간(S) 및 작동주기(T)를 입력하면, 진동동작부(403)가 설정된 작동시간(S) 및 작동주기(T)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환자가 아닌 타인이 소정의 작동시간(S) 및 작동주기(T)를 입력해 놓으면, 주기적으로 동작부(400)가 작동하게 되므로, 환자 혹은 환자가 아닌 타인의 수면 시간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매번 환자의 상태를 체크하여 수동으로 동작 신호 또는 동작 중지 신호를 입력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기기 작동의 효율성이 증대되고, 수면 시간에도 주기적으로 구동되어 환자의 안전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수신부(420)에는 수동유닛(450)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수동유닛(450)은 제1 지지부(100) 또는 제2 지지부(200)의 일 지점에 결합되며, 수신부(420)와 연결된다. 수동유닛(450)은 수동전원역할을 한다. 송신부(430)에 의한 신호전달이 아닌, 수신부(420)에 직접적으로 동작 신호 또는 동작 중지 신호를 송신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의식이 있으나 다리 움직임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환자가 아닌 타인이 송신부(430)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단하지 보조기를 구동하는 것이 아닌 환자가 직접 수동유닛(450)을 구동하여 동작 신호 또는 동작 중지 신호를 송신하고,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단하지 보조기를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가 아닌 타인이 부재 중인 경우 긴급한 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 3을 참조하도록 한다.
가장 범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하지 보조기가 사용되는 곳은 병원(hospital)이다. 통상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하지 보조기를 장착하는 환자(P1)는 의식이 없거나, 자의에 의해 다리 운동이 불가능한 환자(P1)로, 병상 침대에 누워있는 상태이다. 이에 환자를 진료하는 사람(P2)은 환자(P1)의 다리(1) 및 발(2)에 본 발명에 따른 단하지 보조기를 장착한다.
환자를 진료하는 사람(P2)의 송신부(430)는 일 예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일 수 있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동작 신호를 입력하면, 동작 신호는 무선으로 수신부(420)에 전달된다. 수신부(420)에 수신된 동작 신호는 제어부(410)에 전달되고, 제어부(410)는 동작부(400)를 제어하여 동작부(400)가 구동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병상에 누워 있는 환자(P1)의 의식과는 무관하게 발목 운동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게 되고, 족하수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환자를 진료하는 사람(P2)의 동작 신호 입력만으로 족하수를 예방할 수 있어 공간을 차지하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또한, 환자를 진료하는 사람(P2)이 동작부(400)의 작동을 중지하고자 하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동작 중지 신호를 입력한다. 입력된 동작 중지 신호는 무선으로 수신부(420)에 전달되고, 수신부(420)에 수신된 동작 중지 신호는 제어부(410)에 전달된다. 제어부(410)는 동작부(400)를 제어하여 동작부(40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환자를 진료하는 사람(P2) 또는 환자(P1)가 수면하는 시간의 경우에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미리 동작부(400)의 소정의 작동시간(S) 및 작동주기(T)를 입력하여 주기적으로 동작부(400)가 작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자동화로 인해, 사고 발생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불필요한 노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송신부(430)는 반드시 위 예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PC 등의 다른 통신장치일 수 있다.
수신부(420)에는 압력유닛(440)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참조). 이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6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6은 압력유닛의 압력 신호 전달 체계에 관한 것이다.
압력유닛(440)은 압력 센싱부(441) 및 처리부(442)를 포함하고, 처리부(442)는 압력 감지부(442a), 압력 신호 생성부(442b) 및 압력 신호 송신부(443c)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압력 센싱부(441)는 환자의 종아리(3) 또는 발(2)의 저면에 직접 맞닿도록 내피(1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 변화 정도를 압력 센싱부(441)가 파악하기 위함이다. 환자의 종아리(3) 또는 발(2)로부터 압력 센싱부(441)에 가해지는 압력이 변화되면, 압력 센싱부(441)는 전압을 발생시켜 이를 압력 감지부(442a)에 전달한다. 압력 센싱부(441)의 일 예로 압전소자(피에조일렉트릭)가 사용될 수 있다.
압력 센싱부(441)로부터 전달된 전압 정보를 바탕으로, 압력 감지부(442a)는 전압의 변화 정도를 수치화하여 이를 감지한다. 이때, 압력 감지부(442a)는 압력 센싱부(441)로부터 전압이 전달되지 않으면, 압력 신호 생성부(442b)에 이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압력 신호 생성부(442b)는 압력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압력 신호라 함은, 동작부(400)를 작동시키는 동작 신호와 동일한 개념이다. 생성된 압력 신호는 송신부(443c)를 통해 수신부(420)에 전달된다. 수신부(420)는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부(430)로부터 동작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와 같은 메커니즘으로 동작부(400)를 작동시킨다.
압력 감지부(442a)에 전압이 전달되지 않는다는 것은, 압력 센싱부(441)에 가해지는 압력이 일정한 것이므로, 이는 동작부(400)가 작동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하지 보조기가 오작동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위와 같은 압력유닛(440)이 본 발명에 따른 단하지 보조기에 사용되면, 단하지 보조기의 오작동 시 이를 감지하여 동작부(400)를 다시 작동하게 하므로, 피드백 시스템(feedback system)의 장점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정기적인 체크 없이도 단하지 보조기가 작동되므로, 환자의 안전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처리부(442)의 위치는 어느 하나의 위치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나, 수신부(420)에 압력 신호를 원할히 전달하기 위해 제1 지지부(100) 또는 제2 지지부(200)의 표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처리부(442)와 압력 센싱부(441)는 전기선(L)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도 5와 같이 제1 지지부(100) 또는 제2 지지부(200)를 감싸는 형식으로 전기선(L)이 배치된다.
또한, 압력유닛(440)에는 알람부(460)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람부(460)는 압력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수신된 압력 신호를 토대로 알람부(460) 내의 알람 장치(미도시)를 가동하여 주위에 일정 소리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알람 장치로 인해 환자 근처의 사람에게도 미작동됨을 알릴 수 있으므로 환자의 안전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알람부(460) 내의 알람 송신 장치(미도시)를 통해 환자가 아닌 타인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또는 PC에 단하지 보조기가 오작동됨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알람 송신 장치로 인해 환자를 진료하는 사람이 즉시 환자의 단하지 보조기 상태를 체크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안전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알람부(460)는 압력 신호를 원활히 수신받기 위하여 제1 지지부(100) 또는 제2 지지부(200)의 표면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제1 지지부 200...제2 지지부
300...링크부 400...동작부
410...제어부 420...수신부

Claims (13)

  1. 환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환자의 발의 저면에 접촉되어 상기 발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링크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동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부는 회전동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동작부는,
    상기 제2 지지부를 구동케 하고,
    상기 수신부에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동작부에 동작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제2 지지부가 상기 제1 지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링크부를 통해 회전 운동하고,
    상기 수신부에 동작 중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동작부에 동작 중지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제2 지지부가 회전 운동을 중지하고,
    송신부에 상기 회전동작부의 소정의 작동시간 및 작동주기를 입력하면,
    상기 제2 지지부가 상기 작동시간 및 작동주기에 따라 회전 운동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는 각각,
    상기 발의 저면 또는 상기 종아리와 맞닿는 내피;
    외피; 및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배치되는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부는 패드동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동작부는,
    상기 패드에 유체를 유출입시켜 상기 내피의 형상의 변형을 유도하고,
    상기 패드동작부는,
    상기 패드와 연결된 유로;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 및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에는,
    상기 펌프를 조절하여 유체가 상기 패드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정방향 구동부 및 상기 패드 내부에서 상기 펌프 방향으로 유출되게 하는 역방향 구동부가 구비되되,
    상기 패드는 상기 외피 및 내피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펌프 내부에 유체가 유입되었을 경우,
    상기 패드에 의해 상기 내피만이 변형되어 직접 환자 종아리와 맞닿아 압력의 범위를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동작부는,
    상기 내피에 결합되는 압력 유닛 및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유닛은,
    압력 변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싱부를 구비하여 상기 내피로부터 측정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동작부의 작동 기능의 수행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알람부를 통해 상기 동작부의 미작동을 알림으로 구성하여 오작동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에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드동작부에 동작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펌프가 구동되고,
    상기 수신부에 동작 중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드동작부에 동작 중지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밸브가 폐쇄되고, 상기 펌프의 구동이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에 상기 패드동작부의 소정의 작동시간 및 작동주기를 입력하면,
    상기 패드동작부가 상기 작동시간 및 작동주기에 따라 상기 유체를 상기 패드 내부로 유출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진동동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동작부는 상기 내피와 상기 패드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내피에 진동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70048316A 2017-04-14 2017-04-14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 KR101978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316A KR101978385B1 (ko) 2017-04-14 2017-04-14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316A KR101978385B1 (ko) 2017-04-14 2017-04-14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882A KR20180115882A (ko) 2018-10-24
KR101978385B1 true KR101978385B1 (ko) 2019-05-14

Family

ID=64132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316A KR101978385B1 (ko) 2017-04-14 2017-04-14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3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0792B (zh) * 2021-07-14 2023-06-13 秦皇岛市第一医院 一种基于肌电信号的足下垂患者康复训练机器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5774A (ja) * 2006-06-08 2007-12-20 Fuji Iryoki:Kk 施療機
KR101021258B1 (ko) * 2010-12-30 2011-03-11 정추자 하지 등척성 운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843B1 (ko) * 2007-02-12 2009-11-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마비환자의 족하수 및 발끌림 방지를 위한 능동형 단하지보조기
KR20160037293A (ko) * 2014-09-26 2016-04-06 주식회사 웰뷰텍 사이즈 조절 가능한 사지압박순환장치용 에어커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5774A (ja) * 2006-06-08 2007-12-20 Fuji Iryoki:Kk 施療機
KR101021258B1 (ko) * 2010-12-30 2011-03-11 정추자 하지 등척성 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882A (ko) 201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0870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 and operation of motorized orthotic exoskeleton joints
US11077556B2 (en) Safet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s for a legged mobility exoskeleton device
US8790282B2 (en) Neuromorphic controlled powered orthotic and prosthetic system
Park et al. A hinge-free, non-restrictive, lightweight tethered exosuit for knee extension assistance during walking
RU2596053C2 (ru) Бандаж и электродная система
US9480618B2 (en) Portable active pneumatically powered ankle-foot orthosis
US20140094721A1 (en) Device and Method for Knee Rehabilitation
US11642272B2 (en) Mobility assistance devices with automated assessment and adjustment control
US20110112447A1 (en) Portable active fluid powered ankle-foot orthosis
US20140316311A1 (en) Therapeutic Method and Apparatus Using Mechanically Induced Vibration
TW201639533A (zh) 互動式外骨骼膝關節機器系統
US10278885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 and operation of motorized orthotic exoskeleton joints
US20090143704A1 (en) Device for movement detection, movement correction and training
US11147703B2 (en) Mechanical assisted active orthosis using a robotic application
Puyuelo-Quintana et al. A new lower limb portable exoskeleton for gait assistance in neurological patients: a proof of concept study
KR101703634B1 (ko) 편마비 환자를 위한 보행훈련 장치
US20110118853A1 (en) Prosthetic Socket Stabilization Apparatus and Technique
JP2008093187A (ja) 精神疾患患者治療用ベッド
US20090227911A1 (en) Biometric and low restraint continuous passive motion rehabilitation device
US20120022412A1 (en) Powered Rocking Chair
CN108652925B (zh) 一种助行康复及步态矫正系统
KR101958750B1 (ko)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
KR101978385B1 (ko)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단하지 보조기
KR101033373B1 (ko) 심폐부하지표를 이용한 운동 보조장치 및 운동방법
US20130046216A1 (en) System for deep vein thrombosis therapy integral to a person suppor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