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632B1 - Headphone - Google Patents

Head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632B1
KR101977632B1 KR1020180032064A KR20180032064A KR101977632B1 KR 101977632 B1 KR101977632 B1 KR 101977632B1 KR 1020180032064 A KR1020180032064 A KR 1020180032064A KR 20180032064 A KR20180032064 A KR 20180032064A KR 101977632 B1 KR101977632 B1 KR 101977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eadband
fitting groove
headphon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0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배
Original Assignee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레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2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6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6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dphone which can improve external appearance while minimizing a finishing defect rate of the headphone. To this end, the headphone comprises: a pair of speaker units receiving a sound signal to generate a sound; a connection un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air of speaker units; and a head band unit having one region provided in an open loop shape to enable the pair of speaker units to respectively couple to both ends thereof, and having a fitting groove formed to be recessed inwards along a side surface to enable the connection unit to be fitted therein.

Description

헤드폰 {HEADPHONE}Headphone {HEADPHONE}

본 발명은 전선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폰에 관련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and a headphone including the wire.

최근 통신환경과 정보통신 기기 제조기술의 발달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휴대기기와 같은 단말기가 등장함에 따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음악 및 영화 감상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상술한 단말기는 음향출력기능에 특화되지 않아 내장된 스피커로 음향을 재생하는데 한계가 존재하고, 이로 인해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악 및 영화를 감상함에 있어서 고품질 음향 재생이 가능한 헤드폰, 이어폰, 스피커 등의 음향출력기능이 특화된 음향기기가 부가적으로 이용되고 있다.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tele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manufacturing technology,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tablet PCs and other portable devices have appeared, enabling music and movies to be watched regardless of places. However, the above-mentioned terminal is not specialized in the sound output function, so there is a limitation in reproducing the sound with the built-in speaker.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erminal can be used for a headphone, earphone, speaker An acoustic apparatus specialized in the sound output function of the speaker is additionally used.

음향기기 중 헤드폰은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귀를 향해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개인적인 음악 및 영화 감상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헤드폰의 음향출력방식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전기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음파를 방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헤드폰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6193100호(출원일 : 2013.11.27., 공개일: 2015.06.04., 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에 제시된 바 있다.Among the sound apparatuses, the headphones are provided in a form that can be mounted on the head of the user, so that sound can be output toward the user's ear, thereby enabling personal music and movie appreciation. At this time, the sound output method of the headphone adopts a method of converting the electric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into the vibration of the diaphragm to emit a sound wave. Such a headphone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193100 (filed on April 27, 2013, published on May 25, 201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종래기술은 사용자 두부에 장착 가능한 형태로 마련된 헤드밴드부, 상기 헤드밴드부 양단에 결합되는 스피커부 및 스피커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종래기술의 헤드밴드부에는 양단에 위치한 스피커부 간 전기적 접속을 위한 케이블 즉, 연결부가 착탈될 수 있는 착탈용 홈이 형성되어 있다.The prior art includes a headband unit mounted on a user's head, a speaker unit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eadband unit, and a connection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eaker unit. At this time, a cable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peaker units located at both ends is formed in the headband unit of the related art, that is, a detachable groove for detachable connection is formed.

이때, 종래기술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헤드밴드부를 용이하게 교환 가능도록 착안된 발명으로, 헤드밴드부의 착탈용 홈으로부터 연결부가 쉽게 착탈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면, 연결부는 그 단면이 원형인 일반적인 전선의 형상을 가짐에 따라 헤드밴드부의 착탈용 홈에 장착될 경우에 연결부를 고정할 수 있는 별도의 고정구조 및 본드와 같은 고정물질이 구비되지 않아 연결부가 헤드밴드부의 착탈용 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이에, 경우에 따라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헤드폰을 사용 중 연결부가 헤드밴드의 착탈용 홈으로부터 이탈되는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ventional art is designed so that the headband part can be easily replaced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user,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on part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from the attaching / detaching groove of the headband part. 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ng portion has a shape of a general wir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thus has a separate fixing structure for fixing the connecting portion when the connecting portion is mounted on the attaching / detaching groove of the head band portion, It is not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ion portion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attaching / detaching groove of the headband portion. Accordingly, in some cases, the conventional art may cause inconvenience that the user disconnects the connecting portion from the detachment groove of the headband while the user is using the headphone.

또한, 종래기술의 연결부가 헤드밴드부의 착탈용 홈에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하더라도, 종래기술은 해당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연결부가 헤드밴드부의 착탈용 홈에 인입되면서 헤드밴드부의 착탈용 홈에 유입된 고정물질을 착탈용 홈의 외측으로 밀어내며 외부로 흘러넘칠 수 있어 헤드폰의 마감 불량률이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헤드폰의 마감이 지저분하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In addition, even i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prior art is fixed to the attaching / detaching groove of the headband portion using the fixing means, the prior art can not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material flowing into the attaching / detaching groove of the band portion can be pushed out to the outside of the attaching / detaching groove, and can flow over to the outside, which can increase the percentage of defective headphones.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nish of the headphone becomes dirty and the appearance is not goo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부가 헤드밴드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하고, 헤드폰의 마감 불량률을 최소화하면서도 미관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que of firmly securing a connection portion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a headband portion, and improving aesthetics while minimizing a failure rate of a headphon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은 음향신호를 수신하여 음향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스피커부; 상기 한 쌍의 스피커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일영역이 개방된 루프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스피커부가 양단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가 끼워지도록 측면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끼움홈을 가지는 헤드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내부에 상기 한 쌍의 스피커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선을 수용하는 전선부분; 상기 전선부분으로부터 일정 길이를 가지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분; 및 상기 전선부분과 고정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분; 을 포함하며, 상기 끼움홈은 상기 고정부분이 삽입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전선부분이 삽입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 headphone comprising: a pair of speaker units for receiving a sound signal to generate sound; A connection unit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air of speaker units; And a head band portion provided in a loop shape with one region opened and the speaker portion being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peaker portion and having a fitting groove recessed inwardly along a side thereof so as to fit the connecting portion, A wire portion for receiving a signal lin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air of speaker portions; A fix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wire portion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fixed to the fitting groove;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wire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Wherein the fitting groove includes a first portion into which the fixing portion is inserted and a second portion into which the wire portion is inserted, and the second portion has a wider width than the first portion.

여기서, 상기 고정부분은 외주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ixing portion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그리고, 상기 제2 부분은 개구된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portion is located at an opened side, and the first portion is located inside the second portion.

또한, 상기 끼움홈은 상기 제1 부분 및 제2 부분 각각의 폭이 상기 고정부분 및 상기 전선부분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끼움홈에 상기 연결부가 끼워져 고정될 경우, 상기 고정부분 및 상기 전선부분의 외주면이 상기 끼움홈의 내주면과 맞닿도록 위치하며, 상기 끼움홈에 상기 연결부가 끼워져 고정될 경우, 상기 전선부분의 끝단이 상기 끼움홈이 위치한 헤드밴드부 측면의 끝단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끼움홈의 깊이는 상기 연결부의 높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tting groove may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xing portion and the wire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respectively, and when the connecting portion is fitted and fixed in the fitting groove, The end portion of the wire portion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end of the side surface of the head band portion where the fitting groove is located wh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re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tting groove, The depth of the fitting groove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connecting portion.

그리고, 상기 스피커부는 상기 헤드밴드부의 단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헤드밴드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헤드밴드부의 끼움홈에 끼워져 고정될 경우에 상기 전선부분 및 상기 고정부분을 모두 포함하여 수용되되, 상기 길이조절부분에서 상기 헤드밴드부의 길이 조절이 이루어질 경우에 상기 헤드밴드부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는 상기 헤드밴드부의 단부에서 상기 전선부분만이 노출되어 상기 스피커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peaker unit may include a length adjustable portion coupled to the end portion of the headband portion so that the length of the headband portion can be adjusted. When the connection portion is fitted and fixed in the fitting groove of the headband portion, The length of the headband portion is adjust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headband portion when the length of the headband portion is adjusted in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eaker unit.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은 내부에 신호선을 수용하는 전선부분; 상기 전선부분으로부터 일정 길이를 가지며 연장 형성되는 고정부분; 및 상기 전선부분과 고정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ic wire comprising: a wire portion for receiving a signal wire; A fix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wire porti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wire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여기서, 상기 고정부분은 외주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fixing portion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그리고, 상기 연결부분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 쉽게 찢어지도록 상기 연결부분은 상기 전선부분 및 고정부분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ng portion is thinner than the wire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to easily tear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nnecting portion.

또한, 상기 전선부분은 상기 고정부분보다 큰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wire portion has a width larger than that of the fixing por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연결부의 고정부분이 전선부분으로부터 일정 길이를 가지며 연장 형성되고, 헤드 밴드부의 끼움홈에 끼워져 고정되며, 이때, 고정부분은 외주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돌기를 가짐에 따라 고정부분의 돌기는 연결부를 헤드밴드부의 끼움홈에 끼울 경우에 끼움홈의 측벽과 맞닿는 면적을 최소화하며 끼움에 용이하도록 하고, 끼워진 이후에는 고정부분의 돌기가 끼움홈의 측벽과 맞닿으며 헤드밴드부에서 연결부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First, the fixing part of the connection part is extended and formed with a certain length from the wire part, and is fitted and fixed in the fitting groove of the headband part. At this time, since the fixing part has a plurality of projections protruding outward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protrusion minimizes the area of contact with the side wall of the fitting groove when fitting the connecting portion into the fitting groove of the head band portion, and facilitates fitting. When the fitting portion is fitted, the protrusion of the fixing portion abuts the side wall of the fitting groove, Do not leave.

둘째, 헤드밴드의 끼움홈에 연결부가 끼워져 고정될 경우, 끼움홈의 깊이가 연결부의 높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전선부분의 끝단이 끼움홈이 위치한 헤드밴드부 측면의 끝단과 동일 선상에 위치함에 따라 끼움홈의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연결부를 조립하기 위하여 생성한 구조인 헤드밴드부의 끼움홈이 외관상 노출되지 않아 헤드폰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Secondly, when the connecting part is fitted and fixed in the fitting groove of the headband, the depth of the fitting groove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connecting part, and the end of the wire part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end of the side of the headband part where the fitting groove is located Foreign matte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gap of the fitting groove and the fitting groove of the head band portion, which is a structure formed for assembling the connecting portion,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improving the beauty of the headphone.

셋째, 연결부가 끼움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추가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본딩처리를 할 경우, 본드가 고정부분의 돌기 사이의 틈새에 인입되어 고정부분의 고정력이 증대될 수 있으며, 끼움홈의 개구된 일측 보다 내측에 위치한 고정부분에 비해 전선부분이 큰 폭을 가짐에 따라 본드가 고정부분이 위치한 부분에서 전선부분이 위치한 부분으로 일부 유출되더라도 큰 폭을 가지는 전선부분에 의해 본드가 끼움홈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헤드폰의 마감 불량률을 최소화하면서도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Thirdly, in order to further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connecting portion from the fitting groove, when the bonding treatment is performed, the fixing force of the fixing portion can be increas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protrusions of the fixing portion, Since the wire portion has a large width as compared with the fixing portion located at the fixing portion, the bond is leaked to the outside of the fitting groove by the wire portion having a large width even if the bonding portion partially flows out to the portion where the wire portion is located. . Thus, the appearance defect can be improved while minimizing the defective rate of finishing of the headphones.

넷째, 연결부의 연결부분은 전선부분과 연결부분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가지며, 외력을 가할 경우에 연결부분이 찢어지면서 전선부분과 고정부분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연결부가 헤드밴드부의 끼움홈에 끼워져 고정될 경우에 전선부분 및 고정부분이 연결부분에 의해 연결되어 수용되되, 스피커부의 길이조절부분에서 헤드밴드부의 길이 조절이 이루어질 경우에 헤드밴드부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연결부는 헤드밴드부의 단부에서 스피커부 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에서 연결부분에 외력을 가해 전선부분과 고정부분을 분리시킨 뒤 고정부분을 제거하여 전선부분만을 스피커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길이조절부분에서 헤드밴드부의 길이조절이 이루어짐에 따라 연결부의 움직임이 발생하더라도 일반 전선구조와 유사한 구조의 전선부분만의 움직임이 발생하기에 신뢰성 면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Fourth, the connection part of the connection part is thinner than the wire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wire part and the fixing part by tearing the connection part. In this case, when the connection part is fixed by being fitted in the fitting groove of the head band part, the electric wire part and the fixing pa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part, and when the length of the head band part is adjusted in the length adjusting part of the speaker part, In order to prevent the interference, the connection part is provided with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nnection part from the end portion of the headband part exposed from the end of the headband part to separate the wire part and the fixing part, Even if the movement of the connection portion occurs, the movement of the wire portion having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general wire structure occurs, so that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reliability.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을 도시한 것이다.
도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의 연결부를 도시한 것이며, 도2(b)는 도2(a)의 A-A’선에 따른 연결부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에서 헤드밴드부의 끼움홈을 도시한 것이며, 도3(b)는 헤드밴드부의 끼움홈에 끼움 결합된 연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의 스피커부, 연결부 및 헤드밴드부의 연결을 도시한 것으로, 도4(a)는 스피커부의 길이조절부분에 결합된 헤드밴드부의 길이 조절 전을 도시한 것이며, 도4(b)는 스피커부의 길이조절부분에 결합된 헤드밴드부의 길이 조절 후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에서 헤드밴드부 및 스피커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을 도시한 것이며, 도6(b)는 B-B’선에 따른 전선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 head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shows a connecting portion of a head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b) shows a cross section of a connecting portion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FIG. 3 (a) shows a fitting groove of a headband part in a head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b) shows a connecting part fitted into a fitting groove of a headband part.
4A and 4B illustrate the connection of the speaker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headband portion of the head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shows a state before the adjustment of the length of the headband portion coupled to the length adjustment portion of the speaker portion And FIG. 4 (b) shows the adjustment of the length of the headband portion coupled to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of the speaker portion.
FIG. 5 illustrates a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a headband unit and a speaker unit in a head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 shows a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b) shows a cross section of a wire according to a line B-B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e technical parts already known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헤드폰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headphones>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을 도시한 것이고, 도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의 연결부를 도시한 것이며, 도2(b)는 도2(a)의 A-A’선에 따른 연결부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에서 헤드밴드부의 끼움홈을 도시한 것이며, 도3(b)는 헤드밴드부의 끼움홈에 끼움 결합된 연결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의 스피커부, 연결부 및 헤드밴드부의 연결을 도시한 것으로, 도4(a)는 스피커부의 길이조절부분에 결합된 헤드밴드부의 길이 조절 전을 도시한 것이며, 도4(b)는 스피커부의 길이조절부분에 결합된 헤드밴드부의 길이 조절 후를 도시한 것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에서 헤드밴드부 및 스피커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도시한 것이다. FIG. 1 shows a head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shows a connecting portion of a head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b) FIG. 3 (a) is a view showing a fitting groove of a headband part in a head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b) is a cross-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of a speaker unit, a connection unit, and a headband unit of a head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a) 4 (b) shows a state after the adjustment of the length of the headband part coupled to the length adjusting part of the speaker part, and Fig. 5 shows a state after the adjustment of the length of the headband part And a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headband unit and the speaker unit.

도1 및 도4를 참조하면, 헤드폰(100)은 한 쌍의 스피커부(110), 연결부(120), 헤드밴드부(130), 통신부(140), 전원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4, the headphone 100 includes a pair of speaker units 110, a connection unit 120, a headband unit 130, a communication unit 140, and a power supply unit 150.

스피커부(110)는 음향신호를 수신하여 음향을 발생시킨다. 이때, 스피커부(110)는 후술할 통신부(140)로부터 수신된 음향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출력부분(111)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음향출력부분(111)은 구현하고자 하는 음역대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하며, 일 예로, 저음역대부터 고음역대까지 재생이 가능한 풀 레인지 유닛이 사용될 수 있다. The speaker unit 110 receives a sound signal and generates sound. At this time, the speaker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sound output unit 111 for outputting sound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Here, the sound output unit 111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band to be implemented. For example, a full range unit capable of reproducing from low to high frequency range can be used.

그리고, 스피커부(110)는 후술할 헤드밴드부(130)의 단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헤드밴드부(13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부분(112)을 포함한다. 이때, 길이조절부분(112)은 헤드밴드부(130)가 슬라이딩 되며 이동 가능한 이동레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정 길이마다 걸림 구간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조절이 이루어진 경우에 해당 위치에서 길이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peaker unit 110 includes a length adjusting part 112 which is adjustable in length by coupling the end of the headband 130 to be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the length adjusting part 112 may be provided as a movable rail that slides and moves the headband part 130. When the user adjusts the length by a certain length, Can be achieved.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면, 연결부(120)는 한 쌍의 스피커부(1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전선부분(121), 연결부분(122) 및 고정부분(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2 to 5, the connection portion 120 electrically connects the pair of speaker portions 110 and includes a wire portion 121, a connection portion 122, and a fixing portion 123 .

여기서, 전선부분(121)은 내부에 한 쌍의 스피커부(1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선(121a)을 수용한다. 이때, 전선부분(121)의 단면은 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신호선(121a)은 음향신호의 경로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후술할 전원부(160)로부터의 전원 공급 경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신호선(121a)은 한 쌍의 스피커부(110) 사이의 연결선으로써 사용된다.Here, the wire portion 121 accommodates a signal line 121a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air of speaker portions 110 therein. At this time, the cross section of the wire portion 121 may be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polygonal shape. The signal line 121a may be used not only as a path of an acoustic signal but also as a power supply path from a power supply unit 16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signal line 121a is used as a connection line between the pair of speaker units 110. [

또한, 고정부분(123)은 전선부분(121)으로부터 일정 길이를 가지며 연장 형성되고, 후술할 헤드밴드부(130)의 끼움홈(131H)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고정부분(123)은 외주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돌기(123B)를 가진다. 여기서, 고정부분(123)의 돌기(123B)는 후술할 헤드밴드부(130)의 끼움홈(131H)에 끼우기 위하여 외력을 가하는 경우에 고정부분(123)의 외주면이 끼움홈(131H)의 측벽과 맞닿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끼움에 용이하도록 하고, 끼워진 이후에는 측벽과 맞닿으며 끼움홈(131H)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The fixing part 123 is extended from the wire part 121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fixed to the fitting groove 131H of the headband part 130 to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the fixing portion 123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123B protruding outward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protrusion 123B of the fixing part 123 is formed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art 123 is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of the fitting groove 131H and the side wall of the fitting groove 131H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fit the fitting groove 131H of the headband part 130 The contact area is minimized so as to facilitate fitting, and after the fitting, abut the side wall and not be easily detached from the fitting groove 131H.

그리고, 연결부(120)가 끼움홈(131H)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본딩(bonding)처리를 할 경우, 본드가 고정부분(123)의 돌기(123B) 사이의 틈새에 인입되어 고정부분(123)의 고정력이 증대될 수 있다.When bonding is further performed to prevent the connection part 1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tting groove 131H, the bond is drawn into the gap between the protrusions 123B of the fixing part 123, 123 can be increased.

또한, 전선부분(121)은 고정부분(123)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전선부분(121)이 고정부분(123)보다 큰 폭을 가짐에 따라 본드가 끼움홈(131H)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the wire portion 121 may have a greater width than the fixing portion 123. [ At this time, since the wire portion 121 has a greater width than the fixing portion 123,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nd from flowing out of the fitting groove 131H.

그리고, 연결부분(122)은 전선부분(121)과 고정부분(123)을 연결한다. 이때, 연결부분(122)은 전선부분(121)과 연결부분(122)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가지며, 외력을 가할 경우에 연결부분(122)이 찢어지면서 전선부분(121)과 고정부분(123)이 분리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122 connects the wire portion 121 and the fixing portion 123.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ortion 122 is thinner than the wire portion 121 and the connection portion 122,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connection portion 122 is torn and the wire portion 121 and the fixing portion 123 are torn, Can be separated.

이때, 연결부(120)가 후술할 헤드밴드부(130)의 끼움홈(131H)에 끼워져 고정될 경우에 전선부분(121) 및 고정부분(123)이 연결부분(122)에 의해 연결되어 수용되되, 길이조절부분(112)에서 헤드밴드부(130)의 길이 조절이 이루어질 경우에 헤드밴드부(13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연결부(120)는 헤드밴드부(130)의 단부에서 전선부분(121)만이 노출되어 스피커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5를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연결부(120)는 헤드밴드부(130)에 수용되는 부분(L1)은 전선부분(121), 연결부분(122) 및 고정부분(123) 모두 포함하여 헤드밴드부(130)에 수용되고, 스피커부(110) 측으로 노출되는 부분(L2)에서 연결부분(122)에 외력을 가해 전선부분(121)과 고정부분(123)을 분리시킨 뒤 고정부분(123)을 제거하여 전선부분(121)만이 스피커부(1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길이조절부분(112)에서 헤드밴드부(130)의 길이조절이 이루어짐에 따라 연결부(120)의 움직임이 발생하더라도 일반 전선구조와 유사한 구조인 전선부분(121)만의 움직임이 발생하기에 신뢰성 면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At this time, when the connection part 120 is fitted and fixed in the fitting groove 131H of the headband part 130 to be described later, the wire part 121 and the fixing part 123 are connected and received by the connection part 122, The length of the headband portion 130 is adjusted so that the movement of the headband portion 130 is not disturbed in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112. The connecting portion 120 is formed such that only the wire portion 121 is exposed at the end portion of the headband portion 13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eaker unit 110. 5, the connection portion 120 includes a portion L1 accommodated in the headband portion 130, including both the wire portion 121, the connection portion 122, and the fixing portion 123,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part 122 at the part L2 exposed to the speaker part 110 and the wire part 121 and the fixing part 123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only the wire portion 121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eaker portion 111. As the length of the headband 130 is adjusted in the length adjusting part 112, movement of only the wire part 121, which is similar in structure to a general wire structure, occurs even if the connection part 120 moves, The problem does not occur.

헤드밴드부(130)는 일영역이 개방된 루프 형상으로 마련되어 스피커부(110)가 양단에 각각 결합되고, 연결부(120)가 끼워지도록 측면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끼움홈(131H)을 가진다. 여기서, 헤드밴드부(130)는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 가능한 형태를 가지며, 사용자 두상의 크기 및 귀의 위치에 따라 길이조절부분(112)을 이용하여 스피커부(110)를 사용자의 귀에 정확히 안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헤드밴드부(130)는 탄성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헤드밴드부(130)의 양단에 위치한 스피커부(110)의 음향 방출면(113)을 사용자의 귀 방향으로 밀착 시킬 수 있다. The headband unit 13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loop having an open area and has a fitting part 131H which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peaker part 110 and is formed inwardly along the side surface so as to fit the connecting part 120. Here, the headband unit 130 has a shape that can be worn on the user's head, and the speaker unit 110 can be accurately placed on the user's ear using the length adjusting part 112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head and the position of the ear . In this case, the acoustic emission surface 113 of the speaker unit 110 located at both ends of the headband unit 130 can be closely contacted with the ear of the user .

이때, 끼움홈(131H)은 고정부분(123)이 삽입되는 제1 부분(131H-1) 및 전선부분(121)이 삽입되는 제2 부분(131H-2)을 포함하고, 제2 부분(131H-2)은 제1 부분(131H-1)보다 넓은 폭을 가진다. 그리고, 제2 부분(131H-2)은 개구된 일측에 위치하고, 제1 부분(131H-1)은 제2 부분(131H-2)보다 내측에 위치한다.At this time, the fitting groove 131H includes a first portion 131H-1 in which the fixing portion 123 is inserted and a second portion 131H-2 in which the wire portion 121 is inserted, and the second portion 131H -2 has a wider width than the first portion 131H-1. The second portion 131H-2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and the first portion 131H-1 is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portion 131H-2.

그리고, 끼움홈(131H)은 제1 부분(131H-1) 및 제2 부분(131H-2) 각각의 폭이 고정부분(123) 및 전선부분(121)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고, 끼움홈(131H)에 연결부(120)가 끼워져 고정될 경우, 전선부분(121)의 외주면이 끼움홈(131H)의 내주면과 맞닿도록 위치한다. 도3을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1 부분(131H-1)의 폭(W1)은 고정부분(123)의 폭(W3)과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고, 제2 부분(131H-2)의 폭(W2)은 전선부분(121)의 폭(W4)과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다.The fitting groove 131H has the width of each of the first portion 131H-1 and the second portion 131H-2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xing portion 123 and the wire portion 121,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re portion 121 is positioned to abu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tting groove 131H when the connecting portion 120 is fitted and fixed in the groove 131H. 3, the width W1 of the first portion 131H-1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W3 of the fixing portion 123, and the width W2 of the second portion 131H- And the width W2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W4 of the wire portion 121. [

또한, 끼움홈(131H)에 연결부(120)가 끼워져 고정될 경우, 전선부분(121)의 끝단(121E)이 끼움홈(131H)이 위치한 헤드밴드부(130) 측면의 끝단(130E)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끼움홈(131H)의 깊이(d)는 연결부(120)의 높이(h)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다. 이때, 전선부분(121)의 끝단(121E)이 끼움홈(131H)이 위치한 헤드밴드부(130) 측면의 끝단(130E)과 동일 선상에 위치함에 따라 끼움홈(131H)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결부(120)를 조립하기 위하여 생성한 구조인 헤드밴드부(130)의 끼움홈(131H)이 외관상 노출되지 않아 헤드폰(100)의 외관이 수려해질 수 있다.The end 121E of the wire portion 121 is positioned in the same line as the end 130E of the side surface of the headband 130 where the fitting groove 131H is located, The depth d of the fitting groove 131H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eight h of the connecting portion 120. [ At this time, since the end portion 121E of the wire portion 121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end portion 130E of the side surface of the headband portion 130 where the fitting groove 131H is located, foreign substances are introduced into the gap of the fitting groove 131H And the fitting groove 131H of the headband unit 130, which is a structure created to assemble the connection unit 12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headphone 100 can be enhanced.

통신부(140)는 스피커부(110)에 위치하여 단말기(미도시)와 통신한다. 이때, 통신부(140)는 단말기와 케이블을 통해 유선방식으로 통신하거나,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무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가 단말기와 유선방식으로 통신할 경우에 통신부는 USB 단자 및 3.5 파이(Φ) 규격의 입력단자 형태로 마련되어 실시가능하다. 이때, USB 단자는 스마트폰에 기본적으로 이용되는 5핀 단자 또는 타입-C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40 is located in the speaker unit 110 and communicates with a terminal (not shown).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140 can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in a wired manner via a cable, or wirelessly via Bluetooth, Wi-Fi, or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in a wired manner,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USB terminal and an input terminal of a 3.5 pi (φ) standard. At this time, the USB terminal may have a 5-pin terminal or a type-C terminal which is basically used in a smart phone.

여기서, 단말기는 각종 음향, 음악, 음성 등의 재생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등 다양한 기기가 될 수 있다. Here, the terminal may be various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notebook computer, and a computer having various audio, music, and voice playback functions.

전원부(150)는 헤드폰(100)에 전력을 공급하여 주며, 충전 가능한 배터리 형태로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전원부(150)는 스피커부(110) 또는 헤드밴드부(130)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유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충전단자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충전단자는 USB 단자로 마련될 수 있으며, 통신부(140)에 구비되는 USB 단자와 공통이용이 가능할 수 있다. 즉, 하나의 USB 단자를 이용하여 전원 충전 및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50)는 스피커부(110) 또는 헤드밴드부(130)에 무선충전모듈이 설치되어 있다면 무선충전기를 이용한 전원 충전이 가능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50 supplies power to the headphone 100 and may be built in a rechargeable battery type. At this time, the power supply unit 150 may be provided in the speaker unit 110 or the headband unit 130. Also, a separate charging terminal may be provided to enable wire charging. At this time, the charging terminal may be provided as a USB terminal and may be used in common with a USB terminal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140. That is, power can be charged and communicated using one USB terminal. The power supply unit 150 may be capable of charging power using the wireless charger i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installed in the speaker unit 110 or the headband unit 130. [

참고로, 헤드폰(100) 전원의 on/off 버튼 및 볼륨조절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조작부(B)는 스피커부(110)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볼륨조절의 경우에는 단말기를 통해 가능할 수도 있다.For reference, the button operation unit B including the on / off button and the volume control button of the power source of the headphone 10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peaker unit 110, have.

<전선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Front>

도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을 도시한 것이며, 도6(b)는 B-B’선에 따른 전선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6 (a) shows a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b) shows a cross section of a wire according to a line B-B '.

도6을 참조하면, 전선(200)은 전선부분(210), 연결부분(220), 고정부분(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200)은 상술한 헤드폰(100)의 연결부(120)로 이용되었으나, 전선(200)의 용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6, the electric wire 200 includes a wire portion 210, a connecting portion 220, and a fixing portion 230. Although the wir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the connecting portion 120 of the headphone 100, the use of the wire 200 is not limited thereto.

전선부분(210)은 내부에 신호선(211a)을 수용한다. 이때, 전선부분(210)은 일반적인 전선의 형상처럼 단면이 원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wire portion 210 accommodates the signal line 211a therein. At this time, the wire portion 210 may have a circular shape in cross section like a general wire shap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polygonal shape.

고정부분(230)은 전선부분(210)으로부터 일정 길이를 가지며 연장 형성된다. 이때, 고정부분(230)은 외주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돌기(231B)를 가질 수 있다.The fixing portion 23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wire portion 210 to a predetermined length. At this time, the fixing portion 230 may have a plurality of protrusions 231B projecting outward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여기서, 전선부분(210)은 고정부분(230)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Here, the wire portion 210 may have a greater width than the fixing portion 230.

연결부분(220)은 전선부분(210)과 고정부분(230)을 연결한다. 이때, 연결부분(22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 쉽게 찢어지도록 연결부분(220)은 전선부분(210) 및 고정부분(230)보다 얇은 두께를 가진다. 즉, 사용자의 필요 혹은 전선(200)이 요구되는 장치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전선부분(210), 연결부분(220) 및 고정부분(230)을 모두 이용하거나, 연결부분(220)에 외력을 가하여 전선부분(210)과 고정부분(230)을 분리시킨 뒤 고정부분(230)을 제거하여 전선부분(210)만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portion 220 connects the wire portion 210 and the fixing portion 230. At this time, the connecting portion 220 has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wire portion 210 and the fixing portion 230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220 is easily tor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reto. That is, either the wire part 210, the connecting part 220, and the fixing part 230 are both used, or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nnecting part 220, depending on the user's need or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in which the wire 200 is required It may be possible to use only the wire portion 210 by removing the fixing portion 230 after separating the wire portion 210 and the fixing portion 230.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헤드폰
110 : 스피커부
111 : 음향출력부분
112 : 길이조절부분
113 : 음향 방출면
120 : 연결부
121 : 전선부분
121a : 신호선
122 : 연결부분
123 : 고정부분
123B : 돌기
130 : 헤드밴드부
131H : 끼움홈
131H-1 : 제1 부분
131H-2 : 제2 부분
140 : 통신부
150 : 전원부
B: 버튼 조작부
200 : 전선
210 : 전선부분
211a : 신호선
220 : 연결부분
230 : 고정부분
231B : 돌기
100: Headphones
110: Speaker
111: sound output portion
112: length adjusting portion
113: acoustic emission surface
120: Connection
121:
121a: Signal line
122: connection portion
123: Fixed portion
123B: projection
130: Headband part
131H: Fitting groove
131H-1: first part
131H-2: Second part
140:
150:
B: Button control section
200: Wires
210:
211a: Signal line
220: Connection part
230: Fixed portion
231B:

Claims (9)

음향신호를 수신하여 음향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스피커부;
상기 한 쌍의 스피커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일영역이 개방된 루프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스피커부가 양단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가 끼워지도록 측면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끼움홈을 가지는 헤드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내부에 상기 한 쌍의 스피커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선을 수용하는 전선부분;
상기 전선부분으로부터 일정 길이를 가지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분; 및
상기 전선부분과 고정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분; 을 포함하며,
상기 끼움홈은 상기 고정부분이 삽입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전선부분이 삽입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A pair of speaker units for receiving a sound signal and generating sound;
A connection unit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air of speaker units; And
And a headband unit having a groove formed in a loop shape having an open area and coupled to the both ends of the speaker unit at both ends thereof and recessed inwardly along the side surface so as to fit the connection unit,
The connecting portion
A wire portion for receiving a signal wir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air of speaker portions therein;
A fix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wire portion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fixed to the fitting groove;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wire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 RTI &gt;
Wherein the fitting groove includes a first portion into which the fixing portion is inserted and a second portion into which the wire portion is inserted, and the second portion has a wider width than the first portion.
head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분은 외주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portion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ly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head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개구된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portion is located at one side where it is open, and the first portion is located inside the second portion
head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은 상기 제1 부분 및 제2 부분 각각의 폭이 상기 고정부분 및 상기 전선부분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끼움홈에 상기 연결부가 끼워져 고정될 경우, 상기 고정부분 및 상기 전선부분의 외주면이 상기 끼움홈의 내주면과 맞닿도록 위치하며,
상기 끼움홈에 상기 연결부가 끼워져 고정될 경우, 상기 전선부분의 끝단이 상기 끼움홈이 위치한 헤드밴드부 측면의 끝단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끼움홈의 깊이는 상기 연결부의 높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tting groove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a width of the fixing portion and the width of the wire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respectively, when the connecting portion is fitted and fixed in the fitting groov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rtion is positioned to abu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tting groove,
The depth of the fitting groove is set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connecting portion so that the end of the wire portion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end of the side surface of the headband portion where the fitting groove is located, Characterized by
headphon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는 상기 헤드밴드부의 단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헤드밴드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헤드밴드부의 끼움홈에 끼워져 고정될 경우에 상기 전선부분 및 상기 고정부분을 모두 포함하여 수용되되, 상기 길이조절부분에서 상기 헤드밴드부의 길이 조절이 이루어질 경우에 상기 헤드밴드부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는 상기 헤드밴드부의 단부에서 상기 전선부분만이 노출되어 상기 스피커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peaker unit includes a length adjusting part coupled to the end of the head band part so as to be movable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head band part,
Wherein when the length of the headband portion is adjusted in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the movement of the headband portion is performed when the length of the headband portion is adjusted in a case where the connecting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fitting groove of the headband portion, The connecting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eaker unit by exposing only the wire portion at the end of the headband unit so as not to disturb
headpho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32064A 2018-03-20 2018-03-20 Headphone KR1019776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064A KR101977632B1 (en) 2018-03-20 2018-03-20 Head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064A KR101977632B1 (en) 2018-03-20 2018-03-20 Head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632B1 true KR101977632B1 (en) 2019-05-14

Family

ID=66581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064A KR101977632B1 (en) 2018-03-20 2018-03-20 Head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63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1146A (en) * 1994-01-13 1995-08-11 Fujitsu General Ltd Stereophonic earphone cab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1146A (en) * 1994-01-13 1995-08-11 Fujitsu General Ltd Stereophonic earphone c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3577B2 (en) Speaker device
US11592690B2 (en) Loudspeaker device
WO2020038482A1 (en) Glasses
US11272292B2 (en) Loudspeaker apparatus
WO2020140444A1 (en) Speaker device
KR100735428B1 (en) Selection type stereo head set apparatus
US20060262949A1 (en) Cable-connectable stereo headset
JP2021034775A (en) earphone
TW202306395A (en) Acoustic output device
US20070223762A1 (en) External sound outputting device
CN107113486A (en) Audio output device
KR100903606B1 (en) Bone conduction Earphone device haning a fuction of waterproof
KR101999704B1 (en) Speaker Type Headphone
WO2021219052A1 (en) Acoustic device
KR20060043937A (en) Ear-phone
KR101977632B1 (en) Headphone
KR102020330B1 (en) Earphone assembly
CN210639374U (en) Intelligent head-mounted equipment
CN216122820U (en) Earphone set
JPH0354990A (en) Ear microphone and using method thereof
KR102312187B1 (en) Module-type earphone
CN220732968U (en) Earphone
JPS6031350Y2 (en) Sound collection and playback equipment system
KR101939921B1 (en) Bluetooth earset
KR200296830Y1 (en) Structure of speaker cover for the earphone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