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865B1 - Open switch integrated with logo - Google Patents

Open switch integrated with logo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865B1
KR101976865B1 KR1020130109441A KR20130109441A KR101976865B1 KR 101976865 B1 KR101976865 B1 KR 101976865B1 KR 1020130109441 A KR1020130109441 A KR 1020130109441A KR 20130109441 A KR20130109441 A KR 20130109441A KR 101976865 B1 KR101976865 B1 KR 101976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go
knob
switch
trun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94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32919A (en
Inventor
박정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9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865B1/en
Publication of KR20150032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9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8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나 테일게이트를 개폐하기 위해 로고에 일체형으로 설치한 오픈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트렁크나 테일게이트에 설치되는 로고와 트렁크나 테일게이트 개폐를 위한 스위치를 조합하고, 작동 시 로고 유동 및 작동 간섭 회피를 위한 X-플레이트를 적용한 새로운 형태의 오픈 스위치를 구현함으로써, 스위치 시인성 확보 및 후방 카메라 레이아웃 구성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트렁크나 테일게이트 오픈 조작성 및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로고 일체형 오픈 스위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 switch integrally formed with a logo for opening and closing a trunk or a tail gate of a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a new type of open switch that combines a logo installed in a trunk or a tailgate, a switch for opening or closing a trunk or a tail gate, and an X-plate for logo flow and operation interference avoidan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grated logo-type open switch that is advantageous for securing and rearward camera layout, and can improve trunk, tailgate open operability and functionality.

Description

로고 일체형 오픈 스위치{Open switch integrated with logo}Open switch integrated with logo

본 발명은 로고 일체형 오픈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트렁크나 테일게이트를 개폐하기 위해 로고에 일체형으로 설치한 오픈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go-integrated open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en switch integrally formed with a logo for opening and closing a trunk or a tail gate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의 트렁크나 테일게이트 등은 차량 후방에 위치하여 짐이나 물건을 싣는 용도로 사용된다.Generally, a trunk or tailgate of a vehicle is located behind the vehicle and is used to load goods or objects.

보통 트렁크를 개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운전자가 차량의 운전석에서 개방 버튼을 조작함에 따라서 트렁크의 커버에 설치된 록커가 해제되면서 트렁크가 열리게 하는 방법, 트렁크의 키홀에 자동차 키를 삽입하여 록커를 기계적으로 회전시켜서 트렁크가 열리게 하는 방법이 있다. A method for opening the trunk by opening the locker provided on the cover of the trunk as the driver operates the open button in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a method for mechanically turning the locker by inserting the vehicle key into the keyhole of the trunk, There is a way to open the trunk.

최근에는 트렁크를 전기적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개방장치로서, 개방장치에 전원이 통전되면 플런저의 후퇴 동작에 의하여 로드 및 록커가 당겨지면서 트렁크가 열려지게 하는 방법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as an opening device capable of electr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trunk, when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opening device, a method of opening the trunk by pulling the rod and the locker by the retracting operation of the plunger is mainly applied.

그러나, 대부분의 트렁크 오픈 스위치는 트렁크 가니쉬 및 판넬에 가려져 있어 스위치 찾기가 쉽지 않은 불편한 점이 있고, 트렁크 오픈 스위치 장착 조건으로 후방 카메라 레이아웃 조건에 제약을 주는 불리한 점이 있다. However, since most of the trunk open switches are covered by the trunk gaits and panel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witch is not easy to find,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condition of mounting the trunk open switch restricts the conditions of the rear camera layout.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한국 공개특허 10-2005-87159호에서는 차량 엠블럼이 상부에 부착되어 있는 노브와 일체로 형성된 플런저를 수직 하향 이동시켜서 접지 부재의 하단에 부착된 통전부재의 의하여 전원이 통전되게 함으로써, 차량의 트렁크를 개방할 수 있는『자동차 트렁크 개폐용 엠블럼 스위치』를 제시하고 있다. In consideration of this,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5-87159, a plunger integrally formed with a knob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of a vehicle emblem is vertically moved downward so that a power source is energized by an energizing member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grounding member , And an " emblem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a trunk of an automobile " which can open the trunk of a vehicle.

여기서, 상기『자동차 트렁크 개폐용 엠블럼 스위치』는 엠블럼이 부착된 노브를 누르면 플런저가 하강하여 접지 부재를 압축시켜줌으로써 접지단자가 접속되어 전원이 통전되도록 하는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다. Here, the " emblem switch for automobile trunk opening and closing " is of a type in which when the knob having the emblem is pressed, the plunger is lowered to compress the grounding member so that the ground terminal is connected to energize the power source.

그러나, 상기『자동차 트렁크 개폐용 엠블럼 스위치』는 실리콘 재질로 되어 있는 접지 부재의 탄성력에 의존하여 노브를 복원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노후나 손상 등에 따른 접지 부재의 변형이나 탄성력 저하 등으로 복원력이 떨어지는 등 작동성 및 내구성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고, 또 누름 조작 시 엠블럼의 외곽부분을 누르는 경우 편심으로 인한 끼임 등이 발생하면서 잘 눌려지지 않는 등 조작성 측면에서도 불리한 점이 있다.
However, the " emblem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runk of an automobile " is a structure for restoring the knob depending on the elastic force of a grounding member made of a silicon material. Therefore, the restoring force is reduced due to deformation of the grounding memb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erms of durability and durability. In addition, when the outer portion of the emblem is pressed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erms of operability, such as being pushed in due to eccentricity or the like.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트렁크나 테일게이트에 설치되는 로고와 트렁크나 테일게이트 개폐를 위한 스위치를 조합하고, 작동 시 로고 유동 및 작동 간섭 회피를 위한 X-플레이트를 적용한 새로운 형태의 오픈 스위치를 구현함으로써, 스위치 시인성 확보 및 후방 카메라 레이아웃 구성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트렁크나 테일게이트 오픈 조작성 및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로고 일체형 오픈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logo and trunk or a tailgate switch for a trunk or a tailgat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go-integrated open switch which is advantageous in securing switch visibility and rear camera layout, and also capable of improving trunk, tailgate open operability and functionality by implementing a new type of open switch.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로고 일체형 오픈 스위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ogo integrated type open switch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상기 로고 일체형 오픈 스위치는 이면에 돌출 형성되는 스위치 푸시부를 가지면서 트렁크나 테일게이트 등에 설치되어 눌림 및 복원가능이 가능한 로고 노브와, 상기 로고 노브의 후면을 탄력 지지하면서 복원 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로고 노브의 후면부에 배치되어 스위치 푸시부와의 접촉에 의해 ON/OFF 작동되는 스위치와, 상기 로고 노브와 스위치 사이에 배치되고 로고 노브의 누름 및 복원 동작 시 함께 연동되면서 로고 노브의 동작을 보조하는 X-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The logo integrated type open switch includes a logo knob having a switch push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logo knob and being installed on a trunk or a tail gate and being able to be pressed and restored and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logo knob, A switch disposed at a rear portion of the logo knob and being turned on / off by contact with the switch push portion, and a switch disposed between the logo knob and the switch and operable together with the logo knob when the logo knob is pressed and restored, And an auxiliary X-plate.

따라서, 상기 로고 일체형 오픈 스위치는 로고 노브의 간단한 누름 조작만으로 오픈 스위치를 ON/OFF 시켜서 트렁크나 테일게이트 등을 쉽게 열 수 있는 등 트렁크나 테일게이트의 오픈 조작성 향상 및 편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Therefore, the logo-integrated type open switch can open the trunk or tailgate easily by turning ON / OFF the open switch only by a simple pushing operation of the logo knob, thereby improving the open operability of the trunk or tailgate and improving the convenience .

여기서, 상기 X-플레이트는 서로의 길이중간부가 축에 의해 관통되면서 "X"자 형태로 함께 결합됨과 더불어 각각의 양쪽 단부는 로고 노브측과 이 로고 노브를 지지하고 있는 로고 바디측에 각각 연결되는 2개의 플레이트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2개의 플레이트 부재의 접힘 및 펴짐 동작을 이용하여 로고 노브의 동작을 보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In this case, the X-plates are coupled together in an " X " shape while passing through the middle of the lengths of the X-plates, and both end portions of the X-plates are connected to the logo knob side and the logo body side supporting the logo knob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operation of the logo knob using the folding and spreading action of the two plate members.

이때,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각 단부는 핀과 슬롯의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로고 노브측과 로고 바디측에 좌우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end of the plate member can be connected to the logo knob side and the logo body side in a slidable structure using a combination structure of a pin and a slot.

그리고, 상기 로고 노브는 로고 바디에 있는 가이드 관 내에서 슬라이드되면서 로고 노브의 누름 및 복원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ogo knob may include a guide bar for guiding the pushing and restoring operation of the logo knob while being slid in the guide tube in the logo body.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로고 일체형 오픈 스위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The logo-integrated type open switch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오픈 스위치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고, 후방 카메라의 레이아웃 구성에 유리한 점이 있는 등 각종 디자인 제약 조건 회피가 가능하다. First, visibility of the open switch can be ensured and advantageous in the layout configuration of the rear camera, and various design constraints can be avoided.

둘째, 로고에 스위치를 장착하여 별도의 오픈 스위치를 삭제할 수 있는 등 스위치 길이 축소 및 사용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다. Seco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witch length and the number of parts used by removing the separate open switch by attaching the switch to the logo.

셋째, 사이즈가 큰 스위치 작동 시에는 편심으로 인한 끼임이 발생하지 않는 등 로고 유동 및 작동간섭 방지 측면에서 우수하다. Third, it is excellent in logo flow and prevention of operation interference such that the eccentricity does not occur during operation of a large size switch.

넷째, 러버 구조물을 적용하여 방수 측면에서 우수하다. Fourth, it is excellent in waterproofing by applying rubber structure.

다섯째, 로고 일체형 트렁크/테일게이트 오픈 스위치의 개발로 트렁크/테일게이트 오픈 조작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fth, development of trunk / tailgate open switch with logo can improve trunk / tailgate open operability and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고 일체형 오픈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고 일체형 오픈 스위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고 일체형 오픈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go-integrated type open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go-integrated open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logo integrated type open switc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고 일체형 오픈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고 일체형 오픈 스위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go integrated type open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and a sectional view showing a logo integrated type open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고 일체형 오픈 스위치는 트렁크나 테일게이트를 열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누름 조작하는 부분인 로고 노브(11), 실질적으로 트렁크나 테일게이트 오픈 신호를 제공하는 스위치(13), 로고 노브(11)와 함께 연계적으로 동작하면서 로고 노브(11)의 누름 및 복원 동작을 보조하는 X-플레이트(14) 등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logo-integrated open switch includes a logo knob 11, which is a portion of the trunk or tail gate that the user presses to open the trunk or the tail gate, A switch 13 and an X-plate 14 that assist in the pressing and restoring operation of the logo knob 11 while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logo knob 11 and the like.

상기 로고 노브(11)는 자동차 메이커의 로고 등이 표시되어 있는 판 부재로서, 이면의 중앙에는 스위치(13)에 있는 스위치 접점(28)과 접촉하는 스위치 푸시부(10)가 돌출 형성되고, 이면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는 후술하는 로그 바디(16)에 있는 가이드 관(20) 내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가이드 바(21)가 일체 형성된다. The logo knob 11 is a plate member on which a logo of the automobile maker is displayed. The switch push portion 10 is protruded from the center of the back face of the switch knob 11 to contact the switch contact 28 of the switch 13, A guide bar 21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tube 20 in a log body 16 to be described later is integrally formed.

이에 따라, 상기 로고 로브(11)는 누름 및 복원 동작 시 스위치 푸시부(10)를 이용하여 스위치(13)를 ON/OFF 작동시킬 수 있게 되고, 또 가이드 바(21)를 이용하여 누름 및 복원 동작 시 안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Thus, the logo lobe 11 can turn on / off the switch 13 by using the switch push portion 10 during the pushing and restoring operation, It will be able to receive guidance during operation.

그리고, 상기 로고 노브(11)에는 이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걸림돌기(25)가 구비되어 있어서, 로고 바디(16)측과의 결합 시 이때의 걸림돌기(25)를 이용하여 바깥쪽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The logo knob 11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25 formed along the rear edge of the logo knob 11 so that when the logo knob 11 is engaged with the logo body 16, .

즉, 상기 로고 노브(11)가 로고 바디(16)의 전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크롬링(22)이 로고 노브(11)의 테두리를 감싸면서 로고 바디(16)의 가장자리 부분에 결결합되고, 이렇게 결합된 상태에서 크롬링(22)의 개구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걸림턱(26)이 로고 노브(11)의 걸림돌기(25)를 걸어주게 되므로서, 로고 노브(11)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in a state where the logo knob 11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go body 16, the chroming ring 22 is engaged with the edge portion of the logo body 16 while covering the edge of the logo knob 11, The engagement protrusion 26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opening of the chroming ring 22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rotrusion 25 of the logo knob 11 so that the logo knob 1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do.

여기서, 상기 로고 바디(16)는 서로 상하 결합되는 바디(16a)와 케이스(16b)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이때의 케이스(16b)의 후면부에는 스위치(13)가 수용되어 있는 스위치 케이스(24)가 결합되며, 이렇게 결합된 상태에서 스위치(13)에 있는 스위치 접점(28)은 바디(16a)의 내측까지 연장 위치될 수 있게 된다. The logo body 16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body 16a and a case 16b which are ver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The switch case 24, in which the switch 13 is accommodated, The switch contact 28 in the switch 13 can be extended to the inside of the body 16a.

또한, 상기 로고 노브(11)의 테두리 부분에는 방수링(23)이 장착되며, 이때의 방수링(23)은 로고 노브(11)의 걸림돌기(25)와 크롬링(22)의 걸림턱(26) 사이에 개재되면서 우천 시 등 빗물이 스위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A waterproof ring 23 is attached to a rim portion of the logo knob 11 and the waterproof ring 23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rojection 25 of the logo knob 11 and the engagement projection 26 of the chrome ring 22 ), It is possible to prevent rainwater such as rain from penetrating into the inside of the switch.

상기 스위치(13)는 트렁크나 테일게이트 오픈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로고 노브(11)의 스위치 푸시부(10)에 의해 눌려지면 ON 신호를, 복원되면 OFF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 접점(28)을 가지고 있으며, 로고 바디(16)측에 결합되는 스위치 케이스(24) 내에 수용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The switch 13 is a means for providing a trunk or tailgate open signal and includes a switch contact 28 for generating an ON signal when pressed by the switch push portion 10 of the logo knob 11 and an OFF signal when restored, And is accommodated in the switch case 24 coupled to the logo body 16 side.

여기서, 상기 스위치(13)의 ON 작동 신호에 의해 트렁크나 테일게이트가 열려지는 기구적인 메카니즘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 the mechanical mechanism for opening the trunk or the tail gate by the ON operation signal of the switch 13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nventional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누름 조작 해제 시 로고 노브(11)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켜주는 수단으로 다수의 스프링(12)이 마련된다. A plurality of springs 12 are provided as means for restoring the logo knob 11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user depresses the pushing operation.

상기 스프링(12)은 로고 노브(11)의 후면과 로고 바디(16)의 전면, 즉 케이스(16b)의 전면 사이에 양단 지지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로고 노브(11)를 누르게 되면 압축되었다가 누름 해제 시 탄성력을 발휘하여 로고 노브(11)를 복원시켜줄 수 있게 된다. The spring 12 is supported at both ends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logo knob 11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logo body 16, that is,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16b. When the logo knob 11 is pressed, So that the logo knob 11 can be restored by exerting an elastic force when depressed.

특히, 상기 로고 노브(11)와 스위치(13) 사이에 위치되면서 로고 노브(11)의 누름 및 복원 동작 시 함께 연동되어 로고 노브(11)의 동작을 보조하는 X-플레이트(14)가 마련된다. In particular, an X-plate 14, which is positioned between the logo knob 11 and the switch 13 and cooperates with the operation of the logo knob 11 when the logo knob 11 is depressed and restored, is provided .

상기 X-플레이트(14)는 서로의 길이중간부가 축(15)에 의해 관통되어 "X"자 형태로 함께 결합되는 2개의 플레이트 부재(17a,17b)로 구성되며, 이때의 2개의 플레이트 부재(17a,17b)는 축(15)을 중심으로 상호 회전할 수 있게 된다. The X-plate 14 is composed of two plate members 17a and 17b whose longitudinal middle portions mutually penetrate by an axis 15 and are coupled together in an " X " shape, 17a, 17b can rotate with respect to the axis 15.

즉, 상기 2개의 플레이트 부재(17a,17b)는 축(1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로고 노브(11)의 누름 시 접혀질 수 있게 되고(서로의 위아래 단부가 좁혀질 수 있게 되고, 또 로고 노브(11)의 복원 시 펼쳐질 수 있게 된다(서로의 위아래 단부가 벌어질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two plate members 17a and 17b rotate about the axis 15 and can be folded when the logo knob 11 is depresse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each of the plate members 17a and 17b can be narrowe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each other can be opened).

이렇게 상기 X-플레이트(14)는 2개의 플레이트 부재(17a,17b)의 접힘 및 펴짐 동작을 이용하여 로고 노브(11)와 함께 연동되면서 로고 노브(11)의 누름 및 복원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게 된다. The X-plate 14 is linked with the logo knob 11 by using the folding and spreading action of the two plate members 17a and 17b so that the logo knob 11 can be smoothly pressed and restored I can help you.

이러한 X-플레이트(14)는 로그 노브(11)의 후부와 스위치(13)의 전부 사이, 다시 말해 로그 노브(11)와 로고 바디(16) 사이에 배치되고, 이렇게 배치된 상태에서 로고 노브(11)측과 로고 바디(16)측에 각각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The X-plate 14 is disposed between the rear portion of the log knob 11 and the entire switch 13, that is, between the log knob 11 and the logo body 16, 11 and the logo body 16, respectively.

예를 들면, 상기 X-플레이트(14)의 플레이트 부재(17a,17b)는 로그 노브(11)와 스위치(13)가 속해 있는 로고 바디(16) 사이에 X자 형태를 유지하는 자세로 나란하게 위치되고, 로그 노브(11)의 후면과 로고 바디(16)의 전면, 즉 케이스(16b)의 전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27)에 그 단부에 있는 핀(18)을 통해 결합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For example, the plate members 17a and 17b of the X-plate 14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a posture maintaining the X-shape between the log knob 11 and the logo body 16 to which the switch 13 belongs And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log knob 11 and the bracket 27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go body 16, that is,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16b through the pin 18 at the end thereof Respectively.

이때, 상기 브라켓(27)에는 슬롯(19)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17a,17b)의 단부에 있는 핀(18)은 슬롯(19) 내에서 좌우 슬라이드될 수 있는 구조로 결합된다. At this time, the bracket 27 is formed with a slot 19, and the pin 18 at the end of the plate members 17a and 17b is coupled to the slot 19 so as to be slidable left and right.

이에 따라, 상기 로고 노브(11)가 눌려지면 X-플레이트(14)의 각 플레이트 부재(17a,17b)는 축(15)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접혀지게 되고, 또 로고 노브(11)가 복원됨과 동시에 펴질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logo knob 11 is depressed, the plate members 17a and 17b of the X-plate 14 are folded while being rotated around the axis 15, and the logo knob 11 is restored It can be spread out at the same time.

이렇게 상기 X-플레이트(14)는 접힘과 펴짐 동작을 통해 로고 노브(11)와 함께 움직이게 되므로, 로고 노브(11)의 누름 및 복원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Since the X-plate 14 moves together with the logo knob 11 through the folding and spreading operation, the logo knob 11 can be smoothly pressed and restored.

그리고, 상기 로고 노브(11)의 누름 및 복원 동작 시 X-플레이트(14)가 연계되어 함께 동작하는 메카니즘이 적용됨으로써, 로고 노브(11)의 중앙 영역이 아닌 외곽 영역을 누름 조작하는 경우에도 X-플레이트(14)가 발휘하는 접힘 및 펴짐 작동에 의해 로고 노브(11)가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지 않고(끼임 발생없이) 직선운동을 보일 수 있게 되고, 결국 오픈 스위치의 우수한 조작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logo knob 11 is pressed and restored, the X-plate 14 and the mechanism for operating the X-plate 14 together operate to press the outer area of the logo knob 11, The logo knob 11 is not eccentrically eccentrically (without being caught) by the folding and spreading operation exerted by the plate 14, so that it is possible to show a linear movement, and as a result, .

여기서, 상기 X-플레이트(14)의 플레이트 부재(17a,17b) 중에서 하나의 플레이트 부재(17a)에는 길이 중간부위에 홀(29)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을 통과하여 로고 노브(11)의 스위치 푸시부(10)가 스위치(13)의 스위치 접점(28)과 접촉할 수 있게 되고, 또 다른 하나의 플레이트 부재(17b)는 절개부(30)에 의해 틀 형태를 이루게 되므로서 그 절개부(30)의 내측으로 상대 플레이트 부재(17a)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One plate member 17a among the plate members 17a and 17b of the X-plate 14 is provided with a hole 29 at an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plate member 17a, The push portion 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witch contact 28 of the switch 13 and the other plate member 17b is formed into a frame form by the cut portion 30. Thus, 30 to accommodate the counterpart plate member 17a.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로고 일체형 오픈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ccordingly, the operating state of the logo-integrated type open switch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고 일체형 오픈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a logo-integrated type open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트렁크나 테일게이트를 열기 위하여 로그 노브(11)의 전면부를 누르게 되면, 로그 노브(11)는 안쪽으로 밀려나게 됨과 동시에 X-플레이트(14) 또한 접혀지게 되고, 로그 노브(11)의 이면에 있는 스위치 푸시부(10)가 스위치(13)의 스위치 접점(28)을 눌러주게 되므로, 스위치(13)의 ON 작동에 의해 트렁크나 테일게이트가 열려지게 된다. 3, when the user presses the front portion of the log knob 11 to open the trunk or the tail gate, the log knob 11 is pushed inward and the X-plate 14 is also folded The switch push portion 10 on the back of the log knob 11 presses the switch contact 28 of the switch 13 so that the trunk or tail gate is opened by the ON operation of the switch 13. [

한편, 사용자의 누름 조작 해제 시 로그 노브(11)는 스프링(12)의 탄성력을 받아 복원됨과 더불어 이때의 스위치 푸시부(10)가 스위치(13)의 스위치 접점(28)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면서 스위치(13)는 OFF 상태가 되고, 이와 동시에 접혀져 있던 X-플레이트(14)도 로고 노브(11)의 복원과 함께 딸려 나가 펴지면서 초기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user releases the pushing operation, the log knob 11 is restored by receiv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2 and the switch push portion 10 is separated from the switch contact 28 of the switch 13, The X-plate 14 folded at the same time as the X-plate 14 is brought into the OFF state, and the initial position can be maintained while the X-plate 14 is extended along with the restoration of the logo knob 11.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트렁크나 테일게이트 오픈 스위치를 로고와 일체화시키고, 로고 작동 시 회전에 의한 작동간섭 문제를 X-플레이트로 해결함으로써, 트렁크/테일게이트 오픈 조작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unk or tailgate open switch of the vehicle is integrated with the logo, and the operation interference problem caused by rotation during logo operation is solved by the X-plate, thereby improving the trunk / tailgate open operability and convenience .

10 : 스위치 푸시부 11 : 로고 노브
12 : 스프링 13 : 스위치
14 : X-플레이트 15 : 축
16 : 로고 바디 16a : 바디
16b : 케이스 17a,17b : 플레이트 부재
18 : 핀 19 : 슬롯
20 : 가이드 관 21 : 가이드 바
22 : 크롬링 23 : 방수링
24 : 스위치 케이스 25 : 걸림돌기
26 : 걸림턱 27 : 브라켓
28 : 스위치 접점 29 : 홀
30 : 절개부
10: switch push part 11: logo knob
12: spring 13: switch
14: X-plate 15: Axis
16: Logo body 16a: Body
16b: case 17a, 17b: plate member
18: Pin 19: Slot
20: guide tube 21: guide bar
22: chroming 23: waterproof ring
24: switch case 25:
26: latching jaw 27: bracket
28: Switch contact 29: Hole
30: incision

Claims (4)

이면에 돌출 형성되는 스위치 푸시부(10)를 가지면서 트렁크나 테일게이트에 설치되어 눌림 및 복원이 가능한 로고 노브(11);
상기 로고 노브(11)의 후면을 탄력 지지하면서 복원 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2);
상기 로고 노브(11)의 후면부에 배치되어 스위치 푸시부(10)와의 접촉에 의해 ON/OFF 작동되는 스위치(13);
상기 로고 노브(11)와 스위치(13) 사이에 배치되고 로고 노브(11)의 누름 및 복원 동작 시 함께 연동되면서 로고 노브(11)의 동작을 보조하는 X-플레이트(14);를 포함하며,
상기 X-플레이트(14)는 서로의 길이중간부가 축(15)에 의해 관통되면서 "X"자 형태로 함께 결합됨과 더불어 각각의 양쪽 단부는 로고 노브(11)측과 이 로고 노브(11)를 지지하고 있는 로고 바디(16)측에 각각 연결되는 2개의 플레이트 부재(17a,17b)로 구성되고, 상기 2개의 플레이트 부재(17a,17b)의 접힘 및 펴짐 동작을 이용하여 로고 노브(11)의 동작을 보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고 일체형 오픈 스위치.
A logo knob 11 installed on a trunk or a tail gate and having a switch push portion 10 protruding from the back surface thereof and capable of being pressed and restored;
A spring 12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logo knob 11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when restoring the logo knob 11;
A switch 13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logo knob 11 and being turned ON / OFF by contact with the switch push portion 10;
And an X-plate (14) disposed between the logo knob (11) and the switch (13) and assisting the operation of the logo knob (11) while interlocked with the pushing and restoring operation of the logo knob (11)
The X-plates 14 are joined together in the shape of an "X" while being passed through a shaft 15 by intermediate portions of the X-plates 14, and both end portions of the X-plate 14 are connected to the logo knob 11 side and the logo knob 11 17b are formed by two plate members 17a and 17b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logo body 16 supporting the logo knob 11 and the logo knob 11 is formed by folding and spreading operations of the two plate members 17a and 17b. Wherein the switch is capable of assist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17a,17b)의 각 단부는 핀(18)과 슬롯(19)의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로고 노브(11)측과 로고 바디(16)측에 좌우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고 일체형 오픈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end of the plate members 17a and 17b is connected to the logo knob 11 side and the logo body 16 side in a slidable structure using a combined structure of the pin 18 and the slot 19. [ The logo-integrated open switc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고 노브(11)는 로고 바디(16)에 있는 가이드 관(20) 내에서 슬라이드되면서 로고 노브(11)의 누름 및 복원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 바(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고 일체형 오픈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go knob 11 includes a guide bar 21 for guiding the pushing and restoring operation of the logo knob 11 while being slid in the guide tube 20 in the logo body 16. [ Open switch.
KR1020130109441A 2013-09-12 2013-09-12 Open switch integrated with logo KR1019768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441A KR101976865B1 (en) 2013-09-12 2013-09-12 Open switch integrated with log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441A KR101976865B1 (en) 2013-09-12 2013-09-12 Open switch integrated with log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919A KR20150032919A (en) 2015-03-31
KR101976865B1 true KR101976865B1 (en) 2019-05-09

Family

ID=53025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441A KR101976865B1 (en) 2013-09-12 2013-09-12 Open switch integrated with logo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86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648B1 (en) 2015-10-30 2021-07-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witch For Opening Or Closing TailGate And Operating Method The Same
IT201900025153A1 (en) 2019-12-20 2021-06-20 Tastitalia S R L VEHICLE DOOR OPENING CONTROL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972B1 (en) * 2010-05-18 2011-04-28 덕일산업 주식회사 Waterproof switch for a car trunk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070B1 (en) * 2007-11-16 2009-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ush Button Switc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972B1 (en) * 2010-05-18 2011-04-28 덕일산업 주식회사 Waterproof switch for a car tru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919A (en) 2015-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9405B2 (en) Arrangement of operation unit in seat back
US9156335B1 (en) Structural door handle attached to door structure at the door window belt
US10030413B2 (en) Outer handle device for vehicle door
CN103080451A (en) Vehicle door handle device
US8414049B2 (en) Vehicle cargo system with multi-function tonneau cover
JP2004106577A (en) Control device for fuel lid and slide door
KR20160137001A (en) Emblem integrated trunk switch module
KR101976865B1 (en) Open switch integrated with logo
US6068326A (en) Support structure for a canvas top bow on a canvas top automobile
CN104514451B (en) door handle
JP2007039981A (en) Vehicle door checking mechanism
JP3655135B2 (en) Switch device
JP2008035999A (en) Active headrest
CN105026671A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KR20210073116A (en) Flush glass apparatus
JP2013249677A (en) Fixing device of roof member
CN108104620B (en) Hood latch assembly for vehicle
KR101997283B1 (en) A Trunk open switch of car and an open method using this
KR101585661B1 (en) Locking device of glove box
JP2000115315A (en) Telephone set holder
JP2012122202A (en) Fixing device of roof member
CN110087944B (en) Handle and actuating mechanism of handle
KR101138931B1 (en) A operating switch for the vehicle sunroof
CN109774843B (en) Handle switch controller
JP2020183667A (en) Vehicle doo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