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623B1 - 파력발전 장치 부하 제어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방법 - Google Patents

파력발전 장치 부하 제어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623B1
KR101976623B1 KR1020170170544A KR20170170544A KR101976623B1 KR 101976623 B1 KR101976623 B1 KR 101976623B1 KR 1020170170544 A KR1020170170544 A KR 1020170170544A KR 20170170544 A KR20170170544 A KR 20170170544A KR 101976623 B1 KR101976623 B1 KR 101976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revolutions
error
unit
rotational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준
김병곤
천호정
김재환
박경훈
Original Assignee
유원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원산업(주) filed Critical 유원산업(주)
Priority to KR1020170170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1/00Shutting-down of machines or engines, e.g. in emergency; Regulating, controlling, or safet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D21/003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5/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devices driven thereby
    • F01D15/10Adaptations for driving, or combinations with,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1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7/00Systems involving the use of models or simulators of said systems
    • G05B17/02Systems involving the use of models or simulators of said systems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 Y02E10/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력발전 설비 용량에 대응한 유압 요소 설계사양 검증이 가능한 파력발전 장치 부하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파력발전 설비 용량에 대응한 유압 요소 설계사양 검증이 가능한 파력발전 시스템은 발전기; 및 발전기와 연결되고 발전기의 회전속도를 기반으로 유압 요소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측정기를 포함하고, 측정기는 발전기로부터 수신한 발전기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발전기 회전수에 대한 오차 허용범위를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파랑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출력을 예측함으로써 발전기의 출력 변동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력발전 장치 부하 제어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방법{LOAD CONTROL SYSTEM AND SIMULATION METHOD FOR WAVE POWER GENERATION DEVICE}
본 발명은 파력발전 설비 용량에 대응한 유압 요소 설계사양 검증이 가능한 파력발전 장치 부하 제어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타리 베인 펌프(Rotary Vane Pump), 유량제어밸브(Flow Control Valve), 가버너(Governor), 어큐뮬레이터(Accumlator)등의 유압요소 운용 유압, 유량에 따른 발전기 출력 변동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파력발전 설비 용량에 대응한 유압 요소 설계사양 검증이 가능한 파력발전 장치 부하 제어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는 우리 생활에서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며, 종래에는 우리 생활에 필요한 전기를 대부분 화석 에너지를 원료로 하여 전기를 생산하였다. 그러나 근래에는 제한된 화석연료의 고갈과 연료 구입의 어려움, 지구환경의 파괴, 발전 설비의 고비용 등 많은 문제가 부딪히면서 화석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설비 대신에 새로운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설비가 강구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최근 들어 에너지 의무할당제(RPS, Renewable Portapolio Standard)와 같이, 정책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신재생 해양에너지 개발에 전 세계적인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의해 석유나 석탄 자원이 필요없고 방사능이나 핵폐기물 문제가 없는 발전 방법으로 태양열 발전, 파력 발전, 조력 발전, 풍력 방전등이 있으며, 이 이 가운데 조수간만의 차이에 따라 조수가 수평이동하는 힘을 이용한 조력발전과 파랑을 이용하여 발전을 행하는 파력발전이 수력을 이용한 수력발전의 형태로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파력발전기는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파랑현상, 즉 파도에 의한 해수면의 주기적 상하 운동과 물 입자의 전후 운동을 에너지 변환장치를 통하여 기계적 운동으로 변환 후, 이를 다시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전이 이루어지는 장치를 일컫는다.
파력발전기는 파랑에너지 흡수 방식에 따라 진동수주형 월파형, 가동물체형으로 구분된다.
진동수주형 파력 발전은 워터칼럼 내부로 유입된 크고 작은 물결에너지에 의하여 생기는 공간의 변화를 내부 공기의 유동으로 변환하고, 이를 유도관으로 유입시켜 입사파가 장치의 전면에서 반사되면 중복파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중복파의 형성 시 수면의 상부 노즐부에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해 유도관 내에 설치된 터빈을 공기로 회전시켜 전기를 얻는 방식이다.
월파형 파력 발전은 크고 작은 물결의 진행방향 전면에 사면 벽을 두고 운동에너지에 의해 크고 작은 물결이 사면 벽을 넘어서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수위 차를 이용하여 저수기의 하부로 저장된 해수를 배출시켜서 통로 하부의 수차터빈이 발전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가동물체형 파력 발전은 수면에 떠 있는 부체가 파도의 고저에 의하여 상하 또는 회전 운동을 하도록 하여 발전기를 회전시키는 방식이다. 가동물체형은 다른 파력발전방식에 비해 효율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부유식으로 에너지를 흡수하는 가동물체형 파력발전기는 파량의 파고 및 주기, 파향에 의해 파력발전기의 출력 운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러한 요소들을 어떻게 적절하게 이용하느냐에 따라 파력발전기의 효율성 및 이용율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파랑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기의 출력 예측이 가능한 파력발전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파력발전 설비 용량에 따른 유압요소 설계사양을 검증이 가능한 파력발전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 장치 부하 제어 시스템은 파랑현상을 에너지 변환장치를 통하여 기계적 운동으로 변환 후 다시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전하는 발전기 및 상기 발전기와 연결되고 상기 발전기의 회전속도를 기반으로 유압 요소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측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기는 상기 발전기, 유압 모터 초기 용적, 전력조절기의 최소 부하값을 초기화한 후 상기 발전기의 회전수를 기초하여 상기 전력조절기의 부하 및 상기 유압 모터의 용적을 제어한다.
상기 측정기는 상기 발전기의 목표 회전수, 유압 모터 초기 용적 및 전력조절기(Power Conditioning System; PCS) 최소 부하값을 포함하는 초기화값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발전기의 평균 회전수와 상기 발전기의 회전수 오차를 연산하여 상기 전력조절기의 부하 및 유압모터의 용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전기의 회전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한 결과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회전수를 기초로 평균 발전기 회전수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발전기의 목표 회전수를 기초하여 상기 발전기의 회전수의 오차를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부의 연산 결과를 기초하여 상기 발전기의 출력 예측과 유압 요소의 검증을 판단하는 판단부 및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전력조절기의 부하와 상기 유압 모터의 용적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연산부를 통해 연산된 발전기의 회전수 오차를 상기 판단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한 판단 결과, 상기 발전기의 회전수 오차가 미리 설정된 값 범위 이내가 아니면 상기 전력조절기의 부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연산부를 통해 연산된 발전기의 회전수 오차를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상기 발전기의 회전수 오차가 미리 설정된 값 범위 이내이면 상기 발전수의 평균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값 범위 이내인지 다시 한번 판단한 후, 상기 판단결과, 상기 발전기의 평균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값 범위 이내가 아니면 상기 발전기의 평균 회전수와 상기 발전기의 평균 회전수를 바탕으로 상기 발전기의 오차를 다시 한번 판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발전기의 평균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값 범위 이내이면 유압 모터의 용적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측정기는 상기 연산부의 연산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 장치 부하 제어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방법은 외부로부터 발전기의 목표 회전수, 유압 모터 초기 용적 및 전력조절기(Power Conditioning System; PCS) 최소 부하값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발전기의 회전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발전기의 회전수를 기초하여 상기 발전기의 평균 회전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발전기의 평균 회전수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발전기의 목표 회전수를 비교하여 상기 발전기의 오차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산 결과를 기초하여 상기 전력조절기의 부하 및 유압모터의 용적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조절기의 부하 및 유압 모터의 용적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발전기의 오차가 미리 설정된 값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발전기의 오차가 미리 설정된 값 범위 이내가 아니면 상기 전력조절기의 부하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발전기의 오차가 미리 설정된 값 범위 이내이면 상기 발전수의 평균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값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발전기의 평균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값 범위 이내가 아니면 상기 발전기의 평균 회전수와 상기 발전기의 평균 회전수를 바탕으로 상기 발전기의 오차를 다시 한번 연산하고, 상기 발전기의 평균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값 범위 이내이면 유압 모터의 용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전기의 현재 발전기 회전수를 기초로 파랑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출력을 예측함으로써 발전기의 출력 변동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전기의 현재 발전기 회전수를 기초로 유압요소 설계사양을 검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 장치 부하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 장치 부하 제어 시스템의 측정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 장치 부하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시뮬레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 장치 부하 제어 시스템의 보다 상세한 시뮬레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용어들 이외에,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랩탑 컴퓨터, 핸드헬드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가전제품(programmable consumer electronics),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모바일 전화, PDA, 페이저(pager)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시스템 구성을 가지는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 장치 부하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파력발전 장치 부하 제어 시스템(1000)은 크게 측정기(100) 및 발전기(200)를 포함한다.
발전기(200)는 파랑현상을 에너지 변환장치를 통하여 기계적 운동으로 변환 후 다시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전 장치이다. 발전기(20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력조절기, 어큐뮬레이터, 유압 모터, PID 제어기 및 P&O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조절기(Power Conditioning System; PCS)는 발전기(200)에서 발생되는 최대 출력을 유지하기 위한 회로, 축전기 또는 DC 전원과의 출력 값을 변환하는 변환 회로 등이 구비된 구성으로, 발전기(200)의 전력을 제어하는 유닛이다. 전력조절기(Power Conditioning System; PCS)는 PID 제어기 또는 P&O 제어기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는 파력발전기(200)의 고압 유체를 조절 및 축적하고, 전력조절기에 의해 수신된 수신 동력이 발전기의 정격 동력보다 높은 경우 예비 동력을 저장하고 수신 동력이 발전기의 정격 동력보다 낮은 경우 유입 모터의 부족한 동력을 보상하도록 하는 유닛이다.
유압 모터는 파력발전기(200)의 구동하는 유닛으로, 즉, 발전기(200)는 유압 모터의 동력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에 유압모터는 발전기(200)의 특성을 좌우할 수 있는 유닛이다. 예를 들어, 어큐뮬레이터를 통한 압력이 감소하는 경우 유압 모터는 출력되는 동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유량을 늘리고, 반대로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유압모터에서 출력되는 동력을 일정하기 유지하기 위해 유량을 줄인다. 이러한 유압 모터는 PID 제어기 또는 P&O 제어기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측정기(100)는 발전기(200)와 연결되고 발전기(200)의 회전수(Revolution per Minute; RPM)를 기초하여 발전기(200)의 발전기(200)의 출력 변동 특성을 확인할 수 있고, 유압요소 설계사양을 검증할 수 있다. 이때, 발전기 회전수(RPM)는 토크를 계산할 때에 이용되는 정보이다. 또한, 측정기(100)는 발전기(200)의 출력 변동 특성에 따라 상기 발전기(200)의 전력조절기의 부하 및 유압 모터의 용적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측정기(100)는 유압 모터의 초기 용적 및 전력조절기의 최소 부하값을 초기화한 후 상기 발전기의 회전수를 기초하여 상기 전력조절기의 부하 및 상기 유압 모터의 용적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기(100)의 상세 구성에 대해 다음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 장치 부하 제어 시스템의 측정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 장치 부하 제어 시스템(1000)에서 측정기(100)는 입력부(110), 제어부(120) 및 출력부(13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외부로부터 발전기(200)의 목표 회전수, 유압 모터 초기 용적 및 전력조절기(Power Conditioning System; PCS) 최소 부하값을 포함하는 초기화값을 입력받는다.
제어부(120)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조건을 토대로 상기 전력조절기의 부하 및 유압모터의 용적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20)는 현재 발전기(200)의 회전수와 미리 설정된 회전수를 비교하여 발전기(200)의 오차를 연산한 후, 연산된 오차가 오차 허용범위를 만족하는지 판단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메모리부(121), 산출부(122) 및 연산부(1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어부(120)는 메모리부(121), 산출부(122), 연산부(123), 판단부(124) 및 컨트롤러(125)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121)는 발전기(200)의 현재 회전수, 즉 발전기 회전수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산출부(122)는 메모리부(121)에 저장된 발전기(200)의 현재 회전수를 기초로 발전기(200)의 평균 발전기 회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연산부(123)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발전기(200)의 목표 회전수를 기초하여 발전기(200)의 회전수의 오차를 연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연산부(123)는 미리 설정된 발전기(200)의 목표 발전기 회전수와 산출부(122)에 의해 산출된 평균 발전기 회전수의 차이를 연산하여 발전기(200)의 회전수의 오차를 연산할 수 있다.
판단부(124)는 연산부(123)의 연산 결과를 기초하여 발전기(200)의 출력 예측과 유압 요소의 검증을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판단부(124)는 연산부(123)를 통해 연산된 발전기(200)의 회전수 오차를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발전기(200)의 회전수 오차가 미리 설정된 값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오차 허용범위가 -5% 내지 +5%인 경우, 이와 같은 오차 허용범위 내에 목표 회전수에서 평균 회전수를 뺀 값이 해당한다면 허용범위를 만족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발전기(200)의 회전수 오차가 미리 설정된 값 범위 이내이면 발전기(200)의 평균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 다시 한번 판단한다. 이때, 판단부(200)는 발전기(200)의 평균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허용 최소 회전수와 허용 최대 회전수 범위 내에 있으면 발전기(200)의 평균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허용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125)는 판단부(124)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전력조절기의 부하와 유압 모터의 용적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컨트롤러(125)는 판단부(124)의 판단 결과 연산부(123)를 통해 연산된 발전기(200)의 회전수 오차를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발전기(200)의 회전수 오차가 미리 설정된 값 범위 이내가 아니면 PID 제어기를 통해 전력조절기의 부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25)는 판단부(124)의 판단 결과 발전기(200)의 평균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허용 범위 내에 있으면 P&O 제어기를 이용하여 유압 모터의 용적을 제어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제어부(120)에서 연산된 결과를 외부에 시야되도록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 장치 부하 제어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 장치 부하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시뮬레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 내지 도 2에서 상술한 파력발전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위한 방법이라는 것만 상이할 뿐,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외부로부터 발전기(200)의 목표 회전수, 유압 모터 초기 용적 및 전력조절기(Power Conditioning System; PCS) 최소 부하값을 입력받고 저장한다(S310).
이후, 발전기(200)의 회전수를 모니터링하고(S320), 모니터링된 발전기(200)의 회전수를 기초하여 발전기(200)의 평균 회전수 산출한다(S330).
이후, 현재 발전기(200)의 평균 회전수와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발전기(200)의 목표 회전수를 비교하여 발전기(200)의 오차를 계산한다(S340). 이때, 발전기(200)의 오차는 미리 저장된 발전기(200)의 목표 회전수에서 현재 발전기(200)의 평균 회전수를 뺀 값을 의미한다.
이후, 연산 결과를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한다(S350).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상기 시뮬레이션 과정을 통해 발전기(200)의 특성을 검증 및 예측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발전기(200)의 전력조절기와 유압 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다음 도 4를 통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출력부(130)는 제어부(120)로부터 계산된 결과를 출력한다(S35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 장치 부하 제어 시스템의 보다 상세한 시뮬레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시뮬레이션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상술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외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발전기(200)의 목표 회전수, 유압 모터 초기 용적 및 PSC 부하 값으로 초기화한다(S410). 이때, 초기화 단계 이전에 모니터링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후, 미리 설정된 발전기(200)의 목표 회전수에서 발전기(200)의 평균 회전수를 뺀 오차를 계산하고(S420), 연산된 값이 미리 설정된 오차 허용 범위내인지를 판단한다(S430).
판단결과, 발전기(200)의 목표 회전수에서 발전기(200)의 평균 회전수를 뺀 오차가 허용범위 내인 경우에는 발전기(200)의 평균 회전수가 허용 최소 회전수에서 허용 최대 회전수 범위 내에 있는지 다시 한번 판단한다(S440). 한편, 판단결과, 발전기(200)의 목표 회전수에서 발전기(200)의 평균 회전수를 뺀 오차가 허용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PID 제어기를 통해 전력조절기(PSC)의 부하를 제어한 후(S450), 현재 발전기(200)의 평균 회전수 및 회전수 오차, 즉, 발전기(200)의 목표 회전수에서 발전기의 평균 회전수를 뺀 값을 다시 한번 계산한다(S420).
이후, 발전기(200)의 평균 회전수가 허용 최소 회전수에서 허용 최대 회전수 범위 내에 있으면 P&O 제어기를 이용하여 유압모터의 용적을 제어하고(S460), 발전기(200)의 평균 회전수가 허용 최소 회전수에서 허용 최대 회전수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현재 발전기(200)의 평균 회전수 및 회전수 오차, 즉, 발전기(200)의 목표 회전수에서 발전기의 평균 회전수를 뺀 값을 다시 한번 계산하여(S420) 다시 시뮬레이션 방법을 수행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력 발전 시스템에서 파력발전 설비 용량에 대응한 유압 요소 설계사양 검증이 가능한 파력발전 시뮬레이션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때,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읽히어 설치되고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 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각 단계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명령어로 구현되어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팅 시스템"은 전자 데이터 상의 동작의 수행과 함께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모듈, 또는 그 조합으로서 정의된다. 예를 들면, 컴퓨터 시스템의 정의는 퍼스널 컴퓨터의 오퍼레이팅 시스템과 같은 소프트웨어 모듈 및 퍼스널 컴퓨터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모듈의 물리적인 레이아웃(layout)은 중요하지 않다. 컴퓨터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컴퓨팅 시스템은 메모리 및 프로세서와 같은 내부 모듈이 전자 데이터 상의 동작의 수행과 함께 동작하는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파력발전 시스템에서 입사에너지 변동을 고려한 파력발전 방법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기반으로 상술한 실시 예들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 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100: 측정기
110: 입력부
120: 제어부
121: 메모리부
122: 산출부
123: 연산부
124: 판단부
125: 컨트롤러
130: 출력부
200: 발전기

Claims (9)

  1. 파랑현상을 에너지 변환장치를 통하여 기계적 운동으로 변환 후 다시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전하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와 연결되고 상기 발전기의 회전속도를 기반으로 유압 요소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측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기는,
    상기 발전기의 목표 회전수, 유압 모터 초기 용적 및 전력조절기(Power Conditioning System; PCS) 최소 부하값을 포함하는 초기화값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발전기의 평균 회전수와 상기 발전기의 회전수 오차를 연산하여 상기 전력조절기의 부하 및 유압모터의 용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전기의 회전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한 결과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회전수를 기초로 평균 발전기 회전수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발전기의 목표 회전수를 기초하여 상기 발전기의 회전수의 오차를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부의 연산 결과를 기초하여 상기 발전기의 출력 예측과 유압 요소의 검증을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전력조절기의 부하와 상기 유압 모터의 용적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연산부를 통해 연산된 발전기의 회전수 오차를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상기 발전기의 회전수 오차가 미리 설정된 값 범위 이내이면 상기 발전기의 평균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값 범위 이내인지 다시 한번 판단한 후, 상기 판단결과, 상기 발전기의 평균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값 범위 이내가 아니면 상기 발전기의 평균 회전수와 상기 발전기의 평균 회전수를 바탕으로 상기 발전기의 오차를 다시 한번 판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발전기의 평균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값 범위 이내이면 유압 모터의 용적을 제어하는 파력발전 장치 부하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는 상기 제어부의 연산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파력발전 장치 부하 제어 시스템.
  7. 외부로부터 발전기의 목표 회전수, 유압 모터 초기 용적 및 전력조절기(Power Conditioning System; PCS) 최소 부하값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발전기의 회전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발전기의 회전수를 기초하여 상기 발전기의 평균 회전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발전기의 평균 회전수와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발전기의 목표 회전수를 비교하여 상기 발전기의 오차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연산 결과를 기초하여 상기 전력조절기의 부하 및 유압모터의 용적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연산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력조절기의 부하 및 유압 모터의 용적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발전기의 오차가 미리 설정된 값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발전기의 오차가 미리 설정된 값 범위 이내가 아니면 상기 전력조절기의 부하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발전기의 오차가 미리 설정된 값 범위 이내이면 상기 발전기의 평균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값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발전기의 평균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값 범위 이내가 아니면 상기 발전기의 평균 회전수와 상기 발전기의 평균 회전수를 바탕으로 상기 발전기의 오차를 다시 한번 연산하고, 상기 발전기의 평균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값 범위 이내이면 유압 모터의 용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력발전 장치 부하 제어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170170544A 2017-12-12 2017-12-12 파력발전 장치 부하 제어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방법 KR101976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544A KR101976623B1 (ko) 2017-12-12 2017-12-12 파력발전 장치 부하 제어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544A KR101976623B1 (ko) 2017-12-12 2017-12-12 파력발전 장치 부하 제어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623B1 true KR101976623B1 (ko) 2019-05-09

Family

ID=66545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544A KR101976623B1 (ko) 2017-12-12 2017-12-12 파력발전 장치 부하 제어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62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343B1 (ko) 2018-11-30 2019-12-23 유원산업(주) 파력발전 운영 안정화를 위한 유압 pto 시스템 및 부하제어방법
KR20200014375A (ko) * 2018-02-07 2020-02-10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진 도쿄다이가쿠 파력 발전 시스템
KR102204724B1 (ko) * 2020-11-19 2021-01-1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디지털 트윈 기술을 이용한 진동수주형 파력발전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2904742A (zh) * 2021-01-15 2021-06-04 上海海事大学 非规则波浪的主动补偿控制方法
CN114439673A (zh) * 2022-01-27 2022-05-06 清华大学 辨识波浪发电装置水动力学参数的方法、装置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3136A (ja) * 2001-09-06 2003-03-19 Sawafuji Electric Co Ltd エンジン駆動発電装置
JP2011174468A (ja) * 2011-03-25 2011-09-08 Komatsu Ltd エンジン、油圧ポンプおよび発電電動機の制御装置
KR101289271B1 (ko) * 2005-03-15 2013-07-24 도쿠리츠교세이호진 수이산소고겐큐센터 파력 발전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3136A (ja) * 2001-09-06 2003-03-19 Sawafuji Electric Co Ltd エンジン駆動発電装置
KR101289271B1 (ko) * 2005-03-15 2013-07-24 도쿠리츠교세이호진 수이산소고겐큐센터 파력 발전 장치 및 방법
JP2011174468A (ja) * 2011-03-25 2011-09-08 Komatsu Ltd エンジン、油圧ポンプおよび発電電動機の制御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375A (ko) * 2018-02-07 2020-02-10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진 도쿄다이가쿠 파력 발전 시스템
KR102171212B1 (ko) 2018-02-07 2020-10-28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파력 발전 시스템
KR102058343B1 (ko) 2018-11-30 2019-12-23 유원산업(주) 파력발전 운영 안정화를 위한 유압 pto 시스템 및 부하제어방법
KR102204724B1 (ko) * 2020-11-19 2021-01-1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디지털 트윈 기술을 이용한 진동수주형 파력발전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2904742A (zh) * 2021-01-15 2021-06-04 上海海事大学 非规则波浪的主动补偿控制方法
CN114439673A (zh) * 2022-01-27 2022-05-06 清华大学 辨识波浪发电装置水动力学参数的方法、装置及系统
CN114439673B (zh) * 2022-01-27 2023-09-19 清华大学 辨识波浪发电装置水动力学参数的方法、装置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623B1 (ko) 파력발전 장치 부하 제어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방법
Trivedi et al.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ies for a high head Francis turbine at several operating points
Trivedi et al. Numerical techniques applied to hydraulic turbines: A perspective review
Derakhshan et al. Theoretical, numerical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centrifugal pumps in reverse operation
Muggli et al. CFD calculation of a mixed flow pump characteristic from shutoff to maximum flow
Dai et al. Numerical study of straight-bladed Darrieus-type tidal turbine
Trivedi Investigations of compressible turbulent flow in a high-head Francis turbine
US10767620B2 (en) Water current power generation systems
Trivedi et al. Investigation of the unsteady pressure pulsations in the prototype Francis turbines–Part 1: steady state operating conditions
Hosseinimanesh et al. A numerical study of Francis turbine operation at no-load condition
Khozaei et al. Generation of twin vortex rope in the draft-tube elbow of a Francis turbine during deep part-load operation
Kahlert et al. Investigation of different operation strategies to provide balance energy with an industrial combined heat and power plant using dynamic simulation
Trivedi Investigations of transient pressure loading on a high head Francis turbine
Li et al. Dynamic safety assessment of a nonlinear pumped-storage generating system in a transient process
Salehi et al. Effects of uncertainties in positioning of PIV plane on validation of CFD results of a high-head Francis turbine model
Hu et al. Effect of the speed factor on the amplitude of the blade passing frequency in the vaneless space of a pump turbine in turbine mode
US11041475B2 (en) Hydropower electric generator
US8930034B1 (en) Computing an operating parameter of a unified power flow controller
Trivedi A systematic validation of a Francis turbine under design and off-design loads
Hu et al. Constant-speed oscillation of a pump turbine observed on a pumped-storage model system
Fortin et al. A hydrodynamic study of a propeller turbine during a transient runaway event initiated at the best efficiency point
Matteo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one-dimensional transient rotodynamic pump model at component scale
Jafarishiadeh et al. Modeling, analysis and design of an undersea storage system
Coulaud et al. Analysis of the runner behavior during the start-up sequence in a bulb turbine model
Zhao et al. Experiments on the hydrodynamic performance of horizontal axis tidal current turbine and desalination of sea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